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284B1 -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되는 컨텍트와 그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되는 컨텍트와 그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284B1
KR101397284B1 KR1020140004780A KR20140004780A KR101397284B1 KR 101397284 B1 KR101397284 B1 KR 101397284B1 KR 1020140004780 A KR1020140004780 A KR 1020140004780A KR 20140004780 A KR20140004780 A KR 20140004780A KR 101397284 B1 KR101397284 B1 KR 101397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ontact
pair
flat plat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석
Original Assignee
강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석 filed Critical 강태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관통홀이 형성된 기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컨텍트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텍트는, 바닥부와, 바닥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수직가드와, 상기 한 쌍의 수직가드의 상단에서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기판결합부를 포함하는 고정부; 하단이 상기 바닥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된 탄성부;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상기 탄성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평판부보다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기판의 관통홀을 통해 승강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가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크기가 최소화되므로 기판 회로패턴의 설계자유도와 부품집적도를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부와 탄성부의 외부 노출이 최소화되므로 작업자의 장갑이나 공구 등의 외부 간섭에 의해 가동부 또는 탄성부가 변형되어 기능을 상실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의 가동거리를 컨텍트의 전고 대비 100% 까지 향상시킬 수 있고, 정렬돌기를 사용함으로써 땜납 공정 중에 정확한 위치결정이 가능하고 컨텍트를 보다 견고하게 기판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가동부의 평판부 상부에 들림 방지 스토퍼를 설치하면 가동부가 위로 젖혀지는 것을 물리적 구조로 보호하여, 작업자의 장갑이나 공구 등의 외부 간섭으로 인해 컨텍트가 변형되어 기능을 상실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동부의 탄성복원력을 더욱 높일 수 있으므로, 접촉부와 외부 단자간의 접촉력을 일정한 크기 이상으로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전고(제품의 높이)를 균일하게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되는 컨텍트와 그 결합구조{Contactor inserted into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전기, 전자, IT 분야에서 부품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사용하는 컨텍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촉부가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삽입형 컨텍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텍트는 둘 이상의 전기, 전자, IT 부품 등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거나 신호전달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통신기기의 안테나 연결단자, 배터리 충전장치의 충전단자, 오디오기기의 데크와 스피커를 연결하는 접점단자 등에 주로 사용된다.
컨텍트의 종류는 대략 핀 타입(일명 '포고 핀')과, 금속판을 구부려서 형성한 판 스프링 타입으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판 스프링 타입 컨텍트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판 스프링 타입 컨텍트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한국등록특허 제1001673호에 개시된 컨텍트(20)를 나타낸 것으로서 인쇄회로기판(이하 '기판'이라 한다)의 표면에 땜납으로 고정되는 표면실장형 컨텍트(20)이다. 표면실장형 컨텍트(20)는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부(10), 고정부(10)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동부(18), 고정부(10)의 단부와 가동부(18)의 단부를 연결하는 탄성부(13)를 포함한다. 가동부(18)는 탄성부(13)에 연결된 평탄부와, 평탄부의 선단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외부 단자가 접촉하는 접촉부(16)를 포함한다.
그런데 도 1과 같은 형태의 컨텍트(20)는 접촉부(16)의 선단이 작업자의 장갑이나 공구 등과의 간섭으로 인해 위로 젖혀지거나 탄성부(13)가 변형되어 제품 불량이 초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동부(18)가 탄성부(13)를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접촉부(16)의 가동거리가 전체 높이의 절반 정도에 불과하고, 가동거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컨텍트(20)의 전체 크기를 증가시켜야 하므로 전자기기의 슬림화, 경량화 경향에 대응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전자기기의 슬림화 경향에 대응하기 위하여 컨텍트를 기판에 매립하는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등록디자인 제30-0717657호는 기판(50)에 형성된 관통홀(52)의 내부에 설치되는 완전 매립형 컨텍트(30)를 소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등록디자인의 컨텍트(30)를 기판(50)에 매립 설치하면 기판(50)의 상부로 돌출되는 컨텍트(30)의 높이를 크게 줄이는 효과는 있으나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을 피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첫째. 기판(50)에 컨텍트(30) 전부가 삽입될 정도로 관통홀(52)을 넓게 형성하면, 해당 부분의 회로설계에 큰 어려움이 초래되는 문제가 있다. 소형 전자제품일수록 다층PCB를 활용하여 고집적 회로설계를 해야 하는데 기판(50)에 관통홀(52)을 크게 형성하면 관통홀(52)을 우회하도록 회로패턴을 설계해야 하므로 설계자유도가 크게 저하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둘째, 이와 같이 관통홀(52)의 주변에 회로패턴을 설계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른 전자부품이 실장될 수 있는 영역이 크게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셋째, 관통홀(52)에 컨텍트(30)가 삽입되더라도 접촉부(36)를 포함하는 가동부 전체와 탄성부(34)가 상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작업 중에 작업자의 장갑이나 공구 등의 외부 간섭으로 인해 가동부 또는 탄성부(34)의 변형이 초래될 위험이 있다.
넷째, 기판(50)에 컨텍트(30)를 삽입하더라도 접촉부(36)의 전체 가동거리는 도 1과 같은 표면실장형 컨텍트(20)와 큰 차이가 없어 전고 대비 100%의 가동거리를 원하는 고객사의 요구에 대응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다섯째, 컨텍트(30)를 관통홀(52)에 삽입시키더라도 컨텍트(30) 하단의 고정부를 기판(50)의 저면에 땜납으로 고정해야 하는데, 땜납 공정 중에 슬라이딩 현상으로 인해 컨텍트(30)의 정확한 위치결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001673호(2010.12.15) 등록디자인 제30-0717657호(2013.11.22)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촉부의 가동거리를 극대화하고 땜납 공정 중에 정확한 위치결정이 가능한 컨텍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기판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크기를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회로패턴의 설계자유도를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기판 삽입형 컨텍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컨텍트로 인한 부품집적도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판 삽입형 컨텍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컨텍트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장갑이나 공구 등의 외부 간섭에 의해 컨텍트가 변형되어 기능을 상실하는 현상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부품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관통홀이 형성된 기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컨텍트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텍트는, 바닥부와, 바닥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수직가드와, 상기 한 쌍의 수직가드의 상단에서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기판결합부를 포함하는 고정부; 하단이 상기 고정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된 탄성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상기 탄성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평판부보다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기판의 관통홀을 통해 승강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가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의 평판부의 상면은 상기 기판결합부의 상면보다 낮거나 같은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텍트에서 상기 한 쌍의 수직가드의 상단에는 각각 상기 기판에 형성된 정렬홀에 삽입하기 위한 정렬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텍트는 상기 한 쌍의 수직가드의 상단에서 각각 상기 평탄부의 상부로 연장된 한 쌍의 들림방지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텍트에서 상기 평판부의 양측에는 수평방향으로 각각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들림방지스토퍼는 각각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텍트에서 상기 한 쌍의 수직가드는 상기 탄성부의 양측을 커버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통홀을 구비하는 기판에 부품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컨텍트를 결합시키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과 컨텍트의 결합구조에서, 상기 컨텍트는, 바닥부와, 바닥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수직가드와, 상기 한 쌍의 수직가드의 상단에서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기판결합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와, 하단이 상기 고정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된 탄성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상기 탄성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평판부보다 상부로 돌출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가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기판결합부의 상면이 상기 기판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가동부의 상기 평판부는 상기 기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판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기판의 상부로 돌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과 컨텍트의 결합구조에서, 상기 관통홀의 폭은 상기 한 쌍의 기판결합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과 컨텍트의 결합구조에서, 상기 기판의 상면에서 상기 접촉부의 상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기판의 저면에서 상기 바닥부의 저면까지의 거리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부의 가동거리를 컨텍트의 전고 대비 100% 까지 향상시킬 수 있고, 정렬돌기를 사용함으로써 땜납 공정 중에 정확한 위치결정이 가능하고 컨텍트를 보다 견고하게 기판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기판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크기가 최소화되므로 기판 회로패턴의 설계자유도와 부품집적도를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부와 탄성부의 외부 노출이 최소화되므로 작업자의 장갑이나 공구 등의 외부 간섭에 의해 가동부 또는 탄성부가 변형되어 기능을 상실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직가드에 가동부의 평판부 상부로 연장된 들림방지스토퍼를 형성하여 가동부가 위로 젖혀지는 것을 물리적 구조로 막음으로써 작업자의 장갑이나 공구 등의 외부 간섭으로 인해 컨텍트가 변형되어 기능을 상실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동부의 탄성복원력을 더욱 높일 수 있으므로 접촉부와 외부 단자간의 접촉력을 일정한 크기 이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전고(제품의 높이)를 균일하게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표면실장형 컨텍트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완전 매립형 컨텍트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텍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텍트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텍트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텍트의 측면도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텍트가 기판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텍트의 동작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텍트의 주변에 전자부품이 실장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텍트에 안테나단자가 접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텍트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 및 도 15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텍트의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텍트(100)의 사시도,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먼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에서 컨텍트(100)의 도면상 좌측 단부를 선단이라 하고 우측 단부를 후단이라 하기로 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텍트(100)는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부(110), 외부단자와의 접점역할을 하는 접촉부(123)를 구비하는 가동부(120), 고정부(110)의 후단과 가동부(120)의 후단을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가동부(120) 전체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130)를 포함한다.
고정부(110)는 바닥부(111)와, 바닥부(111)의 양 측단에서 수직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된 한 쌍의 수직가드(113), 각 수직가드(113)의 상단에서 바깥쪽으로 구부러져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기판결합부(115)를 포함한다.
기판결합부(115)는 땜납 등으로 기판의 저면에 고정되는 부분이므로 적어도 그 상면은 평탄해야 한다.
각 수직가드(113)의 상단에는 상방으로 정렬돌기(117)가 돌출되며, 정렬돌기(117)를 기판에 형성된 정렬홀에 삽입하면 컨텍트(100)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땜납 공정 중에 컨텍트(100)의 위치가 흐트러지지 않고 컨텍트(100)를 기판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가동부(120)는 후단이 탄성부(130)의 상단에 연결되는 평판부(121)와, 평판부(121)의 선단에 연결되고 평판부(121)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대략 반원 형상의 접촉부(123)와, 접촉부(123)의 선단에서 후방으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접촉부(123)의 양 측단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부(127)를 포함한다.
평판부(121)는 고정부(110)의 바닥부(111)와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정부(11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수직가드(113)의 사이에서 가동부(120)가 승강운동을 한다. 따라서 가동부(120) 전체의 폭은 양 수직가드(113)의 간격보다 작아야 한다.
또한 수직가드(113)의 상단에 형성된 기판결합부(115)가 기판의 저면에 결합되어야 하므로 평판부(121)는 그 상면이 기판결합부(115)의 상면보다 낮거나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접촉부(123)는 다른 전자부품 또는 전자기기의 단자와 접촉하는 부분이며, 전자부품 등의 단자가 접촉부(123)의 상단에 접촉하여 하방으로 힘을 가하면 가동부(120) 전체가 탄성부(13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접촉부(123)가 하강한다.
접촉부(123)는 하강하는 중에도 탄성부(130)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으로 힘을 작용하므로 외부단자에 대해 높은 접촉력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외부 단자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면 접촉부(123)는 탄성부(130)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한다. 접촉부(123)의 상면에는 접촉력을 높임으로써 접촉저항을 최소화하고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엠보싱(125)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텍트(100)는 기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접촉부(123)가 기판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기판의 상부로 돌출되어야 하므로 도 1 또는 도 2에 개시된 컨텍트(20,30)에 비해 접촉부(123)의 높이가 높아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평판부(121)의 선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연결부(129)를 형성하고, 연결부(129)의 상단에 접촉부(123)를 형성하였다. 연결부(129)의 높이는 기판의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하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정부(110)를 구성하는 바닥부(111)의 저면에서 기판의 저면에 이르는 거리가 기판의 상면에서 접촉부(123)의 상단에 이르는 거리보다 크거나 같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접촉부(123)의 가동거리를 최대화하였다.
지지부(127)는 과도한 힘에 의해 접촉부(123)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127)는 도시된 것처럼 접촉부(123)의 선단에서 후방으로 구부러져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3에 나타낸 것처럼 접촉부(123)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구부러져 형성될 수도 있다.
탄성부(130)는 고정부(110)의 후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둥글게 구부러진 형태를 가지며, 그 상단에 가동부(120)의 평탄부(121) 후단이 연결된다. 이러한 탄성부(130)는 가동부(120) 전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자체 탄성력을 발휘하여 접촉부(123)를 항상 초기위치로 복원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130)는 컨텍트(10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부분이므로 작업 중에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보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직가드(113)가 탄성부(130)의 후단 측방까지 연장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탄성부(130)는 상부의 기판과 측면의 수직가드(113)에 의해 둘러싸이게 되어 외력의 간섭으로부터 완벽하게 보호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컨텍트(100)는 금속판의 절단 및 굽힘 공정을 포함하는 프레스 가공을 통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일부 부품을 별도 제작하여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컨텍트(10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200)의 저면에 고정되고, 접촉부(123)는 기판(200)에 형성된 관통홀(210)을 통해 상부로 돌출된다. 또한 수직가드(113)의 상단에 형성된 정렬돌기(117)는 기판(200)에 형성된 정렬홀(220)에 삽입된다.
기판(200)의 관통홀(210)은 최소한의 크기로 형성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동부(120)를 구성하는 접촉부(123)가 탄성부(13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승강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관통홀(21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관통홀(210)은 가동부(120)의 평판부(121)의 앞쪽에 위치하며, 연결부(129)가 관통홀(210)의 후단쪽 내벽에 인접하여 상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컨텍트(100)를 기판(200)에 결합하면 평판부(121)는 기판(20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관통홀(210)의 폭은 컨텍트(100)를 구성하는 수직가드(113)의 간격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 그래야만 관통홀(210) 주변의 기판저면에 기판결합부(115)를 땜납 등으로 부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텍트(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기판(200)에 장착된 컨텍트(100)에 외부단자의 접촉이 없으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부(120)의 접촉부(123)는 기판(200)의 상부로 돌출된다. 이때 가동부(120)의 평판부(121)는 고정부(110)의 바닥부(111)와 대략 평행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외부단자가 접촉부(123)의 상단에 접촉하여 하방으로 힘을 가하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부(120) 전체가 탄성부(13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접촉부(123)가 하강하여 관통홀(2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접촉부(123)는 하강하는 중에도 상방으로 지속적으로 복원력을 발휘하므로 외부단자와 접촉부(123)의 접촉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외부단자와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면 접촉부(123)는 탄성부(130)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여 다시 도 9와 같은 상태로 복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텍트(100)를 기판(200)의 저면에 부착하면, 기판(200)에 형성되는 관통홀(210)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텍트(100)의 부착위치에 인접하여 다른 전자부품(300)을 실장할 수 있다. 또한 컨텍트(100)의 대부분이 기판(200)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컨텍트(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판(200)에도 전자부품(300)을 실장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완전 매립형 컨텍트(30)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회로패턴의 설계자유도와 부품집적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컨텍트(100)의 대부분이 기판(200)의 하부에 위치하고 가동부(120) 및 탄성부(130)가 수직가드(113)에 의해 둘러싸이므로 작업 중 외력에 의해 탄성부(130) 등이 변형될 위험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기판(200)에 다수의 전자부품(300)이 실장된 상태에서도 휴대폰 등의 안테나단자(400)가 하강하여 접촉부(123)와의 접촉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텍트(100)는 이와 같이 휴대폰의 안테나단자(400)와 기판(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용도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전기, 전자, IT 기기 등에서도 전기접속용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텍트(100)는 접촉부(123)를 지지하는 지지부(127)가 접촉부(123)의 선단에서 후방으로 구부러져 연장되고, 기판결합부(115)는 수직가드(113)의 상단에서 바깥쪽으로 구부러져 연장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127)를 접촉부(123)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시킬 수도 있고, 기판결합부(115)를 수직가드(113)의 상단에서 안쪽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4 및 도 15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텍트(100')의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텍트(100')는 수직가드(113)의 상단에서 가동부(120)의 평판부(121)의 상부로 구부러져 연장된 들림방지스토퍼(150)를 구비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들림방지스토퍼(150)는 작업 중에 작업자의 장갑이나 공구 등의 외부간섭으로 인해 가동부(120)가 위로 젖혀질 경우에 평판부(121)의 선단부가 상승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저지함으로써 가동부(120) 또는 탄성부(130)가 과도한 힘에 의해 변형되어 컨텍트 기능이 상실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들림방지스토퍼(150)는 각 수직가드(113)의 상단으로 돌출된 부분을 평판부(121)의 상부를 향해 약 90도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기판결합부(115)도 수직가드(113)의 상단을 수평방향으로 구부려 형성하므로 들림방지스토퍼(150)의 상면과 기판결합부(115)의 상면은 동일한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동부(120)가 위로 젖혀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들림방지스토퍼(150)를 평판부(121)의 선단 부근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평판부(121)의 선단부의 상부에는 양 수직가드(113)에서 각각 내측으로 구부러져 연장된 한 쌍의 들림방지스토퍼(150)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다만 들림방지스토퍼(150)의 위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평판부(121)와 양측 수직가드(113)의 간격을 고려하여 평판부(121)의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부(152)를 형성시키고, 돌출부(152)의 상부에 들림방지스토퍼(150)가 위치하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가동부(120)를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4 및 도 15의 컨텍트(100')의 기판결합부(115)도 도 13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가드(113)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지지부(127)가 접촉부(123)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라 하더라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게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100, 100': 컨텍트 110: 고정부 111: 바닥부
113: 수직가드 115: 기판결합부 117: 정렬돌기
120: 가동부 121: 평판부 123: 접촉부
125: 엠보싱 127: 지지부 129: 연결부
130: 탄성부 150: 들림방지스토퍼 152: 돌출부
200: 기판 210: 관통홀 220: 정렬홀
300: 전자부품 400: 안테나단자

Claims (8)

  1. 부품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관통홀이 형성된 기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컨텍트에 있어서,
    바닥부와, 바닥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수직가드와, 상기 한 쌍의 수직가드의 상단에서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기판결합부를 포함하는 고정부;
    하단이 상기 바닥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된 탄성부;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상기 탄성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평판부보다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기판의 관통홀을 통해 승강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가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의 평판부의 상면은 상기 기판결합부의 상면보다 낮거나 같은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가드의 상단에는 각각 상기 기판에 형성된 정렬홀에 삽입하기 위한 정렬돌기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가드의 상단에서 각각 상기 평판부의 상부로 연장된 한 쌍의 들림방지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의 양측에는 수평방향으로 각각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들림방지스토퍼는 각각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가드는 상기 탄성부의 양측을 커버하는 위치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트
  6. 관통홀을 구비하는 기판에 부품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컨텍트를 결합시키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컨텍트는,
    바닥부와, 바닥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수직가드와, 상기 한 쌍의 수직가드의 상단에서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기판결합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와,
    하단이 상기 고정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된 탄성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상기 탄성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평판부보다 상부로 돌출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가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기판결합부의 상면이 상기 기판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가동부의 상기 평판부는 상기 기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판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기판의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과 컨텍트의 결합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폭은 상기 한 쌍의 기판결합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과 컨텍트의 결합구조
  8. 제6항 또는 제7항에서
    상기 기판의 상면에서 상기 접촉부의 상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기판의 저면에서 상기 바닥부의 저면까지의 거리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과 컨텍트의 결합구조
KR1020140004780A 2013-12-30 2014-01-14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되는 컨텍트와 그 결합구조 KR1013972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7895 2013-12-30
KR1020130167895 2013-12-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7284B1 true KR101397284B1 (ko) 2014-06-27

Family

ID=51131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780A KR101397284B1 (ko) 2013-12-30 2014-01-14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되는 컨텍트와 그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2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0053A (zh) * 2014-10-07 2016-04-13 卓英社有限公司 表面贴装型弹性电接触端子
KR20160041742A (ko) * 2014-10-07 2016-04-18 조인셋 주식회사 표면실장형 탄성 전기접촉단자
WO2018182235A1 (ko) * 2017-03-31 2018-10-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 접속 장치
KR101945607B1 (ko) * 2014-10-14 2019-02-07 센젠 썬웨이 커뮤니케이션 씨오., 엘티디. 푸쉬형 커넥터 단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5640A1 (en) 2004-11-12 2006-05-18 Vance Scott L Low profile circuit board connector
KR101088215B1 (ko) 2011-08-09 2011-11-30 강태석 하우징 일체형 컨텍터
JP2012503855A (ja) 2008-09-28 2012-02-09 エフシーアイ・コネクターズ・シンガポール・ピーティーイー・リミテッド 接触子及びその接触子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KR20130026735A (ko) * 2011-09-06 2013-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회로 기판용 접촉 단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5640A1 (en) 2004-11-12 2006-05-18 Vance Scott L Low profile circuit board connector
JP2012503855A (ja) 2008-09-28 2012-02-09 エフシーアイ・コネクターズ・シンガポール・ピーティーイー・リミテッド 接触子及びその接触子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KR101088215B1 (ko) 2011-08-09 2011-11-30 강태석 하우징 일체형 컨텍터
KR20130026735A (ko) * 2011-09-06 2013-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회로 기판용 접촉 단자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0053A (zh) * 2014-10-07 2016-04-13 卓英社有限公司 表面贴装型弹性电接触端子
WO2016056783A1 (ko) * 2014-10-07 2016-04-14 조인셋 주식회사 표면실장형 탄성 전기접촉단자
KR20160041742A (ko) * 2014-10-07 2016-04-18 조인셋 주식회사 표면실장형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644119B1 (ko) 2014-10-07 2016-07-29 조인셋 주식회사 표면실장형 탄성 전기접촉단자
CN105490053B (zh) * 2014-10-07 2017-12-29 卓英社有限公司 表面贴装型弹性电接触端子
KR101945607B1 (ko) * 2014-10-14 2019-02-07 센젠 썬웨이 커뮤니케이션 씨오., 엘티디. 푸쉬형 커넥터 단자
WO2018182235A1 (ko) * 2017-03-31 2018-10-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 접속 장치
KR20180111153A (ko) * 2017-03-31 2018-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접속 장치
KR102355943B1 (ko) * 2017-03-31 2022-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접속 장치
US11362452B2 (en) 2017-03-31 202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connec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119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1583178B1 (en) Flexible board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of flexible board to circuit board
US20060276060A1 (en) Connector and portable terminal
US7497733B1 (en) Shielded connector adapted to be mounted at different profile
KR101397284B1 (ko)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되는 컨텍트와 그 결합구조
US908808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retained therein
US7063540B2 (en) Connector
US7445506B2 (en) Shielded connector
US20120231639A1 (en) Surface-mount connecter and substrate unit
JP3851526B2 (ja) アースターミナル
KR101372079B1 (ko) Pcb 컷 타입 접속장치
CN107104302B (zh) 一种btb连接器的固定组件、电路板组件及电子设备
KR101697139B1 (ko) 접속단자
KR20150024760A (ko) Pcb 컷 타입 접속장치
KR20150076996A (ko) 다방면 변형방지를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WO2015190181A1 (ja)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KR101727994B1 (ko) 측면 실장형 컨텍트와 그 결합구조
KR101370175B1 (ko) 표면 실장용 접속장치
KR102039511B1 (ko) 다접점 다방향 컨텍트
KR101812421B1 (ko) 전자부품 접속용 커넥터
KR20150095371A (ko)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
KR20150089257A (ko) 측방향 변형방지를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KR101443526B1 (ko) 표면 실장용 접속장치
KR101260204B1 (ko) 컨텍터
CN2699531Y (zh) 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