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773B1 - 스피닝 릴의 릴 본체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릴 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773B1
KR101396773B1 KR1020070128232A KR20070128232A KR101396773B1 KR 101396773 B1 KR101396773 B1 KR 101396773B1 KR 1020070128232 A KR1020070128232 A KR 1020070128232A KR 20070128232 A KR20070128232 A KR 20070128232A KR 101396773 B1 KR101396773 B1 KR 101396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reel
reel body
fixing means
b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8185A (ko
Inventor
케이고 키타지마
히로카즈 히라오카
신고 마츠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44914A external-priority patent/JP480433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44913A external-priority patent/JP480433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80058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8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스피닝 릴(spinning reel)의 릴 본체에 있어서, 고정 부재의 후부로의 노출을 억제하여 커버 부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스피닝 릴의 릴 본체(2)는 릴 보디(2a)와 덮개 부재(2b)와 본체 가드(26)와 보지(保持) 부재(27)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보디는, 측부가 개구(開口)하는 수납 공간(RA)과, 수납 공간에 연통(連通)하는 제1 삽통(揷通) 구멍(2q)과, 제1 삽통 구멍과 역측(逆側)에 배치되고 수납 공간에 연통하는 제2 삽통 구멍(2j)을 가진다. 덮개 부재는 수납 공간을 막기 위하여 릴 보디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체 가드는, 릴 보디 및 덮개 부재를 덮도록 후방(後方)으로부터 장착되고, 릴 보디의 후부로부터 제1 삽통 구멍을 통하여 수납 공간 내로 향하여 돌출하는 보스부를 가지고 있다. 보지 부재는, 수납 공간 내에서 릴 보디에 이동 불가능하게 설치되고, 수납 공간에 있어서 보스부의 전단부(前端部)에 고정되는 제1 나사 부재(28)를 보지한다.
스피닝 릴, 릴 본체, 릴 보디, 덮개 부재, 본체 가드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릴 본체{REEL UNIT OF SPINNING REEL}
본 발명은, 릴 본체, 특히, 낚싯대에 장착되고, 전방(前方)으로 낚싯줄을 방출 가능한 스피닝 릴(spinning reel)의 릴 본체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은, 릴 본체와, 릴 본체의 전부(前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와, 로터에 의하여 낚싯줄이 외주면(外周面)에 감기는 스풀(spool)을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는, 내부에 측부가 개구(開口)하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릴 보디와, 릴 보디의 개구를 막기 위하여 릴 보디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 부재를 가지고 있다. 종래의 릴 본체는, 덮개부를 케이스부의 복수 개소에 비스(프 vis, 작은 수나사) 등의 나사 부재를 끼워 넣는 것에 의하여 덮개부가 케이스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나사 부재에 의하여 덮개부를 케이스부에 고정하면, 나사 부재의 머리부를 수납하는 오목부가 외관에 나타나기 때문에, 고급감이 있는 외관을 얻기 어렵다. 또한, 오목부에 먹이나 쓰레기 등의 이물이 부착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나사 부재가 외관에 나타나지 않는 릴 본체를 가지는 스피닝 릴이 종래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스피닝 릴의 릴 본체는, 릴 보디와 덮개 부재를 가지고 있고, 릴 보디 및 덮개 부재의 전부는 로터 내에 배치되고, 전부에 배치된 나사 부재에 의하여 덮개 부재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릴 보디 및 덮개 부재의 후부는 커버 부재에 의하여 덮여 있다. 이 커버 부재는 릴 본체의 전부로부터 삽입된 2개의 나사 부재(고정 부재의 일례)로 릴 보디에 고정되어 있다. 커버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는, 릴 본체의 좌우에 1개씩 배치되고 스풀축을 따라 전후로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릴 본체에서는, 커버 부재를 로터측으로부터 삽입한 고정 부재에 의하여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커버 부재를 장착하여도 릴 본체의 후부에 나사 부재가 노출하지 않는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공평6-21336호 공보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릴 본체의 후부에 고정 부재가 노출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릴의 외관의 의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릴 본체를 스풀축을 따라 관통하는, 길이가 긴 2개의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커버 부재를 릴 본체에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수납 공간 내를 곧게 통하여 고정 부재를 커버 부재에 끼워 넣는 것이 어려워, 커버 부재의 고정을 용이하게 행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있어서, 고정 부재의 후부로의 노출을 억제하여 커버 부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는, 낚싯대에 장착되고 전방으로 낚싯줄을 방출 가능한 릴 본체이고, 릴 보디와 덮개 부재와 커버 부재와 중간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보디는, 측부가 개구하는 수납 공간과, 수납 공간에 연통(連通)하는 제1 삽통부(揷通部)와, 제1 삽통부와 역측(逆側)에 배치되고 수납 공간에 연통하는 제2 삽통부를 가지는 것이다. 덮개 부재는, 수납 공간을 막기 위하여 릴 보디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재이다. 커버 부재는, 릴 보디 및 덮개 부재를 덮도록 후방(後方)으로부터 장착되는 부재이고, 릴 보디의 후부로부터 제1 삽통부를 통하여 수납 공간 내로 향하여 돌출하는 보스부를 가지고 있다. 중간 부재는 수납 공간 내에서 릴 보디 및 덮개 부재의 어느 일방(一方)에 이동 불가능하게 설치되고, 수납 공간에 있어서 보스부의 전단부(前端部)를 고정하는데 이용되는 부재이다.
이 릴 본체에서는, 커버 부재를 릴 보디(또는 덮개 부재)에 고정할 때에는, 커버 부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제1 삽통부를 통하여 보스부를 수납 공간의 내부에 배치한다. 그리고 수납 공간 내에 릴 보디 또는 덮개 부재에 이동 불가능하게 설치된 중간 부재에, 보스부의 전단부를 고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커버 부재가 릴 보디(또는 덮개 부재)에 고정된다. 여기에서는, 릴 보디(또는 덮개 부재)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한 중간 부재에 보스부의 전단부를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커버 부재를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커버 부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릴 본체의 후부에 나사 부재가 노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는, 발명 1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보스부의 전단부를 고정하는 제1 고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중간 부재는 제1 고정 수단을 보지(保持)하는 보지 부재이다.
이 릴 본체에서는, 커버 부재를 릴 보디(또는 덮개 부재)에 고정할 때에는, 보지 부재에 제1 고정 수단을 미리 보지시켜 둔다. 그리고 커버 부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보스부를 제1 삽통부를 통하여 수납 공간의 내부에 배치한다. 보스부가 수납 공간 내에 배치되도록 커버 부재를 장착하면, 릴 보디의 외부로부터 드라이버나 육각 렌치 등의 공구를 제2 삽통부에 삽통하고, 보지 부재에 보지된 제1 고정 수단에 회전 등의 운동을 부여하는 것에 의하여 보스부의 전단부를 보지 부재에 고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커버 부재가 릴 보디(또는 덮개 부재)에 고정된다. 여기에서는, 릴 보디(또는 덮개 부재)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한 보지 부재에 보지된 제1 고정 수단을 외부로부터 공구에 의하여 운동시켜 보스부의 전단부를 보지 부재에 고 정하는 것에 의하여 커버 부재를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고정 수단으로 나사 부재를 이용하여도 길이가 짧은 나사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커버 부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릴 본체의 후부에 나사 부재가 노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는, 발명 2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릴 보디는 제2 삽통부를 폐색(閉塞) 가능한 폐색 부재를 더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제2 삽통부를 설치하여도 릴 보디의 밀폐성을 높일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는, 발명 2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제1 고정 수단은, 머리부와, 머리부보다 소경(小徑)으로 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부(外周部)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축부를 가지는 나사 부재이고, 보스부는 선단부(先端部)에 나사 부재의 수나사부가 나사 감합(嵌合)하는 암나사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나사 부재의 머리부가 릴 본체의 후부에 노출하지 않는다.
발명 5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는, 발명 4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나사 부재는 태핑(tapping) 나사이고, 암나사부는 태핑 나사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에는, 암나사부를 미리 나사 가공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공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발명 6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는, 발명 2 내지 5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보지 부재는 릴 보디와 별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릴 보디나 보지 부재를 단순한 형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들을 형성하기 쉽다.
발명 7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는, 발명 6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릴 보디는 수납 공간의 내부에 형성된 제1 피계지부(被係止部)를 가지고, 보지 부재는 릴 보디에 대하여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하여 제1 피계지부에 계지 가능한 제1 계지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계지하는 것만으로 보지 부재를 릴 보디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이 간소화한다.
발명 8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는, 발명 2 내지 5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보지 부재는 릴 보디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보지 부재를 릴 보디에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지 부재의 구성이 간소화한다.
발명 9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는, 발명 4 또는 5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보지 부재는 나사 부재의 축부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나사 부재를 보지 부재의 관통 구멍으로 보지할 수 있다.
발명 10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는, 발명 9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보지 부재는 나사 부재의 머리부를 수용 가능한 머리부 수용부를 더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나사 부재의 머리부가 머리부 수용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커버 부재의 고정 전에 나사 부재가 탈락하기 어렵다.
발명 11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는, 발명 1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중간 부재의 전단부를 릴 보디에 고정하는 제2 고정 수단과, 중간 부재의 후 단부(後端部)에 보스부를 고정하는 제3 고정 수단을 더 구비한다.
이 릴 본체에서는, 커버 부재를 릴 보디에 고정할 때에는, 예를 들어, 제3 고정 수단에 의하여 중간 부재의 후단부를 커버 부재의 보스부에 고정한 상태(또는, 제2 고정 수단에 의하여 중간 부재의 전단부를 릴 보디에 고정한 상태)로, 커버 부재를 릴 보디 및 덮개 부재의 후방으로부터 장착하고, 제2 고정 수단에 의하여 중간 부재의 전단부를 릴 보디에(또는, 제3 고정 수단에 의하여 중간 부재의 후단부를 커버 부재의 보스부에) 고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커버 부재가 릴 보디에 고정된다. 여기에서는, 커버 부재와 릴 보디의 사이에 중간 부재를 설치하고, 미리 중간 부재를 커버 부재(또는 릴 보디)에 고정한 상태에서, 중간 부재를 릴 보디(또는 커버 부재)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고정 수단으로 나사 부재를 이용하여도 길이가 짧은 나사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커버 부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제2 고정 수단을 릴 보디의 전방으로부터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릴 본체의 후부에 나사 부재가 노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발명 12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는, 발명 11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중간 부재의 전단부는 전방으로부터 삽입된 제2 고정 수단에 의하여 릴 보디에 고정된다. 이 경우에는, 제2 고정 수단이 릴 보디의 전방으로부터 삽입되기 때문에, 릴 본체의 후부에 제2 고정 수단이 노출하지 않는다.
발명 13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는, 발명 12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제2 고정 수단은, 머리부와, 머리부보다 소경으로 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축부를 가지는 나사 부재이고, 중간 부재는 나사 부재의 수나사 부가 나사 감합하는 암나사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나사 부재의 머리부가 릴 본체의 후부에 노출하지 않는다.
발명 14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는, 발명 11 내지 13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제3 고정 수단은, 머리부와, 머리부보다 소경으로 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축부를 가지는 나사 부재이고, 중간 부재의 후단부는 나사 부재의 축부가 삽통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보스부는 선단부에 나사 부재의 수나사부가 나사 감합하는 암나사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제3 고정 수단도 나사 부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3 고정 수단의 구성이 간소해진다.
발명 15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는, 발명 13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나사 부재는 태핑 나사이고, 암나사부는 태핑 나사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에는, 암나사부를 미리 나사 가공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공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발명 16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는, 발명 11 내지 13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제3 고정 수단은 중간 부재의 후단부에 설치된 제2 계지부를 가지고, 보스부는 제2 계지부에 계지되는 제2 피계지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공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중간 부재에 커버 부재를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발명 17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는, 발명 16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제3 고정 수단은 보스부의 제2 피계지부에 중간 부재의 제2 계지부를 탄성 계지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한다. 이 경우에는, 탄성 계지에 의하여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반복하여 고정, 고정 해제할 수 있다.
발명 18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는, 발명 16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제2 고정 수단의 고정 상태에 따라, 제3 고정 수단의 계지 상태와 계지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계지 상태 전환부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제2 고정 수단의 고정 상태에 따라 제3 고정 수단을 계지 상태와 계지 전환 상태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커버 부재의 착탈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릴 보디(또는 덮개 부재)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한 중간 부재에 보스부의 전단부를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커버 부재를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커버 부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릴 본체의 후부에 나사 부재가 노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발명에 의하면, 릴 보디(또는 덮개 부재)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한 보지 부재에 보지된 제1 고정 수단을 외부로부터 공구에 의하여 운동시켜 보스부의 전단부를 보지 부재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커버 부재를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고정 수단으로 나사 부재를 이용하여도 길이가 짧은 나사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커버 부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릴 본체의 후부에 나사 부재가 노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발명에 의하면, 커버 부재와 릴 보디의 사이에 중간 부재를 설치하고, 미리 중간 부재를 커버 부재(또는 릴 보디)에 고정한 상태에서 중간 부재를 릴 보디(또는 커버 부재)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고정 수단으로 나사 부재를 이용하여도 길이가 짧은 나사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커버 부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제2 고정 수단을 릴 보디의 전방으로부터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릴 본체의 후부에 나사 부재가 노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과, 핸들(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로터(3)는 릴 본체(2)의 전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낚싯줄을 외주면에 감아내는 것이고, 로터(3)의 전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핸들(1)은 릴 본체(2)의 좌우 어느 쪽에도 장착 가능하다.
<릴 본체의 구성>
릴 본체(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부가 개구하는 수납 공간(RA)을 내부에 가지는 릴 보디(2a)와, 릴 보디(2a)의 수납 공간(RA)을 막기 위하여 릴 보디(2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 부재(2b, 도 3)를 가지고 있다. 또한, 릴 본체(2)는, 릴 보디(2a) 및 덮개 부재(2b)의 후부를 덮는 본체 가드(커버 부재의 일례, 26)와, 수납 공간(RA)에 릴 보디(2a)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설치되고, 수납 공간(RA)에 있어서 본체 가드(26)의 전단부에 고정되는 제1 나사 부 재(28, 제1 고정 수단의 일례)를 보지하는 보지 부재(중간 부재의 일례, 27)를 가지고 있다.
릴 보디(2a)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경합금제의 것이고, 상부에 전후로 연장되는 T자형의 장대 취부 다리(2c)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릴 보디(2a)의 수납 공간(RA) 내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 구동 기구(5)와 오실레이팅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릴 보디(2a)의 후부에는, 제1 삽통 구멍(제1 삽통부의 일례, 2q)이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릴 보디(2a)의 전단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형의 플랜지부(2d)를 구성하는 대체로 반원형(半圓形)의 제1 플랜지(2d1)와, 플랜지부(2d)보다 소경으로 선단이 개구하는 원통부(2e)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플랜지(2d1)의 상부에는, 본체 가드(26)를 고정하는 제1 나사 부재(28)를 돌리기 위한 공구를 수납 공간(RA)에 삽통 가능한 제2 삽통 구멍(제2 삽통부의 일례, 2j)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삽통 구멍(2j)은 제1 삽통 구멍(2q)과 역측의, 대향한 위치에 동심(同芯)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삽통 구멍(2j)은 로터(3)에 의하여 덮이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나사 부재(28)에 의하여 본체 가드(26)를 고정한 후에, 제2 삽통 구멍(2j)은, 예를 들어 탄성체제의 캡(폐색 부재의 일례, 39)에 의하여 막혀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나사 부재(28)는, 머리부(28a)와, 머리부(28a)보다 소경으로 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부에 수나사부(28c)가 형성된 축부(28b)를 가지는 부재이다. 제2 삽통 구멍(2j)은, 예를 들어, 제1 나사 부재(28)의 머리부(28a)에 계합(係合)하는 드라이버나 육각 렌치(wrench)의 축 부분이 삽통 가능한 내경(內徑)을 가지고 있다. 원통부(2e)의 플랜지부(2d) 측의 기단부(基端部)에는, 단면이 원형상으로 노치(notch)된 장착 홈(2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 홈(2f)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베일 암(44)을 줄 개방 자세로 하였을 때에 로터(3)를 제동 가능한 로터 제동 기구(57)의 탄성체제의 제동 부재(58)가 장착되어 있다.
덮개 부재(2b)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경합금제의 것이다. 덮개 부재(2b)는, 예를 들어, 로터(3)로 가려지는 전측의 2개소에서 고정 볼트(80)에 의하여 릴 보디(2a)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덮개 부재(2b)는, 로터(3)로부터 이반하는 후측의 1개소에서 고정 볼트(82)에 의하여 릴 보디(2a)에 고정되어 있다. 덧붙여, 고정 볼트(82)는 본체 가드(26)에 의하여 커버되는 위치에서 덮개 부재(2b)를 릴 보디(2a)에 고정한다.
덮개 부재(2b)의 전단에는, 제1 플랜지(2d1)와 원형의 플랜지부(2d)를 구성하는 대체로 반원형의 제2 플랜지(2d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플랜지(2d2)의 전면(前面)에는, 고정 볼트(80)가 관통하는 판상부(板狀部, 2i)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판상부(2i)는, 덮개 부재(2b)의 전부를 릴 보디(2a)에 고정 볼트(80)에 의하여 나사 멈춤 고정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판상부(2i)는 실(seal) 부재(25)를 장착하기 위한, 대체로 C자상의 실 장착부(2h)의 외측(外側)에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판상부(2i)는 상하로 긴 판상의 부분이며, 그 양단에 고정 볼트(80)가 관통하는 한쌍의 관통 구멍(2k)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2k) 형성 부분의 사이는, 관통 구멍(2k) 형성 부분보다 돌출량이 작게 되어 있다. 즉, 판상부(2i)는 양 단이 대략 반원형으로 같은 두께로 돌출하고, 그 사이가 관통 구멍(2k)의 중심 위치보다 약간 후방으로 움푹 들어가도록 제2 플랜지(2d2)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실 부재(25)는 합성 수지제의 C자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덮개 부재(2b)와 릴 보디(2a)의 플랜지 분할 부분을 실 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릴 보디(2a)와 덮개 부재(2b)의 분할 부분에는 후술하는 전환 부재(56)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원통부(2e)의 장착 홈(2f) 형성 부분에는 판상부(2i)가 배치되는 오목부(2g)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2g)에는, 제동 부재(58)가 움푹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 부재(81)가 장착된다. 오목부(2g)는, 판상부(2i)의 윤곽을 따르도록 움푹 들어가 형성되어 있고, 상하 방향의 양 단부가 중간 부분보다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대략 반원형으로 움푹 들어가 있다. 판상부(2i)는 2개의 고정 볼트(80)에 의하여 릴 보디(2a)의 오목부(2g)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오목부(2g)에는 고정 볼트(80)가 나사 감합하는 나사 구멍(2m)이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본체 가드(26)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보디(2a) 및 덮개 부재(2b)를 덮도록 후방으로부터 장착된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 가드(26)는, 형태 맞춤을 위한 패킹(26b)을 통하여 장대 취부 다리(2c)를 포함하는 릴 보디(2a) 및 덮개 부재(2b)의 후부에 형성된 오목부(2n)에 장착된다. 본체 가드(26)는 제1 나사 부재(28)에 의하여 나사 멈춤 고정되는 봉상(棒狀)의 보스부(26a)를 가지고 있다. 보스부(26a)는 릴 보디(2a)의 후부로부터 제1 삽통 구멍(2q)을 관통하여 수 납 공간(RA) 내로 향하여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26a)의 선단은, 릴 보디(2a)의 후부를 관통하여 보지 부재(27)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돌출하여 있다. 보스부(26a)의 선단은, 제1 나사 부재(28)에 의하여 보지 부재(27)의 후단부에 나사 멈춤 고정된다. 이 때문에, 보스부(26a)의 선단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나사 구멍(26d)이 미리 형성되어 있다. 본체 가드(26)는 보지 부재(27)가 릴 보디(2a)에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보지 부재(27)에 제1 나사 부재(28)에 의하여 나사 멈춤 고정됨으로써 릴 보디(2a)에 고정된다.
보지 부재(27)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筒狀)의 보지부 본체(27a)와, 보지부 본체(27a)의 외주면으로부터 외방(外方)으로 돌출하는 규제부(27b)와, 보지부 본체(27a)의 외주면의 규제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계지부(제1 계지부의 일례, 27c)를 가지고 있다. 보지부 본체(27a)의 내주면(內周面)에는, 제1 나사 부재(28)의 머리부(28a)를 수용 가능한 원형의 머리부 수용부(27d)와, 머리부 수용부(27d)보다 소경의 관통 구멍(27e)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머리부 수용부(27d) 및 관통 구멍(27e)은, 보지 부재(27)가 릴 보디(2a)에 장착된 상태로, 제1 및 제2 삽통 구멍(2q, 2j)과 동심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가드(26)가 장착된 상태로 보스부(26a)의 전단면과 보지 부재(27)의 후단면의 사이에는 작은 간극(間隙)(예를 들어, 1mm ~ 5mm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나사 부재(28)에 의하여 본체 가드(26)를 릴 보디(2a)에 장착하였을 때에, 오목부(2n)에 본체 가드(26)의 주연부(周緣部)가 접촉한 상태로, 본체 가드(26)가 간극의 분만큼 한층 더 릴 보디(2a) 측으로 끌려, 패 킹(26b)을 통하여 약간 탄성 변형하여 릴 보디(2a)에 간극없이 장착된다.
머리부 수용부(27d)는, 제1 나사 부재(28)의 머리부(28a)를 수용 가능하게 머리부(28a)에 대하여 작은 간극으로 감합하는 내경을 가지고 있다. 관통 구멍(27e)은 제1 나사 부재(28)의 축부(28b)를 보지 가능하도록 축부(28b)의 최대 직경과 같거나 약간 작은 내경을 가지고 있다. 규제부(27b)는 보지부 본체(27a)의 외주면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로부터 대체로 직사각형상으로 돌출하여 있다. 규제부(27b)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보디(2a)의 측벽면에 형성된 단차부(2s)와 덮개 부재(2b)의 단면에 의하여 협지(挾持, 사이에 끼운 상태로 지지함)되고, 스풀축(15)과 엇갈리는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계지부(27c)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상으로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있고, 제1 나사 부재(28)의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계지부(27c)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보디(2a)의 측벽에 형성된 피계지부(제1 피계지부의 일례, 2t)에 계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보지 부재(27)를 수납 공간(RA)에 릴 보디(2a)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덧붙여, 제1 나사 부재(28)는, 도 6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의 조립 시에는, 제1 나사 부재(28)의 축부(28b)가 관통 구멍(27e)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축부(28b)의 선단이 관통 구멍(27e)에 보지되어 있다.
이 릴 본체(2)에서는, 릴 보디(2a)에 덮개 부재(2b)를 고정하는 고정 볼트(82)가 본체 가드(26)에 의하여 커버되고, 고정 볼트(80)가 로터(3)에 의하여 커버되기 때문에, 볼트류가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는다. 또한, 본체 가드(26)를 장착 하기 위한 제1 나사 부재(28)도 캡(39)에 의하여 덮여 있다. 이 때문에, 모든 나사 부재가 외부에 노출하지 않는, 산뜻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나사 부재(28)를 보지하는 보지 부재(27)를 수납 공간(RA) 내에 릴 보디(2a)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배치하고, 보지된 제1 나사 부재(28)를 외부로부터 공구에 의하여 보스부(26a)의 전단부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본체 가드(26)를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길이가 짧은 제1 나사 부재(28)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체 가드(26)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릴 본체(2)의 후부에 제1 나사 부재(28)가 노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스피닝 릴의 그 외의 구성>
로터 구동 기구(5)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이 고정된 마스터 기어축(10)과 함께 회전하는 페이스 기어(11)와, 이 페이스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피니언 기어(12)의 전부는 로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너트(13)에 의하여 로터(3)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12)는 그 축 방향의 중간부와 후단부가 각각 베어링(14a, 14b)을 통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페이스 기어(11)는 마스터 기어축(10)과 일체 또는 별체(이 실시예에서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마스터 기어축(10)의 양단 외주면에는, 핸들(1)의 핸들축(1a)의 외주측에 배치된 축날개 부재(1b)를 인롱(印籠) 결합하기 위한 결합웅부(10a)가 다른 부분보다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날개 부재(1b)의 단부 내주면에는, 결합웅부(10a)의 외주면에 감합하는 결합자 부(1c)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축날개 부재(1b)가 마스터 기어축(10)과 동심으로 배치되고, 축날개 부재(1b)의 덜컹거림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4)의 중심부에 드랙 기구(60)를 통하여 연결된 스풀축(15)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을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축(15)의 하방에 평행하게 배치된 나축(螺軸, 21)과, 나축(2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22)와, 나축(21)의 선단에 고정된 중간 기어(23)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22)에는 스풀축(15)의 후단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중간 기어(23)는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려 있다.
로터(3)는, 도 2,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에 대하여 전후 방향의 제1 축(X) 둘레에 회전 가능한 로터 본체(7)와, 로터 본체(7)의 후부를 덮는 후(後) 커버 부재(33)와, 제1 및 제2 로터 암(31, 32)의 외측면을 각별하게 덮는 한쌍의 외측 커버 부재(34a, 34b)를 가지고 있다.
로터 본체(7)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이나 알루미늄 합금제 등의 경합금제이고, 피니언 기어(12)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며, 릴 본체(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로터 본체(7)는, 릴 본체(2)의 전부인 원통부(2e)를 내부에 배치 가능하도록 후부에 형성된 요함부(凹陷部, 30a)를 가지는 통부(30)와, 통부(30)의 후부의 대향하는 위치에 접속되고 통부(30)와 간격을 두고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로터 암(31, 32)을 가지고 있다.
통부(30)는 전부 내주측에 원판상(圓板狀)의 벽부(30d)를 가지고, 벽부(30d) 의 중심부에는 피니언 기어(12)와 일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환상(環狀) 보스부(30e)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스부(30e)의 중심에 피니언 기어(12)의 전부가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고, 피니언 기어(12)의 선단에 끼워 넣어진 너트(13)에 의하여 로터 본체(7)가 피니언 기어(1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로터(3)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 본체(7)에 설치되고, 요함부(30a)보다 직경 방향 외방에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제1 축(X)과 평행하게 배치된 통상의 보스부(30b, 30c)와, 한쌍의 보스부(30b, 30c)에 보스부(30b, 30c)의 돌출 방향(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돌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로터(3)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계지되는 브래킷(bracket, 34c, 34d)과, 후 커버 부재(33)를 로터 본체(7)에 고정하는 고정 볼트(35a, 35b)를 더 가지고 있다. 보스부(30b, 30c)는, 로터 본체(7)의 배면(背面)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34c, 34d)은 한쌍의 외측 커버 부재(34a, 34b)에 설치되고, 내측(內側)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고정 볼트(35a, 35b)는, 보스부(30b, 30c)에 끼워 넣어지고, 브래킷(34c, 34d)이 한쌍의 보스부(30b, 30c)에 계지된 상태로 후 커버 부재(33)를 로터 본체(7)에 연결한다.
후 커버 부재(33)는 요함부(30a)의 주위에서 로터 본체(7)의 후부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후 커버 부재(33)에는 고정 볼트(35a, 35b)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33a, 33b)이 보스부(30b, 30c)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고정 볼트(35a, 35b)는 제1 축(X)과 평행한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관통 구멍(33a, 33b)도 같은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관통 구멍(33a, 33b)은 고정 볼트(35a, 35b)의 머리부가 수납되는 단차부(33c, 33d)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고정 볼트(35a, 35b)의 머리부가 후방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또한, 후 커버 부재(33)에는 릴 본체(2)의 플랜지부(2d)와 0.5 ~ 1.5mm정도의 작은 간극을 두고 배치되는 원형의 개구(33e)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커버 부재(34a)는 제1 로터 암(31)의 외방을 덮는 것이고, 제1 로터 암(31)에 끼워 넣어지는 고정 볼트(36)에 의하여 제1 로터 암(31)에 연결되어 있다. 외측 커버 부재(34a)는 후 커버 부재(33) 및 제1 로터 암(31)과 삼차원적인 곡선으로 접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약간이라도 전후 방향으로 벗어나면 제1 로터 암(31) 및 후 커버 부재(33)의 사이에서 단차가 생길 우려가 있다. 외측 커버 부재(34a)에 설치된 브래킷(34c)은 대체로 직사각형의 판상부이고, 기단측은 복수의 리브(34e)에 의하여 보강되어 있다. 브래킷(34c)의 선단측에는 보스부(30b)가 관통하여 계합하는 관통 구멍(34g)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브래킷(34c)이 보스부(30b)의 돌출 방향(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돌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로터(3)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도록 보스부(30b)에 계지된다. 외측 커버 부재(34a)의 선단부는, 후술하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를 배치 가능하도록 대체로 반원형으로 노치된다.
외측 커버 부재(34b)는 제2 로터 암(32)의 외방을 덮는 것이고, 고정 볼트(37) 및 그것에 나사 감합하는 너트 부재(38)에 의하여 제2 로터 암(32)에 고정된다. 외측 커버 부재(34b)도 후 커버 부재(33) 및 제2 로터 암(32)과 삼차원적인 곡선으로 접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약간이라도 전후 방향으로 벗어나면 제2 로터 암(32) 및 후 커버 부재(33)의 사이에서 단차가 생긴다. 외측 커버 부재(34b)에 설치된 브래킷(34d)은 대체로 브래킷(34c)과 같은 직사각형의 판상부이고, 기단측은 복수의 리브(34f)에 의하여 보강되어 있다. 브래킷(34d)의 선단측에는 보스부(30c)가 관통하여 계합하는 관통 구멍(34h)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브래킷(34d)도 보스부(30c)의 돌출 방향(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돌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로터(3)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도록 보스부(30c)에 계지된다. 외측 커버 부재(34b)의 선단에는, 고정 볼트(37)에 나사 감합하는 너트 부재(38)를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하는 계지 구멍(34i)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볼트(37)는 외측 커버 부재(34b)를 로터 본체(7)에 고정하는 것과 함께, 후술하는 제2 베일 지지 부재(42)를 요동(搖動, 흔들려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브래킷(34c, 34d)에 보스부(30b, 30c)를 관통시켜, 외측 커버 부재(34a, 34b)의 직경 방향의 이동만을 규제하고 전후 방향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하여, 후 커버 부재(33)를 포함시켜 로터 본체(7)에 고정할 때에 각 커버 부재(33, 34a, 34b)와의 사이나 각 커버 부재(33, 34a, 34b)와 로터 본체(7)의 단차를, 가공 정도(精度)를 올리는 일 없이 가급적으로 줄일 수 있다.
즉, 베일 반전(反轉) 기구(53) 등을 수납한 상태로 로터(3)를 조립할 때에, 보스부(30b, 30c)를 브래킷(34c, 34d)의 관통 구멍(34g, 34h)에 삽통하여 브래킷(34c, 34d)을 보스부(30b, 30c)에 계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외측 커버 부재(34a, 34b)를 로터 본체(7)에 장착하고, 다음으로 후 커버 부재(33)를 로터 본체의 후방 으로부터 장착한다. 그리고 외측 커버 부재(34a, 34b)를 로터 본체(7)에 고정 볼트(36, 37)에 의하여 로터 본체(7)와의 단차가 가급적으로 작아지도록 전후로 이동시켜 최적인 위치에 고정한다. 이어서, 고정 볼트(35a, 35b)를 관통 구멍(33a, 33b)을 삽통시켜 보스부(30b, 30c)에 끼워 넣는 것에 의하여 후 커버 부재(33)를 로터 본체(7)에 고정한다. 이때, 외측 커버 부재(34a, 34b)나 로터 본체(7)의 사이에 단차가 생긴 경우, 고정 볼트(36, 37)를 약간 느슨하게 하여 외측 커버 부재(34a, 34b)의 전후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내측으로 연장되는 브래킷(34c, 34d)에 보스부(30b, 30c)를 계지하여 고정 볼트(35a, 35b)에 의하여 후 커버 부재(33) 및 외측 커버 부재(34a, 34b)를 로터 본체(7)에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외측 커버 부재(34a, 34b)의 각부(角部)의 근방에 관통 구멍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 때문에, 로터 본체(7)에 외측 커버 부재(34a, 34b)를 고정하여도 파단(破斷)하기 어렵고 한편 이물이 부착하기 어려워진다.
제1 로터 암(31)의 선단의 외주측에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선단에는 낚싯줄을 스풀(4)로 안내하기 위한 라인 롤러(4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2 로터 암(32)의 선단 내주측에는 제2 베일 지지 부재(42)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라인 롤러(41)와 제2 베일 지지 부재(42)의 사이에는 선재(線材)를 대략 U상(狀)으로 만곡(彎曲)시킨 형상의 베일(43)이 고정되어 있다. 이들의 제1 베일 지지 부재(40), 제2 베일 지지 부재(42), 라인 롤러(41) 및 베일(43)에 의하여 낚싯 줄을 스풀(4)로 안내하는 베일 암(44)이 구성된다. 베일 암(44)은, 도 2에 도시하는 줄 안내 자세와 그것으로부터 반전한 줄 개방 자세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다.
로터(3)의 통부(3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역전(逆轉)을 금지·해제하기 위한 역전 방지 기구(50)가 배치되어 있다. 역전 방지 기구(50)는, 내륜(內輪)이 아이들링(idling)하는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51)와, 원웨이 클러치(51)를 작동 상태(역전 금지 상태)와 비작동 상태(역전 허가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기구(52)를 가지고 있다. 전환 기구(52)는, 릴 보디(2a)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전환 레버(52a)를 가지고 있다. 전환 레버(52a)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레버(52a)의 기단부를 관통하는 요동축(52b)에 고정 볼트(52c)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요동축(52b)의 선단에는 도시하지 않는 회전 캠이 고정되어 있고, 전환 레버(52a)를 요동시키면, 캠에 의하여 원웨이 클러치(51)가 작동 상태와 비작동 상태로 전환된다. 이 고정 볼트(52c)는, 덮개 부재(2b)로 가려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고정 볼트(52c)가 외부에 노출하지 않도록 되어 눈에 띄지 않게 된다.
외측 커버 부재(34b)의 내부에는, 핸들(1)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베일 암(44)을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감기 자세로 되돌리는 베일 반전 기구(53)가 수납되어 있다. 베일 반전 기구(53)는, 베일 암(44)을 줄 개방 자세와 줄 감기 자세로 사점(死點)을 사이에 두고 압박하는 토글(toggle) 용수철 기구(54)와, 베일 암(44)의 요동에 연동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55)와, 전술한 전환 부재(56)를 구비하고 있다. 토글 용수철 기구(54) 및 이동 부재(55)는, 선단 이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하면(下面)에 계지되어 있다. 이동 부재(55)의 후단은 로터(3)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면 전환 부재(56)에 접촉하여 얹혀 전방으로 이동하여, 베일 암(44)을 줄 감기 자세로 되돌린다. 또한, 이동 부재(55)는 로터 제동 기구(57)도 구성하고 있고, 줄 개방 자세 시에 전술한 제동 부재(58)에 계합하여 로터(3)가 돌지 않도록 제동한다. 제동 부재(58)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 부재(55)의 선단이 계합하는 다수의 오목부(58a)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환상의 탄성 부재이고, 장착 홈(2f)에 마찰 계합하고 있다.
스풀(4)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제1 로터 암(31)과 제2 로터 암(3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스풀축(15)의 선단에 드랙 기구(60)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권사(卷絲) 몸통부(4a)와, 권사 몸통부(4a)의 후방에 권사 몸통부(4a)와 일체 형성된 통상의 스커트부(4b)와, 권사 몸통부(4a)의 전단에 설치된 대경(大徑)의 플랜지부(4c)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4c)는, 권사 몸통부(4a)와 일체 형성된 내(內) 플랜지부(4d)와, 내 플랜지부(4d)의 외주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예를 들어 경질 세라믹제의 링상의 외(外) 플랜지부(4e)를 가지고 있다. 외 플랜지부(4e)는 플랜지 고정 부재(9)에 의하여 내 플랜지부(4d)에 고정되어 있다.
권사 몸통부(4a), 스커트부(4b) 및 내 플랜지부(4d)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을 단조하여 얻어진 대소 2단의 원통상의 부재이며, 제1 베어링(45) 및 제2 베어링(46)에 의하여 스풀축(1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권사 몸통부(4a)는, 낚싯줄이 감기는 통상부(16)와, 통상부(16) 내주측에 형성된 단붙이 원판부(17)와, 내주측의 전후에 형성된 바닥이 있는 통상의 지지부(18a, 18b)를 가지고 있다. 통상부(16)의 전부에는, 플랜지 고정 부재(9)가 끼워 넣어지는 나사부(16a)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8a, 18b)의 내측에는 제1 베어링(45) 및 제2 베어링(46)이 장착되어 있고, 제1 베어링(45) 및 제2 베어링(46)은 통상의 보지 부재(47)를 통하여 스풀축(15)에 장착되어 있다. 권사 몸통부(4a)의 후방에는, 스풀(4)과 스풀축(15)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발음하는 발음 기구(90)가 설치되어 있다.
스풀(4)은, 지지부(18b)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발음 기구(90)가 장착되는 환상의 취부 부재(20)를 더 가지고 있다. 취부 부재(20)는 스풀축(15)과 동심으로 배치되는 합성 수지제의 환상 부재이며, 선단에 원판부(17)의 후면(後面)에 접촉하는 내 플랜지부(20a)를 가지고 있다. 내 플랜지부(20a)의 내주부는 지지부(18b)의 외주면에 감합하고 있다. 지지부(18b)의 외주면에는 취부 부재(20)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O링(19)이 장착되어 있다. O링(19)은 지지부(18b)에 형성된 환상의 취부 홈(18d)에 장착되어 있다. 취부 홈(18d)의 구석쪽의 벽부는, 취부 부재(20)의 내 플랜지부(20a)의 바로 앞쪽의 벽면보다 구석쪽에 배치되어 있다. O링(19)은 취부 부재(20)의 내 플랜지부(20a)의 후면에 탄성 변형한 상태로 접촉하고 있다. 또한, 지지부(18b)의 외주면에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호상(圓弧狀)의 계지 파임(18c)이 둘레 방향으로 다른 간격을 두고 복수(예를 들어 3개) 형성되어 있다. 취부 부재(20)의 내 플랜지부(20a)의 내주면에는, 계지 파임(18c)에 계합하는 원호 상의 계지 돌기(20b)가 둘레 방향으로 다른 간격을 두고 복수(예를 들어 3개)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 파임(18c)에 계지 돌기(20b)를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취부 부재(20)를 지지부(18b)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회전 멈춤 및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보지 부재(47)는, 후단부가 와셔(washer, 24)를 통하여 발음 기구(90)에 당접(當接, 부딪는 상태로 접함)하고 원판부(17)에 의하여 후방으로 압압(押壓)되는 통상의 부재이다. 보지 부재(47)는, 스풀축(15)을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암나사부(15a)에 나사 감합하는 육각구멍붙이 멈춤 나사 등의 핀 부재(48)에 의하여 스풀축(15)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드랙 기구(60)는 스풀(4)의 회전을 제동하는 것이고, 스풀축(15)의 선단에 나사 감합하는 드랙 조정 손잡이(조작 손잡이의 일례, 61)와, 드랙 조정 손잡이(61)에 의하여 압압되어 스풀(4)을 제동하는 제동부(62)를 가지고 있다.
드랙 조정 손잡이(61)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축(15)에 나사 감합하는 원형의 손잡이 부재(63)와, 손잡이 부재(63)에 고정된 손잡이 금구(65)와, 손잡이 부재(63)와 상대 회전 가능하고 손잡이 부재(63)에 의하여 압압되는 압압 부재(64)를 가지고 있다.
손잡이 부재(63)는 중앙부에 직경 방향을 따라 슬릿(66a)이 형성되고, 슬릿(66a) 형성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도 10 좌방향)으로 돌출하는 손잡이 조작부(66b)를 가지는 손잡이 커버(66)와, 손잡이 커버(66)가 고정되고 스풀축(15)에 나사 감합하는 손잡이 본체(67)를 가지고 있다.
손잡이 커버(66)는 손잡이 본체(67)에 2개의 고정 나사(68)에 의하여 고정된다. 손잡이 커버(66)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고, 손잡이 본체(67)의 전면의 일부를 덮어 드랙 조정 손잡이(61)에 의장상의 변화를 요구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 커버(66)는 손잡이 조작부(66b)의 주위에서 손잡이 본체(67)를 노출시키도록 대략 삼각형상(三角形狀)으로 개구하고 있다. 손잡이 커버(66)는, 손잡이 본체(67)의 외주면 및 전면의 외주측을 덮는 커버부(66c)와, 손잡이 조작부(66b)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둥근 봉상의 한쌍의 보스(66d)를 더 가지고 있다. 이 한쌍의 보스(66d)에 고정 나사(68)가 끼워 넣어져 손잡이 본체(67)에 손잡이 커버(66)가 고정된다. 손잡이 커버(66)의 손잡이 조작부(66b)는 선단면이 원호상으로 돌출하여 있고, 그 중심 위치에 스풀축(15)의 직경 방향을 따라 형성된 손잡이 금구(65) 장착용의 슬릿(66a)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66a)의 저부(底部)에는, 손잡이 금구(65)의 후술하는 다리부(65b)가 관통하는 직사각형의 관통 구멍(66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 커버(66)의 개구에 의한 두께가 얇은 부분에는, 두께가 얇은 부분의 휘어짐이나 부상(浮上)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쌍의 계지 돌기(66f)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계지 돌기(66f)는 손잡이 본체(67)의 배면에 계지된다.
손잡이 본체(67)는 드랙 조정 손잡이(61)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다. 손잡이 본체(67)는, 손잡이 커버(66)에 의하여 덮이는 원판부(67a)와, 원판부(67a)의 후부에 일체 형성된 통상부(67b)와, 통상부(67b)의 내부에 장착된 너트 부재(70)를 가지고 있다. 원판부(67a)는, 전면에 손잡이 조작부(66b)의 후방에 배치되는 돌기부(67c)와, 손잡이 커버(66)의 커버부(66c)의 개구 로부터 노출하는 노출부(67d)를 가지고 있다. 돌기부(67c)에는 보스(66d)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67e)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67e)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긴 직경의 양단이 전방으로 갈수록 퍼지도록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때문에, 손잡이 커버(66)의 부상 방지를 위한 계지 돌기(66f)를 계지하기 위하여, 손잡이 커버(66)를 비스듬히 기울여도 보스(66d)를 관통시키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손잡이 커버(66)에 부상 방지용의 계지 돌기를 설치하여도, 손잡이 커버(66)의 장착·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노출부(67d)는 손잡이 조작부(66b)의 주위가 노출부(67d)의 주연부보다 원호상으로 움푹 들어가 있다. 이것에 의하여, 손잡이 조작부(66b)를 보다 조작하기 쉬워진다.
통상부(67b)에는 압압 부재(64)를 수납하는 원형의 수납 공간(67f)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 부재(63)와 압압 부재(64)의 사이에는 드랙 조정 손잡이(61)의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 함) 조작에 의하여 발음하는 손잡이 발음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너트 부재(70)는 스풀축(15)의 선단에 형성된 수나사부(15b)에 나사 감합하는 것이고, 통상부(67b)의 내부에 일체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너트 부재(70)와 압압 부재(64)의 사이에는 드랙력 조정용의 코일 용수철(71)이 압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손잡이 금구(65)는 드랙 조정 손잡이(61)의 선단부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과 함께, 손잡이 조작부(66b)의 보강을 위하여 설치된 것이고, 예를 들어, 표면이 양극 산화 처리된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 판재제의 부재이다. 손잡이 금구(65)의 두께는 1.2 ~ 1.8mm정도의 균일한 두께이다. 손잡이 금구(65)는 전면(도 10 좌측면)이 손잡이 커버(66)의 손잡이 조작부(66b)를 따라 원호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손잡이 금구(65)는, 슬릿(66a)에 배치되는 금구 본체(65a)와, 금구 본체(65a)의 후면으로부터 손잡이 부재(63)의 내부로 연장되는 한쌍의 다리부(65b)를 가지고 있다. 금구 본체(65a)의 전면은 손잡이 커버(66)의 손잡이 조작부(66b)로부터 약간 돌출하여 있다. 그러나 금구 본체(65a)의 전면의 곡률이 도중에 변화하고, 금구 본체(65a)의 전면의 슬릿(66a)의 배치 방향의 양 단부는, 손잡이 조작부(66b)보다 약간 움푹 들어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손잡이 금구(65)가 슬릿(66a)의 양단에서 돌출하지 않게 되어, 낚싯줄이 손잡이 금구(65)에 걸리기 어려워진다. 손잡이 금구(65)는, 관통 구멍(66e)에 다리부(65b)를 관통시키고 그 관통한 선단을 소성(塑性) 변형시키는 것에 의하여, 손잡이 커버(66)에 코킹(caulking) 고정된다.
이와 같은 금속제의 손잡이 금구(65)를 슬릿(66a)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손잡이 조작부(66b)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손잡이 조작부(66b)의 두께를 가급적으로 얇게 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손잡이 금구를 손잡이 조작부(66b)의 표면보다 돌출시키고 있기 때문에, 손잡이 조작부(66b)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 조작부(66b)의 두께가 종래는 7mm ~ 9mm정도였던 것이, 본 실시예에서는 6mm정도의 두께가 된다.
또한, 손잡이 부재(63)를 손잡이 커버(66)와 손잡이 본체(67)로 나누는 것에 의하여, 손잡이 커버(66)에 손잡이 금구(65)를 장착하면 되기 때문에, 손잡이 금구(65)를 장착하기 쉬워진다. 또한, 2개의 부재 66, 67에 의하여 합성 수지로도 특 성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면 등에 접촉하기 쉬운 커버 부재를 ABS 수지 등의 비교적 충격에 강한 것으로 하고, 기능을 구성하는 손잡이 본체를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비교적 정도나 강도를 유지하기 쉬운 것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낙하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면서 정도·강도가 충분한 손잡이 부재(63)를 제공할 수 있다.
압압 부재(64)는 테두리부(64a)와 원통부(64b)를 가지는 테두리붙이 원통상의,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상의 부재이다. 압압 부재(64)의 테두리부(64a)는 수납 공간(67f)에 배치되어 있다. 테두리부(64a)는 수납 공간(67f)의 환상 홈(67g)에 장착된 빠짐 방지 용수철(72)에 의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고 또한 빠짐 방지된 상태로 손잡이 본체(67)에 연결되어 있다. 원통부(64b)에는 코일 용수철(71)이 당접하는 원형의 용수철 수납부(64c)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64b)의 외주면에는 제동부(62)로의 액체의 침입을 방지하는 실 부재(73)가 장착되어 있다. 실 부재(73)는 E형 스냅 링(snap ring, 74)에 의하여 빠짐 방지되고, 플랜지 고정 부재(9)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접촉하고 있다.
제동부(62)는 권사 몸통부(4a)의 내부에 수납된 복수(예를 들어 2매)의 드랙 와셔(62a, 62b)를 가지고 있다. 드랙 와셔(62a)는 압압 부재(64)에 접촉하여 압압된다. 드랙 와셔(62a)는, 예를 들어 금속제의 원판상의 부재이고, 스풀축(15)의 선단부에 형성된 서로 평행한 모따기부(15c)에 계합하여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다. 드랙 와셔(62b)는, 예를 들어, 그라파이트나 펠트제의 디스크 부재이며, 스풀(4) 및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드랙 와셔(62a, 62b)는 권사 몸통부(4a)의 내부에 장착된 빠짐 방지 용수철(75)에 의하여 빠짐 방지되어 있다.
발음 기구(90)는, 도 10,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축(15)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고 발음용의 요철부(凹凸部, 91a)를 외주면에 가지는 발음 부재(91)와, 스풀(4)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풀(4)이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요철부(91a)에 당접을 반복하여 발음하는 타격 부재(92)와, 타격 부재(92)를 발음 부재(91)를 향하게 하여 압박하는 압박 부재(93)를 구비하고 있다.
발음 부재(91)는, 스풀축(15)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원판 부재(95)와, 원판 부재(95)의 외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환상 부재(96)와, 원판 부재(95)와 환상 부재(96)의 사이에 배치되고 환상 부재(96)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 부재(97)를 구비하고 있다.
원판 부재(95)는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모따기부(15c)와 원형 부분의 단차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스풀축(15)에 장착된 금속제의 링 부재이다. 원판 부재(95)는, 외주의 일부가 노치된 노치부(95a)와, 내주측에 비원형으로 형성된 비원형 구멍(95b)을 가지고 있다. 노치부(95a)에는 회전 규제 부재(97)의 계지부(97a)가 계지되어 있다. 비원형 구멍(95b)은 스풀축(15)의 모따기부(15c)에 삽통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모따기부(15c)의 후단부에 당접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원판 부재(95)가 스풀축(15)에 대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원판 부재(95)와 보지 부재(47)의 후단의 사이에는 환상의 간좌(間座, spacer) 부재(94, 도 10)가 개장(介裝, 부재 간에 설치함)되어 있고, 원판 부재(95)의 스풀축 방향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드랙 기구(60)에 의하여 원판부(17)가 후방으로 압압되어도, 스풀(4) 전체를 원판 부재(95)로 받칠 수 있다.
환상 부재(96)는 내주부에 후방으로부터 원판 부재(95)가 장착되는 통상의 래칫 휠(ratchet wheel)이다. 환상 부재(96)는, 통부 외주면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스풀(4)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만을 허용할 수 있도록 톱니상으로 형성된 요철부(91a)로서의 복수의 톱니부(96a)와, 내주면 후단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회전 규제 부재(97)가 장착되는 홈부(96b)와, 홈부(96b)의 전측에 있어서 내주면 중앙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내측에 환상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원판 부재(95)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돌출부(96c)를 가지고 있다. 환상 부재(96)의 통부 내주측은 제2 베어링(46)과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즉 환상 부재(96)의 내경은 제2 베어링(46)의 외경(外徑)보다 크도록 되어 있다.
타격 부재(92)는, 선단에 설치된 멈춤쇠부(92a)와, 기단에 설치되고 멈춤쇠부(92a)가 요철부(91a)에 접리(接離) 가능하도록 취부 부재(20)에 스풀축(15)과 평행한 축 둘레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92b)를 가지는 갈고리상의 멈춤쇠 부재이다. 타격 부재(92)는, 장착부(92b)에 있어서, 취부 부재(20)의 후단면에 형성된 암나사부(20c)에 끼워 넣어지는 볼트 형태의 요동축(98)에 의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취부 부재(20)의 후단면에는, 타격 부재(92)에 접촉하여 타격 부재(92)의 직경 방향 내방(內方)으로의 과도한 요동을 규제하는 스토퍼(20d)와, 압박 부재(93)의 일단(一端)이 계지되는 계지 돌기(20e)가, 암나사부(20c)를 사이에 두고 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압박 부재(93)는, 멈춤쇠부(92a)가 요철부(91a, 톱니부(96a))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타격 부재(92)를 압박하는 부재이다. 압박 부재(93)는, 요동축(98)의 외주측에 권회(卷回) 가능한 코일부(93a)와, 코일부(93a)의 일단으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타격 부재(92)에 계지되는 제1 계지부(93b)와, 제1 계지부(93b)와 요동축(98)을 사이에 두고 역측에 설치되고 코일부(93a)의 타단(他端)으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계지부(93c)를 가지는 뒤틀림 코일 용수철이다. 제1 계지부(93b)는 멈춤쇠부(92a)의 직경 방향 외방에서 타격 부재(92)에 계지된다. 제2 계지부(93c)는 취부 부재(20)에 설치된 계지 돌기(20e)에 계지된다.
회전 규제 부재(97)는, 환상 부재(96)를 향하여 압박한 상태로 후방으로부터 원판 부재(95)를 빠짐 방지하기 위하여 환상 부재(96)의 홈부(96b)에 장착되고 대략 6각형상으로 꺾인 금속제의 용수철 부재이다. 회전 규제 부재(97)는 외주부의 각 정점이 홈부(96b)의 내주부에 압박력을 가지고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회전 규제 부재(97)의 단부의 일방은, 한층 더 축 방향 전측으로 꺾이고, 원판 부재(95)의 노치부(95a)에 계지되는 계지부(97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회전 규제 부재(97)는, 계지부(97a)가 스풀축(15)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원판 부재(95)에 계지되고, 외주부가 환상 부재(96)를 향하여 압박된 상태로 환상 부재(96)의 홈부(96b)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축(15)에 대한 환상 부재(96)의 회전을 규제하여 회전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발음 기구(90)에서는, 스풀(4)이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멈춤쇠부(92a)가, 톱니부(96a) 각도가 완만한 면으로의 당접을 반복하여 발음 기구(90)가 발음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풀(4)이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면, 멈춤쇠부(92a)가, 고각도의 면에 당접하고, 회전 규제 부재(97)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환상 부재(96)를 압압하여 원판 부재(95)에 대하여 상대 회전시킨다. 이 때문에, 스풀(4)이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면 발음하지 않는다.
또한, 요동축(98)을 사이에 두고 압박 부재(93)의 2개의 계지부(93b, 93c)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의 직경 방향으로 2개의 계지부(93b, 93c)가 일렬로 배열되지 않게 되어, 발음 기구(90)의 직경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비교적 직경이 작은 스풀이어도 발음 기구(90)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릴의 조작 및 동작>
캐스팅(casting) 시에는 베일 암(44)을 줄 개방 자세로 반전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베일 지지 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2)는 요동한다. 이 상태에서 낚싯대를 잡는 손의 집게 손가락으로 낚싯줄을 걸면서 낚싯대를 캐스팅한다. 그러면 낚싯줄은 채비의 무게에 의하여 힘차게 방출된다. 채비가 착수(着水)한 후 핸들(1)을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터 구동 기구(5)에 의하여 로터(3)가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고, 베일 암(44)이 베일 반전 기구(53)에 의하여 줄 감기 자세로 복귀하여, 로터(3)의 역전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낚싯줄의 방출이 멈춘다.
낚싯줄을 감아낼 때에는, 핸들(1)을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 면, 그 회전이 페이스 기어(11), 피니언 기어(12)를 통하여 로터(3)로 전달되어 로터(3)가 회전한다. 로터(3)가 회전하면, 라인 롤러(41)로 안내된 낚싯줄이 스풀(4)에 감긴다.
또한, 드랙이 작동하여 스풀이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멈춤쇠부(92a)가, 톱니부(96a) 각도가 완만한 면으로의 당접을 반복하여 발음 기구(90)가 발음한다.
나아가, 로터(3)에 있어서, 한쌍의 외측 커버 부재(34a, 34b)에 브래킷(34c, 34d)을 설치하고, 이 브래킷(34c, 34d)을 후 커버 부재(33)에 설치된 보스부(30b, 30c)에 돌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돌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계지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후 커버 부재(33)나 로터 본체(7)와 외측 커버 부재(34a, 34b)에 어긋남이 생겨도 외측 커버 부재(34a, 34b)의 돌출 방향(제1 축(X)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여 어긋남을 가급적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커버 부재(33, 34a, 34b)의 비용의 증대를 초래하는 일 없이, 커버 부재(33, 34a, 34b)의 의장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릴 본체의 조립 순서>
이와 같은 구성의 스피닝 릴에서는, 릴 본체(2) 내에 로터 구동 기구(5)나 오실레이팅 기구(6)를 장착하는 것과 함께, 원통부(2e) 내에 역전 방지 기구(50)를 장착한다. 또한, 보지 부재(27)의 계지부(27c)를 피계지부(2t)에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릴 보디(2a)에 장착한다. 이 장착 전에, 보지 부재(27)의 내부에 제1 나사 부재(28)를 삽입하고, 관통 구멍(27e)에서 제1 나사 부재(28)의 축부(28b)의 선단 을 도 6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위치로 유지하여 둔다. 이 상태에서 덮개 부재(2b)를 릴 보디(2a)에 씌워 고정 볼트(80, 82)에 의하여 릴 보디(2a)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릴 보디(2a) 및 덮개 부재(2b)의 후방으로부터 본체 가드(26)를 장착한다. 그리고 드라이버나 육각 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제1 나사 부재(28)를 압압하면서 나사 구멍(26d)에 끼워 넣고, 보지 부재(27)를 통하여 본체 가드(26)를 릴 보디(2a)에 고정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 가드(26)의 보스부(26a)의 전단면과 보지 부재(27)의 후단면의 사이에 작은 간극이 있기 때문에, 제1 나사 부재(28)를 조여 가면, 본체 가드(26)의 주연부가 오목부(2n)의 가장자리에 접촉하여도, 본체 가드(26)를 릴 보디(2a) 측으로 끌어 당길 수 있어, 본체 가드(26)가 패킹(26b)을 통하여 약간 탄성 변형하여 릴 보디(2a)에 간극없이 장착된다. 이들의 작업이 끝나면, 제2 삽통 구멍(2j)에 캡(39)을 장착하여 제2 삽통 구멍(2j)을 커버한다. 이것에 의하여, 릴 본체(2)의 조립 작업이 완료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나사 부재(28)를 보지하는 보지 부재(27)를 릴 보디(2a)와 별체로 하고, 보지 부재(27)를 수납 공간(RA) 내에 릴 보디(2a)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보지된 제1 나사 부재(28)를 외부로부터 공구에 의하여 보스부(26a)의 전단부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본체 가드(26)를 고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길이가 짧은 제1 나사 부재(28)를 이용할 수 있어, 본체 가드(26)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릴 본체(2)의 후부에 제1 나사 부재(28)가 노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의한 릴 본체(102)의 보지 부재(127)는 릴 보디(102a)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나사 부재(128)로서 끼워 넣을 때에 암나사부를 형성 가능한 태핑 나사를 이용하고 있다.
도 7에 있어서, 보지 부재(127)는, 릴 보디(102a)의 예를 들어 상부 또는 측벽과 일체 형성된 판상의 부재이다. 보지 부재(127)에는, 제1 및 제2 삽통 구멍(102q, 102j)과 동심으로, 머리부 수용부(127d) 및 관통 구멍(127e)이 형성되어 있다. 머리부 수용부(127d)에는 나사 부재(128)의 머리부(128a)를 수용 가능하고, 관통 구멍(127e)에는 나사 부재(128)의 축부(128b)가 보지 가능하다.
본체 가드(126)의 보스부(126a)의 전단면에는, 나사 부재(128)에 의하여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나사 구멍(126d)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2 실시예에서도, 제1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이 경우, 보지 부재(127)를 릴 보디(102a)에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지 부재(127)의 구성이 간소화한다.
<제1 및 제2 실시예의 변형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정 부재로서 나사 부재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고정 부재는 나사 부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선단에 꺽이는 갈고리부를 가지는 고정 부재로서의 계지 부재를 보지 부재에 미리 장착하고, 보스부에 갈고리부에 계지되는 피계지 홈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며, 이 경우, 계지 부재의 전단면에 공구를 계지 가능한 십자나 육각형의 오목부를 형성하면 된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체 가드가 장대 취부 다리(2c)도 커버하고 있지 만, 본 발명의 본체 가드는, 릴 보디나 덮개 부재를 덮도록 후방으로부터 장착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릴 보디와 덮개 부재만을 커버하는 것이어도 무방하고, 그들을 따로 따로 커버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보지 부재를 릴 보디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설치하였지만, 덮개 부재에 이동 불가능하게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삽통 구멍(2q)과 제2 삽통 구멍(2j)이 동심으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었지만, 동심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삽통부를 제1 및 제2 삽통 구멍(2q, 2j)으로 구성하였지만, 제1 및 제2 삽통부는 구멍이 아니라 노치 등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f)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 삽통 구멍(2j)을 캡(39)으로 막고 있지만, 캡(39)를 이용하지 않고, 제동 부재(58)나 역전 방지 기구(50)의 원웨이 클러치(51) 등의 릴에 이용되는 다른 부품으로 제2 삽통 구멍(2j)를 막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제3 실시예>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중간 부재인 보지 부재(27, 127)는 제1 나사 부재(28)를 보지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다. 제3 실시예에서는, 중간 부재는 본체 가드를 릴 본체에 고정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보디(302a)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경합금제의 것이고, 상부에 전후 로 연장되는 T자형의 장대 취부 다리(302c)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릴 보디(302a)의 수납 공간(RA) 내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로터 구동 기구와 오실레이팅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릴 보디(302a)의 전단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도시하지 않는 원형의 플랜지부를 구성하는 대체로 반원형의 제1 플랜지(302d1)와, 플랜지부보다 소경으로 선단이 개구하는 원통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플랜지(302d1)의 상부에는, 본체 가드(326)를 고정하는 제2 나사 부재(제2 고정 수단의 일례, 328)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멍(제2 삽통부의 일례, 302j)이 개구하고 있다. 이 장착 구멍(302j)은 제2 나사 부재(328)에 의하여 본체 가드(326)을 장착한 후에 캡(339)에 의하여 막혀 있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나사 부재(328)는, 머리부(328a)와, 머리부(328a)보다 소경으로 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부에 수나사부(328c)가 형성된 축부(328b)를 가지는 부재이다. 제3 실시예에서는, 암나사부를 형성 가능한 태핑 나사를 이용하고 있지만 통상의 볼트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장착 구멍(302j)에는, 축부(328b)가 통과 가능한 소경의 통과 구멍(302p)이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302e)의 플랜지부 측의 기단부에는, 단면이 원형상으로 노치된 장착 홈(302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 홈(302f)에는 탄성체제의 제동 부재(58)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릴 보디(302a)의 후부에 있어서, 장착 구멍(302j)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중간 부재(327)가 통과 가능한 통과 구멍(302q)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2b)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경합금제의 것이다.
본체 가드(326)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릴 보디(302a) 및 덮개 부재(2b)를 덮도록 후방으로부터 장착된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 가드(326)는 형태 맞춤을 위한 패킹을 통하여 장대 취부 다리(302c)를 포함하는 릴 보디(302a) 및 덮개 부재의 후부에 형성된 오목부(302n)에 장착된다. 본체 가드(326)는 중간 부재(327)가 나사 멈춤 고정되는 봉상의 보스부(326a)를 가지고 있다. 보스부(326a)는 릴 보디(302a)의 후부로부터 통과 구멍(302q)을 관통하여 수납 공간(RA) 내로 향하여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326a)의 선단은, 릴 보디(302a)의 후부를 관통하여 중간 부재(327)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돌출하여 있다. 보스부(326a)의 선단에는, 제3 나사 부재(제3 고정 수단의 일례, 329)에 의하여 중간 부재(327)의 후단부가 나사 멈춤 고정된다. 이 제3 실시예에서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나사 부재(329)는 제2 나사 부재(328)와 마찬가지로, 머리부(329a)와, 머리부(329a)보다 소경으로 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부에 수나사부(329c)가 형성된 축부(329b)를 가지는 부재이다. 또한, 제2 나사 부재(328)와 마찬가지로 암나사부를 형성 가능한 태핑 나사 이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보스부(326a)의 선단에는, 제3 나사 부재(329)에 의하여 나사 고정될 때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나사 구멍(326d)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 가드(326)는, 중간 부재(327)가 고정된 상태로 통과 구멍(302q)에 중간 부재(327) 및 보스부(326a)를 통과시키고, 중간 부재(327)의 전단부를 제2 나사 부재(328)에 의하여 나사 멈춤 고정하는 것으로 릴 보디(302a)에 고정된다.
중간 부재(327)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향하여 배치된 제1 및 제 2 부분(327a, 327b)과, 양 부분(327a, 327b)을 연결하는 연결 부분(327c)를 가지는 C자상의 부재이다. 제1 및 제2 부분(327a, 327b)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판상의 부분이며, 제1 부분(327a)은 제2 부분(327b)보다 두께가 두껍다. 제1 부분(327a)의 외측 단면(전단면)에는, 제2 나사 부재(328)에 의하여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나사 구멍(327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부분(327b)에는 제3 나사 부재(329)의 축부(329b)가 통과 가능한 관통 구멍(327e)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 구멍(327d)과 관통 구멍(327e)은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중간 부재(327)의 취부 자세가 관통 구멍(327e)의 축심 둘레로 변화하여도 제2 나사 부재(328)를 나사 구멍(327d)에 끼워 넣기 쉬워진다. 연결 부분(327c)은 제1 및 제2 부분(327a, 327b)을 일측(一側)에서 연결하고 있다. 여기서, 연결 부분(327c)이 제1 및 제2 부분(327a, 327b)의 일측에서 연결하여 C자상으로 중간 부재(327)를 형성하고 있는 것은, 보스부(326a)에 끼워 넣어지는 제3 나사 부재(329)를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체 가드(326)의 하부에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지 구멍(326e)이 형성되어 있다. 릴 보디(302a)의 하면에는, 계지 구멍(326e)에 대향하는 위치에 나사 구멍(302r)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 구멍(302r)에는, 릴 본체(302)의 조립 전에, 육각구멍붙이 멈춤 나사(336)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부터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 가드(326)를 릴 보디(302a) 및 덮개 부재(2b)에 장착한 후에,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육각구멍붙이 멈춤 나사(336)의 하부에 육각 렌치 등의 공구를 장착하여 나사가 풀리는 방향으로 돌려 계지 구멍(326e)을 향하여 진출시키는 것에 의하여 본체 가드(326)의 하부를 걸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상부가 고정된 본체 가드(326)의 하부가 계지되어 본체 가드(326)의 덜컹거림이 방지된다.
이 릴 본체에서는, 본체 가드(326)의 보스부(326a)와 릴 보디(302a)의 플랜지부의 사이에 중간 부재(327)를 설치하고, 미리 중간 부재(327)를 본체 가드(326)에 고정한 상태로 중간 부재(327)를 릴 보디(302a)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나사 부재(328)의 길이가 짧은 것이면 된다. 이 때문에, 본체 가드(326)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릴 본체의 조립 순서>
이와 같은 구성의 제3 실시예의 스피닝 릴에서는, 릴 본체(302) 내에 로터 구동 기구(5)나 오실레이팅 기구(6)를 장착하는 것과 함께, 원통부(302e) 내에 역전 방지 기구(50)를 장착한다. 또한, 육각구멍붙이 멈춤 나사(336)를 릴 보디(302a)의 나사 구멍(302r)에 미리 장착하여 둔다. 이때에, 본체 가드(326)를 후방으로부터 장착하였을 때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릴 보디(302a)의 하면으로부터 그다지 돌출하지 않도록 하여 둔다. 이 상태에서 덮개 부재(2b)를 릴 보디(302a)에 씌워 고정 볼트(80, 82)에 의하여 릴 보디(302a)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릴 보디(302a) 및 덮개 부재(2b)의 후방으로부터 본체 가드(326)를 장착한다. 이때, 중간 부재(327)를 본체 가드(326)의 보스부(326a)에 제3 나사 부재(329)에 의하여 미리 고정하여 둔다. 그리고 중간 부재(327) 및 보스부(326a)를 통과 구멍(302q)에 삽입하여 중간 부재(327)의 전단부가 플랜지부의 후면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밀어넣 는다. 밀어넣은 상태로, 장착 구멍(302j) 내에 제2 나사 부재(328)를 배치하여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제2 나사 부재(328)를 중간 부재(327)의 제1 부분(327a)에 끼워 넣어, 중간 부재(327)를 릴 보디(302a)에 고정한다. 그리고 장착 구멍(302j)에 캡(339)을 장착하여 장착 구멍(302j)을 커버한다. 마지막으로, 육각 렌치 등의 공구를 계지 구멍(326e)에 배치하고, 육각구멍붙이 멈춤 나사(336)를 진출하도록 나사가 풀리는 방향으로 돌려 육각구멍붙이 멈춤 나사를 계지 구멍(326e)에 건다. 이것에 의하여, 릴 본체(302)의 조립 작업이 완료한다.
제3 실시예에서는, 본체 가드(326)의 보스부(326a)와 릴 보디(302a)의 사이에 중간 부재(327)를 설치하고, 제3 나사 부재(329)에 의하여 미리 중간 부재(327)를 본체 가드(326)에 고정한 상태로, 중간 부재(327)를 릴 보디(302a)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나사 부재(328)를 이용하여도, 길이가 짧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체 가드(326)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제2 나사 부재(328)가 릴 보디(302a)의 후부에 노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7에 있어서, 제4 실시예에 의한 릴 본체(402)의 본체 가드(426)는, 보스부(426a)의 형상 및 중간 부재(427)의 형상이 제3 실시예와 다르다.
릴 보디(402a)에는,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장착 구멍(402j), 통과 구멍(402p, 402q)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 가드(426)의 보스부(426a)는,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통과 구멍(402q)을 관통하여 수납 공간(RA) 내로 향하여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보 스부(426a)의 전단부측 외주면에는 환상의 피계지 홈(제2 피계지부의 일례, 426d)이 형성되어 있다. 통과 구멍(402q)의 직경은 보스부(426a)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다.
중간 부재(427)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 또는 금속제의 부재이며, 제3 실시예와 대략 동일한 구조의 제1 부분(427a)과, 피계지 홈(426d)을 계지하도록 상방으로 돌출하는 계지 돌기(제3 고정 수단의 제2 계지부의 일례, 429)와, 제1 부분(427a)과 계지 돌기(429)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427c)을 가지고 있다. 제1 부분(427a)에는,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나사 부재(428)가 끼워 넣어지는 나사 구멍(427d)이 형성되어 있다. 계지 돌기(429)는 후단면으로 향하여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427f)을 상부에 가지고 있다.
이 제4 실시예에서는, 제3 실시예와 달리, 먼저 수납 공간(RA) 내에서 중간 부재(427)를 릴 보디(402a)의 플랜지부(402d)의 내측면에 제2 나사 부재(428)에 의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본체 가드(426)의 보스부(426a)를 통과 구멍(402q)에 삽입하여 중간 부재(427)를 향하여 밀어넣어, 경사면(427f)에 보스부(426a)의 선단이 접촉하면, 경사면(427f)의 작용에 의하여, 계지 돌기(429)가 형성된 중간 부재(427)의 후단부가 도 17 하방으로 만곡하고, 계지 돌기(429)가 피계지 홈(426d)에 배치되면, 탄성에 의하여 계지 돌기(429)가 피계지 홈(426d)에 끼어 피계지 홈(426d)을 계지한다. 이것에 의하여, 본체 가드(426)가 릴 보디(402a)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계지 구조를 이용하면,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는 일 없이 본체 가드(426)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체 가드(426)를 분리할 때에는, 제2 나사 부재(428)에 의하여 중간 부재(427)의 고정을 해제하면 된다.
<제5 실시예>
제5 실시예에서는, 제2 나사 부재의 끼움 상태에 의하여 계지 구조를 계지 상태와 계지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18 및 도 19에 있어서, 본체 가드(526)는, 제4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조이며, 보스부(526a)의 전단부의 외주면에 피계지 홈(526d)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 부재(527)는, 제4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형상인 제1 부분(527a)과 계지 돌기(529)와 연결 부분(527c)을 가지고 있다. 이 중, 연결 부분(527c)의 형상과, 제2 나사 부재(528)가 태핑 나사가 아니라 통상의 둥근머리 볼트인 점이 제4 실시예와 다르다. 따라서, 제1 부분(527a)에는 미리 암나사부를 가지는 나사 구멍(527d)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 부재(527)는 탄성체제의 부재이며, 연결 부분(527c)은 제1 부분(527a)에 연결되는 제1 직선 부분(527f)과, 제1 직선 부분(527f)으로부터 하방으로 만곡하는 만곡 부분(527g)과, 만곡 부분(527g)으로부터의 연장되는 제2 직선 부분(527h)을 가지고 있고, 제2 직선 부분(527h)에 계지 돌기(529)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중간 부재(527)의 연결 부분(527c)은, 자유 상태에서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만곡 부분(527g)으로부터 후단측이 비스듬히 굴곡하고 있다.
릴 본체(502)의 릴 보디(502a)는 중간 부재(527)를 안내한다, 예를 들어 바깥 전후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3개의 안내부(570a, 570b, 570c)를 가지고 있다. 안 내부(570a)는 중간 부재(527)의 연결 부분(527c)의 제1 직선 부분(527f)의 하면에 접촉하여 안내하는 것이고, 안내부(570b)는 제1 직선 부분(527f)의 상면(上面)에 접촉하여 안내하는 것이다. 안내부(570c)는 만곡 부분(527g)의 하면에 접촉하여 안내하는 것이다. 따라서, 안내부(570c)는 만곡 부분(527g)을 따라 만곡하고 있다. 덧붙여, 각 안내부(570a, 570b, 570c)는 릴 보디(502a)의 측벽으로부터 덮개 부재를 향하여 돌출하여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안내부(570a, 570b, 570c)와 만곡 부분(527g)에 의하여 계지 상태 전환부(580)가 구성된다. 계지 상태 전환부(580)는 제2 나사 부재(528)의 고정 상태에 따라 제3 고정 수단의 계지부인 계지 돌기(529)의 계지 상태와 계지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것이다.
중간 부재(527)는, 자유 상태 시,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만곡 부분(527g)이 안내부(570c)를 따라 배치되고, 또한 제2 나사 부재(528)가 나사 구멍(527d)에 약간 나사 감합하도록 배치된다. 이 상태가 계지 해제 상태이다. 그리고 제2 나사 부재(528)를 조여 가면, 중간 부재(527)가 도 18 좌방(左方)으로 이동하고, 만곡 부분(527g)이 안내부(570c)의 만곡 부분으로부터 떨어져 직선 부분에 접촉한다. 이 결과,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만곡 부분(527g)이 직선적으로 되고, 제1 부분(527a)이 플랜지부(502d)의 후면에 접촉하면 계지 돌기(529)가 피계지 홈(526d)에 계지되는 계지 상태가 된다. 또한, 제2 나사 부재(528)를 압압하면서 나사가 풀리는 방향으로 돌리면, 중간 부재(527)가 서서히 도 19에 도시하는 계지 상태로부터 도 18에 도시하는 계지 해제 상태가 되어, 계지 돌기(529)와 피계지 홈(526d)의 계지가 해제된다.
여기에서는, 제2 나사 부재(528)의 고정 상태를 느슨하게 하거나 조이거나 하여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중간 부재(527)를 계지 상태와 계지 해제 상태로 간단히 전환할 수 있다.
<제3 내지 제5 실시예의 변형예>
(a) 상기 제3 실시예에서는, 본체 가드(326)에 중간 부재(327)를 고정한 후에 본체 가드(326)를 릴 보디(302a)에 삽입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제3 실시예와 같은 구조에서도, 본체 가드(326)를 삽입한 후에 중간 부재(327)를 수납 공간(RA) 내에서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b) 상기 제3 실시예에서는, 중간 부재(327)를 C자상으로 형성하였지만, 중간 부재의 형상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나사 구멍과 관통 구멍을 동심으로 배치하지 않고 L자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c) 상기 제3 실시예에서는, 통과 구멍(302q)과 보스부(326a)의 사이에 중간 부재(327)를 통하게 하기 위한 큰 간극이 벌어져 있지만, 보스부(326a)의 통과 구멍(302q)에 배치되는 기부(基部)를 다른 부분보다 대경으로 형성하여 통과 구멍(302q)에 접촉시켜도 무방하다. 이 경우, 본체 가드(326)의 덜컹거림이 한층 더 작아진다.
(d) 상기 제4 및 제5 실시예에서는, 보스부에 피계지부로서 환상의 피계지 홈을 형성하였지만, 피계지부는 환상 홈에 한정되지 않고, 피계지 돌기 등의 계지부에 의하여 계지되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복수의 부 재로 피계지부를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도 20에 있어서, 본체 가드(626)의 보스부(626a)는, 도 17에 도시하는 보스부(426a)보다 짧다. 피계지부(626d)는, 보스부(626a)의 선단에 끼워 넣어진 나사 부재(681)와, 나사 부재의 축부(681b)에 장착된 칼라(collar) 부재(682)로 구성되어 있다. 이 나사 부재(681)의 머리부(681a)를 중간 부재(627)의 계지 돌기(629)로 계지하면 된다. 이 경우, 홈을 작성하기 위한 성형이나 가공의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그 측면 단면도.
도 3은 그 릴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IV-IV 단면도.
도 5는 그 본체 가드 장착 부분의 분해 사시 확대도.
도 6은 그 본체 가드 장착 부분의 단면 확대도.
도 7은 제2 실시예의 도 6에 상당하는 도면.
도 8은 그 로터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그 로터의 분해 측면 일부 단면도.
도 10은 그 스풀의 확대 단면도.
도 11은 그 스풀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그 발음 기구 주변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발음 기구의 정면도.
도 14는 제3 실시예에 의한 본체 가드 장착 부분의 단면 확대도.
도 15는 본체 가드의 하부의 계지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 확대도.
도 16은 본체 가드의 하부의 계지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 확대도.
도 17은 제4 실시예의 도 14에 상당하는 도면.
도 18은 제5 실시예의 계지 해제 상태의 도 14에 상당하는 도면.
도 19는 제5 실시예의 계지 상태의 도 14에 상당하는 도면.
도 20은 제4 실시예의 변형예의 도 17에 상당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102, 302, 402, 502, 602 : 릴 본체
2a, 102a, 302a, 402a, 502a, 602a : 릴 보디
2q, 2j : 제1 및 제2 삽통 구멍(제1 및 제2 삽통부의 일례)
2t : 피계지부(제1 피계지부의 일례)
2b : 덮개 부재
26, 126, 326, 426, 526, 626 : 본체 가드
26a, 126a : 보스부
26d, 126d : 나사 구멍(암나사부의 일례)
27, 127 : 보지 부재(중간 부재의 일례)
327, 427, 527, 627 : 중간 부재
27c : 계지부(제1 계지부의 일례)
27d, 127d : 머리부 수용부
27e, 127e : 관통 구멍
28, 128 : 제1 나사 부재(제1 고정 수단의 일례)
328, 428, 528, 628 : 제2 나사 부재(제2 고정 수단의 일례)
28a, 128a, 328a : 머리부
28b, 128b, 328b : 축부
28c : 수나사부
39, 339 : 캡(폐색 부재의 일례)
329 : 제3 나사 부재(제3 고정 수단의 나사 부재의 일례)
526d : 피계지 홈(제3 고정 수단의 피계지부의 일례)
529, 629 : 계지 돌기(제3 고정 수단의 계지부의 일례)
580 : 계지 상태 전환부
626d : 피계지부(제3 고정 수단의 일례)
RA : 수납 공간

Claims (18)

  1. 낚싯대에 장착되고, 전방(前方)으로 낚싯줄을 방출 가능한 스피닝 릴(spinning reel)의 릴 본체이고,
    측부가 개구(開口)하는 수납 공간과, 후부에서 상기 수납 공간에 연통(連通)하는 제1 삽통부(揷通部)와, 상기 제1 삽통부와 역측(逆側)에 배치되고 상기 수납 공간에 연통하는 제2 삽통부를 가지는 릴 보디와,
    상기 수납 공간을 막기 위하여 상기 릴 보디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 부재와,
    상기 릴 보디 및 덮개 부재를 덮도록 후방(後方)으로부터 장착되고, 상기 릴 보디의 후부로부터 상기 제1 삽통부를 통하여 상기 수납 공간 내로 향하여 돌출하는 보스부를 가지는 커버 부재와,
    상기 수납 공간 내에서 상기 릴 보디 및 상기 덮개 부재의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에 이동 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납 공간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의 전단부(前端部)를 고정하는데 이용되는 중간 부재
    를 구비한 스피닝 릴의 릴 본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의 전단부를 보지(保持)하는 제1 고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제1 고정 수단을 보지하는 보지 부재인, 스피닝 릴의 릴 본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릴 보디는 상기 제2 삽통부를 폐색(閉塞) 가능한 폐색 부재를 더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수단은, 기단부(基端部)에 형성된 머리부와, 선단부(先端部)에 상기 머리부보다 소경(小徑)으로 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부(外周部)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축부를 가지는 나사 부재이고,
    상기 보스부는 선단부에 상기 나사 부재의 상기 수나사부가 나사 감합(嵌合)하는 암나사부를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부재는 태핑(tapping) 나사이고,
    상기 암나사부는 상기 태핑 나사에 의하여 형성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 부재는 상기 릴 보디와 별체로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릴 보디는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에 형성된 제1 피계지부(被係止部)를 가지고,
    상기 보지 부재는 상기 릴 보디에 대하여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피계지부에 계지 가능한 제1 계지부를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8.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 부재는 상기 릴 보디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9.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 부재는 상기 나사 부재의 상기 축부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 부재는 상기 나사 부재의 상기 머리부를 수용 가능한 머리부 수용부를 더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의 전단부를 상기 릴 보디에 고정하는 제2 고정 수단과,
    상기 중간 부재의 후단부(後端部)에 상기 보스부를 고정하는 제3 고정 수단을 더 구비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의 전단부는 전방으로부터 삽입된 상기 제2 고정 수단에 의하여 상기 릴 보디에 고정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수단은,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보다 소경으로 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축부를 가지는 나사 부재이고,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나사 부재의 상기 수나사부가 나사 감합하는 암나사부를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고정 수단은,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보다 소경으로 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축부를 가지는 나사 부재이고,
    상기 중간 부재의 후단부는 상기 나사 부재의 상기 축부가 삽통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보스부는 선단부에 상기 나사 부재의 상기 수나사부가 나사 감합하는 암나사부를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부재는 태핑 나사이고,
    상기 암나사부는 상기 태핑 나사에 의하여 형성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16.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고정 수단은 상기 중간 부재의 후단부에 설치된 제2 계지부를 가지고,
    상기 보스부는 상기 제2 계지부에 계지되는 제2 피계지부를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고정 수단은, 상기 보스부의 상기 제2 피계지부에 상기 중간 부재의 상기 제2 계지부를 탄성 계지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수단의 고정 상태에 따라, 상기 제3 고정 수단의 계지 상태와 계지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계지 상태 전환부를 더 구비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
KR1020070128232A 2006-12-21 2007-12-11 스피닝 릴의 릴 본체 KR101396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44913 2006-12-21
JPJP-P-2006-00344914 2006-12-21
JP2006344914A JP4804331B2 (ja) 2006-12-21 2006-12-21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6344913A JP4804330B2 (ja) 2006-12-21 2006-12-21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185A KR20080058185A (ko) 2008-06-25
KR101396773B1 true KR101396773B1 (ko) 2014-05-19

Family

ID=39495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232A KR101396773B1 (ko) 2006-12-21 2007-12-11 스피닝 릴의 릴 본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413138B2 (ko)
EP (1) EP1949787B1 (ko)
KR (1) KR101396773B1 (ko)
AT (1) ATE430471T1 (ko)
DE (1) DE602007001070D1 (ko)
MY (1) MY138861A (ko)
SG (1) SG144041A1 (ko)
TW (1) TWI4079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2416B2 (ja) * 2007-06-15 2012-03-0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5848086B2 (ja) * 2011-10-06 2016-01-2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リール本体及び釣り用リール
US9055735B2 (en) * 2012-06-07 2015-06-16 Shimano Inc. Spinning reel and spinning-reel reel unit
JP6145606B2 (ja) * 2012-12-20 2017-06-14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本体、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JP6046496B2 (ja) * 2013-01-07 2016-12-14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4226071A (ja) * 2013-05-21 2014-12-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6177625B2 (ja) * 2013-08-16 2017-08-09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6198539B2 (ja) * 2013-09-13 2017-09-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けリール
JP6352618B2 (ja) * 2013-11-19 2018-07-04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US9700030B2 (en) * 2013-12-10 2017-07-11 Shimano Inc. Spinning reel
JP6395383B2 (ja) * 2014-01-23 2018-09-26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JP6419020B2 (ja) * 2015-04-28 2018-11-0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6664975B2 (ja) * 2016-01-25 2020-03-13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TWM525624U (zh) * 2016-02-26 2016-07-21 Okuma Fishing Tackle Co Ltd 捲線器之快速煞車調鈕
JP6965074B2 (ja) * 2017-09-22 2021-11-1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6949661B2 (ja) * 2017-10-25 2021-10-13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用のハンドル組立体、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JP1611981S (ko) * 2017-10-30 2018-08-27
JP6976814B2 (ja) * 2017-10-30 2021-12-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7133417B2 (ja) * 2018-09-26 2022-09-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WO2020257651A1 (en) 2019-06-21 2020-12-24 Biz Outdoors, Inc. Left handed fishing ree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6239A (ja) * 1991-11-26 1993-06-15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316430A (ja) 1999-05-10 2000-11-21 Ryobi Ltd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1069885A (ja) 1999-09-02 2001-03-21 Shimano Inc 部品組立体
JP2004141102A (ja) 2002-10-25 2004-05-20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336Y2 (ja) 1988-07-19 1994-06-0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561243Y2 (ja) * 1992-03-06 1998-01-2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3913510B2 (ja) * 2001-10-04 2007-05-09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部品の締結構造
JP2003210081A (ja) * 2002-01-22 2003-07-29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部品組立体
JP2003225039A (ja) * 2002-02-05 2003-08-1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US20030146324A1 (en) * 2002-02-06 2003-08-07 Shih-Yuan Yeh Fishing reel with a replaceable casing
JP4015901B2 (ja) * 2002-07-31 2007-11-2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US7118059B2 (en) * 2003-01-29 2006-10-10 Shimano Inc. Reel unit for spinning reel
JP2004236568A (ja) * 2003-02-05 2004-08-26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US7066419B2 (en) * 2003-09-10 2006-06-27 Shimano Inc. Reel unit for spinning reel
JP2006344913A (ja) 2005-06-10 2006-12-21 Hirosaki Univ フルカラー発光ダイオード
JP2006344914A (ja) 2005-06-10 2006-12-21 Sony Corp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カメ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6239A (ja) * 1991-11-26 1993-06-15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316430A (ja) 1999-05-10 2000-11-21 Ryobi Ltd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1069885A (ja) 1999-09-02 2001-03-21 Shimano Inc 部品組立体
JP2004141102A (ja) 2002-10-25 2004-05-20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13138B2 (en) 2008-08-19
MY138861A (en) 2008-08-28
TW200840476A (en) 2008-10-16
SG144041A1 (en) 2008-07-29
TWI407904B (zh) 2013-09-11
DE602007001070D1 (de) 2009-06-18
US20080149750A1 (en) 2008-06-26
KR20080058185A (ko) 2008-06-25
ATE430471T1 (de) 2009-05-15
EP1949787B1 (en) 2009-05-06
EP1949787A1 (en) 200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773B1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US7607602B2 (en) Reel unit for spinning reel
KR101694222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변속 조작 기구
CN101204146B (zh) 纺车式渔线轮的渔线轮主体
US7175121B2 (en) Spinning reel sounding mechanism
KR101480287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KR101408082B1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EP2594131B1 (en) Dual-bearing reel with handle assembly
KR100994411B1 (ko)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
EP1234500B1 (en) Spinning reel spool
JP2014212739A5 (ko)
JP4934420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480433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8148640A5 (ko)
TW201119573A (en) Rotor brake for spinning reel.
JP496322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8148641A5 (ko)
JP480431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KR102294430B1 (ko) 스피닝 릴
JP5049563B2 (ja) 釣り用リールの操作つまみ
JP496321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JP4384890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調整つまみ
KR101403927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JP2004337067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アドラグ発音機構
JP2005110528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