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945B1 - 탄성 삽입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 Google Patents

탄성 삽입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945B1
KR101364945B1 KR1020097017456A KR20097017456A KR101364945B1 KR 101364945 B1 KR101364945 B1 KR 101364945B1 KR 1020097017456 A KR1020097017456 A KR 1020097017456A KR 20097017456 A KR20097017456 A KR 20097017456A KR 101364945 B1 KR101364945 B1 KR 101364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ed fabric
weft
insert
elastic
k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7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8091A (ko
Inventor
울리히 슈어벨
안트예 게를리허
Original Assignee
쿠프너 텍스틸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프너 텍스틸 게엠바하 filed Critical 쿠프너 텍스틸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090108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8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9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41D27/06Stiffening-pie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10B2403/011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 D10B2403/0111One hairy surface, e.g. napped or rai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62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related technologies for production or treatment of textile or flexible materials or products thereof, including footwe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40Knit fabric [i.e., knit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45Knit fabric i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knit pattern other than open knit fabric or a fabric in which the strand denier is specified
    • Y10T442/456Including additional strand inserted within knit fabric
    • Y10T442/463Warp knit insert str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물을 주재료로 하는 캐리어로 제조된 탄성 (고정) 삽입물로서, 상기 편물은 2개 이상의 날실 시스템에서 제조되고, 하나 이상의 상기 날실 시스템은 부분적인 씨실로 편물에 삽입되고 스테이플 파이버사를 포함하는 삽입물에 관한 것이다. 편물의 한 면에 접착제 층을 제공한다. 생성된 삽입물은 종단 방향, 횡단 방향 및 대각선 방향으로 매우 높은 탄성을 나타내고 생산하기에 특히 비용 효과적이다. 또한, 매우 유연한 텍스타일 감촉과 탁월한 외관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탄성 삽입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ELASTIC INSERT,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USE}
본 발명은 탄성 삽입물, 특히 편물을 주재료로 하는 탄성 고정 삽입물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삽입물은 주로 의류용품의 앞 부분의 보강 또는 칼라 및 커프스의 보강을 위해 의류 산업에서 다년간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삽입물은 직물, 편물로 고안되거나 부직물로도 고안될 수 있는 기재와, 그리드의 형태로 바른 일반적인 열가소성 접착제 페이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 페이스트는 의류용품의 외부 직물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종류의 삽입물의 목적은 의류용품이 올바른 형상을 갖도록 하고 이를 안정화시키는 것이다. 이들은 외부 직물과 결합하기 때문에 결정적인 방식으로 의류의 마감용품의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룩, 형상 유지, 유연성, 착용감(wearing comfort) 및 세척 및 세정 동안의 케어 특성은 사용된 삽입물의 성질 및 구조에 따라 상당히 다르다. 이에 따라, 의류용품의 특히 중요한 성질은 룩, 감촉 및 의류의 마감용품의 케어 특성이다.
또한, 의류용품은 변화하는 패션 트랜드에 따라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극도 로 광범위한 각종 외부 직물을 사용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상이한 종류의 삽입물이 이러한 상이한 외부 직물을 보강하는데 또한 사용된다.
원칙적으로, 편물은 삽입물 재료용 기재 재료로 이미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통상 비스코스(CV), 면(CO), 폴리에스테르(PES),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스테이플 파이버사가 씨실로 사용된다. 날실은 통상 필라멘트 방사를 포함하는데, 이 방사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를 포함하고 미세도가 15 dtex 내지 78 dtex의 범위이다. 이러한 종류의 삽입물의 중량은 통상 35∼140 g/m2의 범위 내이다. 생산된 편물은, 예를 들어 열수축 안정화될 수 있다. 또한 천의 한 면을 기모처리하거나 이머라이징하여 삽입물의 표면 상에 가능한 조밀한 섬유 파일(fibre pile)을 생성함으로써 삽입물의 고도의 유연성과 볼륨 그리고 조밀하게 짠 특징을 실현할 수도 있다. 이런 종류의 삽입물은 매우 유연하지만, 특히 비탄성 스테이플 파이버사가 사용되는 경우 탄성은 충분하지 않다.
접착제 페이스트,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제의 도포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수행된다. 삽입물이 의류용품의 외부 직물과 결합하는 경우, 역면 상의 섬유 파일은 안감 직물 면의 방향으로 삽입물을 통해 핫멜트 접착제가 침투하는 것을 막는다.
또한 가공 방사로부터 삽입물을 제조하여 볼륨 및 유연성을 실현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특별한 가공 방법에 의해 방사를 생산한다. 하지만, 이러 한 종류의 삽입물이 갖는 단점은 또한 2개의 실(thread) 시스템으로 생산된 방사가 또한 탄성이 없다는 것과 루프 구조의 형성이 또한 천 길이의 얽힘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또한, 불안정하고 고르지 않은 표면은 일반적인 코팅 방법, 즉 페이스트 산란 더블 포인트 방법을 사용하여 쉽게 코팅할 수 없다. 따라서, 더욱 균일한 직물 표면을 얻기 위해 후처리가 필요하며, 이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시 코팅할 수 있다. 공기 가공 재료를 사용한 삽입물은, 예를 들어 EP-A-0 810 314에 공지되어 있다.
또한 가연 가공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방사를 사용한 또다른 삽입물이 현재 개발되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방사를 씨실 방사로 사용하고 날실은 공지된 삽입물에 대해 상기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삽입물은, 예를 들어 DE 93 198 70 U1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고정 삽입물의 성질은 결정적으로 가공, 특히 가연 가공 필라멘트 방사의 성질을 특징으로 한다. 가연 가공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방사로 제조된 고정 삽입물은 상당히 탄성이 있기 때문에 인장 응력시에 그리고 기울게 하여 당겨졌을 때에 날실과 씨실 방향으로 매우 쉽게 신장된다. 이 탄성은 삽입물이 열에 의해, 세정 동안, 세척시 용매로 인해 또는 외부 힘으로 인해 유발된 외부 직물의 치수 변화를 따르게 할 수 있다.
경쟁적으로 가격이 매겨진 탄성 삽입물은 추가로 개발되었고, 예를 들어 DE 199 04 265 A1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삽입물은 가연 가공 PES 필라멘트로 제조된 삽입물의 탁월한 케어 성질과 낮은 수축값을 가지며, 이러한 이로운 성 질을 통상적으로 기모처리된 삽입물의 유연한 감촉과 함께 겸비한다. 이러한 종류의 삽입물은 필라멘트로 제조되며, 생산된 원료(직물 또는 편물)는, 예를 들어 이머라이징에 의해 기모처리된다. 이는 유연하고 또한 탄성이 있는 삽입물을 제조할 수 있다.
하지만, 또한 생산하기에 특히 간편하고 저렴하며, 가공 탄성 삽입물과 강성 기모처리된 삽입물의 이점을 겸비하고 심지어 공지된 삽입물과 유사하게 높은 탄성을 갖거나 심지어 더욱 탄성이 향상될 수 있는 추가의 삽입물이 필요한 실정이다.
놀랍게도,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3개의 날실(warp thread) 시스템에서 조립된 편물을 주재료로 하는 기재에 의해 이러한 종류의 삽입물이 제공될 수 있고, 여기서 하나 이상의 이러한 날실 시스템은 편물에 부분적인 씨실로 삽입되고 스테이플 파이버사를 포함하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삽입물은 매우 유연한 텍스타일 감촉, 탁월한 외관 및 씨실 방향으로 최대 50% 이상, 날실 방향으로 대략 10%의 높은 탄성값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종류의 값은 심지어 부분적인 씨실에서도 가공 실, 특히 가연 가공 필라멘트의 (공동)사용에 의해 추가로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특별한 날실 인레이(inlay)와 고유의 비탄성 스테이플 파이버사 사용의 조합에 의해 특히 씨실 방향으로의 고정 삽입물의 높은 탄성과 신장성이 실현된다. 면, 비스코스, 폴리아크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스테이플 파이버사와 같은 기본적인 비탄성 방사를 사용시, 씨실 방향에서 이러한 종류의 높은 탄성은 완전히 놀랍다. 특별한 날실 인레이와 조합된 이러한 종류의 스테이플 파이버사를 포함하는 편물은 아직 의류용품의 보강을 위한 고정 삽입물로 고안된 바가 없었다. 오히려, 원칙적으로 고유의 탄성이 있는 재료로 가연 가공 폴리에스테르 방사와 같은 특별한 방사로서의 사용이 고려되었다. 더 높은 탄성값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씨실 방사 대신에, 예를 들어 하나는 기술된 스테이플 파이버사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사용된 (가연) 가공 폴리에스테르 방사를 포함하는 2개의 날실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하기 표는 씨실 탄성과 관련하여 부분적인 씨실 직물과 비교하였을 때 공지된 씨실 삽입물 편물을 나타낸다.
편물 종류 인레이 씨실 방사 씨실 탄성
씨실 삽입 개방형/폐쇄형 프린지 스테이플 파이버사 0∼3%
씨실 삽입 오프셋 프린지, 트리코, 천 스테이플 파이버사 5∼10%
씨실 삽입 개방형/폐쇄형 프린지 가공 필라멘트 방사 12∼20%
씨실 삽입 오프셋 프린지, 트리코, 천 가공 필라멘트 방사 15∼20%
부분적인 씨실 개방형/폐쇄형 장 스테이플 파이버사 최대 10%
부분적인 씨실 오프셋 프린지, 트리코, 천 스테이플 파이버사 25∼50%
별도의 씨실 방사는 사용되지 않지만, 하나 이상의 날실 시스템이 씨실 방사 대체물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물의 기재를 나타내는 편물 또한 중요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실 시스템은 횡단 방향으로 직물에 삽입되어 다른 결합 성분에 의해서만 유지되고 어떠한 종류의 루프도 형성하지 않는다. 씨실 방사 대체물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날실 시스템은 부분적인 씨실로서 편물에 도입된다.
공지된 라셸 고정 삽입물과 함께, 씨실은 씨실 삽입 형태로 매거진 씨실 삽입 수단에 의해 삽입된다. 이러한 종류의 제조 방법은 매우 고가의 특별 제작된 씨실 삽입 라셸 기계가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더이상 이러한 종류의 특별한 라셀 기계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다. 대신, 편물을 제조하기 위해 임의의 통상적인 기계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기계 선택에 있어 다양성이 더욱 커지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종류의 일반적인 기계는 상기 특별한 씨실 삽입 라셸 기계의 투자 비용의 대략 ⅓만이 필요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삽입물의 제조는 유의적으로 비용이 절감된다.
직물의 전체 너비에 걸쳐 씨실의 삽입을 생략하면 씨실 삽입 장치가 없는 기계를 사용하여 높은 기계 속도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분적인 씨실 인레이가 사용되는데, 이는 놀랍게도 스티치 밀도에 따라 사용된 부분적인 씨실 인레이가 사실상 직물의 전체 너비에 걸쳐 통상적인 씨실 삽입과 상응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부분적인 씨실은 이론적으로 최대 10 니들(needle) 이하로 실시할 수 있다. 하지만, 최대 5 니들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내지 최대 5 니들 이하의 인레이가 바람직하다. 스티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1 cm 당 10∼15이다.
원칙적으로, 공지된 인레이, 예컨대 개방형 또는 폐쇄형 프린지, 오프셋 프린지, 천 또는 트리코가 사용될 수 있다. 오프셋 프린지, 천 또는 트리코는, 특히 높은 탄성값이 실현되는 경우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편물의 제조 동안 2∼3개의 가이드 막대가 사용되는데, 이때 기계 게이지 E12, E24, E28 또는 E32가 사용될 수 있다. 가이드 니들은 완전하게 당겨지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실시예 참조).
부분적인 씨실 시스템은 직물의 전체 너비에 걸쳐 씨실 방사에 어떠한 결합력도 생성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러한 특별한 인레이는 횡단 방향 및 대각선 방향 둘다에서 매우 높은 탄성도를 실현할 수 있음이 입증된 바 있다. 공지된 라셸 직물과 함께, 비탄성 방사를 포함하는 씨실 삽입으로 실을 꿰는 경우, 이 연속 씨실은 현재 단점이 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차단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지된 비탄성 스테이플 파이버사, 예컨대 비스코스, 면, 폴리아크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또는 심지어 이의 혼합물은 씨실 방사를 대체하는 하나 이상의 날실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공지된 (가연) 가공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필라멘트는 또한 편물을 구성하는 다른 날실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미가공(raw) 편물을 제조한 후, 씨실 방사를 대체하는 날실 시스템의 비탄성 방사는, 예를 들어 기모처리기계 또는 사포를 사용함으로써 통상적인 방식으로 기모처리될 수 있다. 이후 높은 탄성도 뿐 아니라 매우 유연한 텍스타일 감촉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특별히 고가의 기술에 의해 제조되어야 하는 가공 방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심지어 이러한 종류의 특별한 방사를 사용하지 않아도, 가공, 특히 가연 가공 필라멘트 방사를 사용시 실현될 수 있는 탄성보다 더 높은 정도로 씨실 방향의 탄성도를 겸비하는 매우 유연한 텍스타일 감촉이 삽입물에 부여된다.
부분적인 씨실 인레이는 조밀한 직물 표면을 추가로 생산하지만, 씨실 삽입으로 꿰어진 씨실을 갖는 다른 한편으로 공지된 라셸 직물은 낮은 씨실 밀도로 더욱 개방된 외관을 가질 수 있고, 이는 고정 상태에서 다수의 외부 직물에 불리한 시각적 외관, 예컨대 '무아레(moire) 효과' 등을 초래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날실 시스템에 사용되는 실은 미세도가 15∼80 dtex, 바람직하게는 15∼125 dtex, 특히 바람직하게는 15∼180 dtex이다. 상이한 날실 시스템은 동일한 재료 또는 심지어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저렴한 삽입물은,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폴리아미드가 통상적인 날실 시스템으로 사용되는 경우, 및 예를 들어 비스코스, 면 또는 폴리아크릴니트릴과 같은 비탄성 재료가 지금까지 사용된 씨실 방사를 대체하여 날실 시스템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2∼3개의 날실 시스템이 사용된다.
편물은 바람직하게는 중량이 15∼125 g/m2이고, 삽입물의 중량은 이의 의도된 목적에 따라 더 높거나 낮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셔츠 칼라의 보강에는 더 무거운 삽입물이 사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종류의 삽입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편물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제조된다. 제조된 미가공 편물은 이후 통상적인 세정 및/또는 수축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방사를 수축시키고 이러한 방식으로 탁월한 탄성도를 실현하는데 열 및 수분이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경우에 따라 스텐터 프레임 상에 열안정화 및 염료처리 공정을 수행한다.
이후 이러한 미가공 편물은 통상적인 코팅 방법을 사용하여 접착제,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제 또는 반응성 코팅 페이스트로 코팅한다. 통상적인 방법으로 그리드 형태로 도포될 수 있는데, 상기 그리드는 cm2 당 1∼200 포인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m2 당 40∼150 포인트의 그리드를 사용한다. 핫멜트 접착제의 도포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더블 포인트 코팅 방법 또는 분말 포인트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특히 탁월한 감촉을 실현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이머라이징에 의해 기계적 마감 작업, 즉 기모처리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는 공지된 이머라이징 기계, 예컨대 모직 롤러 또는 격자 롤러 또는 기모처리용 기계를 사용하여 수행되고, 여기서 직물 길이의 표면은 하나 이상의 사포 롤러 상에서 마찰에 의해 또는 랩핑된 카드 필렛(wrapped card fillet)으로 굴림으로써 기모처리된다.
이머라이징 공정은 날실 시스템을 위한 비탄성 실 및 탄성 실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날실 시스템 필라멘트에 필라멘트가 사용되는 경우, 가능한 조밀하고 균일한 돌출성 섬유 말단의 섬유성 파일을 얻기 위해 기모처리 공정에 의해 다수의 장소에서 찢게 된다.
기모처리 공정은 상기 방법의 상이한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제로 편물을 코팅한 후 기모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코팅 페이스트의 일부는 삽입물의 실에 침투하여 추가적인 안정화를 보장한다. 이러한 이유로, 닳는(fraying) 경향이 낮아진다.
또한 분명히 코팅 전에, 예를 들어 미가공 편물의 제조 후에 기모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수행되는 추가적인 염료처리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미가공 편물을 열안정화시키기 전에 수행된다. 이 열안정화에 이어서, 얻어진 미가공 편물의 한 면을 접착제로 코팅한다.
열가소성 접착제 페이스트에 사용된 재료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공)폴리아미드, (공)폴리에스테르 및 (공)폴리에틸렌 또는 상기 재료의 혼합물을 주재료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이다. 코팅 중량은 일반적으로 4∼30 g/m2, 더욱 바람직하게는 6∼25 g/m2이다.
다음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구체예 중 몇몇의 특히 바람직할 수 있는 예를 개시한다.
실시예 1
GB1 및 GB2 오프셋 프린지(역표시법)
PES 평활 dtex 33
니들 침투: 1 전체 - 1 비워짐
GB3: 부분적인 씨실 00-44
CV Nm 34/1
니들 침투: 1 전체 - 2 비워짐
처리 동안의 작업:
- 기모처리/이머라이징
- 마감/열고정
- 코팅
실시예 2
GB1 및 GB2 오프셋 프린지(역표시법)
PES 평활 dtex 33
니들 침투: 1 전체 - 1 비워짐
GB3: 부분적인 씨실 00-44
CV Nm 28/1
니들 침투: 1 전체 - 2 비워짐
처리 동안의 작업:
- 기모처리/이머라이징
- 마감/열고정
- 코팅
응용예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편물은 오직 날실 시스템에서만 제조되고 이에 따라 씨실의 사용이 생략된다. 날실 시스템의 인레이는 부분적인 씨실로 실시한다. 이것은 간편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통상적인 재료를 이용하여 매우 탁월한 외관과 매우 유연한 텍스타일 감촉을 가지면서 추가적으로 종단 방향과 횡단 방향 및 또한 대각선 방향으로도 높은 탄성도를 갖는 삽입물이 생산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1)

  1. 한 면에 접착제 층이 도포된 기재로서의 편물을 주재료로 하는 탄성 삽입물로서, 상기 편물은 2개 이상의 날실 시스템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날실 시스템은 부분적인 씨실로서 편물에 삽입되고 비탄성 스테이플 파이버사(staple fibre yarn)를 포함하며, 인레이(inlay)는 또한 씨실 방향으로 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삽입물.
  2. 제1항에 있어서, 부분적인 씨실은 최대 10 니들 이하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삽입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부분적인 씨실로 삽입되는 날실 시스템의 스테이플 파이버사는 비스코스, 면, 폴리아크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삽입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부분적인 씨실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날실 시스템은, 스테이플 파이버사 이외에 가연 가공 필라멘트(textured filamen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삽입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른 날실 시스템의 재료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이거나, 또한 비스코스, 면, 폴리아크릴,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또는 가공 필라멘트 또는 이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삽입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편물의 인레이는 오프셋 프린지, 트리코(tricot) 또는 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삽입물.
  7. a) 미가공(raw) 편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세정 및/또는 수축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c) 경우에 따라 염료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d) 미가공 편물을 열안정화시키는 단계,
    e) 얻어진 미가공 편물의 한 면을 접착제로 코팅하는 단계
    에 의한, 한 면에 접착제 층이 도포된 기재로서의 편물을 주재료로 하는 탄성 삽입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미가공 편물은 2개 이상의 날실 시스템으로부터 제조되고, 하나 이상은 부분적인 씨실로서 편물에 삽입되고 비탄성 스테이플 파이버사를 포함하며, 인레이는 또한 씨실 방향으로 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미가공 편물의 기모처리 단계를 편물의 코팅 전 또는 후에 실시하는 제조 방법.
  9. 2개 이상의 날실 시스템을 포함하는 편물을 사용하여 씨실 방향으로 또한 탄성인 의류용품의 고정 삽입물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날실 시스템이 부분적인 씨실로서 편물에 삽입되고 비탄성 스테이플 파이버사를 포함하며, 접착제 층이 편물의 한 면에 도포되는 것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편물은 의류용품의 앞 부분을 보강하는데 사용되는 것인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칼라 및/또는 커프스를 보강하기 위한 것인 방법.
KR1020097017456A 2007-02-09 2008-01-31 탄성 삽입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1364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06568.1 2007-02-09
DE200710006568 DE102007006568A1 (de) 2007-02-09 2007-02-09 Elastische Einlag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PCT/EP2008/051192 WO2008095855A1 (de) 2007-02-09 2008-01-31 Elastische einlag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091A KR20090108091A (ko) 2009-10-14
KR101364945B1 true KR101364945B1 (ko) 2014-02-19

Family

ID=39295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456A KR101364945B1 (ko) 2007-02-09 2008-01-31 탄성 삽입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20100088805A1 (ko)
EP (2) EP1956128B1 (ko)
KR (1) KR101364945B1 (ko)
CN (2) CN101258953A (ko)
AR (1) AR065263A1 (ko)
AT (1) ATE445727T1 (ko)
BR (1) BRPI0807520B1 (ko)
CA (1) CA2677696A1 (ko)
CL (1) CL2008000412A1 (ko)
DE (2) DE102007006568A1 (ko)
ES (1) ES2331973T3 (ko)
HK (1) HK1120837A1 (ko)
MX (1) MX2009008448A (ko)
PE (1) PE20081416A1 (ko)
PL (1) PL1956128T3 (ko)
PT (1) PT1956128E (ko)
WO (1) WO20080958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92598B (zh) * 2009-05-19 2013-05-22 东丽纤维研究所(中国)有限公司 一种多层贴合弹性织物及其生产方法和用途
FR2966328B1 (fr) * 2010-10-21 2013-09-06 Lainiere De Picardie Bc Entoilage thermocollant destine au renforcement d'une partie d'un article textile.
CN105063841A (zh) * 2015-09-25 2015-11-18 太仓市雄瑞化纺有限公司 一种高收缩贴身舒适混纺纤维
US11125375B2 (en) * 2016-06-30 2021-09-21 Sanexen Environmental Services Inc. Tubular liner for rehabilitating underground and surface pipes and pipelines
JP2019006384A (ja) * 2017-06-26 2019-01-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ウォッシャブルシートカバー
CN108286121A (zh) * 2018-04-24 2018-07-17 海城市华强服装辅料有限公司 变化双梳经编衬纬双向微弹仿拉毛衬及其制造方法
DE102018214839B4 (de) 2018-08-31 2021-05-12 Kufner Holding Gmbh Heißsiegelbares, textiles Flächengebilde mit nachhaltiger Klebstoffbeschichtung und seine Verwend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39994A1 (de) * 1974-09-05 1976-03-25 Picardie Lainiere Gewebe, vorzugsweise fuer die herstellung von verstaerkenden einlagen fuer kleidungsstuecke
DE2439894A1 (de) * 1974-08-20 1976-07-08 Royal Picardie Fixiereinlagen Verstaerkungseinlage
US5922433A (en) * 1996-10-23 1999-07-13 Kufner Textilwerke Gmbh Elastic interlining
DE19904265A1 (de) * 1999-02-03 2000-08-10 Kufner Textilwerke Gmbh Elastische Einlag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4510A (en) * 1962-05-11 1966-06-07 Deering Milliken Res Corp Warp knit pile fabrics
US3789461A (en) * 1967-02-24 1974-02-05 Asahi Chemical Ind Apparatus for preparing spun yarn
CH699069D (ko) * 1968-05-07 1900-01-01
CS169743B1 (ko) * 1973-11-09 1976-07-29
DE2653417C3 (de) * 1976-11-24 1980-05-22 Bayer Ag, 5090 Leverkusen Elastische Kettenwirkware
US4191931A (en) * 1978-02-06 1980-03-04 Sanders Associates, Inc. Cooled laser q-switch
DE2843250A1 (de) * 1978-10-04 1980-04-17 Mayer Fa Karl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olware und danach hergestellte polware
DD141687A1 (de) * 1979-03-14 1980-05-14 Manfred Schneider Wirkware,insbesondere polwirkware
US5029457A (en) * 1989-08-22 1991-07-0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of warp knitting
ATE117879T1 (de) * 1991-05-21 1995-02-15 Kufner Textilwerke Gmbh Einlage zur verstärkung von oberbekleidungsstücken und ihre besondere anwendung.
DE9319870U1 (de) 1993-12-15 1994-06-01 Kufner Textilwerke Gmbh Fixiereinlage aus einem Gewirke mit Schußfäden
FR2749135B1 (fr) 1996-05-29 1998-08-21 Picardie Lainiere Procede de traitement d'un support textile pour entoilage thermocollant a base de fils textures
FR2763482B1 (fr) * 1997-05-26 1999-08-06 Picardie Lainiere Entoilage thermocollant a filaments de gros titrage
FR2774703B1 (fr) * 1998-02-11 2000-04-21 Picardie Lainiere Tissu de draperie,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ses utilisations
CN1350080A (zh) * 2001-11-27 2002-05-22 宁波宜科科技实业股份有限公司 全能配伍粘合衬布及其制造方法
RU2249065C2 (ru) * 2003-02-10 2005-03-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Центр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хлопчатобумаж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Ткань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39894A1 (de) * 1974-08-20 1976-07-08 Royal Picardie Fixiereinlagen Verstaerkungseinlage
DE2539994A1 (de) * 1974-09-05 1976-03-25 Picardie Lainiere Gewebe, vorzugsweise fuer die herstellung von verstaerkenden einlagen fuer kleidungsstuecke
US5922433A (en) * 1996-10-23 1999-07-13 Kufner Textilwerke Gmbh Elastic interlining
DE19904265A1 (de) * 1999-02-03 2000-08-10 Kufner Textilwerke Gmbh Elastische Einlag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88339B (zh) 2012-06-20
HK1120837A1 (en) 2009-04-09
EP2115197A1 (de) 2009-11-11
DE502007001726D1 (de) 2009-11-26
EP1956128B1 (de) 2009-10-14
KR20090108091A (ko) 2009-10-14
CL2008000412A1 (es) 2008-05-23
CA2677696A1 (en) 2008-08-14
ES2331973T3 (es) 2010-01-21
US20100088805A1 (en) 2010-04-15
BRPI0807520A8 (pt) 2017-04-25
PE20081416A1 (es) 2008-10-24
ATE445727T1 (de) 2009-10-15
BRPI0807520B1 (pt) 2018-02-06
CN101688339A (zh) 2010-03-31
BRPI0807520A2 (pt) 2014-06-03
PT1956128E (pt) 2009-11-06
EP1956128A1 (de) 2008-08-13
WO2008095855A1 (de) 2008-08-14
PL1956128T3 (pl) 2010-03-31
CN101258953A (zh) 2008-09-10
MX2009008448A (es) 2009-12-01
DE102007006568A1 (de) 2008-08-14
AR065263A1 (es)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7662B1 (en) Easily settable stretch fabrics including low-melt fiber
KR101364945B1 (ko) 탄성 삽입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JP4056583B2 (ja) 弾性芯地
KR100562531B1 (ko) 높은 번수의 실을 포함하는 심지 직물 및 이를 이용한 보강방법
KR100450272B1 (ko) 부직합성포,그제조방법및그사용방법
RU98110805A (ru) Прокладочный текстильный материал, содержащий пряжу с большой нумерацией
EP0937801B1 (fr)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support textile pour le renforcement de pièces de vêtement, support textile, et applications
EP3225727B1 (en) High-strength fabric system
JP3351854B2 (ja) 厚地織編物の製造方法
DE19904265A1 (de) Elastische Einlag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JP6535492B2 (ja) 筒状経編地
AU754162B2 (en) Elastic insert, method for the production and use thereof
JP2000008242A (ja) アパレル用生地
JPS6036625Y2 (ja) 扁平毛羽糸による編地
JPH0579223B2 (ko)
CS265303B1 (en) Fibre material with polyolefine fibres and method therefor
CS253638B1 (cs) Zesílená pletenina v osnovní vazbě s plastickým anebo barevným efektem
JPS5810503B2 (ja) すそ上げ用接着テ−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