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417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417B1
KR101396417B1 KR1020127023143A KR20127023143A KR101396417B1 KR 101396417 B1 KR101396417 B1 KR 101396417B1 KR 1020127023143 A KR1020127023143 A KR 1020127023143A KR 20127023143 A KR20127023143 A KR 20127023143A KR 101396417 B1 KR101396417 B1 KR 101396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sub tank
displacement member
ink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2863A (ko
Inventor
타케유키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120112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41J2/17509Whilst mounted 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6Means for regulating the pressure in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41J2002/1758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using ink bag deformation for ink level indication

Abstract

개시된 화상 형성 장치는 장치 메인 바디, 기록 헤드, 서브 탱크, 캐리지, 메인 탱크, 및 상기 메인 탱크로부터 서브 탱크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 탱크는 남아있는 양에 따라 변위되는 변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지는 상기 변위 부재를 감지하는 제 1 감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 메인 바디는 상기 변위 부재를 감지하는 제 2 감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제 1 감지 유닛 및 상기 제 2 감지 유닛에 의해 각각 감지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변위 부재의 변위량에 해당하는 차등 공급량을 감지하고 저장하고, 상기 제 2 감지 유닛을 사용하지 않고 액체가 공급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감지 유닛이 상기 변위 부재를 감지한 후에 상기 서브 탱크로 액체의 차등 공급량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체 방울을 배출하는 기록 헤드 및 상기 기록 헤드에 유체를 공급하는 서브 탱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팩시밀리, 복사기, 플로터, 이들의 다기능 주변장치 등과 같은 화상 형성 장치로서, 잉크 방울을 배출하는 기록 헤드 등을 사용하여 액체 배출 기록 방법을 채용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 등이 알려져 있다. 액체 배출 기록 방법을 채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기록 헤드로부터 공급 시트 상으로 잉크 방울을 배출함으로써 화상이 형성된다. 본원에서, "형성(forming)"이라는 용어는 기록, 타이핑, 이미징 및 프린팅이라는 용어의 동의어이다. 또한, 본원에서, "시트(sheet)"라는 용어는 종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잉크 방울, 기타 액체 등이 부착될 수 있는 임의의 적당한 매체(예, OHP)를 나타낸다. 액체 배출 기록 방법을 채용한 화상 형성 장치는 2가지 형태, 즉 직렬형 화상 형성 장치 및 선형 화상 형성 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 직렬형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기록 헤드가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할 때 기록 헤드로부터 잉크 방울을 배출함으로써 화상이 형성된다. 반면에, 선형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기록 헤드가 그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을 때 선형 기록 헤드로부터 잉크 방울을 배출함으로써 화상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액체 배출 기록 방법을 채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라는 용어는 종이, 실, 섬유, 직물, 피혁, 금속, 플라스틱, 유리, 목재, 세라믹 등을 포함하는 매체에 액체를 배출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나타낸다. 또한, "화상 형성(image forming)"이라는 용어는 매체 상에 문자, 숫자 등과 같은 의미있는 화상을 형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매체 상에 패턴 등과 같은 의미없는 화상을 형성하는 것(매체 상에 방울을 단순히 배출하는 것을 포함)을 나타낸다. 또한, "잉크(ink)"라는 용어는 총체적으로 사용되며, 본원에서 "잉크"로 불리는 임의의 재료뿐만 아니라, 기록 액체, 고착 가공 액체, 액체, DNA 샘플, 패턴 재료, 수지 등으로 불릴 수 있는 화상 형성용 임의의 액체를 나타낸다. 또한, "화상(image)"이라는 용어는 평면 화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화상"은 3차원으로 형성된 재료 상에 형성된 화상, 및 3차원적 형상으로 이루어져 3차원으로 형성된 화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들 중에서, 잉크가 메인 탱크로부터 서브 탱크로 공급되고, 상기 메인 탱크(잉크 카트리지라고도 지칭함) 장치의 메인 바디 상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서브 탱크(헤드 탱크 또는 버퍼 탱크라고도 지칭함)는 기록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방법을 채용한 화상 형성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들 중에서, 기록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는 서브 탱크(헤드 탱크 또는 버퍼 탱크라고도 지칭함)를 가지며, 상기 서브 탱크는 기록 헤드로부터의 잉크 방울 또는 누출(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부압을 형성하는 부압 형성 기능(메커니즘)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서브 탱크는 부압 형성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부압 형성 유닛은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수용부의 일면을 형성하는 가요성 부재(필름 부재), 및 상기 가요성 부재를 바깥쪽으로 향하게 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서브 탱크는 잉크 수용부의 내부를 대기로 개방(해제)하는 대기 개방 메커니즘을 더 포함해서, 잉크 수용부로부터 기록 헤드로 잉크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서브 탱크는 가요성 부재의 변위에 따라 변위되는 변위 부재(감지 부재 또는 감지 필러라고도 칭함)를 더 포함한다. 서브 탱크가 대기 개방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대기로 개방되고, 잉크가 메인 탱크로부터 서브 탱크로 공급되는 대기 개방 충전 도중에, 캐리지는 소정의 감지 위치(탱크 충만 위치)로 이동한다. 그 결과, 메인 바디 측에서 제공되는, 대기 개방 메커니즘을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구동시킴으로써 서브 탱크가 대기 개방된 후에, 캐리지는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고, 잉크 공급이 수행된다. 메인 바디 상의 감지 유닛이 변위 부재를 감지할 때, 탱크 충만 위치가 판단된다(특허 문헌 1 내지 9).
이러한 경우, 인쇄 도중에도 잉크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인쇄 도중의 잉크 소비량이 소정의 제 1 값과 동일하거나 소정의 제 1 값보다 큰 경우, 인쇄 도중에 메인 탱크로부터 서브 탱크로 공급되는 잉크 공급량의 상관 정보에 기초하여, 잉크 공급량이 소정의 제 2 값과 동일하거나 그 미만이면 메인 탱크로부터 서브 탱크로 잉크가 공급되고, 잉크 공급량이 소정의 제 2 값을 초과하면 메인 탱크로부터 서브 탱크로 잉크가 공급되지 않는다(특허 문헌 9).
다른 예에서, 서브 탱크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지 않는다. 대신에, 서브 탱크는 인쇄 도중에도 잉크를 공급하도록 잉크 잔량 감지 유닛을 포함한다(특허 문헌 10).
일본 특허 제4298474호 일본 특허 제4190001호 일본 특허 제4155879호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2007-015153호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2007-130979호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2008-132638호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2009-023329호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2009-274325호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2009-023092호 일본 특허 제3219326호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 탱크 내의 잉크 잔량에 따라 변위되는 변위 부재가 제공되고, 장치 메인 바디 측에서 서브 탱크의 탱크 충만 상태를 감지하는 경우, 소정의 탱크 위치로 캐리지를 이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서브 탱크 내의 잉크 잔량이 인쇄 도중에 감소될 때, 잉크 공급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인쇄 작업을 중단해야 한다. 그 결과, 인쇄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배출 방울의 개수을 카운트해서 서브 탱크 내의 잉크 소모량을 산출하여, 잉크 소비량에 해당하는 공급량으로 잉크가 메인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탱크 충만 위치는 정확하게 감지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공급 부족 또는 과잉 공급에 의해 과잉 부압 또는 과소 부압이 각각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피하기 위하여, 불가피하게 카트리지를 탱크 충만 감지 위치로 이동시키고, 대기 개방 충전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결과, 인쇄 작업을 중단하는 것이 여전히 필요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인쇄 속도가 저하된다.
또한, 서브 탱크의 잉크 잔량을 감지하기 위해 캐리지 측에 감지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서브 탱크로의 잉크 공급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부재 또는 유닛을 캐리지가 포함하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메커니즘이 채용될 때, 캐리지의 중량이 증가되거나, 캐리지의 크기가 커지고, 이에 의하여 장치가 대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장치 메인 바디 측에 제공된 감지 유닛을 사용하여, 서브 탱크의 잉크 잔량에 따라 변위되는 변위 부재를 감지함으로써, 탱크 충만 감지가 수행될 때에도 인쇄 도중에 서브 탱크에 탱크 충만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장치 메인 바디;
액체 방울을 배출하는 기록 헤드;
상기 기록 헤드에 공급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서브 탱크;
상기 기록 헤드 및 상기 서브 탱크가 탑재된 캐리지;
상기 서브 탱크에 공급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메인 탱크; 및
상기 메인 탱크로부터 상기 서브 탱크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탱크는, 상기 서브 탱크 내에 남아있는 양에 따라서 변위되는 변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지는 상기 변위 부재가 소정의 제 1 위치에 있는 것을 감지하는 제 1 감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 메인 바디는 상기 변위 부재가 소정의 제 2 위치에 있는 것을 감지하는 제 2 감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제 1 위치에서 남아있는 양은 상기 소정의 제 2 위치에서 남아있는 양보다 적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변위 부재의 변위량에 해당하는 차등 공급량(differential supply amount)을 감지하고 저장하는 제어 섹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변위량은 상기 제 1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된 위치와 상기 제 2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된 위치의 차에 해당하며,
상기 제어 섹션은, 상기 제 2 감지 유닛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메인 탱크로부터 상기 서브 탱크로 액체가 공급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감지 유닛이 상기 변위 부재를 감지한 후에 상기 서브 탱크로 액체의 차등 공급량을 공급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차등 공급량의 공급 제어는 상기 유체 공급 유닛의 구동 시간에 기초하여 수행되며, 상기 구동 시간은 상기 소정의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제 2 위치로 상기 변위 부재를 이동시키는데 요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등 공급량의 공급 제어는 상기 유체 공급 유닛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수행되며, 상기 회전수는 상기 소정의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제 2 위치로 상기 변위 부재를 이동시키는데 요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등 공급량의 공급 제어는 상기 변위 부재의 감지된 변위량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환경 온도 및 환경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된 결과와 소정의 임계값 사이의 차가 소정의 값과 동일하거나 또는 소정의 값보다 크다고 판단될 때, 상기 차등 공급량이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경 온도 및 상기 환경 습도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값일 때, 상기 소정의 제 1 위치는 상기 변위 부재의 변위량이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위치를 지칭하고, 상기 변위량은 상기 소정의 제 1 위치와 상기 소정의 제 2 위치 사이의 차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감지 유닛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메인 탱크로부터 상기 서브 탱크로 액체가 공급되는 경우는, 상기 기록 헤드로부터 배출된 배출량이 소정의 양을 초과하는 경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록 헤드로부터 배출된 배출량이 소정의 양을 초과하더라도 상기 제 1 감지 유닛이 상기 변위 부재를 감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 1 감지 유닛이 상기 변위 부재를 감지할 때까지 액체를 배출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감지 유닛이 상기 변위 부재를 감지할 때까지 액체를 배출하도록 제어를 수행한 횟수가 소정의 횟수를 초과할 때, 상기 기록 헤드로부터 배출이 중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리지의 주사 중에, 상기 캐리지의 주사 방향이 상기 서브 탱크의 변위 부재의 주사 방향의 전방 측을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동안에, 상기 서브 탱크에 잉크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등 공급량이 감지될 때, 상기 제 1 감지 유닛이 상기 변위 부재를 감지할 때까지 상기 서브 탱크로부터 상기 메인 탱크로 유체를 흡입시킴으로써 상기 변위 부재가 변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서브 탱크는 상기 서브 탱크 내에 남아있는 양에 따라서 변위되는 변위 부재를 포함하고; 캐리지는 변위 부재가 소정의 제 1 위치에 있는 것을 감지하는 제 1 감지 유닛을 포함하고; 장치 메인 바디는 변위 부재가 소정의 제 2 위치에 있는 것을 감지하는 제 2 감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제 1 위치에서 남아있는 양은 상기 소정의 제 2 위치에서 남아있는 양보다 적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변위 부재의 변위량에 해당하는 차등 공급량을 감지하고 저장하는 제어 섹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변위량은 상기 제 1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된 위치와 상기 제 2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된 위치의 차에 해당하며; 상기 제어 섹션은, 상기 제 2 감지 유닛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메인 탱크로부터 상기 서브 탱크로 액체가 공급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감지 유닛이 상기 변위 부재를 감지한 후에 상기 서브 탱크로 액체의 차등 공급량을 공급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져서, 캐리지의 이동 중에도 메인 탱크로부터 서브 탱크로 액체의 적절한 양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인쇄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기구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기구부의 주요부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서브 탱크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서브 탱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잉크 공급 배출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제어 섹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의 (a) 및 도 7의 (b)는, 서브 탱크의 부압 형성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서브 탱크 내의 잉크량과 부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의 (a) 내지 도 9의 (c)는, 서브 탱크의 잉크량을 채워진 탱크로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a) 및 도 10의 (b)는, 제 2 센서만을 사용하여 서브 탱크의 잉크량을 채워진 탱크로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d)는, 제 1 센서 및 제 2 센서를 이용하여 서브 탱크의 잉크량을 채워진 탱크로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 1 센서 및 제 2 센서 배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 1 센서 및 제 2 센서 배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어 섹션에 의해 차등 공급량을 감지하는 감지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인쇄 도중에 잉크 공급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의 (a) 내지 도 16의 (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서브 탱크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서브 탱크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변위 부재의 변위량과 습도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의 주사 도중에 서브 탱크 내의 압력 변동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21의 (a) 및 도 21의 (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변위 부재의 경사 및 캐리지 주사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서브 탱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장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는 직렬형 화상 형성 장치이다. 장치 메인 바디(1)의 각각의 좌측과 우측 상의 측면 플레이트(21A 및 21B) 사이에 브리지된 가이드 부재인 메인 가이드 로드(31) 및 서브 가이드 로드(32)에 의해 캐리지(33)가 주주사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서, 후술하는 주주사 모터 및 타이밍 벨트(전사 벨트)에 의해 캐리지(33)가 캐리지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 및 주사될 수 있다.
캐리지(33)는 기록 헤드(34a 및 34b)(총체적으로 "기록 헤드(34)"로 언급될 수 있음)를 포함하고, 상기 기록 헤드(34a 및 34b)는 옐로우(Y), 시안(C), 마젠타(M) 및 블랙(K) 색상의 잉크 방울을 배출하고 노즐 열을 가지며, 상기 노즐 열은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고, 잉크 배출 방향이 아래쪽을 향하는 방식으로 주주사 방향에 수직인 부주사 방향으로 배열된다.
기록 헤드(34)는 2개의 노즐 열을 가져서, 기록 헤드(34a)의 하나의 노즐 열은 블랙(K) 액체 방울을 배출하고 기록 헤드(34a)의 다른 노즐 열은 시안(C) 액체 방울을 배출하며, 기록 헤드(34b)의 하나의 노즐 열은 마젠타(M) 액체 방울을 배출하고 기록 헤드(34b)의 다른 노즐 열은 옐로우(Y) 액체 방울을 배출한다.
또한, 캐리지(33)에서, 기록 헤드(34)의 노즐 열에 대한 색상 잉크를 공급하기 위해 서브 탱크(35a 및 35b)(총체적으로 "서브 탱크(35)"로 언급될 수 있음)가 탑재된다. 색상 기록 액체는 각각의 잉크 공급 튜브(36)를 통한 공급 유닛(24)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10y, 10m, 10c, 10k)(총체적으로 "잉크 카트리지(10)"으로 언급될 수 있음)로부터 각각의 서브 탱크(35)로 공급되고, 상기 잉크 카트리지(10)는 카트리지 탑재 섹션(4) 상에 착탈가능하게 탑재된다.
또한, 캐리지(33)의 주주사 방향을 따라서 인코더 스케일(91)이 제공되고, 캐리지(33) 상에 인코더 센서(92)가 제공되어서 인코더 스케일(91)을 판독한다. 인코더 스케일(91) 및 인코더 센서(92)는 리니어 인코더(90)로 구성되어서, 리니어 인코더(90)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의해 캐리지(33)의 주주사 방향 위치(캐리지 위치) 및 이동량이 감지될 수 있다.
한편, 시트 공급 트레이(2)의 시트 적재 섹션(압반 플레이트)(41) 상에 적재된 시트(42)를 공급하기 위한 시트 공급 섹센으로서, 반달형 롤러(half moon roller)(공급 롤러)(43) 및 분리 패드(44)가 있다. 반달형 롤러(43)은 시트 적재 섹션(41)으로부터 시트(42)를 하나씩 분리하여 공급한다. 분리 패드(44)는 반달형 롤러(43)와 마주하며, 마찰 계수가 큰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분리 패드(44)는 반달형 롤러(43) 측으로 편향되어 있다.
또한, 시트 공급 섹션으로부터 기록 헤드(34)의 하부로 공급된 시트(42)를 추가로 공급하기 위하여, 시트(42)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45), 카운터 롤러(46), 공급 가이드 부재(47), 헤드 가압 롤러(49)를 갖는 가압 부재(48), 및 기록 헤드(34)와 마주하는 쪽으로 시트(42)를 정전기적으로 끌어당겨서 공급하는 전사 유닛인 전사 벨트(51)가 제공된다.
전사 벨드(51)는 공급 롤러(52)와 텐션 롤러(53) 사이에 브리지된 엔드리스 벨트(endless belt)이고, 벨트 공급 방향(부주사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전사 벨트(51)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 유닛인 대전 롤러(56)가 제공된다. 대전 롤러(56)는 전사 벨트(51)의 표층에 접촉하여서, 대전 롤러(56)는 전사 벨트(5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전사 벨트(51)는, 타이밍 벨트를 통해 후술하는 부주사 모터에 의해 구동된 벨트 공급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동된다.
또한, 기록 헤드(43)에 의해 기록된 시트(42)를 배출하는 시트 배출 섹션으로서, 전사 벨트(51)로부터 시트(42)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폴(separation pawl)(61), 시트 배출 롤러(62), 또 하나의 배출 롤러인 스퍼(spur)(63), 및 배출 롤러(62) 아래의 배출 트레이(3)가 제공된다.
또한, 장치 메인 바디(1)의 후면 상에 양면 유닛(71)이 착탈가능하게 탑재된다. 양면 유닛(71)은 전사 벨트(51)의 역방향 회전으로 리턴되는 시트(42)를 가져오고, 시트(42)를 뒤집어서, 다시 카운터 롤러(46)와 전사 벨트(51) 사이에 시트(42)를 공급한다. 또한, 양면 유닛(71)의 상면에 수동 트레이(72)가 있다.
또한, 캐리지(33)의 주사 방향 한 쪽의 인쇄되지 않은 영역에는, 기록 헤드(34) 상의 노즐의 위치를 유지보수하고 복구하기 위한 유지보수 및 복구 메커니즘(81)이 있다. 유지보수 및 복구 메커니즘(81)은 기록 헤드(34)의 노즐 표면을 캡핑하기 위한 캡 부재(이하, "캡(cap)" 또는 "흡입 캡(suction cap)"이라 함)(82a 및 82b)(총체적으로 "캡(82)"라 언급될 수 있음), 노즐 표면을 닦기 위한 와이퍼 부재(와이퍼 블레이드)(83), 예비 배출 트레이(84), 및 캐리지를 잠그기 위한 캐리지 락(carriage lock)(87)을 포함한다. 예비 배출 트레이(84)는 진한 기록 유체를 미리 배출하고 인쇄에는 전혀 기여하지 않는 예비 배출시의 방울을 수용한다. 또한, 유지보수 및 복구 메커니즘(81) 하에서, 유지보수 및 복구 작업으로 인한 폐수를 수용하기 위해, 폐수 탱크(100)가 장치 메인 바디(1)에 교환가능하게 제공된다.
또한, 캐리지(33)의 주사 방향의 다른 쪽 상의 인쇄되지 않은 영역에서는, 예를 들어 인쇄 도중에 예비 배출 기록 유체가 보다 진해지고 인쇄에는 전혀 기여하지 않는 예비 배출시의 방울을 수용하기 위해, 예비 배출 트레이(88)가 제공된다. 예비 배출 트레이(88)는 기록 헤드(34)의 노즐 열 방향을 따라 개방된 개구(89)를 구비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시트(42)는 공급 트레이(2)로부터 하나씩 분리되어 공급된다. 이후, 실질적으로 수직 상향으로 공급되는 시트(42)는 가이드 부재(45)에 의해 안내되고, 전사 벨트(51)와 카운터 롤러(46) 사이에서 추가로 공급된다. 이후, 시트(42)의 헤더는 전사 가이드(37)에 의해 추가로 안내되고, 헤드 가압 롤러(49)에 의해 전사 벨트(51)를 향하여 가압되어서, 시트(42)의 전사 방향은 대략 90도로 변화된다.
이후, 플러스 출력과 마이너스 출력을 교대로 반복하는 교류 전압이 대전 롤러(56)에 인가된다. 그 결과, 플러스 전하와 마이너스 전하가 교대로 대전되고 소정의 폭을 갖는 방식으로 부주사 방향(즉, 회전 방향)으로 번갈아가며 밴드 전압 패턴을 갖기 위하여, 전사 벨트(51)는 번갈아가며 대전된다. 시트(42)가 전사 벨트(51) 상에 공급될 때, 시트(42)는 전사 벨트(51)로 이끌려서, 전사 벨트(51)의 회전 운동에 의해 부주사 방향으로 공급된다.
이후, 캐리지(33)를 이동시키고, 화상 신호에 따른 기록 헤드(34)를 구동함으로써, 잉크 방울이 중단 시트(42) 상에 배출되어서 한 줄의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후, 시트(42)는 소정의 거리로 공급되고 다음 줄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시트(42)의 후단이 기록 영역에 도달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 또는 기록 완료 신호를 수신할 때, 기록 작업은 종료되고 시트(42)는 배출 트레이(3)로 배출된다.
한편, 기록 헤드(34)의 노즐을 유지보수 및 복구하기 위하여, 캐리지(33)는 홈 위치로 이동해서, 유지보수 및 복구 메커니즘(81)과 마주하고, 캡 부재(82)에 의한 캡핑(capping)이 수행된다. 그 다음, 노즐을 통한 흡입을 위해 노즐 흡입 작업과 같은 유지보수 작업, 및 화상 형성에 전혀 기여하지 않는 액체 방울을 배출하는 예비 배출 작업이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의 작업에 의하여, 액체 방울을 배출함으로써 화상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서브 탱크(35)의 예를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하나의 노즐 열에 대한 서브 탱크(35)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각각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서브 탱크(35)는 잉크를 저장하는 (일부의) 잉크 수용부(202)를 형성하고, 상기 잉크 수용부(202)의 한쪽에 개구를 갖는 탱크 케이스(201)를 구비한다. 가요성 부재인 가요성 필름(203)으로 잉크 수용부(202)의 개구를 밀봉해서, 잉크 수용부(202)를 형성한다. 또한, 탄성 부재로서 스프링(204)을 탱크 케이스(201)에 배치하여, 가요성 필름(203)이 항상 외부를 향해 편향되게 한다. 탱크 케이스(201)의 가요성 필름(203)에 인가된 편향력이 외부를 향하기 때문에, 탱크 케이스(201)의 잉크 수용부(202)에서 잉크 잔량 감소에 의해 부압이 발생한다.
또한, 탱크 케이스(201)의 외부에는 변위 부재(205)(이하, "필러(filler)"로 단순화될 수 있음)가 있고, 상기 변위 부재(205)는 지지축(206)에 의해 스윙가능하게 지지되는 일 단부측을 갖고, 스프링(210)에 탱크 케이스(201) 측을 향해 편향된다. 변위 부재(205)는 접착제 등에 의해 가요성 필름(203) 상에 고정되어서, 변위 부재(205)는 가요성 필름(203)의 운동에 따라 배치된다. 캐리지(33) 상에 제공된 제 2 감지 유닛(제 2 센서)(301) 및 제 1 감지 유닛(제 1 센서)(251)을 사용한 변위 부재(205)의 감지에 의하여, 서브 탱크(35) 내의 잉크 잔량, 부압 등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제 2 감지 유닛(제 2 센서)(301) 및 제 1 감지 유닛(제 1 센서)은 후술된다.
또한, 탱크 케이스(201)의 상면에는, 잉크 카트리지(10)로부터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개구(209)가 형성되어 잉크 공급 튜브(36)에 연결된다. 또한, 탱크 케이스(201)의 일측 부분 상에는, 서브 탱크(35)의 내부를 대기로 개방하기 위한 대기 개방 메커니즘(207)이 형성된다. 대기 개방 메커니즘(207)은 서브 탱크(35)의 내부와 연통하여 대기 개방 경로(207a)를 개폐하는 밸브 바디(207b), 및 상기 밸브 바디(207b)를 편향시켜서 대기 개방 경로(207a)를 폐쇄하는 스프링(207c)을 구비한다. 밸브 바디(207b)를 가압하기 위해 대기 개방 솔레노이드(203)가 사용될 때, 대기 개방 경로(207a)가 개방되어서, 서브 탱크(35)의 내부는 대기와 연통한다(대기 개방 상태).
또한, 서브 탱크(35)의 잉크 액면 높이를 감지하는 전극 핀(208a 및 208b)이 제공된다. 잉크는 전도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잉크가 전극 핀(208a 및 208b)과 접촉될 때, 전극 핀(208a 및 208b) 사이에 전류가 흐르고, 이에 의해 전극 핀(208a 및 208b) 사이의 저항값을 변화시킨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잉크 액면 높이가 소정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더 작은 경우, 즉 서브 탱크(35) 내의 공기량이 소정의 양과 동일하거나 더 많은 경우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5를 참조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잉크 공급 배출 시스템을 설명한다. 먼저, 잉크 공급 튜브(36)를 통한 공급 유닛(24) 중 유체 공급 유닛인 유체 공급 펌프(241)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이후, "메인 탱크(main tank)"로서 언급될 수 있음)로부터 서브 탱크(35)로 잉크 공급이 수행된다. 유체 공급 펌프(241)는 튜브 펌프와 같은 가역 펌프라서, 유체 공급 펌프(241)는 잉크 카트리지(10)로부터 서브 탱크(35)로 잉크를 공급하는 작업 및 서브 탱크(35)로부터 잉크 카트리지(10)로 다시 잉크를 공급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보수 및 복구 메커니즘(81)은 기록 헤드(34)의 노즐 표면을 캡핑하는 흡입 캡(82a 및 82b)과 연통하는 흡입 펌프(812)를 구비한다. 흡입 펌프(812)를 구동시킴으로써 흡입 튜브를 통해 노즐로부터 잉크를 흡입하여서, 기록 헤드(34)의 노즐 표면이 캡(82a 및 82b)으로 캡핑될 때, 서브 탱크(35) 내의 잉크가 흡입될 수 있다. 흡입된 잉크는 폐수 탱크(813)로 배출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대기 개방 솔레노이드(302)는 장치 메인 바디 측에 배치되어, 서브 탱크(35)의 대기 개방 메커니즘(207)을 개폐하는 가압 부재이다. 대기 개방 솔레노이드(302)를 작동시킴으로써, 대기 개방 메커니즘(207)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변위 부재(205)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감지 유닛으로서 광학 센서인 제 1 센서(251)가 캐리지(33) 상에 제공된다. 또한, 변위 부재(205)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감지 유닛으로서 광학 센서인 제 2 센서(301)가 장치 메인 바디 측에 제공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센서(251) 및 제 2 센서(301)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서브 탱크(35)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공급 동작이 제어된다.
유체 공급 펌프(241), 대기 개방 솔레노이드(302) 및 흡입 펌프(812)를 구동시키는 제어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 동작은 후술하는 제어 섹션(500)에 의해 수행된다.
다음, 도 6을 참조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섹션(500)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6은 전체 제어 섹션(500)의 블럭도이다.
제어 섹션(500)은 전체 장치를 제어하고, CPU(501), ROM(502), RAM(503), 재기록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504) 및 ASIC(505)를 구비한다. CPU(50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ROM(502)은 CPU(501)에 의해 실행된 프로그램 및 기타 데이터를 저장한다. RAM(503)은 화상 데이터 등을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비휘발성 메모리(504)는 장치의 전원이 꺼진 경우에도 데이터를 저장한다. ASIC(505)는 화상 데이터에 대한 각종 신호 처리, 데이터의 순서를 변화시키는 처리와 같은 화상 처리, 및 전체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입출력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 섹션(500)은 프린트 제어 섹션(508), 모터 구동 섹션(510), AC 바이어스 공급 섹션(511), 및 공급 시스템 구동 섹션(512)을 더 구비한다. 프린트 제어 섹션(508)은 기록 헤드(34)를 구동하고 제어하는 구동 신호 발생 유닛 및 데이터 전사 유닛을 구비한다. 모터 구동 섹션(510)은 캐리지(33) 측에 제공된 기록 헤드(34)를 구동시키는 헤드 드라이버(드라이버 IC), 캐리지(33)를 이동시키고 주사하는 주주사 모터(554), 전사 벨트(51)를 회전시키고 이동시키는 부주사 모터(555), 및 유지보수 및 복구 메커니즘(81)의 유지보수 및 복구 모터(556)를 구동시킨다. AC 바이어스 공급 섹션(511)은 대전 롤러(56)에 AC 바이어스를 공급한다. 공급 시스템 구동 섹션(512)은 대기 개방 솔레노이드(302) 및 유체 공급 펌프(241)를 구동시키고, 상기 대기 개방 솔레노이드(302)는 장치 메인 바디 측에 제공되어서, 서브 탱크(35)의 대기 개방 메커니즘(207)을 개폐한다.
또한, 제어 섹션(500)은 장치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고 정보의 입력을 수락하는 작동 패널(514)에 연결된다.
제어 섹션(500)은 호스트 측으로부터 그리고 호스트 측으로 신호 및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호스트 인터페이스("I/F")(506)를 더 포함해서, 제어 섹션(500)의 I/F(506)는 케이블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 화상 스캐너와 같은 화상 판독 장치,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화상 수집 장치 등을 포함하는 호스트(600)로부터 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제어 섹션(500)의 CPU(501)는 I/F(506)의 수신 버퍼에서 프린트 데이터를 판독 및 분석한다. ASIC(505)는 데이터의 순서를 변화시키는 처리 등을 수행하고, 화상 데이터는 프린트 제어 섹션(508)으로부터 헤드 드라이버(509)로 전사된다. 또한, 화상 출력을 위한 도트 패턴 데이터는 호스트(600) 측의 프린터 드라이버(601)에 의해 생성된다.
프린트 제어 섹션(508)은 화상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서 전사하고, 화상 데이터 전사 및 전사의 확정에 필요한 전사 클락 신호, 래치 신호, 제어 신호 등을 출력한다. 또한, 프린트 제어 섹션(508)은 ROM(502)에 저장된 구동 펄스의 패턴 데이터 상에서 D/A 변환을 수행하기 위한 D/A 변환기; 전압 증폭기; 및 전류 증폭기를 포함하는 구동 신호 생성기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구동 펄스를 포함하는 구동 신호를 헤드 드라이버(509)로 출력한다.
헤드 드라이버(509)는 구동 신호의 구동 펄스를 구동 요소(예를 들어, 압전 장치)에 적용함으로써 기록 헤드(34)를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 신호는 기록 헤드(34)의 하나의 라인에 해당하는 화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프린트 제어 섹션(508)으로부터 제공되고, 직렬로 입력되며, 상기 구동 요소는 기록 헤드(34)로부터 액체 방울을 선택적으로 배출한다. 이러한 경우, 구동 신호의 구동 펄스를 선택함으로써, 큰 방울, 중간-크기 방울 및 작은 방울과 같은 상이한 크기의 도트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I/O 섹션(513)[제어 섹션(500) 내의]은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 그룹(515)으로부터 정보를 검색하고, 프린터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는 예를 들어 프린트 제어 섹션(508), 모터 구동 섹션(510), AC 바이어스 공급 섹션(511), 및 서브 탱크(35)에 대한 잉크 공급 제어에 사용된다.
센서 그룹(515)은 상술한 제 1 센서, 제 2 센서 및 감지 전극 핀(208a, 208b)뿐만 아니라, 시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광학 센서, 장치의 온도 및 습도를 모니터링하는 서미스터(주변 온도 센서, 주변 습도 센서), 대전 벨트의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센서, 인터록 스위치 등을 구비한다. I/O 섹션(513)은 다양한 센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다음, 상기 구성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서브 탱크(35)의 부압 형성 동작을 도 7의 (a) 및 도 7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탱크(10)로부터 서브 탱크(35)로 잉크가 공급된 후에, 상술한 바와 같은 서브 탱크(35)로부터 잉크가 흡입되거나, 방울을 배출(화상 형성에 기여하지 않는 방울의 예비 배출)하도록 기록 헤드(34)가 구동되어서, 서브 탱크(35) 내의 잉크량을 감소시킨다. 이를 수행함으로써,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필름(203)은 스프링(204)의 편향력에 저항하여 안쪽으로 변위된다. 그 결과, 스프링(204)의 편향력 때문에, 서브 탱크(35) 내에 부압이 발생된다.
또한, 스프링(204)을 사용하여 서브 탱크(35) 내부를 흡입함으로써, 가요성 필름(203)이 서브 탱크(35) 내부로 당겨진다. 그 결과, 스프링(204)은 더 압축되어 부압이 높아진다.
이 상태에서, 서브 탱크(35) 내부로 잉크가 공급되고, 가요성 필름(203)은 서브 탱크(35)의 외부로 밀려진다. 그 결과, 스프링(204)이 늘어나서 부압이 감소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서브 탱크(35) 내부의 부압을 특정한 범위로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탱크(35) 내의 부압과 서브 탱크(35) 내의 잉크량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 특히, 서브 탱크(35) 내에 잉크량이 많을 때, 서브 탱크(35) 내의 부압은 낮고 약하다. 한편, 잉크량이 적을 때, 서브 탱크(35) 내의 부압은 높고 강하다. 또한, 서브 탱크(35) 내의 부압이 너무 약할 때(낮을 때), 잉크는 기록 헤드(34)로부터 누출될 수 있다. 한편, 부압이 너무 강할 때(높을 때), 공기 또는 먼지가 기록 헤드(34)를 통해 도입될 수 있어서 배출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서브 탱크(35) 내의 부압의 소정의 부압 제어 범위(A)에 상응하여, 잉크량이 서브 탱크 내의 잉크량의 범위(B)에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서브 탱크(35)로의 잉크 공급이 제어된다. 이하에서, 부압 제어 범위(A)의 하한값에 해당하는 서브 탱크(35) 내의 잉크량(즉, 부압값이 작고 잉크량이 많음)은 변위 부재(205)의 변위 위치로서 "탱크 충만 위치(filling full tank position)"로 지칭된다. 한편, 부압 제어 범위(A)의 상한값에 해당하는 서브 탱크(35) 내의 잉크량(즉, 부압값이 크고 잉크량이 적음)은 변위 부재(205)의 변위 위치로서 "잉크 엠프티 위치(ink empty position)"로 지칭된다.
다음, 도 9의 (a) 내지 도 9의 (c)를 참조하여, 서브 탱크(35) 내의 잉크량을 탱크 충만 위치로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에서는, 도 3 및 도 4에서의 서브 탱크(35)와 달리, 서브 탱크(35)를 더욱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먼저, 도 9의 (a)의 상태에서, 대기 개방 메커니즘(207)을 개방함으로써 서브 탱크(35) 내의 부압을 개방한다. 이를 수행함으로써,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탱크(35) 내의 유체 표면이 저하된다. 또한, 이 경우에, 공급 개구 섹션(209)의 공급 개구(209a)는 유체 표면 아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급 개구(209a)가 유체 표면보다 높으면, 공급 개구(209a) 또는 공급 개구 섹션(209)을 통하여 잉크 공급 튜브(36) 내에 공기가 도입될 수 있다. 그 결과, 다음 잉크가 공급될 때, 공급 개구(209a)로부터 잉크와 함께 기포(bubble)가 배출될 수 있다. 잉크 공급이 계속되면, 기포가 대기 개방 메커니즘(207)의 내부에 부착되어서, 밸브의 고착 또는 누출을 초래할 수 있다.
다음, 서브 탱크(35)의 부압이 개방되고 유체 표면이 저하된 후,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300)가 공급된다. 잉크(300)를 공급함으로써, 유체 표면은 상승한다. 이 경우, 전극 핀(208a, 208b)이 소정 높이를 갖는 유체 표면을 감지할 때까지(즉, 유체 표면이 소정의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잉크(300)를 공급한다. 그 후에, 대기 개방 메커니즘(207)을 폐쇄하고 소정의 잉크량을 흡입 또는 배출하고, 부압은 소정의 부압이 된다. 그 결과, 소정의 부압 값이 얻어지는 탱크 충만 위치로, 서브 탱크(35) 내의 잉크량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 도 10의 (a)와 도 10의 (b), 및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d)를 참조하여, 서브 탱크(35)의 변위 부재(205)의 변위량 감지를 설명한다.
먼저, 도 10의 (a) 및 10의 (b)를 참조하여, 장치 메인 바디 측에서 제공되는 제 2 센서[탱크 충만 감지 센서(full tank detection sensor)](301)만을 사용하여 변위량을 감지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센서(301)가 서브 탱크(35)의 변위 부재(205)를 감지하는 경우 캐리지(33)의 위치(캐리지 위치: 리니어 인코더(90)에 의해 얻어짐)가 저장된다. 다음,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 부재(205)가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캐리지가 변위 부재(205)를 감지할 때까지 캐리지(33)를 이동시킴으로써, 저장된 캐리지 위치로부터의 차에 기초한 변위량(캐리지 이동량)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서브 탱크(35)의 잉크량을,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은 탱크 충만 위치로 설정하기 위하여, 대기 개방 메커니즘(207)을 개방해서 서브 탱크(35) 내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배출한 후, 전극 핀(208)이 유체 표면을 감지하고 대기 개방 메커니즘(207)이 폐쇄되는 소정의 위치로 유체 표면이 상승될 때까지 잉크가 공급된다. 그 후, 캐리지(33)가 주사되어서, 제 2 센서(301)에 의해 변위 부재(205)를 감지한다. 그후, 제 2 센서(301)가 변위 부재(205)를 감지한 캐리지 위치를 대기 개방 위치로서 저장한다. 다음, 기록 헤드(34)로부터 소정의 잉크량이 흡입 또는 배출되어서, 서브 탱크(35)로부터 소정의 잉크량이 흡입된다. 이를 수행함으로써, 부압이 발생되고, 변위 부재(205)의 위치는 탱크 충만 위치로서 저장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대기 개방된 위치에서 소정의 잉크량이 흡입되고, 탱크 충만 위치에서 변위 부재(205)의 위치는 대기 개방된 위치에서 변위 부재(205)의 위치 내부에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서브 탱크(35)의 탱크 충만 위치로 잉크가 공급될 때, 서브 탱크(35)의 변위 부재(205)의 변위량을 감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제 2 센서(301)가 변위 부재(205)를 감지하기 위해서, 그 때마다 캐리지(33)가 이동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메인 바디 측에 제공된 제 2 센서(301)와 함께, 서브 탱크(35)의 변위 부재(205)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센서(251)가 캐리지(33) 상에 제공된다.
즉, 장치 메인 바디 측의 제 2 센서(301)가 변위 부재(205)를 감지하는 위치를 제 2 위치라 하고, 제 2 위치는 탱크 충만 위치이다. 한편, 캐리지(33) 측의 제 1 센서(251)가 변위 부재(205)를 감지하는 위치를 제 1 위치라 한다. 제 1 위치에서 남은 잉크량은 제 2 위치에서 남은 잉크량보다 적은 것으로 상정한다.
즉, 본원에서, 변위 부재(205)가 소정의 제 1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캐리지(33)에 제 1 감지 유닛(제 1 센서)이 장착된다. 한편, 캐리지가 소정의 감지 위치(탱크 충만 감지 위치)에서 정지하고 유체가 메인 탱크(10)로부터 서브 탱크(35)로 공급될 때, 변위 부재(205)는 소정의 제 2 위치(탱크 충만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장치 메인 바디(1)에 제 2 감지 유닛(제 2 센서)이 장착된다. 또한, 제 1 위치에서 남은 잉크량은 제 2 위치에서 남은 잉크량보다 적은 것으로 상정한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탱크(35)의 잉크량을 탱크 충만 위치로 설정(즉, 탱크 충만 위치까지 잉크가 공급됨)하기 위하여, 변위 부재(205)가 제 2 센서(301)에 의해 감지된 대기 개방된 위치에서,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탱크 충만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캐리지(33)는 감지 위치로 이동된다. 그후,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 부재(205)가 제 1 센서(251)에 의해 감지된 위치를 변위 부재(205)가 통과할 때까지, 서브 탱크(35)로부터 메인 탱크(10) 측으로 잉크를 흡입하기 위하여, 유체 공급 펌프(241)가 역방향으로 구동된다. 그후, 메인 탱크(10)로부터 서브 탱크(35)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하여 유체 공급 펌프(241)가 정상적으로 구동되고, 도 1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센서(301)가 (탱크 충만 위치에서) 변위 부재(205)를 감지할 때 잉크 공급이 중지된다.
이러한 경우, 제 1 센서(251)가 변위 부재(205)를 감지할 때부터 제 2 센서(301)가 변위 부재(205)를 감지할 때까지, 유체 공급 펌프(241)에 의한 유체 공급량을 감지함으로써, 제 1 센서(251)의 감지 위치로부터 제 2 센서(301)의 감지 위치로의 변위 부재(205)[가요성 필름(203)]의 변위량인 변위량(C)를 얻을 수 있다. 이 변위량(C)에 해당하는 공급량이 차등 공급량이다. 따라서, 공급량은 차등 공급량으로서 저장된다.
이러한 경우, 제 1 센서(251)가 변위 부재(205)를 감지할 때부터 제 2 센서(301)가 변위 부재(205)를 감지할 때까지의 시간[유체 공급 펌프(241)의 구동 시간] 또는 회전수[유체 공급 펌프(241)에 의해 구동된 회전수]로서 변위량(C)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먼저, 차등 공급량[변위량(C)]을 얻어 저장한다. 그후, 캐리지(33)를 주사하는 도중에 소정의 잉크량이 배출된 것을 감지하는 경우(즉, 잉크 소비량이 소정량 이상인 때), 메인 탱크(10)로부터 서브 탱크(35)로 잉크를 공급하고, 제 1 센서(251)가 변위 부재(205)를 감지한 이후 차등 공급량의 잉크를 더 공급함으로써, 탱크 충만 위치까지 잉크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센서(251)에 의한 감지는 위치를 감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잉크 배출량의 감지 오차 및 유체 공급 펌프(241)의 유체 공급량의 감지 오차를 포함하는 누적된 오차는 제 1 센서(251)에 의한 감지시에 상쇄될 수 있다. 따라서, 감지 오차는 누적되지 않을 수 있어서, 캐리지의 주사 동작 중에도 잉크 배출 및 잉크 공급이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절차를 반복함으로써, 인쇄 작업을 중단하지 않고 항상 서브 탱크(35)의 탱크 충만 위치로 잉크를 공급할 수 있고, 인쇄 속도 및 인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제 1 센서 및 제 2 센서의 다른 예시적 배열을 설명한다.
도 12는, 서브 탱크(35)의 변위 부재(205)가 지지축(스윙가능한 지지점)(206)에 의해 스윙가능하게 지지되고, 2개의 감지 섹션(205a, 205b)이 지지축(206)으로부터 연장되고 서로 다른 길이를 가져서, 캐리지(33) 상의 제 1 센서(251) 및 장치 메인 바디 측의 제 2 센서(301)가 감지 섹션(205a, 205b)을 각각 감지하는 예시적 구성을 나타낸다.
도 13은, 서브 탱크(35)의 변위 부재(205)가 지지축(스윙가능한 지지점)(206)에 의해 스윙가능하게 지지되고, 2개의 감지 섹션(205a, 205b)이 지지축(206)으로부터 연장되고 동일한 길이를 가져서, 캐리지(33) 상의 제 1 센서(251) 및 장치 메인 바디 측의 제 2 센서(301)가 감지 섹션(205a, 205b)을 각각 감지하는 또 다른 예시적 구성을 나타낸다.
다음, 감지된 변위량(C)에 따라 인쇄 작업 중에 서브 탱크(35)로의 공급 잉크량을 설명한다.
이러한 경우, 감지된 변위량(C)이 유체 공급 펌프(241)가 거의 구동하지 않는 소정의 하한값 이하이면, 인쇄 작업 중에 유체가 공급될 때, 제 1 센서(251)에 의한 변위 부재(205)의 감지 후의 차등 공급량이 소정의 하한값에 해당하는 양으로 설정된다. 한편, 감지된 변위량(C)이 소정의 상한값 이상이면, 제 1 센서(251)에 의해 변위 부재(205)가 감지된 후의 차등 공급량이 소정의 상한값으로 설정된다.
다음, 도 14 및 도 1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동작의 제어를 설명한다.
먼저, 차등 공급량 감지 공정에서, 캐리지는 홈 위치로 이동한다. 캡(82a)을 사용하여 캡핑을 수행한다. 서브 탱크(35)의 대기 개방 메커니즘(207)이 개방된다. 전극 핀(208a, 208b)으로 유체 표면을 감지하면서, 메인 탱크(10)로부터 서브 탱크(35)로 잉크를 공급하는 대기 개방 충전을 수행한다.
그 후에, 서브 탱크(35)의 대기 개방 메커니즘(207)을 폐쇄한다. 캐리지(33)를 이동시켜 이동량을 감지하면서, 제 2 센서(301)에 의해 서브 탱크(35)의 변위 부재(205)를 감지하고, 탱크 충만 위치를 연산한다.
다음, 캐리지(33)를 탱크 충만 위치로 이동시킨다. 서브 탱크(35)의 내부에서 흡입되도록 유체 공급 펌프(241)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서브 탱크(35)의 변위 부재(205)가 제 1 센서(251)를 통과할 때까지 흡입을 계속한다.
그 후에, 메인 탱크(10)로부터 서브 탱크(35)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하여, 유체 공급 펌프(241)를 정상적으로 구동시킨다. 제 1 센서(251)가 서브 탱크(35)의 변위 부재(205)를 감지할 때까지 잉크를 공급한다. 제 2 센서(301)가 서브 탱크(35)의 변위 부재(205)를 감지할 때까지 잉크를 더 공급한다. 그 다음, 유체 공급 펌프(241)를 멈춘다.
그 다음, 제 1 센서(251)가 서브 탱크(35)의 변위 부재(205)를 감지할 때부터 제 2 센서(301)가 서브 탱크(35)의 변위 부재(205)를 감지할 때까지의 유체 공급량[예, 유체 공급 펌프(241)의 구동 시간 또는 회전수]을 산출한다.
산출된 유체 공급량이 소정의 하한값 이하이면, 소정의 하한값을 차등 공급량으로 저장한다. 한편, 산출된 유체 공급량이 소정의 상한값 이상이면, 소정의 상한값을 차등 공급량으로 저장한다. 산출된 유체 공급량이 소정의 하한값과 소정의 상한값 사이의 범위에 있는 경우, 산출된 유체 공급량을 차등 공급량으로 저장한다.
이렇게 하여, 제 2 센서(301)의 감지 위치가 탱크 충만 위치가 되는 위치에서 캐리지(33)를 정지시킨다. 메인 탱크(10)로부터 서브 탱크(35)로 잉크를 공급한다. 제 1 센서(251)가 변위 부재(205)를 감지할 때부터 제 2 센서(301)가 변위 부재(205)를 감지할 때까지 변위 부재(205)의 변위량에 해당하는 차등 공급량을 감지하고 저장한다.
다음, 도 15를 참조하여, 인쇄 작업 도중 잉크 공급 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서브 탱크(35)의 잉크 소비량을 산출한다. 이러한 잉크 소비량의 계산은, 예를 들어 화상 형성을 위해 배출된 방울 수 및 예비 충전 동작을 위해 배출된 방울 수를 계산하고, 계산된 값을 방울의 방울양에 곱함으로써, 이론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기록 헤드(34)로부터 잉크를 흡입하는 세정 작업을 수행할 때, 세정 작업으로 인한 흡입량을 추가해야 한다. 이것은 세정 작업으로 인한 소비량(흡입량)이 미리 정해져 있기 때문에다.
그후, 탱크 충만 위치에서의 잉크량 및 잉크 소비량에 기초하여 계산된 남은 잉크량이 소정의 값에 도달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남은 잉크량이 소정의 값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 때, 메인 탱크(10)로부터 서브 탱크(35)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하여, 유체 공급 펌프(241)를 정상적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시킨다. 이러한 경우, 제 1 센서(251)가 서브 탱크(35)의 변위 부재(205)를 감지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 1 센서(251)가 서브 탱크(35)의 변위 부재(205)를 감지한 것으로 판단된 때에는, 그때부터, 잉크의 차등 공급량을 서브 탱크(35)로 더 공급한다. 이를 수행함으로써, 서브 탱크(35)에서 탱크 충만 위치로 잉크를 공급한다.
그 후에, 유체 공급 펌프(241)를 중지하고, 잉크 소비량의 계산값을 재설정한다.
이렇게 하여, 인쇄 동작 중에도, 캐리지(33)를 홈 위치로 되돌리지 않고 서브 탱크(35)에서 탱크 충만 위치로 잉크를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탱크에는, 상기 서브 탱크의 잉크 잔량에 따라 변위되는 변위 부재가 장착된다. 또한, 캐리지에는, 변위 부재가 제 1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 1 감지 유닛이 장착된다. 한편, 장치 메인 바디에는, 변위 부재가 제 2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 2 감지 유닛이 장착된다. 제 1 위치는 서브 탱크의 잉크 잔량이 제 2 위치에서의 잉크 잔량보다 적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 1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된 위치와 제 2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된 위치 사이에서 변위 부재의 변위량에 해당하는 차등 공급량을 감지하고 저장한다. 제 2 감지 유닛을 사용하지 않고 유체를 메인 탱크로부터 서브 탱크로 공급하는 경우에, 제 1 감지 유닛이 변위 부재를 감지한 후, 차등 공급량의 액체를 서브 탱크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캐리지의 이동 중에도 메인 탱크로부터 서브 탱크로 적절한 양의 잉크를 공급할 수 있으며, 인쇄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캐리지(33) 상의 제 1 센서(251)만을 사용하여 감지하지 않고, 장치 메인 바디 측에 제 2 센서를 제공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먼저, 서브 탱크가 탱크 충만으로 되는 위치는 환경적 조건에 따라 다르고, 캐리지(33) 상에 탑재된 단지 하나의 제 1 센서(251)는 단지 하나의 점 위치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적 조건에 따른 변화량을 파악할 수(얻을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장치 메인 바디 측에 제 2 센서(301)를 제공함으로써, 캐리지(33)를 이동시켜서 대기 개방된 위치 및 탱크 충만 감지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캐리지(33) 상에 고정된 감지 점과 캐리지(33)를 이동함으로써 이동가능한 감지 위치인 감지 점 사이의 거리는 펌프의 시간 또는 회전수로서 감지된다. 한편, 두 점 사이의 거리는 캐리지의 이동에 의한 인코더 카운트에 기초하여 감지될 수 있다. 따라서, 환경에 따라 공급량 제어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캐리지(33) 상에서만 모든 변위를 감지하도록 센서 및 인코더가 제공된다면, 감지 유닛의 비용이 증가되고 캐리지의 크기도 커져서, 장치의 크기를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유체 공급 펌프의 유체 공급량(공급량 및 흡입량)은 환경, 시간의 경과, 펌프 부품의 차이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 메인 바디 측의 제 2 센서(301)에 의한 감지 위치로 펌프 공급량을 감지할 필요가 있고, 상기 펌프 공급량은 센서를 사용하는 위치 감지에 기초한 환경에 따라 변화한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유체 공급 펌프의 구동량에만 기초하여 제어가 수행된다면, 공급 과잉 또는 공급 부족과 같은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장치 메인 바디 측에 제 2 센서(301)가 제공되어서, 제어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다.
다음, 도 16의 (a) 내지 도 16의 (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6의 (a) 내지 도 16의 (c)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제 1 센서(251)에 의해 감지된 변위 부재(205)의 위치와 제 2 센서(301)에 의해 감지된 변위 부재(205)의 위치 사이의 변위량에 해당하는 차등 공급량을 감지하는 방법으로서,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센서(301)가 변위 부재(205)를 감지할 수 있도록 캐리지(33)를 이동시킨다. 그 다음,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 부재(205)가 대기 개방된 위치 및 탱크 충만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 1 센서(251)가 변위 부재(205)를 감지할 때까지 잉크를 흡입하기 위하여, 유체 공급 펌프(241)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킨다. 그 다음, 유체 공급 펌프(241)를 중지하고, 도 1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센서(251)가 변위 부재(205)를 감지한 상태에서, 캐리지(33)를 제 2 센서(301)가 변위 부재(205)를 감지할 때까지 이동시킨다. 리니어 인코더(90)를 사용하여 이동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대기 개방된 위치 또는 탱크 충만 감지 위치로부터 제 1 센서(251)가 변위 부재(205)를 감지할 때까지 가요성 필름(203) 또는 변위 부재(205)의 변위량을 감지하고, 변위량에 해당하는 차등 공급량을 측정한다.
다음,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서브 탱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8은 습도값과 변위 부재의 변위량 사이의 예시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다. 화상 형성 장치의 주위 환경에 따라 서브 탱크(35)의 가요성 필름(203)이 변위될 수 있다. 특히, 가요성 필름(203)은 습도 변화와 같은 환경 변화에 따라 확장되거나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낮은 습도 10%RH에서 변위 부재(205)의 탱크 충만 위치는 위치(D)로 설정된다. 그 다음, 습도를 높은 습도 80%RH까지 상승시키고, 가요성 필름(203)을 신장시켜서, 변위 부재(205)는 위치(E)로 변위된다(도 17 참조).
즉, 주위 환경의 변화 때문에, 도 18에 도시된 변위 부재(205)의 대기 개방된 위치(F) 및 탱크 충만 위치(G)가 변할 것이다.
따라서, 가요성 필름(203)이 주어진 환경 하에서 가장 수축되는 상태에 해당하는 소정의 감지 위치에 제 1 센서(251)를 설치한다. 예를 들어, 탱크 충만 위치(D)에서 제 1 센서(251)가 최저 습도 환경 하에서도 변위 부재(205)를 감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 1 센서(251)를 설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탱크 충만 위치(D)에서의 제 1 센서(251)가 최저 습도 환경 하에서 변위 부재(205)를 감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 1 센서(251)를 설치하는 경우에, 잉크 공급으로 인하여 변위 부재(205)가 탱크 충만 위치(D)로 변위될 때, 제 1 센서(251)는 변위 부재(205)를 감지하고 제 2 센서(301)도 변위 부재(205)를 감지한다(변위량 C=0). 한편, 탱크 충만 위치(E)에서의 제 1 센서(251)가 높은 습도 환경 하에서 변위 부재(205)를 감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 1 센서(251)를 설치하는 경우에, 제 1 센서(251)가 먼저 변위 부재(205)를 감지하고 제 2 센서(301)가 변위 부재(205)를 감지한다.
이러한 경우, 제 1 센서(251)에 의한 감지로부터 제 2 센서(301)에 의한 감지까지의 변위량(C)(max)을 저장하면, 인쇄 작업 도중에도 제 1 센서(251)의 감지 위치로부터의 변위량(C)에 해당하는 잉크를 공급함으로써, 환경에 상응하여 적합한 탱크 충만 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변위량(C)을 다시 측정(감지)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주위 환경을 감지하는 습도 감지 유닛을 사용함으로써, 변위량(C)이 저장될 때의 습도와 현재 습도의 차가 소정의 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그 다음, 습도 차가 소정의 값 이상일 때, 변위량(C)을 측정하고 저장한다.
또한, 환경 온도 변화로 인하여 가요성 필름(203)이 신축되는 경우에, 가요성 필름(203)이 소정의 환경 온도 하에서 가장 압축되는 상태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 1 센서(251)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주변 환경을 감지할 때까지 온도 감지 유닛을 사용함으로써, 변위량(C)이 저장된 온도와 현재 온도의 차가 소정의 값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 다음, 온도 차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변위량(C)을 측정하고 저장한다.
또한, 인쇄 도중 급격한 환경 변화에 따른 영향, 또는 잉크 배출량의 감지에서 예측된 것보다 많은 감지 오류 및 유체 공급 펌프(241)에 의한 유체 공급량의 감지에서 예측된 것보다 많은 감지 오류와 같은 예기치 못한 오류로 인하여, 제 1 센서(251)의 감지 위치(H) 및 배출량에 기초한 소정량 소모 감지 위치(I)는 그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소정량 소모 감지 후에 탱크 충만 위치로 잉크를 공급할 때, 제 1 센서(251)에 의해 변위 부재(205)를 감지하지 않고 잉크를 계속해서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 서브 탱크(35) 내에 잉크가 과도하게 저장될 수 있고, 서브 탱크(35)의 손상 또는 잉크 누출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정량 소모 감지 위치(I)가 배출량 감지에 의해 감지된 경우에, 변위 부재(205)가 제 1 센서(251)에서 통과하지 않고 제 1 센서(251)에 의해 감지되지 않을 때에는, 제 1 센서(251)가 변위 부재(205)를 감지할 때까지 잉크를 배출한다. 그 다음, 제 1 센서(251)가 변위 부재(205)를 감지한 후에, 변위량(C)에 해당하는 잉크를 공급한다.
이러한 경우, 이러한 동작을 소정의 횟수로 반복한 것을 감지할 때, 인쇄 작업을 중단하고, 상태를 다시 탱크 충만 위치로 설정하고 변위량(C)을 다시 감지한다.
다음, 도 20, 도 21의 (a) 및 도 21의 (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0은 캐리지의 주사 동안 서브 탱크(35) 내의 압력 변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1의 (a) 및 도 21의 (b)는 캐리지 주사 방향 및 변위 부재(205)의 경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33)가 그 이동 방향을 전진에서 후진으로 그리고 후진에서 전진으로 변화시킬 때마다, 캐리지의 이동 속도가 감소 및 증가하기 때문에, 캐리지(33)가 앞뒤로 이동할 때, 서브 탱크(35) 내의 압력은 변동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체 공급 펌프(241)로부터 서브 탱크(35)로 잉크를 공급할 때, 잉크 공급 압력 및 캐리지 구동 압력이 동시에 서브 탱크(35)로 인가될 수 있고, 서브 탱크(35) 내의 부압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캐리지(33)의 주사 도중에 서브 탱크(35) 내에 잉크를 공급할 때, 적은 캐리지 구동 압력을 일으키는 일정한 속도로 캐리지를 주사하는 동안 잉크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한 속도로 잉크를 공급할 때, 변위 부재(205)의 거동은 가속 또는 감속 시보다 작다. 따라서, 일정한 속도로 잉크가 공급될 때, 제 1 센서(251)에 의한 잘못된 감지를 피할 수 있다.
또한, 캐리지(33)의 주사 방향에 따라, 서브 탱크(35)의 가요성 필름(203)에 압착(press-contact)되는 변위 부재(205)의 거동이 변할 수 있다. 즉, 도 21의 (a) 및 2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 부재(205)가 압착되는 가요성 필름(203)에 대한 경사 방향으로 변위 부재(205)가 편향되기 때문에, 캐리지(33)의 주사 방향 측에 제공된 변위 부재(205)의 거동은 작아진다. 한편, 변위 부재(205)는 가요성 필름(203)으로부터 분리 방향으로 편향되기 때문에, 캐리지(33)의 주사 방향 측과 반대 측에 제공된 변위 부재(205)의 거동은 크다.
따라서, 캐리지의 주사 도중에 서브 탱크(35)로 잉크를 공급할 때, 캐리지(33)의 주사 방향 측에 제공된 가요성 필름(203)[변위 부재(205)]을 갖는 서브 탱크(35)로 잉크를 공급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여, 주사 작업 도중에도 서브 탱크 내의 부압을 안정화시키면서 잉크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서브 탱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리니어 인코더(260)를 사용한다. 제 1 센서(251)로서, 인코더 스케일(261)이 변위 부재(205) 상에 제공된다. 한편, 인코더 스케일(261)을 판독하기 위한 인코더 센서(262)가 캐리지 측에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져서, 제 2 센서(301)가 변위 부재(205)를 감지할 때까지 변위 부재(205)의 거리(변위량)를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서브 탱크(35)의 가요성 필름(203)의 변위에 의한 변위량(C)을 얻을 수 있어서, 서브 탱크(35)의 잉크 용량(양)을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서브 탱크로 잉크 공급 동작의 제어(처리)는 ROM(502)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컴퓨터로 실행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정보 처리 장치[호스트(600)] 측에 다운로드된 후에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정보 처리 장치 또는 화상 형성 장치,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를 조합시켜서, 화상 형성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완전하고 명확한 개시내용을 위해 특정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이것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명세서에 제시된 기본적인 교시 내에 명확하게 포함되는, 당업자가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변형 및 대체적인 구성을 구현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편입되는 2010년 3월 12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10-056534호의 우선권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그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10: 잉크 카트리지(메인 탱크)
33: 캐리지
34, 34a, 34b: 기록 헤드(액체 배출 헤드)
35: 서브 탱크
81: 유지보수 및 복구 메커니즘
201: 탱크 케이스(액체 수용부)
203: 가요성 부재(가요성 필름)
205: 변위 부재(필러)
251: 제 1 센서(제 1 감지 유닛)
301: 제 2 센서(제 2 감지 유닛)
500: 제어 섹션

Claims (11)

  1.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장치 메인 바디;
    액체 방울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기록 헤드(34);
    상기 기록 헤드(34)에 공급되는 액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서브 탱크(35);
    상기 기록 헤드(34) 및 상기 서브 탱크(35)가 탑재된 캐리지(33);
    상기 서브 탱크(35)에 공급되는 액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메인 탱크(10);
    상기 메인 탱크(10)로부터 상기 서브 탱크(35)로 상기 액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유체 공급 유닛(241);
    상기 서브 탱크(35)에 있고, 미리 결정된 제 1 위치에서의 남아있는 양이 미리 결정된 제 2 위치에서의 남아있는 양보다 적도록, 상기 서브 탱크(35) 내에 남아있는 양에 따라서 위치가 변위하도록 구성되는 변위 부재(205);
    상기 장치 메인 바디에 있고, 상기 변위 부재(205)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제 2 위치에 있는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 2 감지 유닛(301);
    상기 캐리지(33)에 있고, 상기 변위 부재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제 1 위치에 있는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 1 감지 유닛(251); 및
    상기 변위 부재(205)의 변위량에 해당하는 상기 액체의 차등 공급량(differential supply amount)을 감지하고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캐리지(33)가 이동하고 있을 때, 화상을 형성하는 동안에 상기 제 2 감지 유닛(301)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메인 탱크(10)로부터 상기 서브 탱크(35)로 액체가 공급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감지 유닛(251)이 상기 변위 부재(205)를 감지한 후에 상기 서브 탱크(35)로 상기 액체의 차등 공급량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유체 공급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섹션(500)
    을 포함하고,
    상기 변위량은 상기 제 1 감지 유닛(251)에 의해 감지된 위치와 상기 제 2 감지 유닛(301)에 의해 감지된 위치의 차에 해당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등 공급량의 공급 제어는 상기 유체 공급 유닛(241)의 구동 시간에 기초하여 수행되며, 상기 구동 시간은 상기 미리 결정된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미리 결정된 제 2 위치로 상기 변위 부재(205)를 이동시키는데 요구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등 공급량의 공급 제어는 상기 유체 공급 유닛(241)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수행되며, 상기 회전수는 상기 미리 결정된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미리 결정된 제 2 위치로 상기 변위 부재(205)를 이동시키는데 요구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등 공급량의 공급 제어는 상기 변위 부재(205)의 감지된 변위량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환경 온도 및 환경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된 결과와 미리 결정된 임계값 사이의 차가 미리 결정된 값과 동일하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크다고 판단될 때, 상기 차등 공급량이 감지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환경 온도 및 환경 습도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결정된 값에 해당할 때, 상기 미리 결정된 제 1 위치에서 상기 변위 부재(205)의 변위량은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있고, 상기 변위량은 상기 미리 결정된 제 1 위치와 상기 미리 결정된 제 2 위치 사이의 차에 해당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감지 유닛(301)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메인 탱크(10)로부터 상기 서브 탱크(35)로 액체가 공급되는 경우는, 상기 기록 헤드(34)로부터 배출된 배출량이 미리 결정된 양을 초과하는 경우인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헤드(34)로부터 배출된 배출량이 미리 결정된 양을 초과하더라도 상기 제 1 감지 유닛(251)이 상기 변위 부재(205)를 감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 1 감지 유닛(251)이 상기 변위 부재(205)를 감지할 때까지 액체를 배출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감지 유닛(301)이 상기 변위 부재(205)를 감지할 때까지 액체를 배출하도록 제어를 수행한 횟수가 미리 결정된 횟수를 초과할 때, 상기 기록 헤드(34)로부터의 배출이 중지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33)의 주사 중에, 상기 캐리지(33)의 주사 방향이, 상기 서브 탱크(35)의 변위 부재(205)가 이동하는 방향의 전방 측을 향하는 방향과 상응하는 동안에, 상기 서브 탱크(35)에 잉크가 공급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등 공급량이 감지될 때, 상기 제 1 감지 유닛(251)이 상기 변위 부재(205)를 감지할 때까지 상기 서브 탱크(35)로부터 상기 메인 탱크(10)로 유체를 흡입시킴으로써 상기 변위 부재(205)가 변위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27023143A 2010-03-12 2011-03-03 화상 형성 장치 KR101396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56534 2010-03-12
JPJP-P-2010-056534 2010-03-12
PCT/JP2011/055565 WO2011111759A1 (en) 2010-03-12 2011-03-03 Image form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863A KR20120112863A (ko) 2012-10-11
KR101396417B1 true KR101396417B1 (ko) 2014-05-19

Family

ID=44563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143A KR101396417B1 (ko) 2010-03-12 2011-03-03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752923B2 (ko)
EP (1) EP2544898B1 (ko)
JP (1) JP5499989B2 (ko)
KR (1) KR101396417B1 (ko)
CN (1) CN102791490B (ko)
AU (1) AU2011225211B2 (ko)
ES (2) ES2543577T3 (ko)
WO (1) WO20111117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4706A1 (en) * 2008-12-19 2010-06-24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applying apparatus
JP5499989B2 (ja) 2010-03-12 2014-05-2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EP2605912B1 (en) * 2010-08-18 2016-06-29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5874898B2 (ja) * 2010-12-17 2016-03-0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040526B2 (ja) 2011-06-03 2016-12-0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807406B2 (ja) * 2011-06-28 2015-11-1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849642B2 (ja) * 2011-09-06 2016-01-2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899869B2 (ja) 2011-11-25 2016-04-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906701B2 (ja) * 2011-12-05 2016-04-2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919779B2 (ja) 2011-12-08 2016-05-1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942450B2 (ja) * 2012-02-06 2016-06-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装着部材、装着部材を備える液体容器、及び、液体供給システム
JP5891864B2 (ja) * 2012-03-13 2016-03-2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011005B2 (ja) * 2012-04-26 2016-10-1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995187B2 (ja) 2012-05-31 2016-09-2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036038B2 (ja) * 2012-09-07 2016-11-3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166892B2 (ja) * 2012-12-17 2017-07-19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及び液体供給装置
US9443714B2 (en) 2013-03-05 2016-09-13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ubstrate edge cleaning
JP6224934B2 (ja) * 2013-07-17 2017-11-01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
JP2015051577A (ja) * 2013-09-06 2015-03-1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197588B2 (ja) * 2013-11-07 2017-09-20 株式会社リコー 吐出ヘッド回復方法、液滴吐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471844B2 (ja) 2013-12-10 2019-02-2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343977B2 (ja) * 2014-03-11 2018-06-2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9399359B2 (en) 2014-11-04 2016-07-26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witching member
BR112017008529B1 (pt) * 2015-01-29 2022-0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étodo, mídia legível por computador não transitória e sistema de impressão
JP5951091B1 (ja) * 2015-08-28 2016-07-13 ローランドディー.ジー.株式会社 ダンパー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液体供給システム、並びに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2017081020A (ja) * 2015-10-28 2017-05-18 株式会社リコー 液体を吐出する装置
JP6686381B2 (ja) 2015-11-16 2020-04-22 株式会社リコー 液体収容容器、液体を吐出する装置
US20180311965A1 (en) * 2016-01-22 2018-11-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uid supply assembly
WO2017131677A1 (en) * 2016-01-27 2017-08-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uid supply assembly
JP7246953B2 (ja) * 2019-02-12 2023-03-28 ローランドディー.ジー.株式会社 インク供給システム、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およびポンプの状態検出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463711B2 (ja) 2019-12-17 2024-04-09 株式会社リコー 液体収容容器、液体を吐出する装置
JP7447557B2 (ja) 2020-03-05 2024-03-12 株式会社リコー プラテン、印刷装置
JP7432117B2 (ja) * 2020-09-30 2024-02-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JP2022058003A (ja) * 2020-09-30 2022-04-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JP2022085463A (ja) 2020-11-27 2022-06-0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167234A (ja) * 2021-04-22 2022-11-04 株式会社リコー 液体供給装置、液体吐出装置及び液体供給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6049A (ja) * 2007-11-22 2009-06-1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9326A (ja) 1990-01-24 1991-09-26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比較回路
JPH04155879A (ja) 1990-10-18 1992-05-28 Nec Corp 3―v化合物半導体表面の不動態化方法
JPH04190001A (ja) 1990-11-26 1992-07-08 Toshiba Corp 汽力発電所におけるクリンアップ法
JP2857507B2 (ja) 1991-03-26 1999-02-17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の張力調整装置
JP3219326B2 (ja) 1992-12-21 2001-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物の製法と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ES2236996T3 (es) 1993-05-26 2005-07-16 Canon Kabushiki Kaisha Aparato para la impresion por chorros de tinta.
JP2001126834A (ja) * 1999-10-25 2001-05-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ねじ込みソケット
JP2001287380A (ja) * 2000-02-01 2001-10-16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ATE269788T1 (de) 1999-11-05 2004-07-15 Seiko Epson Corp Tintenstrahlaufzeichnungsvorrichtung
JP2001162834A (ja) * 1999-12-13 2001-06-19 Canon Inc インク供給装置およびインク供給方法
JP4190001B2 (ja) 2003-08-08 2008-12-0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155879B2 (ja) 2003-06-25 2008-09-24 株式会社リコー 液体容器、液体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WO2005000684A2 (en) 2003-06-25 2005-01-06 Ricoh Company, Ltd. Liquid container, sub tank, liquid discharge apparatus, liquid supply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JP4298474B2 (ja) 2003-11-07 2009-07-22 株式会社リコー 液体容器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803108B2 (ja) * 2005-01-14 2006-08-02 シャープ株式会社 流体吐出装置、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および流体吐出装置の制御方法
JP4707482B2 (ja) 2005-07-06 2011-06-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負圧維持制御方法
JP2007050565A (ja) * 2005-08-16 2007-03-01 Fujifilm Corp インク供給装置、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07130979A (ja) 2005-11-14 2007-05-3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7136807A (ja) * 2005-11-17 2007-06-07 Canon Inc インク供給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WO2008038796A1 (fr) 2006-09-29 2008-04-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artouche de liquide et système d'impression
JP4539645B2 (ja) * 2006-11-30 2010-09-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システム
JP4806616B2 (ja) * 2006-09-29 2011-11-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988316B2 (ja) 2006-11-28 2012-08-01 株式会社リコー 記録ヘッドの主走査位置ズレ検出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265125A (ja) * 2007-04-19 2008-11-06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5033647B2 (ja) * 2007-06-20 2012-09-2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9023092A (ja) 2007-07-17 2009-02-0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プログラム
JP4939377B2 (ja) * 2007-11-14 2012-05-2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246585B2 (ja) * 2008-05-14 2013-07-2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負圧再形成方法
JP5239899B2 (ja) * 2008-07-29 2013-07-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413016B2 (ja) 2008-07-31 2014-02-12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の洗浄方法、基板の洗浄装置及び記憶媒体
JP5560717B2 (ja) 2010-01-07 2014-07-30 株式会社リコー 液体供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499989B2 (ja) 2010-03-12 2014-05-2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6049A (ja) * 2007-11-22 2009-06-1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91490B (zh) 2015-05-27
ES2543577T3 (es) 2015-08-20
JP2011207206A (ja) 2011-10-20
CN102791490A (zh) 2012-11-21
EP2544898A1 (en) 2013-01-16
ES2592718T3 (es) 2016-12-01
AU2011225211B2 (en) 2013-06-27
EP2544898A4 (en) 2013-08-28
WO2011111759A1 (en) 2011-09-15
US20130135368A1 (en) 2013-05-30
US8926076B2 (en) 2015-01-06
EP2544898B1 (en) 2015-05-06
US20130044148A1 (en) 2013-02-21
KR20120112863A (ko) 2012-10-11
US8752923B2 (en) 2014-06-17
AU2011225211A1 (en) 2012-08-23
JP5499989B2 (ja)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417B1 (ko) 화상 형성 장치
JP6040526B2 (ja) 画像形成装置
JP5899869B2 (ja) 画像形成装置
JP5874898B2 (ja) 画像形成装置
JP5919779B2 (ja) 画像形成装置
JP4939377B2 (ja) 画像形成装置
US852333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807406B2 (ja) 画像形成装置
JP5246585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負圧再形成方法
US885159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recording head and head tank
EP260591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1183617A (ja) 画像形成装置
US847493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80345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2121215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000584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液体収容容器
JP463293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03648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液体収容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