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603B1 - 재봉기의 누름장치 - Google Patents

재봉기의 누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603B1
KR101295603B1 KR1020060042249A KR20060042249A KR101295603B1 KR 101295603 B1 KR101295603 B1 KR 101295603B1 KR 1020060042249 A KR1020060042249 A KR 1020060042249A KR 20060042249 A KR20060042249 A KR 20060042249A KR 101295603 B1 KR101295603 B1 KR 101295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resser foot
sewing machine
arm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7225A (ko
Inventor
타다요시 미나카와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7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6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ttaching bands, ribbons, strips, or tapes or for binding
    • D05B35/066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ttaching bands, ribbons, strips, or tapes or for binding for attaching small textile pieces, e.g. labels, belt loop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2Presser-contro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1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 D05B3/2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labels

Abstract

노루발의 교환을 용이하게 한다.
재봉기의 누름장치는, 선단에 노루발을 상하이동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장착하는 누름아암과, 상기 누름아암의 양측부에 배치되며 선단이 상기 노루발에 대하여 걸림결합하는 한 쌍의 승강레버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승강레버는, 상기 누름아암에 대하여 요동이 가능한 후방 레버와, 상기 후방 레버의 요동동작의 지점(支点)보다 상기 노루발쪽에서 후방 레버에 대하여 앞뒤로 이동 및 걸림고정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전방 레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재봉기의 누름장치{PRESSING APPARATUS OF SEWING MACHINE}
도 1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재봉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기의 누름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기의 누름장치의 걸림결합위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b)는 그 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기의 누름장치의 이탈위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b)는 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기의 누름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자 사이클 재봉기 2 : 재봉기 프레임
2a : 재봉기 아암부 2b : 재봉기 베드부
2c : 세로몸체부 3 : 재봉기 테이블
4 : 천 올림판 5 : 재봉바늘
10 : 누름아암 11 : 홈부
11a : 긴 구멍 12 : 걸림고정판
20 : 노루발 20a : 바늘 구멍
20b : 관통구멍 20c : 미끄럼판 형상부
30 : 승강수단 31 : 승강레버
31a : 전방 레버 31b : 후방 레버
31c : 아암부재 31d : 받이판
32 : 승강동작 부여수단 32a : 누름스프링
32b : 에어 실린더 33 : 승강레버축
34 : 연결부 34a : 긴 구멍부
34b : 조절나사 100 : 누름장치
A : 걸림결합위치 B : 이탈위치
본 발명은, 교환가능한 노루발을 갖는 재봉기의 누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이클 재봉을 수행하는 재봉기에 있어서는, 선단에 노루발을 유지하며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누름아암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노루발을 누름아암에 대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한 쌍의 누름아암레버(레버)가 누름아암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각 레버는 그 중앙부가 수평한 지지축에 의해 회동(回動)가능하게 누름아암에 지지되어 있다. 레버의 선단부는 상기 노루발에 걸림결합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의 후단부를 누름스프링에 의해 밀어올려 평상시에는 노루발을 하방으로 밀어내리고, 에어 실린더 등의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상기 누름스프링의 작용력에 대항하여 레버의 후단부를 끌어내림으로써, 노루발이 상승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노루발은, 누름아암의 선단에 대해 탈부착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노루발을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재봉기의 누름장치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H9-285667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낸 재봉기의 누름장치에 있어서는, 레버에 긴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수평한 지지축을 관통시키고, 긴 구멍을 따라 상기 누름아암레버 전체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그 선단부와 노루발간의 걸림결합을 해제하고 나서 노루발을 교환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누름스프링의 하중이 항상 레버의 선단측에도 작용하고 있어, 노루발의 교환시에 가벼운 동작에 의해 레버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기가 어려워 작업자의 부담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단순히 긴 구멍에 의해 레버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는 레버와 액추에이터의 연결부 등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레버의 이동을 허용하는 구조로 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노루발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재봉기의 누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선단에 상기 노루발을 상하이동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장착하는 동시에, 기단(基端)부를 재봉기 베드에 대하여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누름아암과, 상기 누름아암의 양측부에 배치되며 선단을 상기 노루발에 대하여 걸림결합 또는 이탈이 가능하게 하고 평상시에는 선단을 하방으로 밀어내리는 탄성력이 부여된 한 쌍의 승강레버를 구비한 재봉기의 누름장치로서,
상기 한 쌍의 승강레버는, 상기 누름아암에 대하여 요동이 가능하도록 축지지되며 상기 탄성력이 부여되는 후방 레버와, 상기 요동동작의 지점(支点)보다도 상기 노루발쪽에서 후방 레버에 대하여 앞뒤로 이동 및 걸림고정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전방 레버에 의해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전방 레버가 앞뒤로 진퇴함으로써 상기 노루발과 걸림결합하거나 또는 이탈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누름장치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재봉기의 누름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긴 구멍과 축 또는 볼록부와의 걸림결합에 의한 슬라이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전자 사이클 재봉기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형태의 전체구성)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기의 누름장치(100 : 이하, 누름장치(100))는 도 1에 나타낸 전자 사이클 재봉기(1)에 탑재되어 있다.
전자 사이클 재봉기(1 : 이하, '재봉기(1)'라 함)는 외관상 대략 'コ' 형상을 나타내는 재봉기 프레임(2)을 구비하며, 재봉기 테이블(3) 위에 놓여져 있다. 상기 재봉기(1)는, 누름장치(100)가 피봉제물인 천을 유지하고 재봉바늘(5)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누름장치(100)에 유지된 천에 소정의 봉제 데이터(바늘땀 패턴)를 기초로 하는 바늘땀을 형성하는 재봉기이다.
여기서, 재봉바늘(5)이 상하이동을 행하는 방향을 Z축방향(상하방향)으로 하고, 이것과 직교하는 재봉기 아암부의 길이방향을 Y축방향(전후방향)으로 하고, Z축방향과 Y축방향의 양방과 직교하는 방향을 X축방향(좌우방향)으로 정의한다.
(재봉기 프레임)
재봉기 프레임(2)은, 상기 재봉기 프레임(2)의 상부를 이루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재봉기 아암부(2a)와, 재봉기 프레임(2)의 하부를 이루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재봉기 베드부(2b)와, 재봉기 아암부(2a)와 재봉기 베드부(2b)를 연결하는 세로몸체부(2c)를 구비한다.
또한, 재봉기 프레임(2) 내에는 도시되지 않은 재봉기 모터나 동력전달기구, 봉제를 행하기 위한 각종 기구부 등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들은 종래 주지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상술하지 않는다.
(누름장치)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기의 누름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누름장치(100)는, 후술하는 노루발(20)에 의해 피봉제물인 천을 눌러 이동위치를 결정하는 누름장치로서, 재봉기 베드부(2b)상에서 이동가능한 누름아암(10) 과, 누름아암(10)에 상하이동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한 쌍의 노루발(20, 20)과, 노루발(20, 20)에 걸림결합하며 상기 노루발(20, 20)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0)을 구비하고 있다.
누름아암(10)은, 그 기단(基端)부가 세로몸체부(2c)의 전방측 근방의 재봉기 베드부(2b)상에 세워 설치되는 동시에 선단부가 재봉기 아암부(2a)와 재봉기 베드부(2b) 사이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선단부가 재봉기 아암부(2a)의 선단측에서 상하이동하는 재봉바늘(5)의 근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도 1, 도 5 참조). 또한, 누름아암(10)은, 상기 누름아암(10)의 상방에 설치된 받이판(31d)에 의해 상방으로의 휨이 규제되어 있다.
누름아암(10)의 기단부에는, 재봉기 베드부(2b) 내에 배치된 도시되지 않은 구동수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수단은 X축 펄스모터 및 Y축 펄스모터를 구비하고 있다.
X축 펄스모터 및 Y축 펄스모터는, 각각 도시되지 않은 기어기구, 구동축, 가이드 레일 등을 통해 누름아암(10)에 X축방향 및 Y축방향을 따른 구동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으며, 각 펄스모터의 구동량 및 구동의 타이밍은,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누름아암(10)의 기단부에는, 천을 올려 놓기 위한 천 올림판(4)이 연결되어 있다. 천 올림판(4)은, 재봉기 베드부(2b)의 상면을 따라 누름아암(10)의 기단부로부터 재봉기 베드부(2b)의 전방에 걸쳐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누름아암(10)의 Y축방향에서의 중간위치에는, 상기 누름아암(10)을 X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후술하는 승강레버(31)를 요동가능하게 축지지하는 승강레버축(33)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누름아암(10)의 선단부(앞쪽 단부)에는, 노루발(20, 20)의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즉, 지지부의 전면(全面)에는 Y축방향을 따라 2개의 홈부(11, 11)가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그리고, 누름아암(10)은, 상기 홈부(11, 11) 내에 장착되는 후술하는 노루발(20)을 통해 지지면인 재봉기 베드부(2b)상에 놓여지는 피봉제물을 상기 지지면에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노루발(20, 20)은, 그 기단부인 미끄럼판 형상부(20c)가 상기 누름아암(10)의 선단에 상하방향(Z축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된 홈부(11, 11) 내에 걸림결합되어, 걸림고정판(12)에 의해 전방으로 빠지지 않게 유지되면서 상하방향, 즉 Z축방향으로만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홈부(11, 11)의 상부 및 하부는 개구되어 있으며, 노루발(20, 20)의 미끄럼판 형상부(20c, 20c)는, 홈부(11, 11)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부터 빼낼 수 있어 교환이 가능하도록 장비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의 후면에는, 각 홈부(11, 11)를 따라 2개의 긴 구멍(11a, 11a)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긴 구멍(11a, 11a)에 대해 후술하는 2개의 승강레버(31, 31)의 선단부가 각각 후방으로부터 삽입관통되어, 각 노루발(20, 20)의 미끄럼판 형상부(20c, 20c)와 걸림결합하여 승강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노루발(20, 20)은, 그 상부가 직사각형상의 미끄럼판 형상부(20c, 20c)로 되어 있다. 노루발(20, 20)의 하단은 'コ'형상이며 좌우의 노루발(20, 20)의 'コ'형상 프레임부(20a, 20a)를 맞추면 사각형상의 프레임체가 된다.
노루발(20, 20)은, 상기 노루발(20, 20)의 미끄럼판 형상부(20c, 20c)로부터 전방측의 경사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노루발(20, 20)의 상하이동의 최하점에 있어서 상방으로부터 천 올림판(4) 위의 천에 맞닿아 상기 천을 누르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노루발(20, 20)의 미끄럼판 형상부(20c, 20c)에는, 상기 미끄럼판 형상부(20c, 20c)를 Y축방향을 따라 앞뒤로 관통하는 관통구멍(20b, 20b)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20b, 20b)에는, 상기 관통구멍(20b, 20b)에 걸림결합함으로써 노루발(20, 20)을 상하로 구동하는 승강수단(30)의 각 승강레버가 연결되어 있다(도 5 참조).
승강수단(30)은, 상기 누름아암(10)의 대략 중앙부에서 요동가능하게 축지지되는 동시에 일단이 앞뒤로 진퇴함으로써 노루발(20, 20)과 걸림결합하거나 또는 이탈되고, 걸림결합시에 각 노루발(20, 20)을 승강시켜 누름상태와 해제상태를 전환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노루발(20, 20)에 걸림결합되는 좌우 한 쌍의 승강레버(31, 31)와, 각 승강레버(31, 31)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승강동작 부여수단(32)을 구비하고 있다(도 1, 도 2 참조).
승강레버(31, 31)는, 상기 누름아암(10)의 좌우 양단에 병설되어 있으며, 상기 누름아암(10)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된 승강레버축(33)을 지점으로 하여 X축 둘레로 요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승강레버(31, 31)는 각각이 전방 레버(31a) 및 후방 레버(31b)의 2개의 다른 개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전방 레버(31a, 31a) 및 후방 레버(31b, 31b)는, 상기 승강레버(31, 31)의 요동동작의 지점보다 상기 노루발(20, 20)측에서 연결부(34)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후방 레버(31b, 31b)의 후단은, 누름아암(10)의 기단부측에 연장 설치되어 있으며 누름스프링(32a)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후방 레버(31b, 31b)의 대략 중앙부는, 상기 승강레버축(33)에 끼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후방 레버(31b, 31b)는, 후단부에서 누름스프링(32a)에 의해 항상 상방으로 가압되어 있으며, 전단부가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후방 레버(31b, 31b)의 선단, 즉 전방측의 일단에는, 거의 Y축방향, 즉 전후방향을 따른 2개의 긴 구멍(34a)이 각각 상하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 레버(31b, 31b)의 선단에는, 전방 레버(31a, 31a)의 후단이 각각의 긴 구멍부(34a, 34a)에 삽입통과된 축 및 고정나사를 통해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후방 레버(31b, 31b)에는, 각각 아암부재(31c, 31c)의 일단(하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아암부재(31c, 31c)의 타단은 후방 레버(31b, 31b)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아암부재(31c, 31c)의 상방에는 에어 실린더(32b)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 실린더(32b)는 재봉기 아암부(2a)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 실린더(32b)의 가동부가 상하로 구동되면, 그 하부가 아암부재(31c, 31c)의 상부에 접촉 및 분리되며, 또한, 아암부재(31c, 31c)를 통해 후방 레버(31b, 31b)를 상하로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전방 레버(31a, 31a)는, 그 후단이 각각 상기 후방 레버(31b, 31b)의 전방측에서 상기 후방 레버의 누름아암(10)측의 면에 면(面)하여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전방 레버(31a, 31a)의 선단은 누름아암(10)의 지지부의 긴 구멍(11a, 11a)을 통해 상기 노루발(20, 20)에 뚫려 형성된 관통구멍(20b, 20b)에 각각 헐겁게 삽입되어 있다.
즉, 상기 전방 레버(31a, 31a) 및 후방 레버(31b, 31b)는, 상기 후방 레버(31b, 31b)의 요동동작의 지점이 되는 승강레버축(33)보다 전방측, 즉 노루발(20)측에서 연결부(34)를 통해 앞뒤로 신축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연결부(34)는 긴 구멍부(34a)와, 축(34c)의 조절나사(34b)로 구성되어 이들의 걸림결합에 의한 슬라이드식으로 되어 있으며, 승강레버축(33)을 통해 누름아암(1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아암(10)에 대한 상대적인 전후이동이 규제되어 있는 후방 레버(31b)에 대하여, 전방 레버(31a)는 슬라이딩이동에 의해 앞뒤로 진퇴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3(a), (b), 도 4(a), (b) 참조).
상기 연결부(34)는, 조절나사(34b)를 느슨하게 푼 상태에서 전방 레버(31a)를 앞뒤로 이동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나사(34b)를 체결함으로써 그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방 레버(31a)를 앞뒤로 이동시킬 때의 조절위치로는, 조절나사(34b)가 긴 구멍(34a)의 전방쪽에 위치하는 「걸림결합위치 A」(도 3 참조)와, 조절나사(34b)가 긴 구멍(34a)의 후방쪽에 위치하는 「이탈위치 B」(도 4 참조)가 있으며, 상기 전방 레버(31a)를 앞뒤로 진퇴시킴으로써 이들을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걸림결합위치 A」에서는, 전방 레버(31a)의 선단이 노루발(20)의 관통구멍(20b) 내에 삽입 통과되어, 승강 레버(31)와 노루발(20)이 걸림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탈위치 B」에서는, 전방 레버(31a)의 선단이 노루발(20)의 관통구멍(20b)으로부터 이탈되어 걸림결합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방 레버(31a)가 상기 「이탈위치 B」에 있어 전방 레버(31a)와 노루발(20)간의 걸림결합이 해제된 상태에 있어서, 홈부(11, 11)를 따라 노루발(20, 20)을 상방(또는 하방)으로부터 빼낼 수 있어 노루발(20)을 교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승강동작 부여수단(32)은, 승강레버(31)의 후단에 연결된 누름스프링(32a)과, 상기 누름스프링(32a)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승강레버(31)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로서의 에어 실린더(32b)를 구비하고 있다.
누름스프링(32a)은, 승강레버(31)의 후단에 작용하여 상기 승강레버(31)의 후단을 항상 상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승강레버(31)의 타단, 즉 전방측의 단부를 항상 하방측으로 가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승강레버(31)의 선단에 노루발(20)이 걸림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노루발(20)은 항상 하방측으로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에어 실린더(32b)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구동되며, 누름스프링(32a)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승강레버(31)의 후단을 하방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승강레버(31)의 선단에 연결된 노루발(20)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승강레버(31)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는 에어 실린더(32b)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펄스모터나 솔레노이드 등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레버(31)를 에어 실린더(32b)의 구동에 따라 승강레버축(33)을 지점으로 하여 X축 둘레로 요동함으로써, 상기 승강레버(31)의 선단에 걸림결합된 노루발(20)을 홈(11)을 따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기의 누름장치(100)의 작용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승강레버(31)의 전방 레버(31a)가 「걸림결합위치 A」에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전방 레버(31a)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후단측이 긴 구멍부(34a)의 전방측에 있어서 후방 레버(31b)와 연결되고, 상기 전방 레버(31a)의 전단은 노루발(20)의 관통구멍(20b)에 삽입 통과된다.
여기서, 에어 실린더(32b)가 정지하고 있는 동안은, 누름스프링(32a)에 의해 승강레버(31 : 후방 레버(31b))의 후단에 항상 상방을 향한 가압력이 부여된다. 이 때문에, 승강레버(31)에는, 승강레버축(33)을 중심으로 하여 도 3(b)에서의 반시계방향의 가압력이 부여된다. 그 결과, 승강레버(31)의 선단에 걸림결합된 노루발(20)은 항상 하방측으로 가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재봉기(1)의 가동시, 즉 봉제에 따라 에어 실린더(32b)가 구동되면, 승강레버(31)에는 누름 스프링(32a)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도 3(b)에서의 시계방향의 회동력이 부여된다. 이에 따라, 노루발(20, 20)은 홈(11, 11)을 따라 상승된다.
노루발(20)을 교환할 때에는, 누름아암(10)의 좌우에 위치하는 승강레버(31, 31)의 각각에 대해 조절나사(34b, 34b)를 느슨하게 푼 후, 좌우의 각 전방 레버 (31a, 31a)를, 조절나사(34b, 34b)가 긴 구멍(34a, 34a)의 후방측, 즉 「이탈위치 B」가 되도록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전방 레버(31a)가 「이탈위치 B」에 있을 때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루발(20)과 승강레버(31)의 선단부간의 걸림결합이 해제되어, 노루발(20)은 홈(11, 11)을 따라 상하로 자유롭게 슬라이딩 승강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적절하게 노루발(20)이 교환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승강레버(31)는, 요동동작의 지점인 승강레버축(33)보다 전방측, 즉 노루발(20)측에 있어서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앞뒤로 신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재봉기(1)가 정지하고 있을 때에는 아암부재(31c, 31c)의 상단이 에어 실린더(32b)에 걸림고정됨으로써 후방 레버(31b)의 요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누름스프링(32a)의 가압력이 전방 레버(31a)측에 미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노루발(20)의 교환시에 요동동작의 지점보다 후방측에 연결된 누름스프링(32a)에 의한 가압력이나 에어 실린더(32b)와의 연결부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승강레버(31)와 노루발(20)의 걸림결합이 해제되어, 노루발(20)이 교환된다(도 4(b) 참조).
이상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재봉기의 누름장치에 따르면, 노루발(20, 20)을 교환할 때에는 전방 레버(31a)에 누름스프링(32a)의 가압력이 미치지 않고, 후방 레버(31b)에 대해 긴 구멍(34a)과 조절나사(34b)로 연결된 전방 레버(31a)를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가벼운 힘으로 용이하게 이탈위치 B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레버(31)와 노루발(20)의 걸림결합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노루발(20, 20)의 교환에 대한 작업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노루발(20, 20)의 교 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조절나사(34b)에 나비나사 등을 사용함으로써 공구가 불필요하며 매우 용이하게 노루발(20, 20)을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봉기의 누름장치(100)가 전자 사이클 재봉기에 탑재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천을 유지하여 이동시키는 천누름장치를 탑재하는 각종의 재봉기에 적용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승강레버(31)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다른 개체가 상기 요동동작의 지점보다 노루발(20)측에서 앞뒤로 신축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면 되고, 3개 이상의 부재가 신축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연결부(33)는, 슬라이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디를 갖는 접철식 크랭크구조로 해도 된다.
또한, 승강레버(31)의 연결부(34)를 구성하는 긴 구멍부(34a)와 조절나사(34b)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방 레버(31b)측에 긴 구멍부(34a)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전방 레버(31a)측에 긴 구멍부(34a)를 형성해도 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승강레버는, 상기 승강레버의 요동동작의 지점보다 노루발쪽에서 전방측의 전방 레버와 후방측의 후방 레버로 분할된다. 또한, 이들 전방 레버와 후방 레버는, 후방 레버에 대하여 전방 레버를 앞뒤로 이동 및 걸림고정이 가능한 연결부에 의해 요동동작의 지점보다 노루발쪽에서 앞뒤로 신축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승강레버의 요동동작의 지점보다도 노루발쪽에 있어서 상기 승강레버를 앞뒤로 신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예컨대, 지점을 사이에 두고 노루발쪽과는 반대측에서 에어 실린더, 누름스프링 등의 승강동작 부여수단이 승강의 구동력을 부여하고 있는 경우, 승강동작 부여수단에 의한 누름압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노루발과 승강레버의 걸림결합 또는 이탈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노루발과 승강레버의 걸림결합 또는 이탈 작업을 가벼운 힘으로 행할 수 있어, 노루발 교환시 작업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즉, 노루발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노루발의 교환이 실시될 때, 승강동작 부여수단으로서, 예컨대, 직동형(直動型) 액추에이터 등을 사용하더라도, 레버와 승강동작 부여수단 사이에 레버의 전후이동을 허용하는 구조는 불필요하다. 이 때문에, 승강동작 부여수단으로서 다양한 것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승강레버는, 노루발을 교환할 때의 작업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노루발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외에, 특히, 승강레버는, 긴 구멍과 축 또는 볼록부와의 걸림결합에 의해 구성되는 슬라이딩식 연결부에 의해 요동동작의 지점보다 노루발쪽에서 앞뒤로 자유롭게 신축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노루발을 교환할 때의 작업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노루발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선단에 노루발을 상하이동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장착하는 동시에, 기단(基端)부를 재봉기 베드에 대하여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누름아암과,
    상기 누름아암의 양측부에 배치되며 선단을 상기 노루발에 대하여 걸림결합 또는 이탈이 가능하게 하고 평상시에는 선단을 하방으로 밀어내리는 탄성력이 부여된 한 쌍의 승강레버를 구비한 재봉기의 누름장치로서,
    상기 한 쌍의 승강레버는,
    상기 누름아암에 대하여 요동이 가능하도록 축지지되며 상기 탄성력이 부여되는 후방 레버와, 상기 요동동작의 지점(支点)보다 상기 노루발쪽에서 후방 레버에 대하여 앞뒤로 이동 및 걸림고정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전방 레버에 의해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전방 레버가 앞뒤로 진퇴함으로써 상기 노루발과 걸림결합하거나 또는 이탈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누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레버와 전방 레버의 연결부는, 상기 후방 레버와 상기 전방 레버 중 일방에 형성된 긴 구멍과 조절 나사의 걸림결합에 의한 슬라이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누름장치.
KR1020060042249A 2005-05-12 2006-05-11 재봉기의 누름장치 KR101295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39824A JP4860179B2 (ja) 2005-05-12 2005-05-12 ミシンの押え装置
JPJP-P-2005-00139824 2005-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225A KR20060117225A (ko) 2006-11-16
KR101295603B1 true KR101295603B1 (ko) 2013-08-12

Family

ID=37295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249A KR101295603B1 (ko) 2005-05-12 2006-05-11 재봉기의 누름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860179B2 (ko)
KR (1) KR101295603B1 (ko)
CN (1) CN1861884B (ko)
CZ (1) CZ2006302A3 (ko)
DE (1) DE102006021500B4 (ko)
TW (1) TW2007025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6428B (zh) * 2011-07-28 2013-07-31 中屹机械工业有限公司 复合送料链式线迹缝纫机
CN105544097B (zh) * 2016-01-27 2018-11-23 福建亿泰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花样机压料装置及花样机
CN105671800B (zh) * 2016-04-15 2018-06-29 黄广建 一种缝纫机的压布驱动机构、压布装置及缝纫机
CN110306299A (zh) * 2018-12-17 2019-10-08 常州智谷机电科技有限公司 全自动冷折装袋机的送料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5667A (ja) * 1996-04-24 1997-11-04 Brother Ind Ltd ミシンの押さ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0074A (ja) * 1997-09-18 1999-04-06 Shingaa Nikko Kk ミシンの押え金押圧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5667A (ja) * 1996-04-24 1997-11-04 Brother Ind Ltd ミシンの押さ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2006302A3 (cs) 2007-07-04
TW200702512A (en) 2007-01-16
KR20060117225A (ko) 2006-11-16
CN1861884B (zh) 2012-08-08
JP4860179B2 (ja) 2012-01-25
CN1861884A (zh) 2006-11-15
JP2006314529A (ja) 2006-11-24
DE102006021500B4 (de) 2015-08-06
DE102006021500A1 (de) 200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3847B (zh) 多頭刺繡機
KR101295603B1 (ko) 재봉기의 누름장치
JP2009119048A (ja) 片針切り替え装置
JP2009207639A (ja) シークインテープ供給装置及び多頭刺繍機
JP2007307275A (ja) ミシン用上送り装置
JP4623423B2 (ja) 刺繍ミシンの刺繍押え
US20120272883A1 (en) Heat Cutting Device For Embroidery Sewing Machine
KR101077713B1 (ko) 미싱
JP5265217B2 (ja) ミシンの押さえ上げ装置
JP2007075253A (ja) 片針切り替え装置
KR100989741B1 (ko) 단추 구멍 사뜨기 재봉틀
JP2007006912A (ja) ミシンの針棒駆動装置
KR100633205B1 (ko) 자수기
JP2017148179A (ja) クランプ補助装置
JP4605455B2 (ja) ミシンの布送り装置
JP2009207641A (ja) シークインテープ供給装置
JP3292389B2 (ja) ミシン
JPH06304362A (ja) 刺繍ミシンの押え足切換え装置
JPS63541B2 (ko)
JP2023035279A (ja) 刺しゅう枠脱着装置及びその刺しゅうミシン
JP2005287543A (ja) ボタン付けミシン
JP2003126574A (ja) ミシンにおけるスプレッダーの駆動装置
KR100589542B1 (ko) 자수기, 누비기 또는 자수봉제기의 동력전달 및동력단속장치
JPH06304361A (ja) 刺繍ミシンの押え足機構
CN110592814A (zh) 缝纫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