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186B1 - 수세식 대변기 - Google Patents

수세식 대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186B1
KR101356186B1 KR1020097004184A KR20097004184A KR101356186B1 KR 101356186 B1 KR101356186 B1 KR 101356186B1 KR 1020097004184 A KR1020097004184 A KR 1020097004184A KR 20097004184 A KR20097004184 A KR 20097004184A KR 101356186 B1 KR101356186 B1 KR 101356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jet
time
washing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1625A (ko
Inventor
마유 오쿠보
요시카즈 우시지마
유이치 사토
요시노부 카토
료스케 하야시
아야코 하라다
Original Assignee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61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using flushing 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30Water injection in siphon for enhancing flu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적량의 세정수를 공급하고, 수도수압이 낮은 지역에도 설치할 수 있는 수세식 대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압한 세정수에 의해 세정되는 수세식 대변기(1)로서, 볼부 및 배수트랩관로를 구비한 수세식 대변기 본체(2)와, 제트토수시키는 세정수를 가압하는 가압펌프(34)와, 가압해야 할 세정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32)와, 수도의 급수압력에 의해 소정의 림토수시간 림토수시키는 동시에, 제트토수시킴으로써 볼부를 세정하는 세정제어수단(40)과, 볼부 세정후, 세정수를 수도로부터 저수탱크에 공급하고, 저수탱크를 규정 저수량으로 복귀시키는 세정수 보급수단(28)과, 세정수의 공급개시로부터 저수탱크가 규정 저수량으로 복귀할 때까지의 물보급시간을 검출하는 시간계측수단(40a)과, 물보급시간에 근거하여 림토수시간을 조정하는 토수시간 조정수단(40b)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7004184
수세식 대변기, 수도수압

Description

수세식 대변기{FLUSH TOILET}
본 발명은 수세식 대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압한 세정수에 의해 세정되는 수세식 대변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세정수를 수도로부터 직접 공급하는 소위 수도직압식 수세식 변기가 보급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도직압식 수세식 변기에서는, 일반적으로 볼부 상부의 림토수구로부터의 토수(吐水), 볼부 바닥부의 제트토수구로부터의 토수, 및 림토수구로부터의 두번째 토수를 소정 시간씩 차례로 실시함으로써, 변기 세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수도직압식 수세식 변기는 1회의 세정용 세정수를 모두 모아 두는 탱크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변기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 반면, 수도수압이 낮은 지역에서는 충분한 유량으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것이 어려워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변기세정에서 림토수구 및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수를 실시하는 시간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수도수압이 낮은 지역에 수도직압식 수세식 변기가 설치되었을 경우에도 토수되는 세정수의 양이 부족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수도직압식 수세식 변기가 통상의 수도수압의 지역에 설치되었을 경우에는, 토출되는 세정수의 양이 과잉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일본특허 제2874207호에는, 변기의 세정급수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세정급수장치에서는, 림토수구로의 급수경로에 압력센서 또는 유량센서를 설치하여 두고, 센서의 검출값에 근거하여 세정수의 토수시간을 설정하고 있다. 즉, 수도수압이 낮은 지역에서는 토수시간을 늘리고, 수도수압이 높은 지역에서는 토수시간을 줄임으로써, 적량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하지만, 수도수압이 매우 낮은 지역에서는, 세정수의 토수시간을 늘리고 토수되는 세정수의 양을 늘리더라도 충분한 변기 세정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특히 제트토수구로부터의 토수는, 적은 유량의 토수를 장시간 실시하여도 배수트랩관로 안에 사이펀 현상(Siphon Phenomenon)을 유발할 수 없고, 볼부내의 오물을 충분히 배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일본특허 제2874207호에 기재되어 있는 세정급수장치에서는, 수도수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압력센서 또는 유량센서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올라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림토수구로의 급수경로 도중에 설치한 압력센서 또는 유량센서에 의해 수도수압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우며, 토수시간을 정확하게 설정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더욱이, 수도직압식 수세식 변기는 일반적으로 세정수가 정유량 밸브를 통하여 토수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수도수압이 높은 지역에서도 세정수의 유량이 과대해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정류량 밸브에 의해 설정되는 유량은 그 개체차에 따른 편차가 크기 때문에, 그 편차 중에서 가장 유량이 적은 정류량 밸브가 사용되었을 경우에도 토출되는 세정수의 양이 부족하지 않도록 토수시간이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편차 중에서 유량이 큰 정류량 밸브가 사용되었을 경우에는 세정수의 양이 과잉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량의 세정수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수도수압이 낮은 지역에도 설치할 수 있는 수세식 대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되는 정류량 밸브의 개체차가 큰 경우에도 항상 적량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수세식 대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압한 세정수에 의해 세정되는 수세식 대변기로서, 림토수구 및 제트토수구가 형성된 볼부, 및 배수트랩관로를 구비한 수세식 대변기 본체와,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수시키는 세정수를 가압하는 가압펌프와, 이 가압펌프에 의해 가압해야 할 세정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와, 수도의 급수압력에 의해 세정수를 소정의 림토수시간 동안 림토수구로부터 토출시키는 동시에, 저수탱크 안의 세정수를 가압펌프에 의해 소정의 제트토수량으로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출시킴으로써 볼부를 세정하는 세정제어수단과, 볼부의 세정후, 세정수를 수도로부터 저수탱크에 공급하고, 저수탱크의 저수량을 세정전의 규정 저수량으로 복귀시키는 세정수 보급수단과, 이 세정수 보급수단에 의해 세정수의 공급이 시작되고 나서 저수탱크의 저수량이 규정 저수량으로 복귀할 때까지의 물보급시간을 검출하는 시간계측수단과, 이 시간계측수단에 의해 검출된 물보급시간에 근거하여 세정제어수단이 림토수구로부터 세정수를 토출시키는 림토수시간을 조정하는 토수시간 조정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는, 세정제어수단이 수도의 급수압력에 의해 세정수를 소정의 림토수시간에 걸쳐서 림토수구로부터 토출시킨다. 또한, 세정제어수단은, 저수탱크에 저장된 세정수를 가압펌프에 의해 소정의 제트토수량만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출시킨다. 이러한 토수에 의해 볼부를 세정한 후, 세정수 보급수단이 세정수를 수도로부터 저수탱크에 공급하여 저수탱크의 저수량을 세정전의 규정 저수량으로 복귀시키는 동시에, 시간계측수단은 세정수의 공급이 시작되고 나서 저수탱크의 저수량이 규정 저수량으로 복귀할 때까지의 물보급시간을 검출한다. 토수시간 조정수단은 시간계측수단에 의해 검출된 물보급시간에 근거하여 다음 번 변기 세정시의 림토수시간을 조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수를 가압펌프에 의해 가압하기 때문에, 수도의 급수압력이 낮은 지역에서도 충분히 변기세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토수시간 조정수단에 의해 림토수시간이 조정되기 때문에, 적량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세정제어수단은 림토수구로부터의 첫번째 토수, 제트토수구로부터의 토수, 림토수구로부터의 두번째 토수를 차례로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토수시간 조정수단은 림토수구로부터의 두번째 림토수시간을 조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토수시간 조정시간이 림토수구로부터의 두번째 림토수시간을 조정하기 때문에, 림토수 부족에 의해 배수트랩관로의 워터실링(water sealing)이 깨지거나, 림토수 과잉에 의해 다량의 세정수가 볼부로부터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세정수 보급수단은 림토수구로부터의 토수종료후, 소정의 급수대기시간을 비워두고 저수탱크로의 급수를 시작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림토수 종료후, 급수대기시간을 비워두고 저수탱크로의 급수를 시작하기 때문에, 저수탱크에 급수할 때의 급수압력이 저수탱크로의 급수전에 실행되었던 림토수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저수탱크의 수위를 검출하는 플로우트 스위치(float switch)를 더 가지며, 시간계측수단은 플로우트 스위치가 규정 저수량을 검출할 때까지의 시간을 검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수탱크 안의 세정수가 규정 저수량에 도달한 것이 플로우트 스위치에 의해 검출되기 때문에, 저수탱크의 저수량이 규정 저수량으로 복귀할 때까지의 시간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한 세정수에 의해 세정되는 수세식 대변기로서, 림토수구 및 제트토수구가 형성된 볼부, 및 배수트랩관로를 구비한 수세식 대변기 본체와,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수시키는 세정수를 가압하는 가압펌프와, 이 가압펌프에 의해 가압해야 할 세정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와, 수도의 급수압력에 의해 세정수를 림토수구로부터 토출시키는 동시에, 저수탱크 안의 세정수를 가압펌프에 의해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출시킴으로써 볼부를 세정하는 세정제어수단과, 제트토수 종료후, 세정수를 수도로부터 저수탱크에 공급하고, 저수탱크의 저수량을 세정전의 규정 저수량으로 복귀시키는 세정수 보급수단과, 이 세정수 보급수단에 의해 세정수의 공급이 시작되고 나서 저수탱크의 저수량이 규정 저수량 이하의 소정의 계측 저수량에 도달할 때까지의 물보급시간을 검출하는 시간계측수단과, 이 시간계측수단에 의해 검출된 물보급시간에 근거하여 림토수구로부터 토출되는 림토수시간, 또는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출되는 제트토수량을 조정하는 토수량 조정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림토수시간 또는 제트토수량이 조정되기 때문에, 사용되는 정류량 밸브 등에 개체차가 있을 경우에도 변기세정능력을 유지하면서 불필요한 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토수량 조정수단은 가압펌프를 작동시키는 시간을 바꿈으로써 제트토수량을 조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제트토수의 시간을 바꿈으로써 제트토수량을 변경하여 적절한 변기세정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토수량 조정수단은 가압펌프의 회전수를 바꿈으로써 제트토수량을 조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제트토수의 유량을 바꿈으로써 제트토수량을 변경하여 적절한 변기세정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제트토수는 사이펀 작용을 기동시키는 사이펀 기동영역, 이 사이펀 기동영역보다 유량이 적고, 기동한 사이펀 작용을 지속시키는 사이펀 지속영역, 및 사이펀 작용 종료후, 배수트랩관로 안의 오물을 밀어내는 블로우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이 블로우 영역에서 세정제어수단은 사이펀 기동영역과 대략 같은 회전수로 가압펌프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이펀 기동영역에서 기동된 사이펀 작용을, 사이펀 지속영역에서 세정수를 절약하면서 유지하고, 블로우 영역에서 부유오물 등을 확실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토수량 조정수단은 블로우 영역의 시간을 바꿈으로써 제트토수량을 조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강한 사이펀 작용의 발생을 기대할 수 없는 세정모드에서도 확실하게 오물을 배수트랩관로로부터 밀어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세정제어수단은 지난 번 변기세정시에 검출된 물보급시간에 근거하여 조정된 림토수시간에 걸쳐서 림토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최신 변기세정에서 검출된 물보급시간이 지난 번 물보급시간보다 소정 시간 이상 긴 경우에는, 저수탱크가 규정 저수량으로 복귀된 후에 추가토수하여 볼부 안의 수위를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세정제어수단이 추가토수하여 볼부 안의 수위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최신 변기세정에서의 림토수유량이 지난 번 변기세정시의 림토수유량보다 대폭 줄어들었을 경우에도, 배수트랩관로의 실링워터가 없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추가토수에 의해 볼부에 공급되는 세정수의 양은, 최신 물보급시간에 대응하는 림토수의 유량 및 최신 림토수시간에 근거하여, 배수트랩관로가 실링워터되도록 세정제어수단에 의해 결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추가토수의 양이 최신 림토수의 유량 및 림토수시간에 근거하여 정해지기 때문에, 배수트랩관로를 확실하게 실링워터할 수 있는 동시에, 추가토수량이 너무 많아서 불필요한 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세식 대변기에 따르면, 적량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수도수압이 낮은 지역에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세식 대변기에 따르면, 사용되는 정류량 밸브의 개체차가 큰 경우에도, 항상 적량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를 오른쪽뒤 비스듬히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를 왼쪽뒤 비스듬히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림토수 및 제트토수의 급수계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제트토수용 진공 브레이커(vacuum breaker)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저수탱크 및 가압펌프를 떼어내는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저수탱크 및 가압펌프를 떼어내는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저수탱크 및 가압펌프를 떼어내는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저수탱크 및 가압펌프를 떼어내는 순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저수탱크 및 가압펌프를 떼어내는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수세식 대변기 세정시에 각 부분이 작동하는 타이밍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수세식 대변기의 세정작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수세식 대변기의 동결방지운전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의 림토수 및 제트토수의 급수계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수세식 대변기 세정시에 각 부분이 작동하는 타이밍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9는 토수량 조정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부호의 설명**
D: 배수관
1: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
2: 수세식 대변기 본체 2a: 설치 프레임
2b: 물받이 트레이 4: 변좌
6: 커버 8: 국부세정장치
10: 기능부 10a: 사이드 패널
12: 볼부 14: 배수트랩관로
16: 제트토수구 16a: 제트측 급수로
18: 림토수구 18a: 림측 급수로
20: 정류량 밸브 20a: 입수구
22: 림토수용 전자밸브 24: 림토수용 진공 브레이커
26: 림토수용 플래퍼 밸브 28: 탱크급수용 전자밸브
30: 탱크급수용 진공 브레이커 32: 저수탱크
32a: 탱크급수로 32b: 플로우트 스위치
32c: 금속판 34: 가압펌프
34a: 임펠러 34b: 모터
34c: 물빼기용 수도꼭지 34d: U자관
34e: 횡단관 36: 제트토수용 진공 브레이커
38: 제트토수용 플래퍼 밸브 40: 컨트롤러
40a: 시간계측수단 40b: 토수시간 조정수단
40c: 온도센서 40d: 동결방지 제어수단
40e: 타이머 42a: 지수전
42b: 분기금구 43c: 스트레이너
44: 밸브본체 44a: 입수구
44b: 출수구 46: 진공 브레이커 코마
46a: 밸브부재 46b: 축부
46c: 하면 시일재 46d: 상면 시일재
48: 진공 브레이커 본체 48a: 대기개방구
48b: 가이드부 50a, 50b, 50c: 접속부
100: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
102: 수세식 대변기 본체 110: 기능부
112: 볼부 114: 배수트랩관로
116: 제트토수구 118: 림토수구
118a: 림측 급수로 119: 관로
120: 정류량 밸브 122: 전자밸브
124: 림토수용 진공 브레이커 126: 림토수용 플래퍼 밸브
128: 전환밸브 132: 저수탱크
132a: 탱크급수로 132b: 상단 플로우트 스위치
132c: 하단 플로우트 스위치 134: 가압펌프
134a: 세정수 관로 136: 제트토수용 진공 브레이커
138: 제트토수용 플래퍼 밸브 140: 컨트롤러
140a: 시간계측수단 140b: 토수량 조정수단
142a: 지수전 142b: 분기금구
142c: 스트레이너 144: 꼭대기부
이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의 평면도이고, 도 3은 좌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를 오른쪽뒤 비스듬히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5는 왼쪽뒤 비스듬히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2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림토수 및 제트토수의 급수계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한편, 도 2 내지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를 변좌(toilet seat), 커버, 국부세정장치 및 사이드 패널을 떼어낸 상태에서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1)는, 수세식 대변기 본체(2)와, 수세식 대변기 본체(2)의 윗면에 배치된 변좌(4)와, 변좌(4)를 덮도록 배치된 커버(6)와, 수세식 대변기 본체(2)의 후방 상부에 배치된 국부세정장치(8)를 가진다. 또한, 수세식 대변기 본체(2)의 후방에는 기능부(10)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기능부(10)는 사이드 패널(10a)에 의해 덮여져 있다.
수세식 대변기 본체(2)는 도기(陶器)제이고, 오물을 받는 볼부(12)와, 이 볼부(12)의 바닥부로부터 뻗은 배수트랩관로(14)와, 제트토수를 하는 제트토수구(16)와, 림토수를 하는 림토수구(18)가 형성되어 있다. 배수트랩관로(14)는 볼부(12)의 바닥부로부터 후방 비스듬히 위쪽으로 뻗은 후, 아래쪽을 향하여 뻗어 배수관(D)에 접속되어 있다. 제트토수구(16)는 볼부(12)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배수트랩관로(14)의 입구를 향하여 세정수를 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림토수구(18)는 볼부(12)의 좌측 상부 후방에 형성되어 있으며, 볼부(12)의 가장자리에 따라 세정수 를 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1)는, 세정수를 공급하는 수도에 직결되어 있으며, 수도의 급수압력에 의해 림토수구(18)로부터 세정수가 토출된다. 또한, 제트토수에 관해서는, 기능부(10)에 내장된 저수탱크에 저수된 세정수를 가압펌프에 의해 가압하여 많은 유량으로 제트토수구(16)로부터 토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기능부(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능부(10)에는 림토수용 급수계통으로서, 정류량 밸브(20)와 림토수용 전자밸브(22)와 림토수용 진공 브레이커(24)와 림토수용 플래퍼 밸브(flapper valve; 26)가 내장되어 있다. 더욱이, 기능부(10)에는 제트토수용 급수계통으로서, 탱크급수용 전자밸브(28)와 탱크급수용 진공 브레이커(30)와 저수탱크(32)와 가압펌프(34)와 제트토수용 진공 브레이커(36)와 제트토수용 플래퍼 밸브(38)가 내장되어 있다. 더욱이, 기능부(10)에는, 림토수용 전자밸브(22), 탱크급수용 전자밸브(28) 및 가압펌프(34)를 제어하는 세정제어수단인 컨트롤러(40)(도 7)가 내장되어 있다.
정류량 밸브(20)는, 지수전(stop cock)(42a), 분기금구(42b) 및 스트레이너(strainer; 42c)(이상, 도 7에 도시)를 통하여 입수구(20a)로부터 유입한 세정수를 소정의 유량 이하로 조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정류량 밸브(20)는, 세정수의 유량을 16ℓ/min 이하로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정류량 밸브(20)를 통과한 세정수는 두갈래 분기되며, 한 쪽은 림토수용 전자밸브(22)에, 다 른 쪽은 탱크급수용 전자밸브(28)에 유입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정류량 밸브(20)는 수세식 대변기 본체(2)의 후방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림토수용 전자밸브(22)는 컨트롤러(40)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되며, 림토수구(18)로부터 세정수를 토출 또는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림토수용 전자밸브(22)는, 정류량 밸브(20)와 마찬가지로 수세식 대변기 본체(2)의 후방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림토수용 진공 브레이커(24)는 림토수용 전자밸브(22)를 통과한 세정수를 림토수구(18)로 보내는 림측 급수로(18a)의 도중에 배치되어, 세정수의 림토수구(18)로부터의 역류를 방지하고 있다. 또한, 림토수용 진공 브레이커(24)는 볼부(12)의 상단면보다 약 25.4mm(약 1 인치) 위쪽에 배치되어 있어, 역류를 확실하게 방지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림토수용 진공 브레이커(24)는 수세식 대변기 본체(2)의 후방 중앙의 배수트랩관로(14)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림토수용 플래퍼 밸브(26)는 림토수용 진공 브레이커(24) 하류측의 림측 급수로(18a)에 배치되어, 세정수의 림토수구(18)로부터의 역류를 방지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림측 급수로(18a)에 림토수용 진공 브레이커(24)와 림토수용 플래퍼 밸브(26)를 직렬로 배치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세정수의 역류를 방지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림토수용 플래퍼 밸브(26)는 수세식 대변기 본체(2)의 후방 좌측의 제트토수용 플래퍼 밸브(38)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탱크급수용 전자밸브(28)는 컨트롤러(40)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되며, 세정수를 저수탱크(32)에 급수 또는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탱크 급수용 전자밸브(28)는, 정류량 밸브(20)와 마찬가지로 수세식 대변기 본체(2)의 후방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탱크급수용 진공 브레이커(30)는, 탱크급수용 전자밸브(28)를 통과한 세정수를 저수탱크(32)로 보내는 탱크급수로(32a)의 도중에 배치되어, 세정수의 저수탱크(32)로부터의 역류를 방지하고 있다. 또한, 탱크급수용 진공 브레이커(30)는 볼부(12)의 상단면보다 약 25.4mm(약 1 인치) 위쪽에 배치되어 있어, 역류를 확실하게 방지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탱크급수용 진공 브레이커(30)는 수세식 대변기 본체(2)의 후방 중앙의 배수트랩관로(14)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저수탱크(32)는 제트토수구(16)로부터 토수할 세정수를 저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저수탱크(32)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세식 대변기 본체(2)의 후방 우측으로부터 수세식 대변기 본체(2)의 후방 중앙의 배수트랩관로(14)의 위쪽까지 뻗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약 3ℓ의 내용적을 가진다. 또한, 수세식 대변기 본체(2)의 후방에는 설치부인 수지제 설치 프레임(2a)이 고정되어 있고, 이 설치 프레임(2a)은 수세식 대변기 본체(2)와는 별개로 구성되어, 저수탱크(32)의 주위를 감싸도록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수탱크(32)는 그 상단의 플랜지부가 설치 프레임(2a)과 맞물림으로써 설치 프레임(2a)으로부터 걸려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탱크공급로(32a)의 선단이 저수탱크(32)의 바닥부 근방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탱크급수로(32a)의 선단이 물에 잠긴 상태에서 저수탱크(32)로의 급수를 실시함으로써 급수시의 소음을 줄이고 있다. 또한, 저수탱 크(32)의 내부에는 플로우트 스위치(32b)가 배치되어 있어, 저수탱크(32) 안의 수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플로우트 스위치(32b)는 저수탱크(32) 안의 수위가 소정의 저수 수위에 도달하면 온(on)으로 전환하고, 컨트롤러(40)는 이것을 검지하여 탱크급수용 전자밸브(28)를 폐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압펌프(34)는 저수탱크(32)에 저수된 세정수를 가압하여 제트토수구(16)로부터 토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펌프(34)는 저수탱크(32)의 아래쪽, 즉 수세식 대변기 본체(2)의 후방 우측, 배수트랩관로(14)의 옆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수탱크(32)의 바닥면에는 아래쪽으로 뻗은 2개의 U자형 금속판(32c)이 설치되어 있으며, 가압펌프(34)는 이 금속판(32c)들에 의해 저수탱크(32)의 아래쪽에 걸려 있다.
또한, 가압펌프(34)는 세정수를 가압하는 임펠러(impeller; 34a), 및 이 임펠러(34a)를 구동하는 모터(34b)(도 7)를 내장하고 있다. 또한, 가압펌프(34)에는 물빼기용 수도꼭지(34c)(도 7)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 물빼기용 수도꼭지(34c)를 개방함으로써 보수유지시 등에 저수탱크(32) 안 및 가압펌프(34) 안의 세정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압펌프(34)의 아래쪽에는 물받이 트레이(2b)가 배치되어 있으며, 결로한 물방울이나 누수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수탱크(32)는, 저수탱크(32)로부터 수세식 대변기 본체(2)의 전방을 향하여 뻗은 후 U턴하여 후방을 향하는 U자관(34d)을 통하여, 가압펌프(34)에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가압펌프(34)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는, 배수트랩관로(14)의 뒤쪽에서 수세식 대변기 본체(2)를 횡단하여 뻗은 횡단관(34e)을 통하여, 제트토수용 진공 브레이커(36)에 유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가압펌프(34)는 저수탱크(32) 안의 세정수를 가압하여, 세정수를 최대 약 100ℓ/min의 유량으로 제트토수구(16)로부터 토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트토수용 진공 브레이커(36)는 가압펌프(34)의 하류측에 접속되어 있으며, 볼부(12) 안에 고인 물이 저수탱크(32)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그것들 사이를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저수탱크(32) 안의 저수 수위를 볼부(12) 안에 고인 물의 수위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트토수용 진공 브레이커(36)는 수세식 대변기 본체(2) 후방의 배수트랩관로(14)의 왼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트토수용 플래퍼 밸브(38)는 제트토수용 진공 브레이커(36)의 하류측에 접속되어, 세정수의 제트토수구(16)로부터의 역류를 방지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트토수용 진공 브레이커(36)와 제트토수용 플래퍼 밸브(38)를 직렬로 배치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세정수의 역류를 방지하고 있다. 제트토수용 플래퍼 밸브(38)를 통과한 세정수는, 제트측 급수로(16a)를 통과하여 제트토수구(16)로부터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트토수용 플래퍼 밸브(38)는 수세식 대변기 본체(2) 후방의 배수트랩관로(14)의 왼쪽에 배치되어 있다. 즉, 배수트랩관로(14)의 오른쪽에 배치되어 있는 저수탱크(32)에 저수되어 가압펌프(34)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는, 횡단관(34e)을 통하여 배수트랩관로(14)에 대하여 반대쪽인 왼쪽에 이르고, 그곳에 배치된 제트토수용 진공 브레이커(36), 제트토수용 플래퍼 밸 브(38) 및 제트측 급수로(16a)를 통하여 제트토수구(16)로부터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트토수용 플래퍼 밸브(38)는, 수세식 대변기 본체(2)의 후방 좌측의 림토수용 플래퍼 밸브(26)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림토수용 플래퍼 밸브(26)로부터 뻗어서 림토수구(18)에 이르는 림측 급수로(18a)도, 배수트랩관로(14)에 대하여 제트측 급수로(16a)와 같은 쪽에 배치되어 있다.
세정제어수단인 컨트롤러(40)는, 사용자에 의한 변기세정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의 조작에 의해 림토수용 전자밸브(22), 가압펌프(34)를 차례로 작동시켜서 림토수구(18) 및 제트토수구(16)로부터의 토수를 차례로 시작하고, 볼부(12)를 세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컨트롤러(40)는 세정 종료후, 탱크급수용 전자밸브(28)를 개방하여 저수탱크(32)에 세정수를 보급하고, 플로우트 스위치(32b)가 규정 저수량을 검출하면, 탱크급수용 전자밸브(28)를 폐쇄하여 급수를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탱크급수용 전자밸브(28)는 세정수 보급수단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컨트롤러(40)는, 저수탱크(32)로의 세정수 보급이 시작된 후, 플로우트 스위치(32b)가 소정의 저수 수위를 검출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하는 시간계측수단(40a)을 내장하고 있다. 또한, 컨트롤러(40)는, 시간계측수단(40a)에 의해 측정된 시간에 근거하여 림토수구(18)로부터의 세정수의 토수시간을 조정하는 토수시간 조정수단(40b)을 내장하고 있다. 또한, 컨트롤러(40)는, 수세식 대변기(1)가 설치된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검출수단인 온도센서(40c)와, 수세식 대변기(1) 안의 세정수가 동결할 우려가 있을 경우에 동결방지운전을 실행하는 동결방지 제어수단(40d)과, 동결방지운전의 시간 간격을 카운트하는 타이머(40e)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40)는 CPU, 메모리 및 그것들을 작동시키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여 제트토수용 진공 브레이커(36)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8은 제트토수용 진공 브레이커(36)의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트토수용 진공 브레이커(36)는, 입수구(44a) 및 출수구(44b)가 형성된 밸브본체(44)와, 이 밸브본체(44) 안에서 연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진공 브레이커 코마(46)와, 밸브본체(44)에 설치되고 대기개방구(48a)가 형성된 진공 브레이커 본체(48)를 가진다.
밸브본체(44)의 입수구(44a)는 연직 위쪽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으며, 횡단관(34e)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출수구(44b)는 수평방향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으며, 제트토수용 플래퍼 밸브(38)의 입구에 연결되어 있다.
진공 브레이커 코마(46)는, 대략 원반형상의 밸브부재(46a)와, 이 밸브부재(46a)의 중심으로부터 연직 위쪽으로 뻗은 축부(46b)를 가진다. 더욱이, 밸브부재(46a)의 아랫면에는 입수구(44a)를 폐쇄하는 하면 시일재(46c)가 설치되고, 밸브부재(46a)의 윗면에는 대기개방구(48a)를 폐쇄하는 상면 시일재(46d)가 설치되어 있다.
진공 브레이커 본체(48)는 대략 원통형상의 부재이며, 그 하단에 대기개방구(48a)가 형성되고, 하부가 밸브본체(44)에 끼워져 있다. 또한, 진공 브레이커 본 체(48)의 중심축선 위에는, 진공 브레이커 코마(46)의 축부(46b)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부(48b)가 설치되어 있다. 축부(46b)가 가이드부(48b)에 수용됨으로써, 진공 브레이커 코마(46)는 하면 시일재(46c)가 입수구(44a)를 폐쇄하는 아래쪽과 상면 시일재(46d)가 대기개방구(48a)를 폐쇄하는 위쪽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사용시에 입수구(44a)로부터 세정수가 유입되면, 그 힘에 의해 진공 브레이커 코마(46)가 위쪽으로 이동하고 대기개방구(48a)가 폐쇄된다. 이에 의해, 입수구(44a)로부터 유입한 세정수는 출수구(44b)로부터 토출된다. 더욱이, 입수구(44a)로부터의 세정수의 유입이 정지되면, 진공 브레이커 코마(46)가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입수구(44a)가 폐쇄된다. 이에 의해, 출수구(44b)로부터 입수구(44a)로의 세정수의 역류가 방지된다. 또한, 출수구(44b)는 대기개방구(48a)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입수구(44a)와 출수구(44b)는 차단되고, 입수구(44a)에 연결된 저수탱크(42)와 출수구(44b)에 연결된 볼부(12)의 수위가 연동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는, 제트토수용 진공 브레이커(36)의 구조를 설명하였는데, 림토수용 진공 브레이커(24) 및 탱크급수용 진공 브레이커(30)도 마찬가지 구조를 가진다.
이어서,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보수유지시에 저수탱크(32) 및 가압펌프(34)를 떼어내는 순서를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3은 저수탱크(32) 및 가압펌프(34)를 일체로 수세식 대변기 본체(2)의 위쪽으로 꺼내는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먼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수탱크(32) 및 가압펌프(34)를 떼어낼 때는, 수세식 대변기 본체(2)의 위에 설치된 변좌(4), 커버(6) 및 국부세정장치(8)를 떼어내고, 기능부(10)의 상부를 노출시킨다. 이어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능부(10)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는 사이드 패널(10a)을 떼어낸다. 이어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수탱크(32)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림토수용 진공 브레이커(24), 탱크급수용 진공 브레이커(30) 및 제트토수용 진공 브레이커(36)와, 이것들에 접속되어 있는 배관을 떼어낸다. 또한, 저수탱크(32)의 플랜지부를 설치 프레임(2a)에 고정하고 있는 나사(screw)를 제거한다.
이어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수탱크(32)와 가압펌프(34)를 접속하고 있는 U자관(34d)의 접속부(50a, 50b)를, 사이드 패널(10a)을 떼어냄으로써 노출된 기능부(10)의 측면으로부터 손을 넣어 꺼낸다. 마찬가지로, 가압펌프(34)와 횡단관(34e)의 접속부(50c)를 떼어낸다. 또한, 가압펌프(34)에 접속되어 있는 전기커넥터(도시하지 않음)도 떼어낸다. 더욱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 프레임(3a)으로부터 걸려 있는 저수탱크(32)를 수세식 대변기 본체(2)의 위쪽으로 끌어올려 떼어낸다. 이에 의해, 금속판(32c)에 의해 저수탱크(32)로부터 걸려 있는 가압펌프(34)도 일체로 제거된다.
이어서,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1)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4는 수세식 대변기(1)의 세정시에 각 부분이 작동하는 타이밍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상단으로부터 차례대로 림토수용 전자밸브(22), 탱크급수용 전자밸브(28), 플로우트 스위치(32b), 가압펌프(34)가 작동하 는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수세식 대변기(1)의 세정작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대기상태(도 15의 단계 S0)에서 변기세정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조작되면, 단계 S1로 진행하여 첫번째 림토수가 시작된다. 즉, 도 14의 시각 t0에 사용자가 변기세정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면, 컨트롤러(40)는 림토수용 전자밸브(22)에 신호를 보내어 개방시키고, 수도의 급수압력에 의해 림토수구(18)로부터 세정수를 토출시킨다. 림토수용 전자밸브(22)가 개방되면, 수도로부터 공급된 세정수가 지수전(42a), 분기금구(42b), 스트레이너(42c)를 거쳐서 입수구(20a)로부터 정류량 밸브(20)에 유입된다. 정류량 밸브(20)에서는, 수도의 급수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통과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소정 유량으로 제한되고, 급수압력이 낮은 경우에는 세정수는 흐름이 제한되지 않고 그대로 통과한다. 정류량 밸브(2)를 통과하는 세정수는 또한, 수세식 대변기 본체(2)의 후방 좌측에 배치된 림토수용 전자밸브(22)를 통과하여, 수세식 대변기 본체(2)의 후방 중앙의 배수트랩관로(14)의 위쪽에 배치된 림토수용 진공 브레이커(24)에 도달한다.
또한, 림토수용 진공 브레이커(24)를 통과한 세정수는, 수세식 대변기 본체(2)의 후방 좌측에 배치된 림토수용 플래퍼 밸브(26)에 유입된 뒤, 수세식 대변기 본체(2)의 전방을 향하여 흐르고, 림측 급수로(18a)를 통과하여 볼부(12) 상부의 후방 좌측으로 개구한 림토수구(18)로부터 토출된다. 림토수구(18)로부터 토출된 세정수는 볼부(12) 안을 선회하면서 아래쪽으로 흘러내려서 볼부(12)의 내벽면이 세정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단계 S2로 진행하여 제트토수가 시작된다. 즉, 컨트롤러(40)는 도 14의 시각 t1에 가압펌프(34)에 신호를 보내어 이것을 기동시킨다. 가압펌프(34)가 기동되면, 저수탱크(32) 안에 저수되어 있던 세정수가 가압된다. 수세식 대변기 본체(2)의 후방 우측에 배치된 가압펌프(34)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는, 횡단관(34e)을 통과하여 배수트랩관로(14)의 반대측으로 흐른 뒤, 배수트랩관로(14)의 우측에 배치된 제트토수용 진공 브레이커(36)에 도달한다. 제트토수용 진공 브레이커(36)를 통과한 세정수는, 수세식 대변기 본체(2)의 후방 좌측의 림토수용 플래퍼 밸브(26)의 아래에 배치된 제트토수용 플래퍼 밸브(38)에 유입된다. 제트토수용 플래퍼 밸브(38)를 통과한 세정수는 수세식 대변기 본체(2)의 전방을 향하여 흐르고, 림측 급수로(18a) 아래쪽의 제트측 급수로(16a)를 통과하여 볼부(12) 바닥부에 개구한 제트토수구(16)로부터 토출된다.
제트토수구(16)로부터 토출된 세정수는 배수트랩관로(14) 안으로 유입하고, 배수트랩관로(14)를 가득 채워서 사이퍼 현상을 일으킨다. 이 사이펀 현상에 의해, 볼부(12) 안에 고인 물 및 오물은 배수트랩관로(14)로 흡인되고, 배수관(D)으로부터 배출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펌프(34)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를 약 100ℓ/min의 대유량으로 제트토수구(16)로부터 토출시키기 때문에, 배수트랩관로(14) 안의 사이펀 현상이 급속히 일어나, 볼부(12) 안에 고인 물 및 오물이 빠르게 배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제트토수구(16)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수의 최대유량은 약 75 ~ 110 ℓ/min으로 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컨트롤러(40)는 도 14의 시각 t2에 림토수용 전자밸 브(22)에 신호를 보내어 이것을 폐쇄하고, 림토수구(18)로부터의 토수를 정지시킨다. 즉, 시각 t1~t2에는 제트토수구(16)로부터의 토수 및 림토수구(18)로부터의 토수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림토수구(18)로부터의 토수가 이루어지는 중에 가압펌프(34)를 기동시키고, 제트토수구(16)로부터의 토수를 시작함으로써, 가압펌프(34)의 기동음은 림토수의 소리에 가려져서 두드러지지 않게 된다.
가압펌프(34)가 기동되고, 저수탱크(32) 안의 세정수가 제트토수구(16)로부터 토수됨으로써, 저수탱크(32) 안의 수위가 떨어진다. 저수탱크(32) 안에 배치된 플로우트 스위치(32b)는 도 14의 시각 t3에 오프(off)되고 수위가 떨어진 것이 검지된다.
이어서, 도 14의 시각 t4에, 컨트롤러(40)는 가압펌프(34)에 신호를 보내어 가압펌프(34)에 내장된 모터(34b)의 회전수를 점점 줄인다. 이에 의해, 제트토수구(16)로부터의 토수유량도 시간에 대하여 거의 직선적으로 점점 줄어든다.
이어서, 도 15의 단계 S3으로 진행하여, 두번째 림토수가 시작된다. 즉, 도 14의 시각 t5에, 컨트롤러(40)는 림토수용 전자밸브(22)에 신호를 보내어 이것을 개방시키고, 림토수구(18)로부터의 두번째 토수가 시작되게 한다. 이에 의해, 토수유량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제트토수구(16)로부터의 토수에 림토수구(18)로부터의 토수가 중첩된다. 여기서, 제트토수구(16)로부터 최대유량으로 토수가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는, 배수트랩관로(14)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수의 유량과 제트토수구(16)로부터 유입되는 세정수의 유량이 거의 동등하기 때문에, 배수트랩관로(14) 안의 사이펀 현상은 지속되고 중단되지 않는다. 더욱이, 제트토수구(16)로부터의 토수유 량을 최대유량으로부터 점점 줄임으로써, 사이펀 현상의 급격한 중단에 의한 커다란 사이펀 절단음의 발생이 방지된다. 이와 함께, 림토수구(18)로부터의 토수를 중첩시킴으로써 토수유량의 저하가 더욱 완만해져서, 사이펀 현상이 중단되었을 때의 소리가 더욱 줄어든다.
이어서, 점점 줄어들고 있는 모터(34b)의 회전수는, 도 14의 시각 t6에 제로가 되고 가압펌프(34)가 정지한다. 시각 t1~t6 동안 가압펌프(34)를 작동시킴으로써 소정의 제트토수량의 세정수가 제트토수구(16)로부터 토출되고, 저수탱크(32) 안의 저수량은 거의 제로가 된다. 가압펌프(34)가 정지됨으로써 제트토수구(16)로부터의 토수는 정지된다. 이에 의해, 제트토수용 진공 브레이커(36)의 진공 브레이커 코마(46)(도 8)는 입수구(44a)를 폐쇄시키고, 볼부(12) 안에 고인 물과 저수탱크(32) 안의 세정수가 차단된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40)는, 제트토수구(16)로부터 최대유량으로 약 2초 동안 토수시킨 후, 토수유량을 점차 줄여 약 1초 동안 토수유량이 제로가 되도록 가압펌프(34)를 제어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 1.5~2초 동안 최대유량으로 토수시킨 후, 약 1~5초 동안 토수유량이 제로가 되도록 제어한다.
림토수구(18)로부터의 두번째 토수에 의해 볼부(12) 안에 고인 물의 수위가 상승하고, 소정의 림토수 시간이 경과한 후, 볼부(12) 안은 소정의 일류(溢流) 수위에 도달한다. 도 14의 시각 t7에 컨트롤러(40)는 림토수용 전자밸브(22)에 신호를 보내어 이것을 폐쇄시키고, 림토수구(18)로부터의 두번째 토수를 정지시킨다. 한편, 도 15에 나타내는 흐름도에서는,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첫번째 림토수후 제 트토수가 시작되고, 제트토수후 두번째 림토수가 실행되도록 기재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보다 상세하게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토수가 중첩되는 기간이 존재한다.
이어서, 도 15의 단계 S4로 진행하여, 저수탱크(32)로의 세정수 보급이 시작되는 동시에, 컨트롤러(40)에 내장된 시간계측수단(40a)은 저수탱크(32)가 규정 저수량으로 복귀할 때까지의 물보급시간을 계측하기 시작한다. 즉, 림토수구(18)로부터의 토수가 정지된 후, 소정의 급수대기시간이 경과한 시각 t8에, 컨트롤러(40)는 탱크급수용 전자밸브(28)로 신호를 보내고 이것을 개방시킨다. 이는, 저수탱크(32)로의 급수압력에 대한 림토수의 영향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즉, 림토수용 전자밸브(22) 작동의 시간지연에 의해 림토수용 전자밸브(22)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저수탱크(32)에 공급되는 급수의 압력이 떨어진다. 이 때문에, 소정의 급수대기시간이 경과하고 림토수용 전자밸브(22)가 완전히 폐쇄된 후에 저수탱크(32)로의 급수가 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대기시간인 시각 t8~t7을 0.5초로 하고 있다. 이 급수대기시간이 없어도 상관없지만, 설정하는 경우에는 1초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탱크급수용 전자밸브(28)가 개방되면, 입수구(20a)로부터 유입한 세정수는 수세식 대변기 본체(2)의 후방 좌측에 배치된 탱크급수용 전자밸브(28), 탱크급수로(32a)를 통과하여, 수세식 대변기 본체(2)의 후방 중앙의 배수트랩관로(14)의 위쪽에 배치된 탱크급수용 진공 브레이커(30)에 유입한다. 탱크급수용 진공 브레이커(30)를 통과한 세정수는 배수트랩관로(14)의 오른쪽으로 흘러, 저수탱크(32)의 바닥부 근방까지 뻗은 탱크급수로(32a)의 선단으로부터 저수탱크(32) 안으로 유입한다. 세정수가 유출되는 탱크급수로(32a)의 선단은 저수탱크(32) 안에서 거의 물에 잠긴 상태이기 때문에, 세정수가 저수탱크(32) 안으로 유입할 때의 소음이 줄어든다.
이어서, 도 15의 단계 S6에서는, 오프 상태의 플로우트 스위치(32b)가 온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며,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단계 S6의 처리가 반복된다. 저수탱크(32) 안으로 세정수가 유입하고, 저수탱크(32) 안의 수위가 규정 저수량에 도달하면, 플로우트 스위치(32b)가 온된다(도 14의 시각 t9). 플로우트 스위치(32b)가 온되면, 단계 S7로 진행하여 탱크급수용 전자밸브(28)가 폐쇄된다. 즉, 컨트롤러(40)가 탱크급수용 전자밸브(28)에 신호를 보내고 이것을 폐쇄시킨다. 이어서, 단계 S8로 진행하여, 시간계측수단(40a)은 물보급시간의 계측을 종료한다.
이어서, 단계 S9에서는, 컨트롤러(40)에 내장된 토수시간 조정수단(40b)에 의해, 변기세정이 다음에 이루어졌을 때의 두번째 림토수시간(도 14에서의 t5~t7)이 결정된다. 먼저, 토수시간 조정수단(40b)은, 시간계측수단(40a)에 의해 계측된 물보급시간의 과거 50회의 이동평균값을 계산한다. 즉, 탱크급수용 전자밸브(28)를 개방한 시각 Ts(도 14에서의 t8)로부터 폐쇄한 시각 Te(도 14에서의 t9)까지의 경과시간인 물보급시간 Te-Ts의 최근의 과거 50회분의 평균값 Tav를 계산한다. 토수시간 조정수단(40b)은, 이 평균값 Tav가 5초 미만인 경우에는, 수세식 대변기(1)가 통상압인 0.07MPa 이상의 급수압인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토수시간 조정수단(40b)은 평균값 Tav가 5초 이상 7초 미만인 경우에는, 수세식 대변 기(1)가 급수압이 낮은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더욱이, 토수시간 조정수단(40b)은 평균값 Tav가 7초 이상인 경우, 수세식 대변기(1)가 급수압 0.03MPa 이하의 초저압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토수시간 조정수단(40b)은, 급수압이 높은 경우에는 다음 번 변기 세정시의 두번째 림토수 시간을 짧게 설정하고, 급수압이 낮은 경우에는 두번째 림토수시간을 길게 설정한다. 즉, 토수시간 조정수단(40b)은, 수세식 대변기(1)가 통상압인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다음 번 변기세정시의 두번째 림토수시간을 3초로 설정한다. 또한, 토수시간 조정수단(40b)은, 저압지역이라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4초로, 초저압지역이라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5.5초로 두번째 림토수시간을 설정한다. 이에 의해, 수도의 급수압력이 높은 지역에서 장시간 림토수를 하여 세정수가 다량으로 볼부(12)로부터 배수트랩관로(14)를 통하여 넘처 흐르거나, 수도의 급수압력이 낮은 지역에서 충분한 시간 림토수를 하지 않고 세정수가 부족하여 배수트랩관로(14)의 워터실링이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토수시간 조정수단(40b)은, 최근의 과거 50회분의 물보급시간의 평균값 Tav에 근거하여 다음 번 세정에서의 두번째 림토수시간을 설정하였는데, 과거의 변기세정이 50회를 채우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과거의 모든 물보급시간의 평균을 구하여 평균값 Tav을 계산한다. 또한, 수세식 대변기(1) 설치후 처음으로 변기세정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세정수가 부족하지 않도록 두번째 림토수시간을 5.5초로 설정된다.
단계 S9에서 다음 번 변기세정이 이루어졌을 때의 두번째 림토수시간이 결정 되면, 단계 S0의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이어서, 도 16을 참조하여 컨트롤러(40)에 내장된 동결방지 제어수단(40d)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6은 수세식 대변기(1)의 동결방지운전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수세식 대변기(1)에서 변기세정이 실행되지 않은 대기상태인 단계 S100에 이어서, 단계 S101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101에서는 컨트롤러(40)의 온도센서(40c)에 의해 측정된 화장실내의 온도가 소정의 동결방지운전온도 이하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화장실 안의 온도가 동결방지운전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단계 S102 이후의 동결방지운전이 실행되지 않고, 단계 S100로 돌아가서 단계 S101의 처리가 반복하여 실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결방지운전온도가 5℃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수세식 대변기(1)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동결방지운전을 하도록 설정하였을 경우에도 동결방지운전이 실행된다. 본 실시예에서 동결방지운전은 조작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의 특수조작에 의해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래 다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복수개의 조작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동시에 조작하거나, 소정 시간 계속 누름으로써 동결방지운전이 설정된다.
이어서, 화장실 안의 온도가 동결방지운전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단계 S102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102에서는, 동결방지 제어수단(40d)이 림토수용 전자밸브(22)를 개방시킨다. 림토수용 전자밸브(22)를 개방시킴으로써 수도로부터 공급된 세정수는, 수도의 급수압력에 의해 지수전(42a), 분기금구(42b), 스트레이너(42c), 정류량 밸브(20), 림토수용 전자밸브(22), 림토수용 진공 브레이커(24), 림토수용 플래퍼 밸브(26) 및 림측 공급로(18a)를 통과하여 약 15ℓ/min의 유량으로 림토수구(18)로부터 볼부(12) 안으로 토수된다. 이에 의해, 이 급수계통들에 체류하고 있던 세정수가 이동되어 그 동결이 방지된다. 약 1초가 경과한 후, 단계 S103이 실행되고, 동결방지 제어수단(40d)은 림토수용 전자밸브(22)를 폐쇄시킨다.
이어서, 단계 S104에서는, 동결방지 제어수단(40d)이 가압펌프(34)를 저속으로 회전시킨다. 가압펌프(34)가 회전되면, 저수탱크(32) 안의 세정수가 가압펌프(34), 제트토수용 진공 브레이커(36), 제트토수용 플래퍼 밸브(38) 및 제트측 공급로(16a)를 통과하여 제트토수구(15)로부터 토수된다. 이에 의해, 이 급수계통들에 체류하고 있던 세정수가 이동되어 그 동결이 방지된다. 소정의 동결방지 펌프작동시간인 약 20초가 경과한 후에 단계 S105가 실행되고, 동결방지 제어수단(40d)은 가압펌프(34)를 정지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가압펌프(34)는, 제트토수구(16)로부터 약 0.7ℓ/min의 유량으로 세정수가 토수되는 회전수로 작동된다. 이와 같은 저유량으로 제트토수구(16)로부터의 토수를 실시함으로써, 배수트랩관로(14) 안에서 사이펀 현상을 발생시키지 않고, 상기 급수계통에 체류하고 있는 세정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이펀 현상 발생에 따른 소음이 방지되는 동시에, 세정수의 낭비가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이어서, 단계 S106에서는 플로우트 스위치(32b)의 상태가 판단된다. 저수탱크(32) 안의 세정수의 저수량은 가압펌프(34)를 약 20초 동안 작동시킴으로써 줄어들고 있다. 저수탱크(32) 안에 설치된 플로우트 스위치(32b)는 저수량이 소정의 보 급저수량 이하가 되면 오프된다. 플로우트 스위치(32b)가 오프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107로 진행하며, 단계 S017에서는 동결방지 제어수단(40d)이 탱크급수용 전자밸브(28)를 개방시켜서 저수탱크(32) 안의 세정수를 보급한다. 즉, 플로우트 스위치(32b) 및 탱크급수용 전자밸브(28)는 저수량 유지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탱크급수용 전자밸브(28)를 개방함으로써 수도로부터 공급된 세정수는, 지수전(42a), 분기금구(42b), 스트레이너(42c), 정류량 밸브(20), 탱크급수용 전자밸브(28) 및 탱크급수용 진공 브레이커(30)를 통하여 저수탱크(32) 안으로 급수된다. 이에 의해, 이 급수계통들에 체류하고 있던 세정수가 이동하여 그 동결이 방지된다.
저수탱크(32) 안으로의 급수에 의해 저수탱크(32)의 저수량이 규정 저수량까지 늘어나 소정의 수위로 상승하면, 단계 S106에서 플로우트 스위치(32b)가 온으로 된 것이 검출된다. 플로우트 스위치(32b)가 온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 S108로 진행하고, 단계 S108에서는 동결방지 제어수단(40d)이 탱크급수용 전자밸브(28)를 폐쇄시킨다. 이어서, 단계 S109에서는 컨트롤러(40)에 내장된 타이머(40e)가 동결방지운전이 다음에 실행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하기 시작한다. 단계 S110에서는 타이머(40e)에 의한 계측시작후, 동결방지운전의 소정의 시간 간격이 경과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결방지운전의 시간 간격으로서 10분이 설정되어 있다.
단계 S110에서의 처리는 동결방지운전의 시간 간격인 10분이 경과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반복하여 실행되고, 10분이 경과하면 단계 S100의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단계 S100의 대기상태로 돌아가면 다시 단계 S101로 진행하여, 온도센서(40c) 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동결방지운전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상승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화장실 안의 온도가 여전히 동결방지운전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단계 S102로 진행하여 상기 처리가 반복된다. 한편, 화장실 안의 온도가 동결방지운전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상승하여 있을 경우에는 단계 S100으로 돌아가고, 단계 S101에서의 판단이 반복하여 실행된다.
또한, 수세식 대변기(1)가 동결방지운전을 하도록 수동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도 단계 S102 이후의 동결방지운전이 실행된다. 이 동결방지운전은, 사용자가 조작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동결방지운전 설정을 해제할 때까지 반복된다. 상기와 같이 화장실 안의 온도가 동결방지운전온도보다 낮은 상태가 계속되었을 경우,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동결방지운전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제트토수구(16) 및 림토수구(18)로부터의 토수가 약 10분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실행된다. 이에 의해, 수세식 대변기(1)의 각 부분에 체류하고 있는 세정수가 이동하여 그 동결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수세식 대변기에 따르면,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수를 가압펌프에 의해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수도의 급수압력이 낮은 지역에서도 충분히 변기세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토수시간 조정수단에 의해 림토수시간이 조정되기 때문에, 적량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수세식 대변기에 따르면, 물보급시간에 근거하여 수도의 급수압력을 추정하고 있기 때문에,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특별한 센서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세식 대변기에 따르면, 토수시간 조정수단이 림토수구 로부터의 두번째 림토수시간을 조정하기 때문에, 림토수부족에 의해 배수트랩관로의 워터실링이 깨지거나, 림토수 과잉에 의해 다량의 세정수가 볼부로부터 넘처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수세식 대변기에 따르면, 림토수 종료후, 급수대기시간을 비워두고 저수탱크로의 급수를 시작하기 때문에, 저수탱크에 급수할 때의 급수압력이 저수탱크로의 급수전에 실행되었던 림토수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세식 대변기에 따르면, 플로우트 스위치에 의해 저수탱크 안의 세정수가 규정 저수량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기 때문에, 저수탱크의 저수량이 규정 저수량으로 복귀할 때까지의 시간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토수시간 조정수단이 검출된 물보급시간에 근거하여 두번째 림토수시간을 조정하였는데, 변형예로서, 첫번째 림토수시간, 또는 첫번째 또는 두번째 림토수시간을 조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물보급시간을 3단계로 구분하고, 그 구분마다 림토수시간을 설정하였는데, 림토수시간의 설정방법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보급시간에 비례하도록 림토수시간을 설정하여도 된다.
이어서,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수세식 대변기는 정류량 밸브를 통하여 공급되는 세정수의 유량에 따라 가압펌프의 작동시간을 조정하고 있는 점, 림토수와 제트토수를 전환밸브에 의해 전환하고 있는 점, 제트토수중에도 림토수가 계속되고 있는 점 등이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따라서, 여기서는 본 실시예의 제1 실시예와 다른 점 만 설명하고, 같은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은 림토수 및 제트토수의 급수계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18은 수세식 대변기의 세정시에 각 부분이 작동하는 타이밍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100)는, 수세식 대변기 본체(102)와, 수세식 대변기 본체(102)의 후방에 배치된 기능부(110)를 가진다. 수세식 대변기 본체(102)에는, 볼부(112)와 배수트랩관로(114)와 제트토수구(116)와 림토수구(118)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100)는 세정수를 공급하는 수도에 직결되어 있으며, 수도의 급수압력에 의해 림토수구(118)로부터 세정수가 토수된다. 또한, 제트토수에 관해서는, 기능부(110)에 내장된 저수탱크에 저수된 세정수를 가압펌프에 의해 가압하여 대유량으로 제트토수구(116)로부터 토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기능부(1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능부(110)에는 림토수용 급수계통으로서, 정류량 밸브(120)와 전자밸브(122)와 전환밸브(128)와 림토수용 진공 브레이커(124)와 림토수용 플래퍼 밸브(126)가 내장되어 있다. 더욱이, 기능부(110)에는 제트토수용 급수계통으로서, 저수탱크(132)와 가압펌프(134)와 제트토수용 진공 브레이커(136)와 제트토수용 플래퍼 밸브(138)가 내장되어 있다. 더욱이, 기능부(110)에는, 전자밸브(122), 전환밸브(128) 및 가압 펌프(134)를 제어하는 세정제어수단인 컨트롤러(140)가 내장되어 있다.
정류량 밸브(120)는 지수전(142a), 분기금구(142b) 및 스트레이너(142c)를 통하여 유입한 세정수를 소정의 유량 이하로 조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정류량 밸브(120)는, 세정수의 유량을 공칭값(nominal value)으로 12ℓ/min으로 제한하는 것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유량은 실제로는 정류량 밸브(120)의 개체차에 따라 약 10~15ℓ/min의 사이에서 불규칙적이다.
또한, 정류량 밸브(120)를 통과한 세정수는 전자밸브(122)를 통하여 전환밸브(128)에 유입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전자밸브(122)는 컨트롤러(140)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되며, 세정수를 전환밸브(128)로 유입 또는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환밸브(128)는 전자밸브(122)를 통과한 세정수를 컨트롤러(1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저수탱크(132)측 및 림토수구(118)측으로 분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전환밸브(128)는 설정에 의해 저수탱크(132) 및 림토수구(118)의 양쪽에 임의의 비율로 세정수를 배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림토수용 진공 브레이커(124)는 전환밸브(128)를 통과한 세정수를 림토수구(118)로 보내는 림측 급수로(118a)의 도중에 배치되어, 세정수의 림토수구(118)로부터의 역류를 방지하고 있다.
림토수용 플래퍼 밸브(126)는 림토수용 진공 브레이커(124) 하류측의 림측 급수로(118a)에 배치되어, 세정수의 림토수구(118)로부터의 역류를 방지하고 있다.
저수탱크(132)는 제트토수구(116)로부터 토수해야 할 세정수를 저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전환밸브(128)에 접속된 탱크급수로(132a)의 선단이 저수탱크(132)에 대하여 에어갭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어, 저수탱크(132) 안의 세정수의 역류를 방지하고 있다. 또한, 저수탱크(132)의 내부에는 상단 플로우트 스위치(132b) 및 하단 플로우트 스위치(132c)가 배치되어 있어, 저수탱크(132) 안의 수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단 플로우트 스위치(132b)는, 저수탱크(132)의 수위가 소정의 저수 수위에 도달하면 온으로 전환되고, 컨트롤러(140)는 이것을 검지하여 전자밸브(122)를 폐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수탱크(132)의 소정의 저수 수위가 규정 저수량 및 계측 저수량에 상당한다.
하단 플로우트 스위치(132c)는 저수탱크(132)의 바닥면 근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저수탱크(132) 안의 수위가 하단 플로우트 스위치(132c)보다 떨어지면 온으로 전환되고, 저수탱크(132)가 빈 것을 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압펌프(134)는 저수탱크(132)에 저수된 세정수를 가압하여 제트토수구(116)로부터 토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트토수용 진공 브레이커(136)는 가압펌프(134)의 하류측에 접속되어 있으며, 볼부(112) 안에 고인 물이 저수탱크(132)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그들 사이를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트토수용 진공 브레이커(136)를 통과한 세정수는 제트측 급수로(116a)를 통하여 제트토수구(116)로부터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트토수용 플래퍼 밸브(138)는 저수탱크(132)와 가압펌프(134) 사이에 접속 되어 있으며, 저수탱크(132) 안의 수위가 떨어졌을 때, 가압펌프(134) 안의 세정수가 저수탱크(132)로 역류하고, 가압펌프(134) 안의 세정수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세정제어수단인 컨트롤러(140)는, 사용자에 의한 변기세정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의 조작에 의해 전자밸브(122), 전환밸브(128), 가압펌프(134)를 차례로 작동시켜서, 림토수구(118) 및 제트토수구(116)로부터의 토수를 차례로 시작하여 볼부(112)를 세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컨트롤러(140)는 제트토수 종료후, 전환밸브(128)를 전환하여 저수탱크(132)에 세정수를 보급하고, 플로우트 스위치(132b)가 규정 저수량을 검출하면 전자밸브(122)를 폐쇄하여 급수를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밸브(122) 및 전환밸브(128)는 세정수 보급수단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컨트롤러(140)는 저수탱크(132)로의 세정수 보급이 시작된 후, 플로우트 스위치(132b)가 소정의 저수 수위를 검출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하는 시간계측수단(140a)을 내장하고 있다. 더욱이, 컨트롤러(140)는 시간계측수단(140a)에 의해 측정된 시간에 근거하여 림토수구(118)로부터의 세정수의 토수량 및 제트토수구(116)로부터의 세정수의 토수량을 조정하는 토수량 조정수단(140b)을 내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140)는 CPU, 메모리 및 이것들을 작동시키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대기상태에서 변기세정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조작되면, 첫번째 림토수가 시작된다. 즉, 도 18의 시각 t1에 사용자가 변기세정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면, 컨트롤러(140)는 전환밸브(128)에 신호를 보내어 림토수측으로 전환되어 있던 전환밸브(128)를 일단 탱크측으로 전환한다. 이어서, 컨트롤러(140)는 시각 t2에 전자밸브(122)로 신호를 보내어 이것을 개방시키고, 세정수를 전환밸브(128)에 유입시킨다. 이에 의해, 전환밸브(128) 상류측의 관로(119) 안에 모여 있던 공기가 탱크급수로(132a)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와 같이 관로(119) 안에 모여 있던 공기를 배출하여 둠으로써, 관로(119) 안의 공기가 림토수구(118)를 통하여 배출될 때 불쾌한 공기의 배출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컨트롤러(140)는 시각 t3에 전환밸브(128)로 신호를 보내고, 탱크측으로 일단 전환한 전환밸브(128)를 림토수측으로 전환한다. 이에 의해, 수도의 급수압력에 의해 림토수구(118)로부터 세정수가 토출된다. 즉, 수도로부터 공급된 세정수는 지수전(142a), 분기금구(142b), 스트레이너(142c)를 거쳐서 정류량 밸브(120)에 유입되고, 정류량 밸브(120)에서 세정수의 유량이 소정 유량으로 제한되어 통과된다. 정류량 밸브(120)를 통과한 세정수는 전자밸브(122), 전환밸브(128), 림토수용 진공 브레이커(124), 림토수용 플래퍼 밸브(126)를 통하여 림토수구(118)로부터 토출된다. 림토수구(118)로부터 토출된 세정수는 볼부(112) 안을 선회하면서 아래쪽으로 흘러내려가 볼부(112)의 내벽면이 세정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의 시각 t5에 제트토수가 시작된다. 즉, 컨트롤러(140)는 시각 t5에 가압펌프(134)에 신호를 보내어 이것을 기동시킨다. 한편, 제 트토수를 시작하는 시각 t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140)에 내장된 토수량 조정수단(140b)에 의해 조정된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트토수중에도 전자밸브(122)가 개방되고, 전환밸브(128)는 림토수측으로 전환된 상태 그대로이기 때문에, 제트토수와 병행하여 림토수구(118)로부터의 토수도 계속된다. 가압펌프(134)가 기동되면, 저수탱크(132) 안에 저수되어 있던 세정수가 가압된다. 가압펌프(134)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는 제트측 급수로(116a)를 통하여 볼부(112) 바닥부에 개구한 제트토수구(116)로부터 토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각 t5에 기동된 가압펌프(134)의 회전수는 시각 t6까지 1000rpm으로 상승하고, 이 회전수는 시각 t7까지 유지된다. 이와 같이 가압펌프(134)의 기동직후의 회전수를 비교적 저회전으로 억제함으로써, 세정수관로(134a)의 꼭대기부(144) 근방에 모여 있던 공기가 제트토수구(116)로부터 급속히 배출되어, 불쾌한 공기배출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컨트롤러(140)는 시각 t7에 가압펌프(134)의 회전수를 상승시키고, 회전수는 시각 t8까지 3500rpm으로 상승한다. 이 회전수는 사이펀 기동영역인 시각 t8에서 시각 t9까지 유지된다. 가압펌프(134)의 회전수를 상승시킴으로써, 저수탱크(132) 안의 세정수는 대유량으로 제트토수구(116)로부터 토출된다. 이에 의해, 배수트랩관로(114) 안은 급속하게 물로 채워지고, 사이펀 작용이 급속하게 기동된다.
더욱이, 컨트롤러(140)는 시각 t9에 가압펌프(134)의 회전수를 떨어뜨려 회전수가 2600rpm까지 떨어진다. 이 회전수는 사이펀 지속영역인 시각 t9에서부터 소 정 시간 유지된다. 이와 같이, 가압펌프(134)의 회전수를 떨어뜨림으로써, 제트토수구(116)로부터 토출되는 유량도 떨어진다. 하지만, 사이펀 지속영역에서 제트토수구(116)로부터 토출되는 유량은, 사이펀 기동영역에서 발생된 사이퍼 작용을 지속시키는데 충분한 유량이기 때문에, 사이펀 작용은 거의 사이펀 지속영역의 끝까지 지속된다. 이와 같이 사이펀 지속영역에서 유량을 떨어뜨리면서 사이펀 작용을 지속시킴으로써, 제트토수구(116)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수의 양을 낮게 억제하면서 사이펀 작용을 장시간 지속시킬 수 있다.
사이펀 지속영역의 끝에서는 볼부(112) 안에 고인 물이 거의 완전히 배출되기 때문에, 배수트랩관로(114)에 유입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감소하고 사이펀 작용은 종료된다. 컨트롤러(140)는 이어서 가압펌프(134)의 회전수를 다시 상승시켜서, 회전수가 시각 t10에서는 3500rpm까지 상승한다. 이 회전수는 블로우 영역인 시각 t10에서 시각 t11까지 유지된다.
여기서, 블로우 영역에서 제트토수구(116)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은 사이펀 기동영역과 같지만, 블로우 영역에서는 볼부(112) 안에 고인 물이 거의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배수트랩관로(114)에 유입하는 세정수의 유량은 비교적 적고 사이펀 작용이 다시 기동되지는 않는다. 이 블로우 영역에서는 볼부(112)나 배수트랩관로(114) 안에 남은 오물이 제트토수구(116)로부터의 세정수에 의해 배수관(D)으로 밀려나간다. 한편, 블로우 영역의 종료시각인 시각 t1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140)에 내장된 토수량 조정수단(140b)에 의해 조정된다.
또한, 저수탱크(132) 안의 수위는 제트토수에 의해 떨어지는데, 통상 사용에 있어서, 하단 플로우트 스위치(132c)가 온으로 되는 수위까지는 떨어지지 않는다. 어떠한 문제에 의해 저수탱크(132) 안의 수위가 비정상적으로 떨어지고, 하단 플로우트 스위치(132c)가 온으로 되었을 경우에는, 가압펌프(134)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컨트롤러(140)가 가압펌프(134)를 급히 정지시킨다.
이어서, 컨트롤러(140)는 시각 t11에 가압펌프(134)의 회전수를 떨어뜨리고, 가압펌프(134)는 시각 t12까지 정지된다. 제트토수 종료후에도 림토수는 계속되며, 이에 의해 볼부(112) 안에 고인 물의 수위가 상승된다. 컨트롤러(140)는 시각 t13에 전환밸브(128)로 신호를 보내어, 림토수측으로 전환되어 있던 전환밸브(128)를 탱크급수측으로 전환한다. 전환밸브(128)는 시각 t14까지는 탱크급수측으로 완전히 전환되며, 이후 공급된 세정수는 모두 저수탱크(132)에 유입된다. 한편, 제트토수가 종료한 시각 t11로부터 전환밸브(128)에 신호를 보내는 시각 t13까지의 시간인 후기 림세정시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140)에 내장된 토수량 조정수단(140b)에 의해 조정된다.
또한, 시각 t13에 컨트롤러(140)에 내장된 시간계측수단(140a)은 물보급시간을 계측하기 시작한다. 세정수가 저수탱크(132)에 유입함으로써 저수탱크(132) 안의 수위가 상승하고, 시각 t15에 수위가 소정의 수위까지 상승하여 상단 플로우트 스위치(132b)가 온된다. 컨트롤러(140)는 상단 플로우트 스위치(132b)가 온되면, 전자밸브(122)에 신호를 보내어 이것을 폐쇄시킨다. 또한, 시간계측수단(140a)은 탱크급수 개시후, 저수탱크(132)의 수위가 소정의 수위에 도달하고, 저수탱크(132) 안의 세정수가 소정의 계측 저수량이 될 때까지의 물보급시간을 계측한다. 컨트롤 러(140)에 내장된 토수량 조정수단(140b)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간계측수단(140a)에 의해 계측된 물보급시간에 근거하여 블로우 영역의 시간 및 후기 림세정시간을 바꿈으로써, 제트토수구(116)로부터 토출시키는 제트토수량 및 림토수구(118)로부터 토출시키는 림토수시간을 조정한다. 더욱이, 컨트롤러(140)는, 전자밸브(122)가 폐쇄된 후 전환밸브(128)에 신호를 보내어, 탱크급수측으로 전환되어 있던 전환밸브(128)를 림토수측으로 전환하고, 이에 의해 시각 t16에 대기상태로 복귀한다.
이어서, 도 19를 참조하여 컨트롤러(140)에 내장된 토수량 조정수단(140b)에 의한 토수량 조정을 설명한다. 도 19는 토수량 조정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토수량 조정은, 주로 정류량 밸브(120)의 개체차에 의한 유량의 편차에 의해 세정수가 부족하거나 세정수가 쓸데없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행된다.
먼저, 단계 S0의 대기상태에서, 변기세정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소(小)세정측으로 조작되면, 컨트롤러(140)는 소세정 신호를 전자밸브(122) 등으로 출력한다(단계 S1). 한편, 토수량 조정수단(140b)에 의한 토수량 조정은, 토출되는 세정수의 총량이 적은 소세정의 경우에 특히 유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소세정의 경우에만 토수량의 조정이 실행된다. 컨트롤러(140)로부터 소세정 신호가 나옴으로써, 단계 S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변기세정이 실행된다. 한편, 이 때 토수되는 세정수의 양은, 전회까지의 세정에 근거하여 토수량 조정수단(140b)에 의해 결정된 것이 사용된다.
여기서, 세정시의 토수량은 디폴트값으로서 통상의 수압에서 정류량 밸브(120)가 설계값과 같은 유량을 통과시키는 경우에 최적인 값이 설정되어 있다. 이 디폴트값은 공장에서의 검사 등에 의한 통수(通水)시에는 변경되지 않는다. 또한, 수세식 대변기(100)가 현장에 설치되어 시험운전에 의해 처음으로 소세정이 실행되었을 때는 디폴트값에 의해 세정이 실행되며, 이후의 물보급시간이 토수량의 조정을 위하여 참조된다.
이어서, 단계 S3에서 전환밸브(128)가 저수탱크(132)측으로 전환된다(도 18의 시각 t13). 전환밸브(128)가 저수탱크(132) 측으로 전환되면, 단계 S4에서 컨트롤러(140)에 내장된 타이머(도시하지 않음)가 시간의 적산(積算)을 시작한다. 즉, 시간계측수단(140a)이 물보급시간을 계측하기 시작한다. 여기서, 도 18의 시각 t13에서 시각 t14까지의 동안은 전환밸브(128)가 전환되는 과도상태이기 때문에, 세정수는 저수탱크(132) 및 볼부(112) 양쪽으로 유입하게 된다. 하지만, 전환밸브(128)의 작동에는 재현성이 있기 때문에, 시각 t13 이후의 물보급시간을 계측함으로써 정류량 밸브(120)의 개체차를 평가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5에서는, 상단 플로우트 스위치(132b)가 온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고, 온될 때까지 이 처리가 반복된다. 한편, 시간계측수단(140a)에 의해 계측된 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였을 경우에는, 단수 또는 지수전(142a)이 폐쇄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강제로 이 단계의 처리를 종료시킨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시간계측수단(140a)에 의한 계측시간은 토수량의 조정에 사용되지 않는다.
저수탱크(132)의 수위가 상승하고 상단 플로우트 스위치(132b)가 온되면 단계 S6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전자밸브(122)가 폐쇄된다(도 18의 시각 t15). 이어서, 단계 S7에서는 단계 S4에서 적산이 시작된 타이머의 카운트를 중지하고, 이번 세정에서의 물보급시간이 확정된다. 이 물보급시간은 정류량 밸브(120)가 거의 공칭값과 같은 유량을 흘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거의 설계값대로의 시간이 된다. 또한, 물보급시간은, 정류량 밸브(120)가 흘리는 유량이 공칭값보다 크면 짧아지고, 유량이 공칭값보다 적거나, 수세식 대변기(100)가 저수압 지역에 설치되었을 경우에는 길어진다. 이어서, 단계 S8에서 이번과 과거에 계측된 물보급시간의 이동평균이 계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새롭게 계측된 물보급시간을 포함하여 최근 50회의 물보급시간의 평균이 구해진다. 한편, 계측된 물보급시간이 50회를 채우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과거의 모든 물보급시간에 대한 평균을 구한다.
이어서, 단계 S9에서는, 물보급시간의 이동평균값에 근거하여 다음 번 소세정에서의 토수량이 결정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평균값을 3단계로 분류하여 각각의 경우에 적합한 3개의 세정모드 중 하나가 선택된다. 먼저, 계산된 이동평균값이 거의 설계값과 같은 경우, 즉 정류량 밸브(120)가 거의 공칭값과 같은 약 11~13ℓ/min의 유량인 경우에는, 전기 림세정시간(도 18의 시각 t4~t5의 사이)이 약 4.5초, 제트토수의 블로우 영역(도 18의 시각 t10~t11의 사이)이 약 0.94초, 후기 림세정시간(도 18의 시각 t11~t13의 사이)이 약 3.2초로 설정된다. 이에 의해, 전기 림세정시간에서는 약 0.9ℓ, 블로우 영역에서는 약 1.0ℓ, 후기 림세정시간에서는 약 0.65ℓ의 세정수가 각각 토수되고, 변기세정 전체로는 약 4.5ℓ의 세정수 가 사용된다.
또한, 이동평균값이 설계값보다 긴 경우, 즉 정류량 밸브(120)가 공칭값보다 적은 약 11ℓ/min 미만의 유량인 경우에는, 전기 림세정시간, 블로우 영역, 후기 림세정시간이 각각 약 4.8초, 약 0.99초, 약 3.9초로 설정된다. 이에 의해, 각 기간에서 약 0.8ℓ, 약 1.1ℓ, 약 0.65ℓ의 세정수가 각각 토수되고, 변기세정 전체로는 약 4.4ℓ의 세정수가 사용된다.
또한, 이동평균값이 설계값보다 짧은 경우, 즉 정류량 밸브(120)가 공칭값보다 많은 약 13ℓ/min 이상의 유량인 경우에는, 전기 림세정시간, 블로우 영역, 후기 림세정시간이 각각 약 4.2초, 약 0.90초, 약 2.6초로 설정된다. 이에 의해, 각 기간에서 약 1.05ℓ, 약 1.0ℓ, 약 0.65ℓ의 세정수가 각각 토수되고, 변기세정 전체로는 약 4.8ℓ의 세정수가 사용된다.
단계 S9에서 다음 번 세정모드가 선택되면, 도 19의 첫번째 처리가 종료되고, 단계 S0의 대기상태로 복귀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수세식 대변기에 따르면, 림토수량 및 제트토수량을 변화시키고 있기 때문에, 변기의 세정능력을 유지하면서, 정류량 밸브의 개체차가 큰 경우에도 항상 적량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세식 대변기에 따르면, 전환밸브를 사용함으로써, 후기 림세정과 병행하여 저수탱크로의 급수가 시작되기 때문에, 후기 림세정 종료후의 탱크급수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더욱이, 전환밸브에 의한 세정수의 배분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배수트랩관로가 실링워터될 때까지의 시간과 탱크급수가 종료하는 시간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저수탱크에 물이 가득차는 규정 저수량을 계측 저수량으로 하여 물보급시간을 계측하였는데, 계측 저수량을 규정 저수량보다 적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단 플로우트 스위치와 하단 플로우트 스위치 사이에 계측 저수량을 검출하기 위한 제3 센서를 설치하여 두고, 탱크급수 시작후, 제3 센서가 계측 저수량을 검출할 때까지의 시간을 물보급시간으로 하여 토수량 조정을 실행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플로우트 스위치에 의해 저수량을 측정하였는데, 저수량은 저수탱크 안에 배치한 압력센서 등 임의의 센서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물보급시간에 따라 림토수량 및 제트토수량을 조정하였는데, 어느 하나만을 조정하도록 수세식 대변기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변형예로서, 전기 림세정시간 및 후기 림세정시간만을 조정하도록 수세식 대변기를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류량 밸브가 거의 공칭량과 같은 약 11~13ℓ/min의 유량인 경우, 전기 림세정시간을 약 4.5초, 블로우 영역을 약 0.94초, 후기 림세정시간을 약 3.2초로 설정하고, 각 기간에서의 세정수의 양을 각각 약 0.9ℓ, 약 1.0ℓ, 약 0.65ℓ로 하여, 변기세정 전체로는 약 4.5ℓ로 한다. 정류량 밸브가 약 11ℓ/min 미만의 유량인 경우에는, 각 세정시간을 각각 약 5.4초, 약 0.94초, 약 3.9초로 하고, 각 기간에서의 세정수의 양을 약 0.9ℓ, 약 1.0ℓ, 약 0.65ℓ로 하여, 변기세정 전체로는 약 4.4ℓ로 한다. 더욱이, 정류량 밸브가 약 13ℓ/min 이상의 유량인 경우에는, 각 세정시간을 각각 약 4.2초, 약 0.94초, 약 2.6 초로 하고, 각 기간에서의 세정수의 양을 약 1.05ℓ, 약 1.0ℓ, 약 0.65ℓ로 하여, 변기세정 전체로는 약 4.8ℓ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류량 밸브의 실제 유량에 맞추어 전기 림세정, 제트토수, 후기 림세정에서의 토수량을 배분함으로써, 세정능력을 떨어뜨리지 않고 세정수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각 기간의 토수에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즉, 전기 림세정에서의 토수에는 볼부의 표면에 부착한 오물을 볼부에 고인 물 안으로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선회류에 의해 볼부를 세정하는 수세식 대변기에서는, 전기 림세정의 토수에 의해 화장지나 부유오물을 고인 물의 가운데로 모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이펀 작용의 발생시에 부유오물 등을 효과적으로 배수트랩관로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전기 림세정의 토수에 의해 볼부 안에 고인 물의 수면이 상승하고, 수두압력(水頭壓力)이 높아져서 세정수가 배수트랩관로로 밀려들어가기 때문에, 사이펀 작용을 조기에 기동하기 쉽게 한다는 효과도 있다.
한편, 후기 림세정에서의 토수는, 확실하게 배수트랩관로를 실링워터할 수 있는 토수량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정류량 밸브의 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정류량 밸브가 설정값과 같이 구성되어 있을 경우보다 후기 림세정을 늘리지 않으면, 실링워터가 없어질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정류량 밸브의 유량이 많은 경우에는, 설정값과 같이 구성되어 있을 경우보다 후기 림세정을 줄이지 않으면, 불필요한 물이 발생한다.
또한, 제트토수는 주로 사이펀 작용을 기동시키고, 이에 의해 볼부 안의 세 정수 및 오물을 배출하기 위한 것인데, 블로우 영역(도 18의 시각 t10~t11)에서의 제트토수에는 배수트랩관로의 도중부터 볼부 안으로 되돌아오려고 하는 부유오물 등을 배수트랩관로의 최고부를 넘어 하강관으로 떨어뜨리는 작용이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이펀 기동영역(도 18의 시각 t8~시각 t9)에서의 가압펌프의 회전수가 3500rpm이고, 사이펀 지속영역(도 18의 시각 t9~t10)에서는 2600rpm, 블로우 영역에서는 3500rpm이었는데, 이 회전수 및 각 영역의 기간을 적절히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이펀 기동영역의 가압펌프의 회전수를 3600rpm 정도로 높임으로써, 사이펀 작용의 기동시각을 더욱 앞당길 수 있다. 또한, 블로우 영역의 가압펌프의 회전수를 3600rpm 정도로 높임으로써, 볼부 안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부유오물 등을 강하게 밀어낼 수 있기 때문에, 블로우 영역의 시간을 단축하여도 같은 정도의 오물압출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혹은, 블로우 영역의 회전수는 바꾸지 않고 기간을 늘림으로써 부유오물 등을 보다 확실하게 밀어내는 것이 가능해져서, 발명자에 의한 실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결과가 얻어졌다.
이러한 작용, 효과들을 감안하여, 정류량 밸브의 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후기 림세정의 시간을 연장하여 실링워터에 필요한 세정수를 확보하는 동시에, 전기 림세정의 시간도 연장하여 부유오물 등을 고인 물의 수면 가운데로 모이게 하고, 이와 함께 고인 물의 수위를 상승시켜서 사이펀 작용을 조기에 기동하기 쉽게 함으로써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특히 소세정에서는 강한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키는 것보다 약한 사이펀 작용으로도 확실하게 오물을 배출할 수 있는 상태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트토수에 관해서는, 상기 변경과 함께 혹은 단독으로, 블로우 영역의 시간을 늘리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정류량 밸브의 유량이 많은 경우, 불필요한 물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기 림세정 시간을 단축하고, 이에 의해 절약된 세정수의 일부를 전기 림세정으로 돌려서, 부유오물의 확실한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트토수에 관해서는, 이러한 변경과 함께 혹은 단독으로, 블로우 영역의 시간을 늘리는 것이 효과적이다.
더욱이,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토수량 조정수단이 최근 50회의 물보급시간의 이동평균에 의해 토수량을 조정하였는데, 변형예로서 다른 알고리즘에 의해 토수량을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최근 1회의 물보급시간에 근거하여, 다음 번 토수량을 결정하여도 된다. 이에 의해, 수도 급수압의 단기적인 변동에 대응하여 토수량을 조정할 수 있다.
혹은, 최신 물보급시간과 그 전의 물보급시간에 근거하여 토수량을 조정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물보급시간을 5단계 정도로 랭크분류하여 두고, 최신 물보급시간과 그 전의 물보급시간의 간격이 2단계 이내인 경우에는 최신 물보급시간에 근거한 토수량을 다음 번 세정에 사용한다. 또한, 간격이 2단계보다 큰 경우에는, 지난 번 물보급시간의 랭크를 최신 물보급시간의 랭크에 2단계 근접시킨 랭크에 따른 토수량을 다음 번 세정에 사용한다. 이에 의해, 토수량의 즉응성과 안정성의 균형을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를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최신 물보급시간에 근거하여 결정 된 토수량 또는 토수시간은 다음 번 변기세정에서 사용되었는데, 최신 물보급시간을 이번 변기세정에 반영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변형예로서, 최신 변기세정에서 검출된 물보급시간이 지난 번 물보급시간보다 소정 시간 이상 긴 경우, 저수탱크가 규정 저수량으로 복귀된 후, 추가토수를 하여 볼부 안의 수위를 상승시키도록 컨트롤러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최신 변기세정에서의 물보급시간이 지난 번 물보급시간보다 대폭 긴 경우에는, 지난 번 보다 유량이 대폭 떨어진 후기 림세정이, 유량이 많았던 지난 번 변기세정에 근거하여 결정된 림토수시간만큼 이루어진 것이 된다. 이 때문에, 최악의 경우, 후기 림세정에 의한 세정수의 양이 부족하여 배수트랩관로를 실링워터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컨트롤러는 이와 같은 세정수 부족이 발생하지 않도록 추가토수를 하여 볼부 안의 수위를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변형예에 따르면, 변기세정 중에 욕실 등에서 수돗물을 동시 이용하고 있을 경우 등, 급격하게 수도수압이 떨어졌을 경우에도 실링워터가 없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먼저, 최신 물보급시간에 대응하는 림토수의 유량, 및 지난 번 변기세정에 근거하여 결정된 후기 림세정의 시간(최신 림토수시간)으로부터 볼부에 공급된 세정수의 양이 계산된다. 이어서, 계산된 세정수의 양과 배수트랩관로를 실링워터하기 위하여 필요한 미리 기억되어 있는 세정수의 양으로부터 세정수의 부족한 양을 구하여, 이 부족한 세정수의 양 만큼이 추가토수로서 볼부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변형예에 따르면, 배수트랩관로를 확실하게 실링워터할 수 있는 동시에, 추가토수의 양이 너무 많아져서 불필요한 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혹은, 상술한 제2 실시예와 같이, 토수유량을 몇가지 단계로 랭크분류하여 후기 림세정 시간을 각 랭크마다 설정하고 있는 경우, 최신 물보급시간과 지난 번 물보급시간의 간격의 랭크수에 따라 추가토수의 양을 미리 설정해 두어도 되고, 부족한 세정수의 양과 상관없이 미리 충분한 양을 설정해 두어도 된다.
또한, 추가토수는 림토수용 전자밸브, 또는 전자밸브 및 전환밸브를 적절히 개방 또는 전환함으로써 림토수구를 통하여 실시하여도 되고, 가압펌프를 저속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제트토수구를 통하여 실시하여도 된다.
혹은, 추가토수는 저수탱크 안에서 뻗은 오버플로우 유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오버 플로우 유로는 저수탱크 안의 수위가 소정 수위를 넘었을 때, 저수탱크 안의 세정수를 볼부에 배출하고, 저수탱크로부터 세정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 오버플로우 유로는 림토수구 또는 제트토수구를 통하여 볼부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혹은, 오버플로우 유로를 림토수구 및 제트토수구와는 별도로 설치한 개구를 통하여 볼부에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오버플로우 유로를 통하여 추가토수를 하는 경우, 컨트롤러는 플로우트 스위치가 만수(滿水)를 검출한 후에도 저수탱크로의 급수를 계속하여, 필요한 양의 세정수를 볼부에 오버플로우시킨다.
본 명세서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음.

Claims (11)

  1. 가압한 세정수에 의해 세정되는 수세식 대변기로서,
    림토수구 및 제트토수구가 형성된 볼부, 및 배수트랩관로를 구비한 수세식 대변기 본체와,
    상기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수시키는 세정수를 가압하는 가압펌프와,
    상기 가압펌프에 의해 가압해야 할 세정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와,
    수도의 급수압력에 의해 세정수를 소정의 림토수시간 동안 상기 림토수구로부터 토출시키는 동시에, 상기 저수탱크 안의 세정수를 상기 가압펌프에 의해 소정의 제트토수량으로 상기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출시킴으로써 상기 볼부를 세정하는 세정제어수단과,
    상기 볼부의 세정후, 세정수를 수도로부터 상기 저수탱크에 공급하고, 상기 저수탱크의 저수량을 세정전의 규정 저수량으로 복귀시키는 세정수 보급수단과,
    상기 세정수 보급수단에 의해 세정수의 공급이 시작되고 나서 상기 저수탱크의 저수량이 규정 저수량으로 복귀할 때까지의 물보급시간을 검출하는 시간계측수단과,
    상기 시간계측수단에 의해 검출된 물보급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세정제어수단이 상기 림토수구로부터 세정수를 토출시키는 상기 림토수시간을 조정하는 토수시간 조정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어수단은, 상기 림토수구로부터의 첫번째 토수, 상기 제트토수구로부터의 토수, 상기 림토수구로부터의 두번째 토수를 차례로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수시간 조정수단은, 상기 림토수구로부터의 두번째 림토수시간을 조정하는 수세식 대변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보급수단은, 상기 림토수구로부터의 토수종료후, 소정의 급수대기시간을 비워두고 상기 저수탱크로의 급수를 시작하는 수세식 대변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의 수위를 검출하는 플로우트 스위치를 더 가지고, 상기 시간계측수단은 상기 플로우트 스위치가 상기 규정 저수량을 검출할 때까지의 시간을 검출하는 수세식 대변기.
  5. 가압한 세정수에 의해 세정되는 수세식 대변기로서,
    림토수구 및 제트토수구가 형성된 볼부, 및 배수트랩관로를 구비한 수세식 대변기 본체와,
    상기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수시키는 세정수를 가압하는 가압펌프와,
    상기 가압펌프에 의해 가압해야 할 세정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와,
    수도의 급수압력에 의해 세정수를 상기 림토수구로부터 토출시키는 동시에, 상기 저수탱크 안의 세정수를 상기 가압펌프에 의해 상기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출시킴으로써 상기 볼부를 세정하는 세정제어수단과,
    제트토수 종료후, 세정수를 수도로부터 상기 저수탱크에 공급하고, 상기 저수탱크의 저수량을 세정전의 규정 저수량으로 복귀시키는 세정수 보급수단과,
    상기 세정수 보급수단에 의해 세정수의 공급이 시작되고 나서 상기 저수탱크의 저수량이 상기 규정 저수량 이하의 소정의 계측 저수량에 도달할 때까지의 물보급시간을 검출하는 시간계측수단과,
    상기 시간계측수단에 의해 검출된 물보급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림토수구로부터 토출되는 림토수시간, 또는 상기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출되는 제트토수량을 조정하는 토수량 조정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토수량 조정수단은, 상기 가압펌프를 작동시키는 시간을 바꿈으로써 상기 제트토수량을 조정하는 수세식 대변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토수량 조정수단은, 상기 가압펌프의 회전수를 바꿈으로써 상기 제트토수량을 조정하는 수세식 대변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트토수는, 사이펀 작용을 기동시키는 사이펀 기동영역, 상기 사이펀 기동영역보다 유량이 적고, 기동한 사이펀 작용을 지속시키는 사이펀 지속영역, 및 사이펀 작용 종료후, 상기 배수트랩관로 안의 오물을 밀어내는 블로우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블로우 영역에서 상기 세정제어수단은 상기 사이펀 기동영역과 같은 회전수로 상기 가압펌프를 작동시키는 수세식 대변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토수량 조정수단은 상기 블로우 영역의 시간을 바꿈으로써 상기 제트토수량을 조정하는 수세식 대변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어수단은 지난 번 변기세정시에 검출된 물보급시간에 근거하여 조정된 림토수시간에 걸쳐서 림토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최신 변기세정에서 검출된 물보급시간이 지난 번 물보급시간보다 소정 시간 이상 긴 경우에는, 상기 저수탱크가 규정 저수량으로 복귀된 후에 추가토수하여 상기 볼부 안의 수위를 상승시키는 수세식 대변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토수에 의해 상기 볼부에 공급되는 세정수의 양은, 최신 물보급시 간에 대응하는 림토수의 유량 및 최신 림토수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배수트랩관로가 실링워터되도록 상기 세정제어수단에 의해 결정되는 수세식 대변기.
KR1020097004184A 2006-08-31 2007-08-29 수세식 대변기 KR101356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36088 2006-08-31
JPJP-P-2006-236088 2006-08-31
PCT/JP2007/066754 WO2008026633A1 (en) 2006-08-31 2007-08-29 Flush toil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625A KR20090061625A (ko) 2009-06-16
KR101356186B1 true KR101356186B1 (ko) 2014-01-24

Family

ID=39135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184A KR101356186B1 (ko) 2006-08-31 2007-08-29 수세식 대변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18277B2 (ko)
EP (1) EP2058443B1 (ko)
JP (1) JP4941900B2 (ko)
KR (1) KR101356186B1 (ko)
CN (1) CN101517171B (ko)
CA (1) CA2661847C (ko)
TW (1) TW200811340A (ko)
WO (1) WO20080266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6971B2 (en) 2009-11-17 2013-10-29 Kohler Co. Toilet flushing assembly and sequence
US8978172B2 (en) 2009-11-17 2015-03-17 Kohler Co. Plumbing fixture having modular control housing
CN102108726B (zh) * 2009-12-25 2014-05-14 虞吉伟 抽水马桶及其节水装置
JP5472637B2 (ja) * 2010-12-20 2014-04-16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WO2012108269A1 (ja) * 2011-02-10 2012-08-16 株式会社Lixil 便器洗浄装置及び水洗式便器
WO2013123194A1 (en) * 2012-02-14 2013-08-22 Schroder James High pressure low liquid volume waste disposal system
US10655313B2 (en) * 2012-09-06 2020-05-19 Kohler Co. Grey water toilet
CN203200865U (zh) * 2013-01-28 2013-09-18 杜拉维特卫浴科技(上海)有限公司 座便器自动冲水系统及电子座便器
CN203200875U (zh) * 2013-03-01 2013-09-18 杜拉维特卫浴科技(上海)有限公司 真空破坏器、座便器自动冲水系统及电子座便器
JP6213898B2 (ja) * 2013-12-13 2017-10-18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US9631350B2 (en) * 2013-09-30 2017-04-25 Toto Ltd. Flush toilet
JP6376513B2 (ja) * 2014-07-30 2018-08-22 Toto株式会社 洗浄水タンク装置および水洗大便器
GB201417612D0 (en) * 2014-10-06 2014-11-19 Xamol Ltd Improvements to a Valve assembly
CN106013362B (zh) * 2015-03-24 2018-07-27 Toto株式会社 冲水大便器
USD762288S1 (en) 2015-05-07 2016-07-26 Joseph D. Baron String holder
JP6667097B2 (ja) * 2015-11-12 2020-03-18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EP3408461A4 (en) 2016-01-25 2019-09-11 Kohler Co. LINE PRESSURE OPERATED DISHWASHER-FREE SIPHONTOILETTE
JP6908871B2 (ja) * 2016-06-27 2021-07-28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US9714506B1 (en) * 2016-07-16 2017-07-25 Yi-Wen Tang Toilet
KR102547934B1 (ko) * 2017-01-25 2023-06-26 가부시키가이샤 프로모트 배설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N207739344U (zh) * 2017-05-09 2018-08-17 厦门建霖健康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低噪音的压力冲洗系统及具有该压力冲洗系统的座便器
EP3732338B1 (en) * 2017-12-28 2022-01-26 New Line S.r.l. An accessory assembly for a toilet bowl, having a service equipment
US10443222B2 (en) * 2018-01-10 2019-10-15 Yi-Wen Tang Toilet
CN108104237A (zh) * 2018-02-06 2018-06-01 浙江怡和卫浴有限公司 座便器
IT201800003589A1 (it) * 2018-03-15 2018-06-15 Maurizio Masciullo Sistema elettrico e idraulico per lo sversamento di acqua all'interno del vaso sanitario
MX2021002939A (es) * 2018-09-28 2021-06-15 As America Inc Inodoro presurizado.
CN109797820A (zh) * 2018-12-11 2019-05-24 厦门派夫特卫浴科技有限公司 基于泵装置的马桶冲刷系统
CN109853685B (zh) * 2018-12-11 2024-05-07 厦门派夫特卫浴科技有限公司 一种马桶的冲刷装置和马桶的冲刷系统
US11371228B2 (en) 2018-12-28 2022-06-28 Kohler Co. Flushing assembly, water supply assembly, lower position water suction assembly, water tank, check valve for use in a toilet, and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toilet water consumption
EP3674491B1 (en) 2018-12-28 2021-09-01 Shanghai Kohler Electronics, Ltd. Water supply assembly of a toilet
US11299877B2 (en) 2019-02-28 2022-04-12 Kohler Co. Fluid connector for toilet
JP6778403B2 (ja) * 2019-03-29 2020-11-04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CN110284565A (zh) * 2019-06-28 2019-09-27 赵亦军 一种卫生处理装置
CA3152350A1 (en) 2019-10-10 2021-04-15 Christopher Harrison Toilet fixture clog prevention and cleanout
CN112779958A (zh) * 2019-11-05 2021-05-11 厦门松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水箱的马桶冲刷系统和马桶
JP6970392B2 (ja) * 2020-02-04 2021-11-24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7237285B2 (ja) * 2020-08-28 2023-03-13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CN214657498U (zh) * 2021-01-28 2021-11-09 海益(厦门)建材工业有限公司 智能座便器及其冲刷系统
CN214657496U (zh) * 2021-01-28 2021-11-09 海益(厦门)建材工业有限公司 一种智能座便器及其冲刷系统
CN115726443A (zh) * 2021-08-27 2023-03-03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装置
CN114232733A (zh) * 2021-12-20 2022-03-25 无锡欧枫科技有限公司 坐便器用智能冲水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4240A (ja) * 1990-11-27 1992-07-14 Toto Ltd 洗浄給水装置
JPH04222730A (ja) * 1990-12-26 1992-08-12 Toto Ltd サイホンジェット式便器
JP2005264469A (ja) 2004-03-16 2005-09-29 Toto Ltd 水洗便器
JP2008057238A (ja) 2006-08-31 2008-03-13 Toto Ltd 水洗大便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333210C (en) * 1988-07-25 1994-11-29 Osamu Tsutsui Water closet flushing apparatus
CA2013434C (en) * 1989-03-30 2000-05-30 Shinji Shibata Flush water supply system for toilet stool
US5204999A (en) * 1989-03-30 1993-04-27 Toto Ltd. Flush water supply system for toilet stool
JP2874207B2 (ja) 1989-09-01 1999-03-24 東陶機器株式会社 便器の洗浄給水装置
WO1999027203A1 (fr) * 1997-11-26 1999-06-03 Clara S.A. Perfectionnements aux installations sanitaires munies de siphon
CN2387161Y (zh) * 1999-09-10 2000-07-12 广东佛陶集团赛纳陶瓷有限公司 压力式坐便器
CN2435443Y (zh) * 2000-05-11 2001-06-20 肖斌 光控自动冲水大便器
CN1386939A (zh) * 2001-05-17 2002-12-25 周跃平 一种气冲节水马桶
TW200530467A (en) * 2004-03-08 2005-09-16 Toto Ltd Flush toilet bowl
US8032956B2 (en) * 2005-11-21 2011-10-11 Ideal Standard International Bvba Multi-phase, high energy flush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4240A (ja) * 1990-11-27 1992-07-14 Toto Ltd 洗浄給水装置
JPH04222730A (ja) * 1990-12-26 1992-08-12 Toto Ltd サイホンジェット式便器
JP2005264469A (ja) 2004-03-16 2005-09-29 Toto Ltd 水洗便器
JP2008057238A (ja) 2006-08-31 2008-03-13 Toto Ltd 水洗大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625A (ko) 2009-06-16
CN101517171B (zh) 2011-01-19
TW200811340A (en) 2008-03-01
TWI339700B (ko) 2011-04-01
EP2058443B1 (en) 2017-05-17
JPWO2008026633A1 (ja) 2010-01-21
WO2008026633A1 (en) 2008-03-06
CA2661847C (en) 2015-04-14
EP2058443A4 (en) 2014-10-15
US20100077544A1 (en) 2010-04-01
US8418277B2 (en) 2013-04-16
EP2058443A1 (en) 2009-05-13
JP4941900B2 (ja) 2012-05-30
CN101517171A (zh) 2009-08-26
CA2661847A1 (en) 200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186B1 (ko) 수세식 대변기
JP5305213B2 (ja) 水洗大便器
KR101474369B1 (ko) 수세식 대변기
JP5472637B2 (ja) 水洗大便器
JP2010156201A (ja) 水洗大便器
JP5170823B2 (ja) 水洗大便器
JP5240646B2 (ja) 水洗大便器
JP5900737B2 (ja) 手洗い器付き小便器
JP4552233B2 (ja) 水洗大便器
CN104032813A (zh) 冲水大便器
JP5130678B2 (ja) 水洗大便器
JP4941889B2 (ja) 水洗大便器
JP2017048673A (ja) 水洗大便器
JP2017048674A (ja) 水洗大便器
KR100670933B1 (ko) 수돗물 절약 자동조절 필밸브를 구비한 양변기
JP2008057245A (ja) 水洗大便器
JP6865923B2 (ja) 水洗大便器
JP4411737B2 (ja) 水洗便器の洗浄水吐出方法
JP2010077686A (ja) 洋風大便器
JP2009002054A (ja) 水洗大便器
JP7247478B2 (ja) 水洗大便器
JP7293712B2 (ja) 水洗大便器装置
JP2021134604A (ja) 水洗大便器装置
JP6281701B2 (ja) 水洗大便器
JP2008303691A (ja) 水洗大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