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516B1 - 건전복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전복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516B1
KR101353516B1 KR1020120101060A KR20120101060A KR101353516B1 KR 101353516 B1 KR101353516 B1 KR 101353516B1 KR 1020120101060 A KR1020120101060 A KR 1020120101060A KR 20120101060 A KR20120101060 A KR 20120101060A KR 101353516 B1 KR101353516 B1 KR 101353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alone
temperature
dry
meat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1622A (ko
Inventor
김기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푸드
Publication of KR20130061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5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40Shell-fish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4Processing bivalves, e.g. oyst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7Freeze-drying, i.e. cryodessication, lyophilisation;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0Freez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건전복 제조방법은 물에 염화나트륨을 패각과 내장이 제거된 전복살에 도포하면 나트륨이온(Na+)과 염소이온(Cl-)으로 해리되어 이온화 상태로 되면서 삼투압 작용이 이루어져 전복살 표피 세포에 함유된 수분과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단계와, 표피 세포에서 수분과 이물질을 배출시킨 전복살의 세척하는 단계와, 세척된 전복살의 저온자숙단계와, 상기 저온 자숙단계를 거친 전복살의 냉침단계와, 상기 냉침단계를 거친 전복살을 동결 건조시켜 전복살에 수분함량이 8~12%가 함유되도록 하는 건조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건전복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dried abalone}
본 발명은 건전복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염화나트륨을 이용하여 전복살의 수분과 이물질을 배출시켜 용이한 세척을 행하고 냉동과 해동을 반복하여 전복살의 식감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건전복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복은 연체동물 복족강 원시복족목 전복과에 딸린 권패의 총칭으로이다.
이러한 전복은 간조선에서 수심 5~50m 되는 외양의 섬 지방이나 암초에 서식하며 바닷물이 깨끗해 해조류가 많이 번식하는 곳이 좋다. 자웅이체이며 외부생식기는 발달되지 않았다. 난생으로서 늦가을에서 초겨울까지 산란하여 수정한다.
옛날부터 식용으로 해온 주요 수산물의 하나로 연간 천해에서 어획하는 양은 450M/T에 이르고 양식수확하는 양도 80M/T이나 된다. 1960년대에 국립수산과학원의 수산종묘배양장에서 종묘생산을 시작하였으며 1974년부터는 생산한 종묘를 양식어민에게 분양하고 있다. 양식어민은 바다양식을 하고 있으며 새로운 양식도 시도되고 있다. 한국에는 한류성인 참전복(Haliotis discus hannai)과 난류성인 까막전복(Haliotis discus)말전복(H. gigantea)시볼트전복(H. Sieboldii)오분자기(H. diversicolor diversicolor)마대오분자기(H. diversicolor supertexta) 등의 6종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전복에는 특히 단백질과 비타민이 풍부하여, 예전부터 고급 수산물로 취급되었으며, 피부미용, 자양강장, 산후조리, 허약체질 등에 탁월한 효능이 있어 식용뿐만 아니라, 약용을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전복에는 타우린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이 타우린은 담석용해 및 간장의 해독기능을 강화하고, 콜레스테롤 저하와 심장기능 향상 및 시력 회복에 효과가 있어, 이러한 타우린이 함유된 전복을 섭취함으로써, 섭취자는 병후의 원기회복, 피로회복, 항산화 활성, 아질산염 소거능력, 혈압강하 및 항혈전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전복은 양식품목 중 굴, 해조류, 넙치 등에 비하여 시장점유율이 높은 제품이나, 전복 양식어업의 생산 기술 경쟁력만으로 일본, 중국의 가격경쟁력 때문에 현재 생산 기술 경쟁력만으로도 현재의 시장 위치를 유지하기 힘들기 때문에 가격경쟁력이 아닌 기술경쟁력으로 기술 개선 등을 통한 품질 제고가 필요하다.
이러한 품질 향상을 위한 전복 통조림 기술은 종래 전복 통조림 관련 기술로는 10-2005-0103118호에서 전복의 비린내를 제거한 후, 물에 간장, 설탕 물엿을 혼합하여 제조된 조미액에 전복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통조림으로 제조함으로써, 전복의 비린내를 제거하여 취식을 용이하게 한 전복 통조림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전복의 비릿내 제거 방법이 생강즙이 함유된 청주에 전복을 침지시키는 방법으로 진행되나, 상기의 방법으로는 전복의 표피에 의해 비릿내와 이물질의 제거가 확실하게 행하여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표피가 제거되지 않은 전복을 통조림으로 제조할 경우 통조림 내부에 함께 담겨진 내용물에 의해 전복 표피와 표피색소가 용해되어 침전물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침전물은 통조림 내부에서 패조류의 비릿내를 발생시키고, 전복에 흑변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패각과 내장이 제거된 전복살에 염화나트륨을 도포하여 나트륨이온(Na+)과 염소이온(Cl-)으로 해리되어 이온화 상태로 되면서 삼투압 작용이 이루어져 전복살 표피 세포에 함유된 수분과 이물질을 배출시켜 전복살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복살에 수분함량이 8~12%가 함유되도록 가공하여 건조된 건전복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전복 제조방법은 염화나트륨을 패각과 내장이 제거된 전복살에 도포하여 상기 염화나트륨에 의해 나트륨이온(Na+)과 염소이온(Cl-)으로 해리되어 이온화 상태로 되면서 삼투압 작용이 이루어져 전복살 표피 세포에 함유된 수분과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단계와, 표피 세포에서 수분과 이물질을 배출시킨 전복살을 세척수로 세척하는 단계와, 세척된 전복살의 저온 자숙단계와, 상기 저온 자숙단계를 거친 전복살의 냉침단계와, 상기 냉침단계를 거친 전복살을 동결 건조시켜 전복살에 수분함량이 8~12%가 함유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염화나트륨은 천일염을 적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분과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단계는 전복살 100중량부에 염화나트륨을 5~12중량부로 도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분과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단계는 염화나트륨이 도포된 전복살을 교반기를 통해 7~15시간동안 교반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세척하는 단계는 세척수의 염도가 4~12%이고 38~53℃ 온도를 갖으며 15~30분 동안 전복살을 덤블링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온자숙 단계는 세척된 전복살을 70~85℃ 온도로 10~30분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냉침단계는 저온 자숙단계를 거친 전복살을 2~10℃ 온도를 갖는 물에 3~10분간 담금 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냉침단계 이후 전복살을 3~5시간 동안 자연 건조 단계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건조 단계는 냉침시킨 전복살을 건조기 내에서 시간대 별로 온도 및 습도를 변화시켜 냉동과 해동을 반복시키도록 하되, 상기 냉동과 해동의 반복조건은 상기 전복살을 -10~-15℃ 온도 및 건조습도 70~80%의 조건에서 3~5시간 동안 냉동한 다음, 0~3℃ 온도 및 건조습도 40~60%의 조건에서 5~7시간 동안 해동하고, -5~-7℃ 온도 및 건조습도 70~80% 조건에서 3~5시간 동안 냉동하며, 2~5℃ 온도 및 건조습도 20~40% 조건에서 5~6시간 동안 해동하고, -10~15℃ 온도 및 건조습도 70~80% 조건에서 3~5시간 동안 냉동하며, 1~3℃ 온도 및 건조습도 40~60% 조건에서 1~3시간 동안 해동시켜 최종적으로 전복살에 수분함량이 8~12%가 함유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건조단계 조건 중 영하의 냉동온도에서 영상의 해동온도로 가변되는 온도 변화시간은 40~60분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건조단계 이후 자연 건조 단계를 더 포함시키되, 상기 자연 건조는 실외에서 자연 건조를 12~24시간 동안 행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전복 및 이의 제조방법은 패각과 내장이 제거된 전복살을 세척한 다음 염화나트륨이 첨가된 세척액을 전복살 표면에 도포하면 나트륨이온(Na+)과 염소이온(Cl-)으로 해리되어 이온화 상태로 되면서 삼투압 작용이 이루어져 전복살 표피 세포에 함유된 수분과 이물질을 배출시켜 보다 깨끗하게 세척된 전복살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건전복 및 이의 제조방법은 전복살에 수분함량이 8~12%가 함유되도록 하는 건조하여 전복의 영양성분 및 기능성 성분을 유지하면서도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고 보관시 취급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 약 ",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이니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건전복 제조방법은 수분 및 이물질 배출단계와, 세척하는 단계와, 저온 자숙단계와, 냉침단계와, 건조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분 및 이물질 배출단계는 염화나트륨을 패각과 내장이 제거된 전복살에 표피에 도포하여 상기 염화나트륨에 의해 나트륨이온(Na+)과 염소이온(Cl-)으로 해리되어 이온화 상태로 되면서 삼투압 작용이 이루어져 전복살 표피 세포에 함유된 수분과 이물질을 배출시킨다.
즉, 전복살의 표피에 염화나트륨을 도포하면 나트륨이온(Na+)과 염소이온(Cl-)으로 해리되어 이온화 상태로 되면서 삼투압 작용이 이루어진다.
삼투압 작용은 농도가 낮은 용액의 용매분자가 농도가 높은 용액으로 투과하는 압력을 통해 세포에 함유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면서 세포가 축소된다. 이때 세포에서 빠져나가는 수분에 의해 세포 내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함께 배출한다.
특히, 상기 염화나트륨은 전복살 100중량부에 5~12중량부로 도포하되, 교반기에 염화나트륨이 도포된 전복살을 넣고 7~15시간동안 교반시켜 수분과 이물질을 배출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염화나트륨을 5중량부 이하로 도포할 경우 삼투압 작용이 약하게 발생하여 이를 보강하기 위해 수분과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단계의 시간을 길게 진행하면 전복살의 표면살이 너들 너들하게 찢어져 전복살 제품 가치를 잃게 된다.
또한, 상기 전복살의 세척에 있어서 염화나트륨을 12중량부 이상 도포할 경우 삼투압에 의한 탈수작용이 과하게 발생하여 세척력이 상승한다. 그러나, 전복살을 세척 후 전복살 표면이 경화되어 씹지 못할 정도로 딱딱하게 변성되면서 제품의 가치를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염화나트륨은 전복살 100중량부에 5~12중량부로 도포하여 세척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육질의 쫄깃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교반작업을 행하는 이유는, 염화나트륨이 골고루 전복살 표면에 도포되도록 하는 동시에 교반과정에서 전복살들의 충돌에 의한 마찰을 발생시켜 전복살 표면에 묻은 이물질의 제거를 더욱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후 세척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세척하는 단계는 염도가 4~12%이고 38~53℃온도를 갖는 세척수에 전복살을 넣고 세척한다.
여기서 세척수의 염도가 4% 이하일 경우 세척력이 약하게 발생하고, 염도가 12% 이상일 경우 삼투압에 의한 탈수작용이 과하게 발생하여 세척력은 상승하나, 전복살 표면이 경화되어 제품의 가치를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척수의 온도가 53℃ 이상일 경우 전복살 육질이 익는 상태가 되어 손세척 또는 기계식 세척을 진행시 전복살 표면이 뜯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리고, 세척수의 온도가 38℃ 이하일 경우 세척 상태가 매우 미약하여 세척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세척 시간의 연장시 전복 표면이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세척하는 단계는 수작업 또는 기계식 작업으로 전복살을 덤블링 시킨다.
상기 수작업은 전복살을 세척수에 넣고 손으로 전복살을 반복적으로 덤블링시키는 방식으로 세척한다.
또는, 기계식 세척방법은 회전날개가 장착된 봉 없이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드럼 내부에 전복살을 넣은 후 드럼을 회전시켜 전복살이 덤블링 운동으로 세척되는 세척하는 단계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드럼은 25~30rpm으로 15~30분간 회전시키되, 상기 드럼의 회전 동작시 정회전과 역회전으로 20초씩 반복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기계식 세척 방식은 전복살을 덤블링시켜 복수의 전복살들을 상호 마찰시켜 세척 효율을 향상시킨다.
이후, 저온 자숙단계를 거친다.
상기 저온자숙 단계는 세척된 전복살을 70~85℃ 온도로 10~30분 저온 자숙시켜 전복살에 단백질 변성을 일으켜 쫄깃한 미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저온 자숙단계를 거친 전복살의 냉침단계를 행한다.
상기 냉침단계는 2~10℃ 온도를 갖는 물에 3~10분간 담금 시켜 전복살의 선도를 유지시킨다.
여기서, 자숙 후 냉침하지 않고 후술될 건조단계를 거치게 되면, 전복의 입술 부위 돌기가 건조 단계의 온도에 의해 팽창되어 입술돌기가 강하게 수직으로 서지 않고 흐물흐물하여 전복살 모양이 좋지 않아 제품 품질이 저하된다.
결국, 전복살을 자숙시킨 후 냉침단계를 거쳐 입술 돌기에 탄력을 부여하여 입술모양이 수직으로 만들어 전복살의 모양을 좋게 하여 제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냉침단계 이후 전복살을 3~5시간 동안 자연 건조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자연 건조단계는 건조단계 전,후에 행하여지는 것으로, 상기 자연 건조단계의 이유와 효과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후, 냉침단계를 거친 전복살을 건조단계를 거쳐 전복살에 수분함량이 8~12%가 함유되도록 한다.
여기서, 건조단계는 상기 전복살을 건조기 내에서 시간대 별로 온도 및 습도를 변화시켜 냉동과 해동을 반복시키도록 한다.
즉, 냉동과 해동의 반복 조건은 상기 전복살을 -10~-15℃ 온도 및 건조습도 70~80%의 조건에서 3~5시간 동안 냉동한 다음, 0~3℃ 온도 및 건조습도 40~60%의 조건에서 5~7시간 동안 해동하고, -5~-7℃ 온도 및 건조습도 70~80% 조건에서 3~5시간 동안 냉동하며, 2~5℃ 온도 및 건조습도 20~40% 조건에서 5~6시간 동안 해동하고, -10~15℃ 온도 및 건조습도 70~80% 조건에서 3~5시간 동안 냉동하며, 1~3℃ 온도 및 건조습도 40~60% 조건에서 1~3시간 동안 해동시켜 최종적으로 전복살에 수분함량이 8~12%가 함유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건조단계를 수행하는 이유는 전복살을 건조 후 타우린의 함유 정도에 따라 제품의 품질의 결정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냉동과 해동을 반복 수행하여 건전복의 수분 함유량을 8~12% 유지하면 건전복 표면에 많은 량의 타우린을 함유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냉동과 해동의 반복 조건에서 상기에서 피력된 건조습도 보다 낮을 경우 전복살에 수분이 빨리 증발하여 건전복 뒷면 모양이 쪼그라드 현상이 발생하여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건전복의 건조습도를 높게 제공하면 건조시간이 길고 표면 칼라가 좋지 않아 제품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에서 피력된 냉동 조건 보다 냉동시간을 길게 하면 냉동상태에서의 표면 수분이 증발 아이보리색 점박이 현상이 발생하여 제품 품질이 떨어지고, 반대로 냉동 시간이 너무 짧으면 해동시간이 길어지면서 수분 증발이 빨라 건전복 뒷면모양이 쪼그라드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피력된 해동 조건 보다 짧으면 냉동 상태가 오래지속 냉동상태에서 수분 증발되어 표면에 아이보리색 점박이 현상이 발생하며, 해동시간이 너무 길면 건조시간이 많아져 표면수분이 많이 증발되어 건전복 뒷모양이 좋지 않게됨으로써, 제품 품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결국, 상기에서 피력된 냉동과 해동의 임계적 수치를 반복적으로 행하여 전복살의 모양과 표면의 색상의 미감을 보기 좋게 하고 타우린의 함유량을 많이 발생시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건조단계 이후 자연 건조 단계를 더 포함시키되, 상기 자연 건조는 실외에서 자연 건조를 12~24시간 동안 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자연 건조단계는 건전복의 표면 색상을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
즉, 전복살을 저온 자숙단계 이후 자연건조를 수행하면 전복살 표면의 색상이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라멜색으로 변한다.
또한, 건조단계 전에 자연 건조단계를 수행하게 되면 전복 표면에서 수분의 증발이 빨리 이루어져 점이 있는 아이보리 색으로 변하게 되어 색상을 통한 식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단계 조건 중 영하의 냉동온도에서 영상의 해동온도로 가변되는 온도 변화시간은 40~60분으로 적용한다.
여기서, 건조기에서 영하에서 영상의 해동 온도으로 가변되는 과정이 40분 이하의 경우 냉동 상태가 길어져 전복살 표면 수분이 증발되어 전복살 표면에 아이보리색 점박이 현상이 발생되고, 60분 이상의 경우 건조시간이 길어 건전복 뒤쪽이 오므라드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영하의 냉동온도에서 영상의 해동온도로 가변되는 온도 변화시간은 40~60분으로 적용하여 전복살의 표면 색상 및 건전복 형상의 변화를 최소화하여 제품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건전복 및 이의 제조방법은 패각과 내장이 제거된 전복살을 세척한 다음 염화나트륨이 첨가된 세척액을 전복살 표면에 도포하면 나트륨이온(Na+)과 염소이온(Cl-)으로 해리되어 이온화 상태로 되면서 삼투압 작용이 이루어져 전복살 표피 세포에 함유된 수분과 이물질을 배출시켜 보다 깨끗하게 세척된 전복살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복살에 수분함량이 8~12%가 함유되도록 하는 건조하여 전복의 영양성분 및 기능성 성분을 유지하면서도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고 보관시 취급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11)

  1. 염화나트륨을 패각과 내장이 제거된 전복살에 도포하여 상기 염화나트륨에 의해 나트륨이온(Na+)과 염소이온(Cl-)으로 해리되어 이온화 상태로 되면서 삼투압 작용이 이루어져 전복살 표피 세포에 함유된 수분과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단계와,
    표피 세포에서 수분과 이물질을 배출시킨 전복살을 세척수로 세척하는 단계와,
    세척된 전복살의 저온 자숙단계와,
    상기 저온 자숙단계를 거친 전복살의 냉침단계와,
    상기 냉침단계를 거친 전복살을 동결 건조시켜 전복살에 수분함량이 8~12%가 함유되도록 하는 건조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복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나트륨은 천일염을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복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과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단계는 전복살 100중량부에 염화나트륨을 5~12중량부로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복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과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단계는 염화나트륨이 도포된 전복살을 교반기를 통해 7~15시간동안 교반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복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하는 단계는 세척수의 염도가 4~12%이고 38~53℃ 온도를 갖으며 15~30분 동안 전복살을 덤블링시키도록 하는 특징으로 하는 건전복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자숙 단계는,
    세척된 전복살을 70~85℃ 온도로 10~30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복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침단계는,
    저온 자숙단계를 거친 전복살을 2~10℃ 온도를 갖는 물에 3~10분간 담금 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복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침단계 이후 전복살을 3~5시간 동안 자연 건조 단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복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는 냉침시킨 전복살을 건조기 내에서 시간대 별로 온도 및 습도를 변화시켜 냉동과 해동을 반복시키도록 하되,
    상기 냉동과 해동의 반복조건은
    상기 전복살을 -10~-15℃ 온도 및 건조습도 70~80%의 조건에서 3~5시간 동안 냉동한 다음,
    0~3℃ 온도 및 건조습도 40~60%의 조건에서 5~7시간 동안 해동하고,
    -5~-7℃ 온도 및 건조습도 70~80% 조건에서 3~5시간 동안 냉동하며,
    2~5℃ 온도 및 건조습도 20~40% 조건에서 5~6시간 동안 해동하고,
    -10~15℃ 온도 및 건조습도 70~80% 조건에서 3~5시간 동안 냉동하며,
    1~3℃ 온도 및 건조습도 40~60% 조건에서 1~3시간 동안 해동시켜 최종적으로 전복살에 수분함량이 8~12%가 함유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복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 조건 중 영하의 냉동온도에서 영상의 해동온도로 가변되는 온도 변화시간은 40~60분으로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복 제조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 이후 자연 건조 단계를 더 포함시키되,
    상기 자연 건조는 실외에서 자연 건조를 12~24시간 동안 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복 제조방법.
KR1020120101060A 2011-12-01 2012-09-12 건전복 제조방법 KR1013535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839A KR20120132290A (ko) 2011-05-26 2011-12-01 건전복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10127839 2011-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622A KR20130061622A (ko) 2013-06-11
KR101353516B1 true KR101353516B1 (ko) 2014-02-05

Family

ID=475159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839A KR20120132290A (ko) 2011-05-26 2011-12-01 건전복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20101060A KR101353516B1 (ko) 2011-12-01 2012-09-12 건전복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839A KR20120132290A (ko) 2011-05-26 2011-12-01 건전복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2013229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2289A (ko) * 2011-05-26 2012-12-05 주식회사 씨푸드 표피 색소를 제거한 전복살 제조방법 및 이의 통조림 제조방법
CN104366591B (zh) * 2013-08-12 2017-02-08 郑德茂 鲍鱼的处理方法
KR101666595B1 (ko) 2015-11-13 2016-10-14 주식회사 씨월드 전복가공방법
KR102364958B1 (ko) * 2021-07-23 2022-02-18 류상건 건조굴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241A (ja) * 1988-07-07 1990-01-23 Shiyouene Giken:Kk 鮑罐詰の製造方法
KR101002256B1 (ko) 2009-09-11 2010-12-20 이성호 칠황버섯과 원적외선을 이용한 전복 건조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241A (ja) * 1988-07-07 1990-01-23 Shiyouene Giken:Kk 鮑罐詰の製造方法
KR101002256B1 (ko) 2009-09-11 2010-12-20 이성호 칠황버섯과 원적외선을 이용한 전복 건조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622A (ko) 2013-06-11
KR20120132290A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03973B (zh) 低盐风味腊鱼及其制作方法
CN105361001A (zh) 一种去腥低盐半干淡水鱼的生产方法
CN1935029A (zh) 一种冷冻罗非鱼片及其加工方法
KR101353516B1 (ko) 건전복 제조방법
CN102960782A (zh) 一种裹粉拉长虾及其制备方法
CN105815697A (zh) 一种鱿鱼饼加工工艺
CN103445221A (zh) 一种咸鳗鲞加工工艺
CN104336669A (zh) 一种利用低值海虾生产冷冻虾糜的方法
KR101353518B1 (ko) 표피 피막이 보호되는 전복살 제조방법
KR101359224B1 (ko) 당절임을 포함하는 두족류 연체동물의 가공방법
KR101353517B1 (ko) 전복살을 이용한 통조림 제조방법
CN101513265B (zh) 一种即食八爪鱼的加工方法
KR20160043494A (ko) 명태강정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76232B1 (ko) 민물 우렁이 젓갈 제조방법
KR101884151B1 (ko) 건해삼, 건해삼 정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81687A (ko) 절임생선의 제조방법
KR20150085997A (ko) 패류를 포함하는 아이스크림 및 그 제조 방법
CN112273314A (zh) 一种乌鱼片生产方法
KR101376731B1 (ko) 청국장고추장 굴비 및 그 제조방법
KR100846754B1 (ko) 산삼배양근이 첨가된 간고등어 제조 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간고등어
KR101815262B1 (ko) 연체류의 육질 개선을 위한 가공방법
JP2009213453A (ja) 発酵食品及び加工食品の製造方法
CN104305364A (zh) 一种即食鱿鱼片的制作方法
KR20160007846A (ko) 쏘가리 염장발효 방법 및 염장발효된 쏘가리
KR101884150B1 (ko) 건해삼, 건해삼 분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