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4787B1 -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4787B1
KR100964787B1 KR1020070036853A KR20070036853A KR100964787B1 KR 100964787 B1 KR100964787 B1 KR 100964787B1 KR 1020070036853 A KR1020070036853 A KR 1020070036853A KR 20070036853 A KR20070036853 A KR 20070036853A KR 100964787 B1 KR100964787 B1 KR 100964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lm
block copolymer
meth
block
polariz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3219A (ko
Inventor
김희정
김동렬
박영환
남대우
정붕군
차주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70036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787B1/ko
Priority to JP2010503969A priority patent/JP5325877B2/ja
Priority to US12/450,833 priority patent/US20100104776A1/en
Priority to EP08741382A priority patent/EP2137243B1/en
Priority to PCT/KR2008/002137 priority patent/WO2008127068A1/en
Publication of KR20080093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787B1/ko
Priority to JP2013039363A priority patent/JP5813681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5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8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83/10Block- or graft-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8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83/10Block- or graft-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1Polarizer or dy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3Silicon compound, e.g. glass or organo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5Ester polymer, e.g. polycarbonate, polyacrylate or polyes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몰% 이상 포함하는 블록체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광학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은 우수한 투명성 및 물리적 성질을 갖는 것과 동시에 기존의 아크릴레이트 필름에 비하여 수분 흡습도가 개선된 것이다.
광학필름, (메타)아크릴레이트, 하드 세그먼트, 소프트 세그먼트

Description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OPTICAL FILMS AND LCD COMPRISING THE SAM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을 편광판의 보호필름으로 적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광학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투명성 및 물리적 성질이 우수하고 수분 흡습도가 낮은 광학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품위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우수한 광학 특성, 우수한 내구성, 우수한 점착제 신뢰성 및 우수한 부가 기능을 가진 편광판을 요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요오드계 편광판은 요오드 이온 사슬(polyiodide)이 연신 배향된 폴리비닐알콜(PVA; polyvinyl alcohol) 사슬에 의하여 배향됨으로써 편광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요오드계 편광판은 수용성 고분자인 PVA 매트릭스를 기반으로 하므로 제조 공정 중에 가교화 처리를 하더라도 열 및 수분에 취약할 수 밖에 없으며, 그 결과 편광 성능의 저하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고온 및 고습 환경에서는 편광 소자의 연신 방향으로 수축이 발생할 수 있으며, 편광 소자의 연신 직각 방향으로는 상온에서도 기계적 강도가 매우 약하다. 한편 요오드계 편광 소자인 경우 요오드 이온 사슬 자체의 내열성 및 내습열성이 약한 것이 약점이다. 따라서, 편광판의 치수안정성, 내습성, 내열성 등을 확보하기 위해 편광 소자 양쪽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상업화된 편광판에서는 보호층으로 주로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이하 TAC)를 사용하는데 TAC 필름은 높은 광투과율과 낮은 복굴절성을 갖고, 표면 개질에 의한 친수화가 용이하여 일반적으로 편광필름의 보호층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편광 소자의 보호층으로의 TAC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TAC 필름은 수분 투과도가 높기 때문에 고온, 고습 하에서 편광판의 내구성을 떨어뜨린다. 둘째, TAC 필름은 기체 투과도가 높아 투과한 산소에 의해 요오드 등의 이색성 물질이 변질되기 쉽다. 셋째, TAC 필름에는 가소제가 첨가되어 있기 때문에 내열성이 떨어지며, 표면 알칼리 검화 처리 과정 중 녹아 나와 표면 찍힘 등의 외관 불량을 야기한다. 넷째, TAC 필름과 아크릴산을 함유한 점착제를 사용할 경우 아크릴산에 의해 TAC 필름이 분해되기도 한다.
이에 투명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수분 흡습도가 낮고 경제성이 뛰어난 광학필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를 개선할수 있는 필름 을 연구하던 중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소정 함량 이상 포함하는 블록체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를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종래의 아크릴레이트계 필름에 비하여 투명성 및 물리적 성질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수분 흡습도 또한 개선되어 광학필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이에 본 발명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수분 흡습도가 낮은 광학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몰% 이상 포함하는 블록체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광학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록공중합체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몰% 이상 포함하는 하드 세그먼트(hard segment)로 구성된 비닐 중합 블록체, 및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프트 세그먼트(soft segment)로 구성된 블록체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a)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몰% 이상 포함하는 블록체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블록공중합체를 이용하여 필름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셀, 및 이 액정셀의 양면에 구비된 제1 편광판 및 제2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판 및 제2 편광판 중 적어도 하나와 액정셀 사이에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몰% 이상 포함하는 블록체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광학필름을 1장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광자, 및 이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보호필름으로서 구비된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몰% 이상 포함하는 블록체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셀, 및 이 액정셀의 양면에 구비된 제1 편광판 및 제2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판 및 제2 편광판 중 적어도 하나가 편광자 및 이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보호필름으로서 구비된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몰% 이상 포함하는 블록체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은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몰% 이상을 포함하는 블록체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메타크릴레이트와 아크릴레이트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블록공중합체를 이용하여 광학필름을 제조함으로써 종래의 아크릴레이트계 필름에 비하여 투명성 및 물리적 성질이 우수하며 수분 흡습도가 낮은 광학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블록공중합체는 구체적으로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몰% 이상을 포함하는 하드 세그먼트로 구성된 비닐 중합 블록체, 및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폴리에 스테르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프트 세그먼트로 구성된 블록체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닐 중합 블록체를 구성하기 위한 (메타)아크릴산 단량체로는 탄소수가 1 내지 12의 알킬기, 알킬렌, 방향족의 치환체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러한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며, 이들 단량체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닐 중합 블록체는 상기 (메타)아크릴산 단량체 이외에 다른 단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비닐 시아니아드 단량체, 말레이미드 단량체, 방향족환을 포함하는 비닐 단량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닐 시아니아드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나이트릴 등이 있다. 상기 말레이미드 단량체로는 N-페닐말레이미드, 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 N-메틸말레이미드, N-부틸말레이미드 등이 있다. 방향족환을 포함하는 비닐 단량체로는 스티렌계 단량체, 구체적으로 스티렌, α-메틸스티렌(methylstyrene), 3-메틸스티렌(methylstyrene), p-메틸스티렌(methylstyrene), p-에틸스티렌(ethylstyrene), p-프로필스티렌(methylstyrene), 4-(p-메틸페닐)스티렌, 1-비닐나프탈렌, p-클로로스티렌(chlorostyrene), m-클로로스티렌(chlorostyrene) 및 p-니트로스티 렌(nitrostyrene)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의 화합물 등이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몰% 이상 포함하는 하드 세그먼트로 구성된 비닐 중합 블록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세그먼트(soft segment)로 구성된 블록체에 포함되는 폴리실록산으로는 하기 화학식 1의 단위체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07028723564-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 및 R'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할로시클로알킬, 할로아릴 및 할로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n은 1 내지 6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세그먼트(soft segment)로 구성된 블록체에 포함되는 폴리에테르로는 하기 화학식 2의 단위체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07028723564-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 n은 2 내지 4의 정수이며 x는 5이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세그먼트(soft segment)로 구성된 블록체에 포함되는 폴리에스테르로는 하기 화학식 3의 단위체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07028723564-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X는 C1~C24의 알킬이고, y는 1 이상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세그먼트(soft segment)로 구성된 블록체에 포함되는 폴리우레탄으로는 하기 화학식 4의 단위체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07028723564-pat00004
상기 화학식 4에 있어서, E 및 X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24의 알킬이고, M 및 M'는 각각 독립적으로 O 또는 N이다.
상기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블록체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단위체들은 직접 연결에 의하여 연결될 수도 있고, 알킬렌, 알케닐렌, 알키닐렌, 시클로알킬렌, 아릴렌, 헤테로아릴렌, -O-, -S-, -NR"-, -COO-와 같은 2가기에 의하여 연결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R"는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할로시클로알킬, 할로아릴 및 할로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의 제조에 사용되는 블록공중합체는 (A-B)n, B-(A-B)n, (A-B)n-A 및 이들의 혼합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A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몰% 이상 포함하는 블록체이고, B는 상기 A와 함께 블록공중합체를 구성할 수 있는 추가의 블록체이다. 예컨대 A는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몰% 이상 포함하는 하드 세그먼트로 구성된 비닐 중합 블록체이고, B는 상기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프트 세그먼트로 구성된 블록체일 수 있다. n은 0 또는 그 이상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몰% 이상 포함하는 하드 세그먼트로 구성된 비닐 중합 블록체와 상기 소프트 세그먼트로 구성된 블록체의 중량비가 95:5 내지 5:9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난 경우 제조된 블록공중합체는 광학필름으로서의 용도에 적합한 물성을 나타내지 못할 수 있다.
상기 블록공중합체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광학필름을 제조하기에 적절한 분자량으로는 수평균분자량이 5천-200만, 좀더 바람직하게는 1만-100만인 것이 적당하다.
상기 블록공중합체를 제조할 때에 상기 블록체 B의 분자량은 1000-20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2만의 범위의 것이 적절하다. 상기 블록체 B의 분자량이 너무 낮으면 블록공중합체의 제조시 첨가되는 아조기의 수가 많아 결과적으로 블록공중합체의 생성효율이 떨어지고, 이로부터 얻어지는 블록공중합체는 적절한 물성을 기대할 수 없다. 반면, 상기 블록체 B의 분자량이 너무 크면 블록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데에 시간을 더 많이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얻어지는 블록공중합체에서 도메인 B의 크기의 증가로 인하여 블록공중합체의 투명성을 저해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 A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광학필름을 제조하기에 적절한 분자량으로는 수평균분자량이 5천-200만, 좀더 바람직하게는 1만-100만인 것이 적당하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공중합체는 당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방법을 이용하 여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블록공중합체는 아래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첫째로는, 말단이 알킬하이드록시나 알킬아민으로 처리된 소프트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블록체와 아조개시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간의 반응을 통하여 아조기가 포함된 소프트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블록체를 제조하고, 이를 비닐중합 개시제로 사용하여 라디칼 중합을 실시하여 결과적으로 전술한 블록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둘째로는, 말단이 카르복실산, 아실클로라이드, 또는 하이드록시 아민으로 치환된 개시제를 이용하여 스타이렌을 라디칼 중합을 실시한다. 이 과정에서 폴리스타이렌의 분자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개시제는 1 내지 30몰% ,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몰 % 정도를 투입하여 중합을 실시한다. 이 과정을 통하여 얻은 폴리스타이렌을 말단이 하이드록시, 아민,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카르복실산으로 처리된 소프트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블록체와 반응을 실시하여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블록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예로서, 소프트 세그먼트인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일본 특개2000-53716호에 기재된 하기 화학식 5의 매크로 질소 화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문헌의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포함된다.
Figure 112007028723564-pat00005
상기 화학식 5에 있어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또는 시아노기이고,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며,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렌기이고, m, n, p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양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5에 있어서, 알킬기로는 직쇄상도 분지상도 좋고, 예를 들면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sec-부틸기, n-펜틸기, 이소펜틸기, tert-펜틸기, 네오펜틸기, n-헥실기, 이소헥실기, 1-메틸펜틸기, 2-메틸펜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5에 있어서, 아릴기로서는, 예를 들면 페닐기, o-톨릴기, m-톨릴기, p-톨릴기, 2,3-크실릴기, 2,4-크실릴기, 2,5-크실릴기, 2,6-크실릴기, 3,5-크실릴기,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5에 있어서, X 또는 Y으로 나타나는 알킬렌기로서는,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도 좋고, 예를 들면 탄소수 1∼10의 알킬렌기를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2-메틸프로필렌기, 펜틸 렌, 2,2-디메틸 프로필렌기, 2-에틸프로필렌기, 핵실렌기, 헵틸렌기, 옥틸렌기, 2-에틸헥실렌기, 노닐렌기, 데실렌기, 시클로프로필렌기, 시클로펜틸렌기, 시클로헥실렌기 등을 들 수 있고, 이 중에서 탄소수 1∼6의 알킬렌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5에 있어서, m은 통상 5 이상, 바람직하게는 5∼2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0의 정수이다. n은 통상 2 이상, 바람직하게는 2∼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의 정수이다. p 또는 q은 통상 1 이상, 바람직하게는 1∼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5에 있어서, p과 q의 비율으로서는, p:q=10:1∼1:10, 바람직하게는 3:1∼1:3이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수평균 분자량은 통상 5,000∼300,000, 바람직하게는 8,000∼150,000이다.
상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이용하여 전술한 (메타)아크릴산 단량체를 중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블록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이용한 중합 반응으로서는, 예를 들면 용액 중합,벌크(bulk) 중합, 현탁 중합, 유화 중합, 분산 중합 등 모든 중합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중합 반응을 행할 때 필요에 따라 연쇄 이동제를 첨가하여 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라우릴 메르캅탄, 옥틸 메르캅탄, 부틸메르캅탄, 2-메르캅토 에탄올, 티오 글리콜, 산부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용액 중합에서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클로로포름, 염화 메틸렌, 1,2-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n-헥산, 석유 에테르, 톨루엔, 벤젠, 크실렌 등의 탄화수소 류,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아세토니트릴, N,N-디메틸 포름아미드, 디메틸 설폭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용매는 각각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상기 중합 반응은,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활성 가스로서는, 예를 들면 질소 가스, 아르곤 가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 반응시, 상기 화학식 5의 매크로 질소 화합물의 사용량은, 사용하는 중합하고자 하는 (메타)아크릴산 단량체의 종류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넓은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고, 중합하고자 하는 (메타)아크릴산 단량체에 대하여 통상 0.01∼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50 중량%로 할 수 있다.
상기 중합하고자 하는 (메타)아크릴산 단량체의 중합 반응시의 농도로서는, (메타)아크릴산 단량체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5∼100 중량%(무용매), 바람직하게는 10∼60 중량%로 할 수 있다.
반응 온도는 다른 중합 조건과의 균형을 위하여 다소의 변동은 있지만, 통상 30∼130℃, 바람직하게는 40∼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60∼90℃로 할 수 있다.
또한, 반응 시간은, 반응 온도나 단량체의 종류 또는 농도 등의 반응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2∼24 시간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중합 개시제로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블록공중합체를 용이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블록공중합체는 필요에 따라 충진 제(filler), 강화제, 안정제, 착색제 및 산화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은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재료로서 전술한 블록공중합체 이외에 아크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블록공중합체와 아크릴 수지의 혼합비율은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며, 얻어진 광학필름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에서 혼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블록공중합체와 아크릴 수지간의 중량비가 95:5 내지 5:95의 범위로 혼합가능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량비가 80:20 내지 20:8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아크릴 수지의 중량비가 95%를 넘는 경우 광학필름으로서의 용도에 적합한 물성을 갖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의 구체적인 종류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시판되는 종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몰% 이상 포함하는 블록체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블록공중합체를 이용하여 필름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블록공중합체는 구체적으로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몰% 이상을 포함하는 하드 세그먼트로 구성된 비닐 중합 블록체, 및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프트 세그먼트로 구성된 블록체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록공중합체로부터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블록공중합체를 1차 성형가공으로서 일반적인 필름의 제조방법인 압출성형법, 인플레이션 성형법 또는 용액유연법 등의 방법에 의해 광학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광학필름은 그 자 체로, 즉 무연신 상태로 산업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음 단계에서 2차 성형가공인 연신가공조작으로 위상차를 부여하여 위상차 필름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1차 성형가공으로서 압출성형법에 의해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T-다이로 불려지는 다이의 얇은 간극을 통과시켜 임의의 두께의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가스 발포에 의한 외관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블록공중합체를 80 내지 130℃의 범위의 온도에서 가열 및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출성형의 조건은, 분자쇄의 배향을 억제하기 위하여 블록공중합체가 용융 유동하는 유리전이온도보다 충분히 높은 온도에서, 전단율 1000/초 미만으로 성형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 통과 후 용융 상태인 필름의 냉각고화를 위하여, 저온도 금속 롤러나 스틸벨트를 사용할 수 있다.
1차 성형가공으로서 용액유연법에 의해서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블록공중합체가 가용될 수 있는 용제를 선택하고, 필요에 따라서 복수의 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액유연법에 사용될 수 있는 용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클로로벤젠, 1,4-다이옥산, 1,3-다이옥소레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휘발속도의 제어를 위하여 블록공중합체에 대한 양용제(good solvent)와 빈용제(poor solvent)를 조합시킬 수 있다. 용액유연법에 중 건조시에는, 가열조건의 설정에 의해 필름 내에서 기포 또는 내부 공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며, 잔류용제의 농도가 0.1wt%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에 의하여 1차 성형가공으로 제조된 광학필름은 두께가 30 내지 5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광학필름을 추가로 연신하는 경우, 상기 블록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를 Tg라고 할 때, Tg-20℃ ~ Tg+30℃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는 블록공중합체의 저장탄성율이 저하되기 시작하고, 이에 따라 손실탄성율이 저장탄성율보다 커지게 되는 온도로부터, 고분자 사슬의 배향이 완화되어 소실되는 온도까지의 영역을 가리키는 것이다. 유리전이온도는 시차주사형 열량계(DSC)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필름의 성형 전에 상기 블록공중합체에 아크릴 수지를 블렌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크릴 수지와 블록공중합체의 혼합비율은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블렌딩을 통하여 얻어진 광학필름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에서 혼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셀, 및 이 액정셀의 양면에 구비된 제1 편광판 및 제2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판 및 제2 편광판 중 적어도 하나와 액정셀 사이에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몰% 이상 포함하는 블록체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광학필름을 1장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블록공중합체는 구체적으로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몰% 이상을 포함하는 하드 세그먼트로 구성된 비닐 중합 블록체, 및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프트 세그먼트로 구성된 블록체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편광자 및 이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보호필름으로서 구비된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몰% 이상 포함하는 블록체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상기 블록공중합체는 구체적으로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몰% 이상을 포함하는 하드 세그먼트로 구성된 비닐 중합 블록체, 및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프트 세그먼트로 구성된 블록체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만 보호필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이 구비되는 경우 나머지 타면에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보호필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편광자로는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콜(PVA)로 이루어진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PVA 필름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염착시켜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편광자는 보호필름을 포함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며, 편광판은 편광자와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에 있어서, 보호필름과 편광자는 당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방법으로 합지될 수 있다.
예컨대, 보호필름과 편광자의 합지는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먼저 보호필름 또는 편광자인 PVA 필름의 표면 상에 롤 코터, 그라비어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또는 캐필러리 코터 등을 사용하여 접착제 를 코팅한다. 접착제가 완전히 건조되기 전에 보호필름과 편광자를 합지 롤로 가열압착하거나 상온압착하여 합지한다. 핫멜트형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가열 압착롤을 사용하여야 한다.
상기 보호필름과 편광자의 합지시 사용가능한 접착제는 일액형 또는 이액형의 PVA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계(SBR계) 접착제, 또는 핫멜트형 접착제 등이 있으나, 이들 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광에 의해 황변되지 않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액형 또는 이액형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와 하이드록시기와의 반응성이 비교적 낮은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세테이트계 용제, 케톤계 용제, 에테르계 용제, 또는 방향족계 용제 등으로 희석된 용액형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접착제 점도는 5000 cps 이하의 저점도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들은 저장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400 내지 800 nm에서의 광투과도가 9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충분한 점착력을 발휘할 수 있으면 점착제도 사용될 수 있다. 점착제는 합지 후 열 또는 자외선에 의하여 충분히 경화가 일어나 기계적 강도가 접착제 수준으로 향상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계면접착력도 커서 점착제가 부착된 양쪽 필름 중 어느 한 쪽의 파괴없이는 박리되지 않는 정도의 점착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가능한 점착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광학투명성이 우수한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알킬에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변성 폴리올레핀계 점착제 등과 여기에 이소시아네이트 등의 경화제를 첨가한 경화형 점착제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셀, 및 이 액정셀의 양면에 구비된 제1 편광판 및 제2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판 및 제2 편광판 중 적어도 하나가 편광자 및 이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보호필름으로서 구비된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몰% 이상 포함하는 블록체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블록공중합체는 구체적으로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몰% 이상을 포함하는 하드 세그먼트로 구성된 비닐 중합 블록체, 및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프트 세그먼트로 구성된 블록체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를 예시한 도 1 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있어서, 편광판(11) 및 편광판(12) 중 적어도 하나의 편광막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이 보호필름으로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은 내부보호필름으로서 배치될 수도 있고, 외부보호필름으로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에는 위상차 필름이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위상차 필름의 존재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에는 백라이트가 편광판(12)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백라이트는 편광판(11)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이 편광판(11) 및/또는 편광판(12)의 편광막의 일면에만 배치될 경우, 다른 한면의 보호필름으로는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TAC) 필름, 개환 상호교환 중합(ring opening metathesis polymerization; ROMP)으로 제조된 폴리노보넨계 필름, 개환 중합된 고리형 올레핀계 중합체를 다시 수소 첨가하여 얻어진 HROMP(ring opening metathesis polymerization followed by hydrogenation) 중합체, 폴리에스터 필름, 또는 부가중합(addition polymerization)으로 제조된 폴리노보넨계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투명한 고분자 재료로 제조된 필름이 보호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는 편광판과 액정셀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할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실시예
<매크로개시제( macroinitiator )의 제조>
1. 폴리디메틸실록산 매크로개시제의 제조
1,13-비스페놀폴리디메틸실록산(1,13-bisphenol-polydimethylsiloxane Mn= 3500) 32 g을 클로로포름 50 g에 녹이고, 이어 트리에틸아민 2.1 g을 넣고 실온에서 5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5℃의 냉각수를 장치하고, 아조비스-4-시아노펜타노일클로라이드(azobis-4-cyanopentanoyl chloride) 3 g을 클로로포름 50 g에 녹인 용액을 30분에 걸쳐서 적가하며 반응시켰다. 24 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증류수를 이용하여 부산물과 미반응물을 씻어내었다. 이후 감압 조건에서 건조하여 매크로아조개시제 I 30 g을 얻었다. (Mn = 32000, PDI=2.0)
2. 폴리카프로락탐 매크로개시제의 제조
폴리카프로락탐디올 45g(polycaprolactane Mn= 4000)을 클로로포름 70g에 녹이고 이어 트리에틸아민 3g을 넣고 실온에서 5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5℃의 냉각수를 장치하고 아조비스-4-시아노펜타노일클로라이드 3.54g(11.2mmol)을 클로로포름 50g에 녹인 용액을 30분에 걸쳐서 적가하여 반응시켰다. 2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증류수를 이용하여 부산물과 미반응물을 씻어냈다. 이후 감압 조건에서 건조하여 매크로아조개시제 II 40.5g을 얻었다. (Mn = 25000, PDI=2.0)
3.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매크로개시제의 제조
폴리에틸렌옥사이드디올(polyethyleneoxidediol Mn=3200) 45g을 클로로포름 70g에 녹이고, 이어 트리에틸아민 3.2g을 넣고 실온에서 5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5℃의 냉각수를 장치하고, 아조비스-4-시아노펜타노일클로라이드 4.4g(14mmol)을 클로로포름 40g에 녹인 용액을 30분에 걸쳐서 적가하여 반응시켰다. 2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증류수를 이용하여 부산물과 미반응물을 씻어냈다. 이후 감압조건에서 건조하여 매크로아조개시제 III 41g을 얻었다.(Mn = 23000, PDI=1.8)
4. 폴리테트라하이드로퓨란 매크로개시제의 제조
폴리테트라하이드로퓨란디올60g(poltetrahydrofurandiol Mn= 5000)을 클로로포름 170g에 녹이고, 이어 트리에틸아민 2.4g을 넣고 실온에서 5분간 교반했다. 이어서 5℃의 냉각수를 장치하고, 아조비스-4-시아노펜타노일클로라이드 3.8g(12mmol)을 클로로포름 50g에 녹인 용액을 30분에 걸쳐서 적가하여 반응시켰다. 2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증류수를 이용하여 부산물과 미반응물을 씻어냈다. 이후 감압조건에서 건조하여 매크로아조개시제 IV 39.5g을 얻었다.(Mn = 16000, PDI=2.2)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실시예 1]
폴리디메틸실록산(PDMS)-b-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교반기가 부착된 90℃로 준비된 100 mL 플라스크 반응기에 상기에서 제조한 폴리디메틸실록산 매크로개시제 I 10 g을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70g에 투입하여 중합을 개시하였다. 18 시간이 지난 후에, THF 100 mL로 희석시켜 반응을 정지시키고 상온에서 계속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뒤, 과량의 메탄올에 천천히 적가하고 건조시켜 흰색 침전물 59 g을 얻었다. DSC를 이용하여 측정한 유리전이온도는 130℃이고, GPC를 이용하여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 무게평균분자량은 200,000 이었다.
[실시예 2-3]
실시예 1에서 폴리디메틸실록산 매크로 개시제 I의 양을 달리하는 것 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매크로 개시제 I
(g)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g)
무게평균
분자량
유리전이온도
(℃)
실시예 2 5 70 230000 129
실시예 3 14 70 140000 128
[실시예 4]
폴리카프로락탐(PCL)-b-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교반기가 부착된 90℃로 준비된 100 mL 플라스크 반응기에 상기에서 제조한 폴리카프로락탐 매크로개시제 II 10g을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70 g에 투입하여 중합을 개시하였다. 18 시간이 지난 후에, THF 100 mL로 희석시켜 반응을 정지시키고 상온에서 계속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뒤, 과량의 메탄올에 천천히 적가하고 건조시켜 흰색 침전물 50 g을 얻었다. DSC를 이용하여 측정한 유리전이온도는 94℃이고, GPC를 이용하여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 무게평균분자량은 140,000 이었다.
[실시예 5]
폴리에틸렌옥사이드-b-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교반기가 부착된 90℃로 준비된 100 mL 플라스크 반응기에 상기에서 제조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매크로개시제 III 7 g을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70 g에 투입하여 중합을 개시하였다. 18 시간이 지난 후에, THF 100 mL로 희석시켜 반응을 정지시키고 상온에서 계속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뒤, 과량의 메탄올에 천천히 적가하고 건조시켜 흰색 침전물 50 g을 얻었다. DSC를 이용하여 측정한 유리전이온도는 105℃이고, GPC를 이용하여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 무게평균분자량은 180,000 이었다.
[실시예 6]
폴리테트라하이드로퓨란-b-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교반기가 부착된 90℃로 준비된 100 mL 플라스크 반응기에 상기에서 제조한 폴리테트라하이드로퓨란 매크로개시제 IV 10g을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70 g에 투입하여 중합을 개시하였다. 18 시간이 지난 후에, THF 100 mL로 희석시켜 반응을 정지시키고 상온에서 계속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뒤, 과량의 메탄올에 천천히 적가하고 건조시켜 흰색 침전물 50 g을 얻었다. DSC를 이용하여 측정한 유리전이온도는 103℃이고, GPC를 이용하여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 무게평균분자량은 120,000 이었다.
<필름 제조>
디클로로에탄 42.5 g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블록공중합체 7.5g을 투입하고, 30℃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을 제조하였다. 5㎛ 필터로 여과하여 불용물과 먼지를 제거하고 15 wt%의 캐스팅 용액을 제조하였다. LCD 기판용 유리판에 캐스팅 용액을 붓고 닥터블레이드로 0.3 m/min의 속도로 캐스팅하고 실온에서 60분간 건조하였다. 이 후, 60℃에서 60 분간, 115℃에서 90 분간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한 다음 고분자 필름을 박리하였다. 제조한 필름의 물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필름의 전투과율과 헤이즈는 반사도-투과도 미터(reflectance-transmittance meter, HR-100, Murakami color research Lab.)로 측정하였다. 각 경우 필름의 전투과율은 90% 이상이며 헤이즈는 하기 표 2의 결과와 같다. 그리고 각 경우에서 얻은 블록공중합체 필름은 실시예 2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구부렸을 때 부러지지 않아 기존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에 비하여 질김의 정도가 훨씬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수분 투과도 측정은 수증기 투과도 테스터(water vapor permeability tester, Lssy, L80-5000)를 사용했으며, 측정 조건은 온도는 38℃, 샘플 밑 부분의 습도는 100%, 샘플 윗 부분의 습도는 10%인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참고로 TAC의 수분 투과도는 260이다.
필름두께
(μm)
Haze
(%)
수분 투과도
(g/m2·day)
흡습도
(%)
Toughness
실시예 1 78 0.2 34 1.3 Tough
실시예 2 86 0.3 35 1.2 Less tough
실시예 3 87 0.5 38 1.3 Tough
실시예 4 80 0.4 30 1.8 Tough
실시예 5 85 0.3 33 1.6 Tough
실시예 6 79 0.5 35 1.9 Tough
또한 실시예 2, 3 및 5에서 제작한 블록공중합체의 필름을 연신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정리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면방향 위상차와 두께방향 위상차가 낮아 광학필름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연신온도
(℃)
연신율
(%)
연신속도
(mm/min)
필름두께
(㎛)
면 방향
위상차 값
(nm)
두께 방향
위상차 값
(nm)
실시예 2 140 100 50 62 29 7
140 50 50 72 26 10
140 25 50 77 16 11
실시예 3 140 100 50 65 29 4
140 50 50 78 26 24
140 25 50 81 18 2
실시예 5 140 100 50 62 29 4
140 50 50 73 25 3
140 25 50 77 19 3
본 발명은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몰% 이상 포함하는 블록체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를 이용하여 광학필름을 제조함으로써 투명도 및 물리적 성질이 우수하고 수분흡습도가 낮은 광학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광학필름은 편광판의 보호필름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1)

  1. 삭제
  2.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몰% 이상 포함하는 블록체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광학필름에 있어서, 상기 블록공중합체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몰% 이상 포함하는 하드 세그먼트(hard segment)로 구성된 비닐 중합 블록체, 및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프트 세그먼트(soft segment)로 구성된 블록체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인 것인 광학필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닐 중합 블록체를 구성하는 (메타)아크릴산 단량체는 탄소수가 1 내지 12의 알킬기, 알킬렌 또는 방향족의 치환체를 갖는 것인 광학필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닐 중합 블록체는 비닐 시아니아드 단량체, 말레이미드 단량체 및 방향족환을 포함하는 비닐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광학필름.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위체를 포함하는 것인 광학필름:
    [화학식 1]
    Figure 112007028723564-pat00006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 및 R'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할로시클로알킬, 할로아릴 및 할로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n은 1 내지 6의 정수이다.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위체를 포함하는 것인 광학필름:
    [화학식 2]
    Figure 112007028723564-pat00007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 n은 2 내지 4의 정수이며 x는 5이상이다.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위체를 포함하는 것인 광학필름:
    [화학식 3]
    Figure 112007028723564-pat00008
    상기 화학식 3에서 X는 C1~C24의 알킬이고, y는 1 이상의 정수이다.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단위체를 포함하는 것인 광학필름:
    [화학식 4]
    Figure 112010027325116-pat00009
    상기 화학식 4에 있어서, E 및 X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24의 알킬이고, M 및 M'는 각각 독립적으로 O 또는 N이다.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블록공중합체는 (A-B)n, B-(A-B)n, (A-B)n-A 또는 이들의 혼합형태이고, 여기서 A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몰% 이상 포함하는 하드 세그먼트로 구성된 비닐 중합 블록체이고, B는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 프트 세그먼트로 구성된 블록체이며, n은 0 또는 그 이상의 정수인 것인 광학필름.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드 세그먼트로 구성된 비닐 중합 블록체와 상기 소프트 세그먼트로 구성된 블록체의 중량비가 95:5 내지 5:95인 것인 광학필름.
  11. 청구항 2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아크릴 수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광학필름.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블록공중합체와 상기 아크릴 수지의 중량비가 95:5 내지 5:95인 것인 광학필름.
  13. 삭제
  14. a)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몰% 이상 포함하는 블록체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블록공중합체를 이용하여 필름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2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항의 광학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필름의 성형 전에 상기 블록공중합체에 아크릴 수지를 블렌딩하는 것인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블록공중합체와 상기 아크릴 수지의 중량비가 95:5 내지 5:95인 것인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16. 편광자, 및 이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보호필름으로서 구비된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몰% 이상 포함하는 블록체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청구항 2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항의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은 아크릴 수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블록공중합체와 상기 아크릴 수지의 중량비가 95:5 내지 5:95인 것인 편광판.
  19. 액정셀, 및 이 액정셀의 양면에 구비된 제1 편광판 및 제2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판 및 제2 편광판 중 적어도 하나가 편광자 및 이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보호필름으로서 구비된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0몰% 이상 포함하는 블록체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청구항 2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항의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은 아크릴 수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액정표시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블록공중합체와 상기 아크릴 수지의 중량비가 95:5 내지 5:95인 것인 액정표시장치.
KR1020070036853A 2007-04-16 2007-04-16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0964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853A KR100964787B1 (ko) 2007-04-16 2007-04-16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10503969A JP5325877B2 (ja) 2007-04-16 2008-04-16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含む液晶表示装置
US12/450,833 US20100104776A1 (en) 2007-04-16 2008-04-16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EP08741382A EP2137243B1 (en) 2007-04-16 2008-04-16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PCT/KR2008/002137 WO2008127068A1 (en) 2007-04-16 2008-04-16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JP2013039363A JP5813681B2 (ja) 2007-04-16 2013-02-28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含む液晶表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853A KR100964787B1 (ko) 2007-04-16 2007-04-16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219A KR20080093219A (ko) 2008-10-21
KR100964787B1 true KR100964787B1 (ko) 2010-06-21

Family

ID=3986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853A KR100964787B1 (ko) 2007-04-16 2007-04-16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104776A1 (ko)
EP (1) EP2137243B1 (ko)
JP (2) JP5325877B2 (ko)
KR (1) KR100964787B1 (ko)
WO (1) WO20081270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787B1 (ko) * 2007-04-16 2010-06-2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0958392B1 (ko) * 2008-05-23 2010-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
WO2009054553A2 (en) * 2008-12-25 2009-04-30 Kuraray Co., Ltd. Optical component comprising acrylic block copolymer
KR101525996B1 (ko) 2011-11-14 2015-06-04 제일모직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KR20140059898A (ko) * 2012-11-08 2014-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JP2015000896A (ja) * 2013-06-14 2015-01-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組成物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ミクロ相分離構造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640556B (zh) * 2017-09-13 2018-11-11 日商住友化學股份有限公司 用於製造偏光膜的方法與系統
KR20190039639A (ko) * 2017-10-05 2019-04-15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작용화된 폴리비닐 알콜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액정 매질을 함유하는 나노캡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5764B2 (en) 2000-08-11 2003-05-20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of manufacturing a material having a fine structure
JP2005128315A (ja) 2003-10-24 2005-05-19 Nitto Denko Corp 垂直配向膜、その製造方法、液晶配向膜、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06023143A1 (en) 2004-07-29 2006-03-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acrylate block copolym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7926A (en) * 1970-11-12 1978-03-07 Rohm And Haas Company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polymerized alkoxyalkyl ester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
US5057619A (en) * 1989-08-14 1991-10-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Siloxane iniferter compounds, block copolymers made therewith and a method of making the block copolymers
JP3031014B2 (ja) * 1991-12-12 2000-04-10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位相差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5368943A (en) * 1991-12-20 1994-11-29 Adco Products, Inc. Polyurethane block copolymer
US5714218A (en) * 1995-08-21 1998-02-03 Dainippon Printing Co., Ltd. Ionizing radiation-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article, optical article, and surface light source
JP2000053716A (ja) * 1998-08-05 2000-02-22 Wako Pure Chem Ind Ltd マクロアゾ化合物
US7049373B2 (en) 1999-08-06 2006-05-23 Carnegie Mellon University Process for preparation of graft polymers
JP2005092226A (ja) * 2000-12-08 2005-04-07 Toyobo Co Ltd 光学用積層フィルム
TW589345B (en) * 2001-05-14 2004-06-01 Kaneka Corp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3901997B2 (ja) 2001-11-27 2007-04-04 富士通株式会社 レジスト材料、レジストパタ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184178B2 (ja) * 2002-07-09 2008-11-19 株式会社クラレ 熱可塑性重合体組成物
EP1441399A3 (en) 2003-01-25 2009-07-01 MERCK PATENT GmbH Polymer dopants
JP2004315574A (ja) * 2003-04-11 2004-11-11 Fuji Photo Film Co Ltd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該フィルムを用いた光学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支持体
JP2004339332A (ja) * 2003-05-14 2004-12-02 Nof Corp 熱硬化性インク、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カラーフィルター及び表示パネル
JP4165325B2 (ja) 2003-07-23 2008-10-15 Jsr株式会社 放射線硬化性樹脂組成物、その硬化膜及び積層体
JP4248347B2 (ja) * 2003-09-03 2009-04-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皮膜形成用組成物、反射防止膜、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防汚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防汚性物品
KR101338927B1 (ko) 2004-01-22 2013-12-10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첨가양생재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시킨 조성물과 이 조성물과 일체화된 복합물
WO2005073763A1 (ja) * 2004-01-29 2005-08-11 Nippon Paint Co., Ltd. 防眩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防眩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92229A (ja) * 2004-03-31 2005-10-20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偏光子支持基材用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
JP4825409B2 (ja) 2004-08-31 2011-11-30 株式会社日本触媒 光学用面状熱可塑性樹脂成形体、これを用いる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060058560A (ko) * 2004-11-25 2006-05-30 삼성코닝 주식회사 화상 표시 장치용 광학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
TWI337186B (en) * 2005-01-13 2011-02-11 Tosoh Corp Fumaric diester copolymer
WO2006083343A1 (en) * 2005-02-01 2006-08-10 Henkel Corporation Vinyl ether/acrylate block resin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WO2006107970A2 (en) 2005-04-06 2006-10-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ffuse reflective polariziing films with orientable polymer blends
JP4868780B2 (ja) * 2005-07-05 2012-02-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フッ素系共重合体、重合性組成物、硬化性樹脂組成物、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8663794B2 (en) * 2005-08-22 2014-03-04 Nitto Denko Corporation Control of birefringence dispersion utilizing nanocomposites
JP5061901B2 (ja) * 2005-08-29 2012-10-31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20080050398A (ko) * 2005-08-30 2008-06-0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US7811659B2 (en) * 2006-01-27 2010-10-12 Arkema France High optical purity copolymer film
KR100964787B1 (ko) * 2007-04-16 2010-06-2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WO2008153335A1 (en) * 2007-06-14 2008-12-18 Lg Chem, Ltd. Optical films, phase difference films, and lcd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5764B2 (en) 2000-08-11 2003-05-20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of manufacturing a material having a fine structure
JP2005128315A (ja) 2003-10-24 2005-05-19 Nitto Denko Corp 垂直配向膜、その製造方法、液晶配向膜、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06023143A1 (en) 2004-07-29 2006-03-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acrylate block copolym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25390A (ja) 2010-07-22
JP2013152473A (ja) 2013-08-08
US20100104776A1 (en) 2010-04-29
WO2008127068A1 (en) 2008-10-23
EP2137243A1 (en) 2009-12-30
KR20080093219A (ko) 2008-10-21
EP2137243B1 (en) 2012-06-20
JP5813681B2 (ja) 2015-11-17
EP2137243A4 (en) 2010-04-14
JP5325877B2 (ja) 201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787B1 (ko)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90068137A (ko) 광학 필름 및 그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JP2010116529A (ja) 光学フィルム及び該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9169086A (ja) 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積層光学フィルムならびにその用途
EP2137242B1 (en) Optical films, retardation films,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s
WO2001081959A1 (fr) Procede de production de film de retard
CN112888561A (zh) 层叠体及图像显示装置
KR101171980B1 (ko) 광학 필름, 위상차 필름 및 이들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KR100952285B1 (ko)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광학필름 및 이의제조방법
US9315639B2 (en) Optical films, phase difference films, and LCD comprising the same
JP5251214B2 (ja) 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積層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KR20100081918A (ko) 위상차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243716B1 (ko) 접착성이 우수한 위상차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361561B1 (ko) 위상차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964786B1 (ko) 광학필름, 위상차 필름, 및 이들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JP2006208604A (ja) 複屈折性フィルム、及び積層位相差板、及びフィルム用ポリマー、及び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0059343A (ja) 組成物、光学フィルム及び該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0091676A (ja) 光学異方性積層体、該光学異方性積層体を含む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06720B1 (ko) 위상차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674432B1 (ko)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WO2021033768A1 (ja) 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共重合体混合物、ドープ樹脂組成物、並びに樹脂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014795A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フィルムおよび積層光学フィルム
TW201623348A (zh) 烷氧基肉桂酸酯系聚合物及使用此聚合物之相位差膜
KR20160003478A (ko)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