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349B1 - 블렌딩 차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블렌딩 차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349B1
KR102121349B1 KR1020180018662A KR20180018662A KR102121349B1 KR 102121349 B1 KR102121349 B1 KR 102121349B1 KR 1020180018662 A KR1020180018662 A KR 1020180018662A KR 20180018662 A KR20180018662 A KR 20180018662A KR 102121349 B1 KR102121349 B1 KR 102121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ginger
beet
rose
black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8567A (ko
Inventor
마승진
조은누리
김하늘
김영서
윤예원
김민정
양원석
양태영
최다영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8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349B1/ko
Publication of KR20190098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3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23F3/40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tea flavour or tea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홍차, 장미꽃, 비트 및 생강을 각각 물로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b) 상기 건조된 홍차, 장미꽃, 비트 및 생강을 각각 조분하여, 홍차는 건조 및 발효 단계를 거치고, 생강은 로스팅하고, 장미꽃은 동결 건조하고, 비트는 덖고 유념 처리를 하는 단계; 및 (c) 상기 조분, 로스팅 및 덖음 처리된 홍차, 장미꽃, 비트 및 생강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렌딩 차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블렌딩 차는 고운 붉은 빛깔은 물론 매력적인 향을 즐길 수 있어 특히 젊은 층의 호응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되나, 생강과 비트를 포함하여 항산화능과 감기 예방 등의 건강상의 잇점도 가져 다양한 수요자를 만족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블렌딩 차 및 이의 제조 방법{Blending Te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블렌딩 차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홍차, 장미꽃, 비트 및 생강을 포함하는 블렌딩 차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차 소비시장은 차를 주로 소비하는 연령대가 높은 반면 젊은층의 차 소비는 매우 낮은 편이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차의 형태가 녹차와 한방 대용차가 대부분으로 젊은 층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이 주요한 요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젊은층을 주타겟으로 하여 전통차의 이점을 그대로 살리면서 블렌딩으로 더욱 다양한 맛과 향을 강점으로 살린다면 훨씬 폭넓은 차 시장 층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서는 차의 오래된 이미지를 탈피하고 새로운 관심을 끌 수 있는 이미지 변신을 시도하기 위해 전라남도의 재료를 사용하여 새로운 컨셉의 블랜딩 차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홍차, 장미꽃, 비트 및 생강을 포함하는 블렌딩 차로서 붉은 빛을 띄어 시각적으로 눈길을 끌면서 매혹적인 향을 즐길 수 있는 블렌딩 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블렌딩 차는 감각적으로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비트 및 생강을 함유하여 건강상의 이점을 갖기도 한다.
본 발명은 (a) 홍차, 장미꽃, 비트 및 생강을 각각 물로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b) 상기 건조된 홍차, 장미꽃, 비트 및 생강을 조분하여, 각각 홍차는 건조 및 발효 단계를 거치고, 생강은 로스팅하고, 장미꽃은 동결 건조하고, 비트는 덖고 유념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 및 (c) 상기 조분, 로스팅 및 덖음 처리된 홍차, 장미꽃, 비트 및 생강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렌딩 차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c) 단계에서 홍차, 장미꽃, 비트 및 생강의 배합비는 중량비로 3: 1.5~2.5 : 0.5~1.5: 1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블렌딩 차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렌딩 차는 티백차, 잎차 및 분말 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렌딩 차는 붉은 빛을 띄는 홍차에 장미꽃잎과 비트, 생강을 블렌딩하여 얼그레이 홍차에서 느껴지는 베르가못향과 블렌딩한 장미향, 그리고 생강의 향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생강을 블렌딩해 감기에 취약한 겨울에 마시기 좋은 차로 감기 예방 뿐만 아니라 고운 빛깔과 향으로 기분 전환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a) 홍차, 장미꽃, 비트 및 생강을 각각 물로 세척 및 탈수한 후, 건조시키는 단계; (b) 상기 건조된 홍차, 장미꽃, 비트 및 생강을 조분하여, 각각 홍차는 건조 및 발효 단계를 거치고, 생강은 로스팅하고, 장미꽃은 동결 건조하고, 비트는 덖고 유념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 및 (c) 상기 조분, 로스팅 및 덖음 처리된 홍차, 장미꽃, 비트 및 생강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렌딩 차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홍차(紅茶)는 차나무과 상록수인 차나무 잎을 발효 건조시켜 만든 것으로, 향과 맛을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잃는 녹차와 달리, 홍차는 수년간 그 향이 보존된다. 기능성 성분으로는 강력한 항산화(抗酸化) 기능을 갖는 카테킨과, 각성 및 피료 회복 효과가 있는 카페인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장미꽃잎에는 100g당 비타민 C가 레몬보다 17배나 더 함유되어 있고 토마토와 당근에 다량 함유된 베타카로틴인 비타민 A도 토마토보다 20배나 함유되어 있다. 약리 효과로서, 락톤(Lacton)은 혈관확장효과를 가지고 플라보노이드(Flavonoid)는 흥분작용을 가지며, 기타 효과로는 위장의 효소를 증가시키고 소화를 촉진시키며 강신작용, 혈압저하작용 및 콜레스테롤치 저하작용 등을 가진다고 보고되었다. 특히, 장미는 다른 꽃에 비해 2배 이상의 높은 항산화력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항산화물질인 안토시아닌을 다량 함유한데서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비트는 명아주 과의 두해살이풀로서, 수분이 88.3%고 식이섬유, Ca, P, Fe 등의 무기질이 함유되어 있고 잎에는 사포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비트의 빨간 색소는 베타시아닌(betacyamin)으로 식용색소로 이용하고 샐러드나 삶아서 요리에 응용하기도 한다. 비트 속의 Fe는 적혈구를 만들고 혈액을 정화해 고혈압, 월경장애, 폐경기에 효력이 있다. 또한, 피부병, 가려움증, 부기를 치료해주며 어린이의 발육에 좋아서 골격 형성에 도움을 주고 치아를 튼튼하게 할 뿐 아니라 모발의 성장을 돕는다. 비트는 우수한 활성 산소 소거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비트를 차로 이용함으로써, 1년에 3모작까지 가능하지만 20여 일이 지나면 수분양이 현저하게 떨어져 판매를 중단하는 비트의 이용가치를 크게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농가의 소득향상과 더불어 비트 소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생강은 다년생 초본식물로, 특유의 향기와 맛을 가지고 있어 생생강, 건생강, 에센셜 오일, 오레오레진 등의 형태로 유통되고 있고, 식용, 약용 또는 화장품용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 말린 것을 약재로 쓰는데, 생강은 감기로 인한 오한, 발열, 두통, 구토, 해수, 가래를 치료하며 식중독으로 인한 복통 설사에도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블렌딩 차는 상기 성분들을 포함하여 고운 붉은 빛깔을 띄며, 맛과 향이 우수함은 물론 건강 상의 잇점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조 방법은 (d) 홍차, 장미꽃, 비트 및 생강 혼합물을 볶음처리 및 유념하는 단계를 추가로 3~5회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내용물의 양이나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c) 단계에서 홍차, 장미꽃, 비트 및 생강의 배합비는 중량비로 3: 1.5~2.5 : 0.5~1.5: 1, 바람직하게는 3:2:1:1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홍차, 장미꽃잎, 비트를 함유하여 고운 붉은 빛깔을 띈다. 비트와 생강의 배합비를 증가시키는 경우, 감기 예방 등 건강상의 이점은 있으나 향이 너무 강하여 블렌딩 차의 맛을 해칠 수 있으므로, 블렌딩 차의 빛깔과 향 및 건강 상의 잇점을 모두 고려할 때, 블렌딩되는 홍차: 장미꽃잎: 비트: 생강의 배합비가 3:2:1:1일 때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블렌딩 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블렌딩 차는 붉은 빛을 띄는 홍차에 장미꽃잎과 비트, 생강을 블렌딩하여 얼그레이 홍차에서 느껴지는 베르가못향과 블렌딩한 장미향, 그리고 생강의 향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생강을 블렌딩해 감기에 취약한 겨울에 마시기 좋은 차로 감기 예방 뿐만 아니라 매력적인 색과 향으로 분위기까지 얻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렌딩 차는 티백차, 잎차 및 분말 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티백차의 경우, 다기가 없어도 차를 마실 수 있게 하여 접근성과 편의성이 좋고, 티백에 달린 실의 라벨을 각각 다른 색으로 차이를 주어 소비자의 눈길을 끌 수 있다. 또한, 티백은 개별 포장함으로써 차향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위생적으로 휴대하기 간편하다. 이에 비해 잎차는 티백에 비해 편의성이 떨어질 수 있으나, 블렌딩 차의 향과 빛깔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고, 분말 차는 저장 용이성이 우수하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할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본 발명의 블렌딩 차의 제조
먼저 홍차 잎, 장미꽃잎, 비트 및 생강을 각각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채반에 얹어두어 물기를 제거한다. 그 후, 블렌딩될 성분으로서, 홍차 잎, 장미꽃잎, 비트 및 생강을 0.5cm 이하의 크기로 조분하고, 각각 이하의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홍차는 홍차잎의 부드러운 부분을 골라 선별한 후, 실외에서 햇빛에 1차 시들리기를 하고, 또한 실내에서 2차 시들리기 한다. 그 후, 2차 시들리기가 완료된 홍차잎을 유념기 또는 손으로 비벼 유념하고, 유념이 완료된 홍차잎을 발효실에서 발효시킨 후, 발효가 완료된 홍차잎을 건조기에서 건조시키고, 홍배시킴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시들리기는 찻잎을 말리는 도중에 잎이 시들게 하는 과정을 말하며, 유념은 찻잎을 손으로 비벼주는 과정을 말한다.
생강은 근적외광에 의한 반열풍식 로스팅 장치에서 로스팅하여 수분을 10% 이하로 낮추어 준비한다. 장미꽃잎은 -60℃ ~ -80℃에서 동결시킨 후, -45℃ ~ -55℃의 동결건조기에서 4 ~ 6mm Torr의 압력 하에서 40~60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여 준비한다.
비트는 수확 후 20일 이내의 작물을 0∼5℃로 하고 상대습도는 90%에서 저장한다. 이렇게 저온 저장하여 15일간 숙성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비트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하고, 100℃에서 10분간 덖고 5분간 손으로 비벼준 후 상온에서 30분간 건조시키는 과정을 4회 반복하여 준비하였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준비된 홍차잎, 장미꽃잎, 비트 및 생강을 이하의 표 1의 배합비가 되도록 혼합하고, 추가로 60~70℃의 온도에서 7분간 덖고 5분간 손으로 비벼주는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수분 함량 5% 이하의 블렌딩 차를 제조하였다.
구분 홍차: 장미꽃잎: 비트: 생강 (중량비)
실시예 1 3:2:1:1
실시예 2 3:2:2:1
실시예 3 3:2:3:1
실시예 4 2:2:2:1
실시예 5 3:1:2:1
실시예 6 3:1:1:2
본 발명의 블렌딩 차의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 따라 제조한 본 발명의 블렌딩 차의 티백을 이용하여, 20~50대의 전문 패널 30명을 대상으로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 평가의 항목은 풍미, 색감, 종합적 기호도 등의 3가지 항목으로 실시하였으며, 관능 평가는 총점 10점으로 하였다. 2점이 가장 좋지 않음이고, 10점이 가장 좋음으로 실시하였다.
각 티백 시료는 상온에서 보관하며 관능평가 직전에 80℃의 열수에 3분간 침출시켜 차를 제조한 후 평가에 사용하였고, 관능평가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관능평가 결과 풍미, 향미, 색감 및 전체적인 선호도에서 모두 8점 이상의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평가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풍미 8 7 6 5 6 6
향미 8 7 6 5 6 6
색감 9 9 8 7 7 6
전체적인 기호도 8.3 7.6 7.3 5.6 6.6 6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본 발명의 블렌딩 차는 홍차, 장미꽃잎, 비트 및 생강을 중량비 3:2:1:1로 포함하며, 관능평가 결과 풍미, 향미, 색감 및 전체적인 선호도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본 발명의 블렌딩 차는 고운 붉은 빛깔은 물론 매력적인 향을 즐길 수 있어 특히 젊은 층의 호응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되나, 생강과 비트를 포함하여 항산화능과 감기 예방 등의 건강상의 잇점도 가져 다양한 수요자를 만족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우수한 항산화능에도 불구하고 주로 식재료로만 사용되었던 비트를 차로 활용할 수 있어, 본 발명은 1년에 3모작까지 가능하지만 20여 일이 지나면 수분량이 현저하게 떨어져 판매를 중단하는 비트의 이용가치를 크게 높일 수 있다.

Claims (4)

  1. (a) 홍차잎, 장미꽃, 비트 및 생강을 각각 물로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b) 상기 물기를 제거한 홍차잎, 장미꽃, 비트 및 생강을 조분하여, 각각 홍차잎은 건조 및 발효 단계를 거치고, 생강은 로스팅하고, 장미꽃은 동결 건조하고, 비트는 덖고 유념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 및
    (c) 상기 건조 및 발효된 홍차잎, 동결건조된 장미꽃, 덖음 처리한 비트 및 로스팅 처리한 생강을 3: 1.5~2.5 : 0.5~1.5: 1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렌딩 차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1항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블렌딩 차.
  4. 제3항에 있어서, 티백차, 잎차 및 분말 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딩 차.
KR1020180018662A 2018-02-14 2018-02-14 블렌딩 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21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662A KR102121349B1 (ko) 2018-02-14 2018-02-14 블렌딩 차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662A KR102121349B1 (ko) 2018-02-14 2018-02-14 블렌딩 차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567A KR20190098567A (ko) 2019-08-22
KR102121349B1 true KR102121349B1 (ko) 2020-06-10

Family

ID=67766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662A KR102121349B1 (ko) 2018-02-14 2018-02-14 블렌딩 차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3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513B1 (ko) 2022-03-04 2024-01-29 우순 도비탄방지 및 방음가능한 사격장
KR102617668B1 (ko) 2022-03-04 2023-12-27 우순 도비탄 방지기능을 겸비한 탄두 회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4192A (ko) * 2007-10-31 2009-05-07 (주)아모레퍼시픽 기호성이 우수한 피치향 홍차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에 게재된 ‘블랜딩차’ (2017.03.02.)*
네이버 블로그에 게재된 ‘블렌딩차 제다실습’ (2018.02.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567A (ko)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5552B2 (en) Preparation of mixed tea composition comprising aloeswood
KR101377059B1 (ko) 향미가 우수한 기국차의 제조방법
KR101509236B1 (ko)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KR20150118438A (ko) 미선나무잎 음료, 차, 식품 원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21349B1 (ko) 블렌딩 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10147B1 (ko) 한약재를 이용한 국화무차의 제조방법 및 그 국화무차 티백
KR100994177B1 (ko) 발효 숙성 흑산수유 및 그의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2050800B1 (ko) 장기 저장을 위한 동결건조된 산채 블록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산채 블럭
KR20100047992A (ko) 잔대녹차의 제조방법
KR101202829B1 (ko) 편백 차의 제조방법
KR100920873B1 (ko) 싸리나무를 주재료로 한 기능성 음료, 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037572B1 (ko) 복분자를 이용한 발효분말 제조방법
KR102598690B1 (ko)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가지 장아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32253B1 (ko) 찻잎 및 꽃잎이 함유된 커피의 제조방법
KR102491108B1 (ko) 홍삼 조청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홍삼 조청
KR101203790B1 (ko) 머위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된장
KR100606558B1 (ko) 오가피 침출차 제조방법
KR101381994B1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KR102015369B1 (ko) 녹차 생엽을 이용한 숙성차의 제조방법
Singh et al. VALUE ADDITION TO FOREST PRODUCE FOR NUTRITION AND LIVELIHOOD.
KR102455930B1 (ko) 보리 발효곡의 제조 방법 및 보리 발효곡의 용도
KR20200141736A (ko) 과일 청을 이용한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60044612A (ko) 된장과 현미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42450A (ko) 국화꽃 녹차의 제조 방법
CN112293539B (zh) 一种桑树桑黄伴侣及其制备方法与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