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057B1 -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057B1
KR101408057B1 KR1020127019101A KR20127019101A KR101408057B1 KR 101408057 B1 KR101408057 B1 KR 101408057B1 KR 1020127019101 A KR1020127019101 A KR 1020127019101A KR 20127019101 A KR20127019101 A KR 20127019101A KR 101408057 B1 KR101408057 B1 KR 101408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valve
reed valve
sealing surfac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9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6939A (ko
Inventor
마사키 오타
마사카즈 무라세
히로시 구보
노리아키 사타케
마사히로 가와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20096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6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with tongue-shaped lamin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09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04B39/1066Valv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04B39/107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the members being re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F04B53/1037Flap valves
    • F04B53/1047Flap valves the valve being formed by one or more flexibl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F04B53/1037Flap valves
    • F04B53/1047Flap valves the valve being formed by one or more flexible elements
    • F04B53/105Flap valves the valve being formed by one or more flexible elements one flexible element oscillating around a fixed p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79Resilient material valve
    • Y10T137/7888With valve member flexing about securement
    • Y10T137/7891Flap or reed

Abstract

밸브판과, 흡입 리드 밸브와, 시트면(seating surface)을 구비하는 압축기가 개시된다. 밸브판은, 압축실을 흡입실에 연통시키는 흡입 포트를 갖는다. 흡입 리드 밸브는, 상기 흡입 포트를 개폐 가능하다. 시트면은, 상기 밸브판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 리드 밸브가 상기 흡입 포트를 폐색했을 때에 동(同)흡입 리드 밸브에 맞닿는다. 상기 시트면은, 상기 흡입 포트를 둘러싸는 평탄한 시일면과, 당해 시일면을 둘러싸는 홈부를 구비한다. 흡입 리드 밸브의 밸브부는, 상기 시일면에 밀접하여 상기 흡입 포트를 폐색하는 평탄한 밀봉면을 구비한다. 상기 시트면에는, 상기 압축실의 압력이 상기 흡입실의 압력과 동일한 경우에, 상기 시일면과 상기 밀봉면을 이간시키는 복수의 볼록부를 갖는다. 상기 볼록부는 상기 시일면으로부터 벗어난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압축기{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압축기에서는, 압축실과 흡입실과의 사이에 격벽(partition wall)이 설치되고, 그 격벽에는 압축실과 흡입실을 연통(communication) 가능한 흡입 포트가 설치되어 있다. 흡입 포트는 가요성(可撓性)이 있는 흡입 리드 밸브에 의해 개폐된다. 격벽에는 흡입 리드 밸브가 흡입 포트를 폐색할 때에 맞닿는 시트면(seating surface)이 형성되어 있다. 흡입 리드 밸브는, 격벽에 고정된 고정부와, 고정부로부터 격벽을 따르도록 연장되어 격벽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반(離反) 가능한 근원부와, 근원부(base portion)로부터 격벽을 따르도록 연장되어 흡입 포트를 개폐하는 밸브부로 이루어져 있다.
흡입 리드 밸브는, 압축실의 압력이 흡입실의 압력보다 높아지도록 상승하면, 근원부 및 밸브부가 시트면과 맞닿아 흡입 포트를 폐쇄한다. 또한, 흡입 리드 밸브는, 압축실의 압력이 흡입실의 압력보다 저하되면, 근원부 및 밸브부가 시트면으로부터 이반되어 흡입 포트를 개방한다. 단, 윤활유를 포함한 냉매 가스를 사용하는 실제의 압축기에서는, 흡입 리드 밸브에 밸브 열림 저항(예를 들면, 근원부 및 밸브부와, 시트면과의 사이의 밀착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압축실의 압력이 흡입실의 압력보다 강하해도 흡입 포트가 곧바로는 개방되지 않는 상태, 즉 흡입 리드 밸브의 열림 지연이 발생하기 쉬워, 그것이 흡입 맥동의 발생 요인의 하나가 되고 있다.
압축실과 토출실과의 사이의 격벽에 토출 포트가 설치되고, 토출 포트가 토출 리드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압축기에 대해서도 동일한 이유로 흡입 맥동이 발생한다.
그래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압축기에서는, 시트면 및 당해 시트면에 맞닿는 흡입 리드 밸브(근원부 및 밸브부)의 맞닿음면 중 어느 한쪽을 조면(roughened surface)화함으로써, 흡입 리드 밸브의 밸브 열림 저항을 작게 하여, 동(同)밸브 열림 저항에 기인하는 흡입 맥동을 저감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압축기에서는, 시트면과 흡입 리드 밸브의 근원부와의 사이에 시트 부재를 개재시킴으로써, 흡입 리드 밸브의 밸브 열림 저항을 작게 하여, 동밸브 열림 저항에 기인하는 흡입 맥동을 저감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의 압축기에서는, 흡입구멍의 주위의 시트면 상의 부위에 흡입 리드 밸브를 향하여 돌출하는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흡입 리드 밸브의 밸브 열림 저항을 작게 하여, 동(同)밸브 열림 저항에 기인하는 흡입 맥동을 저감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0-54961호 일본특허 제4395400호 공보 일본공개특허공보 2005-42695호
그러나, 상기 문헌 1∼3의 압축기에서는, 높은 압축 효율을 유지하면서 맥동을 저감함과 함께, 비용의 저렴화를 도모하는 것이 어렵다.
즉, 맥동의 저감을 위해 시트면 및 흡입 리드 밸브(또는 토출 리드 밸브)의 맞닿음면 중 어느 한쪽을 조면화하면, 흡입 리드 밸브(또는 토출 리드 밸브)가 흡입 포트(또는 토출 포트)를 폐쇄할 때, 조면화된 면에 의해 흡입 리드 밸브(또는 토출 리드 밸브)와 시트면과의 밀접성이 저하되어 시일 불량이 발생하기 쉽다. 그러면, 압축실로부터 흡입실(또는 토출실로부터 압축실)로의 냉매 가스의 누출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높은 압축 효율을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일본특허 제3326909호 공보의 단락[0027]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흡입 또는 토출 포트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미리 흡입 또는 토출 리드 밸브를 만곡시켜 성형해 두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압축실의 압력이 흡입실의 압력과 동일한 상태이거나 또는 흡입실의 압력보다도 낮은 상태에 있는 경우, 또는 압축실의 압력이 토출실의 압력과 동일한 상태이거나 또는 토출실의 압력보다도 낮은 상태에 있는 경우, 리드 밸브는 포트를 폐쇄한 상태로부터 동(同)포트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복귀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리드 밸브의 열림 지연이 발생하기 어려워, 맥동을 저감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상기 일본특허 제3326909호 공보의 압축기에서도, 포트의 주위의 시트면의 부위가 조면화되어 있어, 높은 압축 효율을 유지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문헌 2와 같이 리드 밸브와는 별체인 상기 시트 부재를 채용하면, 부품 점수의 증가에 의해 비용 상승을 피할 수 없다. 또한, 상기 문헌 3의 도 5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흡입 리드 밸브는 볼록부를 지점(支點;fulcrum)으로 하여 개폐 동작하도록 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성에서는, 볼록부와 리드 밸브와의 접촉 부위에 있어서 응력이 집중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압축 효율을 유지하면서 맥동을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리드 밸브에 응력이 집중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한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격벽과, 리드 밸브와, 시트면을 구비하는 압축기가 제공된다. 격벽은, 압축실과, 흡입실 또는 토출실과의 사이에 설치된다. 격벽은, 상기 압축실을 상기 흡입실 또는 상기 토출실에 연통시키는 포트를 갖는다. 리드 밸브는, 상기 포트를 개폐 가능하다. 리드 밸브는 가요성을 갖는다. 리드 밸브는, 상기 격벽에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격벽을 따르도록 연장되어 상기 격벽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반 가능한 근원부와, 상기 근원부로부터 상기 격벽을 따르도록 추가로 연장되어 상기 포트를 개폐하는 밸브부를 구비한다. 시트면은, 상기 격벽에 형성되고, 상기 리드 밸브가 상기 포트를 폐색했을 때에 동(同)리드 밸브에 맞닿는다. 상기 시트면은, 상기 포트를 둘러싸는 평탄한 시일면과, 당해 시일면을 둘러싸는 홈부를 구비한다. 상기 밸브부는, 상기 시일면에 밀접하여 상기 포트를 폐색하는 평탄한 밀봉면(seal surface)을 구비한다. 상기 시트면 또는 상기 리드 밸브에는, 상기 압축실의 압력이 상기 흡입실 또는 상기 토출실의 압력과 동일한 경우에, 상기 시일면과 상기 밀봉면을 이간(separation)시키는 복수의 볼록부를 갖는다. 상기 볼록부는 상기 시일면 및 상기 밀봉면으로부터 벗어난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압축기에 의하면, 압축실의 압력이 흡입실의 압력과 동일한 경우 또는 압축실의 압력과 토출실의 압력이 동일한 경우, 복수의 볼록부가 시일면과 밀봉면을 이간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포트가 흡입 포트인 경우, 압축실의 압력이 흡입실의 압력보다 저하되면, 리드 밸브가 흡입 포트를 개방하기 쉽다. 이 때문에, 리드 밸브의 열림 지연이 발생하기 어려워, 흡입 맥동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트가 토출 포트인 경우, 동일한 작용에 의해, 압축실의 압력이 토출실의 압력보다 상승하면, 리드 밸브가 토출 포트를 개방하기 쉬워, 토출 맥동을 저감할 수 있다. 압축실의 압력이 흡입실의 압력과 동일한 경우, 및, 압축실의 압력과 토출실의 압력이 동일한 경우란, 압축기가 작동 중에서 압축실과 흡입실에 압력차가 없는 상태 또는 압축실과 토출실에 압력차가 없는 상태와, 압축기가 작동을 정지하여 압축실과 흡입실에 압력차가 없어진 상태 또는 압축실과 토출실에 압력차가 없어진 상태를 말한다.
또한, 상기 포트가 흡입 포트인 경우, 이 압축기에서는, 압축실의 압력이 흡입실의 압력보다 상승하면, 리드 밸브는 밸브부의 밀봉면이 시트면의 시일면과 밀접하여 흡입 포트를 폐쇄한다. 한편, 상기 포트가 토출 포트인 경우, 동일한 작용에 의해, 압축실의 압력이 토출실의 압력보다 저하되면, 리드 밸브는 밸브부의 밀봉면이 시트면의 시일면과 밀접하여 토출 포트를 폐쇄한다. 여기에서, 밀봉면 및 시일면은 평탄하고 조면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밀봉면이 시일면과 밀접함으로써 포트를 확실히 폐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는, 높은 압축 효율을 유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높은 냉각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볼록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리드 밸브가 시트면으로부터 떨어지면, 리드 밸브와 시트면과의 사이에 극간(gap)이 확보되고, 리드 밸브와 시트면이 밀접 하기 어려워, 리드 밸브와 시트면과의 사이에 밀착력이 작용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리드 밸브의 열림 지연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포트의 밸브 개도(開度;open amount)의 급격한 변화나 리드 밸브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는, 상기의 각 맥동을 저감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정숙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3과 비교하여, 밸브체가 복수의 볼록부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볼록부에 의해 밸브체가 지지되는 특허문헌 3보다 밸브체를 지지하는 위치에서의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압축기는, 높은 압축 효율을 유지하면서 맥동을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밸브체로의 응력 집중 완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록부는, 상기 시트면 상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가장자리부에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볼록부가 홈부의 가장자리부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허문헌 3과 비교하여, 홈부의 가장자리부 외주와 리드 밸브와의 사이에서 유막(油膜)이 형성되기 어려워진다. 홈부와 홈부의 가장자리부에 연속하여 형성된 볼록부의 작용에 의해 유막이 끊어지기 쉬워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록부는, 상기 시트면 상에 있어서, 상기 근원부에 대향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록부는, 상기 리드 밸브 상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홈부의 가장자리부에 대향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볼록부가 홈부의 가장자리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허문헌 3과 비교하여, 홈부의 가장자리부 외주와 리드 밸브와의 사이에서 유막이 형성되기 어려워진다. 홈부와 홈부의 가장자리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볼록부의 작용에 의해 유막이 끊어지기 쉬워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록부는, 상기 근원부에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록부는, 널링 가공(knuling process), 쇼트 가공(blasting process) 및 레이저 가공(laser process)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널링 가공, 쇼트 가공 및 레이저 가공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리드 밸브와 시트면과의 사이에 불균일이 적은 극간을 확실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압축기는, 널링 가공, 쇼트 가공 및 레이저 가공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복수의 볼록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높은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압축기의 종(vertical)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축기에 관하여, 흡입 리드 밸브가 흡입 포트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要部)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압축기에 관하여, 밸브판과, 복수의 흡입 리드 밸브가 형성된 흡입 밸브판과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압축기에 관하여, 흡입 리드 밸브가 흡입 포트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압축기에 관하여, 도 4의 화살표 V방향으로부터 흡입 리드 밸브 및 흡입 포트를 본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압축기에 관하여, 기준면에 형성된 볼록부와, 흡입 리드 밸브의 근원부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압축기에 관하여, 토출 리드 밸브가 토출 포트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압축기에 관하여, 밸브판과, 복수의 토출 리드 밸브가 형성된 토출 밸브판과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2의 압축기에 관하여, 토출 리드 밸브가 토출 포트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2의 압축기에 관하여, 도 9의 화살표 V방향으로부터 토출 리드 밸브 및 토출 포트를 본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2의 압축기에 관하여, 토출 리드 밸브가 토출 포트를 미소하게 연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2의 압축기에 관하여, 토출 리드 밸브가 토출 포트를 작게 연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2의 압축기에 관하여, 토출 리드 밸브가 토출 포트를 크게 연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2의 압축기에 관하여, 시간과 압축실 내의 압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도 14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3의 압축기에 관하여, 흡입 리드 밸브가 흡입 포트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3의 압축기에 관하여, 흡입 리드 밸브, 흡입 포트 및 토출 포트를 본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18은 실시예 4의 압축기에 관하여, 흡입 리드 밸브, 흡입 포트 및 토출 포트를 본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19는 실시예 5의 압축기에 관하여, 리드 밸브가 포트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0은 실시예 6의 압축기에 관하여, 흡입 리드 밸브가 흡입 포트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 1∼6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6의 압축기는,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이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지면(紙面) 좌측을 압축기의 전측(前側)이라고 규정하고, 지면 우측을 압축기의 후측이라고 규정하여, 압축기의 전후 방향을 표시한다. 또한, 각 도면에 표시하는 전후 방향은, 모두 도 1에 대응하고 있다.
(실시예 1)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압축기의 하우징은, 실린더 블록(1)과, 실린더 블록(1)의 전단(前端)에 접합된 프론트 하우징 부재(3)와, 실린더 블록(1)의 후단에 밸브 유닛(23)을 통하여 접합된 리어 하우징 부재(5)를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 블록(1), 프론트 하우징 부재(3) 및 리어 하우징 부재(5)는, 복수의 볼트(7)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1)에는 복수개의 실린더 보어(1a)가 형성되고, 그들 실린더 보어(1a)는, 동일원 상에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됨과 함께 실린더 블록(1)의 축선을 따라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1)과 프론트 하우징 부재(3)는 크랭크실(9)을 형성한다. 리어 하우징 부재(5)에는,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흡입실(5a)과, 지름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토출실(5b)이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하우징 부재(3)에는 축구멍(軸孔; 3a)이 형성되고, 실린더 블록(1)에는 축구멍(1b)이 형성되어 있다. 축구멍(3a, 1b)에는 구동축(11)이 삽입되어 있다. 구동축(11)은, 축봉(shaft seal) 장치(9a) 및 레이디얼 베어링(9b, 9c)을 통하여 프론트 하우징 부재(3) 및 실린더 블록(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축(11)에는 도시하지 않는 풀리 또는 전자 클러치가 설치되어 있고, 풀리 또는 전자 클러치의 풀리에는 차량의 엔진 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도시하지 않는 벨트가 감겨져 있다.
크랭크실(9) 내에서는, 구동축(11)에 러그 플레이트(13)가 고정되어 있고, 러그 플레이트(13)와 프론트 하우징 부재(3)와의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1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축(11)은 사판(17)에 삽통되어 상기 사판(17)을 지지하고 있다. 사판(17)은 러그 플레이트(13)에 대하여 경동 가능(inclinable)하도록 링크 기구(19)에 의해 러그 플레이트(13)에 연결되어 있다.
각 실린더 보어(1a) 내에는 피스톤(21)이 왕복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밸브 유닛(23)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1)의 후단면에 맞닿는 흡입 밸브판(25)과, 흡입 밸브판(25)에 맞닿는 밸브판(27)을 포함한다. 밸브판(27)은 본 발명의 격벽의 일 예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판(17)과 각 피스톤(21)과의 사이에는 전후에서 쌍을 이루는 슈(33a, 33b)가 설치되어 있고, 각 쌍의 슈(33a, 33b)에 의해 사판(17)의 회전 운동이 피스톤(21)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크랭크실(9)과 흡입실(5a)은 추기(抽氣) 통로에 의해 접속되고, 크랭크실(9)과 토출실(5b)은 급기(給氣) 통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급기 통로에는 용량 제어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이 용량 제어 밸브는, 흡입 압력에 따라서 급기 통로의 개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압축기의 토출실(5b)은 배관에 의해 응축기에 접속되고, 응축기는 배관에 의해서 팽창 밸브를 통하여 증발기에 접속되고, 증발기는 배관에 의해 압축기의 흡입실(5a)에 접속되어 있다. 실린더 보어(1a), 피스톤(21) 및 밸브 유닛(23)에 의해 각 압축실(24)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판(27)에는, 흡입실(5a)과 각 압축실(24)을 연통하는 흡입 포트(23a)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 밸브판(25)에는, 각 흡입 포트(23a)를 개폐하는 흡입 리드 밸브(25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 밸브판(25)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원형 박판으로 이루어진다. 도 3에 있어서, 지면 앞측이 압축기의 전측에 대응하고, 지면 안측이 압축기의 후측에 대응한다. 각 실린더 보어(1a)는, 흡입 밸브판(25)에 대하여 지면 앞측에 위치하고, 그것을 이점 쇄선으로 도시한다. 원형 박판을 부분적으로 잘라냄으로써, 흡입 밸브판(25)에는, 그 중심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연출(延出)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각 연출 부분이 흡입 리드 밸브(25a)가 되어 흡입 포트(23a)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 포트(23a)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이고, 밸브판(27)의 압축실(24)측의 면, 즉, 흡입 밸브판(25)에 대향하는 면인 시트면(270)에는, 흡입 포트(23a)의 주위 전체, 즉 개구 가장자리부 전체를 둘러싸는 원환상의 홈부(272)가 형성되어 있다. 시트면(270)에 있어서, 흡입 포트(23a)와 홈부(272) 사이에 끼워진 원환상의 영역은, 평탄한 시일면(안경부라고도 함)(271)으로 되어 있다. 시트면(270)은, 흡입 리드 밸브(25a)의 폐색시에 흡입 리드 밸브(25a)와 맞닿는다.
한편,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면(270)에 있어서, 홈부(272)를 사이에 두고 흡입 포트(23a)로부터 떨어지는 측의 영역은, 시일면(271)과 면일한 기준면(273)으로 되어 있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흡입 리드 밸브(25a)는, 기준면(273)에 고정된 고정부(251)와, 고정부(251)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기준면(273)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반 가능한 근원부(252)와, 근원부(252)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흡입 포트(23a)를 개폐하는 밸브부(253)를 구비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부(253)에 있어서의, 시일면(271)과 밀접하는 면은, 평탄한 밀봉면(253a)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방향(D1)은, 시트면(270)과 평행이고, 그리고 구동축(11)의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원부(252) 및 밸브부(253)를 평면에서 본 경우, 근원부(252)는 제1 방향(D1)을 따라서 가늘고 긴 장방형을 이루고 있다. 밸브부(253)의 외연(253b)은, 흡입 포트(23a) 및 홈부(272)와 동심원 형상으로 연장되는 원호이고, 그 직경은, 근원부(252)의 단변의 폭보다 조금 큼과 함께, 시일면(271)의 직경보다도 크고 그리고 홈부(272)의 최외형의 직경보다도 작다. 즉, 외연(253b)은, 홈부(272)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준면(273)에는, 상세하게는 근원부(252)와 대향하는 기준면(273)의 영역에는, 압축실(24)을 향하여 돌출하는 복수의 볼록부(273a)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볼록부(273a)는 시일면(271)으로부터 벗어난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볼록부(273a)는 널링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기준면(273)으로부터 돌출하는 미소한 돌기와, 기준면(273)보다 움푹 패인 미소한 패임이 격자 형상으로 늘어서 있다.
각 볼록부(273a)는, 근원부(252)의 폭 방향 양단(兩端) 가장자리보다도 폭넓게 연재(extend)되어 있음과 함께, 제1 방향(D1)을 따라서, 홈부(272) 근방까지 연재되어 있다. 기준면(273)과 미소한 돌기와의 고저차(Δ)는, 압축기의 크기나 리드 밸브의 크기에도 따르지만, 10㎛∼수십㎛ 정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판(27)에는 토출 밸브판(29) 및 리테이너판(31)이 고정되어 있다. 흡입 밸브판(25) 및 밸브판(27)에는, 토출실(5b)과 각 압축실(24)을 연통하는 토출 포트(23b)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 밸브판(29)에는, 각 토출 포트(23b)를 개폐하는 토출 리드 밸브(29a)가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판(31)에는, 각 토출 리드 밸브(29a)의 리프트 길이(개도)를 규제하는 리테이너(31a)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압축기에서는, 구동축(11)이 회전 구동함으로써, 러그 플레이트(13) 및 사판(17)이 구동축(11)과 일체로 회전하고, 사판(17)의 경사각에 따른 스트로크로 각 피스톤(21)이 대응하는 실린더 보어(1a) 내를 왕복운동한다. 이 때문에, 흡입실(5a) 내의 냉매는, 각 압축실(24)에 흡입되어 압축되고, 토출실(5b)에 토출된다. 압축기가 압축 작용을 행하는 냉매에는 미스트 형상의 윤활유가 포함되어 있다. 이 윤활유는, 각 피스톤(21), 각 슈(33a, 33b) 및 사판(17) 등의 접동 부분에 개재하여 그들 마모를 억제한다. 또한, 윤활유는, 시트면(270), 흡입 리드 밸브(25a) 및 토출 리드 밸브(29a)의 표면에 부착함과 함께, 홈부(272) 내에도 고인다.
이때, 압축실(24)의 압력이 흡입실(5a)의 압력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것보다도 낮은 상태에 있을 때,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볼록부(273a)가 근원부(252)를 기준면(273)으로부터 떨어뜨린다. 여기에서, 근원부(25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원형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흡입 밸브판(25)의 일부이다. 이 때문에, 근원부(252)에 있어서, 그 고정부(251)쪽의 부위는 기준면(273)과 밀접하고 있지만,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이외의 부위는 볼록부(273a)에 의해 들어 올려져 기준면(273)과의 사이에 극간(W)을 가지면서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다. 이 때문에, 근원부(252)와 기준면(273)이 밀접하기 어렵고, 근원부(252)와 기준면(273)과의 사이에 밀착력이 작용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면(271)과 밀봉면(253a)이 이간된다. 이 때문에, 압축실(24)의 압력이 흡입실(5a)의 압력보다 저하했을 때에 흡입 리드 밸브(25a)가 신속하게 열린다. 즉, 흡입 리드 밸브(25a)의 열림 지연이 발생하기 어렵고, 흡입 리드 밸브(25a)가 늦은 타이밍에서 급격하게 열리는 것이 억제됨과 함께, 흡입 리드 밸브(25a)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는, 흡입 맥동을 저감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정숙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압축실(24)의 압력이 흡입실(5a)의 압력보다 높아지도록 상승하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원부(252)가 기준면(273)에 접근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근원부(252)는, 볼록부(273a)에 따르도록 만곡하여 기준면(273)과의 사이에 고저차(Δ)를 가지면서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또한, 홈부(272) 근방에서 볼록부(273a)가 없어지면, 재차 기준면(273)에 접근하도록 만곡하는 이러한 근원부(252)의 탄성 변형에 의해, 밸브부(253)의 밀봉면(253a)이 시일면(271)에 밀접한다. 밀봉면(253a) 및 시일면(271)은 평탄하고 조면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밀봉면(253a)이 시일면(271)과 밀접함으로써 흡입 포트(23a)를 확실히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냉매 가스에 포함되는 윤활유가 홈부(272)에 고임과 함께, 밸브부(253)의 외연(253b)이 홈부(27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부(253)가 흡입 포트(23a)를 폐쇄할 때, 밸브부(253)의 외연(253b)에 홈부(272) 내의 윤활유가 접촉하여, 밀봉면(253a)과 시일면(271)과의 사이를 확실히 시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는, 특허문헌 1의 압축기와 비교하여, 높은 압축 효율을 유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높은 냉각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압축기에서는, 볼록부(273a)가 시트면(273)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의 증가에 따른 비용 상승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압축기에서는, 흡입 리드 밸브(25a)가 흡입 포트(23a)를 폐쇄할 때, 홈부(272)에 고인 윤활유에 의해, 시일면(271)과 밀봉면(253a)과의 사이를 확실히 시일할 수 있기 때문에, 압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압축기에서는, 널링 가공에 의해 근원부(252)와 시트면(270)과의 사이에 불균일이 적은 고저차(Δ)가 확실히 확보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273a)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높은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홈부(272) 내의 윤활유에 의한 밀봉면(253a)과 시일면(271)과의 사이의 시일이 지나치게 강해지면, 밸브부(253)의 열림 지연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홈부(272)의 폭이나 시일면(271)으로부터의 외연(253b)의 비어져 나오는 양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밸브부(253)의 외연(253b)과 홈부(272) 내의 윤활유와의 접촉 면적을 최적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입 리드 밸브(25a)를 복수의 볼록부(273a)로 지지하는 구성에 의해, 하나의 볼록부에 의해 흡입 리드 밸브가 지지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흡입 리드 밸브(25a)를 지지하는 위치에서의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압축기에서는, 높은 압축 효율을 유지하면서 맥동을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비용의 저렴화 및 흡입 리드 밸브(25a)로의 응력 집중 완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2)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압축기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 밸브판(25) 및 밸브판(27)에는, 토출실(5b)과 각 압축실(24)을 연통시키는 토출 포트(23b)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 밸브판(29)에는, 각 토출 포트(23b)를 개폐하는 토출 리드 밸브(29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 밸브판(29)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토출 리드 밸브(29a)는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8∼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 포트(23b)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이고, 밸브판(27)의 토출실(5b)측의 면, 즉, 토출 밸브판(29)과 대향하는 면인 시트면(275)에는, 토출 포트(23b)의 주위 전체, 즉 개구 가장자리부 전체를 둘러싸도록 원환상의 홈부(277)가 형성되어 있다. 시트면(275)에 있어서, 토출 포트(23b)와 홈부(277) 사이에 끼워진 원환상의 영역은, 평탄한 시일면(안경부라고도 함)(276)으로 되어 있다.
한편,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면(275)에 있어서, 홈부(277)를 사이에 두고 토출 포트(23b)로부터 떨어지는 측의 영역은, 시일면(276)과 면일한 기준면(278)으로 되어 있다.
도 7∼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토출 리드 밸브(29a)는, 기준면(278)에 고정된 고정부(291)와, 고정부(291)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기준면(278)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반 가능한 근원부(292)와, 각 근원부(292)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토출 포트(23b)를 개폐하는 밸브부(293)를 구비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부(293)에 있어서의, 시일면(276)과 밀접하는 면은, 평탄한 밀봉면(293a)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방향(D1)은, 시트면(275)과 평행하고, 그리고 구동축(11)의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원부(292) 및 밸브부(293)를 평면에서 본 경우, 근원부(292)는 제1 방향(D1)을 따라서 가늘고 긴 장방형을 이루고 있다. 밸브부(293)의 외연(293b)은, 토출 포트(23b) 및 홈부(277)와 동심원 형상으로 연장되는 원호이고, 그 직경은, 근원부(292)의 단변의 폭보다 조금 큼과 함께, 시일면(276)의 직경보다도 크고 그리고 홈부(277)의 최외형의 직경보다도 작다. 즉, 외연(293b)은, 홈부(277)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7∼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준면(278)에는, 상세하게는 근원부(292)와 대향하는 기준면(278)의 영역에는, 토출실(5b)을 향하여 돌출하는 복수의 볼록부(278a)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278a)는 도 6에 나타내는 볼록부(273a)와 동일한 것이다. 복수의 볼록부(278a)는 시일면(276)으로부터 벗어난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압축기의 이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에 (1)로 나타내는 기간은, 압축기가 흡입 행정 및 압축 행정에 있는 기간을 나타낸다. 이 기간 (1)에 있어서는, 토출실(5b)의 압력이 압축실(24)의 압력보다도 높기 때문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 리드 밸브(29a)의 밸브부(293)는 약간 탄성 변형하면서 토출 포트(23b)를 폐쇄하고 있다. 이때, 밀봉면(293a)은 윤활유에 의해 시일면(276)에 밀접하고, 토출실(5b)로부터 압축실(24)로의 냉매 가스의 역류는 발생하지 않는다.
계속해서, 도 14에 나타내는 (2)의 타이밍에 있어서, 압축실(24)의 압력이 상승하여 설정 압력(Pdc)에 가까워지면, 토출 리드 밸브(29a)의 밸브부(293)에 작용하는 압력이 변화하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부(293)가 볼록부(278a)에 의해 도 9의 탄성 변형 상태로부터 약간 복원된다. 즉, 윤활유에 의한 달라붙음이 약간 해소된다. 이때, 밀봉면(293a)이 부분적으로 시일면(276)으로부터 조금 떨어져, 토출 포트(23b)를 조금 연다.
계속해서, 도 14에 나타내는 (3)의 타이밍에 있어서, 압축실(24)의 압력이 설정 압력(Pdc)이 되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부(293)가 볼록부(278a)에 의해 완전하게 복원된다. 즉, 윤활유에 의한 달라붙음이 완전하게 해소된다. 이때, 밀봉면(293a) 전체가 시일면(276)으로부터 떨어져, 토출 포트(23b)를 작게 연다.
계속해서, 압축기가, 도 14에 기간 (4)로 나타내는 토출 행정에 있을 때에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부(293)가 리테이너(31a)에 의해 규제된 상태로 토출 포트(23b)를 크게 연다.
도 15는, 도 14의 일부, 즉 토출 행정에 있어서의 압축실 내의 압력의 변화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5에 있어서의 실선은 볼록부(273a)를 설치하지 않는 압축기에 있어서의 압력 변화를 나타내고, 파선이 실시예 2의 압축기에 있어서의 압력 변화를 나타낸다. 도 15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압축기는, 높은 압축 효율을 유지하면서 토출 맥동을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비용의 저렴화 및 토출 리드 밸브(29a)로의 응력 집중 완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 외의 이점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3)
도 16,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압축기에서는, 실시예 1의 복수의 볼록부(273a)의 형성 범위를 변경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3의 복수의 볼록부(273b)는, 제1 방향(D1)을 따라서, 기준면(273) 상에 있어서의, 토출 포트(23b) 근방에서 홈부(272)의 가장자리부(272a)까지의 영역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볼록부(273b)는, 홈부(272)의 가장자리부(272a)에 연속하고 있다.
밸브판(27)의 토출실(5b)측의 면, 즉, 토출 밸브판(29)과 대향하는 면인 시트면(275)에는, 토출 포트(23b)의 주위 전체, 즉 개구 가장자리부 전체를 둘러싸는 원환상의 홈부(277)가 형성되어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볼록부(273b)는, 홈부(277)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기준면(273)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복수의 볼록부(272a)와 동일하게, 복수의 볼록부(273b)는 근원부(252)의 폭방향 양단 가장자리보다도 폭넓게 연재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의 압축기와 동일하다. 이 때문에, 실시예 1의 압축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한다.
실시예 1의 압축기와 동일하게, 근원부(252)가 볼록부(273b)를 따라서 탄성 변형함으로써, 근원부(252)와 기준면(273)과의 사이에 고저차(Δ)를 확보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압축기에서는, 복수의 볼록부(273b)가, 기준면(273) 상에 있어서의, 토출 포트(23b) 근방에서 홈부(272)의 가장자리부(272a)까지의 영역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홈부(272)의 가장자리부(272a) 외주의 일부와 흡입 리드 밸브(25a)와의 사이에서 유막이 형성되기 어려워진다. 홈부(272)와 홈부(272)의 가장자리부(272a)에 연속하여 형성된 볼록부(273b)에 의해 유막이 끊어지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압축기는 실시예 1의 압축기와 비교하여, 보다 흡입 리드 밸브(25a)와 시트면(270)과의 사이에 밀착력이 작용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흡입 리드 밸브(25a)의 열림 지연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흡입 리드 밸브(25a)의 개도의 급격한 변화나 흡입 리드 밸브(25a)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압축기는, 높은 압축 효율을 유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높은 냉각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압축기에서는, 복수의 볼록부(273b)는, 토출 포트(23b) 주위에 형성된 홈부(277)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기준면(273)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홈부(277)가 형성된 위치에서는, 밸브판(27)의 강성이 홈부(277)의 주위와 비교하여 낮아져 있다. 따라서, 복수의 볼록부(273b)를 밸브판(27)에 형성할 때에, 토출 포트(23b) 주위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 외의 이점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4)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4의 압축기에서는, 실시예 3의 흡입 포트(23a), 시일면(271), 홈부(272), 흡입 리드 밸브(25a) 및 복수의 볼록부(273b)의 형상을 변경하고 있다. 각 흡입 포트(23c)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 리드 밸브(25c)의 제1 방향(D1)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직선부(231)와, 2개의 직선부(231)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2개의 원호부(232)로 구성된다. 시일면(371)은 흡입 포트(23c)의 형상과 동일하게, 흡입 포트(23c)를 둘러싸도록, 2개의 직선부(371a)와, 2개의 직선부(371a)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2개의 원호부(371b)로 구성되어 있다. 홈부(372)는 시일면(371)을 둘러싸도록, 2개의 직선부(372a)와, 2개의 직선부(372a)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2개의 원호부(372b)로 구성되어 있다. 흡입 리드 밸브(25c)의 밸브부(353)는, 흡입 포트(23c) 및 시일면(37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복수의 볼록부(273c)는, 밸브판(27)의 기준면(270) 상에 있어서의, 고정부(251)와 근원부(252)와의 경계 위치(250)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흡입 포트(23c)를 둘러싸는 홈부(372)의 가장자리부(372c)까지의 영역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볼록부(273c)는 근원부(252) 전체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273c)는, 2개의 직선부(372a) 중 홈부(372)의 근원부(252)측의 직선부(372a)를 따라서 가장자리부(372c)에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볼록부(273c)는, 실시예 3의 압축기와 동일하게 홈부(277)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기준면(270)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3의 압축기와 동일하다. 이 때문에, 실시예 3의 압축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압축기에서는, 복수의 볼록부(273c)는 근원부(252) 전체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시예 1의 압축기와 비교하여, 흡입 리드 밸브(25c)와 시트면(270)과의 사이에 밀착력이 보다 작용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흡입 리드 밸브(25c)의 열림 지연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흡입 리드 밸브(25c)의 개도의 급격한 변화나 흡입 리드 밸브(25c)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는, 높은 압축 효율을 유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높은 냉각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그 외의 이점은 실시예 1, 3과 동일하다.
(실시예 5)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5의 압축기에서는, 복수의 볼록부(50a)가 홈부(272, 277)의 주위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볼록부(50a)에 의해 시일면(51)과 밀봉면(43a)이 이간되어 있다. 또한, 도 19는, 압축실(24)과 흡입실(5a)의 압력이 동일한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압축실(24)의 압력이 흡입실(5a)의 압력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밸브부(433)의 밀봉면(43a)이 시일면(51)에 밀접한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 2의 압축기와 동일하다. 이 때문에, 실시예 1, 2의 압축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한다.
본 실시예의 압축기에서는, 홈부(272, 277)의 주위의 볼록부(50a)에 의해 리드 밸브(43)의 밸브부(433)와 기준면(50)과의 접촉 면적이 작아져 있기 때문에, 흡입 포트(23a) 또는 토출 포트(23b)를 개방하기 쉽다. 그 외의 이점은 실시예 1 등과 동일하다.
(실시예 6)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6의 압축기에서는, 실시예 3에 있어서의 복수의 볼록부(273b)를 설치하는 것에 대신하여, 복수의 볼록부(252a)가 흡입 리드 밸브(25a)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볼록부(252a)는 홈부(272)의 가장자리부(272a)에 대향하는 위치에까지 형성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3의 압축기와 동일하다. 이 때문에, 실시예 3의 압축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한다.
본 실시예의 압축기에서는, 복수의 볼록부(252a)가 홈부(272)의 가장자리부(272a)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홈부(272)의 가장자리부(272a)의 일부와 흡입 리드 밸브(25a)와의 사이에서 유막이 형성되기 어려워진다. 홈부(272)와 홈부(272)의 가장자리부(272a)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볼록부(252a)에 의해 유막이 끊어지기 쉬워진다. 그 외의 이점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1∼6에 있어서, 복수의 볼록부(273a, 278a, 50a, 252a)는 널링 가공에 의해 형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쇼트 가공 또는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이상에 있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 1∼6에 입각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1∼6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W : 극간(gap)
5a : 흡입실
5b : 토출실
23a, 23c : 흡입 포트
23b : 토출 포트
24 : 압축실
25a, 25c : 흡입 리드 밸브
27 : 격벽(밸브판)
29a : 토출 리드 밸브
43 : 리드 밸브
50, 270, 275 : 시트면(seating surface)
250 : 경계 위치
251, 291 : 고정부
252, 292 : 근원부
253, 293, 353 : 밸브부
253a, 293a : 밀봉면
271, 276, 371 : 시일면
273, 50 : 기준면
272, 277, 372 : 홈부
272a, 372c : 가장자리부
273a, 278a, 50a, 252a : 복수의 볼록부

Claims (7)

  1. 압축실과, 흡입실 또는 토출실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격벽으로서, 상기 압축실을 상기 흡입실 또는 상기 토출실에 연통(communication)시키는 포트를 갖는 상기 격벽과,
    상기 포트를 개폐 가능한 가요성(可撓性)이 있는 리드 밸브로서, 상기 격벽에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격벽을 따르도록 연장되어 상기 격벽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반(離反) 가능한 근원부와, 상기 근원부로부터 상기 격벽을 따르도록 추가로 연장되어 상기 포트를 개폐하는 밸브부를 구비하는 상기 리드 밸브와,
    상기 격벽에 형성되고, 상기 리드 밸브가 상기 포트를 폐색했을 때에 동(同)리드 밸브에 맞닿는 시트면(seating surface)을 구비하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시트면은, 상기 포트를 둘러싸는 평탄한 시일면과, 당해 시일면을 둘러싸는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부는, 상기 시일면에 밀접하여 상기 포트를 폐색하는 평탄한 밀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시트면 또는 상기 리드 밸브에는, 상기 압축실의 압력이 상기 흡입실 또는 상기 토출실의 압력과 동일한 경우에, 상기 근원부를 들어올려, 상기 시일면과 상기 밀봉면을 이간시키도록 상기 시일면 또는 상기 밀봉면보다 돌출하는 복수의 볼록부를 갖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시일면 및 상기 밀봉면으로부터 벗어난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시트면 상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가장자리부에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시트면 상에 있어서, 상기 근원부에 대향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압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리드 밸브 상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홈부의 가장자리부에 대향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압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근원부에 형성되어 있는 압축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널링 가공, 쇼트 가공 및 레이저 가공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압축기.
  7. 삭제
KR1020127019101A 2010-01-28 2011-01-26 압축기 KR101408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17090 2010-01-28
JP2010017090 2010-01-28
JP2010126462 2010-06-02
JPJP-P-2010-126462 2010-06-02
PCT/JP2011/051461 WO2011093320A1 (ja) 2010-01-28 2011-01-26 圧縮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939A KR20120096939A (ko) 2012-08-31
KR101408057B1 true KR101408057B1 (ko) 2014-06-17

Family

ID=44319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9101A KR101408057B1 (ko) 2010-01-28 2011-01-26 압축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301341A1 (ko)
EP (1) EP2530321A4 (ko)
JP (1) JP5633520B2 (ko)
KR (1) KR101408057B1 (ko)
CN (1) CN102713289B (ko)
BR (1) BR112012018364A2 (ko)
WO (1) WO20110933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53894B2 (en) 2004-04-27 2010-07-13 Smith & Nephew Plc Wound cleansing apparatus with stress
US20110197751A1 (en) * 2007-08-25 2011-08-18 Ixetic Mac Gmbh Reciprocating piston machine
CN101868203B (zh) 2007-11-21 2014-10-22 史密夫及内修公开有限公司 伤口包敷物
GB201015656D0 (en) 2010-09-20 2010-10-27 Smith & Nephew Pressure control apparatus
JP5478577B2 (ja) * 2011-09-27 2014-04-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
US9084845B2 (en) 2011-11-02 2015-07-21 Smith & Nephew Plc Reduced pressure therapy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ing same
JP5756737B2 (ja) * 2011-11-17 2015-07-2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
JP6276251B2 (ja) 2012-03-20 2018-02-07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ピーエルシーSmith & Nephew Public Limited Company デューティサイクル閾値の動的決定に基づく減圧療法システムの動作制御
US9427505B2 (en) 2012-05-15 2016-08-30 Smith & Nephew Plc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apparatus
FR2993032B1 (fr) * 2012-07-04 2014-07-11 Valeo Sys Controle Moteur Sas Vanne de controle moteur a etancheite amelioree
US10208740B2 (en) * 2012-09-04 2019-02-19 Carrier Corporation Reciprocating refrigeration compressor suction valve seating
CN103438004B (zh) * 2013-09-02 2016-06-01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旋转式压缩机及其轴承以及用于该轴承的排气阀片
CN103591343B (zh) * 2013-11-15 2015-12-30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单向阀、多温区风道结构及制冷设备
EP2908011B1 (de) * 2014-02-18 2017-11-08 Pierburg Pump Technology GmbH Kraftfahrzeug-Vakuumpumpe
WO2016103032A1 (en) 2014-12-22 2016-06-30 Smith & Nephew Plc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apparatus and methods
CN104763617B (zh) * 2015-04-07 2017-03-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压缩机阀片及压缩机
CN105546178A (zh) * 2016-01-11 2016-05-04 浙江硕智工贸有限公司 二冲程发动机的簧片阀结构
DE102020108055A1 (de) * 2020-03-24 2021-09-30 Mann+Hummel Gmbh Partikelaustragsvorrichtung, Filteranordnung und Verfahren
JP7364043B2 (ja) 2020-03-26 2023-10-18 三菱電機株式会社 圧縮機の吐出弁機構の製造方法および該吐出弁機構を備えた圧縮機
JP2021165558A (ja) * 2020-04-06 2021-10-14 株式会社ミクニ リードバルブ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7086U (ko) * 1990-04-03 1991-12-20
JPH11166480A (ja) * 1997-12-02 1999-06-22 Sanden Corp 弁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18350A (en) * 1929-06-25 Valve fob pump assemblies
US2151746A (en) * 1936-07-14 1939-03-28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Compressor valve structure
US3883030A (en) * 1971-09-13 1975-05-13 George P Mathews Breather cap apparatus for a spring-actuated brake mechanism
JPH0519585Y2 (ko) * 1987-09-17 1993-05-24
JPH0697035B2 (ja) * 1989-02-21 1994-11-3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往復式圧縮機
JP2953028B2 (ja) * 1990-01-16 1999-09-2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圧縮機の吐出弁機構
EP0438055B1 (en) * 1990-01-16 1995-07-26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A valve plate for a reciprocating piston type compressor
US5228468A (en) * 1992-06-04 1993-07-20 Ingersoll-Rand Company Valve and valve seat for flat valv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H07174071A (ja) * 1993-08-10 1995-07-11 Sanden Corp 圧縮機の吐出機構
JP3326909B2 (ja) 1993-10-07 2002-09-2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斜板式可変容量圧縮機
KR100203975B1 (ko) * 1995-10-26 1999-06-15 이소가이 치세이 캠 플레이트식 가변용량 압축기
JPH10103243A (ja) * 1996-10-01 1998-04-21 Sanden Corp 圧縮機の弁構造
US5884665A (en) * 1998-05-19 1999-03-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reed valve support seat
JP2000054961A (ja) 1998-06-05 2000-02-2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圧縮機の吸入弁装置
JP2000004961A (ja) * 1998-06-18 2000-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料理本収納具
KR100368843B1 (ko) * 1999-06-24 2003-01-2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장치
US7004734B2 (en) * 1999-12-28 2006-02-28 Zexel Valco Climate Control Corporation Reciprocating refrigerant compressor
KR20020067964A (ko) * 2001-02-19 2002-08-24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압축기용 밸브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JP2005042695A (ja) 2003-07-07 2005-02-17 Calsonic Kansei Corp 圧縮機の弁構造
JP2005105975A (ja) * 2003-09-30 2005-04-21 Calsonic Kansei Corp 圧縮機の弁構造
KR20060096003A (ko) * 2003-09-30 2006-09-05 칼소닉 칸세이 가부시끼가이샤 압축기 및 흡입 밸브 구조
JP4395400B2 (ja) 2004-03-31 2010-01-06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圧縮機の弁構造
JP2007064196A (ja) * 2005-08-05 2007-03-15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 弁機構構成部材の加工方法
US20110197751A1 (en) * 2007-08-25 2011-08-18 Ixetic Mac Gmbh Reciprocating piston machine
EP2395244A4 (en) * 2009-02-04 2014-01-08 Sanden Corp METHOD FOR MACHINING CONTACT PARTS BETWEEN A VALVE PLATE AND A SUCTION VALVE AND / OR AN OUTPUT VALVE OF A PISTON COMPRESSOR AND PISTON COMPRESSOR
JP6097035B2 (ja) * 2012-09-11 2017-03-15 小川香料株式会社 粉末酸味料組成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7086U (ko) * 1990-04-03 1991-12-20
JPH11166480A (ja) * 1997-12-02 1999-06-22 Sanden Corp 弁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18364A2 (pt) 2019-09-24
WO2011093320A1 (ja) 2011-08-04
KR20120096939A (ko) 2012-08-31
CN102713289A (zh) 2012-10-03
JPWO2011093320A1 (ja) 2013-06-06
US20120301341A1 (en) 2012-11-29
EP2530321A4 (en) 2016-06-15
CN102713289B (zh) 2015-01-14
EP2530321A1 (en) 2012-12-05
JP5633520B2 (ja)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057B1 (ko) 압축기
US20090081060A1 (en) Compressor
KR19980070415A (ko) 압축기
MX2013005589A (es) Valvula de succion para un compresor de refrigeracion y su procedimiento de montaje.
EP1586774A1 (en) Swash plate-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for supercritical refrigeration cycle
JP5478579B2 (ja) 圧縮機
WO2012077519A1 (ja) 圧縮機
CN101603519A (zh) 密闭型压缩机
US9157427B2 (en) Compressor
CN110073105B (zh) 压缩机的阀构造
JP5478577B2 (ja) 圧縮機
JP2010121492A (ja) 圧縮機の弁板装置
JP2005105975A (ja) 圧縮機の弁構造
JP3232839B2 (ja) 圧縮機の弁装置
CN110761969A (zh) 往复式压缩机和制冷设备
JP2010169077A (ja) 圧縮機
JP2014190232A (ja) 圧縮機
JP4395400B2 (ja) 圧縮機の弁構造
JP2005105868A (ja) 密閉型圧縮機
JP2014125994A (ja) ピストン型圧縮機
US20190323493A1 (en) Device for protecting a diaphragm pump from pressure differential
JP2005140019A (ja) 圧縮機
JP2008095522A (ja) 吸入弁機構
KR101348891B1 (ko) 압축기
KR20050086304A (ko) 압축기용 개스킷 및 이를 구비하는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