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732B1 - 연출 출력 완구 - Google Patents

연출 출력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732B1
KR101658732B1 KR1020150091873A KR20150091873A KR101658732B1 KR 101658732 B1 KR101658732 B1 KR 101658732B1 KR 1020150091873 A KR1020150091873 A KR 1020150091873A KR 20150091873 A KR20150091873 A KR 20150091873A KR 101658732 B1 KR101658732 B1 KR 101658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oy
sub
operation information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924A (ko
Inventor
야스오 사사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ublication of KR20160004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30Imitations of miscellaneous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lephones, weighing-machines, cash-registers
    • A63H33/3066Watches or clo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Landscapes

  • Toy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흥취성이 높은 연출 출력 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출 출력 완구(1)는, 주 완구체(2)와, 부 완구체(3)와, 식별 정보를 유지하고 부 완구체에 장착 가능한 물품(4)을 구비하고, 부 완구체(3)는, 부 완구체(3)에 장착된 물품(4)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부(30)와, 주 완구체(2)에 출력하는 조작 정보를 기억한 부 완구체 기억부(34)를 갖고, 식별 정보 취득부(30)에 있어서 식별 정보가 취득된 경우에, 부 완구체 기억부(34)에 기억된 제1 조작 정보를 주 완구체(2)에 출력하고, 주 완구체는, 연출 정보를 기억한 주 완구체 기억부(22)를 갖고, 제1 조작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제1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 주 완구체 기억부(22)에 기억된 제1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연출을 출력한다.

Description

연출 출력 완구{PRESENTATION OUTPUTING TOY}
본 발명은 연출을 출력 가능한 연출 출력 완구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연출 출력 완구는, 완구 본체와, 식별 정보를 유지하고, 완구 본체에 설치된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품을 구비한다. 완구 본체는, 물품이 장착부에 장착된 것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장착부에 장착된 물품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를 갖고, 물품이 완구 본체에 장착된 것을 검지한 경우에, 취득부에서 취득한 물품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연출을 출력한다.
일본 특허 제4932953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연출 출력 완구에서는, 물품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완구 본체에 의해 연출이 출력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장에서 보면 완구 본체에 의해 연출이 출력되는 것은 당연히 예측할 수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보다 흥취성이 높은 연출 출력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연출 출력 완구는, 연출을 출력 가능하게 구성된 주 완구체와, 상기 주 완구체에 대해 정보를 송신 가능하게 구성된 부 완구체와, 식별 정보를 유지하고, 상기 부 완구체에 장착 가능한 물품을 구비하고, 상기 부 완구체는, 상기 부 완구체에 장착된 물품의 상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부와, 상기 주 완구체에 출력하는 조작 정보를 기억한 부 완구체 기억부를 갖고,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식별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경우에, 상기 부 완구체 기억부에 기억된 제1 조작 정보를 상기 주 완구체에 출력하고, 상기 주 완구체는, 연출 정보를 기억한 주 완구체 기억부를 갖고, 상기 제1 조작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 상기 주 완구체 기억부에 기억된 제1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연출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연출 출력 완구는, 연출을 출력 가능하게 구성된 주 완구체와, 상기 주 완구체에 대해 정보를 송신 가능하게 구성된 부 완구체와, 식별 정보를 유지하고, 상기 부 완구체에 장착 가능한 물품을 구비하고, 상기 부 완구체는, 상기 부 완구체에 장착된 물품의 상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부와, 상기 주 완구체에 출력하는 조작 정보를 기억한 부 완구체 기억부와, 부 완구체 제어부를 갖고,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식별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경우에, 상기 부 완구체 제어부는 상기 부 완구체 기억부에 기억된 제1 조작 정보를 상기 주 완구체에 출력하고, 상기 주 완구체는, 연출 정보를 기억한 주 완구체 기억부와, 주 완구체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1 조작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주 완구체 제어부는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 상기 주 완구체 기억부에 기억된 제1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연출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연출 출력 완구에 있어서는, 상기 부 완구체 기억부는, 상기 식별 정보마다 설정된 제2 조작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고, 상기 부 완구체는, 상기 부 완구체에 장착된 물품에 이루어지는 소정 조작을 검출하는 제1 검출부를 더 갖고, 상기 소정 조작이 상기 제1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식별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조작 정보를 상기 주 완구체에 출력하고, 상기 주 완구체 기억부는, 상기 제2 조작 정보마다 설정된 제2 연출 정보를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고, 상기 주 완구체는, 상기 제2 조작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진 상기 제2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연출을 출력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연출 출력 완구에 있어서는, 상기 부 완구체 기억부는, 상기 식별 정보마다 설정된 제2 조작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고, 상기 부 완구체는, 상기 부 완구체에 장착된 물품에 이루어지는 소정 조작을 검출하는 제1 검출부를 더 갖고, 상기 소정 조작이 상기 제1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 상기 부완구체 제어부는, 상기 식별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조작 정보를 상기 주 완구체에 출력하고, 상기 주 완구체 기억부는, 상기 제2 조작 정보마다 설정된 제2 연출 정보를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고, 상기 주 완구체에, 상기 제2 조작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주 완구체 제어부는,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진 상기 제2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연출을 출력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연출 출력 완구에 있어서는, 상기 주 완구체 기억부는, 전회 입력된 상기 제2 조작 정보를 기억하고, 또한 상기 제2 조작 정보마다 설정된 제3 연출 정보를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고, 상기 주 완구체는, 상기 제2 조작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제2 조작 정보가, 상기 주 완구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전회 입력된 상기 제2 조작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2 조작 정보가 전회 입력된 상기 제2 조작 정보와 일치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진 상기 제3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연출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조작 정보가 전회 입력된 상기 제2 조작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진 상기 제2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연출을 출력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연출 출력 완구에 있어서는, 상기 주 완구체 기억부는, 전회 입력된 상기 제2 조작 정보를 기억하고, 또한 상기 제2 조작 정보마다 설정된 제3 연출 정보를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고, 상기 주 완구체에, 상기 제2 조작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주 완구체 제어부는, 상기 제2 조작 정보가, 상기 주 완구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전회 입력된 상기 제2 조작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2 조작 정보가 전회 입력된 상기 제2 조작 정보와 일치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진 상기 제3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연출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조작 정보가 전회 입력된 상기 제2 조작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진 상기 제2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연출을 출력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연출 출력 완구에 있어서는, 상기 부 완구체는, 상기 부 완구체에 이루어지는 소정 조작을 검출하는 제2 검출부를 더 갖고, 상기 부 완구체에 이루어지는 소정 조작이 상기 제2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 상기 부 완구체 기억부에 기억된 제3 조작 정보를 상기 주 완구체에 출력하고, 상기 주 완구체 기억부는, 상기 제2 조작 정보마다 설정된 제4 연출 정보를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고, 상기 주 완구체는, 상기 제3 조작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그 후에 입력되는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대해,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진 상기 제4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연출을 출력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연출 출력 완구에 있어서는, 상기 부 완구체는, 상기 부 완구체에 이루어지는 소정 조작을 검출하는 제2 검출부를 더 갖고, 상기 부 완구체에 이루어지는 소정 조작이 상기 제2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 상기 부 완구체 제어부는, 상기 부 완구체 기억부에 기억된 제3 조작 정보를 상기 주 완구체에 출력하고, 상기 주 완구체 기억부는, 상기 제2 조작 정보마다 설정된 제4 연출 정보를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고, 상기 주 완구체에, 상기 제3 조작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주 완구체 제어부는, 그 후에 입력되는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대해,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진 상기 제4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연출을 출력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연출 출력 완구에 있어서는, 복수종의 상기 부 완구체를 구비하고, 동일한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조작 정보가 상기 부 완구체의 종별마다 달라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연출 출력 완구에 있어서는, 복수종의 상기 주 완구체를 구비하고, 동일한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연출 정보가 상기 주 완구체의 종별마다 달라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연출 출력 완구에 있어서는, 상기 주 완구체 및 상기 부 완구체 중 적어도 한쪽은, 사용자에 장착 가능, 또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 가능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흥취성이 높은 연출 출력 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연출 출력 완구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연출 출력 완구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연출 출력 완구의 주 완구체 및 부 완구체의 기능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부 완구체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정보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3의 주 완구체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연출 정보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3의 주 완구체 및 부 완구체의 각각에 있어서의 처리의 플로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3의 주 완구체 및 부 완구체의 각각에 있어서의 처리의 플로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3의 주 완구체 및 부 완구체의 각각에 있어서의 처리의 플로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연출 출력 완구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연출 출력 완구의 사용예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하는 연출 출력 완구(1)는, 주 완구체(2)와, 부 완구체(3)와, 부 완구체(3)에 장착 가능한 물품(4)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 완구체(2)는, 도시의 예에서는, 벨트(5)를 갖고, 사용자의 복부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부 완구체(3)는, 도시의 예에서는, 손목 밴드(6)를 갖고, 사용자의 아암부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물품(4)은 식별 정보를 유지하고 있고, 부 완구체(3)에는, 부 완구체(3)에 장착된 물품(4)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부(30)가 설치되어 있다. 물품(4)에 부여되는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요철에 의한 키 등의 접촉이 있음으로써 판독되는 형태로 유지되어 있어도 되고, 바코드나 도트 코드 등의 광학적으로 판독되는 형태로 유지되어 있어도 되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의 전자파를 사용하여 판독되는 형태로 유지되어 있어도 된다. 부 완구체(3)의 식별 정보 취득부(30)에는, 물품(4)에 있어서의 식별 정보의 유지 형태에 따른 판독 수단이 설치된다.
부 완구체(3) 및 물품(4)은, 물품(4)이 부 완구체(3)에 장착된 상태에서, 물품(4)에 대한 소정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부 완구체(3)에는, 물품(4)에 대한 소정 조작을 검출하는 제1 검출부(31)가 설치되어 있다. 물품(4)에 대한 소정 조작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 완구체(3) 상에서 물품(4)을 기립한 상태로 하고, 또한 물품(4)을 누르는 조작으로 되어 있고, 제1 검출부(31)는, 물품(4)이 조작되면(기립한 상태로 되어, 눌려짐) 물품(4)의 단부에 의해 눌려지는 스위치로 되어 있다.
주 완구체(2)는, 예를 들어 음성이나 빛 등을 사용하여 연출을 출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 완구체(2)에는, 출력하는 연출이 전환되는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가 준비되어 있고, 부 완구체(3)에는, 주 완구체(2)의 동작 모드를 제1 동작 모드로부터 제2 동작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조작이며, 부 완구체에 이루어지는 소정 조작을 검출하는 제2 검출부(32)가 설치되어 있다. 부 완구체(3)에 대한 소정 조작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예에서는, 제2 검출부(32)로서의 스위치에 대한 압박 조작으로 되어 있다.
주 완구체(2)와 부 완구체(3)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도시의 예에서는, 적외선 등을 이용한 무선 통신에 의해 정보를 송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주 완구체(2)와 부 완구체(3) 사이에서의 정보의 교환은,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부 완구체(3)로부터 주 완구체(2)에의 송신만으로 해도 되지만, 주 완구체(2)로부터 부 완구체(3)에의 정보 송신도 가능하게 하고, 즉, 주 완구체(2)와 부 완구체(3)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을 통해 정보를 주고 받음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부 완구체(3)에의 물품(4)의 장착, 부 완구체(3)에 장착된 물품(4)에 대한 소정 조작, 및 부 완구체(3)에 대한 소정 조작에 따라, 부 완구체(3)로부터 주 완구체(2)에 조작 정보가 송신되고, 이 조작 정보를 수신한 주 완구체(2)에 의해, 조작 정보에 따른 연출이 출력된다.
도 3은 주 완구체(2) 및 부 완구체(3)의 기능 블록을 나타낸다.
우선, 부 완구체(3)는, 상기한 식별 정보 취득부(30), 제1 검출부(31), 제2 검출부(32)에 추가하여, 주 완구체(2)에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33)와, 기억부(34)와, 제어부(35)와, 부 완구체(3)의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36)를 구비한다. 또한, 통신부(33)는, 주 완구체(2)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주고 받는 것으로 해도 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기억부(34)는,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이나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기억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어부(35)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통신부(33)를 통해 주 완구체(2)에 출력되는 조작 정보 등을 기억하고 있다.
제어부(35)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기억부(34)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한다. 그리고, 제어부(35)는, 식별 정보 취득부(30)에 의해 부 완구체(3)에 장착된 물품(4)의 식별 정보가 취득된 타이밍, 제1 검출부(31)에 의해 물품(4)에 대한 소정 조작이 검출된 타이밍, 제2 검출부(32)에 의해 부 완구체(3)에 대한 소정 조작이 검출된 타이밍의 각각의 타이밍에 적당한 조작 정보를 기억부(34)로부터 판독하고, 그리고, 판독한 조작 정보를 통신부(33)로부터 출력시킨다.
주 완구체(2)는, 부 완구체(3)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20)와, LED 등의 발광 소자나 스피커 등의 음 발생체를 포함하여 연출을 출력하는 연출 출력부(21)와, 기억부(22)와, 제어부(23)와, 주 완구체(2)의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24)를 구비한다. 또한, 통신부(20)는, 부 완구체(3)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주고 받는 것으로 해도 된다.
기억부(22)는,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이나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기억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어부(23)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연출 출력부(21)에 출력시키는 연출 정보 등을 기억하고 있다.
제어부(23)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기억부(22)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한다. 그리고, 제어부(23)는, 통신부(20)에 입력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연출 정보를 기억부(22)로부터 판독하고, 그리고, 판독한 연출 정보에 기초하여 연출 출력부(21)를 동작시킨다. 또한, 제어부(23)는, 제2 검출부(32)에 의해 부 완구체(3)에 대한 소정 조작[주 완구체(2)의 동작 모드를 제1 동작 모드로부터 제2 동작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조작]이 검출된 타이밍에 부 완구체(3)로부터 송신된 조작 정보를 수신한 경우를 제외하고, 제1 동작 모드로 동작한다.
도 4는 부 완구체(3)의 기억부(34)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다.
부 완구체(3)의 기억부(34)에 기억된 조작 정보는, 제1 조작 정보, 제2 조작 정보, 제3 조작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 조작 정보는, 부 완구체(3)에 물품(4)이 장착되고, 장착된 물품(4)의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취득부(30)에 의해 취득된 경우에, 주 완구체(2)에 송신되는 조작 정보이다. 본 예에서는, 제1 조작 정보는 식별 정보에 상관없이 공통이지만, 식별 정보마다 복수 설정되고, 각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져 있어도 된다.
제2 조작 정보는, 부 완구체(3)에 장착되어 있는 물품(4)에 대한 소정 조작이 제1 검출부(31)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 주 완구체(2)에 송신되는 조작 정보이다. 제2 조작 정보는, 식별 정보마다 복수 설정되어 있고, 각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져 있다.
제3 조작 정보는, 부 완구체(3)에 대한 소정 조작이 제2 검출부(32)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 주 완구체(2)에 송신되는 조작 정보이다. 제3 조작 정보도 또한, 식별 정보에 상관없이 공통이지만, 식별 정보마다 복수 설정되고, 각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져 있어도 된다.
도 5는 주 완구체(2)의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연출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다.
주 완구체(2)의 기억부(22)에 기억된 연출 정보는, 제1 연출 정보, 제2 연출 정보, 제3 연출 정보, 제4 연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 연출 정보는, 제1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진 연출 정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제1 조작 정보가 물품(4)에 부여되는 식별 정보에 상관없이 공통이므로, 제1 연출 정보는 하나이지만, 제1 조작 정보가 식별 정보마다 복수 설정되는 경우에는, 제1 연출 정보도 또한, 제1 조작 정보마다 복수 설정되고, 각 제1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진다.
제2 연출 정보는, 제2 조작 정보마다 복수 설정되고, 각 제2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진 연출 정보이며, 제어부(23)의 동작 모드가 제1 동작 모드일 때에 판독되는 연출 정보이다.
제3 연출 정보도 또한, 제2 조작 정보마다 복수 설정되고, 각 제2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진 연출 정보이며, 제어부(23)의 동작 모드가 제1 동작 모드일 때에 판독되는 연출 정보이다. 단, 동일한 제2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연출 정보와 제3 연출 정보는 서로 다르다.
제4 연출 정보는, 제2 조작 정보마다 복수 설정되고, 각 제2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진 연출 정보이며, 제어부(23)의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일 때에 판독되는 연출 정보이다.
도 6 및 도 7은 주 완구체(2) 및 부 완구체(3)의 각각에 있어서의 처리의 플로우의 일례를 각각 나타낸다.
우선, 사용자에 의해, 주 완구체(2) 및 부 완구체(3)의 각각이 기동되고, 물품(4)이 부 완구체(3)에 장착된다. 물품(4)이 장착된 부 완구체(3)에서는, 식별 정보 취득부(30)에 의해 물품(4)의 식별 정보가 취득된다(스텝 Sb1).
부 완구체(3)의 제어부(35)는, 식별 정보 취득부(30)에 의해 식별 정보가 취득된 것을 검지하고, 기억부(34)로부터 제1 조작 정보를 판독하여, 통신부(33)에 제1 조작 정보를 송신시킨다(스텝 Sb2).
또한, 제어부(35)는, 식별 정보 취득부(30)에 의해 취득된 식별 정보를 인식한다(스텝 Sb3).
상기 스텝 Sb2에서 부 완구체(3)의 통신부(33)로부터 송신된 제1 조작 정보를 통신부(20)에서 수신한 주 완구체(2)의 제어부(23)는, 제1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져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제1 연출 정보를 기억부(22)로부터 판독하고, 제1 연출 정보에 기초하여 연출 출력부(21)를 동작시킨다(스텝 Sa1).
계속해서, 사용자에 의해 물품(4)에 소정 조작이 이루어지고, 부 완구체(3)의 제1 검출부(31)에 의해 물품(4)에 대한 소정 조작이 검출된다(스텝 Sb4).
부 완구체(3)의 제어부(35)는, 제1 검출부(31)에 의해 물품(4)에 대한 소정 조작이 검출된 것을 검지하면, 기억부(34)로부터, 상기 스텝 Sb3에서 인식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조작 정보를 판독하여, 통신부(33)에 제2 조작 정보를 송신시킨다(스텝 Sb5).
상기 스텝 Sb5에서 부 완구체(3)의 통신부(33)로부터 송신된 제2 조작 정보를 통신부(20)에서 수신한 주 완구체(2)의 제어부(23)는, 우선, 금회 수신한 제2 조작 정보와 전회 수신한 제2 조작 정보가 일치하고 있는지, 또는 불일치(전회 수신한 제2 조작 정보가 없는 경우를 포함함)한지를 판정한다(스텝 Sa2). 여기에서는, 주 완구체(2)가 기동 후에 처음으로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한 것으로 하고, 제어부(23)는, 금회 수신한 제2 조작 정보와 전회 수신한 제2 조작 정보는 불일치하다고 판정하는 것으로 한다.
제어부(23)는, 금회 수신한 제2 조작 정보와 전회 수신한 제2 조작 정보가 불일치하다고 판정한 경우에, 금회 수신한 제2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져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제2 연출 정보를 기억부(22)로부터 판독하고, 제2 연출 정보에 기초하여 연출 출력부(21)를 동작시킨다(스텝 Sa3).
그리고, 제어부(23)는, 금회 수신한 제2 조작 정보를 기억부(22)에 기억시킨다(스텝 Sa4).
여기서, 도 6에 나타내는 예는, 상기 스텝 Sb5에서 제2 조작 정보가 통신부(33)로부터 송신된 후, 부 완구체(3)에 장착되어 있던 물품(4)이 부 완구체(3)로부터 제거되고, 다른 식별 정보를 유지한 물품(4)이 부 완구체(3)에 장착되는 것이다. 물품(4)이 장착된 부 완구체(3)에서는, 다시 식별 정보 취득부(30)에 의해 물품(4)의 식별 정보가 취득된다(스텝 Sb6).
부 완구체(3)의 제어부(35)는, 식별 정보 취득부(30)에 의해 식별 정보가 취득된 것을 검지하고, 기억부(34)로부터 제1 조작 정보를 판독하여, 통신부(33)에 제1 조작 정보를 송신시킨다(스텝 Sb7).
또한, 제어부(35)는, 식별 정보 취득부(30)에 의해 취득된 식별 정보를 인식한다(스텝 Sb8).
상기 스텝 Sb7에서 부 완구체(3)의 통신부(33)로부터 송신된 제1 조작 정보를 통신부(20)에서 수신한 주 완구체(2)의 제어부(23)는, 제1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져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제1 연출 정보를 기억부(22)로부터 판독하고, 제1 연출 정보에 기초하여 연출 출력부(21)를 동작시킨다(스텝 Sa5).
계속해서, 사용자에 의해 물품(4)에 소정 조작이 이루어지고, 부 완구체(3)의 제1 검출부(31)에 의해 물품(4)에 대한 소정 조작이 검출된다(스텝 Sb9).
부 완구체(3)의 제어부(35)는, 제1 검출부(31)에 의해 물품(4)에 대한 소정 조작이 검출된 것을 검지하면, 기억부(34)로부터, 상기 스텝 Sb8에서 인식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조작 정보를 판독하여, 통신부(33)에 제2 조작 정보를 송신시킨다(스텝 Sb10).
상기 스텝 Sb10에서 부 완구체(3)의 통신부(33)로부터 송신된 제2 조작 정보를 통신부(20)에서 수신한 주 완구체(2)의 제어부(23)는, 금회 수신한 제2 조작 정보와 전회 수신한 제2 조작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a6). 상기 스텝 Sa4에서 전회 수신한 제2 조작 정보가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지만, 본 예에서는, 상기 스텝 Sb5와 스텝 Sb6 사이에서 물품(4)이 교환되고 있으므로, 금회 수신한 제2 조작 정보와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제2 조작 정보는 서로 다르고, 제어부(35)는 불일치하다고 판정한다.
따라서, 제어부(23)는, 금회 수신한 제2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져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제2 연출 정보를 기억부(22)로부터 판독하고, 제2 연출 정보에 기초하여 연출 출력부(21)를 동작시킨다(스텝 Sa7).
그리고, 제어부(23)는, 금회 수신한 제2 조작 정보를 기억부(22)에 기억시킨다(스텝 Sa8).
한편, 도 7에 나타내는 예는, 도 6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상기 스텝 Sb5에서 제2 조작 정보가 통신부(33)로부터 송신된 후, 부 완구체(3)에 장착되어 있는 물품(4)에 대해 다시 소정 조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부 완구체(3)의 제1 검출부(31)에 의해 물품(4)에 대한 소정 조작이 검출된다(스텝 Sb11).
부 완구체(3)의 제어부(35)는, 제1 검출부(31)에 의해 물품(4)에 대한 소정 조작이 검출된 것을 검지하면, 기억부(34)로부터, 상기 스텝 Sb3에서 인식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조작 정보를 판독하여, 통신부(33)에 제2 조작 정보를 송신시킨다(스텝 Sb12).
상기 스텝 Sb12에서 부 완구체(3)의 통신부(33)로부터 송신된 제2 조작 정보를 통신부(20)에서 수신한 주 완구체(2)의 제어부(23)는, 금회 수신한 제2 조작 정보와 전회 수신한 제2 조작 정보가 일치하고 있는지, 또는 불일치(전회 수신한 제2 조작 정보가 없는 경우를 포함함)한지를 판정한다(스텝 Sa9). 상기 스텝 Sa4에서 전회 수신한 제2 조작 정보가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고, 또한 본 예에서는, 상기 스텝 Sb5와 스텝 Sb11 사이에서 물품(4)이 교환되고 있지 않으므로, 금회 수신한 제2 조작 정보와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제2 조작 정보는 동일하며, 제어부(35)는 일치한다고 판정한다.
제어부(23)는, 금회 수신한 제2 조작 정보와 전회 수신한 제2 조작 정보가 일치한다고 판정한 경우에, 금회 수신한 제2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져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제3 연출 정보를 기억부(22)로부터 판독하고, 제3 연출 정보에 기초하여 연출 출력부(21)를 동작시킨다(스텝 Sa10). 제3 연출 정보는, 동일한 제2 조작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스텝 Sa3에서 판독된 제2 연출 정보와는 다르고, 따라서, 제3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연출도 또한, 상기 스텝 Sa3에서의 제2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연출과는 다르다.
그리고, 제어부(23)는, 금회 수신한 제2 조작 정보를 기억부(22)에 기억시킨다(스텝 Sa11).
도 8은 주 완구체(2) 및 부 완구체(3)의 각각에 있어서의 처리의 플로우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내는 예는, 부 완구체(3)에 장착된 물품(4)에 대한 소정 조작이 이루어지기 전, 즉, 제2 조작 정보가 부 완구체(3)로부터 주 완구체(2)에 송신되기 전의 임의의 타이밍에, 주 완구체(2)의 동작 모드를 제1 동작 모드로부터 제2 동작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부 완구체(3)에 대한 소정 조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우선, 사용자에 의해, 주 완구체(2) 및 부 완구체(3)의 각각이 기동되고, 물품(4)이 부 완구체(3)에 장착된다. 물품(4)이 장착된 부 완구체(3)에서는, 식별 정보 취득부(30)에 의해 물품(4)의 식별 정보가 취득된다(스텝 Sd1).
부 완구체(3)의 제어부(35)는, 식별 정보 취득부(30)에 의해 식별 정보가 취득된 것을 검지하고, 기억부(34)로부터 제1 조작 정보를 판독하여, 통신부(33)에 제1 조작 정보를 송신시킨다(스텝 Sd2).
또한, 제어부(35)는, 식별 정보 취득부(30)에 의해 취득된 식별 정보를 인식한다(스텝 Sd3).
상기 스텝 Sd2에서 부 완구체(3)의 통신부(33)로부터 송신된 제1 조작 정보를 통신부(20)에서 수신한 주 완구체(2)의 제어부(23)는, 제1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져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제1 연출 정보를 기억부(22)로부터 판독하고, 제1 연출 정보에 기초하여 연출 출력부(21)를 동작시킨다(스텝 Sc1).
계속해서, 사용자에 의해 부 완구체(3)에 대한 소정 조작이 이루어지고, 부 완구체(3)의 제2 검출부(32)에 의해 부 완구체(3)에 대한 소정 조작이 검출된다(스텝 Sd4). 또한, 부 완구체(3)에 대한 소정 조작은, 부 완구체(3)의 기동 직후, 즉, 부 완구체(3)에 물품(4)이 장착되기 전이어도 된다.
부 완구체(3)의 제어부(35)는, 제2 검출부(32)에 의해 부 완구체(3)에 대한 소정 조작이 검출된 것을 검지하면, 기억부(34)로부터, 제3 조작 정보를 판독하여, 통신부(33)에 제3 조작 정보를 송신시킨다(스텝 Sd5).
상기 스텝 Sd5에서 부 완구체(3)의 통신부(33)로부터 송신된 제3 조작 정보를 통신부(20)에서 수신한 주 완구체(2)의 제어부(23)는, 동작 모드를 제1 동작 모드로부터 제2 동작 모드로 전환한다(스텝 Sc2).
계속해서, 사용자에 의해 물품(4)에 소정 조작이 이루어지고, 부 완구체(3)의 제1 검출부(31)에 의해 물품(4)에 대한 소정 조작이 검출된다(스텝 Sd6).
부 완구체(3)의 제어부(35)는, 제1 검출부(31)에 의해 물품(4)에 대한 소정 조작이 검출된 것을 검지하면, 기억부(34)로부터, 상기 스텝 Sd3에서 인식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조작 정보를 판독하여, 통신부(33)에 제2 조작 정보를 송신시킨다(스텝 Sd7).
상기 스텝 Sd7에서 부 완구체(3)의 통신부(33)로부터 송신된 제2 조작 정보를 통신부(20)에서 수신한 주 완구체(2)의 제어부(23)는,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인 본 예에 있어서, 금회 수신한 제2 조작 정보와 전회 수신한 제2 조작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일 없이, 금회 수신한 제2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져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제4 연출 정보를 기억부(22)로부터 판독하고, 제4 연출 정보에 기초하여 연출 출력부(21)를 동작시킨다(스텝 Sc3). 제4 연출 정보는, 동일한 제2 조작 정보에 대응하여 도 6에 나타낸 스텝 Sa3에서 판독된 제2 연출 정보와는 다르고, 따라서, 제4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연출도 또한, 도 6에 나타낸 스텝 Sa3에서의 제2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연출과는 다르다.
그리고, 제어부(23)는, 동작 모드를 제2 동작 모드로부터 제1 동작 모드로 전환한다(스텝 Sc4).
이상, 연출 출력 완구(1)에 따르면, 주 완구체(2)와, 부 완구체(3) 및 물품(4)을 각각 다른 위치에 두고 놀[본 실시 형태와 같이, 주 완구체(2)를 벨트(5)에 의해 사용자의 복부에, 부 완구체(3)를 손목 밴드(6)에 의해 아암부에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상의 다른 위치에 장착하여 노는 것도 포함함] 수 있고, 물품(4)에 부여된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부 완구체(3)와는 다른 위치에 놓인 주 완구체(2)로부터 연출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자에게 의외의 놀람을 부여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연출 출력 완구(1)의 흥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부 완구체(3)에 장착된 물품(4)에 대한 소정 조작에 의해 주 완구체(2)로부터 연출이 출력되고, 물품(4)을, 단순한 식별 정보의 유지체로서가 아니라, 부 완구체(3)에 있어서의 조작부로서도 기능시킬 수 있다. 그에 의해, 연출 출력 완구(1)의 흥취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연출 출력 완구(1)에서는, 연출이 주 완구체(2)만으로부터 출력되지만, 주 완구체(2)의 연출에 동기하여 물품(4)으로부터도 연출이 출력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주 완구체(2)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주고 받는[혹은, 적어도 주 완구체(2)로부터 정보를 수신 가능한] 통신부와, 연출 출력부와, 기억부와, 제어부를 물품(4)에 설치하고, 주 완구체(2)에 있어서 연출이 출력될 때에, 주 완구체(2)의 제어부(23)의 제어하에서 주 완구체(2)로부터 물품(4)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물품(4)의 제어부에 대해, 물품(4)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연출 정보 중으로부터 주 완구체(2)에 있어서 출력되는 연출에 대응한 연출 정보를 지시하고, 또한 그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연출의 출력 타이밍을 지시하도록 하면 된다. 물품(4)에 부여된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부 완구체(3)와는 다른 물품(4)으로부터도 연출을 출력함으로써, 연출 출력 완구(1)의 흥취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또는, 연출 출력부와, 물품 연출 정보를 기억한 기억부와, 제어부를 구비한 물품(4) 자체에, 장착 검출부를 더 설치하고, 물품(4)이 부 완구체(3)에 장착된 것에 따라 제1 조작 정보가 부 완구체(3)의 통신부(33)로부터 송신되는 것과 거의 동시에, 물품(4) 자체에서도 부 완구체(3)에 장착된 것을 장착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고, 물품(4)의 제어부는 기억부로부터 물품 연출 정보를 판독하고, 연출 출력부로부터 물품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물품 연출이 출력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물품(4)의 장착에 의해 송신된 제1 조작 정보에 따른 제1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제1 연출과, 물품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물품 연출이 조합된 흥취성이 높은 연출을 출력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는, 물품 연출 정보는, 그에 기초하는 물품 연출을, 제1 조작 정보에 따른 제1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제1 연출이 주 완구체(2)에 있어서 출력되고 있는 출력 시간 동안은, 무연출(예를 들어 무음)로 하는 무연출 기간 T1을 갖고, 무연출 기간 T1 후, 연출이 출력(예를 들어 음성 출력)되는 유연출 기간 T2를 갖는 것으로 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그러면, 예를 들어 물품 연출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 연출 개시 후, 제1 조작 정보에 따른 제1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제1 연출이 주 완구체(2)에 있어서 출력되고 있는 출력 시간 동안은, 물품 연출은 무연출 기간 T1에 해당하므로, 물품으로부터의 연출 출력이 제1 연출과 겹쳐 버리는 일이 없고, 제1 연출 종료 후, 즉, 무연출 기간 T1이 종료 후에 유연출 기간 T2에 들어가고, 연출이 출력되므로, 제1 연출과 물품 연출이 일련의 연출과 같이 연속하여 출력시킬 수 있어[또는, 제1 연출과 물품 연출이 각각 음성이면, 마치 주 완구체(2)와 물품(4)이 「대화」를 하고 있는 것 같은 연출을 출력시킬 수 있어], 흥취성이 높은 연출로 할 수 있다. 혹은, 연출 출력부와, 물품 연출 정보를 기억한 기억부와, 제어부를 구비한 물품(4) 자체에, 조작 검출부를 더 설치하고, 물품(4)에 대해 소정의 조작이 된 것을 부 완구체(3)가 제1 검출부(31)에서 검출하는 것과 거의 동시에, 물품(4) 자체에서도 소정의 조작이 된 것이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고, 물품(4)의 제어부는 기억부로부터 물품 연출 정보를 판독하고, 연출 출력부로부터 물품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물품 연출이 출력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제1 검출부에서의 소정의 조작의 검출에 의해 송신된 제2 조작 정보에 따른 제2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제2 연출과, 물품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물품 연출이 조합된 흥취성이 높은 연출을 출력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는, 물품 연출 정보는, 그에 기초하는 물품 연출을, 상기 제1 검출부에서의 소정의 조작의 검출에 의해 송신된 제2 조작 정보에 따른 제2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제2 연출이 주 완구체(2)에 있어서 출력되고 있는 출력 시간 동안은, 무연출(예를 들어 무음)로 하는 무연출 기간 T1을 갖고, 무연출 기간 T1 후, 연출이 출력(예를 들어 음성 출력)되는 유연출 기간 T2를 갖는 것으로 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그러면, 예를 들어 물품 연출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 연출 개시 후, 상기 제1 검출부에서의 소정의 조작의 검출에 의해 송신된 제2 조작 정보에 따른 제2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제2 연출이 주 완구체(2)에 있어서 출력되고 있는 출력 시간 동안은, 물품 연출은 무연출 기간 T1에 해당하므로, 물품으로부터의 연출 출력이 제2 연출과 겹쳐 버리는 일이 없고, 제2 연출 종료 후, 즉, 무연출 기간 T1이 종료 후에 유연출 기간 T2에 들어가고, 연출이 출력되므로, 제2 연출과 물품 연출이 일련의 연출과 같이 연속하여 출력시킬 수 있어[또는, 제2 연출과 물품 연출이 각각 음성이면, 마치 주 완구체(2)와 물품(4)이 「대화」를 하고 있는 것 같은 연출을 출력시킬 수 있어], 흥취성이 높은 연출로 할 수 있다.
또한, 주 완구체(2)의 연출에 동기하여 부 완구체(3)로부터도 연출이 출력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주 완구체(2)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주고 받는[또는, 적어도 주 완구체(2)로부터의 정보를 수신 가능한] 통신부와, 연출 출력부와, 기억부와, 제어부를 부 완구체(3)에 설치하고, 주 완구체(2)에 있어서 연출이 출력될 때에, 주 완구체(2)의 제어부(23)의 제어하에서 주 완구체(2)로부터 부 완구체(3)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부 완구체(3)의 제어부에 대해, 부 완구체(3)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연출 정보 중에서 주 완구체(2)에 있어서 출력되는 연출에 대응한 연출 정보를 지시하고, 또한 그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연출의 출력 타이밍을 지시하도록 하면 된다. 물품(4)에 부여된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부 완구체(3)로부터도 연출을 출력함으로써, 연출 출력 완구(1)의 흥취성을 더 높일 수 있다. 혹은, 부 완구체(3)를 부 완구체 연출 출력부와, 부 완구체 연출 정보를 기억한 기억부와,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고, 식별 정보 취득부(30)에 의해 물품(4)의 식별 정보가 취득된 것이 검지되고 제1 조작 정보가 부 완구체(3)의 통신부(33)로부터 송신되는 것과 거의 동시에, 부 완구체(3)의 제어부는 기억부로부터 부 완구체 연출 정보를 판독하고, 연출 출력부로부터 부 완구체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부 완구체 연출이 출력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제1 조작 정보에 따른 제1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제1 연출과, 부 완구체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부 완구체 연출이 조합된 흥취성이 높은 연출을 출력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는, 부 완구체 연출 정보는, 그에 기초하는 부 완구체 연출을, 제1 조작 정보에 따른 제1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제1 연출이 주 완구체(2)에 있어서 출력되고 있는 출력 시간 동안은, 무연출(예를 들어 무음)로 하는 무연출 기간 T1을 갖고, 무연출 기간 T1 후, 연출이 출력(예를 들어 음성 출력)되는 유연출 기간 T2를 갖는 것으로 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그러면, 예를 들어 부 완구체 연출 정보에 기초하여 부 완구체 연출을 개시 후, 제1 조작 정보에 따른 제1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제1 연출이 주 완구체(2)에 있어서 출력되고 있는 출력 시간 동안은, 부 완구체 연출은 무연출 기간 T1에 해당하므로, 부 완구체(3)로부터의 연출 출력이 제1 연출과 겹쳐 버리는 일이 없고, 제1 연출 종료 후, 즉, 무연출 기간 T1이 종료 후에 유연출 기간 T2에 들어가고, 연출이 출력되므로, 제1 연출과 부 완구체 연출을 일련의 연출과 같이 연속하여 출력시킬 수 있어[또는, 제1 연출과 부 완구체 연출이 각각 음성이면, 마치 주 완구체(2)와 부 완구체(3)가 「대화」를 하고 있는 것 같은 연출을 출력시킬 수 있어], 흥취성이 높은 연출로 할 수 있다. 혹은, 부 완구체 연출 출력부와, 부 완구체 연출 정보를 기억한 기억부와, 제어부와, 상기한 제1 검출부를 구비한 부 완구체(3)에 있어서, 물품(4)에 대해 소정의 조작이 된 것을 부 완구체(3)가 제1 검출부(31)에서 검출하는 것과 거의 동시에, 부 완구체(3)의 제어부는 기억부로부터 부 완구체 연출 정보를 판독하고, 연출 출력부로부터 부 완구체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부 완구체 연출이 출력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제1 검출부에서의 소정의 조작의 검출에 의해 송신된 제2 조작 정보에 따른 제2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제2 연출과, 부 완구체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부 완구체 연출이 조합된 흥취성이 높은 연출을 출력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는, 부 완구체 연출 정보는, 그에 기초하는 부 완구체 연출을, 상기 제1 검출부에서의 소정의 조작의 검출에 의해 송신된 제2 조작 정보에 따른 제2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제2 연출이 주 완구체(2)에 있어서 출력되고 있는 출력 시간 동안은, 무연출(예를 들어 무음)로 하는 무연출 기간 T1을 갖고, 무연출 기간 T1 후, 연출이 출력(예를 들어 음성 출력)되는 유연출 기간 T2를 갖는 것으로 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그러면, 예를 들어 부 완구체 연출 정보에 기초하여 부 완구체 연출을 개시 후, 상기 제1 검출부에서의 소정의 조작의 검출에 의해 송신된 제2 조작 정보에 따른 제2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제2 연출이 주 완구체(2)에 있어서 출력되고 있는 출력 시간 동안은, 부 완구체 연출은 무연출 기간 T1에 해당하므로, 부 완구체(3)로부터의 연출 출력이 제2 연출과 겹쳐 버리는 일이 없고, 제2 연출 종료 후, 즉, 무연출 기간 T1이 종료 후에 유연출 기간 T2에 들어가고, 연출이 출력되므로, 제2 연출과 부 완구체 연출을 일련의 연출과 같이 연속하여 출력시킬 수 있어[또는, 제2 연출과 부 완구체 연출이 각각 음성이면, 마치 주 완구체(2)와 부 완구체(3)가 「대화」를 하고 있는 것 같은 연출을 출력시킬 수 있어], 흥취성이 높은 연출로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종의 부 완구체(3)의 각각과 주 완구체(2)를 조합해도 되고, 그 경우에, 동일한 물품(4), 즉, 동일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조작 정보를 부 완구체(3)의 종별마다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르면, 주 완구체(2)에 조합하는 부 완구체(3)의 종별에 의해, 동일한 물품(4)을 사용하여 다른 연출이 가능해져, 연출 출력 완구(1)의 흥취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복수종의 주 완구체(2)의 각각과 부 완구체(3)를 조합해도 되고, 그 경우에, 동일한 제2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연출 정보나 제3 연출 정보나 제4 연출 정보를 주 완구체(2)의 종별마다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르면, 부 완구체(3)에 조합하는 주 완구체(2)의 종별에 의해, 동일한 물품(4)을 사용하여 다른 연출이 가능해져, 연출 출력 완구(1)의 흥취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물품(4)의 식별 정보에 상관없이 공통의 제1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연출 정보를 주 완구체(2)의 종별마다 다르게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연출 출력 완구(1)에서는, 제1 조작 정보는 식별 정보에 상관없이 공통이며, 식별 정보마다 복수 설정되고, 각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져 있어도 된다고 하는 것이지만, 각 식별 정보는 복수의 그룹 중 어느 하나에 속하고,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식별 정보에 대해 동일한 제1 조작 정보를 관련지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연출 출력 완구(1)에서는, 제2 조작 정보는, 식별 정보마다 복수 설정되어 있고, 각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져 있지만, 각 식별 정보는 복수의 그룹 중 어느 하나에 속하고,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식별 정보에 대해 동일한 제2 조작 정보를 관련지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연출 출력 완구(1)에서는, 제3 조작 정보도 또한, 식별 정보에 상관없이 공통이며, 식별 정보마다 복수 설정되고, 각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져 있어도 된다고 하는 것이지만, 각 식별 정보는 복수의 그룹 중 어느 하나에 속하고,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식별 정보에 대해 동일한 제3 조작 정보를 관련지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주 완구체(2)와 부 완구체(3) 사이에서의 정보의 교환은, 부 완구체(3)로부터 주 완구체(2)에의 송신만으로 하고 있지만, 반대로, 주 완구체로부터 부 완구체에의 정보 송신만으로 하는 연출 출력 완구도 생각된다. 그 경우, 연출을 출력 가능하게 구성되고, 정보를 송신 가능하게 구성된 주 완구체와, 상기 주 완구체로부터의 정보를 수신 가능하게 구성된 부 완구체와, 식별 정보를 유지하고, 상기 부 완구체에 장착 가능한 물품을 구비하고, 상기 부 완구체는, 상기 부 완구체에 장착된 물품의 상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부와, 상기 주 완구체는, 상기 주 완구체에 이루어지는 소정의 조작을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를 갖고, 상기 주 완구체에 이루어지는 소정 조작이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 조작 정보를 상기 부 완구체에 출력하고, 상기 부 완구체는, 부 완구체 연출 출력부와, 상기 식별 정보마다 설정된 부 완구체 연출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는 부 완구체 기억부를 갖고, 상기 주 완구체로부터 상기 조작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식별 정보 취득부에서 취득된 상기 부 완구체에 장착되어 있는 물품의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상기 부 완구체 기억부에 기억된 부 완구체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연출을 상기 부 완구체 연출 출력부로부터 출력하는 연출 출력 완구로 하면 된다.
1 : 연출 출력 완구
2 : 주 완구체
3 : 부 완구체
4 : 물품
20 : 통신부
21 : 연출 출력부
22 : 기억부
23 : 제어부
30 : 식별 정보 취득부
31 : 제1 검출부
32 : 제2 검출부
33 : 통신부
34 : 기억부
35 : 제어부

Claims (7)

  1. 연출을 출력 가능하게 구성된 주 완구체와,
    상기 주 완구체에 대해 정보를 송신 가능하게 구성된 부 완구체와,
    식별 정보를 유지하고, 상기 부 완구체에 장착 가능한 물품을 구비하고,
    상기 부 완구체는, 상기 부 완구체에 장착된 물품의 상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부와, 상기 주 완구체에 출력하는 조작 정보를 기억한 부 완구체 기억부와, 부 완구체 제어부를 갖고,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식별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경우에, 상기 부 완구체 제어부는 상기 부 완구체 기억부에 기억된 제1 조작 정보를 상기 주 완구체에 출력하고,
    상기 주 완구체는, 연출 정보를 기억한 주 완구체 기억부와, 주 완구체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1 조작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주 완구체 제어부는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 상기 주 완구체 기억부에 기억된 제1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연출을 출력하는, 연출 출력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 완구체 기억부는, 상기 식별 정보마다 설정된 제2 조작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고,
    상기 부 완구체는, 상기 부 완구체에 장착된 물품에 이루어지는 소정 조작을 검출하는 제1 검출부를 더 갖고, 상기 소정 조작이 상기 제1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 상기 부 완구체 제어부는, 상기 식별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조작 정보를 상기 주 완구체에 출력하고,
    상기 주 완구체 기억부는, 상기 제2 조작 정보마다 설정된 제2 연출 정보를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고,
    상기 주 완구체에 상기 제2 조작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주 완구체 제어부는,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진 상기 제2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연출을 출력하는, 연출 출력 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 완구체 기억부는, 전회 입력된 상기 제2 조작 정보를 기억하고, 또한 상기 제2 조작 정보마다 설정된 제3 연출 정보를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고,
    상기 주 완구체에 상기 제2 조작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주 완구체 제어부는, 상기 제2 조작 정보가, 상기 주 완구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전회 입력된 상기 제2 조작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2 조작 정보가 전회 입력된 상기 제2 조작 정보와 일치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진 상기 제3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연출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조작 정보가 전회 입력된 상기 제2 조작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진 상기 제2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연출을 출력하는, 연출 출력 완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 완구체는, 상기 부 완구체에 이루어지는 소정 조작을 검출하는 제2 검출부를 더 갖고, 상기 부 완구체에 이루어지는 소정 조작이 상기 제2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 상기 부 완구체 제어부는, 상기 부 완구체 기억부에 기억된 제3 조작 정보를 상기 주 완구체에 출력하고,
    상기 주 완구체 기억부는, 상기 제2 조작 정보마다 설정된 제4 연출 정보를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고,
    상기 주 완구체에 상기 제3 조작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주 완구체 제어부는, 그 후에 입력되는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대해,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관련지어진 상기 제4 연출 정보에 기초하는 연출을 출력하는, 연출 출력 완구.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종의 상기 부 완구체를 구비하고,
    동일한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조작 정보가 상기 부 완구체의 종별마다 다른, 연출 출력 완구.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종의 상기 주 완구체를 구비하고,
    동일한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연출 정보가 상기 주 완구체의 종별마다 다른, 연출 출력 완구.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완구체 및 상기 부 완구체 중 적어도 한쪽은, 사용자에 장착 가능, 또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 가능한, 연출 출력 완구.
KR1020150091873A 2014-07-04 2015-06-29 연출 출력 완구 KR1016587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38484A JP5739570B1 (ja) 2014-07-04 2014-07-04 演出出力玩具
JPJP-P-2014-138484 2014-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924A KR20160004924A (ko) 2016-01-13
KR101658732B1 true KR101658732B1 (ko) 2016-09-21

Family

ID=53534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873A KR101658732B1 (ko) 2014-07-04 2015-06-29 연출 출력 완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39570B1 (ko)
KR (1) KR101658732B1 (ko)
CN (1) CN104958915B (ko)
HK (1) HK12126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29388B1 (ja) * 2016-07-12 2017-05-17 株式会社バンダイ 演出出力玩具
JP6197092B1 (ja) * 2016-11-29 2017-09-13 株式会社バンダイ 玩具
JP6660916B2 (ja) * 2017-05-31 2020-03-11 株式会社バンダイ 演出出力玩具
JP6462099B1 (ja) * 2017-12-01 2019-01-30 株式会社バンダイ 演出出力玩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2953B1 (ja) 2011-07-05 2012-05-16 株式会社バンダイ 動作玩具及び可動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2398B2 (ja) * 1995-07-20 1999-02-03 大明金属工業株式会社 ガス放散弁
DE19617132A1 (de) * 1996-04-29 1997-10-30 Siemens Ag Interaktives Spielzeug
JP2002301278A (ja) * 2001-04-04 2002-10-15 Namco Ltd 玩具、および、遊戯システム
JP2002360951A (ja) * 2001-06-04 2002-12-17 Staff:Kk ハンドル玩具
CN101745225A (zh) * 2008-12-04 2010-06-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语音播放装置及其语音播放方法
JP4707157B1 (ja) * 2010-06-29 2011-06-22 株式会社バンダイ 玩具
JP4845229B1 (ja) * 2010-10-29 2011-12-28 株式会社バンダイ 情報読取玩具
CN202110559U (zh) * 2010-12-29 2012-01-11 深圳市和乐联动科技有限公司 磁场感应识别电子玩具系统及一种电子玩具、id标签板
CN202277678U (zh) * 2011-09-19 2012-06-20 深圳市迪瑞德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装置的无线遥控玩具系统
KR101289352B1 (ko) * 2012-02-13 2013-07-29 노승기 외국어 학습용 블록 완구
JP5122014B1 (ja) * 2012-06-26 2013-01-16 株式会社バンダイ 動作応答玩具および玩具体
CN102799847B (zh) * 2012-07-04 2015-07-15 清华大学 一种基于物件身份rfid识别的交互式玩具
CN202961885U (zh) * 2012-09-07 2013-06-05 深圳市信利康电子有限公司 基于移动通讯终端语音控制玩具的通讯装置
JP5444537B1 (ja) * 2012-12-03 2014-03-19 株式会社バンダイ 動作玩具
CN203483857U (zh) * 2013-06-13 2014-03-19 昊翔电能运动科技(昆山)有限公司 遥控系统及其飞行器控制系统
CN203540066U (zh) * 2013-08-21 2014-04-16 同科典动(北京)教育科技有限公司 移动式动力输出装置、传动装置和分体式驱动装置
CN104415556B (zh) * 2013-08-21 2017-06-16 同科典动(北京)教育科技有限公司 分体式驱动装置
JP5531149B1 (ja) * 2013-08-23 2014-06-25 株式会社バンダイ 演出出力玩具
CN103566600B (zh) * 2013-11-14 2016-03-02 步步高教育电子有限公司 一种益智玩具及实现益智玩具人机互动功能的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2953B1 (ja) 2011-07-05 2012-05-16 株式会社バンダイ 動作玩具及び可動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39570B1 (ja) 2015-06-24
CN104958915A (zh) 2015-10-07
HK1212646A1 (zh) 2016-06-17
KR20160004924A (ko) 2016-01-13
CN104958915B (zh) 2017-05-10
JP2016015986A (ja) 201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732B1 (ko) 연출 출력 완구
JP5550541B2 (ja) 玩具
TWI263527B (en) Remote control toy system, and controller, model and accessory device to be used in the same
JP6124839B2 (ja) 読取体
JP6768042B2 (ja) 演出出力玩具および主玩具体
JP6594022B2 (ja) 演出出力玩具
JP2020199351A (ja) 演出出力玩具
JP6527926B2 (ja) 読取体
JP6229022B2 (ja) 玩具
JP7308248B2 (ja) 玩具
JP2020072964A (ja) 玩具
MXPA00007077A (es) Proceso para preparar organoaluminosilicatos y su uso en alimentos balanceados para animales.
JP2023115372A (ja) 玩具
TH58148EX (th) เครื่องชงกาแฟ
TH32939EX (th) ของเล่น
TH57534EX (th) ลวดลายบนหม้อหุงข้าว
TH33388EX (th) ของเล่น
TH33096EX (th) ของเล่น
TH33095EX (th) ของเล่น
TH59755EX (th) เครื่องจำหน่ายสินค้า
TH32939S (th) ของเล่น
TH32958EX (th) ของเล่น
TH32947EX (th) ของเล่น
CA104576S (en) Coffee maker
TH55653EX (th) ตุ๊กตาเทพน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