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669B1 - 복합 섬유 함유 사조 - Google Patents

복합 섬유 함유 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669B1
KR101355669B1 KR1020087021442A KR20087021442A KR101355669B1 KR 101355669 B1 KR101355669 B1 KR 101355669B1 KR 1020087021442 A KR1020087021442 A KR 1020087021442A KR 20087021442 A KR20087021442 A KR 20087021442A KR 101355669 B1 KR101355669 B1 KR 101355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composite fiber
fiber
composite
cri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1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6810A (ko
Inventor
마사토 요시모토
사토시 야스이
시게루 모리오카
스구루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데이진 화이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54684A external-priority patent/JP486610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5642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23147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63175A external-priority patent/JP486610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63176A external-priority patent/JP486611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6317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239139A/ja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화이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화이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6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6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2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amide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4Bulked yarns or threads, e.g. formed from staple fibre components with different relaxation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2Nonlinear [e.g., crimped, coiled, etc.]
    • Y10T428/2924Composi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9Bicomponent, conjugate, composite or collateral fibers or filaments [i.e., coextruded sheath-core or side-by-side type]
    • Y10T428/2931Fibers or filaments nonconcentric [e.g., side-by-side or eccentric, etc.]

Abstract

폴리에스테르 성분 및 폴리아미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또는 편심 심-초형 복합 섬유를 함유하는 사조로서, 가열에 의해 권축할 수 있고, 또한 그 권축률은 흡습 또는 흡수에 의해 증대되는 특성을 갖는 복합 섬유 함유 사조는 방풍성, 보온성이 우수하고, 울과 같이 유연하고 또한 부피감 있는 텍스처를 갖고, 또한 물에 젖어도 투시성이 증대되지 않는 포백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섬유 함유 사조{CONJUGATED FIBER CONTAINING YARN}
본 발명은, 가열에 의해 권축을 발현하고, 그 권축률이 흡습 또는 흡수에 의해 증대되고, 건조에 의해 감소하는 복합 섬유 함유 사조(絲條)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서술하면, 본 발명은, 가열에 의해 권축을 발현하고, 염색, 마무리 공정을 거친 후에 있어서도, 그 권축률이 흡습 또는 흡수에 의해 증대되고, 건조에 의해 감소하고, 따라서, 습윤시의 벌크도가 건조시의 벌크도보다 높은 포백(布帛)을 형성할 수 있는 복합 섬유 함유 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하기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일본 특허공보 소45-28728호
〔특허 문헌 2〕일본 특허공보 소46-847호
〔특허 문헌 3〕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8-46118호
〔특허 문헌 4〕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8-46119호
〔특허 문헌 5〕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1-19816호
〔특허 문헌 6〕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82543호
〔특허 문헌 7〕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41444호
〔특허 문헌 8〕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41462호
〔특허 문헌 9〕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213518호
〔특허 문헌 10〕일본 공개특허공보 소49-72485호
〔특허 문헌 11〕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0-116708호
〔특허 문헌 12〕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316744호
목면·양모·우모 (羽毛) 등의 천연 섬유가 습도 변화에 따라 가역적으로 형태·권축률이 변화되는 것은 종래 잘 알려져 있다. 합성 섬유에 이러한 기능을 갖게 하려는 검토가 오래전부터 행해지고 있고, 나일론 6 과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섬유에서의 제안이 이미 특허 문헌 1 및 2 등에서 이루어져 있다. 이들 공지된 복합 섬유에서는 습도 변화에 따른 가역적인 권축률의 변화가 작기 때문에 실용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그 후, 열처리 조건을 개량한 특허 문헌 3 및 4 등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5 ∼ 8 등, 상기 종래 기술을 응용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염색이나 마무리와 같은 공정을 거치면 권축률의 변화가 작아져, 실용적인 레벨에 도달하지 못한 것이 실정이다.
이에 대하여, 특허 문헌 9 에는, 폴리에스테르 성분과 폴리아미드 성분이 편평상으로 접합되고, 또한, 폴리아미드 성분을 나일론 4 와 같이 흡습률이 높은 폴리아미드를 사용하여 전술한 과제를 개선하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지만, 나일론 4 의 제사 (製絲) 안정성이 나쁘고, 권축 성능이 열처리를 거쳐 저하되어, 역시 이러한 복합 섬유에서도 실용 면에서 한계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와 같이 제사성 면 및 마무리 가공 면에서의 안정 품질 확보 외에, 근래에는 요구 특성의 다양화에 있어서 포백으로 했을 때의 「비침」이 문제가 되고 있다. 즉, 합성 섬유나 천연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직편물을 스위밍 웨어, 스포츠 웨어 등에 사용하면, 물이나 비에 의해 습윤함으로써 포백이 「비치기」쉬워 지고, 또한, 방풍성, 보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또한 벌크성과 실크와 같은 촉감을 갖는 사조 및 포백에도 수요가 있다.
한편, 방적 사조와 같은 벌크성을 갖는 섬유의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고,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0 에는, 방사 혼섬에 의해 방사한 2 종의 사조를 교락 (交絡) 처리한 후, 가열 처리하여 상강조 (霜降調) 섬유를 얻는 방법, 또한 특허 문헌 11 에는, 염색성이 상이한 2 종의 폴리머를 사용하여 방사 혼섬하는 방법, 나아가서는, 특허 문헌 12 에는, 배향차가 있는 2 종의 사조를 연신 공정으로 혼섬하고, 농담 염착성차를 이용하여 목조 외관을 얻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의 제안에 의한 혼섬사에서는, 확실히 목조나 상강조로 스펀라이크(spun-like)한 직편물을 얻을 수 있지만, 울과 같은 팽창감을 얻을 수 없는 것이다. 게다가, 상기 혼섬사는 울과 같이 습도에 따라 권축이 변화된다는 특성은 갖고 있지 않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기술을 배경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물에 젖어도 「비치지 않는」특성을 갖고, 또한 포백의 공극이 감소함으로써 방풍성, 보온성이 향상되는 포백을 형성할 수 있고, 염색·마무리 등의 공정을 거친 후에도, 이들의 우수한 특성을 안정적으로 발휘하는 복합 섬유 함유 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복합 섬유 함유 사조는 폴리에스테르 성분과, 폴리아미드 성분이,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또는 편심 심-초형 구조로 접합되어 있는 복합 섬유 사조를 함유하고, 상기 복합 섬유 사조가 가열 처리에 의해 권축을 발현할 수 있고, 그 권축률이 흡습 또는 흡수에 의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 섬유 함유 사조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섬유 사조에, 비수 처리를 30 분간 실시하여 권축을 발현시키고, 이것에, 1.76 × 10-3CN/dtex 의 하중 하에 있어서, 100℃ 의 열처리를 30 분간 실시하여 권축을 안정화시키고, 이 권축 복합 섬유에, 1.76 × 10-3CN/dtex 의 하중 하에 있어서, 160℃ 의 열처리를 1 분간 실시한 후의 건조 권축률 DC 와, 이 건조 권축률 DC 를 갖는 권축 복합 섬유를 20 ∼ 30℃ 의 수중에 10 시간 침지시킨 후의 습윤 권축률 HC 를 측정하였을 때, 하기 식 :
ΔC (%) = HC (%) - DC (%)
로 나타내는 습건 권축률차 ΔC 가 0.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섬유 함유 사조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성분이, 산 성분의 합계 몰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 4.5 몰% 의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이 공중합되어 있는 변성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고, 또한 그 고유 점도 IV 가 0.30 ∼ 0.43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섬유 함유 사조에 있어서, 상기 건조 권축률 DC 가 0.2 ∼ 6.7% 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습윤 권축률 HC 가 0.5 ∼ 7.0%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섬유 함유 사조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섬유 사조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태부 (太部) 와 세부 (細部) 가 교대로 분포되어 있는 태세(太細)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복합 섬유 함유 사조에 있어서, 상기 태세 복합 섬유 사조의 상기 건조 권축률 DC 가 4.0 ∼ 12.8% 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습윤 권축률 HC 가 4.3 ∼ 13.0%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섬유 함유 사조에 있어서, 상기 태세 복합 섬유 사조의 U% 가 2.5 ∼ 15.0%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섬유 함유 사조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사조에, 이 복합 섬유의 비등수 중에 있어서의 수축률보다 높은 비등수 중 수축률을 갖는 1 종 이상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사조가 합사되고, 상기 복합 섬유와 상기 고수축률 섬유가 혼섬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복합 섬유 함유 사조에 있어서, 상기 합사 혼섬사 중의 상기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사조의 비등수 중 수축률 (BWSB) 이 12 ∼ 30% 이고, 상기 고수축률 섬유 사조의 비등수 중 수축률 (BWSA) 이 40% 이하로서, 양자의 수축률의 차 : (BWSA) - (BWSB) 가 10 ∼ 26%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섬유 함유 사조는, 상기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사조를 초사로서 사용하고, 그것과는 이종의 필라멘트 사조를 심사로서 사용하여 얻어지는 복합 사조에, 가연 (假撚) 가공을 실시하여 얻어진 심-초(core/sheath)형 복합 가연 가공사 (1) 이어도 되고, 이 경우, 이 심초형 복합 가연 가공사로부터 길이 50㎝ 의 시료를 채취하고, 이 시료의 일단에 0.176cN/dtex (0.2g/de) 의 하중을 가하여 수직으로 매달고, 5㎝ 간격의 마킹을 하고, 상기 하중을 제거하고, 마킹 부분을 잘라내어 10 개의 측정 시료를 조제하고, 이 시료로부터, 초(sheath)부분의 단섬유 (필라멘트) 및 심(core)부의 섬유 (필라멘트) 를 각각 10 개 꺼내고, 각각의 단섬유에 0.03cN/dtex (1/30g/de) 의 하중을 가하여 수직으로 매달고, 각각의 길이를 측정하여, 심·초 중 각 10 개 시료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각각 La (초부 실길이) 및 Lb (심부 실길이) 로 하고, 하기 식에 의해 실길이차
실길이차 = (La - Lb)/La × 100%
를 산출하였을 때, 실길이차 (La - Lb)/La (%) 가 5 ∼ 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섬유 함유 사조는, 상기 복합 섬유 함유 사조에 가연 가공을 실시하여 얻어진 가연 가공사 (2) 이어도 되고, 이 경우, 그 흡습 또는 흡수에 의해 권축률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복합 섬유 함유 사조에 있어서, 상기 가연 가공이 실시된 복합 섬유 함유 사조에 비등수 처리를 30 분간 실시하고, 이것에 1.76 × 10-3CN/dtex 의 하중 하에 있어서, 100℃ 의 건열 처리를 30 분간 실시하고, 또한 1.76 × 10-3CN/dtex 의 하중 하에 있어서 160℃ 의 건열 처리를 1 분간 실시한 후의 복합 섬유 가연 가공사의 건조 권축률 TDC 가 5.0 ∼ 23.7% 이고, 또한, 상기 복합 섬유 가연 가공사에, 20 ∼ 30℃ 의 수중에 10 분간 침지시킨 후의 습윤 권축률 THC 가 5.3 ∼ 24% 이고, 양자의 차 : (THC) - (TDC) 에 의해 나타내는 권축률 ΔTC 가 0.3 ∼ 8.0%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복합 섬유 함유 사조에 함유되는 복합 섬유는, 가열 처리에 의해 권축을 발현할 수 있고, 이 권축은, 흡습 또는 흡수에 의해 그 권축률을 증대시키고, 건조에 의해 그 권축률이 감소한다는 특성을 갖고 있고,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복합 섬유 함유 사조를 사용하여 제조된 편직물 등의 포백은, 흡습 또는 흡수에 의해 투시성 (비침) 이 증대하는 경우가 없다는 특징을 갖고, 또한, 방풍성, 보온성이 높고, 염색, 마무리 등의 가공을 실시해도, 상기 특성에 변화를 일으키는 경우는 없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복합 섬유 함유 사조는 의료 등의 섬유 제품의 원료로서 유용한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복합 섬유 함유 사조에 함유되는 복합 섬유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성분과,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폴리아미드 성분이, 사이드-바이-사이드형 구조로, 또는 편심 심-초형 구조로 접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 복합 섬유는, 가열 처리에 의해 권축을 발현할 수 있고, 권축을 발현한 권축 복합 섬유의 권축률은, 흡습 또는 흡수에 의해 증가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복합 섬유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성분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비용 및 범용성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성분은, 5-술포이소프탈산이 공중합되어 있는 변성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의 공중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폴리아미드 성분과 폴리에스테르 성분의 접합 계면에서 박리가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반면, 우수한 권축 성능이 얻어지지 않게 되고, 또한, 권축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결정화를 촉진할 필요가 있지만, 결정화를 촉진하기 위해서 연신 열처리 온도를 높이면 실이 잘 끊기게 되어, 제사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반대로, 상기 공중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연신 열처리에서 폴리에스테르 성분의 결정화가 진행되기 쉬워지고, 우수한 권축 특성이 얻어지는 반면, 폴리아미드 성분과 폴리에스테르 성분의 접합 계면에서 박리가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 때문에,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의 공중합량은 2.0 ∼ 4.5 몰% 가 바람직하고, 2.3 ∼ 3.5 몰%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성분의 고유 점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제사성이 저하됨과 함께 보풀이 발생하기 쉬워져, 공업적인 생산 및 품질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반대로, 상기 고유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도,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의 공중합에 의한 증점 작용으로 폴리에스테르 성분측의 방사성 및 연신성이 저하되고, 보풀이나 단사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 성분의 고유 점도는 0.30 ∼ 0.43 이 바람직하고, 0.35 ∼ 0.41 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폴리아미드 성분은, 주사슬 중에 아미드 결합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나일론 4,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46, 나일론 12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제사 안정성, 범용성의 관점에서 특히 나일론 6, 나일론 66 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아미드 성분에는, 이들을 베이스로 그 밖의 성분이 공중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상에 설명한 양 성분에는, 산화티탄이나 카본 블랙 등의 안료, 공지된 항산화제, 대전 방지제, 내광제 등이 각각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복합 섬유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성분과 상기 폴리아미드 성분이 접합된 섬유 횡단면 형상을 갖는 복합 섬유이다. 폴리아미드 성분과 폴리에스테르 성분의 복합 형태로는, 양 성분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접합한 형태가 권축 발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 섬유의 단면 형상으로는, 원형 단면이어도 되고 비원형 단면이어도 되고, 비원형 단면에서는 예를 들어 삼각 단면이나 사각 단면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섬유의 단면 내에는 중공부가 존재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섬유 횡단면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성분과 폴리아미드 성분의 비율로는, 면적을 기준으로 하여, 폴리에스테르 성분/폴리아미드 성분이 30/70 ∼ 70/30 이 바람직하고, 60/40 ∼ 40/60 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섬유 함유 사조가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사조 (복합 섬유 100% 의 사조) 인 경우, 이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사조에, 비수 처리를 30 분간 실시하여 권축을 발현시키고, 이것에, 1.76 × 10-3CN/dtex 의 하중 하에 있어서, 100℃ 의 열처리를 30 분간 실시하여 권축을 안정화시키고, 이 권축 복합 섬유에, 1.76 × 10-3CN/dtex 의 하중 하에 있어서, 160℃ 의 열처리를 1 분간 실시한 후의 건조 권축률 DC 와, 이 건조 권축률 DC 를 갖는 권축 복합 섬유를 20 ∼ 30℃ 의 수중에 10 시간 침지시킨 후의 습윤 권축률 HC 를 측정하였을 때, 하기 식 :
ΔC (%) = HC (%) - DC (%)
로 나타내는 습건 권축률차 ΔC 가 0.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 130%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습건 권축률차 ΔC 는, 0.3 ∼ 6.8%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권축 특성을 갖는 복합 섬유를 함유하는 사조로부터 제조된 편직물 등의 포백은, 그것에 함유되는 상기 복합 섬유가 흡습 또는 흡수에 의해 그 권축률이 증가하고, 이 때문에, 이 포백이 물에 젖어도, 투시성 (비침) 이 증대되는 경우가 없고, 포백의 공극부가 감소하여, 방풍성, 보온성이 향상된다. 이 특성은, 이 포백에 염색·마무리 등의 가공 공정을 거친 후에도 저하되는 경우는 없다.
상기 복합 섬유 사조가 연신사 (후술하는 태세 복합 섬유를 제외한다) 인 경우에는, 그 건조 권축률 DC 는 0.2 ∼ 6.7% 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 3.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 2.5% 이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4 ∼ 2.3% 이다. 상기 권축률 DC 가 0.2% 미만인 경우에는, 얻어지는 사조가 플랫한 것이 되고, 그것을 포백으로 하였을 때 텍스처가 나빠진다. 한편, 상기 권축률 DC 가 6.7%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권축률 DC 가 물 침지 후의 권축률 HC 보다 커져, 목적으로 하는 물에 젖어도 포백이 잘 비치지 않게 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또한 포백의 코가 크게 벌어져 공극이 커지기 때문에, 방풍성·보온성이 우수한 포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물 침지 후의 습윤 권축률 HC 는 0.5 ∼ 7.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 6.5%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6.0% 이다. HC 가 0.5% 미만인 경우에는 물 침지 후의 권축률 자체가 지나치게 낮아 목적으로 하는 비침 방지 효과나, 방풍성, 보온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HC 의 값이 7.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물을 함유하였을 때 포백이 크게 수축하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않고 텍스처도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HC 와 DC 의 차 ΔC 는 0.3 ∼ 6.8%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 5.5%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 5.0% 이다. ΔC 가 0.3% 미만인 경우에는, 물 침지 후의 권축률 향상의 효과가 적고, 목적으로 하는 물에 젖어 잘 비치지 않고, 방수성, 보온성도 우수한 포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ΔC 가 6.8%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물을 함유하였을 때 포백이 크게 수축하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않고 텍스처도 불량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복합 섬유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성분과 폴리아미드 성분이, 사이드-바이-사이드형으로 접합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상기 2 성분이 편심 심-초형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심부분이 폴리에스테르 성분에 의해 구성되고, 초부분이 폴리아미드 성분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복합 섬유가 가열 처리에 의해 권축을 발현하였을 때, 권축 복합 섬유의 만곡부 내측에 폴리에스테르 성분이 위치하고, 외측에 폴리아미드 성분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하기 위해서는, 미권축 복합 섬유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성분의 열수축률이 폴리아미드 성분의 열수축률보다 큰 것이 필요하고, 권축 후의 복합 섬유에 있어서는, 폴리아미드 성분의 흡수 신장률이 폴리에스테르 성분의 흡수 신장률보다 큰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하면, 권축 복합 섬유가, 흡습 또는 흡수하였을 때 폴리아미드 성분 (만곡의 외측) 이, 폴리에스테르 성분 (만곡의 내측) 보다 신장하기 때문에 권축도가 증대된다.
상기 권축률이란, 권축 섬유의 권축을 늘렸을 때의 길이와, 권축 섬유의 외관 길이의 차의, 상기 권축을 늘렸을 때의 길이에 대한 비 (%) 를 의미한다.
상기 열수축률이란, 공시 시료의 열처리 전의 길이에서 열처리 후의 길이를 차감하였을 때의 차의, 상기 열처리 전의 길이에 대한 비 (%) 를 의미한다.
흡수 신장률이란, 공시 시료의, 흡수 전후의 길이에서 흡수 전의 길이를 차감한 차의, 상기 흡수 전의 길이에 대한 비 (%) 를 의미한다. 이 흡수 신장률이 플러스 (+) 인 경우에는, 흡수에 의해 섬유가 신장한 것을 나타내고, 그것이 마이너스 (-) 인 경우에는, 흡수에 의해 섬유가 수축된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복합 섬유에 상기 권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성분 및 폴리아미드 성분 모두 적당한 결정화도를 갖는 것이 필요하고, 그것이 지나치게 높으면, 상기 권축성, 열수축성, 흡수 신장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고, 또한 그것이 지나치게 낮으면, 그 인장 강도가 불충분해지고, 가열 연신 처리 공정에 있어서 절단되기 쉬워지고, 연신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사조에 사용되는 복합 섬유의 단섬유 섬도 및 복합 섬유 함유 사조의 총섬도는, 용도로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되고, 예를 들어 통상적인 의료용 소재에 사용하는 경우, 복합 섬유의 단섬유 섬도는 1 ∼ 6dtex 이고, 복합 섬유 함유 사조의 총섬도는 40 ∼ 200dtex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섬유 함유 사조에는 교락 처리가 실시되어, 그 구성 섬유를 서로 교락시켜도 된다.
본 발명 사조용 복합 섬유를 제조하려면,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44518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점도 성분측과 저점도측의 토출 구멍을 분리하고 또한 고점도측의 토출 선속도를 작게 한 (토출 단면적을 크게 한) 방사 구금을 사용하여, 고점도측 토출 구멍에 용융 폴리에스테르를 통과시키고, 저점도측 토출 구멍측에 용융 폴리아미드를 통과시켜, 고점도 성분 토출구 및 저점도 성분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중합체 용융체류를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또는 편심 심-초형으로 접합, 또는 조합하고, 그것에 의해 형성된 중합체 용융체의 복합류를 냉각 고화시킨다.
상기 용융 방사 장치로부터 인출된 미연신 복합 섬유는, 일단 권취된 후에, 이것을 되감아 연신 및 필요에 따라 열처리에 제공되어도 되고, 혹은 미연신 섬유를 권취하지 않고 직접 연신 공정에 제공하고, 그것과 동시에, 또한 그 후에 열처리 공정에 제공된다.
본 발명 사조용 복합 섬유의 제조에 있어서, 그 용융 방사 속도는 800 ∼ 3500m/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500m/분이다. 또한, 미연신 섬유의 연신에는, 2 개의 롤러 사이에서 연신을 실시하는 연신기를 사용하고, 용융 방사 장치에 의해 형성된 미연신 복합 섬유를 직접 (권취하지 않고) 연신하고, 필요에 따라 연신과 동시에 열처리해도 된다. 예를 들어, 연신기의 실공급측 제 1 롤러에 있어서, 공급된 미연신 복합 섬유를 50 ∼ 100℃ 의 온도로 예열하고, 이 예열된 복합 섬유를 상기 제 1 롤러와 송출용 제 2 롤러 사이에서 연신하고, 이것에 80 ∼ 170℃, 바람직하게는 80 ∼ 140℃ 의 온도로 가열된 제 2 롤러에 있어서 열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롤러 사이의 연신 배율은 얻어지는 복합 섬유는, 원하는 가열 권축 발현성을 부여하도록 설정하면 되고, 예를 들어 1.2 ∼ 3.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 2.9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 사조용 복합 섬유에 권축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복합 섬유 (미권축) 에 가열을 실시하여 권축을 발현시킨다. 예를 들어, 미권축 복합 섬유를 비등수 중에서 예를 들어 30 분간 처리하여 권축을 발현시키면, 얻어지는 권축 섬유의 만곡 부분의 내측에 폴리에스테르 성분이 위치하고, 외측에 폴리아미드 성분이 위치한다. 이 권축 섬유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성분은 물을 흡수하고 있고, 이 물의 가소화 효과에 의해 폴리아미드 성분은 시간 경과적으로 신장하고, 이 때문에, 권축 섬유의 권축 상태는 시간과 함께 변화하여 불안정한 것이다. 그래서, 이 권축 섬유에 건열 처리를 실시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권축 복합 섬유의 권축 상태를 안정화시킨다. 이 건조에는, 예를 들어 100℃ 에 있어서 30 분간 건열하고, 추가로 160℃ 에 있어서 1 분간 건열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비등수 처리 (30 분), 건조 (100℃ 에 있어서 30 분간) 및 마무리 건조 (160℃ 에 있어서 1 분간) 를 실시함으로써, 복합 섬유에 발현한 권축은 안정화되고, 그 후에 이 권축 안정화된 복합 섬유에 통상적인 열처리를 실시해도, 그 권축 특성이 현저하게 변화하는 경우는 없다.
본 발명의 복합 섬유 함유 사조는, 상기 복합 섬유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상기 복합 섬유 사조와, 그것과는 상이한 섬유 사조를 합사하여, 양 섬유를 혼섬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섬유 함유 사조는, 필요에 따라 가연 가공을 실시하여 얻어진 복합 섬유 함유 가연 사조이어도 된다. 혹은 본 발명의 복합 섬유 함유 사조는, 상기 복합 섬유만으로 구성된 복합 섬유 사조와, 그것과는 절단 신도에 있어서 상이한 섬유 (복합 섬유이어도 된다) 로 이루어지는 사조에 복합 가연을 실시하여 얻어지는 복합 섬유 함유 가연 사조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복합 섬유 함유 사조는, 각종 의료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습, 흡수하는 용도, 즉 수영용 의료, 그 밖의 스포츠 의료, 이너 의료, 유니폼 의료 등에 사용하면, 습윤시의 투시성 (비침) 방지 효과를 발휘하고, 방풍성, 보온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착용시에 높은 쾌적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복합 섬유 함유 사조는, 천연 섬유 사조와 함께 사용되어도 되고, 폴리우레탄 섬유 사조 또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사조에 조합하여, 스트레치 사조 또는 포백의 용도로 사용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복합 섬유 함유 사조는, 그 일 실시양태로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태부와 세부가 교대로 분포되어 있는 태세 복합 섬유를 함유하는 사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태세 복합 섬유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얻어지는 권축 태세 복합 섬유를 함유하는 사조는, 그것으로부터 편직물 등의 포백을 제조하였을 때, 이 권축 태세 복합 섬유 함유 사조 포백은, 그것이 물에 의해 습윤하였을 때, 특히 태세 복합 섬유에 태부가, 세부와 교대로 분포되어 있는 것이, 흡습·흡수에 의한 권축률의 증대를 촉진하고, 습윤 포백의 투시성 (비침) 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태세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사조에 있어서, 그 건조 권축률 DC 는 4.0 ∼ 12.7%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12.0%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 10.0% 이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0 ∼ 8.5% 이다. 상기 권축률 DC 가 4.0% 미만인 경우에는, 포백으로 하였을 때의 텍스처가 나빠지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 권축률 DC 가 12.7%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권축률 DC 가 물 침지 후의 권축률 HC 보다 커지기 쉽고, 비침 방지성이 저하되고, 포백의 공극이 작아져, 방풍성·보온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물 침지 후의 습윤 권축률 HC 는 4.3 ∼ 13.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13.0%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 11.0% 이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6.0 ∼ 10.5% 이다. 권축률 HC 가 4.3% 미만인 경우에는 물 침지 후의 권축률이 지나치게 낮아 목적으로 하는 비침 방지 효과나, 방풍성·보온성 향상 효과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고, 한편, 권축률 HC 의 값이 13.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물을 함유하였을 때 포백이 크게 수축하는 경우가 있어 실용적이지 않고 텍스처도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HC 와 DC 의 차 ΔC 는 0.3 ∼ 8.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5.5%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4.5% 이다. ΔC가 0.3% 미만인 경우에는, 물 침지 후의 권축률 향상 효과가 작고, 물에 젖었을 때 잘 비치지 않고 또한 포백의 공극이 감소하여 방풍성·보온성이 향상되는 포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ΔC 가 8.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물을 함유하였을 때 포백이 크게 수축하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않고 텍스처도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태세 복합 섬유 함유 사조는 단순한 기능성뿐만 아니라, 텍스처 면에서도 우수하다. 요컨대, 본 발명의 복합 섬유는 길이 방향으로 태부와 세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함유하는 사조를 포백으로 하면, 스펀라이크한 텍스처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복합 섬유의 태세 정도를 나타내는 U% 가 2.5 ∼ 15.0% 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 14.5% 가 보다 바람직하며, 4.0 ∼ 13.5%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U% 가 2.5% 미만일 때에는 포백으로 하였을 때, 스펀라이크한 텍스처가 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또한, 흡습하였을 때의 비침을 방지하는 특성도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U% 가 15%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복합 섬유의 강도가 저하되고, 그 취급이 어려워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U% 란, 실의 굵기 편차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로서, 길이 L 의 공시 샘플의, 실편차 시험기 (Uster 사) 에 의해 측정된 실편차 곡선에 기초하여, 식 U% = f/F × 100 에 의해 산출된다〔단, F 는 실의 평균 굵기와 길이 L 로부터 산출되는 면적을 나타내고, f 는 실편차 곡선과, 평균 굵기를 나타내는 직선 사이의 합계 면적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태세 복합 섬유 사조의 총섬도는, 통상적인 의료용 소재로서 사용되는 것은 40 ∼ 200dtex, 단사 섬도는 1 ∼ 6dtex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이것에 교락 처리를 해도 된다.
본 발명의 태세 복합 섬유 사조를 제조하려면,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44518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고점도 성분측과 저점도측의 토출 구멍을 분리하고 또한, 고점도측의 토출 선속도를 작게 한 (토출 단면적을 크게 한) 방사 구금을 사용하고, 고점도측 토출 구멍에 용융 폴리에스테르를 통과시키고 저점도측 토출 구멍측에 용융 폴리아미드를 통과시켜 접합시키고, 냉각 고화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인출한 방출 사조의 연신은, 일단 이것을 권취한 후 연신, 필요에 따라 열처리하는 별연 (別延) 외에, 일단 권취하지 않고 연신, 필요에 따라 열처리를 실시하는 직연 (直延) 의 어느 방법이나 채용할 수 있다. 방사 속도로는, 비교적 저속인 800 ∼ 3500m/분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또한, 예를 들어, 2 개의 롤러를 설치한 연신기로 직연에 의해 연신·열세트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제 1 롤러 온도는 60℃ 미만의 온도에서 사조를 예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예열 온도가 6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목적으로 하는 태세가 생기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어서 제 2 롤러를 바람직하게는 80 ∼ 17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140℃ 로서 열세팅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롤러와 제 2 롤러 사이에서 실시하는 연신의 배율은 전술한 태세의 정도를 가미하면서 설정하면 되고, 예를 들어, 미연신 복합 섬유 사조의 파단 신도의 적어도 55% 이상이 되도록 저배율 연신의 조건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태세 복합 섬유 사조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세 복합 섬유 사조에 있어서, 권축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이것을 비등수로 처리한다. 이로써, 폴리에스테르 성분이 내측에 배치된 권축이 얻어진다. 단, 이 상태에서는 수분을 함유한 상태이기 때문에, 물의 가소화 효과에 의해 폴리아미드가 신장되므로 권축 자체는 시간과 함께 변화하여 불안정한 것이 된다. 그래서 비등수에 의해 권축된 사조를 건열 처리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권축을 안정화시킨다. 이 권축 특성의 안정화를 위해서,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복합 섬유를 30 분간 비수 처리하고, 또한 100℃ 에서 30 분간 건열 처리하여 권축을 발현시키고, 이것을 160℃ 에서 1 분간 건열 처리한다. 이와 같이 하여 권축 안정화된 태세 복합 섬유 함유 사조 포백은, 통상 실시되는 마무리 공정에 있어서 열처리를 실시해도 목적의 성능을 갖는 포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세 복합 섬유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타섬유와 혼섬한 혼섬사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추가로 가연 가공을 실시하여 가연 가공사로서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신도가 상이한 복합 가연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세 복합 섬유 사조는 의료용의 각종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수영복이나 각종 스포츠웨어, 이너 소재, 유니폼 등 쾌적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본 태세 복합 섬유와 천연 섬유의 복합에 의해 그 효과를 더욱 더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우레탄 혹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사조와의 조합에 의해 추가로 스트레치성을 부여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복합 섬유 함유 사조는, 그 일 실시양태로서, 상기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사조에, 이 복합 섬유의 비등수 중에 있어서의 수축률보다 높은 비등수 중 수축률을 갖는 1 종 이상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사조가 합사되고, 상기 복합 섬유와, 상기 고수축률 섬유가 혼섬되어 형성된 복합 섬유 함유 혼섬 사조를 포함한다.
상기 양태의 복합 섬유 함유 혼섬 사조는, 물에 젖어도 「비치지 않는」특성을 갖고, 또한 그 때, 우수한 방풍성·보온성을 발휘한다. 즉 상기 혼섬 사조는, 팽창감이 있고 실키 터치를 갖고 있어 텍스처 면에서 우수할 뿐만 아니라, 현재까지의 단일 필라멘트 사조 및 혼섬 사조가 갖고 있지 않은 새로운 기능성에 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팽창감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고수축성 섬유의 비등수 중에서의 수축률 (BWSA) 은 높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4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축률 (BWSA) 이 40% 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직편물의 텍스처가 딱딱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복합 섬유의 비등수 중에서의 수축률 (BWSB) 은 바람직하게는 12 ∼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 28%,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 26% 이다. 복합 섬유의 비등수 중에서의 수축률 (BWSB) 이 12% 미만인 경우에는, 수축률을 낮추기 위한 열처리 온도를 높게 할 필요가 있고, 혼섬사의 제조에서의 실 끊김이 증가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복합 섬유의 비등수 중에서의 수축률 (BWSB) 이 3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텍스처가 성기고 거친 것이 되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고수축률 섬유의 수축률 (BWSA) 과 복합 섬유의 수축률 (BWSB) 의 차 (BWSA - BWSB) = ΔBWS 는, 바람직하게는 10 ∼ 26%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 24%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 22% 이다. ΔBWS 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팽창감이 있는 직편물을 얻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고, 한편, ΔBWS 가 26%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실키 터치를 갖는 포백을 얻기 어렵다. 또한 그 제조에 있어서는 복합 섬유의 수축률을 낮추는 결과가 되기 때문에, 제조시에 실 끊김이 다발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혼섬 사조에 있어서는, 복합 섬유는, 흡습 또는 흡수에 의해 권축률이 증가하는 필라멘트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혼섬사는, 물에 젖어도 포백이 「비치는」경우가 없고, 또한 그 때 포백의 코가 막혀, 방풍성, 보온성도 우수한 것을 알아내었다. 물에 젖은 경우에도 팽창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섬유 함유 혼섬 사조에 있어서, 그것에 사용되는 복합 섬유 사조는, 그것을 30 분간 비등수 중에서 처리하여 권축을 발현시키고, 100℃ 에서 30 분간의 건조 처리를 하여, 권축을 안정화시키고, 추가로 160℃ 에서 1 분간 건열 처리하였을 때의 건조 권축률 DC 와, 이 건열 권축 섬유를 20 ∼ 30℃ 의 수중에 침지시키고, 이후의 습윤 권축률 HC 의 차 (HC) - (DC) = ΔC 의 값은 0.5 ∼ 5.0% 인 것이 바람직하고, 0.8 ∼ 6.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ΔC 가 0.5% 미만일 때에 흡습 또는 흡수에 의한 권축률의 증대 효과 (비침 방지, 방풍 보온성의 향상) 가 불충분하고, 또한, 그것이 5.0% 를 초과하면, 흡습 또는 흡수에 의한 혼섬 사조 또는 포백의 수축률이 과도하게 높아져, 텍스처를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혼섬 사조의 제조 방법으로는, 고수축률 섬유 사조와, 복합 섬유 사조를 별도로 제조하여, 얻어진 고수축률 섬유 사조와, 복합 섬유 사조를 합사하고, 이것을 섬유 교락 처리기, 예를 들어 공기 교락기 (인터레이스기) 에 제공하여, 에어젯을 불어 맞혀 혼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고수축률 섬유 사조는 단일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고수축률 섬유, 고수축률 복합 섬유 (저수축률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복합 섬유와 동일한 복합 구성을 갖는 것),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고수축률 복합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고수축률 복합 섬유 등을 포함하지만, 비용상의 관점에서 단일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고수축률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단일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섬유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고수축률 섬유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비용의 관점상 바람직하다.
상기 혼섬 사조를 통상적인 의료용 소재로서 사용하는 경우, 그 총섬도는 40 ∼ 200dtex 인 것이 바람직하고, 고수축성 섬유 및 복합 섬유의 단섬유 섬도는, 각각 1 ∼ 6dtex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섬 사조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타섬유와 추가로 혼섬하거나, 또는 복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타섬유는 천연 섬유이어도 되고, 혹은 우레탄 섬유 및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와 조합하여 추가로 스트레치성을 부여하여 사용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복합 가연 가공사는 의료용의 각종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각종 스포츠웨어, 이너 소재, 유니폼 등에 있어서 방투성이나, 방풍성, 보온성과 같은 쾌적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섬유 함유 사조는, 그 일 실시양태로서, 상기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사조를 초사로서 사용하고, 그것과는 이종의 필라멘트 사조를 심사로서 사용하여 얻어지는 복합 사조에, 가연 가공을 실시하여 얻어진 심초형 복합 가연 가공사를 포함한다. 이 심초형 복합 가연 가공사로부터 길이 50㎝ 의 시료를 채취하고, 이 시료의 일단에 0.176cN/dtex (0.2g/de) 의 하중을 가하여 수직으로 매달고, 5㎝ 간격의 마킹을 하고, 상기 하중을 제거하고, 마킹 부분을 잘라내어 10 개의 측정 시료를 조제하고, 이 시료로부터, 초부분의 단섬유 (필라멘트) 및 심부의 섬유 (필라멘트) 를 각각 10 개 꺼내고, 각각의 단섬유에 0.03cN/dtex (1/30g/de) 의 하중을 가하여 수직으로 매달고, 각각의 길이를 측정하여, 심·초 중 각 10 개 시료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각각 La (초부 실길이) 및 Lb (심부 실길이) 로 하고, 하기 식에 의해 실길이차
실길이차 = (La - Lb)/La × 100%
를 산출하였을 때, 그 실길이차 (La - Lb)/La (%) 는 5 ∼ 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 섬유 함유 심초형 복합 가연 가공사는, 물에 젖어도 「비치지 않는」특성을 갖고, 또한 그 때, 방풍성·보온성을 발휘한다. 즉 이 복합 가연 가공사는, 스펀라이크이고 팽창감이 있고 소프트하여 텍스처 면에서 우수할 뿐만 아니라, 현재까지의 복합 가연 가공사가 갖고 있지 않은 새로운 기능성에 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복합 섬유 함유 심초형 복합 가연 가공사는, 초사와 심사로 구성되고, 이로써, 울 방적사와 같은 팽창감이 있어 소프트한 텍스처를 나타낼 수 있다.
초사를 구성하는 섬유와 심사를 구성하는 섬유는, 평균 실길이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초사를 구성하는 섬유의 평균 실길이가 심사를 구성하는 섬유의 평균 실길이보다 5 ∼ 20% 긴 것이 바람직하고, 8 ∼ 15% 긴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때, 복합 가연 가공에 있어서, 초사를 구성하는 섬유가 주로 복합 가연 가공사의 초부에 배치되고, 심사를 구성하는 섬유가 주로 심부에 배치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다 섬세한 텍스처를 발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직편물 공정에서의 취급성이 향상되고, 보다 소프트한 텍스처의 것이 얻어진다. 초사를 구성하는 섬유와 심사를 구성하는 섬유의 실길이차가 5% 미만인 경우에는 얻어지는 포백의 텍스처는 스펀라이크한 것이 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그 실길이차가 2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얻어지는 포백의 텍스처는 매끄럽지 못한 것이 되기 쉽고, 또한, 가연 가공시에 실 끊김도 다발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복합 가연 가공사에 있어서는, 초사가 흡습 또는 흡수에 의해 권축률이 증가하는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가연 가공사는, 실에 젖어도 포백이 「비치는」 경우가 없고, 또한 그 때 포백의 코가 막혀, 방풍성, 보온성도 우수한 것을 알아내었다. 물에 젖은 경우에도 팽창감을 갖고 있다.
상기 복합 가연 가공사의 초사에 사용되고, 흡습 또는 흡수에 의해 권축률이 증가하는 복합 섬유는, 폴리에스테르 성분과 폴리아미드 성분이 접합된 섬유 횡단면 형상을 갖는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또는 편심 심-초형 복합 섬유이다.
상기 복합 섬유 함유 심초형 복합 가연 가공사에 있어서, 스펀라이크한 텍스처 및 흡수·흡습에 의해 권축률이 증가하는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초사의 파단 신도를 60 ∼ 35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0 ∼ 300% 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초사의 파단 신도가 350% 를 초과하면 심사와의 실길이차가 20% 를 초과하기 쉬워져, 텍스처가 불량인 것이 되기 쉽고, 또한, 복합 가연 가공시에 실 끊김이 다발하기 쉬워진다. 한편, 초사의 파단 신도가 60% 미만인 경우에는 실길이차가 5% 미만이 되기 쉬워, 원하는 텍스처를 얻기 어려워지고, 나아가서는, 흡습에 의한 권축률의 증가도 적어진다.
상기 복합 섬유 함유 심초형 복합 가연 가공 사조용 복합 섬유는 전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지만 이 용융 사조 공정 후, 연신 열처리를 하지 않고 고속으로 권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방사 속도가 1000 ∼ 4500m/분일 때에 바람직한 결과가 얻어진다. 방사 속도가 1000m/분 미만인 경우에는 얻어지는 복합 섬유의 파단 신도가 지나치게 커지는 경우가 있고, 한편, 방사 속도가 4500m/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사시의 실 끊김이 다발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복합 섬유 함유 심-초형 복합 가연 가공사에 있어서, 그 심사로서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단독 성분, 초사조와 동일한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복합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단, 비용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단독 성분의 경우가 바람직하다. 이 때, 폴리에스테르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비용 면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 가연 가공사의 총섬도는, 통상적인 의료용 소재로서 사용되는 것은 40 ∼ 200dtex, 심사조 및 초사조의 단사 섬도는 1 ∼ 6dtex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복합 가연 가공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이상에 설명한 심사조와 초사조를 정렬하고, 바람직하게는 공기 교락을 실시하고, 공지된 가연 가공기로 복합 가연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그 때, 가연 가공 장치로는, 디스크식 혹은 벨트식 가연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복합 가연 가공사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타섬유와 혼섬 또는 복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복합 가연 가공사과 천연 섬유의 복합으로도 더욱 더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우레탄 혹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조합에 의해 추가로 스트레치성을 부여하여 사용해도 상관없다.
상기 복합 가연 가공사는 의료용의 각종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각종 스포츠웨어, 이너 소재, 유니폼 등에 있어서 방투성이나, 방풍성, 보온성과 같은 쾌적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섬유 함유 사조는, 그 일 실시양태로서, 그것에 가연 가공을 실시하여 얻어지고, 흡습 또는 흡수에 의해 권축률이 증가하는 복합 섬유 함유 가연 가공 사조를 포함한다.
상기 복합 섬유 함유 가연 가공사는, 그것에 비등수 처리를 30 분간 실시하고, 이것에 1.76 × 10-3CN/dtex 의 하중 하에 있어서, 100℃ 의 건열 처리를 30 분간 실시하고, 추가로 1.76 × 10-3CN/dtex 의 하중 하에 있어서 160℃ 의 건열 처리를 1 분간 실시한 후의 복합 섬유 가연 가공사의 건조 권축률 TDC 가 5.0 ∼ 23.7% 이고, 또한 상기 복합 섬유 가연 가공사에, 20 ∼ 30℃ 의 수중에 10 분간 침지시킨 후의 습윤 권축률 THC 가 5.3 ∼ 24% 이며, 양자의 차 : (THC) - (TDC) 에 의해 나타내는 권축률 ΔTC 가 0.3 ∼ 8.0%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 섬유 함유 가연 가공 사조는, 물에 젖어도 「비치지 않는」 특성을 갖고, 방풍성, 보온성도 우수하여 종래의 단순히 벌크성이나 스트레치성 등의 텍스처 효과밖에 갖지 않았던 가연 가공사에, 현재까지는 없는 기능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다.
상기 복합 섬유 함유 가연 가공 사조에 있어서, 흡습 또는 흡수에 의해 권축률이 증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권축 특성을 갖는 가연 가공사는, 물에 젖어도 포백이 「비치는」 경우가 없고, 또한 그 때 포백의 코가 막혀, 방풍성, 보온성도 우수하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상기 복합 섬유의 폴리머 구성, 특히 폴리에스테르 성분을 선택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성분과 폴리아미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섬유이면서, 마치 폴리아미드 성분만으로 이루어지는 실과 같은 방사성, 가연 가공성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상기 폴리에스테르 성분을 5-술포이소프탈산이 공중합되어 있는 변성 폴리에스테르로 하고, 그 때, 그 변성 폴리에스테르가 적당한 고유 점도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5-술포이소프탈산에 의한 분자 가교 효과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성분의 점도는 증대하고, 그 성분이 방사성, 가연 가공성을 지배해 버리지만, 폴리에스테르 성분의 고유 점도를 크게 인하함으로써, 전술한 폴리아미드 성분만으로 이루어지는 실과 같은 방사성, 가연 가공성을 얻을 수 있고, 본 발명의 흡습 또는 흡수에 의해 권축률이 증가하는 가연 가공사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성분의 고유 점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제사성이 저하됨과 함께 보풀이 발생하기 쉬워져, 공업적인 생산 및 품질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 때문에, 상기 고유 점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0.30 ∼ 0.43 이 바람직하고, 0.35 ∼ 0.41 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성 폴리에스테르에 있어서는,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의 공중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우수한 권축 특성이 얻어지는 반면, 폴리아미드 성분과 폴리에스테르 성분의 접합 계면에서 박리가 발생하기 쉬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반대로,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의 공중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연신 열처리 및 가연 공정에서 폴리에스테르의 결정화가 진행되기 어려워지므로 높은 권축률을 갖는 가연 가공사를 얻기 어려워지고, 결정화를 촉진하기 위해서 연신 열처리 온도 및 가연 가공 온도를 높이면 실 끊김이 다발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 때문에,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의 공중합량은, 전술한 바와 같이 2.0 ∼ 4.5 몰% 가 바람직하고, 2.3 ∼ 3.5 몰%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상에 설명한 양 성분에는, 산화티탄이나 카본 블랙 등의 안료, 공지된 항산화제, 대전 방지제, 내광제 등이 각각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복합 섬유에 있어서의 폴리아미드 성분과 폴리에스테르 성분의 복합 형태로는, 양 성분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접합한 형태가 권축 발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 섬유의 단면 형상으로는, 원형 단면이어도 되고 비원형 단면이어도 되고, 비원형 단면에서는 예를 들어 삼각 단면이나 사각 단면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섬유의 단면 내에는 중공부가 존재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상기 복합 섬유 함유 가연 가공 사조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연 가공사를 30 분간 비수 처리하고, 또한 100℃ 에서 30 분간 건열 처리하여 권축을 발현시키고, 이것을 160℃ 에서 1 분간 건열 처리한 섬유가, 다음에 서술하는 권축률 DC, 물 침지 후의 권축률 HC, 및 이들 권축률차 ΔC 가 다음에 서술하는 요건을 동시에 만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권축률 TDC 는, 바람직하게는 5.0 ∼ 23.7%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23%,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2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7.0 ∼ 15% 이다. 상기 권축률 TDC 가 5.0% 미만인 경우에는, 벌크성이 우수한 포백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권축률 TDC 가 23.7%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높은 권축률을 부여하는 가연 가공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성분과 폴리아미드 성분의 계면에서 박리가 발생하기 쉬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물 침지 후의 권축률 THC 는, 바람직하게는 5.3 ∼ 24%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24%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2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9.0 ∼ 18% 이다. 권축률 THC 가 5.3% 미만인 경우에는, 비침 방지 효과, 방풍성, 보온성이 불충분해지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권축률 THC 가 24%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물을 함유하였을 때 포백이 크게 수축하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않고 텍스처도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는 않다.
상기 THC 와 TDC 의 차 ΔTC 는 바람직하게는 0.3 ∼ 8.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7.0%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 6.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 ∼ 5.5% 이다. ΔTC 가 0.3% 미만인 경우에는, 물 침지 후의 권축률 증가의 효과가 적어, 물에 젖어 잘 비치지 않고 또한 방풍성·보온성도 우수한 포백을 얻기 어려워진다. 한편, ΔTC 가 8.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물을 함유하였을 때 포백이 크게 수축하기 때문에 텍스처도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는 않다.
상기 복합 섬유 함유 가연 가공사의 총섬도는, 통상적인 의료용 소재로서 사용되는 것은 40 ∼ 200dtex, 단사 섬도는 1 ∼ 6dtex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교락 처리를 해도 된다.
상기 복합 섬유는, 전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데, 방사 속도는 2000 ∼ 4000m/분의 비교적 고속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하면, 가연 가공이 용이한 복합 섬유 사조를 얻을 수 있다. 가연 가공에는, 종래의 가연 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이것에 종래의 가연 장치, 즉 디스크 방식 또는 벨트식 가연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섬유 함유 가연 가공 사조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다른 섬유와 합사 또는 혼섬하여 사용해도 된다. 즉, 복합 섬유 함유 가연 가공 사조와, 천연 섬유 사조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되고, 혹은, 우레탄 사조 또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와 조합하여, 스트레치성을 갖는 사조 또는 포백을 형성해도 된다.
상기 복합 섬유 함유 가연 가공 사조는, 각종 의료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포츠웨어, 이너 소재, 유니폼 등에 사용하였을 때, 그 방습성, 방풍성, 보온성, 습윤하였을 때의 투시 방지성 등을 유효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하기 측정을 실시하였다.
(1)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의 고유 점도
폴리아미드는 m-크레졸을 용매로서 사용하고 30℃ 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폴리에스테르는 오르토클로로페놀을 용매로서 사용하고 35℃ 에서 측정하였다.
(2) 제사성
3 : 10 시간 연속 방사 중에 실 끊김이 0 ∼ 1 회로서 제사성은 양호하다.
2 : 10 시간 연속 방사 중에 실 끊김이 2 ∼ 4 회로서 제사성은 약간 나쁘다.
1 : 10 시간 연속 방사 중에 실 끊김이 5 회 이상으로서 제사성은 매우 나쁘다.
(3) 폴리아미드 성분과 폴리에스테르 성분의 내계면 박리성
임의로 채취된 24 개의 복합 섬유의 단면에 대하여, 1070 배의 컬러 단면 사진을 찍어, 필라멘트 중의 폴리아미드 성분과 폴리에스테르 성분의 계면 박리 상황을 조사하였다.
3 : 계면에서의 박리가 거의 (0 ∼ 1 개) 존재하지 않았다.
2 : 계면에서의 박리가 2 ∼ 10 개의 필라멘트에 존재하고 있었다.
1 : 거의 모든 필라멘트에 계면에서의 박리가 존재하고 있었다.
(4) 인장 강도 (cN/dtex), 절단 신도 (%)
섬유 시료를 기온 25℃, 습도 60% 의 항온 항습으로 유지된 방에 하루종일 방치한 후, 샘플의 길이 100㎜ 를 (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 인장 시험기 텐실론에 세팅하고, 200㎜/분의 속도로 신장하여, 파단시의 강도, 신도를 측정하였다.
(5) 10% 신장 응력 (cN/dtex)
상기 강도 및 신도를 측정한 응력-신도 곡선에 있어서, 10% 신장시의 응력을 구하고, 그 값을 복합 섬유의 섬도로 나눈 값으로부터 구하였다.
(6) 건조 권축률 DC, 물 침지 후의 습윤 권축률 HC, 및 그들의 차 ΔC (= (HC) - (DC))
복합 섬유로 2700dtex 의 실패를 만들고, 6g (2.2㎎/dtex) 의 경하중 하에서 비등수 중에서 30 분간 처리하였다. 여과지로 수분을 가볍게 제거하고, 이어서 6g (2.2㎎/dtex) 의 하중 하에서 100℃ 의 건열로 30 분간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였다. 또한, 이 실패를 6g (2.2㎎/dtex) 의 하중 하에서 160℃ 의 건열로 1 분간 열처리하여 측정 시료로 하였다.
(a) 건조 권축률 DC (%)
상기 처리를 한 측정 시료 (실패) 를 6g (2.2㎎/dtex) 의 하중 하에서 5 분 처리하고, 이어서 이 실패를 꺼내고 다시 600g (합계 606g : 2.2㎎/dtex + 220㎎ /dtex) 의 하중을 가하여 1 분 방치하고 그 실패의 길이 L0 을 구하였다. 이어서, 600g 의 하중을 제거하고, 6g (2.2㎎/dtex) 의 하중 하에서 1 분 방치하고 그 길이 L1 을 구하였다. 하기 계산식으로부터 권축률 DC 를 구하였다.
DC (%) = L0 - L1/L0 × 100
(b) 물 침지 후의 습윤 권축률 HC (%)
권축률 DC 를 구한 후의 동일한 실패를 사용하여, 6g (2.2㎎/dtex) 의 하중 하에서 수중 (실온) 에서 10 시간 처리하였다. 이 실패를 여과지로 물을 닦아내고, 추가로 600g (합계 606g : 2.2㎎/dtex + 220㎎/dtex) 의 하중을 더 가하여 1 분 방치하고, 그 실패의 길이 L2 를 구하였다. 이어서, 600g 의 하중을 제거하고, 6g (2.2㎎/dtex) 의 하중 하에서 1 분 방치하고 그 길이 L3 을 구하였다. 하기 계산식으로부터 물 침지 후의 권축률 DC 를 구하였다.
HC (%) = L2 - L3/L2 × 100
(C) ΔC (%)
상기 권축률 DC 와 물 침지 후의 권축률 HC 의 차 ΔC 는 다음 식에 의해 구하였다.
ΔC (%) = HC (%) - DC (%)
(7) 통편 (筒編) 의 특성
복합 섬유를 통편하고, 카티온 염료로 보일 염색을 실시하고, 수세 후 160℃ 의 건열 중에서 1 분 세팅하여 측정 시료로 하였다. 이 통편에서 물을 적하하고, 통편의 측면 사진 (배율 200) 으로 수적 하부 및 그 주변의 상황을 조사하여, 물 적하에 의한 편물코의 팽창 혹은 축소 상황, 및 통편의 비침감을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a) 편물코의 축소 정도 (공극의 감소 정도)
3 : 수적에 의해 편물코가 현저하게 축소되어 있다 (공극이 감소되어 있다).
2 : 수적에 의한 편물코 변화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공극의 변화가 거의 없다).
1 : 수적에 의해 편물코가 오히려 신장되어 있다 (공극이 커져 있다).
(b) 비침 방지 (불투명감)
3 : 수적부의 「비침」이 감소되어 있다 (불투명감이 증가되어 있다).
2 : 수적에 의한 「비침」의 변화는 보이지 않는다 (불투명감은 변함없다).
1 : 수적에 의해 「비침」이 커져 있다 (불투명감이 감소되어 있다).
[실시예 1]
고유 점도 [η] 가 1.3 인 나일론 6 과, 고유 점도 [η] 가 0.39 이고 3.0 몰% 의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을 공중합시킨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각각 270℃, 290℃ 에서 용융시키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44518호에 기재된 복합 방사 구금을 사용하여, 각각 11.7g/분의 토출량으로 압출하여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사조를 형성시키고, 냉각 고화·유제 (油劑) 를 부여한 후, 사조를 속도 1000m/분, 온도 60℃ 의 제 1 롤러로 예열하고, 이어서, 속도 2800m/분, 온도 130℃ 로 가열된 제 2 롤러 사이에서 연신 열처리 (연신 배율 2.80 배) 를 실시하고, 권취하여 83dtex24fil 의 복합 섬유를 얻었다. 제사성은 매우 양호하고, 10 시간 연속 방사하여, 실 끊김이 전혀 없었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44518호에 기재된 복합 방사 구금에 있어서, 방사 구멍은 실질적으로 동일 원주 상에 간격 (d) 로 배치된 2 개의 원호상 슬릿 A 및 B 로 구성되고, 그 원호상 슬릿 A 의 면적 SA, 슬릿폭 A1, 원호상 슬릿 B 의 면적 SB, 슬릿폭 B1, 그리고 원호상 슬릿 A 및 B 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인 면적 SC 가, 하기 식 ① ∼ ④ 를 동시에 만족하는 방사 노즐 구멍이다.
① B1 < A1
② 1.1 ≤ SA/SB ≤ 1.8
③ 0.4 ≤ (SA + SB)/SC ≤ 10.0
④ d/A1 ≤ 3.0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슬릿 A 측에서 압출하고, 상기 나일론 6 을 슬릿 B 측에서 압출하였다.
[실시예 2 ∼ 3, 비교예 1]
실시예 1 에 있어서 제 2 롤러 온도를 표 1 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섬유 사조를 얻었다. 측정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 6, 비교예 2 ∼ 3]
실시예 1 에 있어서 제 2 롤러 속도를 표 1 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섬유 사조를 얻었다. 측정 결과를 표 1 에 나타 낸다.
[실시예 7 ∼ 8, 비교예 4]
실시예 1 에 있어서 제 2 롤러 온도를 표 1 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섬유 사조를 얻었다. 측정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9 ∼ 10, 비교예 5 ∼ 6]
실시예 1 에 있어서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의 공중합량을 표 1 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섬유 사조를 얻었다. 측정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 12, 비교예 7 ∼ 8]
실시예 1 에 있어서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유 점도 η 를 표 1 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섬유 사조를 얻었다. 측정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62277556-pct00001
[실시예 13]
고유 점도 [η] 가 1.3 인 나일론 6 과, 고유 점도 [η] 가 0.39 이고 3.0 몰% 의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을 공중합시킨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각각 270℃, 290℃ 에서 용융시키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44518호에 기재된 복합 방사 구금을 사용하여, 각각 16.9g/분의 토출량으로 압출하여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사조를 형성시키고, 냉각 고화·유제를 부여한 후, 사조를 속도 1800m/분, 온도 RT (실온) 의 제 1 롤러로 예열하고, 이어서, 속도 3050m/분, 온도 130℃ 로 가열된 제 2 롤러 사이에서 연신 열처리 (연신 배율 1.69 배) 를 실시하고, 권취하여 110dtex24fil 의 태세 복합 섬유를 얻었다. 제사성 및 연신성은 매우 양호하고, 10 시간 연속 방사하여, 실 끊김이 전혀 없었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4 ∼ 17, 비교예 9 및 10]
제 1 롤러 속도를 표 1 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 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섬유를 얻었다. 측정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8 및 19, 비교예 11]
제 1 롤러 온도를 표 1 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 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섬유를 얻었다. 측정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20 및 21, 비교예 12]
제 2 롤러 온도를 표 1 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 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섬유를 얻었다. 측정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22 및 23, 비교예 13 및 14]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분의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의 공중합량을 표 1 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 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섬유를 얻었다. 측정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24 및 25, 비교예 15 및 16]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분 고유 점도 [η] 를 표 1 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 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섬유를 얻었다. 측정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26 및 27, 비교예 17]
각 성분의 토출량 및 제 2 롤러의 속도를 표 1 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 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섬유를 얻었다. 측정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62277556-pct00002
표 2 에 있어서, U% 및 텍스처는 하기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8) U%
계측기 공업 주식회사 제조 Evness Tester 를 사용하고, 하프 이너트의 조건으로 규정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9) 텍스처
복합 섬유를 통편하고, 카티온 염료로 보일 염색을 실시하고, 수세 후 160℃ 의 건열 중에서 1 분 세팅하여 측정 시료로 하고, 그 촉감을 하기와 같이 평가하여 표시하였다.
2 : 방적사와 같은 텍스처를 갖고 있다.
1 : 방적사와 같은 텍스처가 부족하다.
[실시예 28]
고유 점도 [η] 가 1.3 인 나일론 6 과, 고유 점도 [η] 가 0.39 이고 3.0 몰% 의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을 공중합시킨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각각 270℃, 290℃ 에서 용융시키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44518호에 기재된 복합 방사 구금을 사용하여, 각각 11.7g/분의 토출량으로 압출하여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사조를 형성시키고, 냉각 고화·유제를 부여한 후, 사조를 속도 1000m/분으로 인출하고, 이것을 온도 60℃ 의 제 1 롤러로 예열하고, 이어서, 속도 2800m/분으로, 온도 130℃ 로 가열된 제 2 롤러 사이에서 연신 열처리 (연신 배율 2.80 배) 를 실시하고, 이것을 권취하여 83dtex24fil 의 복합 섬유를 얻었다.
한편, 고수축 성분이 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는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극한 점도 0.64 로 이소프탈산이 10 몰% 공중합되고, 광택 제거제로서 이산화티탄을 0.3% 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285℃ 에서 용융시키고 토출량 12g 으로 압출하고, 냉각 고화하고, 유제를 부여한 후 방사 속도 1200m/분으로 권취하고, 100dtex12fil 의 미연신사를 얻었다. 이 미연신을 통상적인 연신기로 연신하여 33dtex12fil 의 고수축 필라멘트가 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얻었다. 연신 조건은 하기와 같고,
(연신 조건)
·연신 속도 500m/분
·연신 배율 3.0
·연신 온도 80℃
·세트 온도 실온
다음으로 상기 저수축 필라멘트와 고수축 필라멘트를 정렬하고, 교락 처리를 하면서 권취하여 117dtex36fil 의 혼섬사를 얻었다. 얻어진 혼섬사의 교락수는 43 개/m 이었다. 측정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29 ∼ 33, 비교예 19 ∼ 21]
제 1 롤러 온도를 표 3 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8 과 동일하게 하여 혼섬사를 얻었다. 측정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34 ∼ 38, 비교예 18 및 22 ∼ 24]
제 2 롤러 속도를 표 3 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8 과 동일하게 하여 혼섬사를 얻었다. 측정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39 및 40, 비교예 25 및 26]
변성 폴리에스테르 성분의 5-술포이소프탈산의 공중합량을 표 3 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8 과 동일하게 하여 혼섬사를 얻었다. 측정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41 및 42, 비교예 27 및 28]
변성 폴리에스테르 성분의 고유 점도 [η] 를 표 3 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8 과 동일하게 하여 혼섬사를 얻었다. 측정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62277556-pct00003
표 3 에 있어서 혼섬 가공성, 고수축성 섬유 및 복합 섬유의 비등수 중 수축률, 통편의 형상 변화, 텍스처, 및 교락수를 하기 방법에 의해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10) 혼섬 가공성
3 : 10 시간 연속 혼섬 가공 중에 있어서 실 끊김이 0 ∼ 1 회로서, 제사성은 양호하다.
2 : 10 시간 연속 혼섬 가공 중에 있어서 실 끊김이 2 ∼ 4 회로서, 제사성은 약간 나쁘다.
1 : 10 시간 연속 혼섬 가공 중에 있어서 실 끊김이 5 회 이상으로서, 제사성은 매우 나쁘다.
(11) 고수축률 섬유 및 복합 섬유의 비등수 중에서의 수축률
고수축률 섬유의 비등수 중에서의 수축률 (BWSA) 및 복합 섬유의 비등수 중에서의 수축률 (BWSB) 은 각각 다음의 방법에 의해 구하였다. 즉, 프레임 둘레 1.125m 의 권척기 (捲尺機) 로 실패를 제조하고, 하중 27.7cN/dtex 로 실패 길이 (L4) 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패의 하중을 제거하고 비등수 중에서 30 분간 처리한다. 물을 닦아내고, 실온에서 1 시간 방치 후의 실패 길이 (L5) 를 측정하고, 하기 식으로부터 산출하였다.
수축률 (%) = (L4 - L5)/L4 × 100
(12) 통편의 형태 변화
혼섬 사조를 통편하고, 카티온 염료로 보일 염색을 실시하고, 수세 후 160℃ 의 건열 중에서 1 분 세팅하여 측정 시료로 하였다. 이 통편에 물을 적하하고, 통편의 측면 사진 (배율 200) 으로 수적 하부 및 그 주변의 상황을 조사하여, 물 적하에 의한 편물코의 팽창 혹은 축소 상황, 및 통편의 비침감을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a) 편물코 변화
2 : 물 적하로 편물코가 현저하게 축소되어 있다 (공극이 적어져 있다).
1 : 물 적하로 편물코가 오히려 신장되어 있다 (공극이 넓어져 있다).
(b) 불투명감
2 : 물 적하로 비침감이 저하되고 불투명감이 증가되어 있다.
1 : 물 적하로 비침감이 커지고 투명감이 증가 (불투명감이 저하) 되어 있다.
(13) 텍스처
혼섬 사조를 통편하고, 카티온 염료로 보일 염색을 실시하고, 수세 후 160℃ 의 건열 중에서 1 분 세팅하여 측정 시료로 하고, 그 촉감으로 평가하였다.
2 : 팽창감이 있고 실키 터치이다.
1 : 텍스처가 단단하거나, 혹은 페이퍼라이크이고 팽창감이 없다.
(14) 교락수
혼섬 사조를 수중에 넣고, 그 교락의 수를 육안으로 세어 1m 당 수로 환산하여 구하였다.
또한, 실시예 28 ∼ 42 에 있어서는, 혼섬 사조에 있어서도, 저수축 필라멘트가 흡습 또는 흡수에 의해 권축률이 증가하고, 통편의 코가 막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3]
고유 점도 [η] 가 1.3 인 나일론 6 과, 고유 점도 [η] 가 0.39 이고 3.0 몰% 의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을 공중합시킨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각각 270℃, 290℃ 에서 용융시키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44518호에 기재된 복합 방사 구금을 사용하여, 각각 8.3g/분의 토출량으로 압출하여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사조를 형성시키고, 냉각 고화·유제를 부여한 후, 사조를 속도 1000m/분으로 권취하여 167dtex24fil 의 미연신사를 얻었다.
다음으로, 고유 점도 [η] 가 0.64 이고 산화티탄을 0.3 중량% 함유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300℃ 에서 용융시키고, 구멍 직경 0.30φ 의 토출 구멍을 12 개 갖는 방사 구금을 사용하여 토출량 40.3g/분으로 압출하고, 냉각 고화 후, 방사 속도 3300m/분의 권취하여 122dtex24fil 의 미연신사를 얻었다. 얻어진 미연신사는, 강도가 2.5cN/dtex, 신도가 135% 이었다.
상기 2 종류의 미연신사를 정렬하고, 공기에서 교락 처리 (인터레이스 (1L) 처리) 하고, 프릭션형 가연 가공기를 사용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복합 가연을 실시하여, 186dtex36fil 의 복합 가연 가공사를 얻었다. 측정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가연 가공 조건)
·가공 속도 300m/분
·가공 배율 1.55
·가공 온도 140℃ (비접촉 히터 (유효 길이 90㎝) 사용)
·D/Y 1.8
·교락 처리 OF : 0.5%, IL 압 : 2.0㎏/㎠
[실시예 44 ∼ 48, 비교예 29 ∼ 31]
복합 가연 가공 온도 (히터 온도) 를 표 4 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3 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가연 가공사를 얻었다. 측정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실시예 49 ∼ 54, 비교예 32 ∼ 34]
방사 속도를 표 4 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3 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가연 가공사를 얻었다. 측정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실시예 55 및 56, 비교예 35 및 36]
변성 폴리에스테르 성분의 5-술포이소프탈산의 공중합량을 표 4 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3 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가연 가공사를 얻었다. 측정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실시예 57 및 58, 비교예 37 및 38]
변성 폴리에스테르 성분의 고유 점도 [η] 를 표 4 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3 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가연 가공사를 얻었다. 측정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실시예 43 ∼ 58 에 있어서는, 복합 가연 가공사에 있어서도, 초사가 흡습 또는 흡수에 의해 미연신사와 동일하게 권축률이 증가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112008062277556-pct00004
표 4 에 기재된 복합 가연 가공성, 심사 및 초사의 각각을 구성하는 섬유 사조의 실길이차, 통편의 형태 변화 및 텍스처는 하기 방법에 의해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15) 복합 가연 가공성
3 : 10 시간 연속 복합 가연 가공 중의 실 끊김이 0 ∼ 1 회로서 제사성은 양호하다.
2 : 10 시간 연속 복합 가연 가공 중의 실 끊김이 2 ∼ 4 회로서 제사성은 약간 나쁘다.
1 : 10 시간 연속 복합 가연 가공 중의 실 끊김이 5 회 이상으로서 제사성은 매우 나쁘다.
(16) 심사 및 초사의 각각을 구성하는 섬유 사조의 실길이차
50㎝ 의 복합 가연 가공사의 일단에 0.176cN/dtex (0.2g/de) 의 하중을 가하여 수직으로 매달고, 정확하게 5㎝ 간격의 마킹을 하였다. 하중을 제거하고, 마킹 부분을 정확하게 잘라내어 10 개의 시료로 하였다. 그 시료로부터, 초부분의 섬유 (필라멘트) 및 심부의 섬유 (필라멘트) 를 각각 10 개 꺼내고, 각각의 단사에 0.03cN/dtex (1/30g/de) 의 하중을 가하여 수직으로 매달고, 각각의 길이를 측정한다. 10 개의 시료에 대하여 상기 측정을 실시하여, 각각의 평균값을 La (초부 실길이) 및 Lb (심부 실길이) 로 하고, 하기 식으로 실길이차를 계산하였다.
실길이차 = (La - Lb)/La × 100%
(17) 통편의 형태 변화
복합 가연 가공사를 통편하고, 카티온 염료로 보일 염색을 실시하고, 수세 후 160℃ 의 건열 중에서 1 분 세팅하여 측정 시료로 하였다. 이 통편에 물을 적하하고, 통편의 측면 사진 (배율 200) 으로 수적 하부 및 그 주변의 상황을 조사하여, 물 적하에 의한 편물코의 팽창 혹은 축소 상황, 및 통편의 비침감을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a) 편물코 변화
2 : 물 적하로 편물코가 현저하게 축소되어 있다 (공극이 적어져 있다).
1 : 물 적하로 편물코가 오히려 신장되어 있다 (공극이 넓어져 있다).
(b) 불투명감
2 : 물 적하로 비침감이 저하되고 불투명감이 증가되어 있다.
1 : 물 적하로 비침감이 커지고 투명감이 증가 (불투명감이 저하) 되어 있다.
(18) 텍스처
복합 가연 가공사를 통편하고, 카티온 염료로 보일 염색을 실시하고, 수세 후 160℃ 의 건열 중에서 1 분 세팅하여 측정 시료로 하고, 그 촉감으로 평가하였다.
2 : 텍스처가 방적사와 같고 팽창감이 있고 소프트하다.
1 : 텍스처가 방적사와 같지 않다.
[실시예 59]
고유 점도 [η] 가 1.3 인 나일론 6 과, 고유 점도 [η] 가 0.39 이고 3.0 몰% 의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을 공중합시킨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각각 270℃, 290℃ 에서 용융시키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44518호에 기재된 복합 방사 구금을 사용하여, 각각 11.7g/분의 토출량으로 압출하여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사조를 형성시키고, 냉각 고화·유제를 부여한 후, 사조를 속도 2500m/분으로 권취하여 110dtex24fil 의 미연신사를 얻었다. 또한 얻어진 미연신사를, 프릭션형 가연 가공기를 사용하여 하기 조건에 의해 가연 가공하여, 72dtex24fil 의 가연 가공사를 얻었다. 측정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가연 가공 조건)
·가공 속도 300m/분
·가공 배율 1.55
·가공 온도 140℃ (비접촉 히터 (유효 길이 90㎝) 사용)
·D/Y 1.8
[실시예 60 ∼ 64, 비교예 39 ∼ 41]
가연 가공의 가공 (히터) 온도를 표 5 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9 와 동일하게 하여 가연 가공사를 얻었다. 측정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실시예 65 ∼ 69, 비교예 42 ∼ 45]
방사 속도, 가연 가공 배율을 표 5 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9 와 동일하게 하여 가연 가공사를 얻었다. 측정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실시예 70 ∼ 72, 비교예 46]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의 공중합량을 표 5 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9 와 동일하게 하여 가연 가공사를 얻었다. 측정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실시예 73 ∼ 74, 비교예 47 및 48]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유 점도 [η] 를 표 5 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9 와 동일하게 하여 가연 가공사를 얻었다. 측정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62277556-pct00005
표 5 에 기재된 가연 가공성, 통편의 형태 변화, 텍스처는 하기 방법에 의해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19) 가연 가공성
3 : 10 시간 연속 가연 가공 중의 실 끊김이 0 ∼ 1 회로서 제사성은 양호하다.
2 : 10 시간 연속 가연 가공 중의 실 끊김이 2 ∼ 4 회로서 제사성은 약간 나쁘다.
1 : 10 시간 연속 가연 가공 중의 실 끊김이 5 회 이상으로서 제사성은 매우 나쁘다.
(20) 통편의 형태 변화
가연 가공사를 통편하고, 카티온 염료로 보일 염색을 실시하고, 수세 후 160℃ 의 건열 중에서 1 분 세팅하여 측정 시료로 하였다. 이 통편에 물을 적하하고, 통편의 측면 사진 (배율 200) 으로 수적 하부 및 그 주변의 상황을 조사하여, 물 적하에 의한 편물코의 팽창 혹은 축소 상황, 및 통편의 비침감을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a) 편물코 변화
2 : 물 적하로 편물코가 현저하게 축소되어 있다 (공극이 작아져 있다).
1 : 물 적하로 편물코가 오히려 신장되어 있다 (공극이 넓어져 있다).
(b) 불투명감 (비침감)
2 : 물 적하로 비침감이 저하되고 불투명감이 증가되어 있다.
1 : 물 적하로 비침감이 커지고 투명감이 증가 (불투명감이 저하) 되어 있다.
(21) 텍스처
가연 가공사를 통편하고, 카티온 염료로 보일 염색을 실시하고, 수세 후 160℃ 의 건열 중에서 1 분 세팅하여 측정 시료로 하고, 그 촉감으로 평가하였다.
2 : 텍스처가 소프트하고 팽창감 있음.
1 : 텍스처가 페이퍼라이크임.
실시예 59 ∼ 74 의 가연 가공 사조는, 물에 젖어도 양호한 투시 방지성을 갖고, 양호한 텍스처를 갖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복합 섬유 함유 사조에 함유되는 복합 섬유는, 가열에 의해 권축을 발현하는 것으로서, 그것으로부터 얻어지는 권축 복합 섬유는, 흡습 또는 흡수에 의해 그 권축률을 증대시키고, 건조에 의해 그 권축 중에는 1 일에 회복한다는 특성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복합 섬유를 함유하는 사조 (가연 가공된 것을 포함한다) 로부터 제조된 편직물 등의 포백은, 물에 젖었을 때, 그것에 함유되는 복합 섬유의 권축률이 증대되고, 포백 중의 공극을 감소시킨다. 이 포백은 양호한 투시 방지성과 방풍성 및 보온성을 갖고, 이 성능은, 당해 포백이 염색 마무리 등의 가공을 거친 후에 있어서도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섬유 함유 사조는 다양한 섬유 제품, 특히 의료용 섬유 제품의 원료로서 유용한 것이다.

Claims (12)

  1. 폴리에스테르 성분과 폴리아미드 성분이,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또는 편심 심-초(core/sheath)형 구조로 접합되어 있는 복합 섬유를 함유하고, 상기 복합 섬유가 가열 처리에 의해 권축을 발현할 수 있고, 이 권축 발현 복합 섬유의 권축률이 흡습 또는 흡수에 의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섬유 함유 사조(絲條)로서,
    상기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사조에, 비수(沸水) 처리를 30 분간 실시하여 권축을 발현시키고, 이것에 1.76 × 10-3CN/dtex 의 하중 하에 있어서, 100℃ 의 열처리를 30 분간 실시하여 권축을 안정화시키고, 이 권축 복합 섬유에, 1.76 × 10-3CN/dtex 의 하중 하에 있어서, 160℃ 의 열처리를 1 분간 실시한 후의 건조 권축률 DC 와, 이 건조 권축률 DC 를 갖는 권축 복합 섬유를 20 ∼ 30℃ 의 수중에 10 시간 침지시킨 후의 습윤 권축률 HC 를 측정하였을 때, 하기 식 :
    ΔC (%) = HC (%) - DC (%)
    로 나타내는 습건 권축률차 ΔC 가 0.3% 이상인 복합 섬유 함유 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성분이 산 성분의 합계 몰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 4.5 몰% 의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이 공중합되어 있는 변성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고, 또한 그 고유 점도 IV 가 0.30 ∼ 0.43 의 범위 내에 있는 복합 섬유 함유 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권축률 DC 가 0.2 ∼ 6.7% 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습윤 권축률 HC 가 0.5 ∼ 7.0% 의 범위 내에 있는 복합 섬유 함유 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섬유 함유 사조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태부(太剖)와 세부(細剖)가 교대로 분포되어 있는 태세(太細)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복합 섬유 함유 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태세 복합 섬유 사조의 상기 건조 권축률 DC 가 4.0 ∼ 12.8% 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습윤 권축률 HC 가 4.3 ∼ 13.0% 의 범위 내에 있는 복합 섬유 함유 사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태세 복합 섬유 사조의 U% 가 2.5 ∼ 15.0% 의 범위 내에 있는 복합 섬유 함유 사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사조에, 이 복합 섬유의 비등수 중에 있어서의 수축률보다 높은 비등수 중 수축률을 갖는 1 종 이상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사조가 합사되고, 상기 복합 섬유와 상기 고수축률 섬유가 혼섬되어 있는 복합 섬유 함유 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사조의 비등수 중 수축률 (BWSB) 이 12 ∼ 30% 이고, 상기 고수축률 섬유 사조의 비등수 중 수축률 (BWSA) 이 40% 이하로서, 양자의 수축률의 차 : (BWSA) - (BWSB) 가 10 ∼ 26% 인 복합 섬유 함유 사조.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사조를 초(sheath)사로서 사용하고, 그것과는 이종의 필라멘트 사조를 심(core)사로서 사용하여 얻어지는 복합 사조에, 가연 가공을 실시하여 얻어진 심초형 복합 가연 가공사로서, 이 심초형 복합 가연 가공사로부터 길이 50㎝ 의 시료를 채취하고, 이 시료의 일단에 0.176cN/dtex (0.2g/de) 의 하중을 가하여 수직으로 매달고, 5㎝ 간격의 마킹을 하고, 상기 하중을 제거하고, 마킹 부분을 잘라내어 10 개의 측정 시료를 조제하고, 이 시료로부터, 초부분의 단섬유 (필라멘트) 및 심부의 섬유 (필라멘트) 를 각각 10 개 꺼내고, 각각의 단섬유에 0.03cN/dtex (1/30g/de) 의 하중을 가하여 수직으로 매달고, 각각의 길이를 측정하여, 심·초 중 각 10 개 시료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각각 La (초부 실길이) 및 Lb (심부 실길이) 로 하고, 하기 식에 의해 실길이차
    실길이차 = (La - Lb)/La × 100%
    를 산출하였을 때, 실길이차 (La - Lb)/La (%) 가 5 ∼ 20% 인 복합 섬유 함유 사조.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섬유 함유 사조에 가연 가공을 실시하여 얻어진 가연 가공사로서, 흡습 또는 흡수에 의해 권축률이 증가하는 복합 섬유 함유 사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 가공이 실시된 복합 섬유 함유 사조에 비등수 처리를 30 분간 실시하고, 이것에 1.76 × 10-3CN/dtex 의 하중 하에 있어서, 100℃ 의 건열 처리를 30 분간 실시하고, 추가로 1.76 × 10-3CN/dtex 의 하중 하에 있어서 160℃ 의 건열 처리를 1 분간 실시한 후의 복합 섬유 가연 가공사의 건조 권축률 TDC 가 5.0 ∼ 23.7% 이고, 또한, 상기 복합 섬유 가연 가공사에, 20 ∼ 30℃ 의 수중에 10 분간 침지시킨 후의 습윤 권축률 THC 가 5.3 ∼ 24% 이고, 양자의 차 : (THC) - (TDC) 에 의해 나타내는 권축률 ΔTC 가 0.3 ∼ 8.0% 의 범위 내에 있는 복합 섬유 함유 사조.
  12. 삭제
KR1020087021442A 2006-03-01 2007-02-28 복합 섬유 함유 사조 KR1013556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54684 2006-03-01
JP2006054684A JP4866103B2 (ja) 2006-03-01 2006-03-01 複合繊維
JP2006056425A JP2007231474A (ja) 2006-03-02 2006-03-02 太細複合繊維
JPJP-P-2006-00056425 2006-03-02
JPJP-P-2006-00063174 2006-03-08
JP2006063175A JP4866109B2 (ja) 2006-03-08 2006-03-08 仮撚加工糸
JPJP-P-2006-00063175 2006-03-08
JP2006063176A JP4866110B2 (ja) 2006-03-08 2006-03-08 混繊糸
JPJP-P-2006-00063176 2006-03-08
JP2006063174A JP2007239139A (ja) 2006-03-08 2006-03-08 複合仮撚加工糸
PCT/JP2007/054366 WO2007102522A1 (ja) 2006-03-01 2007-02-28 複合繊維含有糸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810A KR20080096810A (ko) 2008-11-03
KR101355669B1 true KR101355669B1 (ko) 2014-01-27

Family

ID=38474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1442A KR101355669B1 (ko) 2006-03-01 2007-02-28 복합 섬유 함유 사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153253B2 (ko)
EP (1) EP1995358B1 (ko)
KR (1) KR101355669B1 (ko)
AT (1) ATE480652T1 (ko)
CA (1) CA2640570C (ko)
DE (1) DE602007009059D1 (ko)
TW (1) TWI413715B (ko)
WO (1) WO20071025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4994B2 (ja) * 2004-09-03 2009-10-28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複合繊維
US9313637B2 (en) * 2011-12-05 2016-04-12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Wireless emergency caller profile data delivery over a legacy interface
TWI499699B (zh) * 2012-05-22 2015-09-11 Antistatic processing wi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22399B1 (ko) * 2013-03-20 2014-07-22 로디아 오퍼레이션스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 얼로이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태세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52614B1 (ko) * 2017-06-26 2019-02-27 조대현 다기능성 복합섬유 혼섬사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다기능성 복합섬유 혼섬사
KR101952615B1 (ko) * 2017-06-26 2019-02-27 조대현 다기능성 혼섬사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다기능성 혼섬사
TWI687562B (zh) * 2018-03-23 2020-03-11 新光合成纖維股份有限公司 具有吸濕伸長變化之複合纖維
WO2020055859A1 (en) * 2018-09-10 2020-03-19 Universal Fibers, Inc. Wool-like synthetic multifilament yarns
CN110983483B (zh) * 2019-11-27 2022-02-18 武汉纺织大学 具有光热转换及抗菌性能的热湿响应纤维及其制备方法
CN111118660B (zh) * 2019-12-12 2022-04-01 浙江恒澜科技有限公司 一种高弹涤锦并列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8236A (en) 1954-02-26 1962-06-12 Du Pont Crimped textile products
US3118011A (en) 1962-07-03 1964-01-14 Du Pont Process for preparing helically crimped composite filaments
EP0434029A2 (en) * 1989-12-19 1991-06-26 Kuraray Co., Ltd. Moisture-absorbent composite fiber
JP2003239141A (ja) 2002-02-12 2003-08-27 Teijin Ltd 感湿捲縮複合繊維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72485A (ko) 1972-11-20 1974-07-12
US3992499A (en) 1974-02-15 1976-11-1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sheath-core cospun heather yarns
US4059949A (en) * 1974-02-15 1977-11-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heath-core cospun heather yarns
JPS5846118A (ja) 1981-09-10 1983-03-17 Teijin Ltd 感湿捲縮複合繊維
JPS5846119A (ja) 1981-09-10 1983-03-17 Teijin Ltd 捲縮複合繊維
JPS59199816A (ja) * 1983-04-27 1984-11-13 Teijin Ltd 日光回復性を有する複合繊維の製造方法
JPS6119816A (ja) 1984-07-06 1986-01-28 Teijin Ltd 感湿捲縮複合繊維の製造方法
JP2824130B2 (ja) * 1989-07-25 1998-11-11 株式会社クラレ 感温変色性複合繊維
EP0413280A3 (en) * 1989-08-16 1991-10-30 Teijin Limited Polyamide-polyester composite fiber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H03213518A (ja) 1990-01-16 1991-09-18 Kuraray Co Ltd 調湿性繊維
JPH03287820A (ja) 1990-03-30 1991-12-18 Unitika Ltd 複合繊維
JPH09316744A (ja) 1996-05-28 1997-12-09 Unitika Ltd ポリエステル系低捲縮複合混繊糸とその製造方法
CN1092726C (zh) 1998-02-16 2002-10-16 南亚塑胶工业股份有限公司 异收缩超细纤维假捻加工纱的制造方法
JP3696421B2 (ja) 1998-11-12 2005-09-21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複合繊維の製造方法
MXPA02004584A (es) 2000-09-13 2002-09-02 Teijin Ltd Hilado o hilo de filamentos multiples de poliester grueso y delgado.
WO2002086211A1 (fr) * 2001-04-17 2002-10-31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Fil texture par fausse torsion en fibre de polyester composite et procede de production
JP2003041462A (ja) 2001-07-24 2003-02-13 Teijin Ltd 通気性自己調節織編物
JP2003041444A (ja) 2001-07-27 2003-02-13 Teijin Ltd 異収縮混繊糸及び通気性自己調節布帛
JP2003082543A (ja) 2001-09-06 2003-03-19 Teijin Ltd 複合仮撚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通気性自己調節布帛
ES2315410T3 (es) * 2001-11-06 2009-04-01 Asahi Kasei Fibers Corporation Bobinas de fibra de poliester compuestas.
JP2003239140A (ja) * 2002-02-12 2003-08-27 Teijin Ltd 感湿捲縮複合繊維および製造方法
JP3834018B2 (ja) * 2003-06-30 2006-10-18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可逆通気性布帛
JP4354994B2 (ja) * 2004-09-03 2009-10-28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複合繊維
CA2579144C (en) * 2004-09-28 2013-04-02 Teijin Fibers Limited Woven or knitted fabric and clothes containing crimped composite filaments and having an air permeability which increases when the fabric is wetted with water
JP2006112009A (ja) 2004-10-15 2006-04-27 Teijin Fibers Ltd 湿潤により凹凸が発現する織編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製品
CN100390341C (zh) 2004-12-29 2008-05-28 东丽纤维研究所(中国)有限公司 复合加工丝及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8236A (en) 1954-02-26 1962-06-12 Du Pont Crimped textile products
US3118011A (en) 1962-07-03 1964-01-14 Du Pont Process for preparing helically crimped composite filaments
EP0434029A2 (en) * 1989-12-19 1991-06-26 Kuraray Co., Ltd. Moisture-absorbent composite fiber
JP2003239141A (ja) 2002-02-12 2003-08-27 Teijin Ltd 感湿捲縮複合繊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80652T1 (de) 2010-09-15
EP1995358B1 (en) 2010-09-08
WO2007102522A1 (ja) 2007-09-13
KR20080096810A (ko) 2008-11-03
CA2640570C (en) 2014-02-04
TWI413715B (zh) 2013-11-01
EP1995358A4 (en) 2009-07-01
DE602007009059D1 (de) 2010-10-21
US8153253B2 (en) 2012-04-10
US20090029164A1 (en) 2009-01-29
TW200804640A (en) 2008-01-16
EP1995358A1 (en) 2008-11-26
CA2640570A1 (en) 200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5669B1 (ko) 복합 섬유 함유 사조
JP4870795B2 (ja) 複合繊維の製造方法
CN110088365B (zh) 偏心芯鞘复合纤维及混纤丝
JP3859672B2 (ja) 複合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4866103B2 (ja) 複合繊維
JP4329553B2 (ja) ポリアミド複合仮撚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23646B2 (ja) ポリエステル繊維糸条および布帛
JPH0651925B2 (ja) 特殊断面形状を有する繊維
JP4866109B2 (ja) 仮撚加工糸
JP3992604B2 (ja) ポリエステル混繊糸
JP4866110B2 (ja) 混繊糸
JP4380519B2 (ja) ソフトストレッチ糸の製造方法
JPS646285B2 (ko)
JP2007239139A (ja) 複合仮撚加工糸
JP4733879B2 (ja) 潜在捲縮性能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複合斑糸
JP2000248430A (ja) 潜在捲縮発現性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製造方法
JP4687091B2 (ja) ソフトストレッチ糸および布帛
JP2001214335A (ja) 低収縮ポリエステル太細糸およびそれからなるポリエステル混繊糸
JP3757710B2 (ja) 潜在捲縮発現性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製造方法
JP3719258B2 (ja) ソフトストレッチ糸および製造方法ならびに布帛
JP2007231475A (ja) 複合未延伸繊維
JP2007231474A (ja) 太細複合繊維
JPH07292534A (ja) 紡績糸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織編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