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347B1 - 문장 학습용 블록 - Google Patents

문장 학습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347B1
KR101058347B1 KR1020090062016A KR20090062016A KR101058347B1 KR 101058347 B1 KR101058347 B1 KR 101058347B1 KR 1020090062016 A KR1020090062016 A KR 1020090062016A KR 20090062016 A KR20090062016 A KR 20090062016A KR 101058347 B1 KR101058347 B1 KR 101058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entence
verb
learning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549A (ko
Inventor
최읍제
최요한
Original Assignee
최읍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읍제 filed Critical 최읍제
Priority to KR1020090062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347B1/ko
Publication of KR20110004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3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he elements being connectible by corresponding projections and reces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장 학습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글자나 단어가 표시되고 내측면에는 서로 다른 형상의 끼움 홈과 하나 이상의 접지센서가 형성되는 주어 블록과 목적어 블록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주어블록과 목적어 블록의 사이에는 상면에 글자나 단어가 표시되고, 양측면에는 상기 끼움 홈과 대응하는 형상의 끼움 돌기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접지센서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사접지센서가 각각 형성되는 동사 블록을 끼움 장착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의 모양이 끼워지는 데로 끼우기만 하면 하나의 완성된 문장이 될 뿐만 아니라 효과음과 동시에 그 문장을 내장스피커를 통해 소리를 발생시켜 듣기와 말하기 연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문장 학습용 블록, 주어 블록, 목적어 블록, 동사 블록, 글자나 단어, 끼움 홈, 접지센서, 동사 블록, 글자나 단어, 끼움 돌기, 보충블록, 내장스피커, 발광다이오드.

Description

문장 학습용 블록{A block for sentence education}
본 발명은 문장 학습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의 모양이 끼워지는 데로 끼우기만 하면 하나의 완성된 문장이 될 뿐만 아니라 효과음과 동시에 그 문장을 내장스피커를 통해 소리를 발생시켜 듣기와 말하기 연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문장 학습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록완구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으나, 대부분이 블록이 일면 또는 양면에 문자가 인쇄된, 자음과 모음의 형상을 갖는 블록을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문자, 단어 또는 문장의 배열이 완성되도록 하는 것이지만, 어린 아이들의 경우 정확한 문장 어순이나 문법, 의미를 모르기 때문에 기존의 블록완구 등을 가지고서는 아이들 스스로 올바른 단어 또는 문장학습을 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블록완구는 단어 전체를 선택한 후 학습단위에 자석이나 부직포를 이용해서 부착하는 방식이 많아 학습과정에서 단어의 정확한 조합을 모르는 아이들이 스스로 단어 또는 문장의 배열을 습득해 나갈 수는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블록의 모양이 끼워지는 데로 끼우기만 하면 하나의 완성된 문장이 될 뿐만 아니라 효과음과 동시에 그 문장을 내장스피커를 통해 소리를 발생시켜 듣기와 말하기 연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주어부와 목적어부의 블록에 부착되어 있는 누름 버튼을 누르면 내부에 외측방향으로 보충블록이 돌출되어 주어부와 목적어부의 쓰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구성하여 누구나 간단하게 손쉽게 문장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습용 블록에 있어서 상면에 글자나 단어가 표시되고 내측면에는 서로 다른 형상의 끼움 홈과 하나 이상의 접지센서가 형성되는 주어 블록과 목적어 블록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주어블록과 목적어 블록의 사이에는 상면에 글자나 단어가 표시되고, 양측면에는 상기 끼움 홈과 대응하는 형상의 끼움 돌기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접지센서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사접지센서가 각각 형성되는 동사 블록을 끼움 장착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의 모양이 끼워지는 데로 끼우기만 하면 하나의 완성된 문장이 될 뿐만 아니라 효과음과 동시에 그 문장을 내장스피커를 통해 소리를 발생시켜 듣기와 말하기 연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어부와 목적어부의 블록에 부착되어 있는 누름 버튼을 누르면 내부에 외측방향으로 보충블록이 돌출되어 주어부와 목적어부의 쓰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구성하여 누구나 간단하게 손쉽게 문장을 이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문장이 길어진 블록도 내장스피커를 통해서 완성된 문장의 소리를 발생시켜 듣기와 말하기 연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장 학습용 블록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장 학습용 블록을 나타낸 조립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장 학습용 블록을 구성하는 주어 블록과 목적어 블록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장 학습용 블록을 구성하는 동사 블록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제어흐름도이다.
본 발명인 문장 학습용 블록(10)은 상면에 글자나 단어가 표시되고 전방에 위치하는 주어 블록(20)과, 상면에 글자나 단어가 표시되고 후방에 위치하는 목적 어 블록(30)과, 상면에 글자나 단어가 표시되고 상기 주어 블록(20)과 목적어 블록(30)의 사이에 끼움 장착되는 동사 블록(40)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문장 학습용 블록(10)은 주어 블록(20), 동사 블록(40), 목적어 블록(30)을 블록의 모양 되로 끼우기만 하면 하나의 문장을 만들어지는 블록인것이다.
이때, 상기 문장 학습용 블록(10)은 동사 블록(40)의 상면에 위치한 발광다이오드를 통해 육안으로 올바른 문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블록(20, 30, 40)에 장착되는 내장스피커를 이용해서 올바른 문장을 들을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어 블록(20), 동사 블록(40), 목적어 블록(30)은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상기 주어 블록(20), 목적어 블록(30), 동사 블록(40)이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문장의 전방에 위치하는 주어 블록(20)은 상면에 글자나 단어(21)가 표시되고 내측면에는 끼움 홈(22)과 하나 이상의 접지센서(2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 홈(22)은 화살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지센서(23)는 끼움 홈(22)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끼움 홈(22)의 하단 부분에 형성되는 결합버튼(24)은 평상시에는 돌출형성되었다가 상기 동사 블록(40)의 끼움 돌기의 결합시 함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주어 블록(20)의 내부에는 상기 동사 블록(40)에 장착되는 내장 스피커(45)와 함께 문장의 소리를 발생시키는 내장스피커(25)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장스피커(25)는 동사 블록(40)의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전달받거나 자체적으로 이를 제어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별도의 제어부(26)가 더 장착된다.
문장의 후방에 위치하는 목적어 블록(30)은 상면에 글자나 단어(31)가 표시되고 내측면에는 끼움 홈(32)과 하나 이상의 접지센서(3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 홈(32)은 상기 주어 블록(20)의 끼움 홈(22)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문장의 올바른 완성과 문장의 습득이 용이하도록 상기 끼움 홈(22)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끼움 홈(32)은 화살촉 형상의 모서리 부분을 수평되게 형성하여 형성되고 상기 접지센서(33)는 끼움 홈(32)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끼움 홈(32)의 하단 부분에 형성되는 결합버튼(34)은 평상시에는 돌출형성되었다가 상기 동사 블록(40)의 끼움 돌기의 결합시 함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목적어 블록(30)의 내부에는 상기 동사 블록(40)에 장착되는 내장스피커와 함께 문장의 소리를 발생시키는 내장스피커(35)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장스피커(35)는 동사 블록(40)의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전달받거나 자체적으로 이를 제어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별도의 제어부(36)가 더 장착된다.
상기 주어 블록(20)과 목적어 블록(30)의 사이에 끼움 장착되는 동사 블록(40)은 상면에 글자나 단어(41)가 표시되고, 양측면에는 상기 끼움 홈(22, 32)과 대응하는 형상의 끼움 돌기(42)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접지센서(23, 33)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사접지센서(43)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동사 블록(40)의 상면에는 두 개의 발광다이오드(47)가 장착되는데 상기 발광다이오드(47)는 상기 주어블록(20)과 목적어 블록(30)의 결합시 내부에 장착되는 제어부(46)의 작동에 따라 올바른 문장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발광다이오드(47)는 상기 블록(20, 30, 40)이 올바르게 결합된 경우에는 초록빛을 발광하고 반면, 상기 블록(20, 30, 40)이 올바르게 결합되지 않으면 빨간빛으로 발광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동사 블록(40)은 전면 또는 배면 또는 전, 후면에 내장스피커(45)를 장착하여 문장의 완성시 완성된 문장의 소리를 발생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시된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주어 블록(20)과 목적어 블록(30)의 내부에 상기 글자나 단어(21, 31)를 보충설명하는 문장(51)이 상면에 표시되는 보충블록(50)을 장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보충블록(50)은 주어 블록(20)과 목적어 블록(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주어 블록(20)과 목적어 블록(30)에 대한 설명이나 의문점이 생길 때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보충블록(50)을 통해 주어 블록(20)과 목적어 블록(30)에 표시된 글자나 단어(21, 31)를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보충블록(50)은 주어 블록(20)과 목적어 블록(30)의 전면이나 후면 또는 전, 후면에 장착되는 누름 버튼(27, 37)의 작동시 외측을 향해 돌출형성되되되, 상기 보충블록(50)의 돌출구조는 통상의 탄발구조나 끼움 결합구조 중 택일하여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문장 학습용 블록(10)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장 학습용 블록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상면에 글자나 단어(21, 31)가 표시되고, 내측면에는 서로 다른 형상의 끼움 홈(22, 32)과 하나 이상의 접지센서(23, 33)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 홈(22, 32)의 하단에는 결합버튼(24, 34)이 형성되는 주어 블록(20)과 목적어 블록(30)을 각각 형성한다.
이때, 상기 주어 블록(20)과 목적어 블록(30)의 내부에는 상기 글자나 단어(21, 31)를 보충설명하는 문장(51)이 상면에 표시되는 보충블록(50)을 장착하되, 상기 보충블록(50)은 주어 블록(20)과 목적어 블록(30)의 전면에 장착되는 누름 버튼(27, 37)의 작동시 외측을 향해 수평 돌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글자나 단어(41)가 표시되는 상면의 양측으로 두 개의 발광다이오드(47)가 장착되고, 양측면에는 상기 끼움 홈(22, 32)과 대응하는 형상의 끼움 돌기(42)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접지센서(23, 33)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사접지센서(43)가 각각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에는 내장스피커(45)가 구성되는 동사 블록(40)을 형성하면 문장 학습용 블록(10)의 준비는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문장 학습용 블록(10)을 학습자가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상기 주어 블록(20)과 목적어 블록(30)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주어 블록(20)과 목적어 블록(30)의 끼움 홈(22, 32)에 동사 블록(40)의 끼움 돌기(42)를 삽입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주어 블록(20)과 동사 블록(40) 및 목적어 블록(30)의 문장이 올바르면 상기 동사 블록(40)의 상면에 위치한 발광다이오드(47)는 초록빛을 발광하게 되고 더불어 내장스피커(45)에서는 제어부(46)의 작동에 의해 딩동 소리와 함께 상기 주어 블록(20)과 동사 블록(40) 및 목적어 블록(30)에 의해 완성된 문장을 소리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주어 블록(20)과 동사 블록(40) 및 목적어 블록(30)의 문장이 올바르지 않으면 상기 동사 블록(40)의 상면에 위치한 발광다이오드(47)는 빨간빛을 발광하게 되고 내장스피커(45)에서는 제어부(46)의 작동에 의해 삐 소리가 연속해서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주어 블록(20)과 동사 블록(40) 및 목적어 블록(30)으로 이루어진 This man + is + my cousin은 서로 끼워졌을 때 문법적으로 옳은 문장이기 때문에 발광다이오드(47)가 초록빛을 깜박이면서 음성으로 “딩동~”이라는 소리가 난 후 완성된 문장이 내장스피커(45)를 통해서 소리로 나오게 되는 것이다.(도시된 도 5)
반면, 상기 주어 블록(20)과 동사 블록(40) 및 목적어 블록(30)으로 이루어 진 문장이 They 와 is 또는, is와 my cousins는 서로 끼워지더라도 비문법적이기 때문에 부적합을 알리는 발광다이오드(47)가 빨간빛을 깜박이면서 “삐~”라는 소리가 내장스피커(45)를 통해서 소리로 나오게 되는 것이다. (도시된 도 5)
따라서, 학습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47)의 색깔과 내장스피커(45)를 통한 소리로써 어법에 맞은 문장과 그렇지 않은 문장을 구별할 수 있고, 반복을 통해서 문법적으로 옳은 문장을 익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도 6은 상기 문장 학습용 블록(10)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도 5와 같이 상기 주어 블록(20)과 동사 블록(40) 및 목적어 블록(30)으로 완성된 This man is my cousin 이라는 문장의 블록이 서로 끼워지고 양쪽의 발광다이오드(47)에 초록빛이 발광함으로써 하나의 완성된 문장이 완성된 상태를 이용한 것이다.
즉, 대부분의 영어학습자들은 영어문장이 길어지면서 수식관계가 복잡해지면 해석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호소한다.
이때, This man 이라고 적힌 주어 블록(20)의 몸체에 붙어 있는 누름버튼(27)을 누르면 오른쪽 방향으로 man을 설명하는 “whom we met last week"이라는 보충 블록(50)이 튀어나오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my cousin 이라고 적힌 목적어 블록(30)의 누름버튼(37)을 누르면, 오른쪽으로 cousin에 대한 설명부인 “teaches English at our school" 이라는 보충 블록(50)이 튀어나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학습자는 각각 man, cousin 이라는 명사 뒤에 설명부가 이어진다는 것을 손쉽게 익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블록(20, 30, 40, 50)이 연결되어 완전한 문장이 되면 동사 블록(40)에 내장되어 있는 내장스피커(45)를 통해서 해당 문장이 소리로 나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주어 블록(20)과 목적어 블록(30)의 누름버튼(27, 37)을 누르면 문장이 길어져도 길어진 완성된 문장 또한 상기 내장스피커(45)를 통해서 소리로 나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학습자는 내장스피커로 나오는 소리를 따라 읽음으로써 듣기와 말하기의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문장 학습용 블록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영어 뿐만 아니라 한글, 중국어, 일어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장 학습용 블록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장 학습용 블록을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장 학습용 블록을 구성하는 주어 블록과 목적어 블록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장 학습용 블록을 구성하는 동사 블록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제어흐름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장 학습용 블록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문장 학습용 블록, 20 : 주어 블록,
30 : 목적어 블록, 21, 31 : 글자나 단어,
22, 32 : 끼움 홈, 23, 33 : 접지센서,
40 : 동사 블록, 41 : 글자나 단어,
42 : 끼움 돌기, 43 : 동사접지센서,
50 : 보충블록.

Claims (7)

  1. 학습용 블록에 있어서,
    상면에 글자나 단어(21, 31)가 표시되고 내측면에는 서로 다른 형상의 끼움 홈(22, 32)과 하나 이상의 접지센서(23, 33)가 형성되는 주어 블록(20)과 목적어 블록(30)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주어블록(20)과 목적어 블록(30)의 사이에는 상면에 글자나 단어(41)가 표시되고, 양측면에는 상기 끼움 홈(22, 32)과 대응하는 형상의 끼움 돌기(42)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접지센서(23, 33)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사접지센서(43)가 각각 형성되는 동사 블록(40)을 끼움 장착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학습용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사 블록(40)은 상면으로 적어도 두 개의 발광다이오드(47)를 장착하여, 상기 주어블록(20)과 목적어 블록(30)의 결합시 내부에 장착되는 제어부(46)의 작동에 따라 올바른 문장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학습용 블록.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사 블록(40)은 전면이나 배면 또는 전, 후면에 내장스피커(45)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학습용 블록.
  4. 제 1항 있어서,
    상기 주어 블록(20)과 목적어 블록(30)의 내부로 글자나 단어(21, 31)를 보충설명하는 문장(51)이 상면에 표시되는 보충블록(50)을 장착하되, 상기 보충블록(50)은 주어 블록(20)과 목적어 블록(30)의 전면이나 후면 또는 전, 후면에 장착되는 누름 버튼(27, 37)의 작동시 외측을 향해 수평 돌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학습용 블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어 블록(20)과 목적어 블록(30)의 내부로 내장스피커(25, 35)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학습용 블록.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어 블록(20), 목적어 블록(30), 동사 블록(40)은 다른 색상으로 형성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학습용 블록.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어 블록(20)과 목적어 블록(30)에 형성되는 끼움 홈(22, 32)의 하단부분에는 결합버튼(24, 34)을 장착하여 상기 동사 블록(40)의 결합시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학습용 블록.
KR1020090062016A 2009-07-08 2009-07-08 문장 학습용 블록 KR101058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016A KR101058347B1 (ko) 2009-07-08 2009-07-08 문장 학습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016A KR101058347B1 (ko) 2009-07-08 2009-07-08 문장 학습용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549A KR20110004549A (ko) 2011-01-14
KR101058347B1 true KR101058347B1 (ko) 2011-08-22

Family

ID=43611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016A KR101058347B1 (ko) 2009-07-08 2009-07-08 문장 학습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3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494B1 (ko) 2012-01-09 2013-07-02 최읍제 문장 학습 도구
KR101288512B1 (ko) * 2012-04-20 2013-07-26 최읍제 회전 가능한 문장 학습 도구
KR101289352B1 (ko) 2012-02-13 2013-07-29 노승기 외국어 학습용 블록 완구
KR20200042217A (ko) * 2018-10-15 2020-04-23 윤경섭 언어학습용 블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670B1 (ko) * 2009-09-01 2012-04-26 김미영 조립블럭
KR101198723B1 (ko) * 2010-09-28 2012-11-12 최읍제 언어 학습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690984B1 (ko) * 2015-06-03 2016-12-29 김형기 한글을 알리기 위한 특정 구조를 만드는 블럭 세트
US11030912B2 (en) 2018-09-20 2021-06-08 King Saud University Interactive Arabic alphabet blocks
KR102184413B1 (ko) * 2018-10-29 2020-11-30 이소민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
CN113674589B (zh) * 2021-08-06 2023-05-05 唐山师范学院 一种日语学习用插块式音标练习板
KR102497935B1 (ko) * 2021-09-24 2023-02-09 차이나는마마톡(주) 중국어 문법 학습 교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590B1 (ko) 2004-12-21 2006-07-25 김관석 블록완구
KR200435794Y1 (ko) 2006-09-15 2007-02-20 이기관 어린이용 스타 블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590B1 (ko) 2004-12-21 2006-07-25 김관석 블록완구
KR200435794Y1 (ko) 2006-09-15 2007-02-20 이기관 어린이용 스타 블럭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494B1 (ko) 2012-01-09 2013-07-02 최읍제 문장 학습 도구
KR101289352B1 (ko) 2012-02-13 2013-07-29 노승기 외국어 학습용 블록 완구
WO2013122315A1 (ko) * 2012-02-13 2013-08-22 Noh Seung Ki 외국어 학습용 블록 완구
CN104106107A (zh) * 2012-02-13 2014-10-15 卢承起 用于学习外语的积木玩具
KR101288512B1 (ko) * 2012-04-20 2013-07-26 최읍제 회전 가능한 문장 학습 도구
KR20200042217A (ko) * 2018-10-15 2020-04-23 윤경섭 언어학습용 블록장치
KR102129494B1 (ko) 2018-10-15 2020-07-02 윤경섭 언어학습용 블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549A (ko) 201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347B1 (ko) 문장 학습용 블록
ES2202570T3 (es) Dispositivo portatil de lectura para ciegos.
US8641421B2 (en) Devices and related methods for teaching languages to young children
US8079890B2 (en) Building block toy set
KR101588444B1 (ko) 블록 인식 장치 및 블록 인식 방법
KR101289352B1 (ko) 외국어 학습용 블록 완구
US20190057617A1 (en) Block teaching aid for learning language
KR102049030B1 (ko)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
JPH0956888A (ja) 遊技機
KR20210017757A (ko) 큐브 블록을 이용한 학습 시스템
KR20060114171A (ko) 유아용 한글블록
USD569443S1 (en) Combined sudoku game board and game pieces for visually impaired users
JP2005321517A (ja) 点字学習機
US8106280B2 (en) Devices and related methods for teaching music to young children
KR101917830B1 (ko)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
KR20060107438A (ko) 음성 합성 기능과 적외선 통신 기능을 내장한 소리 내는학습용 완구
KR20050035986A (ko) 로직 퍼즐블럭
KR101441578B1 (ko) 영어단어 및 구구단 학습 교구
TW201607593A (zh) 撲克牌
KR200451013Y1 (ko) 학습용 손인형
CN219251621U (zh) 多通道的语言学习拼图
JP2010072620A (ja) 日本語文法学習教具
US20130099894A1 (en) BS meter
ES2424566B1 (es) Grabadora braille
JPH1119340A (ja) 描画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