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201B1 - 오가피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 음료 - Google Patents

오가피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 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201B1
KR101290201B1 KR1020110107408A KR20110107408A KR101290201B1 KR 101290201 B1 KR101290201 B1 KR 101290201B1 KR 1020110107408 A KR1020110107408 A KR 1020110107408A KR 20110107408 A KR20110107408 A KR 20110107408A KR 101290201 B1 KR101290201 B1 KR 101290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ogapi
beverage
prep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3358A (ko
Inventor
김삼연
Original Assignee
김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삼연 filed Critical 김삼연
Priority to KR1020110107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201B1/ko
Publication of KR20130043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2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오가피 열매를 발효시켜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제조된 발효액, 오가피 줄기, 오가피 잎, 대추, 당귀, 두충, 갈근, 솔잎 및 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추출된 혼합물을 여과한 액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가피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 음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오가피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 음료{Method for producing Acathopanax beverage and Acathopanax beverage produced by the same method}
본 발명은 (a) 오가피 열매를 발효시켜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제조된 발효액, 오가피 줄기, 오가피 잎, 대추, 당귀, 두충, 갈근, 솔잎 및 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추출된 혼합물을 여과한 액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가피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 음료를 제공한다.
오가피는 일반적으로 드릅나무과(Araliacease)에 속하는 식물로 우리나라에는 약 15종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는 바, 한국 가시오가피 재배 협회의 관련자료에 따르면 가시오가피 나무(Acanthopanax Senticosus), 왕가시오가피 나무 (Acanthopanax Sessilitlorus), 지리산 오가피 나무, 서울오가피 나무, 털 오가피 나무, 섬 오가피 나무 그리고 당 오가피 나무 등이 있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오가피는 오가피 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인 오갈피나무(Acanthopanax Sessilifloum Seem)의 껍질을 말린 것으로 오갈피 나무는 산기슭과 산골짜기에서 자라며 여름철에 뿌리 또는 줄기껍질을 벗긴다음 겉껍질을 긁어 햇볕에 말리며 강심, 강장 작용등이 있다고 하였으며, 오가피 열매는 남자음위와 여자 음부 소양증을 치료하고 중풍을 없애고 불로하게 하는 선약이라고 하였으며 본초강목에서는 통증, 낭하습, 요척통, 남자음위, 저창 등을 없애주고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해주고 위를 보호하며 정력을 좋게하며 피를 맑게하는 등 많은 효능이 있다고 기록되며, 오래전부터 한방에서는 강장제로 이용되어 왔으며 소염, 진통, 거풍습 및 활혈등의 효능이 있어 마비통증, 요통, 수종, 창종, 각기 및 근골위약 등의 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온 약재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오가피를 이용한 음료의 경우 오가피가 가지는 맛에 대한 거부감으로 대중화되기 어려우며, 1회 복용되는 양에 함유된 오가피의 함량이 극히 미미하여 그 효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4-0023122호에는 가시오가피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오가피 음료의 제조방법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가피를 이용한 음료 제조시 첨가되는 오가피 열매발효액을 오가피 특유의 쓴맛이 감소되고 유효성분이 최대로 추출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조건으로 제조한 후, 오가피 줄기, 오가피 잎, 대추, 당귀, 두충, 갈근, 솔잎 및 물과 함께 최적의 조건으로 혼합한 후 추출하여, 기존의 오가피 음료에 비해 풍미가 향상되어 기호성이 증진될 뿐만 아니라 품질이 우수한 오가피 음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오가피 열매를 발효시켜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제조된 발효액, 오가피 줄기, 오가피 잎, 대추, 당귀, 두충, 갈근, 솔잎 및 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추출된 혼합물을 여과한 액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가피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 음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오가피 및 다양한 한약재를 이용한 오가피 음료는 오가피 특유의 쓴맛이 감소되고, 대추, 당귀, 두충, 갈근 및 솔잎을 첨가함으로써 은은하게 뒷맛으로 느껴지는 한약재들의 향으로 인해 누구나 거부감 없이 음용할 수 있어, 우수한 풍미를 나타내는 오가피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기농으로 재배한 오가피를 주원료로 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오가피 열매를 발효시켜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제조된 발효액, 오가피 줄기, 오가피 잎, 대추, 당귀, 두충, 갈근, 솔잎 및 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추출된 혼합물을 여과한 액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가피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오가피 음료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a)단계의 발효액은 오가피 열매와 설탕을 0.8~1.2:0.8~1.2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15~25℃에서 1~2년 동안 발효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오가피 열매와 설탕을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18~21℃에서 13~15개월 동안 발효시켜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방법으로 발효액을 제조하는 것이 오가피 열매 특유의 쓴맛을 감소시키고 유효성분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오가피 음료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b)단계의 혼합물은 발효액 40~60 중량부, 오가피 줄기 30~50 중량부, 오가피 잎 0.5~1.5 중량부, 대추 2~4.5 중량부, 당귀 0.4~1.0 중량부, 두충 1~2.5 중량부, 갈근 1~2.5 중량부, 솔잎 0.4~0.8 중량부 및 물 600~1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발효액 51 중량부, 오가피 줄기 40 중량부, 오가피 잎 1 중량부, 대추 3.3 중량부, 당귀 0.7 중량부, 두충 1.7 중량부, 갈근 1.7 중량부, 솔잎 0.6 중량부 및 물 8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혼합비율로 제조된 혼합물을 이용하여 오가피 음료를 제조하는 것이 기호도 및 품질이 향상된 오가피 음료를 제조할 수 있었다. 특히, 오가피 외에 첨가되는 한약재인 대추, 당귀, 두충, 갈근 및 솔잎을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한약재 향이 너무 강해 기호도가 떨어지게 되고, 상기 범위 미만으로 첨가하면 한약재 향이 너무 미미하여 오가피 특유의 쓴맛을 감소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가피 음료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b)단계의 추출은 90~110℃에서 2~3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0℃에서 2~3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는데, 상기 온도 및 시간을 초과하여 추출하는 경우 오가피 및 한약재의 맛과 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온도 및 시간 미만으로 추출하는 경우 오가피 및 한약재들의 유효성분이 제대로 추출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가피 음료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c)단계의 추출은 90~110℃에서 3~5분 동안 실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0℃에서 3~5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 음료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오가피 음료의 제조
(a) 오가피 열매와 설탕을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18~21℃에서 13~15개월 동안 발효시켜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b) 상기 (a)단계의 제조된 발효액 50 ml과 음지에서 잘 말린 재료들인 오가피 줄기 40 g, 오가피 잎 1 g, 대추 3.3 g, 당귀 0.7 g, 두충 1.7 g, 갈근 1.7 g, 솔잎 0.6 g에 물 800 ml를 혼합한 혼합물을 100℃에서 2~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c) 상기 (b)단계의 추출된 혼합물을 여과한 액을 100℃에서 3~5분 동안 추출한 후 자동포장기로 포장하였다.
실시예 1: 관능검사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 음료와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하되 오가피 열매 발효액을 첨가하지 않고 오가피 열매 자체를 50 g 첨가하여 제조된 오가피 음료(비교예 1),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하되 대추, 당귀, 두충, 갈근 및 솔잎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된 오가피 음료(비교예 2)를 일반인 30명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항목은 색, 향,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실시하였으며, 5점 척도법에 따라 5점을 만점으로 하여 다음의 평가기준에 의하여 피시험자가 점수를 기록한 후 이들의 평균값을 구하여 기록하였다. 5: 아주 좋다, 4: 좋다, 3: 보통이다, 2: 나쁘다, 1: 아주 나쁘다.
관능검사
제조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3.5±0.1 3.4±0.1 3.4±0.4
4.3±0.3 3.4±0.1 3.5±0.2
4.6±0.2 3.5±0.3 3.7±0.3
전체적인 기호도 4.4±0.3 3.4±0.2 3.6±0.1
그 결과,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색에 대한 기호도에서는 모든 처리구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향과 맛에 대한 기호도에서는 본 발명의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 음료가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도 본 발명의 오가피 음료가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어, 본 발명의 오가피 열매 발효액과 대추, 당귀, 두충, 갈근 및 솔잎의 한약재 모두 이용하여 제조된 오가피 음료는 오가피 특유의 쓴맛이 감소되고 적절한 한약재 향으로 인해 누구나 거부감 없이 음용할 수 있어, 우수한 풍미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5)

  1. (a) 오가피 열매를 발효시켜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제조된 발효액 40~60 중량부, 오가피 줄기 30~50 중량부, 오가피 잎 0.5~1.5 중량부, 대추 2~4.5 중량부, 당귀 0.4~1.0 중량부, 두충 1~2.5 중량부, 갈근 1~2.5 중량부, 솔잎 0.4~0.8 중량부 및 물 600~100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추출된 혼합물을 여과한 액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가피 음료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발효액은 오가피 열매와 설탕을 0.8~1.2:0.8~1.2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15~25℃에서 1~2년 동안 발효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가피 음료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a) 오가피 열매와 설탕을 0.8~1.2:0.8~1.2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15~25℃에서 1~2년 동안 발효시켜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제조된 발효액 40~60 중량부, 오가피 줄기 30~50 중량부, 오가피 잎 0.5~1.5 중량부, 대추 2~4.5 중량부, 당귀 0.4~1.0 중량부, 두충 1~2.5 중량부, 갈근 1~2.5 중량부, 솔잎 0.4~0.8 중량부 및 물 600~100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90~110℃에서 2~3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추출된 혼합물을 여과한 액을 90~110℃에서 3~5분 동안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가피 음료의 제조방법.
  5.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 음료.
KR1020110107408A 2011-10-20 2011-10-20 오가피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 음료 KR101290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408A KR101290201B1 (ko) 2011-10-20 2011-10-20 오가피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 음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408A KR101290201B1 (ko) 2011-10-20 2011-10-20 오가피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 음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358A KR20130043358A (ko) 2013-04-30
KR101290201B1 true KR101290201B1 (ko) 2013-07-30

Family

ID=48441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408A KR101290201B1 (ko) 2011-10-20 2011-10-20 오가피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 음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2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016B1 (ko) * 2004-11-25 2007-01-17 (주)평창오가피랜드 오가피 혼합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826900B1 (ko) 2007-05-28 2008-05-06 동양비에스(주) 오가피잎차의 제조방법
KR100971677B1 (ko) 2009-07-09 2010-07-22 (주)한국파비스 알엔디 생약 발효물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생약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016B1 (ko) * 2004-11-25 2007-01-17 (주)평창오가피랜드 오가피 혼합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826900B1 (ko) 2007-05-28 2008-05-06 동양비에스(주) 오가피잎차의 제조방법
KR100971677B1 (ko) 2009-07-09 2010-07-22 (주)한국파비스 알엔디 생약 발효물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생약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358A (ko) 201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137B1 (ko) 비파주 및 그 제조 방법
KR102155710B1 (ko) 녹차 및 머위를 이용한 콤부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콤부차
KR100549286B1 (ko) 유자주의 제조방법
KR101539864B1 (ko) 숙취해소 음료
Killedar et al. Preparation of herbal tea from mulberry leaves
KR101663978B1 (ko) 잇몸에 좋은 한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CN104694353A (zh) 女士用保健酒及其制备方法
CN104688930A (zh) 抗疲劳人参鹿骨保健酒及其制备方法
KR20110056905A (ko) 당귀, 천궁, 작약, 숙지황, 홍삼, 감초 및 대추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66882B1 (ko)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34750A (ko) 약초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2187229B1 (ko) 침향을 포함하여 항염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향상시킨 혼합차 제조방법
KR20110056901A (ko) 인진쑥, 헛개열매, 오리나무, 감초, 갈근 및 구기자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77162B1 (ko) 꾸지뽕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KR101788253B1 (ko) 고량강, 풀솜대 및 흑마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104175B1 (ko) 기능성 발효 더치커피의 제조방법
KR101376794B1 (ko) 백하수오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55938A (ko)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용 음료
KR101037572B1 (ko) 복분자를 이용한 발효분말 제조방법
KR101155096B1 (ko) 식초의 제조 방법
KR102363848B1 (ko) 맛과 향이 우수한 증류주의 제조방법
KR101290201B1 (ko) 오가피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 음료
KR101517413B1 (ko) 산양산삼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산양산삼음료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653124B1 (ko) 인지기능 개선용 기능성 식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