KR101433051B1 - 쉴드 핑거가스켓 - Google Patents

쉴드 핑거가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051B1
KR101433051B1 KR1020130061161A KR20130061161A KR101433051B1 KR 101433051 B1 KR101433051 B1 KR 101433051B1 KR 1020130061161 A KR1020130061161 A KR 1020130061161A KR 20130061161 A KR20130061161 A KR 20130061161A KR 101433051 B1 KR101433051 B1 KR 101433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cb
elastic bending
lower plate
shield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1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용태
신철승
Original Assignee
(주)세윤
대일티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윤, 대일티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세윤
Priority to KR1020130061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0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18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y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ground planes or power pla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3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using auxiliary mounted passive components or auxiliary substan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부품소자(11)가 실장된 PCB(10)와 상기 PCB(10)를 커버하는 케이스(20) 사이의 체결부위에 장착되어 방출되는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한 쉴드 핑거가스켓에 있어서, 단면이 'Z'자 또는 'S'자 형상으로 복수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위에 배치되도록 길이방향(L)으로 연장형성되되,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하부면이 상기 PCB(10)에 장착되는 하판부(110); 상기 하판부(110)의 일측으로부터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사선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하판부(110)와의 연결부위에 제1탄성절곡부(121)를 형성하는 연결판부(120); 및 상기 하판부(110)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결판부(120)의 타측으로부터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연결판부(120)와의 연결부위에 제2탄성절곡부(133)를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20)의 체결면(21)을 상부면으로 지지하는 상판부(130);를 포함하는 쉴드 핑거가스켓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쉴드 핑거가스켓{Shield Finger Gasket}
본 발명은 쉴드 핑거가스켓에 관한 것으로, 부품소자가 실장된 PCB와 상기 PCB를 커버하는 케이스 사이의 체결부위에 장착되어 방출되는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SMD용 쉴드 핑거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부품소자(11)가 실장된 PCB(10)와 상기 PCB(10)를 커버하는 케이스(20) 사이의 체결부위에 도전성테잎(30)이 장착되어 방출되는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PCB(10) 상에 실장되는 다양한 부품소자(11)에는 소자의 특성별로 상기 PCB(10)의 구동에 따라 전자파가 생성되어 주변으로 방출시키는 소자가 있는가 하면, IC칩과 같이 주변의 전자파에 영향을 받을 경우 작동오류가 발생될 수 있는 소자가 실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파에 의한 EMI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자파가 생성되어 주변의 인접 부품소자(11)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부품소자(11)를 차폐시키거나 주변에서 생성된 전자파에 의해 영향을 받는 특정 부품소자(11)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킴으로써 제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어 전자파를 차폐하는 기능이 구비된 도전성테잎(30)을 차폐시키고자 하는 부품소자(11) 또는 복수의 부품소자(11)들의 둘레에 부착시킴으로써 외부의 전자파가 내부로 유입되거나 내부에서 생성된 전자파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도전성테잎(30)은 하부면에 접착제(31)가 도포되어 PCB(10)에 부착될 수 있었으나, 상기 PCB(10)의 발열에 의해 또는 부착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접착제(31)의 접착성능이 저하되어 PCB(10)와 도전성테잎(30)의 접착부분에 전자파가 소통될 수 있는 이격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전자파 차폐기능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도전성테잎(30)은 스트랩 형상의 탄성폼에 도전성을 부여한 것이 사용되는데, 이는 합성수지의 특성상 도전성이 떨어짐으로 인해 전자파 차단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고, 양면테잎이나 접착제(31)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부착함에 따른 작업상의 번거로움 및 제작시간의 지연 등과 같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2818호(2005.04.18), 전자파 차단용 가스켓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는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기본적으로 전자파 차폐효율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Z'자 또는 'S'자 형상으로 절곡된 간소한 구조로 구비되어 제조가 용이하며, PCB에서 발열이 발생하거나 장착시간이 길어지더라도 적절한 탄성반발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PCB와 케이스 사이에 밀착체결되어 전자파 차폐효율을 극대화한 쉴드 핑거가스켓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부품소자(11)가 실장된 PCB(10)와 상기 PCB(10)를 커버하는 케이스(20) 사이의 체결부위에 장착되어 방출되는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한 쉴드 핑거가스켓에 있어서, 단면이 'Z'자 또는 'S'자 형상으로 복수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위에 배치되도록 길이방향(L)으로 연장형성되되,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하부면이 상기 PCB(10)에 장착되는 하판부(110); 상기 하판부(110)의 일측으로부터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사선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하판부(110)와의 연결부위에 제1탄성절곡부(121)를 형성하는 연결판부(120); 및 상기 하판부(110)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결판부(120)의 타측으로부터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연결판부(120)와의 연결부위에 제2탄성절곡부(133)를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20)의 체결면(21)을 상부면으로 지지하는 상판부(130);를 포함하는 쉴드 핑거가스켓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판부(110)의 타측에는, 양측에 상기 하판부(110)를 상기 PCB(10) 상에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편(112)이 타측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면서, 각 체결편(112) 사이에 상기 상판부(130)가 체결면(21)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각 탄성절곡부(121,133)가 접철되면서 상기 제2탄성절곡부(133)의 하부가 길이방향(L)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간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상판부(130)의 폭방향(W) 길이는, 각 탄성절곡부(121,133)가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상판부(130)의 상부면 높이가 상기 제1탄성절곡부(121)의 접철된 높이(H1)를 넘지않도록 상기 쉴드 핑거가스켓의 폭방향(W) 전체 길이(L1)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L2)로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핑거가스켓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탄성절곡부(121) 또는 제2탄성절곡부(13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탄성절곡부에는, 상기 체결면(21)의 가압에 따른 쉴드 핑거가스켓의 탄성반발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탄성저감공(140)이 쉴드 핑거가스켓의 연장된 길이방향(L)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핑거가스켓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판부(130)의 연장형성된 길이방향(L)의 양측에는, 양측방향으로 하향절곡되도록 연장형성된 경사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131)는, 상기 체결편(112)에 의해 상판부(130)가 가압되면서 상기 하판부(110)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탄성반발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핑거가스켓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는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기본적으로 전자파 차폐효율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PCB에서 발열이 발생하거나 장착시간이 길어지더라도 지속적으로 적절한 탄성반발력이 유지되어 PCB와 케이스 사이에 밀착체결됨으로써 전자파 차폐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둘째, 쉴드 핑거가스켓을 형성하기 위한 금속판이 'Z'자 또는 'S'자 형상으로 복수회 절곡된 간소한 구조로 구비되어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 효용가치가 극대화됨은 물론, 상기 쉴드 핑거가스켓을 PCB에 실장하는 자동화설비를 이용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Z'자의 절곡된 형상으로 인해 상판부이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쉴드 핑거가스켓의 상부면(상판부)을 진공흡착하여 들어올리가가 용이하며, 하판부이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들어올린 쉴드 핑거가스켓을 PCB의 상부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셋째, PCB에 장착되는 하판부의 타측에는 상판부가 케이스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각 탄성절곡부가 접철되면서 하판부와 연결판부 사이의 연결부위에 마련된 제2탄성절곡부의 하부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판부의 두께만큼 쉴드 핑거가스켓의 전체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판부의 폭방향(W) 길이는 각 탄성절곡부가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상판부의 상부면 높이가 제1탄성절곡부의 접철된 높이를 넘지 않도록 쉴드 핑거가스켓의 폭방향 전체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상판부의 두께만큼 쉴드 핑거가스켓의 전체높이를 더욱 감소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슬림화,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
넷째, 제1탄성절곡부, 제2탄성절곡부에는 복수 개의 탄성저감공이 쉴드 핑거가스켓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배치되어 케이스의 가압에 따른 쉴드 핑거가스켓의 탄성반발력을 저감하는 등 쉴드 핑거가스켓이 사용되는 목적,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탄성반발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섯째, 상판부의 연장된 길이방향의 양측에는, 양측방향으로 하향 절곡되도록 연장형성된 경사부가 형성되고, 케이스에 의해 상판부가 가압되어 상기 경사부가 하판부의 양측부분에 접촉되면서 상기 케이스를 상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반발력이 발생하므로, 필요에 따라 상기 제1탄성절곡부 및 제2탄성절곡부에 의한 탄성력보다 큰 탄성반발력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하판부를 중심으로 상하로 승강하는 상판부의 승강동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전성테잎이 PCB와 케이스 사이에 체결되어 전자파를 차단하는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쉴드 핑거가스켓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쉴드 핑거가스켓이 가압되면서 각 탄성절곡부에 의해 접철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쉴드 핑거가스켓이 PCB와 케이스 사이에 장착되는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쉴드 핑거가스켓에 탄성저감공이 형성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쉴드 핑거가스켓(100)은 부품소자(11)가 실장된 PCB(10)와 상기 PCB(10)를 커버하는 케이스(20) 사이의 체결부위에 장착되어 주변에서 방출되는 전자파가 내부로 향하는 것을 차단하거나 내부에서 방출되는 전자파가 외부로 향하지 않도록 차단하여 차폐시키는 가스켓으로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파를 차폐시킬 수 있는 재질의 금속판을 가스켓 형상으로 절곡 성형하되, 단면이 'Z'자 또는 'S'자 형상으로 복수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위에 배치되도록 길이방향(L)으로 연장형성된다.
또한, 금속판을 복수 회 절곡 형성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하부면이 상기 PCB(10)에 장착되는 하판부(110)과, 상기 하판부(110)의 일측으로부터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사선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하판부(110)와의 연결부위에 제1탄성절곡부(121)를 형성하는 연결판부(120) 및, 상기 하판부(110)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결판부(120)의 타측으로부터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연결판부(120)와의 연결부위에 제2탄성절곡부(133)를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20)의 체결면(21)을 상부면으로 지지하는 상판부(130);가 각각 형성되도록 가공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부(130)의 폭방향(W) 길이는, PCB(10)와 케이스(20) 사이에서 체결면(21)에 의해 가압되어 각 탄성절곡부(121,133)가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상판부(130)의 상부면 높이가 상기 제1탄성절곡부(121)의 접철된 높이(H1)를 넘지않도록 상기 쉴드 핑거가스켓(100)의 폭방향(W) 전체 길이(L1)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L2)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상판부(130)의 폭방향(W) 길이가 쉴드 핑거가스켓(100)의 폭방향(W)의 전체 길이(L1)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경우, 가압되어 접철되면서 상기 제1탄성절곡부(121)의 상단에 상판부(130)의 하단이 안착되기 때문에 쉴드 핑거가스켓(100)의 전체 높이는 제1탄성절곡부(121)의 접철된 높이(H1)에 상판부(130)의 두께(t1)가 더해진 크기를 갖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판부(130)의 폭방향(W) 길이가 쉴드 핑거가스켓(100)의 폭방향(W)의 전체 길이(L1) 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L2)로 연장형성됨에 따라, 도면에서와 같이 상판부(130)가 가압되어 접철되더라도 상판부(130)의 단부가 제1탄성절곡부(121)의 절철된 높이(H1)를 넘지 않게 되므로, 쉴드 핑거가스켓(100)의 전체 높이를 상기 상판부(130)의 두께(T1) 만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판부(110)의 타측 선단에는, 양측에 하판부(110)를 PCB(10) 상에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편(112)이 타측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되, 각 체결편(112) 사이에는 상기 상판부(130)가 체결면(21)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각 탄성절곡부(121,133)가 접철되면서 상기 제2탄성절곡부(133)의 하부가 길이방향(L)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간부(1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판부(110)의 폭방향(W) 길이가 쉴드 핑거가스켓(100)의 폭방향(W)의 전체 길이(L1)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경우, 가압되어 접철되면서 하판부(110)의 단부 부분에 제2탄성절곡부(133)의 하단이 안착되기 때문에 쉴드 핑거가스켓(100)의 전체 높이는 제2탄성절곡부(133)의 접철된 높이(H2)에 하판부(110)의 두께(T2)가 더해진 크기를 갖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탄성절곡부(133)의 하단이 길이방향(L)으로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부(111)가 하판부(110)의 타단 선단에 마련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130)가 가압되어 접철되더라도 하판부(110)의 단부가 제2탄성절곡부(133)의 높이(H2)를 넘지 않게 되므로, 쉴드 핑거가스켓(100)의 전체 높이를 상기 하판부(110)의 두께(T2) 만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PCB(10)에 장착되는 하판부(110)의 타측 선단에는 제2탄성절곡부(133)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간부(111)이 형성되어 하판부(110)의 두께(T2)만큼 쉴드 핑거가스켓의 전체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판부(130)의 폭방향(W) 길이는 쉴드 핑거가스켓(100)의 폭방향(W) 전체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상판부(130)의 두께(T1)만큼 쉴드 핑거가스켓(100)의 전체높이를 더욱 감소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슬림화,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부(130)의 연장형성된 길이방향(L)의 양측에는, 양측방향으로 하향절곡되도록 연장형성된 경사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131)는, 상기 체결편(112)에 의해 상판부(130)가 가압되면서 상기 하판부(110)의 양측부분에 접촉되어 탄성반발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의 체결면(21)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판부(130)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경사부(131)가 하판부(110)의 양측 상부부분 상부와 접촉하면서 소정의 탄성반발력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경사부(131)의 단부에는 상판부(130)의 상부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외향 절곡된 접촉부(13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사부(131)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필요에 따라 상기 제1탄성절곡부(121) 및 제2탄성절곡부(133)에 의한 탄성력보다 큰 탄성반발력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하판부(110)를 중심으로 상하로 승강하는 상판부(130)의 승강동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경사부(131)의 하향 절곡된 형상에 의해, 쉴드 핑거가스켓(100)을 PCB(10) 상에 장착하는 작업공정에서 작업자가 착용한 장갑 등에 상판부(130)의 양단 모서리가 걸려 작업자가 부상을 입거나 의도하지 않게 쉴드 핑거가스켓(100)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공정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탄성절곡부(121) 또는 제2탄성절곡부(13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탄성절곡부에는, 상기 체결면(21)의 가압에 따른 쉴드 핑거가스켓(100)의 탄성반발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탄성저감공(140)이 쉴드 핑거가스켓(100)의 연장된 길이방향(L)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저감공(140)은 제1탄성절곡부(121) 또는 제2탄성절곡부(133) 중 어느 하나의 탄성절곡부에 형성되거나 양 탄성절곡부(121,133)에 모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탄성절곡부(121), 연결판부(120) 및 제2탄성절곡부(133)에 걸쳐 폭방향(W)으로 길게 개구되어 형성된 탄성저감공(140)이 쉴드 핑거가스켓(100)의 길이방향(L)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제1탄성절곡부(121) 또는 제2탄성절곡부(133) 중 어느 하나에 탄성저감공(140)이 형성된 경우보다는 양 탄성절곡부(121,133)에 모두 형성된 경우가 쉴드 핑거가스켓(100)의 탄성반발력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으며, 도면에서와 같이 제1탄성절곡부(121)에서 연결판부(120)를 거쳐 제2탄성절곡부(133)이 이르는 영역으로 개구되어 탄성저감공(140)이 형성된 경우는 상기 양 탄성절곡부(121,133)에 모두 탄성저감공(140)이 형성된 경우보다 쉴드 핑거가스켓(100)의 탄성반발력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쉴드 핑거가스켓(100)을 제조하는 금속판의 두께(T1,T2)와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탄성반발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절곡부(121) 및 제2탄성절곡부(133)의 형상에 제한이 있을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형상의 탄성저감공(140)을 제1탄성절곡부(121), 연결판부(120) 및 제2탄성절곡부(133) 상에 적절하게 형성함으로써 쉴드 핑거가스켓(100)이 장착되는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탄성반발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쉴드 핑거가스켓(100)은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금속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PCB(10)에 형성된 그라운드패턴(12)에 접촉되어 케이스(20)로 유출될 수 있는 미세전류를 그라운드 시킬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쉴드 핑거가스켓(100)의 하판부(110)는 PCB(10)에 장착되되 PCB(10)의 상부면에 형성된 그라운드패턴(12) 상에 체결되어 케이스(20)를 상기 그라운드패턴(12)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판부(110)를 PCB(10)에 장착함에 있어서, 도 6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더(13)를 이용하여 체결편(112)을 PCB(10) 또는 그라운드패턴(12) 상에 솔더링함으로써 (극)소형의 크기를 갖는 쉴드 핑거가스켓(100)을 보다 용이하게 PCB(10) 상에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솔더링 방법 이외에 볼트 등의 스크류 방식을 통해 상기 체결편(112)과 PCB(10) 또는 그라운드패턴(12)을 연속관통하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상호 체결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쉴드 핑거가스켓(100)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는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기본적으로 전자파 차폐효율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PCB(10)에서 발열이 발생하거나 장착시간이 길어지더라도 지속적으로 적절한 탄성반발력이 유지되어 PCB(10)와 케이스(20) 사이에 밀착체결됨으로써 전자파 차폐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쉴드 핑거가스켓(100)을 형성하기 위한 금속판이 'Z'자 또는 'S'자 형상으로 복수회 절곡된 간소한 구조로 구비되어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 효용가치가 극대화됨은 물론, 상기 쉴드 핑거가스켓(100)을 PCB(10)에 자동적으로 실장하는 자동화설비를 이용함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판부(130)와 하판부(110)가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Z'자의 절곡된 형상으로 인해, 평평한 상판부(130)를 진공흡착하여 쉴드 핑거가스켓(100)을 들어올리기가 용이하며, 들어올린 쉴드 핑거가스켓(100)을 PCB(10)의 상부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PCB 11...부품소자
20...케이스 21...체결면
100...쉴드 핑거가스켓 110...하판부
111...삽입공간부 112...체결편
120...연결판부 121...제1탄성절곡부
130...상판부 131...경사부
132...접촉부 133...제2탄성절곡부

Claims (4)

  1. 부품소자(11)가 실장된 PCB(10)와 상기 PCB(10)를 커버하는 케이스(20) 사이의 체결부위에 장착되어 방출되는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한 쉴드 핑거가스켓에 있어서,
    단면이 'Z'자 또는 'S'자 형상으로 복수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위에 배치되도록 길이방향(L)으로 연장형성되되,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하부면이 상기 PCB(10)에 장착되는 하판부(110);
    상기 하판부(110)의 일측으로부터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사선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하판부(110)와의 연결부위에 제1탄성절곡부(121)를 형성하는 연결판부(120); 및
    상기 하판부(110)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결판부(120)의 타측으로부터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연결판부(120)와의 연결부위에 제2탄성절곡부(133)를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20)의 체결면(21)을 상부면으로 지지하는 상판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부(110)의 타측에는, 양측에 상기 하판부(110)를 상기 PCB(10) 상에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편(112)이 타측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면서, 각 체결편(112) 사이에 상기 상판부(130)가 체결면(21)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각 탄성절곡부(121,133)가 접철되어 상기 제2탄성절곡부(133)의 하부가 길이방향(L)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간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상판부(130)의 연장형성된 길이방향(L)의 양측에는, 외측방향으로 하향절곡되도록 연장형성된 경사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131)는 상기 상판부(130)가 하향 가압되면서 상기 하판부(110)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탄성반발력을 제공하고, 상기 경사부(131)의 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외향 절곡된 접촉부(1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핑거가스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130)의 폭방향(W) 길이는, 각 탄성절곡부(121,133)가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상판부(130)의 상부면 높이가 상기 제1탄성절곡부(121)의 접철된 높이(H1)를 넘지않도록 상기 쉴드 핑거가스켓의 폭방향(W) 전체 길이(L1)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L2)로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핑거가스켓.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절곡부(121) 또는 제2탄성절곡부(13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탄성절곡부에는, 상기 체결면(21)의 가압에 따른 쉴드 핑거가스켓의 탄성반발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탄성저감공(140)이 쉴드 핑거가스켓의 연장된 길이방향(L)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핑거가스켓.
  4. 삭제
KR1020130061161A 2013-05-29 2013-05-29 쉴드 핑거가스켓 KR101433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161A KR101433051B1 (ko) 2013-05-29 2013-05-29 쉴드 핑거가스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161A KR101433051B1 (ko) 2013-05-29 2013-05-29 쉴드 핑거가스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3051B1 true KR101433051B1 (ko) 2014-08-25

Family

ID=51751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1161A KR101433051B1 (ko) 2013-05-29 2013-05-29 쉴드 핑거가스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0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5980A (en) * 1998-06-29 2000-05-23 Cisco Technology, Inc. Grounding a PCB to an enclosure sub-assembly using a grounding spring
US6359215B1 (en) * 2000-06-06 2002-03-19 Chin Fu Horng Elastomer device for prevent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f a computer central processing unit
KR20120075504A (ko) * 2010-10-06 2012-07-09 (주)케이티엑스 전자파 차단용 쉴드캔 고정용 클립
KR20120079481A (ko) * 2009-11-16 2012-07-12 키타가와고우교가부시끼가이샤 컨택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5980A (en) * 1998-06-29 2000-05-23 Cisco Technology, Inc. Grounding a PCB to an enclosure sub-assembly using a grounding spring
US6359215B1 (en) * 2000-06-06 2002-03-19 Chin Fu Horng Elastomer device for prevent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f a computer central processing unit
KR20120079481A (ko) * 2009-11-16 2012-07-12 키타가와고우교가부시끼가이샤 컨택트
KR20120075504A (ko) * 2010-10-06 2012-07-09 (주)케이티엑스 전자파 차단용 쉴드캔 고정용 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9955B1 (ko) 전자파 차단용 쉴드캔 고정용 클립
US9167698B2 (en) Surface mount clip
US7609530B2 (en) Conductive elastomeric shielding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same
KR101349269B1 (ko) 원터치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CN105792574A (zh) 终端设备
US201300483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ielding circuitry from interference with a removable shield assembly
US20080186689A1 (en) Electronic equipment
KR100729708B1 (ko) 휴대폰 단말기의 쉴드캔을 프레스 공정으로 제조하는 방법
KR101433051B1 (ko) 쉴드 핑거가스켓
JP2007516591A (ja) プリント回路基板アセンブリ
KR101698664B1 (ko) 전기 접점단자
KR101331944B1 (ko) Emi 차폐용 도전성 핑거스트립
TWM524060U (zh) 電磁干擾整體式遮罩夾結構
KR20110027985A (ko) 접속력을 향상시킨 쉴드캔 고정용 클립 터미널
KR101318780B1 (ko) Emi 차폐용 도전성 핑거스트립
CN104684256A (zh) 电路板及具有该电路板的移动终端和电路板的制造方法
KR20100024580A (ko) SMT 용 EMI 차폐 Gasket
KR100969918B1 (ko) 접속력을 향상시킨 쉴드캔 고정용 클립 터미널
US20180249599A1 (en) Curved shield on a circuit board
CN103915728B (zh) 一种带接地屏蔽的边缘卡连接器
CN106099484B (zh) 焊接段延伸有止高环绕侧壁的表面安装弹片
KR101151689B1 (ko) 전자파 차폐 케이스 고정용 클립 및 이를 적용한 전자파 차폐장치
CN101578031A (zh) 屏蔽装置
KR100997847B1 (ko) 이중 접속 구조를 갖는 쉴드캔 고정용 클립 터미날
KR20170101571A (ko) 전자기기용 접속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