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511B1 -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폼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511B1
KR101290511B1 KR1020117017061A KR20117017061A KR101290511B1 KR 101290511 B1 KR101290511 B1 KR 101290511B1 KR 1020117017061 A KR1020117017061 A KR 1020117017061A KR 20117017061 A KR20117017061 A KR 20117017061A KR 101290511 B1 KR101290511 B1 KR 101290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
polyurethane foam
phenol resin
foamable composition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7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4973A (ko
Inventor
슈지 오쿠무라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유키자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유키자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유키자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4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5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009Two or more 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groups C08G18/42 - C08G18/64
    • C08G18/4027Mixtures of compounds of group C08G18/54 with 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50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5021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50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5021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nitrogen
    • C08G18/5024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nitrogen containing primary and/or secondary amino groups
    • C08G18/5027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nitrogen containing primary and/or secondary amino groups directly linked to carbocyclic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50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5021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nitrogen
    • C08G18/5033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nitrogen containing carbocyclic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54Polycondensates of aldehy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54Polycondensates of aldehydes
    • C08G18/542Polycondensates of aldehydes with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54Polycondensates of aldehydes
    • C08G18/546Oxyalkylated polycondensates of aldehy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0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carbo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01/00Manufacture of cellular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08Foam properties flexi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25Foam properties rigid

Abstract

발포제로서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폼의 단열 성능과 그 장기 안정성 그리고 치수 안정성을 더욱 유리하게 개선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을 제공하고, 그리고 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우수한 단열 성능을 실현시키는 폴리우레탄 폼을 제공한다. 이산화탄소를 발포에 사용한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시에, 폴리올 성분으로서,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시켜 얻어지는 페놀 수지계 폴리올과,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시켜 얻어지는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을 병용함과 함께, 특정 실리콘 화합물을 배합시켰다.

Description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폼{FOAMABLE COMPOSITION FOR POLYURETHANE FOAM, AND POLYURETHANE FOAM}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산화탄소를 발포에 이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폼의 단열 성능이나 치수 안정성을 보다 더 유리하게 개선시키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폴리우레탄 폼은, 그 우수한 단열성이나 접착성을 이용하여, 주로 단열 부재로서 건축용 내외벽재나 패널 등의 단열, 금속 사이딩이나 전기 냉장고 등의 단열, 빌딩·맨션·냉동 창고 등의 구체 (軀體), 벽면, 천정, 지붕 등의 단열 및 결로 방지, 수액 파이프 등의 단열에 실용되고 있다. 또, 이러한 폴리우레탄 폼은, 일반적으로 폴리올 성분에 발포제, 추가로 필요에 따라 촉매나 정포제 (整泡劑), 난연제 등의 각종 보조제를 배합한 폴리올 배합액 (프레믹스액) 과,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혼합 장치에 의해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혼합하여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로 하고, 이것을 슬래브 발포법, 주입 발포법, 스프레이 발포법, 라미네이트 연속 발포법 등의 방식에 의해 발포, 경화시킴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그리고, 그것에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에는, 성층권 오존층의 파괴라는 환경 문제 때문에, 발포제로서, 오존층 파괴가 적거나 발생하지 않는 대체 프레온인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계 발포제 (예를 들어, HFC-245fa, HFC-365mfc 등) 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가까운 장래에 대체 프레온의 사용도 제한된다는 추측으로부터, 최근에는 이산화탄소 (탄산 가스) 를 대체 프레온계 발포제 등의, 기존 발포제의 일부 또는 전부의 대체로서 사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폼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물의 화학 반응으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를 발포제로서 이용하는, 소위 「물 발포법」으로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폼이 밝혀져 있다. 또, 특허문헌 3 에는, 발포제로서, 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와, 초임계 상태, 아임계 상태 또는 액체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병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폼이 밝혀져 있다.
그런데, 그러한 이산화탄소를 발포제로서 사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폼은 기본적으로 다른 발포법으로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폼보다 단열 성능이 떨어지고, 또 단열 성능이 시간 경과적으로 악화되어, 장기 안정성이 부족하다는 문제를 내재하는 것이었다.
추가로, 이산화탄소를 생성시키는 발포제원으로서의 물이나, 아임계 상태 혹은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는, 모두 다른 용제계 발포제에 비해 폴리올 배합액의 저점도화에 대한 기여가 매우 작기 때문에, 발포제로서 이산화탄소를 채용할 때에는, 폴리올 성분 자체의 저점도화나, 폴리에테르폴리올 등의 저점도의 폴리올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저점도화를 도모하여 폴리올 배합액의 점도를 실용에 제공할 수 있을 정도까지 낮게 할 필요가 있다. 특히 폴리올 성분으로서, 폼에 내열성이나 난연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주목받는 페놀 수지계 폴리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올 성분 자체의 점도가 높기 때문에, 그 저점도화가 검토되어 왔으며, 예를 들어, 특허문헌 4 ∼ 6 에는, 페놀 수지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시킨 페놀 수지계 폴리올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그들 문헌에는, 발포제로서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폼에 있어서의 상기 문제, 즉, 단열 성능의 저하에 대해서는 아무런 검토도 되어 있지 않다. 게다가, 이러한 페놀 수지계 폴리올을 사용한 경우에는,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폼의 치수 안정성이 충분하지 않거나 하는 문제도 내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7 에 있어서는, 물 발포용의 경질 폴리우레탄 폼용 폴리올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올 화합물 중 하나로서, 방향족 디아민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시켜 이루어지는 제 3 급 아미노기 함유 폴리에테르폴리올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 을 사용함으로써, 단열성과 강도가 우수한 경질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 밝혀져 있다. 그러나, 그러한 폴리올 화합물을 사용한 경우에도, 상기한 단열 성능은 충분하지 않고, 난연성이 부족하며, 또 단열 성능이 시간 경과적으로 악화되는 문제도 여전히 내재하는 것이었다.
한편,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중에 유기 규소 화합물이나 실리콘 화합물을 배합시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폼의 특성 개선을 도모하는 기술도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특허문헌 8 에 있어서는, 알킬실록산, 알콕시실록산, 알콕시알킬실록산 등의 유기 규소 화합물을 배합시킴으로써, 폴리우레탄 폼에 소수성을 부여하여, 폴리우레탄 폼을 물에 침지시켜도, 물을 튕겨내어 흡수가 억제되고, 폼의 강도나 단열성이 저하되지 않으며, 또 유기 성분의 물에 대한 용출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밝혀져 있다. 또한, 특허문헌 9 에 있어서는, 비특정 프레온 발포제의 사용에 있어서 형성되는 기포 구조, 즉, 셀의 조대화 및 불균일화를 방지함으로써, 특정 프레온 발포체와 손색이 없는 단열 성능이나 기계적 강도를 갖고, 또 비(非)프레온 발포제를 사용한 경우에도, 밀도의 상승을 수반하지 않고, 대체로 발포체의 논프레온화를 가능하게 하는 발포 경화형 페놀 수지 조성물로서, 액상 페놀 수지와, 산성 경화제 및/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발포제와, 소정의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발포 경화형의 페놀 수지계 조성물이 밝혀져 있다. 그러나, 그들 유기 규소 화합물이나 실리콘 화합물을 배합시켜 이루어지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폼은, 그 치수 안정성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를 내재하고 있는 점에 추가하여, 그 단열 성능이 시간 경과적으로 악화된다는 문제도 내재하고 있는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22764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5964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0737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17085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1743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0-4894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4407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5542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96838호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배경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해결해야 할 과제로 하는 바는, 발포제로서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폼의 단열 성능과 그 장기 안정성, 나아가서는 치수 안정성을 보다 더 유리하게 개선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고, 또 이러한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단열 성능을 실현시키는 폴리우레탄 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자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폴리올 성분으로서, 노볼락형 페놀 수지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시켜 얻어지는 페놀 수지계 폴리올과, 방향족 디아민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시켜 얻어지는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을 병용함과 함께, 추가로, 특정 유기 규소 화합물을 배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폼의 단열 성능 및 치수 안정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되고, 게다가 그 우수한 단열 성능이 장기에 걸쳐 유리하게 지속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폴리올 성분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반응시킴과 함께, 이산화탄소에 의해 발포시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에 사용되는 발포성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올 성분으로서, 노볼락형 페놀 수지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시켜 얻어지는 페놀 수지계 폴리올과, 방향족 디아민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시켜 얻어지는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을 함유하고, 추가로, 하기 일반식 (Ⅰ) 및/또는(Ⅱ) 로 나타내는 유기 규소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을 그 요지로 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56275214-pc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1056275214-pct00002
[단, 식 중, R1 ∼ R12 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 n 은 0 ∼ 50 이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의 바람직한 양태 중 하나에 의하면, 상기 노볼락형 페놀 수지가 유리 (遊離) 페놀류를 1 ∼ 5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3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30 질량% 의 비율로 함유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의 바람직한 양태 중 다른 하나에 의하면, 상기 페놀 수지계 폴리올과 상기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이, 그것들의 합계량이 상기 폴리올 성분의 60 질량% 이상을 차지하는 비율에서 사용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 중 하나에 의하면, 상기 페놀 수지계 폴리올 및 상기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이, 각각 상기 폴리올 성분의 3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의 비율에서 사용되게 된다.
추가로 또,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의 바람직한 양태 중 다른 하나에 의하면, 상기 방향족 디아민은 톨릴렌디아민이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 중 하나에 의하면, 상기 폴리올 성분이, 상기 노볼락형 페놀 수지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부가시켜 얻어지는 페놀 수지계 폴리올과, 방향족 디아민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부가시켜 얻어지는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을 함유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의 바람직한 양태 중 다른 하나에 의하면, 상기 노볼락형 페놀 수지에 부가되는 알킬렌옥사이드가, 에틸렌옥사이드, 또는 50 질량% 이상의 에틸렌옥사이드와 50 질량% 이하의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 중 하나에 의하면, 상기 노볼락형 페놀 수지에 부가되는 알킬렌옥사이드의 10 ∼ 100 질량% 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이다.
추가로 또,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 중 하나에 의하면, 상기 방향족 디아민에 부가되는 알킬렌옥사이드의 10 ∼ 100 질량% 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의 바람직한 양태 중 다른 하나에 의하면, 상기 페놀 수지계 폴리올과 상기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이, 질량비로 3/7 ∼ 7/3 의 비율에서 함유되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의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 중 하나에 의하면, 상기 일반식 (Ⅱ) 로 나타내는 유기 규소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R5 ∼ R12 는 전부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그러한 일반식 (Ⅱ) 로 나타내는 유기 규소 화합물은 헥사메틸디실록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발포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물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실시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그러한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을 발포, 경화시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폼도 그 요지로 하는 것이고, 또 그와 같이 하여 얻어진 폴리우레탄 폼은, 그 열전도율의 시간 경과적 변화에 있어서, 2 개월 후에도 초기값과의 차이가 유리하게는 0.0030 W/(m·K) 이하, 특히 0.0025 W/(m·K) 이하가 되는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에 있어서는, 이산화탄소를 발포제로서 사용하지만, 폴리올 성분으로서, 소정의 페놀 수지계 폴리올과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이 병용됨과 함께, 추가로, 특정 유기 규소 화합물이 배합되어 있는 점에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폼의 열전도율 (초기값) 이 이산화탄소를 발포제로서 사용한 종래의 폴리우레탄 폼의 열전도율 (초기값) 보다 보다 더 유리하게 낮아져, 그 단열 성능이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게 되는 것에 추가하여, 열전도율의 시간 경과적인 상승이 보다 더 유리하게 억제될 수 있고, 이로써, 우수한 단열 성능이 장기에 걸쳐 효과적으로 지속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게다가, 그와 같이 하여 얻어진 폴리우레탄 폼은, 난연성이 우수함과 함께, 치수 안정성도 현저하게 우수한 것이 되는 것으로서, 각종 용도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인 점에서,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향수할 수 있고, 단열 성능과 그 장기 안정성 및 치수 안정성, 난연성이 보다 더 유리하게 개선될 수 있는 것으로 되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폼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에 있어서는, 적어도 발포에 이산화탄소가 사용됨과 함께, 폴리올 성분으로서, 페놀 수지계 폴리올과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그 중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올 성분 중 하나로서 사용되는, 상기 페놀 수지계 폴리올은, 노볼락형의 페놀 수지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페놀 수지계 폴리올의 조제에 사용되는 노볼락형 페놀 수지로는, 유리하게는 저점도화의 관점에서, 유리 페놀류를 1 ∼ 50 질량%, 바람직하게는 5 ∼ 3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30 질량% 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채용되게 된다. 이것은, 유리 페놀류의 함유 비율이 1 질량% 미만에서는, 유효한 저점도화를 도모하기 곤란하여, 목적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을 사용에 제공할 수 없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며, 반대로 50 질량% 를 초과하게 되면, 폴리우레탄 폼이 지나치게 부드러워져, 성형성의 악화를 초래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노볼락형 페놀 수지는, 예를 들어, 페놀류와 알데히드류를, 페놀류 1 몰에 대하여 알데히드류를 0.3 ∼ 1.0 몰의 비율로 배합하고, 이어서 산 촉매를 첨가하여 소정의 반응 조건 (온도나 시간) 으로 반응시킨 후, 필요에 따라 감압 탈수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노볼락형 페놀 수지의 초기 축합물로서 유리하게 제조되게 된다. 여기서, 초기 축합물이란, 분자량이 비교적으로 낮은 페놀 수지로서, 1 분자 중에 2 ∼ 10 정도의 페놀 골격을 갖는 축합물이나 미반응 페놀류의 혼합물이다. 또한, 이러한 노볼락형 페놀 수지 (초기 축합물) 의 제조 방법은, 상기 방법에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생성되는 노볼락형 페놀 수지 중에 상기 유리 페놀류의 소정 비율이 존재하도록 하여, 적절하게 반응 조건이나 반응 환경 (예를 들어, 상압, 감압, 가압, 불활성 가스의 공존 유무, 단계적 또는 축차적 반응 등) 을 설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상기 반응 종료 후의 축합물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별도 페놀류를 첨가하거나 하여, 유리 페놀류의 함유 비율을 상기와 같이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노볼락형 페놀 수지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페놀류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페놀이 채용되는데,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크레졸, 에틸페놀, 자일레놀, p-t-부틸페놀, 옥틸페놀, 노닐페놀, 도데실페놀, p-페닐페놀 등의 알킬페놀 중 1 종을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그러한 알킬페놀 중 1 종 이상과 페놀을 병용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는, m-클로로페놀, o-브로모페놀 등의 할로겐화 페놀, 레조르시놀, 카테콜, 하이드로퀴논, 플로로글리시놀 등의 다가 페놀, 비스페놀 A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 F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메탄) 등의 비스페놀, 레조르시놀, 카테콜,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등의 페놀계 화합물의 정제 잔류물, α-나프톨, β-나프톨, β-하이드록시안트라센 중 1 종을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그들 중 1 종 이상과 페놀이나 알킬페놀을 병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페놀류와 반응되는 알데히드류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일반적으로 포르말린, 파라포름알데히드 중 어느 일방 혹은 양방이 사용되는데, 필요에 따라, 그 밖의 포름알데히드류 (예를 들어, 트리옥산, 테트라옥산, 폴리옥시메틸렌 등), 글리옥살 등을 단독으로 혹은 병용할 수 있다.
또, 노볼락형 페놀 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산 촉매로는, 옥살산이 바람직한데, 그 밖에도 유기 술폰산 (예를 들어, p-톨루엔술폰산 등), 유기 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아세트산 등) 의 2 가 금속 (예를 들어, 마그네슘, 아연, 납 등) 염, 2 가 금속의 염화물, 2 가 금속의 산화물, 무기산 (예를 들어, 염산, 황산 등) 등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물론 이들 중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올 성분 중 하나로서 사용되는 페놀 수지계 폴리올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제조된 노볼락형 페놀 수지에, 염기성 촉매의 존재하에서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으로, 이것에 의해, 유리하게는 유리 페놀류를 함유하는, 노볼락형 페놀 수지의 페놀성 수산기의 부위에 알킬렌옥사이드가 부가되어, 페놀성 수산기가 알코올성 수산기로 변환된 페놀 수지계 폴리올이 된다. 이와 같이, 알킬렌옥사이드의 부가에 의해 페놀 수지가 개질되어, 폴리올 성분의 친수성이 더욱 향상되게 되고, 그 결과적으로, 상기 페놀 수지계 폴리올은, 이산화탄소를 발포제로 하는 발포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폴리올로서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의 혼합성도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상기 페놀 수지계 폴리올은, 알킬렌옥사이드의 배합량 등을 적절히 선정함으로써, 그 수산기가가 유리하게는 100 ∼ 600 ㎎KOH/g 이 되도록, 바람직하게는 150 ∼ 450 ㎎KOH/g 이 되도록,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300 ㎎KOH/g 이 되도록 구성된다. 이 수산기가가 지나치게 낮아지면, 그것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폼이 지나치게 부드러워져서 성형성이 나빠져, 목적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이 얻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며, 반대로 수산기가가 지나치게 높아지면, 점도가 충분히 낮아지지 않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의 혼합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또, 이 수산기가에 대응하여 페놀 수지계 폴리올의 점도도 변동되게 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페놀 수지계 폴리올의 점도는 500 ∼ 50000 mPa·s/25 ℃ 의 범위로 된다.
여기서, 상기 페놀 수지계 폴리올의 제조에 사용되는 알킬렌옥사이드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부틸렌옥사이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페놀 수지계 폴리올의 친수성의 관점에서, 특히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이들의 조합이 바람직하게 채용되는 것이고, 그 중에서도 폼의 단열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에틸렌옥사이드의 배합량이,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총 배합량에 대하여 50 ∼ 100 질량%, 바람직하게는 75 ∼ 100 질량%, 특히 100 질량% (에틸렌옥사이드 단독) 인 것이 유리하게 사용되지만, 또 폼의 치수 안정성의 관점에서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의 배합량이 알킬렌옥사이드 전체의 10 ∼ 100 질량%, 바람직하게는 25 ∼ 100 질량%, 특히 100 질량% (프로필렌옥사이드 단독)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또, 이러한 알킬렌옥사이드의 배합 비율은 일반적으로 노볼락형 페놀 수지의 페놀성 수산기에 대하여 1 ∼ 20 배 당량이 되는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된다.
그리고, 상기 페놀 수지계 폴리올의 제조에 사용되는, 바꾸어 말하면 상기 노볼락형 페놀 수지와 알킬렌옥사이드의 부가 반응에 사용되는 염기성 촉매로는,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바륨, 수산화칼슘 등의 알칼리성 촉매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적어도 1 종이 적절히 선택되어 사용되게 되는데, 물론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는 바이다.
또, 이러한 페놀 수지계 폴리올과 함께, 폴리올 성분의 다른 하나의 필수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은 방향족 디아민에 공지된 수법에 따라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이러한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은, 방향족 디아민을 개시제로 하여, 이것에 알킬렌옥사이드를 개환 부가시켜 이루어지는, 말단 수산기의 다관능 폴리에테르폴리올 화합물이다.
또한, 그러한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을 부여하는 개시제로서의 방향족 디아민에는, 공지된 각종 방향족 디아민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톨릴렌디아민으로 총칭되는, 페닐렌디아민의 각종 메틸 치환체 외에, 그 아미노기에 대하여 메틸, 에틸, 아세틸, 벤조일 등의 치환기가 도입되어 이루어지는 유도체나,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p-페닐렌디아민, o-페닐렌디아민, 나프탈렌디아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 그들 중에서도,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폼의 특성을 높이는데 있어서, 톨릴렌디아민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게 된다.
또, 이러한 방향족 디아민에 부가되는 알킬렌옥사이드로는, 에틸렌옥사이드나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의 공지된 고리형 에테르 화합물 (에폭사이드) 을 들 수 있고, 또한 그들 옥사이드를 조합한 것도 바람직하게 사용되게 된다. 그 중에서도, 폼의 치수 안정성의 관점에서, 프로필렌옥사이드의 배합량이 알킬렌옥사이드 전체의 10 ∼ 100 질량%, 바람직하게는 75 ∼ 100 질량%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향족 디아민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시켜 얻어지는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로는, 각종의 것이 시판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톨릴렌디아민계 폴리올로서, 산닉스 HA-501, 동 HM-550, 동 HM-551 (이상, 모두 산요 화성 공업 주식회사 제품) 등의 상품을 예시할 수 있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들 시판품 중에서 적절히 선정하여 사용되게 된다. 또한, 이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의 수산기가는 유리하게는 200 ∼ 600 ㎎KOH/g, 또 점도는 유리하게는 500 ∼ 20000 mPa·s/25 ℃ 의 범위 내로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이 상기한 페놀 수지계 폴리올과 함께 폴리올 성분으로서 사용되게 되는 것인데, 그들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과 페놀 수지계 폴리올은, 그것들의 합계량이 폴리올 성분의 60 질량% 이상을 차지하는 비율에서 사용되고, 특히 그들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과 페놀 수지계 폴리올은, 각각 폴리올 성분 전체의 3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을 차지하는 비율에서 사용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양호하게 달성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한 것이다. 또, 그 중에서 페놀 수지계 폴리올과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은 질량비로 3/7 ∼ 7/3, 바람직하게는 4/6 ∼ 6/4 의 비율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들 페놀 수지계 폴리올과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의 배합 비율에서, 페놀 수지계 폴리올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치수 안정성의 향상 효과가 저하되게 되고, 또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열전도율이나 난연성의 향상 효과가 저하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폴리올 성분으로서, 상기 서술한 페놀 수지계 폴리올과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이 조합되어 사용되는 것인데, 그들 폴리올 화합물의 병용에 의한 우수한 작용·효과에 악영향을 초래하지 않는 한, 다른 공지된 폴리올 화합물을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다른 공지된 폴리올 화합물로는, 지방족 폴리에테르폴리올, 지방족 아민계 폴리에테르폴리올, 방향족 폴리에테르폴리올 등의 공지된 폴리에테르폴리올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페놀 수지계 폴리올과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이 폴리올 성분으로서 사용됨과 함께, 추가로, 상기 일반식 (Ⅰ) 및 (Ⅱ) 로 나타내는 특정 유기 규소 화합물이 사용되고, 이로써, 단열 성능의 장기 안정성의 향상이 보다 더 유리하게 실현되고, 특히 열전도율의 시간 경과적 변화, 예를 들어, 그 초기값과 2 개월 후의 것의 차이가 0.0030 W/(m·K)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25 W/(m·K) 이하가 되는 특성을 유리하게 실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그러한 바람직한 특성을 실현시키는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유기 규소 화합물은, 모노알콕시트리알킬실란으로서, 그 치환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가 존재하는데, 특히 바람직하게는 토오레·다우코닝 (주) 로부터 제조 판매되고 있는 상품 : SS2010 (트리메틸메톡시실란) 이 사용된다. 또, 상기 일반식 (Ⅱ) 로 나타내는 유기 규소 화합물은, 기본 구조 단위 n = 0 ∼ 50, 바람직하게는 0 ∼ 10 인 폴리알킬폴리실록산으로서, 각각의 알킬 치환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가 있는데,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는 알킬기가 전부 메틸기인 것이고, 예를 들어, 토오레·다우코닝 (주) 로부터 제조 판매되고 있는 상품 : SH200 0.6cst (n = 0), SH200 1cst (n = 1), SH200 1.5cst (n = 2.4), SH200 2cst (n = 3.4), SH200 3cst (n = 5.2), SH200 5cst (n = 8.2), 신에츠 화학 공업 (주) 로부터 제조 판매되고 있는 상품 : KF-96L0.65 (n = 0) 등을 예시할 수 있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KF-96L0.65 (n = 0), SH200 0.6cst (n = 0) ∼ SH200 2cst (n = 3.4)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KF-96L0.65 (n = 0), SH200 0.6cst (n = 0) 이다. 또한, 상기 일반식 (Ⅰ) 및 (Ⅱ) 로 나타내는 유기 규소 화합물 중의 치환기 R1 ∼ R12 는 동일한 것이어도 되고, 상이한 것이어도 전혀 상관없다.
또, 상기의 특정 유기 규소 화합물은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양자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물론, 동속의 화합물을 2 종 이상 병용해도 전혀 상관없는 것이다. 또, 이러한 특정 유기 규소 화합물의 배합량은 종류, 경화 양식, 폼 물성, 발포 형태 등에 따라 일의적으로 결정하기는 곤란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폴리올 성분의 100 질량부당 0.1 ∼ 1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5 ∼ 5 질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게 된다. 이 유기 규소 화합물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적어지면, 그 사용에 의한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고, 또 그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단열 성능의 장기 안정성의 향상 효과가 한계점에 이르게 되고, 비용이 비싸지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않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에는, 적어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페놀 수지계 폴리올과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이 폴리올 성분으로서 함유되고,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특정 유기 규소 화합물이 함유됨과 함께, 추가로, 발포제로서 이산화탄소 및/또는 그 형성원이 도입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산화탄소 또는 그 형성원은, (1) 발포제원인 물을 첨가시킴으로써, 혹은 (2) 아임계 상태 혹은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첨가시킴으로써,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 중에 도입되는데, 이러한 (1), (2) 중 어느 일방이어도 되고, 혹은 양방을 조합해도 된다. 또한, 아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란, 압력이 임계 압력 이상이고, 온도가 임계 온도 미만인 액체 상태의 이산화탄소, 압력이 임계 압력 미만이고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인 액체 상태의 이산화탄소, 혹은 온도 및 압력이 임계점 미만이지만, 이것에 가까운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가리키고, 또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란, 압력, 온도가 모두 임계 압력, 임계 온도 이상인 임계점을 초과한 유체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말한다.
특히, 상기 (1) 의 물 발포의 경우에는, 발포제원인 물이, 후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의 반응에 의해, 폼의 형성에 이용되는 탄산 가스를 생성시키는 역할을 함과 함께, 페놀 수지계 폴리올의 점도 저하에도 약간이지만 기여한다. 이러한 물 발포를 위한 물의 배합량은 원하는 폼 밀도가 되도록 적절히 설정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페놀 수지계 폴리올 및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100 질량부에 대하여, 0.3 ∼ 1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2 ∼ 8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6 질량부의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물의 배합량이, 페놀 수지계 폴리올 및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100 질량부에 대하여 0.3 질량부 미만에서는, 탄산 가스의 발생량이 충분하지 않고, 반대로 10 질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밀도의 극단적인 저하에 의한 폼의 취약화가 야기될 우려가 있다.
한편, 아임계 상태 혹은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혼합시키는 경우에도, 그 첨가량은 원하는 폼 밀도가 되도록 적절히 설정될 수 있는 것이며, 통상적으로 페놀 수지계 폴리올 및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100 질량부에 대하여, 0.3 ∼ 1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5 ∼ 5 질량부의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에는, 페놀 수지계 폴리올 및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과 반응하여, 폴리우레탄을 생성시키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이 사용된다. 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분자 중에 2 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 (NCO 기) 를 갖는 유기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며, 예를 들어,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렌폴리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톨릴렌폴리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외에, 분자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우레탄 프레폴리머,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체, 카르보디이미드 변성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일반적으로는, 반응성이나 경제성,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폴리메틸렌폴리페닐렌폴리이소시아네이트 (크루드 MDI) 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상기 페놀 수지계 폴리올 및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과의 배합 비율은 폼의 종류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에 따라 변경되게 되지만, 일반적으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이소시아네이트기 (NCO) 와 폴리올 성분 (각 폴리올의 합계) 의 수산기 (OH) 와의 비율을 나타내는 NCO/OH 인덱스 (당량비) 가 0.9 ∼ 2.5 정도의 범위가 되도록 적절히 설정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에는, 통상적으로 페놀 수지계 폴리올 및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 그리고 특정 유기 규소 화합물이나, 이산화탄소 (물 발포법의 경우에는, 발포제원인 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이외에도, 통상적으로 촉매나 정포제가 배합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물을 발포제원으로서 사용할 때,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물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탄산 가스를 조기에 발생시키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그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물의 반응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갖는 아민계 포화 (泡化) 촉매가 유리하게 사용된다. 그러한 아민계 포화 촉매로는, 예를 들어, 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비스(디메틸아미노에틸)에테르, N,N,N'-트리메틸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혹은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또, 그 배합량으로는, 통상적으로 페놀 수지계 폴리올 및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의 100 질량부에 대하여, 1 ∼ 30 질량부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 한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의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수지화 촉매가 유리하게 사용된다. 이 수지화 촉매는 폼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우레탄화 촉매, 이소시아누레이트화 촉매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혹은 이들이 병용된다. 우레탄화 촉매로는, 예를 들어, 제 3 급 아민,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에틸모르폴린, 트리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옥틸산비스무트(2-에틸헥실산비스무트), 네오데칸산비스무트, 네오도데칸산비스무트, 나프텐산비스무트 등의 지방산 비스무트염, 나프텐산납 등을 들 수 있는 한편, 이소시아누레이트화 촉매로는,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알킬 제 4 급 암모늄염, 옥틸산칼륨, 아세트산나트륨 등의 지방산 알칼리 금속염, 트리스(디메틸아미노프로필)헥사하이드로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화 촉매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 수지화 촉매의 배합량은, 일반적으로 폴리올 성분의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 15 질량부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정포제는 폴리우레탄 폼의 셀 구조를 균일하게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여기서는, 실리콘이나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구체예로서,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 폴리실록산옥시알킬렌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피마자유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라우릴 지방산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 종이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된다. 또한, 정포제의 배합량은 소기의 폼 특성이나 사용되는 정포제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폴리올 성분의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 10 질량부 정도의 비율로 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에는, 또한 필요에 따라, 난연제나 기포제 (起泡劑) 외에, 예를 들어, 우레아, 멜라민 등의 포름알데히드 포착제나, 기포 미세화제, 가소제, 보강 기재 등의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각종 보조제를 적절히 선택하여 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난연제로는, 환경에 대한 부하가 적고, 발포성 조성물의 점도 감소제로서도 기능하는 트리스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 트리스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 트리에틸포스페이트 등의 인산에스테르가 유리하게 사용된다. 이 인산에스테르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소기의 폼 특성이나 난연제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페놀 수지계 폴리올의 100 질량부에 대하여 10 ∼ 60 질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고, 그 범위 중에서도 특히 10 ∼ 40 질량부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인산에스테르 이외에도, 난연제로서 수산화알루미늄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 상기 기포제는, 물을 발포제원으로서 사용할 때에 탄산 가스가 발생할 때까지의 발포와 경화의 시간적인 어긋남을, 기포제가 갖는 비누 기능에 의한 거품 내기 (높은 기포성과 기포 안정성) 로 보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을 분사 방식의 발포법 (분사 발포법) 으로 발포·경화시키는 경우에 유용하다. 이러한 기포제로는, 비누의 성분으로서 알려진 지방산 알칼리 금속염, 특히 탄소수가 12 ∼ 18 인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산, 리놀렌산 등의 지방산의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물 발포법에 있어서는, 지방산 칼륨염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오존층 보전의 관점에서 이산화탄소가 발포제로서 채용되는 것인데, 이러한 이산화탄소를 주된 발포제로서 채용하는 한, 필요에 따라, 과산화수소수나, 펜타플루오로프로판 (HFC-245fa), 펜타플루오로부탄 (HFC-365mfc), 테트라플루오로에탄 (HFC-134a) 등으로 대표되는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이나, 펜탄, 시클로펜탄 등으로 대표되는 저비점 지방족 탄화수소, 디클로로메탄, 이소프로필클로라이드 등으로 대표되는 할로겐계 탄화수소를, 이산화탄소에 의한 발포 작용을 보조하기 위한 발포 보조제로서 첨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페놀 수지계 폴리올 및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 그리고 특정 유기 규소 화합물이나 발포제 등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을 제조할 때에는, 종래의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과 동일한 제조 수법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발포법을 채용하는 경우, 즉, 발포제로서 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먼저 폴리올 성분으로서의 상기 페놀 수지계 폴리올이나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에 대하여, 앞의 특정 유기 규소 화합물과 함께, 발포제원으로서의 물, 필요에 따라, 포화 촉매, 수지화 촉매, 정포제, 난연제, 기포제, 그 밖의 각종 보조제가 배합되어, 폴리올 배합액 (프레믹스액) 이 조제된다. 이어서, 이 조제된 폴리올 배합액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이 저압 고속 교반 혼합기를 사용하여 고속 교반 혼합됨으로써, 혹은 고압 충돌 혼합기 (예를 들어, 현장 스프레이 발포기) 를 사용하여 고압 충돌 혼합됨으로써, 액상의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물 발포법에 적합한 저점성을 갖는 상기 페놀 수지계 폴리올이나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이 사용되고 있는 점에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의 혼합이 유리하게 실시되어, 균질한 발포성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발포제로서, 아임계 상태 혹은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먼저 폴리올 성분으로서의 상기 페놀 수지계 폴리올이나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포화 촉매, 수지화 촉매, 정포제, 난연제, 기포제, 그 밖의 각종 보조제가 배합되어, 폴리올 배합액 (프레믹스액) 이 조제된다. 그리고, 이 조제된 폴리올 배합액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혼합되기 직전에, 바람직하게는 폴리올 배합액에 대하여, 소정의 압력과 온도하에서 아임계 상태 혹은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가 첨가, 혼합된 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이 추가로 첨가 혼합됨으로써, 액상의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은, 예를 들어, 면재 상에 도포하여 판 형상으로 발포, 경화를 실시하는 라미네이트 연속 발포법, 전기 냉장고 등의 단열 성능이 요구되는 공간부 내나 경량·고강도 보드의 허니콤 구조 내에 주입 충전하여 발포, 경화를 실시하는 주입 발포법, 현장 발포기의 스프레이 건 헤드로부터 피착체에 분사하여 발포, 경화시키는 스프레이 발포법에 의해 발포, 경화되어, 목적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이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에 있어서는, 폴리올 성분으로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페놀 수지계 폴리올과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이 사용되고, 추가로, 특정 유기 규소 화합물이 사용되고 있는 점에서, 발포제로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단열 성능이 실현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열전도율 (초기값) 이 종래의 물 발포법으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폼의 열전도율 (초기값) 보다 낮아져, 0.022 W/(m·K) 미만, 바람직하게는 0.021 W/(m·K) 이하로 됨과 함께, 열전도율이 시간 경과적으로 상승하는 것도 유리하게 억제되어, 특히 열전도율의 초기값과 2 개월 경과된 것의 차이가 0.0030 W/(m·K) 이하, 특히 0.0025 W/(m·K) 이하가 되는 것이고, 이로써 우수한 단열 성능이 장기에 걸쳐 지속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열전도율」이란, JIS A 1412 에 준거하여 측정된 열전도율을 말하며, 그 중에서도 「열전도율 (초기값)」은,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후, 초기의 단계 (16 시간 ∼ 2 일 사이) 에 측정된 열전도율을 의미한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폼의 열전도율이 커지면, 동일한 단열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폼 두께를 두껍게 해야 하므로, 열전도율을 작게 하는 것은 공간 절약화나 폴리우레탄 폼 제품의 저렴화에 크게 공헌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폼은, 그 밀도가 20 ∼ 100 ㎏/㎥ 정도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은, 폴리올 성분으로서,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이 아니라, 페놀 수지계 폴리올 및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이 사용되고 있는 점에서, 난연성이나 내열성도 부여된 것이 되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은 대체 프레온계의 발포제를 사용한 경우와 손색이 없는 유연성을 실현시키기 때문에, 후공정에 있어서, 불필요한 부분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어, 가공성도 양호한 것이 되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몇 가지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밝히기로 하지만, 본 발명이 그러한 실시예의 기재에 의해 어떠한 제약도 받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는 바이다. 또, 본 발명에는, 이하의 실시예 외에도, 나아가서는 상기한 구체적 기술 이외에도,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경, 수정, 개량 등을 부가할 수 있는 것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및 「부」는 모두 질량 기준이다.
먼저, 노볼락형 페놀 수지를 조제하고, 그리고 그 얻어진 노볼락형 페놀 수지에 소정의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시켜, 목적으로 하는 페놀 수지계 폴리올을 준비하였다. 또한, 노볼락형 페놀 수지의 점도, 수평균 분자량 및 미반응 페놀 (유리 페놀) 량, 그리고 페놀 수지계 폴리올의 점도 및 수산기가는 이하의 측정 수법으로 측정하였다. 또,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로는, 톨릴렌디아민계 폴리올 M, N 으로서, 이하와 같이 하여 합성하였다.
(1) 점도 (mPa·s) 는 B 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JIS K 7117-1 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2) 수산기가 (㎎KOH/g) 는 JIS K 1557 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3) 수평균 분자량 및 미반응 페놀량은 토소 주식회사 제조의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프 8020 시리즈 빌드업 시스템 (칼럼 : G1000HXL + G2000HXL, 검출기 : UV 254 ㎚, 캐리어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 ㎖/min, 칼럼 온도 : 38 ℃) 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수평균 분자량은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값이고, 또 미반응 페놀량은 피크 높이를 측정하여, 페놀 검량선으로부터 구하였다.
<노볼락형 페놀 수지의 조제>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 내에 페놀 9400 부, 92 % 파라포름알데히드 1630 부, 산 촉매로서 옥살산 19 부를 투입한 후, 교반 혼합하면서 100 ℃ 의 온도에서 5 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감압하에서 수분을 증류 제거한 후, 계속해서, 소정의 온도가 될 때까지 감압하에서 미반응 페놀을 부분적으로 증류 제거함으로써, 노볼락형 페놀 수지 a, b, c 를 조제하였다. 또한, 이 얻어진 노볼락형 페놀 수지 a 의 미반응 페놀 함유량은 30 %, 수평균 분자량은 180, 80 ℃ 에 있어서의 점도는 110 mPa·s 이고, 노볼락형 페놀 수지 b 의 미반응 페놀 함유량은 10 %, 수평균 분자량은 280, 80 ℃ 에 있어서의 점도는 6100 mPa·s 이고, 노볼락형 페놀 수지 c 의 미반응 페놀 함유량은 5 %, 수평균 분자량은 320, 80 ℃ 에 있어서의 점도는 9500 mPa·s 였다.
또, 동일하게 하여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 내에 페놀 9400 부, 92 % 파라포름알데히드 1630 부, 산 촉매로서 옥살산 19 부를 투입한 후, 교반 혼합하면서 100 ℃ 에서 3 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감압하에서 수분을 증류 제거함으로써, 노볼락형 페놀 수지 d 를 조제하였다. 이 얻어진 노볼락형 페놀 수지 d 의 미반응 페놀 함유량은 35 %, 수평균 분자량은 140, 80 ℃ 에 있어서의 점도는 70 mPa·s 였다.
<페놀 수지계 폴리올의 조제>
교반 장치를 구비한 내압 반응 용기 내에 하기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노볼락형 페놀 수지 a, b, c, d 중 어느 것을 4000 부, 알칼리 촉매로서의 수산화칼륨 200 부와 함께 투입한 후, 교반 혼합하면서 150 ℃ 의 온도에서, 에틸렌옥사이드 (EO) 또는 EO 및 프로필렌옥사이드 (PO) 를 하기 표 1 에 나타내는 배합량이 되도록 첨가하여, 노볼락형 페놀 수지에 부가시켰다. 또한, EO 및 PO 의 양방을 부가시키는 경우에는, 먼저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시킨 후, 프로필렌옥사이드를 다음으로 부가시켰다. 그 후, 수산화칼륨을 아세트산으로 중화시켜, 5 종류의 페놀 수지계 폴리올 (A, B, C, D, E) 을 조제하였다. 이 얻어진 페놀 수지계 폴리올에 대해 수산기가 및 25 ℃ 에 있어서의 점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에 나타냈다.
Figure 112011056275214-pct00003
<톨릴렌디아민계 폴리올 M, N 의 조제>
교반 장치를 구비한 내압 반응 용기 내에 하기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톨릴렌디아민 1000 부와 반응 촉매로서의 수산화칼륨 20 부를 주입하고, 교반 혼합하면서 115 ℃ 의 온도하에서, 가압하에 EO 또는 EO 및 PO 를 하기 표 2 에 나타내는 배합량이 되도록 첨가하여, 톨릴렌디아민에 부가시켰다. 또한, EO 및 PO 의 양방을 부가시키는 경우에는, 먼저 EO 를 부가시킨 후, PO 를 다음으로 부가시켰다. 그 후, 촉매를 아세트산으로 중화시킴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톨릴렌디아민계 폴리올 M, N 을 얻었다. 또한, 이 얻어진 톨릴렌디아민계 폴리올에 대해 그 수산기가 및 25 ℃ 에 있어서의 점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 에 나타냈다.
Figure 112011056275214-pct00004
(실시예 1)
먼저, 폴리올 성분으로서, 상기에서 준비한 페놀 수지계 폴리올 A 와 톨릴렌디아민계 폴리올 M 를 사용하고, 하기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페놀 수지계 폴리올 A 50 부와 톨릴렌디아민계 폴리올 M 50 부에 대하여, 트리메틸메톡시실란 (토오레·다우코닝사 제조의 SS2010) 2 부, 실리콘 정포제 (상품명 : SH-193, 토오레·다우코닝사 제조) 2 부, 포화 촉매 (상품명 : 카올라이저 No.26, 카오 주식회사 제조) 3 부, 수지화 촉매 (상품명 : 카올라이저 No.31, 카오 주식회사 제조) 0.5 부, 발포제원으로서의 물 5 부, 난연제 (트리스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 30 부 및 기포제 (리시놀산칼륨) 1 부를 혼합하여, 폴리올 배합액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이러한 얻어진 폴리올 배합액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서의 크루드 MDI (상품명 : 루프라네이트 M-11S, BASF INOAC 폴리우레탄사 제조) 를 사용하여, 각각 10 ℃ 로 온도 조정한 후, NCO/OH 당량비가 1.10 이 되도록 폴리올 배합액에 크루드 MDI 를 첨가하고, 바로 호모 디스퍼를 사용하여 고속 교반 혼합하였다. 그리고, 이 얻어진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을 바로 사각형의 금형 내에 투입한 후, 또한 철판으로 개구부를 복개하고, 상온하에서 방치하여, 금형 내의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을 발포, 경화시킴으로써, 판 형상의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얻어진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그 밀도, 열전도율 및 열전도율의 시간 경과적 변화, 치수 안정성, 난연성을 측정하고, 그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3 에 나타냈다.
또한, 이러한 특성 평가시에 「밀도」의 측정은 JIS K 7222 에 준거하여 실시하였다. 또, 「열전도율 (W/m·K) 및 그 시간 경과적 변화」의 측정은, 얻어진 폴리우레탄 폼을 열전도율 측정 장치 (MADDERLAKE SCIENTIFIC GROUP COMPANY 제조, 아나콘 TCA POINT2) 를 사용하여, JIS A 1412-2 부속서 A (규정) 에 있어서의 평판 비교법의 A6. 측정 방법에 준거하여 실시하였다. 그리고, 열전도율의 시간 경과적 변화의 측정은, 우레탄 폼 제조 후, 23 ℃ 의 분위기하에서 24 시간 (초기값), 1 개월 및 2 개월 방치한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치수 안정성」의 평가는, 얻어진 폴리우레탄 폼을 150 ㎜ × 150 ㎜ × 30 ㎜ 의 형상으로 잘라내어, 50 ℃ 의 분위기하에서 24 시간 가만히 정지시키고, 그 두께의 변화율을 측정하여 치수 변화율로 하였다. 그 평가 결과는, 치수 변화율이 1 % 미만인 경우를 ○, 1 ∼ 3 % 인 경우를 △, 3 % 를 초과하는 것을 × 로 하였다. 추가로 또, 「난연성」의 평가는, 얻어진 폴리우레탄 폼으로부터 300 ㎜ × 200 ㎜ × 30 ㎜ 의 폼을 잘라낸 후, 그 폼으로부터 100 ㎜ 떨어진 위치에 세팅한 가스 토치로부터 30 초간 불꽃을 쬐어, 난연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험 후에 시험체에 관통이 없는 경우에 ○, 약간의 관통이 관찰되는 경우에 △, 큰 관통이 발생한 경우에는 × 로 하였다.
(실시예 2 ∼ 3)
페놀 수지계 폴리올 A 및 톨릴렌디아민계 폴리올 M 의 배합 비율을 하기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정함과 함께, 유기 규소 화합물로서 SH-200 0.6cst (토오레·다우코닝사 제조)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올 배합액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그 얻어진 폴리올 배합액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각각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을 조제하고, 판 형상의 폴리우레탄 폼을 얻었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얻어진 폴리우레탄 폼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밀도, 열전도율 및 열전도율의 시간 경과적 변화, 치수 안정성, 난연성을 측정하고, 그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3 에 나타냈다.
(실시예 4)
유기 규소 화합물로서 SH-200 0.6cst (토오레·다우코닝사 제조)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을 조제하고, 그리고 판 형상의 폴리우레탄 폼을 얻었다. 또, 그 얻어진 폴리우레탄 폼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밀도, 열전도율 및 열전도율의 시간 경과적 변화, 치수 안정성, 난연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 에 나타냈다.
(실시예 5 ∼ 8)
폴리올 성분으로서 노볼락형 페놀 수지계 폴리올 A, 톨릴렌디아민계 폴리올 M 및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상품명 : RDK-133, 가와사키 화성 공업 주식회사 제조) 을 하기 표 3 에 나타내는 비율에서 사용하고, 또 유기 규소 화합물로서 SH-200 0.6cst (토오레·다우코닝사 제조) 를 사용하기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을 조제하고, 그리고 판 형상의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다. 또, 그 얻어진 폴리우레탄 폼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밀도, 열전도율 및 열전도율의 시간 경과적 변화, 치수 안정성, 난연성을 측정하고, 그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3 에 나타냈다.
(실시예 9, 10)
유기 규소 화합물로서 SH-200 2.0cst 또는 SH-200 5.0cst (모두 토오레·다우코닝사 제조)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을 조제하고, 이어서, 판 형상의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다. 또, 그 얻어진 폴리우레탄 폼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밀도, 열전도율 및 열전도율의 시간 경과적 변화, 치수 안정성, 난연성을 측정하고, 그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3 에 나타냈다.
(실시예 11 ∼ 14)
폴리올 성분으로서 노볼락형 페놀 수지계 폴리올의 종류를 하기 표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고, 또 유기 규소 화합물로서 SH-200 0.6cst (토오레·다우코닝사 제조) 를 사용하기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을 조제하고, 그리고 판 형상의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다. 또, 그 얻어진 폴리우레탄 폼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밀도, 열전도율 및 열전도율의 시간 경과적 변화, 치수 안정성, 난연성을 측정하고, 그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4 에 나타냈다.
(비교예 1, 4)
폴리올 성분으로서 노볼락형 페놀 수지계 폴리올 B 만 또는 톨릴렌디아민계 폴리올 N 만 100 부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을 조제하고, 또한 판 형상의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다. 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그들 얻어진 폴리우레탄 폼에 대해, 밀도, 열전도율 및 열전도율의 시간 경과적 변화, 치수 안정성, 난연성을 측정하고, 그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4 에 나타냈다.
(비교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유기 규소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기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을 조제하고, 또한 판 형상의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다. 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폴리우레탄 폼에 대해, 그 밀도, 열전도율 및 열전도율의 시간 경과적 변화, 치수 안정성, 난연성을 측정하고,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4 에 나타냈다.
(비교예 3)
실시예 5 에 있어서, 유기 규소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기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을 조제하고, 그리고 그 다음에 판 형상의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다. 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폴리우레탄 폼에 대해, 그 밀도, 열전도율 및 열전도율의 시간 경과적 변화, 치수 안정성, 난연성을 측정하고, 그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4 에 나타냈다.
Figure 112011056275214-pct00005
Figure 112011056275214-pct00006
이러한 표 3 및 표 4 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예에 관련된 실시예 1 ∼ 14 에서 얻어진 폴리우레탄 폼에 있어서는, 발포제원으로서 물을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바꾸어 말하면 발포제로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두 열전도율의 초기값이 0.021 W/(m·K) 미만으로 되었고, 또 장기 경과 후 (2 개월 경과 후) 에도 열전도율은 0.025 W/(m·K) 이하로 되어, 단열재로서 매우 현저한 유용성을 갖고 있음이 확인된다. 또한, 난연성 및 치수 안정성에 있어서도, 실시예 1 ∼ 14 의 폴리우레탄 폼은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된다.
한편, 폴리올 성분으로서 페놀 수지계 폴리올만을 사용한 비교예 1 에 있어서는, 열전도율의 시간 경과적 변화가 약간 크고, 또한 치수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이 확인되는 것이고, 또 특정 유기 규소 화합물을 배합하지 않은 비교예 2 및 3 의 경우에 있어서는, 모두 열전도율의 시간 경과적 변화가 큰 것이 되었다.

Claims (17)

  1. 폴리올 성분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반응시킴과 함께, 이산화탄소에 의해 발포시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에 사용되는 발포성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올 성분으로서, 노볼락형 페놀 수지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시켜 얻어지는 페놀 수지계 폴리올과, 방향족 디아민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시켜 얻어지는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을 함유하고, 추가로, 하기 일반식 (Ⅰ) 및 (Ⅱ)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기 규소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3001995608-pct00009

    [화학식 2]
    Figure 112013001995608-pct00010

    [단, 식 중, R1 ∼ R12 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 n 은 0 ∼ 50 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볼락형 페놀 수지가 유리 (遊離) 페놀류를 1 ∼ 50 질량% 의 비율로 함유하고 있는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볼락형 페놀 수지가 유리 페놀류를 5 ∼ 35 질량% 의 비율로 함유하고 있는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볼락형 페놀 수지가 유리 페놀류를 10 ∼ 30 질량% 의 비율로 함유하고 있는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 수지계 폴리올과 상기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이 그것들의 합계량이 상기 폴리올 성분의 60 질량% 이상을 차지하는 비율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 수지계 폴리올 및 상기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이 각각 상기 폴리올 성분의 30 질량% 이상의 비율에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 수지계 폴리올 및 상기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이 각각 상기 폴리올 성분의 40 질량% 이상의 비율에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디아민이 톨릴렌디아민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성분이 상기 노볼락형 페놀 수지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부가시켜 얻어지는 페놀 수지계 폴리올과, 방향족 디아민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부가시켜 얻어지는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볼락형 페놀 수지에 부가되는 알킬렌옥사이드가 에틸렌옥사이드, 또는 50 질량% 이상의 에틸렌옥사이드와 50 질량% 이하의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볼락형 페놀 수지에 부가되는 알킬렌옥사이드의 10 ∼ 100 질량% 가 프로필렌옥사이드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디아민에 부가되는 알킬렌옥사이드의 10 ∼ 100 질량% 가 프로필렌옥사이드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 수지계 폴리올과 상기 방향족 아민계 폴리올이 질량비로 3/7 ∼ 7/3 의 비율에서 함유되어 있는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Ⅱ) 로 나타내는 유기 규소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R5 ∼ R12 가 전부 메틸기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Ⅱ) 로 나타내는 유기 규소 화합물이 헥사메틸디실록산인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물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실시되는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을 발포, 경화시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폼.
KR1020117017061A 2008-12-24 2009-12-24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폼 KR1012905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27364 2008-12-24
JP2008327364 2008-12-24
PCT/JP2009/007165 WO2010073651A1 (ja) 2008-12-24 2009-12-24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発泡性組成物及び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973A KR20110104973A (ko) 2011-09-23
KR101290511B1 true KR101290511B1 (ko) 2013-07-26

Family

ID=42287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7061A KR101290511B1 (ko) 2008-12-24 2009-12-24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201705A1 (ko)
EP (1) EP2368927A4 (ko)
JP (1) JP5684576B2 (ko)
KR (1) KR101290511B1 (ko)
CN (1) CN102239200B (ko)
WO (1) WO201007365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546A (ko) 2017-11-24 2019-03-22 최주환 내부는 다수의 공극이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며 외부는 밀집한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를 갖는 물품을 제조하는 데에 적합한 신규한 우레탄 발포 공정
KR20210061782A (ko) 2019-11-20 2021-05-28 정상규 경질의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우레탄 발포 공정
KR20210061781A (ko) 2019-11-20 2021-05-28 윤기찬 연질의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우레탄 발포 공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4105B2 (ja) * 2009-02-09 2013-11-06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ポリウレタン発泡体
JP5422280B2 (ja) * 2009-07-13 2014-02-19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発泡性組成物及び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US9169368B2 (en) * 2013-07-30 2015-10-27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Rigid foam and associated article
US9266997B2 (en) * 2013-09-20 2016-02-23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olyurethane foam and associated method and article
WO2017112012A2 (en) * 2015-09-17 2017-06-29 Jerez Roberto Velozzi Load-bearing composite panels, materials, products, and processes to make and use same
EP3356435B1 (en) 2015-09-30 2019-08-2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One-component fenestration foam formulation demonstrating low initial shrinkage
CN109456600B (zh) * 2018-10-18 2021-04-02 英克化工科技(太仓)有限公司 阻燃硅胶泡棉及其生产方法
DE102018130184A1 (de) * 2018-11-28 2020-05-28 Adler Pelzer Holding Gmbh Polyurethan-Schaumstoff-Formulierung und Schallisolierungen mit darauf basierenden Schäumen (Motorkapsel)
PL3677610T3 (pl) 2019-01-07 2022-01-31 Evonik Operations Gmbh Wytwarzanie sztywnej pianki poliuretanowej
MX2021008058A (es) 2019-01-07 2021-08-05 Evonik Operations Gmbh Produccion de espuma rigida de poliuretano.
CN114381111A (zh) * 2021-11-30 2022-04-22 山东一诺威新材料有限公司 戊烷型多组分高阻燃聚氨酯复合酚醛连续板组合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5424A (ja) * 2001-08-13 2003-02-26 Shin Etsu Chem Co Ltd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疎水化用添加剤および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2004059641A (ja) * 2002-07-25 2004-02-26 Toyo Tire & Rubber Co Ltd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ポリオール組成物及び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23727A (en) * 1965-06-14 1968-08-14 Dow Chemical Co Polyurethanes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046721A (en) * 1976-07-30 1977-09-06 Texaco Development Corporation Low friability polyisocyanurate foams
JPS63245420A (ja) * 1987-03-31 1988-10-12 Sanyo Chem Ind Ltd ポリイソシアヌレ−トフオ−ムの製法
JPH01135824A (ja) * 1987-11-20 1989-05-29 Sumitomo Deyurezu Kk フェノール変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KR930007876B1 (ko) * 1989-12-05 1993-08-21 미쯔이도오아쯔가가꾸 가부시가가이샤 폴리올 및 경질 폴리우레탄포옴
US5177119A (en) * 1990-04-25 1993-01-05 Arco Chemical Technology, L.P. Polyurethane foams blown only with water
US5192812A (en) * 1991-02-12 1993-03-09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Cell openers for urethane foam surfactants
JP3110235B2 (ja) * 1993-12-29 2000-11-20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発泡硬化型フェノール樹脂系組成物
JP3605028B2 (ja) * 2000-11-07 2004-12-22 早川ゴム株式会社 微粒子、導電性微粒子、液晶表示パネル用面内スペーサ及び液晶表示パネル
JP4154654B2 (ja) * 2002-09-13 2008-09-24 アキレス株式会社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2005344079A (ja) * 2004-06-07 2005-12-15 Toyo Tire & Rubber Co Ltd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ポリオール組成物及び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US20080064778A1 (en) * 2004-09-30 2008-03-13 Toho Chemical Industry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Rigid Polyurethane Foam
JP5227595B2 (ja) * 2008-01-18 2013-07-03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発泡性組成物及び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KR101345075B1 (ko) * 2008-11-06 2013-12-26 아사히 유키자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5424A (ja) * 2001-08-13 2003-02-26 Shin Etsu Chem Co Ltd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疎水化用添加剤および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2004059641A (ja) * 2002-07-25 2004-02-26 Toyo Tire & Rubber Co Ltd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ポリオール組成物及び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546A (ko) 2017-11-24 2019-03-22 최주환 내부는 다수의 공극이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며 외부는 밀집한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를 갖는 물품을 제조하는 데에 적합한 신규한 우레탄 발포 공정
KR20210061782A (ko) 2019-11-20 2021-05-28 정상규 경질의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우레탄 발포 공정
KR20210061781A (ko) 2019-11-20 2021-05-28 윤기찬 연질의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우레탄 발포 공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0073651A1 (ja) 2012-06-07
JP5684576B2 (ja) 2015-03-11
US20110201705A1 (en) 2011-08-18
WO2010073651A1 (ja) 2010-07-01
CN102239200B (zh) 2013-06-12
KR20110104973A (ko) 2011-09-23
CN102239200A (zh) 2011-11-09
EP2368927A4 (en) 2014-06-25
EP2368927A1 (en)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511B1 (ko)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폼
KR101345075B1 (ko) 폴리우레탄 폼용 발포성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폼
KR20120107960A (ko) 연속 기포성의 경질폼의 제조 방법
KR20180027489A (ko)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JP5227595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発泡性組成物及び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2023068129A (ja) 混合液剤、ポリウレタン組成物、コーキングガン用カートリッジ容器、スプレー用耐圧容器及び混合システム
JP5796926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発泡性組成物及び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6917812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発泡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法
JPWO2019088035A1 (ja) 硬質発泡合成樹脂の製造方法
JP5270520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発泡性組成物及び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5684482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発泡性組成物並びに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KR20160023050A (ko) 메틸포메이트 발포제를 사용한 고난연 폴리우레탄 폼 및 이를 포함하는 단열재
JP5412018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発泡性組成物及び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並びに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5586180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発泡性組成物及び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5616724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発泡性組成物並びに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材
JP2022048708A (ja) 難燃性ウレタン樹脂組成物
JP5422280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発泡性組成物及び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2011132520A (ja) 硬質発泡合成樹脂の製造方法
EP4229119A1 (en) Composition for forming polyisocyanurate foam, polyisocyanurate foam, and thermal insulating material
JP2023094361A (ja) ポリイソシアヌレートフォーム製造用組成物及びその使用
JP2013185114A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ポリイソシアネート系組成物及び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発泡性組成物
JP2022123400A (ja) 吹付用ポリオール含有組成物
JP2013185115A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発泡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