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4171A - 유아용 한글블록 - Google Patents

유아용 한글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4171A
KR20060114171A KR1020050036175A KR20050036175A KR20060114171A KR 20060114171 A KR20060114171 A KR 20060114171A KR 1020050036175 A KR1020050036175 A KR 1020050036175A KR 20050036175 A KR20050036175 A KR 20050036175A KR 20060114171 A KR20060114171 A KR 20060114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nsonant
vowel
voice information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6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른에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른에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른에듀텍
Priority to KR1020050036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4171A/ko
Publication of KR20060114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1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9/00Illumination specially adapted for points, form signals, or gates
    • B61L9/04Illumination specially adapted for points, form signals, or gates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12Visible signals
    • B61L5/18Light signals; Mechanisms associated therewith, e.g. b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12Visible signals
    • B61L5/18Light signals; Mechanisms associated therewith, e.g. blinders
    • B61L5/1809Daylight signals
    • B61L5/1845Optical systems,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207/00Features of light signals
    • B61L2207/02Features of light signals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를 통하여 모음블록 단독 또는 자음블록 단독 또는 모음블록과 자음블록이 조합되어진 내용대로 발성이 되어지는 유아용 한글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자음블록은 상기 자음블록의 자음용 메모리로부터 자음의 음성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모음블록은 상기 모음블록의 모음용 메모리로부터 모음의 음성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모음블록과 자음블록의 조합된 블록은 미리 설정이 되어진 한정되어진 단어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모음블록과 자음블록의 조합된 블록에 대한 내용을 음성정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유아들의 공간지각능력 뿐만 아니라 시청각 교육을 통해 한글에 대한 언어학습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아용 한글블록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유아용 한글블록{KOREAN ALPHABET BLOCK FOR KID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한글블록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일 예로서 도 1의 모음블록의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모음블록의 제어블록도,
도 4a 및 도 4b는 일 예로서 도 1의 자음블록의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
도 5는 도 1의 자음블록의 제어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음블록과 자음블록이 보드에 조립된 상태의 제어블록도,
도 7은 일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모음블록과 자음블록을 이용하여 단어를 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일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모음블록과 자음블록을 보드에 조립하여 단어를 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모음블록 11 : 모음용 메모리
15 : 모음용 배터리 17 : 모음용 중앙처리부
19 : 모음용 스피커 21 : 모음용 버튼
25 : 암커넥터 30,30' : 자음블록
33 : 자음용 메모리 35 : 자음용 배터리
37 : 자음용 중앙처리부 39 : 자음용 스피커
41 : 자음용 버튼 45 : 수커넥터
47 : 메인 암커넥터 50 : 보드
51 : 메인 수커넥터 53 : 전원공급부
55 : 메인 중앙처리부 57 : 메인 스피커
59 : 메인 버튼
본 발명은 유아용 한글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가 블록 놀이를 하면서 시각 및 청각을 통해 한글을 효과적으로 배울 수 있는 유아용 한글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교육 완구로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며, 공간상에서 쌓기 놀이나 연결 놀이 등을 통해 공간지각능력을 익힐 수 있는 교육용 블록들이 널리 알려져 있다.
한편, 이러한 블록 이용자들은 대부분 유아로서 초기 언어학습이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근래에는, 조기교육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유아들의 언어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해 한글 교육이 조기에 시행되고 있다.
이에, 이러한 유아들의 한글 교육을 위한 교재로서 인쇄된 그림책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그림책은 입체적이지 못하고 단조로운 내용의 반복으로 인해 변화가 없어 유아들이 쉽게 싫증을 느껴 학습효과가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아들이 별도의 교육 교구를 통해 블록 놀이와 한글 학습을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 놀이를 통하여 유아들의 공간지각능력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시청각 교육을 통해 유아들의 한글에 대한 언어학습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아용 한글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피커를 통하여 모음블록 단독 또는 자음블록 단독 또는 모음블록과 자음블록이 조합되어진 내용대로 발성이 되어지는 유아용 한글블록에 있어서, 상기 자음블록은 상기 자음블록의 자음용 메모리로부터 자음의 음성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모음블록은 상기 모음블록의 모음용 메모리로부터 모음의 음성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모음블록과 자음블록의 조합된 블록은 미리 설정이 되어진 한정되어진 단어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모음블록과 자음블록의 조합된 블록에 대한 내용을 음성정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한글블록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모음블록은 적어도 일측에 한글의 모음 중 어느 하나가 표기되며, 상기 모음에 대한 음성 출력이 가능하게 구성이 되며; 상기 자음블록은 적어도 일측 에 한글의 자음 중 어느 하나가 표기되며, 상기 자음에 대한 음성을 출력이 가능하게 구성이 되며; 상기 자음블록이 모음블록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 상기 자음이 초성이면 상기 자음과 모음이 조합된 단어에 대한 음성정보를 출력이 가능하게 구성이 되며; 상기 모음블록과 상기 자음블록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복수의 암커넥터와; 상기 모음블록과 상기 자음블록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암커넥터와 연결되어 상기 모음블록과 상기 자음블록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호 음성정보가 전달되는 복수의 수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음블록은, 상기 모음에 대한 음성정보를 저장하는 모음용 메모리와, 전원을 공급하는 모음용 배터리와, 상기 모음용 메모리로부터 출력된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모음용 중앙처리부와, 상기 모음용 중앙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정보에 대한 음성을 외부로 출력하는 모음용 스피커와, 상기 모음용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모음용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자음블록은, 상기 자음에 대한 음성정보를 저장하는 자음용 메모리와, 전원을 공급하는 자음용 배터리와, 상기 자음용 메모리로부터 출력된 자음의 음성정보와 상기 모음용 메모리로부터 출력된 모음의 음성정보를 취합 및 분석하여 상기 자음이 초성인지 종성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자음이 초성이면 상기 자음과 모음이 조합된 단어에 대한 음성정보를 출력하거나 상기 자음이 종성이면 상기 자음에 대한 음성정보를 모음용 중앙처리부로 출력하는 자음용 중앙처리부와, 상기 자음용 중앙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정보에 대한 음성을 외부로 출력하는 자음용 스피커와, 상기 자음용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자음용 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소정의 단어를 이루는 상기 자음블록과 모음블록 중 초성을 이루는 자음블록의 자음용 버튼만 작동하고, 상기 해당 자음블록의 자음용 스피커를 통해 상기 단어에 대한 음성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모음블록과 상기 자음블록을 수용하는 보드와; 상기 보드에 마련되는 복수의 메인 수커넥터와; 상기 각 블록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 수커넥터와 연결되어 상기 각 블록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각 블록의 음성정보가 전달되는 메인 암커넥터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보드에 마련되어, 상기 자음블록의 자음용 메모리로부터 출력된 자음의 음성정보와 상기 모음블록의 모음용 메모리로부터 출력된 모음의 음성정보를 취합 및 분석하여, 상기 자음블록과 상기 모음블록이 이루는 조합된 단어에 대한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메인 중앙처리부와; 상기 보드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 중앙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정보에 대한 음성을 외부로 출력하는 메인 스피커와; 상기 보드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메인 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한글블록에 대한 도면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한글블록은 한글의 모음이 표기된 복수의 모음블록(10)과, 한글의 자음이 표기된 복수의 자음블록(30,30')을 가진다.
모음블록(10)은 사각육면체형상을 가진다. 모음블록(10)의 상부면에는 한글의 모음 중 어느 하나가 표기된 모음표기부(11)가 마련되어 있다. 모음블록(10)의 내부 에는 모음표기부(11)에 표기된 모음에 대한 음성정보를 저장하는 모음용 메모리(13)와, 전원을 공급하는 모음용 배터리(1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모음블록(10)의 내부에는 모음용 메모리(13)로부터 출력된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모음용 중앙처리부(17)와, 모음용 중앙처리부(17)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정보에 대한 음성을 외부로 출력하는 모음용 스피커(19)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모음블록(10)의 상부면의 일측에는 모음용 스피커(19)를 작동시키는 모음용 버튼(21)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모음용 메모리(13)와 모음용 배터리(15)와 모음용 중앙처리부(17)와 모음용 스피커(19)와 모음용 버튼(21)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인쇄된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모음용 버튼(21)을 작동시키면, 모음용 버튼(21)의 작동신호에 의해 모음용 배터리(15)로부터 모음블록(10) 내의 모음용 중앙처리부(17)로 전원이 공급되고, 모음용 중앙처리부(17)는 모음용 메모리(13)에 저장된 음성정보를 가청음의 신호로 변환하여 모음용 스피커(19)에 전달하고, 모음용 스피커(19)는 모음블록(10)에 표기된 해당 모음에 대한 음성을 외부로 출력한다.
자음블록(30,30')은 모음블록(10)과 같이 사각육면체형상을 가진다. 자음블록(30,30')의 일측 표면에는 한글의 자음 중 어느 하나가 표기된 자음표기부(31,31')가 마련되어 있다. 자음블록(30,30')의 내부에는 자음표기부(31,31')에 표기된 자음에 대한 음성정보를 저장하는 자음용 메모리(33)와, 전원을 공급하는 자음용 배터리(3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자음블록(30,30')의 내부에는 자음용 메모리(33)로부터 출력된 자음의 음성정보와 모음용 메모리(13)로부터 출력된 모음의 음성정보를 취합 및 분석하여, 자음이 초성인지 종성인지를 판단하여 자음이 초성이면 자음과 모음이 조합된 단어에 대한 음성정보를 출력하고, 자음이 종성이면 자음에 대한 음성정보를 모음용 중앙처리부(17)로 출력하는 자음용 중앙처리부(37)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자음블록(30,30')의 내부에는 자음용 중앙처리부(37)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정보에 대한 음성을 외부로 출력하는 자음용 스피커(39)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자음블록(30,30')의 상부면의 일측에는 자음용 스피커(39)를 작동시키는 자음용 버튼(41)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자음용 메모리(33)와 자음용 배터리(35)와 자음용 중앙처리부(37)와 자음용 스피커(39)와 자음용 버튼(41)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인쇄된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자음블록(30,30')과 모음블록(10)을 연결한 경우, 초성을 이루는 자음블록(30,30')의 자음용 버튼(41)을 작동시키면, 자음용 버튼(41)의 작동신호에 의해 자음블록(30,30') 내의 자음용 중앙처리부(37)는 자음용 메모리(33)로부터 출력된 자음의 음성정보와 모음용 메모리(13)로부터 출력된 모음의 음성정보를 취합 및 분석하여 자음과 모음이 조합된 단어에 대한 음성정보를 가청음의 신호로 변환하여 초성을 이루는 자음블록(30,30')의 자음용 스피커(39)에 전달하고, 자음용 스피커(39)는 자음블록(30,30')과 모음블록(10)이 조합된 단어에 대한 음성을 외부로 출력한다. 이 때, 초성을 이루는 자음블록(30,30')의 자음용 중앙처리부(37)는 자음용 메모리(33)에 모음블록(10)과 자음블록(30,30')의 조합된 블록의 미리 설정된 단어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모음블록(10)과 자음블록(30,30')의 조합된 단어에 대 한 음성정보를 가청음의 신호로 변환하여 자음용 스피커(39)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모음블록(10)의 모음용 버튼(21)이나 종성을 이루는 자음블록(30,30')의 자음용 버튼(41)을 작동하더라도, 모음블록(10)의 모음용 스피커(19)나 종성을 이루는 자음블록(30,30')의 자음용 스피커(39)는 음성을 출력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자음블록(30,30')을 모음블록(10)과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음용 버튼(41)을 작동시키면, 자음용 버튼(41)의 작동신호에 의해 자음용 배터리(35)로부터 자음블록(30,30') 내의 자음용 중앙처리부(37)로 전원이 공급되고, 자음용 중앙처리부(37)는 자음용 메모리(33)에 저장된 음성정보를 가청음의 신호로 변환하여 자음용 스피커(39)에 전달하고, 자음용 스피커(39)는 자음블록(30,30')에 표기된 해당 자음에 대한 음성을 외부로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모음블록(10)에는 복수의 암커넥터가 마련되어 있으며, 암커넥터는 모음블록(10)의 네 측면에 각각 마련된다.
또한, 자음블록(30,30')에는 모음블록(10)의 암커넥터와 연결되어 모음블록(10)과 자음블록(30,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호 음성정보가 전달되는 복수의 수커넥터(45)가 마련되어 있다. 수커넥터(45)는 자음블록(30,30')의 네 측면에 각각 마련된다.
이에, 모음블록(10)의 암커넥터와 자음블록(30,30')의 수커넥터(45)가 암수결합되어, 자음블록(30,30')과 모음블록(10)은 소정의 단어를 표기할 뿐만 아니라 초성을 이루는 자음블록(30,30')의 자음용 버튼(41)을 작동시킴에 따라 해당 단어에 대한 음성을 자음용 스피커(39)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한글블록은 판형상의 보드(50)를 더 가진다. 보드(50)에는 한글 단어를 조합할 수 있도록 모음블록(10)과 자음블록(30,30')이 수용된다.
보드(50)의 일측 판면에는 복수의 메인 수커넥터(51)가 매트릭스를 이루며 배열되어 있다. 메인 수커넥터(51)는 각 블록(10,30,30')의 하부면에 마련된 메인 암커넥터(47)가 연결되며, 이에 각 블록(10,30,30')을 연결하여 보드(50) 상에 단어를 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드(50)와 각 블록(10,30,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각 블록(10,30,30')의 음성정보가 보드(50)의 메인 중앙처리부(55)에 전달된다.
보드(50)의 내부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3)가 마련되어 있다. 전원공급부(53)로서 배터리나 외부의 전원을 정류기에 의해 정류한 후 정류된 전원을 보드(50)에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보드(50)의 내부에는 보드(50)에 결합된 자음블록(30,30')의 자음용 메모리(33)로부터 출력된 자음의 음성정보와 모음블록(10)의 모음용 메모리(13)로부터 출력된 모음의 음성정보를 취합 및 분석하여 자음블록(30,30')과 모음블록(10)이 이루는 조합된 단어에 대한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메인 중앙처리부(55)와, 메인 중앙처리부(55)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정보에 대한 음성을 외부로 출력하는 메인 스피커(5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보드(50)의 일측에는 메인 스피커(57)를 작동시키는 메인 버튼(59)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보드(50)의 판면에 소정의 단어를 형성하도록 자음블록(30,30')과 모음블록(10)을 결합한 경우, 메인 버튼(59)을 작동시키면, 메인 버튼(59)의 작동신호에 의해 메인 중앙처리부(55)는 자음용 메모리(33)로부터 출력된 자음의 음성정보와 모음용 메모리(13)로부터 출력된 모음의 음성정보를 취합 및 분석하여 자음과 모음이 조합된 단어에 대한 음성정보를 가청음의 신호로 변환하여 메인 스피커(57)에 전달하고, 메인 스피커(57)는 자음블록(30,30')과 모음블록(10)이 조합된 단어에 대한 음성을 외부로 출력한다. 이 때, 메인 중앙처리부(55)는 조합된 단어의 첫글자의 초성을 이루는 자음블록(30,30')의 자음용 메모리(33)에 모음블록(10)과 자음블록(30,30')의 조합된 블록의 미리 설정된 단어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모음블록(10)과 자음블록(30,30')의 조합된 단어에 대한 음성정보를 가청음의 신호로 변환하여 메인 스피커(57)에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한글블록을 이용하여 일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자에 대해 학습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ㄱ"자 자음블록(30)과, "ㅏ"자 모음블록(10)과, "ㅇ"자 자음블록(30')을 마련한다.
다음, "가"자를 형성하도록 "ㄱ"자 자음블록(30)과 "ㅏ"자 모음블록(10)을 암수커넥터(25,45)에 의해 상호 연결한다.
계속해서, "강"자를 형성하도록 "ㅏ"자 모음블록(10)과 "ㅇ"자 자음블록(30')을 암수커넥터(25,45)에 의해 상호 연결한다.
그리고, "강"자의 초성을 이루는 "ㄱ"자 자음블록(30)의 자음용 버튼(41)을 작동시킨다.
자음용 버튼(41)의 작동신호에 의해, "ㄱ"자 자음블록(30) 내의 자음용 중앙처리부(37)는 초성을 이루는 "ㄱ"자 자음블록(30)의 자음용 메모리(33)로부터 출력된 "ㄱ"자 음성정보와, "ㅏ"자 모음블록(10)의 모음용 메모리(13)로부터 출력된 "ㅏ"자 음성정보와, 종성을 이루는 "ㅇ"자 자음블록(30')의 자음용 메모리(33)로부터 출력된 "ㅇ"자 음성정보를 취합 및 분석하여, "강"에 대한 음성정보를 가청음의 신호로 변환하여 "ㄱ"자 자음블록(30)의 자음용 스피커(39)에 전달하고, 자음용 스피커(39)는 "강"에 대한 음성을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이 때, "ㅇ"자 자음블록(30')의 자음용 중앙처리부(37)는 "ㅇ"자의 음성정보를 "ㅏ"자 모음블록(10)의 자음용 중앙처리부(37)로 전달하고, "ㅏ"자 모음블록(10)의 모음용 중앙처리부(17)는 "ㅏ"자의 음성정보 및 "ㅇ"자의 음성정보를 "ㄱ"자 자음블록(30)의 자음용 중앙처리부(37)로 전달한다. 또한, "ㅏ"자 모음블록(10)의 모음용 버튼(21)이나 "ㅇ"자 자음블록(30')의 자음용 버튼(41)을 작동하더라도, "ㅏ"자 모음블록(10)의 모음용 스피커(19)나 "ㅇ"자 자음블록(30')의 자음용 스피커(39)는 "강" 에 대한 음성을 출력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강"자에 대한 단어를 형성하는 블록(10,30,30')을 보드(50)에 조립하여 학습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강"자를 이루며 상호 연결된 "ㄱ"자 자음블록(30)과 "ㅏ"자 모음블록(10)과 "ㅇ"자 자음블록(30')을 보드(50)의 판면에 메인 암수커넥터(47,51)에 의해 상호 연결한다.
그리고, 메인 버튼(59)을 작동시키면, 메인 버튼(59)의 작동신호에 의해 메인 중앙 처리부(55)는 "ㄱ"자 자음블록(30)의 자음용 메모리(33)로부터 출력된 "ㄱ"자의 음성정보와, "ㅏ"자 모음블록(10)의 모음용 메모리(13)로부터 출력된 "ㅏ"자의 음성정보와, "ㅇ"자 자음블록(30')의 자음용 메모리(33)로부터 출력된 "ㅇ"자의 음성정보를 취합 및 분석하여 "강"자에 대한 음성정보를 가청음의 신호로 변환하여 메인 스피커(57)에 전달하고, 메인 스피커(57)는 "강"에 대한 음성을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다른 예로서, 보드에 "강"자를 이루며 상호 연결된 각 블록 중 "ㅏ"자를 이루는 모음블록의 측면에 "ㅇ"자 자음블록과 "ㅏ"자 자음블록을 나란히 연결하고, 계속해서 "아"를 이루는 "ㅏ"자 모음블록의 측면에 "지"자를 이루는 "ㅈ"자 자음블록과 "ㅣ"자 모음블록을 나란히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강아지"라는 단어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 보드의 메인 버튼을 작동시키면, 메인 버튼의 작동신호에 의해 메인 중앙처리부는 각 자음블록과 모음블록이 이루는 각각의 단어를 연결하여 메인용 메모리에 저장된 "강아지"에 대한 음성정보를 가청음의 신호로 변환하여, 즉 메인 중앙처리부는 첫글자의 초성을 이루는 "ㄱ"자 자음블록의 자음용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단어와 일치하는 "강아지"에 대한 음성정보를 가청음의 신호로 변환하여 메인 스피커에 전달하고, 메인 스피커는 "강아지"에 대한 음성을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적어도 일측에 한글의 모음 중 어느 하나가 표기되고 해당 모음에 대한 음성을 출력하는 복수의 모음블록과, 적어도 일측에 한글의 자음 중 어느 하나가 표기되고 해당 자음에 대한 음성을 출력하며 모음블록에 연결되는 복수의 자음블록 을 마련함으로써, 블록 놀이와 시청각 교육을 접목하여, 단일의 교구로 유아들의 공간지각능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한글에 대한 언어학습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모음블록과 자음블록을 결합하기 위해 모음블록에는 암커넥터가 마련되고 자음블록에는 수커넥터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반대로 모음블록에 수커넥터를 마련하고 자음블록에 암커넥터를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자음 및 모음이 각 블록의 상부면에만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자음 및 모음은 각 블록의 측면에 표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블록을 구성을 하여 보다 경제적으로 구성을 할 수도 있다. 각각의 자음블록과 모음블록에는 전원공급부와 스피커를 구성을 하지 않고 메인블록에만 전원공급부와 스피커를 구성하므로서 제작비용을 현격히 절약을 할 수가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메인블록에는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정보를 취합 및 분석하여, 자음블록과 또는 모음블록 또는 자음블록과 모음블록이 조합된 단어에 대한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메인 중앙처리부가 구성이 되며, 상기 메인 중앙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정보에 대한 음성을 외부로 출력하는 메인 스피커 와 상기 메인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메인 버튼을 포함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메인블록은 커넥터에 의하여 모음블록 또는 자음블록과 결합되거나 또는 메인블록이 모음블록 및 자음블록에 결합되게 구성이 되어지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아들의 공간지각능력 뿐만 아니라 시청각 교육을 통해 한글에 대한 언어학습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아용 한글블록이 제공된다.

Claims (6)

  1. 스피커를 통하여 모음블록 단독 또는 자음블록 단독 또는 모음블록과 자음블록이 조합되어진 내용대로 발성이 되어지는 유아용 한글블록에 있어서,
    상기 자음블록은 상기 자음블록의 자음용 메모리로부터 자음의 음성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모음블록은 상기 모음블록의 모음용 메모리로부터 모음의 음성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모음블록과 자음블록의 조합된 블록은 미리 설정이 되어진 한정되어진 단어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모음블록과 자음블록의 조합된 블록에 대한 내용을 음성정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한글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블록은 적어도 일측에 한글의 모음 중 어느 하나가 표기되며, 상기 모음에 대한 음성 출력이 가능하게 구성이 되며;
    상기 자음블록은 적어도 일측에 한글의 자음 중 어느 하나가 표기되며, 상기 자음에 대한 음성을 출력이 가능하게 구성이 되며;
    상기 자음블록이 모음블록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 상기 자음이 초성이면 상기 자음과 모음이 조합된 단어에 대한 음성정보를 출력이 가능하게 구성이 되며;
    상기 모음블록과 상기 자음블록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복수의 암커넥터와;
    상기 모음블록과 상기 자음블록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암커넥터와 연결되어 상기 모음블록과 상기 자음블록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호 음성정보가 전달되 는 복수의 수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한글블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블록은, 상기 모음에 대한 음성정보를 저장하는 모음용 메모리와, 전원을 공급하는 모음용 배터리와, 상기 모음용 메모리로부터 출력된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모음용 중앙처리부와, 상기 모음용 중앙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정보에 대한 음성을 외부로 출력하는 모음용 스피커와, 상기 모음용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모음용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자음블록은, 상기 자음에 대한 음성정보를 저장하는 자음용 메모리와, 전원을 공급하는 자음용 배터리와, 상기 자음용 메모리로부터 출력된 자음의 음성정보와 상기 모음용 메모리로부터 출력된 모음의 음성정보를 취합 및 분석하여 상기 자음이 초성인지 종성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자음이 초성이면 상기 자음과 모음이 조합된 단어에 대한 음성정보를 출력하거나 상기 자음이 종성이면 상기 자음에 대한 음성정보를 모음용 중앙처리부로 출력하는 자음용 중앙처리부와, 상기 자음용 중앙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정보에 대한 음성을 외부로 출력하는 자음용 스피커와, 상기 자음용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자음용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한글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소정의 단어를 이루는 상기 자음블록과 모음블록 중 초성을 이루는 자음블록의 자 음용 버튼만 작동하고, 상기 해당 자음블록의 자음용 스피커를 통해 상기 단어에 대한 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한글블록.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블록과 상기 자음블록을 수용하는 보드와;
    상기 보드에 마련되는 복수의 메인 수커넥터와;
    상기 각 블록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 수커넥터와 연결되어 상기 각 블록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각 블록의 음성정보가 전달되는 메인 암커넥터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보드에 마련되어, 상기 자음블록의 자음용 메모리로부터 출력된 자음의 음성정보와 상기 모음블록의 모음용 메모리로부터 출력된 모음의 음성정보를 취합 및 분석하여, 상기 자음블록과 상기 모음블록이 이루는 조합된 단어에 대한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메인 중앙처리부와;
    상기 보드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 중앙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정보에 대한 음성을 외부로 출력하는 메인 스피커와;
    상기 보드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메인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한글블록.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메인블록은 모음블록 또는 자음블록과 결합되거나 또는 메인블록이 모음블록 및 자 음블록에 결합되게 구성이 되어지며;
    상기 메인블록은 상기 모음블록 또는 자음블록에 커넥터에 의하여 연결이 되며;
    상기 메인블록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정보를 취합 및 분석하여, 자음블록과 또는 모음블록 또는 자음블록과 모음블록이 조합된 단어에 대한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메인 중앙처리부가 구성이 되며;
    상기 메인블록에는 상기 메인 중앙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정보에 대한 음성을 외부로 출력하는 메인 스피커와; 상기 메인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메인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한글블록.
KR1020050036175A 2005-04-29 2005-04-29 유아용 한글블록 KR200601141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175A KR20060114171A (ko) 2005-04-29 2005-04-29 유아용 한글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175A KR20060114171A (ko) 2005-04-29 2005-04-29 유아용 한글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171A true KR20060114171A (ko) 2006-11-06

Family

ID=37651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175A KR20060114171A (ko) 2005-04-29 2005-04-29 유아용 한글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4171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520B1 (ko) * 2011-02-22 2012-01-03 이윤재 한글 자모의 메트릭스 결합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시청각 한글학습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1245794B1 (ko) * 2011-01-07 2013-04-01 이봉재 큐브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
KR101516807B1 (ko) * 2013-12-26 2015-05-04 (주)짐월드 블록완구
CN110379217A (zh) * 2019-07-19 2019-10-25 李春宾 一种文字处理系统和方法
KR102172676B1 (ko) * 2019-11-13 2020-11-03 이원익 활용성이 향상된 소리블록
KR102202501B1 (ko) * 2020-09-04 2021-01-13 김연희 한글 학습장치
KR20210114726A (ko) * 2020-03-11 2021-09-24 이원익 저장기능을 갖는 소리블록
KR102368473B1 (ko) * 2021-09-17 2022-02-28 김연희 한글 학습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794B1 (ko) * 2011-01-07 2013-04-01 이봉재 큐브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
KR101102520B1 (ko) * 2011-02-22 2012-01-03 이윤재 한글 자모의 메트릭스 결합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시청각 한글학습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1516807B1 (ko) * 2013-12-26 2015-05-04 (주)짐월드 블록완구
CN110379217A (zh) * 2019-07-19 2019-10-25 李春宾 一种文字处理系统和方法
KR102172676B1 (ko) * 2019-11-13 2020-11-03 이원익 활용성이 향상된 소리블록
KR20210114726A (ko) * 2020-03-11 2021-09-24 이원익 저장기능을 갖는 소리블록
KR102202501B1 (ko) * 2020-09-04 2021-01-13 김연희 한글 학습장치
KR102368473B1 (ko) * 2021-09-17 2022-02-28 김연희 한글 학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4171A (ko) 유아용 한글블록
US5813861A (en) Talking phonics interactive learning device
KR101552255B1 (ko) 블록 완구
KR101712487B1 (ko) 스마트 블록 완구
KR102035323B1 (ko) 언어 학습용 블록 교구
WO2016089098A1 (ko) 외부 기기와 연동하는 퍼즐 시스템
KR101876275B1 (ko) 구구단 학습용 큐브
KR20090054882A (ko) 결합 정보를 출력하는 교육용 완구
KR102497847B1 (ko) 전자블록에 기반한 학습교구 시스템
KR20170120911A (ko) 스마트 큐브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CN203300063U (zh) 一种故事机
KR200425379Y1 (ko) 유아 교육용 학습기
JP5594738B2 (ja) 英語学習ジグソーパズル
US6409510B1 (en) Method for learning a foreign language
KR101917830B1 (ko)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
WO2008026856A1 (en) A learning toy with built in synthetic voice and infrared data access
CN208351739U (zh) 一种拼音学习机、一种声母卡及一种韵母卡
US20180165986A1 (en) Real Time Phonetic Learning System
KR101216197B1 (ko) 학습용 목질계 퍼즐
KR20170122616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한글학습 시스템
CN202472983U (zh) 一种多功能电子图书
US11132912B1 (en) Electronic educational device
JP3936624B2 (ja) 嵌め込み式音発生玩具
KR102488893B1 (ko)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
CN101833874A (zh) 一种挂图发声画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