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071B1 - 숙성된장양념의 제조 방법과 이 숙성된장양념을 이용한 된장양념 갈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숙성된장양념의 제조 방법과 이 숙성된장양념을 이용한 된장양념 갈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071B1
KR101341071B1 KR1020120005651A KR20120005651A KR101341071B1 KR 101341071 B1 KR101341071 B1 KR 101341071B1 KR 1020120005651 A KR1020120005651 A KR 1020120005651A KR 20120005651 A KR20120005651 A KR 20120005651A KR 101341071 B1 KR101341071 B1 KR 101341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s
parts
weight
miso
seas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0130A (ko
Inventor
염영일
김용철
주광식
양상일
이종호
하영철
홍준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워커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워커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워커힐
Priority to KR1020120005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071B1/ko
Publication of KR20130130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2Additives other than enzymes or microorganisms in meat products or meat me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Garl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성된장양념의 제조방법과 이 숙성된장양념을 이용한 된장양념 갈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념 쇠갈비 구이에 있어서 쇠고기의 본연의 맛을 살리면서도 양념의 효과를 충분히 느낄 수 있는 갈비양념의 새로운 조리법을 제시하고, 간장을 대신하여 된장을 사용함과 동시에 숙성과정을 통하여 쇠갈비의 특유의 냄새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우리나라 전통의 조리법에 좀더 가깝게 접근함과 아울러 된장과 육수 야채를 함께 혼합 조성하고 쇠뼈와 쇠고기로 제조한 육수의 조합을 통해 갈비와 갈비양념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진 맛을 내는 숙성된장양념과 이 숙성된장양념을 이용한 된장양념 갈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숙성된장양념의 제조 방법은, 기준으로서 물 3100 중량부에 대하여 쇠뼈 50~500 중량부와 쇠고기 30~300 중량부를 물 3100 중량부의 80~100℃ 끓는 상태에서 2~12시간 고아내어 500~2000 중량부의 육수를 추출하여 육수를 제조하고, 배 60~180 중량부, 양파 40~100 중량부, 마늘 5~20 중량부, 생강 5~20 중량부를 믹서에 갈아 미세한 그물의 조리망에 걸러 그 즙을 추출하고, 미림 20~80 중량부, 설탕 50~200 중량부, 물엿 10~60 중량부, 상기 육수 제조단계에서 제조한 육수 500~2000 중량부, 염도 1.5~2.0%와 당도 6~10%의 된장 180~420 중량부와 함께 혼합하여 잘 섞고, 고형물이 잘 분쇄되도록 체에 걸러 산출량 1000~3000 중량부의 된장양념을 조성하고, 된장양념을 2~60 시간 0~10℃에서 저온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된장양념의 제조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숙성된장양념의 제조 방법과 이 숙성된장양념을 이용한 된장양념 갈비의 제조 방법{Marinated Beef Short-ribs in Fermented Bean Past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숙성된장양념의 제조방법과 이 숙성된장양념을 이용한 된장양념 갈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념 쇠갈비 구이에 있어서 쇠(소)고기의 본연의 맛을 살리면서도 양념의 효과를 충분히 느낄 수 있는 갈비양념의 새로운 조리법을 제시하고, 간장을 대신하여 된장을 사용함과 동시에 숙성과정을 통하여 쇠갈비의 특유의 냄새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우리나라 전통의 조리법에 좀더 가깝게 접근함과 아울러 된장과 육수 야채를 함께 혼합 조성하고 쇠뼈와 쇠고기로 제조한 육수의 조합을 통해 갈비와 갈비양념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진 맛을 내는 숙성된장양념과 상기 숙성된 된장양념에 편갈비로 정선된 쇠갈비를 침지 후 숙성시키는 숙성된장양념을 이용한 된장양념 갈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념 갈비는 한국인은 물론 외국인들도 그 특유의 맛과 아울러 마블링 상태가 좋은 고기의 품질로 인해 우리 나라 전통음식 중 김치 및 불고기와 더불어 선호도가 가장 높은 음식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한식의 쇠갈비는 물에 삶고 고아서 탕이나 국, 찜으로 만들어 먹거나 양념 되지 않은 상태로 구이로 식용하거나 간장과 각종 과일, 야채, 당분이 함유된 식 재료를 혼합 구성한 양념에 침지시켜 양념된 형태의 구이로 식용한다.
우리나라 쇠고기의 식용의 역사에서 구이용 양념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식용 목적으로 사육된 소가 아닌 농사에 이용되던 소를 식용하는 과정에서 그 육질의 질김을 연화시키고, 비식용 목적으로 사육한 소의 고기 맛의 한계를 보완하려는 과정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구이용 양념을 이용한 구이법에 대한 옛 기록을 보면, 우리나라 고대로부터 전해지는 조리법으로, 이용기의 <조선무쌍요리제법>에서는 '구이가 진한 간장에 양념을 더하는 것'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홍만선의 <산림경제>중 「서원방」에서는 "유장으로 조미해서 '유(油)'가 충분히 스며들면 숯불에 굽는다고 하니 바로 옛 맥적이고 지금의 불고기인데, 이것이 더욱 발전되어 구운 것을 급히 물에 한 번 담갔다가 꺼내고 굽고 또 물에 담그는 일을 세 번 되풀이하며 기름을 바른 후에 또 굽는다. 그러면 매우 음연하고 맛이 좋다"고 기록하고 있다.
현재의 쇠갈비 조리의 다양한 방법 중 구이와 관련하여 가장 보편적인 것으로, 생 갈비를 특별한 조미 없이 그대로 굽는 방식과 쇠갈비를 간장양념에 침지시켜 재우는 방식, 쇠갈비를 간장을 사용하지 않고 소금, 후추, 마늘, 배 혹은 키위 등의 천연 천육소, 참기름 등의 조미만으로 재우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위의 방식 중 첫 번째인, 생 갈비를 특별한 조미 없이 그대로 굽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최상 품질의 쇠갈비가 선택되고 날 것이기에 육질의 마블링이나 질감이 뛰어나므로 조미하거나 양념에 재우는 것에 비해 쇠갈비 본연의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쇠갈비 특유의 잡 냄새를 느낄 수도 있고 양념 없이 육질만으로 품질이 결정되는 만큼 고가의 생 갈비에 갈비양념을 사용하는 경우, 장점인 부드러운 조직감과 맛의 증진에 그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
둘째, 쇠갈비에 간장을 사용하지 않고 소금, 후추, 마늘, 천연 연육소와 참기름의 기본적인 조미만으로 양념에 재우는 방식은 갈비의 질긴 질감을 연화시키기 위해서 천연 연육소에 배나 키위 등의 과일을 양념에 함께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간장 갈비 양념에 침지시켜 재우는 경우에 비하면 양질의 냉장육인 쇠갈비에 소금과 참기름의 기본 양념만 첨가함으로써 갈비 본연의 맛을 살리면서도 천연 연육소를 사용함으로써 육질이 더 부드러워지며 과일에 재운 양념에서 느껴지는 달콤한 맛을 더하는 효과를 갖는다. 반면 이 방식은 육질의 품질이 저하되는 냉동상태의 쇠갈비를 사용할 경우, 갈비의 품질 저하를 보완하고 개선하기 위한 것이기는 하지만, 양념 사용의 효과를 간장 갈비 양념만큼 충분히 살리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셋째, 쇠갈비를 간장 갈비 양념에 침지시켜 재우는 방식은 생 갈비에 사용되기도 하지만 양념 사용의 가장 큰 이유가 구매 단가가 저렴한 냉동갈비의 육질과 맛의 개선에 있기에 일반적으로 냉동갈비가 많이 사용되고, 이 경우 고기의 잡 냄새를 경감시키고 육질을 연화시키며 간장 갈비 양념만의 고유한 맛과 풍미를 느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냉동갈비를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경우에서 볼 수 있듯이, 쇠갈비의 품질이 떨어지는 경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쇠갈비 본연의 맛보다는 간장 갈비 양념의 맛에 의존하고 양념의 맛을 강조하는 면이 큰 측면이 있어 쇠고기 본연의 맛을 느끼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쇠갈비 구이 식용의 현황에 비추어볼 때 갈비 선택에 있어서도 생 갈비 또는 냉동갈비 선택에 구애를 받지 않으면서 쇠갈비 본연의 육질과 맛을 최대한 살리고 한국의 전통적이고 토속적인 맛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식품의 출현이 기대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3636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하에서 안출된 것으로, 양념 쇠갈비 구이에 있어서 쇠고기의 본연의 맛을 살리면서도 양념의 효과를 충분히 느낄 수 있는 갈비양념의 새로운 조리법을 제시하고, 간장을 대신하여 된장을 사용함과 동시에 숙성과정을 통하여 쇠갈비의 특유의 냄새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우리나라 전통의 조리법에 좀더 가깝게 접근함과 아울러 된장과 육수, 야채를 함께 혼합 조성하고 쇠뼈와 쇠고기로 제조한 육수의 조합을 통해 갈비와 갈비 양념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진 맛을 내는 숙성된장양념과 이 숙성된장양념을 이용한 된장양념 갈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갈비 구이 식용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소금장이나 간장 대신 된장을 사용함으로써 쇠갈비 구이 시 고기 본연의 맛을 살리면서도 양념의 효과를 충분히 느낄 수 있는 새로운 갈비 양념으로서 기대를 가질 수 있으며, 한국 고유의 전통 먹거리로서 단맛, 신맛, 감칠맛, 짠맛 등이 잘 조화된 한국인의 입맛에 친숙한 된장을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항암 효과, 간 기능 증진 효과, 노화 방지 등 영양학적인 우수성을 통해 웰빙 식품으로서의 기능적인 장점도 가질 뿐만 아니라 또한 우리나라 전통의 조리법에 조금 더 가깝게 접근시킬 수 있는 숙성된장양념과 이 숙성된장양념을 이용한 된장양념 갈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숙성 과정을 통하여 담백함과 감칠맛을 더하고 쇠갈비 특유의 냄새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함과 동시에, 된장과 고기 육수를 야채와 함께 혼합 조성하고 갈비와 갈비의 부산물에서 추출한 육수의 조합을 통해 갈비와 갈비 양념이 어우러진 자연스런 맛을 내는 숙성된장양념과 이 숙성된장양념을 이용한 된장양념 갈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숙성된장양념의 제조 방법은,
기준으로서 물 3100 중량부에 대하여 쇠뼈 50~500 중량부와 쇠고기 30~300 중량부를 물 3100 중량부의 80~100℃ 끓는 상태에서 2~12시간 고아내어 500~2000 중량부의 육수를 추출하여 육수를 제조하고, 배 60~180 중량부, 양파 40~100 중량부, 마늘 5~20 중량부, 생강 5~20 중량부를 믹서에 갈아 미세한 그물의 조리망에 걸러 그 즙을 추출하고, 미림 20~80 중량부, 설탕 50~200 중량부, 물엿 10~60 중량부, 상기 육수 제조단계에서 제조한 육수 500~2000 중량부, 염도 1.5~2.0%와 당도 6~10%의 된장 180~420 중량부와 함께 혼합하여 잘 섞고, 고형물이 잘 분쇄되도록 체에 걸러 산출량 1000~3000 중량부의 된장양념을 조성하고, 된장양념을 2~60 시간 0~10℃에서 저온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된장양념의 제조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숙성된장양념 갈비의 제조 방법은, 일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숙성된장양념을 이용하여 숙성된장양념 갈비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양질의 쇠갈비를 선택하여 쇠고기의 갈비 부분을 3~6cm 폭으로 골절기를 이용하여 절단한 후 지방을 제거하고, 갈비뼈 주위를 둘러싼 갈비살을 갈비뼈 쪽에서 바깥쪽으로 칼을 넣어 저미고, 뒤집어서 저미는 식으로 2번 정도 반복하여 0.3~0.7cm 두께로 포를 떠 편갈비로 만들고, 펼쳐진 갈비 살의 조직감을 연화시키고 침지시킬 양념이 잘 배어들 수 있도록 갈비 살에 2~10mm 간격으로 어슷하게 칼집을 넣고 교차시켜 다시 칼집을 넣는 식으로 솔방울 무늬를 만들어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갈비의 정선이 완료되면, 상기 숙성된장양념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숙성된장양념에 상기 정선된 갈비 100~500 중량부를 침지 후 3~72 시간의 0~10℃ 저온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된장양념갈비의 제조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갈비양념의 주성분으로 사용되지 않는 된장을 사용함으로써 한식의 새로운 상품 개발을 통한 세계화와 한식의 범위를 넓히는데 기여하는 계기도 제공할 수 있다
삭제
한편, 숙성된장양념을 활용하여 쇠갈비뿐만 아니라 돼지고기, 오리고기, 닭고기를 포함하는 어떠한 종류의 육류 구이에도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고기가 지니는 독특한 풍미와 맛, 조직감을 통해 기존의 메뉴와 다른 차별적인 상품을 조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편갈비 상태로 하여 정선공정을 최소화하면서 양념 갈비를 구현함으로써 인건비의 절감 및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숙성된장양념 및 숙성된장양념 갈비의 제조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숙성된장양념의 제조방법 및 이 숙성된장양념을 이용한 숙성된장양념 갈비의 제조방법을 실시 예와 실험 예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 1>
<숙성된장양념의 제조>
숙성된장양념의 제조과정(A)은 먼저, 육수를 제조하는 과정으로서, 기준으로서 물 3100 중량부에 대하여 쇠뼈 50~500 중량부와 쇠고기 30~300 중량부를 물 3100 중량부의 80~100℃ 끓는 상태에서 2~12시간 고아내어 500~2000 중량부의 육수를 추출한다(S20). 이어, 배 60~180 중량부, 양파 40~100 중량부, 마늘 5~20 중량부, 생강 5~20 중량부를 믹서에 갈아 미세한 그물의 조리망에 걸러 그 즙을 추출한다(S40). 미림 20~80 중량부, 설탕 50~200 중량부, 물엿 10~60 중량부, 상기 육수 제조 단계에서 제조한 육수 500~2000 중량부, 된장(염도 1.5~2.0%, 당도 6~10%) 180~420 중량부와 함께 혼합하여 잘 섞고, 고형물이 잘 분쇄되도록 체에 걸러 산출량 1000~3000 중량부의 된장양념을 조성하고, 된장양념을 2~60 시간 0~10℃에서 저온 숙성한다(S60, S80). 본 발명에서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된장을 사용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재래된장, 개량된장, 일본 미소된장 등 사용되는 된장에 따라 성분과 제조 방법이 다소 달라질 수 있고 비중 또한 다소 달리할 수 있는데 당업자라면 상기 과정을 기반으로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숙성된장양념 갈비의 제조>
숙성된장양념 갈비의 제조공정(B)에서, 첫 번째 단계는 갈비의 정선이다.
숙성된장양념 갈비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쇠갈비의 선택이 중요하고 다듬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육질 및 마블링 등이 좋은 엄선된 쇠갈비를 선택하여 쇠고기의 갈비 부분을 3~6cm 폭으로 골절기를 이용하여 절단한 후 지방을 제거하고, 갈비뼈 주위를 둘러싼 갈비살을 갈비뼈 쪽에서 바깥쪽으로 칼을 넣어 저미고 뒤집어서 저미는 식으로 2번 정도 반복하여 0.3~0.7cm 두께로 포를 떠 편 갈비로 만들고, 펼쳐진 갈비 살의 조직감을 연화시키고 침지시킬 양념이 잘 배어들 수 있도록 갈비 살에 2~10mm 간격으로 어슷하게 칼집을 넣고 교차시켜 다시 칼집을 넣는 식으로 솔방울 무늬를 만들어 재료를 준비한다(S220). 이렇게 하면 쇠갈비의 조직감을 연화시키고 숙성 양념 된장이 보다 잘 스며들게 되어 추가의 정선공정의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상기 갈비의 정선이 완료되면, 상기 된장양념의 제조단계에서 생성된 숙성된장양념에 상기 정선된 갈비 100~500 중량부를 침지 후 3~72 시간의 0~10℃ 저온숙성시킨다(S240, S260).
상기 단계 S60에서 제조된 숙성된장양념을 이용한 숙성된장양념갈비를 500~800℃의 숯불에서 2~8분간 직화구이하여 숯불구이 조리법으로 조리하면 아주 풍미가 좋은 양념 갈비의 맛을 낼 수 있게 된다.
<실험 예1>
(관능검사)
본 발명의 숙성된장양념을 이용한 숙성된장양념 갈비 제조방법은 수 회의 예비 측정을 거쳐 표준화하였다. 측정조건은 상기 실시 예 1에서 제조한 숙성된장양념을 이용 한 숙성된장양념 갈비와 간장 갈비 양념에 재운 간장 양념 갈비, 소금, 참기름과 천연 연육소에 재운 소금 양념 갈비에 대하여 관능검사요원 20인에 의뢰하여 관능 검사 시험을 실시하였다. 관능 검사 요원은 서울소재 특1급 호텔의 조리사로서 10년 이상 근무한 자를 대상으로 하여 보편성을 확보토록 하였으며, 관능 검사 교육을 실시한 후 20인을 선발하였다.
한편, 양념을 사용하지 않은 생 갈비는 자체가 육질만으로 식품의 품질이 결정되기 때문에 양념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쇠갈비 등급 면에서 고가이자 최상등급이 사용될 수밖에 없다는 점, 또 비교 대상 양념이 없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실험대상 항목에서 제외하였다.
상기 관능검사를 위해서 먼저 <실시 예1>에서 제조된 숙성된장양념에 재운 된장양념 갈비, 간장 갈비양념에 재운 간장 양념 갈비, 소금, 참기름과 천연 연육소에 재운 소금 양념 갈비를 500~800℃ 사이의 동일한 온도, 2~8분 사이의 동일한 시간 동안 숯불에 구워 조리하였다. 관능 검사 시, 더욱 객관적인 측정을 위하여 아래 표 1의 A, B, C에 해당하는 양념 갈비의 각각의 구성 성분에 대해서는 알리지 않고 검사를 수행하였다.
관능검사의 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평 가 항 목 A B C
① 짠맛 2.35 2.8 3.95
② 단맛 2.75 2.55 3.9
③ 풍미(향) 2.85 2.9 4.6
④ 질감(조직감) 3.7 3.95 3.9
⑤ 맛,풍미,질감의 조화 3 3.3 4.3
전체적인 기호도
(①+②+③+④+⑤)
2.95
3.1 4.13
* 관능척도(Hedonic Scale): 기호도
1:매우 불만족, 2:불만족, 3:보통, 4:만족, 5:매우 만족
(상기 표 1의 평가항목 중 '전체적인 기호도'는 각 항목별 기호도간 합(①+②+③+④+⑤)으로 표기되고, 각 항목별 기호도(①,②,③,④,⑤에 해당하는 각 항목)는 '관능척도합계/실험참가인원수'로 나타낸 수치이다.)
여기서, A,B,C는 다음을 나타낸다.
A: 소금, 참기름, 천연 연육소에 재운 소금 양념 갈비
B: 간장갈비양념에 재운 간장 양념 갈비
C: 숙성된장양념에 재운 숙성된장양념 갈비
상기 표 1의 관능검사 결과와 같이 질감(조직감)에 대해서는 A, B, C의 세 가지 항목의 결과가 각각 3.7, 3.95, 3.9로 유사하게 나타나, 숙성된장양념에 재운 숙성 양념 갈비(C)의 숙성된장양념의 가수분해를 통한 조직감의 변화 정도가 소금, 참기름, 천연 연육소에 재운 소금 양념 갈비(A), 간장 갈비 양념에 재운 간장 양념 갈비(B)와 비슷한 수준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짠맛, 단맛에 있어서는 숙성된장양념에 재운 숙성된장양념 갈비(C)가 소금, 참기름, 천연 연육소에 재운 소금 양념 갈비(A)와 간장 갈비 양념에 재운 간장 양념 갈비(B)보다 다소 높은 수치를 나타냈고, 풍미(향)에 있어서는 소금, 참기름, 천연 연육소에 재운 소금 양념 갈비(A)와 간장 갈비 양념에 재운 간장 양념 갈비(B)가 각각 2.85, 2.9로 나타난 반면, 숙성된장양념에 재운 숙성된장양념 갈비(C)는 4.6으로 월등한 수치를 나타내 숙성된장양념에 재운 된장양념 갈비(C)의 향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맛, 질김, 풍미의 조화 항목에 있어서는 숙성된장양념에 재운 숙성된장양념갈비(C)가 소금, 참기름, 천연 연육소에 재운 소금 양념 갈비(A)와 간장 갈비 양념에 재운 간장 양념 갈비(B)보다 약간 높은 수치로 나타났으며, 상기 각각의 기호도 항목의 합으로 계산되는 전체적인 기호도의 결과는 소금, 참기름, 천연 연육소에 재운 소금 양념 갈비(A)가 2.95, 간장 갈비 양념에 재운 간장 양념 갈비(B)가 3.1, 숙성된장양념에 재운 숙성된장양념 갈비(C)가 4.13의 수치로 집계됨으로써 숙성된장양념에 재운 숙성된장양념 갈비(C)가 전체적인 기호도 면에서 가장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장 갈비 양념은 직화구이 시 유출되는 고기의 기름성분과 양념성분이 유출이 되어 불에 닿을 때 생성되는 벤조피렌 성분 등의 이화학적인 화학물질로 변화되는 과정 때문에 양념 갈비의 단점으로 지적되었지만, 구이전용 숙성된장양념을 사용함으로써 직화시에도 벤조피렌 성분 등의 화학물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갈비양념의 주성분으로 사용되지 않는 된장을 사용함으로써 한식의 새로운 상품 개발을 통한 세계화와 한식의 범위를 넓히는데 기여하는 계기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숙성된장양념을 활용하여 쇠갈비뿐만 아니라 돼지고기, 오리고기, 닭고기를 포함하는 어떠한 종류의 육류 구이에도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고기가 지니는 독특한 풍미와 맛, 조직감을 통해 기존의 메뉴와 다른 차별적인 상품을 조리할 수도 있다.
또한, 편갈비 상태로 하여 정선공정을 최소화하면서 양념 갈비를 구현함으로써 인건비의 절감 및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숙성된장양념의 제조방법과 이 숙성된장양념을 이용한 된장양념 갈비의 제조방법을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예시 목적이지 이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이하의 부속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숙성된장양념의 제조 방법으로서,
    기준으로서 물 3100 중량부에 대하여 쇠뼈 50~500 중량부와 쇠고기 30~300 중량부를 물 3100 중량부의 80~100℃ 끓는 상태에서 2~12시간 고아내어 500~2000 중량부의 육수를 추출하여 육수를 제조하고, 배 60~180 중량부, 양파 40~100 중량부, 마늘 5~20 중량부, 생강 5~20 중량부를 믹서에 갈아 미세한 그물의 조리망에 걸러 그 즙을 추출하고, 미림 20~80 중량부, 설탕 50~200 중량부, 물엿 10~60 중량부, 상기 육수 제조단계에서 제조한 육수 500~2000 중량부, 염도 1.5~2.0%와 당도 6~10%의 된장 180~420 중량부와 함께 혼합하여 잘 섞고, 고형물이 잘 분쇄되도록 체에 걸러 산출량 1000~3000 중량부의 된장양념을 조성하고, 된장양념을 2~60 시간 0~10℃에서 저온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된장양념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된장은 재래 된장, 개량된장, 일본 미소된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된장양념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1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된장양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숙성된장양념은 돼지고기, 오리고기, 또는 닭고기를 포함하는 육류 구이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된장양념.
  5. 청구항 1에 의해 제조된 숙성된장양념을 이용하여 숙성된장양념 갈비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양질의 쇠갈비를 선택하여 쇠고기의 갈비 부분을 3~6cm 폭으로 골절기를 이용하여 절단한 후 지방을 제거하고, 갈비뼈 주위를 둘러싼 갈비살을 갈비뼈 쪽에서 바깥쪽으로 칼을 넣어 저미고, 뒤집어서 저미는 식으로 2번 정도 반복하여 0.3~0.7cm 두께로 포를 떠 편갈비로 만들고, 펼쳐진 갈비 살의 조직감을 연화시키고 침지시킬 양념이 잘 배어들 수 있도록 갈비 살에 2~10mm 간격으로 어슷하게 칼집을 넣고 교차시켜 다시 칼집을 넣는 식으로 솔방울 무늬를 만들어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갈비의 정선이 완료되면, 상기 숙성된장양념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숙성된장양념에 상기 정선된 갈비 100~500 중량부를 침지 후 3~72 시간의 0~10℃ 저온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된장양념 갈비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5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된장양념 갈비.
  7. 청구항 5의 방법으로 제조된 숙성된장양념 갈비의 조리법으로서,
    상기 저온 숙성단계에 의해 제조된 숙성된장양념 갈비를 500~800℃의 숯불에서 2~8분간 직화구이하여 숯불구이 조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된장양념 갈비의 조리법.
  8. 청구항 7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 양념 갈비의 조리물.
KR1020120005651A 2012-01-18 2012-01-18 숙성된장양념의 제조 방법과 이 숙성된장양념을 이용한 된장양념 갈비의 제조 방법 KR101341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651A KR101341071B1 (ko) 2012-01-18 2012-01-18 숙성된장양념의 제조 방법과 이 숙성된장양념을 이용한 된장양념 갈비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651A KR101341071B1 (ko) 2012-01-18 2012-01-18 숙성된장양념의 제조 방법과 이 숙성된장양념을 이용한 된장양념 갈비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130A KR20130130130A (ko) 2013-12-02
KR101341071B1 true KR101341071B1 (ko) 2013-12-11

Family

ID=49979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651A KR101341071B1 (ko) 2012-01-18 2012-01-18 숙성된장양념의 제조 방법과 이 숙성된장양념을 이용한 된장양념 갈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0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254B1 (ko) * 2014-10-07 2017-01-17 주식회사 삼원가든 갈비의 제조방법
KR101725492B1 (ko) * 2014-11-20 2017-04-11 안희백 인삼과 버섯을 함유한 갈비 맛 숯불구이용 건강 보조식 오리고기의 가공방법
KR101661722B1 (ko) 2015-06-04 2016-09-30 박대순 갈비용 양념 소스의 제조방법 및 그 소스를 이용한 갈비
KR101879958B1 (ko) * 2016-12-20 2018-07-18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훈제돈육 제조방법 및 훈연장치
KR102116124B1 (ko) * 2018-12-03 2020-05-27 주식회사 미트벨리 된장숙성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329968B1 (ko) * 2019-12-02 2021-11-23 주식회사 봄봄 돼지고기 숙성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931B1 (ko) 2003-07-01 2005-07-27 홍성표 된장 라이스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0698874B1 (ko) 2007-01-31 2007-03-22 송옥희 삼색 돼지 양념 갈비
KR20080015182A (ko) * 2006-08-14 2008-02-19 최복이 된장소스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088320A (ko) * 2009-01-30 2010-08-09 (주)청록원 강된장 소스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931B1 (ko) 2003-07-01 2005-07-27 홍성표 된장 라이스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15182A (ko) * 2006-08-14 2008-02-19 최복이 된장소스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98874B1 (ko) 2007-01-31 2007-03-22 송옥희 삼색 돼지 양념 갈비
KR20100088320A (ko) * 2009-01-30 2010-08-09 (주)청록원 강된장 소스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130A (ko) 201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7040B1 (ko) 볶음 및 전골 요리에 사용될 수 있는 양념소스
KR101341071B1 (ko) 숙성된장양념의 제조 방법과 이 숙성된장양념을 이용한 된장양념 갈비의 제조 방법
KR101579242B1 (ko) 누룽지 통닭구이의 조리방법
CN105077131A (zh) 一种川味红烧调味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105356B1 (ko) 곱창볶음의 제조방법
KR101252594B1 (ko) 갈비용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갈비용 소스
KR101190171B1 (ko) 고춧가루를 함유한 조미료 조성물
KR102597381B1 (ko) 약재를 포함하는 닭갈비용 양념 소스의 제조방법
KR101466490B1 (ko) 고구마와 엉겅퀴 추출액을 함유한 건강식 탕수육의 제조 방법
KR101169691B1 (ko) 액상의 볶음용 또는 소스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볶음요리 및 소스
KR20180119807A (ko) 치즈김치삼겹살꼬치구이
KR101702575B1 (ko) 직화구이 닭발양념 편육 제조방법
CN101336684B (zh) 炸酱速食面
KR101168351B1 (ko) 메기 고추장, 및 그 메기 고추장을 포함하는 요리
KR102624480B1 (ko) 물불고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물불고기
KR101516427B1 (ko) 양념 돼지갈비 제조방법
KR102015209B1 (ko) 볶음용 소스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갑오징어명란불고기
KR100913663B1 (ko) 김치 닭볶음의 제조방법
KR100951536B1 (ko) 야끼우동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야끼우동
KR101703131B1 (ko) 누린내를 제거한 탕수육 제조방법
KR102066818B1 (ko) 갈비용 벚꽃꿀 소스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갈비용 벚꽃꿀 소스
KR102300708B1 (ko) 고추장 불고기 소스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념육 제조방법
KR102467794B1 (ko) 냉동 돈육 볶음밥의 제조방법
KR102405995B1 (ko) 김치양념을 이용한 다기능양념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다기능양념장
KR102378655B1 (ko) 냉짬뽕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