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945B1 - 루프 개폐형 자동차의 공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루프 개폐형 자동차의 공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945B1
KR101342945B1 KR1020070083734A KR20070083734A KR101342945B1 KR 101342945 B1 KR101342945 B1 KR 101342945B1 KR 1020070083734 A KR1020070083734 A KR 1020070083734A KR 20070083734 A KR20070083734 A KR 20070083734A KR 101342945 B1 KR101342945 B1 KR 101342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vehicle
opening
loop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9367A (ko
Inventor
김태은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3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945B1/ko
Publication of KR20090019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64Ventilators and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solar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20Sun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이스 취출구와 풋 취출구 사이에 별도의 중간 취출구 및 이 중간 취출구를 개폐하는 중간 개폐도어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차량의 루프가 개방된 경우에 차량 부하의 증가로 인해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상승되더라도 탑승자가 느끼는 열적 불쾌감을 온도조절도어의 개도와 블로어 풍량을 보상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으며, 탑승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는 쾌적한 공조 환경 여건을 조성해줄 수 있도록 루프 개폐형 자동차의 공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루프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 자동차에 탑재되고, 내/외기 전환도어의 개폐 선택에 따라 유입된 공기가 블로어를 거쳐 증발기를 통과하여 냉각된 다음, 온도조절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히터코어를 통과하도록 하거나 히터코어를 바이패스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조수단과;
일사량을 검출하는 일사량 센서와;
차량 실내 온도를 검출하는 실내 온도센서와;
차량 실외 온도를 검출하는 실외 온도센서와;
상기 루프의 개폐를 감지하는 루프 개폐 감지센서와;
차량 내부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 설정수단과;
상기 루프 개폐 감지센서에 의해 루프가 개방된 경우에, 엔진 냉각수 온도 상승치에 대한 보상량 테이터와 차량 외기 전도열에 대한 보상량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상기 일사량 센서와 실내 온도센서와 실외 온도센서와 온도 설정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목표 토출 온도를 산출하여 이 목포 토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온도조절도어의 개도량과 상기 블로어의 풍량을 보상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루프, 개방, 자동차, 공조, 제어, 보상

Description

루프 개폐형 자동차의 공조 제어장치{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OF VEHICLE TYPE ROOF OPEN AND CLOSE}
본 발명은 루프 개폐형 자동차의 공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페이스 취출구와 풋 취출구 사이에 별도의 중간 취출구 및 이 중간 취출구를 개폐하는 중간 개폐도어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차량의 루프가 개방된 경우에 차량 부하의 증가로 인해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상승되더라도 탑승자가 느끼는 열적 불쾌감을 온도조절도어의 개도와 블로어 풍량을 보상함으로써 해결하도록 한 루프 개폐형 자동차의 공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일정 강성을 갖는 얇은 판넬을 설치하여 루프 부위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하는 루프 완전폐쇄 타입과, 천과 같은 접을 수 있는 재질로 루프를 형성하여 별도의 개폐장치로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루프 부위를 전체적으로 덮거나 완전히 개방하는 루프 개폐 타입과, 전술한 루프 완전폐쇄 타입에서 얇은 판넬에 일정 크기의 창을 형성하여 이 창을 개폐 가능한 별도의 도어를 설치한 부분 개폐 타입이 있다.
전술한 타입중 루프 개폐 타입과 부분 개폐 타입의 자동차에서는, 루프 또는 도어를 개방한 상태로 주행하게 되면, 차량 실내로 주행풍이 인입되며, 이 주행풍은 차량 후방측으로부터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로 흘러 들어오게 된다.
이렇게 되면, 탑승자는 무릅 부분과 대퇴부 부분에서 냉풍감을 느끼게 되는데, 이러한 탑승자의 냉풍감이 느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종래 기술의 일례로 탑승자의 무릅이나 허리 부근으로 온풍이 토출되도록 한 일본공개특허 공보 특개평2002-012020호인 오픈카용 공기조절장치가 있다.
종래 기술의 오픈카용 공기조절장치의 구성은, 차량의 지붕을 개폐할 수 있는 오픈카에 설치되는 공기조절장치와; 운전석과 조수석에 탑승한 탑승자의 상반신으로 향하도록 공기를 토출하는 페이스(face) 취출구와; 상기 탑승자의 발쪽으로 향하도록 공기를 토출하는 풋(foot) 취출구와; 탑승자의 무릅으로부터 허리 부근으로 향하도록 공기를 토출하는 중간 취출구와; 이 중간 취출구를 개폐하는 중간 개폐도어를 구비하고, 풋 취출구로부터 온풍이 불기 시작하는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 중간 개폐도어에 의해 중간 취출구가 개방되었을 때 풋 취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온풍과 동일한 온풍이 중간 취출구에서 토출되도록 구성되는 공기 조절 유니트와; 차실내의 공기 조절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비한다.
그리고, 제어장치는 풋 취출구에서 온풍이 토출되도록 하는 모드인 경우에, 차량의 지붕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는 루프 판단수단을 가지고, 이 루프 판단수단으로 지붕이 개방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중간 개폐도어가 중간 취출구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은 페이스 취출구와 풋 취출구 사이에 별도의 중간 취출구를 추가로 설치함과 아울러 이 중간 취출구를 개폐하는 중간 개폐도어를 추가로 설치하여, 차량 지붕이 개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가열용 열교환기를 지난 온풍이 운전석과 조수석에 탑승한 탑승자의 무릅 부분과 허리 부분으로 토출되도록 풍향을 전환함으로써, 탑승자의 냉풍감이 느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었으나, 차량의 루프를 개방시 외부 공기에 의한 전도열의 영향과 주행풍에 의한 차량 부하 증가로 인한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상승됨으로 인해, 운전석과 조수석에 탑승한 탑승자의 무릅 부분과 허리 부분으로 토출되는 온풍의 온도가 상승되어 탑승자에 불쾌감을 주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페이스 취출구와 풋 취출구 사이에 별도의 중간 취출구 및 이 중간 취출구를 개폐하는 중간 개폐도어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차량의 루프가 개방된 경우에 차량 부하의 증가로 인해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상승되더라도 탑승자가 느끼는 열적 불쾌감을 온도조절도어의 개도와 블로어 풍량을 보상함으로써 해결하도록 한 루프 개폐형 자동차의 공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루프 개폐형 자동차의 공조 제어장치는, 루프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 자동차에 탑재되고, 내/외기 전환도 어의 개폐 선택에 따라 유입된 공기가 블로어를 거쳐 증발기를 통과하여 냉각된 다음, 온도조절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히터코어를 통과하도록 하거나 히터코어를 바이패스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조수단과; 일사량을 검출하는 일사량 센서와; 차량 실내 온도를 검출하는 실내 온도센서와; 차량 실외 온도를 검출하는 실외 온도센서와; 상기 루프의 개폐를 감지하는 루프 개폐 감지센서와; 차량 내부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 설정수단과; 상기 루프 개폐 감지센서에 의해 루프가 개방된 경우에, 엔진 냉각수 온도 상승치에 대한 보상량 테이터를 근거로 하여 상기 일사량 센서와 실내 온도센서와 실외 온도센서와 온도 설정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목표 토출 온도를 산출하여 상기 온도조절도어의 개도량과 상기 블로어의 풍량을 보상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페이스 취출구와 풋 취출구 사이에 별도의 중간 취출구 및 이 중간 취출구를 개폐하는 중간 개폐도어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차량의 루프가 개방된 경우에 차량 부하의 증가로 인해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상승되더라도 탑승자가 느끼는 열적 불쾌감을 온도조절도어의 개도와 블로어 풍량을 보상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으며, 탑승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는 쾌적한 공조 환경 여건을 조성해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루프 개폐형 자동차의 공조 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루프 개폐형 자동차의 공조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수단에서 처리되는 제어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루프 개폐형 자동차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로, 도 3(a)는 루프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루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910)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 자동차(900)에 탑재되는 공조수단을 구비한다. 이 공조수단은 내/외기 전환도어(540a)의 개폐 선택에 따라 유입된 공기가 블로어(640)를 거쳐 증발기(700)를 통과하여 냉각된 다음, 온도조절도어(540)에 의해 선택적으로 히터코어(710)를 통과하도록 하거나 히터코어(710)를 바이패스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공조수단은 출구에 각각 도어(510a)(520a)(530a)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는 디프로스트 벤트(510), 페이스 벤트(520) 및 풋(foot) 벤트(530)가 설치되고, 입구단에 내외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하기 위해 내외기 유입구(630b)(630c)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내/외기 전환도어(630a)가 설치되는 공기 조화 케이스(500)와; 내외기 유입구(630b)(630c)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해 입구단측의 공기조화 케이스(500)에 모터(650)에 의해 회전되는 블로어(640)와; 공조조화 케이스(500)의 블로어(640)측 하류에 설치되어 블로어(640)에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증발기(700)와; 증발기(700)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엔진(800)을 냉각하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히터코어(710)와; 히터코어(7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증발기(700)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710)를 통과하도록 하거나 히터코 어(710)를 바이패스하거나, 일부는 히터코어(710)로 일부는 히터코어(710)를 바이패스되도록 하여 디프로스트 벤트(510), 페이스 벤트(520), 풋(foot) 벤트(530)로 유입되도록 하는 온도조절도어(5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증발기(700)에는 냉매가 유동되는데, 이 냉매는 엔진(800)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압축기(720)에 의하여 압축된 후, 응축기(730)로 유입되어 냉각팬(미도시)의 강제 송풍에 의해 열교환 과정을 거쳐 응축된 다음, 리시버 드라이어(740)와 팽창밸브(750)를 거쳐 증발기(700)로 유입되며, 증발기(700)로 유입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720)로 복귀된다.
한편, 본 발명은 일사량을 검출하는 일사량 센서(430)와, 차량 실내 온도를 검출하는 실내 온도센서(410)와, 차량 실외 온도를 검출하는 실외 온도센서(420)와, 상기 루프(910)의 개폐를 감지하는 루프 개폐 감지센서(92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차량 내부 온도를 설정하기 위해 조작자의 조작에 의해 설정되는 온도 설정수단(440)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루프 개폐 감지센서(920)에 의해 루프(910)가 개방된 경우에, 엔진 냉각수 온도 상승치에 대한 보상량 테이터와 차량 외기 전도열에 대한 보상량 테이터를 근거로 하여, 상기 일사량 센서(430)와 실내 온도센서(410)와 실외 온도센서(420) 및 온도 설정수단(440)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목표 토출 온도를 산출하여 이 목포 토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온도조절도어(540)의 개도량과 상기 블로어(640)의 풍량을 보상 제어하는 제어수단(100)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루프(910)가 개방되지 않은 경우와 개방된 경우에 따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루프(910)가 개방되지 않은 경우>
이 경우에는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S1)에서 루프 개폐감지센서(920)에 의해 루프(910)가 개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어수단(100)에서 차량의 공조수단을 통상 제어(S6)로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루프(910)가 개방된 경우>
이 경우에는 도 2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S1)에서 루프 개폐감지센서(920)에 의해 루프(910)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어수단(100)에서는 스텝(S2~S5)을 단계적으로 실시하게 된다.
즉, 스텝(S2)에서 제어수단(100)은 각 일사량 센서(430)와, 실내 온도센서(410)와, 실외 온도센서(420)와 온도 설정수단(440)으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때, 제어수단(100)에서는 각 센서(430)(410)(420)(440)의 입력 게인(gain)을 설정하게 된다.
한편, 제어수단(100)은 실외 온도센서(420)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현재 계절이 대략 봄, 여름, 가을, 겨울중 어느 하나 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실외 온도가 10℃ 이하인 경우에는 초봄, 늦가을, 겨울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실외 온도가 20℃~40℃인 경우에는 초여름 내지 날씨가 가장 무더운 여 름이라고 판단한다.
일례로, 날씨가 30℃이상 무더운 여름철인 경우에 디프로스트 벤트(510), 페이스 벤트(520) 및 풋(foot) 벤트(530)로부터 차량 실내로 냉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냉방 공조가 행해지더라도, 환기를 위해 루프(910)를 개방하게 되면 오히려 외기의 전도열에 의해 탑승자는 냉방감을 느끼지 못하고 오히려 불쾌감을 더 느끼게 된다.
여기서, 차량 실내로 냉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냉방 공조는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 전술한 온도 설정수단(440)에 의해 온도조절도어(540)가 히터코어(710)를 막는 최대 냉방모드가 아닌 히터코어(710)로 일부 공기가 통과하여 히터코어(710)를 바이패스하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도록 하는 믹싱모드인 것이다.
즉, 히터코어(710)를 통과하는 공기량보다 바이패스하는 공기량이 많아지도록 봄, 여름, 가을 계절에서는 적절하게 온도조절도어(540)를 위치시키는 것이다.
차량 주행중 전술한 바와 같이 루프(910)를 개방하게 되면, 주행풍으로 인한 차량 주행 저항이 생겨 주행력의 감소로 엔진 회전수(RPM)가 상승되는 차량 부하 증가로 인해 냉각수 온도가 상승된다. 이때 믹싱모드시 히터코어(710)를 통과하는 온기는 설정값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결국, 환기를 위해 루프(910)를 개방하게 되면 전술한 믹싱모드에서는 외기의 전도열 및 냉각수 온도 상승으로 인해 히터코어(710)를 통과하여 열교환된 온기도 상승하기 때문에 탑승자는 냉방감을 느끼지 못하고 오히려 불쾌감을 더 느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루프(910) 개방시, 스텝(S3)에서와 같이, 외기 온도 전도 열 및 엔진 냉각수 온도 상승에 따른 각각의 보상량을 적용한다.
여기서, 보상량은 실차 테스트를 하여 획득되는 값으로, 외기 온도가 20℃,30℃,40℃이상인 경우에는 각각 외기 전도열 보상량을 대략 2℃,-2℃,-5℃로 정하고, 엔진 냉각수 온도 상승에 따른 보상량은 루프(910)이 개방된 경우에 대략 -5℃로 하고 루프(910)이 폐쇄된 된 경우에는 보상량을 적용하지 않는다.
이후, 스텝(S4)와 같이 일사량 센서(430)와 실내 온도센서(410)와 실외 온도센서(420) 및 온도 설정수단(440)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목표 토출 온도(Tao)를 산출한다. 이후, 스텝(S5)에서 이 목포 토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온도조절도어(540)의 개도량과 상기 블로어(640)의 풍량을 보상 제어한다.
즉, 목포 토출 온도가 되도록 온도조절도어(540)의 개도량을 히터코어(710)로 통과하는 공기량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온도조절도어(540)를 작동시키는 구동모터(M;541)를 구동시켜 증가한다.
아울러, 제어수단(100)은 모터(650)에 인가되는 전류를 증가시켜 블로어(640)에서 발생되는 풍량이 증대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증발기(700)를 통과하여 열교환된 냉기의 온도는 목표 토출 온도(Tao)에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 환기를 위해 루프(910)를 개방하게 되면 전술한 믹싱모드에서는 외기의 전도열 및 냉각수 온도 상승으로 인해 히터코어(710)를 통과하여 열교환된 온기도 상승하더라도, 탑승자는 냉방감을 느낄 수 있는 쾌적한 냉방 환경 조건을 만들어 줄 수 있게 된다.
이제까지는 실외 온도가 20℃이상인 여름철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10℃이하가 되는 겨울철 기온에 가까운 기후인 경우에는 외기 전도열 보상량을 대략 5℃로 하고, 엔진 냉각수 온도 상승에 따른 보상량은 루프(910)이 개방된 경우에 대략 -5℃ 한다.
즉, 외기온도가 10℃ 이하로 겨울철에 가까운 기후인 경우에 디프로스트 벤트(510), 페이스 벤트(520) 및 풋(foot) 벤트(530)로부터 차량 실내로 온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난방 공조가 행해지더라도, 환기를 위해 루프(910)를 개방하게 되면 오히려 외기의 전도열에 의해 탑승자는 난방감을 느끼지 못하고 오히려 냉방감을 더 느끼게 된다.
여기서, 차량 실내로 온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난방 공조는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 전술한 온도 설정수단(440)에 의해 온도조절도어(540)가 히터코어(710)를 최대로 개방하는 최대 난방모드가 아닌 히터코어(710)로 대부분의 공기가 통과하도록 하고 나머지 일부의 공기가 히터코어(710)를 바이패스되도록 하여 이들 공기가 서로 혼합되도록 하는 믹싱모드인 것이다.
즉, 히터코어(710)를 통과하는 공기량이 바이패스하는 공기량보다 많아지도록 적절하게 온도조절도어(540)를 위치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믹싱모드는 히터코어(710)를 바이패스하는 공기를 전혀 배제하지 않는 모드이기 때문에 차량 주행중 전술한 바와 같이 루프(910)를 개방하게 되면, 차량 주행력의 감소로 엔진 회전수(RPM)가 상승되는 차량 부하 증가로 인해 냉각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이다.
결국, 환기를 위해 루프(910)를 개방하게 되면 전술한 믹싱모드에서는 외기의 전도열에 의해 탑승자는 난방감을 느끼지 못하고 오히려 냉방감을 더 느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루프(910) 개방시, 스텝(S3)에서와 같이, 외기 온도 전도열 및 엔진 냉각수 온도 상승에 따른 각각의 보상량을 적용한다.
이후, 스텝(S4)와 같이 일사량 센서(430)와 실내 온도센서(410)와 실외 온도센서(420) 및 온도 설정수단(440)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목표 토출 온도(Tao)를 산출한다. 이후, 스텝(S5)에서 이 목포 토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온도조절도어(540)의 개도량과 상기 블로어(640)의 풍량을 보상 제어한다.
즉, 목포 토출 온도가 되도록 온도조절도어(540)의 개도량을 히터코어(710)로 통과하는 공기량이 최대로 증가하는 방향으로 온도조절도어(540)를 작동시키는 구동모터(M;541)를 구동시켜 증가한다.
아울러, 제어수단(100)은 모터(650)에 인가되는 전류를 증가시켜 블로어(640)에서 발생되는 풍량이 증대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증발기(7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는 목표 토출 온도(Tao)에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 환기를 위해 루프(910)를 개방하게 되면 전술한 믹싱모드에서는 외기의 전도열이 하강하더라도, 탑승자는 난방감을 느낄 수 있는 쾌적한 냉방 환경 조건을 만들어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제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목표 토출 온도(Tao)는 다음식,
Figure 112007060182198-pat00001
에 의해 산출된다.
여기서, Kset은 설정온도 게인(gain), Kr은 실내온도 게인(gain), Ka는 외기온도 게인(gain), Ks는 일사량 게인(gain), Kloop amp 는 루프 개방시 외기 전도열 보상량, Kloop open 은 루프 개방시 엔진 냉각수 온도 상승치에 대한 보상량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루프 개폐형 자동차의 공조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수단에서 처리되는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루프 개폐형 자동차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로, 도 3(a)는 루프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루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수단
410 : 실내 온도센서
420 : 실외 온도센서
430 : 일사량 센서
440 : 온도 설정수단
540 : 온도조절도어
640 : 블로어
910 : 루프
920 : 루프 개폐 감지센서

Claims (2)

  1. 루프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 자동차에 탑재되고, 내/외기 전환도어의 개폐 선택에 따라 유입된 공기가 블로어를 거쳐 증발기를 통과하여 냉각된 다음, 온도조절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히터코어를 통과하도록 하거나 히터코어를 바이패스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조수단과;
    일사량을 검출하는 일사량 센서와;
    차량 실내 온도를 검출하는 실내 온도센서와;
    차량 실외 온도를 검출하는 실외 온도센서와;
    상기 루프의 개폐를 감지하는 루프 개폐 감지센서와;
    차량 내부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 설정수단과;
    상기 루프 개폐 감지센서에 의해 루프가 개방된 경우에, 엔진 냉각수 온도 상승치에 대한 보상량 테이터와 차량 외기 전도열에 대한 보상량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상기 일사량 센서와 실내 온도센서와 실외 온도센서와 온도 설정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목표 토출 온도를 산출하여 이 목포 토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온도조절도어의 개도량과 상기 블로어의 풍량을 보상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개폐형 자동차의 공조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토출 온도(Tao)는,
    Kset은 설정온도 게인(gain), Kr은 실내온도 게인(gain), Ka는 외기온도 게인(gain), Ks는 일사량 게인(gain), Kloopamp 는 루프 개방시 외기 전도열 보상량, Kloopopen 은 루프 개방시 엔진 냉각수 온도 상승치에 대한 보상량인 경우,
    다음식,
    Figure 112013106851739-pat00002
    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개폐형 자동차의 공조 제어장치.
KR1020070083734A 2007-08-21 2007-08-21 루프 개폐형 자동차의 공조 제어장치 KR101342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734A KR101342945B1 (ko) 2007-08-21 2007-08-21 루프 개폐형 자동차의 공조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734A KR101342945B1 (ko) 2007-08-21 2007-08-21 루프 개폐형 자동차의 공조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367A KR20090019367A (ko) 2009-02-25
KR101342945B1 true KR101342945B1 (ko) 2013-12-18

Family

ID=40687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734A KR101342945B1 (ko) 2007-08-21 2007-08-21 루프 개폐형 자동차의 공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9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1609B (zh) * 2020-02-12 2021-03-19 上汽大众汽车有限公司 车内温度检测方法
CN111306723B (zh) * 2020-02-26 2021-07-2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声光联动的智能温控方法及空调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4174B2 (ja) 1991-06-27 1999-03-03 株式会社ゼクセル 自動車用空調装置の日射補正制御装置
JP2002036848A (ja) 2000-07-21 2002-02-06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5126009A (ja) 2003-10-27 2005-05-19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空調装置
JP3760368B2 (ja) 2000-07-14 2006-03-2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4174B2 (ja) 1991-06-27 1999-03-03 株式会社ゼクセル 自動車用空調装置の日射補正制御装置
JP3760368B2 (ja) 2000-07-14 2006-03-2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2002036848A (ja) 2000-07-21 2002-02-06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5126009A (ja) 2003-10-27 2005-05-19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367A (ko)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7018B2 (ja) 車両用空調装置
CN111032386A (zh) 车用空调装置
US20140284023A1 (en) Control device for air conditioner
JP2010030435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342945B1 (ko) 루프 개폐형 자동차의 공조 제어장치
JP2010000820A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686174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3758269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5594274B2 (ja) 空気調和装置用制御装置
KR10141884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569506B2 (ja) 空気調和装置用制御装置
JP3794135B2 (ja) 温水式暖房装置
JPS62275816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3690026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874492B2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式冷暖房装置
JP3633046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JP3049940B2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式冷暖房装置
JP2002012020A (ja) オープンカー用空調装置
JPS61139514A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7285326A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式冷暖房装置
JP3994762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8081038A (ja) オープンカー用の空調装置
JP3411419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398508B2 (ja) 自動車用空調装置および自動車用空調方法
JPH11254945A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