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927B1 - 첨가양생재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시킨 조성물과 이 조성물과 일체화된 복합물 - Google Patents

첨가양생재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시킨 조성물과 이 조성물과 일체화된 복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927B1
KR101338927B1 KR1020127033199A KR20127033199A KR101338927B1 KR 101338927 B1 KR101338927 B1 KR 101338927B1 KR 1020127033199 A KR1020127033199 A KR 1020127033199A KR 20127033199 A KR20127033199 A KR 20127033199A KR 101338927 B1 KR101338927 B1 KR 101338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ve
composition
resin component
groups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3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8091A (ko
Inventor
동찬 안
닉 에반 쉐퍼드
하롤드 크리스티안 파울러
케빈 루이스 니콜스
존 매튜 와라콤스키
Original Assignee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08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9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52Of asbestos
    • Y10T428/31663As siloxane, silicone or sila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조성물과 복합물은 첨가양생재와의 향상된 부착성을 갖는다. 조성물과 이에 따른 복합물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하나 이상의 기질을 포함구성하고, 수지와 여기에 첨가되는 첨가제를 포함한다. 이 수지는 유기폴리머 수지로서, 에틸렌성 불포화 없는 실리콘 수소화물 기능그룹이다. 첨가제는 플루오린-치환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아미노 기능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첨가제는 첨가양생재와 반응하기 위한 기질의 표면에 나타나는 히드록실화 반응그룹을 포함한다. 이는 첨가양생재와 기질과의 부착성을 향상시킨다. 기질과 첨가양생재는 복합물을 만들기 위해 상호 결합된다.

Description

첨가양생재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시킨 조성물과 이 조성물과 일체화된 복합물{A composition having improved adherence with addition-curable material, and composite article incorporating the composition}
본 발명은 첨가양생 가능한 재료(addition-curable material)에 대해 향상된 부착성을 가진 조성물(composition)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첨가양생 가능한 재료(addition-curable material)(이하 "첨가양생재"라 함)를 포함하는 합성물 또는 복합물(composite article)에 관한 것이고, 또한 이들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기질(substrate)을 포함하는 복합물(composite)에 관한 것이다. 이 화합물에는 첨가양생재와의 반응을 위한 첨가제와 수지성분(resin component)이 포함구성된다.
첨가양생재와 이들의 용도는 일부 알려져 있다. 이 첨가양생재는 재료를 양생(cure)하기 위해 반응하는 동안 휘발성 부산물은 생기지 않기 때문에 첨가양생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가지 첨가양생재의 예로서, 히드로실일화(hydrosilylation)에 의하여 가교되고 양생에 따르는 실리콘계 엘라스토머 탄성재(silicone-based elastomer)를 들 수 있다. 이들 재료는 예를 들면, 자동차 산업에서 여러가지 차 부품을 봉합하거나(sealing) 또는 부착(adhering)하거나 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이다. 양생중에는, 이 실리콘계 엘라스토머(silicone-based elastomer)는 또한 구성 성분과 고착 또는 결합하기 위해 여러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화학물질과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반응을 일으킨다. 특히 빈번하게는, 여러가지 구성성분들(components)이 중합조성물(polymeric composition)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실리콘을 기본으로 한 탄성재(silicone-based elastomer)와 구성성분을 만들어주는 중합조성과의 사이의 반응이 약하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그 결과 탄성재(elastomer)와 중합조성물(polymeric composition) 사이의 적절한 상호작용(interaction)을 보증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온도는 실리콘계 엘라스토머를 양생(cure)하는데 필요한 그것보다도 현저히 높다.
때때로, 주되는 상호작용은 결합된 복합물(bonded composite)의 내구성을 보증하기 위해 화학적으로 되는 것이 선호된다. 그러나, 극히 장시간의 양생시간 및/또는 극히 높은 양생온도로 처리하더라도, 실리콘계 탄성재와 어떤 중합조성물과의 사이의 화학적 상호작용은 충분하지 않다. 왜냐하면 첨가양생 가능한 재료, 즉 실리콘계 탄성재가 이들 특별한 중합조성물에는 반응하기 위해 여기에 나타나는 반응성 화학적 기능이 없기 때문이다. 이 특수 중합조성물들에 나타나는 반응성 화학적 기능이 없기 때문에, 구성성분의 표면에 나타나는 반응성 화학적 기능이 없는 것이다. 그 결과, 실리콘계 탄성재(silicone-based elastomer)와 구성성분(components)간의 부착 또는 고착이 부적절하게 된다.
나아가, 첨가양생재로 부착작업을 진행함에 있어 필요로 하는 높은 온도로 인해, 중합조성물로부터 물과 같이 기포를 가진 휘발성 재료를 배기(outgassing)시키면 실리콘계 탄성재와 기판(substrate) 사이에서 결합시 바람직스럽지 못한 공동(voids)이나 기포(bubble)를 형성시키게 된다. 이 문제는 특히 폴리에스더, 폴리이마이드, 폴리이미드(polyimides), 에폭시수지와 같은 습하고 극성을 가진 중합조성물(polar polymeric compositions)에 특히 예민하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구성성분은 가끔 사전에 건조될 것이 요구되고, 제조공정에서 추가적인 공정단계를 필요로 하며, 건조장비를 또한 추가적으로 필요로 한다.
종래에는, 예컨데 플라스마, 코로나(corona), 또는 자외선과 같은 고에너지원에 노출 또는 프라이머(primer)의 용도와 같은 구성성분 표면에 대해 많은 외부처리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방법은 제조공정상 추가적인 공정시간 및/또는 고가의 장비를 필요로 하였다.
상술한 바를 포함하는, 종래 기술상의 중합재료와 실리콘계 탄성재와 관련된 결함으로 인해, 구성성분의 표면의 외부처리방법과 예비건조의 필요성을 없애주는 동안, 실리콘계 탄성재와 같은 첨가양생재로 개선된 부착성을 성분에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실리콘계 탄성재와 같이 첨가양생재에 대한 부착성(adherence)을 향상시키는 조성물(composition)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첨가양생재(addition-curable material)에 대한 부착성이 향상된 조성물은, 수지 성분과 첨가제를 포함한다. 상기 수지 성분은, 유기 중합체이고, 에틸렌계 불포화 작용기와 실리콘 수소화물 작용기(ethylenically unsaturated and silicon hydride functional groups)를 함유하지 않는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수지 성분과 결합되고, 아미노 작용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첨가양생재와 반응하기 위해, 상기 첨가제는 히드로실릴화 작용기(hydrosilylation reactive group)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첨가양생재에 대한 부착성(adherence)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발명의 요약 및 효과)
조성물(composition)과 복합물(composite article)은 여러조성들을 결합시킨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 조성물은 실리콘계 탄성재(silicone-based elastomer)와 같이 첨가 양생재로 부착성을 향상시켜 왔다. 이 성분에는 수지성분과 이 수지성분에 혼합되는 첨가제가 함유된다. 이 첨가제(additive)는 첨가양생재로 반응시키기 위해 히드로실일화 반응그룹(hydrosilylation reactive group)을 포함 구성한다.
또한 상기 복합물에는 하나 이상의 기질(substrate)이 포함된다. 이 복합물에는 또한 첨가양생재가 포함구성된다. 복합물에서, 첨가양생재는 기질 위로 분배된다. 이 기질은 수지성분과 첨가제르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이 첨가제의 히드로실화 반응그룹은 첨가가능재로 기질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질 표면에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리콘계 탄성재와 같이 첨가양생재로 부착성(adherence)을 향상시키는 조성물(composition)을 제공한다. 이 향상된 부착성은 첨가양생재의 화학조성을 다시 구성하지 않아도 달성된다. 이 조성을 첨가양생재에 부착시켜 충분히 결합된 복합물을 만들어주게 되면 실질적으로 낮은 온도 및/또는 보다 짧아지는 시간으로 제조되게 하므로써 에너지 절약과 사이클 타임 단축(cycle times)을 실현되게 한다. 더우기, 기질의 예비건조 필요성 및/또는 오븐의 양생(curing) 필요성은 본 발명의 조성물 성격으로 볼 때 두드러진다. 이 첨가제는 조성물을 제조 및/또는 공정처리할 때 사용되는 압출기와 주입 몰딩장치(injection molding apparatus)와 같은 장치의 표면으로부터 조성물의 방출특성(release characteristics)을 또한 향상시켜 준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상의 조성물은 첨가양생재로서의 부착성을 향상시켜 준다. 아래에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 조성물은 첨가양생재와 조합하여 하나 이상의 기질을 함유하는 복합물에 일체화되어 합체된다. 이 하나 이상의 기질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실리콘계 탄성재와 같은 첨가양생재는 하나 이상의 기질에 투입된다. 이 첨가양생재가 하나 이상의 기질에 한번 투입되면, 이 첨가양생재와 하나 이상의 기질은 복합물을 만드는데 있어 현저히 낮은 온도에서 양생되고 서로 결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기질에는 제 1 기질 및 제 2 기질이 포함구성되는데, 그 이외의 사항도 여기에 설명한다. 제 1 또는 제 2 기질의 어느 하나도, 또는 제 1 기질과 제 2 기질 모두도, 실리콘계 탄성재와 같은 첨가양생재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계면에 이들 기질을 같이 부착시키기 위해 제 1 및 제 2 기질 사이에 투입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기질에는 오직 제 1 기질만 포함구성되고 또한 첨가양생재는 보호피복층을 형성하기 위해 제 1 기질 위로 투입된다.
한편, 하나 이상의 기질은 다른 기질 및/또는 성분상의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기질로 되는데, 이를 목적으로 하는 조성물로부터 반드시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첨가양생재는 보호 피복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모든 기질 및/또는 성분들 위로 투입되는데, 이는 첨가양생 실리콘 겔(addition-curable silicone gel)로 캡슐화된 전자회로기판(electronic circuit board)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조성물(composition)에는 수지성분(resin component)과 이 수지성분에 첨가되는 첨가제(additive)가 있다. 이 첨가제는 수지성분을 제조하기 위해 중합반응(polymerization reaction) 도중에 수지성분 안으로 복합화된다. 또한, 이 첨가제는 수지성분을 제조하기 위해 중합반응과 관련된 마무리 단계에서 수지성분 속으로 첨가되기도 한다. 또한, 이 첨가제는 후중합 합성작업(post-polymerization compounding operation) 중에 수지성분 속으로 복합화되기도 한다. 이 첨가제는 추가적으로 아래에 설명하기로 한다.
수지성분은 복합물 용도에 따라 선택된다. 그리고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와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선택된다. 이 수지성분은 모노머(monomeric), 올리고머(oligomeric), 폴리머(polymeric)의 것으로 되고, 또는 모노머 및/또는 올리고머 및/또는 폴리머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적절한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는 첨가중합체 또는 응축중합체(condensation polymers)를 만드는데 이용되는 모노머(monomers)이거나, 또는 중합반응의 다른 타입으로 이용되는 모노머(monomers)이다. 수지성분용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의 예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아크릴산(acrylic acid), 단일 및 다기능 아크릴레이트(multi-functional acrylates) 및 메타크릴레이트(methacrylates), 스티렌(styrene), 모든 타입의 치환된 스티렌, 말레인산(maleic acid), 푸마르산(fumaric aicd), 말레인 무수물(maleic anhydride), 실록산(siloxanes), 실란(silanes), 에폭시(epoxies), 우레탄(urethanes)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모노머와 올리고머는 중합되고, 공중합(copolymerized)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모노머와 올리고머로부터 형성되고, 에틸렌의 불포화된 기능그룹(ethylenically unsaturated functional groups)과 실리콘 수소화물 기능그룹(silicone hydride functional groups)이 실질적으로 없는 수지성분과 같은 조성물의 공정처리 중 반응되거나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컨데, 실록산과 실란은 강화제 또는 커플링제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또는 심지어 기타 다른 목적에서도 그렇다. 그러나, 이들은 수지성분에서, 첨가제와는 분명히 차별화될 정도로 다르다. 이들은 에틸렌 불포화된 기능그룹 또는 남아있는 실리콘 수소화물 기능그룹을 갖지 못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지성분은 에틸렌불포화와 실리콘 수소화물 기능그룹이 없다. 더우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수지성분은 중합된 것으로, 또한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이다. 수지성분으로서 적절한 중합 열경화성 수지는 예로 들면, 이들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짐나, 또한 종래 알려져 있는 것이지만, 자연산 고무, 가교된 합성고무, 예컨데 폴리이소프렌(polyisoprene), 폴리부타디엔, 네오프렌, 아크릴, 실리콘, 에스테르 고무 등과 같은 합성고무, 그리고 예컨데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inylidene fluorid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etrafluoroethylene),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chlorotrifluoroethylene)과 같은 중합된 비닐화합물과 이들의 공중합체(copolymers), 예컨데 비톤(viton)이라는 상표로 제조된 공중합체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헥사플루오로부틸 메타크릴레이트와 헥사플루오로부틸 아크릴레이트(hexafluorobutyl acrylate)와 같은 중합된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이하 "알킬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또는 간단히 "알킬 아크릴레이트(alkyl acrylates)")를 가교시켜서 만들어지는 열경화성 플루오로 엘라스토머(thermosetting fluoroelastomers)를 포함한다.
적절히 중합된 경화성 수지의 다른 예에는 에폭시수지, 페녹시수지(phenoxy resins), 시아네이트 에스테르(cyanate esters), 폴리이미드(polyimides), 페놀수지(phenolic resins), 폴리페놀-포름알데히드(polyphenol-formaldehyde), 폴리멜라민(polymelamine)-포름알데히드, 폴리우레아(polyurea)-포름알데히드, 비스-말레이이미드 트리아진(bis-maleimide triazine), 그리고 폴리(n-알킬아크릴레이트)의 가교된 변형물(crosslinked versions),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마이드(polyamides)를 포함구성한다.
수지성분용 적절한 열가소성 수지의 예로서는, 단,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일례로 들면, 스티렌기 폴리머(styrene-based polymers), 예컨데 혼성배열(atactic), 규칙성 교대배열(syndiotactic), 그리고 동일배열(isotactic) 폴리스티렌을 포함하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과 같은 스티렌기 폴리머, 할로겐-치환된 스티렌폴리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tyrene acrylonitrile copolymer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ile-butadiene-styrene)(ABS) 수지,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블럭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 니트릴 공중합체와 에틸렌-스티렌 공중합체(ethylene-styrene interpolymer)의 혼합체(blends), 폴리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테르폴리머 합금(polycarbonate/acrylonitrile-butadien-styrene terpolymer alloys), SEBS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예컨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등과 같은 응축폴리머(condensation polymers), 충격완화 폴리카보네이트(impact-modified polycarbonate)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 산화물(polyphenyleneoxide), 말레인 무수물 이식결합된 폴리페닐렌 산화물(maleic anhydride grafted polyphenyleneoxide), 말레인 무수물 이식결합된 올레핀 엘라스토머(elastomer)와 플라스토머(plastomers), 폴리슬폰(polysulfone), 폴리에테르슬폰(polyethersulfone), 폴리아릴슬폰(polyarylsulfone), 폴리페닐렌 에테르(polyphenylene ether) 등과 같은 폴리에테르, 응축된 폴리머 예컨데 폴리아마이드(6, 6/6, 6/10, 6/12, 11 또는 12 등)과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sulfide:PPS), 아크릴기 폴리머(acryl-based polymers), 예컨데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n-부틸 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할로겐치환된 아크릴레이트(halogen-substituted acrylates) 예컨데 헥사플루오로부틸 메타크릴레이트와 헥사플루오로부틸 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s), 폴리올레핀 예컨데 폴리에틸렌(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밀도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상의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HDPE 등), 동일배열 폴리프로필렌과 동일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 및 규칙성 교대배열 폴리프로필렌을 포함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동일배열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혼합물(blends), 폴리부텐(polybutene), 폴리(4-메틸펜텐methylpentene-1),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1-부틸렌), 폴리(프로필렌/1-부틸렌), 폴리(에틸렌/프로필렌/1-부틸렌), 폴리(에틸렌 부티레이트:ethylene butyrate), 폴리(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할로겐치환된 비닐폴리머 예컨데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polyvinylidene chloride),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 디클로라이드(polyvinylidene dichloride), 비닐리덴 클로라이드-비닐클로라이드 공중합체, 비닐리덴 클로라이드-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 폴리비닐 메틸에테르,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와 폴리비닐 알콜과 같은 화합물,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화합물을 함유하는 기타 다른 비닐, 그리고 클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비닐 글리시딜 에테르(vinyl glycidyl ether), 하이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hydroxyalkyl(metha)acrylate),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글리시딜에테르, 글리시딜 이타코네이트(glycidyl-itaconate), 그중에서도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가 특히 선호되는 에폭시그룹(epoxy group)을 갖는 화합물(compounds)을 함유하는 다른 비닐을 들 수 있다. 또한 예컨데 스티렌 공중합체, 치환된 스티렌(예컨데 스티렌/P-메틸스티렌 공중합체)가 포함구성된다. 이들 공중합체는 혼성배열, 또는 규칙성 교대배열, 또는 동일배열로 배열된다.
포텐셜 열가소성 수지(potential thermoplastic resins)의 예로는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이미드(polyamide-imides), 폴리프탈아미드(polyphthalamides),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s), 폴리포름알데히드, 예컨데 델린 상표(Delrin®)의 것,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폴리-엔-비닐카바졸(poly-N-vinylcarbazol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플루오르화 에틸렌프로필렌(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퍼플루오로알콕시(perfluoroalkoxy),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olychlorotrifluoroethylene),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thylene tetrafluoroethylene),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 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케톤 에테르케톤, 폴리옥시메틸렌(아세탈) 호모폴리머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폴리에테르 우레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기타 다른 알파-올레핀을 가진 프로필렌 또는 에틸렌의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공중합체,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고무 또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고무로 충격 조정된 스티렌(styrene impact-modified)의 공중합체, ABS 및 폴리카바네이트의 혼합체, ABS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의 혼합물, PVC,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 또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고무 또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고무를 함유하는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열가소성 가황물(thermoplastic vulcanizate), 폴리악티드(polyactide), 폴리페닐렌 산화물(polyphenylene oxide), 비정질 투명폴리머, 특히 셀루로스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부타디엔과 스티렌의 공중합체, 티코나제 토파즈(Topaz®) 상표부착 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cycloolefin copolymers),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글리콜개질 폴리에스터(glycol-modified polyester), 글리콜개질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 선택적으로 되는 비정질 코-폴리에스터(optionally amorphous co-polyester), 말레인산 무수물 이식결합된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말레인산 무수물 기능화된 스티렌-에틸렌-부텐블럭 공중합체(maleic anhydride functionalized styrene-ethylene-butene block copolymer),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블럭 공중합체(styrene-isoprene-styrene block copolymer), 약 50℃ 내외의 유리전이온도(Tg) 비정질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수지, 유리전이온도 120℃ 내외의 Tg를 갖는 중합체 또는 비정질 폴리아미드, 글리콜-개질된 폴리에스터, 60wt.% 이상의 글리콜-개질된 폴리에스터를 가진 비정질 폴리우레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 그리고 충격조정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포텐셜 열가소성수지의 또다른 예에 a-b형 블럭 공중합체, a-b-a형 블럭 공중합체, b-a-b형 블럭 공중합체, 이식결합된 b 공중합체, b 이식결합된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a는 고무탄력성을 가진 b 블럭의 그것보다 높은 유리전이온도 또는 용융전이온도를 가진 비반응성 블럭(non-reactive block)을 가리킨다. 종래기술에서, 많은 블럭공중합체와 그 혼합물(혼합체)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s)로 알려져 있다. a-b, a-b-a 또는 b-a-b형 블럭 공중합체의 부분 a로서, 포함되는 예로서는 혼성배열의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포함구성된다. 부위 b로서, 복합디엔(conjugated diene), 복합디엔의 수소화성품(hydrogenated product of conjugated diene), 산 무수물로 개질된 복합디엔, 산 무수물, 오르가노폴리실록산(organopolysiloxane)과 폴리알킬 아크릴레이트로 개질된 복합디엔은 이들의 할로겐화 및 부분적으로 할로겐화된 호모로그(homologs)와 함께 주어진다. 부분 b의 예에는 이소프렌, 부타디엔, 수소화된 부타디엔(hydrogenated butadiene), 수소화된 이소프렌, 디메틸실록산, 말레인 무수물로 개질된 부타디엔, 말레인 무수물로 개질된 부타디엔의 수소화성품, 말레인 무수물로 개질된 이소프렌, 말레인 무수물로 개질된 이소프렌의 수소화된 성품, 페닐메틸실록산, 메틸-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n-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와 1H,1H,3H-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polymers)와 공중합체(copolymers)를 포함한다.
사용 가능한 이식결합 공중합체(graft copolymers)는 이식결합된 b 공중합체 또는 b 이식결합된 공중합체라는 용어로 지칭되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스티렌-부타디엔 블럭 공중합체 고무(SB, SBS, BSB), 부분적으로나 전체적으로, 스티렌-부타디엔 블럭 공중합체(SEBS, SEB)의 부타디엔 부분을 수소화하여(hydrogenating) 얻는 고무, 말레인 무수물로 개질된 SBS, 스티렌-이소프렌 블럭 공중합체(SEP, SEPS)의 이소프렌 부분을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수소화하여 얻는 고무, 말레인 무수물로 개질된 SEBS, 말레인 무수물로 개질된 SEP, 말레인 무수물로 개질된 SIS 등이다.
다른 엘라스토머로는 부타디엔과 알킬아크릴레이트를 공중합시켜 얻는 고무라텍스에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을 가해 얻어지고 다음 이들을 그라프트 중합(graft polymerizing)시켜 얻는 AABS 엘라스토머, 그리고 폴리부타디엔에 스티렌을 그라프트 중합시켜 얻는, 미쓰비시 레이욘 주식회사제 Metablen IP-2 상표부착 SBR 엘라스토머를 들 수 있다. 이들 고무와 같은 폴리머는 코어 쉘형 고무(core shell type rubbers)이다.
수지조성은 또한 다른 공중합체 또는 중합합금(polymeric alloys)을 포함구성하는데, 이는 2개 이상의 혼화 가능한(miscible) 또는 부분적으로 혼화 가능한 중합체와 중합체 혼합물(polymeric blends)로 이루어진다. 이들은 분리된 별개의 무혼화상(discrete non-miscible phases)을 갖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 합금혼합체(alloy blends)의 특수예로서는 ABS/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스티렌/폴리페닐렌 산화물, 폴리카보네이트/ABS, ABS/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페닐렌 에테르/폴리스티렌, 폴리페닐렌 에테르/폴리아미드, 규칙성 교대배열성 폴리스티렌/폴리아미드, 폴리설폰/ABS, 폴리카보네이트/열가소성 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합금, 폴리아미드/엘라스토머, 폴리에스더/엘라스토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아세탈/엘라스토머/스티렌-말레인무수물/AB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폴리에테르설폰, 폴리에틸렌/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틸렌/아세탈이 포함된다. 액상 결정성 폴리머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케블라(Kevlar®)와 LCP's를 포함하고, 또한 수지성분으로 사용된다.
2개 이상의 상기 언급한 성분으로 되는 공중합체는 또한 수지성분으로서 유용하다. 일부 성분은 전술한 바를 반복하게 된다. 요컨데,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그 어느것이나 수지성분으로서 족하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열경화성 수지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수지성분을 이루는 수지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보충 첨가제로 개질할 수 있다. 보충 첨가제에는 항산화제(antioxidants), 안료와 염료와 같은 착색제, 내화처리제(flame retardants), 프로세스조제(process aids), 정전방지제, 충격완화제(impact modifiers), 조핵제(nucleating agents), 흐름조제(flow aids), 항발화첨가제(ignition resistant additives), 커플링제, 윤활제, 항봉쇄제(antiblocking agents), 주형분리용 첨가제(mold release additives), 가소제, 자외선 억제제(ultraviolet ray inhibitors), 열안정제(thermal stabilizers)가 포함된다.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수지성분을 만들어주는 수지는 또한 충전제(fillers) 또는 강화제(reinforcing agents)를 포함구성한다. 이러한 충전제와 강화제는 섬유성, 과립상 또는 분말상으로 되고, 한정되는 것이 아니나, 예컨데 섬유성분은 유리섬유, 탄소섬유, 알루미나섬유가 과립상 또는 분말상 성분은 실리카, 점토, 탈크(talc), 카본블랙, 흑연, 티타늄 그 산화물(TiO2), 미카(mica), 탄산칼슘, 황산칼슘, 탄산바륨, 탄산마그네슘, 황산마그세늄, 황산바륨, 산황화물(oxysulfate), 주석산화물(tin oxide), 알루미나, 카올린, 실리콘카바이드, 금속분말 등을 들 수 있다.
유리섬유의 형상은 의류-상(cloth-like), 맷트상(mat-like), 스트랜드상(strand-like), 단섬유상(short fiber-like), 필라멘트상(filament-like)이다. 이들 섬유상 중, 스트랜드상의 유리섬유로서 길이 0.05~13㎜, 섬유직경 5~15㎛의 것이 선호되고 있다. 가장 바람직한 스트랜드상의 유리섬유는 실란처리(silane treatment)된다.
탄소섬유로 말하면,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기 섬유(polyacrylonitrile-based fiber)가 바람직하다. 짧게 썬 PAN 섬유 묶음은 약 3㎜ 길이에 7~15㎛의 직경을 가진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러가지 충전제와 강화제로서, 특히 선호되는 것은 유리섬유, 예컨데 유리가루, 유리편, 유리구슬, 유리필라멘트, 유리섬유, 유리조방사(glass roving), 유리맷트(glass mat)이다. 커플링제, 예컨데 실란-기 커플링제(silane-based coupling agent) 또는 티타늄-기 커플링제(titanium-based coupling agent)는 상기 충전제와 강화제의 표면처리에 이용된다.
실란-기 커플링제의 예로서는, 트리에톡시실란(triethoxysilane), 비닐트리스(β-methoxyethoxy)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vinyltrimethoxysilane), 헥스에닐트리메톡시실란(hexenyltrimethoxysilane), 감마-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amma-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감마-아크릴옥실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amma-acryloxylpropyltrimethoxysilane), 감마-글리시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amma-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β-(1,1-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ethyltrimethoxysilane), N-β-(아미노에틸)-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감마-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페닐-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감마-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amma-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감마-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스tris(2-메톡시-에톡시)실란, N-메틸-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비닐벤질-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트리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우레이도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4,5-디히드로이미다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propyltriethoxysilane), 헥사메틸디실라잔(hexamethyldisilazane), N,O-(비스트리메틸실일 bistrimethylsilyl)아미드, N,N-비스(트리메틸실일 trimethylsilyl)우레아 등을 들 수 있다.
티타늄-기 커플링제의 예로서는 특히, 히소프로필트리이소스테아로일 티타네이트(isopropyltriisostearoyl titanate), 이소프로필트리도데실벤젠설포닐 티타네이트(isopropyltridodecylbenzensulfonyl titanate), 이소프로필트리스 티타네이트(디옥틸피로포스페이트 dioctylpyrophosphate) titanate, 테트라(1,1-디알일옥시메틸 diallyloxymethyl)-1-부틸)비스(디트리데실 ditridecyl)포스파이트(phosphite) 티타네이트, 비스(디옥틸피로포스페이트)옥시아세테이트 티타네이트, 비스(디옥틸피로포스페이트)에틸렌 티타네이드, 이소프로필트리옥타노일(isopropyltrioctanoyl) 티타네이트, 이소프로필디메타크릴이소스테아로일 티타네이트, 비스(디옥틸피로포스페이트)옥시아세테이트 티타네이트, 비스(디옥틸피로포스페이트)에틸렌 티타네이트, 이소프로필트리옥타노일 티타네이트, 이소프로필디메타크릴이소스테아로일 티타네이트, 이소프로필이소스테아로일디아크릴(isopropylisostearoyldiocryl) 티타네이트, 이소프로필트리(디옥틸포스페이트)티타네이트, 이소프로필트리큐일페닐(isopropyltricumylphenyl) 티타네이트, 이소프로필트리(N-아미드에틸,아미노에틸) 티타네이트, 디큐밀페닐옥시아테세이트 티타네이트, 그리고 디이소스테아로일에틸렌 티타네이트를 들 수 있다.
이 조성물은 또한 첨가제를 포함구성한다. 첨가제는 히드로실화 반응그룸(hydrosilylation reactive group)을 포함하므로써 첨가양생재(addition-curable material)와 반응되게 한다. 이 히드로실화 반응그룹은 에틸렌 불포화 기능그룹 또는 실리콘 수소화물 기능그룹(silicon hydride functional group)이 될 수 있다. 어떤 기능그룹이든 첨가양생재와 반응한다.
히드로실화 반응그룹(hydrosilylation reactive group)은 에틸렌 불포화 기능그룹이면, 첨가제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유기화합물, 오르가노폴리실록산(organopolysiloxane)의 공중합체와 유기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정된다. 가급적, 첨가제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함유한다. 따라서, 알아두어야 할 것은 만일 첨가제가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공중합체와 유기화합물을 함유하면, 첨가제는 필히 오르가노폴리실록산(organopolysiloxane)을 함유하게 된다. 바람직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하나는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 또는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이다. 또한, 첨가제는 유기화합물이다. 이 유기화합물에는 올리고머(oligomers) 공중합체, 중추적인 것으로서 3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단분산 탄화수소체인(monodisperse hydrocarbon chains)이 포함구성된다. 여기에 함유된 것은 수지성분과 혼합하는데 충분한 체인 길이를 갖는 α-올레핀이다. 유기화합물은 카복실산과 이들의 금속염, 무수물(anhydrides), 호박산(succinates), 산 염화물(acid chlorides), 알콜, 아민류, 에폭시드(epoxides), 이소시아네이트 및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에틸렌 불포화 및 반응성 기능그룹을 함유하는 분자들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유기화합물로는 10-운데칸산(undecenoic acid), 10-운데센(undecen)-1-0ℓ, 10-운데세노일 클로라이드(undecenoyl chloride), 아연 운데실레네이트(zinc undecylenate), 체인 내의 제 1 탄소원자에서의 불포화를 갖는 관능화된 도데센(functionalized dodecenes), 체인 내의 제 1 탄소원자에서의 불포화를 갖는 관능화된 스테아린산염(functionalized stearates), 체인 내의 제 1 탄소원자에서의 불포화를 갖는 관능화된 몬타네이트(functionalized montanates)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구성한다.
한편, 첨가제는 전술한 수지성분의 일부와 반응 가능한 추가적인 분량을 함유하는 것이 좋다. 아니면, 수지성분과 엉키게 하거나 공동결정화(co-crystallize)하기 위한 능력과 충분한 분자중량을 갖도록 하는 것이 좋다. 수지성분의 추가분량과 일부 사이의 반응은 공유결합(covalent bonding), 이온결합, 수소결합, 킬레이트화(chelation), 배위(配位:coordination), 산-기교호작용이거나 심지어 반데아발스력(Vander Waals force)을 통해 일어나게 된다. 이 추가적인 분량(moiety)이 첨가제 자체의 일부이고 이하에 기재하는 바의 친화제(compatibilizing agent)와 같은 별개의 성분은 아니다. 또한, 첨가제는 수지성분의 다른 조성과 반응 가능한 추가적인 기능그룹을 함유하는데, 이 그룹은 수지성분의 다른 조성과 반응 가능하거나, 또는 공정중 반응 가능하여 수지성분과 엉키거나 공유결정화(co-crystallizing) 가능한 동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히드로실화 반응그룹은 에틸렌 불포화관능기(ethylenically unsaturated functional group)이고, 첨가제는 선상의(linear) 분지되거나(branched) 또는 수지상의 조직을 가질 수 있다. 이 첨가제는 동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불포화 유기그룹은 탄소원자 2~12개를 가진 알케닐 그룹으로 되고,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비닐, 알일(allyl), 부테닐, 헥세닐(hexenyl)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불포화 유기그룹은 2~12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알키닐 그룹(alkynyl group)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예컨데, 한정되는 것이 아니나, 에티닐(ethynyl), 프로피닐(propynyl), 부티닐(butynyl)을 들 수 있다. 또한 불포화 유기그룹은 아크릴레이트-기능성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능성 그룹을 함유하고, 예컨데 아크릴오일로시프로필(acryloyloxypropyl)과 같은 아크릴오일옥시알킬과 메타크릴오일옥시프로필(methacryloyloxypropyl)과 같은 메타크릴오일옥시알킬(methacryloyloxyalkyl) 등을 들 수 있다. 이 불포화 유기그룹은 터미널(terminal), 펜던트(pendant), 또는 터미널과 펜던트 위치 양쪽 모두에 위치된다.
남아있게 되는 실리콘-결합 유기그룹은 어느 것이라도 지방족 불포화(aliphatic unsaturation) 없이 1가의 유기그룹(monovalent organic group)이 된다. 이들 1가의 유기그룹은 1~20개의 탄소원자, 그중에서도 1~10 탄소원자를 갖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메틸, 에틸, 프로필, 펜틸, 옥틸, 운데실(undecyl), 옥타데실(octadecyl)과 같은 알킬(alkyl)과; 시클로헥실과 같은 시클로알킬(cycloalkyl)과; 페닐, 톨일(tolyl), 키일일(xylyl), 벤질, 그리고 2-페닐에틸(phenylethyl)과 같은 아릴(aryl)과; 시아노에틸과 시아노프로필로 예로 든 시아노알킬 그룹(cyanoalkyl groups)과 같은 시아노-관능기(cyano-functional groups)와;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trifluoropropyl), 3-클로로프로필, 디클로로페닐(dichlorophenyl), 6,6,6,5,5,4,4,3,3-노나플루오로헥실(nonafluorohexyl)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그룹(halogenated hydrocarbon groups) 등을 들 수 있다.
첨가제는 25℃에서 0.001~500Paㆍs의 점도를 가진다. 또한 그중에서도 25℃에서 0.005~200Paㆍs를 가진다. 이 첨가제는 폴리머가공용 온도와 같이 상승된 온도에서 유동적이 되기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첨가제는 다음식으로 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유동체(organopolysiloxane fluid)를 구성한다.
(a) R1 3SiO(R1 2SiO)α(R1R2SiO)βSiR1 3
(b) R3 2R4SiO(R3 2SiO)χ(R3R4SiO)δSiR3 2R4 또는
이들의 조합
상기 식 (a)에서, α는 평균 0~2000의 값을 가진다. β는 평균 1~2000의 값을 가진다. 각 R1은 독립적으로 된 1가의 유기체 그룹(valent organic group)이다. 적절한 1가의 유기그룹에는,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데 아크릴오일옥시프로필과 메타크릴오일옥시프로필(methacryloyloxypropyl)과 같은 아크릴 기능그룹(acrylic functional groups)과;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과 같은 알킬그룹과; 비닐, 알릴(allyl), 부테닐과 같은 알케닐 그룹(alkenyl group)과; 에시닐(ethynyl)과 프로피닐(propynyl)과 같은 알키닐 그룹(alkynyl group)과; 페닐, 톨일(tolyl), 키릴(xylyl)과 같은 방향족 그룹(aromatic group)과; 시아노에틸과 시아노프로필과 같은 시아노알킬그룹(cyanoalkyl group)과;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3-클로로프로필, 디클로로페닐, 6,6,6,5,5,4,4,3,3-노나플루오로헥실(nonafluorohexyl)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그룹과; 프로필옥시(폴리옥시에틸렌), 프로필옥시폴리(옥시프로필렌)과 프로필옥시폴리(oxypropylene)-코(co)-폴리(poly)(옥시에틸렌)과 같은 알킬옥시폴리(옥시알케인:oxyalkyene) 그룹과;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butoxy)와 에틸헥시록시(ethylhexyloxy)와 같은 알콕시(alkoxy)와; 아미노알킬 그룹(aminoalkyl groups), 예컨데 3-아미노프로필, 6-아미노헥실, 11-아미노운데실(aminoundecyl), 3-(N-알릴아미노:allylamino)프로필,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N-(2-아미노에틸)-3-아미노이소부틸, p-아미노페닐, 2-에틸피리딘(ethylpyridine), 3-프로필피롤(propylpyrrole); 에폭시알킬그룹(epoxyalkyl groups), 예컨데 3-글리시독시프로필,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 그리고 5,6-에폭시헥실; 에스테르 관능기(ester functional groups), 예컨데 악테톡시메틸(actetoxymethyl)과 벤조일옥시프로필(benzoyloxypropyl); 히드록실 관능기(hydroxyl functional groups), 예컨데 히드록시와 2-히드록시에틸, 이소시아네이트와 마스크한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masked isocyanate functional groups) 예컨데 3-이소시아나토프로필(isocyanatopropyl), 트리-3-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tris-3-propylisocyanurate), 프로필-티-부틸카바메이트(propyl-t-butylcarbamate), 그리고 프로필에틸카바메이트; 알데히드관능기(aldehyde functional groups) 예컨데 운데카날(undecanal)과 부티랄드하이드(butyraldehyde); 무수물 관능기(anhydride functional groups), 예컨데 3-프로필무수호박산(3-propyl succinic anhydride)와 3-프로필말레인무수물; 카복실산 관능기(carboxylic acid functional groups) 예컨데 3-카복시프로필과 2-카복시에틸; 카복실산 금속염(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예컨데 3-카복시프로필과 2-카복시에틸의 Zn, Na 또는 K염을 들 수 있다. 각 R2는 독립적으로 불포화 1가 유기그룹(unsaturated monovalent organic group)이다. R2는 예컨데 비닐, 알릴(allyl), 부테닐(butenyl)과 같은 알케닐그룹으로 예를 들 수 있고; 예컨데 에티닐(ethynyl)과 프로피닐(propynyl)과 같은 알키닐 그룹(alkynyl groups); 그리고 예컨데 아크릴오일옥시프로필(acryloyloxypropyl)과 메타크릴오일옥시프로필(methacryloyloxypropyl)과 같은 아크릴 관능기(acrylic functional groups)을 들 수 있다.
식 (b)에서, χ는 평균값 0~2000, δ는 평균값 0~2000을 갖는다. R3는 각각 독립적인 1가 유기그룹이다. 적절한 1가 유기그룹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아크릴 기능그룹(acrylic functional groups), 예컨데 아크릴오일옥시프로필과 메타크릴오일옥시프로필을 포함하고; 알킬그룹(alkyl groups) 예컨데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을 포함하며; 알케닐그룹(alkenyl groups) 예컨데 비닐, 알릴, 부테닐을 포함하고; 알키닐그룹(alkynyl groups) 예컨데 에티닐(ethynyl)과 프로피닐을 포함하며; 방향족 그룹(aromatic groups) 예컨데 페닐, 톨일, 키실릴(xylyl)을 포함하며; 시아노알킬그룹(cyanoalkyl group) 예컨데 시아노에틸과 시아노프로필(cyanopropyl)을 포함하며; 할로겐화 탄화수소그룹(halogenated hydrocarbon groups) 예컨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3-클로로프로필, 디클로로페닐, 6,6,6,5,5,4,4,3,3-노나플루오로헥실(nonafluorohexyl); 알킬옥시폴리(옥시알켄:oxyalkyene) 그룹, 예컨데 프로필옥시(폴리옥시에틸렌), 프로필옥시폴리(propyloxypoly)(옥시프로필렌) 그리고 프로필옥시폴리(옥시프로필렌)-코(co)-폴리(옥시에틸렌); 알콕시 예컨데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isopropoxy), n-부톡시(butoxy) 그리고 에틸헥시록시(ethylhexyloxy); 아미노알킬그룹(aminoalkyl groups) 예컨데 3-아미노프로필, 6-아미노헥실, 11-아미노운데실(aminoundecyl), 3-(N-알릴아미노)프로필,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N-(2-아미노에틸)-3-아미노이소부틸, P-아미노페닐, 2-에틸피리딘(ethylpiridine), 그리고 3-프로필피롤(propylpyrrole); 부자유 아미노알킬그룹(hindered aminoalkyl groups) 예컨데 테트라메틸피페리디닐옥시프로필(tetramethylpiperidinyloxyppropyl); 에폭시알킬그룹 예컨데 3-글리시독시프로필(glycidoxypropyl), 2-(3,4-에폭시독시시클로헥실)에틸, 그리고 5,6-에폭시헥실; 에스테르관능기, 예컨데 악테톡시메틸(actetoxymethyl) 및 벤조일옥시프로필; 히드록실관능기(hydroxyl functional groups) 예컨데 히드록시와 2-히드록시에틸, 이소시아네이트 및 마스크한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masked isocyanate functional groups) 예컨데 3-이소시아나토프로필(isocyanatopropyl), 트리(tris)-3-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propylisocyanurate), 프로필-티(t)-부틸카마매이트, 그리고 프로필에틸카바매이트; 알데히드기능성그룹 예컨데 운데카날(undecanal) 및 부티랄디하이드(butyraldehyde); 무수물기능성그룹 예컨데 3-프로필호박무수물(propyl succinic anhydride) 그리고 3-프로필말레인무수물; 카복실산관능기(carboxtlic acid functional groups) 예컨데 3-카복시프로필, 2-카복시에틸 및 10-카복시데실; 그리고 카복실산의 금속염, 예컨데 3-카복시프로필 및 2-카복시에틸의 Zn, Na 또는 K염(salts)을 들 수 있다. 각 R4는 독립적으로 불포화된 유기탄화수소 그룹이다. R4는 비닐, 알릴, 부테닐과 같은 알케닐그룹을 일례로 들 수 있다; 알키닐그룹(alkynyl groups) 예컨데 에티닐 및 프로피닐; 아크릴관능기(acrylic functional froups) 예컨데 아크릴오일옥시프로필 및 메타크릴오일옥시프로필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첨가제로서 사용에 적합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유체(organopolysiloxane fluids)의 특수예로는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와 폴리메틸비닐실록산(PMVS)의 아미노프로필디메틸실옥시-반응정지된 랜덤 공중합체(aminopropyldimethylsiloxy-terminated random copolymers), PDMS의 α,ω-아미노프로필디메틸실옥시-반응정지된 랜덤 공중합체, 폴리(메틸-6,6,6,5,5,4,4,3,3-노나플루오로헥실실록산)(PMNFHS) 그리고 PMVS, 3-글리시독시프로필디메틸실옥시-반응정지된 랜덤 PDMS-PMVS 공중합체, 그리고 3-글리시독시프로필디메틸실옥시-반응정지된 랜덤 PDMS-PMNFHS-PMVS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첨가제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유체의 제조방법, 예컨데 대응되는 오르가노할로실래인(corresponding organohalosilanes)의 가수분해(hydrolysis)와 응축(condensation)과 같은 것이거나, 또는 순환상의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cyclic polydiorganosiloxanes)의 평형(equilibration)은 종래 잘 알려진 기술이다.
첨가제는 또한 예컨데 R5 3SiO1 /2단위, SiO4 /2단위가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MQ수지와 R5SiO3 /2단위, R5 2SiO2 /2 단위가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TD수지, R5 3SiO1 /2단위, R5SiO3/2단위가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MT수지, R5 3SiO1 /2단위, R5SiO3 /2단위, R5 2SiO2 /2단위 등이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MTD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오르가노실록산 수지로 구성되기도 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오르가노실록산 수지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라는 용어와 상호 교환 가능한 용어이다.
각 R5는 1가의 유기그룹이다. 이 1가 유기그룹(monovalent organic groups)은 R5로 표현되는데, 탄소원자 1~20개를 갖는다. 그중에서도 1~1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다. 1가 유기그룹의 예를 들면, 한정적인 것은 아니나, 아크릴옥시알킬그룹과 같은 아크릴레이트 관능기(acrylate functional groups), 메타크릴옥시알킬그룹, 시아노-관능기(cyano-functional group)와 같은 메타크릴레이트 관능기(methacrylate functional group), 그리고 1가의 탄화수소그룹을 들 수 있다. 1가 탄화수소그룹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메틸, 에틸, 프로필, 펜틸, 옥틸, 운데실, 옥타데실과 같은 알킬(alkyl)과; 시클로헥실과 같은 시클로알킬(cycloalkyl)과; 비닐, 알일, 부테닐, 헥세닐(hexenyl)과 같은 알케닐(alkenyl)과; 에티닐(ethynyl), 프로피닐, 부티닐과 같은 알키닐(alkynyl)과; 페닐, 톨일(tolyl), 크실일(xylyl), 벤질, 그리고 2-페닐에틸(phenylethyl)과 같은 아릴(aryl)과;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3-클로로프로필, 디클로로페닐, 6,6,6,5,5,4,4,3,3-노나플루오로헥실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그룹이 포함된다.
시아노 관능기(cyano-functional groups)에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시아노에틸과 시아노프로필과 같은 시아노알킬그룹이 포함된다. 또한, 포함되는 것으로는 프로필옥시(폴리옥시에틸렌), 프로필옥시폴리(옥시프로필렌)과 프로필옥시폴리(옥시프로필렌)-코(co)-폴리(옥시에틸렌)과 같은 알킬옥시폴리(옥시알케인)그룹과; 알콕시 그룹, 예컨데 메톡시, 에톡시, n-프로톡시, 이소프로폭시(isopropoxy), n-부톡시 및 에틸헥실옥시와; 아미노알킬그룹 예컨데 3-아미노프로필, 6-아미노헥실, 11-아미노운데실, 3-(N-알릴아미노)프로필,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N-(2-아미노에틸)-3-아미노이소부틸, P-아미노페닐, 2-에틸피리딘(ethylpyridine) 및 3-프로필피롤(propylpyrrole)과; 부자유 또는 속박 아미노알킬그룹, 예컨데 테트라메틸피페리디닐옥시프로필; 에폭시알킬그룹 예컨데 3-글리시독시프로필,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 그리고 5,6-에폭시헥실; 에스테르 관능기 예컨데, 악테톡시메틸과 벤조일옥시프로필; 히드록실 관능기(hydroxyl functional groups) 예컨데 히드록시와 2-히드록시에틸, 이소시아네이트와 그리고 마스크한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 예컨데 3-이소시아나토프로필(isocyanatopropyl), 트리(tris)-3-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propylisocyanurate), 프로필-티(t)-부틸카바메이트, 그리고 프로필에틸카바메이트; 알데히드 관능기(aldehyde functional groups) 예컨데 운데카날 및 부티르알데히드(butyraldehyde); 무수물 관능기(anhydride functional groups) 예컨데 3-프로필말레인무수물; 카복실산 관능기(carboxylic acid functional groups), 예컨데 3-카복시프로필, 2-카복시에틸, 그리고 10-카복시데실; 그리고 카복실산의 금속염, 예컨데 3-카복시프로필 및 2-카복시에틸의 Zn, Na, K염이 포함된다.
오르가노실록산 수지(organosiloxane resin)는 평균 1~40몰%의 불포화 유기그룹을 함유한다. 이 불포화 유기그룹은 알케닐그룹, 알키닐그룹, 아크릴레이트-기능그룹, 메타크릴레이트-기능그룹,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수지에서 불포화 유기그룹의 몰(mole)%는 수지에서의 실록산 단위의 총 몰수에 대한 수지에서의 불포화그룹-함유 실록산 단위 몰수의 백(100)분율이다.
에틸렌성 불포화첨가제로 유용한 오르가노실록산 수지의 특수예로서는 미국특허 제 6,509,423호 및 여기에서 인용한 자료들에 소개된 타입의 M(비닐)T(페닐)수지이다. 이들 오르가노 수지의 제조방법은 종래 잘 알려진 수지들이다. 예컨데, 수지는 다우트 등의 실리카 히드로솔 면관공정(silica hydrosol capping process)에 의해 제조되는 수지공중합체를 하나 이상의 알케닐함유 엔드블록킹 시약(alkenyl-containing endblocking reagent) 처리하므로써 제조된다. 이 다우트 등의 방법은 미국특허 제 2,676,182호에 개시되어 있다. 간단히 말하면, 이 다우트 등의 방법은, 예컨데 헥사메틸디실록산과 같은 실록산, 트리메틸클로로실란(trimethylchlorosilane)과 같은 가수분해형 트리오르가노실래인을 가진 산성조건하에서의 실리카 히드로솔(silica hydrosol)과 반응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또한 M과 Q 단위를 가진 공중합체를 회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그 결과 나오게 되는 공중합체는 일반적으로 히드록실 그룹의 2~5중량%를 함유한다.
오르가노실록산 수지는, 대표적으로 실리콘-결합된 히드록실 그룹의 2중량% 미만을 함유하는 이 수지는, 최종제품에서의 불포화 유기그룹의 3~30몰퍼센트(mole%)로부터 제공에 충분한 량으로 되는 불포화 유기그룹-함유 엔드블록킹제(endblocking agent)와 지방족 불포화 없는 엔드블록킹제와 다우트 등의 성품(product)와의 반응으로 제조된다. 엔드블록킹의 예에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라잔(silaanes), 실록산 및 실래인(silanes)이 포함된다. 적절한 엔드블록킹제는 종래 알려져 있는 것으로는, 미국특허 제 4,584,355호, 4,591,622호, 또는 이들 제제의 혼합물은 수지를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본 특수실시예로서의 중합중추요소(polymeric backbone)를 가진 유기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그룹의 평균치에 대하여 분자별로 일체화되고,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플렌과 같은 폴리머를 기반으로 한 탄화수소에 한하는 것은 아니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폴리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산화물이나 폴리프로필렌 산화물과 같은 폴리에테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polyimides), 폴리우레아(polyureas), 폴리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플루오르화(불소화)된 고무(fluorinated rubber), 최종 불포화된 탄화수소, 올레핀, 폴리올레핀과 같이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되거나 퍼플루오르화(perfluorinated)한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이 화합물은 전술한 폴리머의 공중합체가 또한 되고, 복수의 유기적 기능(multiple organic functionalities), 복수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기능 또는 유기화합물을 가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것들을 포함한다. 이 공중합체 조직은 반복단위 정렬상 랜덤(random), 그라프트 결합(grafted) 또는 블럭(block)상으로 정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조합(combination)"과 "조합들"은 본 출원 전체에 걸쳐 2개 이상의 성분을 가리키는 것으로 같이 동의어로 사용한다.
첨가제를 함유한 에틸렌성 불포화(additive bearing ethylenic unsaturation)의 예에는, 여기에서 첨가제가 전술한 폴리머를 가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공중합체로 되는데, 마트릭스와 조화되는 제 2 중합체와 공중합된 불포화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 포함된다. 그 예로서, 일고르(Yilgor) 등에 의해 발표된 PDMS-우레아블럭 공중합체, 폴리머프리프린트(polymer preprints)(1998년도) 39(2), 1171-1172 페이지 또는 나일론 6-PDMS블럭 공중합체(마코스코(Macosko), 중합 엔지니어링 과학지(2001년도), 41(4), 631-642 페이지, 그리고 아르곤과 코헨 발표, 폴리머 엔지니어링 및 과학지(1996년도), 36(6), 895-7 페이지)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재료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서의 에틸렌성 불포화 함유로 서로 달리하였다. 본 발명에서 첨가제로 유용한 블럭 공중합체의 특수예에는 PDMS-PMVS-우레아, PDMS-PMVS-폴리아미드, PDMS-PMVS-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블럭 공중합체가 포함구성된다. 여기에서, 모노머의 세그먼트(monomeric sgments)는 PDMS와 PMVS를 구성하는데, 이는 유기폴리머 반복단위가 하나 이상의 별도의 블럭과 같이 정렬되는 한 드문드문 연결된다(randomly connected). 일고르는, 그 간행물에서 많은 다른 PDMS-유기블럭 공중합체를 열거했는데, 이 공중합체들은 본 발명에 유용하도록 한 에틸렌성 불포화된 일부를 함입시켜서 개질의 기초를 제공한다. 또한 PDMS 세그먼트에 대해 플루오르화되거나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세그먼트(fluorinated organopolysiloxane segments)를 그러한 공중합체에서 추가적으로 또는 치환하여 포함구성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이 중, 후자의 개략예를 한가지 들면 PDMS-PMVS-PMNFHS-폴리아미드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데, 여기에서 PDMS-PMVS와 PMNFHS모노머 세그먼트(monomeric segments)는 드문드문 분포된다(randomly distributed). 그러나 폴리아미드폴리머 세그먼트(polyamide polymer degments)는 별도의 블럭으로 함께 정렬된다. 이들 블럭공중합체(block copolymers)는 마트릭스폴리머와 혼합되기 전에 이루어지게 되거나, 아니면 마트릭스폴리머(matrix polymer)와 혼합하는 동안 형성된다.
에틸렌성 불포화블럭 공중합체의 한가지 특수 급(class)은 무수물, 카복실산,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기능화된 폴리머(functionalized polymer)와, 에틸렌성 불포화그룹과 또한 기능화된 제 1급 아민 기능화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primary amine functionalized organopolysiloxane)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다. 무수물과 제 1급 아민은 강한 이미드 결합(imide linkage)을 쉽게 만들어준다. 이소시아네이트와 제 1급 아민은 우레아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반응한다. 이미드는 또한 디카복실산(dicarboxylic acids)과 제 1급 아민의 반응으로 형성된다. 제 1급 아민과 카복실산은 아미드결합을 형성한다. 제 1급 아민은 실록산 공중합체 엔드그룹(siloxane copolymer endgroups) 위로 도입되고 또는 펜던트그룹(pendant groups)으로서 도입된다. 무수물 또는 산은 엔드그룹, 펜던트그룹으로서 다른 블럭 속으로 도입되기도 하고, 또는 중추부에 도입되기도 한다. 이 급(class)에서의 한가지 예는 말레인처리된 폴리(페닐렌 에테르)폴리머와 아미노프로필디메틸실록시 정지반응된 PDMS-PMVS 랜덤공중합체와의 반응물이다. 이와 같이, 아민 기능화된 실록산은 다른 무수물 기능화된 폴리머와 반응하여 폴리머를 가진 에틸렌성 불포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블럭 공중합체를 형성하는데, 여기에서 폴리머로서는 폴리스티렌, 규칙성 배열을 가진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를 들 수 있다. 다시 이들 공중합체는 반응성 압출(reactive extrusion), 또는 합성된 엑스-시튜(ex-situ)와 같이 공정진행중 인-시튜(in-situ) 형성된다.
히드로실일화 반응그룹(hydrosilylation reactive group)은 실리콘무수물관능그룹인 곳에서, 첨가제는 오르가노히드로겐폴리실록산, 유기화합물, 오르가노히드로겐폴리실록산의 공중합체, 그리고 유기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이 예에서, 첨가제는 분자당 하나 이상의 실리콘-결합된 수소원자의 평균치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히드록실일화반응그룹이 실리콘수소화물 관능기(silicon hydride functional group), 이어서, 첨가제는 동종중합체(homopolymer) 또는 공중합체(copolymer)이고, 선상의(linear), 분지된(branched), 순환성(cyclic), 또는 수지상의(resinous) 조직을 가질 수 있다. 이 실리콘-결합된 수소원자는 터미널(terminal), 펜던트(pendant) 또는 이 양쪽위치 모두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의 첨가제는 실록산 유닛(siloxane units)을 구성하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HR6 2SiO1 /2, R6 3SiO1 /2, HR6SiO2 /2, R6 2SiO2 /2, R6SiO3 /2, SiO4 /2 유닛을 들 수 있다. 앞서의 공식에서, 각 R6는 지방족 불포화가 없는 1가 유기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본 실시예에서, 첨가제는 다음의 화학식을 가진 화합물로 구성된다.
(c) R7 3SiO(R7 2SiO)ε(R7HSiO)φSiR7 3 또는
(d) R8 2HSiO(R8 2SiO)γ(R8HSiO)ηSiR8 2H,
또는 이들의 조합
화학식 (c)에서, ε는 평균치 0~2000, Φ는 평균치 1~2000를 갖는다. 각 R7은 독립적으로 지방족 불포화 없는 1가의 유기그룹이다. 적절한 지방족 불포화 없는 1가 유기그룹은 예컨데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과 같은 알킬그룹; 페닐, 톨일, 키실릴(xylyl)과 같은 방향족 그룹; 페닐, 톨일, 키실릴; 시아노에틸과 시아노프로필과 같은 시아노알킬그룹(cyanoalkyl groups)에 의해 예로 든 시안-관능기(cyan-functional groups);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3-클로로프로필, 디클로로페닐, 그리고 6,6,6,5,5,4,4,3,3-노나플루오로헥실과 같은 시아노알킬그룹에 의해 일례로 든 할로겐화 탄화수소그룹(halogenhydrocarbon groups); 프로필옥시(propyloxy)(폴리옥시에틸렌), 프로필옥시폴리(propyloxypoly)(옥시프로필렌)과 프로필옥시-폴리(옥시프로필렌)-코(co)-폴리(옥시에틸렌)과 같은 알킬옥시폴리alkyloxypoly(옥시알켄:oxyalkyene) 그룹;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에틸렌헥실옥시와 같은 알콕시그룹(alkoxy groups); 아미노알킬그룹, 예컨데 3-아미노프로필, 6-아미노헥실, 11-아미노운데실, 3-(N-알릴아미노:allylamoni)프로필,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N-(2-아미노에틸)-3-아미노이소부틸, P-아미노페닐, 2-에틸렌피리딘, 3-프로필피롤(propylpyrrole); 부자유 아미노알킬그룹(hindered aminoalkyl groups) 예컨데 테트라메틸피페리디닐옥시프로필(tetramethylpiperidinyloxypropyl); 에폭시알킬그룹 예컨데 3-글리시드옥시프로필,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 그리고 5,6-에폭시헥실; 에스테르 관능기 예컨데 악테톡시메틸(actetoxymethyl) 및 벤조일옥시프로필(benzoylocypropyl); 히드록실 관능기(hydroxyl functional groups), 예컨데 하이드록시 및 2-하이드록시에틸, 이소시아네이트와 마스크한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masked isocyanate functional groups), 예컨데 3-이소시아나토프로필(isocynatopropyl), 트리(tris)-3-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propylisocyanurate), 프로필-t-부틸카바메이트, 그리고 프로필에틸카바메이트; 알데히드 관능기 예컨데 운데카날(undecanal) 및 부티랄데히드(butyraldehide); 무수물 관능기 예컨데 3-프로필 호박무수물(propyl succinic achydride) 및 3-프로필말레인무수물; 카복실산 관능기 예컨데 3-카복시프로필, 2-카복시에틸, 10-카복시데실, 그리고 카복실산의 금속염, 예컨데 3-카복시프로필과 2-카복시에틸의 Zn, Na, K염이다.
식 (d)에서는, γ는 평균값 0~2000의 범위에 있다. 그리고 η는 평균치 0~2000을 갖는다. 각 R8은 지방족불포화 없는 1가 유기그룹이다. 적절한 1가 유기그룹은 지방족불포화 없이,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과 같은 알킬그룹을 포함구성한다; 방향족 그룹, 예컨데 페닐, 톨일, 키실릴(xylyl); 할로겐화 탄화수소그룹, 예컨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3-클로로프로필, 디클로로페닐, 그리고 6,6,6,5,5,4,4,3,3-노나플루오로헥실; 알킬옥시폴리(옥시알켄:oxyalkyene) 그룹, 예컨데 프로필옥시(폴리옥시에틸렌), 프로필옥시폴리(옥시프로필렌)과 프로필옥시-폴리(옥시프로필렌:oxypropylene)-코(co)-폴리(옥시에틸렌:oxyethylene); 알콕시그룹(alkoxy groups), 예컨데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그리고 에틸헥시록시; 그리고 시안-기능-그룹(cyan-functional groups), 예컨데 시아노에틸과 시아노프로필과 같은 시아노알킬그룹(cyanoalkyl groups)이 포함된다. 또한 포함되는 것으로는 예컨데 3-아미노프로필, 6-아미노헥실, 11-아미노운데실, 3-(N-알릴아미노)프로필,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N-(2-아미노에틸)-3-아미노이소부틸, P-아미노페닐, 2-에틸렌피리딘, 3-프로필피롤(propylpyrrole); 부자유한 아미노알킬그룹, 예컨데 테트라메틸피페리디닐옥시프로필; 에폭시알킬그룹 예컨데 3-글리시드옥시프로필,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 그리고 5,6-에폭시헥실; 에스테르 관능기 예컨데 악테톡시메틸(actetoxymethyl) 그리고 벤조일옥시프로필; 히드록실 관능기, 예컨데 히드록시와 2-히드록시에틸, 이소시아네이트와 마스크한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 예컨데 3-이소시아나토프로필, 트리-3-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 프로필-t-부틸카바메이트, 그리고 프로필에틸카바메이트; 알데히드 관능기 예컨데 운데카날 및 부티르알데히드(butyraldehide); 무수물 관능기 예컨데 3-프로필 호박무수물(3-propyl succinic achydride) 그리고 3-프로필말레인무수물; 카복실산 관능기, 예컨데 3-카복시프로필, 2-카복시에틸, 10-카복시데실; 그리고 카복실산의 금속염, 예컨데 3-카복시프로필 및 2-카복시에틸의 Zn, Na, 또는 K의 염(salts)이 포함된다.
일례를 나타내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첨가제(additive)의 적절한 예로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유체(organopolysiloxane fluids), 폴리메틸히드로겐실록산(PMHS)과 PDMS의 아미노프로필디메틸실록시-종지된 랜덤공중합체(aminopropyldimethylsiloxy-terminated random copolymers), PDMS, PMNFHS, PMHS의 α,ω-아미노프로필디메틸실록시-종지된 랜덤공중합체, 3-글리시드옥시프로필디메틸실록시-종지된 랜덤 PDMS-PHMS 공중합체, 그리고 3-글리시드옥시프로필디메틸실록시-종지된 랜덤 PDMS-PMNFHS-PMHS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기중추물(organic backbones)의 일례로서는, 여기에 하나 이상의 실리콘-결합된 수소원자 평균치가 분자당으로 합친 것에 대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나, 예컨데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과 같은 탄화수소기 폴리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그리고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우레아,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그리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같은 부분적인 플루오르화 또는 퍼플루오르화 폴리머(partially fluorinated or perfluorinated polymers), 그리고 플루오르화 한 고무 등과 같이 탄화수소기 폴리머가 포함된다. 이 첨가제는 또한, 복수의 유기 관능성(multiple organic functionalities), 복수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관능성(multiple organopolysiloxane functionalities), 복수의 오르가노히드로겐폴리실록산 관능성(multiple organhydrogenpolysiloxane functionalities) 또는 유기화합물과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오르가노히드로겐폴리실록산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들을 포함한다. 이 공중합체 조직은 반복유닛의 정렬에 있어 랜덤하게(random), 그라프트결합(grafted) 또는 블럭으로(blocky) 정렬된다.
첨가제가 전술한 폴리머를 가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공중합체로 되는 실리콘수소화물 관능성을 지닌 첨가제를 예로 들면, 마트릭스와 조화되는 제 2 폴리머와 시리콘-수화물 기능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공중합된 것을 들 수 있다. PDMS-dfp아블럭 공중합체의 아나로그(analogs)의 예를 들면, 전술한 일고르 등의 폴리머 프레프린드(1998), 39(2), 1171-1172 또는 나일론 6-PDMS블럭 공중합체(마코스코, 폴리머 과학기술지(2001), 41(4), 631-642, 그리고 아르곤과 코헨, 폴리머 엔지니어링과 사이언스지(1996), 36(6), 895-7에서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여기에서 소개되어 있는 재료는 본 발명 실시예와 비교할 때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서의 하나 이상의 실리콘 수화물 그룹의 포함(inclusion)이라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와 같이 개질된 것으로는, 본 발명에서의 첨가제용으로 유용한 블럭공중합체의 특수예로 PDMS-PMVS-우레아(urea), PDMS-PMHS-폴리아미드와 PDMS-PMHS-PBT 블럭공중합체가 있는데, 여기에서 1가의 세그먼트(monomeric sgments)는 PDMS와 PMHS로 이루어지는데, 유기폴리머 반복유닛트(organic polymer repeat units)가 하나 이상의 분리된 별개의 브럭과 같이 정렬되는 한 랜덤하게(드문드문) 연결된다(randomly connected). 일고르는 그 간행물에서, 많은 수의 다른 PDMS-유기블럭 공중합체를 예거한 바 있는데, 이들 공중합체는 본 발명에 의해 유용하게 만들어지는 실리콘수소화물 부분 만큼의 함유로 개질(변형 modification)용 기초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공중합체로서 PDMS 세그먼트, 플루오르화 또는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세그먼트에 대해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하는 것은 유익하다. 이 중, 후자의 급(class)을 개략적으로 한가지 예를 들면, PDMS-PMHS-PMNFHS-폴리아미드 공중합체를 들 수 있는데, 여기에서 PDMS-PMHS와 PMNFHS 1가 세그먼트는 랜덤하게 분포되며, 단 폴리아미드폴리머 세그먼트는 별개의 블럭으로 같이 정렬된다. 이들 블럭공중합체는 마트릭스폴리머와 혼합하기 전에 예비성형되거나 또는 마트릭스폴리머(matrix polymer)와 혼합하는 동안 성형된다.
실리콘수소화물 기능성블럭 공중합체의 한가지 특수 급(particular class)은 제 1급 아민 관능화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역시 관능화된 실리콘수소화물 그룹, 무수물, 카복실산,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관능화된 폴리머와의 반응으로 형성된다. 무수물(anhydrides)과 제 1급 아민은 강한 이미드 결합(imide linkage)을 형성하기 위해 용이하게 반응한다. 이소시아네이트와 제 1급 아민은 우레아 결합(urea linkages)을 형성하기 위해 반응한다. 이미드는 또한 디카복실산과 제 1급 아민의 반응으로 또한 형성된다. 제 1급 아민과 카복실산은 아미드 결합을 형성한다. 이 제 1급 아민은 실록산 공중합체 엔드그룹에 도입되거나 펜던트그룹으로 도입된다. 무수물 또는 산은 엔드그룹(endgroups), 펜던트그룹(pendant groups)으로, 또는 중추부(backbone)에서 다른 블럭 속으로 도입된다. 이 급(class) 중, 한가지 예는 말레인화된 폴리(페닐렌 에테르)을 가진 폴리머로 아미노프로필디메틸실록시-종지된 PDMS-PMHS 랜덤공중합체(aminopropyldimethylsiloxy-terminated PDMS-PMHS random copolymer)의 반응물(reaction product)이다. 이와 비슷하게, 아민 관능화된 실록산은 다른 무수물 관능화한 폴리머와 반응하여 폴리머를 가진 실리콘 수소화물 관능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블럭공중합체를 형성한다. 그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규칙적 교대배열성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polyamides), 폴리에스터, 폴리이미드(polyimides)를 들 수 있다.
재언하면, 이들 공중합체는 반응 압출(reactive extrusion), 또는 합성한 엑스-시투(ex-situ)와 같은 것에 의해 공정진행중 인-시투(in-situ)로 만들어진다.
가수분해(hydrolysis)와 오르가노할로실래인(organohalosilanes)의 응축과 같이, 첨가제로 이용되기에 적합한 선상의(linear), 분기된(branched), 순환성 오르가노히드로겐폴리실록산(organohydropolysiloxanes)은 종래 잘 알려진 것들이다. 첨가제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오르가노히드로겐폴리실록산 수지의 제조방법은 또한 미국특허 제 5,310,843호, 4,370,358호, 4,707,531호에 일례로서 잘 나타나 있다.
알아야 할 것은 첨가제에서 히드로실일화반응그룹(hydrosilylation reactive group)은 에틸렌성 불포화 관능기(ethylenically unsaturated functional group)과 실리콘 수소화물 관능기(silicone hydride functional group)과의 혼합을 포함구성한다. 물론, 이러한 특수한 경우에 조성물을 히드로실리레이션 촉매(hydrosilylation catalist)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아래에 설명한다.
어떤 실시예에서도, 첨가제는 단일 폴리머(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됨), 유기화합물, 2 이상의 폴리머들의 조합, 2 이상의 유기화합물, 또는 하나 이상의 폴리머, 하나 이상의 유기화합물이 되는데, 이는 다음의 항 중에서 조직, 평균분자량, 점도, 실록산 유닛, 배열 등 중 최소 하나 이상은 달리한다.
어떤 실시예에서나,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첨가제는 0.001~30 중량부의 량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지성분 100 중량부당 0.01~5.0 중량부이다. 조성물(composition)은 히드록시실화 촉매그룹을 또한 포함구성한다. 만일 포함될 경우에는, 촉매는 히드로실화 촉매그룹과 자유래디칼 개시제(free radical initiators)용 활성제(activators)로부터 선택된다.
일례로서, 히드로실화 촉매(hydrosilylation catalist)는 조성물에 0.1~1000ppm의 촉매량으로 첨가되고, 가급적 1~500ppm, 바람직하게는 2~200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5~150ppm으로 첨가한다. 적절한 촉매 자체는 종래 이미 알려져 있고, 상업용으로 판매되고 있다. 이 촉매는 백금(pt.), 로듐(rhodium), 루테늄(ruthenium), 팔라듐(palladium), 오스뮴(osmium), 또는 이리듐 금속(iridium metal) 또는 이들의 오르가노 금속의 화합물(organometallic compound)로부터 선택되는 백금족 금속(platinum group metal)을 포함구성한다. 이 촉매는 클로로플라틴산(chloroplatinic acid), 클로로플라틴산 헥사하이드레이트(chloroplatinic acid hexahydrate), 백금 2염화물(platinum dichloride), 마트릭스 또는 코어쉘형 조직(coreshell type structure)에서의 저분자 중량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가진 상기 화합물의 착화합물(complexes) 또는 마이크로캡슐화된 백금화합물이 대표적인 예이다. 저분자중량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가진 백금의 착화합물은 백금을 구성하는 1,3-디에테닐(diethenyl)-1,1,3,3-테트라메틸디실록산 착화합물과 백금을 구성하는 할로겐-치환된-오르가노실록산 착화합물(halogen-substituted organosiloxane complexes)을 포함한다. 이들 착화합물은 수지마트릭스에서 마이크로캡슐화된다(micro encapsulated in a resin matrix).
적절한 히드로실화 촉매는 예컨데 미국특허 제 3,159,610, 3,220,972, 3,296,291, 3,419,593, 3,516,946, 3,814,730, 3,989,668, 4,784,879, 5,036,117, 5,175,325 및 유럽특허 EP 0 347 895 B를 들 수 있다. 마이크로캡슐화된 히드로실화 촉매도 적절하고, 이들의 제조방법 또한 종래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 4,766,176호에, 그리고 참고 비교기술이 미국특허 제 5,017,654호에 인용개시되어 있다.
자유래디칼 개시제용 활성제의 예로서는 코발트(Ⅱ)나프테네이트(naphthenate), 코발트(Ⅱ)-2-에틸헥사노애이트(ethylhexanoate), 철 옥토에이트(iron octoate)와 N,N디메틸-p-톨루이딘(toluidine)과 2,6-디에틸 아닐린(diethyl aniline)과 같은 과산화수소용 유기활성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소시아네이트무수물-, 그리고 카복실 산-기능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그리고 이소시아나토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isocyanatopropyl triethoxysilane)과 같은 아민 반응그룹을 보유하는 알킬보란-아민 착화합물(alkylborane-amine complexes) 등의 유기 과산화물(organic peroxides)용 전이금속 활성제(transition metal activators)를 들 수 있다.
이 조성물은 또한 수지성분과 첨가제를 사용(compatibilize) 또는 적용시키기 위한 상용제(compatibilizing agent)를 포함구성한다. 이 상용제는 수지성분의 화학조성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기 세그먼트(organic segment)가 상용하게 되는 첨가제와 화합물을 이루는 유기 세그먼트이다. 만일 함유된다면, 이 상용제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례로서 톨루엔, 크실렌, 테트라하이드로푸란(tetrahydrofuran), 헵탄(heptane)과 같은 용매와; 20cp 보다 적은 디메틸실록산 유제(dimethylsiloxane fluids) 또는 시클로실록산(cyclosiloxanes)과; 폴리프로필에네글리콜(polypropylene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비이온식 표면활성제(nonionic surfactants); 음이온 표면활성제(anionic surfactants); 양이온 표면활성제(cationic surfactants); 실란 또는 티타네이트 커플링제(titanate coupling agents)를 포함한다.
한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다면, 수지는 제 1 표면에너지를 갖는다. 그리고 첨가제는 제 2 표면에너지(surface energy)를 갖는다. 제 2 표면에너지는, 다시말해, 첨가제의 표면에너지는 제 1 표면에너지보다 적다. 그 결과, 첨가제는 기질(substrate)의 표면으로 향해 이동해간다. 이는 조성으로부터 형성되어 첨가양생재와 기질과의 부착성을 향상시키는데, 이는 부착제, 가스켓, 코팅 등과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표면부화(surface enrichment)라 부르기도 한다. 만일 수지성분이나 첨가제가 고체상태이면, 표면에너지는 표면자유에너지로 불리우는 것이 보다 적합하다. 그 반면, 만일 수지성분이나 첨가제가 액상이면, 표면에너지는 액상표면장력으로 불리워지기 쉽다.
또는 상대적인 표면에너지에 덧붙여, 첨가제는 복합물(composite article)의 기질 또는 기질 표면에 첨가제의 히드로실화 반응그룹이 나타나게 해주는 물성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첨가제는 기질 표면을 향하여 첨가제를 이동시키거나 또는표면을 부화시키므로써 첨가양생재(addition-curable meterial)와 기질을 부착시키게 하는 물리적 성질을 갖는다. 수지성분의 물리적 성질과 첨가제의 물리적 성질 사이의 상대적인 차이는 이러한 이동을 촉진해준다. 이 첨가제의 물리적 성질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나, 예컨데 밀도, 용해계수, 분자구조, 분자중량, 점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구성한다.
수지성분과 첨가제는 또한, 표면에 대해 첨가제의 이동을 선호하는 조건으로 공정 진행된다. 예컨데, 사출 또는 주입모울딩에서, 압출속도 또는 주입속도, 용융온도, 모울드온도, 순환시간은 상기 소정의 이동을 성취하기 위해 여러가지로 변모된다. 표면에의 첨가제와 그 히드로실일화 그룹(hydrosilylation groups)의 이동(migration)은 복합물의 기질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정에 의해 보다 더 촉진되는데, 이는 유동학적 흐름라인(rheological streamlines)과 열적구배(thermal gradients)를 가로질러 이동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이용하면서 더욱 촉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표면으로 첨가제를 이동하도록 리드하는 좀 다른 제 2의 작업을 수행하거나 아니링한 데 있다. 다른 가능한 처리는 추출용매 또는 용매기포(solvent vapors)에의 노출(exposure)이다. 표면에 대한 첨가제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영속성을 위해서는 수지성분에 화학적 방법으로든 물리적 방법으로든 "앵커링(anchoring)"되게 할 필요가 있다. 이 앵커링은 폴리머 엉킴(polymer entanglement), 공유결정화(co-crystallozation), 이온성 교호작용(ionic interaction), 수소결합, 산기(acid-based) 또는 다른 그 성분 교호작용(binary interations), 또는 수지성분의 일부에 대한 첨가제의 공유결합(covalent bonding)에 의해 수행된다.
첨가제가 특히 수지성분보다 높은 표면에너지이거나 동일한 표면에너지로 되는 경우에는, 첨가제는 수지성분으로부터 1-2(MPa)0.5보다 큰 용해도 계수(solubility parameter)를 갖거나 또는 수지성분보다 낮은 점도, 밀도 및/또는 분자중량을 가지는 것이 통상적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 조성물은 수지성분과 첨가제를 같이 화합시켜서 만들어지는데, 여러가지 조성물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이 조성물은, 첨가제와 수지성분을 포함구성하고, 잘 알려져 있는 뱃치(batch)식 또는 준 연속적이거나 연속적인 폴리머 가공장치에 의해 제조된다. 가급적, 이 조성물은 쌍-스크류 압출기(twin-screw extruder) 또는 주입모울딩 장치에 의해 제조된다. 그 결과,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가제가 수지성분으로 공동압출(co-extrusion)을 거쳐 수지성분 속으로 합체되는데, 이는 고체 펠렛트(solid pellets)의 형으로 쌍-스크류 압출기 속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알아야 할 것은, 첨가제는 수지성분이 쌍-스크류 압출기에서 수지성분이 압출된 후에는 수지성분 속에서 일체화된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 조성물은 대표적으로 압출기와 같은 혼합장치에 모든 구성성분을 화합시켜서 생산된다. 압출기(extruders), 리본혼합기(ribbon blenders), 용액혼합(solution blending) 장치, 공동반죽기(co-kneaders), 쌍-로토회전 혼합기(twin-rotor mixers), 반부리형 혼합기(Banbury-type mixer) 또는 기타 다른 적절한 장치와 같은 기계적 혼합장치나 기술이 이용된다. 모든 성분, 수지성분과 첨가제(그리고 충전제, 강화제, 핵생성제 즉 조핵제(nucleating agents), 안정화제(stabilizers), 상용제(compatibilizers) 등과 같은 모든 성분은 압출기에서 함께 화합된다. 첨가제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혼합장치 속으로 첨가되든가 또는 마스터 뱃치(master batch)로 포함된다. 액상성분은 혼합장치 속으로 주입되거나, 건조성분과 혼합되거나 하고 다음 혼합장치 속으로 장입된다. 모든 혼합은 모든 성분을 잘 용융되게 하고 혼합되게 하는 온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만, 질저하 또는 감성(degradation)되지 않도록 너무 온도가 높지 않아야 한다.
조성물이 수지성분의 량과 비교해 첨가제의 량을 높게 농화시키면 이 조성물로 고체펠렛트를 만들 수도 있다. 이 첨가제는 첨가제의 효과적인 전달(delivery)을 촉진하기 위해 공정상 어느 지점에서나 첨가 가능하다. 그 한가지 방법이 소위 "염과 후추(pepper)"로 통상 불리우는 플라스틱에서 착색재(colorants)로 쓰이는 방법이다.
본 발명 조성물은 다른 방법으로도 효과적으로 사용되어 만들어질 수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공정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한가지 양태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필름막에 관한 것이다. 이 필름은 단일축(uniaxial), 양축 또는 다축방향을 가진 필름은 물론 단층이나 다층필름(multilayer films)으로도 가능하다. 이 필름은 대표적으로 20mils 이하의 두께를 가진다. 이러한 필름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나, 축전기 필름, 키패드(key pad), 단일축 방향 필름(uniaxially oriented film), 기후성 필름(weatherable film), 라벨, 해제라이너(release liners), 창문봉함 필름, 상자/화물 창문용 필름, 의약 포장용 필름, 필름시트, 쟁반, 그라프예술 필름, 막스윗치(membrane switches), 식품 및 의약용 블리스터 포장용 필름, 자외선 보호필름, 이축방향 필름과 같은 부푼 필름, 용매 캐스트 필름(solvent cast films)과 같은 캐스트 필름(cast film)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그것과 같이 조성물로부터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종래 잘 알려져 있고, 플라스틱 인더스트리 인코포레이티드의 플라스틱 엔지니어링 핸드북 제 4판 1976년도 156, 174, 180, 183 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쉬트(sheet)에 관한 것이다. 통상 쉬트는 두께 20mils 이상이다. 이 쉬트로서는 주로 자동차 유리, 건축용 유리, 구매용 전시판, 기계보호구, 천정등 판넬, 태양집광기, 얇은 판넬 디스플레이, 농구 배판, 창 스크린, 버그 반사기(bug deflector), 선루프(sun roofs), 도로표지판, 보호쉬트(하키 링크에 사용되는 판과 같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쉬트는 콘테이너 용기 등과 같은 품목을 제조하기 위해 열 성형(thermoform)된다.
본 발명의 그것과 같은 조성물로부터 쉬트를 제조하는 방법은 잘 알려져 있고, 여기에는 압출, 압착 로울링(calendering) 등의 방법이 있는데, 이 모두 전술한 플라스틱 산업계지인 플라스틱 엔지니어링 핸드북 제 4판 1976년도판 183, 348, 357 페이지에 수록되어 있다.
필름과 쉬트의 추가적인 적용분야로서는 단단한 회로기판에 사용되거나 유연하거나 거의 유연한 전기회로소자용 테이프, 극초단파쉬트와 포장, 열성형 컵/용기, 선루프, 식품용 용기와 쟁반, 액상 결정 디스플레이기질, 배면돌출 TV스크린(rear projection TV screen), 음료기기커버, 라벨, 건축용 및 그린하우스용 창, 버그 반사기, 측부창 스크린, 극초단파 관련 기기도어, 개량된 경도, 스크랫치 또는 내마모성, 표면광택 및 투명도 보호용 캡층이나 필름; 그라프 예술필름, 레이저 판독용 화물창문 필름, 인덱스 탭스(index tabs), 약제 포장, 태양 셀커버(solar cell cover), 열봉함 필름(heat sealable films), 감광필름, 기후번화 적용필름 또는 쉬트, 전기적인 그리고 축전지 필름, 투명필름, 장애물필름, 창문용 필름, 스팀교반 필름, 오락용 차량 외부 창, 보트/해저 외부구성품 예컨데 투명한 햇치, 캠퍼톱스(camper tops), 문밖 도로표지(outdoor signage) 등의 용도를 열거할 수 있다.
상기 필름과 쉬트는 단층 또는 다층조직을 갖는다. 추가되는 층은 다른 폴리머 재료로 할 수 있다. 이들 쉬트는 잘 알려진 방법으로 열성형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조성물로부터 만들어지는 압출플필(extruded profiles)에 관련되어 있다. 그러한 프로필은, 제한받지 아니하며, 창유리 블라인드(window blinds)와 지팡이프로필, 루프씌우기 제품, 외부트림, 창문장식, 튜브, 파이프, 롯드, 형광튜브, 포장물, 플라스틱제 통나무 등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그것과 같은 조성물로부터 상기 프로필을 제조하는 방법은 전술한 플라스틱 엔지니어링 핸드북 제 4판 1976년도판, 191 페이지에 소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는 조성물로부터 만들어지는 섬유와 관련된다. 이 섬유에는 전자 광섬유, 섬유 유리용 제품, 섬유강화제, 필터중개물, 직물, 부직포, 얀 등과 같은 섬유들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그것과 같은 조성물로부터의 섬유제조방법은 종래 잘 알려져 있고, 스펀본드 섬유 또는 멜트블론 섬유(melt blown fibers)를 들 수 있는데, 이는 미국특허 제 4,340,563호, 4,663,220호, 4,668,566호, 4,322,027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겔스펀 섬유(gel spun fibers)는 미국특허 제 4,413,110호에 그리고 미국특허 제 3,485,706호에 개시된 것으로부터 제조되는 섬유는 모두 일체화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는 조성물로부터 만들어지는 코팅물에 관련되는 것이다. 이 코팅물에는 압출피복품과 수용성 분산코팅물, 코팅된 섬유직물, 콘트리트와 같은 피복된 무기재, 유리, 피복된 종이 또는 카드보드(cardboard), 피복된 목재제품, 피복된 금속제품 등이 포함된다. 카펫 백킹(carpet backing), 천막(awnings), 차광섬유(shading fabric), 인도어 및 아웃도어 선스크린, 벽커버, 식품포장, 미세기공 방수포, 텐트섬유, 카라반포, 정원가구가먼트, 안전보호용 포, 필름, 섬유제품, 의상, 붕대 등이 포함된다. 또한, 피복제품은 스핀코팅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여기에서 조성물은 모울드 위로 스핀코팅된다(spin-coated). 예컨데 광학매체 디스크 위로 광학매체 디스크(optical media disc)를 스핀코팅하거나, 또는 광학매체 디스크 위로 스핀코팅(spin coating)하는 것이다. 또한 침지된 제품도 또한 조성물의 코팅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특히, 침지된 물품(dipped goods)은 조성물의 수분산(aqueous dispersions)이나 그 블렌드(blends), 즉 혼합물을 이용하여 제조 가능하다.
본 발명상의 그것과 같은 조성물 피복방법은 알려져 있고, 이는 압출, 용매 캐스팅(solvent casting), 그리고 수용성 분산/에멀죤으로부터의 코팅, 이 모든 것은 전술한 플라스틱 엔지니어링 핸드북 제 4판, 1976년도, 185 페이지에 기재되어 있고, 스핀코팅은 미국특허 제 5,635,114호, 5,468,324호 및 5,663,016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 참고문헌으로 부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주입모울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주입모울드 제품에는, 응용기기부품, 리크레이션 제품, 자동차용 용구, 예컨데 밸브 커버, 흡입구 매니폴드 커버(intake manifold cover), 후드하부보호 하우징, 연결구, 센서, 전력 배전센터, 기타 다른 자동차 전자 및 전기기기 부품, 산업부품, 잔디 및 정원 기기류, 정보기술 부품, 컴퓨터 장비, 통신부품 및 공구부품들이 있다.
본 발명의 그것과 같은 조성물로 주입모울딩하는 방법은 잘 알려진 것으로 전술한 플라스틱 엔지니어링 핸드북 제 4판, 1976년도, 83 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바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회전모울드 제품에 관한 것으로, 많은 제품을 포함한다. 예컨데 완구(장난감 말, 인형, 모래주머니, 작은 수영푸울, 경기용 볼), 콘테이너 용기, 광 글로브, 저장탱크, 가구, 카보이, 병, 선적용 콘테이너, 업무 및 레크리에이션용 가구, 식재구, 트라쉬 용기, 소용돌이 통, 라이트 글로브, 보-트, 커누, 캠퍼톱스(camper tops), 선전 디스플레이 싸인, 선반, 마네킹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상의 그것과 같은 조성물로 회전 모울딩법, 회전/슬러쉬 모울딩 방법(rotational/slush molding)도 또한 전술한 플라스틱 엔지니어링 핸드북 제 4판, 1976년도, 348 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는 조성물로부터 만들어지는 송풍 모울딩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송풍 모울딩된 제품(blow molded articles)에는 압출된 병, 어린이 젖병과 의료용 병과 같은 주입 모울딩 병, 물탱크, 에어덕트, 중공의 산업부품, 시트백, 유체보존기, 스타디움 깔개, 사무용 집기커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그것과 같이 조성물로 송풍 모울딩하는 방법은 잘 알려진 것으로 전술한 플라스틱 엔지니어링 핸드북 제 4판, 1976년도, 326 페이지에 실려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제품에 관한 것인데, 그 예로서는 연속적인, 횡단면을 갖는 압출된 프로필, 즉, 동일한 프로필다이를 통해 폴리머 용융체와 연속섬유로 압출시켜 만든 제품, 구조를 가진 빔, 강화된 봉, 바리케이드, 복합파이프, 자동차 범퍼 모울딩, 콘트리트 강화폼, 창/도어 리닐(lineals), 목재강화품, 라미네이팅 된 들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품의 플투루죤(pultrusion) 제조방법 등은 역시 전술한 플라스틱 엔지니어링 핸드북 제 4판, 1976년도, 47 페이지에 수록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발포성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이는 조성물을 발포(foaming)시키고 다음 상기 공정기술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서 제조되는 것이다. 송풍제(blowing agents)와 송풍기술은 수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조성물 발포에 그리고 발포제품의 제조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는 캐스팅(casting, 또는 압출모울딩)에 의해 조성물로부터 제품을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는 풀투루죤(pultrusion), 레이업(lay-up), 반응주입몰딩, 쉬트몰딩화합물, 캐스팅과 같은 대표적인 열경화성 공정기술에 의해 조정물로부터 제품을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모든 최종 용도 제품은 단일층 또는 다층을 가진 제품(multilayered products)으로 제공되는데, 여기에서 어떠한 층도 여기에서 설명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첨가양생재(addition-curable material)는 복합조직에서의 용도인 경우 첨가반응으로 양생되는 한 어떠한 화학적 성분이라도 가능하다. 이들 특수조성물에 따라, 첨가양생재는 상온에서 양생되고, 또는 이 양생은 열을 가하거나 열복사로 촉진된다. 경우에 따라, 첨가양생재의 조성물은 2 이상의 별개 성분으로 나누어져 혼합하면 신속히 양생되게 하여 주는 것이 있는데, 이 별개의 성분이 서로 혼합되지 못하면 저장상태로 안정성을 유지하여 주게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첨가 양생조성물이 양생되기 전에 이 첨가양생조성물이 기질(substrate)에 가하여지는 것이 대표적인데, 그러나, 기질에 이 첨가양생재를 가할 때 부분적으로 양생되거나 심지어 충분히 양생된 상태와 조건(예컨데 예비성형된 쉬트로)하에서 가해지게 되면 추가적인 열, 방사 또는 시간을 가할 경우 계속적으로 후양생(subsequent post-cure)이 되게 된다. 첨가양생재는 히드로실일화, 자유라디칼 양생(free radical cure),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양생(cationic cure)을 거쳐 양생되는 오르가노실리콘-함유재료(organosilicon-containing material)가 좋다. 또한, 첨가양생재가 실리콘부착제, 엘라스토머(elastomer), 겔(gel), 또는 수지가 히드로실일화(hydrosilylation), 즉, 히드로실일화-양생재(hydrosilylation-curable material)와 같이 널리 알려진 것을 이용하면 더욱 좋다. 알아야 할 것은 첨가양생 가능한 재료는 채워지는 것 아니면 못채워진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실록산 부착제(siloxane adhesives), 엘라스토머, 겔 그리고 수지는 알려진 첨가제로 변형되는 것인데, 예컨데 양생변형제, 강화필러(reinforcing fillers), 연신제(extending fillers), 열전도성 충전제(thermally conductive fillers), 부착촉진제(adhesion promoters), 안료(pigments), 염료(dyes), 공동감소제(void reducing agents), 산 수용기(acid acceptors), 산화방지제(anti-oxidants), 안정제, 열 안정제(heat stabilizers), 자외선 안정제, 난연제(flame retardants), 실일화제(silylating agents), 건조제(desiccants), 발포제(blowing agents) 등을 들 수 있다.
조성물이 에틸렌성 불포화그룹을 가진 첨가제로 수지성분으로 구현되는 경우에 엘라스토머(SiH:Vi 비율>1) 및/또는 엘라스토머에서 표면활성 실리콘 수소화물 관능성분에 관한 실리콘 수소화물 관능그룹을 초과하는 질량을 갖는 히드로실일화 양생엘라스토머를 사용하는 것은 특히 바람직한 장점을 가져온다. 또한, 조성물이 실리콘 수소화물 관능그룹을 갖는 첨가제로 수지성분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한 것은, 엘라스토머(SiH:Vi <1) 및/또는 엘라스토머에서 에틸렌성 불포화성분으로 된 표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에서 실리콘 수소화물 그룹에 관하여 에틸렌성 불포화그룹을 질량 초과로 갖는 히드로실일 양생가능한 엘라스토머(hydrosilylation curable elastomer)를 사용하는 것이다.
결국, 첨가양생재는 도포되는데, 다수의 기질 사이에서 또는 기질 위로 가해진다. 여기에서 하나 이상의 기질은 본 발명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알아야 할 것은, 기질의 나머지는 또한 상기 조성물이거나 또는 금속이나 무기기질(inorganic substrate)과 같이 완전히 다른 것이거나 이다. 또한, 기질은 첨가양생재가 그 위로 배포되는 하나 이상의 층으로 본 발명 조성물을 구성하는 한, 다층으로 된다. 이와 같이, 첨가양생재와 복합물의 기질 사이의 부착성은 향상되는데, 그 이유는 전부는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기질이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기 때문이고 또한 조성물이 첨가양생재와 반응하기 위한 히드로실일 반응그룹을 갖는 첨가제를 포함구성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향상된 복합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에서, 첨가양생재는 복합물의 하나 이상의 기질에 결합되고, 이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150℃ 이하의 온도, 특히 상온에서 복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첨가양생재를 양생하는 것에 관여한다. 그리고, 충분한 부착성을 만들어준다. 그러나, 이 방법과 여러가지 온도의 범위는 이하에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향상된 방법에는 첨가양생재를 분포시키는 방법이 포함되고, 부착제, 하나 이상의 기질이 포함된다. 그런 다음 첨가양생재를 먼저 채용한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양생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복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첨가 재결합되게 한다. 첨가양생재가 본 발명에 따라 양생되면, 기질과 첨가양생재는 그렇지 않을 경우보다 보다 낮은 온도에서 같이 결합되게 된다. 다시말해,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기질로 즉, 본 발명상의 수지성분과 첨가제로 본 발명상의 복합물(composite article)은 종래 기술상의 복합물에서 채용하여 온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제조 가능한 것이다. 알아야 할 것은, 첨가양생재가 기질과 첨가양생재가 상호 결합되는 것이 기질을 형성하는 조성물의 특수 수지성분에 따라 가변되어 양생된다.
일반적으로 이 온도는 -100℃~300℃의 범위에 있다. 그러나, 특수 수지성분에 따라, 넓은 범위 내에서 온도가 가변된다. 온도범위 -100℃~300℃의 범위라하지만, -100℃보다 낮은 온도, 그리고 300℃를 넘는 온도도 나올 수는 있다. 예컨대, 수지성분이 변형안되는 규칙성 교대배열을 가진 폴리스티렌, PTFE, 또는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무극성 플라스틱으로 되면, 첨가양생재를 양성하기 위한 최고온도는 즉, 기질과 첨가양생재가 서로 결합되도록 양생하는 최고온도는 보다 구체적으로 말해 300℃ 미만(<300℃)이다. 그러나, 이러한 샘플에서 최대효과를 거두기 위해, 온도범위는 -40℃~150℃의 범위로 하는 것이 좋고, 그중에서도 0℃~100℃,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15℃~35℃이다. 만일 수지성분이 유리강화 PBT와 비슷한 것이라면, 첨가양생재를 양성시키기 위한 상한 온도는 기질과 첨가양생재가 결합되도록, 보다 구체적으로 말해 80℃ 미만(<80℃)이 좋다. 이러한 경우, 최대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 온도범위는 -40℃~80℃, 보다 바람직하게는 0℃~60℃, 가장 바람직하게는 15℃~35℃로 잡는 것이다. 이와는 별도로, 첨가양생재의 양성단계는 기질과 첨가양생재가 서로 결합되도록 5초(sec)~24시간(hr) 범위의 양생시간을 갖게 하는 것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초(sec)~2시간(hr)이다. 이 방법은 복합물이 모두 충분히 양생되어 충분히 고화되도록 해준다. 마지막으로, 첨가양생재는 기질에 배포되어, 즉, 계략 및 혼합, 압출 및/또는 로봇트 사용 또는 수동으로 첨가된다.
위 방법의 한가지 예로서는, 충분히 결합된 복합물을 하나 이상의 기질 위로 첨가양생재를 배포하므로써,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이지만, 물 비등점(100℃)보다도 낮은 온도에서 첨가양생재를 동시적으로 양생하고 기질에 결합되게 하므로써, 그에 따라 기질의 예비건조의 필요성을 없애준다. 위 방법의 다른 예를 들어보면, 복합물이 상온에서 유사한 상태로 양생되고 결합되므로써 양생용 오븐(curing ovens)을 필요없게 한다.
전술한 바로 알아야 할 것은, 어떠한 첨가양생재도 본 발명의 조성물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바람직한 첨가양생재가 히드로실화에 의해 양생 가능한 실리콘 부착제(silicone adhesive), 엘라스토머(elastomer) 또는 수지(resin)로 되더라도, 다른 첨가양생재는 자유 라디칼 양생재(free radical curable materials)와 양이온 양생재를 들 수 있는데, 이들은 에틸렌성 불포화나 실리콘 수소화물 중 어느 하나와 화학적으로 상호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한가지 장점은, 부착성 촉진 화합물을 생략 가능하게 한다는 점이다. 이 화합물은 경제적인 문제를 가져오지만, 그 밖에도 작업 결과를 악화시키는데, 이에 따라 본 발명 조성물에 대한 부착성을 잃지 않고도 소정의 첨가양생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수지성분이 피복되지 않은 다른 기질에 대한 부착성의 경우, 예컨대 금속 및 무기유리표면(inorganic glass surface)을 가진 기질과 같은 경우, 첨가양생재는 실란커플링제(silane coupling agent) 같은 부착성 촉진 화합물(adhesion promoting compounds)을 함유하는 것이 수지성분에 대해 부착성이나 양생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한가지 예로서, 상기 조성물이 특수 수지성분과 특수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인데, 이러한 경우, 보다 구체적으로 말해 수지성분이 유기 및 폴리머성이고, 에틸렌성 불포화 및 실리콘 수소화물 관능그룹이 없는 경우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수 수지성분은 일반적으로 복합물의 적용에 따라 선택된다. 본 실시예에서, 적절한 수지성분의 일례를 들면, 폴리머, 수지성분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스티렌, 치환된 스티렌(substituted styrenes), 디아민(diamines), 2산(diacids), 락탐(lactams), 디올(diols), 올레핀, 치환된 올레핀(substituted olefin), 케톤, 치환된 케톤(substituted ketones), 알데히드, 치환된 알데히드(substituted aldehydes),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말레인무수물(maleic anhydride), 이산화탄소, 또는 이들의 조합(combinations)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노머(monomer or monomers)로부터 유도된다. 또한, 수지성분은 또한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polyamides),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레핀,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에폭시, 폴리페닐렌 산화물, 할로겐 치환된 유기폴리머(halogen-substituted organic polymer), 폴리시클로헥산테레프탈레이트(polycyclohexaneterephthalates),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로 된다.
적절한 수지성분에 포함되는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혼성배열 폴리스티렌(atactic polystyrene), 동일배열 폴리스티렌(isotatic polystyrene), 규칙성 교호배열 폴리스티렌(syndiotatic polystyrene), 나일론6, 나일론(nylon)6,6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시안에스테르(cyanate ester), 비스말레이미드 트리아진(bismaleimide triazine),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수지성분을 들 수 있다.
전술한 적절한 수지성분의 넓은 가변범위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상의 수지성분은 보충적인 첨가제(supplemental additives)로 변형되는데, 예컨대 산화방지제(antioxidants), 안료나 염료와 같은 착색제(coloring agents), 난연제(flame retardants), 가공보조제(process aids), 정전방지제(antistatic agents), 충격완화제(impact modifiers), 조핵제(nucleating agents)m 유동보조제(flow aids), 발화방지용 첨가제(ignition resistant additives), 커플링제(coupling agents), 윤활제(lubricants), 봉쇄방지제(antiblocking agents), 몰드해제용 첨가제(mold release additives), 가소제(plasticizers), 자외선 억제제(ultraviolet ray inhibitors), 열안정제(thermal stabilizers)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특수 수지성분은 전술한 바의 충전제(fillers) 또는 강화제(reinforcing agents)를 합체화할 수 있다. 나아가, 실란기 커플링제(silane based coupling agents) 또는 티타늄기 커플링제(titanium-based coupling agents)는 상기 충전제와 강화제의 표면처리용으로 사용된다. 전술한 이 커플링제는 적절하다.
특수첨가제는 본 실시예에서 특수 수지성분 속으로 첨가되는 특수 첨가제는, 플루오르-치환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fluorine-substituted organopolysiloxane), 아미노-관능 오르가노폴리실록산(amino-functional organopolysiloxane), 불포화 카복실산(unsaturated carboxylic acid) 또는 카복실산염(carboxylic acid salt)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 여기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전술한 실시예에서 알아야 할 것은, 용어 오르가노폴리실록산(organopolysiloxane)이 붙은 것은, 플루오르 치환된 것이건, 아미노-관능그룹의 것이건, 아니든 공중합체, 즉, 유기블럭(organic blocks) 및/또는 다른 화학화합물과 공중합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구성한다. 이 용어는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오르가노히드로겐폴리실록산을 포함하기도 한다.
요구가 없더라도, 본 실시예에서의 첨가제는 히드록실 관능그룹, 알콕시 관능그룹 및/또는 에폭시 관능그룹이 없이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첨가제는 수지성분 100 중량부일 때 가급적 0.001~3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0 중량부로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이 첨가제는 첨가양생재와 반응하기 위한 히드로실일화 반응그룹(hydrosilylation reactive group)을 포함한다. 위에서 말한 첨가제로, 히드로실일 반응그룹은 에틸렌성 불포화 관능그룹이거나 실리콘 수소화물 관능그룹으로 할 수 있다. 어느 관능그룹이든 첨가양생재와 반응한다.
첨가제가 플루오르-치환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고, 히드로실일화-반응그룹이 에틸렌성 관능그룹을 포함하게 되면, 플루오르-치환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플루오르 치환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 또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공중합체까지도 포함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많은 서로 다른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인 경우에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가 T 구조적 단위, Q 구조적 단위, 또는 T와 Q의 구조적 단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한, 용어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는 일반적으로 학술명과 종래 알려진 식에 따라 M, D, T, Q 구조적 단위의 조합을 가리킨다. 이와 같이,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용으로 가능한 조합으로는 DT, MDT, DTQ, MQ, MDQ, MDTQ, DT 그리고 MQ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플루오르-치환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폴리아미드 블럭(polyamide blocks), 폴리에스터 블럭, 폴리올레핀 블럭, 플루오르 치환된 유기폴리머 블럭, 폴리우레아 블록, 폴리(페닐렌에테르 phenylene ether) 블록, 규칙적 교호배열성 폴리스티렌 블록(syndiotatic polystyrene blocks),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블럭으로 공중합화 가능하다. 만일 첨가제가 에틸렌성 불포화 관능그룹으로 플루오르치환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면, 본 실시예에서, 플루오르 치환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3,3,3-트리틀루오로프로필; 6,6,6,5,5,4,4,3,3-노나플루오로헥실(nonafluorohexyl);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플루오르화 탄화수소 그룹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플루오르 치환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 디메틸비닐실록시-종지(終止)된 메틸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dimethylvinylsiloxy-terminated methyl 3,3,3-trifluoropropyl siloxane)을 포함한다.
첨가제가 아미노-관능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고 히드로실일화 반응그룹이 에틸렌성 불포화 관능그룹(ethylenically unsaturated functional group)을 포함하게 되면, 아미노-관능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아미노-관능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amino-functional organopolysiloxane resin) 또는 오르가노실록산의 공중합체까지도 포함한다. 또한, 아미노 관능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폴리아미드 블럭, 폴리에스테르 블럭, 폴리올레핀 블럭, 플루오르-치환된 유기폴리머 블럭, 폴리우레아 블럭, 폴리(페닐렌 에테르) 블럭, 규칙적 교호배열성 폴리스티렌 블럭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블럭과 공중합 가능하다. 만일 첨가제가 에틸렌성 불포화 관능그룹으로 플루오르치환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면, 본 실시예에서, 플루오르-치환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6.6.6.5.5.4.4.3.3.-노나플루오로헥실(nonafluorohexyl);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플루오르화 탄화수소그룹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루오르-치환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디메틸비닐실록시-종지된 메틸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dimethylvinylsiloxy-terminated methyl 3,3,3-trifluoropropyl siloxane)을 포함한다.
첨가제가 아미노-관능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함유하고 히드로실일화 반응그룹이 에틸렌성 불포화 관능그룹을 포함하게 되면, 아미노-관능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아미노-관능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amino-functional organopolysiloxane resin) 또는 심지어 오르가노실록산(organosiloxane)의 공중합체까지도 포함한다. 또한, 아미노-관능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 폴리아미드 블럭, 폴리에스터 블럭, 폴리올레핀 블럭, 플루오르-치환된 유기폴리머 블럭; 폴리우레아 블럭(polyurea blocks), 폴리(페닐렌 에테르) 블럭, 규칙적 교호배열성 폴리스티렌 블럭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블럭으로 공중합화 가능하다. 만일 첨가제가 에틸렌성 불포화 관능그룹을 가진 아미노-관능성-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게 되면, 본 실시예에서, 아미노-관능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과 메틸비닐시록산의 아민-종지된 랜덤공중합체(amine-terminated random copolymer)를 포함구성한다.
첨가제가, 불포화 카복실산이나 카복실산염을 포함하면, 히드로실일화 반응그룹은 에틸렌성 불포화 관능그룹을 포함하게 되면 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염은 불포화 유기블럭과 공중합화 되거나 그라프트 결합되는데, 이 불포화 유기블럭은 폴리아미드 블럭, 폴리에스터 블럭, 폴리실록산 블럭, 폴리올레핀 블럭, 플루오르-치환된 유기폴리머 블럭, 폴리우레아 블럭, 폴리(페닐렌에테르)블럭, 규칙적 배열성 폴리스티렌 블럭,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불포화 유기블럭이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염이 유기블럭과 공중합화되거나, 또는 그라프트 결합되면(grafted), 유기블럭의 불포화는 중요하게 된다. 첨가제가 불포화 카복실산이나 카복실산염(carboxylic acid salt)과 에틸렌성 불포화 관능그룹(ethylenically unsaturated functional group)과 같이 함유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가급적 불포화된 카복실산이나 카복실산염은 10 운데센산(undecenoic acid), 아연 운데실레네이트(zinc undecylenate), 나트륨 운데실레네이트(sodium undecylenate), 칼슘 운데실레네이트, 리치움 운데실레네이트(lithium undecylenate), 포타슘 운데실레네이트(potassium undecylenate), 납 운데실레네이트(lead undecylenate), 체인(chain)에 있는 제 1 탄소원자로 불포화 되어있는 관능성 스테아린산염(functional stearates), 체인에 있는 제 1 탄소원자로 불포화되어있는 관능성 몬타네이트(montanates),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염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제로서 불포화 카복실산이나 카복실산염으로 이론에만 매어 집착하지 않는다면, 산이나 산염은 첨가제가 수지성분에 효과적으로 안정화를 이룰 것으로 생각된다.
첨가제가 플루오르-치환된 오르가노폴로실록산을 포함하고, 플루오르치환된 반응그룹이 실리콘 수소화물 관능그룹을 포함하게 되면, 플루오르 치환된 오르가노폴리시록산은 플루오르-치환된 오르가노히드로겐폴리실록산을 포함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 플루오르-치환된 오르가노히드로겐폴리실록산은 플루오르치환된 오르가노히드로겐실록산 수지 또는 오르가노히드로겐폴리실록산과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의 공중합체까지도 포함하게 된다. 또한, 플루오르-치환된 오르가노히드로겐폴리실록산은 폴리아미드 블럭, 폴리에스테르 블럭, 폴리올레핀 블럭, 플루오르치환된 유기폴리머 블럭, 폴리우레아 블럭, 폴리(페닐렌 에테르)블럭, 규칙적 배열성 폴리스티렌 블럭,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블럭으로 공중합화 가능하다. 만일 이 첨가제가 실리콘 수소화물 관능그룹을 가진 플루오르 치환된 오르가노히드로겐폴리실록산을 포함하게 되면, 본 실시예에서, 플루오르-치환된 오르가노히드로겐폴리실록산은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trifluoropropyl); 6,6,6,5,5,4,4,3,3-노나플루오로헥실(nonafluorohexyl);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플루오로화 탄화수소그룹(fluorinated hydrocarbon groups)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것은, 플루오르-치환된 오르가노히드로겐폴리실록산(fluorine-substituted organohydrogenpolysiloxane)이 트리메틸실록시-종지된 폴리(메틸히드로겐실록산/메틸-6,6,6,5,5,4,4,3,3-노나플루오로헥실실록산)(trimethylsiloxy-terminated poly(methylhydrogensiloxane/methyl-6,6,6,5,5,4,4,3,3-nonafluorohexylsiloxane))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여러가지 조성물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조성물은, 또한 수지성분과 첨가제를 상용시ㅋ기 위한 상용제(compatibilizing agent)를 또한 포함한다. 이 상용제는 가급적 첨가제와 화합된 유기세그먼트(organic segment)인데, 여기에서 이 유기세그먼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라도 수지성분의 화학적인 구성성분과 조합된다. 상술한 상용제는 본 실시예의 조성물로 일체화시켜 만들어주는데 적합하다. 이와 같이, 이 성분 또한 전술한 바의 촉매(catalyst)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적절한 촉매로는 히드로실일화 촉매(hydrosilylation catalysts)와 자유 라디칼 개시제(activators for free radical initators)용 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촉매이다.
본 발명 조성물은, 특수 수지성분과 특수 첨가제를 포함구성하고, 가급적 히드로실일화 양생재인 첨가양생재와 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질을 포함하는 복합물(composite article) 속으로 들어가 일체화된다. 이 하나 이상의 기질(substrate)은 이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며, 또한 첨가양생재는 예컨데 실리콘계 엘라스토머(silicon-based elastomer)는, 하나 이상의 기질 위에 도포된다. 첨가제의 이 히드로실일화 반응그룹은 첨가양생재(addition-curable meterial)로 이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질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양생재와 반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질의 표면에 존재한다. 이와 같으므로, 한번 하나 이상의 기질에 첨가양생재가 도포되면, 첨가양생재와 하나 이상의 기질은 양생되어 복합물을 만들기 위해 현저히 낮은 온도에서 함께 결합된다.
다음의 예들은 조성물을 제조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나타나 있는 본 발명 복합물은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일 뿐,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Figure 112012105744413-pat00001
수지성분 "sPS/PA"란 30% 규칙적 배열성 폴리스티렌, 70% 폴리아미드(특히 나일론 6,6), 즉 30% 유리충전되고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다우케미컬 회사의
Figure 112012105744413-pat00002
상표 NWA 7030을 말한다.
수지성분 "PC"는 다우케미컬로부터 상표 Calibre®200-10으로 시판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이다.
수지성분 "PBT"는 GE플라스틱사의 상표 Valox®420으로 시판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다.
수지성분 "PP"는 다우케미컬로부터 상표 Dow H701-12로 시판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이다.
수지성분 "PP/GF"는 다우케미컬의 유리충전된(glass filled) DGF 4400.00으로 시판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이다.
수지성분 "sPS"는 95%의 규칙적 배열성 폴리스티렌과 5%의 SEBS(스티렌 에틸부틸렌 스티렌)의 혼합물, 즉 30% 유리충전된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다우케미컬의 Questa®WA212 black 상표 부착성분,
수지성분 "PC/ABS"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다우케미컬의 상표 Emerge® PC/ABS 7100으로 시판되는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의 혼합물이다.
첨가제 A-1은 평균 1.3% 비닐그룹과 25℃에서 평균점도 1200cSt를 갖는 디메틸비닐실록시-종지된 메틸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dimethylvinylsiloxy-terminated methyl 3,3,3-trifluoropropyl siloxane)이다.
첨가제 A-2는 분자당 평균 28 메틸헤드로겐 실록산유닛과 12메틸-6,6,6,5,5,4,4,3,3-노나플루오로헥실 실록산유닛을 갖는 트리메틸실록시-종지된 폴리(메틸히드로겐실록산메틸-6,6,6,5,5,4,4,3,3-노나플루오로헥실실록산)이다.
첨가제 A-3은 아연 운데실레네이트(zinc undecylenate)이다.
첨가제 A-4는 평균분자량 6400g/mole 및 메틸비닐실록산유닛에 대한 디메틸실록산유닛의 비율이 1.6이 되는 수치를 갖는 디메틸실록산과 메틸비닐실록산의 아민-종지(終止)된 랜덤공중합체(amine-terminated random copolymer)이다.
실시예 1-23의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합성되었다. 첨가제를 쌍-스크류 압출기에서 수지조성으로 동시압출(co-extruded)되었다. 즉, 첨가제의 분말화된 예비혼합물(powdered premix)과 수지성분을 최초로 준비한 것이다. 각 실시예에서의 이 분말의 예비 혼합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대비 약 10중량%로 포함구성되는데, 특수예에서 이용되는 첨가제 모두를 포함한다. 실시예 4를 예로 들면, 수지성분 8부에 첨가제 2부를 합한 예비혼합물(premix)을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7은 수지성분 7부와 첨가제 3부와의 예비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일단 제조되면, 예비혼합물은 중량측정 공급기(gravimetic feeder)를 이용하여 충분히 서로 맞물리는 30mm 베르너 및 플레이더(Werner and Pfleider)형 동시회전 쌍스크류 압출기 속으로 넣었다. 나머지 분량의 수지성분은 제 2 중량측정 공급기에 의해 압출기로 가해졌다. 조성물이 필요시, 유리섬유를 제 2 공급포트(secondary feed port)에서 하류흐름이 가해졌다. 베르너 및 플레이더형 압출기 상에서의 합성조건은, 각 수지성분의 용융점으로 지시되고 수지성분들 사이에서 가변된다. 이들 합성조건은 일반적으로 표 2로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압출기로부터 분출물로서의 조성물이 만들어진다. 이들 분출물(extrudate)은 스트랜드형으로 냉각되고 펠렛트로 작은 크기로 빚어진다. 이 각 실시예상의 조성물 펠렛트(pellets)는 공기처리용 흡기 오븐에서 건조된다.
Figure 112012105744413-pat00003

모울딩으로 기질 및 복합물의 제조
[실시예]
조성물이 한번 수지성분과 첨가제를 포함구성하여 거의 합성되면, 시험판(test plaque)이 조성물을 90-톤 도요주입 몰딩기로 모울딩하여 6″×6″×⅛″의 칫수를 가진 시험판으로 제조하였다. 이들 시험판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복합물의 기질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제어예와 실시예 1-7에 대한 시험판에서 수지조성분은 sPS/PA의 경우로 제조되었다. 제조공정 및 건조조건은 표 3과 같았다.
Figure 112012105744413-pat00004
시험판은, 즉 제어예와 실시예 1-7의 기질은 복합물을 형성하기 위해 다음에 설명하는 서로 다른 3개 첨가양생재와 조합시켰다. 여러가지 시험(박리부착시험, 랩 쉐어 부착테스트(Lap Shear Adhesion Testing) 및 부착내구성 테스트)을 복합물상에 적용하였다. 이들 여러가지 테스트와 관현된 결과는 또한 여러가지 첨가양생재의 설명 후 다음에 기재하였다.
첨가양생재 ( Addition Curable Material ) 제 1번
2부분(2개부)으로 된 히드로실일화 양생테스트 부착제를 첨가양생재를 가진 기질의 부착시험을 위해 제조하였다. 첨가양생재 No.1으로, SiH:Vi 비는 실질적으로 1.0과 같았다. 다음 성분은 첨가양생재 No.1의 A부(Part A)를 형성하기 위해 같이 혼합하였다.
(ⅰ) CH2=CH(CH3)2SiO1 /2 유닛, (CH3)3SiO1 /2 유닛, SiO4 /2 유닛을 함유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 12.6 중량부
여기에서 CH2=CH(CH3)2SiO1 /2 유닛과 (CH3)3SiO1 /2 유닛의 조합된 SiO4 /2 유닛에 대한 몰 비(mole ratio)는 0.7이었다.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는 평균 분자량 22,000, 다분산도(polydispersity) 5, 비닐그룹함량 1.8 중량%였다.
(ⅱ) 25℃에서 점도 55Paㆍs를 갖는 디메틸비닐실록시 종지된 PDMS 44.6 중량부
(ⅲ) 평균입자크기 5㎛을 가진 미립분쇄된 석영(quartz) 32.2 중량부
(ⅳ) 트리메틸실일화제(trimethylsilylating agent)로 처리된 흄드실리카(fumed silica) 4.0 중량부
(ⅴ) 점도 140~190 센티스톡(centiStokes:cSt)을 가진 트리메틸실록시-종지된 디메틸, 메틸[프로필(폴리(프로필렌 산화물)히드록시)]실록산 공중합체 0.3 중량부
(ⅵ) 1,1-디에테닐(diethenyl)-1,1,3,3-테트라메틸 디실록산(tetramethyl disiloxane)의 백금(IV) 착화합물(complex) 0.80 부, 25℃에서 점도 0.5Paㆍs를 갖는 디메틸비닐실록시 종지된(dimethylvinylsiloxy terminated) PDMS 92 중량%, 테트라메틸디비닐디실록산(tetramethyldivinyldisiloxane) 7 중량%
(ⅶ) 식 (HO)M-D-D(Vi)-M(OH)의 실록산디올(siloxane diol) 2.2 중량부, 여기에서 M은 식 CH3SiO3 /2 유닛을 나타내고, D는 식 (CH3)2SiO2 /2의 유닛을 나타내며, D(Vi)는 식 (CH3)(CH2=CH)SiO2 /2 유닛을 나타낸다.
(ⅷ) 알루미늄아세틸아세톤네이트(aluminum actylacetonate) 0.3 중량부
(ⅸ) 탄소상의 5% 팔라듐(palladium on carbon) 0.4 중량부
(ⅹ) 12% 아연산화물, 6% 카본블랙(carbon black), 82 디메틸비닐실록시-종지된 디메틸실록산의 혼합물로 구성된 혼합물 2.8 중량부. 이 혼합물은 점도 20~60 Paㆍs를 가진다.
다음의 성분들은 첨가양생재 No.1의 B부(Part B)를 형성하기 위해 같이 혼합한 것들이다.
(ⅰ) CH2=CH(CH3)2SiO1 /2 유닛, (CH3)3SiO1 /2 유닛, SiO4 /2 유닛을 함유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 12.6 중량부. SiO4 /2 에 조합된 (CH3)3SiO1 /2 유닛과 CH2=CH(CH3)2SiO1/2 의 몰 비는 0.7이었다.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수지는 평균 분자량 22,000, 다분산도 5, 비닐그룹 1.8중량%(5.5 mole%)였다.
(ⅱ) 25℃에서 점도 55Paㆍs를 갖는 디메틸비닐실록시 종지된 PDMS 44.6 중량부
(ⅲ) 평균입자크기 5㎛을 갖는 미립분쇄된 석영 32.2 중량부
(ⅳ) 트리메틸실일화제(trimethylsilylating agent)로 처리된 흄드실리카(fumed silica) 4.0 중량부
(ⅴ) 점도 140~190 센티스톡(centiStokes:cSt)을 갖는 트리메틸실록시-종지된 디메틸(trimethylsiloxy-terminated dimethyl), 메틸[프로필(프로필렌 산화물)히드록시]실록산 공중합체 0.3 중량부
(ⅵ) 메틸 실세스퀴옥산(methyl silsesquioxane)을 가진 메틸히드로겐시록산, 디메틸 4.1 중량부, 상기 조합은 SiH 함량 0.81 중량%을 갖는다.
(ⅶ)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실란(3-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2.2 중량부
첨가양생재 No .2 ( SiH -부화시험용 부착제)
2부분(2개부)로 된 히드로실일화 양성태스트용 부착제(A two-part hydrosilylation curable test adhesive)를 첨가양생재로 기질의 부착성 테스트를 위해 제조하였다. B부(Part B)를 제외한 첨가양생재 No.1에 대해 첨가양생재 No.2를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B부에서, No.2 첨가양생재 2.2부를 분자당 평균 28메틸히드로겐실록산 유닛과 12메틸-6,6,6,5,5,4,4,3,3-노나플루오로헥실(nonafluorohexyl siloxane) 유닛을 갖는 폴리(메틸히드로겐실록산/메틸-6,6,6,5,5,4,4,3,3-노나플루오로헥실실록산)을 97.8부의 B부에 첨가하여 SiH-부화된 부착제(SiH-enriched adhesive)를 제조하였다.
첨가양생재 No .3 (비닐-부화시험용 부착제)
첨가양생재로 기질의 부착성 테스트를 위해 2개의 부를 가진 2개부 히드로실일화 양생시험용 부착제를 제조하였다. 첨가양생재 No.3를 A부를 제외한 첨가제 No.1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제조하였다. A부에서, 첨가양생재 No.3에 대해,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neopentylglycoldimethacrylate) 1.0 중량부를 99 중량부에 첨가하여 비닐부화부착제(Vinyl-enriched adhesive)를 제조하였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전술한 3개의 첨가제 모두를 각각 분리 저장하고, 기질에 가하기 바로 직전에 혼합시켰다.
피막부착시험( Peel Adhesion Testing )
각 판(plate)의 일단에 카트릿지 가열기를 가진 2개의 알루미늄판을 구성한 열간프레스 장치를 장착하고, 다른 일단에는 냉각된 수냉라인을 장착하여 복합물을 제조하고 부착성을 시험하였다. 상판을 0.002˝(0.05mm) 두께를 가진 알루미늄 포일을 준비하여 스프레이 분사도포 부착제(3M 회사제 상표 Mate 라벨 부착)로 부착하였다. 이 장치는 선상의 구배(linear gradient)를 가진 온도를 제공하므로서 냉온단부를 제어하여 일정범위 내로 조정 가능하게 한다. 상판과 하판 모두에 열전대를 설치하여 열구배(thermal gradient)를 측정하여 제어가능하도록 하였다. 완만한 상태의 온도 구배를 갖도록, 예컨데 부착성 껍질 표본(adhesive peel specimen)의 3˝(76.2mm) 길이를 따라 예컨데 90℃~170℃의 범위로 온도구배를 갖도록 열전대를 배치한 것이다.
부착제 껍질표본을 시험판, 즉 기질과 장치의 상판 사이에 시험 부착제(test adhesive)(첨가양생재 No.1-3 중 어느 하나)의 층을 샌드위치되게 구축하였다. 다시말해, 시험용 부착제 A부와 B부를 같이 혼합한 다음, 시험부착제를 2mmHg라는 감압된 압력에서 20분간 먼저 공기를 빼어(de-aired) 시험용 부착제에 유입되는 어떠한 공기도 제거하도록 하였다. 다음 시험부착제를 시험용 판 위에 도포하였다. 시험용 판의 칫수는 3˝×1˝×0.125˝(76.2mm×25.4mm×3mm)였으며, 껍질부착시험은 제어실시예와 실시예 1-7에 따라 가변시켰다. 이 구축방법은 효과적으로 제어실시예와 실시예 1-7의 기질과 조성물에 그리고 첨가양생재 No.1-3에 관한 복합물을 생산하였다. 시험편의 각 단부에서, 0.041˝(1.04mm)의 두께를 가진 구리선을 부착제의 두께를 설정하기 위해 시험용 부착제에 설치하였다. 복합물을 60분간 이 장치에서 양생하고 다음 상온에서 15분간 냉각하였다.
냉각에 따라, 상판으로부터 알루미늄 포일을 살짝 떼어놓아 열간 프레스 장치로부터 샘플 복합물을 제거하였다. 시험용 부착제는 다음 기질의 길이를 따라 0.5˝(12.7mm) 폭을 가진 피막스트립을 만들기 위해 기질의 표면에 알루미늄 포일을 통해 칼자국을 내었다. 다음, 약 45°각도로 기질 표면에 부착제를 관통하여 커팅하니 기질의 냉간단부에서 부착제-기질 사이의 계면에서 크랙이 시작되었다. 알루미늄 포일-뒤로 한 피막스트립(foil-backed peel strip) 위로 1500g의 하중을 클램핑(clamping)하고, 이 하중을 샘플복합물을 금속프레임으로 지지되게 하면서 15분간 걸었다. 그 결과 90°박리시험(peel test)에서의 박리력은 1176N/m였다. 이 힘은 점착성 상실로부터 크랙을 저지하도록 변환시켰다. 기질의 바깥 가장자리로부터 크랙이 멈춘자리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서서히 열전대가 읽은 디지털 기록의 선상의 회귀부(linear regression fit)에 의해 변환시켰다. 이 온도를 점착성 상실개시(onset of cohesive failure(TCF))를 위한 임계양성온도(threshold cure temperature)라 정의한다. 이 방법은 TCF에서 ±2℃라는 불확실성을 부여한다. TCF 결과에 대해서는 아래의 표 4에 나타나 있다.
표 4에서 상기 결과가 나타나 있는데, 여기에서 시험부착제(첨가제 No.1`No.13)와 전술한 껍질부착테스트(Peel Adhesion Testing)에 따라 TCF로 정의되는 바와 같이, 제어실시예와 실시예 1-7의 조성물로 형성되는 기질과의 여러가지 조합으로 된 복합물(composite articles)에서 부착성을 얻는데 필요한 최소온도(℃)가 나타나 있다.
Figure 112012105744413-pat00005
표 4에는, TCF 온도숫자가 ℃로 나타나 있는데, 용어 "없음"은 부착제가 170℃ 미만의 온도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는 뜻이며, 용어 "N/A"는 피박부착테스트가 그러한 특수 샘플용으로 유도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TCF에 대한 이 온도숫자는 종래의 복합물을 넘어 현저한 향상이 이루어지는 것을 가리킨다. 여기에서 온도가 통상 170℃를 넘을 것이 요구되는데, 이는 기질과 첨가양생재와의 사이의 부착성을 달성하는데 필요하기 때문이다. 실시예 5-7은 첨가제가 조성물로 되고, 일정량(pbw) 또는 그 이상으로 되면 본 발명상의 일정 첨가제가 낮은 온도, TCF에서 부착력을 적절히 끌어올린다는 것을 일례로 나타낸 것이다.
분명한 것은, 본 발명에 상술한 바를 기초로 여러가지 수젖ㅇ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특별히 나타내기 위한 예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거나,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일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명시 기재한 범위 외에서도 실시 가능하다.

Claims (8)

  1. 첨가양생재(addition-curable material)에 대한 부착성이 향상된 조성물로서,
    유기 중합체이고, 에틸렌계 불포화 작용기와 실리콘 수소화물 작용기(ethylenically unsaturated and silicon hydride functional groups)를 함유하지 않는 수지 성분(resin component)과;
    상기 수지 성분과 결합되고, 아미노 작용 오르가노폴리실록산(amino-functional organopolysiloxane)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첨가양생재와의 반응을 위해, 상기 첨가제는 히드로실릴화 작용기(hydrosilylation reactive group)를 포함하는,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상기 히드로실릴화 작용기는, 상기 첨가양생재와 반응하기 위한 에틸렌계 불포화 작용기를 포함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상기 히드로실릴화 작용기는, 상기 첨가양생재와 반응하기 위한 실리콘 수소화물 작용기를 포함하는,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상기 수지 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1 내지 30 중량부 존재하는,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성분은,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레핀,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styrene acrylonitriles),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에폭시, 폴리페닐렌 산화물, 할로겐 치환 유기 중합체, 폴리프탈아미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s), 액정 폴리머(liquid crystalline polymer), 폴리시클로헥산테레프탈레이트(polycyclohexaneterephthalates), 또는 이들의 조합물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로 추가 한정된, 조성물.
  6. 복합물로서,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질(substrate)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질에 배치된 첨가양생재(addition-curable material)를
    포함하는, 복합물.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 작용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유기블럭과 공중합화 되며, 상기 유기블럭은 폴리아미드 블럭, 폴리에스터 블럭, 폴리올레핀 블럭, 플루오르-치환된 유기폴리머 블럭, 폴리우레아 블럭, 폴리(페닐렌에테르)블럭, 규칙적 배열성 폴리스티렌 블럭(syndiotactic polystyrene block)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 작용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디메틸실록산(dimethylsiloxane)과 메틸비닐실록산(methylvinylsiloxane)의 아민-종지된 랜덤공중합체(amine-terminated random copolymer)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127033199A 2004-01-22 2005-01-21 첨가양생재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시킨 조성물과 이 조성물과 일체화된 복합물 KR1013389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3818604P 2004-01-22 2004-01-22
US60/538,186 2004-01-22
PCT/US2005/002030 WO2005071006A1 (en) 2004-01-22 2005-01-21 A composition having improved adherence with an addition-curable material and composite article incorporating the composi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4713A Division KR101253220B1 (ko) 2004-01-22 2005-01-21 첨가양생재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시킨 조성물과 이 조성물과 일체화된 복합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091A KR20130008091A (ko) 2013-01-21
KR101338927B1 true KR101338927B1 (ko) 2013-12-10

Family

ID=3480716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3199A KR101338927B1 (ko) 2004-01-22 2005-01-21 첨가양생재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시킨 조성물과 이 조성물과 일체화된 복합물
KR1020067014713A KR101253220B1 (ko) 2004-01-22 2005-01-21 첨가양생재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시킨 조성물과 이 조성물과 일체화된 복합물
KR1020127033196A KR101338924B1 (ko) 2004-01-22 2005-01-21 첨가양생재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시킨 조성물과 이 조성물과 일체화된 복합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4713A KR101253220B1 (ko) 2004-01-22 2005-01-21 첨가양생재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시킨 조성물과 이 조성물과 일체화된 복합물
KR1020127033196A KR101338924B1 (ko) 2004-01-22 2005-01-21 첨가양생재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시킨 조성물과 이 조성물과 일체화된 복합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7858197B2 (ko)
EP (1) EP1706450B1 (ko)
JP (3) JP5276789B2 (ko)
KR (3) KR101338927B1 (ko)
CN (1) CN1922253B (ko)
AT (1) ATE425210T1 (ko)
DE (1) DE602005013184D1 (ko)
MX (1) MXPA06008244A (ko)
TW (1) TWI366588B (ko)
WO (1) WO20050710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927B1 (ko) * 2004-01-22 2013-12-10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첨가양생재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시킨 조성물과 이 조성물과 일체화된 복합물
US20070089797A1 (en) * 2005-10-26 2007-04-26 Farnsworth Kimberly D Preformed liner adhered to a pipe with an adhesive
US8158450B1 (en) * 2006-05-05 2012-04-17 Nanosolar, Inc. Barrier films and high throughput manufacturing processes for photovoltaic devices
KR100798014B1 (ko) * 2006-12-29 2008-01-24 제일모직주식회사 저온 충격강도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폴리카보네이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KR100964787B1 (ko) 2007-04-16 2010-06-2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DE112007003450B4 (de) 2007-06-01 2017-02-02 Vacuumschmelze Gmbh & Co. Kg Verfahren zum Verbinden zweier Fügepartner
JP5163439B2 (ja) * 2008-11-19 2013-03-13 Tdk株式会社 繊維含有高分子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化学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DK2608813T3 (en) * 2010-02-01 2014-11-17 Bluestar Silicones France ARTICLE CLOTHING TO THE SKIN
JP2011254009A (ja) * 2010-06-03 2011-12-15 Shin Etsu Chem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シリコーン樹脂組成物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12138755A1 (en) 2011-04-08 2012-10-11 Dongchan Ahn Method of preparing gas selective membrane using epoxy-functional siloxanes
KR20140047056A (ko) 2011-06-06 2014-04-21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폴리에테르― 및 규산질 충전제―함유 실리콘 조성물로부터 유도되는 막
WO2013070912A1 (en) 2011-11-10 2013-05-16 Dow Corning Corporation Synthesis of silicone ionomer membranes and the use thereof
WO2013101938A1 (en) 2011-12-27 2013-07-04 Dow Corning Corporation Organopolysiloxanes including silicon-bonded trialkylsilyl-substituted organic groups
CA2863076C (en) * 2012-02-01 2020-09-08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Siloxane polyether copolymers
JP5910210B2 (ja) * 2012-03-19 2016-04-2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フロロ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フロロシリコーンゴム層と熱可塑性樹脂層とからなる一体成形体、及びその一体成形体を製造する方法
TWI472567B (zh) 2012-07-25 2015-02-11 Ind Tech Res Inst 樹脂母粒及其製造方法、以及由其所形成的膜層
EP2900354B1 (en) 2012-09-26 2019-04-03 Dow Silicones Corporation Method of separating a gas using at least one membrane in contact with an organosilicon fluid
WO2014059132A2 (en) 2012-10-12 2014-04-17 Dow Corning Corporation Membranes including polysiloxane-poly(alkylene oxide) copolyme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150231556A1 (en) 2012-11-06 2015-08-20 Dow Corning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Silicone Membrane
US9412921B2 (en) 2012-11-20 2016-08-0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odule structure
KR102141645B1 (ko) * 2012-11-30 2020-08-05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파장 변환 중합체 필름
TW201431967A (zh) * 2012-12-28 2014-08-16 Dow Corning 用於轉換器之可固化有機聚矽氧烷組合物的製造方法
ES2688532T3 (es) 2013-01-18 2018-11-05 Basf Se Composiciones de recubrimiento a base de dispersión acrílica
CN103215000B (zh) * 2013-03-21 2015-01-21 马鞍山市中澜橡塑制品有限公司 一种以聚对苯二甲酸丁二醇酯为主料的热熔胶及其制备方法
WO2015021363A2 (en) 2013-08-08 2015-02-12 Tiax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on and sampling of chemical species
CN103640786A (zh) * 2013-11-28 2014-03-19 无锡合众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耐高温的复合包装材料
CN104689567A (zh) * 2013-12-07 2015-06-10 招远鲁娃婴幼儿用品有限公司 一种用于制作毛绒公仔的眼球制品
CN103821008B (zh) * 2014-03-12 2016-09-07 李江群 三层结构的有机硅合成革及其制备方法
DE102014206022A1 (de) * 2014-03-31 2015-10-01 Evonik Degussa Gmbh Metall-Kunststoff-Hybridbauteil
TWI545788B (zh) 2014-10-03 2016-08-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板材與模組結構
TWI519559B (zh) 2014-11-21 2016-02-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樹脂配方、樹脂聚合物及包含該聚合物之複合材料
CN104403489A (zh) * 2014-11-28 2015-03-11 安徽省金盾涂料有限责任公司 一种防腐蚀耐磨粉末涂料
US11229095B2 (en) 2014-12-17 2022-01-18 Campbell Soup Company Electromagnetic wave food processing system and methods
EP3287491B1 (en) * 2015-04-21 2019-10-09 Daikin Industries, Ltd. Aqueous dispersion, coating film, and coated article
US10005935B2 (en) * 2015-05-01 2018-06-26 Lord Corporation Adhesive for rubber bonding
US10604681B2 (en) * 2015-06-02 2020-03-31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Solvent-free light-curable adhesive composition
US10696016B2 (en) 2015-07-31 2020-06-30 Samsung Sdi Co., Ltd. Window film and flexible display including the same
TWI621871B (zh) * 2015-07-31 2018-04-21 三星Sdi股份有限公司 窗膜和包含所述窗膜的可撓性顯示器
TW201722699A (zh) 2015-12-30 2017-07-01 聖高拜塑膠製品公司 複合管及其製造與使用方法
EP3211050A1 (en) * 2016-02-26 2017-08-30 Trinseo Europe GmbH Molded structures of polycarbonate based substrates over molded with silicone rubbers
WO2018009271A2 (en) * 2016-05-10 2018-01-11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Article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same
US11174418B2 (en) * 2016-06-27 2021-11-16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Fluorine and hydrogen-based adhesiv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2018356B1 (ko) 2016-12-13 2019-09-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윈도우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453773B2 (en) 2017-01-24 2022-09-27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plug body and container
EP3593363A1 (en) * 2017-03-10 2020-01-15 AdvanSix Resins & Chemicals LLC Wire and cable jacket composition of pa6/66 copolymer base resin for improved processability and properties
CN108384109A (zh) * 2018-02-25 2018-08-10 柴建锋 一种蛋白分离预制胶用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WO2019194755A1 (en) * 2018-04-05 2019-10-10 Hdo Plastik Sanayi Ve Ticaret Limited Sirketi Extrudable compound for aluminium composite panel at a2 class fire resistivity and method of making aluminium composite panel with thereof
EP4003727A1 (en) 2019-07-23 2022-06-0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l layered articles and their method of manufacture
KR102081154B1 (ko) * 2019-09-06 2020-02-25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 주식회사 반도체 트레이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CN110684504B (zh) * 2019-10-31 2022-04-01 广东莱尔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线缆的耐高温的粘结剂和耐高温胶膜
CN110951444B (zh) * 2019-11-11 2022-03-22 南通市开泰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建筑用内网式硅酮密封胶及其制备方法
CN111040373A (zh) * 2019-12-31 2020-04-21 王晖 一种玻璃纤维增强聚甲醛塑材及其制备方法
US20230279261A1 (en) * 2020-03-26 2023-09-07 Michelman, Inc. Low-blushing coating formulations and associated uses
CN111662496B (zh) * 2020-07-10 2022-02-18 西南交通大学 一种防结垢的高浓度有机废水输运改性管材及其制备方法
KR102261036B1 (ko) * 2020-10-20 2021-06-04 엄종호 대형유리에 적용된 샤시 연결용 패드 조성물
CN114574097B (zh) * 2021-11-12 2022-10-04 浙江中天东方氟硅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双组分常温固化环氧改性mq硅树脂涂料
CN114085642B (zh) * 2021-12-21 2023-06-27 华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硅压敏胶的制备方法
CN114934355B (zh) * 2022-05-09 2023-04-07 东营俊富净化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通量pp熔喷纳微孔折叠液体过滤材料的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7158A (en) * 1994-03-07 1995-10-10 Dow Corning Corporation Blends based on fluorosilicone elastomers and vinylidene fluoride polymers
US20030149220A1 (en) * 1999-06-11 2003-08-07 Rainer Hoefer Epoxy resin hardener compositions
US6824848B2 (en) * 2000-05-05 2004-11-30 Rhodia Chimie Silicone/adhesive complex whereof the interface has a release force capable of being modulated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US20040259965A1 (en) * 2001-09-21 2004-12-23 Kazuo Higuchi Electroconductive silicone rubber sponge

Family Cites Families (8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76182A (en) 1950-09-13 1954-04-20 Dow Corning Copolymeric siloxanes and methods of preparing them
US3437715A (en) * 1955-04-15 1969-04-08 Pittsburgh Plate Glass Co Resin composition
US2934515A (en) * 1957-07-01 1960-04-26 Dow Corning Polytetrafluoroethylene-silicone compositions
US3296191A (en) 1961-11-17 1967-01-03 Fmc Corp Stabilized polypropylene containing a nickel or cobalt phenol-phenolate of a 2, 2'-dihydroxy-4-alkoxybenzophenone
US3220972A (en) 1962-07-02 1965-11-30 Gen Electric Organosilicon process using a chloroplatinic acid reaction product as the catalyst
US3159601A (en) 1962-07-02 1964-12-01 Gen Electric Platinum-olefin complex catalyzed addition of hydrogen- and alkenyl-substituted siloxanes
NL131800C (ko) 1965-05-17
US3516946A (en) 1967-09-29 1970-06-23 Gen Electric Platinum catalyst composition for hydrosilation reactions
US3485706A (en) 1968-01-18 1969-12-23 Du Pont Textile-like patterned nonwoven fabrics and their production
US3619256A (en) * 1968-11-29 1971-11-09 Stauffer Chemical Co Silicone rubber coated substrates and a method for bonding silicone rubber thereto
GB1323297A (en) * 1970-02-04 1973-07-11 Secr Defence Synthetic rubbers
US3814730A (en) 1970-08-06 1974-06-04 Gen Electric Platinum complexes of unsaturated siloxanes and platinum containing organopolysiloxanes
DE2519964C3 (de) * 1974-05-15 1978-12-07 Daikin Kogyo Co., Ltd. Wärmehärtbare Kautschukmasse
US3989668A (en) 1975-07-14 1976-11-02 Dow Corning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silicone elastomer and the elastomer prepared thereby
JPS6050226B2 (ja) * 1977-09-14 1985-11-07 東芝シリコ−ン株式会社 表面処理方法
US4220342A (en) * 1979-05-29 1980-09-02 Dana Corporation Gasket having polysiloxane sealant layer containing organotitanate
US4340563A (en) 1980-05-05 1982-07-20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nonwoven webs
US4370358A (en) 1980-09-22 1983-01-25 General Electric Company Ultraviolet curable silicone adhesives
US4322027A (en) 1980-10-02 1982-03-30 Crown Zellerbach Corporation Filament draw nozzle
JPS57159865A (en) * 1981-03-27 1982-10-02 Toray Silicone Co Ltd Primer composition for bonding
US4413110A (en) 1981-04-30 1983-11-01 Allied Corporation High tenacity, high modulu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fibers and intermediates therefore
US4486565A (en) * 1983-02-18 1984-12-04 Dow Corning Corporation Primer compositions for improving adhesion of abrasion resistant silicone coatings to plastic surfaces
DE3485414D1 (de) 1983-11-01 1992-02-13 Sumitomo Bakelite Co Geformter verbundstoff aus thermoplastischen harzen und silikonen.
JPS60178046A (ja) * 1984-02-24 1985-09-12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オレフイン系樹脂組成物とシリコ−ンゴムとの複合成形物
US4585836A (en) 1984-10-29 1986-04-29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cess and product with improved lap-shear stability-II
US4591622A (en) 1984-10-29 1986-05-27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cess and product thereof
US4584355A (en) 1984-10-29 1986-04-22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cess and product with improved lap-shear stability-I
US4584836A (en) * 1985-01-29 1986-04-29 Westinghouse Electric Corp. Steam turbine restart temperature maintenance system and method
JPS61195129A (ja) 1985-02-22 1986-08-29 Toray Silicone Co Ltd 有機けい素重合体の製造方法
JPS61266461A (ja) 1985-05-22 1986-11-26 Dainippon Ink & Chem Inc ポリフエニレンサルフアイド樹脂組成物
US4663220A (en) 1985-07-30 1987-05-05 Kimberly-Clark Corporation Polyolefin-containing extrudabl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formation into elastomeric products including microfibers
US4661577A (en) * 1985-10-01 1987-04-28 General Electric Company Aminofunctional polysiloxanes
US4668566A (en) 1985-10-07 1987-05-26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layer nonwoven fabric made with poly-propylene and polyethylene
JPH07727B2 (ja) * 1985-11-26 1995-01-11 三菱油化株式会社 樹脂組成物
US4681808A (en) * 1986-10-02 1987-07-21 Dow Corning Corporation Adhesion of silicone elastomer to polyurethane
JP2657249B2 (ja) * 1986-11-25 1997-09-24 東レ・ダウコーニング・シリコーン株式会社 密着性向上剤
US4766176A (en) 1987-07-20 1988-08-23 Dow Corning Corporation Storage stable heat curable organosiloxane compositions containing microencapsulated platinum-containing catalysts
US4784879A (en) 1987-07-20 1988-11-15 Dow Corning Corporation Method for preparing a microencapsulated compound of a platinum group metal
DE3803628A1 (de) * 1988-02-06 1989-08-17 Bayer Ag Verwendung von aminogruppen aufweisenden polysiloxanen als zusatzmittel in kunststofflacken
JP2630993B2 (ja) 1988-06-23 1997-07-16 東レ・ダウコーニング・シリコーン株式会社 ヒドロシリル化反応用白金系触媒含有粒状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14244A (ja) 1988-06-30 1990-01-18 Toray Dow Corning Silicone Co Ltd 加熱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US5036117A (en) 1989-11-03 1991-07-30 Dow Corning Corporation Heat-curable silicone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bath life
JPH03173007A (ja) * 1989-12-01 1991-07-26 Kao Corp 導電性ペースト及び導電性塗膜
US5132443A (en) * 1990-10-02 1992-07-21 General Electric Company Aminofunctional silicon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GB9103191D0 (en) 1991-02-14 1991-04-03 Dow Corning Platinum complexes and use thereof
JP2511348B2 (ja) 1991-10-17 1996-06-26 東レ・ダウコーニング・シリコーン株式会社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580913B2 (ja) 1991-10-23 1997-02-1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シリコーンゴム成型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231435B2 (ja) * 1992-11-09 2001-11-19 日本ジーイー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樹脂組成物
US5418065A (en) 1992-12-10 1995-05-23 Shin-Etsu Chemical Co., Ltd. Integrally molded article of silicone rubber and modified polypropylene resin
JP2687832B2 (ja) 1992-12-10 1997-12-0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とシリコーンゴムとの一体成型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5368315A (en) * 1992-12-28 1994-11-29 Wacker Silicones Corporation Non-stick automotive gaskets
JP2833406B2 (ja) 1993-03-19 1998-12-0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US5723507A (en) * 1996-03-11 1998-03-03 The Dow Chemical Company Foamed gaskets made from homogeneous olefin polymers
US5468324A (en) 1994-03-08 1995-11-21 Hong; Gilbert H. Spin-on and peel polymer film method of data recording duplication and micro-structure fabrication
JP3093964B2 (ja) * 1994-11-17 2000-10-0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シリコーンゴムとシリコーン−エポキシ樹脂の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TW296401B (ko) 1994-12-26 1997-01-21 Shinetsu Chem Ind Co
US5492994A (en) * 1995-01-12 1996-02-20 Dow Corning Corporation Adhesion additives and curable organosiloxane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EP0728809B1 (en) * 1995-02-27 1998-01-07 Dow Corning Toray Silicone Company Limit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H08319424A (ja) * 1995-05-25 1996-12-03 Toray Dow Corning Silicone Co Ltd 硬化性シリコーン組成物
US5635114A (en) 1995-08-14 1997-06-03 Hong Gilbert H Method of making thin film optical storage media
JP3011642B2 (ja) 1995-08-31 2000-02-21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熱硬化性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てなる複合成形体及び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
JP3552825B2 (ja) 1995-12-15 2004-08-11 矢崎総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とオイルブリード性シリコーンゴムとの一体成形自動車用防水コネクタ
JP3144290B2 (ja) 1995-12-15 2001-03-12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とオイルブリード性シリコーンゴムとの一体成形体
US6329451B2 (en) * 1996-04-08 2001-12-11 Kaneka Corporation Flame retardant plastic resin composition
JPH09324152A (ja) * 1996-06-06 1997-12-16 Toray Dow Corning Silicone Co Ltd 同種もしくは異種の基材からなる接着構造体の製造方法
US5708084A (en) * 1996-08-28 1998-01-13 Dow Corning Corporation Organic polymers modified with silicone materials
CN1194280A (zh) * 1996-12-24 1998-09-30 陶氏康宁公司 具有改进粘合性的可固化有机硅组合物
US6143423A (en) * 1997-04-07 2000-11-07 Shin-Etsu Chemical Co., Ltd. Flame retardant epoxy resin compositions
US6046262A (en) * 1998-03-09 2000-04-04 Milliken & Company Composition for promoting adhesion between rubber and textiles
US6342280B1 (en) * 1998-06-23 2002-01-29 Nextec Applications, Inc. Products of and methods for improving adhesion between substrate and polymer layers
GB9814212D0 (en) 1998-07-01 1998-09-02 Dow Corning Gmbh Polymer composition
US6153691A (en) * 1998-10-07 2000-11-28 Dow Corning Corporation Thermoplastic silicone vulcanizates prepared by condensation cure
US6265515B1 (en) * 1999-06-14 2001-07-2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Fluorinated silicone resin fouling release composition
US6447913B1 (en) * 1999-06-23 2002-09-10 Polyplastics Co., Ltd Thermoplas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DE50014082D1 (de) * 1999-10-26 2007-04-05 Ciba Sc Holding Ag Additivgemisch zur Verbesserung der mechanischen Eigenschaften von Polymeren
JP3966668B2 (ja) * 2000-03-16 2007-08-29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オレフィン系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3808279B2 (ja) * 2000-04-12 2006-08-09 ジーイー東芝シリコーン株式会社 接着方法
JP4436538B2 (ja) * 2000-06-12 2010-03-24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品
JP3833056B2 (ja) * 2000-08-07 2006-10-11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難燃性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US6512037B1 (en) * 2001-06-06 2003-01-28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composition and cured silicone product
US6482888B1 (en) * 2001-06-06 2002-11-19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composition and cured silicone product
JP2003013007A (ja) * 2001-06-29 2003-01-15 Nippon Unicar Co Ltd 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建材
US6509423B1 (en) 2001-08-21 2003-01-21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composition and cured silicone product
JP2003096377A (ja) * 2001-09-25 2003-04-03 Asahi Glass Co Ltd 熱硬化性フッ素樹脂粉体塗料組成物
JP2003252960A (ja) * 2002-03-05 2003-09-10 Toray Ind Inc 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樹脂封止型半導体装置
KR101338927B1 (ko) * 2004-01-22 2013-12-10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첨가양생재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시킨 조성물과 이 조성물과 일체화된 복합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7158A (en) * 1994-03-07 1995-10-10 Dow Corning Corporation Blends based on fluorosilicone elastomers and vinylidene fluoride polymers
US20030149220A1 (en) * 1999-06-11 2003-08-07 Rainer Hoefer Epoxy resin hardener compositions
US6824848B2 (en) * 2000-05-05 2004-11-30 Rhodia Chimie Silicone/adhesive complex whereof the interface has a release force capable of being modulated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US20040259965A1 (en) * 2001-09-21 2004-12-23 Kazuo Higuchi Electroconductive silicone rubber spo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13058B2 (en) 2011-09-06
DE602005013184D1 (de) 2009-04-23
KR20130008090A (ko) 2013-01-21
JP2012087314A (ja) 2012-05-10
CN1922253B (zh) 2011-03-23
US20110060099A1 (en) 2011-03-10
WO2005071006A1 (en) 2005-08-04
TWI366588B (en) 2012-06-21
EP1706450A1 (en) 2006-10-04
CN1922253A (zh) 2007-02-28
JP2007518869A (ja) 2007-07-12
ATE425210T1 (de) 2009-03-15
KR101253220B1 (ko) 2013-04-16
KR101338924B1 (ko) 2013-12-10
EP1706450B1 (en) 2009-03-11
JP5276789B2 (ja) 2013-08-28
US7858197B2 (en) 2010-12-28
KR20130008091A (ko) 2013-01-21
KR20070004584A (ko) 2007-01-09
TW200538512A (en) 2005-12-01
US20110060092A1 (en) 2011-03-10
US20080177000A1 (en) 2008-07-24
MXPA06008244A (es) 2007-01-26
JP2012107249A (ja) 2012-06-07
US8084135B2 (en) 2011-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8927B1 (ko) 첨가양생재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시킨 조성물과 이 조성물과 일체화된 복합물
US10774250B2 (en) Adhesive compositions and their applications
KR101910921B1 (ko) 감압 접착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JPH09165516A (ja) 熱可塑性樹脂とオイルブリード性シリコーンゴムとの一体成形体
JP2008513556A (ja) 改善された防汚性及び改善された接着性を有する、コアシェル粒子を有するシリコーン上塗塗料
JP2000248065A (ja) 有機−無機成分傾斜複合材料の製造方法
CN114026186A (zh) 有机硅弹性体涂料
US11814553B2 (en) Adhesive
US20230303891A1 (en) Silicone elastomer compositions
KR20230013029A (ko) 방해 소음을 감소시킨 폴리카르보네이트 블렌드
JP2560557B2 (ja) 接着性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
JP3581484B2 (ja) 熱可塑性樹脂とシリコーンゴムとの一体成形体
CA3023155C (en) Method of adhering silicone base material to a substrate
JP3127814B2 (ja) シリコーンゴム一体成形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とシリコーンゴムとの一体成形体
JP2024048450A (ja)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フィルム
JP2017052972A (ja) 感圧性接着剤シート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