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139B1 -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접속단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7139B1 KR101697139B1 KR1020140109671A KR20140109671A KR101697139B1 KR 101697139 B1 KR101697139 B1 KR 101697139B1 KR 1020140109671 A KR1020140109671 A KR 1020140109671A KR 20140109671 A KR20140109671 A KR 20140109671A KR 101697139 B1 KR101697139 B1 KR 1016971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ece
- body portion
- stress
- connection
- exten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과정 및 사용 중 외력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하고, 낮은 높이에서도 넓은 가동범위를 구현하여 초박형으로 제조될 수 있는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일단에서 연장되되, 수직 방향으로 외력 발생 시 그 단부가 승강 및 전,후진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타단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접속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 양 측면에서 각각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의 전, 후진 및 승강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접속부의 단부 양 단이 관통되되, 상기 접속부의 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몸체부의 일단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된 계지홈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 과정 및 사용 중 외력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하고, 낮은 높이에서도 넓은 가동범위를 구현하여 초박형으로 제조될 수 있는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속단자는 안테나, 배터리 등 피접속체가 접촉·이탈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을 단속케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최근 널리 보급되어 대중화된 개인휴대용 단말기 등에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개인휴대용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스마트폰(Smart Phone), 타블릿피씨(Tablet PC), 및 팜피씨(Palm PC) 등과 같은 휴대 가능한 개인용 단말기(전자 또는 통신기기)를 의미하며, 휴대가 편리하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최근 개인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이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휴대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을 정도로 저변화되었다.
초기 개인휴대용 단말기가 단순히 통화를 위한 음성 서비스 및 음악파일 재생 정도의 기능만을 제공했던 것과 달리, 최근에는 라디오 청취, 실시간 TV 시청, 고속 데이터 통신 및 카메라 기능까지 제공할 수 있는 구조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개인휴대용 단말기 내부에 상대방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장치 및 다수의 기타 장치가 장착되어야 한다.
이에,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다수의 장치들이 개인휴대용 단말기 내부에 설치되기 위한 실장 면적은 증가하는 반면, 개인휴대용 단말기는 경량화 초 박형화됨에 따라, 이러한 장치들을 실장하기 위한 공간은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종래 상대방의 송신한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 장치는 휩 안테나(WHIP ANTENNA) 및 헬리컬 안테나(HELICAL ANTENNA)의 형태가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돌출형 안테나 장치는 디자인이 미려하지 못하고, 다른 사물과의 간섭 등으로 인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개인휴대용 단말기 내부에 장착된 상태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테나(INTENNA) 장치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안테나 장치 및 다수의 기타 장치들을 개인휴대용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PCB)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접속단자를 사용되며, 개인휴대용 단말기의 경량화 초박형화로 구현하기 위해 초박형의 접속단자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 접속단자에 대해서는 "휴대폰용 접속단자(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2314호)", "안테나 접속장치(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1673호)" 및 "콘택트 부재 및 그 제조방법(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062144호)" 등에서 구체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접속단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접속단자는 강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마름질 한 후 수회 절곡시켜 제조되며, 인쇄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고정부와 고정부 일단에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탄성부와 탄성부 상단에서 만곡지게 돌출된 접속부 및 개인용 휴대단말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로 구성된다.
이에, 돌출된 접속부에 안테나 또는 배터리 등의 장치와 접촉되면, 접속부는 하강되고 탄성부의 절곡부가 스프링 역할을 하여 접속부가 탄성력을 유지하면서 장치와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접속단자는 접속부가 수직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여 장치와 인쇄회로기판을 연결 또는 분리시키기 때문에, 그 두께 및 높이가 일정 값 이상으로 형성되어 초박형으로 형성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접속부의 일단이 노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제조 공정 중 작업자의 장갑 또는 소매의 올이 접속부에 끼인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면, 접속단자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접속단자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이후, 접속단자에 외력이 가해지면 접속단자가 변형 또는 파손되거나, 인쇄회로 및 기판을 손상시켜 제조되는 제품의 불량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개인휴대용 단말기의 리어 케이스에 순간적으로 충격이 가해져 리어 케이스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부에 소성변형을 발생시키거나, 변형된 지지부에 접속부가 끼어 탄성력이 상실되어, 피접속체의 접속을 불안정하게 하거나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낮은 높이에서도 넓은 가동범위를 구현하여 초박형으로 생산 가능한 접속단자를 제공한다.
또한, 제조 공정 또는 실장 공정 중 외력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한 접속단자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 중 피접속체의 가압 또는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접속단자를 제공한다.
또한, 탄성 지지력을 향상시켜 피접속체의 접속을 안정화하고, 수명이 향상된 접속단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접속단자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일단에서 연장되되, 수직 방향으로 외력 발생 시 그 단부가 승강 및 전,후진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타단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접속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 양 측면에서 각각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의 전, 후진 및 승강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접속부의 단부 양 단이 관통되되, 상기 접속부의 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몸체부의 일단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된 계지홈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한다.
삭제
상기 계지홈은 상기 몸체부의 일단 방향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는,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의 일단에서 만곡지게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접속부에 연결된 탄성편;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편은 수직 방향으로 외력 발생시 응력을 분산시키도록 그 중심에 제1 응력 분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속단자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일단에서 연장되되, 수직 방향으로 외력 발생 시 그 단부가 승강 및 전,후진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타단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접속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 양 측면에서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일단에서 만곡지게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접속부에 연결된 탄성편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편은 수직 방향으로 외력 발생 시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그 중심에 상소하대 형상의 제1응력 분산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 응력 분산공의 상부 양단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응력 분산공의 상부 중심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1 응력 분산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접속단자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일단에서 연장되되, 수직 방향으로 외력 발생 시 그 단부가 승강 및 전,후진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타단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접속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 양 측면에서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일단에서 만곡지게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접속부에 연결된 탄성편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편은 수직 방향으로 외력 발생 시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그 중심에 상소하대 형상의 제1응력 분산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 응력 분산공의 상부 양단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응력 분산공의 상부 중심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1 응력 분산돌기를 포함한다.
삭제
상기 접속부는, 상기 탄성편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연장편; 상기 연장편의 단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1 접속편; 및 상기 제1 접속편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2 접속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1 접속편 및 제2 접속편에 걸쳐 돌출 형성된 접속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속단자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일단에서 연장되되, 수직 방향으로 외력 발생 시 그 단부가 승강 및 전,후진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타단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접속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 양 측면에서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일단에서 만곡지게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접속부에 연결된 탄성편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는 상기 탄성편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연장편과, 상기 연장편의 단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접속편과, 상기 제1접속편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2접속편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접속편은, 수직 방향으로 외력 발생시 응력을 분산시키도록 그 중심에 사각형상의 제2 응력 분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응력 분산공의 상부 양단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응력 분산공의 상부 중심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2 응력 분산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접속단자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일단에서 연장되되, 수직 방향으로 외력 발생 시 그 단부가 승강 및 전,후진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타단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접속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 양 측면에서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일단에서 만곡지게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접속부에 연결된 탄성편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는 상기 탄성편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연장편과, 상기 연장편의 단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접속편과, 상기 제1접속편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2접속편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접속편은, 수직 방향으로 외력 발생시 응력을 분산시키도록 그 중심에 사각형상의 제2 응력 분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응력 분산공의 상부 양단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응력 분산공의 상부 중심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2 응력 분산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2 접속편의 전,후진 및 승강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접속편 단부에 결합된 제1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 측면에 결합된 한 쌍의 측면 보호판; 및 상기 제2 접속편의 전방을 감싸 수평 방향으로 외력 발생시 변형이 방지될 수 있도록, 각각의 측면 보호판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전면 보호판;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측면 보호판에는 상기 계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토퍼의 양단은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상기 계지홈을 관통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편에는 상기 접속부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전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응력 분사공 하부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그 일단이 길이방향으로 상기 전개홈의 일측에 인접하게 상기 고정편에 결합되어 수직방향 외력 발생시 상기 제2 응력 분산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접속편에 접촉되어 상기 접속부의 하강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는, 상기 제2 스토퍼의 타단에서 상기 전개홈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편;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편은 그 끝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부를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접속부에 피접속체가 접속시 접속부가 승강 및 전,후진 가능한 넓은 가동범위를 구현함으로써, 접속단자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부가 접속부의 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접속단자에 상부 또는 측면에 비이상적인 외력이 발생되더라도 접속부가 지지 보호함으로써, 접속부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제조 공정 또는 실장 공정 중 외력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하여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 과정에서 접속부에 외부 충격 또는 피접속체의 가압 등 수직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편 및 제2 접속편의 응력을 분산시켜 탄성한계를 초과하여 소성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접속단자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속부의 하강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의 일단을 자유단으로 형성함으로써, 제2 스토퍼의 위치, 높이 및 형상 수정이 용이하며, 접속단자의 상부에 비이상적인 외력이 발생시 하중을 분산시켜 접속단자에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접속단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배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배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는 몸체부(100)와 접속부(200) 및 지지부(300)를 포함하며, 접속부(200)의 단부가 승강 및 전,후진 가능하도록 접속부(200)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넓은 가동범위를 구현하고, 접속단자의 높이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300)가 접속부(200)에 수평방향으로 외력 발생시 접속부(200)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직방향으로 비이상적인 외력 발생시 접속부(2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 저항력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피접속체 접속 등으로 몸체부(100) 및 접속부(20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00)는 기판에 실장되어 접속부(200)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편(110)과 고정편(110)의 일단에서 만곡지게 연장되어 접속부(200)에 연결되는 탄성편(120)을 포함한다.
고정편(110)은 평판형태로 형성되며, 납땜 등의 방법으로 그 일면이 기판에 고정되며, 이때, 고정편(110)과 기판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속부(2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편(120)에는 그 중심에 상소하대 형상을 갖는 제1 응력 분산공(1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피접속체가 접속부(200)를 가압하여 탄성편(120)이 변형시 탄성편(120)의 중심에 집중되는 응력을 탄성체의 양 측으로 분산시킴으로써, 탄성편(120)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배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편(120)은 제1 응력 분산공(121)의 상부 중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응력 분산돌기(122)를 더 포함하며, 제1 응력 분산돌기(122)의 상부 양측은 원형으로 모따기된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탄성편(120) 동작시 제1 응력 분산공(121)의 상부 양측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탄성편(120)이 제1 응력 분산공(121)의 상부 양측에서 찢김 등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접속부(200)는 피접속체가 기판에 접속될 수 있도록 피접속체와 접촉되는 부분으로, 연장편(210), 제1 접속편(220) 및 제2 접속편(230)을 포함한다.
연장편(210)은 탄성편(120)의 단부에서 몸체부(100)와 평행하게 수평으로 연장되며, 제1 접속편(220)은 연장편(210)의 단부에서 몸체부(100)의 타단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제2 접속편(230)은 제1 접속편(220)과 평행하게 제1 접속편(220)의 단부에서 몸체부(100) 일단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때, 제1 접속편(220)과 제2 접속편(230)은 그 연결부위가 상방으로 돌출되면서 탄성력을 갖도록 만곡지게 절곡되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제1 접속편(220)과 제2 접속편(230)의 연결부위는 피접속체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접속부(200)는 제1 접속편(220)과 제2 접속편(230)의 돌출된 연결부위에 피접속체와 접촉되는 접속돌기(240)가 제1 접속편(220)과 제2 접속편(230)의 상면에 걸쳐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피접속체가 하강함에 따라 돌출된 접속돌기(240)가 먼저 피접속체에 접촉되어 피접속체를 접속시킴으로써, 피접속체의 접속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정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접속편(230)에는 수직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그 중심에 사각형상의 제2 응력 분산공(231)이 형성되며, 제2 응력 분산공(231)의 상부 양단의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제2 응력 분산공(231)의 중심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2 응력 분산돌기(23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제1 응력 분산공(121) 및 제1 응력 분산돌기(12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응력 분산돌기(232)는 제1 접속편(220)과 제2 접속편(230)의 돌출된 연결부위 변형시 중심에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탄성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2 응력 분산공(231)의 상부 양측에서 찢김 등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접속부(200)는 제2 접속편(230)의 승강 및 전,후진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제2 접속편(230)의 단부에 제2 접속편(23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제1 스토퍼(250)를 더 포함하며, 그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300)는 접속단자의 수직방향으로 예기치 않은 충격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부(100)의 측면에 결합된 한 쌍의 측면 보호판(310)과 각각의 측면 보호판(310)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제2 접속편(230)의 전방을 감싸는 전면 보호판(32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접속단자의 평면방향으로 예기치 않은 충격 또는 제2 접속편(230)의 전면 또는 측면 방향으로 외력 발생시 접속부(200)에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각각의 측면 보호판(310)에는 제2 접속편(230)의 승강 및 전,후진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제1 스토퍼(250)의 양단이 관통되는 계지홈(311)을 더 포함하고, 제1 스토퍼(250)의 양단이 고정편(110)의 양 측면에서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한 쌍의 측면 보호판(310)의 계지홈(311)을 각각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제1 스토퍼(250)가 계지홈(311) 내에서 이동함에 따라, 제2 접속편(230)의 승강 및 전,후진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계지홈(311)은 접속돌기(240)의 중심을 기준으로 탄성편(120)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되며, 탄성편(120) 방향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편(110)에는 접속부(200)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사각 형상의 전개홈(111)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는 접속부(200)의 하강 이동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40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전개홈(111)은 고정편(110)의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스토퍼(400)는 제2 응력 분산공(231) 하부에 위치되면서, 전개홈(111)의 일측에 인접하여 고정편(110)의 평면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에, 접속부(200) 하강시 제2 스토퍼(400)가 제2 응력 분산공(231)을 관통하여 제1 접속편(220)의 저면에 접촉함에 따라, 접속부(200)의 하강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2 스토퍼(400)의 타단에는 전개홈(111)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접속부(200) 하강시 고정편(110)의 평면 또는 기판에 접촉되어 수직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편(410)을 더 포함한다.
제2 스토퍼(400)는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지지편(410)의 끝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접속단자에 수직방향으로 비이상적인 외력 발생시 자유단으로 형성된 지지편(410)이 전개홈(111)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외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접속부(200) 및 제2 스토퍼(4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스토퍼(400)는 고정편(110)의 길이에 제한되지 않고 일측이 고정편(110)에 연결되는 구조로 그 위치, 높이 및 그 형상 등을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는 피접속체가 접속돌기(240)를 가압하면, 제1 접속편(220)과 제2 접속편(230)이 측면 보호판(310)에 형성된 계지홈(311)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스토퍼(250)에 의하여 탄성편(120) 방향으로 안내되면서 하강된다.
즉, 1차 하강은 제1 스토퍼(250)가 고정편의 평면(100)에 접촉될 때까지 사선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하강된다.
이때, 접속부(200) 1차 하강 이후, 제2 접속편(230)이 고정편(110)의 평면에 접촉되면 제1 스토퍼(250) 즉, 제2 접속편(230)의 단부가 고정편(110)의 평면을 따라 고정편(110)의 일단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접속부(200)의 2차 하강이 추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접속부(200)의 2차 하강은, 만곡지게 절곡된 제1 접속편(220)과 제2 접속편(230)이 구부러지면서 접속부(200)에 수직 방향으로 인가되는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제1 접속편(220) 및 제2 접속편(230)은 2차 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2차 하강시, 제2 접속편(230)의 단부에 결합된 제1 스토퍼(250)는 상기 계지홈(311)의 경사면에 의하여 필요 이상으로 상승되지 않으면서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제2 접속편(230)이 고정편의 평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접속편이 하강함에 따라, 고정편(110)의 평면에서 돌출되어 설치된 제2 스토퍼(400)가 제2 접속편(230)에 형성된 제2 응력 분산공(231)을 관통하여 제1 접속편(220)의 저면에 접속됨으로써, 제1 접속편(220) 및 제2 접속편(230)의 하강을 제한하고 피접속체의 접속이 완료된다.
또한, 피접속체의 해제는 역순으로 진행되며 제1 스토퍼(250) 및 계지홈(311)에 의하여 접속부(200)의 승강 및 전,후진 이동이 제한되면서, 피접속체의 접속이 해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몸체부 110: 고정편
111: 전개홈 120: 탄성편
121: 제1 응력 분산공 122: 제1 응력 분산돌기
200: 접속부 210: 연장편
220: 제1 접속편 230: 제2 접속편
231: 제2 응력 분산공 232: 제2 응력 분산돌기
240: 접속돌기 250: 제1 스토퍼
300: 지지부 310: 측면 보호판
311: 계지홈 320: 전면 보호판
400: 제2 스토퍼 410: 지지편
111: 전개홈 120: 탄성편
121: 제1 응력 분산공 122: 제1 응력 분산돌기
200: 접속부 210: 연장편
220: 제1 접속편 230: 제2 접속편
231: 제2 응력 분산공 232: 제2 응력 분산돌기
240: 접속돌기 250: 제1 스토퍼
300: 지지부 310: 측면 보호판
311: 계지홈 320: 전면 보호판
400: 제2 스토퍼 410: 지지편
Claims (12)
- 몸체부;
상기 몸체부 일단에서 연장되되, 수직 방향으로 외력 발생 시 그 단부가 승강 및 전,후진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타단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접속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 양 측면에서 각각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의 전, 후진 및 승강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접속부의 단부 양 단이 관통되되, 상기 접속부의 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몸체부의 일단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된 계지홈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접속단자.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지홈은 상기 몸체부의 일단 방향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의 일단에서 만곡지게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접속부에 연결된 탄성편;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편은 수직 방향으로 외력 발생시 응력을 분산시키도록 그 중심에 제1 응력 분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 몸체부;
상기 몸체부 일단에서 연장되되, 수직 방향으로 외력 발생 시 그 단부가 승강 및 전,후진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타단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접속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 양 측면에서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일단에서 만곡지게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접속부에 연결된 탄성편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편은 수직 방향으로 외력 발생 시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그 중심에 상소하대 형상의 제1응력 분산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 응력 분산공의 상부 양단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응력 분산공의 상부 중심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1 응력 분산돌기를 포함하는, 접속단자.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탄성편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연장편;
상기 연장편의 단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1 접속편; 및
상기 제1 접속편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2 접속편;을 포함하는, 접속단자.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1 접속편 및 제2 접속편에 걸쳐 돌출 형성된 접속돌기;를 더 포함하는, 접속단자.
- 몸체부;
상기 몸체부 일단에서 연장되되, 수직 방향으로 외력 발생 시 그 단부가 승강 및 전,후진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타단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접속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 양 측면에서 각각 상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일단에서 만곡지게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접속부에 연결된 탄성편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는 상기 탄성편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연장편과, 상기 연장편의 단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접속편과, 상기 제1접속편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2접속편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접속편은, 수직 방향으로 외력 발생시 응력을 분산시키도록 그 중심에 사각형상의 제2 응력 분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응력 분산공의 상부 양단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응력 분산공의 상부 중심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2 응력 분산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2 접속편의 전,후진 및 승강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접속편 단부에 결합된 제1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접속단자.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 측면에 결합된 한 쌍의 측면 보호판; 및
상기 제2 접속편의 전방을 감싸 수평 방향으로 외력 발생시 변형이 방지될 수 있도록, 각각의 측면 보호판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전면 보호판;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측면 보호판에는 상기 계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토퍼의 양단은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상기 계지홈을 관통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에는 상기 접속부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전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응력 분사공 하부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그 일단이 길이방향으로 상기 전개홈의 일측에 인접하게 상기 고정편에 결합되어 수직방향 외력 발생시 상기 제2 응력 분산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접속편에 접촉되어 상기 접속부의 하강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접속단자.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토퍼의 타단에서 상기 전개홈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편은 그 끝단이 자유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9671A KR101697139B1 (ko) | 2014-08-22 | 2014-08-22 | 접속단자 |
CN201910464350.6A CN110148853A (zh) | 2014-08-22 | 2015-05-08 | 连接端子 |
CN201510233253.8A CN106207565B (zh) | 2014-08-22 | 2015-05-08 | 连接端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9671A KR101697139B1 (ko) | 2014-08-22 | 2014-08-22 | 접속단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3366A KR20160023366A (ko) | 2016-03-03 |
KR101697139B1 true KR101697139B1 (ko) | 2017-01-17 |
Family
ID=55535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9671A KR101697139B1 (ko) | 2014-08-22 | 2014-08-22 | 접속단자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7139B1 (ko) |
CN (2) | CN110148853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681312B (zh) * | 2017-09-21 | 2020-08-21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连接结构、发声组件、移动终端、电子装置和电路板组件 |
KR102113701B1 (ko) * | 2019-01-25 | 2020-05-20 |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 커넥팅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접속 구조 |
CN114590216A (zh) * | 2021-09-17 | 2022-06-07 | 神通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提高前保下延伸件总成合格率的结构及安装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838208Y (zh) | 2005-10-12 | 2006-11-15 | 洪进富 | 封闭式弹片 |
CN203339362U (zh) | 2013-05-27 | 2013-12-11 | 竣腾有限公司 | 连接器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06177A (en) * | 1993-02-09 | 1994-04-26 | Molex Incorporated |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tion system for input-output electrical connector |
TW354197U (en) * | 1997-09-04 | 1999-03-01 | Hon Hai Prec Ind Co Ltd | Battery connector |
JP2899585B1 (ja) * | 1998-03-18 | 1999-06-02 |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 コネクタの端子構造 |
US6276941B1 (en) * | 2000-02-22 | 2001-08-21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Board to board connector |
TWM321614U (en) * | 2007-03-19 | 2007-11-0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tact |
CN201285982Y (zh) * | 2008-09-09 | 2009-08-05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池连接器 |
CN201392928Y (zh) * | 2009-04-07 | 2010-01-27 | 华晶科技股份有限公司 | 电池弹片及具有该电池弹片的电子装置 |
CN201639002U (zh) * | 2009-12-23 | 2010-11-17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及其端子 |
KR101001673B1 (ko) | 2010-04-05 | 2010-12-15 | 박진우 | 안테나 접속장치 |
KR101139489B1 (ko) | 2010-09-02 | 2012-05-02 | 에더트로닉스코리아 (주) | 휴대폰용 접속단자 |
CN202103192U (zh) * | 2011-01-12 | 2012-01-04 |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 接触端子 |
CN202103191U (zh) * | 2011-01-12 | 2012-01-04 |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 接触端子 |
JP5799697B2 (ja) | 2011-09-13 | 2015-10-28 | 第一精工株式会社 | コンタクト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CN202759059U (zh) * | 2012-08-08 | 2013-02-27 | 陈惟诚 | 具有双止高限位段的表面安装金属弹片 |
CN102938512A (zh) * | 2012-10-29 | 2013-02-20 | 深圳市信维通信股份有限公司 | 抗冲击式双通路连接器 |
CN103972675A (zh) * | 2014-04-09 | 2014-08-06 |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 天线连接器端子 |
-
2014
- 2014-08-22 KR KR1020140109671A patent/KR10169713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
- 2015-05-08 CN CN201910464350.6A patent/CN110148853A/zh active Pending
- 2015-05-08 CN CN201510233253.8A patent/CN106207565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838208Y (zh) | 2005-10-12 | 2006-11-15 | 洪进富 | 封闭式弹片 |
CN203339362U (zh) | 2013-05-27 | 2013-12-11 | 竣腾有限公司 | 连接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0148853A (zh) | 2019-08-20 |
KR20160023366A (ko) | 2016-03-03 |
CN106207565A (zh) | 2016-12-07 |
CN106207565B (zh) | 2019-08-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54829B1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assembly | |
US7390196B2 (en) | Connector, and portable terminal equipment including the connector | |
US8282430B2 (en) | Electrical contact | |
US8043098B2 (en) | Electronic device with EMI shield spring device | |
US20110045681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1697139B1 (ko) | 접속단자 | |
KR101045484B1 (ko) | 컨텍터 | |
EP2701239B1 (en) | Connection structure with usb interface and data card | |
US7625221B1 (en) | Elastic contact | |
KR20130004431U (ko) | 모바일 기기 케이스 | |
US8628340B2 (en) | Connector mounted vertically through a hole in a printed circuit board | |
KR101372079B1 (ko) | Pcb 컷 타입 접속장치 | |
KR101572971B1 (ko) |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 |
KR101397284B1 (ko) |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되는 컨텍트와 그 결합구조 | |
JP2006115144A (ja) | スライド式電子機器 | |
KR101433217B1 (ko) | Pcb 컷 타입 접속장치 | |
KR20150024760A (ko) | Pcb 컷 타입 접속장치 | |
US8077451B2 (en) | Surface contact card retention assembly | |
KR101566365B1 (ko) | 접속단자 | |
KR101370175B1 (ko) | 표면 실장용 접속장치 | |
US20140055966A1 (en) | Positioning structure for audio video jack | |
CN108565578B (zh) | 一种电路板组件及电子装置 | |
KR101443525B1 (ko) | 표면 실장용 접속장치 | |
KR101453678B1 (ko) | 표면 실장용 접속장치 | |
US9343857B2 (en) | Ja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