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905B1 - 초점면 셔터 및 광학 기기 - Google Patents

초점면 셔터 및 광학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905B1
KR101292905B1 KR1020117021765A KR20117021765A KR101292905B1 KR 101292905 B1 KR101292905 B1 KR 101292905B1 KR 1020117021765 A KR1020117021765 A KR 1020117021765A KR 20117021765 A KR20117021765 A KR 20117021765A KR 101292905 B1 KR101292905 B1 KR 101292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piece
drive lever
electromagnet
blade driv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9402A (ko
Inventor
히로시 타카하시
세이이치 오이시
Original Assignee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9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36Sliding rigid plate
    • G03B9/38Single rigid plate with multiple slots or other aper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18More than two members
    • G03B9/22More than two members each moving in one direction to open and then in opposite direction to close, e.g. iris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18Motion-picture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Abstract

초점면 셔터(1)는, 전자석(70B)과, 개구부(11)를 가진 기판(10)과, 개구부(11)로부터 퇴피한 위치와 개구부(11)의 적어도 일부에 겹쳐지는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블레이드(21b~24b)와, 일단에 플랜지부(45b1)가 설치된 축부(45b), 축부(45b)의 타단에 설치되고 전자석(70B)에 흡착 가능한 철편(46b), 축부(45b)가 유격을 가지고 관통한 관통공(42b5)을 가진 지지부(42b), 철편(46b)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부(44b)를 가지고, 블레이드(21b~24b)를 구동하는 구동 레버(40B)를 구비하고, 구동 레버(40B)는 철편(46b)을 축부(45b)의 축심 방향으로 부세하는 제1부세 부재(47b), 철편(46b)이 가이드부(44b)에 꽉 눌리도록 축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제2부세 부재(49b)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초점면 셔터 및 광학 기기{FOCAL PLANE SHUTTER AND OPTICAL DEVICE}
본 발명은 초점면 셔터 및 광학 기기에 관한 것이다.
초점면 셔터는, 전자석과 전자석의 사이에 자기적인 흡착력이 작용하는 철편(iron piece)을 보유한 구동 레버(driving lever)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레버는 블레이드(blade)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구동 레버는 철편이 전자석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부세(付勢) 부재에 의해 부세되고 있다. 철편이 전자석에 흡착된 상태로부터 전자석에의 통전이 차단됨으로써 구동 레버는 부세 부재의 부세력(付勢力)에 따라서 철편이 전자석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전자석에 의해 자기적 흡인력과 부세 부재의 부세력을 이용하여 구동 레버는 블레이드를 구동한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4-029277호 공보
구동 레버가 단시간에 왕복 이동을 반복한 경우에 철편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없을 우려가 있다. 철편의 자세에 격차가 생기면 철편이 전자석에 맞닿았을 때의 자세에도 격차가 생겨 전자석에의 통전이 차단되고 전자석으로부터 철편이 멀어질 때의 타이밍에도 격차가 생길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철편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초점면 셔터 및 광학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전자석과, 개구부를 가진 기판과, 상기 개구부로부터 퇴피한 위치와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에 겹쳐지는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블레이드와, 일단에 플랜지부(flange portion)가 설치된 축부, 상기 축부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석에 흡착 가능한 철편, 상기 축부가 유격을 가지고 관통한 관통공을 가진 지지부, 상기 철편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부를 가지고, 상기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구동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레버는, 상기 철편을 상기 축부의 축심 방향으로 부세하는 제1부세 부재, 상기 철편이 상기 가이드부에 꽉 눌리도록 상기 축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제2부세 부재를 가지고 있는 초점면 셔터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철편이 축부의 축심 방향으로 부세될 뿐만 아니라 가이드부에 꽉 눌리도록 하여 축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부세되므로 철편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전자석에의 통전이 차단되고 전자석으로부터 철편이 멀어질 때의 타이밍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블레이드가 주행하는 타이밍의 격차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상기 블레이드 구동 장치를 구비한 광학 기기에 의해서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철편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블레이드가 주행하는 타이밍의 격차가 억제된 초점면 셔터 및 광학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초점면 셔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초점면 셔터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3은 초점면 셔터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4는 트레일링 블레이드(trailing blade) 구동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6은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철편 주변의 확대도이다.
도 8은 철편 주변의 확대도이다.
도 9는 철편이 제2부세 부재의 부세 방향과 역의 방향인 직경 방향(radial direction)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블레이드 구동 장치의 일례로서 초점면 셔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초점면 셔터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듯이, 초점면 셔터(1)는, 기판(board)(10), 블레이드(21a~24a, 21b~24b), 구동 암(drive arm)(31a, 32a, 31b, 32b), 전자석(70A, 70B) 등을 가지고 있다. 기판(10)은 합성 수지제이고, 직사각형 모양의 개구부(11)를 가지고 있다. 블레이드(21a~24a, 21b~24b)는 합성 수지제이고, 얇게 형성되어 있다. 또, 구동 암(31a, 32a, 31b, 32b)은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금속의 박판(薄板)으로 형성되어 있다. 블레이드(21a~24a, 21b~24b)는 개구부(11)로부터 퇴피한 위치와 개구부(11)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는 위치의 사이를 이동한다.
4매의 블레이드(21a~24a)는 리딩 블레이드(leading blade)(20A)를 구성한다. 4매의 블레이드(21b~24b)는 트레일링 블레이드(trailing blade)(20B)를 구성한다. 도 1은 리딩 블레이드(20A)가 중첩 상태이고 트레일링 블레이드(20B)가 전개 상태(expanded state)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경우에는 리딩 블레이드(20A)는 개구부(11)로부터 퇴피하고, 트레일링 블레이드(20B)가 개구부(11)를 폐쇄하고 있다.
리딩 블레이드(20A)는 구동 암(31a, 32a)에 연결되어 있다. 트레일링 블레이드(20B)는 구동 암(31b, 32b)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구동 암(31a, 32a, 31b, 32b)은 각각 기판(10)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기판(10)에는 구동 암(31a, 32b)을 각각 구동하기 위한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가 설치되어 있다.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는 기판(10)에 소정의 범위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는 기판(10)에 형성된 축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기판(10)에 형성된 홈(slot)의 단부에 설치된 후술의 바운드(bound) 방지용의 고무에 의해 그 요동 범위가 규정되어 있다.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도 마찬가지이다.
구동 암(31a)은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암(32b)은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에 연결되어 있다.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가 요동함으로써 구동 암(31a)이 요동하고, 이에 의해 리딩 블레이드(20A)가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가 요동함으로써 구동 암(32b)이 요동하고, 이에 의해 트레일링 블레이드(20B)가 이동한다.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는 각각 부호는 붙이지 않았지만 철편을 보유하고 있다.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는 철편이 전자석(70A)에 맞닿은 위치로부터 철편이 전자석(70A)으로부터 퇴피한 위치의 사이를 요동 가능하다.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는 미도시의 스프링에 의해 전자석(70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세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는 미도시의 스프링에 의해 전자석(70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세되고 있다.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에는 상술한 스프링을 통해 각각 래칫 휠(ratchet wheel)(50A, 50B)이 계합하고 있다.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를 전자석(70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의 일단은 래칫 휠(50A)에 계합하고 있고, 스프링의 타단은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에 계합하고 있다. 래칫 휠(50A)의 회전량을 조정함으로써 스프링의 부세력을 조정할 수가 있다. 래칫 휠(50B)도 래칫 휠(50A)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전자석(70A)은 통전됨으로써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의 철편을 흡착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전자석(70B)도 통전됨으로써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의 철편을 흡착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초점면 셔터(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초점면 셔터(1)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여기서, 도 2는 초점면 셔터(1)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미도시의 세트 레버(set lever)가 초기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리딩 블레이드(20A)는 전개하여 개구부(11)를 폐쇄하고, 트레일링 블레이드(20B)는 중첩하여 개구부(11)로부터 퇴피하고 있다. 이 초기 상태에 있어서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의 철편은 각각 전자석(70A, 70B)에 맞닿고, 이에 흡착 가능한 초기 위치에 세트(set)되어 있다.
촬영에 즈음하여, 카메라의 릴리즈 버튼(release button)이 눌리면 전자석(70A, 70B)의 코일이 통전되고,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의 철편은 전자석(70A)에 흡착되고,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의 철편은 전자석(70B)에 흡착된다. 그 후, 세트 레버는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로부터 퇴피한다. 여기서,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는 각각 전자석(70A, 70B)에 흡착된 상태로 보유되어 있다.
그 후, 전자석(70A)의 코일의 통전이 차단되면, 도 3에 나타내듯이,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는 스프링의 부세력에 따라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리딩 블레이드(20A)는 개구부(11)로부터 퇴피하여 중첩 상태로 된다. 또, 소정 기간 전자석(70B)의 코일에의 통전이 유지되고, 트레일링 블레이드(20B)는 개구부(11)로부터 퇴피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개구부(11)는 열린 상태로 된다. 도 3은 노출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릴리즈 버튼이 눌리고 나서 소정 기간 경과 후에 전자석(70B)의 코일에의 통전이 차단되고, 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해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트레일링 블레이드(20B)는 전개하여 개구부(11)를 폐쇄한다.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는 기판(10)에 형성된 홈의 단부에 설치된 후술의 바운드(bound) 방지용의 고무에 맞닿는다. 도 1은 노광 작동을 종료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1회의 촬영이 종료된다.
다음에, 미도시의 세트 레버에 의해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에 의해 리딩 블레이드(20A)는 전개되어 개구부(11)를 폐쇄하고, 트레일링 블레이드(20B)는 중첩하여 개구부(11)로부터 퇴피하고, 도 2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구동 레버에 대해서 설명한다. 리딩 블레이드 구동 레버(40A)와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는 형상은 상위하지만 대략 동일한 구성 및 부품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만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의 사시도이다. 최초로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의 개략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4에 대해 일부 구성이 생략되어 있다.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는 판 모양의 베이스부(base portion)(41b), 베이스부(41b) 상에 입설(立設)한 원통부(41b1), 롤러부(roller portion)(41b2), 구동 핀(drive pin)(41b8) 등을 포함한다. 원통부(41b1) 주위에는 래칫 휠(50B)이나,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에 부세력을 주는 스프링 등이 배치된다. 또, 원통부(41b1) 내에는 기판(10)에 설치된 축이 감합한다.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는 원통부(41b1)가 감합하는 축(spindle)을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를 회전한다.
롤러부(41b2)는 미도시의 세트 레버에 눌리는 것이다. 세트 레버에 의해 롤러부(41b2)가 눌려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는 원통부(41b1)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한다. 구동 핀(41b8)은 베이스부(41b)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재(延在)하고 있다. 구동 핀(41b8)은 구동 암(32b)에 형성된 구멍에 감합한다.
베이스부(41b) 상에는 지지부(42b)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42b)는 철편(46b)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철편(46b)은 전자석(70B)에 흡착된다. 철편(46b)은 축부(spindle portion)(45b)에 연결되어 있다. 축부(45b)는 금속제이다. 철편(46b)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42b)는 철편(46b)의 측면을 따른 가이드부(43b, 44b)를 가지고 있다. 가이드부(43b, 44b)는 축부(45b)의 축심을 지점으로 하여 철편(46b)이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가이드부(43b)와 철편(46b)의 사이에는 제2부세 부재(49b)가 삽입된다. 제2부세 부재(49b)는 탄성변형 가능한 판 모양의 스프링이다. 제2부세 부재(49b)는 철편(46b)의 측면을 따르도록 하여 직선 모양으로 뻗은 베이스부(49b1), 베이스부(49b1)의 상단과 연속하고 측면으로부터 보아서 L자 모양으로 뻗은 계합부(49b2)를 가지고 있다. 계합부(49b2)가 지지부(42b)와 계합하여 지지부(42b)에 보유된다. 제2부세 부재(49b)는 철편(46b)을 소정 방향으로 부세하기 위한 것이다. 자세하게는 후술한다.
다음에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도 6은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5, 도 6에 있어서는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의 구성을 일부 생략하고 있다. 도 5는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가 전자석(70B)으로부터 멀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의 철편(46b)이 전자석(70B)에 흡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도 6에 있어서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의 우측에 개구부(11)가 위치한다.
기판(10)에는 구동 핀(41b8)의 이동을 놓아주기 위한 원호 모양의 홈(slot)(13b)이 형성되어 있다. 또, 홈(13b)의 단부에는 구동 핀(41b8)의 바운드 방지용의 고무(13b1)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석(70B)은 철심(73b)과, 철심(73b)를 여자하기 위한 코일(79b)과, 코일(79b)이 감겨진 보빈(bobbin)(78b)을 가지고 있다. 코일(79b)이 통전됨으로써 철심(73b)에는 자기적 흡인력이 발생한다.
도 5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세트 레버에 의해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가 원통부(41b1)를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에 의해 구동 핀(41b8)은 홈(13b) 내를 이동하고, 철편(46b)은 철심(73b)에 맞닿는다. 그 후에 코일(79b)이 통전되어 철편(46b)은 철심(73b)에 흡착된다. 세트 레버가 퇴피한 후도 코일(79b)이 통전되고 있는 한 철편(46b)은 철심(73b)에 흡착이 계속된다. 코일(79b)에의 통전이 차단되면 철편(46b)과 철심(73b)의 사이에 작용하고 있던 자기적 흡인력이 사라지고, 미도시의 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해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하여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는 동작한다.
다음에,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7, 도 8은 철편(46b) 주변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7, 도 8에 있어서는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의 구성의 일부를 생략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듯이, 축부(45b)는 플랜지부(45b1), 플랜지부(45b1)와 연속하고 플랜지부(45b1)보다 직경이 작은 몸통부(45b3), 몸통부(45b3)와 연속하고 몸통부(45b3)보다 직경이 작은 감합부(45b5)를 가지고 있다. 환언하면, 플랜지부(45b1)는 축부(45b)의 일단에 형성되고, 감합부(45b5)는 축부(45b)의 타단에 형성되어 있다. 감합부(45b5)에는 철편(46b)이 감합하고 있다. 이에 의해 축부(45b)와 철편(46b)은 일체의 부품으로서 연결되어 있다.
지지부(42b)에는 축부(45b)가 관통한 관통공(42b5, 42b7)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42b5, 42b7)은 연속된 단일의 구멍이다. 관통공(42b5)은 관통공(42b7)보다도 직경 방향으로 작다. 플랜지부(45b1)의 직경은 관통공(42b5)의 직경보다 크다. 또, 지지부(42b)는 도 7에 나타내듯이 철편(46b)의 배면측과 대향하는 대향면(42b1)을 가지고 있다. 대향면(42b1)에 관통공(42b7)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42b)와 철편(46b)의 사이에는 제1부세 부재(47b)가 설치되어 있다. 제1부세 부재(47b)는 코일 모양의 스프링이다. 제1부세 부재(47b) 내에는 축부(45b)의 몸통부(45b3)가 삽입되어 있다. 제1부세 부재(47b)는 도 7에 나타내듯이 전체적으로 원추형이다. 원추의 저변에 상당하는 부분의 제1부세 부재(47b)의 직경은 관통공(42b5)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 제1부세 부재(47b)의 일부는 관통공(42b7) 내에 배치된다. 제1부세 부재(47b)는 철편(46b)을 축부(45b)의 축심 방향 AD1로 부세한다.
철편(46b)과 대향면(42b1)의 사이에 유격이 설치되어 있다. 즉, 제1부세 부재(47b)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철편(46b)을 축심 방향 AD2로 누름으로써 철편(46b)의 배면과 대향면(42b1)이 맞닿을 때까지 철편(46b)은 이동 가능하다. 또한, 이 때에 철편(46b)과 함께 축부(45b)나 축심 방향 AD2로 이동한다. 축심 방향 AD2는 축심 방향 AD1의 역방향이다.
이상과 같이 철편(46b)은 축심 방향 AD1, AD2로 소정의 범위를 스트로크(stroke)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축심 방향 AD1로 부세되고 있다. 이에 의해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가 회전하여 철편(46b)이 철심(73b)에 맞닿아도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는 철편(46b)의 스트로크 가능한 범위의 분만큼 더 계속 회전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는 철편(46b)이 철심(73b)에 맞닿아도 여분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이유는 제품마다에 생길 수 있는 철편(46b)이나 철심(73b)의 위치 정밀도의 격차를 흡수하고, 철편(46b)을 철심(73b)에 확실히 맞닿을 때까지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를 회전시키기 위해서이다.
도 8에 나타내듯이, 철편(46b)은 감합부(45b5)가 감합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중앙부(46b1), 중앙부(46b1)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뻗은 단부(46b2, 46b3)를 가지고 있다. 철편(46b)의 정면으로부터 보아서 중앙부(46b1)의 측면은 원호 모양이다. 중앙부(46b1)의 폭은 단부(46b2, 46b3)의 각각의 폭보다 크다.
가이드부(44b)는 중앙부(46b1)의 원호 모양의 측면을 놓아주기 위한 오목부(44b1)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가이드부(43b)에도 중앙부(46b1)의 원호 모양의 측면을 놓아주기 위한 절결부(cutout portion)(43b1)가 형성되어 있다.
제2부세 부재(49b)는 가이드부(43b)와 철편(46b)의 사이에 개재(介在)하고 있다. 제2부세 부재(49b)의 베이스부(49b1)는 도 8에 나타내듯이 부분적으로 중앙부(46b1)의 측면과 맞닿아 있다. 이에 의해 베이스부(49b1)는 중앙부(46b1)의 측면을 따라 만곡하고 있다. 제2부세 부재(49b)가 이와 같이 변형함으로써 철편(46b)은 직경 방향 RD1로 부세되고 있다. 직경 방향 RD1은 축심 방향 AD1, AD2와 교차하는 방향이고 대략 직교하는 방향이다. 직경 방향 RD1은, 환언하면,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의 회전 지점측으로의 방향이다. 또, 후술하지만 철편(46b)은 직경 방향 RD1, 직경 방향 RD1과 반대의 직경 방향 RD2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직경 방향 RD1, RD2는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가 회전하는 가상 평면 내에 포함되는 방향이다.
철편(46b)이 제2부세 부재(49b)에 의해 직경 방향 RD1로 부세됨으로써 철편(46b)은 가이드부(44b)에 꽉 눌린다. 상세하게는 단부(46b2, 46b3)의 측면이 가이드부(44b)에 맞닿고, 중앙부(46b1)의 측면은 가이드부(44b)에는 맞닿아 있지 않다.
또, 축부(45b)의 몸통부(45b3)가 관통하고 있는 지지부(42b)의 관통공(42b5)은 도 8에 나타내듯이 직경 방향 RD1, RD2로 약간 뻗은 형상이다. 이 때문에 몸통부(45b3)는 관통공(42b5) 내에서 직경 방향 RD1, RD2로 약간의 유격이 있다. 이에 의해 철편(46b)은 직경 방향 RD1, RD2로 소정의 범위 이동할 수가 있다. 또, 이에 의해 관통공(42b5) 내에서 몸통부(45b3)의 자세가 변화하여 관통공(42b5)의 축심 방향에 대해서 몸통부(45b3)가 기우는 일이 있다. 이에 의해 철편(46b)은 요동하도록 방향 SD로 이동할 수가 있다. 또한, 방향 SD는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가 회전하는 가상 평면 내에 포함되는 방향이다.
이와 같이 철편(46b)을 직경 방향 RD1, RD2, 방향 SD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는 소정의 위치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 때문에 철편(46b)은 원호 모양의 궤적상을 이동하여 철심(73b)에 맞닿는다. 만일 철편(46b)이 직경 방향 RD1, RD2, 방향 SD로 이동 불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면 철편(46b)이나 철심(73b)의 위치 정밀도에 따라서는 철편(46b)이 철심(73b)에 맞닿을 때에 양자의 맞닿는 면이 평행하게 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에 의해 양자가 밀착되지 않고 철편(46b)과 철심(73b)의 흡착력을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그렇지만, 철편(46b)이 직경 방향 RD1, RD2, 방향 SD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철편(46b)이 철심(73b)에 맞닿았을 때에 양자의 맞닿는 면이 밀착되도록 철편(46b)이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철편(46b)이나 철심(73b)의 위치 정밀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양자를 밀착시킬 수가 있다.
철편(46b)을 직경 방향 RD1, RD2, 방향 SD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 경우에 철편(46b)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단시간에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를 왕복 이동시켰을 경우이다. 철편(46b)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는 경우, 철심(73b)에 맞닿을 때의 철편(46b)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없기 때문에, 맞닿았을 때의 양자의 위치 관계에 격차가 생길 우려가 있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의 초점면 셔터(1)에 있어서는 철편(46b)은 축심 방향 AD1로 부세될 뿐만 아니라 가이드부(44b)에 꽉 눌리도록 하여 축심 방향 AD1과 교차하는 직경 방향 RD1로 부세된다. 이에 의해 철편(46b)은 가이드부(44b)와 제2부세 부재(49b)에 끼워지도록 보유되어 철편(46b)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단시간에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를 왕복 이동시켰을 경우라도 철편(46b)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철심(73b)에 맞닿을 때의 철편(46b)의 자세를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철편(46b)에 철심(73b)이 흡착된 상태에서의 양자의 위치 관계도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전자석(70B)에의 통전이 차단되고 전자석(70B)으로부터 철편(46b)이 멀어질 때의 타이밍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철편(46b)의 덜거덕거림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동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축부(45b), 철편(46b)의 덜거덕거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덜거덕거림에 기인하여 가이드부(43b)나 가이드부(44b), 관통공(42b5)이 깎여 찌꺼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부세 부재(49b)는 도 7, 도 8에 나타내듯이 축부(45b)와 개구부(11)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만일 가이드부(43b, 44b), 관통공(42b5)이 깎여 찌꺼기가 발생하였다고 해도 그 찌꺼기가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의 왕복 운동에 수반하여 개구부(11)측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화질의 저하도 방지된다.
제2부세 부재(49b)는 판 모양이기 때문에 트레일링 블레이드 구동 레버(40B)의 소형화가 달성되고 있다. 또, 철편(46b)은 가이드부(44b)에 꽉 눌리고 있으므로 축부(45b)의 축심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9는 철편(46b)이 제2부세 부재(49b)의 부세 방향과 역의 방향인 직경 방향 RD2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철편(46b)이 철심(73b)에 맞닿았을 때나, 철편(46b)에 어떠한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에는, 철편(46b)에 직경 방향 RD2의 힘이 작용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단부(46b2, 46b3)의 측면은 가이드부(44b)로부터 멀어지고, 중앙부(46b1)가 베이스부(49b1)를 외측으로 더 꽉 누르도록 하여 철편(46b)이 이동한다. 베이스부(49b1)는 철편(46b)에 작용한 직경 방향 RD2의 힘에 의해 더 만곡하여 절결부(43b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이와 같이 직경 방향 RD2로의 철편(46b)의 이동이 허용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관계되는 특정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블레이드가 얇게 형성된 합성 수지제인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블레이드는 얇게 형성된 금속제라도 좋다. 또, 제2부세 부재의 일례로서 판 모양의 스프링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코일 모양의 스프링이라도 좋다. 철편(46b)을 직경 방향 RD1로 부세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직경 방향 RD2 방향으로 부세해도 좋다.
본 실시예의 초점면 셔터는 사진기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광학 기기에 채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전자석과,
    개구부를 가진 기판과,
    상기 개구부로부터 퇴피한 위치와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에 겹쳐지는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블레이드와,
    일단에 플랜지부가 설치된 축부, 상기 축부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석에 흡착 가능한 철편, 상기 축부가 유격을 가지고 관통한 관통공을 가진 지지부, 상기 철편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부를 가지고, 상기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구동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레버는, 상기 철편을 상기 축부의 축심 방향으로 부세하는 제1부세 부재, 상기 철편이 상기 가이드부에 꽉 눌리도록 상기 축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제2부세 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부세 부재는 상기 축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철편을 탄성 지지하는 초점면 셔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세 부재는, 판 모양인 초점면 셔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세 부재는, 상기 축부와 상기 개구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초점면 셔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초점면 셔터를 구비한 광학 기기.
KR1020117021765A 2010-02-22 2011-01-06 초점면 셔터 및 광학 기기 KR101292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35697 2010-02-22
JP2010035697A JP5289357B2 (ja) 2010-02-22 2010-02-22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及び光学機器
PCT/JP2011/050133 WO2011102153A1 (ja) 2010-02-22 2011-01-06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及び光学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402A KR20110129402A (ko) 2011-12-01
KR101292905B1 true KR101292905B1 (ko) 2013-08-02

Family

ID=44482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765A KR101292905B1 (ko) 2010-02-22 2011-01-06 초점면 셔터 및 광학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13256B2 (ko)
JP (1) JP5289357B2 (ko)
KR (1) KR101292905B1 (ko)
CN (1) CN102472949B (ko)
WO (1) WO20111021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2111B2 (ja) * 2010-04-28 2014-07-30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及び光学機器
JP5905424B2 (ja) * 2013-09-25 2016-04-20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2889A (ja) * 2006-02-28 2007-09-13 Chinontec Kk レンズ鏡筒
JP2007293293A (ja) * 2006-03-31 2007-11-08 Nidec Copal Corp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2008175254A (ja) 2007-01-17 2008-07-31 Seiko Epson Corp 回転軸の支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9309U (zh) * 1988-10-04 1991-06-19 至法实业有限公司 照相机的快门机构
JP2620390B2 (ja) * 1990-02-07 1997-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ャッター
JP2528769B2 (ja) 1992-05-13 1996-08-28 昭夫 宮田 枠組足場用転落防止部材
JP2540283Y2 (ja) * 1992-09-02 1997-07-02 株式会社コパル 電磁石装置の鉄片支持構造
JP3635075B2 (ja) * 2002-06-25 2005-03-30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2889A (ja) * 2006-02-28 2007-09-13 Chinontec Kk レンズ鏡筒
JP2007293293A (ja) * 2006-03-31 2007-11-08 Nidec Copal Corp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2008175254A (ja) 2007-01-17 2008-07-31 Seiko Epson Corp 回転軸の支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402A (ko) 2011-12-01
US20120008932A1 (en) 2012-01-12
WO2011102153A1 (ja) 2011-08-25
JP2011170227A (ja) 2011-09-01
US8313256B2 (en) 2012-11-20
JP5289357B2 (ja) 2013-09-11
CN102472949B (zh) 2014-09-24
CN102472949A (zh)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545B1 (ko) 블레이드 구동 장치 및 광학 기기
KR101303399B1 (ko) 초점면 셔터 및 이를 구비한 광학 기기
KR101292905B1 (ko) 초점면 셔터 및 광학 기기
JP5208552B2 (ja) 位置決め冶具
KR101292871B1 (ko) 초점면 셔터 및 광학 기기
JP6231410B2 (ja)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及び光学機器
JP2006349621A (ja) レーザー墨出し装置
KR101292908B1 (ko) 초점면 셔터 및 광학 기기
JP4823732B2 (ja) 光調整要素の駆動装置
US8882370B2 (en) Focal plane shutter and optical device
JP6530078B2 (ja) 光調節装置及び光調節装置を搭載する光学機器
JP5570886B2 (ja) 位置決め機構
JP5310778B2 (ja) レーザ走査光学装置
JP5744633B2 (ja) 保持装置
JP2006229114A (ja) プランジャ及び可動機構を備えた装置
JP4698570B2 (ja) ディスク装置
JP6566244B2 (ja)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および光学機器
JP6086850B2 (ja) 車載用のディスク装置
JP6001351B2 (ja) 羽根駆動装置及び光学機器
JP2010127965A (ja) 自動偏芯調整ステージ
JP2008268312A (ja) 可変絞り装置
JPH09304807A (ja)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2015026019A (ja) 光学フィルタ駆動装置
JP2016126036A (ja) カメラ用シャッタ及びカメラ
JPH09304809A (ja)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