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473B1 - 한글 학습장치 - Google Patents
한글 학습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8473B1 KR102368473B1 KR1020210124754A KR20210124754A KR102368473B1 KR 102368473 B1 KR102368473 B1 KR 102368473B1 KR 1020210124754 A KR1020210124754 A KR 1020210124754A KR 20210124754 A KR20210124754 A KR 20210124754A KR 102368473 B1 KR102368473 B1 KR 1023684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wel
- consonant
- panel
- triangular
- b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3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wherein the elements are adapted to be arranged in co-operation with the support to form symb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 학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장자리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모음측 베이스와, 가장자리가 정사각형 형상을 갖고, 사선으로 대응하는 두 쌍의 모서리 방향으로 한 쌍의 제1절개선이 교차되며, 상기 제1절개선을 기준으로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의 모음측 패널부와, 상기 모음측 베이스의 폭방향 1개 변과 상기 모음측 패널부의 1개 변을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모음측 연결부를 갖는 모음 조립체 및, 가장자리가 정사각형 형상을 갖는 자음측 베이스와, 가장자리가 정사각형 형상을 갖고, 사선으로 대응하는 두 쌍의 모서리 방향으로 한 쌍의 제2절개선이 교차되며, 상기 제2절개선을 기준으로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자음측 패널부와, 상기 자음측 베이스의 4개 변과 상기 자음측 패널부의 1개 변을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각각 연결하는 제1자음측 연결부를 갖는 자음 조립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한글 학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동 및 부착 구조를 이용해 한글의 모음과 자음 만들기 학습을 할 수 있는 한글 학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글 학습용 블록은 다양한 형태의 블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조립하거나 분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동의 지능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완구의 일종이다.
종래의 한글 학습용 블록은 한글의 자음이 표현된 다수의 자음 블록과, 한글의 모음이 표현된 다수의 모음 블록 등으로 구성되며, 자음 블록과 모음 블록을 서로 조합하여 한글을 표현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한글 합습용 블록은 자음 블록과 모음 블록의 수평하게 연결시켜 한글을 표현하거나, 자석이 부착된 자음 블록과 모음 블록을 철재 보드 등에 부착시켜 한글을 표현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런데, 종래의 한글 학습용 블록은 자음 블록과 모음 블록의 연결 구조가 평면적이므로, 접거나 쌓는 등의 놀이를 하기에 적합하지 않아 아이들의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극하는데 한계가 있는 구조였고, 만들어진 자음과 모음의 형태가 쉽게 변경될 염려가 있어 한글의 형태를 정확하게 조합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구조였으며, 다수의 자음 블록과 모음 블록이 분리된 상태로 보관되므로 분실의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48711호(2011년 05월 12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동 및 부착 구조를 이용해 한글의 모음과 자음 만들기 학습을 할 수 있는 한글 학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는 가장자리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모음측 베이스와, 가장자리가 정사각형 형상을 갖고, 사선으로 대응하는 두 쌍의 모서리 방향으로 한 쌍의 제1절개선이 교차되며, 상기 제1절개선을 기준으로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모음측 패널부와, 상기 모음측 베이스의 폭방향 1개 변과 상기 모음측 패널부의 1개 변을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모음측 연결부를 갖는 모음 조립체 및, 가장자리가 정사각형 형상을 갖는 자음측 베이스와, 가장자리가 정사각형 형상을 갖고, 사선으로 대응하는 두 쌍의 모서리 방향으로 한 쌍의 제2절개선이 교차되며, 상기 제2절개선을 기준으로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자음측 패널부와, 상기 자음측 베이스의 4개 변과 상기 자음측 패널부의 1개 변을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각각 연결하는 제1자음측 연결부를 갖는 자음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모음측 패널부는 상기 모음측 베이스의 폭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따라 4개가 1열로 배열됨과 아울러 배열 방향으로 마주하는 1개 변이 제2모음측 연결부에 의해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모음측 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3열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상기 자음측 패널부는 상기 자음측 베이스의 폭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따라 4개가 1열로 배열됨과 아울러 배열 방향으로 마주하는 1개 변이 제2자음측 연결부에 의해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고, 상기 자음측 베이스의 4개 변을 따라 3열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음측 패널부는 가장자리가 이등변삼각형 형상을 갖고, 동일 길이를 갖는 2개 변이 상기 제1절개선을 기준으로 마주하도록 전후좌우 방향에 배치되는 4개의 모음측 삼각패널 및, 마주하는 상기 모음측 삼각패널의 2개 변을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각각 연결하는 모음측 패널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음측 패널부는 가장자리가 이등변삼각형 형상을 갖고, 동일 길이를 갖는 2개 변이 상기 제2절개선을 기준으로 마주하도록 전후좌우 방향에 배치되는 4개의 자음측 삼각패널 및, 마주하는 상기 자음측 삼각패널의 2개 변을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각각 연결하는 자음측 패널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음측 삼각패널은 상기 제1절개선을 기준으로 폴딩시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자석 또는 금속 소재로 구비되고, 상기 모음측 베이스는 상면과 하면이 상기 모음측 삼각패널과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대응되는 자석 또는 금속 소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자음측 삼각패널은 상기 제2절개선을 기준으로 폴딩시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자석 또는 금속 소재로 구비되고, 상기 자음측 베이스는 상면과 하면이 상기 자음측 삼각패널과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대응되는 자석 또는 금속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모음측 연결부와 상기 제2모음측 연결부는 상기 모음측 패널부를 폴딩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자음측 연결부와 상기 제2자음측 연결부는 상기 자음측 패널부를 폴딩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음측 베이스의 폭방향 1개 변을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모음측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모음측 연결부는 상기 모음측 베이스를 폴딩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음측 베이스의 폭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서 상기 모음측 패널부의 1개 변과 마주하고, 상기 모음측 삼각패널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모음측 고정패널 및, 상기 모음측 고정패널과 상기 모음측 삼각패널의 1개 변을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모음측 고정패널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패널은 폴딩시 상기 모음측 삼각패널과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대응되는 자석 또는 금속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음측 베이스와 반대되는 방향에서 상기 자음측 패널부의 1개 변과 마주하고, 상기 자음측 삼각패널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자음측 고정패널 및, 상기 자음측 고정패널과 상기 자음측 삼각패널의 1개 변을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자음측 고정패널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자음측 고정패널은 폴딩시 상기 모음측 삼각패널과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대응되는 자석 또는 금속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만들어진 모음과 자음의 형태가 고정적으로 유지되므로 한글의 형태를 정확하게 학습할 수 있고, 접기와 쌓기 놀이가 가능하므로 한글 학습의 기능과 더불어 놀이용 완구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음측 패널부와 자음측 패널부가 정해진 회동 반경 내에서 회동되므로 자음과 모음의 형상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고, 다중 중첩 구조를 가지므로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모음 조립체 및 자음 조립체의 각 구성들이 일체로 연결되므로 분실의 염려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에서 모음 조립체의 모음측 패널부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에서 모음 조립체의 모음측 패널부를 모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ㅓ" 형상의 모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제3모음측 연결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제3모음측 연결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제3모음측 연결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제3모음측 연결부를 적용하고, 모음측 패널부를 모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ㅓ" 형상의 모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제3모음측 연결부를 적용하고, 모음측 패널부를 모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ㅕ" 형상의 모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제3모음측 연결부를 적용하고, 모음측 패널부를 모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ㅣ" 형상의 모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제3모음측 연결부를 적용하고, 모음측 패널부를 모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ㅔ" 형상의 모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제3모음측 연결부를 적용하고, 모음측 패널부를 모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ㅠ" 형상의 모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자음 조립체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자음 조립체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에서 자음 조립체의 자음측 패널부를 자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ㅁ" 형상의 자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에서 자음 조립체의 자음측 패널부를 자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ㄹ" 형상의 자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에서 자음 조립체의 자음측 패널부를 자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ㅅ" 형상의 자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에서 자음 조립체의 자음측 패널부를 자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ㅇ" 형상의 자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와 자음 조립체를 이용해 "한" 형상의 한글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모음측 고정패널과 모음측 고정패널 연결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모음측 고정패널과 모음측 고정패널 연결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자음 조립체에 자음측 고정패널과 자음측 고정패널 연결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자음 조립체에 자음측 고정패널과 자음측 고정패널 연결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에서 모음 조립체의 모음측 패널부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에서 모음 조립체의 모음측 패널부를 모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ㅓ" 형상의 모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제3모음측 연결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제3모음측 연결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제3모음측 연결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제3모음측 연결부를 적용하고, 모음측 패널부를 모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ㅓ" 형상의 모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제3모음측 연결부를 적용하고, 모음측 패널부를 모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ㅕ" 형상의 모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제3모음측 연결부를 적용하고, 모음측 패널부를 모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ㅣ" 형상의 모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제3모음측 연결부를 적용하고, 모음측 패널부를 모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ㅔ" 형상의 모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제3모음측 연결부를 적용하고, 모음측 패널부를 모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ㅠ" 형상의 모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자음 조립체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자음 조립체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에서 자음 조립체의 자음측 패널부를 자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ㅁ" 형상의 자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에서 자음 조립체의 자음측 패널부를 자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ㄹ" 형상의 자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에서 자음 조립체의 자음측 패널부를 자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ㅅ" 형상의 자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에서 자음 조립체의 자음측 패널부를 자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ㅇ" 형상의 자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와 자음 조립체를 이용해 "한" 형상의 한글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모음측 고정패널과 모음측 고정패널 연결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모음측 고정패널과 모음측 고정패널 연결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자음 조립체에 자음측 고정패널과 자음측 고정패널 연결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자음 조립체에 자음측 고정패널과 자음측 고정패널 연결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에서 모음 조립체의 모음측 패널부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에서 모음 조립체의 모음측 패널부를 모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ㅓ" 형상의 모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제3모음측 연결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제3모음측 연결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제3모음측 연결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제3모음측 연결부를 적용하고, 모음측 패널부를 모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ㅓ" 형상의 모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제3모음측 연결부를 적용하고, 모음측 패널부를 모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ㅕ" 형상의 모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제3모음측 연결부를 적용하고, 모음측 패널부를 모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ㅣ" 형상의 모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제3모음측 연결부를 적용하고, 모음측 패널부를 모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ㅔ 형상의 모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제3모음측 연결부를 적용하고, 모음측 패널부를 모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ㅠ" 형상의 모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자음 조립체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자음 조립체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에서 자음 조립체의 자음측 패널부를 자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ㅁ" 형상의 자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에서 자음 조립체의 자음측 패널부를 자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ㄹ 형상의 자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에서 자음 조립체의 자음측 패널부를 자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ㅅ" 형상의 자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에서 자음 조립체의 자음측 패널부를 자음측 베이스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ㅇ" 형상의 자음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와 자음 조립체를 이용해 "한" 형상의 한글을 표현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모음측 고정패널과 모음측 고정패널 연결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모음 조립체에 모음측 고정패널과 모음측 고정패널 연결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자음 조립체에 자음측 고정패널과 자음측 고정패널 연결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의 자음 조립체에 자음측 고정패널과 자음측 고정패널 연결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는 회동 및 부착 구조를 이용해 한글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21개의 모음(ㅏ, ㅐ, ㅑ, ㅒ, ㅓ 등)을 표현하기 위한 모음 조립체(100) 및, 19개의 자음(ㄱ, ㄲ, ㄴ, ㄷ, ㄸ, ㅎ 등)을 표현하기 위한 자음 조립체(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음 조립체(100)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는 21개의 모음 중에는 10개의 단모음(ㅣ, ㅔ, ㅐ, ㅏ, ㅜ, ㅗ, ㅓ, ㅡ, ㅟ, ㅚ) 및, 11개의 이중모음(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ㅝ, ㅙ, ㅞ, ㅢ)이 포함되고, 모음 조립체(100)와 자음 조립체(200)를 이용해 40개의 모음과 자음을 표현할 수 있으며, 모음 조립체(100)와 자음 조립체(200)를 조합하여 다양한 한글을 표현할 수 있다.
모음 조립체(100)는 가장자리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다수의 모음측 베이스(110)와, 가장자리가 정사각형 형상을 갖고, 사선으로 대응하는 두 쌍의 모서리 방향으로 한 쌍의 제1절개선(L1)이 교차되며, 제1절개선(L1)을 기준으로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의 모음측 패널부(120)와, 모음측 베이스(110)의 폭방향 1개 변과 모음측 패널부(120)의 1개 변을 폴딩(folding) 또는 언폴딩(unfolding)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모음측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모음측 베이스(110)는 모음측 패널부(120)가 상면과 하면에 선택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 넓이로 수평하게 형성되고, 모음측 패널부(120)가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석 또는 금속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모음측 베이스(110)는 하나 이상을 이용해 21개의 모음(ㅏ, ㅐ, ㅑ, ㅒ, ㅓ 등)을 표현할 수 있다.
모음측 패널부(120)는 모음측 베이스(110)의 상면과 하면에 선택적으로 부착되어 21개의 모음(ㅏ, ㅐ, ㅑ, ㅒ, ㅓ 등)을 표현하는 것으로, 모음측 패널부(120)는 모음측 베이스(110)와 반대되는 방향을 따라 4개가 배열될 수 있고, 배열 방향으로 마주하는 1개 변이 제2모음측 연결부(140)에 의해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모음측 베이스(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3열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모음측 패널부(120)는 도 5와 9 내지 13에서처럼 모음측 베이스(110)의 상면과 하면에 선택적으로 회동되어 하나 이상의 층으로 겹쳐지거나, 모음측 베이스(11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하나 이상의 열로 펼쳐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음측 패널부(120)는 가장자리를 따라 3개의 모서리가 형성된 삼각형 형상을 갖고, 2개 변이 제1절개선(L1)을 기준으로 마주하도록 전후좌우 방향에 배치되는 4개의 모음측 삼각패널(121) 및, 마주하는 모음측 삼각패널(121)의 2개 변을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각각 연결하는 모음측 삼각패널 연결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모음측 삼각패널(121)은 이등변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모음측 삼각패널(121)은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가 동일한 2개의 변이 형성되고, 길이가 동일한 2개의 변보다 길이가 긴 1개의 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 길이를 갖는 2개 변이 제1절개선(L1)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마주할 수 있다.
그리고, 모음측 삼각패널(121)은 제1절개선(L1)을 기준으로 폴딩시 상하 방향에서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자석 또는 금속 소재로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모음측 삼각패널(121)을 모음측 베이스(110)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모음측 삼각패널(121)이 자력(척력)에 의해 모음측 베이스(110)의 상면 또는 하면이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절개선(L1)을 기준으로 일측의 모음측 삼각패널(121)이 자석인 경우 반대되는 모음측 삼각패널(121)은 금속 소재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다른 형태로 제1절개선(L1)을 기준으로 일측의 모음측 삼각패널(121)이 플러스(+) 극의 자석인 경우 반대되는 모음측 삼각패널(121)은 마이너스(-) 극의 자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즉 모음측 삼각패널(121)이 서로 다른 극성으로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모음측 삼각패널(121)은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할 수 있고, 모음측 삼각패널(121)의 내부에 자석 또는 금속 소재가 삽입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모음측 삼각패널(121)의 외면에는 다양한 색상, 무늬, 음각, 양각 등이 표현될 수 있다.
모음측 삼각패널 연결부(122)는 제1절개선(L1) 내에서 모음측 삼각패널(121)의 마주하는 단부를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모음측 삼각패널 연결부(122)의 양단이 모음측 삼각패널(121)의 마주하는 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제1절개선(L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모음측 삼각패널 연결부(122)는 모음측 삼각패널(121)을 폴딩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모음측 삼각패널 연결부(122)는 고무, 실리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모음측 삼각패널 연결부(122)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음측 삼각패널(121)을 폴딩 방향으로 회동시켜 대응하는 모음측 삼각패널(121)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경우, 모음측 삼각패널 연결부(122)가 벤딩되면서 형태가 변형될 수 있고, 모음측 삼각패널(121)을 언폴딩 방향으로 수평하게 펼치는 경우 모음측 삼각패널 연결부(122)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와 다른 형태로, 모음측 삼각패널 연결부(122)는 수평 회전중심이 형성된 힌지 구조(미도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모음측 삼각패널 연결부(122)의 양단이 수평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마주하는 모음측 삼각패널(121)의 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1모음측 연결부(130)는 모음측 베이스(110)의 폭방향 1개 변과 모음측 패널부(120)의 모음측 삼각패널(121)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모음측 연결부(130)의 양측이 모음측 베이스(110)의 폭방향 1개 변과 모음측 삼각패널(121)의 1개 변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제1모음측 연결부(130)는 고무, 실리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모음측 베이스(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음측 패널부(120)를 폴딩 방향으로 회동시켜 모음측 베이스(110)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경우, 제1모음측 연결부(130)가 벤딩되면서 형태가 변형될 수 있고, 모음측 패널부(120)를 언폴딩 방향으로 수평하게 펼치는 경우 제1모음측 연결부(130)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와 다른 형태로, 제1모음측 연결부(130)는 수평 회전중심이 형성된 힌지 구조(미도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모음측 연결부(130)의 양단이 수평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모음측 베이스(110)와 모음측 삼각패널(121)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2모음측 연결부(140)는 모음측 패널부(120)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모음측 연결부(140)의 양측이 모음측 패널부(120)들의 마주하는 1개 변에 각각 결합된다. 제2모음측 연결부(140)는 고무, 실리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모음측 패널부(120)의 변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음측 패널부(120)를 폴딩 방향으로 회동시켜 대응하는 모음측 패널부(120)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경우, 제2모음측 연결부(140)가 벤딩되면서 형태가 변형될 수 있고, 모음측 패널부(120)를 언폴딩 방향으로 수평하게 펼치는 경우 제2모음측 연결부(140)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와 다른 형태로, 제2모음측 연결부(140)는 수평 회전중심이 형성된 힌지 구조(미도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모음측 연결부(140)의 양단이 수평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마주하는 모음측 패널부(120)의 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음 조립체(100)는 도 6 내지 12에서처럼 모음측 베이스(110)의 폭방향 1개 변을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모음측 연결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모음측 베이스(110)는 제3모음측 연결부(150)에 의해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모음측 베이스(110) 주 하나의 상면에 다른 하나는 겹쳐진 상태로 안착시킬 수 있다.
제3모음측 연결부(150)는 고무, 실리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모음측 베이스(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모음측 베이스(110) 중 하나를 폴딩 방향으로 회동시켜 다른 하나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경우, 제3모음측 연결부(150)가 벤딩되면서 형태가 변형될 수 있고, 모음측 베이스(110)들을 언폴딩 방향으로 수평하게 펼치는 경우 제3모음측 연결부(150)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음 조립체(100)를 이용해 모음을 표현하는 경우, 도 5, 9, 10, 13에서처럼 2개의 모음측 베이스(110)를 폭방향이 나란하도록 설치면에 안착시킨 후, 모음측 패널부(120)를 모음측 베이스(110)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ㅓ", "ㅕ" 등의 모음 형상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처럼 3열의 모음측 패널부(120)를 모음측 베이스(110)의 상면으로 회동시켜 "ㅣ" 등의 모음 형상을 표현할 수 있고, 도 12에서처럼 3개의 모음측 베이스(110)를 이용해 "ㅔ" 등의 모음 형상을 표현할 수 있으며, 모음측 베이스(110)의 개수 및 모음측 패널부(120)를 접히거나 펼쳐지는 개수를 조절하여 모음을 다양한 사이즈와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음 조립체(100)는 도 21과 22에서처럼 모음측 베이스(110)의 폭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서 모음측 패널부(120)의 1개 변과 마주하고, 모음측 삼각패널(12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모음측 고정패널(160) 및, 모음측 고정패널(160)과 모음측 삼각패널(121)의 1개 변을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모음측 고정패널 연결부(1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음측 고정패널(160)은 폴딩시 모음측 삼각패널(121)과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대응되는 자석 또는 금속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모음측 고정패널(160)은 모음측 삼각패널(121)의 상면 또는 하면에 대응되게 밀착되도록 이등변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모음측 고정패널(160)은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가 동일한 2개의 변이 형성되고, 길이가 동일한 2개의 변보다 길이가 긴 1개의 변이 형성될 수 있다.
모음측 고정패널(160)을 모음측 삼각패널(121)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모음측 고정패널(160)이 자력(척력)에 의해 모음측 삼각패널(121)의 상면 또는 하면이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즉 모음측 고정패널(160)과 모음측 삼각패널(121)이 서로 다른 극성으로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모음측 고정패널(160)은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할 수 있고, 모음측 고정패널(160)의 내부에 자석 또는 금속 소재가 삽입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모음측 고정패널(160)의 외면에는 다양한 색상, 무늬, 음각, 양각 등이 표현될 수 있다.
모음측 고정패널 연결부(170)는 모음측 고정패널(160)과 모음측 삼각패널(121)의 마주하는 단부를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모음측 고정패널 연결부(170)의 양단이 모음측 고정패널(160)과 모음측 삼각패널(121)의 마주하는 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모음측 고정패널(160)과 모음측 삼각패널(121)의 변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음측 패널부(120)들을 직각 방향으로 회동시켜 입체적인 다각면체(정육각형 등) 형상으로 만들 수 있고, 모음측 고정패널(160)을 인접하는 모음측 삼각패널(121)에 부착시켜 다각면체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즉 모음측 패널부(120)가 모음측 베이스(110)의 상부로 돌출되므로 모음을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자음 조립체(200)는 가장자리가 정사각형 형상을 갖는 자음측 베이스(210)와, 가장자리가 정사각형 형상을 갖고, 사선으로 대응하는 두 쌍의 모서리 방향으로 한 쌍의 제2절개선(L2)이 교차되며, 제2절개선(L2)을 기준으로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자음측 패널부(220)와, 자음측 베이스(210)의 4개 변과 자음측 패널부(220)의 1개 변을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각각 연결하는 제1자음측 연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음측 베이스(210)는 자음측 패널부(220)가 상면과 하면에 선택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 넓이로 수평하게 형성되고, 자음측 패널부(220)가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석 또는 금속 소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자음측 베이스(210)는 하나 이상을 이용해 19개의 자음(ㄱ, ㄲ, ㄴ, ㄷ, ㄸ, ㅎ 등)을 표현할 수 있다.
자음측 패널부(220)는 자음측 베이스(210)의 상면과 하면에 선택적으로 부착되어 19개의 자음(ㄱ, ㄲ, ㄴ, ㄷ, ㄸ, ㅎ 등)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자음측 패널부(220)는 자음측 베이스(210)와 반대되는 방향을 따라 4개가 1열로 배열됨과 아울러 배열 방향으로 마주하는 1개 변이 제2자음측 연결부(240)에 의해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고, 자음측 베이스(210)의 4개 변을 따라 3열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자음측 패널부(220)는 도 14 내지 20에서처럼 자음측 베이스(210)의 상면과 하면에 선택적으로 회동되어 하나 이상의 층으로 겹쳐지거나, 자음측 베이스(210)와 반대되는 언폴딩 방향으로 회동되어 하나 이상의 열로 펼쳐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음측 패널부(220)는 가장자리를 따라 3개의 모서리가 형성된 삼각형 형상을 갖고, 2개 변이 제2절개선(L2)을 기준으로 마주하도록 전후좌우 방향에 배치되는 4개의 자음측 삼각패널(221) 및, 마주하는 자음측 삼각패널(122)의 2개 변을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각각 연결하는 자음측 삼각패널 연결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자음측 삼각패널(221)은 이등변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자음측 삼각패널(221)은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가 동일한 2개의 변이 형성되고, 길이가 동일한 2개의 변보다 길이가 긴 1개의 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 길이를 갖는 2개 변이 제2절개선(L2)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마주할 수 있다.
그리고, 자음측 삼각패널(221)은 제2절개선(L2)을 기준으로 폴딩시 상하 방향에서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자석 또는 금속 소재로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자음측 삼각패널(221)을 자음측 베이스(210)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자음측 삼각패널(221)이 자력(척력)에 의해 자음측 베이스(210)의 상면 또는 하면이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절개선(L2)을 기준으로 일측의 자음측 삼각패널(221)이 자석인 경우 반대되는 자음측 삼각패널(221)은 금속 소재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다른 형태로 제2절개선(L2)을 기준으로 일측의 자음측 삼각패널(221)이 플러스(+) 극의 자석인 경우 반대되는 자음측 삼각패널(221)은 마이너스(-) 극의 자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즉 자음측 삼각패널(221)이 서로 다른 극성으로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자음측 삼각패널(221)은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할 수 있고, 자음측 삼각패널(221)의 내부에 자석 또는 금속 소재가 삽입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자음측 삼각패널(221)의 외면에는 다양한 색상, 무늬, 음각, 양각 등이 표현될 수 있다.
자음측 삼각패널 연결부(222)는 제2절개선(L2) 내에서 자음측 삼각패널(221)의 마주하는 단부를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자음측 삼각패널 연결부(222)의 양단이 자음측 삼각패널(221)의 마주하는 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제2절개선(L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자음측 삼각패널 연결부(222)는 자음측 삼각패널(221)을 폴딩 방향으로 회동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자음측 삼각패널 연결부(222)는 고무, 실리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자음측 삼각패널 연결부(222)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자음측 삼각패널(221)을 폴딩 방향으로 회동시켜 대응하는 자음측 삼각패널(221)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경우, 자음측 삼각패널 연결부(222)가 벤딩되면서 형태가 변형될 수 있고, 자음측 삼각패널(221)을 언폴딩 방향으로 수평하게 펼치는 경우 자음측 삼각패널 연결부(222)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와 다른 형태로, 자음측 삼각패널 연결부(222)는 수평 회전중심이 형성된 힌지 구조(미도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음측 삼각패널 연결부(222)의 양단이 수평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마주하는 자음측 삼각패널(221)의 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1자음측 연결부(230)는 자음측 베이스(210)의 폭방향 1개 변과 자음측 패널부(220)의 자음측 삼각패널(221)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자음측 연결부(230)의 양측이 자음측 베이스(210)의 폭방향 1개 변과 자음측 삼각패널(221)의 1개 변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제1자음측 연결부(230)는 고무, 실리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자음측 베이스(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음측 패널부(220)를 폴딩 방향으로 회동시켜 자음측 베이스(210)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경우, 제1자음측 연결부(230)가 벤딩되면서 형태가 변형될 수 있고, 자음측 패널부(220)를 언폴딩 방향으로 수평하게 펼치는 경우 제1자음측 연결부(230)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와 다른 형태로, 제1자음측 연결부(230)는 수평 회전중심이 형성된 힌지 구조(미도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자음측 연결부(230)의 양단이 수평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자음측 베이스(210)와 자음측 삼각패널(221)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2자음측 연결부(240)는 자음측 패널부(220)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자음측 연결부(240)의 양측이 자음측 패널부(220)들의 마주하는 1개 변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제2자음측 연결부(240)는 고무, 실리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자음측 패널부(220)의 변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음측 패널부(220)를 폴딩 방향으로 회동시켜 대응하는 자음측 패널부(220)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경우, 제2자음측 연결부(240)가 벤딩되면서 형태가 변형될 수 있고, 자음측 패널부(220)를 언폴딩 방향으로 수평하게 펼치는 경우 제2자음측 연결부(240)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와 다른 형태로, 제2자음측 연결부(240)는 수평 회전중심이 형성된 힌지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자음측 연결부(240)의 양단이 수평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마주하는 자음측 패널부(220)의 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음 조립체(200)를 이용해 모음을 표현하는 경우, 도 16 내지 19에서처럼 자음측 베이스(210)를 설치면에 안착시킨 후, 자음측 패널부(220)를 자음측 베이스(210)의 상면으로 폴딩시켜 "ㅁ", "ㄹ", "ㅅ", "ㅇ" 등의 자음 형상를 표현할 수 있으며, 도 20에서처럼 하나 이상의 모음 조립체(100)와 하나 이상의 자음 조립체(200)를 조합하여 "한" 등의 한글 형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자음측 패널부(220)에 구비된 자음측 삼각패널(221)들을 제2절개선(L2)을 기준으로 폴딩시켜 "ㅅ", "ㅇ" 등의 자음 형상을 만들 수 있으며, 모음측 베이스(110)와 모음측 패널부(120)를 다각형 형상으로 회동시킨 후, 모음측 베이스(110)의 길이방향측 하단을 설치면에 안착시켜 입체적인 도형을 표현할 수도 있다. 즉 모음측 베이스(110)와 모음측 패널부(120)를 이용해 모음을 표현하거나 입체적인 형태를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만들어진 모음과 자음의 형태가 고정적으로 유지되므로 한글의 형태를 정확하게 학습할 수 있고, 접기와 쌓기 놀이가 가능하므로 한글 학습의 기능과 더불어 놀이용 완구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음측 패널부(120)와 자음측 패널부(220)가 정해진 회동 반경 내에서 회동되므로 자음과 모음의 형상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고, 다중 중첩 구조를 가지므로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모음 조립체(100) 및 자음 조립체(200)의 각 구성들이 일체로 연결되므로 분실의 염려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음 조립체(200)는 도 23과 24에서처럼 자음측 베이스(210)와 반대되는 방향에서 자음측 패널부(220)의 1개 변과 마주하고, 자음측 삼각패널(22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자음측 고정패널(250) 및, 자음측 고정패널(250)과 자음측 삼각패널(221)의 1개 변을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자음측 고정패널 연결부(2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자음측 고정패널(250)은 폴딩시 자음측 삼각패널(221)과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대응되는 자석 또는 금속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자음측 고정패널(250)은 자음측 삼각패널(221)의 상면 또는 하면에 대응되게 밀착되도록 이등변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자음측 고정패널(250)은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가 동일한 2개의 변이 형성되고, 길이가 동일한 2개의 변보다 길이가 긴 1개의 변이 형성될 수 있다.
자음측 고정패널(250)을 자음측 삼각패널(221)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자음측 고정패널(250)이 자력(척력)에 의해 자음측 삼각패널(221)의 상면 또는 하면이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즉 자음측 고정패널(250)과 자음측 삼각패널(221)이 서로 다른 극성으로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자음측 고정패널(250)은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할 수 있고, 자음측 고정패널(250)의 내부에 자석 또는 금속 소재가 삽입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자음측 고정패널(250)의 외면에는 다양한 색상, 무늬, 음각, 양각 등이 표현될 수 있다.
자음측 고정패널 연결부(260)는 자음측 고정패널(250)과 자음측 삼각패널(221)의 마주하는 단부를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자음측 고정패널 연결부(260)의 양단이 자음측 고정패널(250)과 자음측 삼각패널(221)의 마주하는 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자음측 고정패널(250)과 자음측 삼각패널(221)의 변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음측 패널부(220)들을 직각 방향으로 회동시켜 입체적인 다각면체(정육각형 등) 형상으로 만들 수 있고, 자음측 고정패널(250)을 인접하는 자음측 삼각패널(221)에 부착시켜 다각면체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자음측 패널부(220)가 자음측 베이스(210)의 상부로 돌출되므로 자음을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모음 조립체 110: 모음측 베이스
120: 모음측 패널부 121: 모음측 삼각패널
122: 모음측 삼각패널 연결부 130: 제1모음측 연결부
140: 제2모음측 연결부 150: 제3모음측 연결부
160: 모음측 고정패널 170: 모음측 고정패널 연결부
200: 자음 조립체 210: 자음측 베이스
220: 자음측 패널부 221: 자음측 삼각패널
222: 자음측 삼각패널 연결부 230: 제1자음측 연결부
240: 제2자음측 연결부 250: 자음측 고정패널
260: 모음측 고정패널 연결부 L1: 제1절개선
L2: 제2절개선
120: 모음측 패널부 121: 모음측 삼각패널
122: 모음측 삼각패널 연결부 130: 제1모음측 연결부
140: 제2모음측 연결부 150: 제3모음측 연결부
160: 모음측 고정패널 170: 모음측 고정패널 연결부
200: 자음 조립체 210: 자음측 베이스
220: 자음측 패널부 221: 자음측 삼각패널
222: 자음측 삼각패널 연결부 230: 제1자음측 연결부
240: 제2자음측 연결부 250: 자음측 고정패널
260: 모음측 고정패널 연결부 L1: 제1절개선
L2: 제2절개선
Claims (7)
- 가장자리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모음측 베이스와, 가장자리가 정사각형 형상을 갖고, 사선으로 대응하는 두 쌍의 모서리 방향으로 한 쌍의 제1절개선이 교차되며, 상기 제1절개선을 기준으로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의 모음측 패널부와, 상기 모음측 베이스의 폭방향 1개 변과 상기 모음측 패널부의 1개 변을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모음측 연결부를 갖는 모음 조립체; 및
가장자리가 정사각형 형상을 갖는 자음측 베이스와, 가장자리가 정사각형 형상을 갖고, 사선으로 대응하는 두 쌍의 모서리 방향으로 한 쌍의 제2절개선이 교차되며, 상기 제2절개선을 기준으로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자음측 패널부와, 상기 자음측 베이스의 4개 변과 상기 자음측 패널부의 1개 변을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각각 연결하는 제1자음측 연결부를 갖는 자음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모음측 패널부는 상기 모음측 베이스의 폭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따라 4개가 1열로 배열됨과 아울러 배열 방향으로 마주하는 1개 변이 제2모음측 연결부에 의해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모음측 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3열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상기 자음측 패널부는 상기 자음측 베이스와 반대되는 방향을 따라 4개가 1열로 배열됨과 아울러 배열 방향으로 마주하는 1개 변이 제2자음측 연결부에 의해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고, 상기 자음측 베이스의 4개 변을 따라 3열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음측 연결부와 상기 제2모음측 연결부는 상기 모음측 패널부를 폴딩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되며,
상기 제1자음측 연결부와 상기 제2자음측 연결부는 상기 자음측 패널부를 폴딩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측 베이스의 폭방향에 있는 나머지 1개 변을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모음측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모음측 연결부는 어느 하나의 모음 조립체의 모음측 베이스와 다른 하나의 모음 조립체의 모음측 베이스를 폴딩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측 패널부는,
가장자리가 이등변삼각형 형상을 갖고, 동일 길이를 갖는 2개 변이 상기 제1절개선을 기준으로 마주하도록 전후좌우 방향에 배치되는 4개의 모음측 삼각패널 및, 마주하는 상기 모음측 삼각패널의 2개 변을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각각 연결하는 모음측 패널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음측 패널부는,
가장자리가 이등변삼각형 형상을 갖고, 동일 길이를 갖는 2개 변이 상기 제2절개선을 기준으로 마주하도록 전후좌우 방향에 배치되는 4개의 자음측 삼각패널 및, 마주하는 상기 자음측 삼각패널의 2개 변을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각각 연결하는 자음측 패널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측 삼각패널은 상기 제1절개선을 기준으로 폴딩시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자석 또는 금속 소재로 구비되고, 상기 모음측 베이스는 상면과 하면이 상기 모음측 삼각패널과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대응되는 자석 또는 금속 소재로 구비되며,
상기 자음측 삼각패널은 상기 제2절개선을 기준으로 폴딩시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자석 또는 금속 소재로 구비되고, 상기 자음측 베이스는 상면과 하면이 상기 자음측 삼각패널과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대응되는 자석 또는 금속 소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측 베이스와 모음측 패널부가 연결되는 반대 방향에서 상기 모음측 패널부의 1개 변과 마주하고, 상기 모음측 삼각패널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모음측 고정패널 및, 상기 모음측 고정패널과 상기 모음측 삼각패널의 1개 변을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모음측 고정패널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패널은 폴딩시 상기 모음측 삼각패널과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대응되는 자석 또는 금속 소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측 베이스와 자음측 패널부가 연결되는 반대 방향에서 상기 자음측 패널부의 1개 변과 마주하고, 상기 자음측 삼각패널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자음측 고정패널 및, 상기 자음측 고정패널과 상기 자음측 삼각패널의 1개 변을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자음측 고정패널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음측 고정패널은 폴딩시 상기 모음측 삼각패널과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대응되는 자석 또는 금속 소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4754A KR102368473B1 (ko) | 2021-09-17 | 2021-09-17 | 한글 학습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4754A KR102368473B1 (ko) | 2021-09-17 | 2021-09-17 | 한글 학습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68473B1 true KR102368473B1 (ko) | 2022-02-28 |
Family
ID=80497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4754A KR102368473B1 (ko) | 2021-09-17 | 2021-09-17 | 한글 학습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847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14171A (ko) * | 2005-04-29 | 2006-11-06 | 주식회사 바른에듀텍 | 유아용 한글블록 |
KR20100114285A (ko) * | 2009-04-15 | 2010-10-25 | 최상철 | 학습용 퍼즐 |
KR101827521B1 (ko) * | 2016-05-17 | 2018-02-08 | 주식회사 가온한국어 | 훈민정음 제자원리를 이용한 한글 학습 교구 |
KR102298115B1 (ko) * | 2019-11-08 | 2021-09-03 | 송제욱 |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 |
-
2021
- 2021-09-17 KR KR1020210124754A patent/KR10236847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14171A (ko) * | 2005-04-29 | 2006-11-06 | 주식회사 바른에듀텍 | 유아용 한글블록 |
KR20100114285A (ko) * | 2009-04-15 | 2010-10-25 | 최상철 | 학습용 퍼즐 |
KR101827521B1 (ko) * | 2016-05-17 | 2018-02-08 | 주식회사 가온한국어 | 훈민정음 제자원리를 이용한 한글 학습 교구 |
KR102298115B1 (ko) * | 2019-11-08 | 2021-09-03 | 송제욱 |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39735B2 (en) | Three dimensional folded figures with rotating joints | |
US6015149A (en) | Card stacking game | |
US20210027642A1 (en) | Interconnecting alphabet toy | |
WO2018001018A1 (zh) | 积木构件套件 | |
US7452211B1 (en) | Educational box toy and method | |
KR102368473B1 (ko) | 한글 학습장치 | |
KR102202501B1 (ko) | 한글 학습장치 | |
KR100602589B1 (ko) | 블록완구 | |
US9342995B2 (en) | Double-sided, front-to-back-aligned, tactile graphic learning aid | |
Hart et al. | Making math visible | |
KR20100114285A (ko) | 학습용 퍼즐 | |
KR100475483B1 (ko) | 십이교놀이 세트 | |
JP3149263U (ja) | 形態把握演習器 | |
KR200263136Y1 (ko) | 배경판이 구비된 종이접기용 놀이용구 | |
JP6614666B2 (ja) | ブロック教具 | |
TW202009889A (zh) | 漢字學習裝置 | |
JP2009000948A (ja) | カードブック | |
KR200230690Y1 (ko) | 십이교놀이 세트 | |
TWI571295B (zh) | 壓縮可回彈之變形玩偶及其板材 | |
KR102549295B1 (ko) | 연산 블록 | |
KR20240102232A (ko) | 세 개의 글꼴만으로 문자를 형성하는 글꼴 구성체 블록 및 그 글꼴 구성체 블록을 이용한 완성된 문자 조합방법 | |
US20230285869A1 (en) | Polyhedral magnetic toy brick and combined structure | |
KR200336712Y1 (ko) | 유아용 학습구 | |
KR200254946Y1 (ko) | 접는 방식에 따라 알파벳이 변하는 절첩카드 | |
JP2007307187A (ja) | ゲーム用具及びゲー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