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352B1 - 외국어 학습용 블록 완구 - Google Patents

외국어 학습용 블록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352B1
KR101289352B1 KR1020120014114A KR20120014114A KR101289352B1 KR 101289352 B1 KR101289352 B1 KR 101289352B1 KR 1020120014114 A KR1020120014114 A KR 1020120014114A KR 20120014114 A KR20120014114 A KR 20120014114A KR 101289352 B1 KR101289352 B1 KR 101289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ord
grammar
word card
foreign langu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승기
Original Assignee
노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승기 filed Critical 노승기
Priority to KR1020120014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352B1/ko
Priority to CN201280069452.4A priority patent/CN104106107A/zh
Priority to PCT/KR2012/010878 priority patent/WO2013122315A1/ko
Priority to US14/370,146 priority patent/US2015000457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4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 A63F3/0402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for learning langu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1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by means of pins and h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3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wherein the elements are adapted to be arranged in co-operation with the support to form symbo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3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he elements being connectible by corresponding projections and reces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국어 학습 블록 완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국어 학습 블록 완구로서: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1개 이상의 결합수단을 가지며 단어가 기재된 단어 카드(100)와, 문법 블록(200)을 포함하며 구성되며, 단어 카드(100)의 결합수단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1개 이상의 대응결합수단과 단어 카드(100)를 수용하는 단어 카드 수용부(210)를 가지며, 이 단어 카드 수용부(210)에서 단어 카드(100)의 결합수단과 상기 대응결합수단이 일치하여 맞춰지면서 단어 카드(100)가 문법 블록(200)에 장착되도록 하는 블록 완구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국어 학습용 블록 완구{BLOCK TOY FOR LEARNING A FOREIGN LANGUAGE}
본 발명은 외국어 학습용 교구 혹은 완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세계는 빠른 속도로 확장되고 있다. 글로벌 경제는 하나의 “지구촌”으로 통합되고 있다. 교통과 통신수단과 민주적 제도의 발전은 국가와 국가, 인종과 인종 간의 물리적인 경계를 지웠다. 사람들은 경계를 넘어 자유롭게 만날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은 개인의 우연한 만남이 아니라,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교류이며 시장의 확대를 뜻한다. 소통은 가장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소통은 언어에 의존하므로 외국어 학습이 절실해졌으며, 그중에서도 영어가 특히 중요하게 인식되었다. 이것은 취직뿐만 아니라 사회에서의 성공에까지 두루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간주되기도 했다. 개인은 영어능력을 키우기 위해 수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하여 노력한다. 자연스럽게 영어(외국어를 대표하는 것으로 지칭하며, 이하 같다) 학습을 위한 시장이 형성되고 그 규모는 날로 커지고 있다. 사교육, 통신수단을 통한 어학 교육 서비스, 해외연수, 유학 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국가와 공공단체도 영어교육을 위해 투자를 더욱 확대하고 있다.
영어교육은 언어의 4가지 기능, 즉 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로 구분되어 교육되어 왔다. 외국어와 모국어를 포함한 문자를 이용한 언어는 무릇 위와 같은 4가지 기능을 골고루 달성되어야 한다. 오랫동안 문법을 중시하면서 위와 같은 영어교육이 수행되어 왔으나, 최근들어 문법보다는 실용 회화가 중요하다는 관점으로 문법무용론이 주창되었다. 그 결과 문법교육에 대한 반발이 유행처럼 제기되기도 했다. 하지만 문법은 모국어를 기반으로 하지 않는 사람이 외국어를 공부할 때 반드시 그 기본체계를 익혀야 하는 중요한 학습이라는 점은 완전히 부인되지 않는다. 의사의 단순한 전달은 아이들도 할 수 있지만, 성인이 되어서 하는 의사소통은 표현의 신뢰성과 정확한 이해력과 설득력이 매우 중요하며, 이것은 정확한 문법에 기초하기 때문이다. 특히 신뢰성을 중시하는 비즈니스 세계에서의 활동, 보다 높은 수준의 소통이 요구되는 환경에서는 문법교육의 성과가 매우 중요하게 고려된다.
그런데 누구나 문법을 공부하지만 모두가 다 성과를 내는 것은 아니다. 외국인으로서 영어를 학습하고 교육하는 환경에서는 모국어의 문법과의 차이점 때문에 어려움을 겪기도 하며, 문법 교육 자체가 힘들고 어렵기 때문에 지속성을 갖기 무척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영어문법 교육자들은 재미와 흥미를 돋우기 위해서 노력해왔다. 피교육자의 특성을 이해하고 인지 발달 단계와 언어 학습 원리에 맞게 다양한 학습모델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시도되어 왔다.
그러나 문법교육에 대한 학습모델은 주로 교재나 교수법에 치중된 면이 있었다. 하지만 교재나 교수법에 의존하는 교육은 그 자체로 긍정적인 의미가 있다고 하더라도 학습을 하는 개인이 자기 주도로 몰입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언어는 자연스럽게 인식되고 활용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자기 주도로 외국어 학습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문법을 이해하고 인식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하지만 종래의 문법교육은 어려운 문법 용어와 문법적 지식 그 자체가 자연스러운 문법 체득에 방해가 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만 6~12세 이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문법 교육은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 한 빠르고 큰 성과를 거두기 어렵다. 모국어가 자리 잡히지 않은 상황에서 문법적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어려운 문법용어는 아이들에게 학습에 대한 스트레스를 초래한다. 또한 지나친 지식의 전달은 아이들의 정서 발달에도 도움이 되지 못한다. 관심과 흥미가 생겼으나 지속되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실제 교육환경에서는 문법은 자연스러운 체득보다는 암기 위주로 학습하는 경향을 보여 왔다.
문법교육의 지난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법교육이 재미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놀이의 기능이 추가되어야 하고, 또한 자연스럽게 문법의 맥락이 파악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발명가는 이를 위해서 오랫동안 연구 노력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스럽게 피교육자가 쉽고 익숙하게 외국어 문법을 익힐 수 있는 신규한 문법교육 수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국어에 대한 문법교육에 있어서 놀이와 재미 개념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유아와 어린이들(심지어는 어른들조차)의 전통적이고 가장 효과적인 장난감이자 교재를 들자면 퍼즐과 블록을 들 수 있다. 모국어가 아닌 외국어를 학습하는 사람이 문법을 이해하는 것은 일종의 머릿속 퍼즐과 같은 것이다. 또한 이는 학습자의 머릿속에서 규칙적으로 설계된 블록을 조립하는 것과 같다는 개념에 기초하여 본 발명은 블록과 퍼즐 놀이로서 문법교육을 지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문법을 구성하는 단어의 용법과 단어 배열과 관련된 문법적 맥락의 다양한 언어학적 규칙에 관련한 문법모델을 퍼즐과 블록으로 맞춰지도록 하는 완구모델로 구현함으로써 과학적으로 모델링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문법 교육과 작문 연습을 병행하면서 작문연습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문법적 개념을 동시에 깨우치는 학습모델을 제안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외국어 학습 블록 완구로서: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1개 이상의 결합수단을 가지며 단어가 기재된 단어 카드; 및
상기 단어 카드의 상기 결합수단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1개 이상의 대응결합수단과 상기 단어 카드를 수용하는 단어 카드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단어 카드 수용부에서 상기 결합수단과 상기 대응결합수단이 일치하여 맞춰지면서 상기 단어 카드가 장착되도록 하는 문법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외국어 학습 블록 완구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단어 카드에 기재된 단어의 문법적 특성과 매치되도록 단어마다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외국어 학습 블록 완구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돌출부 또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외국어 학습 블록 완구에 있어서, 상기 문법 블록의 바깥 쪽에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1개 이상의 추가적인 결합수단이 위치하며,
이 추가적인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단어 카드가 장착된 문법 블록들을 서로 연결하여 문장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외국어 학습 블록 완구에 있어서, 상기 문법 블록의 상기 추가적인 결합수단의 기하학적 형태는 돌출부 또는 오목부를 가지며, 다른 문법 블록의 대응하는 기하학적 형태의 오목부와 돌출부를 서로 맞춰 끼움으로써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외국어 학습 블록 완구에 있어서, 단어가 기재된 단어 카드이지만, 상기 문법 블록의 상기 단어 카드 수용부에 끼워지지 않고, 상기 문법 블록의 측면에 형성되는 1개 이상의 추가적인 결합수단에 직접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갖는 블록형 단어 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외국어 학습 블록 완구에 있어서, 상기 단어 카드, 상기 문법 블록 또는 상기 블록형 단어 카드에 결합되지만 단어를 가지고 있지 않은 어댑터 문법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국어 학습 블록 완구로서:
단어가 기재되어 있으며 복수의 돌출부 또는 오목부를 갖는 단어 모델 블록; 및
복수의 오목부 또는 돌출부 형태의 제 1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단어 모델 블록과 요철(凹凸) 결합하며, 제 2 결합수단을 갖는 문법 모델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결합수단은 복수의 돌출부 또는 오목부 형태를 가지며 상기 문법 모델 블록끼리 서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손으로 만지면서 외국어 공부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머리로만 공부하는 것보다 훨씬 뛰어난 학습효과를 거둘 수 있다. 무엇보다 놀이 개념으로 학습을 하기 때문에 지겨워하지 않으며, 단어와 문법 간의 결합관계를 놀이를 통해서(본 발명은 단어모델과 문법모델의 결합관계를 블록으로 제시하였다) 외국어 문법을 자연스럽게 깨우칠 수 있는 교재로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어 모델과 문법 모델의 구분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어 카드(100)와 문법 블록(200)의 결합 관계를 나타냄으로써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어 카드(1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단어 카드(100)에 있어서, 단어 유형에 따른 다양한 돌출부(123)의 형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법블록(2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단어 카드(15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유형의 문법블록(20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문법 블록(300, 300a)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A Chicken Is Eating Something Cooked"라는 문장을 블록들과 카드들을 이용해서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영어 문장은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라는 4가지 구성요소를 가지고 5가지 형태의 기본 문형을 중심으로 설명된다. 이러한 문형은 명사, 관사, 대명사, 형용사, 조동사, 전치사, 부정사, 동명사, 관계대명사, 관계부사 등의 세부적인 문법 요소로 분류되는 품사를 통해서 영어 문장을 분석하고 완성할 수 있도록 학습되고 있다. 컴퓨터 공학 분야에서의 시스템 설계 방법의 관점에서 보자면, 하향식 설계방법(Top-Down method)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전체로서의 구조를 먼저 기획 하고, 다음에 개개의 세부 요소로 설계하는 방식이다. 즉 종래의 영어 문법 교육방식은 학생들의 머릿속에 “영문법”이라는 구조를 새겨 넣는 특성을 택한다. 이와 같은 구조가 학생들의 머릿속에서 인위적으로 주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재미가 없으며 효과적이지도 않다.
본 발명에서는 상향식 설계방법(Bottom-up method)을 지향한다. 본 발명의 상향식 모델에 따르면 “단어”와 “문법”을 이용하여 문장을 구성하기 위해 스스로 시도함으로써 학습자가 자연스럽게 영어 문법을 체득할 수 있도록 한다. 마치 영문법의 구조를 실제로 만지작거리면서 학습하는 것과 같으며 이를 통해서 영문법의 구조가 자연스럽게 인식되고 머릿속에 주입되는 프로세스이다.
기존의 영문법의 교육방식은 각종 교재와 교수법을 통해서 학습자의 머릿속에서 영문법을 익히는 것이지만, 본 발명은 “손으로 하는 사고”에 기초하여 영문법을 익힌다. 전자는 추상적인 사고이며, 후자는 손으로 하는 상향식 모델 학습 디자인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어”와 “문법”이 손에 의해서 결합되며, 이런 결합이 반복됨으로써 문법적인 맥락이 익혀진다. 학습자 스스로 손으로 결합하고 조립하면서 학습자 스스로 연구하는 자기 주도 학습 모델 위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있다.
이러한 개념에 기초하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어모델과 문법모델이 개별화 된다. 도 1은 단어모델과 문법모델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내었다. 단어모델에 있어서, 각각의 단어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할 수 있는 크기의 단어 카드(100)로 만들어진다. 각 단어 카드(100)마다 복수의 결합수단으로 형상화되는 식별자(identifier)들을 갖는다. 이들 식별자들은 해당 단어의 문법 규칙(품사의 구분, 품사적인 특징, 문법적 용례 등을 포함하며, 이들은 언어학에서 이미 정립되어 있는 것을 이용한다)에 따라 고유한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다. "단어 카드"라는 용어는 임의적인 것으로 "단어 모델 블록"이라고 칭해도 좋다.
문법모델은 다수의 문법 블록(200)으로 구성된다. 이들 문법 블록(200)은 정해진 문법 규칙에 따라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문법 블록(200)들의 결합에 따라 문장의 순서가 정해진다. 문법 규칙에 맞지 않으면 문법 블록(200)은 서로 결합되지 않는다. 한편, 단어 카드(100)는 자신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문법블록(200)에 결합된다. 즉 단어카드(100)와 결합된 문법블록(200)끼리 결합함으로써 문법에 맞는 문장을 구성할 수 있고, 일련의 작문이 완성된다. 상기 단어 카드(100)와 마찬가지로 문법 블록(200)의 결합수단도 문법 규칙에 입각하여 각각 고유한 혹은 동일한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블록 완구는 다수의 단어카드(100)의 세트와 다수의 문법블록(200)의 세트로 이루어진다. 1개의 단어마다 1개의 단어카드가 구성된다. 그러므로 외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의 연령, 인식능력, 교육수준에 따라 단어카드의 개수가 적절하게 고려될 것이다. 문법블록(200)은 문장에서 각 품사에 대응하는 문법 규칙에 맞게 구성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학습자의 연령, 인식능력, 교육수준에 따라 그 개수가 적절하게 고려될 것이다.
도 2는 도 1의 개념적 구성을 결합관계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였다. 단어 카드(100)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미리 정해진 결합수단을 갖는다. 문법 블록(200)은 단어 카드(100)와 끼워 맞춰서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갖는다.
결합수단이 구비된 위치와 결합수단의 구체적인 기하학적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단어 카드(100)의 결합수단과 문법 블록(200)의 대응결합수단이 서로 블록처럼 끼워 맞춰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것이다. 단어카드(100)의 결합수단은 이하의 실시예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돌기모양의 돌출부 및/또는 결함홈으로 형상화 될 수 있다. 단어카드(100)는 문법 블록(200)의 단어 카드 수용부(210)에 끼워진다(①번 화살표 참조). 만일 어떤 단어 카드(100)가 문법 블록(200)의 단어 카드 수용부(210)에 끼워지지 않는다면, 그것은 문법규칙에 맞지 않는다는 것이고, 단어카드 세트 중에서 다른 단어카드를 찾게 된다.
또한, 문법 블록(200)은 문법 블록(200)끼리 서로 좌우 측에서 추가적인 결합수단들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②번, ③번 화살표 참조). 문법 블록(200)이 결함됨으로써 문장이 완성되게 된다. 어떤 단어 카드들은 문법 블록(200)의 단어카드 수용부(210)에 끼워지지 않고, 스스로가 블록이 되어서 직접 문법 블록(200)의 좌우측에서 문법 블록(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록형 단어 카드에 대해서는 도 2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이하에서 다시 언급될 것이다. 어쨌든 도 2에 나타난 본 발명의 원리는 예시적인 것이다. 형상과 구조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위와 같은 개념과 원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살펴본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Boy"라는 단어에 대해서 단어모델을 적용한 단어 카드(100)의 형태를 나타낸다. 단어 카드(100)의 표면(110)에는 단어가 표시되는 단어 표시부(113), 품사를 표시하는 품사 표시부(111)를 포함한다. 또한 표면(110)은 색상, 그림 및/또는 텍스트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단어 카드(100)의 배면에도 색상, 그림 및/또는 텍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단어 카드(100)의 좌우측에는 문법 블록에 결합하기 위한 요철(凹凸) 형태의 결합수단(121, 122, 123, 125, 126, 127)이 돌출부(protrusion)와 오목부(concavity)로 구분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들 결합수단들은 단어마다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단어의 문법적 특성이 같다면 상이한 단어라도 상기 결합수단은 서로 동일한 기하학적 형태를 가질 것이다. 반대로 단어의 문법적 특성이 다르다면, 결합수단의 어느 하나 이상은 상이한 기하학적 형태를 가질 것이다. 그러므로 결합수단은 단어의 문법적 특성과 매치된다.
돌출부(121)는 해당 단어가 어떤 품사로 분류되는지 나타내는 단어 모델 종류를 표시한다. 품사에 따라서 돌출부(121)는 상이하게 혹은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명사를 뜻한다. 돌출부(122)는 명사에 있어서 "a"와 "the"가 앞에 붙을 수 있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예컨대 단어가 복수형이어서 "a"가 붙을 수 없다면 돌출부(122)는 다른 형태를 갖게 된다.
돌출부(123)는 단어의 유형을 나타낸다. 예컨대 명사라고 하더라도 사람인지 동물인지 사물인지에 따라서 문법적인 취급이 달라지게 된다. 관계대명사가 명사 뒤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특히 그러하다. 그러므로 단어 유형에 따라서 돌출부(123)의 형태가 달라진다. 도 4는 단어 유형에 따른 다양한 돌출부(123)의 형태를 예시한다. 도 4(a)는 단어가 사람 유형인 경우, 도 4(b)는 단어가 동물 유형인 경우, 도 4(c)는 단어가 사물 유형에 해당하는 경우, 도 4(d)는 단어가 "무엇"에 관련된 경우, 도 4(e)는 단어가 시간을 나타내는 경우, 도 4(f)는 단어가 장소 유형에 해당하는 경우, 도 4(g)는 단어가 이유 유형에 해당하는 경우, 도 4(f)는 단어가 방법 유형에 해당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돌출부(123)들은 문법 블록의 대응하는 오목부에 끼워 맞춰지도록 된다. 그러나 돌출부(123)의 구성은 다양한 단어 모델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하게 이루어짐을 유념해야 한다. 문법상의 규칙은 각 단어의 품사와 유형에 따라서 각각 다르게 취급되기 때문이다.
이제 도 3의 오목부(125, 126, 127)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자. 이들 오목부(125, 126, 127)는 명사 뒤에 위치하는 각종 동사들(예컨대 is, does, has, was, did, had 등)이나 혹은 관계대명사(예컨대 who, whom, that)들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동사들과 관계대명사들은 대응하는 돌출부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Boy"라는 단어가 갖는 문법상에서 취급되는 주요 속성들을 단어 카드(100)에서 돌출부(121, 122, 123)와 오목부(125, 126, 127)의 형태로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완구를 여러 번 반복적으로 사용하다보면 각 단어들의 돌출부와 오목부의 형태에 익숙해지고, 이로써 각 단어들의 속성을 자연스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상기 "Boy"라는 단어가 표시된 단어 카드(100)가 결합되는 문법 블록(200)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문법 블록(200)의 표면에는 단어 카드(100)가 위치하는 단어카드 수용부(210)가 마련될 수 있다. 단어카드 수용부(210)의 좌우에는 오목부(221, 222, 223)와 돌출부(225, 226, 227)가 존재할 수 있다. 문법 블록(200)의 오목부(221, 222, 223)는 단어 카드의 돌출부(121, 122, 123)에 결합될 수 있고, 문법 블록(200)의 돌출부(225, 226, 227)는 단어 카드(100)의 오목부(125, 126, 127)에 결합될 수 있다면, 비로소 단어 카드(100)와 문법 블록(200)이 한 쌍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각 단어의 속성이 돌출부와 오목부의 기하학적 형태에 의해 반영되는 단어 카드(100)가 문법 블록(200)과 한 쌍을 이룸으로써, 해당 단어의 문법이 블록놀이를 통해서 손 안에서 정해진다. 이렇게 여러 단어 카드들이 문법 블록(200)에 결합된 다음에, 이제는 문법 블록(200)을 이용해서 횡으로 결합해 가면 각 단어가 문장에서 어느 위치에 놓이는지 여부가 자연스럽게 파악될 수 있다.
문법 블록(200)의 좌측의 돌출부(241, 242, 243)와 우측의 오목부(251, 252)는 다른 문법 블록(혹은 단어 카드)과의 결합을 위해 설치되며, 문법 블록들이 모두 결합됨으로써 문장을 완성할 수 있다.
돌출부(241, 242, 243)의 기능은 도 3에서 살펴본 것에 대응한다. 돌출부(241)는 문법 블록의 모델 종류를 나타낸다. 예컨대 문장에서 주어부인지, 서술어부인지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5의 문법 블록은 문법 구조에 있어서 명사 "Boy"가 위치하는 곳이며, 주어부를 나타낸다. 그리고 오목부(251, 252)는 "Boy"의 뒤에 오는 단어들의 속성을 나타낸다. 주로 동사의 속성이 될 수 있다.
도 5의 문법 블록(200)은 단어 카드(100)와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지거나 혹은 상이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플라스틱, 종이, 나무, 금속 등이 그러하다. 또한 문법 블록(200)은 단어 카드(100)와 비슷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단어 카드(100)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단어 카드(100)는 1개의 단어를 표상하지만, 1개의 문법 블록(200)에는 다수의 단어 카드(100)가 결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장착하고 분리하는 작업을 고려해 볼 때 문법 블록(200)은 단어 카드(100)보다 재질적으로나 형상적으로나 더 튼튼한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의 단어 카드(100)와 문법 블록(200)은 상기한 도면들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다양하게 고안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유형의 블록형 단어 카드(150)를 나타낸다. 블록형 단어 카드(150)도 단어 카드로서 단어표시부(154)와 품사 표시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단어가 단어표시부(154)에 기재된다는 점에서 단어 카드이지만, 문법 블록(200)과 직접 결합된다는 점에서 블록으로서의 성격을 갖기도 한다. 주로 동사에 해당하는 단어들이 이러한 블록형 단어 카드(150)의 형태가 될 수 있다.
"Is"라는 단어의 블록형 단어 카드(150)도 전술한 바와 같은 결합수단들을 갖는다. 좌측에는 돌출부(151, 152)가 우측에는 오목부(155, 156, 157)가 구비된다. 돌출부(151, 152)는 해당 단어의 품사종류와 유형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오목부(155, 156, 157)는 문법 규칙상 해당 단어 이후에 나오는 단어에 대한 문법 블록(혹은 블록형 단어 카드)과의 결합수단으로 기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외국어 블록 완구에 있어서, 다른 유형의 문법 블록(201)을 예시한다. 영어문법 규칙상 주어부에 대한 문법규칙과 서술어부에 대한 문법규칙은 상당히 다른 특성을 갖게 되며, 후자가 전자보다 복잡하고 변형이 많다. 도 7의 문법 블록(201)은 서술어부에 해당하는 문법 블록(201)이며, 기본적인 기능에 있어서는 도 5의 문법 블록(200)과 큰 차이는 없다. 문법 블록(201)의 좌측의 돌출부(241a, 242a, 243a)는 좌측에 오는 다른 블록(혹은 카드) 요소의 우측 오목부와 결합할 것이다. 단어카드 수용 영역(210a)에는 그 양쪽에 설치된 오목부(221a, 222a, 223a)와 돌출부(225a, 226a, 227a)에 대응하는 결합수단을 갖는 단어 카드가 위치하게 될 것이다.
도 7의 문법 블록(201)의 우측의 결합수단들, 즉 우측에 오는 문법 블록(혹은 카드) 요소의 돌출부와 결합하게 될 오목부(250a)의 구성은 보다 다양한 특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어떤 명사에 대한 단어 카드가 상기 단어카드 수용부(210a)에 위치한다고 가정하자. 그때 그 뒤에 오는 단어는 과거분사, 현재분사, To 부정사, 관계대명사, 전치사일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블록(카드) 요소가 상기 오목부(250a)에 문법 규칙에 맞게 잘 결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문법 블록(201)의 우측에는 다수의, 다양한 기하학적 형태의 오목부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 7의 실시예에서는 5개의 오목부를 가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들 각각의 기능에 대해서는 특히 도면 우측에 나타내었다. 251a는 과거분사(done, not done)와의 결합을, 252a는 현재분사(doing, not doing)와의 결합을, 253a는 To 부정사(to do, not to do)와의 결합을, 254a는 관계대명사(who, whom, that)와의 결합을, 255a는 전치사(of, in, on……)와의 결합을 위한 오목부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어 카드(100), 문법 블록(200), 블록형 단어 카드(150) 이외에 또 다른 유형의 구성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도 8은 그런 유형의 구성요소로서 어댑터 문법 블록(300, 300a)을 예시한다. 어댑터 문법 블록(300, 300a)은 상기한 블록(혹은 카드) 요소와는 달리 단어를 가지고 있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어댑터 문법 블록(300, 300a)은 상기한 블록(혹은 카드) 요소를 서로 연결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영문법은 1형식, 2형식, 3형식, 4형식, 5형식이라는 다섯가지 문장 형식론에 입각해 있다. 특히 어댑터 문법 블록(300, 300a)은 이러한 문장 형식에 맞게 동사들을 지원해 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그 중 몇 가지의 예를 나타낸다. 도 8의 어댑터 문법 블록(300, 300a)의 좌측의 수용부(310, 310a)를 통해서 동사들의 블록형 단어 카드와 결합할 수 있다. 좌측의 돌출부(320, 320a)는 블록형 단어 카드(150)의 우측의 오목부와 결합할 수 있다.
도 8(a)의 어댑터 문법 블록(300)은 문장의 맨 끝에 위치하는 블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그런 경우에 우측에는 결합수단이 구비되지 않는다. 도 8(b)의 어댑터 문법 블록(300a)은 문장 중간에 위치하여 문장 요소들의 연결 수단으로 기능하게 되며, 따라서 우측에 다양한 형태의 오목부(340)가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 오목부(340)에 상기 문법 블록(200)이 연결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서 각 단어들이 문장을 구성할 수 있다:
1. 단어가 적힌 단어 카드(100)를 문법 블록(200)에 끼워 맞춤;
2. 문법 블록(200)과 문법 블록(200)을 서로 좌우에서 연결할 수 있음;
3. 블록형 단어 카드(150)의 경우 좌측은 문법 블록(200)에 연결할 수 있으며, 우측은 어댑터 문법 블록(300, 300a)에 연결할 수 있음;
4. 블록형 단어 카드(150)의 경우 다른 블록형 단어 카드(150)와 좌우에서 연결할 수 있음;
5. 어댑터 문법 블록(300, 300a)을 블록형 단어 카드(150) 또는 문법 블록(200)에 연결할 수 있음;
6. 주어진 구성요소들을 좌우로 서로 결합하면서 작문을 하게 됨.
이런 방법에 의해 각 요소들을 사용자가 손으로 결합함으로써 문장의 순서가 정해지고 작문이 완성된다. 결합수단들은 모두 문법 규칙에 입각하여 그 형상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만일 단어들의 순서가 문법 규칙에 어긋나면 결합되지 않는다. 블록놀이 하듯이 끼워 맞추면서 사용자는 문법 규칙을 익힐 수 있으며 문법 규칙에 맞는 작문이 가능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학습용 블록 완구를 이용하여 "A Chicken Is Eating Something Cooked"라는 문장을 작문한 것을 나타내었다. "A"에 해당하는 영역(1)은 "A"가 적힌 단어 카드를 문법 블록에 결합해서 구성했으며, 이런 문법 블록을 "Chicken"에 해당하는 영역(2)과 결합했다. 이 영역(2)도 "Chicken"이 적힌 단어 카드를 문법 블록에 끼워 맞춘 문법 블록이다. 영역(1)과 영역(2)를 결합함으로써 "A Chicken"이라는 문장 요소가 생성되었다.
다음으로 "Is"에 해당하는 영역(3)은 "Is"라는 단어가 적힌 블록형 단어 카드이며, 이것을 영역(2)의 우측에 결합했다. 그리고 "Eating"에 해당하는 영역(4)을 영역(3)과 결합했다. 문법적으로 맞기 때문에 각각의 돌출부와 오목부 간의 결합에 문제가 없게 된다. 영역(4)도 블록형 단어 카드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A Chicken Is Eating"이라는 문장 요소가 생성되었다.
다음으로 문장 형식에 맞게 동사(Eating)를 지원하기 위한 요소인 영역(5)은 어댑터 문법 블록 영역이다. 이 어댑터 문법 블록의 좌측을 "Eating" 영역(4)의 우측에 결합한 다음에, "Something"에 해당하는 영역(6)의 좌측 돌출부를 상기 어댑터 문법 블록의 우측 오목부에 끼워맞췄다. 영역(6)은 "Something"이 적힌 단어 카드를 문법 블록에 결합해서 구성한 것이다. 다시 영역(6)의 문법 블록 우측에 "Cooked"라는 단어가 적힌 블록형 단어 카드의 좌측 돌출부를 결합하고(영역 7), 마지막으로 종결형 어댑터 문법 블록 영역(8)을 결합함으로써 "A Chicken Is Eating Something Cooked"라는 영어 문장이 완성되었다.
영문법에 대한 규칙은 이미 정립되어 있다. 하지만 문법규칙도 많을 뿐 아니라, 수많은 단어들까지 모두 고려하면 그 규칙의 내용과 용례는 매우 복잡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새로운 문법 규칙을 제안하는 것은 아니며 정립된 문법 규칙을 이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문법규칙의 복잡성과 그로부터 유래되는 문법 교육의 어려움을 위와 같이 단어 모델과 문법 모델로 분리하여 모델링을 하였다. 또한 모델링에 있어서 학습자가 블록 맞춤 놀이를 할 수 있도록 블록으로 형상화 하였다. 단어들의 각종 특성과 문형, 어순 등의 문법 규칙은 각 블록(또는 카드)들의 결합수단의 기하학적 형태로 형상화했다. 따라서 블록(또는 카드)들의 결합수단의 기하학적 형태가 다르면 다른 문법 규칙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형상화된 결합수단들은 블록완구처럼 돌출부와 오목부의 형태를 갖도록 했다. 단어가 많이 사용되면 될수록 각기 다양한 돌출부와 오목부의 기하학적 모양이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더 많은 단어 카드와 더 많은 문법 블록들이 사용될 것이다. 이론적으로는 사용되는 단어 카드와 문법 블록의 개수가 매우 많을 것이지만, 역으로 단어의 개수가 적으면 단어 카드와 문법 블록은 훨씬 단순화될 수 있게 된다. 즉 이는 학습자의 연령, 인식능력, 교육수준을 고려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어린이들에게는 적은 개수의 단어 카드 세트와 문법 블록 세트를 이용해서 자기 주도로 영작문과 영문법 학습을 할 수 있다.
반대로 연령이 보다 높은 학생이나 성인들에는 단어 개수를 늘리고, 문형도 보다 복잡한 것까지 포괄하며, 관계대명사나 접속사, 다양한 전치사 등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단어 카드 세트와 문법 블록 세트의 개수가 많아지게 되며, 또한 그 종류도 상기 실시예에서 예시한 것보다 더 다양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도면과 상기 실시예에서 언급한 결합수단들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결합수단들의 요철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서의 결합수단들은 좌측 혹은 우측에서 요철 형상을 하고 있어서 좌우로만 배치되지만, 통상 문장이 그렇게 좌우로 나열되기 때문에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결합수단들은 본 발명의 블록 완구 구성요소의 상하로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블록 완구 구성요소의 좌우상하 모두 결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돌출부나 오목부들은 색채 표시에 의해 대체될 수도 있다. 대표적으로 품사 분류에 관한 것이 그러하다. 하지만 모든 결합수단들이 색채 표시로 대체될 수 없다. 왜냐하면 본 발명은 블록완구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어 카드나 문법 블록 등에 다양한 색채, 기호, 그림 등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어 카드나 블록들의 크기와 두께는 학습자의 손을 이용해서 맞출 수 있는 크기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다. 1mm 미만의 슬림한 형태의 단어 카드나 블록도 좋지만 이 경우 돌출부의 파손 우려가 높기 때문에 강도가 좋은 재료가 바람직하다. 이보다 더 두꺼운 형태의 단어 카드나 블록의 경우에는 돌출부의 파손 우려가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블록 완구 세트의 부피가 증가하게 된다. 유아나 어린이일수록 단어의 개수가 적기 때문에 보다 두꺼운 형태의 단어카드와 블록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학습자의 연령이 높다면 단어의 개수가 많아지므로 보다 슬림한 형태의 단어카드와 블록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어 카드에 전자 장치가 내장될 수 있다. 전자장치는 배터리, 음성출력수단, 음성을 저장한 메모리,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단어 카드에 적힌 단어에 대한 발음이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단어 카드가 상기한 블록 요소와 결합되어 문장이 완성되는 경우에 문장을 읽는 발음이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들은 주로 외국어로서 <영어>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일관되고 논리적인 설명을 위한 것이었다. <영어>뿐만 아니라 문법 규칙이 정립되어 있는 다양한 외국어가 여기에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영어에 의해서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는 없다.
한편,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13)

  1. 외국어 학습 블록 완구로서: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1개 이상의 결합수단을 가지며 단어가 기재된 단어 카드; 및
    상기 단어 카드의 상기 결합수단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1개 이상의 대응결합수단과 상기 단어 카드를 수용하는 단어 카드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단어 카드 수용부에서 상기 결합수단과 상기 대응결합수단이 일치하여 맞춰지면서 상기 단어 카드가 장착되도록 하는 문법 블록;을 포함하는 외국어 학습 블록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단어 카드에 기재된 단어의 문법적 특성과 매치되도록 단어마다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인, 외국어 학습 블록 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돌출부 또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것인, 외국어 학습 블록 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또는 상기 오목부는 상기 단어 카드의 사이드에 형성되는 것인, 외국어 학습 블록 완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법 블록의 바깥 쪽에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1개 이상의 추가적인 결합수단이 위치하며,
    이 추가적인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단어 카드가 장착된 문법 블록들을 서로 연결하여 문장을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블록 완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문법 블록의 상기 추가적인 결합수단의 기하학적 형태는 돌출부 또는 오목부를 가지며, 다른 문법 블록의 대응하는 기하학적 형태의 오목부와 돌출부를 서로 맞춰 끼움으로써 연결하는 것인, 외국어 학습 블록 완구.
  7. 제1항에 있어서,
    단어가 기재된 단어 카드이지만, 상기 문법 블록의 상기 단어 카드 수용부에 끼워지지 않고, 상기 문법 블록의 측면에 형성되는 1개 이상의 추가적인 결합수단에 직접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갖는 블록형 단어 카드를 더 포함하는, 외국어 학습 블록 완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카드, 상기 문법 블록 또는 상기 블록형 단어 카드에 결합되지만 단어를 가지고 있지 않은 어댑터 문법 블록을 더 포함하는, 외국어 학습 블록 완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는 영어인, 외국어 학습 블록 완구.
  10. 외국어 학습 블록 완구로서:
    단어가 기재되어 있으며 복수의 돌출부 또는 오목부를 갖는 단어 모델 블록; 및
    복수의 오목부 또는 돌출부 형태의 제 1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단어 모델 블록과 요철(凹凸) 결합하며, 제 2 결합수단을 갖는 문법 모델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결합수단은 복수의 돌출부 또는 오목부 형태를 가지며 상기 문법 모델 블록끼리 서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인, 외국어 학습 블록 완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어 카드는 누름스위치와, 상기 누름스위치의 제어에 따라 음성이 출력되는 음성출력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블록 완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누름스위치를 누르면 단어 카드에 적힌 단어에 대한 발음이 음성으로 출력되고, 단어 카드가 상기 블록 요소와 결합되어 문장이 완성되는 경우에 문장을 읽는 발음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블록 완구.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어카드의 표면에는 단어와 관련된 이미지, 색상 또는 텍스트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블록 완구.
KR1020120014114A 2012-02-13 2012-02-13 외국어 학습용 블록 완구 KR101289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114A KR101289352B1 (ko) 2012-02-13 2012-02-13 외국어 학습용 블록 완구
CN201280069452.4A CN104106107A (zh) 2012-02-13 2012-12-14 用于学习外语的积木玩具
PCT/KR2012/010878 WO2013122315A1 (ko) 2012-02-13 2012-12-14 외국어 학습용 블록 완구
US14/370,146 US20150004570A1 (en) 2012-02-13 2012-12-14 Block toy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114A KR101289352B1 (ko) 2012-02-13 2012-02-13 외국어 학습용 블록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9352B1 true KR101289352B1 (ko) 2013-07-29

Family

ID=48984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114A KR101289352B1 (ko) 2012-02-13 2012-02-13 외국어 학습용 블록 완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004570A1 (ko)
KR (1) KR101289352B1 (ko)
CN (1) CN104106107A (ko)
WO (1) WO201312231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739A (ko) 2014-06-25 2016-01-05 정원찬 학습용 디지털 조립완구 시스템
KR101748655B1 (ko) 2014-10-15 2017-06-20 벨베디어 주식회사 언어 교육 교구, 언어 교육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142619A (ko) * 2016-06-20 2017-12-28 김지영 영어 학습용 교구
KR102497935B1 (ko) * 2021-09-24 2023-02-09 차이나는마마톡(주) 중국어 문법 학습 교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9570B1 (ja) * 2014-07-04 2015-06-24 株式会社バンダイ 演出出力玩具
US10561881B2 (en) * 2015-03-23 2020-02-18 Tau Orthopedics, Inc. Dynamic proprioception
TWI579029B (zh) * 2015-08-28 2017-04-21 金冠碩 積木玩具
WO2017119920A1 (en) * 2016-01-08 2017-07-13 Grimes Brad Building block system and method of use membranes
IT201600078443A1 (it) * 2016-07-26 2018-01-26 Univ Degli Studi Di Trento Dispositivo didattico per l'apprendimento o l'esercizio nell'uso di strutture linguistiche
DE102017010113B3 (de) 2017-11-02 2019-03-28 Veronika Caspers Sprachlehrmittel zur Darstellung einer Sprache in unterschiedlichen Zeitformen
CN109979249A (zh) * 2019-03-07 2019-07-05 大连大学 一种用于学习造句的插接玩具
CN114430694A (zh) * 2019-09-17 2022-05-03 蒙蒂儿童股份有限公司 具有标准化组件并符合教育方法、安全要求的互动玩具和儿童积木
DE202020104961U1 (de) 2020-08-27 2020-10-08 David Fujisawa Sprachlehrmitte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3465A (en) 1997-10-23 1998-11-10 Jarzewiak; Michael George Alpha-blox
KR100602591B1 (ko) 2004-12-24 2006-07-25 김관석 블록완구
KR100602590B1 (ko) 2004-12-21 2006-07-25 김관석 블록완구
KR101058347B1 (ko) 2009-07-08 2011-08-22 최읍제 문장 학습용 블록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7140A (en) * 1967-02-23 1969-11-11 Mattel Inc Sound reproducing means and linking sound carrier means toy combination
US3728800A (en) * 1971-09-15 1973-04-24 D Magram Educational apparatus
US4044476A (en) * 1973-09-05 1977-08-30 Marsh Jeanette B Educational methods and devices
CA1193434A (en) * 1982-07-23 1985-09-17 Laurence Lecapelain Language teaching kit
US4478582A (en) * 1982-09-30 1984-10-23 Tucker Ruth L Language syntax educational system
US4613309A (en) * 1985-09-19 1986-09-23 Mccloskey Emily A Figures of speech
US4822283A (en) * 1988-02-08 1989-04-18 Roberts Lois M Semantic mapping device for teaching language skills
US5013245A (en) * 1988-04-29 1991-05-07 Benedict Morgan D Information shapes
US5487670A (en) * 1989-10-20 1996-01-30 Leonhardt; Helga F. Dynamic language training system
US5554062A (en) * 1995-05-24 1996-09-10 Goldsen; Esther Building word blocks
US5816886A (en) * 1997-02-06 1998-10-06 Mattel, Inc. Sentence forming toy vehicle track set
US6685477B1 (en) * 2000-09-28 2004-02-03 Eta/Cuisenaire, A Division Of A. Daigger &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teaching and learning reading
US20090081624A1 (en) * 2006-03-17 2009-03-26 Afaya Technology Corporation Interactive learning appliance
US20090092952A1 (en) * 2007-10-09 2009-04-09 Irene Schlanger Apparatus for Touch-Sensitive Visual and Audible Identification
KR101001704B1 (ko) * 2008-07-08 2010-12-16 석금호 한글표시블럭
US20110165541A1 (en) * 2010-01-02 2011-07-07 Yong Liu Reviewing a word in the playback of audio data
US8296981B1 (en) * 2010-06-25 2012-10-30 Gardinier Jerry D Modular display system
CN102522028A (zh) * 2011-12-23 2012-06-27 北京世纪奕阳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拼插组合拼音积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3465A (en) 1997-10-23 1998-11-10 Jarzewiak; Michael George Alpha-blox
KR100602590B1 (ko) 2004-12-21 2006-07-25 김관석 블록완구
KR100602591B1 (ko) 2004-12-24 2006-07-25 김관석 블록완구
KR101058347B1 (ko) 2009-07-08 2011-08-22 최읍제 문장 학습용 블록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739A (ko) 2014-06-25 2016-01-05 정원찬 학습용 디지털 조립완구 시스템
KR101748655B1 (ko) 2014-10-15 2017-06-20 벨베디어 주식회사 언어 교육 교구, 언어 교육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142619A (ko) * 2016-06-20 2017-12-28 김지영 영어 학습용 교구
KR102052240B1 (ko) * 2016-06-20 2019-12-04 김지영 영어 학습용 교구
KR102497935B1 (ko) * 2021-09-24 2023-02-09 차이나는마마톡(주) 중국어 문법 학습 교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06107A (zh) 2014-10-15
WO2013122315A1 (ko) 2013-08-22
US20150004570A1 (en) 2015-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352B1 (ko) 외국어 학습용 블록 완구
Purgina et al. WordBricks: Mobile technology and visual grammar formalism for gamification of natural language grammar acquisition
Dijkstra et al. Reading Comprehension Quiz Generation using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s.
Holme Cognitive linguistics and language teaching
Krashen Principles and practice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Ellison et al. Using digital sandbox gaming to improve creativity within boys’ writing
Swinney et al. Connecting Content and Academic Language for English Learners and Struggling Students, Grades 2 6
Durant Designing groupwork activities: A case study
Amin Gamification of Duolingo in Rising Student’S English Language Learning Motivation
Yang et al. The effects of a role-play-based micro-game strategy on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ing motivation
Kelley et al. Design fixation
Ševečková Creativity in foreign language teaching
KR20210065427A (ko) 영어교육을 위한 블록
Ediger Studying grammar in the technological age
US20190122573A1 (en) Educational toy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s
Hughes Developing academic register in CLIL: UK-based Spanish L2 students’ Latin America Political Economy writing in the UK
Mukarromah An Error Analysis on The Use of Simple Present Tense in The Students’ Descriptive Text Among The Eight Graders of SMP N 1 Metro Kibang.
Fadlilah STUDENTS’GRAMMATICAL COLLOCATION ERRORS AND ITS’IMPLICATION IN TEACHING WRITING
Mackenzie Primary educators’ knowledge of grammatical concepts as mandated in the Australian curriculum (English): Comparison of pre and in-service teachers
KR101344837B1 (ko) 외국어 학습 방법, 학습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robowati et al. Model Development of Children's Language Skills Based on Digital Literacy
Rizaldi et al. EXPLORING EFL LEARNERS’GRAMMATICAL ERROR IN PARAGRAPH WRITING
KR20210035974A (ko) 영어 학습용 교육완구
Yang et al. Digital game-playing to enhance English vocabulary and content learning among anxious foreign language students
Montana-Hoyos et al. Designing an Educational Toy for Japanese Language Learning: Exploring Multidisciplinary and Cross-Cultural Research in Design and Linguis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