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095B1 - 식물 품질 향상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식물 품질 향상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095B1
KR101336095B1 KR1020077021493A KR20077021493A KR101336095B1 KR 101336095 B1 KR101336095 B1 KR 101336095B1 KR 1020077021493 A KR1020077021493 A KR 1020077021493A KR 20077021493 A KR20077021493 A KR 20077021493A KR 101336095 B1 KR101336095 B1 KR 101336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acid
alkali metal
precursor
polyvalent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1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1682A (ko
Inventor
나오키 구보타
노부히로 다니구치
히사카즈 호조
Original Assignee
마루오 칼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루오 칼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루오 칼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21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20Liquid fertilisers
    • C05G5/27Dispersions, e.g. suspensions o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2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01N37/04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polybasic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4Carbon disulfide;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6Aluminium; Calcium; Magnes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26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BPHOSPHATIC FERTILISERS
    • C05B1/00Superphosphates, i.e. fertilisers produced by reacting rock or bone phosphates with sulfuric or phosphoric acid in such amounts and concentrations as to yield solid products direct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Fertilizer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가 금속,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암모니아 및 인산 이온 및/또는 탄산 이온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난용성 식물 품질 향상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난용성 식물 품질 향상제에 따르면, 식물의 생리 장해를 억제·경감함과 아울러, 식물의 당도나 산미 등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작용도 함께 갖는다. 또한 과면의 오염도 적어 상품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약해도 적어 안전성이 높다는 특징을 갖는다.
식물 품질 향상제, 수난용성, 생리 장해, 칼슘 결핍, 당도, 산미, 상품 가치, 약해.

Description

식물 품질 향상제 및 그 제조 방법{PLANT QUALITY IMPROV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물의 생리 장해의 억제나 경감을 목적으로 하여 식물에의 엽면 및 과면 살포제로 사용하는 수난용성 식물 품질 향상제에 관한 것이다.
과수류, 과채류, 엽채류, 근채류 등의 식물은 각종 미네랄이 결핍되면 다양한 장해가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칼슘이 결핍한 경우 사과에서는 고두병(bitter pit), 감귤류에서는 부피(浮皮), 토마토나 피망에서는 배꼽썩음병, 멜론이나 수박에서의 발효과·변형과, 딸기의 팁 번(tip burn), 양상추나 배추에서는 심부패증, 화훼류 등에서의 잎끝마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마그네슘은 다량 필수 요소이고, 엽록소 구성의 중심적 존재이며, 마그네슘이 부족하면 광합성이 저하되고, 식물의 생육이 쇠약해진다. 더욱이 알칼리 토양을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경우에는 철 결핍증이 발생하기 쉬워 다양한 장해가 발생한다.
또한 식물에 있어서 칼슘은 세포벽을 구성하는 등 식물에 빼놓을 수 없는 영양소인데, 오늘날은 산성비 등의 영향으로 인해 토양이 산성화되기 쉬워, 칼슘 결핍 증상을 일으키기가 매우 쉬운 상황 하에 있다. 이 대처 방법으로서 토양에의 칼슘 시비를 행하는 방법도 있으나, 칼슘은 식물체 내에 있어서 이동이 매우 느린 영양소이며, 토양에의 시비로는 식물의 특정 부위에 결핍 증상이 발생하여도 즉시 효과를 발현시키기는 어렵다. 이 문제의 대책으로서, 결핍된 부위에 직접 칼슘 등을 흡수시키기 위하여 엽면 등에 칼슘제 등을 살포하는 방법이 채택되고 있다.
엽면 살포제로는 종래로부터 염화 칼슘이나 질산 칼슘 등의 수용성 칼슘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칼슘제는 반대 이온인 염소 이온이나 질산 이온이 약해를 야기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 약해 문제를 회피하기 위하여, 수용성의 칼슘제로서 예컨대 포름산 칼슘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이 제안된 바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이 방법의 경우, 반대이온 기인의 약해 문제는 해소되지만, 칼슘의 흡수가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다고는 하기 어려우며, 예컨대 사과의 고두병 등의 해소에 대하여 반드시 충분한 효과가 있다고는 할 수 없는 상황이다.
또한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글루콘산, 숙신산, 말론산, 글루타르산, 말레산, 푸말산, 글루타콘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기산과 탄산 칼슘을 포함하는 수용성의 고형제가 제안된 바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2). 이 방법은 염화 칼슘 등의 반대 이온에 의한 약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칼슘원으로서 탄산 칼슘을 사용하고, 이를 용해하기 위하여 각종 유기산을 이용하여 수용화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수용액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예컨대 pH가 1.5 등인 산성의 수용액으로 만들어 사용하기 때문에, 산에 의한 과실이나 잎의 그을림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으며, 또한 토양도 산성화되기 쉬운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바람직한 방법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과실의 품질 향상제로서 평균 입자 지름이 0.6μm 이상 2.8μm 이하인 탄산 칼슘에 대하여 그 처리량이 5∼40중량%인 수용성 칼슘 염류 및 그 처리량이 1∼10%인 전착성 유기 폴리머로 처리한 제제가 제안된 바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3). 이 방법의 경우, 탄산 칼슘과 수용성 칼슘 염류를 물에 현탁하여 사용하는데, 탄산 칼슘은 비중이 2.7로 큰 데다가 이 제제는 분산 상태가 반드시 양호하다고는 할 수 없으며, 수 현탁물이 용기 바닥 부분에 침강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또한 이 제제를 사용한 경우의 부피 방지 효과도 전술한 문제점에 의해 그 효과에 불균일이 발생하기 쉬운 데다가 충분한 부피 방지 효과가 있다고는 하기 어렵다. 더욱 이 이 제제를 사용한 경우, 살포하여 수분이 증산한 후, 살포한 탄산 칼슘의 조대 입자·2차 응집물 등이 주요인으로 과실의 표면이 하얗게 오염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 오염을 닦아내기 위해서는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고용해성의 칼슘염 10∼50%, 저용해성의 칼슘염 90∼50%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면 살포용 칼슘 비료가 제안된 바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4). 이 방법에 따르면, 고용해성 칼슘염과 저용해성 칼슘염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약해의 경감은 가능해졌으나, 약해의 원인인 반대 이온이 일정량 존재해 있기 때문에 약해의 문제가 완전히 해소되었다고는 하기 어렵다. 또한 이 방법은 특허 문헌 1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단순히 약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은 칼슘제를 살포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고두병 등의 생리 장해를 해소하기에 이를 정도로 충분한 효과가 있다고는 하기 어렵다. 또한, 이 방법을 부피 억제 목적으로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일정한 효과는 있지만, 특허 문헌 1과 마찬가지로 충 분한 효과가 있다고는 하기 어렵다. 더욱이 인산 비료와 반응해 버리기 때문에 혼용을 할 수 없다는 결점도 있다.
또한 저온 저장 시기에 발생하는 사과의 과육 갈변을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도가 10μm 이하이고 Ca/P의 몰비가 0.8∼1.5인 범위의 인산 칼슘을 함유하는 현탁액을 사과의 과면에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과의 과육 갈변 방지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5). 이 방법은 분쇄기에 의해 입도를 미세화하고 있는데, 분쇄기에 의한 방법에서는 입자의 미세화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완전히 분쇄되지 못한 조대 입자는 원하는 효과를 발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없으며, 이 방법으로는 충분한 효과를 얻기가 어렵다.
한편, 마그네슘제의 사용에 있어서도 칼슘제의 사용과 동일한 문제가 있으며, 염화 마그네슘, 질산 마그네슘, 황산 마그네슘 등의 수용성의 마그네슘제의 사용은 반대 이온인 염소 이온, 질산 이온 및 황산 이온이 약해를 일으켜 바람직하지 않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아세트산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마그네슘 비료가 제안된 바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6). 이 방법에 따르면, 약해의 문제는 경감되지만, 칼슘제와 마찬가지로 단순히 마그네슘제의 수용액을 살포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한 살포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는 하기 어렵다. 또한 수용성의 마그네슘제는 강우에 의해 유출되기 쉽기 때문에, 그 효과가 날씨에 좌우되기 쉽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나아가 철제로는 유기 킬레이트 철을 엽면 살포나 토양에 시용하는 것도 행 해지고 있으나, 유기 킬레이트 철은 고가라 그 보급률은 매우 낮은 것이 실정이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고 소 62-28117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2004-238248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공고 소 59-19923호 공보
특허 문헌 4 : 특허 제2563067호 공보
특허 문헌 5 : 일본 특허 공고 평 2-33349호 공보
특허 문헌 6 : 일본 특허 공개 평 6-172069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한 식물의 품질 향상제 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감귤류 과실의 부피 억제, 사과의 고두병, 배·황도 등의 밀증상(watercore) 및 과실이나 과채류의 열과(裂果) 등의 생리 장해 경감 및 과실 중의 유기산 감산, 당도 향상 등의 효과가 발현 가능한 엽면 및 과면 살포에 의한 수난용성 식물품질 향상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첫 번째는, 다가 금속,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암모니아, 및 인산 이온 및/또는 탄산 이온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며, 0.01≤d50≤2.91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면 및 과면 살포용 수난용성 식물 품질 향상제를 내용으로 하는 것이다.
d50: 나노트랙 UPA150에 의해 측정한 입자의 50% 평균 지름(μm)
본 발명의 두 번째는, 하기 (I)∼(Ⅳ)로부터 선택된 방법에 의해 조제된 다가 금속,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암모니아 및 인산 이온 및/또는 탄산 이온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며, 0.01≤d50≤2.914를 만족하는 엽면 및 과면 살포용 수난용성 식물 품질 향상제를 내용으로 하는 것이다.
d50: 나노트랙 UPA150에 의해 측정한 입자의 50% 평균 지름(μm)
(I)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및 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만들고, 이 전구 물질에 인산원 및/또는 탄산원을 첨가한다.
(Ⅱ)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과, 인산원 및/또는 탄산원, 및 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만들고, 이 전구 물질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을 첨가한다.
(Ⅲ)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만들고, 이 전구 물질에 인산원·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 및/또는 탄산원·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을 첨가한다.
(Ⅳ)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및 인산원 및/또는 탄산원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만들고, 이 전구 물질에 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을 첨가한다.
본 발명의 세 번째는, 하기 (I)∼(Ⅳ)로부터 선택된 방법에 의해 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가 금속,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암모니아 및 인산 이온 및/또는 탄산 이온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며, 0.01≤d50≤2.914를 만족하는 엽면 및 과면 살포용는 수난용성 식물 품질 향상제의 제조 방법을 내용으로 하는 것이다.
d50: 나노트랙 UPA150에 의해 측정한 입자의 50% 평균 지름(μm)
(I)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및 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만들고, 이 전구 물질에 인산원 및/또는 탄산원을 첨가한다.
(Ⅱ)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과, 인산원 및/또는 탄산원, 및 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만들고, 이 전구 물질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을 첨가한다.
(Ⅲ)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만들고, 이 전구 물질에 인산원·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 및/또는 탄산원·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을 첨가한다.
(Ⅳ)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및 인산원 및/또는 탄산원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만들고, 이 전구 물질에 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을 첨가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엽면 및 과면 살포용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이하, 단순히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는 입자 크기가 잘고 균일하기 때문에 식물에 살포하였을 때 그 기공으로부터 매우 효율적으로 흡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는 수용성의 약품과 비교하여 약해가 잘 일어나지 않고, 또한 날씨의 영향을 잘 받지 않으며, 나아가서는 수용성 인산 비료와의 혼용도 가능하다. 또한 수중에서의 재분산성이 매우 양호하여, 특수한 분산기, 교반기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수중에 분산되어 품질 향상 효과가 일정한 것은 물론, 살포기 중에서 침전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수난용성 약품에 보이는 장치의 고장, 분무기의 막힘, 녹 등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다가 금속 화합물이란 Ⅱ가 및 Ⅲ가의 금속 화합물을 말하며, 예컨대 수산화 칼슘,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철, 산화 칼슘, 산화 마그네슘, 산화 철, 염화 칼슘, 염화 마그네슘, 염화 철, 탄산 칼슘, 탄산 마그네슘, 탄산 철, 질산 칼슘, 질산 마그네슘, 질산 철, 황산 칼슘, 황산 마그네슘, 황산 철, 인산 칼슘, 인산 마그네슘, 인산 철, 피로 인산 제2철, 돌로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된다. 보다 효과가 높은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얻기 위해서는 수산화 칼슘,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철, 산화 칼슘, 산화 마그네슘, 산화 철, 탄산 마그네슘, 탄산 칼슘, 탄산 철, 돌로마이트, 염화 제2철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산화 칼슘, 산화 칼슘, 탄산 칼슘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이란 말산, 숙신산, 시트르산, 아디프산, 푸말산, 글루탐산, 글루콘산 및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 암모늄염, 다가의 금속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된다. 보다 효과가 높은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얻기 위해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 칼륨, 시트르산 나트륨, 시트르산 칼슘, 시트르산 마그네슘, 시트르산 철 암모늄, 시트르산 철 및 시트르산 제1철 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산원이란 인산, 축합 인산, 인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 인산의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된다. 또한 축합 인산으로는 트리폴리인산 나트륨, 테트라폴리인산 나트륨, 펜타폴리인산 나트륨, 헥사메타인산 나트륨, 울트라포린, 트리폴리인산 칼륨, 테트라폴리인산 칼륨, 펜타폴리인산 칼륨, 헥사메타인산 칼륨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인산의 알칼리 금속염으로는 인산 1나트륨, 인산 2나트륨, 인산 3나트륨염, 인산 1칼륨, 인산 2칼륨, 인산 3칼륨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인산의 암모늄염으로는 인산 1암모늄이나 인산 2암모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도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탄산원이란 탄산, 탄산의 알칼리 금속염, 탄산의 암모늄염 및 요소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된다. 탄산의 알칼리 금속염으로는 탄산 나트륨, 탄산 수소 나트륨, 탄산 칼륨, 탄산 수소 칼륨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탄산의 암모늄염으로는 탄산 1암모늄, 탄산 2암모늄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도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산원·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이란 인산 알칼리 금속, 축합 인산의 알칼리 금속, 인산과 알칼리 금속, 인산 알칼리 금속과 알칼리 금속, 인산의 암모늄염, 축합 인산의 암모늄염, 인산과 암모니아원, 인산의 암모늄염과 암모니아원, 인산의 암모늄염과 알칼리 금속, 축합 인산의 알칼리 금속과 알칼리 금속 등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산 알칼리 금속으로는 인산 1나트륨, 인산 2나트륨, 인산 3나트륨염, 인산 1칼륨, 인산 2칼륨, 인산 3칼륨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축합 인산의 알칼리 금속으로는 트리폴리인산 나트륨, 테트라폴리인산 나트륨, 펜타폴리인산 나트륨, 헥사메타인산 나트륨, 울트라포린, 트리폴리인산 칼륨, 테트라폴리인산 칼륨, 펜타폴리인산 칼륨, 헥사메타인산 칼륨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인산과 알칼리 금속으로는 인산과, 수산화 나트륨, 산화 나트륨, 염화 나트륨, 질산 나트륨, 수산화 칼륨, 산화 칼륨, 염화 칼륨 및 질산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원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의 혼합물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인산 알칼리 금속과 알칼리 금속으로는 상기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인산 알칼리 금속과 수산화 나트륨, 산화 나트륨, 염화 나트륨, 질산 나트륨, 수산화 칼륨, 산화 칼륨, 염화 칼륨 및 질산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원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의 혼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인산의 암모늄염으로는 인산 1암모늄이나 인산 2암모늄 등의 인산 암모늄염을 예시할 수 있고, 축합 인산의 암모늄염으로는 상기 축합 인산의 암모늄염을 예시할 수 있고, 인산과 암모니아원으로는 인산과 암모니아, 암모니아수, 질산 암모늄, 염화 암모늄, 황산 암모늄, 황산 수소 암모늄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의 혼합물을 예시할 수 있고, 인산의 암모늄염과 암모니아원으로는 상기 인산의 암모늄염과 암모니아원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의 혼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인산의 암모늄염과 알칼리 금속으로는 인산-암모늄이나 인산 2암모늄 등과, 수산화 나트륨, 산화 나트륨, 염화 나트륨, 질산 나트륨, 수산화 칼륨, 산화 칼륨, 염화 칼륨 및 질산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원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의 혼합물을 예시할 수 있고, 축합 인산 알칼리 금속과 알칼리 금속으로는 상기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축합 인산 알칼리 금속과 수산화 나트륨, 산화 나트륨, 염화 나트륨, 질산 나트륨, 수산화 칼륨, 산화 칼륨, 염화 칼륨 및 질산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원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의 혼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도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탄산원·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이란 탄산 알칼리 금속, 탄산과 알칼리 금속, 탄산 알칼리 금속과 알칼리 금속, 탄산의 암모늄염, 탄산과 암모니아원, 탄산의 암모늄염과 암모니아원, 탄산의 암모늄염과 알칼리 금속, 요소와 알칼리 금속, 요소와 암모니아원 등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산 알칼리 금속으로는 탄산 나트륨, 탄산 수소 나트륨, 탄산 칼륨, 탄산 수소 칼륨을 예시할 수 있으며, 탄산과 알칼리 금속으로는 탄산과 수산화 나트륨, 산화 나트륨, 염화 나트륨, 질산 나트륨, 수산화 칼륨, 산화 칼륨, 염화 칼륨 및 질산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원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의 혼합물이 예시된다. 또한 탄산 알칼리 금속과 알칼리 금속으로는 상기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탄산 알칼리 금속과 수산화 나트륨, 산화 나트륨, 염화 나트륨, 질산 나트륨, 수산화 칼륨, 산화 칼륨, 염화 칼륨 및 질산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원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의 혼합물이 예시되며, 탄산의 암모늄염으로는 탄산 수소 암모늄, 탄산 암모늄을 예시할 수 있고, 탄산과 암모니아원으로는 탄산과 암모니아, 암모니아수, 질산 암모늄, 염화 암모늄, 황산 암모늄, 황산 수소 암모늄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의 혼합물을 예시할 수 있고, 탄산의 암모늄염과 암모니아원으로는 상기 탄산의 암모늄염과 암모니아원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의 혼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탄산의 암모늄염과 알칼리 금속으로는 탄산 암모늄, 탄산 수소 암모늄 등의 탄산의 암모늄염과 수산화 나트륨, 산화 나트륨, 염화 나트륨, 질산 나트륨, 수산화 칼륨, 산화 칼륨, 염화 칼륨 및 질산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원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의 혼합물, 요소와 알칼리 금속으로는 요소와 수산화 나트륨, 산화 나트륨, 염화 나트륨, 질산 나트륨, 수산화 칼륨, 산화 칼륨, 염화 칼륨 및 질산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원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요소와 암모니아원으로는 요소와 상기 암모니아원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도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으로는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산화 나트륨, 산화 칼륨, 염화 나트륨, 염화 칼륨, 질산 나트륨, 질산 칼륨, 암모니아, 암모니아수, 황산 암모늄, 황산 수소 암모늄, 질산 암모늄, 염화 암모늄 이외에, 상기한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암모늄염, 인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암모늄염, 탄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암모늄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각각 단독으로도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는 각각의 성분 몰비를 하기와 같이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가 금속 이온/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이온은 0.1∼2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양호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2∼10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0.2∼50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다가 금속 이온/알칼리 금속 이온 및/또는 암모늄 이온은 0.03∼2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양호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6∼10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0.06∼50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원료로서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암모늄염이나, 인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암모늄염 및 탄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암모늄염 등을 사용한 경우, 특히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암모늄염으로서의 기재는 하지 않지만, 그 몰비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암모늄염이나, 인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암모늄염 및 탄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암모늄염 중의 알칼리 금속량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다가 금속 이온/인산 이온은 1∼1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양호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1.2∼5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1.3∼3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고, 1.5∼1.7의 범위가 가장 바람직하다.
다가 금속 이온/탄산 이온은 0.6∼1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양호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7∼5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0.7∼3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고, 0.8∼1.2의 범위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인산 이온과 탄산 이온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가 금속 이온에 대한 몰비를 인산 이온과 탄산 이온의 합산 몰로서 계산하면 된다. 다가 금속 이온/(인산 이온+탄산 이온)은 0.7∼1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양호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8∼5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0.8∼3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다가 금속 이온/유기산 이온의 몰비가 0.1 미만인 경우,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 중의 수난용성 물질의 비율이 적어져 안정된 효과를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비용 상승으로 이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200을 초과하는 경우,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분산 상태가 불안정해지기 쉬운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다가 금속 이온/알칼리 금속 이온 및/또는 암모늄 이온의 몰비가 0.03 미만인 경우, 여분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암모늄염이 식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2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분산 상태가 악화되는 경향이 있고, 분무기 등의 용기 바닥부에 무기 형태의 다가 금속의 응집체가 대량으로 침전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다가 금속 이온/인산 이온의 몰비가 1 미만인 경우 산성이 너무 강해지는 경향이 있고, 식물에 약해를 미칠 가능성이 높아져 바람직하지 않고, 몰비가 10을 초과하는 경우,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결정성이 불안정해지기 쉬운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다가 금속 이온/탄산 이온의 몰비가 0.6 미만인 경우, 산성이 너무 강해지는 경향이 있고 식물에 약해를 미칠 가능성이 높아져 바람직하지 않으며, 몰비가 10을 초과한 경우,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분산 안정성이 불안정해지기 쉬운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다가 금속 이온/(인산 이온+탄산 이온)의 몰비가 0.7 미만인 경우, 산성이 너무 강해져 식물에 약해를 미칠 가능성이 높아져 바람직하지 않으며, 몰비가 10을 초과한 경우, 반응이 불안정해져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 중에 조대 입자가 존재하기 쉬워져 안정적인 효과를 얻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수난용성 식물 품질 향상제는 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 및 인산원 및/또는 탄산원을 첨가하고, 혼합 슬러리를 조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혼합 방법은 하기 (I), (Ⅱ), (Ⅲ), (Ⅳ)의 방법으로 크게 나뉘는데, 어느 방법을 채용하여도 좋으며,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I)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및 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만들고, 이 전구 물질에 인산원 및/또는 탄산원을 첨가한다.
(Ⅱ)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과, 인산원 및/또는 탄산원, 및 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만들고, 이 전구 물질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을 첨가한다.
(Ⅲ)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만들고, 이 전구 물질에 인산원·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 및/또는 탄산원·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을 첨가한다.
(Ⅳ)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및 인산원 및/또는 탄산원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만들고, 이 전구 물질에 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을 첨가한다.
또한, 전술한 방법 중 보다 효과가 높은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얻기 위해서는, (I) 또는 (Ⅲ)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I)의 방법의 전구 물질 조제에 있어서,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및 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을 첨가하는 대신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암모늄염을 첨가할 수도 있고, 또한 인산원 및/또는 탄산원을 첨가하는 대신 인산원·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 및/또는 탄산원·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을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Ⅱ)의 방법의 전구 물질 조제에 있어서, 인산원 및/또는 탄산원, 및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암모늄염을 첨가하는 대신 인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암모늄염, 및/또는 탄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암모늄염을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구체의 조제에 관해서는 물과 금속 화합물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을 혼합하는 순서에 특별히 제약은 없다. 또한 전술한 (Ⅱ) 및 (Ⅲ)의 방법에 관해서는 인산원·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 및/또는 탄산원·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암모니아원의 첨가 방법이 하기에 나타낸 (a), (b), (c)의 방법으로 더욱 세분되는데, 그 어느 방법을 채용하여도 좋으며, 둘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a)인산 알칼리 금속, 축합 인산의 알칼리 금속, 탄산 알칼리 금속, 인산 암모늄염, 축합 인산 암모늄염, 탄산 암모늄염의 적어도 1종을 첨가한다.
(b)인산, 축합 인산, 탄산, 요소 및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 암모늄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을 동시에 첨가한다.
(c)인산 알칼리 금속, 축합 인산의 알칼리 금속, 탄산 알칼리 금속, 인산 암모늄염, 축합 인산 암모늄염, 탄산 암모늄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첨가한 후, 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을 첨가한다.
본 발명의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얻기 위한 각 성분 혼합 시의 온도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1∼7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의 범위에서 혼합하는 것이 보다 효과가 높은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얻는 데 바람직하다. 또한 모든 성분을 혼합 후, 80∼230℃의 범위까지 가열함으로써 더욱 양호한 효과를 발현하기 쉬운 경향이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혼합 시의 액온이 70℃를 초과하는 경우, 액 중에 조대 입자가 형성되기 쉬운 경향이 있고, 양호한 분산성을 얻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으며, 액온이 1℃ 미만인 경우에는 용매인 물이 동결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양호한 효과를 갖는 조성물을 얻기가 어려운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pH값에 관해서는 통상 pH가 4∼11 사이이면 특별히 문제 없이 품질 향상 효과를 발휘할 수 있지만, 식물에의 영향 등을 가미한 경우, pH 4.5∼10.0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pH 5∼9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는 반응액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분쇄기 및/또는 분산기를 이용하여 분쇄 및/또는 분산시켜 사용하여도 지장은 없다. 분쇄기 및/또는 분산기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다이노 밀, 샌드 밀, 코볼 밀 등의 습식 분쇄기, 초음파 분산기, 나노마이저, 마이크로필타이저, 알티마이저, 호모지나이저 등의 유화·분산기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는 액체인 채로 사용할 수도 있고, 건조 분말화시킬 수도 있다.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건조에 대해서는 반응액을 그대로 건조할 수도 있고, 또한 필터 프레스, 로터리 필터, 여과막, 초원심기 등으로 한 번 농축한 후에 건조할 수도 있으나, 보다 양호한 물성의 건조 분체를 얻기 위해서는 전자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건조에 대하여 건조기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변질 방지의 관점에서 매우 단시간에 건조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관점에서 건조기로는 스프레이 드라이어, 세라믹 매체를 가열 유동 상태에서 사용하는 슬러리 드라이어 등의 액적 분무형 건조기 또는 감압식 건조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 나노트랙 UPA150에 의해 측정한 입자의 50% 평균 지름 d50(μm)이 0.01≤d50≤2.914를 만족하는데, 또한 하기 a), b)의 요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효과를 발현시키는 경우에는 c), d)의 요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e), f)의 요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0.01≤d50≤1.5
b)0≤α≤10
c)0.01≤d50≤1.0
d)0≤α≤8
e)0.01≤d50<0.6
f)0≤α≤5
단, α=(d90-d10)/d50
d50: 나노트랙 UPA150에 의해 측정한 입자의 50% 평균 지름(μm)
d90: 나노트랙 UPA150에 의해 측정한 입자의 90% 평균 지름(μm)
d10: 나노트랙 UPA150에 의해 측정한 입자의 10% 평균 지름(μm)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나노트랙 UPA150에 의해 측정한 입자의 50% 평균 지름이 2.914μm보다 큰 경우에는 제품이 침강하기 쉽고, 살포기 중에서 침전하며, 효과가 불안정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d50이 0.01μm보다 작아지면 엄청난 분산 에너지 비용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α가 10보다 크면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입자 크기가 분균일하고, 예컨대 밀감 등에 부피 억제의 목적으로 살포한 경우 안정된 효과를 얻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 중의 각종 미네랄제의 입도 분포에서의 평균 지름은 하기의 요령으로 측정 계산된 것이다.
측정 기종: 니키소(주) 나노트랙 UPA150
시료의 조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다가 금속 이온으로서 0.2%가 되도록 하기 20℃의 용매 중에 적하하고, 입도 분포 측정 시료로 한다.
용매: 증류수
예비 분산: Ultrasonic Homogenizer((주)닛폰세이키 제품)를 이용하여 초음파 분산 60초
측정 온도: 20.0℃±2.5℃
본 발명의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사용 시기는 식물의 종류, 시용 목적 및 지대에 따라 달라진다. 예컨대 과수의 경우, 일반적으로 낙화 직후부터 수확기까지가 된다. 특히 밀감의 품질 향상 및 부피 억제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7월∼11월에 걸쳐 엽면에 1∼6회, 3∼6주일 간격으로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과의 고두병 등의 경감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만개 30일 후부터 1∼6회, 3∼6주일 간격으로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 또는 황도 등의 밀증상 경감을 목적으로 하려면 만개 후 10일후 경부터 1∼6회, 1주일 간격으로 살포하는 것이 좋다. 또한 과수 또는 과채류의 열과를 방지하려면 각각의 과수에서 적기로부터 1∼6회, 1∼6주일 간격으로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황도의 경우, 만개 2주일후 경부터 1∼6회, 1∼6주일 간격으로 살포하는 것이 좋다.
살포 농도로서 시용하는 작물의 종류, 작황, 목적, 기후 및 날씨에 따라 일률적으로는 말할 수는 없으나, 일반적으로는 다가 금속 이온으로서 1ppm∼2중량%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0ppm∼0.5중량%가 좋다. 1ppm 미만인 경우 원하는 효과를 얻기가 어려운 경우가 있고, 2중량%를 초과하여도 효과에 차이는 거의 없어 비용적으로 유리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에는 본 발명의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락트산 칼슘, 염화 칼슘, 질산 칼슘, 포름산 칼슘, 프로피온산 칼슘, 이타콘산 칼슘, 글루탐산 칼슘, 말산·시트르산 칼슘, 말레산·시트르산 칼슘, 락트산 마그네슘, 황산 마그네슘, 염화 마그네슘, 제1 인산 마그네슘, 제2 인산 마그네슘, 시트르산 철 나트륨, 시트르산 철 암모늄 등의 수용성 미네랄염이나 탄산 칼슘, 탄산 마그네슘, 수산화 칼슘, 수산화 마그네슘, 제1 인산 칼슘, 제2 인산 칼슘, 인산 3칼슘, 히드록시어퍼타이트, 제3 인산 마그네슘, 인산 철 등의 수난용성 미네랄제, 규산염 등과 병용하여도 전혀 지장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에는 효과의 더 많은 향상을 목적으로 일반적으로 농업용으로 사용되는 전착제, 유화제, 보조제, pH 조정제, 킬레이트제 기타 첨가물을 적당히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살균제나 살충제 등의 농약이나 다른 비료도 첨가 가능하다.
전착제나 유화제로서 적합한 대표예로서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에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알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스테르, 폴리에틸렌솔비탄알킬에스테르 및 솔비탄알킬에스테르 등, 음이온 계면 활성제에서는 알킬벤젠술포네이트, 알킬술포숙시네이트, 알킬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설페이트 및 알릴술포네이트 등, 양이온 계면 활성제에서는 라우릴아민, 알킬메틸디히드록시에틸암모늄염,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등, 양성 계면 활성제에서는 라우릴베타인, 스테아릴베타인 및 이미다졸리늄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계면 활성제는 단독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조제의 적합한 대표예로서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아라비아 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젤라틴, 카제인, 알긴산 소다,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잔탄 검, 파라핀 및 트라간트 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물 666g과 수산화 칼슘 74g을 혼합 교반하고, 거기에 45% 수산화 칼륨 112g을 첨가하고, 또한 50% 시트르산 115.2g을 약 10분간에 걸쳐 적하하여 전구 물질을 제작하였다. 이 전구 물질에 30% 인산 196g을 약 30분간 첨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충분히 교반하고,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120℃에서 30분 더 가열하여 혼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이 슬러리를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건조하여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수득하였다.
또한, 반응 시의 각 성분의 몰비 및 수득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입도 분포에서의 d50, d90, d10 및 α=(d90-d10)/d50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실시예 2
물 666g과 수산화 칼슘 74g을 혼합 교반하고, 50% 시트르산 46.1g을 약 10분간에 걸쳐 적하, 혼합하여 전구 물질을 제작하였다. 이 전구 물질에 미리 30% 인산 196g과 45% 수산화 칼륨 44.8g을 혼합한 액을 약 30분간 첨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충분히 교반하고,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120℃에서 30분 더 가열하여 혼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이 슬러리를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건조하여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수득하였다.
또한, 반응 시의 각 성분의 몰비 및 수득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입도 분포에서의 d50, d90, d10 및 α=(d90-d10)/d50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실시예 3
물 666g과 수산화 칼슘 74g, 30% 인산 196g 및 45% 수산화 칼륨 224g을 혼합 교반하여 전구 물질을 제작하였다. 다음, 이 전구 물질에 50% 시트르산 230.4g을 부가하고 충분히 교반하고,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120℃에서 30분 더 가열하여 혼합 슬러리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 슬러리를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건조하여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수득하였다.
또한, 반응 시의 각 성분의 몰비 및 수득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입도 분포에서의 d50, d90, d10 및 α=(d90-d10)/d50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실시예 4
물 666g과 수산화 칼슘 74g, 50% 시트르산 1152g 및 40% 인산 147g을 혼합 교반하여 전구 물질을 제작하였다. 다음, 이 전구 물질에 50% 수산화 나트륨 600g을 부가하고 충분히 교반하고,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120℃에서 30분 더 가열하여 혼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이 슬러리를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건조하여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수득하였다.
또한, 반응 시의 각 성분의 몰비 및 수득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입도 분포에서의 d50, d90, d10 및 α=(d90-d10)/d50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실시예 5
물 666g과 수산화 칼슘 74g을 혼합 교반하고, 거기에 45% 수산화 칼륨 22.4g을 첨가하고, 또한 50% 시트르산 23.0g을 약 5분간에 걸쳐 적하하여 전구 물질을 제작하였다. 이 전구 물질에 30% 인산 189.5g을 약 20분간 첨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충분히 교반하고,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120℃에서 30분 더 가열하여 혼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이 슬러리를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건조하여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수득하였다.
또한, 반응 시의 각 성분의 몰비 및 수득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입도 분포에서의 d50, d90, d10 및 α=(d90-d10)/d50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실시예 6
물 666g과 수산화 칼슘 74g을 혼합 교반하고, 거기에 24% 암모니아수 61.2g을 첨가하고, 또한 50% 시트르산 115.2g을 약 10분간에 걸쳐 적하하여 전구 물질을 제작하였다. 이 전구 물질에 30% 인산 196g을 약 30분간 첨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충분히 교반하고,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120℃에서 30분 더 가열하여 혼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이 슬러리를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건조하여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수득하였다.
또한, 반응 시의 각 성분의 몰비 및 수득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입도 분포에서의 d50, d90, d10 및 α=(d90-d10)/d50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실시예 7
물 666g과 수산화 칼슘 74g을 혼합 교반하고, 거기에 45% 수산화 칼륨 18.6g을 첨가하고, 또한 50% 시트르산 19.2g을 약 5분간에 걸쳐 적하하여 전구 물질을 제작하였다. 이 전구 물질에 23% 탄산 가스를 4L/min으로 20분간 불어넣고, 이어서 탄산 가스를 0.2L/min으로 pH 10이 될 때까지 불어넣고,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120℃에서 30분 더 가열하여 혼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이 슬러리를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건조하여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수득하였다.
또한, 반응 시의 각 성분의 몰비 및 수득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입도 분포에서의 d50, d90, d10 및 α=(d90-d10)/d50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실시예 8
물 666g과 수산화 칼슘 74g을 혼합 교반하고, 거기에 10% 수산화 칼륨 25.2g과 10% 시트르산 28.8g을 미리 혼합한 액을 약 10분간에 걸쳐 적하하여 전구 물질을 제작하였다. 이 전구 물질에 30% 인산 179.7g을 약 30분간 첨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충분히 교반하고,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120℃에서 30분 더 가열하여 혼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이 슬러리를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건조하여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수득하였다.
또한, 반응 시의 각 성분의 몰비 및 수득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입도 분포에서의 d50, d90, d10 및 α=(d90-d10)/d50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실시예 9
물 666g과 수산화 칼슘 74g을 혼합 교반하고, 거기에 45% 수산화 칼륨 18.7g을 첨가하고, 또한 50% 시트르산 23g을 약 10분간에 걸쳐 적하하여 전구 물질을 제작하였다. 이 전구 물질에 30% 인산 261.3g을 약 30분간 첨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충분히 교반하고,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120℃에서 30분 더 가열하여 혼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이 슬러리를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건조하여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수득하였다.
또한, 반응 시의 각 성분의 몰비 및 수득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입도 분포에서의 d50, d90, d10 및 α=(d90-d10)/d50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실시예 10
물 684g과 산화 칼슘 56g을 혼합 교반하고, 거기에 5% 수산화 칼륨 9.0g을 첨가하고, 또한 5% 시트르산 26.9g을 약 10분간에 걸쳐 적하하여 전구 물질을 제작하였다. 이 전구 물질에 30% 인산 196g을 약 30분간 첨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충분히 교반하고,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120℃에서 30분 더 가열하여 혼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이 슬러리를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건조하여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수득하였다.
또한, 반응 시의 각 성분의 몰비 및 수득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입도 분포에서의 d50, d90, d10 및 α=(d90-d10)/d50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실시예 11
물 666g과 탄산 칼슘 100g을 혼합 교반하고, 거기에 45% 수산화 칼륨 112g을 첨가하고, 또한 50% 시트르산 115.2g을 약 10분간에 걸쳐 적하하여 전구 물질을 제작하였다. 이 전구 물질에 30% 인산 39.2g을 약 20분간 첨가한다. 이 혼합액을 충분히 교반하고,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120℃에서 30분 더 가열하여 혼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이 슬러리를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건조하여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수득하였다.
또한, 반응 시의 각 성분의 몰비 및 수득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입도 분포에서의 d50, d90, d10 및 α=(d90-d10)/d50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실시예 12
물 666g과 수산화 칼슘 74g을 혼합 교반하고, 거기에 45% 수산화 칼륨 4604.4g을 첨가하고, 또한 50% 시트르산 4224g을 약 60분간에 걸쳐 적하하여 전구 물질을 제작하였다. 이 전구 물질에 30% 인산 196g을 약 30분간 첨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충분히 교반하고,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120℃에서 30분 더 가열하여 혼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이 슬러리를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건조하여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수득하였다.
또한, 반응 시의 각 성분의 몰비 및 수득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입도 분포에서의 d50, d90, d10 및 α=(d90-d10)/d50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실시예 13
물 666g과 수산화 칼슘 74g을 혼합 교반하고, 거기에 45% 수산화 칼륨 224g을 첨가하고, 또한 50% 시트르산 230.4g을 약 10분간에 걸쳐 적하하여 전구 물질을 제작하였다. 이 전구 물질에 30% 인산 960g을 약 30분간 첨가한다. 이 혼합액을 충분히 교반하고,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120℃에서 30분 더 가열하여 혼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이 슬러리를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건조하여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수득하였다.
또한, 반응 시의 각 성분의 몰비 및 수득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입도 분포에서의 d50, d90, d10 및 α=(d90-d10)/d50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실시예 14
물 666g과 수산화 칼슘 74g을 혼합 교반하고, 거기에 45% 수산화 칼륨 37.3g과 10% 시트르산 7.7g을 미리 혼합한 액을 약 10분간에 걸쳐 적하하여 전구 물질을 제작하였다. 이 전구 물질에 30% 인산 196g을 약 30분간 첨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충분히 교반하고,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120℃에서 30분 더 가열하여 혼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이 슬러리를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건조하여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수득하였다.
또한, 반응 시의 각 성분의 몰비 및 수득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입도 분포에서의 d50, d90, d10 및 α=(d90-d10)/d50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실시예 15
물 666g과 수산화 칼슘 74g을 혼합 교반하고, 거기에 1% 수산화 칼륨 22.4g을 첨가하고, 50% 시트르산 115.2g을 약 10분간에 걸쳐 적하하여 전구 물질을 제작하였다. 이 전구 물질에 30% 인산 196g을 약 30분간 첨가한다. 이 혼합액을 충분히 교반하고,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120℃에서 30분 더 가열하여 혼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이 슬러리를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건조하여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수득하였다.
또한, 반응 시의 각 성분의 몰비 및 수득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입도 분포에서의 d50, d90, d10 및 α=(d90-d10)/d50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실시예 16
물 666g과 수산화 칼슘 74g을 혼합 교반하고, 또한 50% 시트르산 230.4g을 약 10분간에 걸쳐 적하하여 전구 물질을 제작하였다. 이 전구 물질에 30% 탄산 칼륨 460.7g을 약 30분간 첨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충분히 교반하고,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120℃에서 30분 더 가열하여 혼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이 슬러리를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건조하여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수득하였다.
또한, 반응 시의 각 성분의 몰비 및 수득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입도 분포에서의 d50, d90, d10 및 α=(d90-d10)/d50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실시예 17
물 522g과 수산화 마그네슘 58g을 혼합 교반하고, 거기에 45% 수산화 칼륨 4.5g을 첨가하고, 또한 10% 시트르산 23.0g을 약 10분간에 걸쳐 적하하여 전구 물질을 제작하였다. 이 전구 물질에 30% 인산 179.7g을 약 30분간 첨가한다. 이 혼합액을 충분히 교반하고,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120℃에서 30분 더 가열하여 혼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이 슬러리를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건조하여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수득하였다.
또한, 반응 시의 각 성분의 몰비 및 수득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입도 분포에서의 d50, d90, d10 및 α=(d90-d10)/d50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실시예 18
물 823g과 산화 제2철 39.9g과 수산화 칼슘 37g을 혼합 교반하고, 거기에 45% 수산화 칼륨 2488.9g을 첨가하고, 또한 50% 시트르산 3072g을 약 20분간에 걸쳐 적하하여 전구 물질을 제작하였다. 이 전구 물질에 30% 인산 222.1g을 약 30분간 첨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충분히 교반하고,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120℃에서 30분 더 가열하여 혼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이 슬러리를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건조하여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수득하였다.
또한, 반응 시의 각 성분의 몰비 및 수득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입도 분포에서의 d50, d90, d10 및 α=(d90-d10)/d50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실시예 19
물 666g과 수산화 칼슘 37g을 혼합 교반하고, 거기에 45% 수산화 칼륨 56g을 첨가하고, 또한 50% 시트르산 57.6g을 약 10분간에 걸쳐 적하하여 전구 물질을 제작하였다. 이 전구 물질에 30% 인산 98g을 약 30분간 첨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충분히 교반하고,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120℃에서 30분 더 가열하여 혼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이 슬러리를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건조하였다. 이 건조품에 시판하는 황산 칼슘 2수화물 86.1g을 더 첨가하여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수득하였다.
또한, 반응 시의 각 성분의 몰비 및 수득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입도 분포에서의 d50, d90, d10 및 α=(d90-d10)/d50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실시예 20
물 666g과 수산화 칼슘 74g을 혼합 교반하고, 거기에 50% 시트르산 192g을 약 10분간에 걸쳐 적하하여 전구 물질을 제작하였다. 이 전구 물질에 30% 탄산 칼륨 345.5g을 30분간 첨가 후, 30% 인산 49g을 약 10분간 더 첨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충분히 교반하고,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120℃에서 30분 더 가열하여 혼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이 슬러리를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건조하여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수득하였다.
또한, 반응 시의 각 성분의 몰비 및 수득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입도 분포에서의 d50, d90, d10 및 α=(d90-d10)/d50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실시예 21
물 800g과 시판하는 인산 3칼슘(요네야마 카가쿠 제품) 200g을 혼합 교반하고, 거기에 30% 시트르산 3칼륨 192g을 약 10분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충분히 교반하고,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120℃에서 30분 더 가열하여 혼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이 슬러리를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건조하여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수득하였다.
또한, 반응 시의 각 성분의 몰비 및 수득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입도 분포에서의 d50, d90, d10 및 α=(d90-dl0)/d50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비교예 1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유기산을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수득하였다.
또한, 반응 시의 각 성분의 몰비 및 수득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입도 분포에서의 d50, d90, d10 및 α=(d90-d10)/d50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비교예 2
알칼리 금속을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를 수득하였다.
또한, 반응 시의 각 성분의 몰비 및 수득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입도 분포에서의 d50, d90, d10 및 α=(d90-d10)/d50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비교예 3
일본 특허 공고 소 59-19923호 공보에 기재된 실시예 제제 No.4와 동일 조성(탄산 칼슘 75%, 락트산 칼슘 20%, PVA 5%)의 제제를 제작하였다.
또한, 반응 시의 각 성분의 몰비 및 수득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입도 분포에서의 d50, d90, d10 및 α=(d90-d10)/d50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비교예 4
일본 특허 공고 평 2-33349호 공보에 기재된 실시예 2D에 준하여 시판하는 시약 인산 2칼슘을 입자 직경 10μm 이하가 될 때까지 분쇄하여 제제로 하였다.
또한, 반응 시의 각 성분의 몰비 및 수득된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의 입도 분포에서의 d50, d90, d10 및 α=(d90-d10)/d50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Figure 112007067834739-pct00001
표 1 중에서의 제조 방법:
(I)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및 알칼리 금속원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만들고, 이 전구 물질에 인산원 및/또는 탄산원을 첨가한다.
(Ⅱ)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과, 인산원 및/또는 탄산원 및 알칼리 금속원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만들고, 이 전구 물질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을 첨가한다.
(Ⅲ)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만들고, 이 전구 물질에 인산원·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탄산원·알칼리 금속원을 첨가한다.
(Ⅳ)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및 인산원 및/또는 탄산원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만들고, 이 전구 물질에 알칼리 금속원을 첨가한다.
응용예 1
밀감(운슈 밀감) 나무를 이용하여, 부피 억제 및 과실 품질의 확인을 행하였다. 즉, 상기 밀감 나무를 이용하여, 9월 상순부터 3회(1개월 간격)에 걸쳐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를 표 2에 나타낸 다가 금속 농도로 살포하였다. 또한 처리는 가지별 처리로 하고 등에 짊어지는 방식의 분무기에 의해 살포하였다.
평가는 랜덤하게 선택한 20과를 이용하여 행하였다. 부피도는 과실의 절단면을 부피도 0(없음), 1(약간), 2(중간), 3(심함)의 4단계로 평가하고, 부피 지수: {(1×부피 정도 약간 수)+(2×중간 수)+(3×심함 수)}×100÷(3×조사 과수)로 나타내었다. 과피 색은 컬러 차트를 이용하여 0(미착색)∼12(완전 착색)로 나타내었다. 당도는 굴절 당도계로 측정하고, 산도는 적정 시트르산을 측정하였다. 과면의 오염은 과실 표면이 하얗게 오염되어 있는 면적의 비율로부터, 오염 없음: 1, 극미량의 오염: 2, 소량의 오염: 3, 중간 정도의 오염: 4, 다량의 오염: 5로 하였다. 약해는 정상: 1, 극소해: 2, 소해: 3, 중해: 4, 대해: 5로 하였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응용예 2∼21, 비교 응용예 1∼4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실시예 2∼21, 비교예 1∼4의 품질 향상제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응용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2,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 응용예 5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포름산 칼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응용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 응용예 6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황산 칼슘·2수염 57%, 염화 칼슘 27%, 분산제 등 16%의 제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응용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 응용예 7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염화 칼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응용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 응용예 8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물(컨트롤)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응용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67834739-pct00002
Figure 112007067834739-pct00003
응용예 22
사과(오린) 나무를 이용하여 고두병 경감 및 과실 품질의 확인을 행하였다. 즉, 상기 사과 나무를 이용하여, 6월 상순부터 4회(2주일 간격)에 걸쳐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를 표 4에 개시한 다가 금속 농도로 살포하였다. 또한 처리는 가지별 처리로 하여 등에 짊어지는 방식의 분무기에 의해 살포하였다.
평가는 랜덤하게 선택한 50과를 이용하여 행하였다. 고두병 발생률은 전 과수에 대한 고두병 발생 과수의 비율로 하였다. 바탕색은 가장 양호한 것을 5, 가장 나쁜 것을 1로 5단계 평가로 하였다. 당도는 굴절 당도계로 측정하고, 산도는 적정 말산을 측정하였다. 약해는 정상: 1, 극소해: 2, 소해: 3, 중해: 4, 대해: 5로 하였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응용예 23∼42, 비교 응용예 9∼12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실시예 2∼21, 비교예 1∼4의 품질 향상제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응용예 2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4,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 응용예 13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포름산 칼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응용예 2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 응용예 14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황산 칼슘·2수염 57%, 염화 칼슘 27%, 분산제 등 16%의 제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응용예 2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 응용예 15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염화 칼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응용예 2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 응용예 16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물(컨트롤)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응용예 2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67834739-pct00004
Figure 112007067834739-pct00005
응용예 43
잎파(사카이얏코) 나무를 이용하여 잎마름 경감 및 품질의 확인을 행하였다.
즉, 상기 잎파를 이용하여 6월 중순부터 3회(1주일 간격)에 걸쳐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를 표 7에 개시한 다가 금속 농도로 등에 짊어지는 방식의 분무기에 의해 살포하였다.
평가는 랜덤하게 선택한 50뿌리를 이용하여 행하였다. 잎마름은 잎마름 정도를 0(무해), 1(약간), 2(중간), 3(심함)의 4단계로 평가하고, 잎마름 지수{(1×잎마름 정도 약간 수)+(2×중간 수)+(3×심함 수)}×100÷(3×조사뿌리 수)로 나타내었다. 그 이외에, 초장, 포기 중량, 잎 수, 수확량을 측정하였다. 엽면의 오염은 과실 표면이 하얗게 오염되어 있는 면적의 비율로부터, 오염 없음: 1, 극미량의 오염: 2, 소량의 오염: 3, 중간 정도의 오염: 4, 다량의 오염: 5로 하였다. 약해는 정상: 1, 극소해: 2, 소해: 3, 중해: 4, 대해: 5로 하였다.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응용예 44∼63, 비교 응용예 17∼20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실시예 2∼21, 비교예 1∼4의 품질 향상제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응용예 4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6, 표 7에 나타내었다.
비교 응용예 21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포름산 칼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응용예 4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7에 나타내었다.
비교 응용예 22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황산 칼슘·2수염 57%, 염화 칼슘 27%, 분산제 등 16%의 제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응용예 4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7에 나타내었다.
비교 응용예 23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염화 칼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응용예 4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7에 나타내었다.
비교 응용예 24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물(컨트롤)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응용예 4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7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67834739-pct00006
Figure 112007067834739-pct00007
응용예 64
포도(피오네) 나무를 이용하여 열과 경감 및 과실 품질의 확인을 행하였다.
즉, 상기 포도 나무를 이용하여 7월 상순부터 4회(2주일 간격)에 걸쳐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를 표 8에 개시한 다가 금속 농도로 살포하였다. 또한 처리는 가지별 처리로 하여 등에 짊어지는 방식의 분무기에 의해 살포하였다.
평가는 랜덤하게 선택한 20송이를 이용하여 행하였다. 열과 수는 한 송이 당 열과립 수의 비율로 하였다. 착색은 컬러 차트를 이용하여 0(미착색)∼12(완전 착색)로 나타내었다. 당도는 굴절 당도계로 측정하고, 산도는 적정 타르타르산을 측정하였다. 과면의 오염은 과실 표면이 하얗게 오염되어 있는 면적의 비율로부터, 오염 없음: 1, 극미량의 오염: 2, 소량의 오염: 3, 중간 정도의 오염: 4, 다량의 오염: 5로 하였다. 약해는 정상: 1, 극소해: 2, 소해: 3, 중해: 4, 대해: 5로 하였다. 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
응용예 65∼73, 비교 응용예 25∼28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실시예 2∼4, 6∼7, 12, 14, 17∼18, 비교예 1∼4의 품질 향상제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응용예 6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8, 표 9에 나타내었다.
비교 응용예 29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포름산 칼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응용예 6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9에 나타내었다.
비교 응용예 30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황산 칼슘·2수염 57%, 염화 칼슘 27%, 분산제 등 16%의 제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응용예 6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9에 나타내었다.
비교 응용예 31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염화 칼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응용예 6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9에 나타내었다.
비교 응용예 32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물(컨트롤)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응용예 6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9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67834739-pct00008
Figure 112007067834739-pct00009
응용예 74
황도(사토니시키) 나무를 이용하여 열과 경감 및 과실 품질의 확인을 행하였다.
즉, 상기 황도 나무를 이용하여 5월 초순부터 3회(2주일 간격)에 걸쳐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를 표 10에 개시한 다가 금속 농도로 살포하였다. 또한 처리는 가지별 처리로 하여 등에 짊어지는 방식의 분무기에 의해 살포하였다.
평가는 랜덤하게 선택한 50과를 이용하여 행하였다. 열과율은 전 과수에 대한 열과 발생 과수의 비율로 하였다. 착색은 과실 1과에서의 착색 면적으로 나타내었다. 당도는 굴절 당도계로 측정하고, 산도는 적정 말산을 측정하였다. 과면의 오염은 과실 표면이 하얗게 오염되어 있는 면적의 비율로부터, 오염 없음: 1, 극미량의 오염: 2, 소량의 오염: 3, 중간 정도의 오염: 4, 다량의 오염: 5로 하였다. 약해는 정상: 1, 극소해: 2, 소해: 3, 중해: 4, 대해: 5로 하였다. 결과는 표 10에 나타내었다.
응용예 75∼83, 비교 응용예 33∼36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실시예 2∼4, 6∼7, 12, 14, 17∼18, 비교예 1∼4의 품질 향상제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응용예 7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10, 표 11에 나타내었다.
비교 응용예 37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포름산 칼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응용예 7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11에 나타내었다.
비교 응용예 38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황산 칼슘·2수염 57%, 염화 칼슘 27%, 분산제 등 16%의 제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응용예 7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11에 나타내었다.
비교 응용예 39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염화 칼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응용예 7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11에 나타내었다.
비교 응용예 40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물(컨트롤)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응용예 7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1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67834739-pct00010
Figure 112007067834739-pct00011
응용예 84
사과(쓰가루) 나무를 이용하여 햇볕 변색 억제 효과의 확인을 행하였다.
즉, 상기 사과 나무를 이용하여 7월 상순부터 3회(2주일 간격)에 걸쳐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를 표 12에 개시한 다가 금속 농도로 살포하였다. 또한 처리는 가지별 처리로 하여 등에 짊어지는 방식의 분무기에 의해 살포하였다.
평가는 랜덤하게 선택한 50과를 이용하여 행하였다. 햇볕 변색 발생률은 전 과수에 대한 햇볕 변색 발생 과수의 비율로 하였다. 햇볕 변색도를 과실 표면이 햇볕에 변색된 면적의 비율로부터 햇볕 변색도 0(없음), 1(약간), 2(중간), 3(심함)의 4단계로 평가하고, 햇볕 변색도 2 및 3의 과실을 중증과로 하였다. 과면의 오염은 과실 표면이 하얗게 오염되어 있는 면적의 비율로부터, 오염 없음: 1, 극미량의 오염: 2, 소량의 오염: 3, 중간 정도의 오염: 4, 다량의 오염: 5로 하였다. 약해는 정상: 1, 극소해: 2, 소해: 3, 중해: 4, 대해: 5로 하였다. 결과는 표 12에 나타내었다.
상기 사과 나무를 이용하여 6월 상순부터 4회(2주일 간격)에 걸쳐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를 표 4에 개시한 다가 금속 농도로 살포하였다. 또한 처리는 가지별 처리로 하여 등에 짊어지는 방식의 분무기에 의해 살포하였다.
응용예 85∼93, 비교 응용예 41∼44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실시예 2∼4, 6∼7, 12, 14, 17∼18, 비교예 1∼4의 품질 향상제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응용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12, 표 13에 나타내었다.
비교 응용예 45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포름산 칼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응용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13에 나타내었다.
비교 응용예 46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황산 칼슘·2수염 57%, 염화 칼슘 27%, 분산제 등 16%의 제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응용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13에 나타내었다.
비교 응용예 47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염화 칼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응용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13에 나타내었다.
비교 응용예 48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물(컨트롤)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응용예 8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1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67834739-pct00012
Figure 112007067834739-pct00013
응용예 94
배(호스이) 나무를 이용하여, 밀증도 경감 및 과실 품질의 확인을 행하였다.
즉, 상기 배 나무를 이용하여 4월 하순부터 4회(10일 간격) 및 7월 중순부터 2회(10일 간격)에 걸쳐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를 표 14에 개시한 다가 금속 농도로 살포하였다. 또한 처리는 가지별 처리로 하여 등에 짊어지는 방식의 분무기에 의해 살포하였다.
평가는 랜덤하게 선택한 30과를 이용하여 행하였다. 밀증도는 과실의 경와부, 적도부 및 체와부의 3곳의 절단면을, 밀증도 0(없음), 1(약간), 2(중간), 3(심함)의 4단계로 평가하고, 밀 지수:{(1×밀증상 정도 약간 수)+(2×중간 수)+(3×심함 수)}÷(조사 과수)로 나타내었다. 밀 지수 2 및 3의 과실을 중증과로 하였다. 바탕색은 일본 배용 컬러 차트를 이용하여 1(미숙)∼6(과숙)으로 나타내었다. 당도는 굴절 당도계로 측정하였다. 과면의 오염은 과실 표면이 하얗게 오염되어 있는 면적의 비율로부터, 오염 없음: 1, 극미량의 오염: 2, 소량의 오염: 3, 중간 정도의 오염: 4, 다량의 오염: 5로 하였다. 약해는 정상: 1, 극소해: 2, 소해: 3, 중해: 4, 대해: 5로 하였다. 결과는 표 14에 나타내었다.
응용예 95∼103, 비교 응용예 49∼52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실시예 2∼4, 6∼7, 12, 14, 17∼18, 비교예 1∼4의 품질 향상제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응용예 9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14, 표 15에 나타내었다.
비교 응용예 53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포름산 칼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응용예 9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15에 나타내었다.
비교 응용예 54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황산 칼슘·2수염 57%, 염화 칼슘 27%, 분산제 등 16%의 제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응용예 9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15에 나타내었다.
비교 응용예 55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염화 칼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응용예 9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15에 나타내었다.
비교 응용예 56
실시예 1의 품질 향상제 대신 물(컨트롤)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응용예 9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표 1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67834739-pct00014
Figure 112007067834739-pct00015
본 발명의 수난용성 품질 향상제는 각종 식물에서 발생하는 생리 장해를 억제, 경감함과 아울러, 식물의 당도나 산미 등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작용도 아울러 갖는다. 또한 과면의 오염도 적어 상품 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약해도 적어 안전성이 높다.

Claims (8)

  1. 칼슘, 마그네슘, 철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다가 금속; 말산, 숙신산, 시트르산, 아디프산, 푸말산, 글루탐산, 글루콘산 및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 암모늄염, 다가의 금속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나트륨, 칼륨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암모니아; 및 인산 이온 및/또는 탄산 이온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며, 0.01≤d50≤2.91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면 및 과면 살포용 수난용성 식물 품질 향상제.
    d50: 나노트랙 UPA150에 의해 측정한 입자의 50% 평균 지름(μm)
  2.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I)∼(Ⅳ)로부터 선택된 방법에 의해 조제된 다가 금속,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암모니아, 및 인산 이온 및/또는 탄산 이온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며, 0.01≤d50≤2.91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면 및 과면 살포용 수난용성 식물 품질 향상제.
    d50: 나노트랙 UPA150에 의해 측정한 입자의 50% 평균 지름(μm)
    (I)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및 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만들고, 이 전구 물질에 인산원 및/또는 탄산원을 첨가한다.
    (Ⅱ)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과, 인산원 및/또는 탄산원 및 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만들고, 이 전구 물질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을 첨가한다.
    (Ⅲ)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만들고, 이 전구 물질에 인산원·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 및/또는 탄산원·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을 첨가한다.
    (Ⅳ)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및 인산원 및/또는 탄산원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만들고, 이 전구 물질에 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을 첨가한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다가 금속 이온에 대한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이온, 알칼리 금속 이온 및/또는 암모늄 이온, 인산 이온, 탄산 이온의 성분의 몰비가 하기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면 및 과면 살포용 수난용성 식물 품질 향상제.
    다가 금속 이온/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이온=0.1∼200
    다가 금속 이온/알칼리 금속 이온 및/또는 암모늄 이온=0.03∼200
    다가 금속 이온/인산 이온=1∼10
    다가 금속 이온/탄산 이온=0.6∼10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a) 및 b)의 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면 및 과면 살포용 수난용성 식물 품질 향상제.
    a)0.01≤d50≤1.5
    b)0≤α≤10 단,α=(d90-d10)/d50
    d50: 나노트랙 UPA150에 의해 측정한 입자의 50% 평균 지름(μm)
    d90: 나노트랙 UPA150에 의해 측정한 입자의 90% 평균 지름(μm)
    d10: 나노트랙 UPA150에 의해 측정한 입자의 10% 평균 지름(μm)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c) 및 d)의 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면 및 과면 살포용 수난용성 식물 품질 향상제.
    c)0.01≤d50≤1.0
    d)0≤α≤8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e) 및 f)의 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면 및 과면 살포용 수난용성 식물 품질 향상제.
    e)0.01≤d50<0.6
    f)0≤α≤5
  7. 하기 (I)∼(Ⅳ)로부터 선택된 방법에 의해 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슘, 마그네슘, 철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다가 금속; 말산, 숙신산, 시트르산, 아디프산, 푸말산, 글루탐산, 글루콘산 및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 암모늄염, 다가의 금속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나트륨, 칼륨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암모니아; 및 인산 이온 및/또는 탄산 이온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며, 0.01≤d50≤2.914를 만족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엽면 및 과면 살포용 수난용성 식물 품질 향상제의 제조 방법.
    d50: 나노트랙 UPA150에 의해 측정한 입자의 50% 평균 지름(μm)
    (I)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및 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만들고, 이 전구 물질에 인산원 및/또는 탄산원을 첨가한다.
    (Ⅱ)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과, 인산원 및/또는 탄산원, 및 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만들고, 이 전구 물질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을 첨가한다.
    (Ⅲ)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만들고, 이 전구 물질에 인산원·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 및/또는 탄산원·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을 첨가한다.
    (Ⅳ)물과 다가 금속 화합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산 및 인산원 및/또는 탄산원을 혼합한 전구 물질을 만들고, 이 전구 물질에 알칼리 금속원 및/또는 암모니아원을 첨가한다.
  8. 삭제
KR1020077021493A 2005-02-22 2006-02-20 식물 품질 향상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1336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45332 2005-02-22
JPJP-P-2005-00045332 2005-02-22
PCT/JP2006/302953 WO2006090666A1 (ja) 2005-02-22 2006-02-20 植物品質向上剤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682A KR20070121682A (ko) 2007-12-27
KR101336095B1 true KR101336095B1 (ko) 2013-12-04

Family

ID=36927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1493A KR101336095B1 (ko) 2005-02-22 2006-02-20 식물 품질 향상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04619B2 (ko)
EP (1) EP1854356A4 (ko)
JP (1) JP5137570B2 (ko)
KR (1) KR101336095B1 (ko)
CN (1) CN101128116B (ko)
WO (1) WO20060906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4673B2 (ja) * 2007-05-24 2012-07-04 赤穂化成株式会社 果実の着色改善、裂果防止方法
US7765735B1 (en) * 2008-09-02 2010-08-03 Carelli Samuel P Method of treating mulch
US8419820B2 (en) 2009-01-28 2013-04-16 Everris International B.V. Fast dissolving water-soluble fertilizer formulations and methods and uses thereof
WO2011086526A1 (en) * 2010-01-15 2011-07-21 Uusen, Tarvi Iron phosphat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and use thereof
WO2013141381A1 (ja) * 2012-03-22 2013-09-26 独立行政法人理化学研究所 果実糖度上昇剤
CN102657230B (zh) * 2012-04-28 2015-11-18 浙江农林大学 一种防治酸雨胁迫的苗木处理药剂及苗木防治处理方法
US9133065B2 (en) * 2013-07-23 2015-09-15 Compass Minerals Manitoba Inc. High efficiency magnesium fertilizer
CN103503752B (zh) * 2013-09-29 2015-01-21 黄志超 室内植物无土栽培营养料
JP6284773B2 (ja) * 2014-01-31 2018-02-28 国立大学法人 岡山大学 放射性セシウムの植物移行抑制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植物の生長方法
CN104030827A (zh) * 2014-06-21 2014-09-10 合肥路飞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腐植酸硅硼叶面肥
CN104030828A (zh) * 2014-06-23 2014-09-10 合肥路飞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钙溶型叶面肥
CN104355761B (zh) * 2014-11-24 2017-06-06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防控苹果果实裂纹病的肥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RU2626947C1 (ru) * 2016-03-03 2017-08-02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Минерально-химическая компания "ЕвроХим" Фосфоркалийазотсодержащее npk-удобрение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гранулированного фосфоркалийазотсодержащего npk-удобрения
CN107652088A (zh) * 2017-11-16 2018-02-02 来安县世外桃园生态农业专业合作社 一种营养全面的大棚桃树专用肥
JP7233690B2 (ja) * 2018-03-23 2023-03-07 国立大学法人山口大学 植物病害の抑制剤及び植物病害の抑制方法
CN109608249A (zh) * 2019-02-02 2019-04-12 浙江科罗尼生物科技有限公司 二价铁供给液体及其应用
BR112021014676A2 (pt) * 2019-05-08 2021-11-16 Fertinagro Biotech Sl Aditivo para aumentar a eficiência do chorume de porco como fertilizante
WO2021035328A1 (en) * 2019-08-27 2021-03-04 CO2 GRO Inc. Foliar spraying with water infused with ammonia
JP7369365B1 (ja) 2023-03-14 2023-10-26 ソブエクレー株式会社 動植物生育用鉄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動植物生育用鉄供給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6185A (ja) * 1998-07-09 2000-01-25 Mi Tec:Kk キレート化合物含有肥料
KR20030096360A (ko) * 2001-05-07 2003-12-24 노르스크 히드로 아에스아 자동 입자 분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8020A (en) * 1971-06-17 1974-03-19 Allied Chem Process for incorporating micronutrients in liquid phosphatic fertilizers
JPS608995B2 (ja) * 1982-06-22 1985-03-07 多木化学株式会社 液体肥料
DE3417133A1 (de) * 1984-05-07 1985-11-07 Schering AG, 1000 Berlin und 4709 Bergkamen Blattduengemittel zur gezielten blattlangzeitapplikation
JPS6271552A (ja) * 1985-09-24 1987-04-02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有機化合物の微粒化方法
JP2674153B2 (ja) * 1988-11-08 1997-11-12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水性懸濁状農薬製剤
ATE104657T1 (de) * 1989-11-08 1994-05-15 Grace W R & Co Spruehgetrocknetes wasserdispergierbares duengemittel.
JPH03237083A (ja) * 1990-02-13 1991-10-22 Toshio Masuda 中性固体状肥料
JP3490575B2 (ja) * 1996-06-13 2004-01-26 第一製網株式会社 海苔品質向上剤
US6387147B2 (en) * 1998-02-06 2002-05-14 Kao Corporation Fertilizer composition
JP3687455B2 (ja) * 2000-01-11 2005-08-24 吉澤石灰工業株式会社 作物の栽培方法および作物の品質改善剤
JP2003212702A (ja) * 2002-01-17 2003-07-30 Hokkai Sankyo Kk 炭酸カルシウムの水性懸濁状組成物
JP2005325024A (ja) * 2002-08-02 2005-11-24 Maruo Calcium Co Ltd 摘花剤
JP4107976B2 (ja) * 2003-02-06 2008-06-25 ロイヤルインダストリーズ株式会社 有機酸と炭酸カルシウムとを含む水溶性カルシウム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6185A (ja) * 1998-07-09 2000-01-25 Mi Tec:Kk キレート化合物含有肥料
KR20030096360A (ko) * 2001-05-07 2003-12-24 노르스크 히드로 아에스아 자동 입자 분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37570B2 (ja) 2013-02-06
CN101128116B (zh) 2011-10-19
EP1854356A4 (en) 2011-07-20
EP1854356A1 (en) 2007-11-14
KR20070121682A (ko) 2007-12-27
US8404619B2 (en) 2013-03-26
US20080153703A1 (en) 2008-06-26
JPWO2006090666A1 (ja) 2008-08-07
WO2006090666A1 (ja) 2006-08-31
CN101128116A (zh) 200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095B1 (ko) 식물 품질 향상제 및 그 제조 방법
US10259753B2 (en) Multifunctional organic agricultural fertilizer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JP5957076B2 (ja) 農業におけるアミノカルボキシレートの使用
KR101527264B1 (ko) 고칼슘 복숭아 및 그 재배 방법
KR101777841B1 (ko) 바닷물을 이용한 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CA1327459C (en) Fertilizer and/or soil amendment
WO2006080614A1 (en) A aqueous composite fertilizer with high activated calcium and micro-element
US20130012383A1 (en) Use of aminocarboxylates in agriculture
KR101035449B1 (ko) 아인산염을 함유하는 농약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5219990A (ja) 葉面散布剤
US5435822A (en) Spray dried water dispersible fertilizer
US11981610B2 (en) Aqueous dispersions of potassium calcium polyphosphate
KR101514377B1 (ko) 이온활성화물질이 함유된 복합비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0427094B1 (en) Spray dried water dispersible fertilizer
KR102082251B1 (ko) 완효성 액상 복합 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546890B1 (ko) 목초액을 함유한 친환경 제초제 제조방법
WO2015101536A2 (de) Gemischtmetallische kristalline orthophosphate für die zeitlich kontrollierte freisetzung von spurenelementen im rhizodermalen und epidermalen bereich von pflanzen
US3174844A (en) Method of fertilizing turf with a non-burning fertilizer
JPH09263477A (ja) 液状カルシウム肥料
KR102358075B1 (ko) 규소와 천일염을 이용한 수용성비료 조성물 및 제조제법
AU719278B2 (en) Neutral metal alkanoate micronutrient solu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H04285087A (ja) 肥料組成物
KR950002340B1 (ko) 비료조성물
JPH04292492A (ja) 肥料組成物
SK732014U1 (sk) Prípravky na výživu rastlí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