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934B1 - 배설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배설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934B1
KR102547934B1 KR1020197021863A KR20197021863A KR102547934B1 KR 102547934 B1 KR102547934 B1 KR 102547934B1 KR 1020197021863 A KR1020197021863 A KR 1020197021863A KR 20197021863 A KR20197021863 A KR 20197021863A KR 102547934 B1 KR102547934 B1 KR 102547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suction
toilet
tank
sew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6278A (ko
Inventor
요시히코 스가와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프로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프로모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프로모트
Publication of KR20190116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6Associated working of inlet and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6Pneumatic sewage disposal system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6Armrests mounted on or around the toi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25Combined with wash-basins, urinals, flushing devices for chamber-pots, bed-pan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1Bowls combined with a reservoir, e.g. containing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for disintegr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7/00Wheeled lavat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10Waste-disintegrating apparatus combined with the bow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Fertilizer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과제] 오수탱크의 오수를, 배설물 처리장치 본체로부터의 압착공기에 의해, 하수관의 외부로 직접 배출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은, 오수탱크(19)의 흡인밸브(44)의 흡인구를 개방하고, 상기 오수탱크(19)의 배수밸브(46)를 폐쇄하는 공정과, 상기 오수탱크(19)의 공기 입출구(45)로부터 상기 오수탱크(19) 내의 공기를 흡인하고, 상기 흡인밸브(44)의 흡인구에 연결된 배관으로부터 오수를 흡인해서 저장하는 공정과, 오수탱크(19)의 흡인밸브(44)의 흡인구를 폐쇄하고, 상기 오수탱크(19)의 배수밸브(46)를 개방하는 공정과, 상기 오수탱크(19)의 공기 입출구에 압착공기를 압입해서 저장한 오수를 상기 배수밸브(46)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배설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이용자 부근으로 이동해서 의자형 변기로서 이용할 수 있는 동시에, 일어나지 못하는 이용자의 고간에 세트해서 삽입형 변좌로서도 이용 가능한 배설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용자 부근으로 이동해서 의자형 변기로서 이용 설치 가능한 각종 휴대용 화장실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변 용기의 세정수가 적어도 처리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휴대용 화장실이 기재되어 있다.
이 휴대용 화장실은, 이동 가능한 가동 베이스와, 이 가동 베이스에 설치된 변 용기와, 이 변 용기의 아래쪽에 배치된 버킷(bucket)과, 상기 변 용기의 위쪽에 배치된 변좌와, 상기 변 용기에 용기 세정수를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변 용기 세정수 공급 수단은, 상기 변 용기의 후부에 배치되어, 변 용기 내부를 향해서 물을 분무하는 분무 노즐을 구비하고, 탱크 내의 물은, 배관, 펌프, 3방 전환밸브, 배관을 개재해서 분무 노즐에 공급하고, 또한, 탱크 내의 물은, 이 3방 전환밸브로부터 분기된 배관, 히터를 개재해서 온수로 되어, 온수 세정 노즐에 공급한다. 변좌에 착좌해서 용변을 행한 후, 온수 세정 노즐에 의해서 둔부를 건조시킨다. 그 후, 분무 노즐로부터 물을 분무해서, 변 용기의 세정을 행한다. 분무 노즐로부터 물을 분무해서 변 용기를 세정하므로, 물의 사용량이 적고, 버킷의 세정이나 탱크에의 물주입 횟수가 적어도 처리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상부의 변 용기부와 하부의 오물 저장조를 구비하는 오물 포트로서, 변 용기부의 하단부의 뚜껑체로 폐쇄할 때에, 밀봉을 확실하게 해서 악취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오물 포트에 상부의 변 용기부와, 용기 형상을 이루는 하부의 오물 저장조와, 변 용기부의 하단부의 개구를 폐쇄하는 뚜껑체를 설치한다. 그리고 개구의 내주면에는, 테이퍼 형상의 암 끼워맞춤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뚜껑체에는 암 끼워맞춤면에 끼워맞춤되는 수 끼워맞춤면을 형성해서 이들을 끼워맞춤되도록 하고, 또한 뚜껑체의 수 끼워맞춤면은 개구의 암 끼워맞춤면의 테이퍼 각도보다 심한 급각도의 면으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일어나지 못하는 이용자의 고간에 세트해서 삽입 변좌로서 이용 가능한 배설물 처리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배설물 처리장치는, 일어나지 못하는 이용자의 고간부에, 삽입형 변좌를 꼭 대고, 기저귀로 삽입 변좌를 덮고, 이 삽입형 변좌에 배설한 배설물을 배설물 처리장치 본체의 오수탱크에 흡인하고, 오수탱크가 만수가 되면, 배설물 처리장치 본체로부터 분리해서 하수관에 연결된 변기까지 운반해서 유입시키는 것이다.
JP 2002-45307 A JP 2002-200005 A JP 5254498 B
특허문헌 1에 나타낸 장치는, 배설 후에는, 둔부와 용기부를 분무 노즐로 세정하지만, 배설물은, 변 용기의 밑에 설치한 버킷에 수납하고, 뚜껑을 덮는 것뿐이기 때문에, 악취가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2에 나타낸 장치는, 오물 포트를 구성하는 변 용기부와, 그 하부의 오물 저장조의 개구를 테이퍼 형상의 암수 끼워맞춤면의 뚜껑체로 뚜껑을 덮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배변 중의 냄새의 발산을 억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3에 나타낸 장치는, 삽입형 변좌에 배설한 배설물을 배설물 처리장치 본체의 오수탱크에 흡인시키므로, 삽입형 변좌로부터의 악취의 누설은 거의 없지만, 오수탱크가 만수가 되면, 배설물 처리장치 본체로부터 분리시켜 하수관에 연결된 변기까지 운반해서 유입시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 2 및 3에 나타낸 것에서는, 모두 배설물이 버킷이나 오수탱크 내에 가득 차게 되면, 그 버킷을 하수관에 연결된 변기까지 운반하고, 하수에 유입시키고, 그 버킷을 세정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괴로운 작업이 있었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오수탱크가 가득 차게 되면, 배설물 처리장치 본체로부터의 압착공기에 의해, 하수관에 직접 압송 배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의자형 변기로서 이용할 수 있는 동시에, 고간에 세트해서 삽입형 변좌로서도 이용 가능한 배설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다른 목적은, 명세서와 도면의 기재로부터 명백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방법은,
오수탱크(19)의 흡인밸브(44)의 흡인구를 개방하고, 상기 오수탱크(19)의 배수밸브(46)를 폐쇄하는 공정과,
상기 오수탱크(19)의 공기 입출구(45)로부터 상기 오수탱크(19) 내의 공기를 흡인하고, 상기 흡인밸브(44)의 흡인구에 연결된 배관으로부터 오수를 흡인해서 저장하는 공정과,
오수탱크(19)의 흡인밸브(44)의 흡인구를 폐쇄하고, 상기 오수탱크(19)의 배수밸브(46)를 개방하는 공정과,
상기 오수탱크(19)의 공기 입출구에 압착공기를 압입해서 저장한 오수를 상기 배수밸브(46)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장한 오수를 상기 배수밸브(46)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공정 전에, 상기 오수탱크(19) 내에서 고형물을 분쇄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는,
오수탱크(19)와,
이 오수탱크(19)에 설치되고, 상기 오수탱크(19)에 연결된 오수의 배관과의 흡인구를 개폐하는 흡인밸브(44)와,
상기 오수탱크(19)에 설치되고, 저장한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밸브(46)와,
상기 오수탱크(19)에 설치되고, 상기 흡인밸브(44)의 흡인구에 연결된 배관과의 흡인구로부터 오수를 흡인하기 위하여 공기를 흡인하고, 상기 배수밸브(46)로부터 저장한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압착공기를 압입하는 공기 입출구(45)와,
이 공기 입출구(45)에 연결되어, 상기 오수탱크(19)에 공기의 흡인과 압착공기의 압입을 행하는 흡입(suction) 모터(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수탱크(19)에 이 오수탱크(19) 내에서 고형물을 분쇄하는 오물 분쇄부(43)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수탱크(19)에 설치된 흡인밸브(44)는, 의자형 변기(9)의 오수를 흐르게 하는 배관(63)에 연결되는 흡인구(44a)와, 이 흡인구(44a)를 개폐하는 슬라이더(1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수탱크(19)에 설치된 흡인밸브(44)는, 삽입형 변좌(100)의 오수를 흐르게 하는 배관(39)에 연결되는 흡인구(44b)와, 이 흡인구(44b)를 개폐하는 슬라이더(1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수탱크(19)에 설치된 흡인밸브(44)는, 의자형 변기(9)의 오수를 흐르게 하는 배관(63)에 연결되는 흡인구(44a)와, 삽입형 변좌(100)의 오수를 흐르게 하는 배관(39)에 연결되는 흡인구(44b)와, 이들 흡인구(44a)와 흡인구(44b)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슬라이더(1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의자형 변기(9)의 변통(12)에는, 소변센서(56)와 대변센서(5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인밸브(44)는, 좌우로 요동하는 모터축(121a)을 구비하는 전환모터(121)와, 상기 모터축(121a)에 결합된 전환암(122)의 선단에 설치한 슬라이더 지지판(124)과, 이 슬라이더 지지판(124)에 탄성축(126)을 개재해서 지지되어, 상기 흡인구(44a)와 흡인구(44b)의 양쪽의 폐쇄와 상기 흡인구(44a)와 흡인구(44b)의 선택적인 개폐를 하는 슬라이더(123)와, 상기 탄성축(126)을, 누름판(127)을 개재해서 상기 슬라이더(123)를 상기 흡인구(44a)와 흡인구(44b)를 압압하는 압압롤러(12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자형 변기(9)의 변통(12)에 접속되어, 1회 세정분의 세정수를 저장하는 증압탱크(22)와, 이 증압탱크(22) 내의 세정수를 변통(12)의 세정수 분출구(17)에 송출하기 위하여 상기 증압탱크(22)에 공기압을 보내는 흡입모터(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증압탱크(22)는, 외측 용기(62)의 내부에, 연질의 세정수 봉지(33)를 마련하고, 이 세정수 봉지(33)의 입구측을, 물펌프(27)를 개재해서 세정수 탱크(18)에 연결하고, 상기 세정수 봉지(33)의 출구측을, 상기 변통(12)의 세정수 분출구(17)에 연결하고, 상기 외측 용기(62)를, 상기 세정수 봉지(33)를 압축해서 세정수를 압송하기 위한 압착공기를 보내는 흡입모터(20)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정수 봉지(33)는, 독립적인 복수개로 분할하고, 이들 복수개의 세정수 봉지(33)를 변통(12)의 다른 세정수 분사구(17)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대의 흡입모터(20)와, 이 흡입모터(20)의 공기 흡인구와 공기 토출구에 면하게 해서 A, AB, B의 3가지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밸브(53)를 설치하고, 이 전환밸브(53)의 A 모드에서는, 상기 공기 흡인구와 오수탱크(19)를 결합해서 의자형 변기(9)와 삽입형 변좌(100)로부터 오수탱크(19)에의 오수의 흡인을 하고, AB 모드에서는, 상기 공기 흡인구로부터 외부 공기를 흡인해서 증압탱크(22)와 삽입형 변좌(100)에의 송풍을 하고, B 모드에서는, 상기 공기 흡인구로부터 외부 공기를 흡인해서 오수탱크(19)에 압송하고, 외부로의 오수의 압송 기능을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의자형 변기(9)의 변통(12)의 변좌 가장자리부(13)에, 좌우로, 세장형 흡취구멍(99)을 형성하고, 이 흡취구멍(99)에 면하게 한 외측에, 흡인박스(119)를 부착하고, 이들의 흡인박스(119)를 흡인호스(120)에 의해 소취팬(60)을 개재해서 상기 소취필터(21)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오수탱크(19)의 흡인밸브(44)의 흡인구를 개방하고, 상기 오수탱크(19)의 배수밸브(46)를 폐쇄하는 공정과,
상기 오수탱크(19)의 공기 입출구(45)로부터 상기 오수탱크(19) 내의 공기를 흡인하고, 상기 흡인밸브(44)의 흡인구에 연결된 배관으로부터 오수를 흡인해서 저장하는 공정과,
오수탱크(19)의 흡인밸브(44)의 흡인구를 폐쇄하고, 상기 오수탱크(19)의 배수밸브(46)를 개방하는 공정과,
상기 오수탱크(19)의 공기 입출구에 압착공기를 압입해서 저장한 오수를 상기 배수밸브(46)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방법으로 했으므로, 오물을 저장한 오수탱크에 직접 손을 접촉하는 일 없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손을 접촉하지 않으므로 위생면에서도 우수하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저장한 오수를 상기 배수밸브(46)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공정 전에, 상기 오수탱크(19) 내에서 고형물을 분쇄하는 공정을 부가했으므로, 오수탱크 내의 오물이나 오수를 확실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오수탱크(19)와,
이 오수탱크(19)에 설치되고, 상기 오수탱크(19)에 연결된 오수의 배관과의 흡인구를 개폐하는 흡인밸브(44)와,
상기 오수탱크(19)에 설치되고, 저장한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밸브(46)와,
상기 오수탱크(19)에 설치되고, 상기 흡인밸브(44)의 흡인구에 연결된 배관과의 흡인구로부터 오수를 흡인하기 위하여 공기를 흡인하고, 상기 배수밸브(46)로부터 저장한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압착공기를 압입하는 공기 입출구(45)와,
상기 공기 입출구(45)에 연결되어, 상기 오수탱크(19)에 공기의 흡인과 압착공기의 압입을 행하는 흡입모터(20)를 포함하므로, 오수탱크로부터 냄새를 외부로 누출시키는 일 없이, 그리고 폐기 처리를 하지 않고 오물처리를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오수탱크(19)에 이 오수탱크(19) 내에서 고형물을 분쇄하는 오물 분쇄부(43)를 설치했으므로, 오수탱크로부터 외부로 배변을 확실하게 유입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오수탱크(19)에 설치된 흡인밸브(44)는, 의자형 변기(9)의 오수를 흐르게 하는 배관(63)에 연결되는 흡인구(44a)와, 이 흡인구(44a)를 개폐하는 슬라이더(123)를 구비하므로, 오수탱크(19)에 의자형 변기(9)를 연결해서 오수의 처리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오수탱크(19)에 설치된 흡인밸브(44)는, 삽입형 변좌(100)의 오수를 흐르게 하는 배관(39)에 연결되는 흡인구(44b)와, 이 흡인구(44b)를 개폐하는 슬라이더(123)를 구비하므로, 오수탱크(19)에 삽입형 변좌(100)를 연결해서 오수의 처리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오수탱크(19)에 설치된 흡인밸브(44)는, 의자형 변기(9)의 오수를 흐르게 하는 배관(63)에 연결되는 흡인구(44a)와, 삽입형 변좌(100)의 오수를 흐르게 하는 배관(39)에 연결되는 흡인구(44b)와, 이들 흡인구(44a)와 흡인구(44b)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슬라이더(123)를 구비하므로, 간호를 필요로 하는 이용자라도 낮 동안에는, 간병인의 원조가 있으면, 의자형 변기에서 배변하고, 용변의 처리를 할 수 있으며, 또한, 야간에는, 간병인의 원조 없이 배변 처리를 할 수 있고, 간호의 수고를 대폭 가볍게 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의자형 변기(9)의 변통(12)에는, 소변센서(56)와 대변센서(57)를 구비했으므로, 소변인가 대변인가에 따라, 세정수의 소비를 변경할 수 있어, 세정수 탱크를 소형화할 수 있는 동시에, 변통의 적절한 처리를 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흡인밸브(44)는, 좌우로 요동하는 모터축(121a)을 구비하는 전환모터(121)와, 상기 모터축(121a)에 결합된 전환암(122)의 선단에 설치한 슬라이더 지지판(124)과, 이 슬라이더 지지판(124)에 탄성축(126)을 개재해서 지지되어, 상기 흡인구(44a)와 흡인구(44b)의 양쪽의 폐쇄와 상기 흡인구(44a)와 흡인구(44b)의 선택적인 개폐를 하는 슬라이더(123)와, 상기 탄성축(126)과 누름판(127)을 개재해서 상기 슬라이더(123)를 상기 흡인구(44a)와 흡인구(44b)를 향하여 압압하는 압압롤러(129)를 구비하므로, 슬라이더(123)를 흡인구와의 사이의 오물의 막힘이 없어질 뿐만 아니라, 오수탱크에 압착공기를 불어 넣어도 냄새가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의자형 변기(9)의 변통(12)에 접속되어, 1회 세정분의 세정수를 저장하는 증압탱크(22)와, 이 증압탱크(22) 내의 세정수를 변통(12)의 세정수 분출구(17)에 송출하기 위하여 상기 증압탱크(22)에 공기압을 보내는 흡입모터(20)를 포함하므로, 필요최소한의 수량, 예를 들면, 대변은 약 400 내지 500㏄, 소변은 200 내지 300㏄로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증압탱크(22)는, 외측 용기(62)의 내부에, 연질의 세정수 봉지(33)를 마련하고, 이 세정수 봉지(33)의 입구측을, 물펌프(27)를 개재해서 세정수 탱크(18)에 연결하고, 상기 세정수 봉지(33)의 출구측을, 상기 변통(12)의 세정수 분출구(17)에 연결하고, 상기 외측 용기(62)를, 상기 세정수 봉지(33)를 압축해서 세정수를 압송하기 위한 압착공기를 보내는 흡입모터(20)에 연결했으므로, 세정수에 충분한 수압을 부여해서 변통을 세정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세정수 봉지(33)는, 독립적인 복수개로 분할하고, 이들 복수개의 세정수 봉지(33)를 변통(12)의 다른 세정수 분사구(17)에 연결했으므로, 변통의 복수의 세정 개소마다 원하는 수류를 부여해서 세정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1대의 흡입모터(20)와, 이 흡입모터(20)의 공기 흡인구와 공기 토출구에 면하게 해서 A, AB, B의 3가지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밸브(53)를 설치하고, 이 전환밸브(53)의 A 모드에서는, 상기 공기 흡인구와 오수탱크(19)를 결합해서 의자형 변기(9)와 삽입형 변좌(100)로부터 오수탱크(19)에의 오수의 흡인을 하고, AB 모드에서는, 상기 공기 흡인구로부터 외부 공기를 흡인해서 증압탱크(22)와 삽입형 변좌(100)에의 송풍을 하고, B 모드에서는, 상기 공기 흡인구로부터 외부 공기를 흡인해서 오수탱크(19)에 압송하고, 외부로의 오수의 압송 기능을 하도록 구성했으므로, 1대의 흡입모터와 3모드의 전환밸브로 효율적으로 오수의 흡인, 냄새의 배출, 오수의 압송 등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의자형 변기(9)의 변통(12)의 변좌 가장자리부(13)에, 좌우로, 세장형 흡취구멍(99)을 형성하고, 이 흡취구멍(99)에 면하게 한 외측에, 흡인박스(119)를 부착하고, 이들 흡인박스(119)를 흡인호스(120)에 의해 소취팬(60)을 개재해서 상기 소취필터(21)에 연결했으므로, 변기(9)의 변통(12) 내의 악취를 확실히 흡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의 실시예 1을 나타낸 설명도로서, (a)는 의자형 변기(9)로서 사용하고 있는 상태의 설명도, (b)는 삽입형 변좌(100)로서 사용하고 있는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의 실시예 1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온수 변좌 유닛(11)에의 세정수의 공급 동작의 설명을 위한 설명도로서, (a)는 변통의 정면도, (b)는 변통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커버(10a)를 씌운 변기 본체(10)의 사시도, (b)는 커버(10a)를 연 변기 본체(10)의 사시도, (c)는 커버(10a)를 열고, 변좌 뚜껑(14a)을 연 변기 본체(10)의 사시도, (d)는 커버(10a)를 씌운 후면으로부터의 변기 본체(10)의 사시도, (e)는 변통(12)에 악취의 흡인박스(119)를 설치한 사시도, (f)는 삽입형 변좌(10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있어서의 세정수 탱크(19)에 부착되는 흡인밸브(44)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도 5(b)의 A-A선 종단면도, (b)는 도 5(a)의 밑면도, (c)는 도 5(b)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의 제어회로의 실시예 1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의 변기에의 급수 동작의 순서도이다.
도 8(a)는 변기 모드의 순서도, (b)는 예비세정의 순서도, (c)는 세정수 증압탱크(22)에의 급수 동작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의 의자형 변기(9)의 흡인 동작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의 의자형 변기(9)와 삽입형 변좌(100)의 압송동작의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의 삽입형 변좌(100)의 대변, 소변 공유의 흡인 동작의 순서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의 삽입형 변좌(100)의 소변 흡인 동작의 순서도, (b)는 삽입형 변좌(100)의 세정 동작의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의 삽입형 변좌(100)의 대변 흡인 동작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방법은,
오수탱크(19)의 흡인밸브(44)의 흡인구를 개방하고, 상기 오수탱크(19)의 배수밸브(46)를 폐쇄하는 공정과,
상기 오수탱크(19)의 공기 입출구(45)로부터 상기 오수탱크(19) 내의 공기를 흡인하고, 상기 흡인밸브(44)의 흡인구에 연결된 배관으로부터 오수를 흡인해서 저장하는 공정과,
오수탱크(19)의 흡인밸브(44)의 흡인구를 폐쇄하고, 상기 오수탱크(19)의 배수밸브(46)를 개방하는 공정과,
상기 오수탱크(19)의 공기 입출구에 압착공기를 압입해서 저장한 오수를 상기 배수밸브(46)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배설물 처리방법에 있어서, 저장한 오수를 상기 배수밸브(46)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공정 전에, 상기 오수탱크(19) 내에서 고형물을 분쇄하는 공정을 부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는,
오수탱크(19)와,
이 오수탱크(19)에 설치되고, 상기 오수탱크(19)에 연결된 오수의 배관과의 흡인구를 개폐하는 흡인밸브(44)와,
상기 오수탱크(19)에 설치되고, 저장한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밸브(46)와,
상기 오수탱크(19)에 설치되고, 상기 흡인밸브(44)의 흡인구에 연결된 배관과의 흡인구로부터 오수를 흡인하기 위하여 공기를 흡인하고, 상기 배수밸브(46)로부터 저장한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압착공기를 압입하는 공기 입출구(45)와,
이 공기 입출구(45)에 연결되어, 상기 오수탱크(19)에 공기의 흡인과 압착공기의 압입을 행하는 흡입모터(20)를 포함한다.
상기 오수탱크(19)에 이 오수탱크(19) 내에서 고형물을 분쇄하는 오물 분쇄부(43)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수탱크(19)에 설치된 흡인밸브(44)는, 의자형 변기(9)의 오수를 흐르게 하는 배관(63)에 연결되는 흡인구(44a) 및/또는 삽입형 변좌(100)의 오수를 흐르게 하는 배관(39)에 연결되는 흡인구(44b)와, 이들 흡인구(44a)와 흡인구(44b)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슬라이더(123)를 구비한다.
의자형 변기(9)의 변통(12)에는, 소변센서(56)와 대변센서(57)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인밸브(44)는, 좌우로 요동하는 모터축(121a)을 구비하는 전환모터(121)와, 상기 모터축(121a)에 결합된 전환암(122)의 선단에 설치한 슬라이더 지지판(124)과, 이 슬라이더 지지판(124)에 탄성축(126)을 개재해서 지지되어, 상기 흡인구(44a)와 흡인구(44b)의 양쪽의 폐쇄와 상기 흡인구(44a)와 흡인구(44b)의 선택적인 개폐를 하는 슬라이더(123)와, 상기 탄성축(126)과 누름판(127)을 개재해서 상기 슬라이더(123)를 상기 흡인구(44a)와 흡인구(44b)를 향하여 압압하는 압압롤러(129)를 구비한다.
상기 의자형 변기(9)의 변통(12)에 접속되어, 1회 세정분의 세정수를 저장하는 증압탱크(22)와, 이 증압탱크(22) 내의 세정수를 변통(12)의 세정수 분출구(17)에 송출하기 위하여 상기 증압탱크(22)에 공기압을 보내는 흡입모터(20)를 더 포함한다.
증압탱크(22)는, 외측 용기(62)의 내부에, 연질의 세정수 봉지(33)를 마련하고, 이 세정수 봉지(33)의 입구측을, 물펌프(27)를 개재해서 세정수 탱크(18)에 연결하고, 상기 세정수 봉지(33)의 출구측을, 상기 변통(12)의 세정수 분출구(17)에 연결하고, 상기 외측 용기(62)를, 상기 세정수 봉지(33)를 압축해서 세정수를 압송하기 위한 압착공기를 보내는 흡입모터(20)에 연결한다.
세정수 봉지(33)는, 독립적인 복수개로 분할하고, 이들 복수개의 세정수 봉지(33)를 변통(12)의 다른 세정수 분사구(17)에 연결한다.
1대의 흡입모터(20)와, 이 흡입모터(20)의 공기 흡인구와 공기 토출구에 면하게 해서 A, AB, B의 3가지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밸브(53)를 설치하고, 이 전환밸브(53)의 A 모드에서는, 상기 공기 흡인구와 오수탱크(19)를 결합해서 의자형 변기(9)와 삽입형 변좌(100)로부터 오수탱크(19)에의 오수의 흡인을 하고, AB 모드에서는, 상기 공기 흡인구로부터 외부 공기를 흡인해서 증압탱크(22)와 삽입형 변좌(100)에의 송풍을 하고, B 모드에서는, 상기 공기 흡인구로부터 외부 공기를 흡인해서 오수탱크(19)에 압송하고, 외부로의 오수의 압송 기능을 하도록 구성한다.
의자형 변기(9)의 변통(12)의 변좌 가장자리부(13)에, 좌우로, 세장형 흡취구멍(99)을 형성하고, 이 흡취구멍(99)에 면하게 한 외측에, 흡인박스(119)를 부착하고, 이들 흡인박스(119)를 흡인호스(120)에 의해 소취팬(60)을 개재해서 상기 소취필터(21)에 연결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의 실시예 1을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배설물 처리장치는, 의자형 변기(9)와 삽입형 변좌(100)를 구비하고 있고, 변기 본체(10)는, 상기 의자형 변기(9)에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삽입형 변좌(100)에도 사용할 수 있게 공유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의자형 변기(9)를 변기(9)라 약칭하고, 상기 삽입형 변좌(100)를 컵(100)이라 약칭한다. 또한, 오수란, 오수뿐만 아니라, 오수 속에 고체 형태의 오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변기 본체(10)의 내부에는,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의 골조 속에, 세정수 탱크(18), 오수탱크(19), 흡입모터(20), 악취 필터(21), 상기 변기(9)의 변통(12), 증압탱크(22), CPU(71) 등이 수납되고, 후면에는, 상기 컵(100)과의 커넥터(108) 등이 설치되고, 밑면의 차륜(23)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변기 본체(10)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10a)가 씌워지고, 이 커버(10a)를 도 4(b)와 같이 후방으로 열면, 온수 변좌 유닛(11)이 나타난다. 이 온수 변좌 유닛(11)에 씌워져 있는 변좌 뚜껑(14a)을 2개로 접어서 일으켜 세우면, 도 4(c)와 같이 변좌(14)와 변통(12)이 나타나고, 상기 2개로 접은 변좌 뚜껑(14a)은 등받이로서 기능한다. 변좌(14)의 양측에는, 팔걸이(38)가 설치되어 있고, 이용자(6)가 변좌(14)로부터 일어설 때의 손을 대는 보조 도구가 된다. 이 팔걸이(38)는, 이용자(6)가 변좌(14)에 앉을 때 방해가 될 때에는,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본체(10)의 안쪽에 수납할 수 있다.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변기 본체(10)의 후면에는, 세정수 탱크(18)가 빼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컵(100)과 접속되는 배변용의 배관(39), 송풍관(105), 송수관(106), 전기 코드(107)가 접속되는 커넥터(108)가 설치되고, 또한, 오수탱크(19)의 오물을 배출하는 배관(6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컵(100)은, 도 1(b) 및 도 4(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용자(6)의 고간에 세트되어, 기저귀(7)로 보호된다. 이 컵(100)은, 배변받이부(101)에, 소변센서(103)과 대변센서(10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변기 본체(10)에는, 상기 변통(12)이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내부에 전술한 세정수 탱크(18), 오수탱크(19), 흡입모터(20), 필터(21), 증압탱크(22) 등 이외에, 배관, 각종 밸브, 제어반, 전기배선 등이 수납되어 있다. 상기 변통(12) 위의 변좌 가장자리부(13)에는, 온수 변좌 유닛(11)이 부착되어 있고, 이 온수 변좌 유닛(11)은, 변좌(14)와, 변좌 뚜껑(15)과, 내부의 온수 노즐을 구비하는 시판의 온수 변좌 유닛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변통(12) 위의 변좌 가장자리부(13)에는, 도 4(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로, 세장형 흡취구멍(99)을 형성하고, 이 흡취구멍(99)에 면하게 해서, 흡인박스(119)를 부착하고, 이들 흡인박스(119)를 흡인호스(120)에 의해 소취팬(60)을 개재해서 상기 소취필터(21)에 연결한다. 상기 변기 본체(10)는, 전체가 예를 들면, 길이 750㎜, 폭 550㎜, 높이 800㎜ 정도로 하여, 실내에 배치해도 위화감이 없는 형상으로 한다.
도 2, 도 3에 있어서, 상기 변통(12)의 안쪽에는, 소변센서(56)와 대변센서(5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소변센서(56)는, 예를 들면, 배뇨의 양을 오줌으로부터 발생하는 적외선의 양으로 측정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대변센서(57)는, 예를 들면, 대변의 양을 도 3(a)에 나타낸 배출 트랩(16)으로부터 흡인할 때의 압력변화로서 파악하기 위한 압력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대변의 굳기는, 배변을 오수탱크(19) 내에 흡인하는 흡입모터(20)의 모터 토크로 판별할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배설물 처리장치의 주요한 구성으로서, (1)은 변기 제어부, (2)는 컵 제어부, (3)은 세정수 제어부, (4)는 배변 제어부, (5)는 외부 제어부이다.
도 2의 세정수 제어부(3)에 있어서, 세정수 탱크(18)는, 1일 10회 정도의 배변, 배뇨의 사용량으로서 4리터 정도의 세정수(25)를 저장하는 용량을 구비하고, 저부 가까이에 수위 센서(24)를 구비하는 서브탱크(18a)가 부착되어 있다. 이 서브탱크(18a)에는, 상기 세정수 탱크(18)로부터 1리터 정도의 세정수가 자연낙하해서 상시 보충되고 있다. 이 용량의 서브탱크(18a)에는, 필터(26)를 개재해서 물펌프(27)가 연결되고, 이 물펌프(27)는 타이머에 의해 구동 시간이 제어된다. (31)은 릴리프 밸브이다.
도 1의 변기 제어부(1)에 있어서, 상기 물펌프(27)로부터 체크밸브(28)와 수압 센서(29)를 거쳐서 온수 변좌 유닛(11)의 커넥터(3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온수 변좌 유닛(11)에 안정한 수압을 공급하기 위해서,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압 센서(29)의 신호를, 후술하는 CPU(71) 내의 물펌프 제어회로(66)에 보내고, 이 수압 센서(29)의 신호와 수압 설정 회로(67)에서 미리 설정한 목표값을 비교 회로(68)에서 비교하고, 이들 편차값에 따라서 PWM 제어회로(69)로부터 펄스폭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 출력신호에 의해 물펌프(27)의 수량을 제어함으로써, 안정한 수압이 된다. 상기 릴리프 밸브(31)는, 상기 온수 변좌 유닛(11)의 온수 변좌물 공급로가 어떠한 이상 시에 작동해서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온수 변좌 유닛(11)을 보호한다.
상기 물펌프(27)는, 또한, 세정수 공급밸브(32b)를 개재해서 증압탱크(22)의 세정수 봉지(33)에 연결되어 있다. 이 세정수 봉지(33)는, 탄력성이 없는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수위 센서(34)가 설치되어 있고, 밀폐된 경질 재료의 외측 용기(62)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 외측 용기(62)는, 내부에 압력 공기를 봉입했을 때 거의 팽창하지 않는 것이면, 경질 재료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세정수 봉지(33)는, 세정수를 충전해서 팽창했을 때, 상기 외측 용기(62)는 팽창하지 않고 내부의 공기가 스로틀 밸브(51)와 필터(21)를 거쳐서 외기로 방출된다.
상기 세정수 봉지(33)는, 1개만이라도 되지만, 도 2,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 예를 들면 서로 독립한 2개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1 세정수 봉지(33a)에는 300㏄ 정도의 세정수가 충전되고, 제2 세정수 봉지(33b)에는 100 내지 150㏄ 정도의 세정수가 충전된다. 상기 제1 세정수 봉지(33a)는 중앙의 세정수 분출구(17a)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 세정수 봉지(33b)는, 배출 트랩(16)에, 다음번의 배출을 위하여 100 내지 150㏄ 정도의 세정수를 모아 두기 위해서 공급하는 것으로, 세정수 분출구(17b, 17c)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물펌프(27)는, 세정수 공급밸브(32a)를 개재해서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하는 분사 노즐(16a)에 접속되고, 이 분사 노즐(16a)로 변기(9)의 사용 전과 사용 후에 배변의 부착이나 소취를 위하여 요동해서 광범위하게 세정수를 분사한다.
도 2의 컵 제어부(2)에 있어서, 상기 컵(100)은, 도 4(f)에 도시된다. 이 도면에 있어서, 상기 컵(100)은,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용자(6)의 고간에 배설기관의 위치에 구멍이 뚫린 기저귀(7)로 냄새나 배변이 바깥으로 새지 않도록 장착된다. 상기 컵(100)은, 배변받이부(101)에, 소변센서(102)와 배변 센서(104)와 세정수 분사노즐이 설치되고, 후면에는, 배변받이부(101)의 배변 흡인구(102)에 연통하는 배관(39)과 세정수의 송수관(106)과 온풍의 송풍관(105)과 전기신호의 전기 코드(107)가 접속되어 있다. 이들 배관(39)과 송수관(106)과 송풍관(105)과 전기 코드(107)는,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변기 본체(10)의 후면에 커넥터(108)를 가지고 접속된다.
상기 송풍관(105)은, 상기 커넥터(108)를 개재해서 상기 변기 본체(10)의 내부의 과잉상승 온도 감시와 송풍 온도 센서를 구비하는 온도조절 센서(113)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송수관(106)은, 상기 커넥터(108)를 개재해서 상기 변기 본체(10)의 내부의 온도 센서와 온도 과잉상승 센서를 구비하는 안전 탱크(112), 컵(100)까지의 사이의 관로 내 세정수를 배출하는 물빼기 펌프(111), 세정수의 송출을 제어하는 세정밸브(110), 온도 퓨즈와 온도 센서와 만수 센서를 구비하는 보온 탱크(109)를 거쳐서 상기 물펌프(27)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기 코드(107)는 상기 커넥터(108)를 개재해서 상기 변기 본체(10)의 내부의 CPU(71)에 접속되어 있다.
도 2의 배변 제어부(4)에 있어서, 상기 오수탱크(19)의 상판부에는, 변기 흡인구(44a)와 컵 흡인구(44b)의 전환을 제어하는 흡인밸브(44)와 공기 입출구(45)와 오수분쇄부(43)로서의 분쇄 모터(43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오수탱크(19)의 내부에는, 오수(42)의 만수 센서(41)와 공백 센서(40)가 설치되고, 밑판부에는 배수밸브(4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쇄 모터(43a)의 회전축(43b)의 하단부에는, 회전 날개(43c)가 설치되고, 분쇄 바스켓(43d)에 모인 배변이나 화장지 등의 고형물을 분쇄한다.
분쇄된 오수(42)는, 체크밸브(28)와 배관(61)을 거쳐서 커넥터(108)로 결합된 외부 배출부(5)의 배수관(47)에 결합된다.
상기 흡인밸브(44)는, 변기 흡인구(44a)의 개구와 컵 흡인구(44b)의 폐쇄, 변기 흡인구(44a)의 폐쇄와 컵 흡인구(44b)의 개구, 변기 흡인구(44a)와 컵 흡인구(44b)의 동시 폐쇄의 3위치의 전환을 한다.
이 흡인밸브(44)의 구체적 구성을 도 5(a), (b), (c)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상기 오수탱크(19)의 상판부에는, 변기 흡인구(44a)와 컵 흡인구(44b)가 나열되어 돌출 설치되고, 한쪽 변기 흡인구(44a)에는 변기측 배관(63)이 결합되고, 다른 쪽 컵 흡인구(44b)에는 컵측 배관(39)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상판부의 상부면에는, 전환모터(121)가 부착되고, 이 전환모터(121)의 모터축(121a)가 오수탱크(19)의 내부까지 늘어져 있다. 상기 상판부의 하부면에는, 부착판(130)을 개재해서 상기 흡인밸브(44)가 부착되어 있다. 이 흡인밸브(44)의 상세는 다음과 같다.
상기 모터축(121a)의 하단부에 고착된 전환암(122)의 선단부에는, 직교해서 배치된 슬라이더 지지판(124)이 전환암(122)과 슬라이더 지지판(124)이 서로 십자형을 유지한 채 축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2개의 핀(125)으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 지지판(124)의 양단부에는, 고무 등의 탄성축(126)이 설치되고, 이 2개의 탄성축(126)에는, 상기 변기 흡인구(44a)와 컵 흡인구(44b)의 개폐를 전환하는 슬라이더(1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123)를 상기 변기 흡인구(44a)와 컵 흡인구(44b)에 압접시키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더 지지판(124)에 누름판(127)을 상기 전환암(122)에 나사(128)로 고착한다. 또한, 누름판(127)의 요동 위치에 면하게 해서 2개의 압압롤러(129)를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오수탱크(19) 내의 공기의 흡인이나 압착공기의 압입에 의해, 슬라이더(123)가 상기 변기 흡인구(44a)와 컵 흡인구(44b)에 압접해서 간극이 생기지 않게 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123)는, 도 5(b)의 실선 상태에서는, 변기 흡인구(44a)와 컵 흡인구(44b)의 2개를 동시에 폐쇄할 수 있는 타원형을 이루고, 2개의 압압롤러(129)로 누름판(127)을 꽉 누르면, 슬라이더 지지판(124)을 개재해서 탄성축(126)이 압축되고, 슬라이더(123)를 변기 흡인구(44a)와 컵 흡인구(44b)의 2개를 동시에 압접시켜서 폐쇄시킨다. 전환모터(121)의 모터축(121a)을 도 5(b)의 쇄선과 같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60도 회전시키면, 변기 흡인구(44a)와 컵 흡인구(44b) 중 어느 한쪽이 개구되고, 다른 쪽이 폐쇄된다.
도 2의 배변 제어부(4)에 있어서, 상기 오수탱크(19)의 변기 흡인구(44a)에는, 변통(12)의 배출 트랩(16)의 배변 배출용의 배관(63)이 연결되고, 컵 흡인구(44b)에는, 컵(100)의 배변 배출용의 배관(39)이 연결되어 있다. 또, 이 오수탱크(19)의 공기 입출력부(45)는, 미스트 필터(52)를 개재해서 흡입모터(20)에 설치된 3위치 전환용 전환밸브(53)의 밸브체 A의 입력(흡인)측과 밸브체 B의 출력(외 기압송)측에 연결되고, 이 전환밸브(53)의 밸브체 A의 출력(토출)측과 밸브체 AB의 출력(외기 압송)측은, 배관(64)에 의해 변기(9)측에서는, 증압탱크(22)에 연결되고, 컵(100)측에서는, 온도 감시 센서(113)를 개재해서 온풍관(105)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배관(64)은, 스로틀 밸브(51)를 개재해서 필터(2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3위치 전환용 전환밸브(53)의 밸브체 A, AB, B의 전환은, 모터밸브(49)로 행해진다.
도 6은, 전체의 제어회로로서의 CPU(71)과 센서나 스위치 등과의 접속 관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CPU(71)에는 조작 패널(72)이 접속되어 있다. 이 조작 패널(72)에는, 스위치류로서, 전원 스위치(73a), 배설물 흡인 스위치(73b), 오수압송 스위치(73c), 변기·컵 전환 스위치(73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표시 램프류로서, 전원 램프(74a), 동작중 램프(74b), 세정수 부족 램프(74c), 오수 만수 램프(74d)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의 CPU(71)에 있어서, (75)는 컵(100)의 소변센서(103) 및 대변센서(104)로부터의 입력단자, (76)은 컵(100)의 세정과 흡인의 지시 입력단자, (79)은 흡입모터(20)에의 출력단자, (80)은 증압탱크(22)의 수위 센서(34)의 입력단자, (81)은 조작 패널 입출력단자, (82)는 세정수 수위 센서 입력단자, (83)은 수압 센서 입력단자, (84)는 물펌프 출력단자, (85)는 증압탱크(22)에의 세정수 공급밸브(32b)에의 출력단자, (86)은 소취팬(60)에의 출력단자, (87)은 착좌센서(58)의 입력단자, (88)은 대변센서(57)의 입력단자, (89)는 소변센서(56)의 입력단자, (90)은 오물 분쇄부(43)에의 출력단자, (91)은 모터밸브(49)에의 출력단자, (92)는 흡인밸브(44)에의 출력단자, (93)은 배출밸브(46)에의 출력단자, (94)는 오수 만수 센서(41)의 입력단자, (95)는 오수 공백 센서(40)의 입력단자, (96)은 변통 만수 센서(16a)의 입력단자, (98)은 분사 노즐(16b)의 제어밸브(32a)에의 출력단자, (114)는 보온 탱크(109)의 입력단자, (115)는 컵 세정밸브(110)에의 출력단자, (116)은 물빼기 펌프(111)에의 출력단자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배설물 처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1. 온수 변좌 유닛(11)에의 급수 동작
도 7
·커넥터(30)가 온수 변좌 유닛(11)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전원 스위치(73a)를 온으로 전환한다.
·변통 만수 센서(16a)가 "아니오", 세정수 센서(24)가 "아니오", 수압 센서(29)가 "예", 타이머 타임 업이 "아니오"이면, 물펌프(27)가 작동하고, 세정수 타이머가 스타트한다.
·타이머가 20 내지 30초 경과하고, 변통 만수 센서(16a)가 "예", 세정수 센서(24)가 "예", 수압 센서(29)가 "아니오", 타이머 타임업이 "예"가 되면, 물펌프(27)가 정지하고, 세정수 타이머가 정지한다.
2. 변기(9)의 동작
이하의 변기(9)의 동작 설명에 있어서, 컵(100)의 커넥터(108)를 분리하면, 이 커넥터(108)의 부분에서 공기와 물의 흐름은 차단된다.
도 8(a)
·전원(73a)을 온으로 하고, 물부족 표시기(74c)가 비점등이 되고, 알람 발생이 "아니오"가 되고, 변좌 뚜껑(14a)의 개방이 "예"가 되고, 착좌센서(58)가 "예"가 되면, 도 8(b)의 예비세정이 스타트한다.
도 8(b)
·예비세정이 스타트하면, 세정수 밸브(32a) 개방, 물펌프(27) 작동, 타이머 3초 후, 물펌프(27) 정지, 세정수 밸브(32a) 폐쇄로 된다. 이 예비세정에서, 변통(12)을 적셔, 배설물이 변통(12)에 부착되기 어렵게 한다.
·예비세정 후, 배변해서 소변센서(56) 검지 "예"가 되고, 소변센서(56) 플래그(flag)=1?을 판단하여, "아니오"이면, 소변센서(56) 플래그=1을 설정하고, 도 8(c)의 세정수 증압탱크(22)의 물공급을 스타트한다.
·예비세정 후, 배변해서 소변센서(56) 검지 "아니오"가 되고, 대변센서(57) 검지"예"가 되면, 대변센서(57) 플래그=1?을 판단하고, "아니오"이면, 대변센서(57) 플래그=1을 설정하고, 도 8(c)의 세정수 증압탱크(22)의 물공급을 스타트한다.
·도 8(c)에 있어서, 세정수 증압탱크(22)에의 물공급을 위하여, 세정수 밸브(32b) 개방으로 하여, 물펌프(27)를 작동하고, 타이머가 10초 경과 후, 물펌프(27)를 정지하고, 세정수 밸브(32b) 폐쇄로 한다.
·배변 후, 착좌센서(58)가 "아니오"가 되면, 도 9에 나타낸 흡인 동작이 스타트한다.
· 그 후, 도 10에 나타낸 압송동작이 스타트한다. 또, 변기(9)에서는, 원칙으로서 배변을 흡인할 때마다, 압송동작으로 이행하지만, 몇 번인가의 배변 후에 압송동작을 스타트해도 된다.
·압송동작 후, 대변센서(57)의 플래그=0으로 하고, 그리고 소변센서(56)의 플래그=0으로 해서 초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3. 변기(9)의 흡인 동작
도 9
·흡인 스위치(73b)를 넣어서 흡인 동작을 스타트한다.
·흡인밸브(44)의 슬라이더(123)를 60도 회전시켜, 변기 흡인구(44a)를 개방, 컵 흡인구(44b)를 폐쇄로 하고, 또한 배수밸브(46)를 폐쇄로 한다.
·전환밸브(53)를 AB에 세트하고, 흡입모터(20)를 2초간 구동함으로써, 외기(50)를 흡인하고, 증압탱크(22) 내의 세정수 봉지(33) 내의 세정수를 한번에 변통(12) 내에 방출한다.
·전환밸브(53)를 A에 세트하고, 흡입모터(20)를 2초간 구동하고, 공기 입출구(45)로부터 오수탱크(19) 내의 공기를 흡인하고, 그 공기를 미스트 필터(52)를 개재해서 증압탱크(22)에 보낸다.
·흡인밸브(44)의 슬라이더(123)로 변기 흡인구(44a)를 개방, 컵 흡인구(44b)를 폐쇄로 한 상태에서, 흡입모터(20)를 15초간 구동함으로써, 변통(12) 내의 대변, 화장지를 포함하는 오수를 배관(63)을 통과시켜서 오수탱크(19) 내에 흡인한다.
·흡인 후, 세정수 밸브(32a)를 개방하고, 물펌프(27)를 3초간 작동해서 변통(12) 내를 재차 세정한다.
·변통(12) 내의 재차 세정 후, 물펌프(27)를 정지하고, 세정수 밸브(32a)를 폐쇄하고, 흡인밸브(44)의 슬라이더(123)를 원래 상태로 되돌려서 변기 흡인구(44a)와 컵 흡인구(44b)를 함께 폐쇄해서 변기(9)의 흡인을 종료한다.
4. 압송동작(변기(9)로부터 흡인한 오수와 후술하는 컵(100)으로부터 흡인한 오수의 압송에 공용)
도 10
·흡인밸브(44)의 슬라이더(123)로 변기 흡인구(44a)와 컵 흡인구(44b)를 함께 폐쇄하고, 배수밸브(46)를 폐쇄하고, 전환밸브(53)를 B에 세트하고, 분쇄 모터(43a)를 5초간 회전해서 오수탱크(19) 내의 오물을 분쇄한다.
·배수밸브(46)를 개방하고, 흡입모터(20)를 구동하고, 외기(50)를 공기 입출구(45)로부터 오수탱크(19) 내에 압송하고, 오수탱크(19) 내의 오수를 체크밸브(28)를 개재해서 배관(61)으로부터 배출관(47)에 보낸다.
·오수탱크(19)의 공백 센서(40)로부터의 공백 출력이 "예"가 되면, 더욱 흡입모터(20)를 5초간 구동해서 정지하고, 배수밸브(46)를 폐쇄해서 압송동작을 종료한다.
5. 컵(100)의 동작
이하의 컵(100)의 동작 설명에 있어서, 컵(100)의 커넥터(108)를 결합하면, 이 커넥터(108)의 부분에서 공기와 물의 흐름이 연통한다.
도 11
·전원(73a)을 온시키고, 물부족 표시기(74c)가 비점등으로 되고, 알람 발생이 "아니오"가 되면, 컵 동작으로 대기한다.
·컵 소변센서(103)가 "예"가 되면, 후술하는 도 12의 컵 소변 흡인 동작이 스타트하고, 카운터로 +1을 가산한다.
·컵 소변센서(103)가 "아니오"이고, 컵 대변센서(104)가 "예"가 되면, 후술하는 도 13의 컵 대변 흡인 동작이 스타트하고, 카운터로 +2을 가산한다.
·카운터에서는, 소변 흡인이 4를 초과하면(4회분의 소변 모드의 오수가 쌓임), 대변 흡인이 2를 초과하면(2회분의 소변 모드의 오수가 쌓임), 전술한 도 10에 의한 압송동작이 스타트하고, 카운터가 0이 되면 원래로 되돌아간다.
6. 컵(100)의 소변 흡인 동작
도 12(a)
·전환밸브(53)가 A인 것을 확인하고, 흡입모터(20)를 작동한다.
·도 12(b)에 의한 컵 세정 동작을 스타트하고, 세정밸브(111)를 개방하고, 물펌프(27)를 작동하고, 세정수를 2초간 보내 세정하고, 물펌프(27)를 정지한다.
이때, 보온 탱크(109)로 보온된 세정수의 온도를 안전 탱크(112)로 체크한다.
·타이머로 2초 후, 소변 흡인 모드의 파라미터로서, 물펌프(27)의 세정 작업 시간을 2초, 세정 횟수 3회, 세정 간격 18초의 각 설정값을 각각의 레지스터에 설정한다.
·다시, 도 12(b)에 의한 컵 세정 동작을 스타트해서 컵(100)을 세정한다.
·온수 펌프 세정 카운터를 +1로 한다. 그 다음에, 컵 대변센서(104)가 검출되지 않으면, 세정 카운터가 3회가 될 때까지 반복한다.
·컵 대변센서(104)가 검출되면, 대변 흡인 모드의 파라미터로서, 물펌프(27)의 세정 작업 시간을 4초, 세정 횟수 5회, 세정 간격 16초의 각 설정값을 각각의 레지스터에 설정한다. 또, 소변 흡인 처리의 세정 시에, 대변센서(104)를 검출했을 때는, 대변 흡인 모드로 이행해서 소변 흡인 모드로는 이행하지 않는다.
·세정 카운터가 세정 횟수에 달하면, 배관 내의 물에 있는 잔압의 영향을 피하기 위해서, 타이머로 5초 후에, 물빼기 펌프(111)를 5초간 작동하여, 변기(9)와 컵(100)의 배관 내의 잔수와 공기를 보내어, 컵(100) 내에 배출한다.
·물빼기 동작의 5초 후에 흡입모터(20)를 정지해서 종료한다.
7. 컵(100)의 대변 흡인 동작
도 13
·전환밸브(53)가 A인 것을 확인하고, 흡입모터(20)를 작동한다.
·전술한 도 12(b)에 의한 컵 세정 동작을 스타트하고, 세정밸브(111)를 개방하고, 물펌프(27)를 작동하고, 세정수를 2초간 보내 세정하고, 물펌프(27)를 정지한다. 이때, 보온 탱크(109)로 보온된 세정수의 온도를 안전 탱크(112)에서 체크한다.
·타이머로 2초 후, 대변 흡인 모드의 파라미터로서, 물펌프(27)의 세정 작업 시간을 4초, 세정 횟수 5회, 세정 간격 16초의 각 설정값을 각각의 레지스터에 설정한다.
·재차, 도 12(b)에 의한 컵 세정 동작을 스타트해서 컵(100)을 세정한다.
·온수 펌프 세정 카운터를 +1로 한다. 다음에, 컵 대변센서(104)가 검출되지 않으면, 세정 카운터가 5회가 될 때까지 반복한다.
·세정 카운터가 세정 횟수에 도달하면, 배관 내의 물에 있는 잔압의 영향을 피하기 위하여, 타이머로 5초 후에, 물빼기 펌프(111)를 5초간 작동하여, 변기(9)와 컵(100)의 배관 내의 잔수와 공기를 보내어, 컵(100) 내에 배출한다.
·물빼기 동작의 5초 후에 흡입모터(20)를 정지해서 종료한다.
8. 압송동작
·컵(100)으로부터 흡인한 오수의 오수탱크(19)로부터의 압송동작은, 도 10에 나타낸 변기(9)로부터 흡인한 오수의 압송과 다른 바는 없다. 단, 변기(9)로부터 흡인한 오수의 압송은, 변기(9)로부터의 흡인마다 행하지만, 컵(100)으로부터 흡인한 오수는, 복수회분을 저장하고 나서 행한다. 그러나, 이들 횟수는 적당히 결정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흡입모터(20)에, A, AB, B의 3모드로 전환 가능하게 전환밸브(53)를 연결하고, A 모드에서는, 변기(9)와 컵(100)으로부터의 오수의 흡인을 하고, AB 모드에서는, 증압탱크(22)와 컵(100)에의 송풍을 하고, B 모드에서는, 오수탱크(19)로부터 외부의 배수관(47)에의 압송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했다.
그러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기능을 독립된 흡입모터로 해도 되고, 또한, 어느 쪽인가 2개의 기능과 1개의 기능의 흡입모터로 해도 된다.
1…변기 제어부, 2…컵 제어부, 3…세정수 제어부, 4…배변 제어부, 5…외부 배출부, 6…이용자, 7…기저귀, 8…베드, 9…의자형 변기(변기), 10…변기 본체, 11…온수 변좌 유닛, 12…변통, 13…변좌 가장자리부, 14…변좌, 15…변좌 뚜껑, 16…배출 트랩, 17…세정수 분출구, 18…세정수 탱크, 18a…서브탱크, 19…오수탱크, 20…흡입모터, 21…필터, 22…증압탱크, 23…차륜, 24…세정수 수위 센서, 25…세정수, 26…필터, 27…물펌프, 28…체크밸브, 29…수압 센서, 30…커넥터, 31…릴리프 밸브, 32…세정수 공급밸브, 33…세정수 봉지, 34…수위 센서, 35…공기압 입력부, 36…세정수 입력부, 37…세정수 출력부, 38…팔걸이, 39…배관, 40…오수 공백 센서, 41…오수 만수 센서, 42…오수, 43…오물 분쇄부, 44…흡인밸브, 45…공기 입출력부, 46…배출밸브, 47…배출관, 48…리모트 컨트롤 스위치, 49…모터밸브, 50…외기, 51…스로틀 밸브, 52…필터, 53…전환밸브, 54…전환 스위치, 56…소변센서, 57…대변센서, 58…착좌센서, 60…소취팬, 61…배관, 62…외측 용기, 63…배관, 64…배관, 65…체크밸브, 66…물펌프 제어회로, 67…수압 설정 회로, 68…비교 회로, 69…PWM 제어회로, 71…CPU, 72…조작 패널, 73a…전원 스위치, 73b…배설물 흡인 스위치, 73c…오수 압송 스위치, 73d…변기·컵 전환 스위치, 74a…전원 램프, 74b…동작중 램프, 74c…세정수 부족 램프, 74d…오수 만수 램프, 79…흡입모터 출력단자, 80…수위 센서 입력단자, 81…조작 패널 입출력단자, 82…세정수 수위 센서 입력단자, 83…수압 센서 입력단자, 84…물펌프 출력단자, 85…세정수 공급밸브 출력단자, 86…탈취팬 출력단자, 87…착좌센서 입력단자, 88…대변센서 입력단자, 89…소변센서 입력단자, 90…분쇄부에의 출력단자, 91…모터밸브 출력단자, 92…흡인밸브 출력단자, 93…배출밸브 출력단자, 94…오수 만수 센서 입력단자, 95…오수 공백 센서 입력단자, 96…만수 센서 입력단자, 97…공백 센서 입력단자, 98…분사 노즐용 제어밸브(32a)에의 출력단자, 99…흡취구멍, 100…삽입형 변좌(컵), 101…배변받이부, 102…배변 흡인구멍, 103…소변센서, 104…대변센서, 105…송풍관, 106…송수관, 107…전기 코드, 108…커넥터, 109…보온 탱크, 110…세정밸브, 111…물빼기 펌프, 112…안전 탱크, 113…온도 감시 센서, 114…보온 탱크 입력단자, 115…세정밸브 출력단자, 116…물빼기 펌프 출력단자, 117…안전 탱크 센서 입력단자, 118…온도 감시 센서 입력단자, 119…흡인박스, 120…흡인호스, 121…전환모터, 122…전환암, 123…슬라이더, 124…슬라이더 지지판, 125…핀, 126…탄성축(고무), 127…누름판, 128…나사, 129…압압롤러, 130…전환밸브 부착판.

Claims (14)

  1. 삽입형 변기(100)로 이루어지는 변기 본체(10)에 배관(39)을 통해 접속된 오수탱크(19)의 흡인밸브(44)의 흡인구(44b)를 개방하고, 상기 오수탱크(19)의 배수밸브(46)를 폐쇄하는 공정과,
    상기 오수탱크(19)의 공기 입출구(45)로부터 상기 오수탱크(19) 내의 공기를 흡인하고, 상기 흡인밸브(44)의 상기 흡인구(44b)에 연결된 상기 배관(39)을 통해 상기 삽입형 변기(100)로부터 오수를 흡인해서 상기 오수탱크(19)에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오수탱크(19)의 상기 공기 입출구(45)로부터 흡인한 공기를, 온도조절 센서(113)를 거쳐 온풍의 송풍관(105)에서 상기 삽입형 변기(100)에 송풍하는 공정과,
    상기 오수탱크(19)의 상기 흡인밸브(44)의 상기 흡인구(44b)를 폐쇄하고, 상기 오수탱크(19)의 배수밸브(46)를 개방하는 공정과,
    상기 오수탱크(19)의 상기 공기 입출구(45)에 압착공기를 압입해서 저장한 오수를 상기 배수밸브(46)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방법.
  2. 오수탱크(19)와,
    상기 오수탱크(19)에 설치되고, 상기 오수탱크(19)에 연결된 삽입형 변기(100)로 이루어지는 변기 본체(10)의 오수의 배관(39)의 흡인구(44b)를 개폐하는 흡인밸브(44)와,
    상기 오수탱크(19)에 설치되고, 저장한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밸브(46)와,
    상기 오수탱크(19)에 설치되고, 상기 흡인밸브(44)의 흡인구(44b)에 연결된 배관(39)으로부터 오수를 흡인하기 위하여 공기를 흡인하고, 상기 배수밸브(46)로부터 저장한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압착공기를 압입하는 공기 입출구(45)와,
    상기 공기 입출구(45)에 연결되어, 상기 오수탱크(19)에 공기의 흡인과 압착공기의 압입을 행하는 흡입모터(20)와,
    상기 흡입모터(20)와 상기 삽입형 변기(10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오수탱크(19)의 상기 공기 입출구(45)로부터 흡인한 공기를 온도조절 센서(113)를 거쳐 온풍의 송풍관(105)에서 상기 삽입형 변기(100)에 송풍하는 송풍배관(6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형 변기(100)의 배변받이부(101)에는 소변센서(103)와 대변센서(10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4. 의자형 변기(9)로 이루어지는 변기 본체(10)에 배관(63)을 통해 접속된 오수탱크(19)의 흡인밸브(44)의 흡인구(44a)를 개방하고, 상기 오수탱크(19)의 배수밸브(46)를 폐쇄하는 공정과,
    상기 오수탱크(19)의 공기 입출구(45)로부터 상기 오수탱크(19) 내의 공기를 흡인하고, 상기 흡인밸브(44)의 상기 흡인구(44a)에 연결된 상기 배관(63)을 통해 상기 의자형 변기(9)로부터 오수를 흡인해서 상기 오수탱크(19)에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오수탱크(19)의 상기 공기 입출구(45)로부터 흡인한 공기를, 상기 의자형 변기(9)의 세정수 방출용으로서 상기 의자형 변기(9)에 송풍하는 공정과,
    상기 오수탱크(19)의 상기 흡인밸브(44)의 상기 흡인구(44a)를 폐쇄하고, 상기 오수탱크(19)의 배수밸브(46)를 개방하는 공정과,
    상기 오수탱크(19)의 상기 공기 입출구(45)에 압착공기를 압입해서 저장한 오수를 상기 배수밸브(46)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방법.
  5. 오수탱크(19)와,
    상기 오수탱크(19)에 설치되고, 상기 오수탱크(19)에 연결된 의자형 변기(9)로 이루어지는 변기 본체(10)의 오수의 배관(63)의 흡인구(44a)를 개폐하는 흡인밸브(44)와,
    상기 오수탱크(19)에 설치되고, 저장한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밸브(46)와,
    상기 오수탱크(19)에 설치되고, 상기 흡인밸브(44)의 흡인구(44a)에 연결된 배관(63)으로부터 오수를 흡인하기 위하여 공기를 흡인하고, 상기 배수밸브(46)로부터 저장한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압착공기를 압입하는 공기 입출구(45)와,
    상기 공기 입출구(45)에 연결되어, 상기 오수탱크(19)에 공기의 흡인과 압착공기의 압입을 행하는 흡입모터(20)와,
    상기 의자형 변기(9)의 변통(12)에 접속되어, 세정수를 저장하는 증압탱크(22)와,
    상기 흡입모터(20)와 상기 의자형 변기(9)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오수탱크(19)의 상기 공기 입출구(45)로부터 흡인한 공기를 상기 의자형 변기(9)의 세정수 방출용으로서 기능을 하도록 상기 증압탱크(22)로 송풍하는 송풍배관(6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형 변기(9)의 상기 변통(12)에는 소변센서(56)와 대변센서(5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증압탱크(22)는, 외측 용기(62)의 내부에, 연질의 세정수 봉지(33)를 마련하고, 상기 세정수 봉지(33)의 입구측을, 물펌프(27)를 개재해서 세정수 탱크(18)에 연결하고, 상기 세정수 봉지(33)의 출구측을, 상기 변통(12)의 세정수 분출구(17)에 연결하고, 상기 외측 용기(62)에 상기 송풍배관(64)을 개재하여 상기 흡입 모터(20)를 접속하고, 상기 세정수 봉지(33)를 압축해서 세정수를 압송하기 위한 압착공기를 보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봉지(33)는, 독립적인 복수개로 분할하고, 복수개의 상기 세정수 봉지(33)를 상기 변통(12)의 다른 세정수 분사구(17)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형 변기(9)의 상기 변통(12)의 변좌 가장자리부(13)에, 좌우로, 세장형 흡취구멍(99)을 설치하고, 상기 흡취구멍(99)에 면하게 한 외측에, 흡인박스(119)를 부착하고, 상기 흡인박스(119)를 흡인호스(120)에 의해 소취팬(60)을 개재해서 소취필터(21)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97021863A 2017-01-25 2018-01-23 배설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2547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10928 2017-01-25
JP2017010928 2017-01-25
PCT/JP2018/001876 WO2018139424A1 (ja) 2017-01-25 2018-01-23 排泄物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278A KR20190116278A (ko) 2019-10-14
KR102547934B1 true KR102547934B1 (ko) 2023-06-26

Family

ID=62977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863A KR102547934B1 (ko) 2017-01-25 2018-01-23 배설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00040561A1 (ko)
EP (1) EP3574812A4 (ko)
JP (1) JP7065790B2 (ko)
KR (1) KR102547934B1 (ko)
CN (1) CN110582219B (ko)
AU (1) AU2018211721B2 (ko)
SG (1) SG11201907489SA (ko)
WO (1) WO20181394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76847B2 (ja) * 2018-10-09 2022-05-30 株式会社プロモート 排泄物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6635456B1 (ja) 2019-06-28 2020-01-22 株式会社リバティソリューション 自動排泄処理装置及び建物
CN110426241B (zh) * 2019-07-26 2022-05-27 重庆德方信息技术有限公司 大便取样清洗控制系统
US11583472B1 (en) * 2020-03-03 2023-02-21 Carrol Myers-Ramsay Spa system
CN111467144B (zh) * 2020-04-27 2022-02-01 宿州学院 一种用于大小便收集处理的多功能轮椅的自动感应系统
US20230000295A1 (en) * 2021-07-02 2023-01-05 Ludlow D. Forbes Interactive training toilet
CN114344586A (zh) * 2022-01-12 2022-04-15 吉林大学 一种用于患者导尿护理的辅助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43909A1 (en) * 2005-12-28 2007-06-28 Montgomery Robert D Multifunctional odor-free, water-saving, clog-free, environmentally friendly toilet
GB2452257A (en) * 2007-08-25 2009-03-04 Martin Lowe Collection plant for vacuum-discharge toilet system
US20110004990A1 (en) * 2005-04-05 2011-01-13 Jair Scherrer Leitao Toilet flushing system using compressed air
JP2011208398A (ja) * 2010-03-29 2011-10-20 Toto Ltd 水洗圧送式便器
CN105756157A (zh) * 2016-03-02 2016-07-13 佛山市川东磁电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检测排泄物功能的智能坐便器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3265A (en) * 1970-09-04 1972-02-22 George C Wiswell Jr Holding tank for marine toilet
JPS5746473Y2 (ko) * 1978-10-18 1982-10-13
GB2053885B (en) * 1979-07-02 1982-12-15 Small S H Waste disposal apparatus
JP2002045307A (ja) 2000-05-25 2002-02-12 Inax Corp ポータブルトイレ
US6370709B1 (en) * 2000-11-16 2002-04-16 Evac International Oy Discharge valve having a disk with a flushing aperture and an air intake aperture for a vacuum toilet
JP2002200005A (ja) 2000-12-27 2002-07-16 Inax Corp ポータブル便器の汚物ポット
JP2006500496A (ja) * 2002-09-24 2006-01-05 世▲完▼ 李 節水型洋風便器
US20040083541A1 (en) * 2002-10-30 2004-05-06 Ogren Warren A. Odorless Toilet
CN101517171B (zh) * 2006-08-31 2011-01-19 Toto株式会社 冲水大便器
KR100824810B1 (ko) * 2006-11-29 2008-04-24 그린엔텍 주식회사 진공 하수수집 시스템용 매설형 진공펌프장
JP5569853B2 (ja) * 2008-03-28 2014-08-13 Toto株式会社 水洗便器のタンク構造
CN102448408B (zh) * 2009-05-07 2014-06-18 库拉科公司 排泄物处理装置以及其方法
JP2012036681A (ja) * 2010-08-10 2012-02-23 Max Co Ltd トイレ装置
CN104334127B (zh) * 2012-04-02 2016-06-08 斋藤惠子 排泄物处理装置及其方法
JP6329861B2 (ja) * 2014-09-05 2018-05-23 アロン化成株式会社 便器
JP2016137205A (ja) * 2015-01-29 2016-08-04 アド・ロールス株式会社 固定具及び自動排泄処理システム
US9951504B2 (en) * 2015-03-30 2018-04-24 B/E Aerospace, Inc.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oilet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04990A1 (en) * 2005-04-05 2011-01-13 Jair Scherrer Leitao Toilet flushing system using compressed air
US20070143909A1 (en) * 2005-12-28 2007-06-28 Montgomery Robert D Multifunctional odor-free, water-saving, clog-free, environmentally friendly toilet
GB2452257A (en) * 2007-08-25 2009-03-04 Martin Lowe Collection plant for vacuum-discharge toilet system
JP2011208398A (ja) * 2010-03-29 2011-10-20 Toto Ltd 水洗圧送式便器
CN105756157A (zh) * 2016-03-02 2016-07-13 佛山市川东磁电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检测排泄物功能的智能坐便器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82219B (zh) 2022-06-07
AU2018211721B2 (en) 2023-04-27
US20200040561A1 (en) 2020-02-06
JPWO2018139424A1 (ja) 2019-12-12
KR20190116278A (ko) 2019-10-14
AU2018211721A1 (en) 2019-09-05
WO2018139424A1 (ja) 2018-08-02
CN110582219A (zh) 2019-12-17
EP3574812A1 (en) 2019-12-04
EP3574812A4 (en) 2020-11-25
SG11201907489SA (en) 2019-09-27
JP7065790B2 (ja)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7934B1 (ko) 배설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4065002B2 (ja) 自動排便処理装置
KR100797578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US20120137420A1 (en) Toilet facility for a patient
WO2006104231A1 (ja) 可搬型簡易トイレ装置
JP4116652B2 (ja) 自動排便処理装置
KR101072842B1 (ko) 거동불편 환자용 자동 대소변 처리장치
KR100795149B1 (ko)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KR102075301B1 (ko)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및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
JP2000325258A (ja) 介護用便器システム
KR102541765B1 (ko) 배설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4699959B2 (ja) 自動排便処理装置
KR20140105221A (ko) 양변기
JP3230279U (ja) 排泄物処理装置
JP4167278B2 (ja) 自動排便処理装置
KR200485598Y1 (ko) 대소변 처리장치의 세척기
KR200262931Y1 (ko) 와변기
JP2023163989A (ja) 使用者装着型の汚物処理装置
JP2002153498A (ja) 排泄物処理装置
JP2023101075A (ja) 自動排泄処理装置、自動排泄処理方法及びそれらに用いられる可撓袋オムツ
JP2007209715A (ja) オストメイトの排泄物排出装置
JPH11342092A (ja) 吸引排出機能付き便器装置
JP2014012093A (ja) ポータブルトイレ装置
JPH06212680A (ja) ポータブル自動水洗便所装置
KR20010082410A (ko) 무인 배변 세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