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439B1 - 완구 - Google Patents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439B1
KR101278439B1 KR1020110057264A KR20110057264A KR101278439B1 KR 101278439 B1 KR101278439 B1 KR 101278439B1 KR 1020110057264 A KR1020110057264 A KR 1020110057264A KR 20110057264 A KR20110057264 A KR 20110057264A KR 101278439 B1 KR101278439 B1 KR 101278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ad
medal
individual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607A (ko
Inventor
후미오 나까지마
아쯔시 아마루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ublication of KR20120001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발생시키는 음성 등을 용이하게 바꿀 수 있는 동시에, 복수의 데이터의 조합에 대응하여 음성 등을 발생시키는 경우에, 동일한 조합이라도 다른 음성을 발생시킴으로써 변화가 풍부하고 재미있는 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완구 본체(22)는 판독체(30)가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피식별 부재(21)를 교환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241, 242, 243)를 구비한 지지체(24) 및 판독체(30)에 의해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할 때에 판독 가능한 판독 위치를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25)를 갖는 동시에, 완구 본체(22)를 다른 완구 본체와 식별하기 위한 완구 식별 정보가 부여되어 있다. 이에 의해, 판독한 개별 식별 정보와 완구 식별 정보의 조합에 따라서 구동부(43)를 구동하여, 그 완구 특유의 형태를 채용할 수 있어, 변화가 풍부하고 재미있는 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완구 {TOY}
본 발명은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완구 등의 수집을 목적으로 하는 물품이, 단체로 존재할 때 혹은 다른 물품과 복합 형태로 존재할 때에, 음성을 재생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즉, 트레이딩 카드 또는 피규어 등의 물품에, 물품을 특정하는 데이터인 ID나, 물품이 단체로 존재할 때 재생하는 음성 데이터나, 다른 물품과 복합 형태로 존재할 때에 재생하는 음성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서 비접촉 IC 태그를 설치하여, 태그 리더로 비접촉 IC 태그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한다. 그리고, 판독된 ID나 음성 재생 룰에 기초하여, 음성을 발생한다.
이에 의해, 재생 룰이나 음성 데이터의 내용에 의해 발생하는 음성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리얼리티성, 스토리성, 게임성 등의 취향을 갖게 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123276호 공보(도 3)
일반적으로, 완구 등의 수집가나 애호가는, 예를 들어 동일한 완구가 다수 종류 존재하는 경우에는, 일련의 완구를 수집하려고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복수의 완구를 수집한 경우라도, 발성하는 소리는 변화가 부족하고 재미가 부족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보다 변화가 풍부하고 재미있는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완구는 완구 본체와, 개별 식별 정보가 부여된 피식별 부재와, 상기 피식별 부재로부터 상기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체를 갖고, 상기 완구 본체는 상기 판독체에 의해 판독 가능한, 당해 완구 본체를 다른 완구 본체와 식별하기 위한 완구 식별 정보가 부여된 완구 식별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판독체는 상기 피식별 부재로부터 판독한 상기 개별 식별 정보와, 상기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한 후에 상기 완구 본체로부터 판독한 상기 완구 식별 정보의 조합에 따라서 구동 가능한 구동부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완구에 있어서는, 상기 완구 본체는 상기 피식별 부재를 교환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완구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부는 복수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완구에 있어서는, 상기 완구 본체는 상기 판독체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피식별 부재의 상기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판독 위치를 통과하도록 상기 판독체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가져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완구에 있어서는, 상기 안내부는 상기 판독 위치를 통과한 상기 판독체를, 상기 완구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완구 식별 위치로 안내 가능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완구에 있어서는, 상기 완구 본체는 모든 지지부에 있어서의 상기 판독 위치 및 상기 완구 식별 위치에 상기 판독체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가져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완구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판독체가 판독한 상기 개별 식별 정보가 소정의 조합인 경우에는, 조합에 대응한 구동 형태를 채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완구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부는 발음부, 발광부, 진동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완구에 있어서는, 상기 개별 식별 정보 및 상기 완구 식별 정보가 IC 태그에 기입되어 있고, 상기 판독체가 IC 태그 리더인 것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완구에 따르면, 보다 변화가 풍부하고 재미있는 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완구인 벨트를 장착한 사용자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완구인 벨트의 정면도.
도 3은 메달 홀더의 정면도.
도 4의 (a)는 스캐너를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b)는 스캐너를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5는 스캐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벨트에 있어서의 메달 판독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은 변신음 및 필살기음의 발생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 형태의 완구인 무기의 정면도.
도 9는 무기에 있어서의 메달 판독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0은 통상의 공격음, 필살 공격음의 출력을 도시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에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완구로서의 벨트(20)를 장착한 사용자(10)가 도시되어 있다.
완구로서의 벨트(20)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의 주인공인 히어로가 장착하고 있는 벨트를 모방한 것으로, 도 1과 같이, 사용자(10)도 주로 허리부(1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여 사용하고, 완전히 당해 히어로로 되는 「가장 놀이(히어로로 완전히 변모한 것으로 가장하여 즐기는 놀이)」를 하기 위한 것이다. 당해 히어로는 프로그램상, 벨트에 메달을 장착하고, 스캐너에 의해, 벨트에 장착된 메달을 판독하고, 장착된 메달의 조합에 기초하여 소정의 형태로 변신하거나, 다양한 필살기를 내는 설정으로 되어 있고, 또한 스캐너로부터는 변신할 때나 필살기를 낼 때에 발음, 발광 등을 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변신」이라 함은, 히어로가 메달에 따라서, 외관을 헤드부, 흉부, 흉부의 부분마다 변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우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20)에는, 예를 들어 3매의 메달(21)[제1 메달(211), 제2 메달(212), 제3 메달(213)]을 교환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각 메달(211, 212, 213)은 각각 프로그램상의 설정으로서는, 히어로의 헤드부, 흉부, 다리부의 변신 형태를 지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상, 히어로가 헤드부, 흉부, 다리부가 각각 6종류씩 변화될 수 있는 설정인 경우(즉, 6×6×6=216종류의 형태로 변신할 수 있는 설정)에는 제1 메달(211), 제2 메달(212), 제3 메달(213)도 6종류씩 준비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메달을 총칭하는 경우에는 메달(21)로 표시하고, 각 메달을 구별하는 경우에는 제1 메달(211), 제2 메달(212), 제3 메달(213)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메달(21)에는 개별 식별 정보를 기억한 IC 태그(26)가 매립되어 있고, 표면에는 노출되어 있지 않다. IC 태그(26)로서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스캐너(30)로부터의 전파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동작하는 패시브 타입의 것을 사용함으로써, 전지를 내장할 필요가 없어, 저렴하고 또한 대략 항구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IC 태그(26)는 스캐너(30)로부터의 전파를 받아 동작하고, 기억되어 있는 개별기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발한다.
메달(21)의 개별화는 다양한 관점으로부터 행해져도 좋다. 예를 들어, 골드 메달이나 실버 메달과 같이, 색에 의해 IC 태그에 기억되어 있는 개별 식별 정보가 다르도록 해도 좋다. 또한, 프로그램상의 설정으로서 메달이 지시하는 히어로의 변신 형태에 따라서, IC 태그에 기억되어 있는 개별 식별 정보를 다르게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동물인 「매」를 모티프로 한 변신 형태를 지시하는 메달과, 동물인 「호랑이」를 모티프로 한 변신 형태를 지시하는 메달과, 벌레인 「메뚜기」를 모티프로 한 변신 형태를 지시하는 메달에서는, 각각 IC 태그에 기억되어 있는 개별 식별 정보를 다르게 하는 등의 것이 생각된다. 그 경우, 메달의 표면에는 변신의 형태를 나타내는, 예를 들어 매, 호랑이, 메뚜기 등의 도안을 설치해도 좋다. 또한, 이면에는 각각의 메달이 변신 형태를 지시하는 부위, 즉 헤드부, 흉부, 다리부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도안을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메달(21)의 외견으로부터 개별 식별 정보를 알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에 의해, 메달의 색(금 또는 은), 프로그램상의 설정으로서 메달이 지시하는 변신 형태의 모티프(「매」, 「호랑이」, 「메뚜기」와 같은 동물, 벌레의 종류)가 지정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20)는 사용자(10)가 장착하는 완구 본체인 벨트 본체(22)와, 메달(21)을 교환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로서의 슬롯(241, 242, 243)을 갖는 지지체인 메달 홀더(24)(도 3 참조)와, 스캐너(30)를 벨트 본체(22)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스캐너 홀더(23)와, 복수의 메달(21)을 착탈 가능하게 보관해 두는 메달 보관부(28)를 갖는다. 메달 홀더(24)는 벨트(20)의 버클(221)에 일체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스캐너 홀더(23)는 스캐너(30)를 걸어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231)가 설치되어 있다. 메달 보관부(28)는 사용 예정의 메달(21)을 보유 지지해 두고, 사용하는 메달(21)을 취출하여 메달 홀더(24)로 장착한다. 혹은, 메달 홀더(24)로부터 취출한 사용 후의 메달(21)을 보관해 둔다. 스캐너 홀더(23) 및 메달 보관부(28)는 벨트 본체(22)의 임의의 장소에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메달 홀더(24)는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메달(211, 212, 213)을 교환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슬롯(241, 242, 243)을 갖는다. 즉, 슬롯(241, 242, 243)은 메달(211, 212, 213)을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메달 홀더(24)에는 벨트(20)를 다른 완구와 식별하기 위한 완구 식별 정보가 부여된 완구 식별 IC(27)가 설치되어 있다. 완구 식별 IC(27)는 스캐너(30)로부터의 전파를 받아, 이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동작하고, 부여되어 있는 완구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발한다. 또한, 완구 식별 정보에 의한 완구 사이의 개별화는 용도, 형상, 소매 가격, 프로그램 내에서의 역할, 생산 일시 등, 다양한 관점으로부터 행해져도 좋다. 예를 들어, 벨트(20)와 후술하는 무기(50)와 같이 「가장 놀이」상의 역할로 나누어, 각각 다른 완구 식별 정보가 부여된 완구 식별 IC를 내장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가장 놀이」상의 역할로서는 동일한 「벨트」라도, 형상이 다르면, 완구 식별 IC에 부여되어 있는 완구 식별 정보를 다르게 해도 좋다. 이에 의해, 프로그램상, 각각의 히어로가 장착하고 있는 벨트는 각각 다른 완구로서 개별화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히어로가 장착하고 있는 벨트라도 프로그램 내의 설정으로서 파워업 전의 벨트와, 파워업 후의 벨트로 하여 각각 다른 완구로서 개별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적어도 벨트(20)에 내장되어 있는 완구 식별 IC(27)에 부여된 완구 식별 정보는 완구 식별 IC(27)를 내장하고 있는 완구가 벨트(20)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메달 홀더(24)에는 스캐너(30)가 메달 홀더(24)에 지지된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판독 위치를 통과하도록 스캐너(30)를 안내하는 안내부(25)를 갖는다. 안내부(25)는 단면 L자 형상의 부재가, 메달 홀더(2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슬롯(241, 242, 243)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안내부(21)는 슬롯(241, 242, 243)이 나열되어 있는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안내부(25) 및 메달 홀더(24)는 사용자(10)에 의한 개별 식별 정보의 판독 시에 스캐너(30)의 이동이 용이해지도록, 벨트 본체(22)에 대해 경사(예를 들어, 약 24°)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벨트 본체(22)에 대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캐너(30)를 안내부(25)를 따라서 이동시킴으로써, 스캐너(30)는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판독 위치를 통과할 수 있고, 메달(21)의 IC 태그(26)로부터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스캐너(30)를 안내부를 따라서 이동시킴으로써, 스캐너(30)는 메달(21)의 IC 태그(26)로부터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한 후에, 메달 홀더(24)의 완구 식별 IC(27)로부터 완구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완구 식별 위치에 안내된다. 이에 의해, 스캐너(30)는 메달(21)의 IC 태그(26)로부터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한 후에 완구 식별 IC(27)로부터 완구 식별 정보를 자연스럽게 판독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캐너(30)는 전체 원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표면에는 사용자(10)의 손을 삽입하여 스캐너(30)를 파지하는 손잡이(31)를 갖는다. 손잡이(31)의 내측에는 태그 리더로서의 기능을 개시하기 위한 판독 개시 스위치(32)가 설치되어 있다. 판독 개시 스위치(32)는 손잡이(31)를 파지함으로써 ON으로 되고, 일단 ON으로 되면 스캐너(30)는 일정 시간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나 완구 식별 IC(27)의 완구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해진다. 따라서, 판독 개시 스위치(32)를 ON으로 하여 일정 시간 내에 판독을 행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OFF로 되고, 판독할 수 없게 되어, 전지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면에는 소정의 대사나, 기동음, 변신음, 필살기음 등의 소리를 발하는 스피커 등의 발음부(34), 광을 발하는 LED 등으로 이루어지는 발광부(35)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스캐너(30)를 진동시키는 진동부(36)가 설치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표면에는 히어로의 이미지에 대응한 모양을 부여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캐너(30)의 이면에는 벨트 본체(22)의 스캐너 홀더(23)의 보유 지지부(231)(도 2 참조)에 걸어 보유 지지하기 위한 걸림부(33)를 갖는다. 걸림부(33)는 상단부(331)를 중심으로 하여 이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도 4의 (b) 중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스캐너 홀더(23)에 설치할 때에는 회전하지만, 상시에는 스프링 부재(도시 생략)에 의해 이면측으로 압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캐너 홀더(23)에 걸린 스캐너(30)는 탈락하지 않고 보유 지지된다.
또한, 스캐너(30)의 이면에는 송신 안테나(371) 및 수신 안테나(372)가 설치되어 있다. 송신 안테나(371)는 스캐너(30)에 의해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할 때에, 후술하는 제어부(40)에 의해 제어되어 메달(21)의 IC 태그(26)를 향해 전파를 발하는 것이고, 수신 안테나(372)는 당해 전파를 받아 IC 태그(26)로부터 발해진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송신 안테나(371)는 스캐너(30)에 의해 완구 식별 IC(27)의 완구 식별 정보를 판독할 때에, 후술하는 제어부(40)에 의해 제어되어 완구 식별 IC(27)를 향해 전파를 발하는 것이고, 수신 안테나(372)는 당해 전파를 받아 완구 식별 IC(27)로부터 발해진 신호를 수신한다.
도 5에는 IC 태그 리더인 스캐너(30)의 내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캐너(30)의 내부에는 제어부(40) 및 전지(41)가 설치되어 있고, 판독 개시 스위치(32)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판독 개시 스위치(32)를 ON으로 하면, 소정 시간만큼 제어부(40)에 전류가 흘러, 제어를 개시한다.
제어부(40)에는 송신 안테나(371) 및 수신 안테나(372)가 접속되어 있고, 판독 개시 스위치(32)가 ON으로 되면, IC 태그(26), 완구 식별 IC(27)에 대해 전파를 발하도록 송신 안테나(371)를 제어하고, 또한 수신 안테나(372)로 수신된 메달(21)의 IC 태그(26)로부터 발해진 신호, 메달 홀더(24)의 완구 식별 IC(27)로부터 발해진 신호의 각각이 나타내는 개별 식별 정보, 완구 식별 정보를 판단하여, 후술하는 메모리(42)의 일시 기억 영역에 기억시킨다(즉, 개별 식별 정보, 완구 식별 정보를 판독함). 제어부(40)에는 메모리(42)가 접속되어 있고, 소정의 대사, 기동음, 변신음, 필살기음 등의 소리를 발음부(34)로부터 발생시키기 위한 음성 데이터나, 발광부(35)를 소정의 패턴으로 발광시키기 위한 발광 데이터, 진동부(36)를 소정의 패턴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적어도 미리, 소정의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의 조합 및 이들 조합에 대한 발음부(34), 발광부(35), 진동부(36)의 동작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예에서 뒤에 나오는 다양한 음성 데이터, 발광 데이터(발광 패턴의 데이터), 진동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것은 물론, 생각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기억시켜 둘 수 있다. 또한, 메모리(42)는 판독된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 및 완구 식별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일시 기억 영역을 갖고 있다. 제어부(40)에는 구동부(43)가 접속되어 있고, 구동부(43)에는 전술한 발음부(34), 발광부(35), 진동부(36)가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벨트(20)에 있어서의 사용자(10)의 조작과, 그것에 따른 벨트(2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6에 기초하여, 메달(21)의 판독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시작되면(스텝 SAS), 메달 보관부(28)에 보관되어 있는 원하는 메달(21)을 취출하여, 메달 홀더(24)의 슬롯(241, 242, 243)에 장착한다(스텝 SA1). 원하는 매수의 메달(21)을 장착하여(스텝 SA2), 장착이 완료되면, 스캐너(30)를 스캐너 홀더(23)로부터 취출한다(스텝 SA3). 스캐너(30)의 손잡이(31)에 손을 넣어 파지함으로써 판독 개시 스위치(32)를 ON으로 한다(스텝 SA4). 이에 의해, 제어부(40)는 송신 안테나(371)를 구동하여, IC 태그(26), 완구 식별 IC(27)에 대한 전파를 발하도록 송신 안테나(37)를 제어한다. 또한, 동시에 제어부(40)는 메모리(42)로부터 대기음을 발생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를 판독하고, 발음부(34)를 구동하여 대기음을 발하고(스텝 SA5), 사용자(10)는 스캐너(30)에 의해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 메달 홀더(24)의 완구 식별 정보의 판독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대기음으로서는, 예를 들어, 「큐잉」과 같은 소리를 채용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는 메모리(42)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기음에 대응하여, 발광부(35)가 광을 발하고, 진동부(36)가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10)가, 대기음이 발해진[즉, 판독 개시 스위치(32)가 ON으로 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판독을 개시하지 않는 경우(스텝 SA6)에는, 제어부(40)는 판독 개시 스위치(32)를 OFF로 하여 종료한다(스텝 SA7). 반대로 사용자(10)가 소정 시간 이내에 판독을 개시했을 때에는, 즉 사용자(10)는 소정 시간 이내에 스캐너(30)를 메달 홀더(24)의 안내부(25)를 따라서 이동시키게 된다(스텝 SA8). 제어부(40)는 1매의 메달(21)을 판독할 때마다 메달(21)을 인식한다(스텝 SA9). 즉, 개별 식별 정보, 완구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상태의 스캐너(30)가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판독 위치[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안내부(25)의 상방이며 각 슬롯(241, 242, 243)의 근방의 위치]를 통과하면, 스캐너(30)의 송신 안테나(371)로부터 발해지고 있는 전파에 의해, 메달(21) 내의 IC 태그(26)에 전류가 흘러, IC 태그(26)는 신호를 발한다. IC 태그(26)로부터 발해진 신호는 수신 안테나(372)에 의해 수신된다. 제어부(40)는 당해 수신 안테나(372)가 수신한 신호가 나타내는 개별 식별 정보를 판단한다. 즉,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한다.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했을 때, 제어부(40)는 메모리(42)로부터 메달 인식음의 음성 데이터를 판독하고, 발음부(34)를 구동하여 메달 인식음을 발하는 동시에, 판독한 개별 식별 정보를, 메모리(42)의 일시 기억 영역에 기억한다. 메달 인식음으로서는, 예를 들어 골드 메달을 판독한 경우에는 「킨」, 실버 메달을 판독할 경우에는 「긴」과 같은 소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판독한 개별 식별 정보는 메모리(42)의 일시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으므로, 메달(21)을 2매 판독했을 때에는, 제어부(40)는 판독한 2매의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가 골드 메달을 나타내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골드 메달의 개별 식별 정보가 2매 판독되었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제어부(40)는 2매째의 골드 메달의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했을 때에 발해지는 메달 인식음에 대해, 1매째의 골드 메달의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했을 때에 발해지는 메달 인식음으로부터 반음 올리는 등의 변화를 주어도 좋다. 이때, 제어부(40)는 메모리(42)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캔음에 대응하여, 발광부(35)가 광을 발하고, 진동부(36)가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캐너(30)를 안내부(25)를 따라서 움직이고,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판독 위치를 통과시켜, 슬롯(241, 242, 243)에 삽입되어 있는 모든 메달(211, 212, 213)의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하면, 계속해서 메달 홀더(24)에 설치되어 있는 완구 식별 IC(27)를 판독한다(스텝 SA10). 즉, 스캐너(30)를 안내부(25)를 따라서 이동시킴으로써,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한 후, 스캐너(30)는 완구 식별 IC(27)의 완구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완구 식별 위치에 안내되고, 이때 스캐너(30)의 송신 안테나(371)로부터 발해지고 있는 전파에 의해, 완구 식별 IC(27)에 전류가 흘러, 완구 식별 IC(27)는 신호를 발한다. 완구 식별 IC(27)로부터 발해진 신호는 수신 안테나(372)에 의해 수신된다. 제어부(40)는 당해 수신 안테나(372)가 수신한 신호가 나타내는 완구 식별 정보를 판단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벨트(20)인 것을 판단한다. 이와 같이, 스캐너(30)를 안내부(25)를 따라서 이동시킴으로써,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한 후, 완구 식별 IC(27)의 완구 식별 정보도 자연스러운 조작으로 판독되고, 제어부(40)는 스캐너(30)와 함께 놀고 있는 완구가 벨트(20)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판독한 완구 식별 정보를 메모리(42)의 일시 기억 영역에 기억시킨다.
완구 식별 IC(27)의 완구 식별 정보가 판독되면, 제어부(40)는 메모리(42)로부터,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 및 완구 식별 정보의 판독을 완료한 판독 완료음(스캔 완료음)을 발생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를 판독하고, 발음부(34)를 구동하여 판독 완료음을 발생시킨다(스텝 SA11). 또한, 판독 완료음을 발생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42) 내에 있어서, 완구 식별 IC(27)의 완구 식별 정보마다 복수 기억되어 있고, 제어부(40)는 메모리(42) 내의 일시 기억 영역 내에 기억되어 있는, 바로 근처에서 판독한 완구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이것에 대응하는 판독 완료음을 발생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42)로부터 판독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벨트(20)의 완구 식별 정보에 대응한 판독 완료음의 음성 데이터가 판독되어 있다. 예를 들어, 「즈큔」과 같은 소리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때, 제어부(40)는 메모리(42)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독 완료음에 대응하여, 발광부(35)가 광을 발하고, 진동부(36)가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독 완료음은 완구 식별 정보에 대응한 것이므로, 이것이 벨트(20) 이외의 완구 식별 정보이면, 다른 음성이 출력되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제어부(40)는 메모리(42) 내의 일부 기억 영역에 기억된, 판독한 제1 메달(211), 제2 메달(212), 제3 메달(213)의 개별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각각의 개별 식별 정보가 지정하는 모티프(예를 들어, 매, 호랑이, 메뚜기)를 판단하고, 메모리(42)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모티프에 대응하는 음성(예를 들어, 모티프가 매이면 「매」라고 하는 음성, 호랑이이면 「호랑이」라고 하는 음성, 메뚜기이면 「메뚜기」라고 하는 음성)을 발생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42)로부터 판독하여, 발음부(34)를 구동하여 음성을 발생시킨다. 이상으로, 판독을 완료한다(스텝 SAE).
다음에, 도 7에 기초하여, 판독한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에 기초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프로그램의 설정상, 히어로는 스캐너로 판독한 메달의 내용에 따라서 변신 형태가 변화되고(예를 들어, 헤드부, 흉부, 다리부의 변신 형태가 메달이 지정하는 모티프에 따라서 변화되고), 스캐너로부터는 변신음이 발해진다. 이를 재현하기 위해, 우선 제어부(40)는 메모리(42)의 일시 기억 영역에 기억된 완구 식별 IC(27)의 완구 식별 정보를 참조한다(스텝 SB1).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메모리(42)의 일시 기억 영역에 기억된 완구 식별 정보는 벨트(20)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메달(211, 212, 213)의 개별 식별 정보의 조합」이, 미리 벨트(20)용으로서 메모리(42)에 기억되어 있는 「소정의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의 조합」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B2). 판독한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의 조합이 소정의 조합에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판독된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의 개수가, 소정의 조합을 구성하는 개수에 만족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소정의 조합이 개별 식별 정보 3개분(메달 3매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판독된 개별 식별 정보가 1개 또는 2개(메달 1매분 또는 2매분)밖에 없는 경우]를 포함함}, 제어부(40)는 메모리(42)로부터 통상의 변신음, 예를 들어 「도우인」 등을 발생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를 판독하고, 발음부(34)를 구동하여 음성을 출력시킨다(스텝 SB3).
한편, 스텝 SB2에 있어서 소정의 조합에 일치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제어부(40)는 그 소정의 조합용으로 메모리(42)에 기억되어 있는 특수한 변신음, 예를 들어 메달(211, 212, 213)이 「매」, 「호랑이」, 「메뚜기」인 경우에는, 이니셜을 취하여 「매ㆍ호ㆍ메, 매호메, 매ㆍ호ㆍ메」를 발생하기 위한 데이터를 메모리(42)로부터 판독하고, 발음부(34)를 구동하여 음성을 출력시킨다(스텝 SB4). 이때, 제어부(40)는 메모리(42)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변신음에 대응하여, 발광부(35)가 광을 발하고, 진동부(36)가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달 홀더(24)에 장착하는 메달(211, 212, 213)의 순서는 상관없고, 판독한 개별 식별 정보의 조합이 동일하면, 동일한 조합이라고 판단(즉, 매, 호랑이, 메뚜기라고 하는 순서로 개별 식별 정보가 판독되어 있었다고 해도, 매, 메뚜기, 호랑이라고 하는 순서로 판독되어 있었다고 해도, 이들은 동일한 매, 호랑이, 메뚜기의 개별 식별 정보의 조합이라고 판단)하도록 하면, 사용자가 어린아이로서, 순서를 잘못하여 메달 홀더(24)에 장착되었다고 해도, 특수한 변신음의 출력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사용자(10)가, 통상의 변신음 또는 특수한 변신음의 출력 후, 소정 시간(예를 들어, 3분) 이내에 다시 스캐너(30)로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 완구 식별 IC(27)의 완구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도 있다(스텝 SB5). 만약, 사용자(10)가 소정 시간 이내에 다시 스캐너(30)로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 완구 식별 IC(27)의 완구 식별 정보를 판독한 경우,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1매의 메달을 판독할 때마다 메달을 인식하여(스텝 SB6), 완구 식별 IC(27)를 판독한다(스텝 SB7). 그리고, 제어부(40)는 메모리(42) 내의 일시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던 개별 식별 정보, 완구 식별 정보와, 새롭게 판독하여 일시 기억 영역에 기억된 개별 식별 정보, 완구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B8). 일치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메달(21)을 교환하지 않고 다시 판독을 행한 것으로 되므로, 그것에 따른 판독 완료음을 발생하는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판독하고, 발음부(34)를 구동하여 판독 완료음을 출력시킨다(스텝 SB9). 또한, 제어부(40)는 메달(21)을 교환하지 않고 다시 판독을 행한 것에 따라서, 이번에는 변신음이 아니라, 메모리(42)로부터 필살기음, 예를 들어 「스캐닝 챠지 라이더킥」이라고 하는 음성을 발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를 판독하고, 발음부(34)를 구동하여 음성을 출력시킨다(스텝 SB10). 이상으로, 종료한다(스텝 SB11).
한편, 제어부(40)는 스텝 SB5에서 소정 시간 내에 개별 식별 정보 등의 재판독이 없는 경우에는, 메모리(42)의 일시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개별 식별 정보 등을 소거하여 종료한다(스텝 SB12). 또한, 스텝 SB8에서, 메모리(42) 내의 일시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던 개별 식별 정보, 완구 식별 정보와, 새롭게 판독하여 일시 기억 영역에 기억된 개별 식별 정보, 완구 식별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사용자(10)가 메달(21)을 교환하여, 재차 판독을 행한 것으로 되므로, 새롭게 판독된 개별 식별 정보, 완구 식별 정보로 메모리(42) 내의 일시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던 개별 식별 정보, 완구 식별 정보를 덮어써 갱신하고, 도 6의 스텝 SA11로 돌아가(화살표 A), 새롭게 판독된 완구 식별 정보에 따른 판독 완료음을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벨트(20)에 따르면, 벨트 본체(22)는 스캐너(30)가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메달(211, 212, 213)을 교환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롯(241, 242, 243)을 가지므로, 메달(211, 212, 213)을 교환함으로써 판독하는 개별 식별 정보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또한, 완구 본체(22)에는 스캐너(30)에 의해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할 때에, 스캐너(30)가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판독 위치를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25)를 가지므로, 스캐너(30)에 의해 확실하게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완구 본체(22)에는 당해 완구 본체(22)를 다른 완구 본체와 식별하기 위한 완구 식별 정보가 부여된 완구 식별 IC(27)가 설치되어 있고, 스캐너(30)는 안내부(25)를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확실하게 완구 본체(22)의 식별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판독한 개별 식별 정보와 완구 식별 정보의 조합에 따라서 구동부(43)를 구동하고, 그 벨트(20) 특유의 형태를 채용할 수 있어, 변화가 풍부하고 재미있는 벨트(2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달 홀더(24)는 메달(211, 212, 213)을 교환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롯(241, 242, 243)을 복수 가지므로, 복수의 메달(21)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안내부(25)는 모든 슬롯(241, 242, 243)의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판독 위치에 스캐너(30)를 안내하므로, 모든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를 확실하게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스캐너(30)가 판독한 복수개의 개별 식별 정보가 소정의 조합인 경우에는, 구동부(43)가, 조합에 대응한 특수한 구동 형태를 채용하므로, 사용자 등에게 놀람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43)는 발음부(34), 발광부(35), 진동부(36)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여, 음성, 광, 진동 또는 이들의 조합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등에게 놀람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개별 식별 정보 및 완구 식별 정보를 미소한 IC 태그(26), 완구 식별 IC(27)에 기입하고 있으므로, 메달(21)이나 메달 홀더(24)의 디자인을 바꾸지 않고 IC 태그(26)나 완구 식별 IC(27)를 원하는 위치에 매립할 수 있다. 또한, 스캐너(30)는 메달(21)의 IC 태그(26) 및 벨트 본체(22)의 완구 식별 IC(27)에 비접촉 혹은 접촉하여 정보를 판독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 형태의 완구로서의 무기(50)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벨트(20)와 공통되는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구로서의 무기(50)는 프로그램의 설정상, 히어로가 전투 시에 사용하는 것을 모방한 것으로, 무기 본체(51) 및 메달(21)을 갖는다. 그리고, 무기 본체(51)에 개별 식별 정보가 부여된 피식별 부재인 메달(21)을 장착하여, 판독체인 스캐너(30)에 의해 장착된 메달(21)로부터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형태를 채용한다.
무기 본체(51)는 사용자(10)가 파지하는 자루부(52)와, 자루부(52)에 연속되는 날부(53)를 갖는다. 날부(53)에는 메달(21)을 교환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로서의 슬롯(54)이 설치되어 있고, 슬롯(54)의 선단에는 메달(21)을 수용하는 지지부로서의 수용실(541, 542, 54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용실(541, 542, 543)은 서로 연통되어 있고, 메달(21)은 수용실 사이를 이동 가능하다. 슬롯(54)의 메달 삽입구 근방에는 슬롯(54)에 삽입된 메달(21)의 매수를 카운트하는 마이크로 스위치(55)가 설치되어 있고, 슬롯(54)에 삽입된 메달(21)이 마이크로 스위치(55)를 ON으로 한 횟수에 따라서, 후술하는 구동 제어부는 삽입된 메달(21)의 매수를 파악하고 있다.
날부(53)의 측면에는 수용실(541, 542, 543)을 따라서 안내부(56)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부(56)의 선단 부근에는 제1 실시예에서 나타낸 벨트(20)가 아니라, 무기(50)인 것을 나타내는 완구 식별 정보가 부여된 완구 식별 IC(57)가 설치되어 있다. 완구 식별 IC(57)는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없도록 매립되어 있다.
또한, 무기(50)는 구동 제어부, 구동 제어부와 접속한 메모리, 전지(모두 도시 생략)를 갖고 있고, 또한 구동 제어부는 자루부(52)에 설치된 구동 스위치(59), 스피커 등을 구비하여 음성을 발생하는 발음부(61), LED 등을 구비하여 발광하는 발광부(62) 및 전술한 마이크로 스위치(55)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안내부(56)의 기단부측에는 스캐너(30)를 안내부(56)에 적재했을 때에, 스캐너(30)와 접촉하여 ON으로 되는 물리 스위치(58)가 설치되어 있고, 구동 제어부는 이 물리 스위치(58)와도 접속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는 구동 제어부가 발음부(61), 발광부(62)를 구동하여 음성 출력, 발광을 시키기 위한 음성 데이터, 발광 패턴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고, 또한 전술한 마이크로 스위치(55)가 ON으로 된 횟수[즉, 삽입된 메달(21)의 매수]를 기억하는 카운트 기억 영역을 갖는다. 또한, 메모리는 물리 스위치(58)가 ON으로 된 것을 기억하는 물리 스위치 상태 기억 영역을 갖고 있고, 구동 제어부는 물리 스위치(58)를 눌러 ON으로 되면, 이 물리 스위치 상태 기억 영역에 물리 스위치(58)가 ON으로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시킨다. 단, 구동 제어부는 물리 스위치(58)가 ON으로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시킨 후,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에는 당해 정보를 소거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사용자(10)가 구동 스위치(59)를 누르면, 이것에 따라서, 구동 제어부는 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발음부(62), 발광부(64)를 구동하여 음성 출력, 발광을 행하게 한다. 또한, 음성 데이터, 발광 패턴의 데이터를, 마이크로 스위치(55)가 ON으로 된 횟수[삽입된 메달(21)의 매수]에 따라서 메모리에 복수 기억해 두고, 구동 스위치(59)가 눌렸을 때에, 메모리 내의 카운트 기억 영역을 참조하여, 마이크로 스위치(55)가 ON으로 된 횟수[삽입된 메달(21)의 매수]에 따른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판독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스위치(55)가 ON으로 된 횟수[삽입된 메달(21)의 매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보다 박력이 있는 소리로 하는 것 등이 생각된다. 또한, 상술한 음성 데이터, 발광 패턴의 데이터를, 물리 스위치 상태 기억 영역에 물리 스위치(58)가 ON으로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메모리에 복수 기억시켜 두고, 사용자(10)가 구동 스위치(59)를 누르면, 이것에 따라서, 구동 제어부는 물리 스위치 상태 기억 영역을 참조하여, 물리 스위치 상태 기억 영역에 물리 스위치(58)가 ON으로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른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판독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무기(50)에 있어서 스캐너(30)에 의한 판독 동작이 행해진 것인지 여부에 따라서, 메모리로부터 판독하는 데이터가 변화되므로, 예를 들어 스캐너(30)에 의한 판독 동작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경우[물리 스위치 상태 기억 영역에 물리 스위치(58)가 ON으로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통상의 공격음이 출력되고, 스캐너(30)에 의한 판독 동작이 행해진 후의 경우[물리 스위치 상태 기억 영역에 물리 스위치(58)가 ON으로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필살기를 나타내는, 보다 박력이 있는 필살 공격음을 출력시키는 것 등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때, 통상의 공격음, 필살 공격음에 대해, 각각 마이크로 스위치(55)가 ON으로 된 횟수[삽입된 메달(21)의 매수]에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변화시켜도 좋다.
다음에, 도 9에 기초하여, 무기(50)에 있어서의 사용자(10)에 의한 메달(21)의 판독 동작, 그것에 수반하는 스캐너(30)의 동작, 무기(50)의 동작, 필살기음의 발생에 대해 설명한다.
시작되면(스텝 SCS), 벨트(20)의 메달 보관부(28)에 보관되어 있는 메달(21)을 취출하여, 무기(50)의 슬롯(54)에 순차적으로 삽입한다(스텝 SC1). 삽입한 메달(21)의 매수를, 마이크로 스위치(55)가 카운트한다(스텝 SC2). 보다 상세하게 하면, 마이크로 스위치(55)가 메달(21)의 통과에 의해 ON으로 될 때마다, 마이크로 스위치(55)에 접속되어 있는 구동 제어부가 메모리 내의 카운트 기억 영역을 갱신함으로써, 삽입한 메달(21)의 매수를 카운트하고 있다. 원하는 매수의 메달(21)을 장착하여, 장착이 완료되면(스텝 SC3), 스캐너(30)를 벨트(20)의 스캐너 홀더(23)로부터 취출한다(스텝 SC4).
스캐너(30)의 손잡이(31)에 손을 넣어 파지함으로써 판독 개시 스위치(32)를 ON으로 하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어부(40)는 송신 안테나(371)를 구동하여 IC 태그(26), 완구 식별 IC(57)에 대해 전파를 발하도록 송신 안테나(37)를 제어한다. 또한, 동시에 제어부(40)는 메모리(42)로부터 대기음의 음성 데이터를 판독하고, 발음부(34)를 구동하여 대기음을 발하고, 사용자(10)는 스캐너(30)에 의해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 완구 식별 IC(57)의 완구 식별 정보의 판독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10)가 이 상태에서 스캐너(30)를 안내부(56)를 따라서 이동한다(스텝 SC5). 이때, 스캐너(30)가 물리 스위치(58)에 접촉하여 이것을 ON으로 하고(스텝 SC6), 물리 스위치(58)와 접속된 무기(50)의 구동 제어부는 메모리 내의 물리 스위치 상태 기억 영역에 물리 스위치(58)가 ON으로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시킨다. 그리고, 메달(21)의 IC 태그(26) 및 무기(50)의 완구 식별 IC(57)를 판독한다(스텝 SC7). 즉,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개별 식별 정보, 완구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상태의 스캐너(30)가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판독 위치[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안내부(56)의 상방이며 수용실(541, 542, 543)의 근방의 위치]를 통과하면, 스캐너(30)의 송신 안테나(371)로부터 발해지고 있는 전파에 의해, 메달(21) 내의 IC 태그(26)에 전류가 흘러, IC 태그(26)는 신호를 발한다. IC 태그(26)로부터 발해진 신호는 수신 안테나(372)에 의해 수신된다. 제어부(40)는 당해 수신 안테나(372)가 수신한 신호가 나타내는 개별 식별 정보를 판단한다. 즉,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한다. 또한,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했을 때, 제어부(40)는 메모리(42)로부터 스캔음의 음성 데이터를 판독하고, 발음부(34)를 구동하여 메달 인식음을 발하는 동시에, 판독한 개별 식별 정보를, 메모리(42)의 일시 기억 영역에 기억한다. 그리고,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판독 위치를 통과시켜, 수용실(541, 542, 543)에 삽입되어 있는 모든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한 후, 스캐너(30)는 안내부(56)에 의해 완구 식별 IC(57)의 완구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완구 식별 위치에 안내되고, 이때 스캐너(30)의 송신 안테나(371)로부터 발해지고 있는 전파에 의해, 완구 식별 IC(57)에 전류가 흘러, 완구 식별 IC(57)는 신호를 발한다. 완구 식별 IC(57)로부터 발해진 신호는 수신 안테나(372)에 의해 수신된다. 제어부(40)는 당해 수신 안테나(372)가 수신한 신호가 나타내는 완구 식별 정보를 판단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무기(50)인 것을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40)는 판독한 완구 식별 정보를 메모리(42)의 일시 기억 영역에 기억시킨다.
그 후, 제어부(40)는 메모리(42)의 일시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완구 식별 IC(57)의 완구 식별 정보[즉, 무기(50)인 것을 나타내는 완구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메모리(42)로부터, 무기(50)인 것을 나타내는 완구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판독 완료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판독하고, 발음부(34)를 구동하여 판독 완료음을 발생시킨다(스텝 SC8). 또한, 무기(50)인 것을 나타내는 완구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판독 완료음은 벨트(20)를 나타내는 완구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판독 완료음과는 다른 소리(예를 들어, 보다 저음의 소리 등)이다. 따라서, 판독된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가 동일해도, 그 후에 판독되는 완구 식별 정보가 벨트(20)인지, 무기(50)인지에 따라서, 판독 완료음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메달(21)을 지지부에 의해 완구에 지지시키는 구성으로 하면, 판독 동작 시에 메달(21)을 지지하고 있는 완구에 따라서, 판독 완료음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이후의 스캐너(30)의 동작은,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벨트(20)로 판독 조작을 행한 경우와는, 다른 동작을 한다. 즉, 스캐너(30)는 판독한 완구 식별 정보에 따라서 판독 완료음이 변화될 뿐만 아니라, 판독 완료음 이후의 동작에 대해서도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이제, 판독 완료음 출력 후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40)는, 메모리(42) 내의 일시 기억 영역을 참조하고(스텝 SD1), 기억되어 있는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의 개수를 판단하고(스텝 SD2), 당해 개별 식별 정보의 개수에 따른 필살기음을 발생하는 데이터를 메모리(42)로부터 판독하고, 발음부(34)를 구동하여 필살기음을 출력시킨다(스텝 SD3). 즉, 기억되어 있는 개별 식별 정보가 1개인 경우[즉, 개별 식별 정보가 판독된 메달(21)이 1매인 경우], 「싱글 스캐닝 챠지」라고 하는 음성을 발생하고, 2개인 경우에는 「더블 스캐닝 챠지」, 3개인 경우에는 「트리플 스캐닝 챠지」라고 하는 음성을 발생한다. 이와 같이, 스캐너(30)는 제1 실시예의 벨트(20)로 판독 동작을 한 경우의 동작(각 메달의 모티프에 따른 음성을 출력하고, 그 메달의 조합에 따른 변신음을 출력하는 등)과는 다른 동작을 행한다.
또한, 필살기음을 발생한 후, 사용자(10)가 무기(50)의 구동 스위치(59)가 ON으로 되면(스텝 SD4), 무기(50)의 구동 제어부는 메모리 내의 물리 스위치 상태 기억 영역을 참조하여, 물리 스위치(58)가 ON으로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D5). 만약, 물리 스위치(58)가 ON으로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물리 스위치(58)가 ON으로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것에 따른 데이터(예를 들어, 필살 공격을 연출하기 위한 데이터 등)를 메모리로부터 판독하고, 당해 판독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발음부(61), 발광부(62)를 구동하여 음성 출력, 발광을 행하게 한다(스텝 SD6). 또한, 스텝 SD5에서 물리 스위치(58)가 ON으로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물리 스위치(58)가 ON으로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것에 따른 데이터(예를 들어, 통상의 공격을 연출하기 위한 데이터 등)를 메모리로부터 판독하고, 당해 판독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발음부(61), 발광부(62)를 구동하여 음성 출력, 발광을 행하게 한다(스텝 SD7). 이에 의해, 스캐너(30)가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하기 전[물리 스위치(58)가 눌리기 전], 즉, 스캐너(30)로부터 필살기음이 발생되기 전과, 판독한 후[물리 스위치(58)가 눌린 후], 즉, 스캐너(30)로부터 필살기음이 발생된 후에, 사용자(10)가 구동 스위치(59)를 눌렀을 때에 무기(50)로부터 발생하는 소리 등을 변화시킬 수 있고, 즉, 전자일 때에는 필살 공격음이 아니라 통상의 공격음, 후자일 때에는 필살기를 나타내는 보다 박력이 있는 필살 공격음으로 하는 것 등이다.
또한, 구동 스위치(59)가 사용자(10)에 의해 ON으로 되었을 때, 구동 제어부는 메모리(42)의 물리 스위치 상태 기억 영역과 동시에 카운트 기억 영역을 참조하도록 하여, 메모리(42)로부터 판독하는 데이터를, 또한 카운트 기억 영역에 기억된 마이크로 스위치(55)가 ON으로 된 횟수[삽입된 메달(21)의 매수]에 따른 데이터로 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제어부(40)는, 메모리(42)로부터 물리 스위치 상태 기억 영역에 물리 스위치(58)가 ON으로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것에 따라서, 또한 카운트 기억 영역에 기억된 마이크로 스위치(55)가 ON으로 된 횟수에 따른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게 된다. 카운트 기억 영역에 기억된 마이크로 스위치(55)가 ON으로 된 횟수와, 스캐너(30)의 메모리(42)의 일시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판독된 메달(21)의 개별 식별 정보의 개수와는 일치하는 것이므로, 스캐너(30)로 개별 식별 정보의 개수에 따른 음성(예를 들어, 3개 기억되어 있던 경우의 음성인 「트리플 스캐닝 챠지」)이 출력된 후, 구동 스위치(59)를 사용자(10)가 ON으로 하면 무기(50)로부터 출력되는 필살 공격음도, 삽입된 메달(21)의 매수[예를 들어, 마이크로 스위치(55)가 ON으로 된 횟수가 3회]에 따른 것으로 되므로, 스캐너(30)로 출력되는 음성과, 무기(50)로 출력되는 음성을 모두 메달(21)의 매수에 따른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 형태의 무기(50)에 따르면,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벨트(20)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메달(21)을 교환함으로써 부여되는 개별 식별 정보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어, 변화가 풍부하고 재미있는 무기(5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에 관한 완구는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 변화가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3매의 메달(21)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메달(21)의 매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변신의 조합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RFID 태그를 사용하여 비접촉으로 스캔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접촉식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메달(21)의 IC 태그(26)로서 패시브 타입을 예시하였지만, 메달(21)의 내부에 전지를 내장하는 액티브 타입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20 : 벨트(완구)
21 : 메달(피식별 부재)
22 : 벨트 본체(완구 본체)
24 : 메달 홀더(지지체)
241, 242, 243 : 슬롯(지지부)
25 : 안내부
27, 57 : 완구 식별 IC(완구 식별부)
30 : 스캐너(판독체)
34 : 발음부
35 : 발광부
36 : 진동부
43 : 구동부
50 : 무기(완구)
51 : 무기 본체(완구 본체)
54 : 슬롯(지지체)
541, 542, 543 : 수용실(지지부)
56 : 안내부

Claims (17)

  1. 완구 본체와,
    개별 식별 정보가 부여된 피식별 부재와,
    상기 피식별 부재로부터 상기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체를 갖고,
    상기 완구 본체는 상기 판독체에 의해 판독 가능한, 당해 완구 본체를 다른 완구 본체와 식별하기 위한 완구 식별 정보가 부여된 완구 식별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판독체는 구동부를 갖고, 당해 구동부는, 상기 완구 본체로부터 완구 식별 정보를 판독한 것에 따라 상기 개별 식별 정보 및 상기 완구 식별 정보의 판독이 완료된 것으로 하고, 상기 피식별 부재로부터 판독한 상기 개별 식별 정보와, 상기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한 후에 상기 완구 본체로부터 판독한 상기 완구 식별 정보의 조합에 따라서 구동되고,
    상기 완구 본체는 상기 피식별 부재를 교환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판독체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피식별 부재의 상기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판독 위치를 통과하도록 상기 판독체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판독 위치를 통과한 상기 판독체를, 상기 완구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완구 식별 위치에 안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모든 지지부에 있어서의 상기 피식별 부재의 상기 개별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판독 위치 및 상기 완구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완구 식별 위치에 상기 판독체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판독체가 판독한 상기 개별 식별 정보가 소정의 조합인 경우에는, 조합에 대응한 구동 형태를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발음부, 발광부, 진동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발음부, 발광부, 진동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식별 정보 및 상기 완구 식별 정보가 IC 태그에 기입되어 있고, 상기 판독체가 IC 태그 리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식별 정보 및 상기 완구 식별 정보가 IC 태그에 기입되어 있고, 상기 판독체가 IC 태그 리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식별 정보 및 상기 완구 식별 정보가 IC 태그에 기입되어 있고, 상기 판독체가 IC 태그 리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10057264A 2010-06-29 2011-06-14 완구 KR101278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47809 2010-06-29
JP2010147809A JP4707157B1 (ja) 2010-06-29 2010-06-29 玩具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148A Division KR20130018971A (ko) 2010-06-29 2013-01-30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607A KR20120001607A (ko) 2012-01-04
KR101278439B1 true KR101278439B1 (ko) 2013-06-24

Family

ID=525748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264A KR101278439B1 (ko) 2010-06-29 2011-06-14 완구
KR1020130010148A KR20130018971A (ko) 2010-06-29 2013-01-30 완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148A KR20130018971A (ko) 2010-06-29 2013-01-30 완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4707157B1 (ko)
KR (2) KR101278439B1 (ko)
CN (2) CN102284183B (ko)
HK (2) HK1198248A1 (ko)
TW (2) TWI5423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2953B1 (ja) * 2011-07-05 2012-05-16 株式会社バンダイ 動作玩具及び可動部材
JP2013158610A (ja) * 2012-02-08 2013-08-19 Namco Bandai Games Inc ゲームシステム
JP5122014B1 (ja) * 2012-06-26 2013-01-16 株式会社バンダイ 動作応答玩具および玩具体
JP5444537B1 (ja) * 2012-12-03 2014-03-19 株式会社バンダイ 動作玩具
JP5531149B1 (ja) * 2013-08-23 2014-06-25 株式会社バンダイ 演出出力玩具
JP6061822B2 (ja) * 2013-09-05 2017-01-18 株式会社バンダイ 玩具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050215B2 (ja) * 2013-11-13 2016-12-21 株式会社バンダイ 動作玩具
JP5739570B1 (ja) * 2014-07-04 2015-06-24 株式会社バンダイ 演出出力玩具
JP5744292B1 (ja) * 2014-07-10 2015-07-08 株式会社バンダイ 演出出力玩具
JP5764248B1 (ja) * 2014-12-02 2015-08-19 株式会社バンダイ 演出出力玩具
KR101635314B1 (ko) * 2015-03-19 2016-06-30 최종일 웨어러블 완구
JP6594022B2 (ja) * 2015-04-23 2019-10-23 株式会社バンダイ 演出出力玩具
CN108136267A (zh) * 2015-12-01 2018-06-08 株式会社万代 布制玩偶
JP6145192B1 (ja) * 2016-03-30 2017-06-07 株式会社バンダイ 非接触通信装置及び玩具
JP6279650B2 (ja) * 2016-04-26 2018-02-14 株式会社バンダイ 動作玩具及び可動部材
JP6170207B1 (ja) * 2016-06-03 2017-07-26 株式会社バンダイ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6085055B1 (ja) * 2016-06-08 2017-02-22 株式会社バンダイ 演出出力玩具
JP6304843B2 (ja) * 2016-11-24 2018-04-04 株式会社バンダイ 動作玩具
JP6411444B2 (ja) * 2016-12-22 2018-10-24 株式会社バンダイ 動作応答玩具および玩具体
JP6660916B2 (ja) * 2017-05-31 2020-03-11 株式会社バンダイ 演出出力玩具
JP6688766B2 (ja) * 2017-06-29 2020-04-28 株式会社バンダイ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6890196B2 (ja) * 2017-06-29 2021-06-18 株式会社バンダイ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6718891B2 (ja) * 2018-01-16 2020-07-08 株式会社バンダイ 動作玩具
JP6990145B2 (ja) * 2018-05-01 2022-01-12 株式会社バンダイ ホルダ付玩具
JP7192082B2 (ja) * 2018-05-01 2022-12-19 株式会社バンダイ ホルダ付玩具
JP6599524B2 (ja) * 2018-07-20 2019-10-30 株式会社バンダイ 演出出力玩具
JP6650501B2 (ja) * 2018-09-26 2020-02-19 株式会社バンダイ 動作応答玩具および主玩具体
JP7094998B2 (ja) * 2020-01-20 2022-07-04 株式会社バンダイ 動作応答玩具
JP7109628B2 (ja) * 2020-04-03 2022-07-29 株式会社バンダイ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6983272B2 (ja) * 2020-04-14 2021-12-17 株式会社バンダイ 玩具
JP6929997B1 (ja) * 2020-07-15 2021-09-01 株式会社バンダイ 演出出力玩具
JP7002609B2 (ja) * 2020-07-20 2022-01-20 株式会社バンダイ 玩具
JP7241823B2 (ja) * 2020-07-20 2023-03-17 株式会社バンダイ 動作応答玩具
JP7209395B2 (ja) * 2020-10-06 2023-01-20 株式会社ユピテル 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3183220A (ja) * 2022-06-15 2023-12-27 株式会社バンダイ 演出出力玩具及び玩具別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7337A (ja) 2001-11-21 2003-05-30 Bandai Co Ltd 商品管理システム
JP2008021117A (ja) * 2006-07-12 2008-01-31 Konami Digital Entertainment:Kk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用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8695A (ja) * 1996-02-08 1997-08-19 Oosenteitsuku:Kk 音の出る本
JP3602420B2 (ja) * 2000-08-21 2004-12-15 日立ソフトウエア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部材組み立て支援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2123276A (ja) * 2000-10-17 2002-04-26 Dainippon Printing Co Ltd 収集を目的とするicタグ付物品、icタグおよびタグリーダ
TW592777B (en) * 2001-05-25 2004-06-21 Interlego Ag A toy robot, a system for controlling such a toy robot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such a toy robot
JP4545646B2 (ja) * 2005-06-16 2010-09-15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遊戯玩具
JP2007125251A (ja) * 2005-11-04 2007-05-24 Konami Sports & Life Co Ltd 動き情報処理システム、該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端末装置、及び該端末装置の充電装置
CN101173983A (zh) * 2006-10-31 2008-05-07 佛山市顺德区顺达电脑厂有限公司 控制系统及其方法
TW200902130A (en) * 2007-07-13 2009-01-16 Ensky Technology Co Ltd Life lik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CN101376065B (zh) * 2007-08-31 2010-09-01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交互式玩具系统及其控制方法
JP3142585U (ja) * 2008-04-07 2008-06-19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銃型玩具
TWI367461B (en) * 2008-07-21 2012-07-01 Delta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plural devices interaction
JP5091838B2 (ja) * 2008-11-18 2012-12-05 株式会社アガツマ 知育玩具
JP2010284759A (ja) * 2009-06-12 2010-12-24 Mitsubishi Materials Corp 表面被覆切削工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7337A (ja) 2001-11-21 2003-05-30 Bandai Co Ltd 商品管理システム
JP2008021117A (ja) * 2006-07-12 2008-01-31 Konami Digital Entertainment:Kk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用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64200A1 (en) 2012-09-21
HK1198248A1 (en) 2015-03-20
TW201505696A (zh) 2015-02-16
CN103990272A (zh) 2014-08-20
TWI542394B (zh) 2016-07-21
JP2012010760A (ja) 2012-01-19
TWI459995B (zh) 2014-11-11
JP2012011173A (ja) 2012-01-19
KR20130018971A (ko) 2013-02-25
JP5550541B2 (ja) 2014-07-16
CN102284183A (zh) 2011-12-21
CN103990272B (zh) 2017-04-12
CN102284183B (zh) 2014-05-14
TW201204447A (en) 2012-02-01
KR20120001607A (ko) 2012-01-04
JP4707157B1 (ja)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439B1 (ko) 완구
JP6124839B2 (ja) 読取体
JP4932953B1 (ja) 動作玩具及び可動部材
JP4372784B2 (ja) 魔法の杖および対話型の遊戯体験
WO2008042671A2 (en) Interactive toy system
JP6527926B2 (ja) 読取体
JP6229022B2 (ja) 玩具
JP6650144B2 (ja) 読取体
JP6974511B2 (ja) 玩具
JP7308248B2 (ja) 玩具
KR101658732B1 (ko) 연출 출력 완구
AU2006230693A1 (en) Interactive toy system
JP2023115372A (ja) 玩具
US20110027770A1 (en) Reader devices and related housings and accessories and methods of using same
JP6768042B2 (ja) 演出出力玩具および主玩具体
JP2005034054A (ja) 箱庭玩具
JP6841618B2 (ja)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RU147648U1 (ru) Электронная игрушка воспроизводящая звуковой трек в зависимости от поднесенного к ней игрового элемента
JP6718891B2 (ja) 動作玩具
JP7397908B2 (ja) 動作玩具
JP2020199351A (ja) 演出出力玩具
JP3056397U (ja) 着信報知装置及び外装体
JP2007135820A (ja) 玩具及び遊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