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6900B1 - 오가피잎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오가피잎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6900B1
KR100826900B1 KR1020070051309A KR20070051309A KR100826900B1 KR 100826900 B1 KR100826900 B1 KR 100826900B1 KR 1020070051309 A KR1020070051309 A KR 1020070051309A KR 20070051309 A KR20070051309 A KR 20070051309A KR 100826900 B1 KR100826900 B1 KR 100826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gapi
leaves
leaf
ripening
te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식
Original Assignee
동양비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비에스(주) filed Critical 동양비에스(주)
Priority to KR1020070051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6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90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가피잎만을 원료로 사용하여 오가피의 유용한 영양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오가피잎차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오가피잎차 제조방법은, 오가피잎을 뜨거운 증기에 통과시켜 찌는 증제단계; 상기 증제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냉각시킨 후 비벼주는 제 1 유념단계; 상기 제 1 유념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200 내지 250℃에서 볶아주는 초청단계; 상기 초청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냉각시킨 후 비벼주는 제 2 유념단계; 상기 제 2 유념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30 내지 40℃에서 털어서 풀어지게 하는 중유단계; 상기 중유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30 내지 40℃에서 예비건조시키는 재건단계; 상기 재건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80 내지 120℃에서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오가피잎의 향이 우러나올 수 있도록 100 내지 130℃에서 볶아주는 가향단계; 상기 가향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상온에서 2 내지 5일간 숙성시키는 항온항습숙성단계; 및 상기 항온항습숙성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0 내지 10℃에서 2개월 내지 4개월간 숙성시키는 저온숙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잎차는 오가피잎에 함유되어 있는 인체에 유익한 영양성분을 다량 함유하게 되어 인체 건강 유지 및 증진에 효과가 있다.
오가피잎, 차, 증제

Description

오가피잎차의 제조방법{PREPARING METHOD OF ACANTHOPANAX LEAF TEA}
본 발명은 오가피잎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가피잎만을 원료로 사용하여 오가피의 유용한 영양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오가피잎차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가피는 오갈피라고도 불리는 식물로 학명은 아칸토파낙스(ACANTHOPANAX)라고 하며 이는 '만병을 치료하는 가시가 있는 나무' 라는 뜻이다.
오래전부터 오가피는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뿌리와 나무의 껍질은 근육과 골격을 튼튼하게 하고 사지마비·하지 무력감·골절상·타박상·부종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오가피는 약성이 온(溫)하고 신(辛)하며 강장·보간신(補肝腎)·진통·거풍습(祛風濕)·활혈(活血)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 알려진 오가피의 효능을 살펴보면, 백혈병 억제(항암) 작용이 있고(루이지애나대학교 B. Hacker), 콜레스테롤 수치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전립선 활성과 정낭 증대 효과가 있으며(뮌헨대학교 H. Wagner), T세포가 증가하고(임상실 험, 독일 분자생물학연구소 B. Bohn), 위궤양 억제 효과(호카이도대학교 T. Fujikawa)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오가피는 혈당을 저하시키고 간 비대를 억제하며 세포 활성을 높이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오가피는 인삼보다 우수한 생체활력지수를 가지고, 또한 인체의 기능을 조절하여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육체와 정신적 피로를 회복시키는 작용을 가지며, 백혈구 수를 증가시키고, 생체를 비특이성 저항력이 증가된 상태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한냉, 작열, 심한 운동, 스트레스, 방사선조사 등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오가피의 효능이 알려지면서 오가피를 이용한 제품개발이 진행중에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오가피를 이용한 음료나 주류인데, 오가피잎 특유의 떫은 맛으로 다량의 오가피를 사용하는데 제한이 있어 왔다.
오가피를 이용하여 차를 제조하는 선행기술로는, 한국특허등록 제628465호에 오가피 함유 기능성 차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는 오가피의 추출물과 쌀죽물이 혼합되고 또한 다른 성분들이 포함된 오가피차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선행기술의 오가피차는 오가피 외 다른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오가피 특유의 효능을 발휘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심혈을 기울여 연구한 결과, 오가피잎만을 원료로 하여 오가피잎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성분을 최대한 추출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오가피잎을 가공하고 이를 오가피잎차로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가피잎만을 원료로 하면서도 오가피의 떫은 맛이 개선되어 차로 제공할 수 있는 오가피잎차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가피의 유용성분이 최대한 우러나올 수 있도록 오가피잎을 가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가피잎만을 사용함으로써 기존 주로 줄기와 뿌리만을 사용하여 왔던 오가피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오가피잎차의 제조방법은, 오가피잎을 뜨거운 증기에 통과시켜 찌는 증제단계; 상기 증제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냉각시킨 후 비벼주는 제 1 유념단계; 상기 제 1 유념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200 내지 250℃에서 볶아주는 초청단계; 상기 초청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냉각시킨 후 비벼주는 제 2 유념단계; 상기 제 2 유념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30 내지 40℃에서 털어서 풀어지게 하는 중유단계; 상기 중유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30 내지 40℃에서 예비건조시키는 재건단계; 상기 재건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80 내지 120℃에서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오가피잎의 향이 우러나올 수 있도록 100 내지 130℃에서 볶아주는 가향단계; 상기 가향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상온에서 2 내지 5일간 숙성시키는 항온항습숙성단계; 및 상기 항온항습숙성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0 내 지 10℃에서 2개월 내지 4개월간 숙성시키는 저온숙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오가피잎차 제조방법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오가피잎을 뜨거운 증기에 통과시켜 순간적으로 찐다(증제단계). 이는 오가피잎의 숨을 죽이고 오가피잎을 살균하기 위함이다. 이때 증기의 온도는 220 내지 270℃가 바람직하고 증기 통과시간은 3 내지 10초가 바람직하다. 상기 증기 온도가 220℃ 미만이면 오가피잎의 살균 효과가 미비하고 270℃를 초과하면 살균 효력은 증가하나 오가피잎 고유의 색상이 변하고 발효가 빨리 일어나 오가피잎차의 관능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이어, 상기 증제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냉각시킨 후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수단으로 오가피잎을 비벼준다(제 1 유념단계). 이때 냉각은 압축공기를 3 내지 7분간 불어넣어줌으로써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제단계후 순간적으로 냉각시키지 않으면 오가피잎의 색상이 변하고 발효가 빨리 일어나게 되기 때문이다. 압축공기를 불어넣어줌으로써 오가피잎들이 떡처럼 뭉쳐진 것을 풀어주게 되어 발효되는 것을 막게 된다.
이 유념단계는 오가피잎을 비벼줌으로써 오가피잎에 상처를 내어 속세포를 파괴시켜서 물에 잘 우러나게 하는 것이다.
이어, 상기 제 1 유념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200 내지 250℃에서 볶아준다(초청단계). 이때 오가피잎의 볶음온도가 200℃ 미만인 경우에는 오가피 특유의 풋 냄새와 쓴 맛을 제거할 수 없으며 맛과 색깔도 소비자의 기호도에 부적합한 문제가 있고, 250℃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가피잎이 검게 타서 고유의 색깔을 갖지 못하고 쓴맛이 나게되므로 볶음온도는 200 내지 250℃가 바람직하다.
초청단계에서 볶는 시간은 오가피잎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8 내지 12분 동안 볶는 것이 바람직하다. 볶음시간이 8분 미만일 경우에는 풋 냄새와 떫은 맛을 제거할 수 없고 최종 생산되는 오가피잎차를 물로 추출할 경우에 유효성분의 추출이 적어 인체 건강상의 유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볶음시간이 12분을 초과할 경우에는 오가피잎이 검게 타서 고유의 색깔을 갖지 못하고 쓴맛이 나며 휘발성 향기 성분이 없어져서 최종 생산품의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어, 상기 초청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냉각시킨 후 비벼주는 제 2 유념단계를 행한다. 이때 냉각은 상온에서 회전냉각(통에다 넣고 흔들어줌)을 3 내지 7분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유념단계도 앞선 제 1 유념단계와 마찬가지로 오가피잎에 상처를 내어 속세포를 파괴시켜서 물에 잘 우러나게 하는 것이다.
이어, 상기 제 2 유념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30 내지 40℃에서 털어서 풀어지게 한다(중유단계). 오가피잎은 연하여 뭉쳐지기 쉬운데 중유단계에서는 뭉쳐져 있는 오가피잎을 털어 풀어지게 하는 것이다. 중유단계에서 오가피잎을 터는 시간은 오가피잎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20 내지 40분 동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상기 중유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30 내지 40℃에서 20 내지 40분간 건조시킨다(재건단계). 재건단계는 건조기로 들어가기 전단계로 예비건조 단계이 다. 오가피잎이 갑자기 고온에서 건조되면 고유한 색이 변하기 때문에 재건단계를 거치게 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 재건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80 내지 120℃에서 건조시킨다(건조단계). 이 때 오가피잎을 건조시키는 시간은 오가피잎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30 내지 50분이 바람직하다. 오가피잎을 30분 미만으로 건조시키면 오가피잎의 건조가 미비하고 또한 50분을 초과하여 건조시키면 특별한 이득이 없으면서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80℃ 미만에서 건조시키면 건조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120℃를 초과하게 되면 특별한 이득이 없으면서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이어, 상기 건조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향이 우러나오도록 볶는다(가향단계). 이때 볶는 온도는 100 내지 130℃가 바람직한데, 온도가 100℃ 미만이면 오가피잎의 향이 제대로 우러나지 않고, 온도가 130℃를 초과하면 오가피잎이 타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향단계에서 볶는 시간은 7 내지 13분이 바람직한데, 7분 미만으로 볶으면 향이 잘 우러나오지 않으며 13분을 초과하여 볶으면 향이 서서히 우러나오지 못하면서 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어, 상기 가향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상온(18~25℃)에서 2 내지 5일간 숙성시킨다(항온항습숙성단계). 이 항온항습숙성단계는 잎들의 상호 작용에 의해 향이 더 우러나게 하는 것이고, 이전 단계까지 건조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던 것이므로 일정 습도를 항상 유지시켜주어야 한다.
이어, 상기 항온항습숙성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0 내지 10℃에서 2개월 내 지 4개월간 숙성시킨다(저온숙성단계). 이 저온숙성단계는 빛이 차단된 곳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오가피잎차의 색과 맛을 오래 보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에서 저온숙성된 오가피잎은 그대로 오가피잎차로 사용되거나, 오가피잎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 후 티백(tea bag)에 넣어 티백차로 사용되거나, 또는 오가피잎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 후 분쇄하여 분말화함으로써 분말화된 오가피잎차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가피잎차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잎차는 흡습 및 향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 포장된다. 상기 포장은 통상의 용기 포장에 사용되는 자동화시스템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오가피잎차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항온항습숙성단계후에 2차 가향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2차 가향단계는 숙성된 오가피잎에 상호 향을 머금게 하기 위하여 140 내지 160℃에서 볶아주는 것이다. 이 때 온도가 140℃ 미만이면 오가피잎의 향이 제대로 우러나지 않고, 온도가 160℃를 초과하면 오가피잎이 타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2차 가향시간은 15 내지 25분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오가피잎차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저온숙성단계후에 3차 가향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3차 가향단계는 숙성된 오가피잎에 상호 향을 머금게 하기 위하여 180 내지 200℃에서 볶아주는 것이다. 이 때, 온도가 180℃ 미만이면 오가피잎의 향이 제대로 우러나지 않고, 온도가 200℃를 초과하면 오가피잎이 타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3차 가향시간은 25 내지 35분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오가피잎차 제조방법에서는, 1차 가향에서 3차 가향으로 갈수록 가향시 온도가 높아지는데, 저온 가향(1차)에서 향을 우러나게 하고 후속 단계에서 숙성시켜 우러난 향을 2차, 3차 가향에서 상호 머금게 하기 위함이다.
가향단계에서 한번에 장시간 높은 온도로 가향하면 오가피잎의 향이 서서히 우러나지 못하고 타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각각의 가향단계에서 상기한 가향시간이 적절하다.
또한, 항온항습숙성단계 이후에 가향하고 또한 저온숙성단계 이후에 가향하면, 오가피잎의 쓴 맛은 없어지고 숙성된 오가피잎 향이 남게 되어 음용하기에 적당하며, 오가피잎차로 제공될때 유효성분이 물에 잘 우려져 나오게 된다.
본 발명의 오가피잎차 제조방법에서 각 단계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계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증제단계는 증제기, 냉각단계는 냉각기, 유념단계는 유념기, 초청단계는 초청기, 중유단계는 중유기, 재건단계는 재건기, 건조단계는 건조기, 가향단계는 가향기 등에서 제조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조 각 단계가 상기한 기계 장치만을 한정하여 이용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오가피잎차 제조방법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오가피잎을 채취하여 3~5m의 크기로 절단하고 240℃의 증제기에서 6초 동안 통과시켰다. 이 오가피잎을 냉각기에서 압축공기로 냉각시킨후 유념기에서 6분 동 안 비빔작업을 수행하였다. 이 오가피잎을 220℃의 초청기에서 8분 동안 볶아주었다. 이 오가피잎을 냉각기에서 다시 4분 동안 냉각시킨후 유념기에서 6분 동안 다시 비빔작업을 수행하였다. 이 오가피잎을 30℃의 중유기에서 20분간 중유시켰다. 이 오가피잎을 30℃의 재건기에서 25분간 건조시켰다. 이 오가피잎을 95℃의 건조기에서 35분간 건조시켰다. 이 오가피잎에 120℃의 온도에서 10분간 가향하고 항온항습기에서 3일간 숙성시켰다. 이 오가피잎을 4℃에서 3개월 동안 숙성시켜 오가피잎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오가피잎을 항온항습기에서 3일간 숙성시킨후 150℃의 온도에서 20분간 볶아주어 가향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오가피잎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오가피잎을 4℃에서 3개월 동안 숙성시킨후 190℃의 온도에서 30분간 볶아주어 가향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오가피잎차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오가피잎차를 한국식품연구원에 의뢰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잎차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분석항목 시료 100g 당 시험방법
총지방질 4.9 g AOAC
포화지방질 1.1 g GC
전이지방질 0.0 g GC
콜레스테롤 0.0 mg GC
나트륨 38.3 mg ICP
총탄수화물 70.8 g USDA
식이섬유 41.3 g Enzymatic-Gravimetric
당류 1.6 g HPLC
단백질 11.9 g Kjeldahl
비타민 A 0.0 IU HPLC
비타민 C 0.0 mg HPLC
칼슘 2466.1 mg ICP
8.81 mg ICP
표 1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잎차는 인체에 유용한 지방질, 나트륨, 탄수화물, 식이섬유, 단백질, 칼슘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오가피잎차의 소비자 기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관능검사능력이 있는 검사원 20명을 대상으로 맛, 냄새, 향기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5점 항목척도법(5점: 매우 좋다, 1점 : 매우 싫다)에 의한 관능검사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는 항온항습숙성단계를 거치지 않고 제조된 오가피잎차를 이용하였다.
항목 실시예 1 대조군
4.1 3.0
색깔 3.8 3.4
향기 3.9 2.8
전체적인 기호도 3.9 3.0
표 2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냄새 및 향기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잎차는 대조군에 비해 관능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예가 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하기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가피잎차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잎차는 오가피잎만을 원료로 하여 제조됨으로써 오가피잎에 함유되어 있는 인체에 유익한 영양성분을 다량 함유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오가피잎차 제조방법으로 오가피잎을 가공하게 되면 오가피에 함유되어 있는 인체에 유익한 영양성분이 최대한 추출될 수 있는 형태가 되어 이 오가피잎로 이루어지는 차를 음용하게 되면 인체 건강 유지 및 증진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오가피잎차를 제조함으로써 기존 주로 줄기와 뿌리만을 사용하여 왔던 오가피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Claims (4)

  1. 오가피잎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오가피잎을 뜨거운 증기에 통과시켜 찌는 증제단계;
    상기 증제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냉각시킨 후 비벼주는 제 1 유념단계;
    상기 제 1 유념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200 내지 250℃에서 볶아주는 초청단계;
    상기 초청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냉각시킨 후 비벼주는 제 2 유념단계;
    상기 제 2 유념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30 내지 40℃에서 털어서 풀어지게 하는 중유단계;
    상기 중유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30 내지 40℃에서 예비건조시키는 재건단계;
    상기 재건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80 내지 120℃에서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오가피잎의 향이 우러나올 수 있도록 100 내지 130℃에서 볶아주는 가향단계;
    상기 가향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상온에서 2 내지 5일간 숙성시키는 항온항습숙성단계; 및
    상기 항온항습숙성단계를 거친 오가피잎을 0 내지 10℃에서 2개월 내지 4개월간 숙성시키는 저온숙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가피잎차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제단계에서 상기 오가피잎을 220 내지 270℃의 증기속을 3 내지 10초 동안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가피잎차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항온항습숙성단계후에 숙성된 오가피잎의 향을 머금게 하여 더 우러나올 수 있도록 140 내지 160℃에서 볶아주는 2차 가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가피잎차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저온숙성단계후에 숙성된 오가피잎의 향을 머금게 하여 더 우러나올 수 있도록 180 내지 200℃에서 볶아주는 3차 가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가피잎차의 제조방법.
KR1020070051309A 2007-05-28 2007-05-28 오가피잎차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26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309A KR100826900B1 (ko) 2007-05-28 2007-05-28 오가피잎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309A KR100826900B1 (ko) 2007-05-28 2007-05-28 오가피잎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6900B1 true KR100826900B1 (ko) 2008-05-06

Family

ID=39649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309A Expired - Fee Related KR100826900B1 (ko) 2007-05-28 2007-05-28 오가피잎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69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24718A1 (en) * 2009-11-18 2011-05-25 Young-Sam Jang Health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290201B1 (ko) 2011-10-20 2013-07-30 김삼연 오가피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 음료
KR101398976B1 (ko) * 2012-11-06 2014-05-2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오가엽 침출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537581B1 (ko) * 2013-11-07 2015-07-17 이태휘 숙성된 오가피를 이용한 침출 차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4154B1 (ko) 1995-03-30 1999-08-02 미나미 이조 두충차의 제조 방법
KR100395872B1 (ko) 2002-11-22 2003-08-27 무안군 백련잎차 제조방법
KR100538058B1 (ko) 2004-06-16 2005-12-20 (주)명설차 보리잎차 제조방법
KR100606558B1 (ko) 2004-03-03 2006-07-31 유혜숙 오가피 침출차 제조방법
KR20060129684A (ko) * 2005-06-13 2006-12-18 김진두 가시오가피 차 분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4154B1 (ko) 1995-03-30 1999-08-02 미나미 이조 두충차의 제조 방법
KR100395872B1 (ko) 2002-11-22 2003-08-27 무안군 백련잎차 제조방법
KR100606558B1 (ko) 2004-03-03 2006-07-31 유혜숙 오가피 침출차 제조방법
KR100538058B1 (ko) 2004-06-16 2005-12-20 (주)명설차 보리잎차 제조방법
KR20060129684A (ko) * 2005-06-13 2006-12-18 김진두 가시오가피 차 분말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24718A1 (en) * 2009-11-18 2011-05-25 Young-Sam Jang Health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290201B1 (ko) 2011-10-20 2013-07-30 김삼연 오가피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 음료
KR101398976B1 (ko) * 2012-11-06 2014-05-2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오가엽 침출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537581B1 (ko) * 2013-11-07 2015-07-17 이태휘 숙성된 오가피를 이용한 침출 차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23088B (zh) 一种葡萄籽多酚复合咀嚼片及其制备方法
CN105995846A (zh) 一种清热润肺的葵花籽及其制备方法
KR100989865B1 (ko) 기능성 숙성 흑양파 농축액의 제조방법
CN106307268A (zh) 一种富含茶多酚泡蒜的制备方法
CN105767372A (zh) 一种桑叶茶及制备工艺
KR101163564B1 (ko) 한방 보리 된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된장
KR100826900B1 (ko) 오가피잎차의 제조방법
CN105962083A (zh) 即冲型纯天然营养谷物早餐及加工方法
Dantas et al. A mini-review on almonds and cashew nuts: Processing impact, phyt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and implications on human health
KR102121349B1 (ko) 블렌딩 차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5660958A (zh) 荷叶莲子茶的制备方法
KR101955770B1 (ko)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김치
KR20220168327A (ko) 영양 강화, 풍미 향상 및 질감 개선을 위한 닭가슴살 육포 및 그 제조 방법
KR101518412B1 (ko) 명태찜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명태찜
KR101003563B1 (ko) 홍삼김치의 제조방법
KR101661744B1 (ko) 된장과 현미를 이용한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14736B1 (ko) 한방 조미료
CN107897474A (zh) 一种蜜饯小番茄及其加工方法
KR101703554B1 (ko) 흑마늘 및 사과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및 그 건강차 조성물
KR101111288B1 (ko) 기능성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367995B1 (ko) 식감이 향상된 반건조 오디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반건조 오디
Bhasin et al. Fennel Seed: Processing Techniques and Medicinal Uses
KR20050022970A (ko) 홍삼곤짠지의 제조방법
KR102399576B1 (ko) 명이 가루를 함유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명이 가루를 함유한 조미김
KR101186509B1 (ko) 발아 곡식을 이용한 주먹밥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4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