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372B1 - 선박의 선미 구조 - Google Patents

선박의 선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372B1
KR101330372B1 KR1020117027787A KR20117027787A KR101330372B1 KR 101330372 B1 KR101330372 B1 KR 101330372B1 KR 1020117027787 A KR1020117027787 A KR 1020117027787A KR 20117027787 A KR20117027787 A KR 20117027787A KR 101330372 B1 KR101330372 B1 KR 101330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n
hull
propeller shaft
ship
pro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7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051A (ko
Inventor
다이스케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1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8Shape of aft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2Shaft bra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08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6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in recesses; with stationary water-guiding elements; Means to prevent fouling of the propeller, e.g. guards, cages or scre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Abstract

선박의 선미 구조는, 복수의 프로펠러와, 복수의 프로펠러 축과, 선미 구조체를 구비한다. 복수의 프로펠러 축관은, 복수의 프로펠러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복수의 프로펠러에 접속되는 복수의 프로펠러 축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선미 구조체는, 선미 선체 (3) 로부터 후방으로 신장하고, 선체 중심선 (C) 에 대해 외측으로 넓어져, 복수의 프로펠러 축 중 선미 선체 (3) 로부터 후방으로 신장된 부분을 내포한다. 선미 구조체의 내측은 선체의 내부이다. 선미 구조체는 복수의 프로펠러 축관을 선체의 내부에서 지지한다.

Description

선박의 선미 구조{STERN STRUCTURE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선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추진 장치의 일례로서, 1 기 (機) 1 축 (1 기의 주기 (主機) 와 1 기 (基) 의 프로펠러) 의 방식, 및 2 기 (機) 2 축 (2 기의 주기와 2 기의 프로펠러) 의 방식이 알려져 있다. 일반 상선의 추진 장치로는, 이들 1 기 1 축 방식, 또는 2 기 2 축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각각, 전자를 채용한 선박은 1 축선, 후자를 채용한 선박은 2 축선으로도 불리고 있다.
또, 최근의 선박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1 축선에서는 프로펠러의 하중도의 증가에 수반되는 추진 효율의 저하, 캐비테이션 범위의 확대에 수반되는 선체 진동의 증가, 및 이로젼의 발생이 문제가 되는 케이스가 있다. 이들 문제는 선박을 2 축선으로 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2 축선으로 하면, 1 기 당의 프로펠러 하중도가 저감되어 프로펠러 효율이 향상되고, 캐비테이션 발생 범위를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선미에 2 기의 프로펠러를 배치하는 예로는, 오버래핑 프로펠러 (OLP ; Overlapping Propellers) 방식, 인터록 프로펠러 방식, 및, 프로펠러를 좌우 병렬하는 방식 등이 있다. OLP 방식에서는, 2 기의 프로펠러를 전후로 어긋나게 배치하고, 선미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2 기의 프로펠러의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한다. OLP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추진 성능을 1 축선으로부터 5 ∼ 10 % 정도 개선할 수 있다. 또, 인터록 프로펠러 방식에서는, 일방의 프로펠러의 날개와 날개 사이에 타방의 프로펠러의 날개가 들어가도록 배치한다. 프로펠러를 좌우 병렬하는 방식에서는, 프로펠러를 선장 (船長) 방향의 동일한 위치에 나열하여 배치한다.
여기서, 1 축선형의 선미 구조에 2 기의 프로펠러를 배치할 때의 프로펠러의 위치 관계는, 선체 중심선 부근의 느린 흐름이나 빌지 보텍스와 같은 선미의 세로 보텍스와의 관계로부터 선체 중심 근방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이하의 효과가 있다. 선미에 있어서, 통상적인 1 축선의 프로펠러의 위치에서는 선체 중심선에 대칭인 1 세트의 안쪽으로 회전하는 빌지 보텍스와 같은 느린 흐름의 세로 보텍스가 발생한다. 프로펠러는 흐름이 느린 장소에서 작동하는 편이,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효율이 양호해진다. 그 때문에, 그 세로 보텍스 부근에서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선체 중심선 부근의 느린 흐름이나 세로 보텍스를 회수함으로써, 추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OLP 방식의 경우에는, 선체 중심 근방의 세로 보텍스를 효율적으로 회수하여 추진 성능 향상이 도모되도록, 프로펠러 회전 방향은 바깥쪽으로 회전하는 것이 채용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WO 2006/095774호 공보) 에는, 1 축선형의 선미 구조에 OLP 를 채용했을 경우의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 는, 특허문헌 1 의 2 축선의 선미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단, 도 1a 는 2 축선의 선미를 선저 (船底) 측에서 본 모식도이고, 도 1b 는 선미로부터 본 도 1a 의 A-A' 단면의 모식도이다. 2 축선 (100) 은, 1 축선형의 선미를 갖고, 선미에 우현 프로펠러 (110), 좌현 프로펠러 (120), 및 키 (105) 를 구비하고 있다. 우현 프로펠러 (110) 는, 우현 선미관 (111) 내에 삽입 통과되어 있는 우현 프로펠러 축 (112) 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우현 프로펠러 축 (112) 은, 타단이 선체 내부의 우현 주기 (131) 에 접속되어 있다. 우현 주기 (131) 는, 우현 프로펠러 축 (112) 을 통하여 우현 프로펠러 (110) 를 회전시킨다. 또, 좌현 프로펠러 (120) 는, 우현 프로펠러 (110) 와 동일하게, 좌현 선미관 (121) 내에 삽입 통과되어 있는 좌현 프로펠러 축 (122) 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좌현 프로펠러 축 (122) 은, 타단이 선체 내부의 좌현 주기 (132) 에 접속되어 있다. 좌현 주기 (132) 는 좌현 프로펠러 축 (122) 을 통하여 좌현 프로펠러 (120) 를 회전시킨다. 또, 우현 선미관 (111) 과 선미 선체 (103) 사이, 및 좌현 선미관 (121) 과 선미 선체 (103) 사이는 각각 브래킷 핀 (109, 108) 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 키 (105) 는, 우현 프로펠러 (110) 및 좌현 프로펠러 (120) 의 후방, 선체 중심선 (C) 상에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발명자는, 이번에 연구에 의해 이하의 사실을 발견했다.
선체 중심 근방의 세로 보텍스를 효율적으로 회수하기 위하여 OLP 를 채용하고, 선미 중앙 부분을 얇게 하여 프로펠러 축을 접근시키면, 프로펠러 축을 지지하는 구조가 강도 부족하게 된다. 그 때문에, 상기의 특허문헌 1 에서는, 보강용으로 브래킷 핀 (109, 108) 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브래킷 핀 (109, 108) 만으로는 강도 부족을 보충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을 가능성이 생각된다. 또, 브래킷 핀 (109, 108) 자체의 저항에 의해, 추진 효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생각된다.
또한, 브래킷 핀을 사용하지 않고 보싱을 사용하여 강도 부족을 보충하는 방법도 생각된다. 그러나, 보싱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그 보싱의 저항에 의해 추진 효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생각된다. 이와 같이, 2 축선의 프로펠러 축의 지지 구조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샤프트 브래킷이나 보싱 등의 부가물을 형성하면 그것에 의한 부부 (副部) 저항의 증가에 수반하여 추진 성능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특허문헌 1 : WO 2006/095774 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펠러 축의 지지 구조를 보강하면서, 또한 보싱이나 브래킷 핀 등의 선체 부가물에 의한 저항 증가를 억제하여 추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의 선미 구조 및 그것을 사용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선박의 선미 구조는, 복수의 프로펠러와, 복수의 프로펠러 축과, 선미 구조체를 구비한다. 복수의 프로펠러 축은, 복수의 프로펠러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복수의 프로펠러에 접속된다. 선미 구조체는, 선미 선체의 후방에 결합하여 형성되고, 복수의 프로펠러 축 중 선미 선체로부터 후방으로 신장된 부분을 내포한다. 선미 구조체의 내측은 선체의 내부이다. 선미 구조체는 복수의 프로펠러 축을 선체의 내부에서 지지한다.
상기의 선박의 선미 구조에 있어서, 선미 구조체는, 상면부와, 하면부와, 측면부를 포함한다. 상면부는, 선미 선체로부터 후방으로 신장하고, 선체 중심선에 대해 외측으로 넓어져, 프로펠러 축의 상방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면부는, 선미 선체로부터 후방으로 신장하고, 선체 중심선에 대해 외측으로 넓어져, 프로펠러 축의 하방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측면부는, 선미 선체로부터 후방으로 신장하고, 상면부와 하면부를 결합하여, 프로펠러 축의 측방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선박의 선미 구조에 있어서, 상면부는, 선미 선체와 측면부를 상측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매끄럽게 결합하는 곡면을 구성하는 제 1 곡면부이다. 하면부는, 선미 선체와 측면부를 하측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매끄럽게 결합하는 곡면을 구성하는 제 2 곡면부이다.
상기의 선박의 선미 구조에 있어서, 상면부는, 선미 선체와 측면부를 상측으로부터 연속적으로 결합하는 평면을 구성하는 제 1 평면부이다. 하면부는, 선미 선체와 측면부를 하측으로부터 연속적으로 결합하는 평면을 구성하는 제 2 평면부이다.
본 발명의 선박의 선미 구조는, 복수의 프로펠러와, 복수의 프로펠러 축관과, 선미 구조체를 구비한다. 복수의 프로펠러 축관은, 복수의 프로펠러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복수의 프로펠러에 접속되는 복수의 프로펠러 축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선미 구조체는, 선미 선체의 후방에 형성되고, 복수의 프로펠러 축관 중 선미 선체로부터 후방으로 신장된 부분을 지지한다. 선미 구조체는, 측방 핀과, 상방 핀을 구비한다. 측방 핀은, 선미 선체로부터 후방으로 신장하고, 선체 중심선에 대해 외측으로 넓어져, 복수의 프로펠러 축관의 측방에 결합하여 복수의 프로펠러 축관을 지지한다. 상방 핀은, 선미 선체의 후방에 떨어져 형성되고, 선미 선체의 바닥부로부터 하방으로 신장하고, 복수의 프로펠러 축관의 상방에 결합하여 복수의 프로펠러 축관을 지지한다. 측방 핀 및 상방 핀은, 선체 주위의 유선 방향과 일치하도록 선미 선체와 결합된다.
상기의 선박의 선미 구조에 있어서, 선미 선체는, 1 축선형의 선미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선박은, 상기 각 단락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선박의 선미 구조를 갖는 선박이다.
발명에 의해, 선박에 있어서, 프로펠러 축의 지지 구조를 보강하면서, 또한 브래킷 핀 등의 부가물에 의한 저항 증가를 억제하여 추진 효율을 향상시키는 선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는, 특허문헌 1 의 2 축선의 선미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b 는, 특허문헌 1 의 2 축선의 선미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의 선미 구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b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의 선미 구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선미 구조의 변형예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a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의 선미 구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b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의 선미 구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선미 구조의 변형예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선미 구조 및 그것을 사용한 선박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먼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의 선미 구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의 선미 구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단, 도 2a 는 선박의 선미 구조를 선저측에서 본 모식도이고, 도 2b 는 도 2a 의 선미로부터 본 B-B' 단면의 모식도이다. 여기서는, 선박으로서, 다축선의 1 종인 1 축선형의 선미 구조를 갖는 2 축선 (1) 을 예로 설명한다.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축선 (1) 은, 선미 구조체 (4), 우현 프로펠러 (10), 우현 프로펠러 축관 (11), 좌현 프로펠러 (20), 좌현 프로펠러 축관 (21), 및 키 (5) 를 구비하고 있다.
우현 프로펠러 (10) 는, 선체의 선미의 하방 부분인 선미 선체 (3) 의 우현에 형성되어 있다. 우현 프로펠러 (10) 는, 우현 프로펠러 축관 (11) 내에 삽입되어 있는 우현 프로펠러 축 (12) 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우현 프로펠러 축 (12) 은, 타단이 선체 내부의 우현 주기 (31) 에 접속되어 있다. 우현 주기 (31) 는 우현 프로펠러 축 (12) 을 통하여 우현 프로펠러 (10) 를 회전시킨다. 또, 동일하게, 좌현 프로펠러 (20) 는, 선미의 선미 선체 (3) 의 좌현에 형성되어 있다. 좌현 프로펠러 (20) 는, 좌현 프로펠러 축관 (21) 내에 삽입되어 있는 좌현 프로펠러 축 (22) 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좌현 프로펠러 축 (22) 은, 타단이 선체 내부의 좌현 주기 (32) 에 접속되어 있다. 좌현 주기 (32) 는, 좌현 프로펠러 축 (22) 을 통하여 좌현 프로펠러 (20) 를 회전시킨다. 각 프로펠러 축 (22, 12) 은, 좌우 양 현의 프로펠러 축관 (21, 11) 이나 각 선미 구조체 (4b, 4a) 내부에서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단, 우현 프로펠러 축관 (11) 및 좌현 프로펠러 축관 (21) 은, 각각 우현 프로펠러 축 (12) 및 좌현 프로펠러 축 (22) 을 보호하기 위한 외통 (관) 이며, 선미관으로 예시된다. 단,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형태의 것이어도 된다.
선미 구조체 (4) 는, 선미 선체 (3) 로부터 선체 후방으로 신장하고, 선체 중심선 (C) 에 대해 외측으로 넓어져, 우현 프로펠러 축관 (11) 및 좌현 프로펠러 축관 (21) 의 일부가 선미 선체 (3) 로부터 돌출된 (후방으로 신장된) 부분을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선미 선체 (3) 와 결합하여, 2 축선 (1) 의 선체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즉, 우현 프로펠러 축관 (11) 은, 도 1a 의 경우와 비교하여, 우현 프로펠러 (10) 의 근방까지, 선체의 내부 (선미 구조체 (4 (4a) 의 내부) 에 받아들여져 있다. 동일하게, 좌현 프로펠러 축관 (21) 은, 도 1a 의 경우와 비교하여, 좌현 프로펠러 (20) 의 근방까지, 선체의 내부 (선미 구조체 (4 (4b) 의 내부) 에 받아들여져 있다. 그리고, 선미 구조체 (4) 는, 우현 프로펠러 축관 (11) 및 좌현 프로펠러 축관 (21) 이 선미 선체 (3) 로부터 돌출되는 위치로부터, 선미 선체 (3) 바닥부의 스케그 (9) 의 선미 방향의 선단 근방까지 신장되어 있다.
여기서의 선미 선체 (3) 는, 선체 중심선을 따른 스케그를 갖는 1 축선에 있어서의 선미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부분을 말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2 축선 (1) 의 선미는, 선미 선체 (3) 와 선미 구조체 (4) 가 일체가 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동일하다.
키 (5) 는, 우현 프로펠러 (10) 및 좌현 프로펠러 (20) 의 후방, 선체 중심선 (C) 상에 형성되어 있다.
좌우 양 현의 프로펠러 (20, 10) 는, 서로의 프로펠러 날개가 간섭하지 않을 정도의 프로펠러 팁 사이 거리 (d) 를 두고 선체 중심선 (C) 을 대칭으로 나열되며, 선체 중심선 (C)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프로펠러 팁 사이 거리 (d) 는, 프로펠러 날개끼리의 접촉의 우려가 없고, 또한, 저속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선체 중심선 (C) 에 가깝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OLP 방식으로 하면 전측의 프로펠러에 의한 후측의 프로펠러에 대한 캐비테이션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양 프로펠러가 겹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0 ≤ d ≤ 0.5 Dp (Dp : 프로펠러 직경) 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2 축선에서는, 프로펠러를 근접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미 구조체 (4) 는, 우현 선미 구조체 (4a) 와 좌현 선미 구조체 (4b) 를 구비한다.
우현 선미 구조체 (4a) 는, 곡면부 (42, 43, 44) 로 구성되어 있다. 곡면부 (42) 는, 선미 선체 (3) 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우현 프로펠러 축관 (11) 의 외측 (선체 중심선 (C) 으로부터 보아 외측) 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우현 프로펠러 축관 (11) 의 외측은, 선미 선체 (3) 로부터 돌출되는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예시 : 스케그 (9) 의 선미측 선단의 근방까지) 만큼 곡면부 (42) 에 덮여 있다. 곡면부 (43) 는, 선미 선체 (3) 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케그 (9) 의 상방에 일방이 결합되고, 타방이 곡면부 (42) 의 상방에 접합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우현 프로펠러 축관 (11) 의 상측은, 선미 선체 (3) 로부터 돌출되는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곡면부 (43) 에 덮여 있다. 곡면부 (44) 는, 선미 선체 (3) 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케그 (9) 의 하방에 일방이 결합되고, 타방이 곡면부 (42) 의 하방에 접합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우현 프로펠러 축관 (11) 의 하측은, 선미 선체 (3) 로부터 돌출되는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곡면부 (44) 에 덮여 있다. 즉, 이들 곡면부 (42, 43, 44) 에 의해 형성되는 곡면으로, 우현 프로펠러 축관 (11) 은, 2 축선 (1) 의 선체에 내포되어 있다.
동일하게, 좌현 선미 구조체 (4b) 는, 곡면부 (52, 53, 54) 로 구성되어 있다. 곡면부 (52) 는, 선미 선체 (3) 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좌현 프로펠러 축관 (21) 의 외측 (선체 중심선 (C) 으로부터 보아 외측) 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좌현 프로펠러 축관 (21) 의 외측은, 선미 선체 (3) 로부터 돌출되는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예시 : 스케그 (9) 의 선미측 선단의 근방까지) 만큼 곡면부 (52) 에 덮여 있다. 곡면부 (53) 는, 선미 선체 (3) 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케그 (9) 의 상방에 일방이 결합되고, 타방이 곡면부 (52) 의 상방에 접합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좌현 프로펠러 축관 (21) 의 상측은, 선미 선체 (3) 로부터 돌출되는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곡면부 (53) 에 덮여 있다. 곡면부 (54) 는, 선미 선체 (3) 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케그 (9) 의 하방에 일방이 결합되고, 타방이 곡면부 (52) 의 하방에 접합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좌현 프로펠러 축관 (21) 의 하측은, 선미 선체 (3) 로부터 돌출되는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곡면부 (54) 에 덮여 있다. 즉, 이들 곡면부 (52, 53, 54) 에 의해 형성되는 곡면으로, 좌현 프로펠러 축관 (21) 은, 2 축선 (1) 의 선체에 내포되어 있다.
우현 선미 구조체 (4a) 및 좌현 선미 구조체 (4b) 는, 선체 중심선 (C) 에 대해 대칭이다. 우현 선미 구조체 (4a) 및 좌현 선미 구조체 (4b) 는, 예를 들어, 모두 선미 선체 (3) 와 동일한 강판으로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예시 :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2 축선 (1) 의 선체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그것에 의해, 선미 선체 (3) 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던 좌우 양 현의 프로펠러 축관 (21, 11) 을 좌우 양 현의 프로펠러 (20, 10) 의 근방까지 선체 내부에 받아들이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좌우 양 현의 프로펠러 축 (20, 10) 을 선 내에 배치하여, 선미 구조와 일체화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우현 선미 구조체 (4a) 및 좌현 선미 구조체 (4b) 를 보싱과 같은 부가물을 사용한 경우와 같은 굵게 돌출된 형상으로 하지 않고, 작은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지지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즉, 선체 부가물을 줄이고, 그것에 따른 저항 증가를 억제하여 추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곡면부 (43, 44) 나 곡면부 (53, 54) 는, 선박의 추진 성능에 대한 영향이 적어지도록 선미 선체 (3) 와 연속 함수로 나타낼 수 있는 곡선 (곡면) 과 같이 매끄럽게 결합된다. 형상에 대해서는, 도 2b 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선박의 추진 성능에 대한 영향이 적어지는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곡면부 (42, 52) 는, 좌우 양 현의 프로펠러 축관 (11, 21) 의 부재로 겸용되어 있어도 된다. 또, 곡면부 (42) 는, 곡면부 (43, 44) 중 어느 것 또는 양방에 받아들여져 일체여도 된다. 또한, 곡면부 (42, 43, 44) 는 일체여도 된다. 동일하게, 곡면부 (52) 는, 곡면부 (53, 54) 중 어느 것 또는 양방에 받아들여져 일체여도 된다. 또한, 곡면부 (52, 53, 54) 는 일체여도 된다. 또, 좌우 양 현의 선미 구조체 (4b, 4a) 내부에 있어서는, 좌우 양 현의 프로펠러 축관 (21, 11)이 없고, 좌우 양 현의 프로펠러 축 (22, 12) 이 노출된 것이어도 된다. 그 경우, 각 프로펠러 축 (22, 12) 은, 각 선미 구조체 (4b, 4a) 내부에서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의 선미 구조 및 그것을 사용한 선박에 있어서, 선미 구조체 (4) 에 의해 좌우 양 현의 프로펠러 축관 (21, 11) 과 선미 선체 (3) 사이를 연결하거나 또는 덮음으로써, 선체 밖으로 돌출되어 있던 좌우 양 현의 프로펠러 축관 (21, 11) 을 선체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좌우 양 현의 프로펠러 축관 (21, 11) 을 강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즉, 그 지지 구조의 강도를 대폭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 선미 구조체 (4) 와 선미 선체 (3) 가 매끄럽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좌우 양 현의 프로펠러 축관 (21, 11) 에 의한 저항 증가나 흐름의 박리를 방지하여, 추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선체 밖으로 돌출되어 있던 좌우 양 현의 프로펠러 축관 (21, 11) 의 일부를 선체 내부에 받아들임으로써, 선체 밖으로 돌출되는 프로펠러 축관의 길이가 감소하기 때문에, 브래킷 핀이나 보싱과 같은 부가물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경량화할 수 있고, 저항 증가나 흐름의 박리를 방지하여, 추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선미 구조의 변형예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 은 도 2a 의 선미로부터 본 B-B' 단면의 모식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의 선미 구조체 (4) 는, 우현 선미 구조체 (4a) 와 좌현 선미 구조체 (4b) 를 구비하고 있다.
우현 선미 구조체 (4a) 는, 곡면부 (46), 평면부 (47, 48) 로 구성되어 있다. 곡면부 (46) 는, 선미 선체 (3) 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우현 프로펠러 축관 (11) 의 외측 (선체 중심선 (C) 으로부터 보아 외측) 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우현 프로펠러 축관 (11) 의 외측은, 선미 선체 (3) 로부터 돌출되는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곡면부 (46) 에 덮여 있다. 평면부 (47) 는, 선미 선체 (3) 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케그 (9) 의 상방에 일방이 결합되고, 타방이 곡면부 (46) 의 상방에 접합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우현 프로펠러 축관 (11) 의 상측은, 선미 선체 (3) 로부터 돌출되는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 평면부 (47) 에 덮여 있다. 평면부 (48) 는, 선미 선체 (3) 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케그 (9) 의 하방에 일방이 결합되고, 타방이 곡면부 (46) 의 하방에 접합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우현 프로펠러 축관 (11) 의 하측은, 선미 선체 (3) 로부터 돌출되는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 평면부 (48) 에 덮여 있다. 즉, 이들 곡면부 (46) 에 의해 형성되는 곡면과, 평면부 (47, 48) 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으로, 우현 프로펠러 축관 (11) 은, 2 축선 (1) 의 선체에 내포되어 있다.
동일하게, 좌현 선미 구조체 (4b) 는, 곡면부 (56), 평면부 (57, 58) 로 구성되어 있다. 곡면부 (56) 는, 선미 선체 (3) 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좌현 프로펠러 축관 (21) 의 외측 (선체 중심선 (C) 으로부터 보아 외측) 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좌현 프로펠러 축관 (21) 의 외측은, 선미 선체 (3) 로부터 돌출되는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곡면부 (56) 에 덮여 있다. 평면부 (57) 는, 선미 선체 (3) 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케그 (9) 의 상방에 일방이 결합되고, 타방이 곡면부 (56) 의 상방에 접합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좌현 프로펠러 축관 (21) 의 상측은, 선미 선체 (3) 로부터 돌출되는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 평면부 (57) 에 덮여 있다. 평면부 (58) 는, 선미 선체 (3) 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케그 (9) 의 하방에 일방이 결합되고, 타방이 곡면부 (56) 의 하방에 접합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좌현 프로펠러 축관 (21) 의 하측은, 선미 선체 (3) 로부터 돌출되는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 평면부 (58) 에 덮여 있다. 즉, 이들 곡면부 (56) 에 의해 형성되는 곡면과, 평면부 (57, 58) 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으로, 좌현 프로펠러 축관 (21) 은, 2 축선 (1) 의 선체에 내포되어 있다.
우현 선미 구조체 (4a) 및 좌현 선미 구조체 (4b) 는, 선체 중심선 (C) 에 대해 대칭이다. 우현 선미 구조체 (4a) 및 좌현 선미 구조체 (4b) 는, 예를 들어, 모두 선미 선체 (3) 와 동일한 강판으로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예시 :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2 축선 (1) 의 선체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그것에 의해, 선체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좌우 양 현의 프로펠러 축관 (21, 11) 을 좌우 양 현의 프로펠러 (20, 10) 의 근방까지 선체 내부에 받아들이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좌우 양 현의 프로펠러 축 (20, 10) 을 선 내에 배치하여, 선미 구조와 일체화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우현 선미 구조체 (4a) 및 좌현 선미 구조체 (4b) 를 보싱과 같은 부가물을 사용한 경우와 같은 굵게 돌출된 형상으로 하지 않고, 작은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지지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즉, 선체 부가물을 줄여, 그것에 따른 저항 증가를 억제하여 추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곡면부 (46, 56) 는, 좌우 양 현의 프로펠러 축관 (21, 11) 의 부재로 겸용되어 있어도 된다. 또, 곡면부 (46) 는, 평면부 (47, 48) 중 어느 것 또는 양방에 받아들여져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곡면부 (46), 평면부 (47, 48) 는 일체여도 된다. 동일하게, 곡면부 (56) 는, 평면부 (57, 58) 중 어느 것 또는 양방에 받아들여져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곡면부 (56), 평면부 (57, 58) 는 일체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의 선미 구조 및 그것을 사용한 선박에 있어서, 이 경우에도, 도 2a 나 도 2b 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그것에 추가하여, 선미 구조체 (4) 에 있어서의 곡면부 (43, 44) 나 곡면부 (53, 54) 와 같은 곡면 형상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판 굽힘이 불필요해져,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도 2b 의 선미 구조체 (4) 와 도 3 의 선미 구조체 (4) 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선미 구조체 (4) 중, 상측을 평면 형상의 평면부 (57, 47) 로 하고, 하측을 곡면부 (44, 54) 로 하는 경우, 또는 그 반대의 경우이다. 이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먼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의 선미 구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의 선미 구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단, 도 4a 는 선박의 선미 구조를 선저측에서 본 모식도이고, 도 4b 는 도 4a 의 선미로부터 본 C-C' 단면의 모식도이다. 여기서는, 선박으로서, 다축선의 1 종인 1 축선형의 선미 구조를 갖는 2 축선 (1) 을 예로 설명한다.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축선 (1) 은, 선미 구조체 (6), 우현 프로펠러 (10), 우현 프로펠러 축관 (11), 좌현 프로펠러 (20), 좌현 프로펠러 축관 (21), 및 키 (5) 를 구비하고 있다.
우현 프로펠러 (10) 및 좌현 프로펠러 (20), 키 (5) 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선미 구조체 (6) 는, 선미 선체 (3) 로부터 후방으로 신장하고, 선미 선체 (3) 로부터 선체 중심선 (C) 에 대해 평행 또는 외측으로 넓어져, 우현 프로펠러 축관 (11) 및 좌현 프로펠러 축관 (21) 의 일부가 선미 선체 (3) 로부터 돌출된 (후방으로 신장된) 부분에 결합 (예시 : 용접으로 접합) 된 브래킷 핀 (62, 63, 72, 73) 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브래킷 핀은, 도 1a 의 경우와 비교하여, 그 수 및 구성이 상이하다.
선미 구조체 (6) 는, 우현 선미 구조체 (6a) 와 좌현 선미 구조체 (6b) 를 구비하고 있다. 우현 선미 구조체 (6a) 와 좌현 선미 구조체 (6b) 는 선체 중심선 (C) 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 양 현의 선미 구조체 (6b, 6a) 는 각각 복수의 브래킷 핀을 조합한 구성이다.
우현 선미 구조체 (6a) 는, 우현 상방 브래킷 핀 (62) 과, 우현 측방 브래킷 핀 (63) 을 구비하고 있다. 우현 상방 브래킷 핀 (62) 은, 선체 중심선 (C) (선미 선체 (3) 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케그 (9)) 과 대략 평행으로 형성되고, 일방은 우현 프로펠러 축관 (11) 에, 타방은 선미 선체 (3) 의 바닥면부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우현 상방 브래킷 핀 (62) 은, 우현 프로펠러 축관 (11) 의 도중 위치로부터 소정의 길이 (예시 : 스케그 (9) 의 선미측 선단의 근방까지) 를 갖고 있다. 또, 우현 측방 브래킷 핀 (63) 은, 선체 중심선 (C) (선미 선체 (3) 의 스케그 (9)) 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고, 일방은 우현 프로펠러 축관 (11) 에, 타방은 선미 선체 (3) 의 스케그 (9) 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우현 측방 브래킷 핀 (63) 은, 우현 프로펠러 축관 (11) 이 선미 선체 (3) 로부터 돌출되는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예시 : 스케그 (9) 의 선미측 선단의 근방까지) 만큼 신장되어 있다. 우현 프로펠러 축관 (11) 은, 우현 상방 브래킷 핀 (62) 및 우현 측방 브래킷 핀 (63)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좌현 선미 구조체 (6b) 는, 좌현 상방 브래킷 핀 (72) 과 좌현 측방 브래킷 핀 (73) 을 구비하고 있다. 좌현 상방 브래킷 핀 (72) 은, 선체 중심선 (C) (선미 선체 (3) 의 스케그 (9)) 과 대략 평행으로 형성되고, 일방은 좌현 프로펠러 축관 (21) 에, 타방은 선미 선체 (3) 의 바닥면부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좌현 상방 브래킷 핀 (72) 은, 좌현 프로펠러 축관 (21) 의 도중 위치로부터 소정의 길이 (예시 : 스케그 (9) 의 선미측 선단의 근방까지) 를 갖고 있다. 또, 좌현 측방 브래킷 핀 (73) 은 선체 중심선 (C) (선미 선체 (3) 의 스케그 (9)) 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고, 일방은 좌현 프로펠러 축관 (21) 에, 타방은 선미 선체 (3) 의 스케그 (9) 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좌현 측방 브래킷 핀 (73) 은, 좌현 프로펠러 축관 (21) 이 선미 선체 (3) 로부터 돌출되는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예시 : 스케그 (9) 의 선미측 선단의 근방까지) 만큼 신장되어 있다. 좌현 프로펠러 축관 (21) 은, 좌현 상방 브래킷 핀 (72) 및 좌현 측방 브래킷 핀 (73)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의 선미 구조 및 그것을 사용한 선박에 있어서, 복수의 브래킷 핀 (72, 73/62, 63) 에 의해 좌우현의 프로펠러 축관 (21, 11) 과 선미 선체 (3)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좌우현의 프로펠러 축관 (21, 11) 의 지지 구조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추가로, 복수의 브래킷 핀 (72, 73/62, 63) 의 장착 각도를 선미 선체 (3) 주위의 유선 방향과 대략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해, 복수의 브래킷 핀 (72, 73/62, 63) 에 의한 저항 악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기름 탱커나 벌크 캐리어와 같은 비대선에서는 선미 선체 (3) 주위의 흐름이 느리기 때문에, 복수의 브래킷 핀 (72, 73/62, 63) 에 의한 저항 악화가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그 경우, 빌지 보텍스를 증가시키는 방향, 즉, 좌우 양 현의 프로펠러 (20, 10) 의 각각의 전방의 흐름이 각 프로펠러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이 되는 (비트는) 방향으로 복수의 브래킷 핀 (72, 73/62, 63) 의 각도를 조정한다. 그것에 의해, 프로펠러 효율을 향상시켜 추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선미 구조의 변형예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 는 도 4a 의 선미로부터 본 C-C' 단면의 모식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의 선미 구조체 (6) 는, 우현 선미 구조체 (6a) 와 좌현 선미 구조체 (6b) 를 구비하고 있다. 우현 선미 구조체 (6a) 와 좌현 선미 구조체 (6b) 는 선체 중심선 (C) 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 양 현의 선미 구조체 (6b, 6a) 는 각각 복수의 브래킷 핀을 조합한 구성이다.
우현 선미 구조체 (6a) 는, 우현 상방 브래킷 핀 (66) 과, 우현 측방 브래킷 핀 (67) 을 구비하고 있다. 우현 상방 브래킷 핀 (66) 은, 선체 중심선 (C) (선미 선체 (3) 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케그 (9)) 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고, 일방은 우현 프로펠러 축관 (11) 에, 타방은 선미 선체 (3) 의 스케그 (9) 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우현 상방 브래킷 핀 (66) 은, 우현 프로펠러 축관 (11) 의 도중 위치로부터 소정의 길이 (예시 : 스케그 (9) 의 선미측 선단의 근방까지) 를 갖고 있다. 또, 우현 측방 브래킷 핀 (67) 은 선체 중심선 (C) (선미 선체 (3) 의 스케그 (9)) 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고, 일방은 우현 프로펠러 축관 (11) 에, 타방은 선미 선체 (3) 의 스케그 (9) 의 하방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우현 측방 브래킷 핀 (67) 은, 우현 프로펠러 축관 (11) 이 선미 선체 (3) 로부터 돌출되는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예시 : 스케그 (9) 의 선미측 선단의 근방까지) 만큼 신장되어 있다. 우현 프로펠러 축관 (11) 은, 우현 상방 브래킷 핀 (66) 및 우현 측방 브래킷 핀 (67)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좌현 선미 구조체 (6b) 는, 좌현 상방 브래킷 핀 (76) 과, 좌현 측방 브래킷 핀 (77) 을 구비하고 있다. 좌현 상방 브래킷 핀 (76) 은, 선체 중심선 (C) (선미 선체 (3) 의 스케그 (9)) 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고, 일방은 좌현 프로펠러 축관 (21) 에, 타방은 선미 선체 (3) 의 스케그 (9) 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좌현 상방 브래킷 핀 (76) 은, 좌현 프로펠러 축관 (21) 의 도중 위치로부터 소정의 길이 (예시 : 스케그 (9) 의 선미측 선단의 근방까지) 를 갖고 있다. 또, 좌현 측방 브래킷 핀 (77) 은 선체 중심선 (C) (선미 선체 (3) 의 스케그 (9)) 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고, 일방은 좌현 프로펠러 축관 (21) 에, 타방은 선미 선체 (3) 의 스케그 (9) 의 하방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좌현 측방 브래킷 핀 (77) 은, 좌현 프로펠러 축관 (21) 이 선미 선체 (3) 로부터 돌출되는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예시 : 스케그 (9) 의 선미측 선단의 근방까지) 만큼 신장되어 있다. 좌현 프로펠러 축관 (21) 은, 좌현 상방 브래킷 핀 (76) 및 좌현 측방 브래킷 핀 (77)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의 선미 구조 및 그것을 사용한 선박에 있어서, 이 경우에도, 도 4a 나 도 4b 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선미 구조체 (6) 의 각 브래킷 핀의 장착 각도를, 선미 선체 (3) 주위의 유선 방향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에도, 도 4a 나 도 4b 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펠러의 배치에 OLP 나 인터록 프로펠러를 채용할 수도 있고, 그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소형 모터로 프로펠러를 구동하는 POD 형으로 불리는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또한 많은 복수의 평면 또는 곡면을 사용하여 프로펠러 축관을 내포하는 선미 구조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3 장 이상의 브래킷 핀을 사용하여 프로펠러 축관을 지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또한 이들을 조합할 수도 있다. 또, 각 실시형태의 기술은 서로 기술적 모순의 발생되지 않는 한, 서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몇 가지 실시형태와 아울러 상기 서술되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단순히 제공된 것임은 당업자에게 있어 분명하고, 의의를 한정하도록 첨부의 클레임을 해석하기 위해서 의지해서는 안 된다.
이 출원은, 2009년 11월 5일에 출원된 특허출원 번호 2009-254297호의 일본 특허출원에 기초하고 있고, 그 출원에 의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여, 그 출원의 개시는 인용함으로써, 전부 그대로 여기에 편입되어 있다.

Claims (8)

  1. 복수의 프로펠러와,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에 접속되는 복수의 프로펠러 축과,
    선미 선체의 후방에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 축 중 상기 선미 선체로부터 후방으로 신장된 부분을 내포하는 선미 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선미 구조체의 내측은 선체의 내부이고,
    상기 선미 구조체는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 축을 상기 선체의 내부에서 지지하고, 선미 구조체에 의해 프로펠러 축관과 선미 선체 사이를 덮음으로써 프로펠러 축관을 선체 내부에 배치하는 선박의 선미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미 구조체는,
    상기 선미 선체로부터 후방으로 신장하고, 상기 선체 중심선에 대해 외측으로 넓어져, 상기 프로펠러 축의 상방을 덮도록 형성된 상면부와,
    상기 선미 선체로부터 후방으로 신장하고, 상기 선체 중심선에 대해 외측으로 넓어져, 상기 프로펠러 축의 하방을 덮도록 형성된 하면부와,
    상기 선미 선체로부터 후방으로 신장하고,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를 결합하여, 상기 프로펠러 축의 측방을 덮도록 형성된 측면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선미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상기 선미 선체와 상기 측면부를 상측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매끄럽게 결합하는 곡면을 구성하는 제 1 곡면부이고,
    상기 하면부는, 상기 선미 선체와 상기 측면부를 하측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매끄럽게 결합하는 곡면을 구성하는 제 2 곡면부인 선박의 선미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상기 선미 선체와 상기 측면부를 상측으로부터 연속적으로 결합하는 평면을 구성하는 제 1 평면부이고,
    상기 하면부는, 상기 선미 선체와 상기 측면부를 하측으로부터 연속적으로 결합하는 평면을 구성하는 제 2 평면부인 선박의 선미 구조.
  5. 복수의 프로펠러와,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에 접속되는 복수의 프로펠러 축이 삽입 통과된 복수의 프로펠러 축관과,
    선미 선체의 후방에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 축관 중 상기 선미 선체로부터 후방으로 신장된 부분을 지지하는 선미 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선미 구조체는,
    상기 선미 선체로부터 후방으로 신장하고, 선체 중심선에 대해 외측으로 넓어져,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 축관의 측방에 결합하여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 축관을 지지하는 측방 핀과,
    상기 선미 선체의 후방에 떨어져 형성되고, 상기 선미 선체의 바닥부로부터 하방으로 신장하고,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 축관의 상방에 결합하여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 축관을 지지하는 상방 핀을 구비하고,
    상기 측방 핀 및 상기 상방 핀은, 선체 주위의 유선 방향과 일치하도록 상기 선미 선체와 결합되는 선박의 선미 구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미 선체는, 1 축선형의 선미 구조를 갖는 선박의 선미 구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미 선체는, 1 축선형의 선미 구조를 갖는 선박의 선미 구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선박의 선미 구조를 갖는 선박.
KR1020117027787A 2009-11-05 2010-02-18 선박의 선미 구조 KR1013303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54297A JP2011098639A (ja) 2009-11-05 2009-11-05 船舶の船尾構造
JPJP-P-2009-254297 2009-11-05
PCT/JP2010/052461 WO2011055558A1 (ja) 2009-11-05 2010-02-18 船舶の船尾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051A KR20120011051A (ko) 2012-02-06
KR101330372B1 true KR101330372B1 (ko) 2013-11-15

Family

ID=43969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7787A KR101330372B1 (ko) 2009-11-05 2010-02-18 선박의 선미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99705B2 (ko)
EP (2) EP2497710B1 (ko)
JP (1) JP2011098639A (ko)
KR (1) KR101330372B1 (ko)
CN (1) CN102438891B (ko)
WO (1) WO20110555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92947B (zh) * 2013-03-29 2016-08-24 中船重工(武汉)船舶与海洋工程装备设计有限公司 一种三尾三桨单体高速船型
KR102130721B1 (ko) * 2013-09-26 2020-08-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비틀림 스트럿 및 그 비틀림 스트럿의 설치구조
CN104149965A (zh) * 2014-08-19 2014-11-19 刘书雄 一种用于小型船舶的动力装置
JP6226241B2 (ja) * 2014-11-18 2017-11-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シャフトブラケットを有する近接二軸船の推進装置、船舶
CN105584586A (zh) * 2016-03-08 2016-05-18 上海船舶研究设计院 一种小型lng运输船双全回转拉式桨推进的尾部结构
JP6246960B1 (ja) * 2017-01-25 2017-12-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推進装置及び船舶
JP7326172B2 (ja) 2020-01-17 2023-08-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3630A (en) * 1975-04-04 1982-12-14 Vigano Giovanni B T Di Ship's hull with a helical channel ahead of each propeller and method of establishing the shape of the same
KR920018048U (ko) * 1991-03-11 1992-10-17 가와사끼 쥬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선박의 추진장치
JPH08150983A (ja) * 1994-11-29 1996-06-1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船舶の抵抗低減装置
US7798875B1 (en) * 2006-10-20 2010-09-21 Brunswick Corporation Helical marine stru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0299A (ko) * 1915-04-20 Fiat San Giorgio Societa Anoni
GB109089A (en) * 1916-08-29 1917-08-29 Henry De Morgan Snell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Propulsion of Ships and similar Vessels.
US2331073A (en) * 1942-07-10 1943-10-05 Albert H Harvey Propulsion apparatus
GB578785A (en) * 1944-04-08 1946-07-11 Thomas Charles Tobin Improvements relating to ships' propeller shaft bossings
GB703777A (en) * 1951-05-10 1954-02-10 Pleuger K G Improvements in driving mechanism for ships and the like
US3236570A (en) * 1962-12-26 1966-02-22 Satterthwaite James Glenn Demountable stern housing for marine bearing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NO132307C (ko) * 1969-04-21 1975-10-22 Uljanik Brodogradiliste I Tvor
JPS4724877Y1 (ko) * 1969-08-15 1972-08-04
JPS501077B1 (ko) * 1970-12-12 1975-01-14
JPS533749B2 (ko) 1973-05-08 1978-02-09
JPH0724877Y2 (ja) * 1988-08-20 1995-06-05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スピーカの構造
JPH03132497A (ja) * 1989-10-16 1991-06-05 Yamanaka Zosen Kk 船舶の推進機構
WO2006095774A1 (ja) 2005-03-11 2006-09-14 Kabushiki Kaisha Kawasaki Zosen 船舶の船尾構造
JP2009254297A (ja) 2008-04-17 2009-11-05 Cosmo Seiki Inc 釣りエサ用容器
EP3075647B1 (en) * 2015-03-30 2017-09-13 B. Financial S.r.L. Walkable structure of docking in boa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3630A (en) * 1975-04-04 1982-12-14 Vigano Giovanni B T Di Ship's hull with a helical channel ahead of each propeller and method of establishing the shape of the same
KR920018048U (ko) * 1991-03-11 1992-10-17 가와사끼 쥬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선박의 추진장치
JPH08150983A (ja) * 1994-11-29 1996-06-1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船舶の抵抗低減装置
US7798875B1 (en) * 2006-10-20 2010-09-21 Brunswick Corporation Helical marine str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97710B1 (en) 2019-09-04
EP2497710A4 (en) 2014-06-11
EP2821334A2 (en) 2015-01-07
CN102438891B (zh) 2015-05-20
EP2821334B1 (en) 2018-09-05
CN102438891A (zh) 2012-05-02
EP2497710A1 (en) 2012-09-12
WO2011055558A1 (ja) 2011-05-12
KR20120011051A (ko) 2012-02-06
US8499705B2 (en) 2013-08-06
US20120042819A1 (en) 2012-02-23
EP2821334A3 (en) 2015-02-25
JP2011098639A (ja)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0372B1 (ko) 선박의 선미 구조
JP5412259B2 (ja)
KR20210062729A (ko) 선미용 덕트, 선미용 부가물, 선미용 덕트의 설계 방법, 및 선미용 덕트를 장착한 선박
KR101493561B1 (ko) 선박의 추진장치
KR20200078669A (ko) 선미 핀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
WO2013094534A1 (ja) 鋼船又は軽合金船
JP4909380B2 (ja) 船舶
JP5734918B2 (ja) ラダーバルブ付き舵の製造方法
KR20140121897A (ko) 추진 장치와 그것을 사용하는 선박
JP4689384B2 (ja) 2軸船
EP2647565A1 (en) Ship
JP2019156309A (ja) 船尾フィン及び船舶
JP2020164037A (ja) 船舶
KR101402534B1 (ko) 선박용 추진 장치
KR101763956B1 (ko) 선박용 러더
KR20180083465A (ko) 선박에 마련되는 제어핀 및 선박
JP7107668B2 (ja)
JP2012116401A (ja) 船舶
JP2011098704A (ja) 推進機関及びそれを用いた船舶
JP2011098702A (ja) 推進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船舶
JP6203349B1 (ja) 船舶用舵
JP5264093B2 (ja) 船舶用舵、船舶用舵のラダーホーン及び船舶
JP2011098696A (ja) 推進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船舶
JPH03132497A (ja) 船舶の推進機構
JP2011093503A (ja) 二軸船の推進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