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412B1 - 전극군 래핑장치 - Google Patents

전극군 래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412B1
KR101287412B1 KR1020120031460A KR20120031460A KR101287412B1 KR 101287412 B1 KR101287412 B1 KR 101287412B1 KR 1020120031460 A KR1020120031460 A KR 1020120031460A KR 20120031460 A KR20120031460 A KR 20120031460A KR 101287412 B1 KR101287412 B1 KR 101287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group
wrapping
lapping
wrapping material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재
홍지준
Original Assignee
(주)열린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열린기술 filed Critical (주)열린기술
Priority to KR1020120031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48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folding a wrapper, e.g. a pocketed wrapper, and securing its opposed free margins to enclos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05Dispensers, i.e. machines for unwinding only parts of web ro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군 래핑장치는, 래핑재 공급롤러에 감긴 래핑재를 평평한 상태로 공급하며, 일정한 길이로 상기 래핑재를 절단하는 래핑재 피딩부; 상기 래핑재 피딩부의 일측에 제공되며, 절단된 상기 래핑재에 의해 감싸질 전극군을 공급하거나 상기 래핑재에 의해 감싸진 전극군을 인출하는 전극군 출입부; 상기 전극군 출입부의 하부에 제공되며, 절단된 상기 래핑재가 상기 전극군을 감싸도록 상기 래핑재의 양단을 폴딩하는 전극군 래핑부; 상기 전극군 래핑부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전극군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기 래핑재의 양단을 서로 접합하는 탑 본딩부; 상기 탑 본딩부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전극군의 측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래핑재의 일단을 접합하는 사이드 본딩부; 및 상기 사이드 본딩부와 나란하게 제공되며, 접합된 상기 래핑재의 일단을 잘라 내는 사이드 커팅부;를 포함하여, 이차전지의 금속 케이스와 전극군의 접촉 또는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래핑재가 전극군을 견고하게 감싸도록 래핑재를 접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극군 래핑장치{APPARATUS FOR WRAPPING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은 전극군 래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직포로 된 래핑재를 이용하여 이차전지의 전극군을 감싸는 공정시 래핑재로 전극군을 자동으로 감싸며, 전극군의 상면과 측면에서 래핑재를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는 자동화된 전극군 래핑장치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로, 최근 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고 있다.
이차 전지는 금속으로 형성된 케이스(외장재)와 그 내부에 수용되는 전극군, 그리고 전해액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극군은 양극판/분리막/음극판이 교대로 적층되거나 권선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군 중에서 최외면에 위치하는 전극판(양극판 또는 음극판)이 금속성 케이스와 접촉하게 되면 단락(short, 쇼트)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단락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극군과 접하는 금속성 케이스의 내면에 단락방지용 절연물을 코팅해야 한다.
그러나, 대용량을 위한 이차 전지의 경우에는 금속성 케이스의 크기 또는 면적이 크기 때문에 그 내면에 단락방지용 절연물을 코팅하는 작업이 쉽지 않거나 생산성이 저하되거나 생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금속성 케이스의 내면에 단락방지용 절연물을 코팅하는 대신에 전극군을 절연필름 또는 절연재로 둘러 싸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전극군을 절연필름 또는 절연재로 감싸는 작업이 자동화되어 있지 않고, 절연필름 또는 절연재가 전극군을 감싼 상태에서 접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부직포로 된 래핑재를 이용하여 이차전지의 전극군을 자동으로 감쌀 수 있는 자동화된 전극군 래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극군을 감싸거나 둘러싼 상태에서 래핑재의 양단 또는 겹침 부분을 자동으로 접합하거나 접착할 수 있는 전극군 래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극군을 감싸거나 둘러싼 상태에서 래핑재의 측방향 일단을 접합하거나 접착한 후에 접합되거나 접착된 부분을 일정 부분 잘라 내는 전극군 래핑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군 래핑장치는, 래핑재 공급롤러에 감긴 래핑재를 평평한 상태로 공급하며, 일정한 길이로 상기 래핑재를 절단하는 래핑재 피딩부; 상기 래핑재 피딩부의 일측에 제공되며, 절단된 상기 래핑재에 의해 감싸질 전극군을 공급하거나 상기 래핑재에 의해 감싸진 전극군을 인출하는 전극군 출입부; 상기 전극군 출입부의 하부에 제공되며, 절단된 상기 래핑재가 상기 전극군을 감싸도록 상기 래핑재의 양단을 폴딩하는 전극군 래핑부; 상기 전극군 래핑부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전극군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기 래핑재의 양단을 서로 접합하는 탑 본딩부; 상기 탑 본딩부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전극군의 측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래핑재의 일단을 접합하는 사이드 본딩부; 및 상기 사이드 본딩부와 나란하게 제공되며, 접합된 상기 래핑재의 일단을 잘라 내는 사이드 커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차전지의 금속 케이스와 전극군의 접촉 또는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래핑재가 전극군을 견고하게 감싸도록 래핑재를 접합할 수 있다.
상기 전극군 래핑부는 상기 전극군이 놓이는 거치대의 양측에 제공되며, 절단된 상기 래핑재의 양단이 놓이는 제1 및 제2 래핑롤러, 상기 제1 래핑롤러 및 상기 제2 래핑롤러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롤러 장착부재 및 상기 롤러 장착부재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래핑롤러를 각각 승강시키는 롤러 승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래핑롤러 및 상기 제2 래핑롤러는 상기 거치대에 놓인 상기 전극군의 상면을 향하여 왕복 운동이 가능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제1 래핑롤러 및 상기 제2 래핑롤러에 대해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 래핑롤러가 상기 전극군의 상면에 도달하는 시간은 상기 제2 래핑롤러가 상기 전극군의 상면에 도달하는 시간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래핑롤러 및 상기 제2 래핑롤러는 상기 래핑재의 양단이 상기 전극군의 상면에서 서로 중첩되도록 상기 전극군의 상면을 향해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탑 본딩부는 상기 래핑재의 양단이 중첩된 부분을 상기 전극군의 상면에 대해서 가압 또는 가열하여 상기 래핑재의 양단을 서로 접합할 수 있다.
상기 탑 본딩부는 상기 래핑재의 중첩된 부분을 가압하거나 가열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래핑재와 직접 접촉하는 상기 가압부의 하단에는 테프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고주파 실러로 형성되며, 상기 테프론과 상기 가압부의 최하단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래핑롤러 및 상기 제2 래핑롤러가 서로 가까이 근접한 상태에서 상기 래핑재의 양단을 서로 접합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래핑롤러와 상기 제2 래핑롤러의 사이에서 상기 래핑재의 양단을 서로 접합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본딩부는 상기 전극군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전극탭과 마주 보는 상기 래핑재의 일단을 가압 또는 가열하여 접합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본딩부는 상기 거치대에 놓인 상기 전극군의 상면을 가압하는 상면 가압부, 상기 래핑재 일단의 하면을 접촉 지지하는 제1 측단가압부 및 상기 상면 가압부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1 측단가압부에 놓인 상기 래핑재 일단의 상면을 가열 또는 가압하는 제2 측단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본딩부는 상기 제1 측단가압부의 길이 방향 양단에 제공되어, 상기 래핑재 일단의 모서리 부분이 접히도록 공기를 불어주는 폴딩 에어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핑재 일단과 직접 접촉하는 상기 제1 측단가압부의 상단에는 테프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단가압부는 고주파 실러로 형성되며, 상기 테프론과 상기 제1 측단가압부의 최상단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단가압부의 길이 방향 양측에는 상기 테프론과 상기 제1 측단가압부 사이로 냉각 공기를 불어 주는 쿨링 에어 공급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커팅부는 상기 제1 측단가압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 구동하는 커터롤러, 상기 커터롤러와 일체로 형성된 피니언 및 상기 제1 측단가압부와 나란하게 제공되며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래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터롤러는 상기 제1 측단가압부의 상면에 대해서 상기 래핑재의 일단을 가압하면서 상기 래핑재의 일단을 잘라 낼 수 있다.
상기 커터롤러에는 접합된 상기 래핑재의 일단을 절단하는 테이퍼 커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군 래핑장치는 부직포로 된 래핑재를 이용하여 이차전지의 전극군을 자동으로 감쌀 수 있기 때문에 래핑 전극군(래핑재로 둘러 싸인 전극군)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군 래핑장치는 대용량 이차전지에 있어서 금속성 케이스의 내면을 절연물로 코팅할 필요가 없고, 이차 전지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군 래핑장치는 전극군을 감싸거나 둘러싼 상태에서 래핑재의 양단 또는 겹침 부분을 가열하거나 가압하여 접합 내지 접착하기 때문에 래핑재가 전극군을 둘러 싼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군 래핑장치는 전극군을 감싸거나 둘러싼 상태에서 래핑재의 측방향 일단을 접합하거나 접착한 후에 접합되거나 접착된 부분을 일정 부분 잘라 낼 수 있기 때문에 전극군의 전극탭과 마주 보는 일측단도 래핑재에 의해 둘러 쌀 수 있고 둘러 싼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군 래핑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전극군 래핑장치의 래핑재 피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따른 전극군 래핑장치의 전극군 출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도 1에 따른 전극군 래핑장치의 전극군 래핑부 및 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따른 전극군 래핑장치의 전극군 래핑부에 의해 래핑재로 감싸진 전극군(래핑 전극군)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따른 전극군 래핑장치의 탑 본딩부와 사이드 본딩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따른 전극군 래핑장치의 탑 본딩부 및 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도 1에 따른 전극군 래핑장치의 사이드 본딩부 및 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1에 따른 전극군 래핑장치의 사이드 커팅부 및 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도 1에 따른 전극군 래핑장치에 의해 래핑재로 감싸진 전극군(래핑 전극군)의 완성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군 래핑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전극군 래핑장치의 래핑재 피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따른 전극군 래핑장치의 전극군 출입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내지 도 9는 도 1에 따른 전극군 래핑장치의 전극군 래핑부 및 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1에 따른 전극군 래핑장치의 전극군 래핑부에 의해 래핑재로 감싸진 전극군(래핑 전극군)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에 따른 전극군 래핑장치의 탑 본딩부와 사이드 본딩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도 1에 따른 전극군 래핑장치의 탑 본딩부 및 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 내지 도 16은 도 1에 따른 전극군 래핑장치의 사이드 본딩부 및 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 및 도 18은 도 1에 따른 전극군 래핑장치의 사이드 커팅부 및 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 및 도 20은 도 1에 따른 전극군 래핑장치에 의해 래핑재로 감싸진 전극군(래핑 전극군)의 완성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군 래핑장치(100)는, 래핑재 공급롤러(112)에 감긴 래핑재(111, wrapping material)를 평평한 상태로 공급하며 일정한 길이로 래핑재(111)를 절단하는 래핑재 피딩부(110, wrapping material feeding part), 래핑재 피딩부(110)의 일측에 제공되며 절단된 래핑재(111)에 의해 감싸질 전극군(190, 도 6 참조, electrode assembly)을 공급하거나 래핑재(111)에 의해 감싸진 전극군(190)을 인출하는 전극군 출입부(130), 전극군 출입부(130)의 하부에 제공되며 절단된 래핑재(111)가 전극군(190)을 감싸도록 래핑재(111)의 양단을 폴딩(folding)하는 전극군 래핑부(140, electrode assembly wrapping part), 전극군 래핑부(140)의 일측에 제공되며 전극군(190)의 상면에 위치하는 래핑재(111)의 양단을 서로 접합하는 탑 본딩부(150, top bonding part), 탑 본딩부(150)의 일측에 제공되며 전극군(190)의 측 방향에 위치하는 래핑재(111)의 일단을 접합하는 사이드 본딩부(160, side bonding part) 및 사이드 본딩부(160)와 나란하게 제공되며 접합된 래핑재(111)의 일단을 잘라 내는 사이드 커팅부(170, side cutting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차전지의 금속 케이스와 전극군의 접촉 또는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래핑재가 전극군을 견고하게 감싸도록 래핑재를 접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군 래핑장치(100)는 양극판/분리막/음극판이 적층된 전극군(190)의 외면을 부직포 등의 래핑재가 감싸도록 래핑재의 양단을 접어주고, 접힌 상태에서 래핑재의 가장자리 또는 양단의 중첩된 부분을 가열 또는 가압하여 접합한 후에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제거하는 자동화된 장치이다.
여기서, 래핑재(111)는 부직포,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등으로 만들어진 얇은 필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래핑재(111)가 전극군(190)의 외면을 감싸기 때문에 전극군(190)의 최외면(즉, 맨 윗면 또는 맨 아랫면)에 위치하는 전극판과 금속성 케이스(미도시)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여 이차 전지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래핑재(111)에는 미세한 기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가 래핑재(111)를 통과할 수 있다.
래핑재(111)는 래핑재 공급롤러(112)에 감긴 상태로 공급되며, 래핑재 공급롤러(112)가 회전하면서 래핑재(111)가 풀려서 공급될 수 있다. 래핑재 공급롤러(112)에 감겼다가 풀리면서 공급되는 래핑재(111)가 장력을 유지하거나 평평한 상태로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텐션롤러(미도시) 또는 가이드롤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래핑재 피딩부(110)는 래핑재(111)를 평평한 상태로 공급하기 위해 래핑재(111)의 길이방향 내지는 공급방향을 따라 래핑재(111)의 양단을 파지하는 파지부(113,114), 래핑재(111)의 공급방향을 따라 파지부(113,114)를 움직이게 하는 파지부 이송부(115) 및 래핑재(111)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커터(1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파지부(113,114)는 래핑재(111)의 공급방향(화살표 참조)을 따라 래핑재(111)의 양단을 각각 2곳에서 파지한다. 파지부(113,114)는 집게 형태로 형성되며, 래핑재(111)의 공급방향으로 움직이는 피딩플레이트(117)에 형성되어 있다. 래핑재(111)의 일측에 위치하는 파지부(113,114) 사이의 거리는 전극군(190)을 실제로 감싸는 절단된 래핑재(111)의 길이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부(113,114) 및 피딩플레이트(117)는 래핑재 피딩부(110)의 일측, 즉 래핑재(111)을 공급방향을 따라 래핑재 피딩부(110)의 앞쪽에 형성된 전극군 래핑부(140)까지 전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래핑재(111)의 진행 방향을 따라 앞쪽에 위치하는 파지부(114)와 뒤쪽에 위치하는 파지부(113) 사이에 전극군 래핑부(140)가 위치할 때까지 전진할 수 있다.
앞쪽의 파지부(114)와 뒤쪽의 파지부(113) 사이에 전극군 래핑부(140) 또는 거치대(143)에 놓인 전극군(190)이 위치하게 되면, 커터(116)가 하강하여 뒤쪽에 있는 파지부(113)의 뒤쪽에서 래핑재(111)를 절단하게 된다. 커터(116)가 래핑재(111)를 절단한 후에 파지부(113,114)는 절단된 래핑재(111)의 파지 상태를 해제한 후(즉, 물고 있던 래핑재를 놓은 후) 이송부(115)에 의해서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파지부(113,114)가 물고 있던 절단된 래핑재(111)를 놓게 되면, 래핑재(111)는 전극군 래핑부(140)의 거치대(143) 위에 놓이게 된다. 이처럼 거치대(143) 위에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래핑재(111)가 놓인 상태에서 래핑재(111) 위에 전극군(190)이 놓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전극군 래핑부(140) 또는 거치대(143)의 상부에 전극군 출입부(130)가 제공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군 출입부(130)는 래핑재(111)로 감싸질 전극군(190)을 공급하거나 래핑재(111)로 둘러 싸인 전극군(190)을 적출하는 부분이다.
전극군 출입부(130)는 전극군(190)이 투입되는 투입구(135)가 형성된 공급플레이트(131), 투입구(135)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1 측면지지부(132) 및 제2 측면지지부(133), 공급플레이트(131)를 직선 왕복운동시키는 구동부(136) 및 공급플레이트(131)의 직선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34)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플레이트(131)의 초기 위치는 구동부(136)와 최대한 멀어지도록 가이드레일(134)의 일단이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투입구(135)에 래핑되지 않은 전극군(190)을 넣는다. 이 때, 전극군(190)의 측면이 제1 및 제2 측면지지부(132,133)에 걸린 상태이기 때문에 전극군(190)이 투입구(135)를 통과하지는 못한다. 이 상태에서 구동부(136)에 의해 공급플레이트(131)가 구동부(136) 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즉, 투입구(135)가 전극군 래핑부(140)의 거치대(143) 위쪽에 올 때까지 공급플레이트(131)가 움직이게 된다. 거치대(143)의 위쪽에 투입구(135)가 위치하게 되면 구동부(136)는 작동을 멈추게 되고, 제1 및 제2 측면지지부(132,133)가 후퇴하면서 전극군(190)이 투입구(135)를 통과하여 거치대(143)에 놓이게 된다.
투입구(135)의 아래쪽에는 전극군 래핑부(140)의 거치대(143)가 상승하여 최대한 투입구(135) 가까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투입구(135)를 통과한 전극군(190)이 거치대(143)에 놓이게 된다. 이 때, 거치대(143) 위에는 절단된 래핑재(111)가 놓인 상태이다. 따라서, 거치대(143)에 놓인 래핑재(111) 위에 전극군(190)이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극군 래핑부(140)가 작동하여 래핑재(111)에 의해 전극군(190)이 둘러 싸이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극군 래핑부(140)는 승강지지로드(148)에 의해서 승강하며 래핑재(111) 또는 전극군(190)이 놓이는 거치대(143), 래핑재(111)의 진행 방향을 따라 거치대(143)의 양측에 제공되며 일정한 길이로 잘린 래핑재(111)의 양단이 놓이는 제1 래핑롤러(141, wrapping roller) 및 제2 래핑롤러(142)를 포함할 수 있다.
래핑재(111) 또는 전극군(190)이 놓이는 거치대(143)는 전극군(190)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대략 사각형 모양의 표면을 가지며, 거치대(143)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흡착공(143a)이 형성될 수 있다. 래핑재(111)에 의해 전극군(190)이 둘러 싸이는 동안 래핑재(111)에 전극군(190)이 놓인 상태에서 전극군(19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흡착공(143a)을 통해 전극군(190)을 흡착하게 된다. 흡착공(143a)을 통해서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전극군(190)을 흡착할 수 있는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부직포 등의 래핑재(111)에 미세한 기공이 있기 때문에 흡착 공기가 래핑재(111)를 통과하여 전극군(190)의 표면을 흡착할 수 있다. 흡착공(143a)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착관(미도시)이 거치대(143)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전극군 래핑부(140)의 제1 및 제2 래핑롤러(141,142)는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래핑재(111)의 양단을 지지하고, 전극군(140)의 상면(위쪽 면)에서 래핑재(111)의 양단이 겹쳐지거나 중첩되도록 전극군(19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승강하거나 전극군(190)의 상면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래핑롤러(141,142)의 양단은 각각 롤러 장착부재(141a,142a)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롤러 장착부재(141a,142a)는 래핑재(111)의 공급방향을 따라 거치대(143) 쪽으로 모였다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래핑롤러(141,142)는 롤러 장착부재(141a,142a)에 장착된 상태에서 승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롤러 장착부재(141a,142a)에 일단이 연결되어 제1 및 제2 래핑롤러(141,142를 각각 승강시키는 롤러 승강부재(141b,142b)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승강부재(141b,142b)가 그 길이 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면 롤러 장착부재(141a,142a)의 일단이 위쪽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고 그와 함께 제1 또는 제2 래핑롤러(141,142)도 위쪽으로 들어 올려 지게 된다. 이 때, 위쪽으로 들어 올려진 제1 또는 제2 래핑롤러(141,142)가 아래 쪽으로 다시 내려올 수 있도록 롤러 승강부재(141b,142b)의 옆에 인장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인장스프링의 일단은 롤러 장착부재(141a,142a)에 연결하고 타단은 바닥측에 연결함으로써 롤러 장착부재(141a,142a)를 항상 아래쪽으로 당기고 있을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롤러 승강부재(141b,142b)의 작동이 멈추면 상기 인장스프링에 의해서 롤러 장착부재(141a,142a)가 아래쪽으로 당겨 내려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는 전극군 래핑부(140)에 의해서 전극군(190)이 일정한 길이로 잘린 래핑재(111)로 둘러 싸이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정한 길이로 잘린 래핑재(111)가 놓인 거치대(143)가 제1 및 제2 래핑롤러(141,142) 보다 상승해 있고, 래핑재(111) 위에 전극군(190)이 놓여 있다. 여기서, 거치대(143)는 전극군(190)의 크기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거치대(143)가 전극군(190) 보다 큰 경우에는 래핑재(111)가 전극군(190)의 측면과 최대한 밀착하도록 래핑재(111)를 접지 못할 수 있다.
거치대(143)가 제1 및 제2 래핑롤러(141,142) 보다 높이 있기 때문에 일정한 길이로 잘린 래핑재(111)의 양단은 아래쪽으로 향해 있으며 제1 및 제2 래핑롤러(141,142) 각각 얹혀 있다. 래핑재(111)의 양단이 각각 제1 및 제2 래핑롤러(141,142)에 얹히거나 걸리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래핑롤러(141,142)는 거치대(143) 쪽으로 다소 치우쳐 있어야 한다. 다만, 제1 래핑롤러(141)와 제2 래핑롤러(142) 사이의 간격은 전극재(190)의 크기 보다 커야 한다.
이 상태에서 거치대(143)는 제1 및 제2 래핑롤러(141,142) 보다 아래쪽에 있을 때까지 하강할 수 있다. 거치대(143)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거치대(143)의 하부에는 승강구동부(144, 도 1 참조)가 설치되며, 승강구동부(144)는 승강모터(145, 도 1 참조)에 의해서 거치대(143)를 승강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군(190)의 상면이 제1 및 제2 래핑롤러(141,142) 보다 아래에 위치할 때까지 거치대(143)를 하강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래핑롤러(141,142)가 있는 위치까지 거치대(143)가 하강할 때 제1 및 제2 래핑롤러(141,142)는 전극군(190)을 향해서 접근하게 된다. 제1 및 제2 래핑롤러(141,142)가 전극군(190)을 향해서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롤러구동모터(146,147, 도 1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롤러 장착부재(141a,142a)의 하단이 각각의 볼스크류(미도시)에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볼스크류는 제1 및 제2 롤러구동모터(146,147)에 의해서 회전하여 제1 및 제2 래핑롤러(141,142)를 좌우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거치대(143)가 더욱 하강하여 제1 및 제2 래핑롤러(141,142)의 아래쪽에 전극군(190)이 위치하고, 이 상태에서 제1 및 제2 래핑롤러(141,142)는 전극군(190)의 상면(윗면)을 향해 좌우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제1 및 제2 래핑롤러(141,142)가 전극군(190)의 상면을 타고 서로를 향해 움직이기 때문에 잘려진 래핑재(111)의 양단이 전극군(190)의 상면에서 겹쳐지게 된다. 제1 래핑롤러(141) 및 제2 래핑롤러(142)는 래핑재(111)의 양단이 전극군(190)의 상면에서 서로 중첩되도록 전극군(190)의 상면을 향해서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래핑재(111)의 양단이 전극군(190)의 상면에서 겹치거나 중첩되기 위해서 제1 래핑롤러(141)와 제2 래핑롤러(142)는 서로 다르게 움직여야 한다. 즉, 제1 래핑롤러(141)가 전극군(190)의 상면에 도달하는 시간은 제2 래핑롤러(142)가 전극군(190)의 상면에 도달하는 시간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래핑롤러(141)가 제2 래핑롤러(142) 보다 먼저 전극군(190)의 상면을 타고 움직이게 하거나, 제1 래핑롤러(141)가 움직이는 속도가 제2 래핑롤러(142)가 움직이는 속도 보다 빠르게 하면, 래핑재(111)의 양단이 전극군(190)의 상면에서 겹치거나 중첩된 상태로 접힐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극군 래핑부(140)의 제1 래핑롤러(141) 및 제2 래핑롤러(142)는 거치대(143)에 놓인 전극군(190)의 상면을 향하여 왕복 운동이 가능하고, 거치대(143)는 제1 래핑롤러(141) 및 제2 래핑롤러(142)에 대해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 래핑롤러(141,142)가 전극군(190)의 측부에서 래핑재(111)를 폴딩하고(접고), 래핑재(111)의 양단이 전극군(190)의 상면에서 겹쳐지거나 중첩된 상태로 전극군(190)이 래핑재(111)로 둘러 싸일 수 있다.
전극군 래핑부(140)의 작동에 의해서 래핑재(111)로 둘러 싸인 전극군(190)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래핑재(111)에 의해 둘러 싸인 전극군(190)을 래핑전극군(200)이라 한다.
래핑전극군(200)은 전극군(190)의 전극탭(191,19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래핑재(111)가 전극탭(191,192)을 감싸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전극탭(191,192) 쪽의 래핑재(111)는 밀봉하거나 접합하지 않는다.
래핑재(111)의 양단 중 일단(111a)은 타단(111b)과 중첩되고 이로 인해 전극군(190)의 상면에 래핑재(111)의 겹침부(111d)가 형성될 수 있다. 겹침부(111d)는 후술하는 탑 본딩부(150)에 의해서 래핑재(111)끼리 접합된다.
한편, 전극탭(191,192) 쪽과 달리 전극탭(191,192)과 마주 보는 쪽의 래핑재(111)의 일단은 접합 내지 접착되어야 한다. 전극탭(191,192)과 마주 보는 쪽의 래핑재(111) 일단은 접합을 위한 여유길이(L)가 있어야 한다. 즉, 전극탭(191,192)과 마주 보는 래핑재(111)의 일단은 전극군(190)의 가장자리 보다 여유길이(L) 만큼 길게 튀어 나온다. 이 상태에서 후술할 사이드 본딩부(160)에 의해서 여유길이(L) 부분을 접합하게 된다. 따라서, 래핑재(111)의 여유길이(L) 부분은 접합부(111c)를 형성하게 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래핑재(111)의 양단(111a,111b)에 의해 형성된 겹침부(111d)는 탑 본딩부(150)에 의해서 접합될 수 있다. 탑 본딩부(150)는 전극군 래핑부(140)의 일측에 제공되며 전극군(190)의 상면에 위치하는 래핑재(111)의 양단을 서로 접합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말하면, 래핑재(111)의 양단이 중첩되어 형성된 겹침부(111d)를 접합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본딩부(150)는 래핑재(111)의 양단(111a,111b)이 중첩된 부분 즉, 겹침부(111d)를 전극군(111)의 상면에 대해서 가압 또는 가열하여 래핑재(111)를 서로 접합할 수 있다.
탑 본딩부(150)는 상기 래핑재의 중첩된 부분을 가압하거나 가열하는 가압부(151) 및 상기 가압부(151)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153)를 포함하며, 래핑재(111)와 직접 접촉하는 가압부(151)의 하단에는 테프론(154)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151)는 고주파 실러로 형성되며, 테프론(154)과 가압부(151)의 최하단은 이격될 수 있다. 래핑재(111)의 겹침부(111d)를 가열하기 위해 열을 발생시키는 가압부(151)의 하단이 냉각될 수 있도록 테프론(154)과 가압부(151)의 최하단 사이가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프론(154)과 가압부(151)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서 공기가 흐르면서 가압부(151)를 냉각시킬 수 있다.
가압부(151)는 래핑재(111)의 겹침부(111d)를 가압한 상태에서 열을 가하여 래핑재(111)의 겹침부(111d)를 서로 접합할 수 있다.
가압부(151)는 거치대(143)에 놓인 전극군(190)을 향해서 승강하면서 래핑재(111)를 접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압부(151)를 승강시키는 승강부(153) 및 가압부(151)의 승강 운동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151)는 제1 래핑롤러(141) 및 제2 래핑롤러(142)가 서로 가까이 근접한 상태에서 래핑재(111)의 양단을 서로 접합할 수 있다. 이 때, 가압부(151)는 제1 래핑롤러(141)와 제2 래핑롤러(142)의 사이에서 래핑재(111)의 양단을 서로 접합할 수 있다. 즉, 제1 래핑롤러(141)와 제2 래핑롤러(142)가 서로 최대한 근접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 래핑롤러(141,142) 사이에 있는 겹침부(111d)를 접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래핑롤러(141,142)가 서로 최대한 근접한 상태에서 접힌 래핑재(111)를 눌러 주기 때문에 래핑재(111)가 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래핑재(111)가 접힌 상태에서 겹침부(111d)를 정확하게 가압 및/또는 가열하여 접합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6에는 사이드 본딩부(160)에 의해서 래핑전극군(200)을 형성하는 래핑재(111)의 접합부(111c)가 접합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사이드 본딩부(160)는 전극군(190)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전극탭(191,192)과 마주 보는 래핑재(111)의 일단을 가압 또는 가열하여 접합할 수 있다. 즉, 사이드 본딩부(160)는 전극군(190)의 전극탭(191,192)과 마주 보는 래핑재(111)의 일단에 형성된 접합부(111c)를 가압 및/또는 가열하여 접합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본딩부(160)는 거치대(143)에 놓인 전극군(190) 내지 래핑전극군(200)의 상면을 가압하는 상면 가압부(163), 전극군(190)을 둘러싼 래핑재(111) 일단의 하면을 접촉 지지하는 제1 측단가압부(161) 및 상면 가압부(163)의 일측에 제공되며 제1 측단가압부(161)에 놓인 래핑재(111) 일단의 상면을 가열 또는 가압하는 제2 측단가압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본딩부(160)는 전극군(190)을 둘러싼 래핑재(111)의 겹침부(111d)를 먼저 접합한 후에 전극탭(191,192)과 마주 보는 래핑재(111)의 접합부(111c)를 가압 및/또는 가열하여 접합할 수 있다.
사이드 본딩부(160)는 래핑재(111)로 둘러싸인 전극군(190) 즉, 래핑전극군(200)이 거치대(143)에 놓인 상태에서 상면 가압부(163)가 하강하여 래핑전극군(200)을 누른 상태에서 래핑재(111)의 접합부(111c)를 접합하게 된다. 상면 가압부(163)가 래핑전극군(200)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접합부(111c)를 접합하면 래핑재(111) 안에서 전극군(190)이 움직일 수 있어서 전극군(190)의 최상면 또는 최하면 중 일부가 래핑재(111)에서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면 가압부(163)가 래핑전극군(200)을 가압함으로써, 사이드 커팅부(170)가 래핑재(111)의 접합부(111c) 중 필요 없는 부분을 자를 때 래핑전극군(20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절단 과정 중에 래핑전극군(200)이 움직이게 되면 래핑재(111)의 접합부(111c) 중 불필요한 부분을 정확하게 절단하지 못한다.
상면 가압부(163)는 승강 운동을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 상면 가압부(163)는 승강구동부(165)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면 가압부(163)가 래핑전극군(200)을 누르기 전에 래핑재(111)의 접합부(111c)가 제1 측단가압부(161) 위에 놓이도록 거치대(143)가 제1 측단가압부(161)를 향해서 움직일 수 있다. 래핑재(111)의 일단에 형성된 접합부(111c)가 제1 측단가압부(161)에 놓인 상태에서 상면 가압부(163)가 래핑전극군(200)의 상면을 먼저 누르고, 그 다음으로 제2 측단가압부(162)가 하강하여 래핑재(111)의 접합부(111c)를 누르게 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본딩부(160)는 제1 측단가압부(161)의 길이 방향 양단에 제공되어, 래핑재(111) 일단 즉, 접합부(111c)의 모서리 부분이 접히도록 공기를 불어주는 폴딩 에어 공급부(167)를 포함할 수 있다. 폴딩 에어 공급부(167)는 제1 측단 가압부(161)의 길이 방향 양단 즉, 래핑재(111)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 제1 측단가압부(161)의 양단에 구비되는 파이프 형상의 부재로서, 래핑재(111)의 접합부(111c) 양쪽 모서리 부분에 공기를 불어 넣어 줄 수 있다.
제2 측단가압부(162)가 하강하여 래핑재(111)의 접합부(111c)를 가압하기 전에, 폴딩 에어 공급부(167)에서 분사된 공기에 의해서 래핑재(111) 일단의 모서리 부분을 접어야 한다. 즉, 제2 측단가압부(162)가 래핑재(111)의 접합부(111c)를 가압하기 전에 폴딩 에어 공급부(167)가 공기를 분사하여 래핑재(111)의 접합부(111c)의 모서리 부분이 접히도록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폴딩 에어 공급부(167)에서 공기가 내뿜어지면, 전극군(190)을 감싸는 래핑재(111)의 접합부(111c)의 모서리 부분이 안쪽으로 접히면서 폴딩부(111e)가 만들어지게 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 에어 공급부(167)에 의해서 래핑재(111)의 일단 모서리 부분에 폴딩부(111e)가 만들어진 상태에서 제2 측단가압부(162)가 하강하여 래핑재(111)의 접합부(111c)를 가열 및/또는 가압하여 접합하게 된다. 제2 측단가압부(162)가 승강할 수 있도록 승강구동부(164)가 제2 측단가압부(162)의 상부측에 연결될 수 있다.
래핑재(111) 일단 내지 접합부(111c)와 직접 접촉하는 제1 측단가압부(161)의 상단에는 테프론(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측단가압부(161)의 상단에 형성되는 테프론은 가압부(151)의 하단에 형성되는 테프론(154)과 동일하다.
제1 측단가압부(161)는 고주파 실러로 형성되며, 상기 테프론과 제1 측단가압부(161)의 최상단은 이격될 수 있다. 래핑재(111)의 접합부(111c)를 가열하기 위해 열을 발생시키는 제1 측단가압부(161)의 상단이 냉각될 수 있도록 상기 테프론과 제1 측단가압부(161)의 최상단 사이가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프론과 제1 측단가압부(161)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서 공기가 흐르면서 제1 측단가압부(161)를 냉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측단가압부(161)의 길이 방향 양측에는 상기 테프론과 제1 측단가압부(161) 사이로 냉각 공기를 불어 주는 쿨링 에어 공급부(166)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쿨링 에어 공급부(166)는 공기를 분사하는 일단이 제1 측단가압부(161)의 상단 쪽을 향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쿨링 에어 공급부(166)가 공기를 분사하여 제1 측단가압부(161)를 냉각시킬 수 있다.
제1 측단가압부(161) 및 제2 측단가압부(162)에 의해서 래핑재(111)의 접합부(111c)가 접합된 후에는 래핑전극군(200)이 금속성 케이스(미도시)에 수납될 수 있도록 접합부(111c)의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 내야 한다. 즉, 접합부(111c)의 여유길이(L) 만큼의 크기를 그대로 두는 것이 아니라, 최대한 전극군(190) 가깝게 접합부(111c)의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 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본딩부(160)와 나란하게 형성된 사이드 커팅부(170)가 접합된 래핑재(111)의 일단 또는 접합부(111c)의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 낼 수 있다.
사이드 커팅부(170)는 제1 측단가압부(16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 구동하는 커터롤러(171), 커터롤러(171)와 일체로 형성된 피니언(173) 및 제1 측단가압부(161)와 나란하게 제공되며 피니언(173)과 맞물리는 래크(172)를 포함할 수 있다.
커터롤러(171)는 제1 측단가압부(161)의 상면에 대해서 래핑재(111)의 일단 내지 접합부(111c)를 가압하면서 래핑재(111)의 일단 또는 접합부(111c)의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 낼 수 있다.
커터롤러(171)는 제1 측단가압부(161)의 일측에 제1 측단가압부(161)와 나란하게 형성된 래크(172)를 따라서 커팅방향(CD)을 따라 왕복 운동하면서 접합부(111c)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커터롤러(171)가 래크(172)를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커터롤러(171)와 일체로 형성된 피니언(173)을 회전시키기 위한 피니언 구동모터(미도시)가 커터롤러(171) 및 피니언(173)과 동축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커터롤러(171)에는 접합된 래핑재(111)의 일단 내지 접합부(111c)를 절단하는 테이퍼 커터(174, 도 11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측단가압부(161)에 놓인 접합부(111c)와 커터롤러(171)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커터롤러(171)의 외주면에는 비스듬하게 테이퍼진 테이퍼 커터(174, taper cutter)가 형성될 수 있다. 테이퍼 커터(174)는 마치 칼날과 같이 접합부(111c)와 선접촉을 하면서 접합부(111c)의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 낼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커터롤러(171)가 작동할 때, 제2 측단가압부(162)는 상승한 상태이지만 상면 가압부(163)는 래핑전극군(200)의 상면을 누르는 상태를 유지한다. 커터롤러(171)가 접합부(111c)의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하고 초기 위치로 복귀하면 상면 가압부(163)도 상승한다.
래핑재(111)의 겹침부(111d)와 접합부(111c)의 접합이 끝난 래핑전극군(200)은 거치대(143)에 놓인 상태로 전극군 출입부(130)의 하부까지 움직인다. 접합이 완료된 래핑전극군(200)이 놓인 거치대(143)가 전극군 출입부(130)의 투입구(135) 아래에 오면 거치대(143)가 상승하게 되고, 작업자는 투입구(135)에서 래핑전극군(200)을 인출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에는 래핑재(111)로 둘러 싸인 완성된 래핑전극군(2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111c)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폴딩부(111e)가 안쪽으로 접힌 상태로 접합되고, 접합부(111c)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전극군(190) 가까이에 형성된 사이드 접합부(111f)만 남겨 둠으로써 금속성 케이스에 래핑전극군(200)을 수납할 때 래핑전극군(200)과 금속성 케이스 사이의 여유를 크게 할 필요가 없고, 금속성 케이스 내면에 절연물을 코팅하지 않아도 전극군과 금속성 케이스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부호 "201"은 전극군(190)의 두께 방향으로 제공되는 테이프이다. 테이프(201)를 붙이기 때문에 전극군(190)의 두께가 부위 마다 다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전극군 래핑장치 110: 래핑재 피딩부
113,114: 파지부 130: 전극군 출입부
140: 전극군 래핑부 141: 제1 래핑롤러
142: 제2 래핑롤러 143: 거치대
150: 탑 본딩부 151: 가압부
160: 사이드 본딩부 161: 제1 측단가압부
162: 제2 측단가압부 163: 상면 가압부
170: 사이드 커팅부 171: 커터롤러
174: 테이퍼 커터 200: 래핑전극군

Claims (19)

  1. 래핑재 공급롤러에 감긴 래핑재를 평평한 상태로 공급하며, 일정한 길이로 상기 래핑재를 절단하는 래핑재 피딩부;
    상기 래핑재 피딩부의 일측에 제공되며, 절단된 상기 래핑재에 의해 감싸질 전극군을 공급하거나 상기 래핑재에 의해 감싸진 전극군을 인출하는 전극군 출입부;
    상기 전극군 출입부의 하부에 제공되며, 절단된 상기 래핑재가 상기 전극군을 감싸도록 상기 래핑재의 양단을 폴딩하는 전극군 래핑부;
    상기 전극군 래핑부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전극군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기 래핑재의 양단을 서로 접합하는 탑 본딩부;
    상기 탑 본딩부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전극군의 측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래핑재의 일단을 접합하는 사이드 본딩부; 및
    상기 사이드 본딩부와 나란하게 제공되며, 접합된 상기 래핑재의 일단을 잘라 내는 사이드 커팅부;
    를 포함하는, 전극군 래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군 래핑부는,
    상기 전극군이 놓이는 거치대의 양측에 제공되며, 절단된 상기 래핑재의 양단이 놓이는 제1 및 제2 래핑롤러;
    상기 제1 래핑롤러 및 상기 제2 래핑롤러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롤러 장착부재; 및
    상기 롤러 장착부재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래핑롤러를 각각 승강시키는 롤러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전극군 래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래핑롤러 및 상기 제2 래핑롤러는 상기 거치대에 놓인 상기 전극군의 상면을 향하여 왕복 운동이 가능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제1 래핑롤러 및 상기 제2 래핑롤러에 대해 상하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군 래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래핑롤러가 상기 전극군의 상면에 도달하는 시간은 상기 제2 래핑롤러가 상기 전극군의 상면에 도달하는 시간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군 래핑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래핑롤러 및 상기 제2 래핑롤러는 상기 래핑재의 양단이 상기 전극군의 상면에서 서로 중첩되도록 상기 전극군의 상면을 향해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군 래핑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탑 본딩부는 상기 래핑재의 양단이 중첩된 부분을 상기 전극군의 상면에 대해서 가압 또는 가열하여 상기 래핑재의 양단을 서로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군 래핑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탑 본딩부는 상기 래핑재의 중첩된 부분을 가압하거나 가열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래핑재와 직접 접촉하는 상기 가압부의 하단에는 테프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군 래핑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고주파 실러로 형성되며, 상기 테프론과 상기 가압부의 최하단은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군 래핑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래핑롤러 및 상기 제2 래핑롤러가 서로 가까이 근접한 상태에서 상기 래핑재의 양단을 서로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군 래핑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래핑롤러와 상기 제2 래핑롤러의 사이에서 상기 래핑재의 양단을 서로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군 래핑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본딩부는 상기 전극군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전극탭과 마주 보는 상기 래핑재의 일단을 가압 또는 가열하여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군 래핑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본딩부는,
    상기 거치대에 놓인 상기 전극군의 상면을 가압하는 상면 가압부;
    상기 래핑재 일단의 하면을 접촉 지지하는 제1 측단가압부; 및
    상기 상면 가압부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1 측단가압부에 놓인 상기 래핑재 일단의 상면을 가열 또는 가압하는 제2 측단가압부;를 포함하는, 전극군 래핑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본딩부는 상기 제1 측단가압부의 길이 방향 양단에 제공되어, 상기 래핑재 일단의 모서리 부분이 접히도록 공기를 불어주는 폴딩 에어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군 래핑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래핑재 일단과 직접 접촉하는 상기 제1 측단가압부의 상단에는 테프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군 래핑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단가압부는 고주파 실러로 형성되며, 상기 테프론과 상기 제1 측단가압부의 최상단은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군 래핑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단가압부의 길이 방향 양측에는 상기 테프론과 상기 제1 측단가압부 사이로 냉각 공기를 불어 주는 쿨링 에어 공급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군 래핑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커팅부는,
    상기 제1 측단가압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 구동하는 커터롤러;
    상기 커터롤러와 일체로 형성된 피니언; 및
    상기 제1 측단가압부와 나란하게 제공되며,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래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군 래핑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롤러는 상기 제1 측단가압부의 상면에 대해서 상기 래핑재의 일단을 가압하면서 상기 래핑재의 일단을 잘라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군 래핑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롤러에는 접합된 상기 래핑재의 일단을 절단하는 테이퍼 커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군 래핑장치.
KR1020120031460A 2012-03-28 2012-03-28 전극군 래핑장치 KR101287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460A KR101287412B1 (ko) 2012-03-28 2012-03-28 전극군 래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460A KR101287412B1 (ko) 2012-03-28 2012-03-28 전극군 래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7412B1 true KR101287412B1 (ko) 2013-07-19

Family

ID=48997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460A KR101287412B1 (ko) 2012-03-28 2012-03-28 전극군 래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4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7404A (zh) * 2017-03-06 2017-05-24 贵州省铜仁华迪斯新能源有限公司 一种极片分料系统以及电池制造流水线
KR20200123708A (ko) * 2019-04-22 2020-10-30 (주)휴민텍 프레임 용접기용 지그장치
KR102299475B1 (ko) * 2021-06-07 2021-09-08 일신프런티어 주식회사 절연테이프 자동 랩핑장치 및 방법
CN114802864A (zh) * 2022-05-27 2022-07-29 张帅 一种新能源汽车动力电池电池极板包片机
CN117639372A (zh) * 2023-11-07 2024-03-01 惠州亿恒特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全自动封口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1421A (ja) * 1993-09-30 1995-04-18 Nobu Sakai 包装装置及び折り畳み機構
KR970031004A (ko) * 1995-11-30 1997-06-26 배순훈 전지의 절연레이블(Lable) 자동포장장치
JP2001058618A (ja) 1999-08-23 2001-03-06 Toshiba Electronic Engineering Corp 電池パック組立方法と組立装置および、ラベル貼付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1421A (ja) * 1993-09-30 1995-04-18 Nobu Sakai 包装装置及び折り畳み機構
KR970031004A (ko) * 1995-11-30 1997-06-26 배순훈 전지의 절연레이블(Lable) 자동포장장치
JP2001058618A (ja) 1999-08-23 2001-03-06 Toshiba Electronic Engineering Corp 電池パック組立方法と組立装置および、ラベル貼付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7404A (zh) * 2017-03-06 2017-05-24 贵州省铜仁华迪斯新能源有限公司 一种极片分料系统以及电池制造流水线
KR20200123708A (ko) * 2019-04-22 2020-10-30 (주)휴민텍 프레임 용접기용 지그장치
KR102212849B1 (ko) * 2019-04-22 2021-02-05 (주)휴민텍 프레임 용접기용 지그장치
KR102299475B1 (ko) * 2021-06-07 2021-09-08 일신프런티어 주식회사 절연테이프 자동 랩핑장치 및 방법
CN114802864A (zh) * 2022-05-27 2022-07-29 张帅 一种新能源汽车动力电池电池极板包片机
CN117639372A (zh) * 2023-11-07 2024-03-01 惠州亿恒特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全自动封口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412B1 (ko) 전극군 래핑장치
JP4199008B2 (ja) 自動化されたリチウム2次電池製造システム用パッキング装置
TWI527288B (zh) 二次電池的製造方法及製造裝置
KR102269811B1 (ko) 이차 전지용 필름형 자재 자동 연결 장치
JP5291811B2 (ja) 2次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08306055B (zh) 一种锂电池电芯一次成型叠片机
JP6427909B2 (ja) 電気デバイスのセパレータ接合装置
KR101749468B1 (ko) 전기 디바이스의 세퍼레이터 접합 장치
KR20190089750A (ko) 에너지 저장 장치용 전극 스택의 제조 방법, 그리고 스태킹 시스템
KR20140002020A (ko) 포장 전극의 제조 장치 및 포장 전극의 제조 방법
JP2015072834A (ja) 切断装置及び切断方法
KR20100026622A (ko) 팩 비닐 자동 포장기
KR20150050395A (ko) 보호 테이프 박리 방법 및 보호 테이프 박리 장치
KR101661093B1 (ko) 제품 자동포장기
KR101996069B1 (ko) 에어캡 쇼핑백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966114B1 (ko) 역삼투 필터 모듈 제조 장치
CN108382627A (zh) 一种自动插片包膜设备
JP3571399B2 (ja) フィル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101561055B1 (ko) 턴테이블형 랩핑장치
TWM465661U (zh) 下膜機
JP2009202303A (ja) シート切断装置およびシート切断方法
KR101425417B1 (ko) 다분할 포장팩의 연속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CN113809379A (zh) 一种电池的自动化生产线
JP2005051916A (ja) コイル及び巻線方法及び巻線装置
JP2012506797A (ja) 袋を作る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