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805B1 - 재봉기의 봉제틀 및 봉제틀 구동 기구 - Google Patents

재봉기의 봉제틀 및 봉제틀 구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805B1
KR101410805B1 KR1020070042565A KR20070042565A KR101410805B1 KR 101410805 B1 KR101410805 B1 KR 101410805B1 KR 1020070042565 A KR1020070042565 A KR 1020070042565A KR 20070042565 A KR20070042565 A KR 20070042565A KR 101410805 B1 KR101410805 B1 KR 101410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wing
sewing machine
cloth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7605A (ko
Inventor
아키라 나카츠
게이스케 가스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바루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28179A external-priority patent/JP50083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28178A external-priority patent/JP51018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29707A external-priority patent/JP497536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30901A external-priority patent/JP497536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30862A external-priority patent/JP498135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28854A external-priority patent/JP521938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28859A external-priority patent/JP500841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바루단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바루단
Publication of KR20070107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2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05C9/04Work holders, e.g. frames
    • D05C9/06Feeding arrangements therefor, e.g. influenced by patterns, operated by pantograph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9/00Workpiece carri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2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05C9/04Work holders, e.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봉제틀의 전단을 하방으로 잘 처지지 않게 한다.
피봉제물을 펼쳐 유지하는 봉제틀(8, 68)은, 그 전후 양단에 장방형 틀 형태의 지지틀(11)의 전후 틀변부(11b, 11a)에 각각 좌우로 변위 가능(회전 포함)하게 지지되는 피지지부로서 예를 들어 축봉(8b)과 결합부(8a)를 구비하고 있다. 봉제틀 구동 기구(10)는 전후로는 변위하지만 좌우로는 변위하지 않는 지지틀(11)의 전후 틀변부(11b, 11a)에 봉제틀(8)의 전후 양단을 좌우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기구(12, 17)를 구비하고 있다. 봉제틀 구동 기구(10)는 테이블(6)의 오목부(6h)의 좌우에 위치하는 좌우 돌출부(33)와, 이 좌우 돌출부(33) 상에 전후로 변위 가능하게 재치된 지지틀(11)의 좌우 틀변부(11c, 11d)로 이루어지는 앞처짐 방지 기구(32)를 구비하고 있다.
Figure R1020070042565
봉제틀, 재봉기, 앞처짐 방지 기구, 피지지부, 봉제틀 구동 기구

Description

재봉기의 봉제틀 및 봉제틀 구동 기구{SEWING FRAME OF SEWING MACHINE AND SEWING FRAME DRIVE MECHANISM}
도 1은 실시예 1의 다두 재봉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동 실시예의 봉제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실시예의 봉제틀 및 그 주변의 모습을 보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동 실시예의 가이드 기구를 도시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이고, (c)는 테이블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2의 다두 재봉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동 실시예의 봉제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동 실시예의 봉제틀 및 그 주변의 모습을 보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3의 봉제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동 실시예의 봉제틀의 전단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동 실시예의 봉제틀을 도 9의 Ⅹ-Ⅹ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동 실시예의 봉제틀의 전단 지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동 실시예의 봉제틀의 후단 지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4의 봉제틀 구동 기구 및 그 주변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14는 동 실시예 4의 후틀 지지 기구 및 그 주변의 모습을 도 13의 Ⅱ-Ⅱ선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5는 동 실시예 4의 후틀 지지 기구, 전틀변부 지지 기구 및 그 주변의 모습을 도 13의 Ⅲ-Ⅲ선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5의 다두 재봉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6의 다두 재봉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동 실시예 6에 있어서 봉제틀 구동 기구의 상측 지지 기구를 도시한 도 17의 ⅩⅤⅢ-ⅩⅤⅢ선 단면도이다.
도 19는 동 실시예 6의 상측 지지 기구의 변경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0은 동 실시예 6에 있어서 봉제틀 구동 기구의 하측 지지 기구를 도시한 도 17의 ⅩⅩ-ⅩⅩ선 단면도이다.
도 21은 동 실시예 6에 있어서 하측 지지 기구의 요부를 도시한 도 20의 ⅩⅩⅠ-ⅩⅩⅠ선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22는 실시예 7의 자수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3은 동 실시예 7의 봉제틀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동 실시예 7의 봉제틀의 후단부의 지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5는 동 실시예 7의 봉제틀의 전단부의 지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동 실시예 7의 봉제틀의 종단면도이다.
도 27은 동 실시예 7의 봉제틀의 전단부의 지지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8은 실시예 8의 자수 재봉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9는 동 실시예 8의 봉제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0은 동 실시예 8의 봉제틀의 측면도이다.
도 31은 동 실시예 8의 봉제틀의 정면도이다.
도 32는 동 실시예 8의 봉제틀에 심지를 유지할 때의 순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3은 실시예 9의 봉제틀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ⅩⅩⅩⅠⅤ-ⅩⅩⅩⅠⅤ선 단면도이다.
도 35는 실시예 10의 자수 재봉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6은 동 실시예 10의 봉제틀의 사시도이다.
도 37은 동 실시예 10의 봉제틀의 단면도이다.
도 38은 동 실시예 10의 봉제틀의 평면도이다.
도 39는 동 실시예 10의 봉제틀의 천펼침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0은 동 실시예 10의 다른 천펼침틀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1은 실시예 11의 봉제틀의 사시도이다.
도 42는 동 실시예 11의 봉제틀의 천펼침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3은 실시예 12의 봉제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4는 실시예 13의 자수 재봉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5는 도 44의 ⅩLⅤ-ⅩLⅤ선 단면도이다.
도 46은 동 실시예 13의 봉제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7은 동 실시예 13의 봉제틀의 평면도이다.
도 48은 도 47의 ⅩLⅤⅢ-ⅩLⅤⅢ선 단면도이다.
도 49는 동 실시예 13의 봉제틀에의 장척 통형 가공천의 펼침 순서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50은 실시예 14의 봉제틀을 부착한 자수 재봉기의 평면도이다.
도 51은 도 50의 LⅠ-LⅠ선 단면도이다.
도 52는 동 실시예 14의 봉제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3은 동 실시예 14의 봉제틀의 평면도이다.
도 54는 도 53의 LⅠⅤ-LⅠⅤ선 단면도이다.
도 55는 동 실시예 14의 변경예 1의 평면도이다.
도 56은 동 실시예 14의 변경예 2의 평면도이다.
도 57은 동 실시예 14의 변경예 3의 평면도(a)와 측면도(b)이다.
도 58은 종래 예의 봉제틀과 그 구동 기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재봉기로 피봉제물에 자수 가공하기 위하여 피봉제물을 펼쳐 유지하는 봉제틀 및 이 봉제틀을 구동하는 봉제틀 구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봉제틀 구동 기구 중에는, 도 58에 도시한 종래 예의 봉제틀 구동 기구(900)와 같이, 전후로는 변위하지만 좌우로는 변위하지 않는 봉틀상의 지 지틀(910)에 피봉제물(도시 생략)을 펼쳐 유지하는 통틀상의 봉제틀(880)의 후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것이 있다(일본 특허 공개 2005-199091호 공보).
또한 원통형의 봉제틀에 봉제창을 형성하고, 봉제창에 심지를 통하여 가공천을 펼쳐놓고, 봉제틀을 자수 재봉기의 틀 구동 기구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전후 방향의 축선 둘레에서 회전하여 가공천에 자수 무늬를 가공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3-326049호 공보에는 원통형의 봉제틀에 전후로 긴 봉제창을 형성하고, 봉제창에 씌운 심지를 봉제창보다 긴 심지 누름 부재로 봉제틀에 유지하고, 심지에 양말이나 손목 밴드 등의 통형 가공천을 펼쳐놓는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4-91974호 공보에도 이와 유사한 틀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 7-109660호 공보에는 전후 방향으로 짧은 봉제틀을 원통형의 내틀에 의해 내측으로부터 지지하고, 봉제틀에 유지한 모자의 펄럭임이나 변형을 억제하는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4-49548호 공보에는 원통틀을 전후 한 쌍의 원통형 요소로 분할하고, 이 둘 사이에 대략 전체 둘레가 개방된 봉제창을 형성하고, 일측 요소의 전후 방향 위치를 조정하여 봉제창의 길이를 신축 자유롭게 한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도 58에 도시한 구조의 경우, 봉제틀(880)의 전후에의 길이(L0)가 도 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분히 짧은 경우에는 특별히 문제는 없지만, 피봉제물의 조건 등에 따라서는 이 길이(L0)를 길게 하고자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그 때에는 이 봉제틀(880)은 그 후단이 외팔보 형태로 지지되어 있을 뿐이므로, 지지되지 않은 전단이 하방으로 처지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 봉제틀(880)의 길이(L0)를 어느 일정한 길이 이상으로 하는 것은 사실상 곤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봉제틀의 전단을 하방으로 잘 처지지 않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2003-326049호 공보 또는 일본 특허 공개 평 7-109660호 공보의 봉제틀에서는, 가공천의 자수 범위가 봉제창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청바지 등의 장척 통형 가공천에 길이 방향으로 길고 폭방향으로 넓은 대형 자수 무늬를 가공하는 경우에는 자수 무늬의 크기에 맞추어 봉제창이 커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통형틀로 봉제창을 크게 하면, 가공천의 유지력 저하를 보충하기 위하여, 봉제틀 상에 심지(댐지)를 세팅하여 심지 상에 가공천을 펼쳐놓는다는 번잡함이 있었다. 또한 청바지나 골프 가방 등의 무거운 장척 봉제품을 가공하는 경우에는 봉제틀이 길어지기 때문에 봉제틀 및 봉제품의 중량으로 통형틀의 전단이 아래로 처져 자수 무늬의 가공 정밀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천의 유지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자수 범위를 확대할 수 있고, 심지를 생략하여 가공천을 간단하게 펼쳐놓을 수 있고, 봉제틀의 앞처짐을 방지하여 장척 통형 가공천에 자수 무늬를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는 봉제틀을 제공하는 데에도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2003-326049호 공보의 봉제틀은 심지 누름 부재의 전후 양단만을 봉제틀에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심지 누름 부재를 길게 하면 봉제창의 중간 부근에서 심지의 유지력이 불충분해져 바늘 낙하 시의 충격으로 심지가 변형되고, 가공천에 느슨함이나 구김이 발생하고, 자수 무늬의 가공 정밀도가 나빠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봉제틀에 전후로 긴 봉제창을 형성한 장척의 봉제틀에 있어서, 봉제창에 씌운 심지의 변형을 방지하고, 자수 무늬의 가공 정밀도를 높이는 데에도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2003-326049호 공보의 봉제틀에 따르면, 봉제창이 봉제틀의 둘레벽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수 무늬를 장척 통형 가공천, 예를 들어 상의의 소매나 바지(청바지 등)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가공하는 경우, 원통틀 전체를 교환할 필요가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2004-49548호 공보의 원통틀은, 봉제창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지만, 봉제창이 원통틀의 둘레 방향으로 크게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장척 통형 가공천의 폭 방향의 일부에 자수 무늬를 가늘고 길게 가공하는 경우 등에 가공천의 유지력이 부족하여 실용에 적합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척 통형 가공천의 길이 방향으로 길고 폭 방향으로 다양한 패턴의 자수 무늬를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는 자수 가공용 봉제틀을 제공하는 데에도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2003-326049호 공보 또는 일본 특허 공개 2004-91974호 공보의 봉제틀에서는, 봉제틀이 길어졌을 때의 상기 중량의 문제 이외에, 봉제창이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부츠컷 청바지 등 일부가 가늘게 되어 있는 이형 봉제품을 가공하는 경우에는 가는 부분(폭협부)에 삽입 가능한 직경의 봉제틀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봉제품의 굵은 부분(폭광부)에 대형 무늬를 가공할 때 봉제창의 폭이 부족하기 때문에 폭이 넓은 봉제창을 구비한 대직경의 봉제틀로 교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한 종류의 봉제품에 두 종류의 통틀을 준비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통형 가공천의 자수 범위가 봉제창에 원통면 형태로 만곡되어 펼쳐지기 때문에 코드나 장식품(sequin)의 꿰매붙임이 어려워지는 등 자수 방법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의 봉제틀을 이용하여 장척 가공천의 폭협부와 폭광부에 다른 크기의 자수 무늬를 능률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 봉제틀을 제공하는 데에도 있다. 또한 경량의 평판형 봉제틀을 이용하여, 어떠한 자수 방법에도 대응하여 통형 가공천에 자수 무늬를 능률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 봉제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재봉기의 봉제틀은, 전후의 양단에 장방형 틀 형태의 지지틀의 전후 틀변부에 좌우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단, 좌우로 변위 가능이란 봉제틀의 적어도 일부가 좌우로 변위 가능한 것을 말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틀상 봉제틀이 좌우로 평행 이동 가능한 경우나, 상부에 피봉제물을 펼쳐 유지하는 통틀상 봉제틀의 이 상부가 이 틀의 회동에 따라 좌우로 변위 가능한 경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한편, 이들은 이하에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재봉기의 봉제틀 구동 기구는, 전후로는 변위하지만 좌우로는 변위하지 않는 장방형 틀 형태의 지지틀의 전후 틀변부에 피봉제물을 펼쳐 유지하는 봉제틀의 전후 양단을 좌우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봉제틀 구동 기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지지틀의 전틀변부가 후틀변부에 대하여 하방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앞처짐 방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처짐 방지 기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테이블 전변에서 후방으로 오목부가 형성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된 테이블의 좌우 돌출부(오목부의 좌우에 위치함)와, 이 좌우 돌출부 상에 전후로 변위 가능하게 재치된 지지틀의 좌우 틀변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우 돌출부와 좌우 틀변부와의 사이에는 슬라이딩 마찰을 줄이는 슬라이딩 접촉 부재가 개재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봉제틀 구동 기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지지틀의 전후로의 변위를 좌우로 변위 불가능하게 가이드하여 좌우로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가이드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기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테이블 전변에서 후방으로 형성된 오목부의 좌우의 양 내단면과, 지지틀의 좌우 틀변부에 장착되어 내단면에 전동 가능하게 맞닿은 가이드 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기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가이드 롤러의 위치를 좌우로 조정하는 위치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롤러는 베이스부가 지지틀에 고정되어 팁부가 지지틀의 틀 안으로 돌출된 돌출 부재의 이 팁부에 부착되며, 위치 조정 수단은 돌출 부재의 베이스부에 관통 설치된 좌우로 뻗어있는 장공과 이 장공을 지지틀에 고정하는 나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의 봉제틀 구동 기구는, 봉제틀의 전후 길이가 30cm 이상인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50∼100cm인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길이가 길어질수록 이 구동 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며, 상한이 있는 것은 너무 과도하게 길어도 실용성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피봉제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청바지나 진바지 등의 각종 바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봉제틀이 통 형상인 경우, 봉제틀은 그 내측에 삽입됨과 함께 지지틀의 후틀변부에 회동 불가능하게 지지되는 통 형상의 내틀을 포함하고 있고, 이 내틀의 전단에 지지틀의 전틀변부에 지지되는 피지지부를 설치하고, 내틀의 전단에 작업자의 손이 이 내틀의 내부에 들어가는 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봉제틀 구동 기구는 지지틀의 전후 틀변부에 복수의 봉제틀의 전후 양단이 지지 기구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틀의 전틀변부의 좌우 중간부를 전틀변부 지지 기구에 의해 전후로 변위 가능하게 앞처짐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전틀변부 지지 기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지지틀과 함께 전후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단에 좌우 중간부를 지지한 전후로 뻗어있는 지지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하면, 지지틀을 직접 지지하는 지지 샤프트의 전단이 지지틀보다 전방으로 돌출하지 않아 전틀변부 지지 기구 전체적으로 잘 방해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지지 샤프트의 후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지지틀의 후틀변부의 좌우 중간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하면, 이 지지 샤프트가 보다 안정되기 때문이다.
전틀변부 지지 기구는 재봉기 프레임에 고정된 지지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에 전후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 샤프트를 포함하고 있고, 지지 샤프트의 전단에 전틀변부의 좌우 중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설치하고, 지지 프레임의 전단에 지지 샤프트의 적어도 상면에 접촉하여 이 샤프트의 진동을 규제하는 흔들림 방지구를 설치할 수 있다.
흔들림 방지구는 특정한 부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지지 샤프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촉 부재, 또는 지지 샤프트에 전동 가능하게 접촉되는 전동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슬라이딩 접촉 부재 또는 전동 부재를 지지 샤프트의 상면에 접촉시키고, 이 샤프트의 상하 방향의 진동을 일측에서 규제하여도 좋다. 또한 슬라이딩 접촉 부재 또는 전동 부재를 지지 샤프트의 상면과 하면에 접촉시키고, 이 샤프트의 상하 방향의 진동을 양측에서 규제하여도 좋다.
더욱이, 전틀변부 지지 기구는 전틀변부의 좌우 중간부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와, 지지틀의 하측에서 연결 부재를 전후로 변위 가능하게 지승하는 지승 부재를 구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지승 부재는 재봉기 프레임에 접속하여도 좋고, 바닥면 상에 설치하여도 좋으며, 재봉기 프레임과 바닥면 모두에 지지하여도 좋다. 또한 지승 부재를 높이 조정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제틀로는 이하와 같은 다양한 태양을 예시할 수 있다.
[A]봉제틀은 전후 방향으로 긴 원통형이며, 봉제틀의 내측에 삽입되는 전후 방향으로 긴 원통형의 내틀을 포함하고 있고, 봉제틀에 가공천의 자수 범위를 정하는 봉제창을 전후로 길게 형성하고, 봉제틀의 후단에 지지틀 상의 회전 구동 기구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설치하고, 내틀의 둘레벽에 자수기의 봉제침이 관통하는 침공을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내틀의 후단에 지지틀 상의 고정부에 부착되는 부착부를 설치하고, 봉제틀 또는 내틀 중 어느 하나의 전단에 지지틀의 전틀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설치한 태양.
[B]봉제틀이 원통형이며, 봉제틀에 가공천의 자수 범위를 정하는 봉제창을 형성하고, 봉제창에 씌운 심지에 의해 가공천을 봉제틀의 외면을 따르게 하여 지지하고, 심지를 봉제틀에 눌러 밀착시키는 심지 누름 부재를 구비하고, 심지 누름 부재의 전후 양단을 봉제창의 전후에 있어서 봉제틀에 유지하고, 심지 누름 부재의 중간부를 봉제창의 장측 방향 중간 위치에서 봉제틀에 누르는 누름 부재를 구비한 태양.
여기서, 심지 누름 부재는 특정한 부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봉제틀과 대략 동일한 길이의 띠형 부재, 봉상 부재, 강성 부재, 탄성 부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좌우 2개의 심지 누름 부재를 봉제틀의 좌우 양측에 설치하여 실시하 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심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심지 누름 부재의 전후 어느 일단을 봉제틀에 고정적으로 유지하고, 타단을 봉제틀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유지하여도 좋다.
누름 부재는 특정한 부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자신이 보유하는 탄성에 의해 심지 누름 부재를 봉제틀에 눌러 밀착시키는 부재, 또는 자석의 흡착력에 의해 심지 누름 부재를 봉제틀에 눌러 밀착시키는 부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심지를 교체함에 있어서, 심지 누름 부재에 대한 누름력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누름 부재를 봉제틀에 작용 위치와 비작용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누름 부재를 봉제틀에 회동 가능 또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하고, 심지 누름 부재에 중첩되는 작용 위치와 심지 누름 부재로부터 이격된 비 작용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한편, 누름 부재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C]봉제틀은 자수 재봉기의 틀 구동 장치에 부착되는 베이스틀과, 가공천을 펼쳐놓는 전후 방향으로 긴 천펼침틀을 구비하고, 베이스틀에 천펼침틀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전측 지지부와 천펼침틀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후측 지지부를 설치하고, 천펼침틀의 전단부와 후단부와의 사이에 가공천의 자수 범위를 정하는 봉제창을 형성하고, 봉제창의 형상이 다른 복수의 천펼침틀을 (베이스틀의 전측 지지부와 후측 지지부에 걸쳐 놓은 상태에서) 베이스틀에 교환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한 태양.
여기서, 베이스틀 및 천펼침틀에 관하여, 바람직하게는 다음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a)베이스틀이 틀 구동 장치의 전측 부분에 부착되는 전측 요소와, 틀 구동 장치의 후측 부분에 부착되는 후측 요소를 구비하고, 전측 요소에 천펼침틀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전측 지지부를 설치하고, 후측 요소에 천펼침틀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후측 지지부를 설치하는 것. 이와 같이 하면, 베이스틀을 틀 구동 장치에 양팔보 상태에서 부착하여, 바지(청바지 등)의 무거운 장척 통형 가공천을 수평면 내에 안정적인 자세로 지지할 수 있다.
(b)베이스틀의 전측 요소와 후측 요소 및 천펼침틀에 대략 동일한 직경의 원통면을 형성하고, 베이스틀에 천펼침틀을 부착하였을 때의 봉제틀의 전체 형상이 통형인 것. 통형의 봉제틀은 가는 장척 통형 가공천, 예를 들어 바지나 상의의 소매 등에 가늘고 긴 패턴의 자수 무늬를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베이스틀의 전측 요소와 후측 요소를 연결 요소로 연결하고, 천펼침틀에 봉제창의 좌우 양측에서 연결 요소에 접합하는 접합부와, 접합부를 좌우로 개방하는 개방부를 설치하고, 개방부를 통하여 천펼침틀을 베이스틀에 씌우는 것. 이와 같이 하면, 천펼침틀을 베이스틀에 간단하게 탈착할 수 있고, 또한 천펼침틀의 강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d)베이스틀의 전측 요소와 후측 요소를 분리하고, 천펼침틀을 전체 둘레가 폐쇄된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천펼침틀의 전단부를 베이스틀의 전측 요소에 부착하고, 천펼침틀의 후단부를 베이스틀의 후측 요소에 부착하는 것. 이 경우에는 천펼침틀에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게다가 봉제창을 천펼침틀의 원주 방향으로 크게 변화시킬 수도 있다.
[D]봉제틀은 전후 방향으로 긴 평판상이며, 봉제틀에 가공천의 자수 범위를 정하는(획정하는) 전후 방향으로 긴 봉제창과, 봉제창의 장측 가장자리를 따라 뻗어있는 보강 리브를 설치하고, 봉제창의 전후 어느 한 쪽에 폭협부를 형성하고, 반대측에 폭광부를 형성한 태양.
이 봉제틀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은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a)봉제틀에 폭이 좁은 전측 부분과 폭이 넓은 후측 부분을 설치하고, 전측 부분에 봉제창의 폭협부를 형성하고, 후측 부분에 봉제창의 폭광부를 형성하는 것.
(b)보강 리브를 봉제틀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하향으로 설치하고, 보강 리브의 일부에 가공천을 고정하는 천 고정구를 외향으로 돌출 설치하는 것.
(c)봉제틀 상에 위치 맞춤 지그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고, 위치 맞춤 지그에 봉제틀에 대한 위치 결정부와, 봉제창의 위치를 가공천의 상측으로부터 지시하는 개구부를 설치하는 것.
[E]봉제틀은 통형 가공천에 들어가는 가늘고 긴 평판상이며, 봉제틀에 통형 가공천의 자수 범위를 정하는(획정하는) 가늘고 긴 봉제창을 설치하고, 봉제틀의 상면에 통형 가공천의 자수 범위의 주위부를 고정하도록 한 태양. "가늘고 긴" 정도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장측 방향의 길이가 단측(폭) 방향의 길이의 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형 가공천의 자수 범위의 주위부를 고정하려면, 다음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1)보강 리브를 봉제틀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하향으로 설치하고, 보강 리 브의 일부에 가공천을 고정하는 천 고정구를 외향으로 돌출 설치하고, 천 고정구에 통형 가공천의 주위부를 스프링식 개폐식의 클립으로 고정하는 것.
(2)봉제틀의 상면에 통형 가공천의 주위부를 양면 테이프로 고정하는 것.
이 봉제틀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은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a)봉제틀 상에 위치 맞춤 지그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도록 하고, 위치 맞춤 지그에 봉제틀에 대한 위치 결정부와, 봉제창의 위치를 가공천의 상측으로부터 지시하는 개구부를 설치하는 것.
(b)봉제틀을 단측 방향 또는 장측 방향으로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 형성하고, 이 부분끼리를 위치 조절 가능하게 접속함으로써 봉제창을 단측 방향 또는 장측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이 경우, 봉제창을 장방형과 사다리꼴 사이의 형상 변화를 수반하면서 신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c)통형 가공천의 자수 범위의 주위부를 봉제틀 상에 누르는 가늘고 긴 평판형의 누름틀을 구비하고, 누름틀에 봉제틀의 봉제창과 대략 동일한 형상의 투과창을 설치하는 것.
<실시예 1>
도 1∼도 4에 도시한 본 실시예 1에서는, 다두 재봉기(1)가, 전변으로부터 후방으로 형성된 오목부(6h)를 좌우 중앙부에 구비하는 테이블(6)과, 오목부(6h)의 상방에서 좌우로 나란히 설치된 복수 개의 재봉기 헤드(도시 생략)와, 이 재봉기 헤드의 바늘 낙하점(P)에 나란히 설치된 베드(7)와, 재봉기 헤드와 베드(7)와의 사이에 피봉제물(도시 생략)을 펼쳐 유지하는 봉제틀(8)과, 이 봉제틀(8)을 전후 좌 우의 평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봉제틀 구동 기구(10)와, 봉제틀(8)을 전후로 구동하는 전후 구동 장치(51)와, 봉제틀(8)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피봉제물을 펼쳐 유지하는 이 봉제틀(8)의 상부를 좌우로 구동하는 좌우 구동 장치(5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각 구성 요소는 다두 재봉기(1)의 기반이 되는 재봉기 프레임(1f)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각 베드(7)는 오목부(6h)보다 후측 또는 그 하방의 재봉기 프레임(1f)으로부터 이 오목부(6h) 내 또는 그 하방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이 베드(7)에는 봉제틀(8)의 내측에 내삽되는 내틀(9)이 외삽되어 있다. 내틀(9)은 양단이 개구된 통 형상의 틀로서, 후단은 봉제틀 구동 기구(10)가 구비하는 지지틀(11)의 후틀변부(11a)에 회동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내틀(9)의 상부에는 슬릿공(9h)이 전후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에 의해 이 내틀(9)이 전후로 변위하였을 때에도, 베드(7) 상의 바늘 낙하점(P)이 항상 노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내틀(9)은 전후로 봉제틀(8)과 함께 변위 가능하다.
봉제틀(8)은 전단에 단면(8e)을 구비한 바닥있는 통 형상의 틀로서, 내틀(9)에 둘레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외삽되어 있다. 이 봉제틀(8)의 상부에는 피봉제물(도시 생략)을 재봉기 헤드(도시 생략)와 바늘 낙하점(P)과의 사이에 펼쳐 유지하기 위한 봉제창(8h)이 관통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봉제틀(8)의 전단에는 지지틀(11)의 전틀변부(11b)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기 위한 피지지부로서의 축봉(8b)이 단면(8e)의 중심부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후단부에는 후틀변부(11a)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기 위한 피지지부로서의 결합부(8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 봉제틀(8)의 다두 재봉기(1)에 설치되었을 때의 전후로의 길이(L1)는 축봉(8b)을 포함하지 않고 70∼80cm로 되어 있다.
봉제틀 구동 기구(10)는 복수 세트의 봉제틀(8) 및 내틀(9)을 틀 내에 나란히 지지하는 장방형 틀 형태의 지지틀(11)과, 지지틀(11)의 후틀변부(11a)에 봉제틀(8)의 후단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지지하는 후단 지지 기구(12)와, 지지틀(11)의 전틀변부(11b)에 봉제틀(8)의 전단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지지하는 전단 지지 기구(17)와, 지지틀(11)의 후틀변부(11a)를 베드(7)에 전후로 변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 기구(22)와, 지지틀(11)의 전틀변부(11b)가 후틀변부(11a)에 대하여 하방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앞처짐 방지 기구(32)와, 이 지지틀(11)의 전후로의 변위를 좌우로 변위 불가능하게 가이드하여 좌우로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가이드 기구(4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지지틀(11)은 후틀변부(11a)가 전후 구동 장치(51)에 의해 전후로 구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 후틀변부(11a)가 봉제틀(8)을 전후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이 후틀변부(11a) 상에는 좌우 구동 장치(5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으로, 이 지지틀(11)의 전틀변부(11b) 및 좌우 틀변부(11c, 11d)는 봉제틀(8)의 전단을 지지하기 위한 전단 지지틀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한편, 전틀변부(11b)는 좌우 틀변부(11c, 11d)의 전단에 연결부(11x)를 통하여 교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후단 지지 기구(12)는 후틀변부(11a)에서 하방으로 수직 하강한 수직판(13)과, 봉제틀(8)의 베이스단(결합부(8a))을 지지하는 원형상의 구동 링(14)과, 이 구 동 링(14)을 그 외주측으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협지한 복수 개의 지지 롤러(1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수직판(13)은 중심부에 베드(7)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축공(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그 외방으로 내틀(9)의 후단을 회동 불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한편, 전단 지지 기구(17)는 봉제틀(8)의 전단에 설치된 축봉(8b)과, 전틀변부(11b)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축봉(8b)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지지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결합 기구(22)는 베드(7)의 상부 및 그 주변에 형성된 상측 결합부(23)와, 베드(7)의 하부 및 그 주변에 형성된 하측 결합부(26)로 이루어진다. 상측 결합부(23)는 베드(7)의 상부에 전후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상부 안내홈(24)과, 후틀변부(11a)에 부착되어 상부 안내홈(24)에 전후로 변위 가능하게 결합한 피 안내 부재(2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하측 결합부(26)는 베드(7)의 하부에 전후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하부 안내홈(27)과, 후단 지지 기구(12)의 수직판(13)에 부착되어 하부 안내홈(27)에 전후로 변위 가능하게 결합한 피 안내 부재(2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앞처짐 방지 기구(32)는 테이블(6)에 오목부(6h)가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돌출하며, 이 오목부(6h)의 좌우에 위치하는 테이블(6)의 좌우 돌출부(33)와, 이 좌우 돌출부(33) 상에 오목부(6h)를 따라 전후로 가늘고 길게 붙여지며, 슬라이딩 마찰을 줄이기 위한 슬라이딩 부재로서의 펠트(34)와, 이 펠트(34) 상에 재치된 지지틀(11)의 좌우 틀변부(11c, 11d)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기구(42)는 오목부(6h)의 좌우의 양단면에 형성된 전후로 뻗어있는 양 가이드면(43)과, 베이스부가 지지틀(11)에 고정되고 팁부가 지지틀(11)의 틀 내에 돌출된 돌출 부재(44)와, 이 돌출 부재(44)의 팁부에 지지되어 가이드면(43)에 전동 가능하게 맞닿은 가이드 롤러(4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가이드 기구(42)에서는 서로 마주 보는 양 가이드면(43)에 양 가이드 롤러(45)가 맞닿음으로써 지지틀(11)이 좌우로 왜곡되거나 어긋나는 것이 방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돌출 부재(44)는 베이스부(44a)가 지지틀(11)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베이스부(44a)와 팁부(44b) 사이의 중간 위치에는 팁부(44b)의 높이 레벨을 지지틀(11)의 상면보다 하방의 높이 레벨에 맞추기 위한 굴곡부(44c)가 베이스부(44a) 측에서 팁부(44b) 측 쪽으로 하방으로 굴곡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롤러(45)는 돌출 부재(44)의 팁부(44b)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회전축(45x)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이 가이드 롤러(45) 및 그것을 지지한 돌출 부재(44)의 수는 본 실시예 1에서는 좌우 양측에 각각 하나씩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가이드 기구(42)는 가이드 롤러(45)의 위치를 좌우로 조정하는 위치 조정 기구(46)를 구비하고 있고, 이 위치 조정 기구(46)는 돌출 부재(44)의 베이스부(44a)에 관통 설치된 좌우로 뻗어있는 장공(47)과, 이 장공(47)을 좌우 틀변부(11c, 11d)에 고정하는 나사(4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후 구동 장치(51)는 후틀변부(11a)의 상방에 전후로 가늘고 길게 복수 개 설치되어 있으며, 이 후틀변부(11a)를 상방에서 전후로 구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 다. 또한 좌우 구동 장치(52)는 후틀변부(11a) 상에 좌우로 가늘고 길게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 링(14)을 회전시킴으로써 모든 봉제틀(8)을 동시에 회전 구동한다.
본 실시예 1에 따르면, 봉제틀(8)의 전후 양단을 지지틀(11)의 전후 틀변부(11b, 11a)에 지지함으로써 이 봉제틀(8)을 지지틀(11)에 대하여 상하 좌우로 잘 어긋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앞처짐 방지 기구(32)를 설치함으로써 이 봉제틀(8)을 지지한 지지틀(11)을 하방으로 잘 처지지 않게 할 수 있고, 가이드 기구(42)를 설치함으로써 이 지지틀(11)을 좌우로 잘 어긋나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봉제틀(8)을 지지틀(11)에 대하여 상하 좌우로 잘 어긋나지 않게 하고, 또한 이 지지틀(11)을 하방으로 잘 처지지 않게, 좌우로 잘 어긋나지 않게 함으로써 봉제틀(8)을 하방으로 잘 처지지 않게, 좌우로 잘 어긋나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그에 따라 피봉제물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이 가이드 기구(42)는 지지틀(11)의 변위를 테이블(6)의 오목부(6h)의 내측면을 따라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전용 레일 등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구조도 심플해져, 코스트 다운으로도 연결된다. 또한 봉제틀(8)은 두 점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이 봉제틀(8)의 컴팩트화도 가능하다.
한편, 가이드 롤러(45) 및 그것을 지지한 돌출 부재(44)의 수를 양측에 하나씩의 총 2개가 아니라, 3개, 4개 등으로 늘려도 좋다.
또한, 봉제틀(8)의 전단에 단면(8e) 및 축봉(8b)을 설치하고, 이 축봉(8b)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대신, 내틀(9)의 전단에 단면 및 동일한 축봉을 설치하고, 이 축봉을 회동 불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봉제틀(8)의 전단을 내틀(9)을 통하여 회 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도 5∼도 7에 도시한 실시예 2는, 원통형의 봉제틀(8) 대신 평틀형의 전후 방향으로의 길이(L2)가 70∼80cm인 봉제틀(68)이 부착되어 있는 점, 및 그에 따라 통틀용의 후단 지지 기구(12)와 전단 지지 기구(17) 대신 평틀용의 후단 지지 기구(72)와 전단 지지 기구(77)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예 1과 다르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대략 동일하므로 실시예 1의 설명을 원용한다.
전단 지지 기구(77)는 연결부(11x)를 조작하여 전틀변부(11b)를 제거하고, 대신 이 전단 지지 기구(77)를 구비한 전틀변부(71b)를 부착함으로써 교체되어 있다.
후단 지지 기구(72)는 후틀변부(11a)에 좌우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기 위한 피지지부로서의 봉제틀(68)의 후단부(68a)와, 이 후단부(68a)를 좌우 구동 장치(52)에 연결하여 좌우로 구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단 지지 부재(7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단 지지 기구(77)는 전틀변부(71b)에 좌우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기 위한 피지지부로서의 봉제틀(68)의 전단부(68b)와, 전틀변부(11b)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전단 지지부(78)와, 후단부가 봉제틀(68)의 전단부(68b)에 부착되며, 전단부에서 전단 지지부(78)의 후단부를 상하에서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협지한 전단 지지 부재(79)로 이루어지고, 이 전단 지지부(78)의 후단부와 그것을 협지하는 전단 지지 부재(79)의 전단부와의 사이에는 슬라이딩 마찰을 줄이기 위한 펠트(80)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실시예 2에 따르면, 실시예 1의 봉제틀 구동 기구(10)의 일부를 교체하는 것만으로 통틀 대신 평틀형의 봉제틀(68)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봉제틀(68) 앞처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8∼도 12에 도시한 실시예 3은 지지틀(11)에 지지되는 피지지부가 봉제틀(8)의 내틀(9)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예 1과 다르다. 재봉기 베드(7)의 전단에는 가마(2)가 내장되고, 가마(2)의 내측에 밑실을 감은 보빈(3)이 수용되어 있다.
봉제틀(8)은 전후 양단이 개방된 장척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8 참조). 봉제틀(8)의 전단부 내주에는 내틀(9)의 롤러(81)에 지지되는 링(8b)이 고정 장착되어 있다.
내틀(9)의 후단에는 컵 모양의 부착 부재(9a)가 설치되고, 나사(85)에 의해 후단 지지 기구(12)의 수직판(13)에 고정적으로 지지되어 있다(도 12 참조). 내틀(9)의 전단에는 단말 플레이트(9b)가 링(8b)에 전방으로부터 대향하도록 고정 장착되어 있다(도 11 참조).
단말 플레이트(9b)의 상부에는 링(8b)의 내주 가장자리에 결합하는 좌우 한 쌍의 롤러(81)가 설치되고, 롤러(81)에 의해 봉제틀(8)의 전단이 내틀(9)의 원통 축선 둘레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롤러(81) 사이에 있어서 단말 플레이트(9b)에는 봉제틀(8)의 전단측의 피지지부인 브래킷(82)이 내틀(9)의 원 통 축선과 평행하게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82)의 하측에 있어서 단말 플레이트(9b)에 작업자의 손이 내틀(9)의 내부에 들어가는 크기의 개구부(83)가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82)은 베이스단이 볼트(84)에 의해 단말 플레이트(9b)에 부착되고(도 12 참조), 선단이 지지구(86)에 의해 지지틀(11)의 전틀변부(11b)에 지지되어 있다. 전틀변부(11b)는 봉제틀(8)의 부착 위치에 너트(87)를 구비하고, 지지구(86)가 너트(87)에 나사 결합하는 핸들붙이 볼트(88)에 의해 전틀변부(11b)에 부착되어 있다. 지지구(86)의 상단에는 전틀변부(11b)의 위치 결정 돌기(89)에 끼워져 결합되는 U홈(90)이 형성되고, 지지구(86)의 전후 양면에 리브(91)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구(86)의 하단에는 지지편(92)이 후방으로 돌출 설치되고, 지지편(92)의 상면에 브래킷(82)의 선단부를 지지편(92)에 누르는 판 스프링(93)이 장착되어 있다. 브래킷(82)의 선단부에는 판 스프링(93)과 대략 동일한 폭의 투공(94)이 형성되고, 투공(94)과 판 스프링(93)의 굴곡부(93a)와의 끼움 결합에 의해 브래킷(82)이 좌우 방향의 정위치에서 지지구(86)에 지지되어 있다. 한편, 내틀(9)의 단말 플레이트(9b)에는 봉제틀(8)의 링(8b)과 대향하는 면에 복수 편의 완충재(95)가 접착되어 있다.
실시예 3의 봉제틀(8)에 따르면, 내틀(9)의 전단에 설치된 피지지부가 지지틀(11)에 지지되므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봉제틀(8)의 앞처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도 동일하지만, 내틀(9)이 봉제틀(8)의 봉제창(8h)을 내측으로부터 덮고, 피봉제물을 봉제틀(8)의 원통면에 매우 근접하는 원통면으로 지지하므로, 봉제창(8h)을 크게 개방하여 청바지 등의 장척 피봉제물의 광범위하게 큰 자수 무늬를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내틀(9)의 전단에 개구부(8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빈을 교환함에 있어 작업자는 봉제틀(8)을 후퇴시킨 상태에서 손을 개구부(83)로부터 내틀(9)의 내부로 뻗어(도 11 화살표 참조) 재봉기 베드(7)에 있어서 보빈(3)을 가마(2)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4>
도 13∼도 15에 도시한 실시예 4는 전틀변부의 좌우 중간부를 전틀변부 지지 기구에 의해 전후로 변위 가능하게 앞처짐하지 않도록 지지한 점에서 실시예 1과 다르다. 그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대략 동일하므로, 실시예 1의 설명을 원용한다.
전후 구동 장치(51)는 좌우에 복수 개 나란히 설치되어 있으며, 각 전후 구동 장치(51)는 전후로 뻗어있는 지지 프레임(51f)과, 이 지지 프레임(51f)에 설치된 전후로 뻗어있는 지지 레일(51a)과, 후틀변부(11a)를 이 지지 레일(51a)에 그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연결하여 지지한 후틀 연결 부재(51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틀변부 지지 기구(120)는 좌우 중앙에 위치하는 전후 구동 장치(51)의 전부 및 전방에 이 전후 구동 장치(51)를 전방으로 더 연장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전틀변부 지지 기구(120)의 후부는 전후 구동 장치(51)의 전부와 일부 중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전틀변부 지지 기구(120)는 지지 프레임(51f)을 전방으로 더 연장하는 형태로 설치된 지지 프레임(122)과, 지지 레일(51a)을 전방 으로 더 연장하는 형태로 지지 프레임(122)에 설치된 지지 레일(121)과, 전단에 전틀변부(11b)의 좌우 대략 중앙부를 지지하는 전틀변부 지지 부재(131)를 구비하고, 후단이 후틀 연결 부재(51b)를 통하여 후틀변부(11a)의 좌우 대략 중앙부에 접속된 지지 샤프트(123)와, 이 지지 샤프트(123)의 전후 중간부를 지지 레일(121)에 그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연결하여 지지한 전틀 지지 부재(12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후 구동 장치(51)는 후틀 연결 부재(51b) 및 전틀 지지 부재(128)를 전후로 구동함으로써 지지틀(11)을 전후로 구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좌우 구동 장치(52)는 후틀변부(11a)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후단 지지 기구(12)의 구동 링(14)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봉제틀(8)을 회전 구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실시예 4에 따르면, 지지틀(11)의 후틀변부(11a) 및 좌우 틀변부(11c, 11d)가 전후 구동 장치(51) 및 앞처짐 방지 기구(좌우틀 지지 기구)(32)에 의해 전후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 이외에, 전틀변부(11b)도 전틀변부 지지 기구(120)에 의해 전후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지지틀(11)이 좌우 돌출부(33)의 전단보다 전방으로 크게 돌출하였을 때에도 전틀변부(11b)가 후틀변부(11a)에 대하여 하방으로 잘 처지지 않고, 따라서 이 지지틀(11)에 지지되는 봉제틀(8)의 전단도 후단에 대하여 하방으로 잘 처지지 않는다. 따라서, 봉제틀(8)의 구동도 원활해지고 피봉제물의 품질도 양호해진다. 또한 상기 구조에 따르면, 전틀변부(11b)를 직접 지지하는 지지 샤프트(123)의 전단이 전틀변부(11b)보다 전방으로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전틀변부 지지 기구(120) 는 전체적으로 수납성이 양호하여 잘 방해가 되기 않는다.
재봉기 헤드(4)의 헤드 수가 증가한 경우 등에는 전틀변부 지지 기구(120)의 수를 늘림으로써 대응하여도 좋다.
<실시예 5>
도 16에 도시한 실시예 5는, 실시예 2와 동일한 평판형의 봉제틀(68)이 부착되고, 후단 지지 기구(72)와 전단 지지 기구(77)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예 4와 다르다. 그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4와 대략 동일하므로, 실시예 4의 설명을 원용한다. 실시예 5에 의해서도 봉제틀(68)의 앞처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6>
도 17∼도 21에 도시한 실시예 6은, 실시예 4보다 다수의 봉제틀과 실시예 4보다 좌우로 긴 지지틀(11)을 구비하고 있으며, 다수의 봉제틀(8)을 앞처짐하지 않도록 지지하기 때문에 두 대의 상측의 전틀변부 지지 기구 이외에, 1대의 하측의 전틀 변부 지지 기구가 설치된 점에서 실시예 4와 다르다. 그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4와 대략 동일하므로 실시예 4의 설명을 원용한다.
상측의 전틀변부 지지 기구(120)는 실시예 4의 그것과 대략 동일한 구성이며, 지지 프레임(122) 및 지지 프레임(51f)은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후단이 재봉기 프레임(1f)의 후빔(104)에 브래킷(105)에 의해 부착되고, 중간부가 전빔(106)에 브래킷(107)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122)의 전단부 상면에는 스위치 박스(124)가 설치되고, 그 전면에 다두 재봉기(1)의 기동/정지 스위치(125)와 비상 정지 스위치(126)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각 스위치(125, 126)는 지지틀(11)이 가장 전방으로 변위하였을 때 재봉기(103) 앞에 서는 오퍼레이터의 손이 닿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122)의 전후 양단 사이에는 전후 구동 장치(51)의 벨트(112)와 지지 레일(51a, 121)이 설치되고, 지지 프레임(122)의 후단에 벨트(112)의 구동 풀리(도시 생략)를 회전하는 축(114)이 지지되어 있다. 지지 샤프트(123)의 전단에는 전틀변부 지지 부재(131)가 설치되고, 이 부재(131)에 의해 지지틀(11)의 전틀변부(11b)의 좌우 중간부가 지지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122)의 전단부 하면에는 지지 샤프트(123)의 상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경질 수지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흔들림 방지구(132)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샤프트(123)가 벨트(112)의 회전에 따라 지지틀(11)과 일체로 전후로 변위하고, 흔들림 방지구(132)가 지지 샤프트(123)의 진동을 상측에서 규제하여 이 샤프트(123)를 수평면 내에 유지하여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측의 전틀변부 지지 기구(120)에 따르면, 지지 프레임(122)과 지지 샤프트(123)에 의해 지지틀(11)의 앞처짐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흔들림 방지구(132)에 의해 지지틀(11)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고, 이로써 장척의 봉제틀(8) 상에서 피봉제물을 정밀하게 자수 가공할 수 있다.
한편, 흔들림 방지구로는, 도 18에 도시한 슬라이딩 접촉 부재 대신, 도 19에 도시한 전동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9(a)에 도시한 흔들림 방지구(133)는, 지지 프레임(122)의 전단면에 브래킷(134)을 구비하고, 브래킷(134)에 롤 러(135)를 지지하고, 롤러(135)가 지지 샤프트(123)의 상면에 접촉하여 전동하고, 이 샤프트(123)의 진동을 상측에서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9(b)에 도시한 흔들림 방지구(136)는, 브래킷(137)에 상하 한 쌍의 롤러(138, 139)를 구비하고, 롤러(138, 139)가 지지 샤프트(123)를 협지한 상태에서, 이 샤프트(123)의 진동을 상하 양측에서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하측의 전틀변부 지지 기구(141)는,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틀(11)의 전틀변부(11b)에 연결되는 전틀 연결 부재(142)와, 지지틀(11)의 하측에서 전틀 연결 부재(142)를 전후로 변위 가능하게 지승하는 지승 부재(143)와, 지승 부재(143)를 바닥면 상에 지지하는 가대 프레임(144)과, 가대 프레임(144)을 재봉기 프레임(1f)의 다리부(108)에 접속하는 접속 프레임(145)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틀 연결 부재(142)는 전틀변부(11b)를 고정적으로 협지하는 상하 한 쌍의 블록(146, 147)을 구비하며, 각 블록(146, 147)이 볼트(148)에 의해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지승 부재(143)는 상면이 개방된 홈형강의 내측에 전후로 긴 레일(149)을 구비하고 있고, 레일(149)에 지지된 슬라이더(150)에 전틀 연결 부재(142)의 하측 블록(147)이 볼트(151)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가대 프레임(144)은 상단의 수평틀(144a)에 지승 부재(143)의 높이를 조절하는 전후 한 쌍의 나사식 조절구(152)를 구비하고 있고, 하단에 동일한 높이 조절구(153)와 흡진 패드(154)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 프레임(145)은 후단이 재봉기 프레임(1f)의 다리부(108)에 고정되고, 전단이 접속구(155)에 의해 가대 프레임(144)에 분해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따라 서, 이 하측의 전틀변부 지지 기구(141)의 구성에 따르면, 지지틀(11)의 전틀변부(11b)를 그 하측에 설치한 지승 부재(143)로 앞처짐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음과 함께, 전틀변부(11b)의 상하 방향의 진동을 연결 부재(142)로 억제할 수 있고, 이로써 장척의 봉제틀(8)에 펼쳐 놓여진 청바지 등의 무거운 피봉제물을 정밀하게 자수 가공할 수 있다.
<실시예 7>
도 22∼도 26에 도시한 실시예 7은, 실시예 1과 대략 동일한 봉제틀을 구비한 것이다. 원통형의 봉제틀(8)은 봉제틀(8)보다 약간 길면서 그보다 약간 소직경의 원통형의 내틀(9)을 포함하고 있고, 내틀(9)을 봉제틀(8)의 내측에 삽입하여 내외 2중으로 구성되어 있다. 봉제틀(8)은 전단이 폐쇄된 전측 원통형 요소(8c)와, 전후 양단이 개방된 후측 원통형 요소(8d)와, 이 둘을 접속하는 접속 요소(8f)와, 가공천(W)의 자수 범위를 정하는 봉제창(8h)을 구비하고 있다.
봉제창(8h)은 접속 요소(8f)와 동일한 길이로 이 요소(8f)를 제외한 둘레 방향의 넓은 범위에서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측 원통형 요소(8c)의 전단면에는 지지틀(11)의 전틀변부(11b)에 지지되는 축봉(8b)이 돌출 설치되고, 후측 원통형 요소(8d)의 후단에 회전 구동 기구(52a)에 연결되는 연결부(8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지지틀(11)의 전틀변부(11b)에는 지지부(18)로서의 브래킷이 장착되고, 브래킷에 축봉(8b)을 지지하는 베어링(20)이 설치되어 있다.
내틀(9)은 봉제틀(8)과 대략 동일한 길이의 장척 파이프(9a)의 후단에 단척 파이프(9b)를 접속하여 구성되며, 장척 파이프(9a)의 둘레벽에 자수기(1)의 봉제 침(자수 재봉기의 바늘)(5)이 관통하는 슬릿공(9h)이 봉제창(8h)과 대략 동일한 길이로 전후 방향으로 뻗어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단척 파이프(9b)의 후단에는 부착부로서의 단판(9c)(도 26 참조)이 고정 장착되고, 단판(9c)의 나사 삽통공(9d)에 통과시킨 나사(29)에 의해 내틀(9)의 후단이 좌우 구동 장치(52)의 회전 구동 기구(52a)의 수직판(부착 기판)(13)에 부착되어 있다. 한편, 수직판(13)은 지지틀(11) 상에 고정된 고정부이며, 지지틀(11)과 일체로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하고 회전은 하지 않는다.
상기 구성의 봉제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봉제틀(8)과 내틀(9)을 함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내틀(9)을 봉제틀(8)의 내측에 약간의 틈새를 통하여 삽입하였으므로, 통형틀을 전후로 긴 내외 2중의 틀 구조로 할 수 있다.
(2)이 2중틀 구조에 있어서, 내틀(9)은 봉제틀(8)의 봉제창(8h)을 내측으로부터 덮고, 가공천(W)을 봉제틀(8)의 원통면에 매우 근접하는 원통면에 의해 지지한다.
(3)따라서, 가공천(W)의 유지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봉제틀(8)의 장측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봉제창(8h)을 크게 개방하여, 청바지 등의 장척 통형 가공천(W)의 대형 무늬 가공에 충분한 자수 범위를 확보할 수 있다.
(4)또한 내틀(9)이 봉제창(8h)의 전역을 내측으로부터 덮고 있으므로 번거로운 심지붙임 작업을 생략하여 가공 능률을 높일 수 있다.
(5)심지가 불필요해짐으로써 봉제틀(8) 상에 심지를 유지하는 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통형틀 전체를 소수의 부품으로 심플하고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6)봉제틀(8)의 전후 양단을 축봉(8b)과 결합부(연결부)(8a)에 의해 지지틀(11)에 양팔보로 지지하였으므로, 봉제틀(8)의 앞처짐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청바지나 골프 가방 등의 무거운 장척 통형 봉제품이라도 그 넓은 범위에 자수 무늬를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다.
한편, 봉제틀(8)의 전단을 지지틀(11)에 지지하는 구조는 도 25에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봉제틀(8)의 전단면이 개방되고, 내틀(9)의 전단면에 지지편(35)이 돌출 설치되고, 지지틀(11)의 지지부(18)로서의 브래킷에 지지편(35)을 받치는 받침쇠(36)가 설치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내틀(9)과 봉제틀(8)의 전단부 사이에 유연재를 개재할 수도 있다.
<실시예 8>
도 28∼도 32에 도시한 실시예 8은, 원통형의 봉제틀(8)은 봉제창(8h)에 씌운 심지(160)에 의해 가공천(W)이 봉제틀(8)의 원통면을 따라 지지되고, 봉제틀(8)에 심지 누름 부재(166)와 그 누름 부재(176)가 설치된 점에서 실시예 1과 다르다. 그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대략 동일하므로, 실시예 1의 설명을 원용한다.
한편, 심지(160)에는 가공천(W)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두께의 후지, 부직포 등의 비교적 강성이 있는 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봉제틀(8)의 외주면에는 좌우 한 쌍의 띠형상편(161)이 봉제창(8h)의 장측 가장자리를 따라 뻗어있도록 고정 장착되고, 양쪽의 띠형상편(161) 사이에 지승 부재(162)가 가설되어 있다. 지승 부재(162)는 심지(160)를 봉제틀(8)과 동일한 원통면 내에 지승할 수 있도록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부착부(163)에서 나사(164)에 의해 띠형상편(161)의 나사공(165)에 전후 방향의 위치를 선택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띠형상편(161)의 하측에 심지 누름 부재(166)가 배치되고, 심지 누름 부재(166)에 의해 심지(160)를 봉제틀(8)에 눌러 밀착시키고, 띠형상편(161)에 의해 심지(160)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도 32b 참조).
도 30,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지 누름 부재(166)는 띠강판에 의해 봉제창(8h)보다 길게 형성되고, 후단에 부착편(168)을, 전단에 걸림편(171)을 구비하고 있다. 부착편(168)은 나사(169)에 의해 봉제틀(8)의 플랜지부(170)에 부착되며, 심지 누름 부재(166)의 후단을 봉제틀(8)에 고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걸림편(171)은 봉제틀(8)의 전단 잘림부(172)에 탄성적으로 걸리며, 심지 누름 부재(166)의 전단을 봉제틀(8)에 대하여 개방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심지 누름 부재(166)의 장측 방향 다수 개소에는 절개(173)에 의해 발톱(174)이 형성되고, 걸림편(171)이 심지 누름 부재(166)의 전단을 폐쇄한 상태에서, 발톱(174)이 심지(160)에 파고들어가 심지(160)를 봉제틀(8) 상에 강고하게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봉제창(8h)의 장측 방향 중간 위치에 있어서, 좌우의 심지 누름 부재(166)의 하측에는 누름 부재(176)가 설치되어 있다. 누름 부재(176)는 판 스프링에 의해 스트립 형태로 형성되며, 베이스단이 나사(177)와 너트(178)에 의해 봉제틀(8)에 피벗 장착되고, 선단부에 심지 누름 부재(166)의 중간부를 봉제틀(8)에 누르는 누름부(179)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해 누름 부재(176)는 누름부(179)가 심지 누름 부재(166)의 외면에 중첩되는 작용 위치(도 30에 도시한 실선 위치)와 누름부(179)가 심지 누름 부재(166)에서 하측으로 이격된 비 작용 위치(도 30에 도시한 쇄선 위치)로 전후 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 구성의 봉제틀(8)에 있어서, 청바지 등의 장척 통형 가공천(W)에 자수 무늬를 가공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3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 부재(176)를 비 작용 위치에 회동시키고, 심지 누름 부재(166)를 개방하고, 심지(160)를 봉제창(8h)에 씌운다. 다음, 도 3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지 누름 부재(166)를 폐쇄하고, 심지(160)를 심지 누름 부재(166)와 봉제틀(8)과의 사이에 끼워붙인다. 그리고, 누름 부재(176)를 작용 위치로 회동시키고, 누름부(179)에서 심지 누름 부재(166)의 중간부를 봉제틀(8)에 누르고, 심지 누름 부재(166)를 탄성 변형시켜 발톱(174)이 심지(160)에 파고들어가게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봉제창(8h)의 장측 방향 중간 위치에 있어서, 누름 부재(176)의 탄력에 의해 심지(160)를 봉제틀(8) 상에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계속하여, 심지(160)에 가공천(W)을 씌우고, 가공천(W) 및 심지(160)를 심지 누름 부재(166)와 함께 밴드(180)(도 30 참조)에 의해 봉제틀(8)에 조여붙이고, 가공천(W)의 잉여부를 봉제틀(8)의 하면에 돌출 설치한 돌조(181)(도 31 참조)에 클립(도시 생략)으로 끼워붙여 유지한다. 그 후, 봉제틀(8)을 지지틀(11)에 부착하 고, 자수 재봉기(1)를 기동하여, 가공천(W)에 길이 방향으로 긴 자수 무늬를 가공한다. 이 때, 심지(160)가 누름 부재(176)에 의해 봉제틀(8)에 강고하게 유지되어 있으므로, 바늘 낙하 시의 충격으로 심지(160)가 변형할 우려가 없다. 따라서, 심지(160)에 의해 가공천(W)을 정규의 원통 형상으로 유지하여 자수 무늬를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적당히 변경하여 구체화할 수도 있다.
(a)도 29에 도시한 심지 누름 부재(166)를 봉재에 의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는 것.
(b)심지 누름 부재(166)를 후단의 축에 의해 봉제틀(8)에 좌우 또는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것.
(c)심지 누름 부재(166)의 전단을 봉제틀(8)에 고정적으로 유지하고, 심지 누름 부재(166)의 후단을 봉제틀(8)에 대하여 개방 가능하게 유지하는 것.
(d)도 29에 도시한 누름 부재(176)를 봉제창(8h)의 길이 범위 내에서 두 개 또는 세 개 설치하는 것.
<실시예 9>
도 33, 도 34에 도시한 실시예 9는 봉제틀(8)의 구성에 있어서 실시예 8과 다르다. 봉제틀(8)은 원통형의 둘레벽에 세 개의 봉제창(8h1, 8h2, 8h3)과 세 개의 보강벽(8w1, 8w2, 8w3)을 각각 전후 방향으로 길게 뻗어있도록 구비하고 있다. 제1 봉제창(8h1)은 실시예 8의 봉제창(8h)와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제2 및 제3 봉제창(8h2, 8h3)이 제1 봉제창(8h1)보다 작은 면적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 어 있다. 제1 보강벽(8w1) 및 제2 보강벽(8w2)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한 심지 누름 부재(166)가 첨설되고, 심지 누름 부재(166)의 중간부를 누르는 누름 부재(176)가 제3 보강벽(8w3)의 지지편(8p)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실시예 9의 구성에 따르면, 봉제틀(8)에 세 개의 봉제창(8h1, 8h2, 8h3)과 동 수의 보강벽(8w1, 8w2, 8w3)을 형성하였으므로, 장척의 봉제틀(41)에 있어서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봉제틀(8)을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세 개의 봉제창(8h1, 8h2, 8h3)이 봉제틀(8)의 둘레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커다란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회전 구동 기구(52a)에 의해 각 봉제창(8h1, 8h2, 8h3)을 자수 재봉기(1)의 봉제 위치에 선택적으로 할당함으로써 봉제틀(8)의 자수 범위를 대폭으로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가공천(W)을 다시 펴놓지 않고도 청바지 등에 길이 방향으로 긴 자수 무늬를 둘레 방향의 각 곳에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10>
도 35∼도 40에 도시한 실시예 10은, 통형의 봉제틀(8)이 베이스틀(8m)과 천펼침틀(182)을 구비하고, 봉제창의 형상이 다른 복수의 천펼침틀(182)을 베이스틀(8m)에 교환 가능하게 부착한 점에서 실시예 1과 다르다. 그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대략 동일하므로, 실시예 1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36, 도 37,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제틀(8)은, 봉제틀 구동 장치(10)에 부착되는 베이스틀(8m)과, 장척 통형 가공천(W)을 펼쳐놓는 전후 방향의 긴 천펼침틀(182)을 구비하며, 전체가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틀(8m)은 천펼침틀(182)보다 약간 긴 원통형으로 판금 성형되고, 전단이 폐쇄된 전측 요 소(8c)와, 전후 양단이 개방된 후측 요소(8d)와, 전측 요소(8c)와 후측 요소(8d)를 연결하는 연결 요소(8e)와, 연결 요소(8e)와 동일한 길이의 개구부(8i)를 구비하고 있다.
전측 요소(8c)의 전단면에는 축봉(8b)이 돌출 설치되고, 전측 요소(8c)의 둘레벽에 천펼침틀(182)의 전단부(182a)를 지지하는 전측 지지부(8j)가 설치되어 있다. 후측 요소(8d)에는 플랜지(170)가 고정 장착되고, 플랜지(170) 뒤에 회전 구동 기구(52a)에 부착되는 결합부(부착부)(8a)가 설치되고, 플랜지(170) 앞에 천펼침틀(182)의 후단부(182b)를 지지하는 후측 지지부(8k)가 설치되어 있다.
천펼침틀(182)은 반원통형으로 판금 성형되며, 베이스틀(8m)과 대략 동일 직경의 원통면 내에 가공천(W)의 자수 범위를 정하는 봉제창(182h)과, 봉제창(182h)의 좌우 양측에서 베이스틀(8m)의 연결 요소(8f)에 접합하는 접합부(182c)와, 봉제창(182h)의 하측에서 접합부(182c)를 좌우로 개방하는 개방부(182d)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천펼침틀(182)이 개방부(182d)를 통하여 베이스틀(8m)에 착탈 가능하게 씌워지며, 복수의 나사(183)(도 38 참조)에 의해 베이스틀(8m)에 부착되어 있다.
이 봉제틀(8)에는 봉제창(182h)의 형상이 다른 복수의 천펼침틀(182)이 준비되어 있다. 도 38에 도시한 천펼침틀(182A)은, 예를 들어 바지(청바지를 예시) 등의 장척 통형 가공천(W)의 폭방향으로 넓고 길이 방향으로 곧은 장방형의 봉제창(182Ah)을 구비하고 있다. 도 39(a), (b)에 도시한 천펼침틀(182B, 182C)은 폭방향으로 좁고 길이 방향으로 만곡하는 궁형의 봉제창(182Bh, 182Ch)을 구비하고 있다. 도 40(a), (b)에 도시한 천펼침틀(182D)은, 폭방향으로 좁고 길이 방향으로 사행하는 파형의 봉제창(182Dh)을 구비하고 있다.
봉제창(182Ah∼182Dh)은 가공천(W)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는 자수 무늬를 가공할 수 있도록 어느 것이나 천펼침틀(182A∼182D)의 전단부(182a)와 후단부(182b) 사이를 길게 뻗어있다. 그리고, 각 천펼침틀(182A∼182D)이 전후 양단부(182a, 182b)를 베이스틀(8m)의 전후의 지지부(8j, 8k)에 걸쳐 놓은 상태에서, 베이스틀(8m)에 교환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한편, 가공천(W)은 벨트(184)(도 38 참조)에 의해 봉제틀(8)에 유지되고, 가공천(W)의 잉여부가 베이스틀(8m)의 하면에 돌출 설치된 천 고정구(185)(도 37 참조)에 클립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실시예 10의 자수 가공용 봉제틀(8)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베이스틀(8m)의 전측 요소(8c)와 후측 요소(8d)가 천펼침틀(182)을 전후 양단부(182a, 182b)에서 지지하므로, 봉제창(182h)을 천펼침틀(182)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는 자수 무늬를 가공천(W)을 교체하지 않고 하나의 공정으로 능률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
(2)천펼침틀(182)을 베이스틀(8m)에 교환 가능하게 부착하였으므로, 봉제창(182h)의 형상을 자수 패턴에 맞추어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38에 도시한 천펼침틀(182A)을 이용하여 길이 폭 모두 최대인 대형 자수 무늬를 가공하거나, 도 39(a), (b)에 도시한 천펼침틀(182B, 182C)을 이용하여 폭이 좁은 궁형 자수 무늬를 가공하거나, 도 40(a)에 도시한 천펼침틀(182D)을 이용하여 파형 자수 무늬(잔무늬를 아로새겨 전체적으로 크게 보이게 하는 자수 무늬)를 가공하거나, 도 4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천펼침틀(182D)을 전후로 반전시켜 좌우 반대의 파형 자수 무늬를 가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자수 패턴에 따라 봉제창(182h)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천(W)을 적정한 개구 면적의 봉제창(182h)에 씌워, 봉제 중의 가공천(W)의 변형이나 느슨해짐을 방지하고, 자수 무늬의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4)자수 패턴의 변경에 천펼침틀(182)의 단품 교환으로 대처할 수 있고, 몇 종류나 되는 봉제틀을 준비할 필요가 없어져 자수 재봉기(1)의 부속품 관리가 용이해진다.
(5)천펼침틀(182)에 개방부(182d)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베이스틀(8m)을 봉제틀 구동 장치(10)에 부착한 채의 상태에서 천펼침틀(182)만을 교환하여 베이스틀(8m)에 부착할 수 있다.
(6)미끄러지기 쉬운 가공천의 경우에 표면을 미끄럼 방지 처리한 천펼침틀(182)을 사용하거나, 무거운 가공천의 경우에 두꺼운 천펼침틀(182)을 사용하는 등 가공천(W)의 재질이나 종류에 따라 천펼침틀(182)의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7)베이스틀(8m)에 두꺼운 강판을 사용하거나(도 37 참조), 천펼침틀(182)에 비교적 얇은 강판이나 수지판을 사용하는 등 부하에 따른 재료 선택이 가능해지고, 봉제틀(8) 전체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 11>
도 41, 도 42에 도시한 실시예 11은 봉제틀(8)의 베이스틀(8m)의 구조 및 천 펼침틀(182)의 형상에 있어서 실시예 10과 다르다.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틀(8m)은 봉제틀 구동 장치(10)의 전측 부분(지지부(17)로서의 브래킷)에 부착되는 전측 요소(8c)와, 봉제틀 구동 장치(10)의 후측 부분(회전 구동 기구(52a))에 부착되는 후측 요소(8d)를 분리한 상태에서 구비하고 있다. 전측 요소(8c)에는 천펼침틀(182)의 전단부(182a)를 지지하는 전측 지지부(8j)가 설치되고, 후측 요소(8d)에 천펼침틀(182)의 후단부(182b)를 지지하는 후측 지지부(8k)가 설치되어 있다.
천펼침틀(182)은 전체 둘레가 폐쇄된 원통형으로 성형되고, 베이스틀(8m)과 대략 동일한 직경의 원통면 내에 가공천(W)의 자수 범위를 정하는 봉제창(182h)을 구비하고 있다. 천펼침틀(182)의 전단부(182a)는 베이스틀(8m)의 전측 지지부(8j)에 삽입되고, 후단부(182b)가 후측 지지부(8k)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도 42(a), (b)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천펼침틀(182A, 182B)에 다른 형상의 봉제창(182Ah, 182Bh)이 형성되고, 각 천펼침틀(182A, 182B)이 전후 양단부(182a, 182b)를 베이스틀(8m)의 전후의 지지부(8j, 8k)에 걸쳐 놓은 상태에서 교환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11의 자수 가공용 봉제틀(8)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8)천펼침틀(182)이 전체 둘레를 폐쇄한 원통형으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강성을 높이고, 무거운 장척 통형 가공천의 전체 길이를 수평면 내에 정확하게 지지할 수 있다.
(9)천펼침틀(182)의 둘레 방향으로 봉제창(182h)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나선형 패턴의 자수 무늬의 가공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12>
도 43에 도시한 실시예 12는, 봉제틀(68)이 봉제틀 구동 장치에 부착되는 평평한 베이스틀(68m)과 장척 통형 가공천을 펼쳐놓는 평평한 천펼침틀(183)을 구비하고, 전체가 평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틀(68m)은 틀 구동 장치의 전측 부분에 부착되는 전단부(68b)와 틀 구동 장치의 후측 부분에 부착되는 후단부(68a)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평틀형의 봉제틀(68)의 경우에는, 틀 구동 장치가, 도 35에 도시한 회전 구동 기구(52a) 대신, 베이스틀(68m)을 좌우 방향으로 직선 구동하는 기구를 장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틀(68m)이 청바지의 부츠컷 형상에 맞추어 끝이 좁게 판금 성형되어 있다.
전단부(68b)에는 천펼침틀(183)의 전단부(183a)를 지지하는 전측 지지부(68j)가 설치되고, 후단부(68a)에 후단부(183b)를 지지하는 후측 지지부(68k)가 설치되어 있다. 천펼침틀(183)에는 가공천의 자수 범위를 정하는 봉제창(183h)이 전단부(183a)와 후단부(183b)와의 사이를 뻗어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봉제창(183h(183Ah, 183Bh))의 형상이 다른 복수의 천펼침틀(183(183A, 183B))이, 전후 양단부(183a, 183b)를 베이스틀(68m)의 전후의 지지부(68j, 68k)에 걸쳐 놓은 상태로 베이스틀(68m)에 교환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이 평틀형의 봉제틀(68)에 의해서도 자수 무늬를 장척 통형 가공천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폭 방향으로 다양한 패턴으로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다.
<실시예 13>
도 44∼도 49에 도시한 실시예 13은, 평강판제의 봉제틀(68)의 구성에 있어서 실시예 2와 다르다. 그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2와 대략 동일하므로, 실시예 2의 설명을 완용한다.
봉제틀(68)에는 폭이 좁은 전측 부분(68e)과 폭이 넓은 후측 부분(68f)과 테이퍼형의 중간 부분(68g)이 형성되어 있다. 전측 부분(68e)의 전단에는 회전판(79)을 연결하는 연결부(68b)가 설치되고, 후측 부분(68f)의 후단에 후단 지지 부재(73)에 결합되는 결합부(68a)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68b)와 결합부(68a)를 제외한 영역에 있어서, 봉제틀(68)에는 봉제창(69)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봉제창(69)은 봉제틀(68)의 전측 부분(68e)에 포함되는 폭협부(69a)와, 후측 부분(68f)에 포함되는 폭광부(69b)와, 중간 부분(68g)에 포함되는 테이퍼부(69c)를 구비하며, 각 부(69a, 69b, 69c)에 의해 장척의 통형 가공천(W)(도 49 참조)의 자수 범위가 획정된다.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제틀(68)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는 보강 리브(187)가 봉제창(69)의 장측 가장자리를 따라 뻗어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보강 리브(187)는, 봉제틀(68)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하향으로 절곡된 외측 리브(188)와, 외측 리브(188)의 내면에 용접된 내측 리브(189)에 의해 2중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측 리브(188)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상부 천 고정구(190)가 외향으로 절곡되고, 내측 리브(189)의 상단에 봉제틀(68)의 하면에 맞닿는 경사부(191)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리브(189)의 하부 외면에는 상부 천 고정구(190)와 서로 대향 하는 복수의 하부 천 고정구(192)가 용접(도 45의 193은 용접부를 나타냄)되고, 상하의 천 고정구(190, 192)에 가공천(W)이 클립(194)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봉제틀(68)의 전단 연결부(68b)의 상면에는 좌우 한 쌍의 종리브(195)가 용접되어 있다. 한편, 봉제틀(68)의 하면에 실린더 베드(7)와의 금속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유연재(186)를 붙일 수도 있다.
도 46∼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제틀(68)에는 가공천(W)을 실린더 베드(7) 전단의 바늘 낙하 구멍(P)(봉제 위치)에 맞추기 위한 위치 맞춤 지그(201)가 착탈 가능하게 씌워져 있다. 이 위치 맞춤 지그(201)는 평평한 강판 또는 플라스틱판에 의해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위치 맞춤 지그(201)를 봉제틀(68)의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좌우 한 쌍의 좌우결정부(202, 203)와, 위치 맞춤 지그(201)를 봉제틀(68)의 장측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전후 한 쌍의 전후결정부(204, 205)를 구비하고 있다. 좌우결정부(202, 203)는 봉제틀(68)의 외측 리브(188)에 외측으로부터 대향하도록 하향으로 절곡되고, 전단의 전후결정부(204)가 봉제틀(68)의 종리브(195)에 후측으로부터 대향하도록 상향으로 절곡되고, 후단의 전후결정부(205)는 후단 지지 부재(73) 상의 보강쇠(206)에 전방으로부터 대향하도록 상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한 위치 맞춤 지그(201)에는 봉제창(69)의 위치를 가공천(W)의 상측에서 오퍼레이터에게 지시하는 개구부(207)가 봉제창(69)과 닮은꼴이면서 봉제창(69)을 축소한 형상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좌우결정부(202, 203)에 손잡이(208)가 외향으로 절곡되고, 개구부(207)의 주위에 위치 맞춤용 표식(20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봉제틀(68)에 있어서, 청바지 등의 장척 통형 가공천(W)에 자수 무늬를 가공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4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맞춤 지그(201)를 봉제틀(68)에서 제거하고, 두꺼운 심지(도시 생략)를 봉제창(69)에 씌우고, 가공천(W)을 봉제틀(68)에 전단측으로부터 삽입하고, 심지에 포갠 상태로 봉제창(69)에 씌운다. 다음, 위치 맞춤 지그(201)를 가공천(W) 위로부터 봉제틀(68)에 씌우고(도 47 참조), 좌우결정부(202, 203)와 전후결정부(204, 205)에 의해 전후 좌우로 위치 결정하고, 가공천(W)의 박음 시작 부위를 바늘 낙하 구멍(P)에 맞춘다. 이 때, 바늘 낙하 구멍(P)은 가공천(W)에 가려져 보이지 않지만, 오퍼레이터는 지그(201)의 개구부(207)의 윤곽과 표식(209)에 따라 박음 시작 부위를 바늘 낙하 구멍(P)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한편, 도 49(a)는 가공천(W)의 폭협부(부츠컷 청바지의 밑단부)(Wa)를 봉제창(69)의 폭협부(69a)에 위치 맞춤한 상태를 나타낸다.
계속하여,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공천(W)을 봉제창(69) 위에서 잡아당겨 펼쳐놓고, 가공천(W)의 좌우 양측부를 클립(194)에 의해 보강 리브(187)의 상하의 천 고정구(190, 192)에 고정한다. 그 후, 위치 맞춤 지그(201)를 봉제틀(68)에서 제거하고, 봉제틀(68)의 후단 결합부(68a)를 봉제틀 구동 기구의 후단 지지 부재(73)에 나사(도시 생략) 등으로 결합하고, 봉제틀(68)의 전단 연결부(68b)를 전단지지 부재(슬라이딩판)(79)를 통하여 지지틀(11)의 전단 지지부(78)에 지지한다(도 44 참조). 그리고, 자수 재봉기(1)를 기동하고, 봉제틀(68)을 전후 좌우 방향으로 구동하고, 가공천(W)의 폭협부(Wa)에 비교적 잔무늬의 자수 무늬를 가공한 다. 이 때, 봉제틀(68)이 내외 2중의 보강 리브(187)에 의해 보강되어 있으므로, 봉제틀(68)이 자중이나 바늘 낙하 시의 충격으로 변형될 우려가 없다. 따라서, 장척의 통형 가공천(W)을 봉제틀(68)에서 수평면 내에 정확하게 유지하여, 자수 무늬를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척 통형 가공천(W)의 폭광부(청바지의 허리 주변부)(Wb)에 자수 무늬를 가공하는 경우에는, 폭광부(Wb)를 봉제창(69)의 폭광부(69b)에 씌우고, 가공천(W)의 박음 시작 부위를 바늘 낙하 구멍(P)에 맞추고, 가공천(W)의 좌우 양측부를 클립(194)에 의해 천 고정구(190, 192)에 고정한 후, 자수 재봉기(1)를 기동하여 폭광부(Wb)에 비교적 큰 자수 무늬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면, 부츠컷 청바지 등의 이형 봉제품을 가공하는 경우에 틀 교환을 불필요하게 하여, 한 종류의 봉제틀(68)을 이용하여 가공천(W)의 폭협부(Wa)와 폭광부(Wb)에 다른 크기의 자수 무늬를 능률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봉제창(69)의 전체 길이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가공천(W)을 봉제틀(68)에 다시 펼쳐놓지 않고, 그 길이 방향으로 긴 자수 무늬를 용이하게 가공할 수도 있다.
실시예 13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적당히 변경하여 구체화할 수도 있다.
(1)봉제틀(68)을 티셔츠나 베개 커버 등의 비교적 짧은 통형 가공천의 자수 가공에 사용하는 것.
(2)봉제틀(68)을 목욕 수건이나 머플러 등의 평물의 자수 가공에 사용하는 것.
(3)클립(194)에 의해 고정할 여유가 없는 폭이 좁은 가공천의 경우, 이를 봉 제창(69)의 주위 복수 개소에서 양면 접착 테이프에 의해 봉제틀(68)에 펼쳐놓는 것.
(4)봉제틀(68)을 전후 방향의 각 부가 동일한 폭이 되도록 전후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하는 것.
(5)봉제창(69)의 폭협부(69a)를 봉제틀(68)의 후측 부분에 형성하고, 봉제창(69)의 폭광부(69b)를 봉제틀(68) 전측 부분에 형성하는 것.
<실시예 14>
도 50∼도 54에 도시한 실시예 14는, 평판형의 봉제틀의 상면에 통형 가공천의 자수 범위의 주위부를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평강판제의 봉제틀(68)의 장측 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어 60∼100cm, 단측 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어 12cm∼25cm이다. 봉제틀(68)의 전단에는 전단 지지 부재(슬라이딩판)(79)를 연결하는 연결부(68b)가 설치되고, 후단에는 후단 지지 부재(73)에 결합되는 결합부(68a)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68b)와 결합부(68a)를 제외한 영역에 있어서, 봉제틀(68)에는 봉제창(69)이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봉제창(69)에 의해 장척의 통형 가공천(W)(도 54 참조)의 자수 범위가 획정된다.
도 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제틀(68)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는 보강 리브(187)가 봉제창(69)의 장측 가장자리를 따라 뻗어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보강 리브(187)는 봉제틀(68)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하향으로 절곡된 외측 리브(188)와 외측 리브(188)의 내면에 용접된 내측 리브(189)에 의해 2중으로 구성되어 있 다. 외측 리브(188)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천 고정구(190)가 외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내측 리브(189)의 상단에 봉제틀(68)의 하면에 맞닿는 경사부(191)가 설치되어 있다. 천 고정구(190)에 가공천(W)이 스프링 개폐식의 클립(194)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봉제틀(68)의 전단 연결부(68b)의 상면에는 좌우 한 쌍의 종리브(195)가 용접되어 있다. 한편, 봉제틀(68)의 하면에 실린더 베드(7)와의 금속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유연재(186)를 붙일 수도 있다.
도 52∼도 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제틀(68)에는 가공천(W)을 실린더 베드(7) 전단의 바늘 낙하 구멍(P)(봉제 위치)에 맞추기 위한 위치 맞춤 지그(201)가 착탈 가능하게 씌워진다. 이 지그(201)는 평평한 강판 또는 플라스틱판에 의해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지그(201)를 봉제틀(68)의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좌우 한 쌍의 좌우결정부(202, 203)를 구비하고 있다. 좌우결정부(202, 203)는 봉제틀(68)의 보강 리브(187)에 외측으로부터 대향하도록 하향으로 절곡되고, 또한 지그(201)에는 봉제창(69)의 위치를 가공천(W)의 상측으로부터 오퍼레이터에게 지시하는 개구부(207)가 봉제창(69)과 닮은꼴이면서 봉제창(69)을 축소한 형상으로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개구부(207)의 주위에 위치 맞춤용 표식(20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봉제틀(68)에 있어서, 바지 등(예를 들어 청바지 등)의 장척의 통형 가공천(W)에 자수 무늬를 가공하는 경우에는, 먼저 위치 맞춤 지그(201)를 봉제틀(68)에서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 두꺼운 심지(도시 생략)를 봉제창(69)에 씌우고), 통형 가공천(W)을 봉제틀(68)에 전단측으로부터 삽입하여 봉제창(69)에 씌 운다. 다음, 위치 맞춤 지그(201)를 가공천(W) 위로부터 봉제틀(68)에 씌우고(도 53 참조), 좌우결정부(202, 203)에 의해 보강 리브(187)에 위치 결정하고, 가공천(W)의 박음 시작 부위를 바늘 낙하 구멍(P)에 맞춘다. 이 때, 바늘 낙하 구멍(P)은 통형 가공천(W)에 가려져 보이지 않지만, 오퍼레이터는 지그(201)의 개구부(207)의 윤곽과 표식(209)에 따라 박음 개시 부위를 바늘 낙하 구멍(P)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계속하여, 도 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형 가공천(W)의 자수 범위를 봉제창(69) 상에서 평평하게 잡아당겨 펼치고, 통형 가공천(W)의 자수 범위의 주위부(본 예에서는 좌우 양측부)를 클립(194)에 의해 보강 리브(187)의 천 고정구(190)에 고정한다. 그 후, 위치 맞춤 지그(201)를 봉제틀(68)에서 제거하고, 봉제틀(68)의 후단결합부(68a)를 X 구동틀(10)의 후단 지지 부재(73)에 나사(도시 생략) 등에 의해 결합하고, 봉제틀(68)의 전단 연결부(68b)를 전단 지지 부재(슬라이딩판)(79)를 통하여 지지틀(11)의 전단 지지부(78)에 지지한다(도 50 참조). 그리고, 자수 재봉기(1)를 기동하고, 봉제틀(68)을 전후 좌우 방향으로 구동하여, 통형 가공천(W)의 자수 범위에 자수 무늬를 가공한다. 이 때, 봉제틀(68)이 내외 2중의 보강 리브(187)에 의해 보강되어 있으므로, 봉제틀(68)이 자중이나 바늘 낙하 시의 충격으로 변형할 우려가 없다. 따라서, 장척의 통형 가공천(W)을 봉제틀(68)에서 수평면 내에 정확하게 유지하여 자수 무늬를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다.
[변경예 1]
도 55에 도시한 실시예 14의 변경예 1은, 봉제틀(68)을 단측 방향으로 한 쌍 의 단부(68p, 68q)와 이 양단부(68p, 68q) 사이의 연결부(68r)로 3분할 형성하고, 한 쌍의 단부(68p, 68q)와 연결부(68r)를 위치 조절 가능하게 나사(204)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a)와 같이 봉제창(69)을 장방 형상인 채로 단측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게 하거나, (b)와 같이 봉제창(69)을 장방형과 사다리꼴 사이의 형상 변화를 수반하면서 신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예에서는 또한, 봉제틀(68)을 장측 방향으로 한 쌍의 단부(68u, 68v)와 이 양단부 사이의 예를 들어 단면 L자형의 연결부(68w)로 3분할 형성하고, 한 쌍의 단부(68u, 68v)와 연결부(68w)를 위치 조절 가능하게 나사(204)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봉제창(69)을 장측 방향으로도 신축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본 예에 따르면, 하나의 봉제틀(68)에 의해 굵기나 자수 범위가 다른 통형 가공천에 대응하여 적용할 수 있고, 최대한의 자수 범위를 확보할 수도 있다. 또한 봉제창을 장방형과 사다리꼴 사이의 형상 변화를 수반하면서 신축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봉제틀(68)에 의해 부츠컷 청바지 등의 이형 봉제품을 가공하는 경우, 틀 교환을 불필요하게 하여 대응할 수 있다.
[변경예 2]
도 56에 도시한 실시예 14의 변경예 2는, 봉제틀(68)이 폭이 좁은 전측 부분(68e)과 폭이 넓은 후측 부분(68f)과 테이퍼형의 중간 부분(68g)을 구비하는 형상을 이루고, 전측 부분(68e)에 봉제창(69)의 폭협부(69a)가 형성되고, 후측 부분(68f)에 폭광부(69b)가 형성되며, 중간 부분(68g)에 테이퍼부(69c)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예와 다른 것이다. 또한 봉제틀(68)을 단측 방향으로 한 쌍의 단 부(68p, 68q)와 이 양단부(68p, 68q) 사이의 연결부(68r)로 3분할 형성하고, 한 쌍의 단부(68p, 68q)와 연결부(68r)를 위치 조절 가능하게 나사(204)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봉제창(69)을 단측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예에 따르면, 통형 가공천(W)의 폭협부(예를 들어 바지의 밑단부)에 자수 무늬를 가공하는 경우에는, 그 부분을 폭협부(69a)에 펼쳐놓고, 통형 가공천의 폭광부(예를 들어 바지의 허리 주변부)에 자수 무늬를 가공하는 경우에는 그 부분을 폭광부(69b)에 펼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츠컷 청바지 등의 이형 봉제품을 가공하는 경우 틀 교환을 불필요하게 하고, 한 종류의 봉제틀(68)을 사용하여 가공천의 폭협부와 폭광부에 다른 크기의 자수 무늬를 능률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변경예 1과 동일하게 봉제창(69)의 신축에 따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변경예 3]
도 57에 도시한 실시예 14의 변경예 3의 봉제틀(68)은, 봉제틀(68)뿐만 아니라 통형 가공천의 자수 범위의 주위부를 봉제틀(68) 상에 누르는 가늘고 긴 평판형의 누름틀(211)을 구비하며, 누름틀(211)에 봉제틀(68)의 봉제창(69)과 대략 동일한 형상의 투과창(212)을 설치한 것이다. 본 예에서는, 봉제틀(68)이 한 겹(188에 해당)의 보강 리브(187)와 외측방에의 천 고정구(190)를 구비한 심플한 것이며, 누름틀(211)도 상방에의 보강 리브(213)와 외측방에의 천 고정구(214)를 구비한 심플한 것이다. 봉제틀(68)에 통형 가공천을 씌우고, 누름틀(211)에 의해 통형 가공천의 자수 범위의 주위부를 봉제틀(68) 상에 누르고, 클립(194)에 의해 두 천 고정구(190, 214)를 집어 고정한다.
본 예에 따르면, 봉제틀(68)과 누름틀(211)의 어느 틀에 의해서도 강도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자수 면적에 영향이 미치는 측의 구조를 특히 심플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바지나 암부 등과 같은 장척의 통형 가공천에 보다 적용하기가 쉽다.
실시예 14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적당히 변경하여 구체화할 수도 있다.
(1)봉제틀(68)을 티셔츠나 베개 커버 등의 비교적 짧은 통형 가공천의 자수 가공에 사용하는 것.
(2)봉제틀(68)을 목욕 수건이나 머플러 등의 평물의 자수 가공에 사용하는 것.
(3)클립(194)에 의해 고정할 여유가 없는 폭이 좁은 가공천의 경우, 이것을 봉제창(69)의 주위 복수 개소에서 양면 접착 테이프에 의해 봉제틀(68)에 펼쳐놓는 것.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봉제틀의 전후 양단을 장방형 틀 형태의 지지틀의 전후 틀변부에 지지함으로써 봉제틀의 전단을 하방으로 잘 처지지 않게 할 수 있다(기본적 효과).
청구항 8 이하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기본적 효과 이외에, 다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봉제틀이 포함하는 내틀의 전단에 개구부를 형성하였으므로, 상기한 기본적 효과 이외에, 작업자는 개구부로부터 손을 뻗어 재봉기 베드의 보빈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청구항 9, 10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봉제틀의 전단을 지지틀에 지지하고, 이 지지틀의 좌우 중간부를 앞처짐하지 않도록 지지함으로써, 봉제틀의 전단을 더 하방으로 잘 처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재봉기 프레임에 고정한 지지 프레임에, 지지 샤프트에 접촉하는 흔들림 방지구를 설치함으로써 지지 샤프트 및 지지틀의 진동을 억제하고, 장척 봉제틀 상의 피봉제물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지지틀에 연결한 연결 부재를 지지틀의 하측으로부터 지승하는 지승 부재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특히 장척 봉제틀 상의 무거운 피봉제물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장척의 봉제틀의 내측에 장척의 내틀을 삽입하고, 내틀이 봉제창의 내측으로부터 가공천을 지지하는 내외 2중의 틀 구조로 하였으므로, 가공천의 유지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봉제틀의 장측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봉제창을 크게 개방하여, 장척 통형 가공천의 대형 무늬 가공에 충분한 자수 범위를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심지를 불필요하게 하여 천 펼쳐놓음 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14, 1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누름 부재가 심지 누름 부재의 중간부를 봉제틀에 누르므로, 봉제창의 중간 부근에서의 심지의 유지력을 강화하여 심지의 느슨해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장척 통형 가공천을 자수함에 있어 심지 누름 부재를 길게 한 경우에도, 심지의 변형을 방지하고, 가공천을 봉제 틀의 외주면을 정확하게 따르게 하여 유지하고, 자수 무늬를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틀이 천펼침틀을 전후 양단부에서 지지하므로, 봉제창을 천펼침틀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천펼침틀을 베이스틀에 교환 가능하게 부착하였으므로, 봉제창의 형상이나 개구 면적을 자수 무늬의 패턴에 맞추어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자수 무늬를 장척 통형 가공천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폭 방향으로 다양한 패턴으로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평판형의 봉제틀에 봉제창을 전후로 길게 형성하였으므로, 장척 가공천을 자수함에 있어 봉제틀 전체의 중량을 통틀과 비교하여 경량화할 수 있고, 자수 무늬의 고속 가공에 유리하다. 또한 봉제창의 장측 가장자리를 따라 보강 리브를 설치하였으므로, 보강 리브에 의해 봉제틀의 변형을 방지하고, 가공천을 수평면 내에 정확하게 지지할 수 있다. 게다가, 봉제창의 전후에 폭협부와 폭광부를 형성하였으므로, 부츠컷 청바지 등의 이형 봉제품을 가공하는 경우에 틀 교환을 불필요하게 하여, 한 종류의 봉제틀로 가공천의 다른 부위에 다른 크기의 자수 무늬를 능률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가늘고 긴 평판형의 봉제틀에 가늘고 긴 봉제창을 형성하였으므로, 통형 가공천의 자수 범위가 봉제창에 평평하게 펼쳐 놓이기 때문에 어떠한 자수 방법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통형 가공천을 자수함에 있어, 평틀 전체의 중량을 통틀과 비교하여 경량화할 수 있고, 자수 무늬의 고속 가공에 유리하다.
더욱이, 청구항 19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오퍼레이터는 위치 맞춤 지그의 개구부의 윤곽에 따라 박음질 시작 부위를 바늘 낙하 구멍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0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평틀로 굵기나 자수 범위가 다른 통형 가공천에 대응하여 적용할 수 있고, 최대한의 자수 범위를 확보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청구항 2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평틀로 부츠컷 청바지 등의 이형 봉제품을 가공하는 경우에, 틀 교환이 불필요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봉제틀과 누름틀의 어느 틀로도 강도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자수 면적에 영향이 미치는 측의 구조를 심플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바지나 암부 등과 같이 장척의 통형 가공천에 보다 적용하기 쉽다.

Claims (22)

  1. 전후로는 변위하지만 좌우로는 변위하지 않는 장방형 틀 형태의 지지틀의 전후 틀변부에, 피봉제물을 펼쳐 유지하는 봉제틀의 전후 양단을 좌우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틀의 전틀변부가 후틀변부에 대하여 하방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앞처짐 방지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앞처짐 방지 기구는, 테이블의 전변에서 후방으로 오목부가 형성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돌출한 상기 테이블의 좌우 돌출부와, 이 좌우 돌출부 상에 전후로 변위 가능하게 재치된 상기 지지틀의 좌우 틀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봉제틀 구동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의 전후로의 변위를 좌우로 변위 불가능하게 가이드하여 좌우로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가이드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봉제틀 구동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테이블 전변에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의 좌우의 양 내단면과, 상기 지지틀의 좌우 틀변부에 부착되어 상기 내단면에 전동 가능하게 맞닿은 가이드 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봉제틀 구동 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가이드 롤러의 위치를 좌우로 조정하는 위치 조정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봉제틀 구동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피봉제물을 펼쳐 유지하는 봉제틀의 전후 양단에, 장방형 틀 형태의 지지틀의 전후 틀변부에 좌우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봉제틀은 통 형상이며, 상기 봉제틀은 그 내측에 삽입됨과 함께 지지틀의 후틀변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는 통 형상의 내틀을 포함하고 있고, 이 내틀의 전단에 지지틀의 전틀변부에 지지되는 피지지부를 설치하고, 내틀의 전단에 작업자의 손이 이 내틀의 내부에 들어가는 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봉제틀 구동 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의 전후 틀변부에 복수의 상기 봉제틀의 전후 양단이 상기 지지 기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지지틀의 전틀변부의 좌우 중간부를 전틀변부 지지 기구에 의해 전후로 변위 가능하게 앞처짐되지 않도록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봉제틀 구동 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틀변부 지지 기구는, 상기 지지틀과 함께 전후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어있고, 전단에 상기 전틀변부의 좌우 중간부를 지지한 전후로 뻗어있는 지지 샤프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봉제틀 구동 기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틀변부 지지 기구는, 재봉기 프레임에 고정된 지지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에 전후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 샤프트를 포함하고 있고, 지지 샤프트의 전단에 상기 전틀변부의 좌우 중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설치하고, 지지 프레임의 전단에 지지 샤프트의 적어도 상면에 접촉하여 이 샤프트의 진동을 규제하는 흔들림 방지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봉제틀 구동 기구.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는, 상기 지지틀의 좌우 중간부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와, 지지틀의 하측에서 연결 부재를 전후로 변위 가능하게 지승하는 지승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봉제틀 구동 기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피봉제물을 펼쳐 유지하는 봉제틀의 전후 양단에, 장방형 틀 형태의 지지틀의 전후 틀변부에 좌우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봉제틀은 전후 방향으로 긴 원통형이며, 봉제틀의 내측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내틀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봉제틀에 가공천의 자수 범위를 정하는 봉제창을 전후로 길게 형성하고, 봉제틀의 후단에 상기 지지틀 상의 회전 구동 기구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설치하고, 상기 내틀에 자수기의 봉제침이 관통하는 침공을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내틀의 후단에 지지틀 상의 고정부에 부착되는 부착부를 설치하고, 봉제틀 또는 내틀 중 어느 하나의 전단에 지지틀의 전틀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봉제틀 구동 기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피봉제물을 펼쳐 유지하는 봉제틀의 전후 양단에, 장방형 틀 형태의 지지틀의 전후 틀변부에 좌우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봉제틀은 원통형이며, 봉제틀에 가공천의 자수 범위를 정하는 봉제창을 형성하고, 봉제창에 씌운 심지에 의해 가공천을 봉제틀의 외면을 따르게 하여 지지하고, 심지를 봉제틀에 눌러 밀착시키는 심지 누름 부재를 구비하고, 심지 누름 부재의 전후 양단을 봉제창의 전후에 있어서 봉제틀에 유지하고, 심지 누름 부재의 중간부를 봉제창의 길이 방향 중간 위치에서 봉제틀에 누르는 누름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봉제틀 구동 기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 누름 부재의 전후 어느 일단을 봉제틀에 고정적으로 유지하고, 타단을 봉제틀에 대하여 개방 가능하게 유지하고, 상기 누름 부재를 봉제틀에 심지 누름 부재에 중첩되는 위치와 심지 누름 부재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봉제틀 구동 기구.
  13. 제 1 항에 있어서, 피봉제물을 펼쳐 유지하는 봉제틀의 전후 양단에, 장방형 틀 형태의 지지틀의 전후 틀변부에 좌우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봉제틀은, 재봉기의 틀 구동 장치에 부착되는 베이스틀과, 가공천을 펼쳐놓는 전후 방향으로 긴 천펼침틀을 구비하고 있고, 베이스틀에 천펼침틀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앞측 지지부와 천펼침틀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뒤측 지지부를 설치하고, 천펼침틀의 전단부와 후단부와의 사이에 가공천의 자수 범위를 정하는 봉제창을 형성하고, 봉제창의 형상이 다른 복수의 천펼침틀을 베이스틀로 교환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봉제틀 구동 기구.
  14. 제 1 항에 있어서, 피봉제물을 펼쳐 유지하는 봉제틀의 전후 양단에, 장방형 틀 형태의 지지틀의 전후 틀변부에 좌우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봉제틀은 전후 방향으로 긴 평판형이며, 봉제틀에 가공천의 자수 범위를 획정하는 전후 방향으로 긴 봉제창과, 봉제창의 장측 가장자리를 따라 뻗어있는 보강 리브를 설치하고, 봉제창의 전후 어느 한쪽에 폭협부를 형성하고, 반대측에 폭광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봉제틀 구동 기구.
  15. 제 1 항에 있어서, 피봉제물을 펼쳐 유지하는 봉제틀의 전후 양단에, 장방형 틀 형태의 지지틀의 전후 틀변부에 좌우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봉제틀은 통형 가공천에 들어가는 가늘고 긴 평판형이며, 봉제틀에 통형 가공천의 자수 범위를 획정하는 가늘고 긴 봉제창을 설치하고, 봉제틀의 상면에 통형 가공천의 자수 범위의 주위부를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봉제틀 구동 기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틀 상에 위치 맞춤 지그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고, 위치 맞춤 지그에 봉제틀에 대한 위치 결정부와 봉제창의 위치를 가공천의 상측으로부터 지시하는 개구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봉제틀 구동 기구.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틀을, 단측 방향 또는 장측 방향에서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 형성하고, 이 부분끼리를 위치 조절 가능하게 접속함으로써 상기 봉제창을 단측 방향 또는 장측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봉제틀 구동 기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창을 장방형과 사다리형 사이의 형상 변화를 수반하면서 신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봉제틀 구동 기구.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가공천의 자수 범위의 주위부를 상기 봉제틀 상에 누르는 가늘고 긴 평판형의 누름틀을 구비하고, 누름틀에 상기 봉제틀의 봉제창과 동일한 형태의 투과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봉제틀 구동 기구.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070042565A 2006-05-02 2007-05-02 재봉기의 봉제틀 및 봉제틀 구동 기구 KR101410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28179A JP5008335B2 (ja) 2006-05-02 2006-05-02 刺繍加工用平枠
JP2006128178A JP5101835B2 (ja) 2006-05-02 2006-05-02 刺繍加工用筒形枠
JPJP-P-2006-00128179 2006-05-02
JPJP-P-2006-00128178 2006-05-02
JP2006129707A JP4975363B2 (ja) 2006-05-08 2006-05-08 刺繍加工用長尺枠
JPJP-P-2006-00129707 2006-05-08
JP2006130901A JP4975366B2 (ja) 2006-05-09 2006-05-09 刺繍加工用長尺筒形枠
JPJP-P-2006-00130862 2006-05-09
JPJP-P-2006-00130901 2006-05-09
JP2006130823 2006-05-09
JP2006130862A JP4981354B2 (ja) 2006-05-09 2006-05-09 刺繍加工用平枠
JPJP-P-2006-00130823 2006-05-09
JPJP-P-2006-00192205 2006-07-12
JP2006192205 2006-07-12
JP2007028854A JP5219381B2 (ja) 2006-05-09 2007-02-08 ミシンの縫製枠駆動機構
JPJP-P-2007-00028854 2007-02-08
JPJP-P-2007-00028859 2007-02-08
JP2007028859A JP5008413B2 (ja) 2006-07-12 2007-02-08 ミシンの縫製枠駆動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605A KR20070107605A (ko) 2007-11-07
KR101410805B1 true KR101410805B1 (ko) 2014-06-23

Family

ID=38171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565A KR101410805B1 (ko) 2006-05-02 2007-05-02 재봉기의 봉제틀 및 봉제틀 구동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84709B2 (ko)
KR (1) KR101410805B1 (ko)
DE (1) DE102007000251A1 (ko)
GB (1) GB2437833B (ko)
HK (1) HK11091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6207B2 (ja) * 2005-05-19 2009-12-02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刺繍枠支持装置
WO2010077691A2 (en) 2008-12-08 2010-07-08 Windauer Bernard T Multi-function turret knob
US9476151B2 (en) 2013-10-25 2016-10-25 Gracewood Management, Inc. Hoop frame and zone to zone method for quilting
US10889930B2 (en) 2018-07-12 2021-01-12 Gracewood Management, Inc. Quilting frame and clip assembly
US10920352B2 (en) 2018-11-14 2021-02-16 Handi Quilter, Inc. Dual-configuration fabric frame for a maneuverable sewing mach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5868A (ja) * 1999-06-11 2000-12-26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被縫製物移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48614A (en) * 1937-03-22 1939-02-28 Joseph C Gilardone Fabric holding equipment for embroidery machines
US5018460A (en) * 1989-03-03 1991-05-28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Embroidering machine with a mounting device for individual embroidery hoops
JP3287598B2 (ja) * 1991-11-07 2002-06-04 株式会社バルダン 刺繍ミシンの刺繍枠取付装置
JP3190500B2 (ja) 1993-10-08 2001-07-23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刺繍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刺繍機
US5915314A (en) * 1996-07-31 1999-06-29 Moore, Iii; E. Frank Curved article sewing frame and drive system
US6065413A (en) 1998-01-15 2000-05-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Headgear holder with adjustable support plates
US6374760B1 (en) 2001-03-12 2002-04-23 Moore, Iii E. Frank Cap frame drive assembly and method
JP4063581B2 (ja) 2002-05-13 2008-03-19 株式会社バルダン ミシンの布張り装置
JP2004049548A (ja) 2002-07-19 2004-02-19 Barudan Co Ltd ミシンの布張り装置
JP2004091974A (ja) 2002-08-30 2004-03-25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被縫製物用枠
JP3744890B2 (ja) 2002-11-01 2006-02-15 ハッピ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JP2005023487A (ja) * 2003-07-04 2005-01-27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刺繍用枠の取付け構造
US6792884B1 (en) * 2003-09-08 2004-09-21 Handi Quilter Company, Inc. Adjustable, lightweight, collapsible quilt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using same
JP3810422B2 (ja) 2005-04-04 2006-08-16 株式会社バルダン ミシンの布張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5868A (ja) * 1999-06-11 2000-12-26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被縫製物移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84709B2 (en) 2009-09-08
KR20070107605A (ko) 2007-11-07
GB0708438D0 (en) 2007-06-06
GB2437833A (en) 2007-11-07
US20080110384A1 (en) 2008-05-15
GB2437833B (en) 2011-01-05
HK1109177A1 (en) 2008-05-30
DE102007000251A1 (de)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805B1 (ko) 재봉기의 봉제틀 및 봉제틀 구동 기구
KR101121889B1 (ko) 자수틀 지지 장치
US7681510B2 (en) Embroidery frame for use with embroidery sewing machine
US7100523B2 (en) Embroidery frame for caps
KR100544681B1 (ko) 미싱
CN101067267B (zh) 缝纫机的缝制框以及缝制框驱动机构
KR101077713B1 (ko) 미싱
JP4063582B2 (ja) ミシンの布張り装置
KR200464506Y1 (ko) 복합 재봉기
JP3991309B2 (ja) ミシンの押え金
JP4063581B2 (ja) ミシンの布張り装置
JP5008276B2 (ja) 刺繍枠
JP4487030B2 (ja) ミシン
JP3400827B2 (ja) アップリケ用布片の貼着方法及び貼着用テーブル装置
JPH09302567A (ja) 刺繍ミシン用帽子枠
JP4337495B2 (ja) 鳩目穴かがりミシン
CN210394770U (zh) 一种包缝辅助工具
JP4267754B2 (ja) 筒状加工布用ミシン
CN217266303U (zh) 一种缝纫机的撑开结构
KR200437965Y1 (ko) 자수틀 지지 장치
JP2007185296A (ja) 差動送りミシン及びその布押さえ装置
JP3010858B2 (ja) 加工布折曲げ装置
JPH0411659Y2 (ko)
JP4063832B2 (ja) ミシンの布張り装置
JPH0580479U (ja) 縁かがり縫いミシンの上送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