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5371A -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95371A KR20150095371A KR1020140016606A KR20140016606A KR20150095371A KR 20150095371 A KR20150095371 A KR 20150095371A KR 1020140016606 A KR1020140016606 A KR 1020140016606A KR 20140016606 A KR20140016606 A KR 20140016606A KR 20150095371 A KR20150095371 A KR 201500953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on terminal
- substrate
- fixing plate
- connection
- b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35—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opposite contact points, e.g. C bea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B 기판 표면에 실장되어 전자 부품 간에 전기적 접속을 유지해주는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 기판의 실장 높이를 최소화하면서 기판의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한 대상물과 접속 가능한 2개의 접속단자로 이루어진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기판에 뚫려있는 안착구멍의 둘레에 설치되고, 기판의 상부 측에 위치한 제1대상물과 접속되어 상기 안착구멍 내부를 향해 기판의 위에서 아래로 가동되는 제1접속부를 포함하는 제1접속단자와, 기판의 하부 측에 위치한 제2대상물과 접속되어 상기 안착구멍 내부를 향해 기판의 아래에서 위로 가동되는 제2접속부를 포함하는 제2접속단자가 일체로 이루어지고, 제1 및 제2 접속단자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 가동함으로써 기판의 실장 높이를 최소화하면서 하나의 접속단자로 기판의 상부 및 하부 방향에 위치한 대상물과 각각 접속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기판에 뚫려있는 안착구멍의 둘레에 설치되고, 기판의 상부 측에 위치한 제1대상물과 접속되어 상기 안착구멍 내부를 향해 기판의 위에서 아래로 가동되는 제1접속부를 포함하는 제1접속단자와, 기판의 하부 측에 위치한 제2대상물과 접속되어 상기 안착구멍 내부를 향해 기판의 아래에서 위로 가동되는 제2접속부를 포함하는 제2접속단자가 일체로 이루어지고, 제1 및 제2 접속단자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 가동함으로써 기판의 실장 높이를 최소화하면서 하나의 접속단자로 기판의 상부 및 하부 방향에 위치한 대상물과 각각 접속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PCB 기판 표면에 실장되어 전자 부품 간에 전기적 접속을 유지해주는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 기판의 실장 높이를 최소화하면서 기판의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한 대상물과 접속 가능한 2개의 접속단자로 이루어진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무선으로 음성이나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안테나가 구비된다. 안테나는 외장형이나 내장형으로 구분된다. 최근 이동통신단말기의 경박단소와 공간확보를 위하여 내장형 안테나가 주로 적용된다.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는 인쇄 패턴의 안테나로 이동통신단말기의 덮개에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에 내장된 안테나와 이동통신단말기 본체 사이에는 접속단자를 통해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단자는 PCB 기판 표면에 실장된 상태에서 덮개에 마련된 안테나의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 내지는 신호 전달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의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기판 실장형 접속단자는 판 형상의 도전성 금속을 프레스 및 포밍 가공을 통해 제작되는 것으로, 기판에 직접 납땜 등을 통해 고정되는 바닥판(1)과, 안테나와 같은 대상물과 직접 접점을 이루는 접속부(4)와, 접속부(4)에 접속이 가해지는 경우에 접속부(4)에 탄성을 부여해주는 탄성부(2)와, 접속부(4)와 탄성부(2)를 수평으로 이어주는 연장부(3)를 포함한다.
따라서, 기판에 실장된 접속단자는 접속부(4)에 대상물이 접속되면 접속부(4)는 탄성부(2)의 탄성 변형에 의해 일정 높이 아래 방향으로 가동하여 대상물과 접속상태를 유지하다가, 대상물과의 접점이 해제되는 경우에 탄성부(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최초의 위치로 복귀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는 하나의 대상물에만 접속이 이루어지는 단일 접속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복수의 대상물과 접속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복수의 대상물에 대응되는 개수만큼의 접속단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접속단자의 부품 수가 증가하고, 이러한 부품 수의 증가는 비용 증가는 물론 기판에 설치되는 전체 부품과 배선 등의 레이 아웃을 위한 설계 공간에 제한을 주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는 접속단자 전체로 기판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실장되기 때문에, 즉 접속단자의 접속부가 기판의 상부에서 상하 가동하는 구조로 실장 되기 때문에 기판에 실장되는 접속단자의 설치 높이에 제약을 받는 문제가 있다. 특히 기판의 상면 및 하면에 접속단자를 각각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술한 접속단자의 설치 높이에 더 큰 제약을 받게 되어 최근 박형화 및 휘어진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발 추세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판에 실장되는 접속단자의 설치 높이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하나의 접속단자로 기판의 상부 및 하부 방향에 위치한 대상물과 각각 접속 가능한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는 기판에 뚫려있는 안착구멍의 둘레에 설치되고, 기판의 상부 측에 위치한 제1대상물과 접속되어 상기 안착구멍 내부를 향해 기판의 위에서 아래로 가동되는 제1접속부를 포함하는 제1접속단자와, 기판의 하부 측에 위치한 제2대상물과 접속되어 상기 안착구멍 내부를 향해 기판의 아래에서 위로 가동되는 제2접속부를 포함하는 제2접속단자가 일체로 이루어져서 제1 및 제2 접속단자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 가동함으로써 하나의 접속단자로 기판의 상부 및 하부 방향에 위치한 대상물과 각각 접속 가능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중 접속단자는 상기 기판의 안착구멍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기판의 안착구멍 둘레에 납땜고정되는 평판 형태의 고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단자는 상기 고정판의 후면에서 일정 곡률을 가지면서 고정판의 아래로 둥글게 절곡되어 상기 개구부의 위쪽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접속단자는 상기 고정판의 후면으로 상기 제1접속단자의 바로 옆에서 일정 곡률을 가지면서 고정판의 아래로 둥굴게 절곡되어 상기 개구부의 아래쪽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접속단자의 각 접속부는 고정판의 개구부를 통해 기판의 안착구멍 내부에서 가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1접속단자는 상기 고정판의 후면에서 고정판의 아래로 둥글게 구부려지는 제1탄성부와, 상기 제1탄성부 끝에서 상기 개구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 끝에서 위로 볼록한 곡선형의 제1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한다.
그리고 상기 제2접속단자는 상기 제1접속단자(10)와 대칭되는 구조로서 상기 제2접속단자는 상기 고정판의 후면에서 고정판의 아래로 둥글게 구부려지는 제2탄성부와, 상기 제2탄성부 끝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 끝에서 아래로 볼록한 곡선형의 제2접속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고정판에서 개구부의 폭을 이루는 안쪽 측면에는 고정판의 아래로 일정 길이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기판의 안착구멍에 끼워지는 가이드부가 각각 마련되어, 이중 접속단자는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기판의 안착구멍에 정위치로 실장되면서 납땜 고정 시에 좌우 유동이 방지됨으로써 납땜 공정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는 기판에 실장되는 설치 높이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하나의 접속단자로 기판의 상부 및 하부 방향에 위치한 대상물과 각각 접속 가능함으로써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전자기기의 두께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의 위쪽에서 바라본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의 아래쪽에서 바라본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의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가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이를 일부 절개한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에서 제1접속단자와 기판의 상부에 위치한 제1대상물과 접속하는 동작을 도시한 동작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에서 제2접속단자와 기판의 하부에 위치한 제2대상물과 접속하는 동작을 도시한 동작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의 위쪽에서 바라본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의 아래쪽에서 바라본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의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가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이를 일부 절개한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에서 제1접속단자와 기판의 상부에 위치한 제1대상물과 접속하는 동작을 도시한 동작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에서 제2접속단자와 기판의 하부에 위치한 제2대상물과 접속하는 동작을 도시한 동작 상태도
본 발명을 상세하기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앞쪽', '뒤쪽', '전면' 및 '후면'의 방향 기준은 접속단자에서 접속부의 끝부분이 향하는 방향을 '앞쪽' 및 '전면'으로 정한 것이며 그 반대 방향을 '뒤쪽' 또는 '후면'으로 정한 것이고, 그리고 접속부가 가동되는 방향인 '상하 방향' 또는 '측 방향'의 기준은 수평 자세로 설치된 기판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는 크게 기판의 상부 측에 놓이는 전자 부품(제1대상물)과 접속하는 제1접속단자(10)와, 기판의 하부 측에 놓이는 전자 부품(제2대상물)과 접속하는 제2접속단자(20)로 구성된다.
이때 제1접속단자(10)와 제2접속단자(20)는 모두 상하 방향으로 가동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동한다.
이러한 제1접속단자(10)와 제2접속단자(20)는 구리합금 또는 금 합금과 같은 전도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진 띠 형상의 판재를 가공하여 일체로 제작된다.
도 5은 상기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가 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을 참조하면 이중 접속단자는 전체로 기판(40)에 형성된 구멍(41, 이하 '안착구멍(41)'이라 함)에 안착되게 고정되고 제1접속단자(10)와 제2접속단자(20)는 이 안착구멍(41) 내부 공간으로 각각 상하 가동하는 구조로 실장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이중 접속단자의 주요 구성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이중 접속단자는 기판의 표면에 고정되는 고정판(30)과, 이 고정판(30)의 후면에서 서로 이웃하게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1접속단자(10)와 제2접속단자(2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30)은 평판 형상으로 안착구멍이 형성된 기판(도 5의 40)의 표면에 납땜 고정된다. 여기서 기판(도 5의 40)에 형성된 안착구멍(도 5의 41)은 기판 두께 전체로 뚫린 직사각형의 개구된 공간으로 제1접속단자(10)와 제2접속단자(20)가 가동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고정판(30)에는 기판(도 5의 40)의 안착구멍(도 5의 41)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절개된 것으로 전면이 터진 개구된 공간으로 이루어진 개구부(31)가 형성된다. 고정판(30)은 개구부(31)를 기판의 안착구멍(도 5의 41)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개구부(31)가 형성되지 않는 다른 부분이 기판(도 5의 40)의 표면에 납땜을 통해 고정된다. 이때, 납땜의 견고성을 위해 고정판의 둘레에는 반원 모양의 필렛(32)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30)에는 이중 접속단자를 기판에 실장 조립하는 SMD 공정 시에 이중 접속단자가 기판의 안착구멍(도 5의 41)의 정위치로 안착될 수 있는 위치결정 수단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판(30)의 개구부(31)에서 개구부(31)의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안쪽 측면에는 개구부(31)의 길이 방향 전체로 아래쪽으로 일정 길이 수직으로 절곡되는 가이드부(33)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SMD 공정 시에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33)가 기판의 안착구멍(도 5의 41)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이중 접속단자 전체가 안착구멍(도 5의 41)의 정위치에 손쉽게 안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33)가 기판의 안착구멍(도 5의 40)의 좌우 내측 면에 각각 걸림으로써 이중 접속단자가 기판의 안착구멍(도 5의 40)에 안착된 상태에서 좌우로의 유동이 방지되어 납땜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접속단자(10)와 제2접속단자(20)는 고정판(30)의 개구부(31)를 통해 기판의 안착구멍(도 5의 41) 내부로 가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1접속단자(10)와 제2접속단자(20)는 각각 탄성부(12)(22), 연장부(13)(23) 및 접속부(14)(24)를 기본 구성으로 하는 대칭을 이루는 한 쌍으로 상기 고정판(30)의 후면에서 절곡되어 서로 양 옆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구조이다.
먼저, 제1접속단자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1접속단자는 제1탄성부(12), 제1연장부(13) 및 제1접속부(14)를 포함한다.
상기 제1탄성부(12)는 고정판(30)의 후면에서 일정 곡률 반경을 가지면서 아래로 둥글게 구부러진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 형태를 이루면서 제1접속부(14)에 제1대상물이 접속 시에 제1접속부(14)에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며 탄성 변형되는 부분으로 접점 해제 시 제1접속부(14)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연장부(13)는 제1탄성부(12)의 끝에서 고정판(30)의 개구부(31)를 향해 상향 경상지게 연장된다.
상기 제1접속부(15)는 고정판(30)의 개구부(31) 위에 위치하면서 기판 위에 놓인 제1대상물과 직접 접속하는 부분으로, 제1연장부(13) 끝에서 일정 곡률을 가지면서 상향(고정판(30)과 멀어지는 방향) 경사지다가 상단이 위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다시 하향(고정판(30)과 가까워지는 방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 형태를 이룬다.
상기 제1접속부(14)의 볼록한 면에는 제1대상물과 충분한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을 가지면서 평탄한 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엠보싱(14a)이 형성된다.
정리하면, 제1접속단자(10)는 고정판(30)의 후면에서 아래로 둥글게 구부려지는 제1탄성부(12)와, 이 제1탄성부(12) 끝에서 개구부(31)를 향해 상향 경상지게 연장되는 제1연장부(13)와, 이 제1연장부(13) 끝에서 위로 볼록한 반타원형의 제1접속부(14)가 고정판(30)의 개구부(31) 위에 위치하는 구조를 갖는다.
다음으로 제2접속단자를 설명하면, 제2접속단자(20) 역시 제2탄성부(22), 제2연장부(23) 및 제2접속부(24)를 포함한다.
상기 제2탄성부(22)는 고정판(30)의 후면으로 제1탄성부(12)의 바로 옆에서 일정 곡률 반경을 가지면서 아래로 둥글게 구부러진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 형태를 이룬다. 제2탄성부(22)는 제2접속부(24)에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며 탄성 변형되는 부분으로 접점 해제 시 제2접속부(24)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연장부(23)는 제2탄성부(22)의 끝에서 상기 고정판(30)과 상하 마주보게 수평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평판 형상이다.
상기 제2접속부(24)는 기판 아래에 놓인 제2대상물과 직접 접속하는 부분으로, 제2연장부(23) 끝에서 일정 곡률을 가지면서 하향(고정판(30)과 멀어지는 방향) 경사지다가 상단이 아래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다시 상향(고정판(30)과 가까워지는 방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 형태를 이룬다.
상기 제2접속부(24)의 볼록한 면에는 제2대상물과 충분한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을 가지면서 평탄한 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엠보싱(24a)이 형성된다.
정리하면, 제2접속단자(20)는 고정판(30)의 후면에서 아래로 둥글게 구부려지는 제2탄성부(22)와, 이 제2탄성부(22) 끝에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연장부(23)와, 제2연장부(23) 끝에서 아래로 볼록한 반타원형의 제2접속부(24)가 고정판(30)의 개구부(31) 아래에 위치하는 구조로 제1접속단자(10)의 바로 옆에서 제1접속단자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중 접속단자의 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이중 접속단자는 고정판(30)의 개구부(31)가 기판(40)의 안착구멍(41)에 위치되게 실장된다. 이때 이중 접속단자는 개구부(31)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부(33)가 기판(40)의 안착구멍(41)에 삽입되어 안착구멍(41)의 내측 면에 걸리면서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고 좌우 유동이 방지된다.
여기서 제1접속단자(10)와 제2접속단자(20)는 모두 기판(40)의 안착구멍(41)의 내부에서 대칭을 이루면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양 옆에 나란하게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접속단자(10)의 제1접속부(14)는 기판(40)의 윗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판(40)의 안착구멍(41)의 위쪽에 위치되고, 제2접속단자(20)의 제2접속부(24)는 기판(40)의 아랫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판(400의 안착구멍(41)의 아래쪽에 위치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접속단자의 동작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에서 제1접속단자와 기판의 상부에 위치한 제1대상물과 접속하는 동작을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고, 도 7은 제2접속단자와 기판의 하부에 위치한 제2대상물과 접속하는 동작을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중 접속단자는 고정판(30)을 통해 기판(40)의 안착구멍(41)에 안착되게 실장되고, 상기 제1접속단자(10)는 기판의 위쪽에 위치한 제1대상물의 접속이 가해지면 기판(40)의 위에서 아랫방향(기판(4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동하고 제1대상물의 접속이 해제되면 기판(40)의 아래에서 윗방향(기판(4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제1접속단자(10)는 기판(40)의 안착구멍(41) 내부에서 상하 가동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접속단자(20)는 기판(40)의 아래쪽에 위치한 제2대상물의 접속이 가해지면 기판(40)의 아래에서 위쪽 방향(기판(4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동하고 제2대상물의 접속이 해제되면 기판(40)의 위에서 아래 방향(기판(4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제2접속단자(20) 역시 제1접속단자(10)와 마찬가지로 기판(40)의 안착구멍(41) 내부에서 상하 가동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접속단자는 기판의 상하 방향에 위치한 대상물과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이중 접속단자를 이루는 제1 및 제2 접속단자가 기판의 안착구멍의 내부에서 가동하면서 대상물들과 접속이 이루어짐으로써 기판에 실장되는 접속단자의 설치 높이를 크게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전자기기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10 : 제1접속단자 12 : 제1탄성부
13 : 제1연장부 14 : 제1접속부
20 : 제2접속단자 22 : 제2탄성부
23 : 제2연장부 24 : 제2접속부
30 : 고정판 31 : 절개부
32 : 필렛 33 : 가이드부
40 : 기판 41 : 안착구멍
13 : 제1연장부 14 : 제1접속부
20 : 제2접속단자 22 : 제2탄성부
23 : 제2연장부 24 : 제2접속부
30 : 고정판 31 : 절개부
32 : 필렛 33 : 가이드부
40 : 기판 41 : 안착구멍
Claims (6)
- 기판에 뚫려있는 안착구멍의 둘레에 설치되는 것으로,
기판의 상부 측에 위치한 제1대상물과 접속되어 상기 안착구멍 내부를 향해 기판의 위에서 아래로 가동되는 제1접속부(14)를 포함하는 제1접속단자(10)와,
기판의 하부 측에 위치한 제2대상물과 접속되어 상기 안착구멍 내부를 향해 기판의 아래에서 위로 가동되는 제2접속부(24)를 포함하는 제2접속단자(20)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중 접속단자는 상기 기판의 안착구멍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개구된 개구부(31)가 형성되어 상기 기판의 안착구멍 둘레에 납땜고정되는 평판 형태의 고정판(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단자(10)는 상기 고정판(30)의 후면에서 일정 곡률을 가지면서 고정판(30)의 아래로 둥글게 절곡되어 상기 개구부(31)의 위쪽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접속단자(20)는 상기 고정판(30)의 후면으로 상기 제1접속단자(10)의 바로 옆에서 일정 곡률을 가지면서 고정판(30)의 아래로 둥굴게 절곡되어 상기 개구부(31)의 아래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단자(10)는 상기 고정판(30)의 후면에서 고정판(30)의 아래로 둥글게 구부려지는 제1탄성부(12)와, 상기 제1탄성부(12) 끝에서 상기 개구부(31)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연장부(13)와, 상기 제1연장부(13) 끝에서 위로 볼록한 곡선형의 제1접속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단자(20)는 상기 제1접속단자(10)와 대칭되는 구조로 제1접속단자(10)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단자(20)는 상기 고정판(30)의 후면에서 고정판(30)의 아래로 둥글게 구부려지는 제2탄성부(22)와, 상기 제2탄성부(22) 끝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연장부(23)와, 상기 제2연장부(23) 끝에서 아래로 볼록한 곡선형의 제2접속부(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
-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30)에서 개구부(31)의 폭을 이루는 안쪽 측면에는 고정판(30)의 아래로 일정 길이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기판의 안착구멍에 끼워지는 가이드부(33)가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6606A KR20150095371A (ko) | 2014-02-13 | 2014-02-13 |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6606A KR20150095371A (ko) | 2014-02-13 | 2014-02-13 |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95371A true KR20150095371A (ko) | 2015-08-21 |
Family
ID=54058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16606A KR20150095371A (ko) | 2014-02-13 | 2014-02-13 |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95371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19023A (ko) * | 2018-08-13 | 2020-02-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중 접속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KR102273712B1 (ko) * | 2020-04-03 | 2021-07-06 | 주식회사 길온 | 스마트 인솔용 지지 레이어 |
-
2014
- 2014-02-13 KR KR1020140016606A patent/KR20150095371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19023A (ko) * | 2018-08-13 | 2020-02-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중 접속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KR102273712B1 (ko) * | 2020-04-03 | 2021-07-06 | 주식회사 길온 | 스마트 인솔용 지지 레이어 |
WO2021201359A1 (ko) * | 2020-04-03 | 2021-10-07 | 주식회사 길온 | 스마트 인솔용 지지 레이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21191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US7131875B2 (en) |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or | |
KR101680191B1 (ko) | 커넥터 | |
KR101088215B1 (ko) | 하우징 일체형 컨텍터 | |
US9379466B2 (en) | Connector | |
US8821192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e a grounding terminal with a tongue for improving mechanical stability | |
US8469747B2 (en) | Card connector | |
US10381776B2 (en) | Connector assembly with an improved latch member having a shorter length | |
US7556534B1 (en) | Dual-card connector | |
US7387536B2 (en) | Electronic part-mounting socket | |
US20120252276A1 (en) |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contacts having shared soldering tail | |
JP2013222579A (ja) | コネクタ | |
KR101372079B1 (ko) | Pcb 컷 타입 접속장치 | |
US7559777B2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electrically an antenna module to a grounding plate | |
KR101572971B1 (ko) |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 |
US20090017701A1 (en) | Battery connector | |
KR20150095371A (ko) |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 | |
JP3142833U (ja) | カード用コネクタ | |
KR20160110074A (ko) | 접속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모듈 | |
KR101433217B1 (ko) | Pcb 컷 타입 접속장치 | |
KR20150024760A (ko) | Pcb 컷 타입 접속장치 | |
US8449307B2 (en) | Socket connector having contact with multiple beams jointly grasping ball of IC package | |
KR101443526B1 (ko) | 표면 실장용 접속장치 | |
KR20150089257A (ko) | 측방향 변형방지를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 |
TWI514682B (zh) | 電連接器及其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