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3126A - 유희장치 - Google Patents
유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73126A KR20090073126A KR1020097006536A KR20097006536A KR20090073126A KR 20090073126 A KR20090073126 A KR 20090073126A KR 1020097006536 A KR1020097006536 A KR 1020097006536A KR 20097006536 A KR20097006536 A KR 20097006536A KR 20090073126 A KR20090073126 A KR 200900731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e
- pawl
- play
- decoration
- axi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9/00—Climbing poles, frames, or stag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00—Roundabouts
- A63G1/08—Roundabouts power-drive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희자가 보다 변화가 풍부한 놀이를 할 수 있고 유희자를 보다 즐겁게 놀도록 할 수 있으며 어린이들의 흥미를 보다 강하게 끌 수 있는 유희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희장치(1)는 기립상태로 배치되어 어린이 등의 유희자(Y)가 오르내리는 폴(11, 31)을 각각 구비한 제1 유희부(10) 및 제2 유희부(30)를 갖는다. 제1 유희부(10)는 만곡부(11a)를 구비한 폴(11)과, 폴(11)의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기구와, 폴(11)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기구로 이루어진다. 제2 유희부(30)는 원형관 형상인 동시에 투명하게 형성된 폴(31)과, 원형관 형상인 동시에 투명하게 형성되고 폴(31)의 내부에 이와 동축으로 배치되며 외주면에 장식(32a)이 꾸며진 장식체(32)와, 장식체(32)의 내부에 마련되는 광원(33)과, 폴(31) 및 장식체(32)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함과 동시에 지지체(3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와, 장식체(32)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기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기립상태로 배치된 폴을 구비하여 유희자가 이 폴을 오르내림으로써 놀도록 구성된 유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상기 유희장치로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1-33136호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유희장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축선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폴과 이 폴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각각 지지, 고정하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은 그 외주면에 나선상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유희장치에서 어린이 등의 유희자는 손발을 사용하여 폴을 오르내림으로써 놀 수 있다. 오르내릴 때에는 나선상의 요철에 의해 폴을 잡는 손이나 폴을 사이에 끼우는 발이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유희자는 안전하게 오르내릴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유희장치의 경우에는 상기 유희장치에서의 놀이가 단조로워지기 쉬워 쉽게 질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 유희장치는 극히 일반적인 유희장치인 이른바 오름봉과 별반 다른 점이 없어 이미 오름봉에서 많이 놀아 본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정을 감안한 것으로서 유희자가 보다 변화가 풍부한 놀이를 할 수 있고 유희자를 보다 즐겁게 놀도록 할 수 있으며 어린이들의 흥미를 보다 강하게 끌 수 있는 유희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기립상태로 배치되어 유희자가 오르내리는 폴과,
상기 폴의 상단부 혹은 하단부 또는 양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서, 상기 폴의 단부를 지지하는 축받이를 가지며 이 축받이에 의해 상기 폴이 이 축받이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폴을 상기 축받이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유희장치에 의하면 어린이 등의 유희자는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지지수단 축받이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폴을 손발을 사용하여 오르내림으로써 놀 수 있다. 폴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있으므로 유희자는 폴과 함께 회전할 때의 감각을 즐기면서 상기 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희장치에 의하면 폴을 오르내리는 유희자 자신의 동작과 폴의 회전동작이 복합되어 유희자는 종래에는 없던 변화가 풍부한 놀이나 감각을 즐길 수 있다. 또한, 폴이나 유희자의 회전동작을 본, 상기 유희장치의 주변에 있는 어린이들에 대하여 상기 유희장치에서 놀고 싶다는 흥미를 갖게 하여 이 유희장치에서 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폴은 그 양단부 사이에 만곡부 또는 굴곡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폴 자체에 변화를 주어 폴이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을 때보다 폴의 오르내림에 변화를 주거나 폴의 오르내림을 어렵게 할 수 있어 상기 유희장치에서의 놀이를 더욱 재미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은 그 외주면에 장식이 꾸며져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유희자 자신을 즐겁게 하는 것은 물론이며 이 장식을 본, 상기 유희장치의 주변에 있는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시켜 이 유희장치에서 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장식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각종 모양을 폴의 표면에 나타내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표면에 나타난 모양 등이 변화되는 재미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폴은 관 형상의 부재인 동시에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폴의 내부에는 빛이 상기 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투과되도록 상기 폴의 내부를 조명하는 광원이 마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광원으로부터의 빛에 의해 폴의 외주면에 꾸며진 장식을 두드러지게 하여 장식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은 하단부가 밀폐된 관 형상의 부재인 동시에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부재로 구성되고 내부에 액체가 충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폴의 하단부에는 상기 폴의 내부에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수단이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기체공급수단에 의해 폴의 하단부에서 그 내부로 기체가 공급되면 공급된 기체가 기포가 되어 폴 내부의 액체 안을 상승하므로 유희자는 기포가 위로 흐르는 모습을 보면서 폴을 오르내릴 수 있어 유희자를 보다 즐겁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유희장치의 주변에 있는 어린이들에게 기포가 흐르는 모양을 보여주어 이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시켜 이 유희장치에서 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폴의 내부를 조명하는 광원을 마련하면 일루미네이션 효과나 라이트업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유희자 및 유희장치의 주변에 있는 사람들을 즐겁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일루미네이션으로 채색된 폴이나 라이트업된 폴을 본, 이 유희장치의 주변에 있는 어린이들에게 흥미를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 형상의 부재인 동시에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부재로 구성되고 축선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유희자가 오르내리는 폴과,
관 형상의 부재인 동시에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폴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주면에 장식이 꾸며진 장식체와,
빛이 상기 장식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투과되도록 상기 장식체의 내면을 조명하는 광원과,
상기 폴 및 장식체의 상단부 혹은 하단부 또는 양단부를 각각 지지함과 동시에 이 폴 및 장식체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폴 및 장식체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유희장치에 의해서도 어린이 등의 유희자는 손발을 사용하여 폴을 오르내림으로써 놀 수 있다. 또한, 장식체의 외주면에 꾸며진 장식을 광원으로부터의 빛에 의해 두드러지게 하여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장식체나 폴을 축선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유희장치의 주변에 있는 어린이들이나 폴을 잡고 있는 유희자 입장에서는 장식체의 표면에 나타난 모양 등이 변화하는 재미를 얻을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장식을 본 상기 유희장치의 주변에 있는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시켜 이 유희장치에서 놀도록 하거나 이와 같은 장식을 본 유희자가 더욱 놀이를 즐겁게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은 그 외주면에 장식이 꾸며져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장식체의 외주면 및 폴의 외주면 모두에 꾸며진 장식에 의해 장식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유희장치는 상기 폴의 하단부측의 주변영역에 마련된 쿠션을 더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유희자가 잘못하여 폴에서 떨어지는 경우에도 쿠션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어 다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유희장치에 있어서 폴의 색, 액체의 색, 광원으로부터의 빛의 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유희자나 유희장치 주변에 있는 사람들을 시각적으로 즐겁게 할 수 있는 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희장치에 의하면 폴이나 그 내부에 마련된 장식체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유희자가 보다 변화가 풍부한 놀이를 하거나 유희자가 보다 즐겁게 놀도록 할 수 있고 어린이들의 흥미를 보다 강하게 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희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A-A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B-B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C-C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장식체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유희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D-D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E-E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폴의 상단부 등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폴의 하단부 등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유희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유희장치
5...베이스
6...상부 부재
7...지주
10...제1 유희부
11...폴
12...지지기구
13...상부지지부재
14...하부지지부재
15...회전구동기구
16...구동 모터
17, 18...기어
20...커버체
30...제2 유희부
31...폴
32...장식체
33...광원
34...지지기구
35...제1 상부지지부재
36...제1 하부지지부재
37...제2 상부지지부재
38...제2 하부지지부재
39...회전구동기구
40...구동 모터
41, 42...기어
44...상부 커버체
45...하부 커버체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희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A-A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B-B 방향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C-C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장식체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의 유희장치(1)는 기립상태로 배치되어 어린이 등의 유희자(Y)가 오르내리는 폴(11, 31)을 각각 구비한 제1 유희부(10) 및 제2 유희부(30)와, 이 제1 유희부(10) 및 제2 유희부(30)들이 각각 배치 고정되는 베이스(5)와, 베이스(5)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1 유희부(10) 및 제2 유희부(30)의 상부가 각각 지지 고정되는 평판형상의 상부 부재(6)와, 베이스(5)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부 부재(6)를 지지하는 지주(7)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유희부(10)는 횡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된 상기 폴(11)과 폴(11)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12)와, 폴(11)을 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기구(15)와, 폴(11)의 상단부 근방에 마련되어 폴(11)의 상단부까지 올라간 유희자(Y)에 의해 눌려지는 누름 버튼(19)과, 폴(11)의 하단부, 지지기구(12)의 일부 및 회전구동기구(15)를 덮는 커버체(20)를 구비한다.
상기 폴(11)은 그 양단부 사이에 좌우로 휘어 구부러지도록 형성된 만곡부(11a)를 구비하고 이 만곡부(11a)를 제외한 부분의 축선이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는 장식(11b)이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장식(11b)은 예를 들면 폴(11)의 외주면에 나타나는 적절히 채색된 줄무늬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장식(11b)은 줄무늬에 한정되지 않고 동물이나 물고기, 곤충, 사람 등을 표현한 모양일 수도 있으며 또한 모양에도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지지기구(12)는 상부 부재(6)의 하면에 배치되고 폴(11)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부재(13)와 베이스(5)의 상면에 배치되어 폴(11)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재(14)로 이루어지며 각 지지부재(13, 14)는 그 내부에 축선이 상하방향을 따라 마련된 축받이(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이 축받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폴(11)을 축받이(도시하지 않음)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상기 회전구동기구(15)는 상기 하부지지부재(14) 근방의 베이스(5)의 상면에 출력축의 축선이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 구동모터(16)와, 구동모터(16)의 출력축에 고정 설치된 제1 기어(17)와, 폴(11)의 하단부측 외면에 마련되어 제1 기어(17) 와 맞물리는 제2 기어(18)로 이루어지고 구동모터(16)의 회전동력이 제1 기어(17) 및 제2 기어(18)를 통해 폴(11)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폴(11)이 회전한다.
상기 누름 버튼(19)은 상기 상부지지부재(13)의 하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유희자(Y)에 의해 눌려지면 예를 들어 음성(음악이나 사람의 목소리 등)을 출력하는 회로의 스위치가 켜져 음성이 출력되거나 램프를 점등시키는 회로의 스위치가 켜져 램프가 점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커버체(20)는 폴(11)의 하단부, 하부지지부재(14) 및 회전구동기구(15)를 상측에서 덮어 유희자(Y)가 다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커버체(20)에는 폴(11)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관통공(2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유희부(30)는 원통형상의 투명한 부재로 구성되고 축선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폴(31)과, 마찬가지로 원통형상의 투명한 부재로 구성되고 폴(31)의 내부에 이 폴(31)과 동축으로 배치되며 외주면에 장식(32a)이 이루어진 장식체(32)와, 장식체(32)의 내부에 마련되는 광원(33)과, 폴(31) 및 장식체(32)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함과 동시에 장식체(32)를 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34)와, 장식체(32)를 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기구(39)와, 폴(31)의 상단부 근방에 마련되어 폴(31)의 상단부까지 올라간 유희자(Y)에 의해 눌려지는 누름 버튼(43)과, 폴(31)의 상단부, 장식체(32)의 상단부 및 지지기구(34)의 일부를 덮는 상부 커버체(44)와, 폴(31)의 하단부, 장식체(32)의 하단부, 지지기구(34)의 일부 및 회전구동기구(39)를 덮는 하부 커버체(45)를 구비한다.
상기 장식체(32)는 폴(31)보다 길게 형성되어 양단부가 폴(31)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있다. 상기 장식(32a)은 예를 들면 장식체(32)의 외주면에 나타난 적절히 채색된 줄무늬(예를 들면 백색, 청색, 적색으로 이루어진 이발소 간판과 유사한 무늬) 등으로 이루어지나 이러한 무늬에 한정되지 않고 동물이나 물고기, 곤충, 사람 등을 표현한 모양일 수도 있다. 또한, 모양에도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광원(33)은 장식체(32)의 내부를 조명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형광등 등으로 구성되고 그 양단부가 상부 부재(6)의 하면에 마련된 지지부(33a) 및 베이스(5)의 상면에 마련된 지지부재(33b)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광원(33)은 형광등을 대신하여 백열전구나 발광 다이오드 등을 채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광원(33)으로부터의 빛의 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지지기구(34)는 상부 부재(6)의 하면에 배치되어 장식체(32)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제1 상부지지부재(35)와, 베이스(5)의 상면에 배치되어 장식체(32)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제1 하부지지부재(36)와, 상부 부재(6)의 하면에 배치되어 폴(31)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제2 상부지지부재(37)와, 베이스(5)의 상면에 배치되어 폴(31)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제2 하부지지부재(38)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상부지지부재(35) 및 제1 하부지지부재(36)는 그 내부에 축선이 상하방향을 따라 마련된 축받이(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이 축받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장식체(32)를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2 상부지지부재(37) 및 제2 하부지지부재(38)는 폴(31)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끼움 고정되는 끼움고정공(37a, 38a)을 구비하고 이 끼움고정공(37a, 38a)에 의해 폴(31)을 회전하지 못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상기 회전구동기구(39)는 상기 제1 하부지지부재(36) 근방의 베이스(5)의 상면에 출력축의 축선이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 구동모터(40)와, 구동모터(40)의 출력축에 고정 설치된 제1 기어(41)와, 장식체(32)의 하단부측 외주면에 마련되어 제1 기어(41)와 맞물리는 제2 기어(42)로 이루어져 구동모터(40)의 회전동력이 제1 기어(41) 및 제2 기어(42)를 통해 장식체(32)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장식체(32)가 회전된다.
상기 누름 버튼(43)은 상기 상부 커버체(44)의 하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유희자(Y)에 의해 눌려지면 예를 들어 음성(음악이나 사람의 목소리 등)을 출력하는 회로의 스위치가 켜져 음성이 출력되거나 램프를 점등시키는 회로의 스위치가 켜져 램프가 점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부 커버체(44)는 폴(31)의 상단부, 장식체(32)의 상단부 및 각 상부지지부재(35, 37)를 하측으로부터 덮어 유희자(Y)가 다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하부 커버체(45)는 폴(31)의 하단부, 장식체(32)의 하단부, 각 하부지지부재(36, 38) 및 회전구동기구(39)를 상측으로부터 덮어 유희자(Y)가 다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부 커버체(44)에는 폴(31)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관통공(44a)이 형성되고 하부 커버체(45)에는 폴(31)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관통공(45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5)의 상면이나 상기 커버체(20)의 외면, 상기 하부 커버체(45)의 외면은 도시하지 않은 충격흡수재에 의해 덮여져 있어 이에 의해서도 폴(11, 31)에서 떨어진 유희자(Y)가 다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예의 유희장치(1)에 의하면 제1 유희부(10)에서는 유희자(Y)는 회전구동기구(15)에 의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폴(11)을 손발을 사용하여 오르내림으로써 놀 수 있다. 폴(11)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유희자(Y)는 폴(11)과 함께 회전할 때의 감각을 즐기면서 상기 놀이를 즐길 수 있다.
한편, 제 2 유희부(30)에서는, 유희자(Y)는 회전구동기구(39)에 의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장식체(32)가 내부에 마련된 폴(31)을 손발을 사용하여 오르내림으로써 장식체(32)의 외주면에 꾸며진 줄무늬의 변화를 즐기면서 놀 수 있다.
또한, 폴(11, 31)의 상단부까지 올라간 유희자(Y)에 의해 누름 버튼(19, 43)이 눌려지면 예를 들어 음악이 울리거나 사람의 목소리로 "참 잘했어요"라는 음성이 출력되거나 램프가 점등하므로 상기 놀이가 더욱 재미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예의 유희장치(1)에 의하면 유희자(Y)는 폴(11)을 오르내리는 유희자(Y) 자신의 동작과 폴(11)의 회전동작이 복합되어 종래에는 없던 변화가 풍부한 놀이나 감각을 즐길 수 있거나 회전하는 장식체(32)에 꾸며진 장식(32a)을 즐기면서 놀 수 있다.
또한, 폴(11)이나 유희자(Y), 장식체(32)의 회전동작을 본, 상기 유희장치(1)의 주변에 있는 어린이들에 대하여 상기 유희장치(1)에서 놀고 싶다는 흥미를 유발시켜 이 유희장치(1)에서 놀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또한, 폴(11)에 만곡부(11a)를 형성하여 폴(11) 자체에 변화를 주어 폴(11) 이 똑바로 형성되어 있을 때에 비해 폴(11)의 오르내림에 더욱 변화를 주거나 폴(11)의 오르내림을 어렵게 할 수 있어 상기 유희장치(1)에서 더욱 재미있게 놀이를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장식체(32)의 내부에 광원(33)을 마련함으로써 이 장식체(32)의 외주면에 꾸며진 장식(32a)을 광원(33)으로부터의 빛에 의해 두드러지게 하는 장식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폴(11)이나 장식체(32)를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폴(11)이나 장식체(32)의 표면에 나타난 모양 등이 변화되는 재미를 줄 수 있고 어린이들의 흥미를 강하게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5)의 상면이나 상기 커버체(20)의 외면, 상기 하부 커버체(45)의 외면이 충격흡수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덮여 있으므로 유희자(Y)가 잘못하여 폴(11, 31)에서 떨어지는 등의 경우에도 이 충격흡수재(도시하지 않음)가 쿠션 기능을 하여 다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실시할 수 있는 구체적인 형태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유희부(10)에 있어서 상기 폴(11)을 원형관 형상의 부재인 동시에 투명한 부재로 구성하고 이 폴(11)의 내부에 광원을 마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2 유희부(30)의 장식체(32)와 마찬가지로 광원으로부터의 빛에 의해 폴(11)의 외주면에 꾸며진 장식(11b)을 두드러지게 하여 장식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위 예의 상기 제2 유희부(30)에서는 회전구동기구(39)에 의해 장식 체(32)를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식체(32)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폴(31)측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폴(31)을 잡고 있는 유희자(Y)가 폴(31)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장식체(32)의 표면에 나타난 모양 등이 변화되는 재미를 즐길 수 있다. 또한, 폴(31) 및 장식체(32) 모두를 회전시키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또한, 회전속도는 같게 할 수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폴(31)의 외주면에는 장식을 꾸밀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하면 장식체(32)의 외주면 및 폴(31)의 외주면 모두에 꾸며진 장식에 의해 장식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31) 및 장식체(32)는 투명한 부재뿐 아니라 반투명한 부재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부재라면 어떠한 부재도 채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유희장치(1)는 상기 제1 유희부(10) 및 제2 유희부(30)를 대신하여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희부(50) 및 제2 유희부(80)를 구비한 유희장치(2)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유희장치(1)와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유희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D-D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E-E 방향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폴의 상단부 등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 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폴의 하단부 등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제1 유희부(50)는 원형관 형상의 투명한 부재로 이루어진 폴(51)과, 폴(51)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55)와, 폴(51)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기구(65)와, 폴(51)의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기구(70)와, 상기 회전구동기구(15) 및 누름 버튼(19)과, 폴(51)의 상단부 및 지지기구(55)의 일부를 덮는 상부 커버체(76)와, 폴(51)의 하단부, 지지기구(55)의 일부 및 회전구동기구(15)를 덮는 하부 커버체(77)를 구비한다.
상기 폴(51)은 그 양단부 사이에 좌우로 휘어 구부러지도록 형성된 만곡부(51a)를 구비하고 이 만곡부(51a)를 제외한 부분의 축선이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폴(51)은 베이스(5)의 상면 및 상부 부재(6)의 하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폴(51)의 하단부에는 중공의 밀폐부재(52)가 마련되어 있고 이 밀폐부재(52)는 폴(51)의 하단부 외주면과 베이스(5)의 상면에 각각 접속되어 폴(51)의 하단부와 베이스(5)와의 사이에 폐쇄공간을 형성하고 이에 의해 폴(51)의 하단부를 밀폐시키고 있다. 또한, 폴(51)의 내부 및 상기 폐쇄공간 내에는 액체(L)가 충전되어 있다.
또한, 폴(51) 및 액체(L)의 색은 유희자(Y)나 유희장치(2)의 주변에 있는 사람들을 시각적으로 즐겁게 할 수 있다면 어떠한 색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폴(51)은 기포(K)가 흐르는 모습을 외부에서 볼 수 있다면 투명하지 않고 반투명한 것으로 구성하는 등 어떠한 것을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폴(51)의 외주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장식을 꾸미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폴(51)의 상단 개구부에는 통기성을 갖는 부재가 마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지지기구(55)는 상부 부재(6)의 하면에 배치되어 폴(51)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체(56)와, 베이스(5)의 상면에 배치되어 폴(51)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체(59)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지지체(56)는 축선이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 축받이(57)와, 상부 부재(6)의 하면에 배치되고 축받이(57)을 지지하는 중공의 축받이 지지부재(58)로 이루어지고 축받이(57)에 의해 폴(51)이 이 축받이(57)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폴(51)의 상단부를 지지한다. 상기 축받이 지지부재(58)에는 그 외주면에서 내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공(58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지지체(59)는 축선이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 축받이(60)와, 베이스(5)의 상면 및 밀폐부재(52)의 외면에 배치되어 축받이(60)를 지지하는 중공의 축받이 지지부재(61)로 이루어지고 축받이(60)에 의해 폴(51)이 이 축받이(60)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폴(51)의 하단부를 지지한다.
상기 회전구동기구(15)는 제2 기어(18)가 폴(51)의 하단부측 외주면에 마련되어 있고 폴(51)을 축받이(57, 60)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공기공급기구(65)는 베이스(5) 위에 배치된 에어펌프(66)와, 일단이 에어펌프(66)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폐쇄공간 내에 접속되어 폴(51) 하단부의 하측에 배치된 공급관(67)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공기공급기구(65)에서는 에어펌프(66)에 의해 공급관(67)을 통해 상기 폐쇄공간 내로 공기가 공급되면 공급된 공기가 기포(K)로 되어 폐쇄공간 내부 및 폴(51) 내부의 액체(L) 안을 상승한다.
또한, 폴(51)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폴(51)의 내부를 상승한 다음, 축받이 지지부재(58)의 관통공(58a) 및 상부 커버체(76)의 관통공(76a)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또한, 에어펌프(66)에 의한 상기 폐쇄공간 내로의 공기 공급은 연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도 주기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조명기구(70)는 폴(51)을 그 하측으로부터 조명하는 제1 광원(71)과 폴(51)을 그 상측으로부터 조명하는 제2 광원(72)으로 이루어지고 제1 광원(71)은 상기 폐쇄공간 내의 베이스(5) 상에 배치되고 제2 광원(72)은 폴(51)의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상부 부재(6)의 하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 조명기구(70)에서는 제1 광원(71) 및 제2 광원(72)으로부터의 빛에 의해 폴(51)의 내부가 조명된다.
또한, 광원(71, 72)으로서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나 백열전구, 형광등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광원(71, 72)으로부터의 빛의 색은 유희자(Y)나 유희장치(2)의 주변에 있는 사람들을 시각적으로 즐겁게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색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상부 커버체(76)는 상부지지체(56)를 하측으로부터 덮어 유희자(Y)가 다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부 커버체(76)에는 폴(51)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관통공(76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커버체(77)는 하부지지체(59), 회전구동기구(15) 및 공기공급기구(65)를 상측으로부터 덮어 유희자(Y)가 다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하부 커버체(77)에는 폴(51)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관통공(77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5)의 상면이나 하부 커버체(77)의 외면은 도시하지 않은 충격흡수재에 의해 덮여져 있어 이에 의해서도 유희자(Y)가 다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 유희부(80)는 폴(51)과는 다른 형상의 폴(81)이 마련되어 있는 점, 상기 회전구동기구(39) 및 누름 버튼(43)이 마련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제1 유희부(50)와 상이하다. 이 폴(81)은 원형관 형상의 투명한 부재로 이루어지고 축선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희부(50)와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희장치(2)에 의하면 회전구동기구(15, 39)에 의해 폴(51, 81)이 축선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또한 공기공급기구(65)에 의해 상기 폐쇄공간 내로 공급된 공기가 기포(K)로 되어 폴(51, 81) 내부의 액체(L) 안을 상승하고 또한 조명기구(70)로부터의 빛에 의해 폴(51, 81)의 내부가 조명된다. 그리고 유희자(Y)는 이러한 폴(51, 81)을 손발을 사용하여 오르내림으로써 놀 수 있다.
따라서, 이 유희장치(2)에 의하면 유희자(Y)는 액체(L) 안을 하단부측에서 상단부측을 향하여 기포(K)가 흐르는 모습을 보면서 폴(51, 81)을 오르내릴 수 있으므로 유희자(Y)가 더욱 즐겁게 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유희장치(2)의 주변에 있는 어린이들에게 기포(K)가 흐르는 모습을 보여주어 이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시켜 이 유희장치(2)에서 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명기구(70)로부터의 빛에 의해 폴(51, 81)의 내부를 조명함으로써 일루미네이션 효과나 라이트업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유희자(Y) 및 이 유희장치(2) 주변에 있는 사람들을 즐겁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명으로 꾸며진 폴(51, 81)이나 라이트업 된 폴(51, 81)을 본, 이 유희장치(2)의 주변에 있는 어린이들에게 흥미를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효과 이외에도 상술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폴(11, 31, 51, 81)의 형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형상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폴(11, 51)에는 만곡부(11a, 51a) 대신에 굴곡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폴(11)은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측이 젖혀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폴(51)에 대해서도 동일한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굴곡부를 마련하거나 상단측을 젖혀지도록 하는 경우에도 폴(11, 51) 자체에 변화를 주어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폴(11)의 경우 폴(11)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부재(13)는 생략된다.
또한, 폴(11, 31, 51, 81)의 지지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상단부 혹은 하단부만을 지지하거나 상단부 및 하단부 모두를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5)의 상면이나 상기 커버체(20)의 외면, 상기 하부 커버체(45)의 외면, 상기 하부 커버체(77)의 외면을 덮는 충격흡수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에어, 스프링, 고무, 스펀지 등을 이용한 쿠션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원(33, 71, 72)의 배치 위치는 장식체(32)의 내부나 폴(51, 81)의 내부를 조명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희자가 보다 변화가 풍부한 놀이를 할 수 있고 유희자를 보다 즐겁게 놀도록 할 수 있으며 어린이들의 흥미를 보다 강하게 끌 수 있는 유희장치로서 적합하다.
Claims (9)
- 미리 설정된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기립상태로 배치되어 유희자가 오르내리는 폴과,상기 폴의 상단부 혹은 하단부 또는 양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서, 상기 폴의 단부를 지지하는 축받이를 가지며 이 축받이에 의해 상기 폴이 이 축받이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과,상기 폴을 상기 축받이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폴은 그 양단부 사이에 만곡부 또는 굴곡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폴은 그 외주면에 장식이 꾸며져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폴은 관 형상의 부재인 동시에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부재로 구성되 고,상기 폴의 내부에는 빛이 상기 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투과되도록 상기 폴의 내부를 조명하는 광원이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폴은 하단부가 밀폐된 관 형상의 부재인 동시에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부재로 구성되고 내부에 액체가 충전되어 이루어지고,상기 폴의 하단부에는 이 폴의 내부에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수단이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빛이 상기 폴의 내측에서부터 외측으로 투과되도록 상기 폴의 내부를 조명하는 광원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장치.
- 관 형상의 부재인 동시에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부재로 구성되고 축선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유희자가 오르내리는 폴과,관 형상의 부재인 동시에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폴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주면에 장식이 꾸며진 장식체와,빛이 상기 장식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투과되도록 상기 장식체의 내면을 조명하는 광원과,상기 폴 및 장식체의 상단부 혹은 하단부 또는 양단부를 각각 지지함과 동시에 이 폴 및 장식체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과,상기 폴 및 장식체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폴은 그 외주면에 장식이 꾸며져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장치.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폴의 하단부측의 주변영역에 마련된 쿠션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6243983 | 2006-09-08 | ||
JPJP-P-2006-243983 | 2006-09-0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73126A true KR20090073126A (ko) | 2009-07-02 |
Family
ID=39157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7006536A KR20090073126A (ko) | 2006-09-08 | 2007-09-05 | 유희장치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20100179029A1 (ko) |
EP (1) | EP2072099A4 (ko) |
JP (1) | JPWO2008029826A1 (ko) |
KR (1) | KR20090073126A (ko) |
CN (1) | CN101511437B (ko) |
AU (1) | AU2007292156A1 (ko) |
CA (1) | CA2662672A1 (ko) |
HK (1) | HK1132952A1 (ko) |
WO (1) | WO200802982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726768B2 (ja) * | 2006-08-24 | 2011-07-20 | ビーエルデーオリエンタル株式会社 | 遊戯装置 |
EP2606940B1 (en) * | 2010-08-19 | 2015-04-01 | Bld Oriental Co., Ltd. | Play equipment |
WO2012147120A1 (ja) * | 2011-04-25 | 2012-11-01 | ビーエルデーオリエンタル株式会社 | 遊戯装置 |
ITMI20131511A1 (it) * | 2013-09-12 | 2015-03-13 | Corinna Capotondi | Attrezzatura multifunzione per la ginnastica acrobatica, fitness e spettacolo |
US9732956B2 (en) | 2015-02-25 | 2017-08-15 | Neil William Benedict | Illuminated slackline |
PL3115085T3 (pl) * | 2015-07-10 | 2024-01-29 | Kompan A/S | System fitness, układ zestawu fitness i funkcjonalne elementy fitness |
US10493351B2 (en) * | 2016-04-04 | 2019-12-03 | Flicker Pole L.L.C. | Illuminated rotating dance pole |
US9999795B1 (en) * | 2016-12-15 | 2018-06-19 | Katarzyna Lucja Jarosz | Motorized rotatable exercise pole |
US20190066573A1 (en) * | 2017-08-28 | 2019-02-28 | Spencer I. Hochberg | Load-bearing interactive pole video display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50662U (ko) * | 1985-09-17 | 1987-03-28 | ||
US4676764A (en) * | 1985-12-23 | 1987-06-30 | Michael & Park's Trading And Sales, Inc. | Dancing doll with hip movement and 180° rotation |
GB2214834A (en) * | 1988-07-30 | 1989-07-26 | Takara Co Ltd | Movable decoration |
GB2222656A (en) * | 1988-09-29 | 1990-03-14 | Takara Co Ltd | Rotating drive device |
JPH02143996U (ko) * | 1989-05-11 | 1990-12-06 | ||
JPH02302288A (ja) * | 1989-05-16 | 1990-12-14 | Sakuraya:Kk | 音感知作動のフラワー玩具 |
US4970810A (en) * | 1989-07-03 | 1990-11-20 | Liou Ming T | Electronic flower set with intermittent movement |
US5628713A (en) * | 1992-03-05 | 1997-05-13 | Wilkinson; Willian T. | Multi purpose exercise poles with many optional attachments |
JPH1133136A (ja) | 1997-07-15 | 1999-02-09 | Masusetsuto Kk | 登り降り運動遊具 |
US6261186B1 (en) * | 1998-07-24 | 2001-07-17 | Nbgs International, Inc. | Water amusement system and method |
CN2376978Y (zh) * | 1999-06-21 | 2000-05-10 | 李国威 | 气泡摆饰器 |
US7202613B2 (en) * | 2001-05-30 | 2007-04-10 | Color Kinetics Incorporated | Controlled lighting methods and apparatus |
EP2203032A3 (en) * | 2002-02-06 | 2010-11-03 | Philips Solid-State Lighting Solutions, Inc. | Controlled lighting methods and apparatus |
JP2005052267A (ja) * | 2003-07-31 | 2005-03-03 | Bunka Kikakushitsu:Kk | 気泡発生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水槽 |
JP4526258B2 (ja) * | 2003-10-31 | 2010-08-18 | ビーエルデーオリエンタル株式会社 | 遊戯装置 |
JP4316353B2 (ja) * | 2003-10-31 | 2009-08-19 | Bldオリエンタル株式会社 | 遊戯装置 |
JP2005312636A (ja) * | 2004-04-28 | 2005-11-10 | Hiroshi Otani | 葬祭用灯明具 |
EP1698383A1 (en) | 2005-03-02 | 2006-09-06 | BLD Oriental, Ltd. | Play apparatus |
JP3114382U (ja) * | 2005-07-04 | 2005-10-27 | 誠 青木 | 装飾装置および観賞魚飼育水槽 |
US20070293372A1 (en) * | 2006-06-16 | 2007-12-20 | Kessler Cary C | Illuminated dancing pole and method therefor |
-
2007
- 2007-09-05 CN CN2007800332626A patent/CN101511437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9-05 EP EP07828191A patent/EP2072099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7-09-05 KR KR1020097006536A patent/KR2009007312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7-09-05 CA CA002662672A patent/CA266267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7-09-05 JP JP2008533176A patent/JPWO2008029826A1/ja active Pending
- 2007-09-05 WO PCT/JP2007/067263 patent/WO200802982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7-09-05 AU AU2007292156A patent/AU200729215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7-09-05 US US12/440,410 patent/US2010017902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9
- 2009-11-05 HK HK09110303.2A patent/HK1132952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HK1132952A1 (en) | 2010-03-12 |
US20100179029A1 (en) | 2010-07-15 |
CN101511437A (zh) | 2009-08-19 |
CN101511437B (zh) | 2012-09-05 |
EP2072099A1 (en) | 2009-06-24 |
WO2008029826A1 (fr) | 2008-03-13 |
CA2662672A1 (en) | 2008-03-13 |
JPWO2008029826A1 (ja) | 2010-01-21 |
EP2072099A4 (en) | 2009-09-23 |
AU2007292156A1 (en) | 2008-03-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90073126A (ko) | 유희장치 | |
KR101401178B1 (ko) | 유희장치 | |
US6540579B1 (en) | Convertible activity toy | |
KR100701055B1 (ko) | 점프 유희구 | |
US3104104A (en) | Jumping, exercise, and play device | |
US20070087656A1 (en) | Tavi wheel | |
US20090093183A1 (en) | Novelty light-up and action toy | |
US5588939A (en) | Exercise bike with amusement features | |
US6994605B2 (en) | Vibratory amusement device for producing concentric illuminated rings | |
AU2011253673B2 (en) | Amusement Device | |
KR101436502B1 (ko) | 기포 발생 기능을 구비한 인테리어 장식 장치 | |
US20070238386A1 (en) | Light Emitting Bubble Creation Device | |
RU202139U1 (ru) | Юла | |
CN214181773U (zh) | 以舞狮为主题的游乐设施 | |
CN217593822U (zh) | 一种跳绳机玩具 | |
CN218952920U (zh) | 一种飞艇形互动娱乐装置 | |
JP2008264459A (ja) | 発光遊戯具 | |
KR200189013Y1 (ko) | 승용놀이구의 놀이장치 | |
KR200253420Y1 (ko) | 풍선 놀이 기구 | |
CN2699964Y (zh) | 足球台的可闪光人偶 | |
KR200187640Y1 (ko) | 손 풍차 놀이기구 | |
JPH06105962A (ja) | 水槽玩具 | |
JP2005348964A (ja) | 遊技機用表示装置 | |
JP2011005289A (ja) | 遊戯装置 | |
JP2011072801A (ja) | 遊戯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