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6304A - 압축기용 개스킷 및 이를 구비하는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용 개스킷 및 이를 구비하는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6304A
KR20050086304A KR1020040012721A KR20040012721A KR20050086304A KR 20050086304 A KR20050086304 A KR 20050086304A KR 1020040012721 A KR1020040012721 A KR 1020040012721A KR 20040012721 A KR20040012721 A KR 20040012721A KR 20050086304 A KR20050086304 A KR 20050086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portion
protrusion
compressor
gasket
closed cur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2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승용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2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6304A/ko
Publication of KR20050086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30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4Testing magnetic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hereof, e.g. by detection of magnetic impri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7/00Paper-money tes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기밀성이 향상된 압축기용 개스킷과 이를 구비하는 압축기를 제공하는데 있고,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고리부 및, 체결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고리부의 일 위치로부터 시작되어 타 위치로 연결되어 형성된 제 2 고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고리부에 의하여 제 1 폐곡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고리부의 일 위치에서 상기 타 위치까지의 부분 및 상기 제 2 고리부에 의하여 제 2 폐곡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폐곡선을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체결구에 근접함에 따라 높이가 점차 낮아지고, 상기 제 1 고리부와 상기 제 2 고리부가 만나는 지점부터 상기 제 1 폐곡선을 따라 소정의 길이까지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소정의 길이에 근접함에 따라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개스킷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압축기용 개스킷 및 이를 구비하는 압축기{Gasket for compressor and compressor therewith}
본 발명은 압축기용 개스킷 및 이를 구비하는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기밀성이 향상된 압축기용 개스킷과 이를 구비하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사용되는 압축기는 증발기내에서 기화된 열교환매체를 흡입하는 작용과, 흡입된 열교환매체를 압축하는 작용과, 압축된 열교환매체를 토출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압축기로는 압축방식 및 구동방식에 따라서 사판식, 스크롤식, 로터리식, 와블 플레이트식 및 크랭크식 등 여러 종류의 것이 있다.
도 1에는 이러한 여러 종류의 압축기들 중 사판식 압축기(100)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방 하우징(20)과 후방 하우징(30) 사이에는 실링 부재(10)가 개재된다.
실링 부재(10)로는 다양한 부재를 이용할 수 있으나, 서로 접합하는 하우징(20,30)의 접합면 중 선택된 일면에 그루브(미도시)를 형성시킨 후, 그루브(미도시)에 실링 부재(10)로서 이중 고리형상을 갖는 오-링(O-ring)을 삽입하여 접합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링의 배치 위치 및 압축량은 상기 그루브(미도시)의 위치 및 깊이에 따라 달라진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실링 부재(10)로서 오-링을 사용하는 경우, 오-링의 조립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접합면에 별도로 그루브(미도시)를 형성해주어야 하며, 오-링의 압축량 조절을 위하여 그루브(미도시)의 깊이를 정밀하게 관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된다.
한편, 서로 접합하는 하우징(20,30)의 접합면 사이에는 실링 부재(10)로서 오-링 대신에 개스킷을 개재시킬 수 있다. 개스킷(미도시)의 경우 일반적으로 판형 개스킷을 사용하는데, 사판식 압축기(100)와 같이 상대적으로 토출 압력이 높은 압축기에서는 개스킷(미도시)의 틈새를 통하여 압축된 공기가 누설되기가 쉽다.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서 일본국 특개평 8-261150호에서는 압축기용 판형 개스킷의 전체에 걸쳐 탄성 변형이 가능한 돌출부 형성하여 개스킷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개스킷 전체에 걸쳐 돌출부를 형성하게 될 경우, 돌출부 금형의 비용이 증가하고, 전방 하우징과 후방 하우징을 개스킷을 사이에 두고 볼트로 체결할 경우 볼팅에 대한 반발력이 커지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어려워진다. 더욱이, 볼트 체결 부분과 인접한 개스킷의 부분에서는 반발력이 강하여 틈새 발생의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압축기의 기밀성을 확실히 보장하기가 힘든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밀성이 향상된 압축기용 개스킷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이와 더불어 상기의 압축기용 개스킷을 구비하는 사판식 압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고리부 및, 체결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고리부의 일 위치로부터 시작되어 타 위치로 연결되어 형성된 제 2 고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고리부에 의하여 제 1 폐곡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고리부의 일 위치에서 상기 타 위치까지의 부분 및 상기 제 2 고리부에 의하여 제 2 폐곡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폐곡선을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체결구에 근접함에 따라 높이가 점차 낮아지고, 상기 제 1 고리부와 상기 제 2 고리부가 만나는 지점부터 상기 제 1 폐곡선을 따라 소정의 길이까지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소정의 길이에 근접함에 따라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개스킷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가 비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가 단차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제 1 공간, 상기 제 1 공간의 상부에 분리되어 형성되는 제 2 공간, 상기 제 1 공간과 상기 제 2 공간을 내부에 포함하며 전방 하우징 및 후방 하우징을 가지는 한 조의 하우징, 상기 전방 하우징 또는 상기 후방 하우징의 일방을 관통하여 타 하우징에 연결되는 다수의 볼트들 및, 상기 전방 하우징과 상기 후방 하우징 사이에 삽입되는 압축기용 개스킷을 구비하고, 상기 개스킷은, 제 1 고리부, 및 체결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고리부의 일 위치로부터 시작되어 타 위치로 연결되어 형성된 제 2 고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고리부에 의하여 제 1 폐곡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고리부의 일 위치에서 상기 타 위치까지의 부분 및 상기 제 2 고리부에 의하여 제 2 폐곡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폐곡선을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체결구에 근접함에 따라 높이가 점차 낮아지고, 상기 제 1 고리부와 상기 제 2 고리부가 만나는 지점부터 상기 제 1 폐곡선을 따라 제 1 고리부와 상기 제 2 고리부가 만나는 지점에 인접한 상기 볼트까지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볼트에 근접함에 따라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를 제공한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가 비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가 단차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이어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개스킷(300)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스킷(300)은 제 1 고리부(310) 및, 제 1 고리부(310)의 일 위치(361: 이하 제 1 위치하고 함)로부터 시작되어 타 위치(362 : 이하 제 2 위치하고 함)로 연결되어 형성된 제 2 고리부(320)를 구비한다. 제 2 고리부(320)에는 체결홈(325)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고리부에(310)는 자체적으로 제 1 폐곡선(330)을 형성하고 있으며, 제 2 고리부(320)와 제 1 위치(361)에서 제 2 위치(362)까지의 제 1 고리부(310)의 부분은 제 2 폐곡선(340)을 형성하고 있다.
제 2 폐곡선(340)을 따라 돌출부(350)가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350)는 제 1 위치(361) 또는 제 2 위치(362)부터 소정의 길이(l, L)까지 제 1 폐곡선(330)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350)는 상기 소정의 길이(l, L)에 근접함에 따라 높이(h)가 점차 낮아지면서 평평한 판형 형상으로 된다. 제 2 폐곡선(340)을 따라 형성된 돌출부(350)도 체결홈(325)에 근접함에 따라 높이(h)가 점차 낮아지면서 체결홈(325)으로 연장된다. 도 2의 점선으로 된 부분(327)은 추후에 개스킷(300)이 개재되어 조립될 경우 볼트가 체결되는 위치를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돌출부(350)가 형성된 제 1 고리부(310)의 단면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도 3a 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비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d는 돌출부(350)로서 단차가 형성된 형상을 나타낸다.
돌출부(350)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제 1 고리부(310)는 판형 형상을 가진다. 도 4에 도 2의 B-B선에 따른 제 1 고리부(31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2의 C부분을 D방향으로 본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50)의 높이(h)는 제 1 위치(361)에서 멀어짐에 따라 점차 높이(h)가 낮아지면서 판형 형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형 개스킷(300)을 구비하는 압축기의 일 실시예는 도 1 에 도시된 일반적인 압축기(100)와 유사하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사판식 압축기(100)가 나타나 있다.
실린더(50)에 복수개의 피스톤(2)이 삽입되어 설치되며, 실린더(50)의 중심부에는 구동원(미도시)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축(1)이 설치된다. 실린더(50)의 내부에는 피스톤(2)이 삽입되어 왕복운동할 수 있는 보어(미도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린더(50)는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그 전방과 후방의 양측으로부터 전방 하우징(20)과 후방 하우징(30)이 체결되어 케이스를 형성한다. 그리고, 하우징(20)(30)에는 흡입공과 토출공이 형성되어 냉매가 실린더(50) 내로 흡입 및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밸브장치(29)(39)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구동축(1)에는 사판(3)이 경사지도록 고정되며, 이 사판(3)의 테두리부는 피스톤(2)의 중앙부에 형성된 보스(미도시)에 삽입되어, 구동축(1)의 회전에 의해 사판(3)이 회전하고, 이 경사진 사판(3)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2)이 실린더(50) 내를 왕복운동하면서 흡입/압축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압축기(100)에 있어서, 압축기(100)의 일측에 전방 하우징(20)과 후방 하우징(30)에 의하여 매니폴드(40)가 형성되어 실린더 내에서 압축된 냉매가 밸브장치(29)(39)를 통해 매니폴드(40)로 유입된다. 또한, 전방 하우징(20)과 후방 하우징(30) 사이에는 실링 부재(10)가 삽입되어 있다.
전방 하우징(20)과 후방 하우징(30)은 전방 하우징(20)의 전면으로부터 관통하여 후방 하우징(30)까지 연결되는 다수의 볼트(70)에 의하여 체결된다. 또한, 전방 하우징(20)과 후방 하우징(30) 사이에는 실링 부재(10)가 삽입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실링 부재(10)로서 전술한 판형 개스킷(300)이 이용된다. 따라서, 메니폴더(40)의 실링은 주로 개스킷의 제 2 고리부(320)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축(1)이 내부에 포함되는 영역에서의 실링은 제 1 고리부(31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판형 개스킷(300)에서는 제 2 폐곡선(340)을 따라 돌출부(350)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제 1 위치(361) 또는 제 2 위치(362)부터 각각 제 1 위치(361) 또는 제 2 위치(362)에 인접한 볼트(70)까지 제 1 폐곡선(330)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350)는 볼트(70)에 근접하면서 높이(h)가 점차 낮아져 평평한 판형 형상으로 된다. 제 2 폐곡선(340)을 따라 형성된 돌출부(350)도 체결홈(325)에 근접함에 따라 높이(h)가 점차 낮아지면서 체결홈(325)으로 연장된다.
압축기(100)의 매니폴더(40)에 압축기(100)에서 가압된 냉매(미도시)가 유입되므로, 개스킷(300) 중 제 2 폐곡선(340)은 고압부에 삽입되는 부분이고, 제 1 폐곡선(330)은 저압부에 삽입되는 부분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압부인 제 1 폐곡선(330)에 주로 돌출부(35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스킷(300)을 사이에 두고 전방 하우징(20)과 후방 하우징(30)을 조립할 경우 돌출부(350)의 탄성 또는 소성 변형에 의하여 기밀성이 확실해 진다. 또한, 돌출부(350)가 볼트(70)에 인접한 부분까지 연장되므로 이 부분에서도 기밀성이 확실해 진다. 더욱이 돌출부(350)가 볼트(70) 또는 체결구(335)에 근접함에 따라 높이(h)가 낮아지므로, 평평한 부분과 돌출한 부분(35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누설의 위험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볼트(70) 체결시 반발력이 감소되므로 조립이 용이해진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개스킷 또는 압축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압축기에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이 사용될 경우 제작 방법이 단순하기 때문에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둘째, 압축기에 오-링 용 그루브가 형성될 필요가 없으므로 하우징의 제작이 단순해짐과 아울러 비용이 절감된다.
셋째, 개스킷의 돌출부가 체결홈이나 볼트에 근접함에 따라 높이가 낮아지므로, 볼트 체결을 위한 반발력이 감소된다.
넷째, 돌출부가 압축기의 고압부인 매니폴더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출부의 탄성 또는 소성 변형으로 인하여 기밀성이 확실해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사판식 압축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형 개스킷의 정면도이고,
도 3a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돌출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돌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c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돌출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d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돌출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C 부분을 D방향으로 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전방 하우징 30 : 후방 하우징
40 : 매니폴더 70 : 볼트
100 : 압축기 300 : 개스킷
310 : 제 1 고리부 320 : 제 2 고리부
350 : 돌출부

Claims (8)

  1. 제 1 고리부; 및
    체결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고리부의 일 위치로부터 시작되어 타 위치로 연결되어 형성된 제 2 고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고리부에 의하여 제 1 폐곡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고리부의 일 위치에서 상기 타 위치까지의 부분 및 상기 제 2 고리부에 의하여 제 2 폐곡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폐곡선을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체결구에 근접함에 따라 높이가 점차 낮아지고,
    상기 제 1 고리부와 상기 제 2 고리부가 만나는 지점부터 상기 제 1 폐곡선을 따라 소정의 길이까지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소정의 길이에 근접함에 따라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개스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비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개스킷.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단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개스킷.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사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개스킷.
  5. 제 1 공간;
    상기 제 1 공간의 상부에 분리되어 형성되는 제 2 공간;
    상기 제 1 공간과 상기 제 2 공간을 내부에 포함하며 전방 하우징 및 후방 하우징을 가지는 한 조의 하우징;
    상기 전방 하우징 또는 상기 후방 하우징의 일방을 관통하여 타 하우징에 연결되는 다수의 볼트들; 및
    상기 전방 하우징과 상기 후방 하우징 사이에 삽입되는 압축기용 개스킷;을 구비하고,
    상기 개스킷은,
    체결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고리부의 일 위치로부터 시작되어 타 위치로 연결되어 형성된 제 2 고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고리부에 의하여 제 1 폐곡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고리부의 일 위치에서 상기 타 위치까지의 부분 및 상기 제 2 고리부에 의하여 제 2 폐곡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폐곡선을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체결구에 근접함에 따라 높이가 점차 낮아지고,
    상기 제 1 고리부와 상기 제 2 고리부가 만나는 지점부터 상기 제 1 폐곡선을 따라 제 1 고리부와 상기 제 2 고리부가 만나는 지점에 인접한 상기 볼트까지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볼트에 근접함에 따라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비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단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사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KR1020040012721A 2004-02-25 2004-02-25 압축기용 개스킷 및 이를 구비하는 압축기 KR20050086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721A KR20050086304A (ko) 2004-02-25 2004-02-25 압축기용 개스킷 및 이를 구비하는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721A KR20050086304A (ko) 2004-02-25 2004-02-25 압축기용 개스킷 및 이를 구비하는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304A true KR20050086304A (ko) 2005-08-30

Family

ID=37270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721A KR20050086304A (ko) 2004-02-25 2004-02-25 압축기용 개스킷 및 이를 구비하는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63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586A (ko) * 2017-01-04 2018-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586A (ko) * 2017-01-04 2018-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301341A1 (en) Compressor
KR100402460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구조
US5577901A (en) Compressor with valve unit for controlling suction and discharge of fluid
KR20050086304A (ko) 압축기용 개스킷 및 이를 구비하는 압축기
EP1288497A2 (en) Sealing mechanism for compressor
KR101290633B1 (ko) 압축기 가스켓의 실링구조
KR101883175B1 (ko) 가변용량형 압축기의 압력 릴리프밸브 씰링 구조
KR102292318B1 (ko) 압축기용 가스켓
JP2002115657A (ja) ピストン式圧縮機におけるシリンダ
KR101379535B1 (ko) 사판식 압축기용 개스킷
US6544006B2 (en) Piston type compressor
KR101069692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1487025B1 (ko) 압축기
KR101090569B1 (ko) 압축기용 사판 및 회전축의 조립방법
KR101379565B1 (ko) 압축기
KR101361323B1 (ko) 압축기
KR200387619Y1 (ko) 실 플레이트가 구성된 밸브 어셈블리
KR101348891B1 (ko) 압축기
JP2008057332A (ja) 圧縮機
KR20050097244A (ko) 압축기용 가스켓
JP2007278180A (ja) 往復動圧縮機
KR100863231B1 (ko) 압축기용 피스톤 구조
KR20160131255A (ko) 압축기용 가스켓
JP2014125994A (ja) ピストン型圧縮機
JP2006177315A (ja) 往復動型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