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4736B1 - 한방 조미료 - Google Patents

한방 조미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4736B1
KR100814736B1 KR1020060101729A KR20060101729A KR100814736B1 KR 100814736 B1 KR100814736 B1 KR 100814736B1 KR 1020060101729 A KR1020060101729 A KR 1020060101729A KR 20060101729 A KR20060101729 A KR 20060101729A KR 100814736 B1 KR100814736 B1 KR 100814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erbal
food
words
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기
Original Assignee
이춘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기 filed Critical 이춘기
Priority to KR1020060101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4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4Dried sp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귀7wt%, 천궁5Wt%, 황기20Wt%, 건율20Wt%, 산약5Wt%, 감초30Wt%, 대추10Wt%, 구기자0.8Wt%, 하수오0.1Wt%, 오미자0.1Wt%, 녹차 2.5Wt% 건조분말을 직경 0.05mm, 0.1mm으로 만들어 골고루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한방조미료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화학조미료를 대체하고 몸에 좋은 한약재를 주성분으로 하되 한약재로 특유의 냄새를 저감하고 동시에 비린맛이 저감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당귀, 천궁, 황기, 건율, 산약, 감초, 대추, 구기자, 하수오, 오미자, 녹차, 한방, 조미료

Description

한방 조미료{herbal condiment}
본 발명은 한방조미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당귀, 천궁, 황기, 건율, 산약 등의 한약재를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한약 특유의 냄새를 저감하고 음식의 비린맛이 저감되며 음식과 조화를 이루는 한방조미료에 관한 것이다.
조미료는 주로 다른 식품의 풍미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음용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조미료는 장류, 식초, 소스류, 토마토케첩, 카레, 고춧가루 및 실고추, 향신료가공품, 드레싱, 복합 조미료, 향미유 등이 존재한다.
특히 일상생활에서 가정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조미료는 화학조미료를 들 수 있으며, 이러한 화학조미료의 구성성분 중 대표적인 것이 MSG(Monosodium L-Glutamate)이다. 이러한 MSG는 버섯, 육류, 김, 토마토 등 자연 식품에 단백질의 일부분으로 존재하며, 이러한 자연식품을 섭취했을 때 부작용이나 병적증세가 보고된 예는 없다. 다만, 식품 첨가제로 만들어진 화학조미료의 경우 독성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글루탐산은 흥분성 신경전달물질로 과량의 글루탐산이 신경조직에 흡수될 경우 신경 세포막을 파괴한다. 특히 유아의 대뇌는 어른과 달리 극소량이라도 뇌하수체가 파괴될 가능성이 있으며 성장은 물론 일반 대사에 이상을 불러올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이밖에 글루탐산은 산혈증의 원인이 되면서 신장에서의 칼슘 흡수를 막고 뼛속에 저장됐던 칼슘까지 떨어져 나가게 해 골다공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편, 다량의 MSG를 섭취했을 때 10~20분 후 후두부의 작열감과 함께 불쾌감, 근육 경직, 메스꺼움 등의 증상이 얼마간 나타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모든 식당과 많은 가정에서 맛을 내기 위해 MSG가 주원료인 화학조미료를 사용하고 있으며, 사회 전체적으로 국민건강에 심각한 위해요소가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개발되고 있는 것이 천연재료를 배합하여 만든 조미료이며, 특히 근래에는 한약 재료를 이용하여 인체의 건강에 유익한 조미료의 연구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약재료를 이용한 조미료와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155664호(한약재와 해산물을 주원료로 한 조미료 및 제조방법)가 있으나 이것은 단순히 인체에 유익한 한약재를 다른 조미료와 배합하여 섭취하는 것이 목적이며, 한약 특유의 냄새를 저감하고 음식의 비린맛을 저감하는 한방조미료를 제공할 수 있는 종래기술은 아직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여러 가지 인체에 유익한 한약재료를 건조하여 분말로 만든 후 이러한 분말을 특정 비율로 배합하여 한약의 특유한 냄새를 저감하고 음식의 비린맛을 저감하며 소량만으로도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방조미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방 조미료는 당귀 7wt%, 천궁 5wt%, 황기 20wt%, 건율 20wt%, 산약 5wt%, 감초 30wt%, 대추 10wt%, 구기자 0.8wt%, 하수오 0.1wt%, 오미자 0.1wt%, 녹차 2.5wt%의 건조약재를 직경 0.05 내지 0.1mm로 만들어 골고루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전통민간요법사 자격증(자격증번호 제20406호)을 취득하고 각종 한약재를 연구하던 중 다음과 같은 한방 조미료를 개발하게 되었다.
1. 본 발명의 주원료인 한약재의 약리효능은 다음과 같다.
(1) 당귀의 약성은 '특이한 냄새가 나고 맛은 약간 쓰면서 달다.'라고 '대한약전'에 기록되어 있으나, 이는 중국당귀와 왜당귀에서만 느낄 수 있고, 참당귀는 단맛은 나지 않고 약간 쓴맛만 난다.
당귀의 효능은 피가 부족할 때 피를 생성해 주는 보혈작용(補血作用)이다. 중국당귀나 왜당귀의 뿌리로 만든 당귀는 보혈작용이 뛰어나다. 하지만, 참당귀의 뿌리로 만든 당귀는 보혈작용보다는 피를 원활히 순환하게 해주는 활혈작용(活血作用)이 더 뛰어나며, 항암효과 및 혈압강하작용이 강하다.
약리학적으로 당귀는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촉진하고, 적혈구 생성을 왕성하게 한다.
대한약전에는 껍질이 황갈색 내지 흑갈색을 띠고 안쪽 껍질은 황백색이며 횡단면을 현미경으로 보면 내용물이 들어 있는 분비도 및 대용섬유군이 군데군데 섞여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왜당귀나 중국당귀에 대한 특징이고, 참당귀는 껍질이 황백색을 띄며 현미경적 특징이 나타나지 않는다.
참당귀는 토당귀(土當歸), 숭검초, 조선당귀 라고도 하고, 중국당귀는 당귀(當歸), 문귀(文歸), 건귀(乾歸), 대근(大芹), 상마(象馬), 지선원(地仙圓)이라고도 하며, 왜당귀는 일당귀(日當歸)라고도 한다.
본 발명의 구성성분으로 포함되는 당귀는 참당귀가 바람직하다.
(2) 천궁은 뿌리·줄기가 진정·진통·강장에 효능이 있어 두통·빈혈증·부인병 등에 사용한다. 방향성 식물이며 민간에서는 좀을 예방하기 위해 옷장에 넣어 둔다. 죽어가는 소나무 뿌리에 천궁 삶은 물을 주면 나무가 회생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구성성분으로 포함되는 천궁은 한국에서 재배된 것을 사용하였다.
(3) 황기는 한국·일본·만주·중국 북동부·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흔히 약초로서 재배하며 한방에서는 가을에 채취하여 노두(蘆頭)와 잔뿌리를 제거하고 햇빛에 말린 것을 한약재의 황기라 하며, 강장·지한(止汗)·이뇨(利尿)·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있어 신체허약·피로·권태·기혈허탈(氣血虛脫)·탈항(脫肛)·자궁탈·내장하수·식은땀·말초신경 등에 처방한다.
황기의 성질은 따뜻하며 맛은 약간 매운 편이다. 특히 황기는 두통을 멎게 하고 새로운 피를 생산하여 묵은 피를 파헤치고 답답증을 열어준다. 또한, 풍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구성성분으로 포함되는 황기는 음식을 섭취하는 경우 음식의 보양효과를 돕는 역할을 한다.
(4) 밤은 탄수화물·단백질·기타 지방·칼슘·비타민(A·B·C) 등이 풍부하여 발육과 성장에 좋다. 특히 비타민 C가 많이 들어 있어 피부미용과 피로회복·감기예방 등에 효능이 있으며 생밤은 비타민 C 성분이 알코올의 산화를 도와주어 술안주로 좋다. 당분에는 위장 기능을 강화하는 효소가 들어 있으며 성인병 예방과 신장 보호에도 효과가 있다.
특히 건율(乾栗)은 밤을 말려 약용한 것으로 위장·비장·신장을 튼튼하게 하며, 혈액 순환을 돕고 지혈작용을 하므로 매스꺼움이나 설사, 허리·다리의 허약증, 구토, 코피, 혈변 등의 증상 치료에 효능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성분으로 포함되는 건율은 국내산을 사용하였으며, 특히 벌레가 먹 지 않은 부분을 선별하여 준비하였다.
(5) 산약은 마과의 마 또는 참마의 주피를 제거한 뿌리줄기(담근체)로서 그대로 또는 쪄서 말린 것을 말한다. 이 약은 냄새가 거의 없으며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산약은 비기능을 높여 권태감, 무력감, 음식감소, 설사 등을 다스리며 폐음을 보해 해수, 천식, 가래를 없애고, 소갈증, 허리와 무릎 시린 증상, 유정, 조루증, 소변 자주 보는 증상, 신체허약과 빈혈, 사지마비 동통 등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장관활동자극, 혈당강하, 항노화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원주형 또는 고르지 않은 원주형을 이루며 간혹 세로나 가로로 자른 것도 있다. 바깥면은 유백색 또는 황색을 띤 흰색이며 꺾은 면은 평탄하고 분질 또는 각질이며 유백색이다. 질은 단단하며 꺾어지기 쉽다.
본 발명의 구성성분인 산약은 참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감초는 모든 약의 독성을 조화시켜서 약효가 잘 나타나게 하며 장부의 한열과 사기를 다스리고 모든 혈맥의 소통을 잘 시키며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한다.
약리작용은 해독작용, 간염, 두드러기, 피부염, 습진 등에 효과가 있다. 진해·거담·근육이완·이뇨작용·항암작용이 있으며 소화성궤양을 억제한다. 감초의 겉껍질은 적갈색이나 암갈색을 띠며 세로로 주름이 있고 때때로 피목, 싹눈 및 비늘잎이 붙어 있다. 껍질 벗긴 감초는 바깥 면이 엷은 황색이고 섬유성이다.
본 발명의 구성성분인 감초는 음식의 매운맛, 쓴맛, 비린 맛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7) 대추는 손발이 싸늘해지면서 토하거나 설사 증상을 보일 때도 대추가 무엇보다 좋은 약이며, 대추가 가지고 있는 신경완화 작용은 긴장을 풀어 주고 흥분을 가라앉혀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대추는 소화기 계통을 튼튼하게 하여 내장기능을 회복시켜 주며, 식욕부진이나 소화불량인 사람이 복용하면 속이 편안하고 위장의 기운을 북돋워주고 식욕을 촉진한다. 특히 체질상 소음인에게 좋다. 특히 기침을 낫게 하고 폐를 깨끗하게 함은 물론 대추씨에 포함된 성분은 신경을 이완시켜 잠을 잘 오게 하는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의 구성성분인 대추는 음식의 비린 맛을 제거함과 동시에 한약재 특유의 냄새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8) 구기자에는 베타인(betaine)과 루틴(rutin)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구기자에 함유된 베타인은 숙취나 알코올 해독에 특효이고 지방간 치료제의 주성분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구기자는 자양 강장의 효능이 뛰어나고 간세포 내에 지방 침착을 억제하여 간세포의 신생을 촉진하고 신허증을 개선한다.
본 발명의 구성성분인 구기자는 기름기가 많은 음식을 섭취하는 경우 지방 침착을 방지하여 비만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9) 하수오는 한방에서 백발 치료에 으뜸으로 치는 약재이며 혈관 내 콜레스테롤의 축적을 억제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또 지방 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체내에서 면역물질을 생성해내므로 노화를 억제하는 역할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구성성분인 하수오는 적하수오가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백하수오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10) 오미자에는 다섯 가지 맛 즉, 신맛·짠맛·쓴맛·매운맛·단맛이 들어있다 하여 오미자라고 하며, 색이 아름다워 여러 가지 화채에 쓰여서 더위를 쫓는데도 좋을뿐만 아니라 겨울철 감기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오미자는 폐기능을 돕고 기침과 갈증해소에 쓰이며 땀과 설사를 멎게 하는데에도 효과적이다.
오미자에는 자양·강장·신장기능에 좋은 사과산이 많아 피로회복에 좋고 뼈마디 관절이 쑤시는 갱년기 여성에게도 특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오미자에 들어있는 성분 중에는 뇌파를 자극하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졸음을 쫓으며 과로로 인한 기억감퇴 및 시력감퇴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구성성분인 오미자는 남오미자 또는 북오미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1) 녹차는 차 성분 중 카테킨을 중심으로 식물성 섬유와 엽록소 등이 종합적으로 작용해 혈액 중이나 간장에 지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녹차에 포함되어 있는 카테킨류와 홍차의 데아플라빈류가 식중독 세균을 죽이는 강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한편, 차에 함유된 카테킨은 대표적인 항산화제인데 비타민E의 200배, 비타민C의 10배에 해당하는 강력한 항산화력을 갖는다. 녹차의 이러한 항산화 능력은 노화방지와 직결되는 것이다.
이 밖에도 녹차는 지방간을 예방하고 알코올 주독 해소작용을 하며, 구취 및 냄새 제거 효과가 있고, 녹차 고유의 향은 정신을 맑게 하여 준다.
본 발명의 구성성분인 녹차와 감초는 음식의 비린맛을 저감하고 한약재 특유의 냄새를 중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2. 본 발명인 한방 조미료의 주원료의 배합은 본초강목의 내용을 인용하고 있는 동의보감에 수록된 "복약식기(服藥食忌)"를 근거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복약식기란 한약을 복용할 때 금해야 하는 음식을 정하여 놓은 것을 말한다.
복약식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대개 한약을 복용할 때는 생호탁 및 산(마늘) 등 잡 생채를 많이 먹지 말아야하고, 또한, 먹어서는 아니 될 것은 활물(미끈미끈한 음식), 과실 따위를 먹지 말아야 하며, 또한 먹어서는 아니 될 것은 저·견육(돼지고기, 개고기), 유이(기름진 음식), 비갱(기름진 고깃국), 어회(생선회), 성파(비린내가 나거나 노린내가 나는 날고기) 등을 먹지 말아야 하며, 복약시는 죽은 시신 및 산부, 엄예(더럽고 난잡함) 등을 접하지 않음이 좋다.
(1) 服諸藥不可多食醋
즉, 모든 한약을 복용할 때는 식초 따위의 여러 신맛의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한다.
(2) 大都服藥通忌生菜
즉, 대체로 한약을 복용할 때는 생채를 먹지 않는 것이 좋다.
(3) 有朮勿食桃李雀蛤胡大蒜靑魚
즉, 출(백출, 창출) 등의 약재가 들어간 한약을 복용할 때는 도이(복숭아, 추리), 작(참새고기), 합(조개), 고탁, 대산(마늘), 청어 등의 생선회 류를 먹지 말아야 한다.
(4) 有半夏菖蒲勿食飴糖羊肉海藻
즉, 반하, 창포 등의 약재가 들어간 한약을 복용할 때는 이당(강엿), 양육(양고기), 해조 등을 먹지 말아야 한다.
(5) 有地黃勿食蔥蒜蘿
즉, 지황(생지황, 숙지황, 건지황 등)류의 약재가 들어간 한약을 복용할 때는 총(파), 산(마늘), 라거(무)를 먹지 말아야 한다.
(6) 服地黃何首烏人食蘿則能耗諸血令人髮早白
즉, 지황, 하수오를 먹을 때 라거(무)를 먹으면 혈이 소모되고 수염과 머리털이 일찍 희어지므로 이를 피하여야 한다.
(7) 有何首烏勿食無鱗魚
즉, 하수오가 들어간 약에는 무린어(비늘 없는 고기)를 먹지 말아야 한다.
(8) 有巴豆勿食蘆羹野猪肉及醬冷水
즉, 파두가 들어간 약에는 노엽(갈대잎), 갱야저육(멧돼지 고기로 끓인 굴) 및 장자(된장), 냉수 등을 먹지 말아야 한다.
(9) 有黃連桔梗勿食猪肉服黃連不得食猪肉若服至三年不得食猪肉一生
즉, 황련, 길경(도라지)이 들어간 약에는 저육(돼지고기)을 먹지 말아야 하며, 특히 황련에는 절대로 돼지고기를 먹지 말아야 하는데, 만약 황련을 3년 동안 복용했다면 일생동안 돼지고기를 먹지 말아야 한다.
(10) 黃連又忌冷水
즉, 황련은 또한 냉수를 꺼린다.
(11) 胡黃連忌猪肉食之則漏精
즉, 호황련을 복용 시는 저육(돼지고기)을 먹지 말아야 하며, 이를 지키지 않으면 누정(정액이 새어나감)이 된다.
(12) 有細辛勿食生菜
즉, 세신이 들어간 약을 먹을 때는 생채를 금한다.
(13) 有藜蘆勿食狸肉
즉, 여로(박새뿌리)가 들어간 약을 복용할 때는 이육(너구리 고기)을 먹지 말아야 한다.
(14) 有牡丹勿食生胡
즉, 목단(모란 뿌리 껍질)이 들어간 약을 복용할 때는 생호탁을 먹지 말아야 한다.
(15) 有商陸勿食犬肉
즉, 상륙(자리공)이 들어간 약을 복용할 때는 견육(개고기)을 금해야 한다.
(16) 有常山勿食生蔥生菜
즉, 상산이 들어간 약을 복용할 때는, 생총(날파), 생채를 먹지 말아야 한다.
(17) 有朱砂空靑勿食生血物
즉, 주사, 공청이 들어간 약을 먹을 때는 생혈물(생피의 종류)을 먹지 말아야 한다.
(18) 有茯勿食醋酸物一云忌米醋盖服茯人喫醋則前功俱廢
복령이 들어간 약을 복용할 때는 식초나 신맛이 나는 것을 먹지 말아야 하며, 일전에는 미초(쌀로 만든 식초)도 먹지 말아야 한다고 하고 있으니, 대체로 복령을 복용할 때 식초를 먹으면 먼저 복용한 약효까지 모두 없어진다.
(19) 有甘草勿食某菜海藻猪肉一云服甘草而食某卽令病不除
즉, 감초가 들어간 약을 복용할 때는 모채(배추), 해조, 저육(돼지고기)을 먹지 말아야 하며, 일설에는 감초를 먹고 배추를 먹으면 병이 낫지 않는다고도 하였다.
(20) 有鱉甲勿食菜今取鱉甲細置水濕處卽變生鱉是其驗也
즉, 별갑이 들어간 약을 복용할 때는 승채(비름나물)를 먹지 말아야 하며, 별갑을 잘게 썰어 축축한 곳에 두면 이것이 변하여 자라같이 된다.
(21) 有天門冬勿食鯉魚服天門冬誤食鯉魚中毒浮萍解之
즉, 천문동이 들어간 약을 복용할 때는 리어(잉어)를 먹지 말아야 하며, 천문동을 먹고 잘못하여 잉어를 먹어 중독이 될 때는 부평(개구리 밥)으로 해독한다.
(22) 有水銀輕粉忌一切血
즉, 수은, 경분이 들어간 약을 복용할 때는 일체혈(모든 피의 종류)을 금해야 한다.
(23) 銀忌一切血
즉, 은을 먹을 때도 일체혈(모든 동물의 피)을 먹지 말아야 한다.
(24) 陽起石忌羊血
즉, 양기석이 들어간 약에는 양혈(양의 피)를 피한다.
(25) 服黃精人禁食梅實
즉, 황정(낚시둥굴레)를 복용할 때는 매실(매화열매)을 먹지 말아야 한다.
(26) 有牛膝勿食牛肉
즉, 우슬이 들어간 약을 복용할 때에는 우육(소고기)을 먹지 말아야 한다.
(27) 當歸惡熱恪
즉, 당귀는 열면(더운 국수)과 조화 하지 못한다.
(28) 烏頭天雄忌汁
즉, 오두와 천웅은 자즙(약전 국즙)을 피한다.
(29) 牡丹皮忌蒜
즉, 목단피(모란 뿌리껍질)는 산(마늘)을 피한다.
(30) 有桂勿食生蔥
즉, 계(계피)가 들어간 약을 복용할 때는 생총(날파)을 먹지 말아야 한다.
(31) 有麥門冬勿食魚
즉, 맥문동이 들어간 약을 복용할 때는 즉어(붕어)를 먹지 말아야 한다.
(32) 厚朴忌豆食之者動氣
즉, 후박은 두(콩)를 꺼리는 데, 함께 먹으면 동기(기가 제 멋대로 움직임)한다.
(33) 威靈仙忌茗及恪湯
즉, 위령선(으아리)은 명(녹차, 작설차 등)과 면탕(더운 국수 또는 밀가루 끓인 것)을 피한다.
(34) 有蒼耳忌食猪肉米
즉, 창이(돗꼬마리)가 들어간 약을 복용할 때는, 저육(돼지고기), 말고기 및 미구(쌀뜨물)를 먹지 말아야 한다.
(35) 乾漆忌油脂
즉, 건칠(마른 옻)은 유지(각종 기름 종류)를 피한다.
(36) 枸杞與乳酪相惡
즉, 구기(구기자)와 유락(우유나 양젖 등을 졸인 것)은 상오(서로 싫어함)의 관계이다.
(37) 龍骨忌魚
즉, 용골은 어(물고기 종류)를 피한다.
(38) 麝香禁食大蒜
즉, 사향은 대산(통마늘)을 피한다.
(39) 破故紙忌羊肉
파고지는 양육(양고기)을 피한다.
(40) 蓮花忌地黃蒜
즉, 연화(연꽃)는 지황(생지황, 숙지황, 건지황 등)과 산(마늘)을 피한다.
(41) 杏仁忌粟米
즉, 행인(살구씨)은 속미(좁쌀)를 피한다.
(42) 蜜忌蔥及
밀(꿀)은 총(파) 및 상추를 피한다.
(43)猪肉殺藥猪膏忌烏梅
저육(돼지고기)은 약효를 저해하며, 오매를 기한다.
(44) 餌藥之人食鹿肉必不得藥力盖鹿恒食解毒草能制諸藥耳恒食名草者葛花鹿蔥白藥苗白蒿水芹甘草蒼耳薺媒
즉, 약을 먹을 때 녹육(사슴의 고기)을 먹으면 반드시 약효를 볼 수 없으니, 사슴은 늘 독을 푸는 풀을 먹기 때문에 모든 약의 효과를 제하며, 사슴의 늘 먹는 풀은 갈화(칡꽃), 녹총, 백약모, 백호, 수근(미나리), 감초, 창이(도꼬마리), 제매 등이다.
(45) 凡使一切角大忌
즉, 무릇 모든 각(뿔) 종류는 소금을 몹시 꺼려야 한다.
본 발명의 한방 조미료는 상기와 같은 복약식기를 근거로 하여 서로 상극하는 음식을 피하고 서로 조화 하는 음식에 사용하도록 하여 조미료의 효능을 극대화하도록 하였다.
3. 본 발명과 관련된 한약재의 건조방식은 다음과 같다.
당귀는 2년생 된 뿌리를 11월 내지 12월경에 채취해서 흙을 털어낸 다음 이듬해 3월까지 그늘지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말린 다음 더운 물에 담구어 흙을 깨끗이 씻어내고 다시 뜨거운 물(50℃ 정도)에 10분 담갔다가 꺼내 그늘에서 습기가 완전히 마르면 열풍건조기에 넣고 건조시켰다(50℃에서 24시간).
천궁은 원 약재의 잡질을 제거하고 절단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저온상태(10℃ 정도)에서 말리며, 열풍건조기를 이용하는 경우는 50℃에서 24시간 동안 말려 준비했다.
황기는 껍질을 벗기지 않은 유피 상태로 서늘한 곳에서 건조하여 보관했다.
건율은 밤의 겉껍질을 벗기지 않은 채 증기로 찐 후 찐 밤을 서늘한 곳에서 하루 정도 말렸으며. 그 후 껍질을 제거하고 서늘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7일간 건조시켰다.
산약은 마를 채취한 후 잔뿌리 및 잡질을 깨끗하게 제거하여 서늘하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30일간 건조시켰다.
감초는 잡질을 골라내고 노두와 잔뿌리는 제거한 뒤 깨끗한 물을 침윤시켜서 후편으로 절단하여 건조시켰고. 이때 수침을 오래 하면 감초의 수용성 침출물이 많이 추출되어 유효성분의 소실을 가져오므로 가급적 짧은 시간 동안 침윤하여 절단한다.
대추는 끓는 물에 살짝 대치고 멍석에 널어 3일간 바람이 잘 통하는 서늘한 곳에서 말린 후 4일째 되는 날부터는 햇볕에 널어 말렸다. 이때 밤에는 이슬이 맞지 않는 곳으로 옮겼다가 다시 햇볕이 나면 햇볕 아래 내어 놓았고, 10일째 되는 날 거두어 보관했다.
구기자는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하였으며 유효한 약리성분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처음 2시간 동안 50℃를 유지하고 그 후 24시간 동안 60℃를 유지하여 건조하였다.
하수오는 잡질을 제거하고 쌀뜨물에 하루 정도 담갔다가 깨끗하게 씻어낸 후 이를 건조기에 넣어 5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오미자는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5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녹차는 차 잎을 따자마자 바로 건조시켰으며, 이를 즉시 가열해 발효하는 것을 막았다.
4. 상기의 방법으로 건조된 한약재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곱게 갈아 혼합한다.
본 발명의 한방 조미료는 상기의 방법으로 건조된 각각의 한약재를 한약재분쇄기에 넣어 갈아 직경이 0.05~0.1mm가 되도록 하였다. 이때 분쇄기는 습도가 20~30%로 유지되는 공간에서 작동시켜 분쇄도중 한약재가 더욱더 건조 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건조 분말화된 한약재는 한약재 분말 혼합기를 이용하여 혼합시켰으며, 혼합기의 가동시간을 총 분말 중량 10kg 당 20분으로 하여 골고루 섞이도록 조절하였다.
5.이하 본 발명의 한방 조미료의 효능을 확인한 실험결과를 살펴본다.
(1) 본 발명의 한방 조미료의 한약냄새 유무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한약냄새와 관련한 관능검사를 위하여 총 20명의 인원(20세 이상의 성인 남녀)이 테스트에 동원되었으며, 기존의 한방 조미료와 비교하여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테스트는 한약재의 냄새를 5점 척도(최하 1점~최고 5점)로 구분하여 20명의 실험수행자의 결과 값을 평균치로 계산하였다. 본 테스트는 삼계탕에 조미료를 가미하여 삼계탕을 시식시켜 수행하였고 결과값은 시식이 모두 끝난 후에 수집하였다. 삼계탕 1인분에 각각의 조미료는 6g씩 가미되었으며 대조군으로 사용된 삼계탕에는 찹쌀, 마늘, 밤, 대추 이외에 다른 성분(한약재)은 가미하지 않았다.
각 점의 척도기준은 다음과 같다.
1점 한약재가 섞인 것을 전혀 느끼지 못했다.
2점 한약재가 섞인 듯한 느낌이 들었으나 확실하지 않다.
3점 한약재의 냄새가 조금 나지만 심하지는 않다.
4점 한약재의 냄새가 조금 많이 나지만 음식 맛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5점 한약재의 냄새로 인하여 음식 맛이 변하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테스트의 결과는 표1과 같다.
<표1>
테스트 대상 한약재 냄새 결과값
기존의 한방 조미료가 들어간 삼계탕 3.8
본 발명의 한방 조미료가 들어간 삼계탕 1.7
조미료가 가미되지 않은 삼계탕 1.1
위의 실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의 한방 조미료의 한약재 냄새 결과 값은 3.8로서 음식의 맛에 영향을 주지는 않으나, 확실히 한약재의 냄새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반면, 본 발명의 한방 조미료의 결과 값은 1.7로서 한약재가 섞인 것을 거의 느끼지 못한 것으로 나왔다. 대조군으로 사용된 삼계탕은 결과 값이 1.1로 역시 한약재의 냄새를 거의 감지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다.
(2) 이번에는 본 발명의 한방 조미료의 음식의 비린 맛을 억제하는 효과를 실험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실험은 역시 20명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음식 맛에 대한 관능검사가 수행되었으며, 음식은 삼치구이를 실험대상으로 삼았다. 삼치구이 1인분(1마리)에 4g씩 조미료를 첨가하였으며, 결과 값은 역시 5점 척도로 구분하여 수집하였다.
각 점의 척도기준은 다음과 같다.
1점 음식의 비린 맛이 전혀 느껴지지 않았다.
2점 음식의 비린 맛이 약간 나지만 거의 느껴지지 않았다.
3점 음식의 비린 맛이 약간 나지만 통상의 맛에 비하여 현저히 줄어들었다.
4점 음식의 비린 맛이 감소 된 것 같지 않다.
5점 음식의 비린 맛이 너무 심하다.
테스트의 결과는 표2와 같다.
<표 2>
테스트 대상 비린 맛 테스트 결과값
기존의 한방 조미료가 들어간 삼치구이 4.1
본 발명의 한방 조미료가 들어간 삼치구이 2.8
조미료가 가미되지 않은 삼치구이 4.2
위의 실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의 한방 조미료의 비린 맛 결과값은 4.1로서 음식의 비린 맛이 감소 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반면, 본 발명의 한방 조미료 결과값은 2.8로서 음식의 비린 맛이 현저히 줄어든 것으로 나왔다. 대조군으로 사용된 삼치구이는 결과값이 4.2로서 역시 음식의 비린 맛이 줄어들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6. 이하에서는 음식의 제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한방 조미료의 바람직한 사용례를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한방 조미료는 삼계탕, 칼국수, 생선찌개, 찹쌀잣죽, 떡국, 만두국, 갈비탕, 닭계장, 시금치국, 생선구이 등에 사용이 가능하다.
각종 구이 종류에는 본 발명의 한방 조미료를 1인분 기준 3티스푼(6g) 이상을 미리 끓여 놓고 이 끓인 물에 생선이나 갈비 등을 양념과 함께 담구어 두었다가 마늘, 생강, 옥파, 파, 후추 가루, 고추 가루 등을 첨가하여 요리한다.
김치를 담그는 경우에는 배추 1포기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한방 조미료를 4티스푼(8g)이상 젓갈에 넣고 끓여 준비하고, 찹쌀풀 끓인 것, 무 절군 것, 마늘 생강 고추가루 중분말한 것에 고랭지 배추 절군 것, 젓갈 끓인 것, 찹쌀풀 끓인 것, 마늘 생강 고춧가루를 고루 버무린다.
이상,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약 재료를 이용하여 기존의 화학조미료를 대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한약재의 성분을 특정비율로 분말 배합하여 음식 첨가되는 경우 한약 특유의 냄새를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한약재의 성분을 특정비율로 분말 배합하여 음식의 비린맛을 저감하고 특유의 향기와 감칠맛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한약재의 성분을 특이하게 조합하여 소량만으로도 음식의 비린 맛을 제거하고 특유의 향미를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당귀 7wt%, 천궁 5wt%, 황기 20wt%, 건율 20wt%, 산약 5wt%, 감초 30wt%, 대추 10wt%, 구기자 0.8wt%, 하수오 0.1wt%, 오미자 0.1wt%, 녹차 2.5wt%의 건조약재를 직경 0.05 내지 0.1mm로 만들어 고루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조미료.
KR1020060101729A 2006-10-19 2006-10-19 한방 조미료 KR100814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729A KR100814736B1 (ko) 2006-10-19 2006-10-19 한방 조미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729A KR100814736B1 (ko) 2006-10-19 2006-10-19 한방 조미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4736B1 true KR100814736B1 (ko) 2008-03-19

Family

ID=39410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729A KR100814736B1 (ko) 2006-10-19 2006-10-19 한방 조미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47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732B1 (ko) 2008-07-14 2011-04-07 신화숙 오미자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오미자소스
KR101030367B1 (ko) 2008-05-09 2011-04-20 대보영농조합법인 대추 천연 조미료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237A (ko) * 1994-06-13 1996-01-25 한동근 고혈압 개선작용을 갖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0342606B1 (ko) 2000-07-31 2002-07-02 김윤배 한방 김치의 제조 방법
KR20030025967A (ko) * 2001-09-24 2003-03-31 김상국 도토리,자연식물체(야생초)를 원료로 한 다색 무지개 떡뽁이
KR100526313B1 (ko) 2003-10-14 2005-11-08 윤영래 한약재 성분이 함유된 요리용 한방 소스
KR100635172B1 (ko) 2004-10-13 2006-10-16 조종수 기능성 청국장 분말가루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237A (ko) * 1994-06-13 1996-01-25 한동근 고혈압 개선작용을 갖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0342606B1 (ko) 2000-07-31 2002-07-02 김윤배 한방 김치의 제조 방법
KR20030025967A (ko) * 2001-09-24 2003-03-31 김상국 도토리,자연식물체(야생초)를 원료로 한 다색 무지개 떡뽁이
KR100526313B1 (ko) 2003-10-14 2005-11-08 윤영래 한약재 성분이 함유된 요리용 한방 소스
KR100635172B1 (ko) 2004-10-13 2006-10-16 조종수 기능성 청국장 분말가루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367B1 (ko) 2008-05-09 2011-04-20 대보영농조합법인 대추 천연 조미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026732B1 (ko) 2008-07-14 2011-04-07 신화숙 오미자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오미자소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50276B (zh) 一种辣酱调料、辣酱及其制作方法
CN104770824A (zh) 一种补气养血保健冲料
KR101274254B1 (ko) 황토지장수를 이용한 삼계탕용 육수 및 삼계탕의 제조방법
KR20020069592A (ko) 비만 방지와 향기를 갖는 식육 가공품 제조방법
KR20100121035A (ko) 약선(藥膳)음식의 제조방법
KR101151961B1 (ko) 야생초를 이용한 저(低)나트륨, 저(低)염소, 고(高)칼륨 김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김치
KR101342517B1 (ko) 건강 기능성 죽 및 상기 죽의 제조방법
KR102132334B1 (ko) 육류 또는 생선의 이취 제거를 위한 소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육류 또는 생선의 이취를 제거하는 방법
KR100879016B1 (ko) 한방 개량간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방 개량간장 조성물
KR100815375B1 (ko) 닭과 한약재를 이용한 닭 대보중탕 및 그 제조방법
CN104323217B (zh) 一种调味白骨壤果实酱及其生产方法
CN106261868A (zh) 一种黄金鸡及其制作方法
KR101280873B1 (ko) 대추 된장의 제조방법
KR100642867B1 (ko) 관능미가 뛰어난 항암 기능성 허브고추장
KR101297688B1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해장국의 제조방법
CN101194719B (zh) 一种芝麻叶绿豆保健面制备方法及其芝麻叶绿豆保健面
KR100814736B1 (ko) 한방 조미료
CN108618113A (zh) 一种蒸辣椒酱的加工方法
KR20090016538A (ko) 한방 개량된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된장 조성물
KR20190006650A (ko) 양념 게장용 소스의 제조방법
KR102126179B1 (ko) 건강백숙의 제조방법
KR102042514B1 (ko) 장어 숙성소스 및 그 숙성방법
KR101288626B1 (ko) 초계국수 및 그 제조방법
KR101122427B1 (ko) 개구리탕
KR20030070948A (ko) 보양용 면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