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1571A - 전자기기용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용 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1571A
KR20170101571A KR1020160024281A KR20160024281A KR20170101571A KR 20170101571 A KR20170101571 A KR 20170101571A KR 1020160024281 A KR1020160024281 A KR 1020160024281A KR 20160024281 A KR20160024281 A KR 20160024281A KR 20170101571 A KR20170101571 A KR 20170101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connection terminal
upward
rotation angle
elastic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6759B1 (ko
Inventor
이근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Priority to KR1020160024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759B1/ko
Publication of KR20170101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2Printed circuits being in the same pla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접속단자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단자는, 금속편체를 연속적으로 다수 절곡하여 형성되며, 평평한 하판부와, 하판부의 일측에서 호형으로 절곡되어 밴딩부가 형성되고, 밴딩부에 이어지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향경사면과, 상향경사면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평행되게 형성되는 하향경사면으로 구성되는 탄성부로 구성되며, 탄성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여 구속하고, 좌우 비틀림, 틀어짐을 방지하고 탄성부의 과도한 상향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각 제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PCB 하부에 실장 되는 만큼 종래 기술 대비 공간적 제약이 적고, 접촉 작동시 적어도 복수개소의 벤딩부로 인해 탄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보상받은 공간만큼 제작 난이도가 낮아지고, 날카로운 부분이 없이 표면이 미려하고 취급이 용이하고, 작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구조적으로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제품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용 접속단자{Connection Terminals for 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은 전자기기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트북, 휴대폰, 태블릿 피씨 등 각종 전자기기 부품 및 티브이, 셋톱박스 등 각종 가전기기 부품의 전기적 연결이 필요한 곳에 사용되는 접속 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용 접속단자는 휴대폰케이스에 장착된 안테나 또는 배터리와 같은 휴대폰 기구물과 휴대폰의 보드가 전기적 접속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휴대폰용 접속단자는 통상 피씨비 기판에 실장단자부와 실장단자부에서 경사지게 절곡된 접속가동단자부로 구성되며, 접속가동단자부에 접속 대상물이 배치된다.
종래의 휴대폰용 접속단자는 휴대폰케이스에 장착된 안테나 또는 배터리와 같은 휴대폰 기구물가 접속가동단자부와 접속하여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안테나 또는 배터리와 같은 휴대폰 기구물의 접속시 접속가동단자부가 탄성변형되어서 탄성력을 유지하며 접속되는 것이다.
국내 실용신안 출원 20-2009-0017112호에는 이러한 휴대폰용 접속단자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종래 기술은 고정부가 기판의 상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로 인해 접속단자의 설치 높이에 제약이 있었다.
따라서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의 두께를 최소화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접속단자는, 피씨비(100)의 상부에 실장되며, 접속 대상물(200)과의 공간이 협소하게 되어 공간적 제약이 큰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접촉 작동(CONTACT) 시 힘을 받는 부분이 1개소의 벤딩구간(20)에 불과하여 이로 인해 탄성 및 내구성이 저하된다.
또한 종래 기술은 제품을 구현하기 위한 공간적 제약이 큰 만큼 제작난이도가 높아진다.
그리고 종래 기술은 날카로운 부분(24)이 돌출되어 있어 취급이 불편하고 이로 인한 장갑이 걸리거나 손가락을 다치는 등의 위험성이 있으며, 작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자유로이 움직이므로 제품의 손상 가능성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접속단자의 높이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기판에 실장 되는 접속단자의 설치 높이를 최소화 하여 전자기기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동시에 취급에 용이한 구조로 형성하여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단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편체를 연속적으로 다수 절곡하여 형성되며, 평평한 하판부와, 하판부의 일측에서 호형으로 절곡되어 밴딩부가 형성되고, 밴딩부에 이어지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향경사면과, 상향경사면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평행되게 형성되는 하향경사면으로 구성되는 탄성부로 구성되며, 탄성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여 구속하고, 좌우 비틀림, 틀어짐을 방지하고 탄성부의 과도한 상향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각 제한부를 포함하는 접속단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각 제한부는 탄성부의 하향경사면의 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돌기와, 하판부의 양측에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승강장공이 형성된 브래킷을 포함한다.
상기 밴딩부와 상향경사면이 이어지는 부위에 호형으로 하향 절곡되어 굴곡부가 형성되어 S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PCB 하부에 실장 되는 만큼 종래 기술 대비 공간적 제약이 적고, 접촉 작동시 적어도 복수개소의 벤딩부로 인해 탄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보상받은 공간만큼 제작 난이도가 낮아지고, 날카로운 부분이 없이 표면이 미려하고 취급이 용이하고, 작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구조적으로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제품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접속단자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접속단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접속단자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접속단자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접속단자를 나타낸 배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접속단자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접속단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접속단자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접속단자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접속단자를 나타낸 배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접속단자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접속단자는, 금속편체를 연속적으로 다수 절곡하여 형성되며, 평평한 하판부(2)와, 하판부(2)의 일측에 연결되며 호형으로 절곡되어 밴딩부(3)가 형성되고, 밴딩부(3)에 이어지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향경사면(42)과, 상향경사면(42)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평행되게 형성되는 하향경사면(44)으로 구성되는 탄성부(4)로 구성되며, 탄성부(4)의 회전각도를 제한하여 구속하고, 좌우 비틀림, 틀어짐을 방지하고 탄성부(4)의 과도한 상향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각 제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금속편체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이며, 부식을 방지하고 내식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도금되어 이루어지며, 금속편체를 연속적으로 다수 절곡하여 평평한 하판부(2)와, 하판부(2)의 일측에 연결되며 호형으로 절곡되어 밴딩부(3)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하판부(2)는 상부에서 보았을때 대략 H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하판부(2)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둥글게 말아 호형으로 절곡시켜서 밴딩부(3)를 형성하고, 밴딩부(3)에 연속되어 상향경사면(42)을 형성한 후 다시 하향 경사지게 절곡시켜 하향경사지게 하향경사면(44)이 형성되어 탄성부(4)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밴딩부(3)와 상향경사면(42)이 이어지는 부위에 호형으로 하향 절곡되어 굴곡부(32)가 형성된다.
따라서 밴딩부(3)와 굴곡부(32)가 이어져서 연속 형성되므로 대략 S자 형상이 된다.
상기 상향경사면(42)과 하향경사면(44)이 이어지는 부위는 호형으로 형성되고, 외면에 접지대(5)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부(4)는 밴딩부(3)의 텐션으로 인해 상하로 회전될 수 있고, 접지대(5)가 상부의 단자에 접촉되었을때 눌려져서 내려가게 된다.
한편 회전각 제한부는 탄성부(4)의 회전각도를 제한하여 구속하고, 좌우 비틀림, 틀어짐을 방지하고 탄성부의 과도한 상향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회전각 제한부는, 탄성부(4)의 하향경사면(44)의 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돌기(62)와, 하판부(2)의 양측에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돌기(62)가 삽입되는 승강장공(640)이 형성된 브래킷(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판부(2)의 양측에 대략 ㄷ자 형상으로 브래킷(64)을 형성한 후 이 브래킷(64)을 상방으로 수직하게 절곡시켜 탄성부(4)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한다.
탄성부(4)의 하향경사면(44)의 단부 양측에 형성된 돌기(62)가 브래킷(64)의 승강장공(640)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속단자(A)는 피씨비 기판(100)의 홈(120)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접속 대상물(200)과 이격된 상태에서는 탄성부(4)는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돌기(62)가 승강장공(640)의 상단까지 상승된 상태로 구속되어 탄성부(4)의 상승 최대 각도가 유지된다.
이후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 대상물(200)이 하강하여 단자(220)가 탄성부(4)의 접지대(5)와 접촉되어 통전되고, 탄성부(4)는 눌려져서 피씨비 기판(100)의 홈(120)에 삽입된다.
이때는 돌기(62)가 승강장공(640)의 하단까지 하강된 상태로 구속되어 탄성부(4)가 더이상 하강하지 못하게 제한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밴딩부(3)와 굴곡부(32)가 이어져서 S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절곡 작동시 밴딩부(3) 및 굴곡부(32)의 2개소에 피로 하중이 분산됨으로써 더욱 탄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접속단자(220)가 피씨비 기판(100)의 홈(120)에 삽입되게 설치됨으로서 종래 기술에 비해 더욱 공간적인 제약이 적게 된다.
즉 접속 대상물(200)과 피씨비 기판(100) 간의 간격이 좁더라도 본 발명의 접속단자(220)를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제품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하판부 3 : 밴딩부
4 : 탄성부 5 : 접지대
32 : 굴곡부 42 : 상향경사면
44 : 하향경사면 62 : 돌기
64 : 브래킷

Claims (4)

  1. 피씨비 기판에 실장되며, 단자가 형성된 접속 대상물과 접촉되는 전자기기용 접속단자에 있어서,
    금속편체를 연속적으로 다수 절곡하여 형성되며,
    평평한 하판부와,
    하판부의 일측에서 호형으로 절곡되어 밴딩부가 형성되고,
    밴딩부에 이어지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향경사면과, 상향경사면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평행되게 형성되는 하향경사면으로 구성되는 탄성부로 구성되며,
    탄성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여 구속하고,
    좌우 비틀림, 틀어짐을 방지하고 탄성부의 과도한 상향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각 제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접속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 제한부는
    탄성부의 하향경사면의 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돌기와,
    하판부의 양측에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승강장공이 형성된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접속단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와 상향경사면이 이어지는 부위에 호형으로 하향 절곡되어 굴곡부가 형성되어 S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접속단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경사면과 하향경사면이 이어지는 부위는 호형으로 형성되고, 외면에 접지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접속단자.


KR1020160024281A 2016-02-29 2016-02-29 전자기기용 접속단자 KR101926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281A KR101926759B1 (ko) 2016-02-29 2016-02-29 전자기기용 접속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281A KR101926759B1 (ko) 2016-02-29 2016-02-29 전자기기용 접속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571A true KR20170101571A (ko) 2017-09-06
KR101926759B1 KR101926759B1 (ko) 2018-12-07

Family

ID=59925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281A KR101926759B1 (ko) 2016-02-29 2016-02-29 전자기기용 접속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7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629U (ko) 2018-04-12 2019-10-22 주식회사 수콘 전자기기용 커넥터
CN110854581A (zh) * 2019-10-12 2020-02-28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端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618411Y (zh) * 2003-03-26 2004-05-26 佳颖精密企业股份有限公司 一种接地弹片
CN201194254Y (zh) * 2008-05-19 2009-02-11 珑骅科技有限公司 导电弹片
CN103972675A (zh) * 2014-04-09 2014-08-06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天线连接器端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629U (ko) 2018-04-12 2019-10-22 주식회사 수콘 전자기기용 커넥터
CN110854581A (zh) * 2019-10-12 2020-02-28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759B1 (ko) 2018-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852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ual arm contact
US20110159709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feature for securing solder ball thereon
US908808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retained therein
KR101309404B1 (ko) 단자 접속장치
KR20150056032A (ko)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
US20080160844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thereof
JP6634426B2 (ja) 圧接コネクタ
US9604348B2 (en) Tool for catching IC package
KR101045484B1 (ko) 컨텍터
US10312617B2 (en)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a metal housing and a flexible flat transmission component
KR101926759B1 (ko) 전자기기용 접속단자
US20120045946A1 (en) Socket connector having suitable receiving solder lead from ic package
US7775803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retention device
KR101397284B1 (ko)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되는 컨텍트와 그 결합구조
US20110294365A1 (en) Elastic electrical contact
US20060035484A1 (en) Land grid array terminal having variable circuitry
CN210723468U (zh) 电连接器
US9793632B2 (en) Spring finger and electrical connector
CN201196974Y (zh) 接触端子
KR102557923B1 (ko) 플러그 일체형 어댑터
US20110053426A1 (en) Lower profile electrical contact and electrical socket using the same
KR101400747B1 (ko) 터미널 콘택트
CN218334380U (zh) 一种双接触弹片连接器及导通结构
KR102039511B1 (ko) 다접점 다방향 컨텍트
KR101353243B1 (ko) 컨택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