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122B1 - 카메라용 초점면 셔터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초점면 셔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7122B1 KR101307122B1 KR1020080013119A KR20080013119A KR101307122B1 KR 101307122 B1 KR101307122 B1 KR 101307122B1 KR 1020080013119 A KR1020080013119 A KR 1020080013119A KR 20080013119 A KR20080013119 A KR 20080013119A KR 101307122 B1 KR101307122 B1 KR 1013071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utter
- wing
- fingerboard
- wing chamber
- shock absorb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Abstract
셔터 지판(地板:bottom board)은, 합성 수지제이며, 그 원호 형상의 긴 구멍의 일단부에는, 날개실이 되는 면측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날개실 밖이 되는 면측에는 별도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완충 부재는, 날개실 내측이 되는 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날개실 외측이 되는 면에는 3개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완충 부재는, 이들 오목부가 상기 돌출부에 접촉하도록 하여 셔터 지판에 부착되어 있고, 주지하는 바와 같이, 노광 작동의 종료 시에 구동 부재의 구동 핀이 접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1개 또는 2개의 셔터 날개를 구비한 카메라용 초점면 셔터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용 초점면 셔터 내에는, 셔터 지판, 중간판, 보조 지판으로 불리는 3매의 판부재의 사이에 2개의 날개실을 구성하고, 이들 날개실에, 앞날개, 뒷날개로 불리는 2개의 셔터 날개를 개별적으로 배치하도록 한 것과, 셔터 지판과 보조 지판의 사이에 구성된 날개실에 1개의 셔터 날개를 배치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전자의 초점면 셔터는, 은염 필름 카메라나 디지털 카메라에도 채용되는데, 후자의 초점면 셔터는, 디지털 카메라에만 채용된다.
그리고 어떠한 초점면 셔터의 경우나, 셔터 날개의 구성은 대략 같고, 일단을 셔터 지판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한 복수의 아암과, 이들 아암에 연결축을 통해 피벗 지지된 적어도 1매의 날개로 구성되어 있다. 또, 구동 부재는, 셔터 지판의 날개실 밖의 면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그 구동 핀을, 셔터 지판에 형성된 원호 형상의 긴 구멍으로부터 날개실 안으로 뻗게 하여, 상기의 아암의 하나에 연결시킨다. 이를 위해, 셔터 날개는, 구동 부재의 왕복 회전에 의해서 개 폐 작동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구동 부재는, 노광 작동 시에는 고속으로 회전되므로, 그 작동의 종료 시에 있어서는, 상기의 구동 핀을,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의 긴 구멍의 일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완충 부재에 접하게 하고, 그 완충 부재를 일시적으로 압축시킴으로써 제동되고, 바운드가 적합하게 억제되어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일본국 특허공개 2001-133839호에는, 이러한 완충 부재의 형상과, 긴 구멍의 일단부에 대한 부착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노광 작동의 종료 시에 구동 부재의 구동 핀이 접하는 완충 부재는, 일본국 특허공개 2001-133839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같이, 통상은, 부틸 고무 등의 탄성 재료에 의해서, 평면 형상이 대략 C자 형상이 되도록 제작되어 있고, 그 외주부에는, 셔터 지판의 판두께 방향의 양단에, 대략 동일한 형상을 한 원호 형상의 2개의 돌출부(일본국 특허공개 2001-133839호에서는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완충 부재는, 전체를 압축 변형시켜 긴 구멍 내에 넣어지고,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서 원형으로 복귀되어, 2개의 돌출부가 셔터지판의 긴 구멍의 가장자리를 끼워 지지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그 부착 상태에 있어서는, 2개의 돌출부는, 셔터 지판의 양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된다.
그런데, 완충 부재의 돌출부가 셔터 지판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면, 셔터 지판에 부착되어 있는 다른 구성 부재가 작동 상 간섭할 가능성을 일으키게 되어, 설계 상 큰 제약을 받게 된다. 예를 들면, 완충 부재의 돌출부가, 셔터 지판으로부터 날개실 안으로 돌출될 때는, 셔터 날개의 구성 부재가, 작동 중에 돌출 부에 부딪치지 않게 설계해야 한다. 특히, 아암에 대하여 날개를 피벗 지지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연결축의 머리부가, 그 돌출부에 부딪쳐 버리는 것이 문제이다. 그래서, 이러한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는, 셔터 지판의 판 두께를, 완충 부재의 부착 부위(완충 부재의 2개의 돌출부에 의해서 끼워 지지되는 부위)만 얇게 하고, 완충 부재의 부착 상태에 있어서는, 완충 부재의 돌출부가 셔터 지판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부착 구성으로 해도 문제가 완전하게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즉, 주지하는 바와 같이, 셔터 날개는, 작동 중에, 작동면과는 수직인 방향(광축 방향)으로 치우쳐 있다. 이 때문에, 그러한 부착 구성으로 해도, 연결축의 머리부는 셔터 날개의 작동 중의 치우침에 의해서 완충 부재에 슬라이드 접하게 되고, 그에 따라, 완충 부재는 셔터 지판의 대략 판두께 방향으로도 압축되게 된다. 그리고 그러한 슬라이드 접촉이 장기에 걸쳐 반복되면, 완충 부재의 돌출부가 얇은 부위이므로, 돌출부의 형상이 원형으로 복귀되지 않고, 슬라이드 접촉 부위의 선단(원호 형상의 외주단)이 떠올라 날개실 안으로 돌출한 상태로 되어, 셔터 날개의 작동을 불안정하게 만든다. 또, 연결축의 머리부는 구동 핀과 같이 하여 완충 부재에 대하여 접하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드 접촉하므로, 완충 부재를 마모시켜, 완충 기능이나 부착 강도를 열화시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셔터 지판의 긴 구멍의 일단에 부착되어 있고, 노광 작동 종료 시에 구동 부재의 구동 핀이 접하는 완충 부재를, 셔터 유닛의 설계에 제약을 주지않도록 셔터 지판에 대하여 매우 적합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또한 완충 부재의 내구성이 뛰어난 카메라용 초점면 셔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초점면 셔터는, 합성 수지제의 셔터 지판과, 상기 셔터 지판과의 사이에 적어도 1개의 날개실을 구성하고 있는 보조 지판과, 복수의 아암과 이들 아암에 피벗 지지된 적어도 1매의 날개로 구성되어 있어 이들 아암의 일단이 상기 셔터 지판에 세워 설치된 복수의 날개 부착축에 대하여 개별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적어도 1개의 셔터 날개와, 상기 셔터 지판의 날개실 밖의 면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어 상기 셔터 지판에 형성된 원호 형상의 긴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아암의 1개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 핀에 의해서 상기 셔터 날개에 개폐 작동을 행하게 하는 적어도 1개의 구동 부재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긴 구멍의 일단부에 부착되어 있어 상기 구동 핀이 접함으로써 상기 구동 부재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완충 부재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셔터 지판에는, 상기 긴 구멍의 일단부에, 날개실 밖의 면측과 날개실 안의 면측의 양쪽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양쪽 돌출부에 의해서 상기 완충 부재를 끼워 지지하고, 적어도 날개실 안의 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는, 상기 셔터 지판의 판두께 내에 형성되어 있다.
그 경우, 상기 완충 부재에는, 날개실 내측의 면과 날개실 외측의 면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긴 구멍의 내벽에 접촉하는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한쪽이 그 오목부 내에서 상기 완충 부재에 접촉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완충 부재에는, 상기 긴 구멍의 내벽에 접촉하는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서 적어도 날개실 내측의 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쪽 돌출부가, 상기 오목부와 날개실 외측의 면에 접촉하여 상기 완충 부재의 일부를 끼워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긴 구멍의 일단부를 따라서 복수로 분할되어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가장 후자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완충 부재에는 날개실 내측의 면과 날개실 외측의 면과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긴 구멍의 내벽에 접촉하는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서 분할된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돌출부가, 이들 복수의 오목부 내에서 상기 완충 부재에 접촉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은, 노광 작동 종료 시에, 구동 부재의 구동 핀이, 셔터 지판의 긴 구멍의 일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완충 부재에 접하도록 한 카메라용 초점면 셔터에 있어서, 셔터 지판에는,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를 따라서, 날개실 밖의 면측과 날개실 안의 면측에 돌출부를 형성함과 함께, 적어도 날개실 안의 면측의 돌출부는, 셔터 지판의 판두께 내에 형성되도록 하고, 완충 부재는, 날개실 밖의 면 측의 돌출부와 날개실 안의 면측의 돌출부에 의해서 끼워 지지되도록 하였으므로, 셔터 유닛의 구성 부재의 설계, 특히 셔터 날개의 설계의 자유도가 커지고, 또한 완충 부재의 내구성도 뛰어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 3개의 실시예에 의해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2개의 셔터 날개를 구비한 초점면 셔터나, 1개의 셔터 날개를 구비한 초점면 셔터로도 구성할 수 있지만, 실시예 1은, 2개의 셔터 날개를 구비한 초점면 셔터로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2개의 셔터 날개를 구비한 초점면 셔터는, 상기와 같이 은염 필름 카메라나, 디지털 카메라에도 채용할 수 있지만, 실시예 1의 설명에서는, 디지털 카메라에 채용된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 또,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은, 주요부의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1~도 6을 이용해 실시예 1을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노광 작동을 종료한 직후의 상태를 고체 촬상 소자측에서 봐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일부 확대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완충 부재의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세트 상태를 도 1과 동일하게 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노광 작동의 도중 상태를 도 1과 같이 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여기서 먼저, 주로 도 1~도 4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셔터 지판(1)은 합성 수지제이며, 그 대략 중앙부에 장방형을 가로로 길게 한 촬영 광로용 개구부(1a)를 가지고 있다. 셔터 지판(1)의 고체 촬상 소자측, 즉, 도 1의 지면 앞측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중간판(2)과 보조 지판(3)이, 적절한 수단에 의해서 순서대로 부착되어 있고, 셔터 지판(1)과 중간판(2)의 사이에는 뒷날개의 날개실을 구성하고, 중간판(2)과 보조 지판(3)의 사이에는 앞날개의 날개실을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중간판(2)이나 보조 지판(3)은 주지이므로,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도 1 및 도 2에서는, 이들 외형 형상만을 각각 1점 쇄선으로 표시하고, 도 5 및 도 6에서는 생략되어 있지만, 도 3의 단면도에는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중간판(2)과 보조 지판(3)에도, 개구부(1a)와 대향하는 곳에, 개구부(1a)보다 크고 유사한 형상을 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도 1에서는 이들 개구부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셔터 지판(1)은, 도 1에서, 개구부(1a) 우측의 영역에, 대략 원호 형상을 한 2개의 큰 긴 구멍(1b, 1c)을 가진다. 보조 지판(3)에도, 이들 긴 구멍(1b, 1c)과 대략 동일한 형상을 한 긴 구멍이, 이들 긴 구멍(1b, 1c)과 대향하는 곳에 형성되어 있는데, 도 1에서는, 이들 긴 구멍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고, 긴 구멍(1c)과 대향하는 곳에 형성되어 있는 긴 구멍(3a)만이, 도 3의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 셔터 지판(1)의 긴 구멍(1b, 1c)의 하단부에는, 평면 형상이 대략 C자 형상을 한 완충 부재(4, 5)가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들 완충 부재(4, 5)는 독특한 형상과 부착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양자의 부착 구성은 실질적으로 같다. 이 때문에, 이하에서는, 주로 도 3 및 도 4를 이용하 여, 완충 부재(5)의 부착 구성만을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완충 부재(4, 5)는, 부틸 고무제이지만, 소정의 탄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면, 엘라스토머 등의 다른 재료로 제작해도 상관없다.
상기와 같이,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또, 도 4는, 완충 부재(5)를 부착하기 직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인데, 이 도 4는, 완충 부재(5)와 완충 부재(5)를 부착하는 긴 구멍(1c)의 단부를, 도 3의 좌측에서(즉, 날개실측에서), 도 3의 윗쪽에서 아래쪽을 향해서 비스듬하게 본 도면이다. 이 도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긴 구멍(1c)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는, 그 원호 형상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셔터 지판(1)의 날개실 안의 면측에 3개의 돌출부(1c-1, 1c-2, 1c-3)가 형성되고, 날개실 밖의 면측에 3개의 돌출부(1c-4, 1c-5, 1c-6)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양측의 돌출부가 번갈아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어떠한 측의 돌출부나 셔터 지판(1)의 판두께(t) 내에 형성되어 있고, 셔터 지판(1)의 양면으로는 전혀 돌출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의 완충 부재(5)는, 상기한 것처럼 평면 형상이 대략 C자 형상을 하고 있는데, 그 양면에는, 긴 구멍(1c)의 내벽에 접촉하는 원호 형상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 두께를 부분적으로 얇게 한 3개씩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먼저, 도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날개실 내측이 되는 면에는 오목부(5a, 5b, 5c)가 형성되어 있다. 또, 날개실 외측이 되는 면에도 3개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는, 이들 중 하나로서, 상기의 오목부(5a)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5d)의 존재만을 알 수 있도록 나타나 있는데, 도시되지 않은 나머지 2개의 오목부는, 상기 오목부(5b, 5c)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날개실 외측에 형성된 3개의 오목부는, 상기의 날개실 내측에 형성된 3개의 오목부(5a, 5b, 5c)와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이 완충 부재(5)는, 원호 형상의 외주면(5f)을, 긴 구멍(1c)에 부착할 때의 접촉면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을 하고 있는 완충 부재(5)를 긴 구멍(1c)의 일단부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완충 부재(5)를, 그 외주면(5f) 양단의 직선 거리가 짧아지도록 압축 변형시켜 두고, 도 4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긴 구멍(1c)에 넣고나서 단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돌출부(1c-1~1c-3)와 돌출부(1c-4~1c-6)의 사이에 삽입하고, 외주면(5f)이 긴 구멍(1c)의 내벽에 접한 단계에서, 원형으로 복귀시키도록 한다. 이를 위해, 그 부착 상태에서 돌출부(1c-1~1c-3)는 오목부(5a~5c)에 접촉하고, 돌출부(1c-4~1c-6)는 오목부(5d)를 포함하는 3개의 오목부에 접촉한다. 여기서, 도 3에서는, 완충 부재(5)의 날개실 외측에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1c-5)에 접촉하는 오목부에 부호(5e)가 붙여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완충 부재(5)의 양면에 3개씩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은, 완충 부재(5)의 부착 자세를 매우 적합하게 안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이러한 오목부는, 한쪽 면에만 형성하면 되는 경우도 있고, 양면 모두 형성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1c-1~1c-3)와 돌출부(1c-4~1c-6)를 교대로 형성하는 것은, 셔터 지판(1)의 성형 가공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것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각각의 면측에 형성되는 돌출부의 한쪽 또는 양쪽 모두를, 본 실시예와 같이 복수로 분할하지 않고, 연 속시킨 원호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 돌출부를 원호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완충 부재(5)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오목부도, 연속시킨 하나의 원호 형상의 오목부로 형성해도 된다. 이 때문에, 그러한 원호 형상의 오목부는, 완충 부재(5)의 양면에 형성하는 경우도 있고, 한쪽 면에만 형성하여 다른쪽 면을 편평하게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이들 양태 중, 후기의 실시예 2는, 셔터 지판(1)의 날개실 내측의 돌출부와 날개실 외측의 돌출부 모두 원호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로서, 완충 부재의 한쪽 면에만 원호 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하고, 다른쪽 면을 편평하게 형성한 경우의 변형예의 하나이다. 또한, 실시예 3은, 셔터 지판(1)의 날개실 내측의 돌출부와 날개실 외측의 돌출부 양쪽 모두를, 원호 형상의 하나의 돌출부로 형성한 경우로서, 완충 부재(5)의 양쪽 면에 원호 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한 경우의 변형예의 하나이다.
도 1에서의 셔터 지판(1)의 배면, 즉 셔터 지판(1)의 날개실 밖의 면에는, 축(1d, 1e)이 세워 설치되고, 축(1d)에는 앞날개용 구동 부재(6)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축(1e)에는 뒷날개용 구동 부재(7)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어, 각각 도시하지 않은 주지의 구동 용수철에 의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받고 있다. 또, 앞날개용 구동 부재(6)와 뒷날개용 구동 부재(7)는, 구동 핀(6a, 7a)을 가지고 있고, 이들을 긴 구멍(1b, 1c)에 삽입하여 날개실 안으로 관통시키는데, 이들 구동 핀(6a, 7a)은 상기의 완충 부재(4, 5)에 접하는 근원부의 단면 형상이 원형을 하고 있고, 선단부의 단면 형상이 D형을 하고 있다. 그리고 앞날개용 구동 부재(6)와 뒷날개용 구동 부재(7)에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2005-24187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여, 주지의 철조각 부재(8, 9)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셔터 지판(1)의 날개실 밖의 면에는, 이 밖에도 앞날개용 구동 부재(6)와 뒷날개용 구동 부재(7)를, 각각의 구동 용수철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세트 위치까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세트 부재나, 릴리즈의 초기 단계에서, 철조각 부재(8, 9)를 흡착 지지하는 앞날개용 전자석, 뒷날개용 전자석 등이 직접 또는 간접으로 부착되어 있는데, 이들 구성은 주지이며 본 발명에는 직접 관계가 없으므로,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셔터 지판(1)의 날개실측의 면에는, 상기의 축(1d, 1e)과 동심이 되도록 하여 축(1f, 1g)이 세워 설치되는 외에 축(1h, 1i)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것처럼, 셔터 지판(1)과 중간판(2)의 사이의 날개실에는 뒷날개가 배치되고, 그 중간판(2)과 보조 지판(3)과의 사이의 날개실에는 앞날개가 배치되어 있다. 먼저, 앞날개는, 2개의 아암(10, 11)과, 이들 길이 방향으로 순서대로 피벗 지지된 3매의 날개(12, 13, 14)로 구성되어 있고, 아암(10, 11)은, 날개(12, 13, 14)보다 보조 지판(3)측에 배치되어 있고, 이들 1단이 상기의 축(1f, 1h)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서는 알기 어렵지만, 아암(10)에는 긴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앞날개용 구동 부재(6)의 구동 핀(6a)의 선단부가, 그 긴 구멍에 끼워 맞춰지고, 보조 지판(3)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긴 구멍에 삽입되어 있다.
한편, 뒷날개는, 2개의 아암(15, 16)과, 이들 길이 방향으로 순서대로 피벗 지지된 3매의 날개(17, 18, 19)로 구성되어 있고, 날개실 안에는, 앞날개를 뒤집은 상태로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아암(15, 16)은 날개(17, 18, 19)보다 셔터 지판(1)측에 배치되어 있고, 이들 일단이 상기의 축(1g, 1i)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서는 알기 어렵기 때문에 부호를 붙이지 않지만,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아암(15)에는 긴 구멍(15a)이 형성되어 있고, 뒷날개용 구동 부재(7)의 구동 핀(7a)의 선단부가, 그 긴 구멍(15a)에 끼워 맞춰져, 보조 지판(3)의 긴 구멍(3a)에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앞날개와 뒷날개는, 각각, 2개의 아암에 3매의 날개를 피벗 지지하고 있는데, 각각 6개소, 합계 12개소에서의 피벗 지지 구성은 모두 같고, 연결축을 이용한 주지의 구성을 하고 있다. 즉, 도 3에서는, 아암(15)에 대한 날개(17)의 피벗 지지 구성이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는, 리벳 부재인 연결축(20)을, 아암(15)에 형성된 구멍과 날개(17)에 형성된 구멍에 순서대로 삽입한 후, 코킹(caulking) 가공에 의해서 선단을 날개(17)에 고정하고, 그에 따라, 아암(15)과 연결축(20)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서는, 앞날개에 사용되는 6개의 연결축은, 이들 머리부를 아암(10, 11)으로부터 보조 지판(3)측으로 돌출되고, 연결축(20)을 포함하는 뒷날개에 사용되는 6개의 연결축은, 이들 머리부를 아암(15, 16)으로부터 셔터 지판(1)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1은, 노광 작동이 종료하고, 앞날개의 3매의 날개(12~14)가 겹쳐져 개구부(1a)의 하측방 위치에 격납되고, 뒷날개의 3매의 날개(17~19)가 전개되어 개구부(1a)를 덮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 고 이 상태에서, 촬상 정보가 고체 촬상 소자로부터 기억 장치로 전송된다. 그리고 그 전송이 종료하면, 즉시 세트 작동이 행해진다. 이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세트 부재가, 카메라 본체측의 부재에 의해서 초기 위치부터 회전되고, 먼저, 앞날개용 구동 부재(6)를 도시하지 않은 앞날개용 구동 용수철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 후, 앞날개의 슬릿 형성용의 날개(14)가, 뒷날개의 슬릿 형성용의 날개(19)에 소정량 겹치면, 도시하지 않은 뒷날개용 구동 용수철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뒷날개용 구동 부재(7)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시작한다. 이 때문에, 앞날개의 3매의 날개(12~14)는, 날개끼리의 겹침을 작게 하면서 윗쪽으로 작동하고, 뒷날개의 3매의 날개(17~19)는, 날개끼리의 겹침을 크게 하면서 윗쪽으로 작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세트 작동이 행해지고, 앞날개의 3매의 날개(12~14)가 전개되어 개구부(1a)를 덮고, 뒷날개의 3매의 날개(17~19)가 겹쳐 개구부(1a)의 윗쪽 위치에 격납된 상태로 되면, 각 구동 부재(6, 7)에 부착되어 있는 철조각 부재(8, 9)가, 도시하지 않은 앞날개용 전자석과 뒷날개용 전자석의 철심(iron core) 부재에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그 상태가 되면, 도시하지 않은 세트 부재의 회전이 정지되고, 도 5에 도시된 세트 상태로 되어, 다음 촬영까지 이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완충 부재(4, 5)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완충 부재(5)와 같이, 어느것이나 셔터 지판(1)의 양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또, 완충 부재(4, 5)를 부착하기 위해서 셔터 지판(1)의 긴 구멍(1b, 1c)의 단부에 형성 되어 있는 복수의 돌출부도,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돌출부(1c-3, 1c-5)로부터 알 수 있듯이, 셔터 지판(1)의 양면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셔터 지판(1)을 본 실시예와 같은 형상으로 하면, 금형의 제작이 용이하게 되고, 셔터 지판(1)의 양면에 배치되어 작동하는 각종 부재의 설계가 용이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같이, 완충 부재(4, 5)나, 이들을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돌출부를, 셔터 지판(1)의 양면으로 돌출하지 않게 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완충 부재(4, 5)나, 이들을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돌출부가, 셔터 지판(1)의 날개실측의 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게 함으로써 매우 큰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완충 부재(5)가, 상기의 연결축(20)의 작동 궤적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완충 부재(5)나 돌출부(1c-1~1c-3)가 셔터 지판(1)의 날개실측의 면으로부터 돌출되면, 연결축(20)의 머리부가 이들에 부딪쳐 버리게 된다. 이 때문에, 부딪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셔터 지판(1)을 특별한 형상으로 하거나, 피벗 지지 위치를 밀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하기 위해서는, 전자의 경우에는, 긴 구멍(1b, 1c)의 근방 영역에서의 셔터 지판(1)의 판 두께를 필요 이상 두껍게 해야 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셔터 지판(1)의 평면 면적을 크게 해야 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이렇게 할 필요가 전혀 없다.
또, 일본 특허공개 2001-133839호에 기재되어 있는 완충 부재의 부착 구성에서, 완충 부재를 얇게 하여, 그 완충 부재가 셔터 지판의 날개실측의 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게 구성하면 된다는 생각도 있다. 그러나, 이처럼 하기 위해서는, 비록 완충 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셔터 지판의 부위를 얇게 해도, 그 부위를 끼워 지 지하기 위한 완충 부재측의 2개의 돌출부(일본국 특허공개 2001-133839호에서는 플랜지부)를 매우 얇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소정의 부착 강도를 얻기 어렵게 된다. 또, 그처럼 구성했다고 해도, 2개의 돌출부(플랜지부)가 셔터 지판의 양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억제하는 것이 없고, 또한, 연결축(20)의 머리부가 세트 작동마다, 완충 부재에 슬라이드 접하므로, 오랫동안, 마모되거나 변형하여, 돌출부의 원호 형상의 외주부가 말려올라가, 셔터 지판의 날개실측의 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연결축(20)의 머리부의 궤적(도 2에서의 2점 쇄선 B) 상에 존재하는 돌출부(1c-2)가 벽이 되고, 연결축(20)의 머리부가 완충 부재(5)에 슬라이드 접하지 않게 되는데, 드물게 접촉하는 경우가 있어도, 매우 좁은 영역에 일순간 접촉할 뿐이므로, 아무런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도 5의 세트 상태로 된 후, 촬영에 있어, 릴리즈 버튼이 눌려지면, 우선, 도시하지 않은 앞날개용 전자석과 뒷날개용 전자 자석에 통전되므로, 철조각 부재(8, 9)는, 각각의 전자석의 철심 부재에 흡착 지지된다. 그 후, 도시하지 않은 세트 부재가 초기 위치에의 복귀 작동을 개시하는데, 이 때는, 이미 철조각 부재(8, 9)가 각각의 전자석의 철심 부재에 흡착 지지되어 있으므로, 각 구동 부재(6, 7)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극히 조금 이동하는 경우는 있지만, 대략 도 5의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세트 부재가 초기 위치에 복귀하여 정지하면, 2개의 전자석에 대한 통전이, 노광 제어 회로에 의해서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순서대로 중단되게 된다.
여기서 먼저, 앞날개용 전자석에 대한 통전이 중단되면, 철조각 부재(8)에 대한 흡인력을 잃게 되므로, 앞날개용 구동 부재(6)는 도시하지 않은 앞날개용 구동 용수철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서 급속히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문에, 앞날개는, 구동 핀(6a)에 의해서 노광 작동이 행해지고, 3매의 날개(12~14)는, 날개끼리의 겹침을 크게하면서 대략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개구부(1a)를 윗쪽부터 열어 간다. 다음에, 뒷날개용 전자석에 대한 통전이 끊기면, 철조각 부재(9)에 대한 흡인력을 잃게 되므로, 뒷날개용 구동 부재(7)는, 도시하지 않은 뒷날개용 구동 용수철의 탄성 저항력에 의해서 급속히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문에, 뒷날개는, 구동 핀(7a)에 의해서 노광 작동이 행해지고, 3매의 날개(17~19)는, 날개끼리의 겹침을 작게하면서 대략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개구부(1a)를 윗쪽부터 닫아 간다. 따라서, 그 후는, 앞날개의 날개(14)와 뒷날개의 날개(19)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에 의해, 고체 촬상 소자의 촬상면을 순서대로 노광하게 된다.
그 후, 앞날개의 날개(14)가 개구부(1a)로부터 완전하게 물러나면, 앞날개용 구동 부재(6)의 구동 핀(6a)이 완충 부재(4)에 접함으로써, 앞날개용 구동 부재(6)와 앞날개의 작동이 정지한다. 그리고 구동 핀(6a)이 완충 부재(4)에 접했을 때에는, 완충 부재(4)를 일시적으로 압축시킴으로써 제동되고 또한 바운드가 방지된다. 도 6은, 이와같이 하여 앞날개용 구동 부재(6)와 앞날개의 작동이 정지했지만, 뒷날개용 구동 부재(7)와 뒷날개가, 아직도 작동하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때, 뒷날개의 연결축(20)은 완충 부재(5)의 배치 위치를 통과하는데, 상기 세트 작동의 설명 중에도 기술한 것처럼, 연결축(20)의 머리부(원형의 파선 부 위)는 완충 부재(5)에 슬라이드 접하는 일이 거의 없다. 그 후, 뒷날개의 날개(19)가 개구부(1a)를 다 덮으면, 그 직후에, 뒷날개용 구동 부재(7)는 그 구동 핀(7a)이 완충 부재(5)에 접하여, 완충 부재(5)를 일시적으로 압축시킴으로써 제동되고 또한 바운드가 방지되어 정지된다. 이 때의 상태가 도 1에 도시된 상태로서, 이 상태에서, 촬상 정보가 고체 촬상 소자로부터 기억 장치에 전송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실시예의 초점면 셔터가 디지털 카메라에 채용된 경우로 설명했는데, 은염 필름을 사용하는 카메라에도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에 채용할 때는, 본 실시예와 같이, 셔터 지판(1)을 피사체측으로 하지 않고, 고체 촬상 소자측에 배치되기도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앞날개용 구동 부재(6), 앞날개, 앞날개용 전자석 등을 구비하지 않으면, 1개의 셔터 날개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용의 초점면 셔터가 된다. 그리고 이와같이 구성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동 부재(6, 7)는, 노광 작동 시에, 구동 용수철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서 회전되는데,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전자석이나 구동 용수철을 구비하지 않고, 전자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왕복 회전되는 것도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도 적용된다.
[실시예 2]
다음에, 도 7 및 도 8을 이용해 실시예 2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완충 부재의 부착 상태를 도 3과 동일하게 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실시예의 완충 부재의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도 7의 우측 윗쪽에서 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완충 부재는, 실시예 1의 완충 부재(4, 5)와는 다른 형상을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들 완충 부재를 부착하기 위해서 상기의 셔터 지판(1)에 형성되어 있는 부위의 형상도 다르다. 그러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경우와 같다. 이 때문에, 도 7 및 도 8에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부재, 부위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 이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작동 설명도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2개의 완충 부재의 형상과, 셔터 지판(1)에 대한 이들 부착 구성이 실시예 1의 경우와 다를 뿐이다. 그리고 2개의 완충 부재는, 셔터 지판(1)에 대하여, 각각 동일하게 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7 및 도 8에서는, 뒷날개용 구동 부재(7)의 구동 핀(7a)이 접하는 완충 부재(25)와, 그 부착 구성만을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셔터 지판(1)에 형성되어 있는 긴 구멍(1c)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는, 그 원호 형상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셔터 지판(1)의 날개실 안의 면측에 돌출부(1c-7)가 형성되고, 날개실 밖의 면측에 돌출부(1c-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돌출부(1c-7, 1c-8)는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이 분할되지 않고, 각각 원호 형상을 한 1개의 돌출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1c-7)는 셔터 지판(1)의 날개실 내측의 면으로부터 날개실 안으로는 돌출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 실시예서 돌출부(1c-8)는, 셔터 지판(1)의 날개실 외측의 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왜냐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돌출부(1c-8)가 셔터 지판(1)의 날개실 외측의 면으로부터 돌출되어도, 날개실 밖에서 셔터 지판(1)에 부착되는 구성 부재의 설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이기 때문 이다.
본 실시예의 완충 부재(25)도 평면 형상이 대략 C자 형상을 하고 있는데, 구동 핀(7a)의 최초로 접하는 면(25b)이, 구동 핀(7a)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평면(25b)을 형성하면, 원호면의 깊이 치수(a)보다, 구동 핀(7a)에 의해서 가장 많이 압축되는 부위의 깊이 치수(b)가 커지고, 그만큼 제동 효과·완충 효과가 커진다. 또, 이 완충 부재(25)는, 날개실 외측의 면이 평평하다. 그러나, 날개실 내측의 면에는, 돌출부(1c-7)와 접촉하는 영역에 원호 형상의 오목부(25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완충 부재(25)는, 돌출부(1c-7, 1c-8)에 의해서 끼워 지지되는 원호 형상의 부위가 얇게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이 완충 부재(25)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변형되어 돌출부(1c-7, 1c-8)의 사이에 삽입되고, 외주면(25c)이 긴 구멍(1c)의 내벽에 접한 후, 원형으로 복귀되어 장착 상태로 된다. 그 장착 상태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때, 완충 부재(25)는, 셔터 지판(1)의 양면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완충 부재(25)는, 실시예 1의 완충 부재(5)보다 두꺼워지므로, 이 점에서도 제동 효과·완충 효과는 커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완충 부재(25)는, 평면(25b)을 형성하고 있는데, 실시예 1의 완충 부재(5)와 같이 평면(25b)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또, 실시예 1의 완충 부재(5)에, 평면(25)에 상당하는 평면을 형성해도 된다.
[실시예 3]
다음에, 도 9 및 도 10을 이용해 실시예 3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의 완충 부재의 부착 상태를 도 3과 동일하게 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실 시예의 완충 부재의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도 9의 우측 윗쪽에서 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완충 부재는, 실시예 1의 완충 부재(4, 5)와는 다른 형상을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들 완충 부재를 부착하기 위해서 상기의 셔터 지판(1)에 형성되어 있는 부위의 형상도 다르다. 그러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경우와 같다. 이 때문에, 도 9 및 도 10에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부재, 부위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 두고 이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작동 설명도 실시예 1의 경우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2개의 완충 부재의 형상과, 셔터 지판(1)에 대한 이들 부착 구성이 실시예 1의 경우와 다를 뿐이다. 그리고 2개의 완충 부재는, 셔터 지판(1)에 대하여, 각각 동일하게 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9 및 도 10에서는, 뒷날개용 구동 부재(7)의 구동 핀(7a)이 접하는 완충 부재(35)와, 그 부착 구성만을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긴 구멍(1c)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의 형상이, 원호 형상이 아니라, 원호의 꼭대기점 근방부만이 더욱 작은 곡률 반경으로 원호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러한 형상을 하고 있는 긴 구멍(1c)의 단부 가장자리에 따라서, 셔터 지판(1)의 날개실 안의 면측에 돌출부(1c-9)가 형성되고, 날개실 밖의 면측에 돌출부(1c-1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돌출부(1c-9, 1c-10)의 경우도,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이 분할되지 않는다. 또한, 돌출부(1c-9)는, 셔터 지판(1)의 날개실 내측의 면으로부터 날개실 안으로는 돌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돌출부(1c-10)는 실시예 2의 돌출부(1c-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셔터 지판(1)의 날개실 외측의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1c-9, 1c-10)의 가장자리 형상은, 실시예 2의 돌출부(1c-7, 1c-8)와 같이 원호 형상이 아니라, 원호의 꼭대기점 근방부가 더욱 작은 곡률 반경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형상을 하고 있다.
도 10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의 완충 부재(35)는, 평면 형상이 대략 C자 형상을 하고 있는데, 그 외주 가장자리는 긴 구멍(1c)의 단부 형상에 맞추어, 원호의 꼭대기점 근방부가 더욱 작은 곡률 반경의 원호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구동 핀(7a)이 최초로 접하는 면(35c)이, 구동 핀(7a)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완충 부재(35)는, 구동 핀(7a)에 의해서 가장 많이 압축되는 부위의 깊이 치수(b’)가 원호면의 깊이 치수(a’)나 실시예 2의 완충 부재(25)의 치수(a)보다 커지고, 제동 효과·완충 효과가 보다 커지게 되어 있다.
또, 이 완충 부재(35)는, 실시예 2의 완충 부재(25)와 같이, 날개실 내측의 면에 오목부(35a)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돌출부(1c-9)의 형상이, 실시예 2의 돌출부(1c-7)의 형상과 다르기 때문에, 오목부(35a)의 형상이 다르다. 또, 이 완충 부재(35)는, 날개실 외측의 면에도, 돌출부(1c-10)의 형상에 맞추어, 오목부(35b)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완충 부재(35)의 경우에도, 돌출부(1c-9, 1c-10)에 의해서 끼워 지지되는 부위는 얇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완충 부재(35)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변형되어 돌출부(1c-9, 1c-10)의 사이에 삽입되고, 외주면(35d)이 긴 구멍(1c)의 내벽에 접한 후, 원형으로 복귀되어 장착 상태로 된다. 그 장착 상태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때 완충 부재(35)는, 셔터 지판(1)의 날개실 내측의 면으로부터는 돌출되지 않지만, 날개실 외측의 면에서는 돌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완충 부재(35)는, 실시예 2의 완충 부재(25)보다 두꺼워지므로, 이 두께의 점에서도, 실시예 2의 경우보다는 제동 효과·완충 효과가 한층 커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완충 부재(35)는, 평면(35c)을 형성하고 있는데, 실시예 1의 완충 부재(5)와 같이 평면(35c)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도 1은 노광 작동을 종료한 직후의 상태를 고체 촬상 소자측에서 보아서 도시한 실시예 1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완충 부재의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세트 상태를 도 1과 동일하게 하여 도시한 실시예 1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노광 작동의 도중 상태를 도 1과 동일하게 하여 도시한 실시예 1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2의 완충 부재의 부착 상태를 도 3과 동일하게 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2의 완충 부재의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예 3의 완충 부재의 부착 상태를 도 3 및 도 7과 동일하게 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3의 완충 부재의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Claims (5)
- 합성 수지제의 셔터 지판(地板:bottom board)과, 상기 셔터 지판과의 사이에 적어도 1개의 날개실을 구성하고 있는 보조 지판과, 복수의 아암과 이들 아암에 피벗 지지된 적어도 1매의 날개로 구성되어 있어 이들 아암의 일단이 상기 셔터 지판에 세워 설치된 복수의 날개 부착축에 대하여 개별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적어도 1개의 셔터 날개와, 상기 셔터 지판의 날개실 밖의 면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어 상기 셔터 지판에 형성된 원호 형상의 긴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아암의 하나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 핀에 의해서 상기 셔터 날개에 개폐 작동을 행하게 하는 적어도 1개의 구동 부재와, 탄성 재료로 이루어져 상기 긴 구멍의 일단부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구동 핀이 접함으로써 상기 구동 부재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완충 부재를 구비한 초점면 셔터에 있어서, 상기 셔터 지판에는, 상기 긴 구멍의 일단부에, 날개실 밖의 면측과 날개실 안의 면측의 양쪽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양쪽 돌출부에 의해서 상기 완충 부재를 사이에 끼워 지지하고, 적어도 날개실 안의 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는, 상기 셔터 지판의 판 두께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초점면 셔터.
- 청구항 1항에 있어서,상기 완충 부재에는, 날개실 내측의 면과 날개실 외측의 면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긴 구멍의 내벽에 접촉하는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 고,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한쪽이, 그 오목부 내에서 상기 완충 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초점면 셔터.
- 청구항 1항에 있어서,상기 완충 부재에는, 상기 긴 구멍의 내벽에 접촉하는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날개실 내측의 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쪽 돌출부가, 상기 오목부와 날개실 외측의 면에 접촉하여 상기 완충 부재의 일부를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초점면 셔터.
- 청구항 1항에 있어서,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긴 구멍의 일단부를 따라 복수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초점면 셔터.
-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완충 부재에는, 날개실 내측의 면과 날개실 외측의 면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긴 구멍의 내벽에 접촉하는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분할된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돌출부가, 이들 복수의 오목부 내에서 상기 완충 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초점면 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7032613A JP4264453B2 (ja) | 2007-02-13 | 2007-02-13 |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
JPJP-P-2007-00032613 | 2007-02-1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75807A KR20080075807A (ko) | 2008-08-19 |
KR101307122B1 true KR101307122B1 (ko) | 2013-09-10 |
Family
ID=39685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13119A KR101307122B1 (ko) | 2007-02-13 | 2008-02-13 | 카메라용 초점면 셔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7699544B2 (ko) |
JP (1) | JP4264453B2 (ko) |
KR (1) | KR101307122B1 (ko) |
CN (1) | CN101246295B (ko) |
TW (1) | TWI42530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087456B (zh) * | 2009-12-08 | 2013-12-11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快门及使用该快门的相机模组 |
JP5191503B2 (ja) * | 2010-02-22 | 2013-05-08 |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 羽根駆動装置及び光学機器 |
US8317417B2 (en) * | 2010-02-24 | 2012-11-27 | Va, Inc. | Shutter damping assembly |
JP5583506B2 (ja) * | 2010-07-26 | 2014-09-03 |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及び光学機器 |
JP5583638B2 (ja) * | 2011-06-10 | 2014-09-03 |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 羽根駆動装置及び光学機器 |
JP5939905B2 (ja) * | 2012-06-26 | 2016-06-22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シャッタ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撮像装置 |
JP6411104B2 (ja) * | 2013-08-30 | 2018-10-24 |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及びカメラ |
JP2016161728A (ja) * | 2015-02-27 | 2016-09-05 |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 |
US10534241B2 (en) * | 2016-03-01 | 2020-01-14 | Sony Corporation | Blade opening/closing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
JP2017211461A (ja) * | 2016-05-24 | 2017-11-30 |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光学機器、及び電子機器 |
JP6623458B2 (ja) * | 2016-06-29 | 2019-12-25 | セイコ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羽根駆動装置及び光学機器 |
JP6871693B2 (ja) * | 2016-07-19 | 2021-05-12 | キヤノン電子株式会社 | 羽根駆動装置及び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装置並びに撮像装置 |
JP2018151587A (ja) * | 2017-03-15 | 2018-09-27 |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並びにこれを備える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17530U (ja) * | 1982-02-04 | 1983-08-11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アナログ/デイジタル変換機能診断回路 |
JPH10161181A (ja) * | 1996-11-28 | 1998-06-19 | Copal Co Ltd |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76780Y2 (ja) | 1992-06-17 | 1998-07-16 |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 シャッタ作動部材の緩衝機構 |
JPH095831A (ja) * | 1995-06-15 | 1997-01-10 | Nikon Corp |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
JP4334088B2 (ja) | 1999-11-02 | 2009-09-16 |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
JP4434504B2 (ja) * | 2001-01-31 | 2010-03-17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シャッタ装置およびカメラ |
JP5020438B2 (ja) * | 2001-03-26 | 2012-09-05 |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
US6652165B1 (en) * | 2002-07-29 | 2003-11-25 | Va, Inc. | Damping system for mechanical shutter |
TWM244486U (en) * | 2003-07-22 | 2004-09-21 | Ming-Jian Chen | Improved shutter and diaphragm structure of camera |
JP4575093B2 (ja) * | 2004-09-16 | 2010-11-04 |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
JP5110827B2 (ja) * | 2006-08-29 | 2012-12-26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シャッター装置およびカメラ |
-
2007
- 2007-02-13 JP JP2007032613A patent/JP4264453B2/ja active Active
-
2008
- 2008-01-29 TW TW097103309A patent/TWI425307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02-12 US US12/068,868 patent/US7699544B2/en active Active
- 2008-02-13 CN CN2008100742330A patent/CN101246295B/zh active Active
- 2008-02-13 KR KR1020080013119A patent/KR10130712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17530U (ja) * | 1982-02-04 | 1983-08-11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アナログ/デイジタル変換機能診断回路 |
JPH10161181A (ja) * | 1996-11-28 | 1998-06-19 | Copal Co Ltd |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4264453B2 (ja) | 2009-05-20 |
JP2008197393A (ja) | 2008-08-28 |
TW200841120A (en) | 2008-10-16 |
US20080193122A1 (en) | 2008-08-14 |
CN101246295B (zh) | 2011-10-19 |
TWI425307B (zh) | 2014-02-01 |
KR20080075807A (ko) | 2008-08-19 |
CN101246295A (zh) | 2008-08-20 |
US7699544B2 (en) | 2010-04-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7122B1 (ko) | 카메라용 초점면 셔터 | |
JP5191503B2 (ja) | 羽根駆動装置及び光学機器 | |
US6530703B2 (en) | Focal-plane shutter having resilient stopping members for shutter blades | |
KR101118427B1 (ko) | 포컬 플레인 셔터 | |
US8840325B1 (en) | Focal plane shutter for camera | |
JP3965314B2 (ja) |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 |
JP5117096B2 (ja) |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 |
JP2008191174A (ja) |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 |
US8313256B2 (en) | Focal plane shutter and optical device | |
JP4290284B2 (ja) |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 |
JPH10282544A (ja) |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 |
JP5117047B2 (ja) |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 | |
JPH10161181A (ja) |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 |
JP2001133839A (ja) |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 |
JP3839312B2 (ja) | ポップアップフラッシュ | |
JP3990820B2 (ja) |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 |
JP4147643B2 (ja) | スライドカバーを有するカメラ | |
JP6566263B2 (ja) | 羽根駆動装置および光学機器 | |
JP4334092B2 (ja) |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 |
JP3789162B2 (ja) |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 |
JP3801715B2 (ja) |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 |
JP2000250095A (ja) | 二重遮光方式の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 |
JP4105804B2 (ja) |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 |
JP2018022108A (ja) | 羽根駆動装置および光学機器 | |
JP2008224986A (ja) |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