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145B1 - 형광 표시관과,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형광 표시관과,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2145B1
KR101312145B1 KR1020120032477A KR20120032477A KR101312145B1 KR 101312145 B1 KR101312145 B1 KR 101312145B1 KR 1020120032477 A KR1020120032477 A KR 1020120032477A KR 20120032477 A KR20120032477 A KR 20120032477A KR 101312145 B1 KR101312145 B1 KR 101312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ode
grid electrode
grid
segment
anode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2190A (ko
Inventor
다다요시 우메츠
도시히로 니시오카
다카시 무구루마
가츠미 다카야마
Original Assignee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2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12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 H01J31/123Flat display tubes
    • H01J31/125Flat display tubes provided with control means permitting the electron beam to reach selected parts of the screen, e.g. digital selection
    • H01J31/127Flat display tubes provided with control means permitting the electron beam to reach selected parts of the screen, e.g. digital selection using large area or array sources, i.e. essentially a source for each pixel grou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12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 H01J31/15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with ray or beam selectively directed to luminescent anode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양호한 표시 품질을 얻을 수 있는 형광 표시관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8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에 있어서, 제 1 그리드 전극 G1과 제 2 그리드 전극 G2를 온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8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애노드 세그먼트C, D, E, F로 형성되는 선택 픽셀과, 애노드 세그먼트B, C, D, E로 형성되는 선택 픽셀과, 애노드 세그먼트D, E, F, G로 형성되는 선택 픽셀 중의 하나의 선택 픽셀을 표시 신호에 따라 발광시킨다.

Description

형광 표시관과,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 {FLUORESCENT DISPLAY, AND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형광 표시관,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 및 형광 표시관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형광 표시관에 관한 기술로서, 다중 매트릭스 구동 방식에 적합한 형광 표시관(VFD) 및, 이러한 형광 표시관을 구동하는 다중 매트릭스 구동 방식, 더 나아가서는 형광 표시관의 내부에 구동 회로를 내장하는 드라이버 내장 형광 표시관(CIGVFD)이 배경기술로서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1). 배경기술의 다중 매트릭스 구동 방식에서는 싱글 매트릭스 방식에 비해 듀티 팩터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표시 품위(표시의 품질)가 싱글 매트릭스 방식에 비해 더욱 양호한 표시를 얻을 수 있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0-306532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3-228334
[비특허문헌]
[비특허문헌 1] 기시노 다카오(岸野 隆焚雄) 편저 「형광 표시관」산업도서주식회사, 평성2년(1990년) 10월31일, p.170-183 및 p. 226-248
배경기술에 나타내는 다중 매트릭스 구동 방식의 기술에 의하면, 싱글 매트릭스 방식에 비해 표시 품질이 양호한 표시를 얻을 수 있지만, 더욱 양호한 표시 품위에 대한 요망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여, 종래에 비해 더욱 양호한 표시 품위를 얻을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형광 표시관은 2의 K(정수)승으로 나타나는 8이상의 정의 정수 M마다 구분되고, 그 구분 중의 배열의 위치가 동일 위치에 있는 애노드 세그먼트를 열 방향으로 연결해서 M개의 애노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상기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직교하는 행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리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그리드 전극을 갖고, 복수개의 상기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복수개의 상기 그리드 전극의 열을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하여, 각각의 그리드 전극과 각각의 애노드 세그먼트행 중의 M/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대향시켜 형성되는 M중(重)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 1 그리드 전극과 제 2 그리드 전극을 온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M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선택 픽셀과,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갖도록, J의 값을 1부터 2(K-3)까지 변화시켜 선택되어 형성되는 1 또는 복수의 선택 픽셀과,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갖도록, J(정수)의 값을 1부터 2(K-3)까지 변화시켜 선택되어 형성되는 1 또는 복수의 선택 픽셀 중의 하나의 선택 픽셀을 표시 신호에 따라 발광시키는 구동 회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는 2의 K(정수)승으로 나타나는 8이상의 정의 정수M마다 구분되고, 그 구분 중의 배열의 위치가 동일 위치에 있는 애노드 세그먼트를 열 방향으로 연결해서 M개의 애노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상기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직교하는 행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리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그리드 전극을 갖고, 복수개의 상기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복수개의 상기 그리드 전극의 열을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하여, 각각의 그리드 전극과 각각의 애노드 세그먼트행 중의 M/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대향시켜 형성되는 M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을 구동하는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 1 그리드 전극과 제 2 그리드 전극을 온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M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선택 픽셀과,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갖도록, J의 값을 1부터 2(K-3)까지 변화시켜 선택되어 형성되는 1 또는 복수의 선택 픽셀과,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갖도록, J(정수)의 값을 1부터 2(K-3)까지 변화시켜 선택되어 형성되는 1 또는 복수의 선택 픽셀 중의 하나의 선택 픽셀을 표시 신호에 따라 발광시킨다.
본 발명의 형광 표시관의 구동 방법은 2의 K(정수)승으로 나타나는 8이상의 정의 정수 M마다 구분되고, 그 구분 중의 배열의 위치가 동일 위치에 있는 애노드 세그먼트를 열 방향으로 연결해서 M개의 애노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상기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직교하는 행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리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그리드 전극을 갖고, 복수개의 상기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복수개의 상기 그리드 전극의 열을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하여, 각각의 그리드 전극과 각각의 애노드 세그먼트행 중의 M/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대향시켜 형성되는 M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을 구동하는 형광 표시관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 1 그리드 전극과 제 2 그리드 전극을 온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M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선택 픽셀과,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갖도록, J의 값을 1부터 2(K-3)까지 변화시켜 선택되어 형성되는 1 또는 복수의 선택 픽셀과,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갖도록, J(정수)의 값을 1부터 2(K-3)까지 변화시켜 선택되어 형성되는 1 또는 복수의 선택 픽셀 중의 하나의 선택 픽셀을 표시 신호에 따라 발광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형광 표시관은 8이상의 짝수의 정의 정수 Q마다 구분되고, 그 구분 중의 배열의 위치가 동일 위치에 있는 애노드 세그먼트를 열 방향으로 연결해서 Q개의 애노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상기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직교하는 행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리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그리드 전극을 갖고, 복수개의 상기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복수개의 상기 그리드 전극의 열을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하여, 각각의 그리드 전극과 각각의 애노드 세그먼트행 중의 Q/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대향시켜 형성되는 Q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 1 그리드 전극과 제 2 그리드 전극을 온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Q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1개 내지 (Q/2-1)개의 범위 중의 어느 하나의 개수인 R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Q/2-R)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합계 Q/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선택 픽셀 중의 하나의 선택 픽셀을 표시 신호에 따라 발광시키는 구동 회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는 8이상의 짝수의 정의 정수 Q마다 구분되고, 그 구분 중의 배열의 위치가 동일 위치에 있는 애노드 세그먼트를 열 방향으로 연결해서 Q개의 애노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상기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직교하는 행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리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그리드 전극을 갖고, 복수개의 상기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복수개의 상기 그리드 전극의 열을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하여, 각각의 그리드 전극과 각각의 애노드 세그먼트행 중의 Q/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대향시켜 형성되는 Q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 1 그리드 전극과 제 2 그리드 전극을 온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Q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1개 내지 (Q/2-1)개의 범위 중의 어느 하나의 개수인 R(정수)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Q/2-R)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합계 Q/2개의 애노드 세그컨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선택 픽셀 중의 하나의 선택 픽셀을 표시 신호에 따라 발광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형광 표시관의 구동 방법은 8이상의 짝수의 정의 정수 Q마다 구분되고, 그 구분 중의 배열의 위치가 동일 위치에 있는 애노드 세그먼트를 열 방향으로 연결해서 Q개의 애노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상기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직교하는 행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리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그리드 전극을 갖고, 복수개의 상기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복수개의 상기 그리드 전극의 열을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해서, 각각의 그리드 전극과 각각의 애노드 세그먼트행 중의 Q/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대향시켜 형성되는 Q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을 구동하는 형광 표시관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 1 그리드 전극과 제 2 그리드 전극을 온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Q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1개 내지 (Q/2-1)개의 범위 중의 어느 하나의 개수인 R(정수)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Q/2-R)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합계 Q/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선택 픽셀 중의 하나의 선택 픽셀을 표시 신호에 따라 발광시킨다.
본 발명의 형광 표시관에 따르면, 2개의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복수의 선택 픽셀 중에서 1개의 선택 픽셀을 순차 선택하여, 표시 신호에 따라 발광시키므로, 선택 픽셀의 양단에 발생하는 암선(暗線) 불균일의 발생을 저감하여, 표시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의 8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VFD)의 표시면측에서 본 전극 구조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애노드 세그먼트로부터의 인출선의 부분을 나타내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의 8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의 표시면과 직교하는 단면측에서 본 전극 구조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형광 표시관의 표시의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애노드 세그먼트의 휘도의 차(표시 불균일 또는 암선 불균일)가 발생하는 부분인 표시 불균일 발생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표시 불균일이 발생하는 원인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형태의 구동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형태의 구동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형태의 형광 표시관을 구동하는 실시형태의 구동 회로의 블럭도이다.
도 10은 제 1 프레임에 있어서의 타이밍도이다.
도 11은 제 2 프레임에 있어서의 타이밍도이다.
도 12는 제 3 프레임에 있어서의 타이밍도이다.
도 13은 16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에 있어서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형광 표시관의 내부에 구동 회로를 내장하는 드라이버 내장 형광 표시관(CIGVFD)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15는 12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에 있어서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의 실시 형태의 설명은 2의 K(정수)승으로 나타나는 8이상의 정의 정수 M마다 구분되고, 그 구분 중의 배열의 위치가 동일 위치에 있는 애노드 세그먼트를 횡 방향으로 연결해서 M개의 애노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직교하는 횡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리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그리드 전극을 갖고, 복수개의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복수개의 그리드 전극의 열을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하여, 각각의 그리드 전극과 각각의 애노드 세그먼트행 중의 M/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대향시켜 형성되는 M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에 대해, 형광 표시관,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 및 형광 표시관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접하는 제 1 그리드 전극과 제 2 그리드 전극을 온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M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선택 픽셀과,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갖도록, J(정수)의 값을 1부터 2(K-3)까지 변화시켜 선택되어 형성되는 1 또는 복수의 선택 픽셀과,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갖도록, J의 값을 1부터 2(K-3)까지 변화시켜 선택되어 형성되는 1 또는 복수의 선택 픽셀 중의 하나의 선택 픽셀을 표시 신호에 따라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형태의 8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 그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 및 그 형광 표시관의 구동 방법에 대해 이하의 도 1∼도 12, 도 14를 참조해서 설명을 한다.
도 1은 실시형태의 8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VFD)의 표시면측에서 본 전극 구조의 개념도이다. 도 1의 지면에서 횡 방향으로 배열된 열을 열로 하고, 도 1의 지면에서 종 방향으로 배열한 열을 행으로 한다. 그리드 전극 G1은 1행째의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2행째의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 m-1행째의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m행째의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와 대향하도록, 도 1의 지면의 종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드 전극 G2는 1행째의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 2행째의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 ... m-1행째의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 m행째의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와 대향하도록, 도 1의 지면의 종 방향으로 연장해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해서, 그리드 전극 G3(도 1에는 도시하지 않음) ... 그리드 전극 Gn -1, 그리드 전극 Gn의 각각이, 도 1의 지면의 종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드 전극 G1∼그리드 전극 Gn의 각각이, 연장하는 방향을 종 방향으로 하고, 그리드 전극 G1∼그리드 전극 Gn의 각각이 연장하는 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횡 방향으로 한다. 종 방향으로 연장하는 각각의 그리드 전극은 횡 방향으로 그리드 전극 G1, 그리드 전극 G2, ... 그리드 전극 Gn -1, 그리드 전극 Gn으로 차례로 배열되어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m행의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n열의 그리드 전극의 열을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하여, 각 행에 대해 각각의 그리드 전극과 각각의 애노드 세그먼트행 중의 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대향시켜 형성된다. 또, 하나의 애노드 세그먼트행은 4×n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갖고 형성되어 있다. 그리드 전극 G1에 그리드 인출선 DG1이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그리드 전극 G2에 그리드 인출선 DG2가 접속되어 있고, ... 그리드 전극 Gn -1에 그리드 인출선 DGn -1이 접속되어 있고, 그리드 전극 Gn에 그리드 인출선 DGn이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n개의 그리드 전극의 각각으로부터 n개의 그리드 전극 인출선이 인출되어 있다.
복수 열의 그리드 전극의 각각에 대향하여, 애노드 세그먼트A(도 1의 사각내에 A를 붙인 애노드 세그먼트)∼애노드 세그먼트H(도 1의 사각내에 H를 붙인 애노드 세그먼트)의 8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횡 방향으로 반복해서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드 전극의 각각에 대향해서 배치된, 동일 행에 위치하는 동일 부호를 갖는 애노드 세그먼트는 서로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면, 그리드 전극 G1에 대향하는 1행째의 애노드 세그먼트A, 그리드 전극 G3에 대향하는 1행째의 애노드 세그먼트A(도 1에는 도시하지 않음), ... 그리드 전극 Gn -1에 대향하는 1행째의 애노드 세그먼트A는 서로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해서, 애노드 세그먼트B∼애노드 세그먼트H에 대해서도 동일 부호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서로 접속되어 있다. 즉, 애노드 세그먼트는 도 1의 지면의 횡 방향으로 8개마다 구분되고, 그 구분 중의 배열의 위치가 동일 위치에 있는 애노드 세그먼트를 연결해서 8개의 애노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애노드 세그먼트행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1행째부터 m행째의 각 행에 대해, 서로 접속된 복수개의 애노드 세그먼트A와, 서로 접속된 복수개의 애노드 세그먼트B와, 서로 접속된 복수개의 애노드 세그먼트C와, 서로 접속된 복수개의 애노드 세그먼트D와, 서로 접속된 복수개의 애노드 세그먼트E와, 서로 접속된 복수개의 애노드 세그먼트F와, 서로 접속된 복수개의 애노드 세그먼트G와, 서로 접속된 복수개의 애노드 세그먼트H를 갖는 형광 표시관은 8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으로 칭해진다. 일반적으로는 일렬로 배치된 애노드 세그먼트를 M(정수)마다 구분하여, 그 구분 중의 배열의 위치가 동일 위치에 있는 애노드 세그먼트를 연결해서 구동하는 형광 표시관을 M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으로 칭한다.
도 2는 애노드 세그먼트로부터의 인출선의 부분을 나타내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애노드 인출선 DA1은 1행째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인출선이다. 애노드 인출선 DA2는 2행째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인출선이다. 애노드 인출선 DAm은 m행째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인출선이다. 애노드 인출선 DA1은 1행째의(1행째에 배열됨) 애노드 세그먼트A로부터의 애노드 인출선 DA1A, 1행째의 애노드 세그먼트B로부터의 애노드 인출선 DA1B, 1행째의 애노드 세그먼트C로부터의 애노드 인출선 DA1C, 1행째의 애노드 세그먼트D로부터의 애노드 인출선 DA1D, 1행째의 애노드 세그먼트E로부터의 애노드 인출선 DA1E, 1행째의 애노드 세그먼트F로부터의 애노드 인출선 DA1F, 1행째의 애노드 세그먼트G로부터의 애노드 인출선 DA1G, 1행째의 애노드 세그먼트H로부터의 애노드 인출선 DA1H를 갖고 있다. 마찬가지로, 애노드 인출선 DA2는 2행째의(2행째에 배열됨) 애노드 세그먼트로부터의 애노드 인출선 DA2A∼애노드 인출선 DA2H를 갖고, 애노드 인출선 DAm은 m행째의(m행째에 배열됨) 애노드 세그먼트로부터의 애노드 인출선 DAmA∼애노드 인출선 DAmH를 갖고 있다. 1행째부터 m행째까지의 모든 애노드 세그먼트에 대해 이와 같이 접속하여, 8×m개의 애노드 인출선이 인출되어 있다.
도 3은 8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의 표시면과 직교하는 단면측에서 본 전극 구조의 개념도이다. 도 3으로부터 애노드 세그먼트A∼애노드 세그먼트H와 그리드 전극과 캐소드의 배치 관계를 알 수 있다. 그리드 전극은 금속 메시형상의 형태를 하고 있고, 캐소드에서 발생한 전자가 그리드 전극을 투과할지의 여부를 제어한다. 정의 전압을 그리드 전극에 인가해서 전자가 그리드를 투과하도록 하기 위해 그리드 인출선에 정의 전압을 부여하는 경우를 온(ON)으로 하고, 정의 전압을 그리드 전극에 인가하지 않아서 전자가 그리드 전극을 투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그리드 인출선에 정의 전압을 부여하지 않는 경우를 오프(OFF)로 칭한다.
애노드 세그먼트A∼애노드 세그먼트H에는 형광체가 도포되어 있고, 전자의 충돌에 의해서 발광을 한다. 여기서, 전자를 투과시키기에 충분한 캐소드에 대한 정의 전압이 그리드 전극에 인가되어 있는 경우이고, 또한, 이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애노드 세그먼트에 전자를 가속시키기에 충분한 캐소드에 대한 정의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경우에만, 해당하는 애노드 세그먼트는 발광한다. 즉, 형광 표시관의 표시면에서 보아, 도 1의 지면의 횡 방향으로 연장해서 형성되는 그리드 전극 중에서 정의 전압이 인가된(ON으로 된)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애노드 세그먼트는 발광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발광 가능하게 되는 8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실제로 발광하는 애노드 세그먼트는 정의 전압이 인가된 애노드 세그먼트뿐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형광 표시관의 표시의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형광 표시관의 표시시에는 인접하는 2개의 그리드 전극을 동시에 선택하여, 이 2개의 그리드 전극에 정의 전압을 인가한다. 예를 들면, 도 4(a)는 그리드 전극 G1과 그리드 전극 G2에 전자를 투과할 수 있는 바와 같은 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4(b)는 그리드 전극 G2와 그리드 전극 G3에 전자를 투과할 수 있는 바와 같은 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4(c)는 그리드 전극 G3과 그리드 전극 G4에 전자를 투과할 수 있는 바와 같은 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본의 발광의 형태는 인접하는 2개의 그리드 전극에 정의 전압을 인가하고 이 2개의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8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도, 인접하는 다른 그리드 전극에 가장 접근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는 2개의 그리드 전극의 각각에 대향하는 2×2개(합계 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부분, 즉 애노드 세그먼트와 캐소드의 공간의 전계 강도가 가장 균일하게 되는 부분만을 발광시키도록 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 구체적인 예를 들어 발광의 형태를 설명한다. 예를 들면, 발광부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일예로 설명을 한다. 발광부의 이동이 보여지기 위해서 발광부의 이동 속도는 후술하는 1프레임의 주사 속도에 비해 느린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드 전극 G1과 그리드 전극 G2에 정의 전압을 인가하고,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의 각각에 접속된 애노드 인출선에 대해 해당 애노드 세그먼트가 발광하는 바와 같은 정의 전압을 인가한다(도 4(a) 참조). 그리드 전극 G2와 그리드 전극 G3에 정의 전압을 인가하고,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의 각각에 접속된 애노드 인출선에 대해 해당 애노드 세그먼트가 발광하는 바와 같은 정의 전압을 인가한다(도 4(b) 참조). 그리드 전극 G3과 그리드 전극 G4에 정의 전압을 인가하고,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의 각각에 접속된 애노드 인출선에 대해 해당 애노드 세그먼트가 발광하는 바와 같은 정의 전압을 인가한다(도 4(c) 참조). 이 결과로서, 도 4에 있어서, 빗금을 실시한 애노드 세그먼트가, 도 4(a), 도 4(b),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순차 발광하고, 발광하는 부분이 이동하도록 육안으로 관찰된다. 하지만 그리드 전극의 주사의 속도는 빨라서, 도 4(a), 도 4(b), 도 4(c)로부터 횡 방향의 발광부의 이동은 육안으로 관찰하기는 어렵다. 도 4(a), 도 4(b), 도 4(c)는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프레임에 있어서의 표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정의 전압을 애노드 세그먼트에 부여하는 것을 온(ON)으로 하고, 정의 전압을 애노드 세그먼트에 부여하지 않는 것을 오프(OFF)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리드 전극의 제어에 있어서는 열 방향에 순차 인접하는 2개의 그리드 전극이 ON으로 되도록 선택되고, 예를 들면, 좌단에 위치하는 그리드 전극 G1 및 그리드 전극 G2가 선택되고, 선택되는 전극의 위치가 순차 우측으로 이동하고, 마지막에는 그리드 전극 Gn-1 및 그리드 전극 Gn이 선택된다. 이 일련의 처리를 1프레임의 처리라 한다. 또, 상술한 예에서는 표시가 이동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을 했지만, 이동하지 않는 표시를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2개의 그리드 전극을 순차 선택하는 1프레임의 처리는 애노드 세그먼트를 어떻게 처리할지에는 관계없이 항상 실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그리드 전극을 ON으로 해서, 그 그리드에 대향하는 애노드 세그먼트 중의 연속된 특정한 애노드 세그먼트만을 발광시킨다. 일제히 발광하는 이 연속된 영역을 픽셀이라 한다. 즉, 애노드 세그먼트의 발광은 픽셀을 단위로 해서 실행된다. 그리고, 2개의 그리드 전극에 대응하는 픽셀의 종류가 복수 개 있는 경우에 그 복수 개의 종류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픽셀을 선택 픽셀이라 한다.
실시형태의 8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에서는 8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선택된 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이 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접한 위치에 있음)가 한 개의 픽셀을 형성하고, 어느 위치에 있는 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선택할지에 따라 픽셀이 다르다. 이 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위치의 조합이 다른 픽셀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픽셀이 상술한 선택 픽셀이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겠지만, 실시형태의 다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에서는 표시 신호(도 9 참조)에 따라 선택 픽셀을 특정하는 동시에, 표시 신호가 지정하는 표시 내용에 따라 선택 픽셀의 ON과 OFF를 제어하고, 표시 신호에 포함되는 동기 신호에 따라 순차 2개의 그리드 전극을 ON으로 해서 한 프레임의 표시를 실행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8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의 픽셀에 대해 설명을 한다. 2개의 인접하는 그리드 전극을 동시에 ON으로 해서, 대향하는 8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연속된 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로 한 개의 픽셀을 구성하는 경우의 픽셀로서는 이하의 8종류의 조합이 존재한다.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로 이루어지는 픽셀. 「애노드 세그먼트B,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로 이루어지는 픽셀.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로 이루어지는 픽셀.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G」로 이루어지는 픽셀.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로 이루어지는 픽셀. 「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A」로 이루어지는 픽셀.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로 이루어지는 픽셀.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 애노드 세그먼트C」로 이루어지는 픽셀. 또한, 적어도 1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각각의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도록 한 연속된 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로 1픽셀을 구성하는 경우의 픽셀로서는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및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로 이루어지는 픽셀이 제외되고 6종류의 조합이 존재한다.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8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의 선택 픽셀의 일예에 대해 설명을 한다. 도 4(a)에서는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가 선택 픽셀을 구성하고 있다. 도 4(b)에서는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가 선택 픽셀을 구성하고 있다. 도 4(C)에서는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가 선택 픽셀을 구성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동시에 정의 전압을 가하여 ON으로 한 인접하는 2개의 그리드 전극 중 하나에 대향하는 각각의 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다른 하나의 그리드 전극에 의해 가까운 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선택 픽셀로서 선택하고, 이 선택 픽셀을 발광시키는 것에 의해서, 표시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애노드 세그먼트의 제어시에는 그리드 전극의 선택과 동기해서 행마다 그 행에 속하는 모든 애노드 세그먼트에 대해 동시에 제어가 실행된다. 애노드 세그먼트를 발광시킬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각 행의 애노드 인출선을 ON으로 할지 OFF로 할지에 따라 제어된다. 즉, ON으로 된 애노드 인출선에 접속되는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 픽셀을 구성하고, OFF로 된 애노드 인출선에 접속되는 애노드 세그먼트는 선택 픽셀을 구성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 픽셀의 제어는 행단위로 실행된다. 이러한 제어를 하기 위한 구동 회로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4에 나타내는 구성을 참조하여, 선택 픽셀을 구성하는 애노드 세그먼트를 어떻게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을 한다. 우선, 선택 픽셀에 포함되는 각 애노드 세그먼트간에 있어서의 휘도의 차에 대해 설명을 한다. 예를 들면, 그리드 전극 G1과 그리드 전극 G2를 ON으로 하고, 그리드 전극 G3을 OFF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선택 픽셀에 애노드 세그먼트G와 애노드 세그먼트F를 포함시켜 발광시킨 경우(도 4에는 이 발광 상태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음)의 애노드 세그먼트G의 휘도는 애노드 세그먼트F의 휘도보다 낮아진다. 또한, 그리드 전극 G1과 그리드 전극 G2를 ON으로 하고, 그리드 전극 G3을 OFF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애노드 세그먼트H와 애노드 세그먼트G를 선택 픽셀에 포함시켜 발광시킨 경우(도 4에는 이 발광 상태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음)의 애노드 세그먼트H의 휘도는 애노드 세그먼트G의 휘도보다 낮아진다. 이러한 휘도의 차가 생기는 이유는 OFF로 된 그리드 전극 G3의 영향이, 그리드 전극 G3에 가까울수록,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F의 순으로 더욱 강하게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그리드 전극 G1과 그리드 전극 G2를 ON으로 하고, 그리드 전극 G3을 OFF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를 선택 픽셀로서 발광시킨 경우(도 4(a) 참조), 애노드 세그먼트F의 휘도는 애노드 세그먼트E의 휘도보다 낮아질 뿐만 아니라, 애노드 세그먼트F의 내부에 있어서도 휘도의 차가 생기는 것을 본원 원서에 기재된 발명자들은 관측하였다. 마찬가지로, 애노드 세그먼트C의 휘도는 애노드 세그먼트D의 휘도보다 낮아질 뿐만 아니라, 애노드 세그먼트C의 내부에 있어서 휘도의 차가 생기는 것도 마찬가지로 관측하였다.
도 5는 애노드 세그먼트C의 내부에 있어서의 휘도의 차(표시 불균일 또는 암선 불균일)가 발생하는 부분, 애노드 세그먼트F의 내부에 있어서의 휘도의 차(표시 불균일 또는 암선 불균일)가 발생하는 부분인 표시 불균일 발생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표시 불균일은 선택 픽셀(도 4(a)에서는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로 구성됨)의 양단 라인에서 발생한다. 여기서, 선택 픽셀의 양단에 인접하는 애노드 세그먼트는 OFF로 되어 있다. 즉, 이러한 휘도의 차가 발생하는 이유는 선택 픽셀의 한쪽 단에 인접하는 OFF로 된 애노드 세그먼트G의 영향이 애노드 세그먼트F에 미치고, 선택 픽셀의 다른쪽 단에 인접하는 OFF로 된 애노드 세그먼트B의 영향이 애노드 세그먼트C에 미치기 때문이다.
이러한 표시 불균일이 생기는 결과로서, 종 방향으로 암선(휘도가 1단계 저하한 발광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선)이 생겨 표시 품위가 열화 된다. 이 종 방향의 암선의 길이는 표시되는 표시의 내용(화상)에 따라 다르지만, 종 방향으로 명암의 경계선이 길게 신장하는 표시에 있어서는 명암의 경계선 부근의 명(明) 부분에 바람직하지 않은 세로 라인형상의 긴 암선이 육안으로 관측되어, 표시 품위의 열화가 현저하게 진행 된다.
도 6은 표시 불균일이 생기는 원인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자는 ON으로 된 애노드 세그먼트에 의해서 가속된다. 등 전위면이 애노드 세그먼트의 배치되는 면과 평행하면 전자는 ON으로 된 애노드 세그먼트에 수직으로 충돌하고,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에 있어서의 발광 휘도는 동일 휘도로 된다. 그러나, 애노드 세그먼트B와 애노드 세그먼트G가 OFF로 되기 때문에 선택 픽셀의 양단 라인 부근에서는 등 전위면이 애노드 세그먼트의 배치되는 면과 평행하게는 되지 않는다. 선택 픽셀의 양단 라인 부근의 애노드 세그먼트C와 애노드 세그먼트F에서는 전자는 선택 픽셀의 내부 방향으로 구부려진다(도 6의 각도 α 참조). 이 현상을 전자 비네팅(vignetting)이라 한다.
전자 비네팅에 의해서 애노드 세그먼트F의 애노드 세그먼트G에 가까운 단부근에서는 전자가, OFF로 된 애노드 세그먼트G에 의해서 구부려져서, 암선 불균일이 생겨 버린다. 또한, 전자 비네팅에 의해서 애노드 세그먼트C의 애노드 세그먼트B에 가까운 단부근에서는 전자가, OFF로 된 애노드 세그먼트B에 의해서 구부려져, 암선 불균일이 생겨 버린다.
도 7, 도 8은 실시형태의 구동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서는 그리드 전극 G1이 제 1 그리드 전극, 그리드 전극 G2가 제 2 그리드 전극으로서 ON으로 되어 있다. 도 8에서는 ON으로 되는 그리드 전극의 위치가 이동하여, 그리드 전극 G2가 제 1 그리드 전극, 그리드 전극 G3이 제 2 그리드 전극으로서 ON으로 되어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마다 발광하는 선택 픽셀의 그리드 전극에 대한 상대 위치를 다르게 해서 암선 불균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7(a), 도 8(a)는 제 1 번째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표시의 형태를 나타내고, 도 7(b), 도 8(b)는 제 2 번째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표시의 형태를 나타내며, 도 7(c), 도 8(c)는 제 3 번째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표시의 형태를 나타낸다. 즉, 제 1 번째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표시의 형태∼제 3 번째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표시의 형태가 반복 표시되고, 3프레임으로 1세트로 해서 형광 표시관에 표시된다. 여기서, 1프레임은 형광 표시관의 전면에 걸치는 1표시를 말한다.
그리드 전극 G1, 그리드 전극 G2가 ON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을 한다.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번째의 프레임에 대해서는 선택 픽셀은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로 구성된다. 그리고, 선택 픽셀을 발광시키는 경우에는 이들 애노드 세그먼트에 정의 전압을 인가해서 ON으로 하고, 이들 픽셀을 발광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이들 애노드 세그먼트에 정의 전압을 인가하지 않도록 해서 OFF로 한다. 이 ON과 OFF의 제어는 외부로부터의 표시 신호(도 9 참조)의 내용에 따른 것이다.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번째의 프레임에 대해서는 선택 픽셀은 애노드 세그먼트B,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로 구성된다.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번째의 프레임에 대해서는 선택 픽셀은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G로 구성된다.
그리드 전극 G2, 그리드 전극 G3이 ON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을 한다.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번째의 프레임에 대해서는 선택 픽셀은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로 구성된다.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번째의 프레임에 대해서는 선택 픽셀은 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A로 구성된다.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번째의 프레임에 대해서는 선택 픽셀은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 애노드 세그먼트C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해서, 프레임마다 발광하는 애노드 세그먼트의 배치를 어긋나게 하는 것에 의해서 암선 불균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한 개의 세트(3 개의 프레임)의 시간 동안, 표시 내용은 빨리 변화하고 또한 1세트의 시간은 눈에 상이 남는 잔상 시간보다도 짧게 되므로, 각각의 프레임마다 종 방향으로 1열이 되는 암선 불균일이 생겼다고 해도, 각각의 프레임마다 암선 불균일의 위치는 다르기 때문에, 잔상에 의해서 1열이 되도록 암선 불균일이 육안으로 관측되는 일은 없다.
도 9는 상술한 실시형태의 형광 표시관을 구동하는 실시형태의 구동 회로의 블럭도이다. 구동 회로(10)는 외부 인터페이스(11), 램(RAM)(12), 카운터(13), 프레임 카운터(14), 타이밍 제너레이터(15)를 갖고 형성되어 있다. 구동 회로(10)의 파선으로 둘러싼 영역은 암선 불균일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부이다. 암선 불균일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부는 프레임 카운터(14), 타이밍 제너레이터(15)의 일부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시계열 신호인 외부로부터의 표시 신호는 외부 인터페이스(11)를 거쳐 램(12)에 입력된다. 램(12)은 외부로부터의 표시 신호에 의거하여 형광 표시관에 2차원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램(12)의 각 소정 영역에 외부로부터의 표시 신호를 기억한다. 타이밍 제너레이터(15)는 마스터 클럭으로서의 클럭 신호를 분주(Frequency Division)해서 얻어지는 타이밍 제너레이터 클럭 신호를 기준 클럭 신호로 해서, 램(12)의 각 소정 영역에 기억된 외부로부터의 표시 신호를 읽어낸다. 또한, 타이밍 제너레이터(15)에 대하여는 제 1 프레임, 제 2 프레임, 제 3 프레임의 각 프레임 중의 어느 하나를 반복해서 선택하기 위한 신호가 프레임 카운터(14)로부터 출력된다. 그리고, 타이밍 제너레이터(15)는 애노드 인출선 DA1∼애노드 인출선 DAm의 각각에 대해, 합계 m개의 애노드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타이밍 제너레이터(15)는 그리드 인출선 DG1∼그리드 인출선 DGn의 각각에 대해, 합계 n개의 그리드 신호를 출력한다.
도 10∼도 12는 애노드 인출선 DA1에 출력되는 애노드 신호, 및 그리드 인출선 DG1∼그리드 인출선 DGn의 각각에 출력되는 그리드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여기서, 프레임 주기는 형광 표시관의 전면에 걸치는 1표시를 갱신하는 주기, 즉 그리드 전극을 반복해서 순차 ON으로 할 때에, 최초의 그리드 전극을 OFF에서 ON으로 하는 시각을 시기(始期)로 하고 마지막의 그리드 전극을 ON에서 OFF로 하는 시각을 종기(終期)로 해서, 시기와 종기의 사이의 시간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1세그먼트 주기는 애노드 세그먼트의 ON과 OFF를 전환하는 최소의 단위 주기를 말하는 것이다. 1세그먼트 주기는 또한, 그리드 전극의 ON과 OFF를 전환하는 최소의 단위 주기이기도 하며, 2세그먼트 주기의 동안, 각 그리드 전극은 ON으로 되어 있다.
도 10은 제 1 프레임에 있어서의 타이밍도이다. 도 11은 제 2 프레임에 있어서의 타이밍도이다. 도 12는 제 3 프레임에 있어서의 타이밍도이다. 도 10∼도 12에서는 그리드 인출선 DG4∼그리드 인출선 DGn-2에 대해서는 기재가 생략되고, 애노드 인출선 DA2∼애노드 인출선 DAm에 대해서도 기재가 생략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리드 전극 G1이 제 1 그리드 전극, 그리드 전극 G2가 제 2 그리드 전극으로서 ON으로 되도록 그리드 전극 인출선 DG1, 그리드 전극 인출선 DG2가 ON으로 되는 경우에는 제 1 프레임에 있어서는 선택 픽셀(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의 각각이 외부로부터의 표시 신호에 따라 1세그먼트 주기를 단위로 하고 동시에, ON(도 10에서는 하이 레벨)로 되고, 선택 픽셀에 해당하는 애노드 세그멘트 이외의 다른 애노드 세그먼트는 OFF로 된다. 그리드 전극 G2가 제 1 그리드 전극, 그리드 전극 G3이 제 2 그리드 전극으로서 ON으로 되도록 그리드 전극 인출선 DG2, 그리드 전극 인출선 DG3이 ON으로 되는 경우에는 제 1 프레임에 있어서는 선택 픽셀(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의 각각이 외부로부터의 표시 신호에 따라 1세그먼트 주기를 단위로 하여 동시에, ON 되고, 선택 픽셀에 해당하는 애노드 세그먼트 이외의 다른 애노드 세그먼트는 OFF로 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리드 전극 G1이 제 1 그리드 전극, 그리드 전극 G2가 제 2 그리드 전극으로서 ON으로 되도록 그리드 전극 인출선 DG1, 그리드 전극 인출선 DG2가 ON으로 되는 경우에는 제 2 프레임에 있어서는 선택 픽셀(애노드 세그먼트B,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의 각각이 외부로부터의 표시 신호에 따라 1세그먼트 주기를 단위로 하고 동시에, ON(도 11에서는 하이 레벨) 되고, 선택 픽셀에 해당하는 애노드 세그먼트 이외의 다른 애노드 세그먼트는 OFF로 된다. 그리드 전극 G2가 제 1 그리드 전극, 그리드 전극 G3이 제 2 그리드 전극으로서 ON으로 되도록 그리드 전극 인출선 DG2, 그리드 전극 인출선 DG3이 ON으로 되는 경우에는 선택 픽셀(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A)의 각각이 외부로부터의 표시 신호에 따라 1세그먼트 주기를 단위로 하여 동시에, ON 되고, 선택 픽셀에 해당하는 애노드 세그먼트 이외의 다른 애노드 세그먼트는 OFF로 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리드 전극 G1이 제 1 그리드 전극, 그리드 전극 G2가 제 2 그리드 전극으로서 ON으로 되도록 그리드 전극 인출선 DG1, 그리드 전극 인출선 DG2가 ON으로 되는 경우에는 제 3 프레임에 있어서는 선택 픽셀(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G)의 각각이 외부로부터의 표시 신호에 따라 1세그먼트 주기를 단위로 하여 동시에, ON(도 11에서는 하이 레벨) 되고, 선택 픽셀에 해당하는 애노드 세그먼트 이외의 다른 애노드 세그먼트는 OFF로 된다. 그리드 전극 G2가 제 1 그리드 전극, 그리드 전극 G3이 제 2 그리드 전극으로서 ON으로 되도록 그리드 전극 인출선 DG2, 그리드 전극 인출선 DG3이 ON으로 되는 경우에는 선택 픽셀(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 애노드 세그먼트C)의 각각이 외부로부터의 표시 신호에 따라 1세그먼트 주기를 단위로 하여 동시에, ON 되고, 선택 픽셀에 해당하는 애노드 세그먼트 이외의 다른 애노드 세그먼트는 OFF로 된다. 여기서, 그리드 전극 G1에서 그리드 전극 Gn까지 인접한 그리드 전극을 2개 동시에 온으로 해서 순차 반복하는 시간(1프레임의 시간)은 예를 들면, 20msec(밀리 초) 정도이다. 이와 같이 구동하면, 각 프레임에 있어서의 휘도를 평균한 휘도가 육안으로 관측되고, 결과적으로 암선 불균일은 눈에 띄지 않게 된다.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것 이외에 이하와 같은 조합이 1프레임의 픽셀로서 선택 가능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그리드 전극 G1(홀수열)과 그리드 전극 G3(홀수열)을 홀수열의 예로서, 그리드 전극 G2(짝수열)를 짝수열의 예로서 설명을 한다.
그리드 전극 G1(홀수열)과 그리드 전극 G2(짝수열)가 ON으로 되는 경우에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를 선택 픽셀로 하는 경우(도 10 참조)에 있어서, 그리드 전극 G2(짝수열)와 그리드 전극 G3(홀수열)이 ON으로 되는 경우에는 (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A)를 선택 픽셀로 하거나(도 11 참조), 또는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 애노드 세그먼트C)를 선택 픽셀로 할 수도(도 12 참조) 있다.
그리드 전극 G1(홀수열)과 그리드 전극 G2(짝수열)가 ON으로 되는 경우에 (애노드 세그먼트B,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를 선택 픽셀로 하는 경우(도 11 참조)에 있어서, 그리드 전극 G2(짝수열)와 그리드 전극 G3(홀수열)이 ON으로 되는 경우에는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를 선택 픽셀로 하거나(도 10 참조), 또는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 애노드 세그먼트C)를 선택 픽셀로 할 수도(도 12 참조) 있다.
그리드 전극 G1(홀수열)과 그리드 전극 G2(짝수열)이 ON으로 되는 경우에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G)를 선택 픽셀로 하는 경우(도 12 참조)에 있어서, 그리드 전극 G2(짝수열)와 그리드 전극 G3(홀수열)이 ON으로 되는 경우에는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를 선택 픽셀로 하거나(도 10 참조), 또는 (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A)를 선택 픽셀로 할 수도(도 11 참조) 있다.
더 나아가서는 각각의 프레임마다 선택 픽셀을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할 뿐만 아니라, 1프레임 중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선택 픽셀을 선택할 수도 있다. 그리드 전극 G1(홀수열)과 그리드 전극 G2(짝수열)가 ON으로 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B,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G) 중의 임의의 하나의 선택 픽셀을 선택하고, 그리드 전극 G2(짝수열)와 그리드 전극 G3(홀수열)이 ON으로 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 H,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 (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 애노드 세그먼트C) 중의 임의의 하나의 선택 픽셀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의 8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을 상술한 구동 방법으로 구동하면, 다음의 효과를 발생한다.
우선, 1세그먼트 주기로, 동시에 4개의 세그먼트를 점등하는 것에 의해서, 듀티 팩터가 싱글 매트릭스 방식의 경우의 4배로 된다. 그 결과로서 싱글 매트릭스 방식의 4배의 휘도를 얻을 수 있다. 다른 견해에서 보면, 동일한 세그먼트수를 갖는 경우에는 싱글 매트릭스 방식에 비해 동일한 휘도를 얻기 위해 필요로 되는 그리드 전극의 전압을 낮게 할 수 있다. 그리드 전극의 전압을 낮게 할 수 있는 것에 의해서, 전원 회로의 전압을 낮게 할 수 있으므로, 형광 표시관을 이용한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확대된다. 또한, 그리드 전극을 구동하는 구동 소자에, 내전압이 낮은 것을 사용할 수 있게 되고, 구동 소자, 더 나아가서는 구동 장치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에, 인접하는 2개의 그리드 전극(제 1 그리드 전극 및 제 2 그리드 전극)을 ON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X개(1개∼3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Y개(4개-X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선택 픽셀을 발광시키는(도 10 내지 12 참조) 것에 의해서, 인접하는 OFF로 된 그리드 전극의 전위가 부여하는 표시 품질의 열화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선택 픽셀로서 발광시키는 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위치를 각각의 프레임마다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선택 픽셀을 발광시키고(도 10의 제 1 프레임),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1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3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선택 픽셀을 발광시키고(도 11의 제 2 프레임의 상태), 제 1 그리드 전극측에 근접한 위치에 채워서 배치되는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3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측에 근접한 위치에 채워서 배치되는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1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합계 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선택 픽셀로서 발광시키고(도 12의 제 3 프레임의 상태), 이 3 프레임을 1세트로서 적절한 순번으로 반복하는 것에 의해서, 인접하는 OFF로 된 애노드 세그먼트의 전위가 부여하는 표시 품질의 열화, 즉 표시 불균일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이하에 기술한다.
제 1 프레임의 상태, 제 2 프레임의 상태, 제 3 프레임의 상태로 반복하는 것은 아니고, 제 1 프레임의 상태∼제 3 프레임의 상태의 3개의 상태 중의 어느 하나를 순차 선택하여, 3프레임을 1세트로서 반복하도록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제 3 프레임의 상태, 제 2 프레임의 상태, 제 1 프레임의 상태로 순차 반복하는 것에 의해서도, 인접하는 OFF로 된 애노드 세그먼트의 전위가 부여하는 표시 품질의 열화, 즉 표시 불균일을 적게 할 수 있다.
도 13은 16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에 있어서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16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에 있어서도, 상술한 8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과 마찬가지의 구동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도 13(a)는 그리드 전극 G1이 제 1 그리드 전극, 그리드 전극 G2가 제 2 그리드 전극으로서 ON으로 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 1 프레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3(b)는 제 2 프레임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13(c)는 제 3 프레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3(d)는 제 4 프레임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13(e)는 제 5 프레임의 상태를 나타낸다. 16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에 있어서는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I, 애노드 세그먼트J, 애노드 세그먼트K, 애노드 세그먼트L, 애노드 세그먼트M, 애노드 세그먼트N, 애노드 세그먼트O, 애노드 세그먼트P의 16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1구분에 갖고 있다.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G1이 제 1 그리드 전극, 그리드 전극 G2가 제 2 그리드 전극으로서 ON으로 되는 경우에, 제 1 프레임에 있어서는 선택 픽셀을 구성하는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I, 애노드 세그먼트J, 애노드 세그먼트K, 애노드 세그먼트L의 각각이 외부로부터의 표시 신호에 따라 1세그먼트 주기를 단위로 하여 동시에, ON 되고, 다른 애노드 세그먼트는 OFF로 된다.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G1이 제 1 그리드 전극, 그리드 전극 G2가 제 2 그리드 전극으로서 ON으로 되는 경우에, 제 2 프레임에 있어서는 선택 픽셀을 구성하는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I, 애노드 세그먼트J, 애노드 세그먼트K의 각각이 외부로부터의 표시 신호에 따라 1세그먼트 주기를 단위로 하여 동시에, ON 되고, 다른 애노드 세그먼트는 OFF로 된다.
도 1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G1이 제 1 그리드 전극, 그리드 전극 G2가 제 2 그리드 전극으로서 ON으로 되는 경우에, 제 3 프레임에 있어서는 선택 픽셀을 구성하는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I, 애노드 세그먼트J의 각각이 외부로부터의 표시 신호에 따라 1세그먼트 주기를 단위로 하여 동시에, ON 되고, 다른 애노드 세그먼트는 OFF로 된다.
도 1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G1이 제 1 그리드 전극, 그리드 전극 G2가 제 2 그리드 전극으로서 ON으로 되는 경우에, 제 4 프레임에 있어서는 선택 픽셀을 구성하는 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I, 애노드 세그먼트J, 애노드 세그먼트K, 애노드 세그먼트L, 애노드 세그먼트M의 각각이 외부로부터의 표시 신호에 따라 1세그먼트 주기를 단위로 하여 동시에, ON 되고, 다른 애노드 세그먼트는 OFF로 된다.
도 13(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G1이 제 1 그리드 전극, 그리드 전극 G2가 제 2 그리드 전극으로서 ON으로 되는 경우에, 제 5 프레임에 있어서는 선택 픽셀을 구성하는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I, 애노드 세그먼트J, 애노드 세그먼트K, 애노드 세그먼트L, 애노드 세그먼트M, 애노드 세그먼트N의 각각이 외부로부터의 표시 신호에 따라 1세그먼트 주기를 단위로 하여 동시에, ON 되고, 다른 애노드 세그먼트는 OFF로 된다.
또, 그리드 전극 G2가 제 1 그리드 전극, 그리드 전극 G3(그리드 전극 G2에 인접하는 도 13에 도시하지 않은 그리드 전극)이 제 2 그리드 전극으로서 ON으로 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이하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 픽셀을 구성한다. 제 1 프레임에 있어서는 애노드 세그먼트M, 애노드 세그먼트N, 애노드 세그먼트O, 애노드 세그먼트P,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가 선택 픽셀을 구성한다. 제 2 프레임에 있어서는 애노드 세그먼트L, 애노드 세그먼트M, 애노드 세그먼트N, 애노드 세그먼트O, 애노드 세그먼트P,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 애노드 세그먼트C가 선택 픽셀을 구성한다. 제 3 프레임에 있어서는 애노드 세그먼트K, 애노드 세그먼트L, 애노드 세그먼트M, 애노드 세그먼트N, 애노드 세그먼트O, 애노드 세그먼트P,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이 선택 픽셀을 구성한다. 제 4 프레임에 있어서는 애노드 세그먼트N, 애노드 세그먼트O, 애노드 세그먼트P,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가 선택 픽셀을 구성한다. 제 5 프레임에 있어서는 애노드 세그먼트O, 애노드 세그먼트P,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가 선택 픽셀을 구성한다.
즉, 제 1 프레임의 상태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그리드 전극(제 1 그리드 전극 및 제 2 그리드 전극)을 ON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16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측에 근접한 위치에 채워서 배치되는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합계 8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선택 픽셀로서 발광시킨다.
제 2 프레임의 상태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그리드 전극(제 1 그리드 전극 및 제 2 그리드 전극)을 ON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16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3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측에 근접한 위치에 채워서 배치되는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5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합계 8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선택 픽셀로서 발광시킨다.
제 3 프레임의 상태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그리드 전극(제 1 그리드 전극 및 제 2 그리드 전극)을 ON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16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측에 근접한 위치에 채워서 배치되는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6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합 계8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선택 픽셀로서 발광시킨다.
제 4 프레임의 상태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그리드 전극(제 1 그리드 전극 및 제 2 그리드 전극)을 ON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16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5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측에 근접한 위치에 채워서 배치되는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3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합계 8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선택 픽셀로서 발광시킨다.
제 5 프레임의 상태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그리드 전극(제 1 그리드 전극 및 제 2 그리드 전극)을 ON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16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6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측에 근접한 위치에 채워서 배치되는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합계 8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선택 픽셀로서 발광시킨다.
요컨대, M이 8이상의 2의 K(정수)승으로 나타나는 정의 정수인 M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실시형태의 형광 표시관의 기술에 대해 일반화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본 실시형태의 M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의 기구부의 구성은 2의 K승으로 나타나는 8이상의 정의 정수 M마다 구분되고, 그 구분 중의 배열의 위치가 동일 위치에 있는 애노드 세그먼트를 횡 방향으로 연결해서 M개의 애노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직교하는 종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리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그리드 전극을 갖고, 복수개의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복수개의 그리드 전극의 열을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해서, 각각의 그리드 전극과 각각의 애노드 세그먼트행 중의 M/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대향시켜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구동 회로는 M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의 외부, 또는 내부의 어디에 배치하는 것이어도 좋다. 외부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내는 구성을 갖는 형광 표시관과 도 9에 나타내는 구동 회로(10)를 다수의 배선에 의해서 접속하게 된다. 한편, 내부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소수의 배선(리드)에 의해서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4는 형광 표시관의 내부에 구동 회로를 내장하는 드라이버 내장 형광 표시관(CIGVFD)의 사시 단면도이다. 드라이버 내장 형광 표시관(30)은 캐소드(31), 그리드 전극(32), 애노드 세그먼트(33), 베이스 플레이트(34), 필라멘트 리드(35), 드라이버 칩용 리드(36), 구동 회로(10)를 주요 구성부로서 갖고 있다.
캐소드(31)는 텅스텐의 심선(필라멘트)에 Ba, Sr, Ca의 산화물이 코팅되어 있다. 필라멘트의 양단에 전압을 인가해서 전자(열전자)를 발생시킨다. 그리드 전극(32)은 상술한 그리드 전극 G1∼그리드 전극 Gn과 마찬가지의 것이다. 애노드 세그먼트(33)는 상술한 애노드 세그먼트A∼애노드 세그먼트H와 마찬가지의 것이다. 베이스 플레이트(34)는 유리 기판이며, 소더 라임 유리를 사용하고 있고, 그 내부는 진공으로 된다. 필라멘트 리드(35)는 캐소드(31)를 형성하는 필라멘트에 접속된다. 드라이버 칩용 리드(36)는 표시 신호(도 9 참조)를 입력하기 위한 단자, 클럭 신호(도 9 참조)를 입력하기 위한 단자를 포함하고 있다. 구동 회로(10)는 도 9에 나타내는 구동 회로(10)를 IC화한 것이다.
베이스 플레이트(34)의 위에, 캐소드(31), 그리드 전극(32), 애노드 세그먼트(33), 필라멘트 리드(35), 드라이버 칩용 리드(36), 구동 회로(10)의 각 부재가 고착되고, 이들 각 부재를 서로 접속하는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드라이버 내장 형광 표시관(30)의 기구부의 내부에 구동 회로(10)를 조립하는 것에 의해서, 드라이버 내장 형광 표시관(30)의 구동에 필요한 전극은 필라멘트 리드(35)를 포함하는 전원용의 리드와 드라이버 칩용 리드(36)만으로 할 수 있고, 외부 리드를 대폭 줄일 수 있다.
그리고, M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의 내부, 또는 외부의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구동 회로에 의해서 형광 표시관은 다음과 같이 제어된다.
인접하는 제 1 그리드 전극과 제 2 그리드 전극을 온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M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이하의 (M/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에 의해서 구성되는 선택 픽셀 중의 하나의 선택 픽셀을 표시 신호에 따라 발광시킨다.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에 의해서 형성되는 선택 픽셀.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갖도록, J(정수)의 값을 1부터 2(K-3)까지 변화시켜 선택되어 형성되는 2(K-3)개의 선택 픽셀.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갖도록, J(정수)의 값을 1부터 2(K-3)까지 변화시켜 선택되어 형성되는 2(K-3)개의 선택 픽셀.
따라서, 선택 픽셀의 총 수는 1개+2(K-3)개+2(K-3)개로 되고, 이 복수개 중의 하나의 선택 픽셀이 각각의 프레임마다 선택된다.
여기서, 선택 픽셀에 포함되는 애노드 세그먼트의 수에 대해 설명을 한다. 상술한 실시형태의 8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 16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에 관한 기술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그리드 전극을 ON으로 헤서 동시에 발광하는 애노드 세그먼트의 개수, 즉 선택 픽셀을 구성하는 애노드 세그먼트의 개수는 8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4개, 16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8개로 하였다. 실시형태의 M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선택 픽셀을 구성하는 애노드 세그먼트의 개수를 M/2개로 한다. 동시에 발광하는 애노드 세그먼트의 개수를 M/2개로 하는 이유는 동시에 ON으로 되는 2개의 그리드 전극의 각각의 좌우에 있는 OFF로 되는 2개의 그리드 전극의 영향을 적게 하는 효과와, 듀티 팩터를 향상시키는 효과의 밸런스 점으로서, M/2개를 선택하는 것이다. 또, 동시에 ON으로 되는 2개의 그리드 전극의 각각의 좌우에 있는 OFF로 되는 2개의 그리드 전극의 영향을 적게 하는 효과를 더욱 양호한 것으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면, 선택 픽셀을 구성하는 애노드 세그먼트의 개수를 더욱 적게 하는 쪽이 더욱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선택 픽셀을 구성하는 애노드 세그먼트의 개수가 적을수록 듀티 팩터는 저하한다.
상술한 8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술의 일반식에 적용한다. 8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M=8, K=3, 2(K-3)=1, J=1이다.
인접하는 제 1 그리드 전극과 제 2 그리드 전극을 온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8개(M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이하의 4개(M/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에 의해서 구성되는 선택 픽셀 중의 하나의 선택 픽셀을 표시 신호에 따라 발광시킨다.
인접하는 2개의 그리드 전극(제 1 그리드 전극 및 제 2 그리드 전극)을 ON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4개 (M/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2개(M/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2개(M/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선택 픽셀(도 7(a) 참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1개((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3개((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선택 픽셀(도 7(b) 참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3개((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1개((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선택 픽셀(도 7(c) 참조).
상술한 16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술의 일반식에 적용한다. 16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M=16, K=4, 2(K-3)=2, J=1, 2이다.
인접하는 제 1 그리드 전극과 제 2 그리드 전극을 온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16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이하의 8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에 의해서 구성되는 선택 픽셀 중의 하나의 선택 픽셀을 표시 신호에 따라 발광시킨다.
인접하는 2개의 그리드 전극(제 1 그리드 전극 및 제 2 그리드 전극)을 ON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8개(M/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4개(M/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4개(M/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선택 픽셀(도 13(a) 참조).
J=1에 있어서,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3개((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5개((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선택 픽셀(도 13(b) 참조).
J=2에 있어서,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2개((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6개((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선택 픽셀(도 13(c) 참조).
J=1에 있어서,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5개((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3개((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선택 픽셀(도 13(d) 참조).
J=2에 있어서,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6개((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2개((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선택 픽셀(도 13(e) 참조).
또한, 암선 불균일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에 착안하면, 이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형태의 M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으로서는 M을 2의 K(정수)승의 정수로 하지 않고, 단지 정의 정수 Q로 해도 좋다. 선택 픽셀을 구성하는 애노드 세그먼트의 수는 Q개보다도 작은 수인 R(정수)개이며, 인접하는 2개의 전극의 각각에 적어도 1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대향하도록 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다른 애노드 세그먼트의 배치를 갖는 복수의 선택 픽셀 중의 하나를 프레임마다 선택하는 것에 의해서 암선 불균일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다른 형태에 관한 기술은 8이상의 짝수의 정의 정수 Q마다 구분되고, 그 구분 중의 배열의 위치가 동일 위치에 있는 애노드 세그먼트를 횡 방향으로 연결해서 Q개의 애노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직교하는 종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리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그리드 전극을 갖고, 복수개의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복수개의 그리드 전극의 열을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하여, 각각의 그리드 전극과 각각의 애노드 세그먼트행 중의 Q/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대향시켜 형성되는 Q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에 대해, 형광 표시관,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 및 형광 표시관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접하는 제 1 그리드 전극과 제 2 그리드 전극을 온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Q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1개 내지 (Q/2-1)개의 범위중의 어느 하나의 개수인 R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Q/2-R)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합계 Q/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선택 픽셀 중의 하나의 선택 픽셀을 표시 신호에 따라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5는 12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에 있어서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5(a)는 그리드 전극 G1이 제 1 그리드 전극, 그리드 전극 G2가 제 2 그리드 전극으로서 ON으로 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 1 프레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5(b)는 제 2 프레임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15(c)는 제 3 프레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5(d)는 제 4 프레임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15(e)는 제 5 프레임의 상태를 나타낸다.
12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에 있어서는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I, 애노드 세그먼트J, 애노드 세그먼트K, 애노드 세그먼트L의 1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1구분에 갖고 있다.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G1이 제 1 그리드 전극, 그리드 전극 G2가 제 2 그리드 전극으로서 ON으로 되는 경우에, 제 1 프레임에 있어서는 선택 픽셀을 구성하는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I의 각각이 외부로부터의 표시 신호에 따라 1세그먼트 주기를 단위로 하여 동시에, ON 되고, 다른 애노드 세그먼트는 OFF로 된다.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G1이 제 1 그리드 전극, 그리드 전극 G2가 제 2 그리드 전극으로서 ON으로 되는 경우에, 제 2 프레임에 있어서는 선택 픽셀을 구성하는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의 각각이 외부로부터의 표시 신호에 따라 1세그먼트 주기를 단위로 하여 동시에, ON 되고, 다른 애노드 세그먼트는 OFF로 된다.
도 1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G1이 제 1 그리드 전극, 그리드 전극 G2가 제 2 그리드 전극으로서 ON으로 되는 경우에, 제 3 프레임에 있어서는 선택 픽셀을 구성하는 애노드 세그먼트B,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G의 각각이 외부로부터의 표시 신호에 따라 1세그먼트 주기를 단위로 하여 동시에, ON 되고, 다른 애노드 세그먼트는 OFF로 된다.
도 1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G1이 제 1 그리드 전극, 그리드 전극 G2가 제 2 그리드 전극으로서 ON으로 되는 경우에, 제 4 프레임에 있어서는 선택 픽셀을 구성하는 애노드 세그먼트E, 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I, 애노드 세그먼트J의 각각이 외부로부터의 표시 신호에 따라 1세그먼트 주기를 단위로 하여 동시에, ON 되고, 다른 애노드 세그먼트는 OFF로 된다.
도 15(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G1이 제 1 그리드 전극, 그리드 전극 G2가 제 2 그리드 전극으로서 ON으로 되는 경우에, 제 5 프레임에 있어서는 선택 픽셀을 구성하는 애노드 세그먼트F, 애노드 세그먼트G,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I, 애노드 세그먼트J, 애노드 세그먼트K의 각각이 외부로부터의 표시 신호에 따라 1세그먼트 주기를 단위로 하여 동시에, ON 되고, 다른 애노드 세그먼트는 OFF로 된다.
또, 그리드 전극 G2가 제 1 그리드 전극, 그리드 전극 G3(그리드 전극 G2에 인접하는 도 15에 도시하지 않은 그리드 전극)이 제 2 그리드 전극으로서 ON으로 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이하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 픽셀을 구성한다.
제 1 프레임에 있어서는 애노드 세그먼트J, 애노드 세그먼트K, 애노드 세그먼트L,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 애노드 세그먼트C가 선택 픽셀을 구성한다. 제 2 프레임에 있어서는 애노드 세그먼트I, 애노드 세그먼트J, 애노드 세그먼트K, 애노드 세그먼트L,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가 선택 픽셀을 구성한다. 제 3 프레임에 있어서는 애노드 세그먼트H, 애노드 세그먼트I, 애노드 세그먼트J, 애노드 세그먼트K, 애노드 세그먼트L, 애노드 세그먼트A가 선택 픽셀을 구성한다.
제 4 프레임에 있어서는 애노드 세그먼트K, 애노드 세그먼트L,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가 선택 픽셀을 구성한다. 제 5 프레임에 있어서는 애노드 세그먼트L, 애노드 세그먼트A, 애노드 세그먼트B, 애노드 세그먼트C, 애노드 세그먼트D, 애노드 세그먼트E가 선택 픽셀을 구성한다.
즉, 제 1 프레임의 상태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그리드 전극(제 1 그리드 전극 및 제 2 그리드 전극)을 ON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1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3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측에 근접한 위치에 채워서 배치되는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3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합계 6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선택 픽셀을 외부로부터의 표시 신호에 따라 1세그먼트 주기를 단위로 하고 동시에, ON 또는 OFF로 된다.
제 2 프레임의 상태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그리드 전극(제 1 그리드 전극 및 제 2 그리드 전극)을 ON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1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측에 근접한 위치에 채워서 배치되는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합계 6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선택 픽셀을 외부로부터의 표시 신호에 따라 1세그먼트 주기를 단위로 하고 동시에, ON 또는 OFF로 된다.
제 3 프레임의 상태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그리드 전극(제 1 그리드 전극 및 제 2 그리드 전극)을 ON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1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1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측에 근접한 위치에 채워서 배치되는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5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합계 6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선택 픽셀을 외부로부터의 표시 신호에 따라 1세그먼트 주기를 단위로 하고 동시에, ON 또는 OFF로 된다.
제 4 프레임의 상태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그리드 전극(제 1 그리드 전극 및 제 2 그리드 전극)을 ON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1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측에 근접한 위치에 채워서 배치되는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합계 6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선택 픽셀을 외부로부터의 표시 신호에 따라 1세그먼트 주기를 단위로 하고 동시에, ON 또는 OFF로 된다.
제 5 프레임의 상태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그리드 전극(제 1 그리드 전극 및 제 2 그리드 전극)을 ON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1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5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측에 근접한 위치에 채워서 배치되는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1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합계 6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선택 픽셀을 외부로부터의 표시 신호에 따라 1세그먼트 주기를 단위로 하고 동시에, ON 또는 OFF로 된다.
본 실시형태의 8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 16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에 부가해서, 12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도 포함하는 Q중 매트릭스 방식은 다음과 같이 일반화할 수 있다. 8이상의 짝수의 정의 정수 Q마다 구분되고, 그 구분 중의 배열의 위치가 동일 위치에 있는 애노드 세그먼트를 횡 방향으로 연결해서 Q개의 애노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직교하는 종 방향으로 연장해서 그리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그리드 전극을 갖고, 복수개의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복수개의 그리드 전극의 열을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하여, 각각의 그리드 전극과 각각의 애노드 세그먼트행 중의 Q/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대향시켜 형성되는 Q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 1 그리드 전극과 제 2 그리드 전극을 온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Q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1개 내지 (Q/2-1)개의 범위 중의 어느 하나의 개수인 R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Q/2-R)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합계 Q/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선택 픽셀 중의 하나의 선택 픽셀을 표시 신호에 따라 발광시킨다.
본 실시형태의 8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Q=8이며, 각각의 그리드 전극과 4(Q/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대향시켜 배치하고,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1개 내지 (Q/2-1)개의 범위 중의 어느 하나의 개수(1, 2, 3)인 R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3, 2, 1) 개인 (Q/2-R)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합계 4(Q/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3종류의 선택 픽셀 중의 하나의 선택 픽셀을 표시 신호에 따라 발광시킨다.
여기서, 제 1 선택 픽셀은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조합으로 된다. 또한, 제 2 선택 픽셀은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1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3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조합으로 된다. 제 3 선택 픽셀은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3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1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조합으로 된다.
본 실시형태의, 상술한 12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Q=12이며, 각각의 그리드 전극과 6(Q/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대향시켜 배치하고,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1개 내지 (Q/2-1)개의 범위 중의 어느 하나의 개수 (1, 2, 3, 4, 5)인 R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5, 4, 3, 2, 1)개인 (Q/2-R)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합계 6(Q/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5종류의 선택 픽셀 중의 하나의 선택 픽셀을 표시 신호에 따라 발광시킨다.
본 실시형태의 16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Q=16이며, 각각의 그리드 전극과 8(Q/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대향시켜서 배치하고,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1개 내지(Q/2-1)개의 범위 중의 어느 하나의 개수 (1, 2, 3, 4, 5, 6, 7)인 R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7, 6, 5, 4, 3, 2, 1)개인 (Q/2-R)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합계 8(Q/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7종류의 선택 픽셀 중의 하나의 선택 픽셀을 표시 신호에 따라 발광시킨다.
여기서, 제 1 선택 픽셀은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조합으로 된다. 또한, 제 2 선택 픽셀은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3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5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조합으로 된다. 제 3 선택 픽셀은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6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조합으로 된다. 제 4 선택 픽셀은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1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7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조합으로 된다. 제 5 선택 픽셀은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5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3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조합으로 된다. 제 6 선택 픽셀은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6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조합으로 된다. 제 7 선택 픽셀은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7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1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조합으로 된다.
본 실시형태의 16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선택 픽셀의 수는 7종류로 되고, 상술한 선택 픽셀의 수가 5종류의 실시형태의 16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보다도 선택 픽셀의 수를 늘려, 암선 불균일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더욱 높게 할 수 있다. 또, Q=16으로 하는 16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인접하는 한쪽의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1개 내지 (Q/2-1)개의 범위 중에 있어서 R의 개수를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인접하는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2개 내지 (Q/2-2)개 중의 어느 하나의 개수인 R(정수)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Q/2-R)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합계 (Q/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선택 픽셀이 형성되도록 하면, 상술한 선택 픽셀의 수가 5종류인 실시형태의 16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과 동일한 구성으로 된다. 일반적으로는 Q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에 있어서, Q=2K로 나타낼 수 있는 경우에는 인접하는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2(K-3)개 내지 (Q/2-2(K-3))개 중의 어느 하나의 개수인 R(정수)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Q/2-R)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합계 (Q/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선택 픽셀이 형성되도록 하면, 앞서 설명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서, 형광 표시관의 내부에 구동 회로를 내장하는 드라이버 내장 형광 표시관(CIGVFD)을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를 조합해서 새로운 실시형태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의 기술에 있어서는 8중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선택 픽셀의 수는 3종류, 16중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5종류의 선택 픽셀이 있다. 여기서, 모든 선택 픽셀을, 순차 1프레임씩 표시 신호에 따라 발광시킬 뿐만 아니라, 8중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3종류의 범위 이내의 임의인 수의 선택 픽셀을 선택하고, 16중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5종류의 범위 이내의 임의인 수의 선택 픽셀을 선택하고, 순차 1프레임씩 표시 신호에 따라 발광시킬 수도 있다. 별도의 실시형태의 기술에 있어서는 8중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선택 픽셀의 수는 3종류, 12중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5종류, 16중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7종류의 선택 픽셀이 있다. 여기서, 모든 선택 픽셀을, 순차 1프레임씩 표시 신호에 따라 발광시킬 뿐만 아니라, 8중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3종류의 범위 이내의 임의의 수의 선택 픽셀을 선택하고, 12중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5종류의 범위 이내의 임의의 수의 선택 픽셀을 선택하고, 16중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7종류의 범위 이내의 임의의 수의 선택 픽셀을 선택하고, 순차 1프레임씩 표시 신호에 따라 발광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물론이다.
10 구동 회로 11 외부 인터페이스
12 램 13 카운터
14 프레임 카운터 15 타이밍 제너레이터
30 드라이버 내장 형광 표시관
31 캐소드 32 그리드 전극
33 애노드 세그먼트 34 베이스 플레이트
35 필라멘트 리드 36 드라이버 칩용 리드
A, ~ P 애노드 세그먼트, DA1 ~ DGn 그리드 인출선
G1, G2, G3, G4, Gn 그리드 전극

Claims (10)

  1. 8이상의 짝수의 정(正)의 정수 Q마다 구분되고, 그 구분 중의 배열의 위치가 동일 위치에 있는 애노드 세그먼트를 열 방향으로 연결해서 Q개의 애노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상기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직교하는 행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리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그리드 전극을 갖고,
    복수개의 상기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복수개의 상기 그리드 전극의 열을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하여, 각각의 그리드 전극과 각각의 애노드 세그먼트행 중의 Q/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대향시켜 형성되는 Q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 1 그리드 전극과 제 2 그리드 전극을 온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Q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1개 내지 (Q/2-1)개의 범위 중의 어느 하나의 개수인 R(정수)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Q/2-R)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합계 Q/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선택 픽셀 중의 하나의 선택 픽셀을 표시 신호에 따라 발광시키는 구동 회로를 구비하는 형광 표시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해당 형광 표시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표시관.
  3.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선택 픽셀은 1프레임씩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표시관.
  4. 8이상의 짝수의 정(正)의 정수 Q마다 구분되고, 그 구분 중의 배열의 위치가 동일 위치에 있는 애노드 세그먼트를 열 방향으로 연결해서 Q개의 애노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상기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직교하는 행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리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그리드 전극을 갖고,
    복수개의 상기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복수개의 상기 그리드 전극의 열을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하여, 각각의 그리드 전극과 각각의 애노드 세그먼트행 중의 Q/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대향시켜 형성되는 Q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 1 그리드 전극과 제 2 그리드 전극을 온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Q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1개 내지 (Q/2-1)개의 범위 중의 어느 하나의 개수인 R(정수)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Q/2-R)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합계 Q/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선택 픽셀 중의 하나의 선택 픽셀을 표시 신호에 따라 발광시키는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
  5. 8이상의 짝수의 정(正)의 정수 Q마다 구분되고, 그 구분 중의 배열의 위치가 동일 위치에 있는 애노드 세그먼트를 열 방향으로 연결해서 Q개의 애노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상기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직교하는 행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리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그리드 전극을 갖고,
    복수개의 상기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복수개의 상기 그리드 전극의 열을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하여, 각각의 그리드 전극과 각각의 애노드 세그먼트행 중의 Q/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대향시켜 형성되는 Q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을 구동하는 형광 표시관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 1 그리드 전극과 제 2 그리드 전극을 온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Q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1개 내지 (Q/2-1)개의 범위 중의 어느 하나의 개수인 R(정수)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Q/2-R)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의 합계 Q/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선택 픽셀 중의 하나의 선택 픽셀을 표시 신호에 따라 발광시키는 형광 표시관의 구동 방법.
  6. 2의 K승으로 나타나는 8이상의 정(正)의 정수 M마다 구분되고, 그 구분 중의 배열의 위치가 동일 위치에 있는 애노드 세그먼트를 열 방향으로 연결해서 M개의 애노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상기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직교하는 행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리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그리드 전극을 갖고,
    복수개의 상기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복수개의 상기 그리드 전극의 열을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하여, 각각의 그리드 전극과 각각의 애노드 세그먼트행 중의 M/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대향시켜 형성되는 M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 1 그리드 전극과 제 2 그리드 전극을 온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M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선택 픽셀과,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갖도록, J의 값을 1부터 2(K-3)까지 변화시켜 선택되어 형성되는 1 또는 복수의 선택 픽셀과,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갖도록, J(정수)의 값을 1부터 2(K-3)까지 변화시켜 선택되어 형성되는 1 또는 복수의 선택 픽셀과 중에서
    하나의 선택 픽셀을 표시 신호에 따라 발광시키는 구동 회로를 구비하는 형광 표시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M은 8이고, 상기 J는 1이고,
    각각의 그리드 전극과 각각의 애노드 세그먼트행 중의 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대향시켜 형성되는 8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 1 그리드 전극과 제 2 그리드 전극을 온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8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선택 픽셀과,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1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3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선택 픽셀과,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3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1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선택 픽셀 중의 하나의 선택 픽셀을 표시 신호에 따라 발광시키는 구동 회로를 구비하는 형광 표시관.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해당 형광 표시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표시관.

  9. 2의 K승으로 나타나는 8이상의 정(正)의 정수 M마다 구분되고, 그 구분 중의 배열의 위치가 동일 위치에 있는 애노드 세그먼트를 열 방향으로 연결해서 M개의 애노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상기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직교하는 행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리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그리드 전극을 갖고,
    복수개의 상기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복수개의 상기 그리드 전극의 열을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하여, 각각의 그리드 전극과 각각의 애노드 세그먼트행 중의 M/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대향시켜 형성되는 M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을 구동하는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 1 그리드 전극과 제 2 그리드 전극을 온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M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선택 픽셀과,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갖도록, J의 값을 1부터 2(K-3)까지 변화시켜 선택되어 형성되는 1 또는 복수의 선택 픽셀과,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갖도록, J(정수)의 값을 1부터 2(K-3)까지 변화시켜 선택되어 형성되는 1 또는 복수의 선택 픽셀 중에서
    하나의 선택 픽셀을 표시 신호에 따라 발광시키는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
  10. 2의 K승으로 나타나는 8이상의 정(正)의 정수 M마다 구분되고, 그 구분 중의 배열의 위치가 동일 위치에 있는 애노드 세그먼트를 열 방향으로 연결해서 M개의 애노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상기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직교하는 행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리드 인출선을 갖고 형성되는 그리드 전극을 갖고,
    복수개의 상기 애노드 세그먼트행과 복수개의 상기 그리드 전극의 열을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하여, 각각의 그리드 전극과 각각의 애노드 세그먼트행 중의 M/2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대향시켜 형성되는 M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의 형광 표시관을 구동하는 형광 표시관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 1 그리드 전극과 제 2 그리드 전극을 온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발광 가능하게 되는 M개의 애노드 세그먼트 중에서,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개의 애노드 세그먼트가 선택되어 형성되는 선택 픽셀과,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갖도록, J의 값을 1부터 2(K-3)까지 변화시켜 선택되어 형성되는 1 또는 복수의 선택 픽셀과,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그리드 전극에 가장 근접한 위치부터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리드 전극에 대향하는 (M/4-J)개의 애노드 세그먼트를 갖도록, J(정수)의 값을 1부터 2(K-3)까지 변화시켜 선택되어 형성되는 1 또는 복수의 선택 픽셀 중에서
    하나의 선택 픽셀을 표시 신호에 따라 발광시키는 형광 표시관의 구동 방법.
KR1020120032477A 2011-03-29 2012-03-29 형광 표시관과,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 KR1013121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72871 2011-03-29
JP2011072871A JP5612524B2 (ja) 2011-03-29 2011-03-29 蛍光表示管、蛍光表示管の駆動回路、および蛍光表示管の駆動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190A KR20120112190A (ko) 2012-10-11
KR101312145B1 true KR101312145B1 (ko) 2013-09-26

Family

ID=46926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477A KR101312145B1 (ko) 2011-03-29 2012-03-29 형광 표시관과,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94616B2 (ko)
JP (1) JP5612524B2 (ko)
KR (1) KR101312145B1 (ko)
CN (1) CN102737574B (ko)
TW (1) TWI5025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0446B2 (en) 2014-06-16 2016-11-08 Apple Inc.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with split anod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8109A (ja) 2001-08-08 2003-02-28 Noritake Itron Corp 蛍光表示管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3263966A (ja) 2002-03-11 2003-09-19 Noritake Co Ltd 蛍光表示管およびその駆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6532A (ja) * 1999-04-22 2000-11-02 Futaba Corp 多重アノードマトリックス方式蛍光表示管、およびその駆動装置
JP2001345061A (ja) * 2000-06-01 2001-12-14 Futaba Corp グラフィック蛍光表示管
JP3636141B2 (ja) * 2002-02-06 2005-04-06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蛍光表示管用多重アノードドライバ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蛍光表示管
JP2003263967A (ja) * 2002-03-11 2003-09-19 Noritake Co Ltd 蛍光表示管およびその駆動方法
TWI271688B (en) * 2003-03-26 2007-01-21 Sanyo Electric Co Fluorescent display tube driving circuit
TWI291840B (en) * 2003-03-26 2007-12-21 Sanyo Electric Co Fluorescent display tube driving circuit
JP3979373B2 (ja) * 2003-10-01 2007-09-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JP5074874B2 (ja) * 2007-09-28 2012-11-14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蛍光表示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8109A (ja) 2001-08-08 2003-02-28 Noritake Itron Corp 蛍光表示管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3263966A (ja) 2002-03-11 2003-09-19 Noritake Co Ltd 蛍光表示管およびその駆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37574A (zh) 2012-10-17
US8994616B2 (en) 2015-03-31
TW201248591A (en) 2012-12-01
US20120249494A1 (en) 2012-10-04
KR20120112190A (ko) 2012-10-11
CN102737574B (zh) 2015-07-08
JP5612524B2 (ja) 2014-10-22
JP2012208245A (ja) 2012-10-25
TWI502569B (zh) 201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9267B1 (ko) 표시 장치
KR101416529B1 (ko) 휘도편차 개선을 위한 오엘이디 패널용 구동회로
KR20010091006A (ko) 화상 표시 방법 및 표시 장치
KR20040066731A (ko) 화상표시장치
KR20060048453A (ko)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000058061A (ko) 전계방출형 화상표시장치
JPS5924431B2 (ja) けい光表示装置
KR100232388B1 (ko) 전계방출형 소자, 전계방출형 화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312145B1 (ko) 형광 표시관과, 형광 표시관의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
JP3267432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US7239078B2 (en) Field emission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S5999649A (ja) 平板形画像再現装置
JP2007121674A (ja) 表示装置
JPH0693162B2 (ja) 画像表示装置
JPH08241681A (ja) 画像表示装置の駆動回路
KR100375670B1 (ko) 다중 애노드 매트릭스 방식 형광 표시관 및 그 구동 장치
JP2503799B2 (ja) グラフィック蛍光表示管
JP2841463B2 (ja) 蛍光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757453B2 (ja) 蛍光表示管装置
JP6540720B2 (ja) 表示装置
JPH1092348A (ja) 電界放出型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3811029B2 (ja) 蛍光表示管及びその駆動方法
JP2014086397A (ja) 蛍光表示管
JPH0311499B2 (ko)
JPH026011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