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545B1 - 블레이드 구동 장치 및 광학 기기 - Google Patents

블레이드 구동 장치 및 광학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545B1
KR101303545B1 KR1020127007684A KR20127007684A KR101303545B1 KR 101303545 B1 KR101303545 B1 KR 101303545B1 KR 1020127007684 A KR1020127007684 A KR 1020127007684A KR 20127007684 A KR20127007684 A KR 20127007684A KR 101303545 B1 KR101303545 B1 KR 101303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hock absorbing
absorbing member
opening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7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8695A (ko
Inventor
히로시 타카하시
세이이치 오이시
Original Assignee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8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18More than two members
    • G03B9/22More than two members each moving in one direction to open and then in opposite direction to close, e.g. iris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36Sliding rigid pla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18More than two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Abstract

블레이드 구동 장치(1)는 개구(11)를 가진 기판(10)과, 개구(11)로부터 퇴피한 위치와 개구(11)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는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블레이드(21b)와, 루프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탄성을 가지고, 블레이드(21b)의 이동 범위의 단부에서 블레이드(21b)와 맞닿고 블레이드(21b)와 맞닿음으로써 루프 모양의 형상이 뒤틀리도록 변형할 수 있는 완충 부재(6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블레이드 구동 장치 및 광학 기기{BLADE DRIVING DEVICE AND OPTICAL INSTRUMENT}
본 발명은 블레이드 구동 장치 및 광학 기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블레이드의 이동 범위의 단부에서 블레이드와 맞닿음으로써 블레이드를 정지시키기 위한 완충 부재를 구비한 블레이드 구동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완충(buffering) 부재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완충 부재가 가지는 탄성에 의해 블레이드가 완충 부재에 맞닿았을 때의 블레이드의 바운드(bound)가 방지된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0-047286호 공보
블레이드가 고속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완충 부재를 설치하였다고 해도 블레이드가 바운드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바운드가 억제된 블레이드 구동 장치 및 광학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개구를 가진 기판과, 상기 개구로부터 퇴피한 위치와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는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블레이드와, 루프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탄성을 가지고, 상기 블레이드의 이동 범위의 단부에서 상기 블레이드와 맞닿고, 상기 블레이드와 맞닿음으로써 상기 루프 모양의 형상이 뒤틀리도록 변형할 수 있는 완충 부재를 구비한 블레이드 구동 장치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블레이드가 완충 부재에 맞닿음으로써, 완충 부재는 루프 모양의 형상이 뒤틀리도록 하여 변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충 부재 자체가 가지는 탄성에 더하여, 완충 부재의 루프 모양의 형상이 뒤틀림으로써 완충 부재에 맞닿을 때의 블레이드의 바운드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목적은, 개구를 가진 기판과, 상기 개구로부터 퇴피한 위치와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는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구동 부재와, 루프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탄성을 가지고, 상기 블레이드의 이동 범위의 단부에서 상기 구동 부재와 맞닿고, 상기 구동 부재와 맞닿음으로써 상기 루프 모양의 형상이 뒤틀리도록 변형할 수 있는 완충 부재를 구비한 블레이드 구동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할 수 있다.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구동 부재가 완충 부재에 맞닿음으로써, 완충 부재는 루프 모양의 형상이 뒤틀리도록 하여 변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충 부재 자체가 가지는 탄성에 더하여, 완충 부재의 루프 모양의 형상이 뒤틀림으로써 완충 부재에 맞닿을 때의 구동 부재의 바운드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블레이드의 바운드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광학 기기에 의해서도 블레이드의 바운드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레이드의 바운드가 억제된 블레이드 구동 장치 및 광학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구동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블레이드 구동 장치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블레이드 구동 장치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4는 완충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완충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블레이드 구동 장치의 제1 변형예와 관련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블레이드 구동 장치의 제1 변형예와 관련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블레이드 구동 장치의 제2 변형예와 관련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블레이드 구동 장치의 제2 변형예와 관련되는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구동 장치(1)의 정면도이다. 블레이드 구동 장치(1)는 이른바 초점면 셔터로 일컬어지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듯이, 블레이드 구동 장치(1)는 기판(10), 블레이드(21a~24a, 21b~24b), 구동 암(31a, 32a, 31b, 32b), 완충 부재(60, 80), 전자석(70A, 70B) 등을 가지고 있다. 기판(10)은 합성 수지제이고, 직사각형 모양의 개구부(11)를 가지고 있다. 블레이드(21a~24a, 21b~24b)는 합성 수지제이고, 얇게 형성되어 있다. 또, 구동 암(31a, 32a, 31b, 32b)은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금속의 얇은 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블레이드(21a~24a, 21b~24b)는 개구부(11)로부터 퇴피한 위치와 개구부(11)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는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한다.
4매의 블레이드(21a~24a)는 리딩 블레이드(leading blade)(20A)를 구성한다. 4매의 블레이드(21b~24b)는 트레일링 블레이드(trailing blade)(20B)를 구성한다. 도 1은 리딩 블레이드(20A)가 중첩 상태이고 트레일링 블레이드(20B)가 전개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경우에는 리딩 블레이드(20A)는 개구부(11)로부터 퇴피하고, 트레일링 블레이드(20B)가 개구부(11)를 폐쇄하고 있다.
완충 부재(60, 80)는, 자세하게는 후술하지만, 각각 트레일링 블레이드(20B)용, 리딩 블레이드(20A)용의 스토퍼(stopper)로서 기능한다. 도 1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블레이드(21b)가 완충 부재(60)에 맞닿고, 블레이드(21a~24a)가 완충 부재(80)에 맞닿아 있다. 완충 부재(60, 80)는 탄성변형 가능한 고무제이다.
리딩 블레이드(20A)는 구동 암(31a, 32a)에 연결되어 있다. 트레일링 블레이드(20B)는 구동 암(31b, 32b)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구동 암(31a, 32a, 31b, 32b)은 각각 기판(10)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기판(10)에는 구동 암(31a, 32b)을 각각 구동하기 위한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가 설치되어 있다.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는 기판(10)에 소정의 범위를 요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는 기판(10)에 형성된 축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기판(10)에 형성된 슬롯(slot)에 의해 그 요동 범위가 규정되어 있다.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도 마찬가지이다.
구동 암(31a)은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암(32b)은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에 연결되어 있다.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가 요동함으로써, 구동 암(31a)이 요동하고, 이에 의해 리딩 블레이드(20A)가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가 요동함으로써, 구동 암(32b)이 요동하고, 이에 의해 트레일링 블레이드(20B)가 이동한다.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는 각각 부호는 붙이지 않지만 철편을 보유하고 있다.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는 철편이 전자석(70A)에 맞닿는 위치로부터 철편이 전자석(70A)으로부터 퇴피한 위치의 사이를 요동이 가능하다.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는 미도시의 스프링에 의해 전자석(70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세(付勢)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는, 미도시의 스프링에 의해 전자석(70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에는 상술한 스프링을 통해 각각 래칫 휠(ratchet wheel)(50A, 50B)이 계합하고 있다.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를 전자석(70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의 일단은 래칫 휠(50A)에 계합하고 있고, 스프링의 타단은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에 계합하고 있다. 래칫 휠(50A)의 회전량을 조정함으로써, 스프링의 부세력을 조정할 수가 있다. 래칫 휠(50B)도 래칫 휠(50A)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전자석(70A)은 통전됨으로써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의 철편을 흡착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전자석(70B)도 통전됨으로써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의 철편을 흡착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블레이드 구동 장치(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3은 블레이드 구동 장치(1)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여기서, 도 2는 블레이드 구동 장치(1)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미도시의 세트 레버가 초기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리딩 블레이드(20A)는 전개하여 개구부(11)를 폐쇄하고, 트레일링 블레이드(20B)는 중첩하여 개구부(11)로부터 퇴피하고 있다. 이 초기 상태에 있어서,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의 철편은 각각 전자석(70A, 70B)에 맞닿고, 이것에 흡착 가능한 초기 위치에 세트되어 있다.
촬영에 즈음하여, 카메라의 릴리즈 버튼(release button)이 눌리면, 전자석(70A, 70B)의 코일이 통전되어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의 철편은 전자석(70A)에 흡착되고,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의 철편은 전자석(70B)에 흡착된다. 그 후, 세트 레버는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로부터 퇴피한다. 여기서,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는 각각 전자석(70A, 70B)에 흡착된 상태로 보유되어 있다.
그 후, 전자석(70A)의 코일의 통전이 차단되면, 도 3에 나타내듯이,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는 스프링의 부세력에 따라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리딩 블레이드(20A)는 개구부(11)로부터 퇴피하여 중첩 상태로 된다. 또, 소정 기간 전자석(70B)의 코일에의 통전이 유지되어 트레일링 블레이드(20B)는 개구부(11)로부터 퇴피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개구부(11)는 열린 상태로 된다. 도 3은 노출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리딩 블레이드(20A)는 개구부(11)로부터 퇴피하여 완충 부재(80)에 맞닿는다.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의 요동 범위는 기판(10)에 형성된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와 계합하는 슬롯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가 스프링의 부세력에 따라서 회전한 경우, 슬롯의 단부에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가 맞닿아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가 바운드하고, 그 결과 리딩 블레이드(20A)도 바운드할 우려가 있다. 그렇지만, 리딩 블레이드(20A)는 리딩 블레이드(20A)의 이동 범위의 단부에서 완충 부재(80)와 맞닿는다. 이에 의해 리딩 블레이드(20A) 및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의 바운드가 억제된다.
릴리즈 버튼이 눌리고 나서 소정 기간 경과후에 전자석(70B)의 코일에의 통전이 차단되고, 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해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트레일링 블레이드(20B)는 전개하여 개구부(11)를 폐쇄한다. 이 때에 트레일링 블레이드(20B)의 이동 방향의 선두에 위치하는 블레이드(21b)는 완충 부재(60)에 맞닿는다. 동시에,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는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와 계합하는 기판(10)에 형성된 슬롯의 단부에 맞닿는다. 도 1은 노광 작동을 종료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1회의 촬영이 종료된다.
다음에, 미도시의 세트 레버에 의해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이에 의해 리딩 블레이드(20A)는 전개되어 개구부(11)를 폐쇄하고, 트레일링 블레이드(20B)는 중첩하여 개구부(11)로부터 퇴피하여, 도 2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완충 부재(6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도 5는 완충 부재(60)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노광 작동 종료 직후의 상태에서의 완충 부재(60) 주변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4에 있어서는 리딩 블레이드(20A)에 대해서 생략되어 있고, 또 투시도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4에는 트레일링 블레이드(20B)가 개구부(11)를 폐쇄할 때의 트레일링 블레이드(20B)의 이동 방향 D를 나타내고 있다.
최초로 블레이드(21b)와 구동 암(31b, 32b)의 연결에 대해서 설명한다. 블레이드(21b)는 연결부(31b1)에 의해 구동 암(31b)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부(32b1)에 의해 구동 암(32b)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블레이드(21b), 구동 암(31b, 32b)은 평행 링크 기구로서 기능한다. 연결부(31b1, 32b1)는 각각 구동 암(31b, 32b)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블레이드(22b)는 연결부(31b2)에 의해 구동 암(31b)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부(32b2)에 의해 구동 암(32b)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 외의 블레이드(23b, 24b)도 마찬가지의 구조에 의해 구동 암(31b, 32b)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연결부(31b1, 31b2, 32b1, 32b2)는 각각 코킹 핀(caulking pin)이다.
다음에 완충 부재(6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도, 리딩 블레이드(20A)는 생략되어 있고, 블레이드(22b), 구동 암(32b)에 대해서도 생략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듯이 기판(10)의 배면측에 배면판(18)이 고정되어 있다. 배면판(18)에는 기판(10)의 개구부(11)와 대응한 개구부(18a)가 형성되어 있다. 기판(10)과 배면판(18)의 사이에는 칸막이 판(17)이 배치되어 있다. 칸막이 판(17)에는 개구부(11, 18a)에 대응한 개구부(17a)가 형성되어 있다. 기판(10)과 칸막이 판(17)의 사이에 트레일링 블레이드(20B), 구동 암(31b, 32b)이 수납되어 있다. 배면판(18)과 칸막이 판(17)의 사이에 리딩 블레이드(20A), 구동 암(31a, 32a)이 수납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듯이, 완충 부재(60)는 기판(10)과 칸막이 판(17)의 사이에 수납되어 있다. 완충 부재(80)는 칸막이 판(17)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고 기판(10)과 배면판(18)의 사이에 수납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완충 부재(60)는 루프 모양이고, 탄성변형 가능한 고무제이다. 기판(10)에는 완충 부재(60)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제1 보유부(16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보유부(16a) 내에는 완충 부재(60)와 감합하는 제2 보유부(16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보유부(16a)는 완충 부재(60)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보유부(16b)는 완충 부재(60)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보유부(16b)는 돌출 형상이다.
완충 부재(60)는 제2 보유부(16b)를 통해 서로 마주보는 피협지부(61), 비협지부(62)를 가지고 있다. 완충 부재(60)의 피협지부(61)는 제1 보유부(16a)와 제2 보유부(16b)에 끼워져 있다. 완충 부재(60)의 비협지부(62)는 제1 보유부(16a)와 제2 보유부(16b)에는 끼워져 있지 않고, 비협지부(62)에는 블레이드(21b)가 맞닿는다. 즉, 완충 부재(60)의 일부분인 피협지부(61)가 제1 보유부(16a)와 제2 보유부(16b)에 끼워지도록 하여 완충 부재(60)가 보유되어 있다.
완충 부재(60)는 제2 보유부(16b)와 감합한 내주면(64)을 가지고 있다. 내주면(64)은 이동 방향 D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은 긴 구멍 모양이다. 내주면(64)은 제2 보유부(16b)를 통해 서로 마주보는 제1 내주면(64a), 제2 내주면(64b)을 가지고 있다. 제1 내주면(64a)은 피협지부(61)측이고, 제2 내주면(64b)은 비협지부(62)측이다.
도 4, 도 5에 나타내듯이, 제2 보유부(16b)와 비협지부(62)의 사이에는 소정의 클리어런스(clearance) C가 설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내주면(64a)은 제2 보유부(16b)에 대략 밀착하고 있는데 반해, 제2 내주면(64b)은 제2 보유부(16b)로부터 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완충 부재(60)는 클리어런스 C의 분만큼 루프 모양의 형상이 뒤틀리도록 탄성변형 가능하다. 즉, 완충 부재(60)는 블레이드(21b)가 맞닿음으로써 블레이드(21b)의 이동 방향 D의 방향으로 찌부러지도록 탄성변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충 부재(60)의 루프 모양의 형상이 뒤틀리도록 변형 가능하게 완충 부재(60)의 일부분이 보유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블레이드(21b)가 완충 부재(60)에 맞닿음으로써, 완충 부재(60)는 루프 모양의 형상이 뒤틀리도록 하여 변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충 부재(60) 자체가 가지는 탄성에 더하여, 완충 부재(60)의 루프 모양의 형상이 뒤틀림으로써 완충 부재(60)에 맞닿을 때의 블레이드(21b)의 바운드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블레이드(21b)가 바운드하여 개구부(11)의 일부를 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블레이드(21b)가 완충 부재(60)에 맞닿았을 때에, 구동 암(31b)의 연결부(31b1)와 완충 부재(60)는 블레이드(21b)가 완충 부재(60)를 향해 이동하는 이동 방향 R로 늘어선다. 마찬가지로 블레이드(21b)와 완충 부재(60)가 맞닿았을 때에, 구동 암(32b)의 연결부(32b1)와 완충 부재(60)는 블레이드(21b)의 이동 방향 D로 늘어선다. 이에 의해 블레이드(21b)가 정지했을 때에 가장 큰 충격이 가해진다고 생각되는, 블레이드(21b)의 연결부(31b1, 31b2) 주변에 가해지는 충격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블레이드(21b)나 구동 암(31b)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만일, 블레이드(21b)가 완충 부재(60)에 맞닿았을 때에 연결부(31b1, 32b1)와 완충 부재(60)가 이동 방향 D로 늘어서지 않는 위치에 완충 부재(60)가 배치된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블레이드(21b)가 완충 부재(60)에 맞닿았을 때에, 블레이드(21b)가 연결부(31b1, 32b1)를 지점(支點)으로하여 블레이드(21b)가 기울 우려가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21b)를 일정한 자세로 평행이동시킬 수가 없을 우려가 있다. 그렇지만, 블레이드(21b)가 완충 부재(60)에 맞닿았을 때에 연결부(31b1, 32b1)와 완충 부재(60)가 이동 방향 D로 늘어섬으로써, 맞닿았을 때에 블레이드(21b)가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듯이 완충 부재(60)는 직선 모양부(63)를 가지고 있다. 직선 모양부(63)는 완충 부재(60)에 맞닿는 블레이드(21b)의 직선 모양의 가장자리부(edge portion)를 따르고 있다. 이에 의해 블레이드(21b)가 완충 부재(60)에 맞닿았을 때에 블레이드(21b)가 기우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완충 부재(60)와 맞닿았을 때에 블레이드(21b)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할 수가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듯이 블레이드(21b)의 직선 모양의 가장자리부와 완충 부재(60)의 직선 모양부(63)가 맞닿는 상태에 있어서, 블레이드(21b)의 직선 모양의 가장자리부의 일단(21b1)과 완충 부재(60)의 직선 모양부(63)는 맞닿지 않는다. 이 구성에 의해 블레이드(21b)가 완충 부재(60)에 맞닿았을 때의 충격이 블레이드(21b)의 직선 모양의 가장자리부의 일단(21b1)과 완충 부재(60)의 직선 모양부(63)의 맞닿음부에 집중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블레이드(21b)의 직선 모양의 가장자리부의 일단(21b1)이나 완충 부재(60)의 직선 모양부(63)가 국부적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도 4, 도 5에 나타내듯이, 구동 암(31b)은 완충 부재(60)에 맞닿지 않는다. 상세하게는, 구동 암(31b)의 선단은 블레이드(21b)의 가장자리로부터 튀어나오지 않게 블레이드(21b)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블레이드 구동 장치의 제1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에 즈음하여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곳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6, 도 7은 블레이드 구동 장치의 제1 변형예와 관련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 단면도이다. 도 6, 도 7에 나타내듯이, 블레이드(21b)와 완충 부재(60)가 맞닿을 때에는, 블레이드(21b)를 구동하는 구동 암(31b′)의 선단이 대략 동시에 완충 부재(60)에 맞닿는다.
다음에, 블레이드 구동 장치의 제2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 도 9는 블레이드 구동 장치의 제2 변형예와 관련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8의 C-C 단면도이다. 도 8, 도 9에 나타내듯이, 블레이드(21b′)는 완충 부재(60)에 맞닿지 않고, 블레이드(21b′)를 구동하는 구동 암(31b′)이 완충 부재(60)에 맞닿는다. 이와 같이 구동 암(31b′)과 완충 부재(60)가 맞닿는 것에 의해서도 블레이드(21b′)의 바운드를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레이드(21b′) 전용의 완충 부재를 별도로 설치해도 좋다.
또, 도 8에 있어서도 도 4에서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블레이드(21b′)의 직선 모양의 가장자리부의 일단(21b′1)과 완충 부재(60)의 직선 모양부(63)는 맞닿지 않는다. 이 구성에 의해, 구동 암(31b′)과 완충 부재(60)가 맞닿은 후, 완충 부재(60)가 탄성변형하여 블레이드(21b′)가 비협지부(62)에 맞닿았을 때의 충격이 블레이드(21b′)의 직선 모양의 가장자리부의 일단(21b′1)과 완충 부재(60)의 직선 모양부(63)의 맞닿음부에 집중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블레이드(21b′)의 직선 모양의 가장자리부의 일단(21b′1)이나 완충 부재(60)의 직선 모양부(63)가 국부적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관계되는 특정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실시예에 있어서 완충 부재(60)는 대략 직사각형 모양이지만 이러한 형상으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타원 형상, 원 형상, 삼각형 형상, 다각형 형상이라도 좋다.
리딩 블레이드(20A)의 적어도 1매의 블레이드가 맞닿는 완충 부재로서, 실시예의 완충 부재(60)와 같은 루프 모양의 완충 부재를 채용해도 좋다. 또,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 또는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가 맞닿는 완충 부재로서 실시예의 완충 부재(60)와 같은 루프 모양의 완충 부재를 채용해도 좋다.
실시예에 있어서는 블레이드 구동 장치의 일례로서 초점면 셔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블레이드 구동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블레이드 구동 장치는 개구가 형성된 기판에 대해서 소정의 위치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함으로써 개구의 상태를 변경하는 블레이드를 구비한 블레이드 구동 장치라도 좋다. 이 블레이드는 기판의 개구를 전폐 상태 및 작은 조임 상태의 적어도 1개로 획정하는 것이면 좋다.
또, 본 실시예에 대해서는, 블레이드가 얇게 형성된 합성 수지제인 경우를 설명했지만 블레이드는 얇게 형성된 금속제라도 좋다.

Claims (9)

  1. 개구를 가진 기판과,
    상기 개구로부터 퇴피한 위치와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는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구동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루프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탄성을 가지고, 상기 블레이드의 이동 범위의 단부에서 상기 블레이드와 맞닿고, 상기 블레이드와 맞닿음으로써 상기 루프 모양의 형상이 뒤틀리도록 변형할 수 있는 완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완충 부재가 맞닿았을 때에, 상기 연결부와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완충 부재를 향해 이동하는 이동 방향으로 늘어서고,
    상기 기판은, 상기 완충 부재의 루프 모양의 형상이 뒤틀리도록 변형 가능하게 상기 완충 부재의 일부분을 보유하는 보유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보유부에 접촉하지 않는 내측면을 가지고, 상기 내측면은 상기 블레이드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인, 블레이드 구동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블레이드와 함께 상기 완충 부재와 맞닿는 블레이드 구동 장치.
  4. 개구를 가진 기판과,
    상기 개구로부터 퇴피한 위치와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는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구동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루프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탄성을 가지고, 상기 블레이드의 이동 범위의 단부에서 상기 구동 부재와 맞닿고, 상기 구동 부재와 맞닿음으로써 상기 루프 모양의 형상이 뒤틀리도록 변형할 수 있는 완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부재와 상기 완충 부재가 맞닿았을 때에, 상기 연결부와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완충 부재를 향해 이동하는 이동 방향으로 늘어서고,
    상기 기판은, 상기 완충 부재의 루프 모양의 형상이 뒤틀리도록 변형 가능하게 상기 완충 부재의 일부분을 보유하는 보유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보유부에 접촉하지 않는 내측면을 가지고, 상기 내측면은 상기 블레이드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인, 블레이드 구동 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부는, 상기 완충 부재의 외측에 배치된 제1 보유부, 상기 완충 부재의 내측에 배치된 제2 보유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보유부에 끼워진 피협지부, 상기 제1 및 제2 보유부에 끼워져 있지 않은 비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유부와 상기 비협지부와의 사이에는 소정의 클리어런스가 있는 블레이드 구동 장치.
  7.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이 완충 부재에 맞닿는 상기 블레이드의 직선 모양의 가장자리를 따른 직선 모양부를 가지고 있는 블레이드 구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완충 부재가 맞닿을 때에, 상기 블레이드의 직선 모양의 가장자리부의 일단과 상기 완충 부재의 직선 모양부는 맞닿지 않는 블레이드 구동 장치.
  9.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블레이드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광학 기기. 
KR1020127007684A 2010-02-22 2011-01-06 블레이드 구동 장치 및 광학 기기 KR101303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35673A JP5191503B2 (ja) 2010-02-22 2010-02-22 羽根駆動装置及び光学機器
JPJP-P-2010-035673 2010-02-22
PCT/JP2011/050135 WO2011102155A1 (ja) 2010-02-22 2011-01-06 羽根駆動装置及び光学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695A KR20120048695A (ko) 2012-05-15
KR101303545B1 true KR101303545B1 (ko) 2013-09-03

Family

ID=44482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7684A KR101303545B1 (ko) 2010-02-22 2011-01-06 블레이드 구동 장치 및 광학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11916B2 (ko)
JP (1) JP5191503B2 (ko)
KR (1) KR101303545B1 (ko)
CN (1) CN102667608B (ko)
WO (1) WO20111021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17517B2 (ja) * 2012-11-01 2017-04-19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及び光学機器
JP6009319B2 (ja) * 2012-11-01 2016-10-19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羽根駆動装置及び光学機器
JP2014126810A (ja) * 2012-12-27 2014-07-07 Yamauchi Corp カメラシャッターの緩衝部材
JP6253902B2 (ja) 2013-06-20 2017-12-27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及び光学機器
JP2015129821A (ja) 2014-01-06 2015-07-16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及び光学機器
JP6261992B2 (ja) * 2014-01-24 2018-01-17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6543932B2 (ja) * 2015-01-07 2019-07-17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羽根駆動装置および光学機器
JP2016161728A (ja) * 2015-02-27 2016-09-05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
JP6566244B2 (ja) * 2015-05-14 2019-08-28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および光学機器
JP2017037168A (ja) 2015-08-10 2017-02-16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および光学機器
JP6566254B2 (ja) * 2015-08-21 2019-08-28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および光学機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4230U (ko) * 1975-12-19 1977-06-23
JP2008058400A (ja) * 2006-08-29 2008-03-13 Canon Inc シャッター装置およびカメラ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4230A (en) 1976-01-01 1977-07-13 Sandoz Ag 1*33diphenylpyrazoline compound*process for manufacture thereof* method of whitening* whitened polyacrylonitrile or natural or synthetic polyamide basic materials
JPS623792Y2 (ko) * 1979-05-15 1987-01-28
JPS55164630A (en) 1979-06-11 1980-12-22 Green Cross Corp:The Freeze-dried preparation of anti-hbs globulin
JP3820296B2 (ja) * 1996-12-27 2006-09-13 キヤノン電子株式会社 シャッタ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カメラ
JP3801729B2 (ja) 1997-05-21 2006-07-26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3990820B2 (ja) 1998-07-30 2007-10-17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4005861B2 (ja) * 2002-07-09 2007-11-14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2005024640A (ja) * 2003-06-30 2005-01-27 Nidec Copal Corp カメラ用羽根駆動機構
JP2006317518A (ja) * 2005-05-10 2006-11-24 Canon Inc シャッタ装置およびカメラ
JP4264453B2 (ja) * 2007-02-13 2009-05-20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5117096B2 (ja) * 2007-04-26 2013-01-09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2009003382A (ja) * 2007-06-25 2009-01-08 Canon Electronics Inc シャッタ装置及び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4230U (ko) * 1975-12-19 1977-06-23
JP2008058400A (ja) * 2006-08-29 2008-03-13 Canon Inc シャッター装置および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91503B2 (ja) 2013-05-08
US20120183287A1 (en) 2012-07-19
CN102667608A (zh) 2012-09-12
CN102667608B (zh) 2015-03-11
JP2011170226A (ja) 2011-09-01
WO2011102155A1 (ja) 2011-08-25
KR20120048695A (ko) 2012-05-15
US8511916B2 (en)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545B1 (ko) 블레이드 구동 장치 및 광학 기기
KR101307122B1 (ko) 카메라용 초점면 셔터
KR101292871B1 (ko) 초점면 셔터 및 광학 기기
JP6231410B2 (ja)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及び光学機器
US8840325B1 (en) Focal plane shutter for camera
JP6543932B2 (ja) 羽根駆動装置および光学機器
US9039308B2 (en) Focal plane shutter and optical device
JP5562111B2 (ja)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及び光学機器
KR101292905B1 (ko) 초점면 셔터 및 광학 기기
JP6385297B2 (ja)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
JP6261992B2 (ja)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6081892B2 (ja)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及び光学機器
JP5570886B2 (ja) 位置決め機構
JP6566244B2 (ja)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および光学機器
JP6180319B2 (ja)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6411104B2 (ja)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及びカメラ
JP5905424B2 (ja)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2014071143A (ja) シャッタ装置及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