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619A - 영어 학습용 교구 - Google Patents

영어 학습용 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2619A
KR20170142619A KR1020160076390A KR20160076390A KR20170142619A KR 20170142619 A KR20170142619 A KR 20170142619A KR 1020160076390 A KR1020160076390 A KR 1020160076390A KR 20160076390 A KR20160076390 A KR 20160076390A KR 20170142619 A KR20170142619 A KR 20170142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word
english
scor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2240B1 (ko
Inventor
김지영
Original Assignee
김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영 filed Critical 김지영
Priority to KR1020160076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240B1/ko
Priority to CN201780026917.0A priority patent/CN109074754B/zh
Priority to PCT/KR2017/004822 priority patent/WO2017222167A2/ko
Publication of KR20170142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2Cards; Special shapes of c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영어 학습용 교구는, 영어단어가 표시된 영어부를 포함하는 단어카드 및 영어단어의 기능에 따른 분류가 표시된 기능표시부와, 상기 단어카드가 장착되는 카드장착부를 포함하는 바디카드를 포함하며, 상기 단어카드와 상기 바디카드의 조합에 따라 점수를 산출하여 다른 플레이어와 경쟁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영어 학습용 교구{Educational Tool for English Learning}
본 발명은 영어 학습용 교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게임을 통해 영어의 문장 구성을 체계적이고 흥미있게 학습할 수 있는 영어 학습용 교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영유아,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영어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다양한 영어학습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영어 학습용 교재, 교구 등이 시판되고 있으며, 그 시장성 역시 매우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종래의 영어 학습용 교재 및 교구는 단순히 낱낱의 영어단어를 학습하거나 이미 완성된 문장을 익히는 방법에 중점을 맞추고 있어 영어의 문장을 구성하고 있는 각 단어의 핵심 역할 및 배열 순서 등을 학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영어 학습용 교구와 같은 경우, 놀이 방법이 일률적이고 단순한 경우가 많아 주 이용대상인 저연령층들이 쉽게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영어의 문장을 구성하고 있는 각 단어의 의미와 핵심 역할 및 배열 순서 등을 게임을 통해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어 학습용 교구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또한 게임 과정을 독창적이고 흥미롭게 구성하여 주 이용대상인 저연령층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지속적인 플레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어 학습용 교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어 학습용 교구는, 영어단어가 표시된 영어부를 포함하는 단어카드 및 영어단어의 기능에 따른 분류가 표시된 기능표시부와, 상기 단어카드가 장착되는 카드장착부를 포함하는 바디카드를 포함하며, 상기 단어카드와 상기 바디카드의 조합에 따라 점수를 산출하여 다른 플레이어와 경쟁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카드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카드의 하단부에는 다른 바디카드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제1결합부가 형성되어, 결합된 바디카드는 상기 제1결합부를 중심으로 부채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카드의 측부에는 다른 바디카드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제2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는 다른 바디카드의 제2결합부와 후크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능표시부는, 명사형 기능표시부, 동사형 기능표시부 또는 특수 기능표시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카드는 연산기호가 기재된 연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어카드는 점수가 기재된 점수부를 포함하여, 상기 연산부 및 상기 점수부를 통해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어카드는 상기 영어부에 표시된 영어단어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어 학습용 교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영어의 문장을 구성하고 있는 각 단어의 핵심 역할 및 배열 순서 등을 게임을 통해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어 교육 효과를 크게 증가시키고, 영어에 대한 기본 원리를 쉽게 이해시키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종래 보편화된 게임 방식에서 벗어나 게임 과정을 독창적이고 흥미롭게 구성하여 주 이용대상인 저연령층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어 지속적인 플레이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바디카드의 결합 방식에 따라 손이 작은 영유아들도 용이하게 복수의 바디카드를 파지한 상태로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바디카드는 기본적으로 빨주노초파남보 무지개색 등 의미를 가지는 다양한 색조합의 순서에 따라 그 기능과 역할이 구분되며, 저연령층 아이들이 색 순서에 따라 바디카드를 결합하고, 같은 색깔, 또는 같은 색 계열의 단어카드를 장착함으로써 다양한 영어 문장을 조합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용 교구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용 교구에 있어서, 바디카드에 단어카드가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용 교구에 있어서, 바디카드가 제2결합부에 의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용 교구에 있어서, 바디카드가 제1결합부에 의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용 교구에 있어서, 단어카드의 점수부와 바디카드의 연산부를 통해 점수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용 교구에 있어서, 복수 종류의 바디카드에 결합이 가능한 단어카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용 교구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용 교구에 있어서, 바디카드(100)에 단어카드(150)가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용 교구는 단어카드(150)와, 바디카드(100)를 포함한다.
상기 단어카드(150) 및 상기 바디카드(100)는 종류에 따라 복수 개가 구성되어 카드덱을 형성하며, 또한 상기 단어카드(150)는 상기 바디카드(100)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단어카드(150) 중 어느 하나를 복수의 바디카드(10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어카드(150)는 다양한 영어단어가 기재된 형태를 가지며, 이들의 성격에 따라 대응되는 바디카드(100)에 장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단어카드(150)는 세부적으로 영어부(152)와, 그림부(154)와, 점수부(155)와, 기능안내부(156)를 포함한다.
상기 영어부(152)는 소정의 영어단어가 기재되는 영역이며, 상기 그림부(154)는 상기 영어부(152)에 관련된 그림이 표시된 영역이다. 즉 상기 그림부(154)는 상기 영어부(152)에 기재된 영어단어의 이해를 시각적으로 돕기 위해 해당 영어단어의 의미 등을 그림으로 표현하게 된다.
상기 점수부(155)는 해당 단어카드(150)의 점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점수부(155)에 기재된 점수는 본 영어 학습용 교구를 이용한 게임의 점수 기산 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점수 가산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기능안내부(156)는 상기 영어부(152)에 표시된 영어단어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해당 단어카드(150)가 어느 바디카드(100)에 장착될 수 있는지를 안내하는 영역이다. 이에 따라 플레이어는 해당 영어단어가 어떤 성격의 기능을 가지는지를 직관적으로 판단, 학습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능안내부(156)는 상기 단어카드(150)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영어부(152)에 기재된 영어단어의 기능에 대응되는 바디카드(100)의 색깔과 동일 계열의 색을 가지는 것으로 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기능안내부(156)의 색과 상기 바디카드(100)의 색을 통해 해당 영어단어를 모른다고 하더라도 기능을 판단할 수 있으며, 자연스러운 학습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카드(100)는 기능표시부(112)와, 카드장착부(110)와, 연산부(114)와, 제1결합부(130, 도 3 참조) 및 제2결합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부(130) 및 제2결합부(120)는 각 바디카드(100)를 서로 연결하여 상호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카드장착부(110)는 전술한 단어카드(150)를 장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영역이며, 상기 단어카드(15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상기 카드장착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카드장착부(110)와 상기 단어카드(150)를 서로 벨크로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들의 결합 방법은 제한 없이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기능표시부(112)는 상기 카드장착부(110)에 장착될 영어단어의 기능에 따른 분류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어떤 단어카드(150)가 상기 카드장착부(110)에 장착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기능표시부(110)는, 명사형 기능표시부, 동사형 기능표시부 또는 특수 기능표시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명사형 기능표시부는 지시카드, 사물변화카드, 사물카드와 같은 형태로 기재되며, 상기 동사형 기능표시부는 능력강화카드, 능력카드, 능력변화카드와 같은 형태로 기재된다. 그리고 상기 특수 기능표시부는, 한정카드와 같은 형태로 기재된다.
즉 상기 기능표시부(110)는 기본적으로 해당 단어의 성격과 기능을 나타내며, 이를 게임에 적용하기 위한 표현으로 바꾸어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바디카드(100)는 상기 기능표시부(110)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능표시부(110)에 지시카드가 인쇄된 바디카드(100)의 경우, 빨간색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명사를 지시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바디카드(100)에는 빨간색 기능안내부(156)를 가지는 단어카드(150)가 장착될 수 있으며, 해당 단어카드(150)에는, 명사를 지시하기 위한 관사, 지시대명사 등이 기재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는 관사 the가 기재된 것으로 예시되었다.
또한 상기 기능표시부(110)에 사물변화카드가 인쇄된 바디카드(100)의 경우, 주황색으로 형성되며, 소정 명사의 성격을 수식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바디카드(100)에는 주황색 기능안내부(156)를 가지는 단어카드(150)가 장착될 수 있으며, 해당 단어카드(150)에는, 명사를 수식하기 위한 형용사 등이 기재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는 형용사 magic이 기재된 것으로 예시되었다. 다만, magic과 같은 영어단어는 형용사 외에 명사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은 경우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능표시부(110)에 사물카드가 인쇄된 바디카드(100)의 경우, 노란색으로 형성되며, 전술한 지시카드, 사물변화카드에 장착된 단어카드(150)에 의해 수식되는 명사를 나타내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바디카드(100)에는 노란색 기능안내부(156)를 가지는 단어카드(150)가 장착될 수 있으며, 해당 단어카드(150)에는, 소정의 명사가 기재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는 명사 monster가 기재된 것으로 예시되었다.
이상과 같이 지시카드, 사물변화카드, 사물카드는 명사와 그 수식어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명사구의 역할을 하는 명사부를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기능표시부(110)에 능력강화카드가 인쇄된 바디카드(100)의 경우, 파란색으로 형성되며 동사의 성격을 강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바디카드(100)에는 파란색 기능안내부(156)를 가지는 단어카드(150)가 장착될 수 있으며, 해당 단어카드(150)에는, 동사의 성격을 강조하기 위한 조동사 등이 기재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는 조동사 can이 기재된 것으로 예시되었다.
또한 상기 기능표시부(110)에 능력카드가 인쇄된 바디카드(100)의 경우, 남색으로 형성되며, 전술한 명사구의 행동 등을 나타내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바디카드(100)에는 남색 기능안내부(156)를 가지는 단어카드(150)가 장착될 수 있으며, 해당 단어카드(150)에는, 명사의 행위 등을 나타내는 동사 등이 기재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는 동사 break가 기재된 것으로 예시되었다. 이때 전술한 magic과 같이, break와 같은 영어단어 역시 동사 외에 명사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기능표시부(110)에 능력변화카드가 인쇄된 바디카드(100)의 경우, 보라색으로 형성되며, 상기 능력카드에 장착된 동사의 구체적인 강도 등을 나타내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바디카드(100)에는 보라색 계열의 기능안내부(156)를 가지는 단어카드(150)가 장착될 수 있으며, 해당 단어카드(150)에는, 동사의 강도, 성격 등을 나타내는 부사 등이 기재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는 부사 well이 기재된 것으로 예시되었다.
이상과 같이 능력강화카드, 능력카드, 능력변화카드는 동사와 그 수식어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동사구의 역할을 하는 동사부를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한정카드의 경우 상기 명사부 및 상기 동사부의 성격을 벗어난 특수한 영어단어가 기재된 단어카드(150)를 장착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초록색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바디카드(100)에는 초록색 계열의 기능안내부(156)를 가지는 단어카드(150)가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영어의 문장을 구성하고 있는 각 단어의 핵심 역할 및 배열 순서 등을 게임을 통해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어 교육 효과를 크게 증가시키고, 영어에 대한 기본 원리를 쉽게 이해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영어단어를 모르고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영어단어의 성격 등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 바디카드(100)의 제1결합부(130) 및 제2결합부(12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용 교구에 있어서, 바디카드(100)가 제2결합부(120)에 의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용 교구에 있어서, 바디카드(100)가 제1결합부(130)에 의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바디카드(100)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부채꼴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카드(100)의 하단부에는 다른 바디카드(100)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제1결합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카드(100)의 측부에는 다른 바디카드(100)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제2결합부(120)가 형성된다.
즉 사용자는 복수의 바디카드(100)를 문장 형태를 이루어 조합한 상태로 서로 결합시켜 상대 플레이어에게 보이지 않는 상태로 파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플레이어는 상대의 현재 카드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로 점수 경쟁을 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주 사용자는 손이 작은 저연령층이 대상이므로, 상기 제1결합부(130) 및 상기 제2결합부(120)는 복수의 바디카드(100)를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손이 작은 플레이어라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결합부(130)는 부채꼴 형태의 상기 바디카드(100)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각 바디카드(100)의 제1결합부(130)는 서로 겹쳐지는 형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결합된 바디카드(100)는 상기 제1결합부(130)를 중심으로 부채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즉 플레이어는 하나로 모인 복수의 제1결합부(130)만을 파지하는 것으로 모든 바디카드(100)를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결합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측에 암벨크로(132a)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카드(100)의 후면 측에 수벨크로(132a)가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며,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1결합부(130)는 서로 전후 방향으로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결합부(120)는 상기 바디카드(100)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도 3과 같이 다른 바디카드(100)의 제2결합부(120)와 후크 형태로 결합되는 형태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결합부(120)에는 후크부(122)와 홈부(124)가 함께 형성되며,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바디카드(100)에 형성된 후크부(122)는 인접한 바디카드(100)에 형성된 홈부(124)에 끼워짐에 따라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결합부(120)는 본 실시예 외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예컨대 벨크로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바디카드(100)의 결합 방식에 따라 손이 작은 영유아들도 용이하게 복수의 바디카드(100)를 파지한 상태로 게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바디카드(100)는 아코디언북과 같은 형태로 다른 바디카드(100)와 결합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복수의 바디카드(100)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도록 조작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점수 기산 방식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용 교구에 있어서, 단어카드(150)의 점수부(155)와 바디카드(100)의 연산부(114)를 통해 점수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 도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바디카드(100)에는, 점수를 연산하기 위한 연산부(114)가 형성되며, 상기 단어카드(150) 중 명사부에 장착되는 단어카드(150)에는 점수를 부여하기 위한 점수부(15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명사부에 해당하는 바디카드(100)의 연산부(114)에는 합연산부호인 +가 기재되며, 상기 동사부에 해당하는 바디카드(100)의 연산부(114)에는 곱연산부호인 X와, 배수가 기재된다.
즉 본 발명은 명사부에 해당하는 바디카드(100)에 장착된 모든 단어카드(150)의 점수부(155)를 합산하고, 이를 동사부에 해당하는 바디카드(100)의 연산부(114)에 나타난 배수에 따라 곱연산하여 최종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을 기준으로 나타난 단어의 조합에 따라 점수를 산출할 경우, (20+30+30)X3X2X2와 같은 수식을 통해 최종 점수인 960점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최종 점수가 높은 플레이어는 승리하게 된다.
한편 단어카드(150)의 영어부(152)에 기재된 영어단어 중에는, 전술한 magic, break와 같이 복수의 품사로서 활용될 수 있는 단어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단어들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안내부(156) 내측에 보조 기능안내부(157)를 추가적으로 형성하여 영어단어의 성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시된 magic과 같은 영어단어의 경우,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로서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명사 자체로서 사용이 가능하므로 단어카드(150)의 테두리에 주황색의 기능안내부(156)과, 노란색의 보조 기능안내부(157)를 이중으로 형성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단어카드(150)는 사물변화카드, 사물카드가 기재된 바디카드(100)에 모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 외에도, 세 가지 이상의 품사 성격을 가지는 단어에 대해서는 보조 기능안내부(157)를 더 추가하여 나타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바디카드 110: 카드장착부
112: 기능표시부 114: 연산부
120: 제2결합부 130: 제1결합부
150: 단어카드 152: 영어부
154: 그림부 155: 점수부
156: 기능안내부

Claims (8)

  1. 영어단어가 표시된 영어부를 포함하는 단어카드; 및
    영어단어의 기능에 따른 분류가 표시된 기능표시부와, 상기 단어카드가 장착되는 카드장착부를 포함하는 바디카드;
    를 포함하며,
    상기 단어카드와 상기 바디카드의 조합에 따라 점수를 산출하여 다른 플레이어와 경쟁하는 영어 학습용 교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카드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된 영어 학습용 교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카드의 하단부에는 다른 바디카드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제1결합부가 형성되어, 결합된 바디카드는 상기 제1결합부를 중심으로 부채 형태를 형성하는 영어 학습용 교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카드의 측부에는 다른 바디카드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제2결합부가 형성된 영어 학습용 교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다른 바디카드의 제2결합부와 후크 형태로 결합되는 영어 학습용 교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표시부는,
    명사형 기능표시부, 동사형 기능표시부 또는 특수 기능표시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영어 학습용 교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카드는 연산기호가 기재된 연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어카드는 점수가 기재된 점수부를 포함하여,
    상기 연산부 및 상기 점수부를 통해 점수를 산출하는 영어 학습용 교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카드는 상기 영어부에 표시된 영어단어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영어 학습용 교구.
KR1020160076390A 2016-06-20 2016-06-20 영어 학습용 교구 KR102052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390A KR102052240B1 (ko) 2016-06-20 2016-06-20 영어 학습용 교구
CN201780026917.0A CN109074754B (zh) 2016-06-20 2017-05-10 学英语用教具
PCT/KR2017/004822 WO2017222167A2 (ko) 2016-06-20 2017-05-10 영어 학습용 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390A KR102052240B1 (ko) 2016-06-20 2016-06-20 영어 학습용 교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619A true KR20170142619A (ko) 2017-12-28
KR102052240B1 KR102052240B1 (ko) 2019-12-04

Family

ID=60784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390A KR102052240B1 (ko) 2016-06-20 2016-06-20 영어 학습용 교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52240B1 (ko)
CN (1) CN109074754B (ko)
WO (1) WO201722216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285A (ko) 2018-05-10 2019-11-20 김성열 언어 학습용 카드
KR102497935B1 (ko) * 2021-09-24 2023-02-09 차이나는마마톡(주) 중국어 문법 학습 교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1847A (zh) * 2021-08-09 2021-12-10 陕西科技大学镐京学院 一种英语词汇助记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290Y1 (ko) * 2003-06-21 2003-09-02 신일수 휴대용 세계시간 조견표
JP3108481U (ja) * 2004-10-29 2005-04-14 株式会社愛知印刷工業 数字計算用カードゲーム具
KR20070037860A (ko) * 2005-10-04 2007-04-09 김승현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KR20110127105A (ko) * 2011-10-24 2011-11-24 김예은 영어셈 교구
KR101289352B1 (ko) * 2012-02-13 2013-07-29 노승기 외국어 학습용 블록 완구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8481B2 (ja) * 1991-09-06 2000-11-13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飽和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の製造法
JP2003000316A (ja) * 2001-06-21 2003-01-07 Maps:Kk 開閉機構及び扇子
KR100468557B1 (ko) * 2002-12-09 2005-01-31 이엘씨코리아(주) 문장잇기 영어학습교구
CN2653619Y (zh) * 2003-08-05 2004-11-03 陈小文 组合式初中数学学习卡
CN200962263Y (zh) * 2006-06-16 2007-10-17 张建伟 多功能玩具
CN200959179Y (zh) * 2006-07-04 2007-10-10 罗振龙 一种组合卡式娱乐教具
JP4108113B1 (ja) * 2007-04-10 2008-06-25 靖雄 角井 カード式学習具、学習装置、学習装置用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記憶媒体
CN202601020U (zh) * 2012-04-23 2012-12-12 张惠学 外语记忆卡
CN202976527U (zh) * 2013-01-01 2013-06-05 东北石油大学 幼儿早期汉英双语发音学习卡
KR101748655B1 (ko) * 2014-10-15 2017-06-20 벨베디어 주식회사 언어 교육 교구, 언어 교육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290Y1 (ko) * 2003-06-21 2003-09-02 신일수 휴대용 세계시간 조견표
JP3108481U (ja) * 2004-10-29 2005-04-14 株式会社愛知印刷工業 数字計算用カードゲーム具
KR20070037860A (ko) * 2005-10-04 2007-04-09 김승현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KR20110127105A (ko) * 2011-10-24 2011-11-24 김예은 영어셈 교구
KR101289352B1 (ko) * 2012-02-13 2013-07-29 노승기 외국어 학습용 블록 완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285A (ko) 2018-05-10 2019-11-20 김성열 언어 학습용 카드
KR102497935B1 (ko) * 2021-09-24 2023-02-09 차이나는마마톡(주) 중국어 문법 학습 교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22167A2 (ko) 2017-12-28
CN109074754B (zh) 2021-02-05
WO2017222167A3 (ko) 2018-02-15
KR102052240B1 (ko) 2019-12-04
CN109074754A (zh)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wley Getting the buggers to write
KR20170142619A (ko) 영어 학습용 교구
JP3162215U (ja) 教育玩具
Morrow Scripture and practices
Fisher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and a national literacy strategy
Dodge Examining Literacy Practices in the Game Magic: The Gathering.
CA2630740A1 (en) A method of teaching reading
KR100781738B1 (ko) 외국어 교습용 게임카드
Soureshjani The effect of contextualizing and decontextualizing techniques on lexical-oriented knowledge of Persian EFL language learners
Williams The Challenge of Spelling in English.
Gee The classroom of popular culture
KR101238154B1 (ko)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201423173Y (zh) 一种汉字拼字玩具
JP2011034032A (ja) 対戦ゲーム型英語学習教材
Hsu et al. Spelland: Situated Language Learning with a Mixed-Reality Spelling Game through Everyday Objects
KR101170957B1 (ko) 영어문장 호환 3원리 학습카드 및 이를 이용한 영어문장 호환 3원리 학습방법
KR100770947B1 (ko) 수의 개념과 사칙 연산 학습을 위한 Turn 방식의 어린이카드 놀이식 학습 교구
Clausen Board Games in the Business Classroom: How to Play" Business Decisions".
Mokhigul THE USAGE OF ESL GAMES IN TEACHING YOUNG LEARNERS
Vardanjani Applying language games in EFL classroom context
CN101561974A (zh) 儿童反义词学习抢答游戏扑克牌
KR20090013627A (ko) 영어 문장 구성을 위한 패턴 훈련 게임기구
O'Keefe Quest to Learn: A collaborative effort to design engaging game-like learning environments
Sebear Understanding as a Finite Ability
Eur A psychoanalytic approach to teach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