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154B1 -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154B1
KR101238154B1 KR20100014166A KR20100014166A KR101238154B1 KR 101238154 B1 KR101238154 B1 KR 101238154B1 KR 20100014166 A KR20100014166 A KR 20100014166A KR 20100014166 A KR20100014166 A KR 20100014166A KR 101238154 B1 KR101238154 B1 KR 101238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entence
display unit
computer
engl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14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4626A (ko
Inventor
손길연
Original Assignee
손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길연 filed Critical 손길연
Priority to KR20100014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154B1/ko
Priority to PCT/KR2010/006729 priority patent/WO2011102583A1/ko
Publication of KR20110094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2Games, e.g. card g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딱딱하고 수동적인 학습방식에서 탈피하여 유저의 수준에 따라 레벨별로, 단계별로, 분야별로 특수 목적으로 개발된 특성화된 카드에 문장구조를 성분별로 쪼개서 단계별로 영어의 전반적인 내용을 기재한 것을 가지고 기기(컴퓨터, 닌텐도, 전자사전, 외국어학습기, PMP, 휴대폰)를 활용한 기능성 게임(Edutainment Game)을 즐기는 동안에 자연스럽게 학습이 이루어지게 하여 영어학습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신개념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즉, 학습동기를 갖고, 자기 스스로 학습목표를 세우고, 학습과정을 실행해가는 자기주도 학습방식에 바탕을 두고 유저의 상상력, 관찰력, 추리력, 연상력 등을 최대한 활용하고, 또한 인지언어학에 기초하여 다양한 색상, 도형, 그림, 부호 등을 활용하여 영어의 학습내용을 단계별로, 레벨별로 기재된 특화된 Card의 장점과 기기(器機)의 특성을 접목하여 유저 자신과 컴퓨터 또는 자기 자신과 다른 유저와 컴퓨터 대전(對戰)게임을 즐기는 동안에 집중력, 관찰력, 호기심, 시각화(visualization), 경쟁심 효과를 극대화시켜 유저(user)의 지능개발과 오락성은 물론, 영어 단어 의미 및 철자 익히기, 영어문장 만들기, 작문 및 번역, 듣고 말하기 등 영어의 전반적인 학습을 자연스럽고 재미있게 익힐 수 있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Deciphered withe a Computer in Recording the Self-directed Studying Method to Learn English by the Edutainment Game Integrating the Merits of the Particularly Designed Cards into the Characters of Studying Machines}
사회적인 분위기와 경제성장 그리고 교육 여건의 개선으로 대부분의 어린이들이나 청소년들은 텍스트보다는 디지털화된 영상물을 더 선호하고, 컴퓨터, 닌텐도, 전자사전, 휴대폰 등과 같은 기계에 익숙해 있고, 이런 것들을 사용하여 여가 시간을 보내는 것을 좋아하고, 이용시간도 증가 추세에 있다는 점, 뿐만 아니라 수많은 학생들이 조기에 학원이나 학교에서 영어 교육을 받거나 영어권에 가서 어학연수를 받고 있지만, 영어 단어(구) 및 문장을 공부하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에 봉착하게 되면서 영어 공부에 대한 흥미를 잃고 영어 학습에 좌절을 느끼고 있다는 점 등을 모두 고려해 볼 때, 그들의 요구와 눈높이에 맞추어 누구나 영어 문장을 쉽고 재미있게 배워 그것을 말할 수 있는 새로운 영어 학습 프로그램이나 학습도구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이런 시대적인 상황에 발맞추어 교육 방식도 바뀌어 가야 한다고 생각하여 기존의 딱딱하고 수동적인 영어학습 방식에서 탈피하여 오락성과 참여성을 높이기 위한,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21세기의 영어학습의 화두는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쉽고 재미있는 학습교재와 학습도구일 것이다.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보다효율적으로 시각과 청각을 활용할 수 있는 영어 학습교재들이 현재 수없이 많이 나와 있고 또 개발 중에 있다. 하지만 학교나 학원에서 사용하는 영어 교재를 보면 21세기 멀티미디어 영어교육이란 껍질을 쓰고 아직도 20세기 영어교육을 그대로 답습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가령 영문법 교재를 보면, 30년 전에 사용했던 교재를 지금도 사용하는 학교나 학원이 아직도 많이 있다는 점은 충격적이다. 이런 교재들은 기존의 수많은 다른 책들과 별다른 차이점을 찾아보기가 어렵고, 이런 책들은 시간이 지나도 기본 내용은 유지한 채 약간의 수정만을 가해서 개정신판 등으로 계속 출판이 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내용에 만화나 그림을 삽입하여 학습자의 시각을 좋게하는 교재도 많아 나오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런 교재들도 내용을 설명하고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그림이 아니라 단지 학습자의 시각적인 효과만을 고려하고 있을 뿐이다.
지금까지의 영어교육이 비효율적이었다는 것을 느꼈다면, 지금쯤은 훨씬 더 발전되고 효과적인 영어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습교재 및 도구나 학습방법도 수요자의 취향에 맞추어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오랫동안 학생들을 현장에서 가르쳐오면서 “어떻게 하면 어려운 영어를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을까?라는 문제를 늘 고민해 왔다. 그 결과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멀리미디어 영상 기능을 갖고 있는 기기를 이용한 입체적인 게임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는 영어 학습 소프트웨어 개발을 생각했다. 이런 게임을 개발하려면, 우선 유저 자신과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자신과 다른 유저들 간에 게임을 즐기려면 오락적인 재미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게임이 흥미와 재미를 유발하려면, 게임 규칙이 있어야 하고, 유저들이 게임에 지속성을 갖고 몰입할 수 있어야 하며, 이들이 게임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게임을 하는 동안 소속감을 느낄 수 있어야 하고, 게임 레벨이나 게임 종류, 게임 상대자를 자신이 직접 선택할 수 있어야만 하고, 승자가 되었을 때 보상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뿐만 아니라 이런 '오락성'과 '참여성'이 강한 기능성 게임을 하면서 학습의 동기 유발을 통해 자기 자신이 주도력을 갖고 학습과정을 선택하고 실천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자기주도 영어 학습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색상, 도형, 부호, 그림 이미지를 활용한 카드를 이용하여 대전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영어 학습방법 및 그 학습장치로, 자신의 연상력, 상상력, 추리력, 논리력, 통찰력을 바탕으로 다른 유저들과 게임을 하는 과정 속에서 흥미를 느끼며 자연스럽게 학습이 이루어지고, 뿐만 아니라 유저들에게 오락성, 창의성, 유익성, 참여성. 인내성 등을 동시에 제공하여 어려운 영어를 즐기면서 손쉽게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국내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는 컴퓨터, 닌텐도, 휴대폰, PMP, 전자사전 등과 같은 기기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게임을 즐기면서 학습자가 알파벳, 단어, 숙어는 물론 유저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영문구조나 작문 및 번역을 습득하여 영어의 전반적인 내용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유저가 자신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으로 회원가입을 하도록 하는 단계(S100)와; 상기 단계(S100) 후, 유저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로그인 하도록 하는 단계(S110)와; 상기 단계(S110) 후, 상기 컴퓨터에서 로그인한 유저에게 소정의 사이버 머니를 제공하는 단계(S120)와; 상기 단계(S120) 후, 로그인한 유저가 컴퓨터를 통해 자신의 영어 수준에 맞는 레벨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S130)와; 상기 단계(S130) 후, 동일한 레벨 내에 자신이 원하는 플레이 방으로 개인 또는 다수명이 참가하도록 하는 단계(S140)와; 상기 단계(S140) 후, 상기 플레이 방 내에 일정 수준의 인원이 차면, 상기 컴퓨터가 게임시작을 알리며 다수 장의 카드(110)를 섞은 후, 시계방향으로 유저들에게 레벨에 따라 차등을 두어 2~10 장의 카드(110)를 건네주되, 다수 번 행하여 유저가 유저 자신이 이미 소지하고 있는 카드에 공통 카드부(60)에서 카드 한 장을 더 가져와 보태도록 하는 단계(S150)와; 상기 단계(S150) 후, 상기 플레이 방을 만든 선이 컴퓨터를 통해 자신의 카드(110)를 확인하여, 완성하고자 하는 영어 문장의 형식 및 소지 가능한 카드의 개수를 게임승리 조건으로 사전 지정하여 선언하도록 하는 단계(S160)와; 상기 단계(S160) 후, 컴퓨터는 다수의 유저가 컴퓨터를 통해 다수의 카드를 받고, 상기 공통 카드부(60)에서 시계방향으로 카드 한 장을 가져와 선이 선언한 게임승리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카드를 조합하기 위해 유저 자신이 이미 소지하고 있는 카드와 비교해 보고 자신의 카드와 관련이 있으면 소지하고, 가장 관련이 없는 카드는 바닥에 내려놓도록 하는 단계(S170)와; 상기 단계(S170) 후, 각 유저는 컴퓨터를 통해 선이 선언한 형식에 맞도록 다수의 카드를 조합하여 문장을 만들되, 가지고 있는 카드(110)만으로 문장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자신의 순서가 되면 공통 카드부(60)에서 한 장을 가져오도록 하는 단계(S180)와; 상기 단계(S180) 후,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카드(110)와 공통 카드부(60)에서 가져온 카드를 가지고 상기 선이 선언한 게임승리조건에 맞춰 가장 먼저 카드를 조합한 유저는 컴퓨터를 통해 모든 카드(110)를 오픈(Open)하며 승리를 선언하도록 하는 단계(S190)와; 상기 단계(S190) 후, 정답여부를 확인한 후 맞으면 컴퓨터에서 효과음이 울리는 단계(S200)와;
상기 단계(S200) 후, 상기 컴퓨터는 승자에게는 소정수준의 점수 또는 사이버 머니를 가산시켜 레벨 규칙으로 정해놓은 소정점수까지 올라가면 한 등급 상승시키고, 패자에게는 소정수준의 점수 또는 사이버 머니를 삭감하여, 하한선으로 정해놓은 소정점수까지 내려가면 한 등급 내려가도록 하는 단계(S210)와; 상기 단계(S210) 후, 각 유저가 컴퓨터를 통해 자신의 랭킹을 확인받는 단계(S220)와; 상기 단계(S220) 후, 컴퓨터를 통해 게임이 종료되도록 하는 단계(S2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드(110)는 직사각형,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세모형 중 하나의 형태를 가지되, 영어의 단어(구)가 기록되며, 도형으로 표시되는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와; 상기 단어의 문장 내 구성성분이 무엇인지 또는 상기 단어의 구성성분이 포함된 문장의 구성성분 구조가 표시되는 메인 표시부(10); 상기 단어의 의미에 해당되는 그림이 표시되는 이미지 표시부(30)와; 상기 단어의 문장성분이 기록되어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와 동일한 형상과 색상을 가지는 복제 표시부(41)와, 상기 복제 표시부(41)의 전단 또는 후단 또는 전, 후단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조합되어 일체를 이루는 참고 형상 표시부(42)로 이루어지는 문장 결합구조 표시부(40); 로 구성되어 영어문장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드(110)는 직사각형,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세모형 중 하나의 형태를 가지되, 영어 및 국어 단어(구)가 함께 기록되며, 도형으로 표시되는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와; 상기 단어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는 국어문장 예문이 색상을 이용하여 문장 구성성분별로 쪼개서 표시되는 메인 표시부(10); 상기 국어 문장에 포함되어 있는 다수의 문장 구성성분들 중 하나가 영문 및 국문으로 기재되되, 상기 단어 또는 국어문장 예문에 해당되는 그림이 표시되는 이미지 표시부(30)와; 상기 단어의 문장성분이 도형으로 표시되는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와 동일한 형상의 복제 표시부(41)와, 상기 복제 표시부(41)의 전단 또는 후단 또는 전, 후단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조합되어 일체를 이루는 참고 형상 표시부(42)로 이루어지는 문장 결합구조 표시부(40); 로 구성되어 영어작문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드(110)는 직사각형,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세모형 중 하나의 형태를 가지되, 영어 문장이 기재되어 있는 메인 표시부(10)와; 상기 영어 문장에 포함되어 있는 다수의 문장 구성성분들 중 하나가 국문 및 영문으로 기재되되, 도형으로 표시되는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와; 상기 영어 문장의 의미에 해당되는 그림이 표시되는 이미지 표시부(30)와; 상기 단어의 문장성분이 기록되어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와 동일한 형상과 색상을 가지는 복제 표시부(41)와, 상기 복제 표시부(41)의 전단 또는 후단 또는 전, 후단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조합되어 일체를 이루는 참고 형상 표시부(42)로 이루어지는 문장 결합구조 표시부(40); 로 구성되어 번역문(영어문장이 국어문장으로 어떻게 표현되는지)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드(110)에는 상기 복제 표시부(41)와 동일한 형상과 색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의 단어와 조합 가능한 단어가 기재되는 힌트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50);가 더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 유저들이 컴퓨터를 통해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각 카드의 상기 참고 형상 표시부(42)와 동일한 형상 및 색상으로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가 표시되는 카드를 공통 카드부(60)로부터 습득하여, 선이 사전에 지정한 소지 가능한 카드 개수에 맞춰 문장을 완성해 나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 메인 표시부(10), 이미지 표시부(30), 문장 결합구조 표시부(40)는 카드 일면에 무작위로 배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선이 선언한 게임승리 조건에 따라 조합해야 하는 카드의 개수 또는 카드에 표시되는 다수의 표시부가 유저의 수준에 따라 차등을 두어 증감과 삭제되어 표시됨으로써 게임 레벨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 장의 카드(110)에는 선이 지정한 영어 문장의 형식에 모든 구성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거나 또는 다른 유저의 카드나 남아있는 공통 카드부(60)에서 임의로 카드를 추가적으로 가져올 수 있는 카드와 같은 다양한 보너스 카드들이 섞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계(S170)에서, 원활한 게임이 진행되게 하기 위해 10초 내지 15초 이내의 시간을 초과하여 카드를 내려놓거나, 또는 시간을 초과하여 카드를 내려놓는 횟수가 선이 지정한 일정 횟수를 넘게 되는 경우, Time System(시간제)의 게임규칙을 적용하여, 해당 유저에게 반칙패를 적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드(110)는 손으로 만질 수 있는 실물형태의 카드로 제작되어, 온라인(On-Line) 상이 아닌 오프라인(Off-Line) 상에서도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영어, 일본어, 중국어, 불어, 독일어, 서반어 중 하나의 언어를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양한 색상, 그림, 부호, 도형을 활용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영어 문장, 작문, 번역문 익히기를 위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이 컴퓨터, 전자사전, 외국어학습기, PMP, 휴대폰 중 하나에 적용되어 자기주도 학습장치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첫째, 영어를 단순히 패턴이나 문장을 통째로 암기하고 반복하는 수동적인 학습방식이 아니라 '오락성'과 '참여성'을 높여 유저들이 주체가 되어 능동적으로 게임을 즐기면서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식이기 때문에 유저들에게 현저한 학습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게임의 유저들이 기능성 게임(Edutainment Game)을 하는 동안 오락성은 물론 높은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셋째, 게임 학습 항목에 따라 다양한 게임 방식을 유저가 직접 선택하여 단순히 단어나 숙어 학습이 아닌 문법, 문장 익히기는 물론 듣기, 말하기, 쓰기 등 영어와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들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가 있다.
넷째, 유저는 자신의 수준에 맞추어 단계별로, 분야별로 세분화된 항목별 게임을 자기 자신이 직접 선택하여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유저 레벨별로 이용할 수 있는 힌트가 학습카드나 기기에 주어지기 때문에 유저가 소구층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영어의 왕초보자부터 고급자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유저층이 이용하여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섯째, 다양한 색상, 도형, 부호, 이미지 등을 활용한 문장 구성성분의 도식화를 통해, 단어 의미나 문장 내 그 단어의 쓰임 방법은 물론, 어떤 상황에서 그 단어와 문장이 사용되는지를 정확하게 익힐 수 있고, 내용들을 오래 기억할 수가 있다.
여섯째, 기존의 기기에 적용하여 이용하는 것이므로 접근성, 용이성, 간편성, 보편성 등의 장점을 갖고 있다.
일곱째, 게임에 참여하는 유저의 학습 수준에 따라, 단계별로 다양한 게임 선택과 유저의 인원수에 맞춰, 다양한 카드 숫자 조정과 유저의 선호도에 따라 다양한 아이뎀을 선택하여 게임을 재미있게 즐길 수 있다.
여덟째, 영어를 비롯한 외국어는 물론 다른 학문분야에서도 폭넓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업성이 높다.
아홉째, 카드 게임은 오락성과 학습성뿐만 아니라 유저의 창의력, 판단력, 논리력, 집중력, 관찰력, 기억력 등을 향상시켜 이들의 잠재적인 지능개발에도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열째, On Line 뿐만 아니라 Off Line 상에서 모든 연령층이 저렴한 비용으로 즐길 수 있다.
열한 번째,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문장을 이미지로 연상하고, 자신의 카드를 갖고 어떤 완성된 문장을 만들 수 있는지를 해당 카드에 색상과 도형으로 나타낸 문장 구성성분, 부호로 나타낸 문장구조 등의 힌트를 통해 유저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단어를 하나의 의미로 끊어서 암기가 아닌 문장 속에서 의미 덩어리로 이해를 위주로 연상시키는 신개념 "자기주도 학습법"이기 때문에 유저의 국어식 사고에서 영어식 사고로 자연스럽게 전환시켜 학습자의 언어능력을 현저하게 향상시켜 준다.
열두 번째, 학교, 학원, 가정 등 장소나 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다.
열세 번째, 오락성과 유익성(학습성) 추구 욕구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기에, 유저층 확보가 용이하고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학습게임으로서 자리메김하기에 좋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색상, 그림, 부호, 도형을 활용한 다양한 카드의 종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색상, 그림, 부호, 도형을 활용한 다양한 카드의 종류를 나타낸 또 다른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방법이 영어문장 익히기에 사용되는 경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학습방법이 영작문 익히기에 사용되는 경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방법이 번역문 익히기에 사용되는 경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방법이 사용된 장치의 디스플레이 형태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평면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방법에 사용되는 카드(110)의 구조를 살펴보면, 우선, 상기 카드의 형상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세모형 등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가능하며, 카드 전면을 다수의 표시부를 두어 내용 및 힌트를 개재한다.(물론,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일면을 가로 또는 세로 또는 가로와 세로로 다수번 구획하여, 다수의 표시부를 기재할 수도 있음이다.)
즉, 학습하고자 하는 영어 문장구조 또는 영작 및 번역(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서, 영어, 일본어, 중국어, 불어, 독일어, 서반어 등과 같은 언어가 적용되어, 해당 언어의 문장구조 및 작문 및 번역 학습에 사용될 수 있음이다.)과 관련하여, 해당 카드에 기재된 단어나 구가 문장 내에서 어떤 문장 구성성분으로 쓰이는지와 다른 어떤 문장 구성성분과 결합하는지를 부호나 예문으로 나타내주는 메인 표시부(10)와, 해당 카드에 기재되어 있는 단어가 문장에서 어떤 성분으로 쓰이는지를 도형과 색상으로 나타내 주는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와, 해당 카드에 기재된 단어(구)가 어떤 의미로 쓰이는지를 그림 이미지로 나타내 주는 이미지 표시부(30)와, 문장 구성성분을 도형으로 도식화하여 해당 카드가 어떤 문장형식에서 다른 문장 구성성분과 어떻게 결합하여 문장을 이루게 되는지를 나타내 주는 도식화한 문장 결합구조 표시부(4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의 카드를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의 메인 표시부(10),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 이미지 표시부(30), 문장 결합구조 표시부(40)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는, 박스 형태를 이루는 도형 내부를 가지며, 내부에 사용자가 지정한 색상으로 채워지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 내부에는 문장을 이루기 위한 단어부(21)(ex: 'went' 또는 'my friend' 등)가 표시되어 있으며,(상기 단어부(21)는 실시예에 따라 영어 단어, 또는 영어 단어 및 국문 단어가 혼용되어 사용되어 질 수 있는데, 영어문장을 학습하기 위한 카드(도 3에 도시)에서는 도 1의 (A)와 같이 영문 단어만이 표시되어 지고, 영어작문 학습을 위한 카드(도 4와 도 5에 도시)에서는 도 1의 (B), (C)와 같이 영문 단어가 국문 단어의 상단에 위치되어 표시되고, 영어 번역문 학습을 위한 카드(도 6에 도시)에서는 도 1의 D처럼 국문 단어가 영문 단어의 상단에 위치되어 표시될 수 있다.)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는 사각형 형태의 형상을 가지거나, 사각형 형상에서 일측 또는 타측 또는 양측이 '>' 또는 '<'자 형태로 내부로 파여지는 내입부(44)를 형성하거나, 상기 내입부(44)와 대응되도록 '<' 또는 '>'자 형태로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43)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내입부(44)의 파여지는 형상 및 돌출부(43)의 돌출되는 형상은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파여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에서 'went'라 적혀있는 첫번째 카드(①)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의 경우에는 일단측에 내부로 파여지는 '>'자 형태의 내입부(44)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메인 표시부(10)는 전술된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 내에 기재된 단어가 문장 내에서 어떤 문장 구성성분(ex: 주어(S), 술어(동사)(V), 목적어(O), 수식어(M) 등)으로 쓰이는지 또는 다른 어떤 문장 구성성분과 결합하는지가 표시되는 곳으로, 도 3에 도시된 2장의 카드(①, ②)에는 'S+V1' 와 'O' 라 각각 표시가 되어 있다.
즉, 도 3의 두번째 카드(②)를 살펴보면, 상기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에 기재된 'my friend'가 목적어임을 나타내 주기 위해, 상기 메인 표시부(10)에 '0'라 기재된 것이고, 첫번째 카드(①)를 살펴보면, 'went'가 1형식 동사임을 나타내주기 위해 'V1'이라 표시되고, 이는 주어 'S'와 조합되는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 물론, 첫번째 카드에 기재된 메인 표시부(10)의 'S+V1'는 'went'에 해당되는 'V1' 부분을 상기 해당되지 않는 나머지 구성성분 'S'와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하여 구분 지을 수 있음이다.
더불어,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성분과의 결합관계('S+V1')를 메인 표시부(10)에 표시하여 영어문장을 익히는 것과 달리,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의 'He'에 해당되는 단어의 의미가 포함된(ex: 그는) 국어문장 예문을 메인 표시부(10)에 기재되도록 하여, 영작문을 익히는데 도움이 되도록 할 수 있음이다.(이는 하기에서 도 5를 설명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메인 표시부(10)는 영어의 기본 1, 2, 3, 4, 5형식 중 하나를 표시하되, 구 또는 단어 상호간의 결합으로는 '+'(플러스)가 사용되도록 하고, 상기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에 표시된 단어 또는 구와 동일한 메인 표시부(10)의 문장의 구성성분은 상기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 도형 내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글자를 표시하고, 상기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에 표시된 단어 또는 구와 동일하지 않은 메인 표시부(10)의 문장 구성성분은 상기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와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하고, 다른 문장 구성성분이 추가적으로 올 수 있다는 것을 부호 '~' 로 표시하며, 필수는 아니지만 중심어를 보충할 수 있는 수식어 문장 구성성분은 '(M)' 로 표시하되, 메인 표시부(10)에 동사(V)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 동사의 사용 쓰임새에 따라 상기 메인 표시부(10)의 동사(V) 옆에 1, 2, 3, 4, 5 중 하나의 숫자를 기재하여 가령 동사가 목적어만을 필요로 하는 완전타동사라면 "V3"라고 표시하여 그 동사가 문장 내에서 어떤 구조로 쓰이고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표시부(30)는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에 쓰여진 단어가 어떤 의미로 쓰이는지를 그림 이미지로 표시되는 부분이다.
상기 문장 결합구조 표시부(40)는, 문장 구성성분을 도형으로 도식화하여 해당 카드가 어떤 문장형식에서 다른 문장 구성성분과 어떻게 결합하여 문장을 이루게 되는지를 나타내는 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된 첫번째 카드(①)를 가지고 설명하면, 상기 첫번째 카드(①)의 문장 결합구조 표시부(40)에는,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의 형상이 동일하게 표시되되, 내부에 'went'라는 단어 대신, went의 구성성분인 'V'(동사)가 표시되는 복제 표시부(41)와, 상기 복제 표시부(41)의 일단, 또는 타단 또는 양단부에 선택적으로 대응 조합되어 일체형을 이루는 도형의 참고 형상 표시부(42)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참고 형상 표시부(42)는 단일개 또는 다수개가 사용되어 질 수 있음이다.
즉, 도 3의 첫번째 카드(①)는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의 표시되어 있는 went라는 단어가 상기 메인 표시부(10) 및 문장 결합구조 표시부(40)를 통해, 동사 카드라는 것 및 상기 went의 전단에 구성성분이 주어인 'S'가 조합되어 문장을 이룰수 있되, 상기 주어 'S'가 기재되어 있는 카드는 상기 참고 형상 표시부(42)와 동일한 형상과 색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이미지 표시부(30)를 통해 상기 'went'라는 단어의 의미를 알 수 있게 된다.
이에, 유저는 메인 표시부(10)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첫번째 카드(①)와 조합되는 'S'에 해당되는 주어 카드를 습득하면 되되, 문장 결합구조 표시부(40)에서 복제 표시부(41)(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부(43)가 형성된 형상의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를 가진 주어(S) 카드.)와 대응되어 조합되어 있는 동일한 형상과 색상을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로 사용하고 있는 카드를 습득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힌트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참고 형상 표시부(42)와 동일한 도형의 형상을 가지되, 상기 단어와 조합되는 단어가 직접 기재되도록 함으로써, 선이 선언한 문장을 완성하기 위한 다른 카드의 선택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도록 한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상기의 카드 내 다수의 표시부, 즉, 상기의 메인 표시부(10),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 이미지 표시부(30), 문장 결합구조 표시부(40), 힌트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50)는 카드의 전면에 기재되되, 상호간 어떠한 일정한 순서나 배치에 상관없이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고 자유롭게 나열되고 배치될 수 있음이다.
또한, 이러한 상기의 메인 표시부(10),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 이미지 표시부(30), 문장 결합구조 표시부(40), 힌트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50) 중, 영어 단어가 표시되는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를 제외한 나머지 표시부들이 선택적으로 하나씩 표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카드에 기재되어 연관된 다른 카드를 찾는데 도움을 주는 표시부의 기재를 줄여, 초급자에서 고급자로 넘어가는 방식의 게임 레벨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다양하게 구현할 수가 있다. (물론, 카드에 표시되지 않는 표시부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메인 표시부(10), 이미지 표시부(30), 문장 결합구조 표시부(40), 힌트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50) 중에서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카드에 표시되는 표시부의 수가 적을수록, 조합해서 완성해야만 하는 선이 제시한 카드 개수가 증가할수록 레벨이 증가됨은 당연할 것이다. 즉 ,누구나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저에게 힌트로 제공되는 메인 표시부(10), 이미지 표시부(30), 문장 결합구조 표시부(40), 힌트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50)를 유저의 수준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차등을 두어 증감과 삭제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일실시예로 이미지 표시부(30)와 문장 결합구조 표시부(40)가 생략되어 메인 표시부(10)와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만이 표시된 카드의 예시를 도 2에 도시했다.)
상기의 카드를 이용하여 게임을 하는 방법은, 통상의 카드게임 방식과 비슷하되, 각 유저에게 임의의 카드를 사용자들이 사전에 지정한 임의의 장수로 동일하게 배분한 후, 선이 제시한 영어 문장을 자신이 가지고 있는 카드의 조합을 통해 완성시키는 것으로,(물론, 완성되어 조합되는 카드의 개수(장수) 또한 선이 지정할 수 있을 것이다. (ex: 3장으로 이루어지는 주어↔술어↔목적어↔수식어 형태의 문장 완성하기 등))자신이 가지고 카드로 조합이 불가능할 경우, 공통 카드부(60)에서 하나씩 카드를 가져오되, 가지고 있는 카드 중 하나를 다른 유저들이 볼수있도록 외부에 내놓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예를 들어, 선이 주어↔술어↔목적어↔수식어가 일치하는 3장의 카드를 가장 우선적으로 조합하는 것을 제시하면, 유저 각자는 다양한 색상, 도형, 그림, 부호 등을 활용하여 만든 각각의 상기 카드에, 다른 문장 구성성분의 단어가 기재된 2~9장의 카드를 받은 후, 공통 카드부에서 카드 하나를 가져와서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카드와 조합하여 어떤 완전한 의미를 갖춘 문장이 될 수 있도록 각각의 문장 구성성분, 즉 주어↔술어(동사)↔목적어↔수식어가 일치하는 2~10장의 카드를 가장 우선적으로 조합하는 유저가 승리하는 게임이다.)
하지만, 종래의 카드게임 방식과 상이한 점은, 카드 내에 표시되어 있는 전술된 다수의 표시부, 즉 메인 표시부(10),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 이미지 표시부(30), 문장 결합구조 표시부(40) 및 힌트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50)를 통해 힌트를 얻어, 선이 지정한 영어문장을 완성시키는데 필요로 하는 다음 카드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카드 내에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를 도형으로 형상화하되, 상기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와 대응되며 일단 또는 타단, 또는 양단에 조합될 수 있는 도형 형상의 참고 형상 표시부(42) 및 힌트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50)를 표시하여, 필요로 하는 카드를 찾을 수 있도록 유저에게 해당 카드에 기재된 단어나 구에 대해 다양한 힌트 정보를 유저의 레벨별로 차등을 두어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는 유저가 자신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으로 회원가입을 하도록 하는 단계(S100)와; 상기 단계(S100) 후, 유저가 컴퓨터를 통해 로그인 하는 단계(S110)와; 상기 단계(S110) 후, 상기 컴퓨터에서 로그인한 유저에게 소정의 사이버 머니를 제공하는 단계(S120)와; 상기 단계(S120) 후, 로그인한 유저가 컴퓨터를 통해 자신의 영어 수준에 맞는 레벨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S130)와; 상기 단계(S130) 후, 동일한 레벨 내에 자신이 원하는 플레이 방으로 개인 또는 다수명이 참가하도록 하는 단계(S140)와; 상기 단계(S140) 후, 상기 플레이 방 내에 일정 수준의 인원이 차면, 상기 컴퓨터가 게임시작을 알리며 다수 장의 카드(110)를 섞은 후, 시계방향으로 유저들에게 레벨에 따라 차등을 두어 2~10 장의 카드(110)를 배분하는 단계(S150)와; 상기 단계(S150) 후, 상기 플레이 방을 만든 선이 컴퓨터를 통해 자신의 카드(110)를 확인하여, 완성하고자 하는 영어 문장과 국어문장 완성시 필요한 카드의 소지 개수를 게임승리 조건으로 선언하도록 하는 단계(S160)와; 상기 단계(S160) 후, 컴퓨터는 다수의 유저가 컴퓨터를 통해 다수의 카드를 받고, 상기 공통 카드부(60)에서 시계방향으로 카드 한 장을 가져와 선이 선언한 게임승리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카드를 조합하기 위해 유저 자신이 이미 소지하고 있는 카드와 비교해 보고 자신의 카드와 관련이 있으면 소지하고, 가장 관련이 없는 카드는 바닥에 내려놓도록 하는 단계(S170)와;(이때, 실시예에 따라서는 바로 앞 순서의 유저의 플레이가 끝난 후, 자신의 차례에서 10초 내지 15초 이내의 시간을 초과하여 카드를 내려놓거나, 또는 시간을 초과하여 카드를 내려놓는 횟수가 선이 지정한 일정 횟수를 넘게 되는 경우, Time System(시간제)의 게임규칙을 적용하여, 해당 유저에게 반칙패가 적용될 수도 있음이다.) 상기 단계(S170) 후, 각 유저는 컴퓨터를 통해 선이 선언한 형식에 맞도록 다수의 카드를 조합하여 문장을 만들되, 가지고 있는 카드(110)만으로 문장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자신의 순서가 되면 공통 카드부(60)에서 한 장을 가져오도록 하는 단계(S190)와; 상기 단계(S190) 후,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카드(110)와 공통 카드부(60)에서 가져온 카드를 가지고 상기 선이 선언한 게임승리 조건에 맞춰 가장 먼저 카드를 조합한 유저가 컴퓨터를 통해 모든 카드(110)를 오픈(Open)하며 승리를 선언하도록 하는 단계(S200)와; 상기 단계(S200) 후, 정답여부를 확인한 후 맞으면 컴퓨터에서 효과음이 울리는 단계(S210)와; 상기 단계(S210) 후, 상기 컴퓨터는 승자에게는 소정수준의 점수 또는 사이버 머니를 가산시켜 레벨 규칙으로 정해놓은 소정점수까지 올라가면 한 등급 상승시키고, 패자에게는 소정수준의 점수 또는 사이버 머니를 삭감하여, 하한선으로 정해놓은 소정점수까지 내려가면 한 등급 내리는 단계(S220)와; 상기 단계(S220) 후, 유저 각자가 컴퓨터를 통해 자신의 랭킹을 확인받는 단계(S230)와; 상기 단계(S230) 후, 컴퓨터를 통해 게임이 종료되도록 하는 단계(S2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상기 S120단계에서 처럼, 최초 게임이 시작시, 각 참가자들에게 소정의 기본 점수 또는 사이버 머니를 제공하되, 일정시간 내(사용자 또는 선이 지정한 소정의 시간으로 그 시간은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음이다.) 선이 선언한 게임승리조건(1형식 내지 5형식 중 선이 지정한 하나의 문장을 완성하되, 카드의 개수를 선이 지정한 개수만큼 소지하여 문장을 완성하는 방식.)에 맞춰 올바른 문장을 완성했을 경우 일정수준의 점수 또는 사이버 머니를 가산하고, 일정시간 내 올바른 문장을 완성하지 못했을 경우 일정 수준의 점수 또는 사이버 머니(cyber money)를 삭감하여,(상기 점수 및 사이버 머니의 증감 정도 또한 사전에 미리 지정할 수 있으며, 그 액수 또한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최종 점수 또는 사이버 머니의 획득량에 따라 유저(참가자)들의 레벨 등급이 수시로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각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도 1은 (A)의 경우,(도 3에 도시되어 있음) 영어문장을 학습하는 경우 사용되는 카드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고, (B)와 (C)의 경우,(도 4과 도 5에 각각 도시되어 있음) 영작문을 학습하되, 힌트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가 표시된 경우 및 힌트 문장구성 표시부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되는 카드의 형상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것이며, (D)의 경우,(도 6에 도시되어 있음) 영어 번역문을 학습하는 경우 사용되는 카드의 형상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하기에서 도 3 내지 도 6을 설명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유저에게 다양한 색상, 도형, 그림, 부호 등을 활용하여 만든 각각의 카드에 다른 문장성분의 단어가 기재된 2장의 카드를 제공하되, 최종적으로 3장까지의 카드 소지가 가능하도록 하며(선이 사전에 지정), 공통 카드부(60)에서 카드 하나를 가져와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카드와 조합하여, 선이 지정한 완전한 의미를 갖춘 문장이 될 수 있도록 각각의 문장성분, 즉 주어↔술어(동사)↔목적어↔수식어가 일치하는 3장의 카드를 가장 우선적으로 조합하는 유저가 승리하는 게임이다.
상기 도 3은 유저가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에 영어 단어(구)가 '1형식 동사(went)'와 '목적어(my friend)', 가 기재된 카드 2장을 받아서 소지한 경우로서, 유저가 '동사(1형식 동사)'와 '목적어'가 기재된 카드 2장(①, ②)을 소지하고 게임을 하는 도중에 공통 카드부(60)에서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동사' 카드와 문장을 이룰 수 있는 '주어(Children)' 카드(③)를 공통 카드부(60)에서 가져오면서'목적어(my friend)' 카드(②)를 내놓는 경우로써, 이 경우, 이미 완전한 문장, 즉 "Children went"를 조합할 수 있어 게임을 종료할 수 있으나, 더 높은 보너스 점수를 얻기 위해 게임을 계속 진행시키면서, 1형식 문장에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수식어(to a playground)'가 기재한 카드(④)를 가져와 게임이 종료되는 경우이다.
즉, "Children went (to a playground)." 문장을 이루어 보너스 점수를 받고 게임에서 승자가 될 수 있는 경우이다. (즉, 유저는 공통 카드부(60)에서 카드를 가져와서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카드와 비교하여 문장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카드를 내어 놓고, 게임을 계속하면서 자신의 카드와 조합이 되는 다른 카드를 가져오면 되는 것이다.)
상기 도 4는 도 3과 같이 영어문장을 익히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가 4장의 카드를 받은 후, 선이 제시한 '5장의 카드로 완전한 의미가 전달되는 올바른 문장을 조합'에 부합되도록, 공통 카드부(60)에서 다른 1장을 가져와, 5장의 카드로 완전한 의미가 전달되는 올바른 문장을 조합하는 카드 게임으로써, 상기 도 3에 비해 레벨이 상승된 경우의 예이다.
도 4에서는 유저가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에 영어 단어(구)가 다양한 문장성분 중에서 '1형식 동사(went)', '3형식 동사(invited)', '목적어(my friend)', 수식어(on my birthday)가 기재된 카드 4장(①', ②', ③', ④')을 받아서 소지한 경우로서, 상기 공통 카드부(60)에서 유저가 '주어(I)' 카드(⑤')를 가져와서 게임 종료를 선언할 수 있는 경우이다.
즉, 유저가 3형식 동사(invited), 목적어(my friend), 수식어(on my birthday) 카드 3장(②', ③', ④')과 불필요한 1형식 동사(went) 카드(①')를 소지한 상태에서, 게임을 하는 도중, 공통 카드부(60)에서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3장의 카드(②', ③', ④')와 문장을 이룰 수 있는 '주어(I)' 카드(⑤')를 가져오면서 소유하고 있던 '동사(went)' 카드를 바닥에 내려 놓음으로써, 완전한 문장, 즉 "I invited my friend on my birthday"라는 문장을 조합할 수 있는 상태이다. 이로써 유저는 곧바로 게임을 종료할 수 있으나 더 높은 보너스 점수를 얻기 위해 게임을 계속 진행시켜, 3형식 문장에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수식어(yesterday)'가 기재한 카드(⑥')를 가져와, "I invited my friend on my birthday yesterday." 라는 문장을 이루어 보너스 점수를 받고 게임에서 승자가 될 수 있는 경우이다.
전술된 바를 통해, 상기 도 2와 도 3은 영어문장 익히기 학습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유저에게 최초에 나누어주는 카드 개수나 카드에 기재되는 힌트 부분(1단~5단, ex: 표시부가 2개 표시되어 있는 경우: 2단.)은 유저의 레벨에 따라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음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상기 도 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표시부(10)에 구성성분과의 결합관계('S+V1')가 표시되는 것 대신에,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에 기재된 단어의 의미가 포함된 국어문장 예문이 기재되도록 하여, 영문 단어가 기재된 각 카드의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들을 조합하여 상기 메인 표시부(10)의 국어 문장에 맞는 문장을 완성하는, 영작문(영어 작문)을 익히기 위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카드의 메인 표시부(10)에는 후술 될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에 표기될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국어문장 예문을 표기했고, 상기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에는 영어 단어 'He' 밑에 국어 단어 '그는'을 표시함과 동시에 일단에 돌출된 '>' 형태의 돌출부(43)가 형성되도록 도형을 제시하였으며,(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에는 해당 카드에 기재된 단어(He/그는)가 문장의 주어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적색으로 채워진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카드 게임에 사용되는 주어 성분은 모두 적색도형으로 표시)안에 표기하여, 문장 성분 중에서 주어로 쓰이고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즉, 메인 표시부(10)에 쓰여진 '그는'의 글씨 색상과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 내에 채워지는 색상은 동일하게 처리한 것이다.(동일한 문장 구성성분인 경우에는 메인 표시부(10)에 기재된 국어 예문에 표시된 문장 구성성분을 표시한 색상과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에 기재되는 도형 색상은 동일한 것으로 표시되어야 하며, 사용자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바꾸어 표시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표시부(30)에는 한 아이가 TV 앞에 있는 그림을 제시하여 메인 표시부(10)에 기재된 국어문장이 TV시청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유저에게 힌트로 제시하도록 하며, 상기 힌트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50)에는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와 상이한 색상으로 채워진 도형 내에 동사(enjoys/ 즐기다)의 단어를 기재하되, 일단은 내부로 내입되는 '>' 형상의 내입부(44)를 형성하고, 타단은 외부로 돌출되는 '>' 형상의 돌출부(43)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와 대응되어 조합이 될 수 있는 다음 카드의 힌트를 주는 것으로, 힌트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50) 도형 안에 기재된 단어 동사(enjoys/ 즐기다)가 문장 내에서 주어 다음에 위치하며 주어와 결합하는 술어(동사)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4각형 도형이 아닌 앞쪽이 들어가고 뒤쪽이 튀어나온 청색 도형(카드 게임에 사용되는 술어 성분은 모두 청색 도형으로 표시)으로 표기하여 유저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앞쪽은 주어와 결합되고 뒤쪽은 청색 도형 다음에 오목 들어간 다른 도형이 위치해야만 올바른 문장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힌트로 제시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문장 결합구조 표시부(40)에서는 해당 카드가 문장 내에서 어디에 위치해야 되는지를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에 기재된 도형과 같은 색상으로 테두리를 표시하고 도형 안은 흰색 바탕에 부호(영어 주어 약자 S)로 표시(해당 카드에 기재된 단어나 구가 목적어로 쓰이는 경우에는 녹색 색상으로 테두리를 표시하고 도형 안은 흰색 바탕에 영어 목적어 약자 'O'로 표시)하여 해당 카드에 기재된 단어(구)가 어떤 문장형식을 이루어 다른 문장성분과 구분하여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카드 내에서 동일한 구성성분들은 기재된 표시부가 상이할지라도, 모든 카드 내에서, 동일한 색상으로 글자가 쓰여지거나, 동일한 색상으로 도형 내부가 채워지거나 또는 동일한 색상으로 도형 외부의 테두리가 형성되도록 한다. 물론, 상이한 구성성분들은 상호간 구별이 될 수 있도록, 상이한 색상이 사용되어 표시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사용되는 색상은 사용자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될 수 있음이다.)
이러한 다수 표시부들을 바탕으로, 유저는 각각의 카드에 다른 문장성분의 단어가 기재된 2장의 카드를 받은 후, 공통 카드부(60)에서 하나를 가져와서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카드와 조합하여 어떤 완전한 의미를 갖춘 문장이 될 수 있도록 각각의 문장성분, 즉 주어↔술어(동사)↔목적어(보어)가 일치하는 3장의 카드를 가장 우선적으로 조합하는 유저가 승리하는 게임으로,
상기 도 5에서는 유저가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에 '영어 주어(He/그는)', '영어 동사(enjoy/즐긴다)'가 기재된 카드 2장(①'', ②'')을 받아서 소지한 후, 게임을 하는 도중에 공통 카드부(60)에서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주어(He) 카드'와 문장을 이루는데 필요한 목적어(watching TV) 카드(③'')를 공통 카드부(60)에서 가져오게 되어, 유저가 소지하고 있던 카드 중에서 주어(He)와 인칭이 맞지 않는 불필요한 동사(enjoy)가 기재된 카드(②'')를 바닥에 내려놓고, '주어(He)', '목적어(watching TV)' 2장의 카드를 가지고 게임을 하다가, 마침내 완전한 문장을 조합할 수 있도록 주어(He)와 인칭이 일치하는 술어(동사) enjoys 카드(④'')를 공통 카드부(60)에서 가져오게 되어, 선이 선언한 문장 만들기 게임 항목을 충족시킬 수 있는 카드를 오픈하고 게임이 종료되는 경우이다. 즉, "He enjoys watching TV."이라는 문장을 조합하여 게임에서 승자가 될 수 있는 경우이다.
도 6은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도 3, 4와 같은 영어문장 익히기 또는 도 5와 같은 영작문 익히기 외에, 영어 번역문 익히기를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해 익힐 수 있음을 나타내는 실시예로서, (영어문장을 익히기 실시예를 도시한 도 3 내지 도 4의 경우에는 메인 표시부(10)에 어떤 문장 구성성분(ex: 주어(S), 술어(동사)(V), 목적어(O), 수식어(M) 등)으로 쓰이는지 또는 다른 어떤 문장 구성성분과 결합하는지가 단어 또는 구의 형태로(ex: 'S+V1' 와 'O' 등) 표시되고, 영작문 익히기 실시예를 도시한 도 5의 경우에는 메인 표시부(10)에 국어문장 예문이 표시되는 것이며, 번역문 익히기 실시예를 도시한 도 6의 경우에는 메인 표시부에 영어문장 예문이 표시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 표시부(10)에 표시되는 것은 영어문장 익히기, 영작문 익히기, 번역문 익히기 모두, 사용자가 지정한 영어 문장형식 중 하나(1형식 내지 5형식 중 하나)가 'S+V1' 등과 같은 기호로 표시되거나 또는 국어로 이루어진 예문으로 번역되어 표시되거나 또는 영문의 예문으로 기재되어, 상기 메인 표시부(10)에 기재된 형식을 카드에 표시된 다수의 표시부를 통해 힌트를 얻어 완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각각의 유저는 최초 2~7장의 카드를 분해하여 받게 되면,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카드를 살펴본 후, 자신이 가장 먼저 손쉽게 완전한 국어문장을 조합할 수 있도록 공통 카드부에서 카드 한 장씩 가져와서 자신의 카드와 비교해서 관련있는 카드는 소지하고, 가장 관련이 적은 카드는 바닥에 내려놓으면서 사전에 소지 가능한 카드 개수에 맞춰 정해진 게임 항목을 충족시키면 게임이 종료되는 것이다.)
각 유저들은 3장의 카드까지 소유가 가능하되, 메인 표시부(10)에 기재된 영문장을, 소유할 수 있는 3장의 각 카드에 기재된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의 국문을 조합하여 번역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게임이다.
상기 메인 표시부(10)에는 영문장이 기재되고,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에는 상기 메인 표시부(10)의 영문장 내에 포함되어 있는 영단어 및 영단어가 해석된 한글이 기재되도록 하며, 상기 이미지 표시부(30)에는 메인 표시부(10) 또는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에 해당되는 문장 또는 단어에 관련된 그림이 삽입되도록 하며, 문장 결합구조 표시부(40)는 상기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와 동일한 형상과 색상을 가지는 복제 표시부(41) 및 복제 표시부(41)의 일단 또는 타단 또는 양단부 중 하나에 대응조합되는 형상의 참고 형상 표시부(42)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힌트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50)는 참고 형상 표시부(42)와 동일한 형상과 색상을 가지되, 상기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와 문장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 영단어 및 영단어가 해석된 한글이 기재되도록 한다.
즉, 유저는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에 국문의 주어 '그는'과 영어 동사(enjoys)가 기재된 카드 2장(①''', ②''')을 최초 분배받아 소지한 후, 게임을 하는 도중에 공통 카드부(60)에서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주어(그는)' 카드(①''')와 문장을 이룰 수 있는 국어 목적어(TV 시청하는 것을) 카드(③''')를 공통 카드부(60)에서 가져오게 되어, 유저가 소지하고 있던 카드 중에서 주어(그는) 카드(①''')와 인칭이 맞지 않는 불필요한 영어 동사(enjoy) 카드(②''')를 바닥에 내려놓고, 국어 주어(그는) 카드와 국어 목적어(TV시청하는 것을) 카드 2장(①''', ③''')을 가지고 게임을 하다가, 마침내 완전한 문장을 조합할 수 있도록 '국어 동사(즐기다)' 카드(④'')를 공통 카드부(60)에서 가져오게 되어, 선이 선언한 문장 만들기 게임 항목을 충족시킬 수 있는 카드를 오픈하고 게임이 종료되는 경우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색상, 그림, 부호, 도형을 활용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영어 문장, 작문, 번역문 익히기를 위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은, 컴퓨터, 전자사전, 외국어학습기, PMP, 휴대폰 등과 같은 각종 학습기기 및 전자기기 중 하나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오프라인에서 카드로 제작되어 사용될 시에는 선으로 지정된 유저(참가 유저들의 선택에 의해 선은 항시 바뀔수 있다.)에 의해 게임방법이 설명되고, 영어문장 또는 영작문을 완성하기 위해 몇장의 카드를 최초 분배할 것이며, 몇장으로 이루어진 어떠한 형태의 영어문장 및 영작문을 완성해야 하는지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유저에게 배분되는 다수의 카드 중에는 선이 선언한 문장을 완성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구성성분으로 사용할 수 기능을 가지고 있거나 또는 다른 유저의 카드나 남아있는 공통 카드부(60)에서 임의로 카드를 가져올 수 있는 보너스 카드(미도시)가 섞여 있도록 할 수도 있음이다. 상기 보너스 카드는 보너스 카드를 습득한 유저에게 게임진행이 더 유리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므로, 상기 보너스 카드에는 전술된 기능 외에 게임진행이 유리한 효과를 가지는 기능이 다양하게 부여될 수 있음이다.
또한, 전술된 카드들은 손으로 만질 수 있는 실물형태의 카드로 제작되어, 온라인(On-Line) 상이 아닌 오프라인(Off-Line) 상에서도 게임을 할 수 있도록 이용될 수 있음이다.
또한, 인터넷을 이용한 컴퓨터 및 다양한 전자학습기기를 이용한 온라인으로 이용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상에는 게임방법이 표시되는 게임방법 표시부(70)와, 게임을 승리하기 위해 내건 유저의 다양한 게임 조건이 제시되는 단계별 실행모드 표시부(80)와, 유저에게 주어지는 카드가 보여지는 제 1카드부(90)와, 상기 공통 카드부(60) 및 유저가 자신에게 필요없다 판단하여 버린 카드가 모아지는 포기 카드부(61)가 보여지는 제 2카드부(100) 등이 다양한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메인 표시부 20: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
30: 이미지 표시부 40: 문장 결합구조 표시부
41: 복제 표시부 42: 참고 형상 표시부
43: 돌출부 44: 내입부
50: 힌트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 60: 공통 카드부
70: 게임방법 표시부 80: 단계별 실행모드 표시부
90: 제 1카드부 100: 제 2카드부

Claims (13)

  1. 유저가 자신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으로 회원가입을 하도록 하는 단계(S100)와;
    상기 단계(S100) 후, 유저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로그인 하도록 하는 단계(S110)와;
    상기 단계(S110) 후, 상기 컴퓨터에서 로그인한 유저에게 소정의 사이버 머니를 제공하는 단계(S120)와;
    상기 단계(S120) 후, 로그인한 유저가 컴퓨터를 통해 자신의 영어 수준에 맞는 레벨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S130)와;
    상기 단계(S130) 후, 동일한 레벨 내에 자신이 원하는 플레이 방으로 개인 또는 다수명이 참가하도록 하는 단계(S140)와;
    상기 단계(S140) 후, 상기 플레이 방 내에 일정 수준의 인원이 차면, 상기 컴퓨터가 게임시작을 알리며 다수 장의 카드(110)를 섞은 후, 시계방향으로 유저들에게 레벨에 따라 차등을 두어 2~10 장의 카드(110)를 건네주되, 다수 번 행하여 유저가 유저 자신이 이미 소지하고 있는 카드에 공통 카드부(60)에서 카드 한 장을 더 가져와 보태도록 하는 단계(S150)와;
    상기 단계(S150) 후, 상기 플레이 방을 만든 선이 컴퓨터를 통해 자신의 카드(110)를 확인하여, 완성하고자 하는 영어 문장의 형식 및 소지 가능한 카드의 개수를 게임승리 조건으로 사전 지정하여 선언하도록 하는 단계(S160)와;
    상기 단계(S160) 후, 컴퓨터는 다수의 유저가 컴퓨터를 통해 다수의 카드를 받고, 상기 공통 카드부(60)에서 시계방향으로 카드 한 장을 가져와 선이 선언한 게임승리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카드를 조합하기 위해 유저 자신이 이미 소지하고 있는 카드와 비교해 보고 자신의 카드와 관련이 있으면 소지하고, 가장 관련이 없는 카드는 바닥에 내려놓도록 하는 단계(S170)와;
    상기 단계(S170) 후, 각 유저는 컴퓨터를 통해 선이 선언한 형식에 맞도록 다수의 카드를 조합하여 문장을 만들되, 가지고 있는 카드(110)만으로 문장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자신의 순서가 되면 공통 카드부(60)에서 한 장을 가져오도록 하는 단계(S180)와;
    상기 단계(S180) 후,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카드(110)와 공통 카드부(60)에서 가져온 카드를 가지고 상기 선이 선언한 게임승리조건에 맞춰 가장 먼저 카드를 조합한 유저가 컴퓨터를 통해 모든 카드(110)를 오픈(Open)하며 승리를 선언하도록 하는 단계(S190)와;
    상기 단계(S190) 후, 정답여부를 확인한 후 맞으면 컴퓨터에서 효과음이 울리는 단계(S200)와;
    상기 단계(S200) 후, 상기 컴퓨터는 승자에게는 소정수준의 점수 또는 사이버 머니를 가산시켜 레벨 규칙으로 정해놓은 소정점수까지 올라가면 한 등급 상승시키고, 패자에게는 소정수준의 점수 또는 사이버 머니를 삭감하여, 하한선으로 정해놓은 소정점수까지 내려가면 한 등급 내려가도록 하는 단계(S210)와;
    상기 단계(S210) 후, 각 유저가 컴퓨터를 통해 자신의 랭킹을 확인받는 단계(S220)와;
    상기 단계(S220) 후, 컴퓨터를 통해 게임이 종료되도록 하는 단계(S230);
    들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110)는 직사각형,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세모형 중 하나의 형태를 가지되,
    영어의 단어가 기록되며, 도형으로 표시되는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와;
    상기 단어의 문장 내 구성성분이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단어의 구성성분이 포함된 문장의 구성성분 구조가 표시되는 메인 표시부(10);
    상기 단어의 의미에 해당되는 그림이 표시되는 이미지 표시부(30)와;
    상기 단어의 문장성분이 기록되어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와 동일한 형상및 색상을 가지는 복제 표시부(41)와, 상기 복제 표시부(41)의 전단 또는 후단 또는 전, 후단에 대응되는 형상과 색상을 가지며 조합되어 일체를 이루는 참고 형상 표시부(42)로 이루어지는 문장 결합구조 표시부(40);
    로 구성되어 영어문장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110)는 직사각형,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세모형 중 하나의 형태를 가지되,
    영어 및 국어 단어가 함께 기록되며, 도형으로 표시되는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와;
    상기 단어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는 국어문장 예문이 색상을 이용하여 문장 구성성분별로 쪼개서 표시되는 메인 표시부(10);
    상기 국어 문장에 포함되어 있는 다수의 문장 구성성분들 중 하나가 영문 및 국문으로 기재되되, 상기 단어 또는 국어문장 예문에 해당되는 그림이 표시되는 이미지 표시부(30)와;
    상기 단어의 문장성분이 도형으로 표시되는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와 동일한 형상의 복제 표시부(41)와, 상기 복제 표시부(41)의 전단 또는 후단 또는 전, 후단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조합되어 일체를 이루는 참고 형상 표시부(42)로 이루어지는 문장 결합구조 표시부(40);
    로 구성되어 영어작문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110)는 직사각형,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세모형 중 하나의 형태를 가지되,
    영어 문장이 기재되어 있는 메인 표시부(10)와;
    상기 영어 문장에 포함되어 있는 다수의 문장 구성성분들 중 하나가 국문 및 영문으로 기재되되, 도형으로 표시되는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와;
    상기 영어 문장의 의미에 해당되는 그림이 표시되는 이미지 표시부(30)와;
    단어의 문장성분이 기록되어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와 동일한 형상과 색상을 가지는 복제 표시부(41)와, 상기 복제 표시부(41)의 전단 또는 후단 또는 전, 후단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조합되어 일체를 이루는 참고 형상 표시부(42)로 이루어지는 문장 결합구조 표시부(40);
    로 구성되어 영어문장을 국어문장으로 번역하는 것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110)에는
    상기 복제 표시부(41)와 동일한 형상과 색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의 단어와 조합 가능한 단어가 기재되는 힌트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50);가 더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6. 제 2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유저들이 컴퓨터를 통해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각 카드의 상기 참고 형상 표시부(42)와 동일한 형상 및 색상으로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가 표시되는 카드를 공통 카드부(60)로부터 습득하여, 선이 사전에 지정한 소지 가능한 카드 개수에 맞춰 문장을 완성해 나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7. 제 2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장 구성성분 표시부(20), 메인 표시부(10), 이미지 표시부(30), 문장 결합구조 표시부(40)는 카드 일면에 무작위로 배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8. 제 2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이 선언한 게임승리조건에 따라 조합해야 하는 카드의 개수 또는 카드에 표시되는 다수의 표시부가 유저의 수준에 따라 차등을 두어 증감과 삭제되어 표시됨으로써 게임 레벨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장의 카드(110)에는
    선이 지정한 영어 문장의 형식에 모든 구성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거나 또는 다른 유저의 카드나 남아있는 공통 카드부(60)에서 임의로 카드를 추가적으로 가져올 수 있는 보너스 카드가 섞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70)에서,
    원활한 게임이 진행되게 하기 위해, 10초 내지 15초 이내의 시간을 초과하여 카드를 내려놓거나, 또는 시간을 초과하여 카드를 내려놓는 횟수가 선이 지정한 일정 횟수를 넘게 되는 경우, Time System(시간제)의 게임규칙을 적용하여, 해당 유저에게 반칙패를 적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110)는
    손으로 만질 수 있는 실물형태의 카드로 제작되어, 온라인(On-Line) 상이 아닌 오프라인(Off-Line) 상에서도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2. 제 1항에 있어서,
    영어, 일본어, 중국어, 불어, 독일어, 서반어 중 하나의 언어를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3. 제 1항에서 형성된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이 컴퓨터, 전자사전, 외국어학습기, PMP, 휴대폰 중 하나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00014166A 2010-02-17 2010-02-17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238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4166A KR101238154B1 (ko) 2010-02-17 2010-02-17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CT/KR2010/006729 WO2011102583A1 (ko) 2010-02-17 2010-10-01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 및 그 학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4166A KR101238154B1 (ko) 2010-02-17 2010-02-17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626A KR20110094626A (ko) 2011-08-24
KR101238154B1 true KR101238154B1 (ko) 2013-02-27

Family

ID=4448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14166A KR101238154B1 (ko) 2010-02-17 2010-02-17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38154B1 (ko)
WO (1) WO20111025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181B1 (ko) * 2021-09-28 2022-05-26 차이나는마마톡(주) 중국어 문장 학습 교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290B1 (ko) * 2010-05-04 2013-02-22 손길연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해 영어 알파벳과 단어를 배우는 자기주도 학습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1346A (ko) * 2005-02-14 2006-08-21 교육지대(주) 영작문 게임 학습 방법
KR20090025308A (ko) * 2009-02-01 2009-03-10 김주형 카드게임을 통한 영어문장의 원리 및 단어 학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4458B1 (ko) * 1997-11-14 1999-10-15 정복식 놀이겸용 학습 카드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KR20050091511A (ko) * 2004-03-12 2005-09-15 조미영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게임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KR200425417Y1 (ko) * 2006-06-22 2006-09-05 이은순 게임을 통한 영어문장학습기구
KR101042300B1 (ko) * 2008-10-02 2011-06-17 손길연 다양한 색상과 기호 및 이미지를 활용한 컴퓨터 게임을 통한 영어 학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1346A (ko) * 2005-02-14 2006-08-21 교육지대(주) 영작문 게임 학습 방법
KR20090025308A (ko) * 2009-02-01 2009-03-10 김주형 카드게임을 통한 영어문장의 원리 및 단어 학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181B1 (ko) * 2021-09-28 2022-05-26 차이나는마마톡(주) 중국어 문장 학습 교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626A (ko) 2011-08-24
WO2011102583A1 (ko) 201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terson Computer games and language learning
Chik Digital gaming and language learning: Autonomy and community
Moursund Introduction to using games in education: A guide for teachers and parents
Green et al. Using edutainment software to enhance online learning
Chen et al. Pre-service teachers’ views on using adventure video games for language learning
KR101042300B1 (ko) 다양한 색상과 기호 및 이미지를 활용한 컴퓨터 게임을 통한 영어 학습 방법
Lorenset et al. Vocabulary acquisition i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digital gameplaying The Sims
Khenissi et al. A learning game for deaf learners
KR101090264B1 (ko) 색상, 도형, 그림의 특성과 학습기기의 장점을 접목하여 언어를 익히는 G-learning 학습방법
KR101238154B1 (ko)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332149B1 (ko) 카드와 학습기기를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법 및 그 학습장치
Stanley Using the IWB to support gamification in order to enhance writing fluency in the secondary language classroom
Al Mubireek Gender-oriented vs. gender-neutral computer games in education
Vate-U-Lan The Oxymoron of serious games in eLearning: Gender differences from an internet-based survey in Thailand
Bregni The Italian digital classroom: Italian culture and literature through digital tools and social media
Robertson The Games in Schools-Community of Practice
Rankin Diversity by Design: Female Students' Perception of a Spanish Language Learning Game
Tanskanen et al. Proposing game concepts and design recommendations for minority language learning: Karelian language
Dedeaux et al. Educational computer games and Spanish content learning
Vardanjani Applying language games in EFL classroom context
Alhaq An Analysis Of Language Learning Media Elements In “Clash Of Clans” Game
Houda et al. Teachers’ and Students’ Attitudes towards the use of language games in enhancing EFL students vocabulary knowledge
Malisova et al. Tangram quests: a tablet adventure game assisting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to enhance their communicative and social skills
Баймырадова et al. Ways of increasing studentsinterest in learning English
Dai et al. Context-free educational games: open-source and flexi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