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028B1 - 기판 표면을 검사하기 위한 측정 장치 및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판 표면을 검사하기 위한 측정 장치 및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028B1
KR101338028B1 KR1020087009810A KR20087009810A KR101338028B1 KR 101338028 B1 KR101338028 B1 KR 101338028B1 KR 1020087009810 A KR1020087009810 A KR 1020087009810A KR 20087009810 A KR20087009810 A KR 20087009810A KR 101338028 B1 KR101338028 B1 KR 101338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measuring
measuring head
sensor
insp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9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6690A (ko
Inventor
프란츠 드로프너
테오도로 롬바우어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80066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3/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3/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 G01B13/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3/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 G01B13/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정 헤드(110)를 이용하여 기판(190)의 표면을 검사하기 위한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측정 장치는 표면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111) 및 상기 센서 옆에 배치된 공기식 소자(112)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식 소자는 유입 개구(115) 및 아래로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출 개구(114)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 장치는 또한 기판(190) 위의 x-y-평면 내에서 측정 헤드(110, 210)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기 위해 설계된 표면-위치 설정 시스템(220) 그리고 압축 공기 발생 장치(250)를 구비하며, 상기 압축 공기 발생 장치가 상기 유입 개구(215)에 공압식으로 결합함으로써, 공기식 소자(112, 212)에 압축 공기가 제공되는 경우에 상기 측정 헤드(110, 210)는 기판(190) 위에 예정된 높이로 위치 설정될 수 있고, 공기 쿠션 상에서 슬라이딩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개별 센서들이 하나의 측정 열을 형성하도록 상호 배치된 다수의 전술한 측정 장치들을 구비한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판 표면을 검사하기 위한 측정 장치 및 측정 시스템 {MEASUREMENT APPARATUS AND MEASUREMENT SYSTEM FOR INSPECTION OF A SURFACE OF A SUBSTRATE}
본 발명은 기판의 표면을 검사하기 위한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측정 장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는 표면 위치 설정 시스템에 의하여 측정할 표면 위에 예정된 간격을 두고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다수의 측정 장치들을 구비한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평탄한 면의 표면을 검사하는 분야에서, 센서는 일반적으로 측정할 기판 표면 위에 예정된 간격을 두고 위치 설정된다. 위치 설정은 통상적으로 위치 설정 시스템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위치 설정 시스템에 의해 센서는 하나의 평면 내에서 측정할 표면과 평행하게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 설정 시스템을 상응하게 구동시킴으로써, 예컨대 곡류 형태의 동작에 의하여 측정할 전체 표면이 스캐닝 될 수 있다. 높은 측정 속도에 도달하기 위하여 다수의 개별 센서들을 구비하는 센서들도 사용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다수 개의 측정점을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특정 면에 대한 측정 시간은 개별 센서들의 개수에 상응하게 줄어든다.
측정 과제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센서들이 사용된다. 광학적인 검사에서는 통상적으로 예컨대 하나의 행- 또는 면 센서를 구비한 카메라가 사용된다. 용량성 측정 과제에서는 하나 또는 다수의 측정용 바늘(prod)이 사용되며, 상기 측정용 바늘에는 특정 교류- 또는 직류 전압이 제공된다. 측정할 표면의 개별 측정점과 측정용 바늘 사이의 용량에 의존하는 개별 측정용 바늘 위를 흐르는 작은 전류가 측정 신호로서 이용된다.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용으로 사용되는 기판의 도체 트랙 구조물을 상기 LCD의 완성 전에 발생 가능한 결함 측면에서 검사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측정용 바늘과 상기 측정용 바늘에 마주 놓인 상기 도체 트랙 구조물의 영역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상응하는 용량성 측정에 의해서는, 상기 도체 트랙 구조물의 원치 않는 단락, 단속 및 핀치(pinch) 효과가 검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함들은 LCD-기판의 추가 처리 전에 복구될 수 있거나, 또는 LCD-기판은 제조 공정으로부터 분류될(sort out) 수 있다. 그럼으로써, 액정 디스플레이용 제조 비용은 어떤 경우에도 현저히 줄어들 수 있다.
정확한 검사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측정할 기판 표면과 센서의 간격을 매우 정확하게 설정 및 유지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측정할 기판이 평탄하지 않거나 또는 약간 주름이 잡힌 표면을 갖는 경우에는, 정확한 간격 유지가 훨씬 더 어려워진다. 그렇기 때문에, 평탄하지 않은 표면의 측정을 위한 위치 설정 시스템이 사용되어야만 하는데, 상기 위치 설정 시스템은 측정할 표면과 평행한 평면에서 센서의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의 위치 설정도 가능케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측정할 표면에 대하여 수직으로의 위치 설정 은 일반적으로 측정 과정을 느리게 하고 측정 정확성을 떨어뜨린다.
본 발명의 과제는, 평탄하지 않은 기판 표면에서도 정확한 측정을 가능케 하는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평탄하지 않은 기판 표면의 특히 신속한 측정을 가능케 하는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의 과제는, 독립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기판의 표면을 검사하기 위한 측정 장치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는 측정 헤드를 구비하며, 상기 측정 헤드는 표면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센서 옆에 배치된 공기식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식 소자는 유입 개구 및 아래로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출 개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는 또한 기판 위에 있는 한 x-y-평면 내에서 측정 헤드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기 위해 설계된 표면-위치 설정 시스템 그리고 압축 공기 발생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압축 공기 발생 장치가 상기 유입 개구에 공압식으로 결합함으로써, 공기식 소자에 압축 공기가 제공되는 경우에 상기 측정 헤드는 기판 위에 예정된 높이로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판 표면 위에 있는 센서 공기 지지부에 의해서 센서의 정확한 높이 조절이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발견을 근거로 한다. 유출 개구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는 공기 쿠션을 형성하고, 측정 헤드는 상기 공기 쿠션 상에서 기판 표면 위로 자유롭게 슬라이딩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면-위치 설정 시스템에 의해서는 단지 기판에 대하여 상대적인 측정 헤드의 x-y-위치만이 결정된다. 공기 흐름의 세기는 공기 쿠션의 높이 그리고 그와 더불어 기판 표면 위에서의 측정 헤드의 수직 간격을 결정한다.
공기 쿠션을 이용하여 측정 헤드를 지지하는 방식의 중대한 장점은, 주름이 잡힌 표면에서도 센서의 자동적인 높이 적응이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자동 높이 적응은, 측정 헤드가 기판의 측정할 영역 위에서 지속적으로 상기 공기 쿠션의 두께에 의해 결정된 높이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토대로 한다.
청구항 2에 따라 측정 장치는 추가로 커플링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커플링 장치는 표면-위치 설정 시스템과 측정 헤드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 상태의 장점은, 개별적으로 해결될 검사 과제에 따라, 측정 헤드의 병진 운동 외에 x-y-평면과 병렬로 규정된, 상기 위치 설정 시스템과 상대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측정 헤드의 동작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상기 커플링 장치가 또한 스프링 소자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위치 설정 시스템의 진동 동작 중에도 센서의 원활한 위치 설정이 보증될 수 있다.
청구항 3에 따라 커플링 장치는 측정 헤드가 x-y-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z-방향을 따라 적어도 특정 운동 범위 안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형성의 장점은, 기판 위에 있는 센서의 높이가 오로지 공기 쿠션에 의해서만 결정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압축 공기 발생 장치를 상응하게 구동시킴으로써, 기판 위에 있는 센서의 높이는 자유롭게 결정될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라 커플링 장치는 측정 헤드가 적어도 특정 각도 범위 안에서 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기울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었다. 이 경우 상기 축은 x-y-평면과 평행하게 방향 설정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장치가 각각의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 기판 평면과 평행하게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센서는 상응하는 비스듬한 상태에 의하여 기판 표면의 짧은 기복을 가진 비평탄성에 적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플링 장치는 통상적으로 측정 헤드에 각각 고정력을 행사하는 다수의 커플링 소자들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플링 소자들은 개별 지지력에 할당된 파워 라인이 측정 헤드의 무게 중심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상호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 상태의 결과로서, 측정 헤드의 진동과 연관된 병진 운동 중에도 토크가 측정 헤드에 전혀 작용하지 않음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센서의 하이-다이내믹 운동 중에도 측정 헤드가 원치 않게 기울어지는 현상이 피해진다.
청구항 5에 따라 커플링 장치는 공기식 소자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는 상부 커플링 소자 및 관절 형태의 현가 장치(suspension)를 통해 상부 커플링 소자에 연결된 하부 커플링 소자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상부 커플링 소자는 위치 설정 시스템에 의하여 x-방향 및 y-방향을 따라 위치 설정된다. z-방향을 따라 이루어지는 상기 상부 커플링 소자의 위치 설정이 공기 지지부에 의해 결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측정 헤드 및 그와 더불어 센서도 측정할 기판 표면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된다.
청구항 6에 따라 상기 관절 형태의 현가 장치는 두 개 이상의 바(bar)를 구비하며, 상기 바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 커플링 소자에 그리고 상기 바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 커플링 소자에 각각 하나의 볼 소자 안에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현가 장치의 장점은, 바 길이를 상응하게 선택하고 볼 조인트를 공간적으로 적절히 배치하면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경사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으로, 이 경우 상기 회전축은 직접 센서의 하부면에 존재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는, 경사 동작 중에도 센서는 측정할 기판 표면 위에서 지속적으로 예정된 간격으로 존재하게 된다.
세 개의 바를 갖는 관절 형태의 현가 장치에서는, x-y-평면과 평행하게 또는 측정할 기판 표면과 평행하게 방향 설정된 임의의 한 축을 중심으로 경사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가능성에 의해서는 바람직하게 기판 표면이 불규칙한 기복을 갖는 경우에도 센서와 기판 표면은 최상의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청구항 7에 따르면, 바람직하게 상응하는 유입 개구 및 유출 개구를 갖춘 공기 채널을 구비한 공기식 소자가 센서 주변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의 장점은, 균일한 파워가 z-방향을 따라 측정 헤드에 작용함으로써, 측정 헤드의 기울어짐을 야기할 수 있는 토크가 공기 쿠션으로 인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청구항 8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유출 개구는 유출되는 공기의 속도가 적어도 거의 음속에 도달하도록 형성된 공기 노즐이다. 이와 같이 높은 유동 속도는 상기 공기 노즐이 유동 기술적으로 유리한 노즐 횡단면 협착부를 가짐으로써 성취될 수 있으며, 상기 노즐 횡단면 협착부는 한편으로는 상기와 같이 높은 유출 속도를 야기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적절한 공기식 유동 저항을 야기한다.
상기와 같이 높은 유출 속도의 장점은, 측정할 기판 표면 위에 있는 측정 헤드의 높이 위치가 상황에 따라 원치 않게 변동되는 경우에도 공기식 소자 안의 압력 비율은 단지 약간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특히 상기 공기식 소자 안의 공기 압력이 갑작스럽게 강하하는 경우는 어떤 상황에서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는 센서 헤드의 바람직하지 않은 상승 및 하강 동작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측정 헤드의 매우 안정적인 높이 위치 설정이 보장된다.
청구항 9에 따라 센서는 용량성의 및/또는 유도성의 광학 센서 소자를 구비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대로 공압식으로 높이 위치 설정이 이루어지는 측정 장치는 임의의 타입의 센서로 특수하게 개조하지 않고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과제는 독립 청구항 10의 특징들을 갖는, 기판 표면을 검사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측정 시스템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에 어느 한 항에 따른 두 개 이상의 측정 장치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측정 장치들은 개별 센서들이 하나의 측정 행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호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본이 되는 발견은, 다수의 측정 헤드를 규정된 순서를 따라 결합시킨 길게 늘어진 선형 센서가 간단한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선형 센서가 평탄하지 않은 기복을 가진 기판 표면에 밀착함으로써, 각각의 센서는 측정할 기판 표면으로부터 예정된 간격을 두고 자동으로 위치 설정된다.
본 발명은 당연히 다수의 측정 헤드가 2차원적인 그리드(grid) 형태로 배치된 측정 시스템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전술된 선형 센서와 마찬가지로 평탄하지 않은 기판 표면에 밀착되는 표면 센서가 만들어짐으로써, 각각의 센서는 자동으로 예정된 높이 위치에 정렬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 및 특징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부에서 나타난다.
도 1은 공압식으로 지지된 측정 헤드의 하나의 평면도 및 두 개의 상이한 횡단면도고,
도 2는 공압식으로 지지된 측정 장치의 평면도며,
도 3a는 공압식으로 지지된 상부 커플링 플레이트에 설치된 센서의 현가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고,
도 3b는 센서가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기울어져 있는, 도 3에 도시된 현가 장치의 이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며,
도 4는 하나의 측정 행으로 순서대로 결합된 4개의 측정 헤드를 갖춘 측정 시스템의 개략도다.
본 경우에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서로 상응하는 소자들의 도면 부호들은 단지 처음 번호만 및/또는 부수적인 철자만 상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공압식으로 지지된 측정 헤드(110)를 세 가지 다양한 관점에서 보여주고 있다. 아래 좌측에는 측정 헤드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관찰 방향은 z-축 방향이다. 상부는 측정 헤드를 x-y-평면 과 평행한 횡단면도로 보여주고 있다. 아래 우측에는 y-z-평면과 평행한 측정 헤드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x-축, y-축 및 z-축은 직각의 좌표계를 형성하며, 이 좌표계에서 각각 하나의 축은 두 개의 다른 축들에 의해서 형성된 한 평면에 수직으로 서 있다.
측정 헤드(110)는 센서(111)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는 예컨대 용량성 또는 유도성의 광학 센서와 같은 임의의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센서(111)는 공기 채널(113)을 형성하는 공기식 소자(112)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다. 상기 공기식 소자(112)는 자신의 상부면에 두 개의 유입 개구(115)를 포함하고, 유입 개구들은 압축 공기 라인을 통해 압축 공기 발생 장치, 예컨대 펌프에 공압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압축 공기 라인 및 압축 공기 발생 장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할 목적으로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공기식 소자(112)의 하부면에는 노즐 형태의 다수의 유출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출 개구들은 측정할 기판 표면과 측정 헤드(110) 사이에 공기 흐름(195)을 형성한다. 상기 공기 흐름(195)은 공기 쿠션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 쿠션 상에서 측정 헤드(110)는 기판 (190) 위에 예정된 간격을 두고 슬라이딩 작용한다. 따라서, 측정 헤드(110)의 하부면과 기판(190) 사이에는 공기 갭(196)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 갭(196)의 크기 그리고 그와 더불어 측정 헤드(110)와 기판(190) 사이의 간격은 상기 공기 흐름(195)의 세기에 의존한다.
위치 설정 시스템에 대한 상기 측정 헤드(110)의 결합은 스프링 소자(130)와 같은 커플링 장치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 소자(130)는, 이 스프링 소자가 (a) x-방향 및 y-방향으로 상기 위치 설정 시스템과 측정 헤드(110)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상대 운동을 전혀 허용하지 않도록 그리고 (b) z-방향으로는 위치 설정 시스템과 상기 측정 헤드(110) 사이에 느슨한 결합을 만들어주도록 형성되었다. 상기와 같은 느슨한 결합은 적어도 공기 쿠션의 두께에 의해서 사전 설정된 제로 위치로부터 편향된 특정 영역 안에서는 위치 설정 시스템과 측정 헤드(110)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자유로운 상대 운동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스프링 소자(130)는 측정 헤드가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위치 설정 시스템에 의해 단지 x-y-평면에서만 정확하게 위치 설정되도록 해준다. 위치 설정 시스템을 상응하게 구동시킴으로써, 기판(190) 위에 있는 각각의 측정점이 이동될 수 있다.
스프링 소자(130)를 통한 위치 설정 시스템과 측정 헤드(110)의 결합은 또한 상기 위치 설정 시스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측정 헤드(110)가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기울어짐은 x-축을 중심으로, y-축을 중심으로 또는 x-y-평면에 있는 각각의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x-축 및 y-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두 가지 기울어짐 가능성은 도 1에 각각 하나의 이중 화살표로 지시되어 있다.
따라서, 측정 헤드(110) 운동의 총 여섯 개의 원칙적으로 가능한 자유도, 즉, 축 x, y 및 z를 따라 이루어지는 세 가지 병진 자유도 그리고 축 x, y 및 z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세 가지 회전 자유도들 중에서 , 단지 x-축 병진 및 y-축 병진 그리고 z-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은 위치 설정 시스템과 측정 헤드(110) 사이의 고정 결합에 의해서 제외되었음이 확인될 수 있다.
아래 우측의 횡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소자(130)는 또한 위치 설정 시스템에 의해 상기 측정 헤드(110)에 단지 고정력만이 작용하는 성질을 가지며, 상기 고정력의 파워 라인은 상기 스프링 소자(130)의 개별 섹션의 세로 연장부를 따라 뻗는다. 이 경우 스프링 소자(130)는 다양한 면으로부터 작용하는 고정력의 파워 라인들이 측정 헤드(110)의 무게 중심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상기 측정 헤드(11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무게 중심은 z-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측정 헤드(110)의 중력인 파워 벡터(G)의 출발점에 의해서 결정되었다. 측정 헤드(110)의 무게 중심에서 파워 라인들이 서로 교차하는 방식의 장점은, 측정 헤드(110)의 진동과 연관된 병진 운동 중에도 상기 측정 헤드에는 토크가 전혀 작용하지 않음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정 헤드(110)의 원치 않는 기울어짐이 확실하게 피해진다는 것이다.
도 2는 공압식으로 지지된 측정 장치의 평면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상기 측정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측정 헤드(110)를 구비하고, 상기 측정 헤드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 부호(210)로 표시되어 있다. 특히 두 개의 유입 개구(215)를 갖는 공기식 소자(212) 그리고 센서(211)를 구비한 측정 헤드(210)는 스프링 소자(230)와 같은 커플링 장치에 의해서 면-위치 설정 시스템과 같은 위치 설정 시스템(22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 방식 그리고 스프링 소자(230)에 의해 유지되는, 측정 헤드(210)의 운동과 관련된 자유도는 위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따라서, 측정 헤드(210)는 x-y-평면과 평행하게 놓인 특정 동작 영역 안에서는 상기 위치 설정 시스템(220)의 상응하는 구동에 의해서 자유롭게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상기 위치 설정 시스템(220)은 서로 마주 놓인 두 개의 면에 하나의 x-가이드부(221)를 구비하며, 상기 x-가이드부에서는 스프링 소자(230)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구동 장치에 의해 x-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측정 헤드(210)는 스프링 소자(230)를 따라서, 마찬가지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구동 장치에 의해 y-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측정 헤드(210)와 상기 측정 헤드 아래에 놓인 기판 사이에 공기 쿠션을 형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압축 공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압축 공기 발생기(250)와 같은 압축 공기 발생 장치가 제공되었다. 상기 압축 공기 발생기(2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위치 설정 시스템(220)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측정 헤드(210)에 전달되는 진동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압축 공기 발생기(250)와 상기 위치 설정 시스템(220) 사이에는 진동 감쇠 재료가 제공되어 있다(도시되지 않음). 상기 공기식 소자(212)는 유연성 있는 압축 공기 라인(251)을 통해 압축 공기를 공급받는다.
도 3a는 본 발명의 추가의 한 실시예에 따라 센서(311)의 한 가지 바람직한 현가 장치를 보여주고 있으며, 상기 현가 장치는 상기 센서(311)가 가상의 한 회전 극(VP)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이와 같은 현가 장치는 상부 커플링 플레이트(331)와 같은 상부 커플링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플레이트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면-위치 설정 시스템에 의해, 기판(390)의 측정할 표면과 평행하게 놓인 동작 영역 안에서 위치 설정된다. 상기 상부 커플링 플레이트(331)는 적어도 한 특정 편향 영역 내에서는 z-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311)의 높이 위치 및 상기 상부 커플링 플레이트(331)의 높이 위치는 기판(390)과 상기 기판(390) 옆에 배치된 공기식 소자(도시되지 않음)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기 쿠션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현가 장치는 또한 상기 센서(311)에 연결된 하부 커플링 플레이트(333)와 같은 하부 커플링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커플링 플레이트(331 및 333)는 두 개의 단단한 바(332a 및 332b)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바의 단부들은 각각 하나의 볼 조인트(334)와 같은 볼 소자가 안에 지지 되어 있다. 두 개의 볼 조인트(334)는 상기 상부 커플링 플레이트(331)의 하부면에 존재한다. 두 개의 볼 조인트(334)는 상기 하부 커플링 플레이트(333)의 상부면에 존재한다.
상기 현가 장치는 하부 커플링 플레이트(333) 없이도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두 개의 하부 볼 조인트(334)는 직접 센서(311) 상에 존재한다.
센서가 자신의 출발 위치에 있는 도 3a에 도시된 상황에서, 두 개의 단단한 바(332a 및 332b)는 하나의 대칭축(338)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하부 볼 조인트(334)는 상호 간격(l)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센서(311)는 상기 센서(311)에 설치된 하부 커플링 플레이트(333)와 함께 z-방향을 따라 높이(d)를 갖는다.
도 3b에는 상기 센서(311)(도시되지 않음)가 자신의 출발 위치로부터 기울어진 경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현가 장치는 특히 상부 볼 조인트(334)의 위치와 관련된, 상기 두 개의 단단한 바(332a 및 332b)의 길이와 관련된 그리고 상기 간격(l)과 관련된 높이(d)에 따라, 상기 센서가 가상의 회전 극을 중심으로 기울어지도록 설계되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기판 표면에 기복이 있는 경우에도 센서(311)는 계속해서 최상으로, 즉 예정된 간격으로 기판 표면에 밀착할 수 있게 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두 가지 2차원적인 도시를 참조해서는 단지 상기 센서(311)의 현가 장치의 원리적인 작용만이 설명되었다. 측정할 기판 표면과 평행하게 그리고 그와 더불어 x-y-평면과 평행하게 방향 설정된 임의의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자유로운 경사 동작을 보증하기 위하여, 세 개의 단단한 바를 구비한 현가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세 개의 단단한 바는 바람직하게 마찬가지로 상기 센서 현가 장치의 대칭축(338)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입체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4는 하나의 측정 행으로 순서적으로 결합된 네 개의 측정 헤드(410a, 410b, 410c 및 410d)를 구비한 측정 시스템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측정 헤드(410a, 410b, 410c 및 410d)에는 위치 설정 시스템이 각각 하나씩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 설정 시스템에 의하여 상응하는 측정 헤드가 x-y-평면 내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정 헤드(410a, 410b, 410c 및 410d) 중에서 적어도 소수의 측정 헤드가 x-방향을 따라서 그리고 y-방향을 따라서 서로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측정 헤드(410a, 410b, 410c 및 410d)는 어떤 경우에도 서로 독립적으로 z-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각각 상기 측정 헤드(410a, 410b, 410c 및 410d)의 하부면에서 한 가상의 회전 극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기울어질 수 있다.
도 4에 과도한 방식으로 도시된 기복을 갖는 기판(490) 상에 있는 측정 헤 드(410a, 410b, 410c 및 410d)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공기 지지부 그리고 상기와 같은 자유로운 경사 가능성으로 인해, 개별 측정 헤드(410a, 410b, 410c 및 410d)는 각각 상기 기복을 가진 기판 표면에 최상으로 밀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내용을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하여, 상기 기복을 가진 기판 표면에 밀착하기 전에 측정 헤드-중심축의 출발 위치들이 도시되어 있고, 도면 부호 (416a, 416b, 416c 및 416d)로 표기되어 있다. 상기 기복을 가진 기판 표면에 밀착한 후에 도시된 상기 측정 헤드-중심축의 최종 위치들은 도면 부호 (417a, 417b, 417c 및 417d)로 표기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측정 헤드(410a 및 410b)는 자신의 출발 위치와 비교할 때 시계 바늘 방향과 반대로 기울어져 있다. 측정 헤드(410c)는 기울어지지 않았고, 측정 헤드(410d)는 자신의 출발 위치와 비교할 때 시계 바늘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측정 장치 110: 측정 헤드
111: 센서 112: 공기식 소자
113: 공기 채널 114: 유출 개구/노즐
115: 유입 개구 130: 스프링 소자
190: 기판 195: 공기 흐름
196: 공기 갭
210: 측정 헤드 211: 센서
212: 공기식 소자 215: 유입 개구
220: 위치 설정 시스템 221: x-가이드부
230: 스프링 소자 250: 압축 공기 발생기
251: 압축 공기 라인(유연성 있음)
311: 센서 331: 상부 커플링 플레이트
332a, 332b: 단단한 바 333: 하부 커플링 플레이트
334: 볼 조인트 338: 대칭축
390: 기판
VP: 가상의 회전극 l: 하부 볼 조인트들 사이의 간격
d: 센서의 두께 + 하부 커플링 플레이트
410a, b, c, d: 측정 헤드 416a, b, c, d: 중심축 출발 위치
417a, b, c, d: 중심축 최종 위치
490: 기판(심하게 구부러짐)

Claims (10)

  1. 기판의 표면을 검사하기 위한 적어도 2 개의 측정 장치들을 구비하는 기판의 표면을 검사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으로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측정 장치들 각각은:
    측정 헤드 ― 상기 측정 헤드는 표면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센서 옆에 배치된 공기식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식 소자는 유입 개구 및 아래로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출 개구를 포함함 ―,
    면-위치 설정 시스템 ― 상기 면-위치 설정 시스템은 상기 기판 위에 있는 x-y-평면 내에서 상기 측정 헤드의 정확한 위치를 설정하도록 설계됨 ―,
    압축 공기 발생 장치 ― 상기 압축 공기 발생 장치가 상기 유입 개구에 공압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공기식 소자에 압축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측정 헤드가 기판 위의 예정된 높이에 위치 설정될 수 있음 ―, 그리고
    상기 면-위치 설정 시스템과 상기 측정 헤드 사이에 배치되는 커플링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장치들은 각각의 센서들이 하나의 측정 행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호 배열되고,
    상기 커플링 장치는 상기 측정 헤드가 적어도 특정 각 범위 안에서는 축(VP)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기울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었으며, 상기 축(VP)은 상기 x-y-평면과 평행하게 방향 설정되는,
    기판의 표면을 검사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장치는 상기 측정 헤드가 x-y-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z-방향을 따라 적어도 특정 운동 영역 안에서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기판의 표면을 검사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장치는:
    공기식 소자와 단단히 연결된 상부 커플링 소자, 그리고
    관절 형태의 현가 장치를 통해 상기 상부 커플링 소자와 연결된 하부 커플링 소자
    를 포함하는,
    기판의 표면을 검사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형태의 현가 장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바를 포함하며, 상기 바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 커플링 소자에 그리고 상기 바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 커플링 소자에 각각 하나의 볼 소자 안에서 연결된,
    기판의 표면을 검사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식 소자는 센서 주변에 배치된,
    기판의 표면을 검사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
  8. 제 1 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출 개구는 유출되는 공기의 속도가 적어도 거의 음속에 도달하도록 형성된 공기 노즐인,
    기판의 표면을 검사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
  9. 제 1 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용량성의 및/또는 유도성의 광학 센서 소자를 구비하는,
    기판의 표면을 검사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
  10. 삭제
KR1020087009810A 2005-09-27 2006-09-19 기판 표면을 검사하기 위한 측정 장치 및 측정 시스템 KR1013380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46154.9 2005-09-27
DE102005046154A DE102005046154B4 (de) 2005-09-27 2005-09-27 Messvorrichtung und Messsystem zum Inspizieren einer Oberfläche eines Substrates
PCT/EP2006/066505 WO2007036461A1 (de) 2005-09-27 2006-09-19 Messvorrichtung und messsystem zum inspizieren einer oberfläche eines substra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690A KR20080066690A (ko) 2008-07-16
KR101338028B1 true KR101338028B1 (ko) 2013-12-09

Family

ID=37546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9810A KR101338028B1 (ko) 2005-09-27 2006-09-19 기판 표면을 검사하기 위한 측정 장치 및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940242B2 (ko)
KR (1) KR101338028B1 (ko)
CN (1) CN101273245B (ko)
DE (1) DE102005046154B4 (ko)
WO (1) WO20070364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54088A1 (de) * 2006-11-16 2008-05-21 Siemens Ag Messvorrichtung und Messverfahren zum Inspizieren einer Oberfläche eines Substrates
DE102012002884A1 (de) * 2012-02-14 2013-08-14 Giesecke & Devrien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ntaktlosen Prüfen eines flächigen Sicherheitsdokuments
GB2539580B (en) * 2014-04-03 2021-02-24 Hitachi High Tech Corp Analysis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6278A (ja) * 2000-04-13 2001-10-26 Nkk Corp 金属体検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9280A (en) * 1975-08-30 1977-03-04 Shimadzu Corp Flaw detecting machine for seam pipes
JPS5926055A (ja) * 1982-08-02 1984-02-10 Mitsubishi Electric Corp 探傷用検出ヘツド
JPS616764U (ja) * 1984-06-18 1986-01-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サ−ボ式ならい装置
JPS616764A (ja) * 1984-06-20 1986-01-13 Tokico Ltd 端末装置
CN85104875B (zh) * 1985-06-26 1988-08-10 株式会社三豐制作所 坐标测量仪
DE3612914A1 (de) * 1986-04-17 1987-10-22 Heidelberger Druckmasch Ag Vorrichtung zum messen der dicke von papier oder dergleichen
DD260032B5 (de) * 1987-04-22 1994-06-09 Kba Planeta Ag Densitometer
US4824248A (en) * 1987-12-21 1989-04-25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Of Michigan Stabilized sensor device
US4854156A (en) * 1989-01-03 1989-08-08 Systems Research Laboratories, Inc. Pneumatic surface-following control system
JPH0314409A (ja) * 1989-05-31 1991-01-23 Nippon Steel Corp 外周紙巻取りロール
JPH0642169Y2 (ja) * 1989-06-27 1994-11-02 横河電機株式会社 平滑光沢度計の位置固定機構
JP2903554B2 (ja) * 1989-08-31 1999-06-07 日本電気株式会社 マルチビーム光磁気ヘッド装置
JPH0388153U (ko) * 1989-12-26 1991-09-09
JPH04189452A (ja) * 1990-11-20 1992-07-07 Fanuc Ltd デジタイジング制御装置
JPH0552512A (ja) * 1991-08-27 1993-03-02 Ntn Corp 干渉計
JPH05307023A (ja) * 1992-04-30 1993-11-19 Japan Energy Corp 検査装置
CN2127490Y (zh) * 1992-06-26 1993-02-24 刘纪 气动位置测量探头
DE4343810C1 (de) * 1993-12-22 1995-04-20 Roland Man Druckmasch Fotoelektrischer Meßkopf
CN2191410Y (zh) * 1994-03-05 1995-03-08 赵玉山 一种气动量仪的测量头
US5616853A (en) * 1995-03-29 1997-04-01 Kyocera Corporation Measuring machine for measuring object
JPH08327561A (ja) * 1995-06-05 1996-12-13 Nippon Sheet Glass Co Ltd 連続シート状物体の欠点検査装置
SE519686C2 (sv) * 2001-01-23 2003-04-01 Daprox Ab Metod och mätanordning innefattande övervakning av ett givarhuvuds snedställning
JP3575008B2 (ja) * 2001-07-31 2004-10-06 大成建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の状態測定装置
JP4009595B2 (ja) * 2003-01-20 2007-11-14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パターン欠陥検査装置およびパターン欠陥検査方法
US20050088664A1 (en) * 2003-10-27 2005-04-28 Lars Stiblert Method for writing a pattern on a surface intended for use in exposure equipment and for measu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urface
JP2006242860A (ja) * 2005-03-04 2006-09-14 Oht Inc 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6278A (ja) * 2000-04-13 2001-10-26 Nkk Corp 金属体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36461A1 (de) 2007-04-05
DE102005046154B4 (de) 2008-07-03
JP4940242B2 (ja) 2012-05-30
CN101273245B (zh) 2010-09-01
DE102005046154A1 (de) 2007-03-29
JP2009510419A (ja) 2009-03-12
CN101273245A (zh) 2008-09-24
KR20080066690A (ko) 200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0248B2 (en) Coordinate positioning machine
JP3418819B2 (ja) プレート平坦度測定装置
CN202808599U (zh) 用于表征玻璃板片特征的装置
JP2740588B2 (ja) 塗布描画装置
KR101297001B1 (ko) 삼각 측정 센서 및 평가 유닛을 이용하여 부품을 측정하기위한 장치
KR101338028B1 (ko) 기판 표면을 검사하기 위한 측정 장치 및 측정 시스템
US6463667B1 (en) Machine tool precision-measuring apparatus
EP1770393A2 (en) Ultrasonic head for pulse-echo multichannel inspection
KR101014121B1 (ko) 기판의 표면을 검사하기 위한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JP5211904B2 (ja) 単結晶材料の面方位合わせ装置および面方位合わせ方法
KR20130036725A (ko) 땜납 볼 인쇄 장치
CN202075242U (zh) 用于测量透明板中的处理引起特征的装置
GB2263338A (en) Metrological apparatus.
KR102489221B1 (ko) 위치 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TWI354094B (ko)
JP3753108B2 (ja) 直線案内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マスク検査装置
WO2011111100A1 (ja) 空気圧リニアガイド方式の並列スライダ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測定装置
JPH09101115A (ja) 画像測定装置
KR100223742B1 (ko) 분리형 x-y 스케일 유닛
TWI441269B (zh) 大型平坦面板媒體之連續線性掃瞄
JP5624916B2 (ja) 空気圧リニアガイド方式の並列スライダ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測定装置
JPH07181031A (ja) 測定用補助台
JPS615317A (ja) 自動焦点合わせ装置
JPH0951023A (ja) 半導体試験装置
TW201247327A (en) Paste coating device and paste coa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