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713B1 - 미싱 - Google Patents

미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713B1
KR101077713B1 KR1020080094645A KR20080094645A KR101077713B1 KR 101077713 B1 KR101077713 B1 KR 101077713B1 KR 1020080094645 A KR1020080094645 A KR 1020080094645A KR 20080094645 A KR20080094645 A KR 20080094645A KR 101077713 B1 KR101077713 B1 KR 101077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pressing
sewing
pressing portion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3102A (ko
Inventor
데츠로우 곤도
미츠노리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3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2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05C9/04Work holders, e.g. frames
    • D05C9/06Feeding arrangements therefor, e.g. influenced by patterns, operated by pantograp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과제> 원판을 파지하기 위한 클램프 장치가 미싱 헤드에 간섭하지 않고, 또한, 클램프 장치로의 원판의 찔러 넣는 작업을 실시하기 쉽게 한다.
<해결 수단> 미싱 테이블(2) 위에서 이동되는 원판 프레임(9)과, 이 원판 프레임(9)의 위쪽에 배치되고, 바늘대(5) 및 옷감 누름(6)을 포함한 복수의 부품을 탑재하여 이루어지는 미싱 헤드(H)와, 이 원판 프레임(9)에 원판(N)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장치(13a, 13b)를 구비한다. 클램프 장치(13a, 13b)는 길이가 긴 모양의 누름부(27)와, 누름부(27)를 받아 들이기 위한 받이부(15)와, 누름부(27)와 받이부(15)와의 사이를 개방하여 그 사이에 원판(N)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위치 및 누름부(27)와 받이부(15)와의 사이에 원판(N)을 파지하기 위해서 누름부(27)를 받이부(15)에 맞닿게 하는 제2 위치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하도록 누름부(27)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40)을 포함하며, 누름부(27)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이 누름부(27)의 최상부가 미싱 헤드의 각 부품을 상사점에 위치시켰을 때의 이 미싱 헤드의 최하단 위치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Description

미싱{SEWING MACHINE}
본 발명은 미싱 테이블 위에 실어 놓인 원판 프레임에 대한 원판의 고정위치를 변경하여 자수 등의 봉제를 반복하고, 길이가 긴 원판에 봉제를 연속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미싱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미싱 헤드를 구비한 다두 미싱의 미싱 테이블 위에서 전후좌우로 구동 제어되는 원판 프레임에 대해, 길이가 긴 원판을 그 공급원으로부터 공급해 고정하고, 원판 프레임에 고정된 부분으로의 봉제가 종료하면, 그 고정을 해방하여 다음에 봉제를 실시하는 부분을 원판 프레임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원판 프레임에 대한 원판의 고정위치를 변경하고 봉제를 반복하도록 구성된 다두 미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5-348906호 공보
도 6에는 이런 종류의 다두 미싱의 평면도가 나타내고 있고, 1은 미싱 프레임, 2는 미싱 테이블, H는 미싱 헤드, 9는 원판 프레임이다. 원판 프레임(9)에는 원판(N)을 고정하기 위한 가로 클램프 부재(101a, 101b) 및 세로 클램프 부재(102a, 102b)가 설치되고 있고, 이들 4개의 클램프 부재에서 원판 프레임(9)에 위치된 원판(N)을 유지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세로 클램프 부재(102a, 102b)는 좌우방향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 각종 원판(N)의 폭에 대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는 도 6에 있어서의 미싱의 정면에서 본 우측의 세로 클램프 부재(102a)의 측단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좌측의 세로 클램프 부재(102b)는 우측의 세로 클램프 부재(102a)와 같은 구성의 것을 대향하여 배치한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우측의 세로 클램프 부재(102a)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서는 세로 클램프 부재(102a)가 원판(N)을 고정하는 고정위치에 있고, 도 8에서는 세로 클램프 부재(102a)가 원판(N)의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세로 클램프 부재(102a)는 양(兩) 가로 클램프 부재(101a, 101b)의 간격보다 조금 짧은 세로 섀시(받이부)(103)를 구비하고 있다. 세로 섀시(103)의 양단부에는 요동레버(104)가 피봇 지지되어 있고, 요동레버(104)는 세로 섀시(103)에 고정된 제1 에어 실린더(105)의 로드부와 핀(106)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세로 섀시(103)의 위쪽에는 세로 섀시(103)와 대략 같은 길이의 누름 섀시(누름부)(107)가 배치되어 있고, 누름 섀시(107)의 양단부는 양 요동레버(104)의 선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누름 섀시(107)에는 그 전체 길이와 같은 길이의 유지부재(108)가 설치되어 있다. 또, 누름 섀시(107)의 선단은 누름변(邊)(109)으로 되어 있다. 한편, 세로 섀시(103)의 상면에 있어서의 유지부재(108)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고무부재(110)가 부착되어 있다. 또, 양 요동레버(104)에는 누름 섀시(107)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지지부재(111)의 양단이 고정되어 있고, 지지부재(111)에는 누름 섀 시(107)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의 떠오름을 누르는 보조부재(112)가 고정되어 있다.
도 10에는 미싱 헤드(H)의 사시도가 나태내어져 있다. 미싱 헤드(H)는 미싱 프레임(1)에 부착된 암(3)과, 암(3)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바늘대 케이스(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바늘대 케이스(4)는 바늘대(5), 옷감 누름(6), 바늘대(5)에 통해진 윗실의 단부를 유지하는 실유지부재(7)를 가지고 있고, 이들은 바늘대 케이스(4)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미싱 헤드(H)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싱 테이블(2) 위에 설치된 원판 프레임(9)의 위쪽에 있어서, 복수개가 미싱의 좌우(가로) 방향에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늘어서 있다.
세로 클램프 부재(102a, 102b)에 있어서, 원판(N)을 유지하는 데에는 제1 에어 실린더(105)의 작동에 의해서, 도 8에 나타내는 해제위치에 있는 요동레버(104)를 동일한 도에 있어서의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시켜, 도 7에 나타내는 고정위치에 배치한다. 이 고정위치에 있어서, 유지부재(108)와 세로 섀시(103)의 고무부재(110)로 원판(N)이 끼워 지지된다. 또 이 때, 누름 섀시(107)에 있어서의 누름변(109)의 하단이 유지부재(108)의 하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고정위치에 있어서, 유지부재(108)에서 유지하고 있는 원판(N)을 누름변(109)으로 미싱 테이블(2)의 상면에 접근하도록 누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원판 프레임(9)에 고정된 원판(N)이 확실히 핀과 당겨진 상태가 되어, 봉제시의 원판(N)의 펄럭임을 경감할 수 있다.
한편, 원판(N)의 고정을 해제하는 데에는 제1 에어 실린더(105)의 작동에 의 해서, 도 7에 나타내는 고정위치에 있는 요동레버(104)를 동일한 도에 있어서의 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도 8에 나타내는 개방위치에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유지부재(108)와 고무부재(110)와의 사이가 벌어져 누름 섀시(107)에 의한 원판(N)의 끼워 지지됨이 해제된다.
그런데, 종래의 미싱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섀시(107)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는 누름 섀시(107)는 미싱 헤드(H)에 부착된 바늘대(5), 옷감 누름(6), 실유지부재(7) 등 부속부품의 하단부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판(N)의 폭에 맞추어서 배치된 세로 클램프 부재(102a, 102b)가 어느 것인가의 미싱 헤드(H)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원판(N)의 고정 혹은 고정의 해제를 실시할 때에 개방위치까지 올려진 세로 클램프 부재(102a, 102b)가 누름 섀시(107)의 미싱 헤드(H)의 상기 부속부품과 간섭하게 된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 종래는, 세로 클램프 부재(102a, 102b)를 미싱 헤드(H)의 아래쪽에 배치하고 있는 경우, 세로 클램프 부재(102a, 102b)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특정의 미싱 헤드(H)의 바늘대 케이스(4)를 떼어내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늘대(5), 옷감 누름(6), 실유지부재(7) 등의 부속부품이 어느 것도 장착되어 있지 않은 케이스(113)로 교환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었다. 또한, 미싱 헤드(H)로부터 바늘대 케이스(4)를 떼어내 케이스(113)로 교환하는 대신에 바늘대 케이스(4)로부터 바늘대(5), 옷감 누름(6), 실유지부재(7) 등의 부속부품을 떼어내는 것으로도 같은 대응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바늘대 케이스(4)를 케이스(113)로 교환하는 작업 혹은 바늘대 케이스(4)로부터 바늘대(5), 옷감 누름(6), 실유지부재(7) 등의 부속부품을 탈착하는 작업은 매우 번잡하고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그렇지만, 원판 프레임(9)에 고정하는 원판(N)을 폭이 다른 것으로 교체할 때에는 세로 클램프 부재(102a, 102b)가 어느 것인가의 미싱 헤드(H)의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는 일이 있기 때문에, 종래의 미싱에서는 상기와 같은 바늘대 케이스(4)와 케이스(113)의 교환 등이 번거로운 작업이 아무래도 필요했다. 이 때문에, 원판 프레임(9)에 고정하는 원판(N)을 폭이 다른 것으로 교체하는 작업은 별로 행해지지 않은 것이 실정이었다. 따라서, 임의의 폭의 원판(N)으로 수시로 바꾸어 자수 바느질을 행할 수 있다고 하는 기능이 충분히는 활용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판(N)의 고정 혹은 고정의 해제를 실시할 때의 요동레버(104)의 위쪽으로의 이동량을 작게 억제하면, 세로 클램프 부재(102a, 102b)의 구성을 종래 그대로 변경하지 않고 누름 섀시(107)와 미싱 헤드(H)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할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종래의 세로 클램프 부재(102a, 102b)의 구성은, 도 8과 같이 소정의 개방위치까지 올려졌을 때에 원판(N)의 찔러 넣는 작업에 충분한 스페이스가 확보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도 9에 나타내는 중간위치에 세웠을 경우는 세로 클램프 부재(102a, 102b)의 구조상, 누름 섀시(107)가 원판(N)을 찔러 넣는 측으로 향하여 하강하도록 기울어진 상태가 되 고, 유지부재(108)의 하단보다 누름변(109)의 하단이 아래쪽에 위치하므로, 원판(N)을 찔러 넣는 측의 세로 섀시(103)와 누름 섀시(107)의 간격이 매우 좁은 것으로 된다(원판(N)의 차입작업에 충분한 스페이스가 확보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세로 섀시(103)와 누름 섀시(107)의 사이에 원판(N)을 차입하기 어려워져, 원판 프레임(9)으로의 원판(N)의 세트가 용이하게 행해지지 않게 되어 버리므로, 실제 사용을 감당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상술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클램프를 해제하는 위치에 있어서 미싱 헤드에 간섭하는 것이 없고, 또한, 원판의 세트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클램프 장치를 구비한 미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미싱은 미싱 테이블 위에서 이동되는 원판 프레임과, 상기 원판 프레임의 위쪽에 배치되어 바늘 및 옷감 누름을 포함한 복수의 부품을 탑재하여 이루어지는 미싱 헤드와, 상기 원판 프레임에 원판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장치를 구비한 미싱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장치가 길이가 긴 모양의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를 받아 들이기 위한 받이부와, 상기 누름부와 상기 받이부와의 사이를 개방하여 그 사이에 원판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누름부와 상기 받이부와의 사이에 원판을 파지하기 위해서 상기 누름부를 상기 받이부에 맞닿게 하는 제2 위치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누름부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이 누름부의 최상부가 상기 미싱 헤드의 각 부품을 상사점에 위치시켰을 때의 이 미싱 헤드 의 최하단 위치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판 클램프 장치가 원판을 유지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이동기구에 의해서 위치결정되는 상기 누름부의 위치는 상기 제1 위치(즉 개방위치)에 있다. 이 제1 위치(개방위치)에 있는 상태로 누름부와 받이부 사이에 원판의 가장자리를 차입하고, 그것에서부터, 이동기구에 의해 누름부를 받이부 쪽으로 향하여 이동시키는 것으로, 최종적으로 제2 위치(즉 클램프 위치)에 도달한다. 제2 위치(클램프 위치)에 도달하면, 원판의 가장자리를 사이에 끼워 누름부가 받이부에 맞닿고, 이것에 의해 이 누름부와 받이부와의 사이에 원판의 가장자리를 파지(클램프)한다. 클램프를 해제하는 경우는 이동기구에 의해 상기와는 반대로 누름부를 받이부로부터 떼어 놓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2 위치(클램프 위치)로부터 제1 위치(개방위치)까지 이행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누름부가 제1 위치(개방위치)에 있을 때, 이 누름부의 최상부가 상기 미싱 헤드의 각 부품을 상사점에 위치시켰을 때의 이 미싱 헤드의 최하단 위치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누름부를 제1 위치(개방위치)에 위치시켜 누름부와 받이부 사이에 원판을 찔러 넣는 혹은 원판을 취출하는 작업을 실시할 때에 미싱 헤드의 각 부품을 상사점에 위치하게 하면, 누름부를 제1 위치(개방위치)에 위치시켰다고 해도 누름부가 미싱 헤드에 간섭할 우려가 없어진다. 따라서, 종래 필요했던 누름부와 미싱 헤드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바늘대 케이스의 교환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원판 프레임에 고정하는 원판을 폭이 다른 것으로 교체하는 작업을 종래보다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것 에 수반하여, 임의의 폭의 원판으로 수시로 바꾸어 자수 바느질을 실시한다고 하는 기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 그 때, 누름부는 원판을 찔러 넣는 혹은 원판을 취출하는데 적합한 소정의 제1 위치(개방위치)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누름부와 받이부 사이에 원판을 찔러 넣는 혹은 원판을 취출하는 작업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누름부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에 이 누름부를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아래쪽으로 하강시키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위치에 있어서의 누름부의 상면부가 대략 수평(혹은 기울기가 최소)일 때, 누름부가 제1 위치(개방위치)로부터 제2 위치(클램프 위치)로 서서히 하강함에 따라, 누름부의 상면부의 기울기가 증가하도록(누름부가 회동하는 것) 되고, 또한,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의 높낮이 차이가 작은 나뉨에는 큰 기울기 변화를 가져오게 되어, 보다 큰 회동 모멘트에 의해 제2 위치(클램프 위치)에서의 유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한편으로, 제1 위치(개방위치)에서는 상면부의 대략 수평(혹은 기울기가 최소)에 의해서 누름부의 최상부의 높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미싱 헤드에 간섭하지 않도록 제1 위치(개방위치)가 필요한 높이를 확보하는 것이 쉬움과 동시에, 그 아래쪽에서는 누름부와 받이부 사이에 원판을 찔러 넣는 혹은 원판을 취출하는 작업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기 쉬운 것이 된다.
일례로서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누름부를 피봇 가능하게 유지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가로방향으로 진퇴이동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이동부재의 가로방향으로의 전진에 수반하여, 상기 누름부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안내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가로방향으로의 후퇴에 수반하여, 상기 누름부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누름부가 이동부재에 피봇 가능하게 유지되고 있으므로, 구동기구에 의해서 이동부재가 가로방향으로 진퇴이동될 때, 안내부가 형성하는 궤적에 따라서 누름부가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미싱은 미싱 테이블 위에서 이동되는 원판 프레임에 대해서 길이가 긴 원판을 그 공급원으로부터 공급하여 고정하고, 이 원판 프레임에 고정된 원판부분으로의 봉제가 종료하면, 이 원판 프레임에 대해서 원판을 소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 원판 프레임에 고정하는 원판부분을 다른 부분으로 변경하여 봉제를 재개하도록 구성된 미싱에 있어서, 1쌍의 상술의 클램프 장치를 상기 원판 프레임에 대한 상기 원판의 상대적 이동방향으로 평행하고, 이 원판의 가로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상기 원판 프레임에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누름부가 제1 위치(개방위치)에 있을 때, 이 누름부의 최상부가 상기 미싱 헤드의 각 부품을 상사점에 위치시켰을 때의 이 미싱 헤드의 최하단 위치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누름부를 제1 위치(개방위치)에 위치시켜 누름부와 받이부 사이에 원판을 찔러 넣는 혹은 원판을 취출하는 작업을 실시할 때에 미싱 헤드의 각 부품을 상사점에 위치하게 하면, 누름부를 제1 위치(개방위치)에 위치시켰다고 해도 누름부가 미싱 헤드에 간섭할 우려가 없어진다. 따라서, 종래 필요했던 누름부와 미싱 헤드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바늘대 케이스의 교환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원판 프레임에 고정하는 원판을 폭이 다른 것으로 교체하는 작업을 종래보다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임의의 폭의 원판으로 수시로 바꾸어 자수 바느질을 실시한다고 하는 기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 그 때, 누름부는 원판을 찔러 넣는 혹은 원판을 취출하는데 적합한 소정의 제1 위치(개방위치)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누름부와 받이부 사이에 원판을 찔러 넣는 혹은 원판을 취출하는 작업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좌우라고 할 때는, 각각 후술하는 미싱의 정면에서 본 전후(앞쪽 및 뒤쪽), 좌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다두 자수 미싱(이하, 단지 「미싱」이라고 한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본 발명에 관한 클램프 장치의 일실시예에 상당하는 것이, 세로 클램프 부재(13a, 13b)이다. 동일한 도에 나타내는 미싱은, 도 6에 나타낸 종래의 미싱과 같이, 미싱 프레임(1), 미싱 테이블(2), 미싱 헤드(H), 원판 프레임(9)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미싱 프레임(1)에는 복수(도에서는 12개)의 미싱 헤드(H)가 미싱의 좌우(가로) 방향에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미싱 헤드(H)는 종래와 같은 구성이며,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미싱 프레임(1)에 고정된 암(3)과, 암(3)에 대해서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바늘대 케이스(4)를 구비하고 있다. 바늘대 케이스(4)는 바늘대(5), 옷감 누름(6), 바늘대(5)에 통해진 윗실의 단부를 유지하는 실유지부재(7)(이하, 이들을 「부속부품」이라고 한다.)를 가지고 있고, 이들은 바늘대 케이스(4)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싱 테이블(2)에는 각 미싱 헤드(H)에 대응하는 개소에 바늘판(8)이 설치되어 있다. 또, 미싱 테이블(2)에는 세로변 및 가로변을 가지는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프레임체로 이루어진 원판 프레임(9)이 실어 놓여 있다. 원판 프레임(9)은 미싱 테이블(2)의 아래쪽에 설치된 X구동기구(10) 및 Y구동기구(11)에 의해서, 미싱 테이블(2)상의 수평면 내에서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차원적으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원판 프레임(9)의 전후의 가로변에는 각각, 가로 클램프 부재(12a, 12b)가 설치되어 있고, 좌우의 세로변에는 각각, 세로 클램프 부재(13a, 13b)가 설치되어 있다. 가로 클램프 부재(12a, 12b) 및 세로 클램프 부재(13a, 13b)에 의해서, 원판(N)을 원판 프레임(9)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원판 프레임(9)의 좌측 아래 모서리부 및 그 근방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화살표에서 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B-B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에서는 원판 프레임(9)의 위쪽에 배치된 미싱 헤드(H)를 병기하고 있다. 각 가로 클램프 부재(12a, 12b)는 각각 같은 구성이고, 그것을 대향하여 배치한 것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앞쪽의 가로 클램프 부 재(12a)에 대한 상세(詳細)를 설명한다. 또, 각 세로 클램프 부재(13a, 13b)는 각각 같은 구성이고, 그것을 대향하여 배치한 것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좌측의 세로 클램프 부재(13b)에 대한 상세를 설명한다.
우선, 가로 클램프 부재(12a)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 클램프 부재(12a)는 브래킷(37)을 통하여 원판 프레임(9)의 앞쪽의 가로변에 고정된 고정용 섀시(14)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용 섀시(14)는 그 길이가 긴 방향이 원판 프레임(9)의 가로변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있고, 그 안쪽의 측면에는 세로 클램프 부재(13a, 13b)를 부착하기 위한 돌기(14a)가 설치되어 있다. 또, 고정용 섀시(14)의 아래쪽에는 고정용 섀시(14)의 길이가 긴 방향에 따라서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파이프 부재(41)가 배치되어 있고(도 3 참조), 각 파이프 부재(41)는 회전축(42)으로 연결되어 있다. 회전축(42)은 고정용 섀시(14)에 고정된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은 고정용 섀시(14)의 길이가 긴 방향에 따라서 적당 간격으로 복수가 고정되어 있다. 파이프 부재(41)에는 그 외주에 설치한 부착부재(43)를 통하여 유지부재(44), 누름부재(45)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부재(44)는 길이가 긴 방향이 가로방향으로 연장한 적당히 경질(硬質)의 심부(芯部)(44a)와, 이 심부(44a)의 외측을 가리는 접촉부(44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접촉부(44b)는 변형이 가능하고 또한 원판(N)과 접했을 때에 미끄러짐이 생기기 어려운 부재로부터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탄성고무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42)은 고정용 섀시(14)의 양단부에 배치한 도시하지 않은 구동기구에 의해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축(42)의 회전에 의해서 파이프 부재(41)가 회 전하고, 파이프 부재(41)에 설치한 유지부재(44) 및 누름부재(45)가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원판 프레임(9)에는 유지부재(44)를 받아 들이는 받이부(51)가 설치해 있고, 받이부(51)에는 고무부재(52)가 대략 직각의 코너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가로 클램프 부재(12a)에서는 유지부재(44)가 받이부(51)에 받아들여지는 위치로 회동하는 것으로, 유지부재(44)와 받이부(51)와의 사이에 끼워 지지된 원판(N)이 원판 프레임(9)의 가로변에 고정되고, 유지부재(44)가 받이부(51)로부터 위쪽으로 이간하는 위치로 회동하는 것으로, 이 원판(N)의 고정이 해방되도록 되어 있다. 누름부재(45)는 원판(N)을 미싱 테이블(2)의 상면에 접근하도록 누른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클램프 장치의 일실시예인 세로 클램프 부재(13b)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 클램프 부재(13b)는 원판 프레임(9) 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누름 섀시(누름부)(27)와, 누름 섀시(27)를 받아 들이는 세로 섀시(받이부)(15)를 구비하고 있다. 세로 섀시(15)는 미싱 테이블(2)의 상면에 따라서 배치된 대략 평판 모양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길이가 긴 방향이 원판 프레임(9)의 세로변과 평행한 대략 장방형 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길이가 긴 방향의 전체 길이는 가로 클램프 부재(12a, 12b)의 간격보다 조금 짧게 설정해 둔다. 세로 섀시(15)의 상면에 있어서의 누름 섀시(27)의 후술하는 유지부재(28)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고무부재(30)가 부착되어 있다.
세로 섀시(15)의 길이가 긴 방향의 양단부에는 각각 안내 베이스(안내부)(16)가 고정되어 있다. 안내 베이스(16)는 세로 섀시(15)에 고정된 고정부(16a) 와, 고정부(16a)에 일체로 형성된 평판 모양의 본체부(16b)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16b)는 그 면이 원판 프레임(9)의 가로변과 평행한 수직면으로 되어 있고, 이 본체부(16b)에는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진 안내 홈(17)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 홈(17)은 본체부(16b)의 면 내에서 수평방향(가로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늘고 긴 직선 모양의 수평부(17a)와, 수평부(17a)의 오른쪽 단(端)으로부터 오른쪽 아래로 향하여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가늘고 긴 직선 모양의 경사부(17b)를 가지며, 이들 수평부(17a)와 경사부(17b)가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 홈(17)의 수평부(17a)는 누름 섀시(누름부)(27)가 제1 위치(개방위치)로부터 제2 위치(클램프 위치)로 이동할 때의 가로방향의 이동성분을 가이드하고, 경사부(17b)는 상하방향(세로방향)의 이동성분을 가이드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 베이스(16)의 본체부(16b)의 안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대략 장방형의 평판 모양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암(18)이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암(18)은 안내 베이스(16)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 안내 베이스(16)를 향하는 면에는 안내 베이스(16)로 향하여 돌출하는 2개의 안내 핀(19, 20)이 고정되어 있다. 안내 핀(19, 20)은 소정간격으로 가로방향으로 늘어놓아서 배치되어 있고, 모두 안내 베이스(16)의 안내 홈(17)에 끼워 삽입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 암(18)에는 안내 핀(20)과 동축(同軸) 위치에 고정되고, 안내 핀(19, 20)과 반대 측의 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핀(21)이 설치되어 있다. 핀(21)에는 연결 로드(이동부재)(22)의 일단이 피봇 지지되어 있고, 연결 로드(22)의 타단은 제1 에어 실린더(23)의 로드부(23a)에 고정된 연결부재(24)에 핀(25)으 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에어 실린더(23)의 본체부(23b)는 브래킷(26)을 통하여 안내 베이스(16)에 고정되어 있다. 연결 로드(22)는 그 축방향이 원판 프레임(9)의 가로변과 평행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축방향으로 진퇴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섀시(27)는 그 길이가 긴 방향의 양단부가 양 슬라이드 암(18)의 선단부의 하면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누름 섀시(27)는 길이가 긴 방향의 단면형상이 아래쪽으로 개방된 대략 コ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길이가 긴 방향에 따라서 소정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다리부를 가지고 있다. 한쪽의 다리부에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유지부재(28)가 장착되어 있다. 유지부재(28)는 변형이 가능하고, 또한 원판(N)과 접했을 때에 미끄러짐이 생기기 어려운 예를 들면 탄성고무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쪽의 다리부는 그 하단에서 원판(N)을 누르는 누름편(29)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제1 에어 실린더(23)와 슬라이드 암(18)과 안내 베이스(16)에 의해서, 누름 섀시(27)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40)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세로 클램프 부재(13b)의 양단부 부근에는 세로 섀시(15)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에어 실린더(31)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에어 실린더(31)는 본체부(31a)와 로드부(31b)를 구비하고 있고, 본체부(31a)는 고정 베이스(32)에 고정되어 있으며, 로드부(31b)는 세로 섀시(15)의 양단 부근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에어 실린더(31)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고정 베이스(32)에 대해서 세로 섀시(15) 및 누름 섀시(27)를 일체로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에어 실린더(31)의 본체부(31a)가 고정된 고정 베이스(32)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래킷(33)을 통하여 상하 한 쌍의 클램프(34, 35)가 설치되어 있다. 클램프(34, 35)의 대향하는 상하면에는 고정용 섀시(14)의 돌기(14a)에 대응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클램프(34, 35)에는 고정나사(36)가 부착되어 있다. 클램프(34, 35)의 오목부에 돌기(14a)를 위치시킨 상태로 고정나사(36)를 체결하여 클램프(34, 35)로 돌기(14a)를 사이에 둔다. 이것에 의해, 고정 베이스(32)가 가로 클램프 부재(12a)에 고정된다. 또한, 고정나사(36)에 의한 고정을 느슨하게 하여 클램프(34, 35)를 돌기(14a)에 따라서 이동시키면, 세로 클램프 부재(13b)의 좌우방향의 고정위치를 원판(N)의 폭에 따라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에서는 누름 섀시(27)가 세로 섀시(15)로부터 이간하여 원판(N)의 고정을 해제하는 제1 위치(개방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5에서는 누름 섀시(27)가 세로 섀시(15)에 받아들여져 세로 섀시(15)와의 사이에 원판(N)을 끼워 지지하여 고정하는 제2 위치(클램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누름 섀시(27)가 도 4에 나타내는 개방위치(제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슬라이드 암(18)의 안내 핀(19, 20)은 모두 안내 홈(17)의 수평부(17a)에 위치하고 있고, 슬라이드 암(18)은 그 길이 방향이 미싱 테이블(2)의 상면에 대해서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 이 개방위치(제1 위치)에서는 누름 섀시(27)의 상면이 미싱 테이블(2)의 상면에 대해서 대략 평행한 상태(누름 섀시(27)가 기울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는 유지부재(28)의 하단보다 누름편(29)의 하단이 위쪽에 위치한다.
세로 클램프 부재(13b)에서 원판(N)을 고정하는 데에는, 도 4에 나타내는 개 방위치(제1 위치)에 있어서, 누름 섀시(27)와 세로 섀시(15)의 사이에 원판(N)을 찔러 넣는다. 그 상태로 제1 에어 실린더(23)을 작동시키고, 슬라이드 암(18)을 안쪽으로 향하여서 가로방향(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슬라이드 암(18)의 이동이 개시되면, 앞쪽의 안내 핀(19)이 안내 홈(17)에 따라서 수평부(17a)로부터 경사부(17b)로 이행하고, 경사부(17b)를 하강한다. 이것에 의해, 누름 섀시(27)가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세로 섀시(15)로 향하여 하강하며, 도 5에 나타내는 고정위치에 배치된다.
고정위치에서는 누름 섀시(27)의 유지부재(28)가 세로 섀시(15)의 고무부재(30)에 위쪽으로부터 눌러 닿게 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지부재(28)와 고무부재(30)와의 사이에 찔러 넣어져 있는 원판(N)(도 5에서는 나타내지 않음)이 끼워 지지된다. 또, 이 고정위치에서는 누름 섀시(27)는 선단 측(안쪽)이 하강하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되어 있고, 이 상태로 누름편(29)의 하단이 유지부재(28)의 하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유지부재(28)와 고무부재(30)와의 사이에 끼워 지지되고 있는 원판(N)이 누름편(29)에 의해서 미싱 테이블(2)의 상면에 가까워지도록 위로부터 눌러진 상태가 된다.
그런데, 상기의 이동기구(40)에서는 안내 베이스(16)의 안내 홈(17)에 슬라이드 암(18)의 안내 핀(19, 20)이 끼워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누름 섀시(27)는 도 4에 나타내는 개방위치(제1 위치)보다 위쪽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내는 개방위치(제1 위치)가 누름 섀시(27)의 상한위치가 된다. 한편, 미싱 헤드(H)의 바늘대(5), 옷감 누름(6), 실유지부재(7) 등의 부속부품은, 도 4에 나타내 는 상태에서 세로 클램프 부재(13b)로 원판 프레임(9)으로의 원판(N)의 고정 혹은 고정의 해제를 실시할 때의 배치로 되고 있다. 동일한 도로부터 분명한 것 같이, 누름 섀시(27)의 최상부(상한위치)는 세로 클램프 부재(13b)에서 원판(N)의 고정 혹은 고정의 해제를 실시할 때의 미싱 헤드(H)의 부속부품의 최하단 위치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미싱 헤드(H)에 부착된 바늘대(5), 옷감 누름(6), 실유지부재(7)의 하단은 누름 섀시(27)의 최상부(상한위치)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미싱에서 원판(N)으로의 봉제를 실시할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원판 프레임(9)에 원판(N)을 세팅하는 데에는 원판(N)을 미싱의 전방에 배치한 공급 스탠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잇달아 내보내고, 원판 프레임(9) 위에 가로 클램프 부재(12a, 12b) 및 세로 클램프 부재(13a, 13b)에 의한 고정이 가능하게 통과한 후, 미싱의 후방에 배치한 회수 스탠드(도시하지 않음)로 유도한다. 이 때, 세로 클램프 부재(13a, 13b)(1쌍의 클램프 장치)는 각각 도 4에 나타내는 개방위치(제1 위치)로 설정해 두고, 또한, 각각이 원판(N)의 각 가장자리에 대응하도록 양자 간격을 배치한다.
다음에, 가로 클램프 부재(12a, 12b)와 세로 클램프 부재(13a, 13b)에 의해서 원판 프레임(9)에 대해서 원판(N)을 고정한다. 이 때, 우선, 상기의 순서에 따라, 세로 클램프 부재(13a, 13b)로 원판(N)의 좌우의 가장자리 변을 끼워 지지하여 고정한다. 다음에, 가로 클램프 부재(12a, 12b)로 원판(N)의 전후의 가장자리 변을 끼워 지지하여 고정한다. 그 후, 제2 에어 실린더(31)을 작동시켜, 세로 섀시(15, 15)를 그들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좌우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원판 프레임(9)에 고정된 원판(N)이 미싱의 폭방향으로 전개되어 핀과 당겨진 상태가 된다. 이상에 의해 원판(N)의 고정이 완료한다. 원판(N)의 고정이 완료하면, 미싱을 기동시키는 것으로, 원판 프레임(9)을 전후좌우로 구동하면서 미싱 헤드(H)에 의한 바느질 동작을 실시하고, 원판 프레임(9)에 고정된 원판(N)으로의 봉제를 실시한다.
봉제가 종료하면 미싱을 정지시키고, 각 에어 실린더를 작동시켜 원판 프레임(9)에 대한 원판(N)의 고정을 해제한다. 원판(N)의 고정을 해제하면, 원판(N)을 보내 다음에 봉제를 실시하는 부분을 원판 프레임(9) 내에 위치시킨다. 원판(N)의 다음에 봉제를 실시하는 부분을 원판 프레임(9) 내에 위치시키면, 각 에어 실린더를 작동시켜 그 부분을 원판 프레임(9)에 고정하고, 미싱을 재기동시켜 봉제를 실시한다. 이후, 원판 프레임(9)에 대한 원판(N)의 고정위치의 변경과 원판(N)으로의 봉제를 반복하여 실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미싱을 구비하는 세로 클램프 부재(13a, 13b)(클램프 장치)에 의하면, 누름 섀시(27)의 상한위치가 세로 클램프 부재(13a, 13b)로 원판(N)의 고정 혹은 이 고정의 해제를 실시할 때의 미싱 헤드(H)의 부속부품의 하한 위치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세로 클램프 부재(13a, 13b)로 원판 프레임(9)으로의 원판(N)의 고정을 실시할 때, 혹은 원판(N)의 고정의 해제를 실시할 때에 누름 섀시(27)가 미싱 헤드(H)의 부속부품과 간섭할 우려가 없다. 따라서, 원판(N)의 폭에 맞추어 세로 클램프 부재(13a, 13b)를 미싱 헤드(H)의 아래쪽에 위치시키는 경우에서도 세로 클램프 부재(13a, 13b)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미싱 헤드(H)의 바늘대 케이스(4)를 부속부품이 부착하지 않은 케이스(113)(도 11 참조)로 교환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원판 프레임(9)에 고정하는 원판(N)을 폭이 다른 것으로 교체하는 작업을 종래보다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 종래의 미싱이 구비하는 세로 클램프 부재(102a, 102b)에서는 누름 섀시(107)의 이동기구는 누름 섀시(107)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요동)시키는 구조였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의 미싱이 구비하는 세로 클램프 부재(13a, 13b)에서는 누름 섀시(27)의 이동기구(40)는 누름 섀시(27)를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조를 주체로 하고, 그것에 더하여, 안내 베이스(16)의 안내 홈(17)으로 슬라이드 암(18)을 안내하는 것으로, 누름 섀시(27)의 가로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에 수반하여 누름 섀시(27)의 상하방향의 위치가 변화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누름 섀시(27)가 원판 프레임(9)의 안쪽으로 향하여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안내 홈(17)의 경사부(17b)에 의한 안내로 누름 섀시(27)가 기울기 아래방향으로 진행되고, 세로 섀시(15)로 향하여 하강하도록 안내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도 4에 나타내는 개방위치(제1 위치)를 누름 섀시(27)의 상한위치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누름 섀시(27)가 이 상한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만 이동하고, 상한위치보다 위쪽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누름 섀시(27)가 미싱 헤드(H)의 부속부품과 간섭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미싱이 구비하는 세로 클램프 부재(102a, 102b)에서는 누름 섀시(107)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조였기 때문에, 누름 섀시(107)의 위쪽으로의 이동량을 적게 억제하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 섀시(107)가 기울어진 상태로 이루어진 중간위치에서 원판의 찔러 넣음을 실시해야 하게 되어, 원판(N)을 찔러 넣는 측의 누름 섀시(107)와 세로 섀시(103)와의 간격이 매우 좁게 되어 있었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의 미싱이 구비하는 세로 클램프 부재(13a, 13b)에 의하면, 누름 섀시(27)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40)로서 상기와 같이 누름 섀시(27)의 가로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을 주체로 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개방위치(제1 위치)에 있어서의 누름 섀시(107)의 높이를 낮게 억제해도, 누름 섀시(27)가 기울어진 상태가 되지 않고 마무리된다. 이것에 의해, 개방위치(제1 위치)에 있어서 원판(N)을 찔어 넣는 측이 누름 섀시(27)와 세로 섀시(15)와의 사이를 크게 개방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누름 섀시(27)와 세로 섀시(15)와의 사이에 원판(N)을 용이하고 확실히 찔러 넣을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와 도면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직접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가 없는 어느 쪽의 형상·구조·재질로 하여도 본원 발명의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이상,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이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의 미싱에 있어서의 세로 클램프 부재(13a, 13b)가 구비하는 누름 섀시(27)나 세로 섀시(15)의 구체적인 구성은 본 발명에 관한 누름부나 받이부의 일례이며, 본 발명에 관한 누름부나 받이부로서는 상기 실시형태에 나타낸 누름 섀시(27)나 세로 섀시(15) 이외 에도 다른 형상이나 구조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미싱에 있어서, 누름 섀시(27)가 구비하는 누름편(29)에는 원판(N)의 보호나 미끄럼 방지를 목적으로 하여 고무 등의 탄성부재를 부착하여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의 미싱에서는 세로 섀시(15)나 누름 섀시(27) 등의 각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원으로서 제1 에어 실린더(23)나 제2 에어 실린더(31) 등의 에어 실린더를 구비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각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원으로서는 에어 실린더 이외에도 예를 들면 모터 등을 구비하는 다른 구성의 액츄에이터를 구비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미싱 테이블 위에 실어 놓인 원판 프레임에 대한 원판의 고정위치를 변경하여 자수 등의 봉제를 반복하고, 길이가 긴 원판에 봉제를 연속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미싱에 이용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다두 자수 미싱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원판 프레임의 좌측 아래 모서리부 및 그 주변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고, 가로 클램프 부재 및 세로 클램프 부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고, 세로 클램프 부재가 해제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고, 세로 클램프 부재가 고정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종래의 다두 미싱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다두 미싱에 있어서의 세로 클램프 부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다두 미싱에 있어서의 세로 클램프 부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다두 미싱에 있어서의 세로 클램프 부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미싱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미싱 헤드의 바늘대 케이스를 부속부품이 부착하지 않은 케이스로 교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미싱 프레임
2  미싱 테이블
3  암
4  바늘대 케이스
5  바늘대
6  옷감 누름
7  실유지부재
8  바늘판
9  원판 프레임
10  X구동기구
11  Y구동기구
12a, 12b 가로 클램프 부재
13a, 13b 세로 클램프 부재
14  고정용 섀시
14a  돌기
15  세로 섀시(받이부)
16  안내 베이스(안내부)
17  안내 홈
17a  수평부
17b  경사부
18  슬라이드 암
19  안내 핀
20  안내 핀
21  핀
22  연결 로드
23  제1 에어 실린더
24  연결부재
25  핀
26  브래킷
27  누름 섀시(누름부)
28  유지부재
29  누름편
30  고무부재
31  제2 에어 실린더
32  고정 베이스
33  브래킷
34, 35 클램프
36  고정나사
37  브래킷
40  이동기구
H  미싱 헤드
N  원판

Claims (7)

  1. 미싱 테이블 위에서 이동되는 원판 프레임과, 상기 원판 프레임의 위쪽에 배치되고, 바늘대 및 옷감 누름을 포함한 복수의 부품을 탑재하여 이루어지는 미싱 헤드와, 상기 원판 프레임에 원판을 미싱의 전후 방향에 따라서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장치를 구비한 미싱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장치가,
    미싱의 전후 방향에 따른 길이가 긴 모양의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를 받아 들이기 위한 받이부와,
    상기 누름부와 상기 받이부와의 사이를 개방하여 그 사이에 원판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누름부와 상기 받이부와의 사이에서 원판을 파지하기 위해서 상기 누름부를 상기 받이부에 맞닿게 하는 제2 위치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누름부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이 누름부의 최상부가 상기 미싱 헤드의 각 부품을 상사점에 위치시켰을 때의 이 미싱 헤드의 최하단 위치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누름부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에 이 누름부를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아래쪽으로 하강시키는 것인 미 싱.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누름부를 피봇 가능하게 유지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가로방향으로 진퇴이동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이동부재의 가로방향으로의 전진에 수반하여, 상기 누름부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안내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가로방향으로의 후퇴에 수반하여, 상기 누름부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안내 홈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에는 이 안내 홈에 의해서 안내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누름부를 피봇 가능하게 유지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가로방향으로 진퇴이동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이동부재의 가로방향으로의 전진에 수반하여, 상기 누름부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안내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가로방향으로의 후퇴에 수반하여, 상기 누름부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안내 홈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에는 이 안내 홈에 의해서 안내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싱 테이블 위에서 이동되는 원판 프레임에 대해서 길이가 긴 원판을 그 공급원으로부터 공급하여 고정하고, 이 원판 프레임에 고정된 원판부분으로의 봉제가 종료하면, 이 원판 프레임에 대해서 원판을 소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 원판 프레임에 고정하는 원판부분을 다른 부분으로 변경하여 봉제를 재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1쌍의 상기 클램프 장치를 상기 원판 프레임에 대한 상기 원판의 상대적 이동방향으로 평행하고, 이 원판의 가로 방향의 폭에 대응하는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원판 프레임에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KR1020080094645A 2007-09-28 2008-09-26 미싱 KR101077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55408 2007-09-28
JP2007255408A JP2009082386A (ja) 2007-09-28 2007-09-28 ミ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102A KR20090033102A (ko) 2009-04-01
KR101077713B1 true KR101077713B1 (ko) 2011-10-27

Family

ID=40459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645A KR101077713B1 (ko) 2007-09-28 2008-09-26 미싱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9082386A (ko)
KR (1) KR101077713B1 (ko)
CN (1) CN101397727A (ko)
DE (1) DE1020080454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78438B (zh) * 2013-07-04 2016-06-08 江苏万乐复合材料有限公司 双筋圆筒柔性集装袋腰箍缝纫装置
CN107338583A (zh) * 2017-09-01 2017-11-10 浙江美机缝纫机有限公司 模板缝纫机的压模板机构
CN109440306B (zh) * 2018-12-26 2023-11-14 东莞市扬侨电子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多机头电子自动缝纫机组
CN109537187A (zh) * 2018-12-26 2019-03-29 东莞市扬侨电子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缝纫机的送料构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8906A (ja) 2004-06-09 2005-12-22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
KR100878376B1 (ko) 2001-09-20 2009-01-13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376B1 (ko) 2001-09-20 2009-01-13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
JP2005348906A (ja) 2004-06-09 2005-12-22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102A (ko) 2009-04-01
JP2009082386A (ja) 2009-04-23
DE102008045460A1 (de) 2009-04-23
CN101397727A (zh)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71384A1 (en) Embroidery frame support device
KR101077713B1 (ko) 미싱
CN102264973A (zh) 刺绣机用被刺绣物夹持单元及包括该夹持单元的刺绣机
US10975507B2 (en) Embroidery frame, embroidery frame unit, and sewing machine
US20120272883A1 (en) Heat Cutting Device For Embroidery Sewing Machine
EP1760178A1 (en) Sewing machine
KR101295603B1 (ko) 재봉기의 누름장치
JP4903588B2 (ja) ミシンの布押さえ装置
JP5265217B2 (ja) ミシンの押さえ上げ装置
US6662737B2 (en) Mattress label sewing clamp
JP2003311057A (ja) ボタン穴ミシン
JP2008279184A (ja) ミシンの刺繍枠装置
JP2007075253A (ja) 片針切り替え装置
KR200403031Y1 (ko) 지지부재 탈부착 모자챙고정장치
JP2009207641A (ja) シークインテープ供給装置
US11807972B2 (en) Embroidery frame and presser member
JP5231051B2 (ja) 刺しゅう縫機能付きミシンの刺しゅう枠取付装置
JP4605455B2 (ja) ミシンの布送り装置
JP2007061213A (ja) ミシンの縫製用枠補助具
KR200437965Y1 (ko) 자수틀 지지 장치
CN215628638U (zh) 一种花样机用压板结构
KR102644136B1 (ko) 퀼팅기용 지그, 클립 작동부, 이너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누비 이불 제작방법
JP4195533B2 (ja) 穴かがりミシンの布開き装置
JP4284610B2 (ja) ミシンの布押え装置
JP2008220668A (ja) 刺繍枠の支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