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178B1 - 유희장치 - Google Patents

유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178B1
KR101401178B1 KR1020097007234A KR20097007234A KR101401178B1 KR 101401178 B1 KR101401178 B1 KR 101401178B1 KR 1020097007234 A KR1020097007234 A KR 1020097007234A KR 20097007234 A KR20097007234 A KR 20097007234A KR 101401178 B1 KR101401178 B1 KR 101401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play
player
play area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7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3143A (ko
Inventor
야스시 오치
Original Assignee
비엘디 오리엔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18374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0117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비엘디 오리엔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비엘디 오리엔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3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00Roundabouts
    • A63G1/08Roundabout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3/00Rotating or rocking pots, e.g. by moving the whol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 A63G31/1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with inflatable and movable sub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5/00Games on roundabouts

Abstract

본 발명은 유희자가 변화가 풍부한 놀이를 하거나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유희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희장치(1)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수평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체(10)와, 사각뿔형으로 형성되고 회전체(1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방위치에 배치되는 상부부재(11)와, 회전체(10)의 상면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부부재(11)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주(12)와,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축선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하단이 회전체(10)의 상면에, 상단이 상부부재(11)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어 유희자(Y)가 오르내리는 복수의 폴(13)과, 회전체(10)를 수평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20)와, 회전체(10)를 수평회전시키는 회전구동기구(25)와, 회전체(10)의 상면을 덮도록 마련된 에어쿠션(3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유희장치{AMUSEMENT DEVICE}
본 발명은 회전체의 수평회전에 의해 그 감각을 즐기면서 각종 유희를 할 수 있는 유희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그 감각을 즐길 수 있는 종래의 유희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8-229244호 및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0-24328호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8-229244호의 유희장치는 상하방향에서 약간 경사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커피 컵 모양으로 형성된 탑승부(회전체)와, 이 탑승부를 회전축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 등으로 구성된다. 이 유희장치의 경우 탑승부가 적절히 회전함으로써 이 탑승부에 탑승한 유희자는 탑승부가 회전할 때의 감각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0-24328호의 유희장치는 거의 수평으로 회전하고 상면에 유희자가 탑승가능하도록 구성된 회전대(회전체)와 이 회전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 등으로 구성된다. 이 유희장치의 경우에는 회전대가 적절히 회전함으로써 이 회전대에 탑승한 유희자는 회전대가 회전할 때의 감각을 즐길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유희장치의 경우에는 해당 유희장치를 이용한 놀이가 단조로워지기 쉬워 쉽게 질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 유희장치들은 일반적인 것으로, 이와 유사한 유희장치에서 많이 놀아본 어린이들을 상기 유희장치에서 다시 놀도록 유도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정을 감안한 것으로 유희자가 변화가 풍부한 놀이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유희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평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어 유희자가 놀도록 하기 위한 유희용 구조물과,
상기 회전체를 수평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회전체를 수평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린이 등의 유희자는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회전체가 수평회전하는 가운데 유희용 구조물에 의해 각종 놀이를 할 수 있으므로 회전체의 수평회전에 의해 유희용 구조물이 수평회전할 때의 감각을 즐기면서 그 놀이를 즐길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희장치에 의하면 유희용 구조물에서 노는 유희자 자신의 동작과 회전체의 수평회전에 따른 유희용 구조물 자체의 동작이 복합되어 유희자는 종래에는 없던 변화가 풍부한 놀이와 감각을 즐길 수 있다. 또한, 회전체나 유희용 구조물, 유희자의 회전동작을 본 상기 유희장치의 주변에 있는 어린이들에 대해 상기 유희장치에서 놀고 싶다는 흥미를 유발시켜 이 유희장치에서 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희용 구조물은 미리 설정된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의 상면이며 또한 상기 회전체의 회전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기립상태로 마련된 복수의 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폴은 유희자가 오르내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유희자는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이 회전체의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선회이동하는 폴을 손발을 사용하여 오르내림으로써 놀 수 있다. 폴이 회전체의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선회이동하고 있으므로 유희자는 폴과 함께 선회이동할 때의 감각을 즐기면서 그 놀이를 즐길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폴은 그 양단부 사이에 만곡부 또는 굴곡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폴 자체에 변화를 주어 폴이 똑바로 형성되어 있을 때보다 폴의 오르내림에 변화를 주거나 폴의 오르내림을 어렵게 할 수 있어 상기 유희장치에서의 놀이를 더욱 재미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의 상면의, 적어도 상기 폴 설치부 주변영역에 쿠션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유희자가 잘못하여 폴에서 떨어지는 등의 경우에도 쿠션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어 다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희용 구조물은 상기 회전체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매달려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중심축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선회이동하는 복수의 선회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선회부재는 유희자가 잡고 매달리는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유희자는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이 회전체의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선회이동하는 선회부재의 손잡이부를 잡고 매달리거나 매달려서 선회부재를 흔듦으로써 놀 수 있다. 선회부재가 회전체의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선회이동하고 있으므로 유희자는 매달린 상태에서 선회이동할 때의 감각을 즐기면서 그 놀이를 즐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 및 원주방향을 따라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고 일단측이 상기 회전체에 접속되고 타단측에 상기 각 선회부재가 각각 매달린 복수의 지지암과,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지지암을 각각 연결 고정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에 의해 복수의 지지암을 각각 연결 고정하면 각 지지암을 같은 간격으로 배치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선회이동하는 상기 선회부재의 적어도 하방 영역에는 환형의 쿠션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하면 유희자가 잘못하여 회전부재에서 떨어지는 등의 경우에도 쿠션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어 다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희용 구조물은 상기 회전체의 상면에 고정되고, 외부공간과 구획된 유희자가 유희하는 유희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체와, 상기 프레임체에 결합되어 상기 유희영역을 형성하는 칸막이 부재와, 상기 유희영역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프레임체에 걸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빔으로 구성되거나, 혹은, 상기 유희용 구조물은 상기 회전체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외부공간과 구획된 유희자가 유희하는 유희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체와, 상기 프레임체에 결합되어 상기 유희영역을 형성하는 칸막이 부재와, 상기 유희영역을 적어도 두개의 계층형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바닥부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부에는 상하로 이웃하는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유희자는 정글짐과 유사하게 유희영역 안을 빔을 따라 횡방향이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바닥부 위를 횡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바닥부의 연통부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놀 수 있다.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빔 또는 바닥부가 회전하고 있으므로 유희자는 빔 또는 바닥부가 회전할 때의 감각을 즐기면서 그 놀이를 즐길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의 상면의, 적어도 상기 유희영역 내에 쿠션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하면 유희자가 잘못하여 빔이나 바닥부에서 떨어지는 등의 경우에도 쿠션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어 다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희장치에 의하면 유희자 자신의 동작과 회전체의 회전에 따른 동작이 복합되어 유희자는 종래에는 없던 변화가 풍부한 놀이나 감각을 즐길 수 있다. 또한 회전체나 유희용 구조물, 유희자의 회전동작을 본 상기 유희장치의 주변에 있는 어린이들에 대해 상기 유희장치에서 놀고 싶다는 흥미를 유발시켜 이 유희장치에서 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희장치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유희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A-A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B-B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유희장치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유희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유희장치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유희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유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유희장치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유희장치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C-C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D-D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E-E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2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F-F 방향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유희장치
10...회전체
11...상부부재
12...지주
13...폴
19...누름 버튼
20...지지기구
21...베이스
22...레일
23...환형 부재
24...지지롤러
25...회전구동기구
26...구동 모터
27...케이스
30...에어쿠션
31...시트부재
32...송풍기
Y...유희자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희장치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유희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A-A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B-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의 유희장치(1)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수평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체(10)와, 사각뿔형으로 형성되고 회전체(10)의 상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방 위치에 배치되는 상부부재(11)와, 회전체(10)의 상면 중앙부에 세워져 설치되고 상부부재(11)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주(12)와,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축선이 상하방향으로 마련됨과 동시에 하단이 회전체(10)의 상면에, 상단이 상부부재(11)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어 어린이 등의 유희자(Y)가 오르내리는 복수의 폴(13)과, 회전체(10)를 수평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20)와, 회전체(10)를 수평회전시키는 회전구동기구(25)와, 회전체(10)의 상면을 덮도록 마련된 에어쿠션(30)과, 각 폴(13)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상부부재(11)의 하면에 배치 장착되어 폴(13)의 상단부까지 올라간 유희자(Y)에 의해 눌려지는 누름 버튼(19)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체(10)는 상부원판(10a)과, 그 하측에 마련되는 하부원판(10b)과, 축선이 상하방향으로 마련되고 상단부가 하부원판(10b)의 하면 중앙부에 고정 설치된 회전축(10c)으로 이루어지고 회전축(10c)이 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수평회전된다. 또한, 상부원판(10a)측이 하부원판(10b)보다 횡방향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부재(11)의 외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장식이 있어 어린이들의 주의를 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폴(13)은 본 예에서는 총 12개 마련되어 있고 지주(12)의 외주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는 피치원 위에 8개의 폴(13)이 원주방향을 따라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고 이 8개의 폴(13)의 피치원보다 큰 피치원 위에 4개의 폴(13)이 원주방향을 따라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폴(13)의 하단부는 회전체(10)의 상부원판(10a)의 상면에 마련된다. 또한, 폴(13)은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말하는 유희용 구조물이다.
상기 지지기구(20)는 원판형으로 형성된 베이스(21)와, 환형으로 형성되고 베이스(21)의 상면에 회전체(10)의 회전축(10c)과 동축으로 설치되는 레일(22)과, 회전체(10)의 하부원판(10b)의 하면에 회전축(10c)과 동축으로 설치된 환형 부재(23)와, 환형 부재(23)의 축선을 중심으로 한 소정의 피치원 위에 위치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같은 간격으로 이 환형 부재(23)에 장착되어 레일(22)과 접하는 복수의 지지롤러(24)로 이루어지고 각 지지롤러(24)가 레일(22)을 따라 구름으로써 회전체(10)를 수평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회전구동기구(25)는 구동 모터(26)와, 이 구동 모터(26)의 출력축에 고 정 설치된 제 1 기어(도시하지 않음)와, 회전구동 모터체(10)의 회전축(10c)에 고정 설치되어 제 1 기어(도시하지 않음)와 맞물리는 제 2 기어(도시하지 않음)와, 지지기구(20)의 베이스(21) 상면 중앙부에 설치되고 각 기어(도시하지 않음)가 수납됨과 아울러 측면에 구동 모터(26)가 설치된 상자 모양의 케이스(27)로 이루어지고 구동 모터(26)의 회전동력이 각 기어(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회전축(10c)으로 전달됨으로써 회전체(10)가 수평회전한다
상기 에어쿠션(30)은 가요성을 가지며 회전체(10)의 상부원판(10a)의 상면을 덮도록 마련되며 이 상부원판(10a)과의 사이에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시트부재(31)와, 상기 밀폐공간 내에 공기를 공급 충전하여 내압을 높여 시트부재(31)를 팽창시키는 송풍기(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트부재(31)는 송풍기(32)에 의해 충전된 공기에 의해 팽창되었을 때 중앙부에 반구형상의 부분이 형성되고 그 주위에 크기가 다른 2개의 환형의 부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부재(31)는 그 둘레가장자리부가 상부원판(10a)의 외주측 하면에 결합되고 적절한 위치에는 지주(12) 및 각 폴(13)이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31a)이 형성된다. 또한, 이 관통홀(31a)과 지주(12) 및 각 폴(13 ) 사이의 틈에서 공기가 새지 않도록 밀폐 구성된다. 또한, 밀폐공간 내는 상부원판(10a)의 상면에 결합된 환형의 구획부(31b, 31c)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고 구획된 각 공간은 적절히 형성된 연통공(31d)에 의해 서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 송풍기(32)는 상부원판(10a)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밀폐공간 내에 설 치되어 있으며 상부원판(10a) 및 하부원판(10b)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흡기관(32a)과 상기 밀폐공간 내에서 개구되는 토출관(32b)을 구비한다. 송풍기(32)가 작동하면 흡기관(32a)을 통해 송풍기(32) 내부로 공기가 흡기되고 소정 압력의 공기가 되어 토출관(32b)을 통해 밀폐공간 내로 토출된다.
상기 각 누름 버튼(19)은 상부부재(11)의 하면 등에 마련된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나 표시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며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는 각 누름 버튼(19)을 통해 얻어진 신호에 의해 누름 버튼(19)들이 눌려진 순서를 인식하고 누름 버튼(19)의 눌려진 순서(즉, 유희자(Y)가 폴(13) 끝까지 올라간 순서)를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나 표시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예의 유희장치(1)에 의하면 우선 송풍기(32)가 작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밀폐공간 내에 공기가 공급 충전되어 내압이 올라가 시트부재(31)가 팽창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회전구동기구(25)에 의해 회전체(10)가 수평회전하게 되고 상부부재(11)나 지주(12), 폴(13), 에어쿠션(30)(팽창된 시트부재(31)) 등이 회전체(10)와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폴(13)이 회전체(10)의 회전축(10c)의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유희자(Y)는 이와 같이 하여 선회이동하는 폴(13)을 손발을 사용하여 오르내림으로써 놀 수 있다. 폴(13)이 회전축(10c)의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이동하고 있으므로 유희자(Y)는 폴(13)과 함께 선회이동할 때의 감각을 즐기면서 해당 놀이를 즐길 수 있다.
또한, 폴(13)의 상단부까지 올라간 유희자(Y)에 의해 누름 버튼(19)이 눌려지면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신호가 입력되어 누름 버튼(19)의 눌려진 순서가 인식되고 인식된 순서가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되거나 표시장치(도시하지 않음)에 화상 출력되므로 유희자(Y)는 폴(13)을 올라가는 속도를 서로 겨루며 놀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의 유희장치(1)에 의하면 유희자(Y)는 폴(13)을 오르내리는 유희자(Y) 자신의 동작과 폴(13)의 선회 동작이 복합되어 종래에는 없던 변화가 풍부한 놀이나 감각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상부부재(11)나 지주(12), 폴(13), 에어쿠션(30), 유희자(Y)의 회전동작을 본 상기 유희장치(1)의 주변에 있는 어린이들에 대해 상기 유희장치(1)에서 놀고 싶다는 흥미를 유발시켜 이 유희장치(1)에서 놀도록 만들 수도 있다.
또한, 회전체(10)의 상면에 에어쿠션(30)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유희자(Y)가 잘못하여 폴(13)에서 떨어지는 등의 경우에도 에어쿠션(30)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어 다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취할 수 있는 구체적인 형태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위의 예에서는 폴(13)을 직선형으로 형성하여 축선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유희장치(2)와 같이 폴(13)의 상단측이 휘도록 만곡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 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유희장치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유희장치의 단면도이다.
상기 유희장치(2)는 회전축(10c)을 구비한 원판형의 회전체(10)와, 회전체(10)의 상면이며 또한 회전축(10c)의 축선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세워져 설치된 2개의 폴(13)과, 회전체(10)를 수평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35)와, 회전체(10)를 수평회전시키는 구동 모터(38)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기구(35)는 구동 모터(38)의 출력축의 축선이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이 구동 모터(38)를 지지하는 지지베이스(36)와, 지지베이스(36)의 상면에 설치되어 회전축(10c)을 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37)로 이루어진다. 또한, 회전축(10c)과 구동 모터(38)의 출력축은 커플링(39)을 통해 연결되며 또한 지지기구(35) 및 회전축(10c)은 회전축(10c)의 상단측이 돌출된 상태로 커버체(34)에 의해 덮여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희장치(2)에서는 구동 모터(38)가 구동되면 회전축(10c)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폴(13)이 회전축(10c)의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이동함으로써 유희자(Y)는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놀 수 있다. 또한, 폴(13)의 상단측이 만곡되어 있으므로 폴(13) 자체에 변화를 주어 폴이 똑바로 형성되어 있을 때보다 폴(13)의 오르내림에 변화를 주거나 폴(13)의 오르내림을 어렵게 할 수 있어 상기 유희장치(2)에서 더욱 재미있게 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폴(13)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형태 외에도 특별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좌우로 구부러지도록 마련된 만곡부나 굴곡부를 양단부 사이에 구비하도록 형 성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하여도 폴(13)의 오르내림에 변화를 주거나 폴(13)의 오르내림을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 버튼(19)은 이것이 눌려졌을 때 순위가 출력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음성(음악이나 사람 목소리 등)을 출력하는 회로의 스위치가 켜져 음성이 출력되거나 램프를 점등시키는 회로의 스위치가 켜져 램프가 점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에어쿠션(30)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에어쿠션(30)을 대신하여 예를 들면 스프링이나 고무, 스펀지 등 탄성체를 이용한 쿠션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시트부재(31)에 장식을 꾸며 어린이들에게 흥미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유희자(Y)가 폴(13)을 오르내리도록 유희장치(1, 2)를 구성하지 않고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희자(Y)가 선회부재(45)에 매달려 선회이동하도록 유희장치(3, 4)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희장치(3)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수평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회전체(40)와, 회전체(4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 지지체(41)와, 지지체(41)에 매달림 로프(44)에 의해 매달려지고 회전체(40)의 회전 중심축(회전축(40b)의 축선)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후술하는 지지 파이프(49)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킨 위치)에 배치되어 회전체(40)의 회전에 의해 선회이동하는 복수(본 예에서는 6개)의 선회부재(45)와, 회전체(40)를 수평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46)와, 회전체(40)를 수평회전시키는 구동 모터(53) 와, 선회부재(45)의 하방영역에 배치된 에어쿠션(55)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유희장치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유희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유희장치의 평면도이다.
상기 회전체(40)는 외주측 하면에 형성된 환형의 스커트부(40a)와, 상단부가 하면 중앙부에 고정 설치되고 지지 파이프(49)의 내면에 배치되는 회전축(40b)으로 이루어지며, 회전축(40b)이 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수평회전한다. 또한 상기 스커트부(40a)는 지지 파이프(49)의 상단부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어 유희자(Y)가 회전체(40)와 지지 파이프(49) 사이에 손이 끼어 다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체(41)는 일단측이 회전체(40)의 상면에 각각 접속되고 회전체(40)의 회전축(40b)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 및 원주방향을 따라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고 타단측에 매달림 로프(44)가 각각 접속된 복수(본 예에서는 6개)의 지지암(42)과, 환형으로 형성되어 각 지지암(42)의 일단측을 각각 연결, 고정하는 연결부재(43)로 이루어진다. 또한, 각 지지암(42)은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된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회부재(45)는 예를 들면 구형, 환형, 원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선회부재(45)의 결합부분이나 선회부재(45)의 외주면, 선회부재(45)의 환형의 내주면 등이 유희자(Y)가 잡고 매달리는 손잡이부로서의 기능을 한다. 또한, 지지체(41), 매달림 로프(44) 및 선회부재(45)는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말하는 유희용 구조물이 다.
상기 지지기구(46)는 원판형으로 형성된 베이스(47)와, 베이스(47)의 상면 중앙부에 설치된 원기둥형의 지지대(48)와, 양단부가 개구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며 축선이 상하방향을 따라 이루어지도록 지지대(48)의 상면에 놓여 고정된 지지 파이프(49)와, 지지 파이프(49)의 내부에서 지지대(48)의 상면에 놓여 고정되고 구동 모터(53)의 출력축의 축선이 상하방향을 따라 이루어지도록 이 구동 모터(53)를 지지하는 지지블록(50)과, 지지블록(50)의 상면에 설치되고 회전축(40b)의 하단부를 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지지부재(51)와, 지지 파이프(49)의 상단부 내주면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축(40b)의 상단부를 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지지부재(52)로 이루어진다. 또한, 회전축(40b)의 하단부와 구동 모터(53)의 출력축은 커플링(54)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지지 파이프(49)의 외면은 도시하지 않은 충격흡수재에 의해 덮여져 있고 이에 의해 유희자(Y)가 다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상기 에어쿠션(55)은 가요성을 가지며 내부에 밀폐공간을 구비한 시트부재(56)와 상기 밀폐공간 내로 공기를 공급 충전하여 내압을 높여 시트부재(56)를 팽창시키는 송풍기(57)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트부재(56)는 송풍기(57)에 의해 충전된 공기에 의해 팽창되었을 때 중앙부에 반구형상의 부분이 형성되고 그 주위에 크기가 다른 3개의 환형의 부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환형 부분이 외부로 비어져 나온 상태로 지지기구(46)의 베이스(47) 상면에 마련된다. 또한, 시트부재(56)는 중 앙부에 지지 파이프(49)가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구(56a)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밀폐공간 내부는 환형의 구획부(56b, 56c, 56d)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고 구획된 각 공간은 적절히 형성된 연통공(56e)에 의해 서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 송풍기(57)는 시트부재(56)의 외부에서 베이스(47)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밀폐공간 내부에 접속된 토출관(57a)을 구비한다. 이 송풍기(57)가 작동하면 흡기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송풍기(57) 내부로 공기가 흡기되고 소정압력의 공기가 되어 토출관(57a)을 통해 밀폐공간 내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희장치(3)에 의하면 우선 송풍기(57)가 작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밀폐공간 내로 공기가 공급 충전되어 내압이 올라가 시트부재(56)가 팽창상태가 된다. 이어서 구동 모터(53)가 구동되어 회전축(40b)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회전체(40)가 수평회전하면 지지암(42)이 회전하여 선회부재(45)가 회전축(40b)의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이동한다.
그리고, 유희자(Y)는 이와 같이하여 선회이동하는 선회부재(45)의 손잡이부를 잡고 매달리거나 선회부재(45)를 잡고 매달려 흔듦으로써 놀 수 있다. 선회부재(45)가 회전축(40b)의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이동하고 있으므로 유희자(Y)는 매달린 상태에서 선회이동 할 때의 감각을 즐기면서 상기 놀이를 즐길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유희장치(3)를 구성하여도 유희자(Y)는 선회부재(45)를 잡고 매달리거나 선회부재(45)를 흔드는 유희자(Y) 자신의 동작과 선회부재(45)의 선회동작이 복합되어 종래에는 없던 변화가 풍부한 놀이나 감각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지지암(42)이나 선회부재(45), 유희자(Y)의 회전동작을 본 상기 유희장치(3) 의 주변에 있는 어린이들에 대해 유희장치(3)에서 놀고 싶다는 흥미를 갖게 하여 이 유희장치(3)에서 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재(43)에 의해 복수의 지지암(42)을 각각 연결 고정시키고 있어 각 지지암(42)(선회부재(45))을 같은 간격으로 배치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베이스(47)의 상면에 에어쿠션(55)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유희자(Y)가 잘못하여 선회부재(45)에서 떨어지는 등의 경우에도 에어쿠션(55)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어 다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희장치(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10)와, 회전체(10)의 상부원판(10a)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 지지체(60)와, 지지체(60)에 매달림 로프(44)에 의해 매달리고 회전체(10)의 회전축(10c)의 축선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어 회전체(10)의 회전에 의해 선회이동하는 복수의 선회부재(45)와, 상기 지지기구(20)와, 상기 회전구동기구(25)와, 구형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도시하지 않은 장식이 이루어지며 지지체(60)에 하부가 지지된 장식체(6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장식체(63)는 어린이들의 흥미를 끌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유희장치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지지체(60)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체(10)의 원주방향을 따라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며 일단이 상부원판(10a)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 복수의 제 1 지지부재(61)와, 환형으로 형성되고 각 제 1 지지부재(61)에 수평면 내에서 접속되도록 또한 높이 위치가 각각 다르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제 2 지지부재(62)를 구비한 다. 각 제 2 지지부재(62)는 회전축(10c)의 축선과 동축으로 마련된다.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제 2 지지부재(62)는 각 제 1 지지부재(61)의 타단에 접속되고 또한 매달림 로프(44)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제 2 지지부재(62)에는 장식체(63)의 하부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60), 매달림 로프(44) 및 선회부재(45)는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말하는 유희용 구조물이다. 또한, 각 지지부재(61, 62)의 외면은 도시하지 않은 충격흡수재에 의해 덮여져 있고 이에 따라 유희자(Y)가 다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이 유희장치(4)에 의해서도 회전구동기구(25)에 의한 회전체(10)의 회전에 의해 지지체(60)가 회전하여 선회부재(45)가 회전축(10c)의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이동하므로 유희자(Y)는 상기한 유희장치(3)와 동일한 방법으로 놀 수 있고 상기한 바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회부재(45)나 에어쿠션(55)은 상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에어쿠션(55)을 대신하여 예를 들면 스프링이나 고무, 스펀지 등 탄성체를 이용한 쿠션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시트부재(56)에 장식을 꾸며 어린이들에게 흥미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선회부재(45)는 동일한 피치원 상에 배치하지 않고 다른 크기의 피치원 상에 배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유희자(Y)가 폴(13)을 오르내리도록 유희장치(1, 2)를 구성하거나 유희자(Y)가 선회부재(45)에 매달려서 선회이동하도록 유희장치(3, 4)를 구성하지 않고,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희자(Y)가 소정의 유희영역(S) 내에서 정글짐과 유사한 유희를 하도록 유희장치(5)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희장치(5)는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10)와, 회전체(1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외부공간과 분리된 유희자(Y)가 유희하는 유희영역(S)을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체(70)와, 프레임체(70)에 결합되어 유희영역(S)을 형성하는 칸막이 부재(71)와, 유희영역(S)을 수평방향으로 횡단하도록 프레임체(70)에 걸쳐 놓인 복수의 빔(72)과, 프레임체(70) 및 빔(72)에 지지되고 유희영역(S)을 복수의 계층형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복수의 바닥부(73)와, 상기 지지기구(20)와, 상기 회전구동기구(2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유희장치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C-C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D-D 방향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4는 도 12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E-E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2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F-F 방향의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체(70), 칸막이 부재(71), 빔(72) 및 바닥부(73)는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말하는 유희용 구조물을 구성한다.
상기 프레임체(70)는 봉형의 복수의 부재를 종횡으로 조합시켜 평면상 8각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구성 부재의 외면은 도시하지 않은 충격흡수재에 의해 덮여 있어 유희자(Y)가 다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칸막이 부재(71)는 가요성을 갖는 시트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프레임체(70)를 구성하는 각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외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장식이 꾸며져 어린이들의 흥미를 끌도록 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 부재(71)에는 외부공간과 유희영역(S)을 연통하며 또한 유희자(Y)가 출입 가능한 개구부(7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빔(72)은 상하방향으로 다른 2개의 높이 위치에서 8각형의 서로 마주보는 꼭지점들을 접속시키도록 마련된다. 상기 각 바닥부(73)는 가요성을 갖는 시트 형상의 부재(73a)가 2개 마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프레임체(70)를 구성하는 각 부재 및 빔(72) 사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유희영역(S)을 상하방향으로 3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73)는 도 14 및 도 15의 부호 73b로 표시한 부분에는 시트 형상의 부재(73a)가 설치되지 않고 상하로 이웃하는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부(73b)로서 형성되어 있어 이 연통부(73b)에 의해 최상층의 공간과 중간의 공간, 및 중간의 공간과 최하층의 공간이 각각 연통되어 유희자(Y)가 상층이나 하층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측의 바닥부(73)의 연통부(73b)와 하측의 바닥부(73)의 연통부(73b)는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10)의 상부원판(10a)의 상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쿠션이 마련됨과 아울러 바닥부(73)의 상면은 도시하지 않은 충격흡수재에 의해 덮여져 유희자(Y)가 다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희장치(5)에 의하면 회전구동기구(25)에 의해 회전체(10)가 수평회전하게 되고 프레임체(70), 칸막이 부재(71), 빔(72) 및 바닥부(73)가 회전체(10)와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유희자(Y)는 정글짐과 유사하게 유희영역(S) 안을 빔(72)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바닥부(73) 위를 횡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바닥부(73)의 연통 부(73b)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놀 수 있다. 회전체(10)의 회전에 의해 빔(72) 및 바닥부(73) 등이 회전하고 있으므로 유희자(Y)는 빔(72) 및 바닥부(73) 등이 회전할 때의 감각을 즐기면서 그 놀이를 즐길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유희장치(5)를 구성하여도 유희자(Y)는 유희장치(S) 내에서 노는 유희자(Y) 자신의 동작과 프레임체(70), 칸막이 부재(71), 빔(72) 및 바닥부(73)의 회전동작이 복합되어 종래에는 없던 변화가 풍부한 놀이나 감각을 즐길 수 있다. 또한, 프레임체(70), 칸막이 부재(71), 빔(72) 및 바닥부(73)의 유희자(Y)의 회전동작을 본 상기 유희장치(5)의 주변에 있는 어린이들에 대해 상기 유희장치(5)에서 놀고 싶다는 흥미를 유발시켜 이 유희장치(5)에서 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체(10)의 상면에 쿠션(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유희자(Y)가 잘못하여 빔(72)이나 바닥부(73)에서 떨어지는 등의 경우에도 쿠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어 다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체(70)는 봉형의 부재와 환형의 부재를 복수 조합시켜 평면상 원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칸막이 부재(71)나 바닥부(73)는 시트 형상의 부재가 아니라 판 형상의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빔(72) 및 바닥부(73)는 어느 하나를 생략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통부(73b)는 시트 형상의 부재(73a)를 설치하지 않는 부분을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하지 않고 바닥부(73)를 하나의 부재로 구성하고 이 부재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희자가 변화가 풍부한 놀이를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유희장치로서 적합하다.

Claims (10)

  1. 수평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희영역을 구획하는 유희용 구조물과;
    상기 회전체를 수평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와;
    상기 회전체를 수평회전시키는 회전구동기구;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희용 구조물은, 상기 회전체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유희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체와; 상기 프레임체에 결합되어 상기 유희영역을 외부공간과 분리 구획하는 칸막이 부재와; 상기 유희영역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프레임체에 걸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빔;으로 구성되고,
    상기 칸막이 부재에는 외부공간과 유희영역을 연통하여, 유희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한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수평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희영역을 구획하는 유희용 구조물과;
    상기 회전체를 수평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 및
    상기 회전체를 수평회전시키는 회전구동기구;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희용 구조물은, 상기 회전체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유희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체와; 상기 프레임체에 결합되어 상기 유희영역을 외부공간과 분리 구획하는 칸막이 부재와; 상기 유희영역을 상하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의 계층형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바닥부;로 구성되고,
    상기 칸막이 부재에는 외부공간과 유희영역을 연통하여 유희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에는 상하로 이웃하는 공간을 유희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상면의 적어도 상기 유희영역 내에 쿠션이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장치.
KR1020097007234A 2006-09-12 2007-09-11 유희장치 KR101401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46459 2006-09-12
JP2006246459A JP4667333B2 (ja) 2006-09-12 2006-09-12 遊戯装置
PCT/JP2007/067618 WO2008032687A1 (en) 2006-09-12 2007-09-11 Amusement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395A Division KR20140022960A (ko) 2006-09-12 2007-09-11 유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143A KR20090073143A (ko) 2009-07-02
KR101401178B1 true KR101401178B1 (ko) 2014-05-29

Family

ID=391837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395A KR20140022960A (ko) 2006-09-12 2007-09-11 유희장치
KR1020097007234A KR101401178B1 (ko) 2006-09-12 2007-09-11 유희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395A KR20140022960A (ko) 2006-09-12 2007-09-11 유희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7959513B2 (ko)
EP (3) EP2653201B1 (ko)
JP (1) JP4667333B2 (ko)
KR (2) KR20140022960A (ko)
CN (4) CN101511438B (ko)
AU (1) AU2007295443B2 (ko)
CA (1) CA2663265C (ko)
ES (3) ES2585252T3 (ko)
HK (1) HK1132953A1 (ko)
WO (1) WO20080326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6768B2 (ja) * 2006-08-24 2011-07-20 ビーエルデーオリエンタル株式会社 遊戯装置
JP5435787B2 (ja) * 2009-11-13 2014-03-05 ビーエルデーオリエンタル株式会社 回転遊具
JP5574525B2 (ja) 2009-11-13 2014-08-20 ビーエルデーオリエンタル株式会社 揺動遊具装置
JP5435786B2 (ja) 2009-11-13 2014-03-05 ビーエルデーオリエンタル株式会社 遊具装置
JP5455212B2 (ja) 2009-11-13 2014-03-26 ビーエルデーオリエンタル株式会社 遊具装置
JP5725639B2 (ja) 2009-11-13 2015-05-27 ビーエルデーオリエンタル株式会社 滑り台装置
JP5448734B2 (ja) * 2009-11-13 2014-03-19 ビーエルデーオリエンタル株式会社 ツリー型装飾装置
WO2011128958A1 (ja) * 2010-04-12 2011-10-20 ビーエルデーオリエンタル株式会社 遊具用回転装置及び、当該回転装置を用いた遊戯装置
JP2011218010A (ja) * 2010-04-12 2011-11-04 Bld Oriental Co Ltd 遊戯装置
US8876615B2 (en) 2010-06-15 2014-11-04 Bld Oriental Co., Ltd. Playground equipment driving motor-placement device and rotating playground equipment
US8602902B2 (en) 2010-06-15 2013-12-10 Bld Oriental Co., Ltd. Rotating amusement device
JP5610619B2 (ja) * 2010-07-23 2014-10-22 ビーエルデーオリエンタル株式会社 遊具装置及び、遊具システム
JP5721268B2 (ja) 2010-08-11 2015-05-20 ビーエルデーオリエンタル株式会社 飲食設備を備えた施設及び、当該施設における集客方法
ES2540586T3 (es) * 2010-08-19 2015-07-10 Bld Oriental Co., Ltd. Equipo de juego
DE102010053686B3 (de) * 2010-12-08 2012-01-26 Grenzebach Maschinenbau Gmbh Autonomes Sicherheitssystem für die Benutzer von Fahrzeugsimulatoren oder Flugsimulatoren, Verfahren zur gefahrlosen Benutzung solcher Simulatoren, ein Computerprogramm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nd einen maschinenlesbaren Träger mit dem Programmcode.
KR101180467B1 (ko) 2011-01-31 2012-09-06 (주)로프캠프 놀이용 회전기구의 데크 결합구조 및 그 데크 결합방법
JP6066918B2 (ja) * 2011-11-11 2017-01-25 ビーエルデーオリエンタル株式会社 遊戯装置
CN102500106A (zh) * 2011-12-21 2012-06-20 浙江省东阳市东亚工具有限公司 一种棒棒糖游具
CN102500107A (zh) * 2011-12-21 2012-06-20 浙江省东阳市东亚工具有限公司 一种倾斜椰子树游具
CN102512824A (zh) * 2011-12-30 2012-06-27 浙江省东阳市东亚工具有限公司 一种太空仓游具
CN102512825A (zh) * 2011-12-30 2012-06-27 浙江省东阳市东亚工具有限公司 一种旋转地球游具
CN103752011A (zh) * 2011-12-31 2014-04-30 浙江省东阳市东亚工具有限公司 一种木马游具
US9833717B2 (en) 2013-11-18 2017-12-05 Bld Oriental Co., Ltd. Ornament mechanism, and ornament, sports equipment, and amusement equipment using same
PL3115085T3 (pl) * 2015-07-10 2024-01-29 Kompan A/S System fitness, układ zestawu fitness i funkcjonalne elementy fitness
US10881971B2 (en) 2016-10-11 2021-01-05 Playcore Wisconsin, Inc. Rotatable play device
US9873057B1 (en) * 2016-10-11 2018-01-23 Playcore Wisconsin, Inc. Rotatable play device
US11511207B2 (en) 2019-06-18 2022-11-29 Robin Whincup Inflatable attachments for an attraction
KR102326724B1 (ko) * 2020-11-23 2021-11-16 김가원 다인용 해먹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607Y1 (ko) * 2001-05-02 2001-10-12 신천희 회전놀이기구
JP2005131215A (ja) * 2003-10-31 2005-05-26 Bld Oriental Kk 遊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77417C (de) * 1929-06-07 Heinrich Geineder Boxerkarussell
DE329339C (de) * 1920-11-20 Carl Franke Karussell mit einer in Umdrehung versetzten Plattform
DE278353C (ko) *
DE266856C (ko) *
GB191003458A (en) * 1910-02-12 1910-06-16 Moses Robinson Improvements in Roundabouts and like Apparatus.
FR446972A (fr) * 1911-10-03 1912-12-19 Carl Georg Rodeck Jeu forain
US1271892A (en) * 1917-04-30 1918-07-09 Anthony O Habeshan Knockdown merry-go-round.
US3598403A (en) * 1969-05-23 1971-08-10 Marjorie Bartlett Amusement ride rotating about vertical and horizontal axes
JPS519948Y2 (ko) 1972-11-11 1976-03-17
JPS5143411B2 (ko) 1973-04-19 1976-11-22
JPS5143411A (ja) * 1974-10-12 1976-04-14 Showa Prod Shijomakitorihoho
JPS5335669U (ko) * 1976-09-02 1978-03-29
JPH0618466Y2 (ja) 1988-06-20 1994-05-18 株式会社ヤマコウ 携帯折り畳み式魚釣台の固定装置
US4978120A (en) * 1988-10-11 1990-12-18 Greenwood Marvin H Recreational device having rings
JPH0370586A (ja) 1989-08-10 1991-03-26 Sega Enterp Ltd 回転台装置
US4973042A (en) * 1990-01-22 1990-11-27 Klopf Frank P Tower amusement ride
JPH0739605A (ja) * 1993-08-02 1995-02-10 P-Puru Kk 室内用組み立て型ジャングルジム
JP3702000B2 (ja) 1995-03-01 2005-10-05 マスセット株式会社 回転遊戯具
CN2299647Y (zh) * 1997-02-17 1998-12-09 刘勋 小猴爬杆游艺机
JPH1133136A (ja) * 1997-07-15 1999-02-09 Masusetsuto Kk 登り降り運動遊具
DE19742260C2 (de) * 1997-09-25 2001-10-31 Knijpstra Konstr Bv Karussell
CN2341690Y (zh) * 1998-06-17 1999-10-06 张其中 一种吊挂式旋转游乐机
JP3368207B2 (ja) 1998-07-16 2003-01-20 薫 長谷川 回転遊戯装置
JP2000070433A (ja) * 1998-09-01 2000-03-07 Raason Japan:Kk スポーツ施設
JP4577966B2 (ja) * 1999-12-16 2010-11-10 ビーエルデーオリエンタル株式会社 遊戯装置
KR100393117B1 (ko) * 2000-03-30 2003-07-31 최영민 부양장치
US6575462B2 (en) * 2001-03-12 2003-06-10 George C. Roy Maze structure
US7666103B2 (en) * 2004-01-29 2010-02-23 Cottingham Agencies Ltd. Amusement ride
CN2678720Y (zh) * 2004-02-19 2005-02-16 曾照喜 健力网
CN1785473A (zh) * 2004-12-06 2006-06-14 Bld东洋株式会社 游戏装置
US7182694B2 (en) * 2005-03-07 2007-02-27 Bld Oriental, Ltd. Play apparatus
CN2782180Y (zh) * 2005-03-22 2006-05-24 饶广亭 健身娱乐转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607Y1 (ko) * 2001-05-02 2001-10-12 신천희 회전놀이기구
JP2005131215A (ja) * 2003-10-31 2005-05-26 Bld Oriental Kk 遊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78549A1 (en) 2009-07-15
JP2008067741A (ja) 2008-03-27
ES2533582T3 (es) 2015-04-13
US8313388B2 (en) 2012-11-20
ES2585252T3 (es) 2016-10-04
US7959513B2 (en) 2011-06-14
EP2653201A1 (en) 2013-10-23
CN101829431A (zh) 2010-09-15
KR20140022960A (ko) 2014-02-25
CN101829431B (zh) 2012-10-31
CA2663265A1 (en) 2008-03-20
CN101511438A (zh) 2009-08-19
ES2537573T3 (es) 2015-06-09
US20110244971A1 (en) 2011-10-06
CN101829433B (zh) 2012-10-31
EP2078549A4 (en) 2011-08-03
KR20090073143A (ko) 2009-07-02
CN101829432A (zh) 2010-09-15
EP2078549B1 (en) 2015-03-04
EP2653200A1 (en) 2013-10-23
JP4667333B2 (ja) 2011-04-13
AU2007295443B2 (en) 2012-01-19
EP2653201B1 (en) 2016-05-04
EP2653200B1 (en) 2014-12-31
AU2007295443A1 (en) 2008-03-20
CA2663265C (en) 2016-02-23
CN101829433A (zh) 2010-09-15
WO2008032687A1 (en) 2008-03-20
CN101511438B (zh) 2010-11-10
US20100048310A1 (en) 2010-02-25
HK1132953A1 (en) 201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1178B1 (ko) 유희장치
KR20090073126A (ko) 유희장치
JP2000037563A (ja) 遊戯用設備
AU2011253673B2 (en) Amusement Device
WO2006025108A1 (ja) 遊戯装置
JP2011005289A (ja) 遊戯装置
JP2011072801A (ja) 遊戯装置
JP4519135B2 (ja) 遊戯装置
JP3698771B2 (ja) ゲーム玩具
EP2082790A1 (en) Amusement device
JP2004275492A (ja) 遊戯装置
WO2012147120A1 (ja) 遊戯装置
JP2011218010A (ja) 遊戯装置
JPH0677795U (ja) ゲーム機用支持旋回装置及び同装置用分割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