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477B1 - 힌지 장치 및 수용 장치 - Google Patents

힌지 장치 및 수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477B1
KR101275477B1 KR1020117003388A KR20117003388A KR101275477B1 KR 101275477 B1 KR101275477 B1 KR 101275477B1 KR 1020117003388 A KR1020117003388 A KR 1020117003388A KR 20117003388 A KR20117003388 A KR 20117003388A KR 101275477 B1 KR101275477 B1 KR 101275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links
mounting body
doo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3665A (ko
Inventor
준 스가사와라
가즈요시 오시마
Original Assignee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07747A external-priority patent/JP490680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67763A external-priority patent/JP4906880B2/ja
Application filed by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3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
    • E05D15/3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 with two pairs of pivoted arms
    • E05D15/3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 with two pairs of pivoted arms with wings opening parallel to themse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05D15/4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two pairs of pivoted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4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four parallel pins and two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05Y2201/256Fluid or viscous friction with pistons or v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62Type of motion, e.g. braking
    • E05Y2201/264Type of motion, e.g. braking lin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4Transmiss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6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Synchronisation of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38Cams; 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케이싱의 전방에 큰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문을 폐위치와 개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는 수용 장치를 제공한다. 전면 (2a) 에 개구부를 갖는 케이싱 (2) 의 측면 내면에 제 1 연결체 (20) 를 장착한다. 케이싱 (2) 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문 (3) 의 배면 (3a) 에 제 2 연결체 (30) 를 장착한다. 제 1 연결체 (20) 와 제 2 연결체 (30) 사이에는 제 1, 제 2 및 제 3 링크 (42, 43, 41) 를 배치한다. 제 1 연결체 (20), 제 2 연결체 (30), 그리고 제 1, 제 2 및 제 3 링크 (42, 43, 41) 에 의해 평행 링크 기구를 구성한다. 이로써, 문 (3) 을 평행 이동시킨다.

Description

힌지 장치 및 수용 장치{HINGE DEVICE AND HOUSING DEVICE}
본 발명은 힌지 장치 및 그 힌지 장치가 사용된 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용 박스 등의 수용 장치는, 하기 특허 문헌 1, 2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면이 개구된 케이싱과, 이 케이싱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문과, 이 문을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장치를 갖고 있다. 힌지 장치는, 케이싱의 내측면에 장착된 제 1 장착체와, 문에 장착된 제 2 장착체를 갖고 있고, 제 1 장착체와 제 2 장착체는 제 1 및 제 2 링크를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문이 케이싱에 힌지 장치를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문은 케이싱의 개구부를 닫은 폐위치와, 개구부를 연 개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2445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40465호
종래의 수용 장치에 사용되는 힌지 장치에 있어서는, 제 1 링크와 제 2 링크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다. 이 때문에, 문은 폐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케이싱의 전면과 평행하게 되어 있지만, 개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케이싱의 전면에 대하여 경사 내지는 직교한다. 요컨대, 문은 폐위치에서 개위치에 이를 때까지의 동안에 힌지 장치측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타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회전한다. 따라서, 케이싱의 전방에는 문의 회전을 허용할 만큼의 큰 공간을 필요로 한다. 특히, 문의 좌우 방향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보다 큰 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케이싱의 전방의 공간이 좁은 경우에는, 문을 충분히 열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수용 장치에 있어서는, 케이싱의 이용 가능한 내부 공간이 힌지 장치에 의해 크게 좁혀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케이싱의 유효 사용이 가능한 내부 공간을 넓게 할 수 있는 힌지 장치 및 수용 장치의 개발이 요망되었다.
상기의 2 가지 문제 중 전자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케이싱에 장착되는 제 1 장착체와, 문에 장착되는 제 2 장착체와, 각각의 기단부가 상기 제 1 장착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각각의 선단부가 상기 제 2 장착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 1 및 제 2 링크를 구비한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착체, 상기 제 2 장착체, 상기 제 1 링크 및 상기 제 2 링크에 의해 평행 링크 기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장착체가 상기 케이싱에 장착되는 기재와, 이 기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연결 부재를 갖고, 상기 연결 부재에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의 기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연결 부재, 상기 제 2 장착체, 상기 제 1 링크 및 상기 제 2 링크에 의해 평행 링크 기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부재, 상기 제 2 장착체 및 상기 제 1 링크 또는 상기 제 2 링크와 평행 링크 기구를 구성하는 제 3 링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3 링크의 기단부의 상기 연결 부재에 대한 회전 중심이,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의 상기 연결 부재에 대한 회전 중심과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제 1, 제 2 및 제 3 링크에 의한 문에 대한 지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링크가 각각의 중간부에 있어서 굴곡되어 있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링크의 각 굴곡부가 각각의 기단부의 회전 중심과 선단부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서로 동일측에 위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문을 개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제 1, 제 2 및 제 3 링크가 케이싱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제 2 및 제 3 링크의 케이싱에 대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분만큼 문을 크게 열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제 1 ∼ 제 3 링크의 기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판부를 갖고, 상기 제 1 ∼ 제 3 링크 중 2 개의 링크가 상기 장착판부의 일방측에 배치되고, 다른 1 개의 링크가 상기 장착판부의 타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2 개의 링크 중 일방의 링크가 상기 장착판부에 대략 접촉하여 배치되고, 타방의 링크가, 상기 일방의 링크와 간섭하는 일이 없도록, 상기 일방의 링크 두께와 동등 이상의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상기 장착판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제 1, 제 2 및 제 3 링크가 각각 회전했을 때에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기재와 상기 연결 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 1 ∼ 제 3 링크의 회전 중심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연결 부재의 자세를 조절하는 케이싱측 조절 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장착체가, 상기 문에 장착되는 기부(基部)와, 이 기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 제 3 링크의 각 선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부를 갖고, 상기 기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제 1 ∼ 제 3 링크의 회전 중심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지지부의 자세를 조절하는 문측 조절 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제 1 ∼ 제 3 링크의 회전 중심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문의 자세를, 케이싱측 조절 기구와 문측 조절 기구의 적어도 일방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문측 조절 기구에 의해 문의 자세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케이싱 내에 수용된 물품을 꺼내지 않고 문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측 조절 기구 (B2, 23a) 가, 상기 연결 부재 (28) 의 상기 제 1 ∼ 제 3 링크 (42, 43, 41) 가 연결된 일단부를, 상기 연결 부재 (28) 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 (28) 의 자세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연결 부재가 회전하면, 문의 자세가 변화할 뿐만 아니라, 연결 부재의 일단부가 제 2 장착체의 평행 이동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문의 평행 이동 방향에 대한 장착 위치에 오차가 있었던 경우에는, 연결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오차를 없앨 수 있다. 그러나, 오차가 없어짐과 동시에 문의 자세가 변화되어 버린다. 그래서, 문의 자세가 변화된 분(分) 을 문측 조절 기구에 의해 조절하여, 문의 자세를 원래의 올바른 자세로 되돌릴 수 있다.
상기 기재와 상기 연결 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의 회전 중심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연결 부재의 자세를 조절하는 케이싱측 조절 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장착체가, 상기 문에 장착되는 기부와, 이 기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의 선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부를 갖고, 상기 기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의 회전 중심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지지부의 자세를 조절하는 문측 조절 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링크의 회전 중심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문의 자세를, 케이싱측 조절 기구와 문측 조절 기구의 적어도 일방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문측 조절 기구에 의해 문의 자세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케이싱 내에 수용된 물품을 꺼내지 않고 문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에는, 상기 케이싱측 조절 기구가,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가 연결된 일단부를,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의 자세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연결 부재가 회전하면, 문의 자세가 변화할 뿐만 아니라, 연결 부재의 일단부가 제 2 장착체의 평행 이동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문의 평행 이동 방향에 대한 장착 위치에 오차가 있었던 경우에는, 연결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오차를 없앨 수 있다. 그러나, 오차가 없어짐과 동시에 문의 자세가 변화되어 버린다. 그래서, 문의 자세가 변화된 분을 문측 조절 기구에 의해 조절하여, 문의 자세를 원래의 올바른 자세로 되돌릴 수 있다.
상기 제 2 장착체가 상기 제 1 장착체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평행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 2 장착체가 상기 일방향으로 추가로 평행 이동하도록, 상기 제 1 링크를 일방향으로 회전 탄성 지지하는 회전 탄성 지지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일방향을 문의 폐방향으로 했을 때에는, 문을 개위치측에서 폐위치측으로 이동시키고, 문이 폐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앞의 위치까지 이동하면, 회전 탄성 지지 수단에 의해 문을 폐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 탄성 지지 수단이, 일단부가 상기 제 2 장착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 1 링크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제 1 링크에 변위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과, 상기 제 2 장착체에 형성된 캠부와, 상기 아암에 상기 캠부에 접근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가동 부재와, 이 가동 부재를 상기 캠부에 가압 접촉시키는 탄성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서로 부딪치는 상기 가동 부재 및 상기 캠부에 의해, 상기 탄성 지지 부재의 탄성 지지력이 상기 제 1 링크를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탄성 지지력으로 변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아암을 제 1 링크와 평행하게 배치함과 함께, 아암에 탄성 지지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힌지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의 2 가지 문제 중 전자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개구부를 갖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문과, 이 문을 상기 케이싱에 그 개구부를 닫은 폐위치와 상기 개구부를 연 개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 장치가, 상기 케이싱의 내면에 장착된 제 1 장착체, 상기 문의 배면에 장착된 제 2 장착체, 그리고 각각의 기단부가 상기 제 1 장착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각각의 선단부가 상기 제 2 장착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 1 및 제 2 링크를 갖는 수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착체, 상기 제 2 장착체, 상기 제 1 링크 및 상기 제 2 링크에 의해 평행 링크 기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장착체가, 상기 케이싱의 내면에 장착된 기재와, 이 기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연결 부재를 갖고, 상기 연결 부재에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의 기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연결 부재, 상기 제 2 장착체, 상기 제 1 링크 및 상기 제 2 링크에 의해 평행 링크 기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부재 (28), 상기 제 2 장착체 (30) 및 상기 제 1 링크 (42) 또는 상기 제 2 링크 (43) 와 평행 링크 기구를 구성하는 제 3 링크 (41) 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3 링크 (41) 의 기단부의 상기 연결 부재 (28) 에 대한 회전 중심이,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 (42, 43) 의 상기 연결 부재 (28) 에 대한 회전 중심과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제 1, 제 2 및 제 3 링크에 의한 문에 대한 지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 제 3 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연결 부재의 세 부분 중 하나가 상기 케이싱의 개구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문의 배면에는, 상기 문이 폐위치 및 그 근방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돌출된 상기 일부가 들어갈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문을 폐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제 1 ∼ 제 3 링크가 케이싱 내로 들어가는데, 제 1 장착체의 일부를 케이싱의 개구부로부터 외부로 돌출시킨 분만큼 제 1 ∼ 제 3 링크의 케이싱 내로 들어가는 깊이를 작게 할 수 있어, 케이싱 내의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제 1 장착체의 돌출된 일부가 오목부에 들어가기 때문에, 당해 일부가 문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링크가 각각의 각 중간부에 있어서 굴곡되어 있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링크의 각 굴곡부가 각각의 기단부의 회전 중심과 선단부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서로 동일측에 위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문을 개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제 1, 제 2 및 제 3 링크가 케이싱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제 2 및 제 3 링크의 케이싱에 대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분만큼 문을 크게 열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제 1 ∼ 제 3 링크의 기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판부를 갖고, 상기 제 1 ∼ 제 3 링크 중 2 개의 링크가 상기 장착판부의 일방측에 배치되고, 다른 1 개의 링크가 상기 장착판부의 타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2 개의 링크 중 일방의 링크가 상기 장착판부에 대략 접촉하여 배치되고, 타방의 링크가, 상기 일방의 링크와 간섭하는 일이 없도록, 상기 일방의 링크 두께와 동등 이상의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상기 장착판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제 1, 제 2 및 제 3 링크가 각각 회전했을 때에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기재 (21) 와 상기 연결 부재 (28) 사이에는, 상기 제 1 ∼ 제 3 링크 (42, 43, 41) 의 회전 중심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연결 부재 (28) 의 자세를 조절하는 케이싱측 조절 기구 (B2, 23a) 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장착체 (30) 가, 상기 문 (3) 에 장착되는 기부 (31) 와, 이 기부 (31) 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 제 3 링크 (42, 43, 41) 의 각 선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부 (32) 를 갖고, 상기 기부 (31) 와 상기 지지부 (32) 사이에는, 상기 제 1 ∼ 제 3 링크 (42, 43, 41) 의 회전 중심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지지부 (32) 의 자세를 조절하는 문측 조절 기구 (32b, 33)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제 1 ∼ 제 3 링크의 회전 중심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문의 자세를, 케이싱측 조절 기구와 문측 조절 기구의 적어도 일방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문측 조절 기구에 의해 문의 자세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케이싱 내에 수용된 물품을 꺼내지 않고 문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측 조절 기구가,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제 1 ∼ 제 3 링크가 연결된 일단부를,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의 자세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연결 부재가 회전하면, 문의 자세가 변화될 뿐만 아니라, 연결 부재의 일단부가 제 2 장착체의 평행 이동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문의 평행 이동 방향에 대한 장착 위치에 오차가 있었던 경우에는, 연결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오차를 없앨 수 있다. 그러나, 오차가 없어짐과 동시에 문의 자세가 변화되어 버린다. 그래서, 문의 자세가 변화된 분을 문측 조절 기구에 의해 조절하여, 문의 자세를 원래의 올바른 자세로 되돌릴 수 있다.
상기 기재와 상기 연결 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의 회전 중심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연결 부재의 자세를 조절하는 케이싱측 조절 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장착체가, 상기 문에 장착되는 기부와, 이 기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의 선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부를 갖고, 상기 기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의 회전 중심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지지부의 자세를 조절하는 문측 조절 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링크의 회전 중심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문의 자세를, 케이싱측 조절 기구와 문측 조절 기구의 적어도 일방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문측 조절 기구에 의해 문의 자세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케이싱 내에 수용된 물품을 꺼내지 않고 문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에는, 상기 케이싱측 조절 기구가,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가 연결된 일단부를,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의 자세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연결 부재가 회전하면, 문의 자세가 변화할 뿐만 아니라, 연결 부재의 일단부가 제 2 장착체의 평행 이동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문의 평행 이동 방향에 대한 장착 위치에 오차가 있었던 경우에는, 연결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오차를 없앨 수 있다. 그러나, 오차가 없어짐과 동시에 문의 자세가 변화되어 버린다. 그래서, 문의 자세가 변화된 분을 문측 조절 기구에 의해 조절하여, 문의 자세를 원래의 올바른 자세로 되돌릴 수 있다.
상기 제 2 장착체가 상기 제 1 장착체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평행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 2 장착체가 상기 일방향으로 추가로 평행 이동하도록, 상기 제 1 링크를 일방향으로 회전 탄성 지지하는 회전 탄성 지지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일방향을 문의 폐방향으로 했을 때에는, 문을 개위치측에서 폐위치측으로 이동시키고, 문이 폐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앞의 위치까지 이동하면, 회전 탄성 지지 수단에 의해 문을 폐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 탄성 지지 수단이, 일단부가 상기 제 2 장착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 1 링크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제 1 링크에 변위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과, 상기 제 2 장착체에 형성된 캠부와, 상기 아암에 상기 캠부에 접근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가동 부재와, 이 가동 부재를 상기 캠부에 가압 접촉시키는 탄성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서로 부딪치는 상기 가동 부재 및 상기 캠부에 의해, 상기 탄성 지지 부재의 탄성 지지력이 상기 제 1 링크를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탄성 지지력으로 변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아암을 제 1 링크와 평행하게 배치함과 함께, 아암에 탄성 지지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힌지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2 가지 문제 중 후자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평탄한 제 1 장착면을 갖는 제 1 장착체와, 이 제 1 장착체에 각 기단부가 제 1 회전축 및 이 제 1 회전축과 평행한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및 제 2 링크와, 평탄한 제 2 장착면을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의 각 선단부가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축과 평행한 제 3 및 제 4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1 장착체에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를 개재하여 폐위치와 개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장착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장착체가 상기 폐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제 1 장착면과 상기 제 2 장착면이 이루는 각도가 대략 직각이 됨과 함께, 상기 제 1 ∼ 제 4 회전축이 상기 제 1 장착면에 관하여 상기 제 2 장착면과 동일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 3 및 제 4 회전축이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축보다 상기 제 1 장착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착체가 상기 폐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제 1 장착면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상기 제 2 장착면에 관하여 일방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축의 적어도 일방이, 상기 제 2 장착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장착면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2 가지 문제 중 후자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평탄한 제 1 장착면을 갖는 제 1 장착체와, 이 제 1 장착체에 각 기단부가 제 1 회전축 및 이 제 1 회전축과 평행한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및 제 2 링크와, 평탄한 제 2 장착면을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의 각 선단부가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축과 평행한 제 3 및 제 4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1 장착체에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를 개재하여 폐위치와 개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장착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장착체가 상기 폐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제 1 장착면과 상기 제 2 장착면이 이루는 각도가 대략 직각이 됨과 함께, 상기 제 1 ∼ 제 4 회전축이 상기 제 1 장착면에 관하여 상기 제 2 장착면과 동일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 3 및 제 4 회전축이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축보다 상기 제 1 장착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착체가 상기 폐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 중 일방이 상기 제 2 장착면에 관하여 일방측에 위치하고, 타방이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3 및 제 4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장착체가 상기 폐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 중 일방이 상기 일방측에 위치하고, 타방이 상기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장착체, 상기 제 1 링크, 상기 제 2 링크 및 상기 제 2 장착체에 의해 평행 링크 기구가 구성되고, 상기 제 1 회전축과 상기 제 3 회전축 사이의 축간 거리 및 상기 제 2 회전축과 상기 제 4 회전축 사이의 축간 거리가, 상기 제 1 회전축과 상기 제 2 회전축 사이의 축간 거리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 가지 문제 중 후자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5 양태는, 일단부 외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싱과, 이 케이싱에 힌지 장치를 개재하여 폐위치와 개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문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 장치가, 상기 케이싱의 내면 중 일측부 내면의 상기 일단부 외면 근방에 장착된 제 1 장착체, 이 제 1 장착체에 각 기단부가 제 1 회전축 및 이 제 1 회전축과 평행한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및 제 2 링크, 및 상기 문의 배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의 각 선단부에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축과 평행한 제 3 및 제 4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문을 상기 케이싱에 상기 폐위치와 상기 개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2 장착체를 갖고, 상기 문이 상기 폐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제 2 장착체가 상기 제 1 장착체가 장착된 상기 일측부 내면으로부터 타측부를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착체보다 타측부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수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축의 적어도 일방이, 상기 케이싱의 내면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축의 적어도 일방이, 상기 케이싱의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일단부 외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케이싱의 상기 제 1 장착체가 장착된 상기 일측부 내면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상기 케이싱의 상기 제 1 장착체가 장착된 상기 일측부 내면에 인접하는 외면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케이싱의 상기 일측부 외면과 상기 케이싱의 상기 제 1 장착체가 장착된 상기 일측부 내면의 교차부에 절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축의 적어도 일방이 상기 절결부 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축의 적어도 일방이, 상기 케이싱의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일단부 외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문이 상기 폐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문의 배면이 상기 케이싱의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일단부 외면에 부딪칠 때에는, 상기 문의 배면에는, 상기 문이 폐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제 1 회전축을 출몰 가능하게 수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장착체, 상기 제 1 링크, 상기 제 2 링크 및 상기 제 2 장착체에 의해 평행 링크 기구가 구성되고, 상기 제 1 회전축과 상기 제 3 회전축 사이의 축간 거리 및 상기 제 2 회전축과 상기 제 4 회전축 사이의 축간 거리가, 상기 제 1 회전축과 상기 제 2 회전축 사이의 축간 거리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특징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양태에 의하면, 제 1 장착체, 제 2 장착체,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가 평행 링크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문은, 힌지 장치측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타단부가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하지 않고, 폐위치와 개위치 사이를 평행 이동한다. 따라서, 케이싱의 전방에 문의 회전을 위한 큰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당해 공간이 좁은 경우에도 문을 충분히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특징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3, 제 4 및 제 5 양태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회전축의 적어도 일방이, 케이싱의 내면보다 외부로 돌출되므로, 제 1 장착체를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싱의 단면에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링크도 케이싱의 개구부측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싱의 유효 사용이 가능한 내부 공간을 넓게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수용 장치의 제 1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문을 폐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상기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문을 폐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3 은, 상기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문을 폐위치와 개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상기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문을 폐위치와 개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5 는, 상기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문을 개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상기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문을 개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7 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용되고 있는 힌지 장치를, 문이 폐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상기 힌지 장치를 도 7 과 상이한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 는, 상기 힌지 장치를, 문이 개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은, 상기 힌지 장치의 회전 탄성 지지 수단 및 댐퍼 장치를, 문이 폐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상태에서 나타내는 투시 평면도이다.
도 11 은, 상기 힌지 장치의 회전 탄성 지지 수단 및 댐퍼 장치를, 문이 중간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상태에서 나타내는 투시 평면도이다.
도 12 는, 상기 힌지 장치의 회전 탄성 지지 수단 및 댐퍼 장치를, 문이 개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상태에서 나타내는 투시 평면도이다.
도 13 은, 상기 힌지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 는, 상기 힌지 장치를, 제 1 장착체를 조립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 는, 상기 힌지 장치의 제 1 장착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 은, 동일 제 1 장착체의 평면도이다.
도 17 은, 도 16 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 은, 상기 제 1 장착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 는, 상기 힌지 장치의 제 2 장착체를 문에 장착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 은, 상기 제 2 장착체를, 기부에 대한 지지부의 자세를 도 19 에 나타내는 자세와 다른 자세로 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 은, 상기 힌지 장치의 제 2 장착체 및 그 근방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 는, 도 21 의 X 방향에서 본 도이다.
도 23 은, 도 21 의 Y-Y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4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수용 장치의 제 2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문을 폐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25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수용 장치의 제 3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문을 폐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26 은, 상기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문을 개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27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수용 장치의 제 4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문을 폐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28 은, 상기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문을 개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29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수용 장치의 제 5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문을 폐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30 은, 상기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문을 개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3 및 도 5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수용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도 4 및 도 6 은 동일 수용 장치의 주요부의 평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장치 (1) 는 케이싱 (2), 문 (3) 및 상하 2 개의 힌지 장치 (10) 를 갖고 있다.
케이싱 (2) 은 사각형의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연직하는 전면 (2a) 에 개구부 (2b) 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 (2) 은 개구부 (2b) 가 전면 (2a) 에 형성되는 대신에, 그 좌우 어느 하나의 연직하는 측면 또는 수평인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문 (3) 은 평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연직하는 배면 (3a) 을 갖고 있다. 문 (3) 은 케이싱 (2) 에 상하 2 개의 힌지 장치 (10, 10) 를 개재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폐위치로부터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중간 위치를 거쳐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개위치에 이를 때까지의 동안을 회전 (평행 이동) 할 수 있다. 문 (3) 의 폐위치는 문 (3) 의 배면 (3a) 이 케이싱 (2) 의 전면 (2a) 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 문 (3) 의 중간 위치 및 개위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힌지 장치 (10) 에 의해 결정된다.
힌지 장치 (10) 는 제 1 장착체 (20), 제 2 장착체 (30), 그리고 이들 제 1 장착체 (20) 와 제 2 장착체 (30) 사이에 형성된 제 1, 제 2 및 제 3 링크 (41, 42, 43) 를 갖고 있다.
제 1 장착체 (20) 는, 특히 도 15 ∼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21) 을 갖고 있다. 기판 (21) 에는 평면 형상을 이루는 제 1 장착면 (21a)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장착면 (21a) 은 케이싱 (2) 의 내면 중 일측부 내면, 요컨대 케이싱 (2) 의 좌우 어느 하나의 측벽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싱 (2) 의 전방에서 보아 좌측의 측벽) (2c) 의 연직하는 내측면 (일측부 내면) (2d) 에 면접촉되어 있고, 그 상태에서 기판 (21) 이 케이싱 (2) 에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장착체 (20) 가 케이싱 (2) 에 장착되어 있다. 기판 (21) 은 전면 (2a)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장착체 (20) 도 전면 (2a)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기판 (21) 에는, 높이 조절 부재 (22) 가 상하 방향 (도 17 에 있어서 지면의 표리 방향) 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높이 조절 부재 (22) 는 단면이 대략 「コ」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을 향하게 함과 함께, 개방부를 기판 (21) 과 대향시킨 상태에서 장착되어 있다. 높이 조절 부재 (22) 에는 장착 부재 (23) 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장착 부재 (23) 는 단면이 「コ」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높이 조절 부재 (23) 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장착 부재 (23) 의 앞뒤의 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어맞춤축 (24, 25)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걸어맞춤축 (24, 25) 이 높이 조절 부재 (22) 의 앞뒤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 (22a, 22b) 에 걸기 및 분리가 가능하게 걸어맞춤으로써, 장착 부재 (23) 가 높이 조절 부재 (22) 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장착 부재 (23) 를 높이 조절 부재 (22) 로부터 떼어내기 위하여, 걸어맞춤 해제 부재 (26) 가 사용되고 있다. 걸어맞춤 해제 부재 (26) 는 장착 부재 (23) 의 상하의 양 측부 및 후단부를 둘러싸도록 평면에서 보아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해제 부재 (26) 의 전단부는 장착 부재 (23) 의 전단부에 걸어맞춤축 (24) 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걸어맞춤 해제 부재 (26) 의 후단부에는 긴 구멍 (26a)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 구멍 (26a) 에는 걸어맞춤축 (25) 이 긴 구멍 (26a) 의 길이 방향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걸어맞춤 해제 부재 (26) 의 후단부는 스프링 (27) 에 의해 장착 부재 (23) 의 후단부로부터 기판 (21) 측을 향하여 탄성 지지되어 있다. 이 스프링 (27) 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걸어맞춤축 (24, 25) 이 걸어맞춤 오목부 (22a, 22b) 에 각각 걸어맞춰져 있다. 이로써, 장착 부재 (23) 가 높이 조절 부재 (22) 에 장착되어 있다. 장착 부재 (23) 를 높이 조절 부재 (22) 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는, 걸어맞춤 해제 부재 (26) 의 후단부를 스프링 (27) 의 탄성 지지력에 대항하여 기판 (21) 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걸어맞춤축 (24) 을 중심으로 하여 걸어맞춤 해제 부재 (26) 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걸어맞춤축 (25) 이 걸어맞춤 오목부 (22b) 로부터 이탈된다. 이 결과, 장착 부재 (23) 를 높이 조절 부재 (22) 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착 부재 (23) 는 걸어맞춤축 (24) 을 걸어맞춤 오목부 (22a) 에 걸어맞추고, 장착 부재 (23) 를 그 후단부가 높이 조절 부재 (22) 에 접근하도록 걸어맞춤축 (24) 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거나, 걸어맞춤축 (25) 을 걸어맞춤 오목부 (22b) 에 걸어맞추고, 장착 부재 (23) 를 그 전단부가 높이 조절 부재 (22) 에 접근하도록 걸어맞춤축 (25) 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높이 조절 부재 (22) 에 장착할 수 있다.
장착 부재 (23) 에는 연결 부재 (28) 가 장착되어 있다. 연결 부재 (28) 는 단면이 「コ」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서로 평행하고 상하 방향으로 대향한 1 쌍의 측판부 (장착판부) (28a, 28b) 를 갖고 있다. 연결 부재 (28) 는 그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을 향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고, 그 내부에 장착 부재 (23) 및 걸어맞춤 해제 부재 (26) 를 수용하고 있다. 연결 부재 (28) 의 후단부는 장착 부재 (23) 에 대하여 전후 방향 (도 17 에 있어서 좌우 방향) 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고, 위치 조절 후, 연결 부재 (28) 를 관통하여 장착 부재 (23) 에 나사 결합된 볼트 (B1) 를 조임으로써, 장착 부재 (23) 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연결 부재 (28) 의 전단부는, 장착 부재 (23) 에 대하여 좌우 방향 (도 17 에 있어서 상하 방향) 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고, 연결 부재 (28) 의 전단부에는, 길이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향하게 한 볼트 (B2) 가 회전 가능하고, 또한 좌우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 볼트 (B2) 는 장착 부재 (23) 의 나사 구멍 (23a) 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볼트 (B2) 를 정역 (正逆)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결 부재 (28) 의 전단부가 그 후단부 (볼트 (B1) 의 헤드부와 동일 지점에 위치하는 연결 부재 (28) 의 후단부) 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그 회전량에 따라 연결 부재 (28) 의 전단부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볼트 (B2) 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결 부재 (28) 의 전단부가 장착 부재 (23) 로부터 이간되는 방향 (도 16 에 있어서 상방) 으로 이동하고, 볼트 (B2) 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결 부재 (28) 의 전단부가 후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장착 부재 (23) 에 접근하는 방향 (도 16 에 있어서 하방) 으로 이동한다. 이로부터 명백하듯이, 볼트 (B2) 와 나사 구멍 (23a) 에 의해, 연결 부재 (28) 의 전단부를 후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케이싱측 조절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 (28) 가 장착 부재 (23) 에 장착되고, 장착 부재 (23) 가 높이 조절 부재 (22) 에 장착되고, 또한 높이 조절 부재 (22) 가 기판 (21) 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연결 부재 (28) 는 기판 (21) 에 대하여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다. 또한, 연결 부재 (28) 의 전단부는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은,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38199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 이상의 상세한 설명 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제 2 장착체 (30) 는, 특히 도 14 및 도 19 ∼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부 (31) 와 지지부 (32) 를 갖고 있다. 기부 (31) 는 평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평면 형상을 이루는 제 2 장착면 (31a)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장착면 (31a) 이 문 (3) 의 배면 (3a) 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기부 (31) 가 볼트 등의 고정 수단 (도시 생략) 에 의해 문 (3) 의 배면 (3a) 에 가압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제 2 장착체 (30) 가 문 (3) 에 장착되어 있다. 제 2 장착체 (30) 는 상하 방향에는 제 1 장착체 (20) 와 대략 동일 위치에 위치하고, 수평 방향에는 배면 (3a) 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장착체 (30)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 (3) 이 폐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제 1 장착체 (20) 에 대하여, 내측면 (2d) 으로부터 이것과 대향하는 타방의 내측면을 향하는 방향 (도 2 의 하방) 으로 이간되어 있다.
기부 (31) 에는 1 쌍의 돌출판부 (31b, 31b) (일방의 돌출판부 (31b) 만 도 시) 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판부 (31b) 는 배면 (3a) 과의 이루는 각도가 직각이 되도록 기립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판부 (31b) 는 문 (3) 이 폐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케이싱 (2) 의 전면 (2a) 측으로부터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요컨대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게다가, 1 쌍의 돌출판부 (31b, 31b) 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지지부 (32) 는 평판부 (32A) 를 갖고 있다. 이 평판부 (32A) 는 기부 (31) 에 대하여 케이싱 (2) 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예를 들어 2 ∼ 수 ㎜ 정도만큼 이간되고, 또한 기부 (31) 와 전후 방향의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문 (3) 이 폐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상태). 평판부 (32A) 에는 1 쌍의 캠판부 (32a, 32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1 쌍의 캠판부 (32a, 32a) 는 평판부 (32A) 로부터 케이싱 (2) 측을 향하여 직각으로 굴곡되고, 또한 상하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1 쌍의 캠판부 (32a, 32a) 는 돌출판부 (31b, 31b)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게다가, 1 쌍의 캠판부 (32a, 32a) 외면이 1 쌍의 돌출판부 (31b, 31b) 의 내면 (대향면) 과 대략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캠판부 (32a, 32a) 는 돌출판부 (31b, 31b) 및 캠판부 (32a, 32a) 를 상하로 관통하는 회전축 (제 3 회전축 : 61) 에 의해 돌출판부 (31b, 31b) 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평판부 (32A) 의 좌우 방향의 일단부에는, 도 13, 도 14 및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 구멍 (32b)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 구멍 (32b) 에는 조절 나사 (33) 가 관통 상태에서 나사 결합되어 있다. 나사 구멍 (32b) 을 관통한 조절 나사 (33) 의 일단부는 기부 (31) 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조절 나사 (33) 의 길이 방향 (전후 방향) 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조절 나사 (33) 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지지부 (32) 가 기부 (31) 에 대하여 회전축 (61) 을 중심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지지부 (32) 의 기부 (31) 에 대한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9 및 도 20 참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제로는 기부 (31) 가 지지부 (32) 에 대하여 그 자세를 변화시키게 된다. 이로부터 명백하듯이, 조절 나사 (33) 및 나사 구멍 (32b) 에 의해 문측 조절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절 나사 (33) 의 타단부에는 너트 (도시 생략) 를 나사 결합시켜 두고, 지지부 (32) 의 자세의 조절 완료 후에, 너트를 조여 조절 나사 (33) 를 기부 (31) 에 고정시키고, 그것에 의해 지지부 (32) 를 기부 (31) 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판부 (32A) 에는 대략 반원 형상을 이루는 1 쌍의 원호부 (32c, 32c) 가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원호부 (32c, 32c) 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고, 또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상측의 원호부 (32c) 는 상측의 캠판부 (32a) 에 대하여 소정 거리만큼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하측의 원호부 (32c) 는 하측의 캠판부 (32a) 에 대하여 소정 거리만큼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 에서 명백하듯이, 원호부 (32c) 의 내경은 캠판부 (32a) 의 외경보다 큰 직경으로 되어 있다.
특히 도 1 ∼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 (32) 는 연결 부재 (28) 에 제 1 링크 (42), 제 2 링크 (43) 및 제 3 링크 (41) 를 개재하여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폐위치와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개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제 1 링크 (제 2 링크) (42) 는, 특히 도 7 및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이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링크 (42) 의 양 측판부의 기단부 (도 8 에 있어서 하단부) 는 연결 부재 (28) 의 양 측판부 (28a, 28b) 의 전단부와 상하 방향 (도 8 에 있어서 좌우 방향) 에 대향하고 있고, 제 1 링크 (42) 의 양 측판부의 기단부의 내면은 연결 부재 (28) 의 양 측판부 (28a, 28b) 의 전단부의 외면과 각각 접촉하고 있다. 게다가, 제 1 링크 (42) 의 양 측판부의 기단부는, 연결 부재 (28) 의 양 측판부 (28a, 28b) 의 전단부 (도 2 에 있어서 좌단부) 에 상하로 연장되는 회전축 (제 2 회전축 : 52) 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2 링크 (43) 는 평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2 개가 이용되고 있다. 2 개의 제 2 링크 (43, 43) 는 제 1 링크 (42) 의 양 측판부의 기단부의 외측 (상측 및 하측) 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 2 링크 (43, 43) 의 각 기단부는, 연결 부재 (28) 의 측판부 (28a, 28b) 의 전단부에 상하로 연장되는 회전축 (53) 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게다가, 제 2 링크 (43, 43) 의 기단부는 원판 형상의 스페이서 (44, 44) 를 개재하여 연결 부재 (28) 의 측판부 (28a, 28b) 의 외면에 각각 접하여 있다. 스페이서 (44) 의 두께는 제 1 링크 (42) 의 측판부의 두께에 대하여 동등하거나 약간 두껍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제 2 링크 (42, 43) 가 축 (52, 53) 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회전할 때, 제 1, 제 2 링크 (42, 43) 가 서로 부딪치는 일이 없다.
제 3 링크 (제 1 링크) (41) 는 평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하나만 사용되고 있다. 물론, 2 개 사용해도 된다. 제 3 링크 (41) 의 기단부는 연결 부재 (28) 의 일방의 측판부 (28a) 의 전단부의 내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3 링크 (41) 는 타방의 측판부 (28b) 의 내면에 접하도록 배치해도 된다. 또한, 제 3 링크 (41) 를 2 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 제 3 링크 (41) 는 연결 부재 (28) 의 양 측판부 (28a, 28b) 의 내면에 각각 접하도록 배치된다. 제 3 링크 (41) 의 기단부는 연결 부재 (28) 의 일방의 측판부 (28a) 에 상하로 연장되는 회전축 (제 1 회전축 : 51) 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3 링크 (41) 는 제 1 링크 (42) 의 상측의 측판부에 대하여 연결 부재 (28) 의 상측의 측판부 (28a) 의 두께분만큼 하방으로 이간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제 3 링크 (42, 41) 가 축 (52, 51) 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회전할 때, 제 1, 제 3 링크 (42, 41) 가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다. 물론, 제 2, 제 3 링크 (43, 41) 가 간섭하는 일도 없다.
제 1 링크 (42) 의 양 측판부의 각 선단부는, 지지부 (32) 의 1 쌍의 원호부 (32c, 32c) 의 내면 (원호부 (32c, 32c) 의 대향면) 에 각각 접하도록 하여 그것들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링크 (42) 의 양 측판부의 각 선단부는, 1 쌍의 원호부 (32c, 32c) 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62) 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1 쌍의 제 2 링크 (43, 43) 의 각 선단부는, 지지부 (32) 의 1 쌍의 원호부 (32c, 32c) 의 외면에 각각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1 쌍의 원호부 (32c, 32c) 에 상하로 연장되는 축 (63) 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3 링크 (43) 의 선단부는 기부 (31) 의 하측의 돌출판부 (31b) 와 지지부 (32) 의 하측의 캠판부 (32a) 사이에 삽입되어 있고, 돌출판부 (31b) 및 캠판부 (32a) 에 상기 회전축 (61) 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회전축 (51 ∼ 53) 및 회전축 (61 ∼ 63) 은 모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서로 평행한다. 게다가, 회전축 (51 ∼ 53) 및 회전축 (61 ∼ 63) 은 그것들의 길이 방향 (상하 방향) 에서 보았을 때, 각각의 축선 (회전 중심) 이 삼각형의 정점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 (51 ∼ 53) 및 회전축 (61 ∼ 63) 은, 다음의 관계를 갖고 배치되어 있다. 즉, 축 (51, 61) 의 중심 간 거리, 축 (52, 62) 의 중심 간 거리 및 축 (53, 63) 의 중심 간 거리가 서로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게다가, 축 (51, 52) 의 중심 간 거리와 축 (61, 62) 의 중심 간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설정되고, 축 (52, 53) 의 중심 간 거리와 축 (62, 63) 의 중심 간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설정되고, 축 (53, 51) 의 중심 간 거리와 축 (63, 61) 의 중심 간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결과, 연결 부재 (28) (제 1 장착체 (20)), 지지부 (32) (제 2 장착체 (30)), 제 1 링크 (42), 제 2 링크 (43) 및 제 3 링크 (41) 에 의해 평행 링크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수용 장치 (1) 에 있어서는, 지지부 (32) 가 연결 부재 (28) 에 대하여 평행 이동한다. 요컨대, 지지부 (32) 는 연결 부재 (28) 에 대하여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연결 부재 (28) 의 둘레를 회전한다. 따라서, 문 (3) 도 케이싱 (2) 에 대하여 평행 이동한다.
케이싱 (2) 의 상측에 배치된 힌지 장치 (10) 의 제 1 링크 (42) 와 하측에 배치된 힌지 장치 (10) 의 제 1 링크 (42) 는 서로 동기하여 회전하도록, 서로의 동일 지점이 연결판 (5)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2 개의 힌지 장치 (10, 10) 가 서로 보강되어 있다.
문 (3) 은,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폐위치와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개위치 사이를 평행 이동한다. 문 (3) 은 폐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그 배면 (3a) 이 케이싱 (2) 의 전면 (2a) 에 부딪치고, 케이싱 (2) 의 개구부 전체를 닫는다. 한편, 개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문 (3) 전체가 케이싱 (2) 의 개구부보다 좌측방 (도 6 에 있어서 상방) 에 위치하고, 개구부 전체를 연다. 또한, 도 6 에서 명백하듯이, 문 (3) 의 개위치는 제 1 링크 (41) 가 축 (53) 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문 (3) 의 개위치는 제 1 ∼ 제 3 링크 (41 ∼ 43) 중 어느 것이 그것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이외의 축으로서, 축 (51 ∼ 53) 중 어느 하나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 규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문 (3) 은 폐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그 배면 (3a) 이 케이싱 (2) 의 전면 (2a) 에 그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접촉하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배면 (3a) 의 좌우 방향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만이 케이싱 (2) 의 전면 (2a) 에 접촉하고, 타단부 또는 일단부가 케이싱 (2) 의 전면 (2a) 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이간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케이싱측 조절 기구에 의해 연결 부재 (28) 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문측 조절 기구에 의해 기부 (31) 를 지지부 (32) 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혹은 양 조절 기구에 의해 연결 부재 (28) 및 기부 (31) 의 양자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문 (3) 을 수평 방향으로 적절히 회전시키고, 문 (3) 의 배면 (3a) 을 케이싱 (2) 의 전면 (2a) 에 대하여 그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접촉시킬 수 있다. 특히, 문측 조절 기구에 의해 조절하는 경우에는, 가령 케이싱 (2) 내에 각종 물품이 수용되어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 수용물을 케이싱 (2) 으로부터 꺼내지 않고 문 (3) 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측 조절 기구에 의해 연결 부재 (28) 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그 회전량에 따른 분만큼 연결 부재 (28) 의 전단부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후, 문측 조절 기구에 의해 문 (3) 의 자세를 조절함으로써, 문 (3) 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 (3) 의 좌우 방향 위치도 조절할 수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 (28) 의 전단부에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 (28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 (28c) 는 케이싱 (2) 의 전면 (2a) 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 (2a) 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 (28c) 의 선단부에 회전축 (제 1 회전축 : 51) 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 (51) 은 전면 (2a) 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회전축 (51) 은, 문 (3) 이 폐위치에 위치했을 때, 문 (3) 의 배면 (3a) 및 제 2 장착체 (30) 의 제 2 장착면 (31a) 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장착면 (21a) 전체가 전면 (2a) 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회전축 (51) 이 제 2 장착면 (31a) 을 사이에 두고 제 1 장착면 (21a) 전체와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지만, 제 1 장착면 (21a) 의 앞쪽의 일부가 전면 (2a) (제 2 장착면 (31a)) 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회전축 (51) 은, 제 1 장착면 (21a) 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전면 (2a) 보다 뒤쪽의 부분에 대하여, 제 2 장착면 (31a) 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게 된다. 회전축 (51) 및 돌출부 (28c) 가 전면 (2a) 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문 (3) 이 폐위치로 회전했을 때에 회전축 (51) 및 돌출부 (28c) 가 문 (3) 의 배면 (3a) 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문 (3) 의 배면 (3a) 에는 돌출부 (28c) 및 회전축 (51) 을 출몰 가능하게 수용하는 오목부 (3b)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에서 명백하듯이, 문 (3) 이 폐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회전축 (51 ∼ 53) 및 회전축 (61 ∼ 63) 이 내측면 (2d) 에 관하여 동일측에, 요컨대 내측면 (2d) 으로부터 타측부측을 향하는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회전축 (61 ∼ 63) 은 내측면 (2d) 으로부터 타측부측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회전축 (51 ∼ 53) 보다 내측면 (2d) 으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 (51) 대신에, 회전축 (52) 또는 회전축 (53) 을 전면 (2a) 으로부터 돌출시켜도 된다. 그 경우에는, 전면 (a2) 으로부터 돌출된 회전축 (52) 또는 회전축 (53) 이 제 1 회전축이 되고, 나머지 회전축 (51) 및 회전축 (53) (52) 의 일방이 제 2 회전축이 된다. 3 개의 회전축 (51 ∼ 53) 의 관계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3 개의 회전축 (51 ∼ 53) 에 대해서는, 그것들 중 임의의 1 개의 회전축 (51) (52, 53) 을 전면 (2a) 으로부터 외측 (반대측) 에 배치하고, 나머지 2 개의 회전축 (52, 53) (53, 51 ; 51, 52) 을 전면 (2a) 보다 내측 (일방측)에 배치해도 되고, 임의의 2 개의 회전축 (51, 52) (52, 53 ; 53, 51) 을 전면 (2a) 보다 외측에 배치하고, 나머지 1 개의 회전축 (53) (51 ; 52) 을 전면 (2a) 보다 내측에 배치해도 되고, 혹은 모든 회전축 (51, 52 ,53) 을 전면보다 외측에 배치해도 된다. 이 점은 후술하는 제 2 ∼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수용 장치 (1) 는, 상기 구성에 추가하여, 회전 탄성 지지 수단 (70) 및 댐퍼 장치 (80) 를 추가로 갖고 있다.
회전 탄성 지지 수단 (70) 은 문 (3) 이 개위치와 그곳으로부터 폐위치를 향하여 소정의 거리 (예를 들어, 제 1 링크 (41) 의 회전 각도로 환산하여 대략 20°에 상당하는 거리) 만큼 이간된 위치 (이하, 탄성 지지 개시 위치라고 한다.)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때, 제 1 링크 (41) 를 폐위치측에 회전 탄성 지지하여 문 (3) 을 폐위치까지 이동시킴과 함께, 폐위치에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 댐퍼 장치 (80) 는 회전 탄성 지지 수단에 의한 문 (3) 의 폐위치측으로의 이동 속도를 저속으로 억제하고, 그것에 의해 문 (3) 의 케이싱 (2) 에 대한 충돌시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회전 탄성 지지 수단 (70) 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10 ∼ 도 12 및 도 21 ∼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탄성 지지 수단 (70) 은 아암 (71) 을 갖고 있다. 아암 (71) 은 상하 방향에는 제 1 링크 (42) 의 하측의 측판부와 제 1 링크 (43) 사이에 그것들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아암 (71) 의 선단부 (제 2 장착체 (30) 측의 단부) 는 지지부 (32) 의 캠판부 (32a, 32a) 사이에 삽입되어 있고, 캠판부 (32a, 32a) 에 상기 회전축 (61) 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아암 (71) 의 기단부 (제 1 링크 (42) 의 기단측의 단부) 에는 가이드 홈 (71a)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홈 (71a) 에는 축선을 상하 방향을 향하게 하여 제 1 링크 (42) 에 고정된 축 (72) 이 가이드 홈 (71a) 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문 (3) 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 1 링크 (42) 가 회전하면, 그것에 추종하여 아암 (71) 이 축 (61) 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바꾸어 말하면, 아암 (71) 이 회전하면, 그것에 추종하여 제 1 링크 (42) 가 회전하고, 문 (3) 이 회전한다. 게다가, 아암 (71) 이 회전하면, 그것에 수반하여 축 (72) 이 가이드 홈 (71a) 내를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축 (72) 은 문 (3) 이 폐위치측으로 이동하도록 제 1 링크 (42) 가 회전하면, 가이드 홈 (71a) 내를 제 1 링크 (42) 의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이동하고, 문 (3) 이 개위치측으로 이동하도록 제 1 링크 (42) 가 회전하면, 가이드 홈 (71a) 내를 제 1 링크 (42) 의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지지부 (32) 의 1 쌍의 캠판부 (32a) 의 각 외주면에는 캠면 (캠부) (32d) 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아암 (71) 의 선단부에는, 축선을 상하 방향으로 향하게 한 롤러 (가동 부재) (73) 가 지지축 (74) 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또한 캠면 (32d) 에 접근 이간되는 방향으로 (축 (61) 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직경 방향)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아암 (71) 의 내부에는,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 지지 부재 (75) 가 그 길이 방향을 아암 (71) 의 길이 방향을 향하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 지지 부재 (75) 는 롤러 (73) 를 지지축 (74) 을 개재하여 탄성 지지하고, 캠면 (32d) 에 가압하고 있다. 서로 눌려진 캠면 (32d) 및 롤러 (73) 에 의해, 탄성 지지 부재 (75) 의 탄성 지지력이 아암 (71) 을 회전시키는 회전 탄성 지지력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아암 (71) 이 회전함으로써 문이 개폐 회전된다. 이 경우, 문 (3) 은 회전 탄성 지지 수단 (70) 에 의해, 폐위치와 그곳으로부터 개위치측으로 소정 각도 (예를 들어, 20°) 만큼 이간된 위치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개위치측에서 폐위치까지 회전되어 폐위치에 유지되고, 폐위치와 개위치 사이의 소정의 중간 위치로부터 폐위치측 및 개위치측으로 각각 소정 각도 (예를 들어 20°) 만큼 이간된 위치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중간 위치까지 회전되어 중간 위치에 유지되고, 개위치와 그곳으로부터 폐위치측으로 소정 각도 (예를 들어 20°) 만큼 이간된 위치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폐위치측으로부터 개위치까지 회전되어 개위치에 유지된다. 문 (3) 이 상기의 범위 이외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탄성 지지 부재 (75) 의 탄성 지지력이 캠면 (32d) 및 롤러 (73) 에 의해 회전 탄성 지지력으로 변환되지 않고, 문 (3) 은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다.
회동 탄성 지지 수단 (70) 을 상기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아암 (71) 이 제 1 링크 (42) 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탄성 지지 부재 (75) 가 그 길이 방향을 아암 (71) 의 길이 방향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아암 (71) 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동 탄성 지지 수단 (70) 을 소형화하고, 나아가서는 힌지 장치 (10) 를 소형화할 수 있다.
회전 탄성 지지 수단으로는, 상기 구성의 회전 탄성 지지 수단 (70) 대신에 다른 구조의 것을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아암 (71) 에 맞닿음 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형성하고, 이 맞닿음 부재를 캠면 (32d) 에 가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 등에 의해 제 1 링크 (42) 를 직접 회전 탄성 지지해도 된다.
아암 (71) 에는 댐퍼 장치 (80) 가 내장되어 있다. 댐퍼 장치 (80) 는, 길이 방향을 아암 (71) 의 길이 방향을 향하게 하여 아암 (71) 에 형성된 본체부 (81) 와, 이 본체부 (81) 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가동 로드 (82) 를 갖고 있다. 본체부 (81) 는 아암 (71) 에 위치 고정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가동 로드 (82) 는 본체부 (81) 에 출몰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가동 로드 (82) 는, 본체부 (81) 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는 고속으로 이동 가능하지만, 본체부 (81) 에 내장된 댐퍼 장치 (도시 생략) 에 의해, 본체부 (81) 내로 퇴축하는 방향으로는 고속 이동이 저지되어, 저속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게다가, 가동 로드 (82) 는, 그것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자연 상태로 되어 있을 때에는, 본체부 (81) 에 내장된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 지지 수단 (도시 생략) 에 의해, 본체부 (81) 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소정의 초기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문 (3) 이 개위치측에서 폐위치측으로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 폐위치로부터 소정 각도 (예를 들어 20°) 만큼 앞의 위치에 도달하면, 회전 탄성 지지 수단 (70) 에 의해 문 (3) 이 폐위치측으로 회전된다. 문 (3) 이 회전 탄성 지지 수단 (70) 에 의해 폐위치측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면, 예를 들어 10°만큼 회전되면, 축 (72) 이 가동 로드 (82) 의 선단면에 부딪친다. 따라서, 그 이후에는 아암 (71) 의 선단측에 대한 축 (72) 의 이동 속도가 저속으로 억제된다. 그 결과, 아암 (71) 및 제 1 링크 (42) 의 폐위치측으로의 회전 속도가 저속으로 억제되고, 나아가서는 문 (3) 의 폐위치측으로의 이동 속도가 저속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문 (3) 은 케이싱 (2) 의 전면 (2a) 에 저속으로 부딪치게 되어, 충돌시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수용 장치 (1) 에 있어서, 지금 문 (3) 이 폐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문 (3) 이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중간 위치에 도달하고, 그것에 수반하여 제 1 ∼ 제 3 링크 (42, 43, 41) 가 대략 90°회전하면, 문 (3) 이 케이싱 (2) 의 전면 (2a) 으로부터 최전방으로 돌출된다. 이 때의 문 (3) 의 돌출량은 제 1 ∼ 제 3 링크 (42, 43, 41) 의 길이 (중심 간 거리) 의 분이며, 그것들의 길이는 문 (3) 의 좌우 방향의 길이의 대략 절반이다. 따라서, 이 수용 장치 (1) 에서는 문 (3) 이 그 좌우 방향의 일측부를 중심으로 하여 타측부가 전방으로 90 도 회전하는 종래의 수용 장치에 비해, 케이싱 (2) 의 전방에 필요로 하는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케이싱 (2) 의 전방에 존재하는 공간이 좁은 경우에도, 문 (3) 을 충분히 열 수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링크 (42) 를 그 회전 중심인 축 (51, 61) 의 축선 방향 (상하 방향) 에서 보았을 때, 제 1 링크 (42) 는 그 중앙부 (축 (52, 62) 간의 중앙부) 보다 기단부측 가까이의 중간부에 있어서 굴곡되어 있다. 제 1 링크 (42) 의 굴곡부는, 문 (3) 이 개위치로 이동했을 때에는 축 (52, 62) 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전방에 위치한다. 제 2 및 제 3 링크 (43, 41) 도 동일하게 굴곡되어 있다. 제 1, 제 2 및 제 3 링크 (42, 43, 41) 를 이와 같이 굴곡시키면, 문 (3) 을 개위치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제 1, 제 2 및 제 3 링크 (42, 43, 41) 가 케이싱 (2) 의 전면 (2a) 의 개구부의 단 (端) 둘레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제 2 및 제 3 링크 (42, 43, 41) 는, 그 굴곡분만큼 개위치측으로 크게 회전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문 (3) 을 크게 열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싱 (2) 의 전면부가 개구되어 있으므로, 문 (3) 이 개위치로 이동했을 때 제 1 ∼ 제 3 링크 (42, 43, 41) 의 굴곡부가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전방에 위치하도록 제 1 ∼ 제 3 링크 (42, 43, 41) 를 굴곡시키고 있지만, 케이싱 (2) 의 측면부가 개구되어 있는 경우에는, 문 (3) 이 개위치로 이동했을 때, 각 링크 (41 ∼ 43) 의 굴곡부가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좌우의 측방에, 그것도 케이싱 (2) 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각 링크 (42, 43, 41) 를 굴곡시키고, 또한 케이싱 (2) 의 상면부가 개구되어 있는 경우에는, 문 (3) 이 개위치로 이동했을 때, 각 링크 (42, 43, 41) 의 각 굴곡부가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상방에 위치하도록 각 링크 (42, 43, 41) 를 굴곡시킨다.
또한, 연결 부재 (28) 와 지지부 (32) 를 연결하는 링크로서 3 개의 링크 (42, 43, 41) 가 사용되고, 각 링크 (42, 43, 41) 의 회전 중심인 축 (52, 53, 51 ; 62, 63, 61) 이 삼각형의 정점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문 (3) 이 폐위치와 개위치 사이의 어디에 위치하고 있을 때라도, 문 (3) 에 그것과 직교하는 선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모멘트가 작용했다 하더라도, 그 모멘트를 충분한 강도로 지지할 수 있다. 즉, 가령 제 1 ∼ 제 3 링크 (42, 43, 41) 중 2 개의 링크만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하면, 2 개의 링크의 회전 중심선의 길이 방향에서 보았을 때, 문 (3) 의 위치에 따라서는 2 개의 링크가 서로 대략 겹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는, 문 (3) 에 상기와 같은 회전 모멘트가 작용했을 때, 그 회전 모멘트에 대하여 2 개의 링크가 충분한 강도를 발휘할 수 없다. 그런데, 이 수용 장치 (1) 에서 사용되고 있는 힌지 장치 (10) 에 있어서는, 3 개의 링크 (42, 43, 41) 의 회전 중심이 삼각형의 정점에 각각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문 (3) 이 어떠한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도 3 개의 링크 (42, 43, 41) 가 회전 중심선 방향에 있어서 서로 겹치는 일이 없고, 적어도 1 개의 링크는 다른 2 개의 링크에 대하여 회전 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간되어 있다. 따라서, 문 (3) 에 상기와 같은 회전 모멘트가 작용했다 하더라도, 3 개의 링크 (42, 43, 41) 는 그 회전 모멘트를 충분한 강도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 3 링크 (제 1 링크) (41) 의 회전 중심인 회전축 (51) 이 케이싱 (2) 의 전면 (2a) 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축 (51) 이 케이싱 (2) 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적어도 회전축 (51) 의 돌출량만큼 제 1 장착체 (20) 및 제 1 ∼ 제 3 링크 (42, 43, 41) 를 전방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유효 사용이 가능한 케이싱 (2) 의 내부 공간을 넓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제 3 링크 (41) 는, 전면 (2a) 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그 중간부를 굴곡시킬 필요가 거의 없고, 가령 굴곡시켰다 하더라도 굴곡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링크 (42, 43) 는 전면 (2a) 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지만, 제 3 링크 (41) 가 전방에 배치된 분만큼 전방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제 1 및 제 2 링크 (42, 43) 에 대해서도 그것들의 굴곡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문 (3) 이 폐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굴곡부가 케이싱 (2) 의 안쪽으로 들어가는 양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유효 사용이 가능한 케이싱 (2) 의 내부 공간을 한층 더 넓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회전 탄성 지지 수단 (70) 및 댐퍼 장치 (80) 가 생략되어 있다.
도 24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수용 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수용 장치 (1A) 에 있어서는, 문 (3) 이 폐위치에 위치했을 때, 문 (3) 의 배면 (3a) 이 케이싱 (2) 의 전면 (2a) 과 평행하게 되어 있기는 하지만, 전면 (2a) 에 부딪치는 일이 없고, 전면 (2a) 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간되어 있다. 닫힘시에 있어서의 문 (3) 의 배면 (3a) 과 케이싱 (2) 의 전면 (2a) 사이의 거리는, 돌출부 (28c) 의 전면 (2a) 으로부터의 돌출량과 동등 혹은 그것보다 약간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문 (3) 의 배면 (3a) 에는 돌출부 (28c) 및 회전축 (51) 이 부딪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배면 (3a) 에는 오목부 (3b) 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문 (3) 의 폐위치는, 개위치와 동일하게 하여 힌지 장치 (10) 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문 (3) 의 개위치는 상기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 위치이다.
도 25 및 도 26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수용 장치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수용 장치 (1B) 에 있어서도, 문 (3) 이 폐위치에 도달했을 때 문이 전면 (2a) 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간되어 위치되어 있다. 게다가, 문 (3) 의 전면 (2a) 으로부터의 이간 거리는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이간 거리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문 (3) 의 폐위치는 힌지 장치 (10) 대신에 사용되는 힌지 장치 (10B) 에 의해 결정된다. 이 경우, 힌지 장치 (10B) 에 의한 문 (3) 의 폐위치는, 힌지 장치 (10) 에 의한 문 (3) 의 개위치를 결정하는 수단과 동일한 수단에 의해 결정된다.
또, 이 수용 장치 (1B) 의 힌지 장치 (10B) 에 있어서는, 연결 부재 (28) 의 전단부에 돌출부 (28c) 를 대신하는 돌출부 (28d)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 (28d) 는, 전면 (2a) 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후, 전면 (2a) 을 따라 외측을 향하고, 측벽 (2c) 의 외면과 대략 동일 위치까지 도달해 있다. 돌출부 (28d) 의 선단부에는 회전축 (51) 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 (51) 은 전면 (2a) 보다 전방에 위치할 뿐만 아니라, 내측면 (2d) 에 대하여 외측 (도 25 에 있어서 상측) 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회전축 (51) 이 이와 같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 3 링크 (41) 의 회전축 (51) 측의 일단부는 전면 (2a) 과 대향하고 있고, 문 (3) 이 폐위치에 위치하면 전면 (2a) 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문 (3) 의 폐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제 3 링크 (41) 의 타단부의 회전 중심인 회전축 (61) 이 지지부 (32) 의 원호부 (32c) 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 링크 (42, 43) 중 제 1 링크 (42) 만이 형성되어 있지만, 제 1 링크 (42) 를 생략하고 제 2 링크 (43) 를 사용해도 된다. 이것은, 다음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상기 구성의 수용 장치 (1B) 에 있어서는, 제 3 링크 (제 1 링크) (41) 의 회전축 (51) 이 전면 (2a) 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유효 사용이 가능한 케이싱 (2) 의 내부 공간을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 (51) 이 내측면 (2d) 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 1 링크 (42) 의 회전축 (52) 을 전면 (2a) 에 접근시켰다고 하더라도, 회전축 (51, 52) 간의 거리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회전축 (51, 52)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설정한 경우에는, 회전축 (51) 을 내측면 (2d) 보다 외측에 배치한 분만큼 회전축 (52) 을 전면 (2a) 에 접근하여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유효 사용이 가능한 케이싱 (2) 의 내부 공간을 한층 더 넓게 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수용 장치 (1C) 에 있어서는, 힌지 장치 (10B) 대신에 힌지 장치 (10C) 가 이용되고 있다. 이 힌지 장치 (10C) 의 연결 부재 (28) 의 전단부에는 돌출부 (28e) 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 (28e) 는 전면 (2a) 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후, 전면 (2a) 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고, 또한 측벽 (2c) 의 외면 (내측면 (2d) 에 인접하는 외면) 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문 (3) 이 개위치측으로부터 회전하여 폐위치에 도달하면, 제 3 링크 (41) 가 전면 (2a) 에 부딪침과 함께, 측벽 (2c) 의 외면에 부딪친다. 이로써, 문 (3) 의 폐위치가 결정된다.
측벽 (2c) 의 외면을 따른 돌출부 (28e) 의 선단부에는 제 3 링크 (제 1 링크) (41) 의 회전축 (51) 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 (51) 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는 전면 (2a) 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지만, 좌우 방향에 있어서는 내측면 (2d) 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수용 장치 (1C) 에 있어서는, 회전축 (51) 이 전면 (2a) 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지만, 내측면 (2d) 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회전축 (52) 을 전면 (2a) 에 접근시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유효 사용이 가능한 케이싱 (2) 의 내부 공간을 넓게 할 수 있다.
도 29 및 도 30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수용 장치 (1D) 에 있어서는, 케이싱 (2) 의 전면 (2a) 에 측벽 (2c) 을 좌우로 횡단하는 절결부 (2e)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 (2e) 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는 연결 부재 (28) 와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수용 장치 (1D) 에 있어서는 힌지 장치 (10D) 가 사용되고 있다. 이 힌지 장치 (10D) 의 연결 부재 (28) 에는 돌출부 (28f)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 (28f) 는, 연결 부재 (28) 의 전단부의 절결부 (2e) 와 대향하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고, 측벽 (2c) 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절결부 (2e) 내에 들어가 있다. 돌출부 (28f) 의 절결부 (2e) 내로 들어간 부위에는 회전축 (51) 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 (51) 은 전면 (2a) 보다 후방이지만, 내측면 (2d) 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3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이유로 인하여 유효 사용이 가능한 케이싱 (2) 의 내부 공간을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변형예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제 2 및 제 3 의 3 개의 링크 (42, 43, 41) 가 사용되고 있지만, 이들 3 개의 링크 (42, 43, 41) 중 어느 2 개만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장착체 (20) 를 케이싱 (2) 에 고정되는 기판 (21) 과, 이 기판 (21) 에 고정된 높이 조절 부재 (22) 와, 높이 조절 부재 (22) 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장착 부재 (23) 와, 걸어맞춤 해제 부재 (26) 와, 연결 부재 (28) 로 구성하고 있지만, 연결 부재 (28) 의 위치 조절이 불필요하다면, 제 1 장착체 (20) 전체를 일체로 형성해도 되고, 혹은 연결 부재 (28) 에 제 1 장착면을 형성하고, 연결 부재 (28) 를 케이싱 (2) 에 직접 고정시켜도 된다. 이 점은 제 2 장착체 (30) 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요컨대, 기부 (31) 와 지지부 (32) 를 일체로 형성해도 되고, 혹은 지지부 (32) 에 제 2 장착면을 형성하고, 지지부 (32) 를 문 (3) 에 직접 고정시켜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케이싱에 문을 링크 기구를 갖는 힌지문에 의해 개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수용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B2 : 볼트 (케이싱측 조절 기구)
1 : 수용 장치
1A : 수용 장치
1B : 수용 장치
1C : 수용 장치
1D : 수용 장치
2 : 케이싱
2a : 전면 (일단부 외면)
2b : 개구부
2d : 내측면 (일측부 내면)
2e : 절결부
3 : 문
3a : 배면
10 : 힌지 장치
10B : 힌지 장치
10C : 힌지 장치
10D : 힌지 장치
20 : 제 1 장착체
21a : 제 1 장착면
23a : 나사 구멍 (케이싱측 조절 기구)
28a : 측판부 (장착판부)
28b : 측판부 (장착판부)
30 : 제 2 장착체
31 : 기부
31a : 제 2 장착면
32 : 지지부
32b : 나사 구멍 (문측 조절 기구)
32d : 캠면 (캠부)
33 : 조절 나사 (문측 조절 기구)
41 : 제 3 링크 (제 1 링크)
42 : 제 1 링크 (제 2 링크)
43 : 제 2 링크
44 : 스페이서
51 : 회전축 (제 1 회전축 ; 회전 중심)
52 : 회전축 (제 2 회전축 ; 회전 중심)
53 : 회전축 (회전 중심)
61 : 회전축 (제 3 회전축 ; 회전 중심)
62 : 회전축 (제 4 회전축 ; 회전 중심)
63 : 회전축 (회전 중심)
70 : 회전 탄성 지지 수단
71 : 아암
73 : 롤러 (가동 부재)
75 : 탄성 지지 부재

Claims (33)

  1. 케이싱 (2) 에 장착되는 제 1 장착체 (20) 와, 문 (3) 에 장착되는 제 2 장착체 (30) 와, 각각의 기단부가 상기 제 1 장착체 (20) 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각각의 선단부가 상기 제 2 장착체 (30) 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 1 및 제 2 링크 (42, 43) 를 구비한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착체 (20), 상기 제 2 장착체 (30), 상기 제 1 링크 (42) 및 상기 제 2 링크 (43) 에 의해 평행 링크 기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착체 (20) 가 상기 케이싱 (2) 에 장착되는 기재 (21) 와, 이 기재 (21) 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연결 부재 (28) 를 갖고, 상기 연결 부재 (28) 에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 (42, 43) 의 기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연결 부재 (28), 상기 제 2 장착체 (30), 상기 제 1 링크 (42) 및 상기 제 2 링크 (43) 에 의해 평행 링크 기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 (28), 상기 제 2 장착체 (30) 및 상기 제 1 링크 (42) 또는 상기 제 2 링크 (43) 와 평행 링크 기구를 구성하는 제 3 링크 (41) 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3 링크 (41) 의 기단부의 상기 연결 부재 (28) 에 대한 회전 중심이,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 (42, 43) 의 상기 연결 부재 (28) 에 대한 회전 중심과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링크 (42, 43, 41) 가 각각의 중간부에 있어서 굴곡되어 있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링크 (42, 43, 41) 의 각 굴곡부가 각각의 기단부의 회전 중심과 선단부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서로 동일측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 (28) 가, 상기 제 1 ∼ 제 3 링크 (42, 43, 41) 의 기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판부 (28a) 를 갖고, 상기 제 1 ∼ 제 3 링크 (42, 43, 41) 중 2 개의 링크 (42, 43) 가 상기 장착판부 (28a) 의 일방측에 배치되고, 다른 1 개의 링크 (41) 가 상기 장착판부 (28a) 의 타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2 개의 링크 (42, 43) 중 일방의 링크 (42) 가 상기 장착판부 (28a) 에 접촉하여 배치되고, 타방의 링크 (43) 가, 상기 일방의 링크 (42) 와 간섭하는 일이 없도록, 상기 일방의 링크 (42) 의 두께와 동등 이상의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 (44) 를 개재하여 상기 장착판부 (28a) 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21) 와 상기 연결 부재 (28) 사이에는, 상기 제 1 ∼ 제 3 링크 (42, 43, 41) 의 회전 중심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연결 부재 (28) 의 자세를 조절하는 케이싱측 조절 기구 (B2, 23a) 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장착체 (30) 가, 상기 문 (3) 에 장착되는 기부 (31) 와, 이 기부 (31) 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 제 3 링크 (42, 43, 44) 의 각 선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부 (32) 를 갖고, 상기 기부 (31) 와 상기 지지부 (32) 사이에는, 상기 제 1 ∼ 제 3 링크 (42, 43, 44) 의 회전 중심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지지부 (32) 의 자세를 조절하는 문측 조절 기구 (32b, 33)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측 조절 기구 (B2, 23a) 가, 상기 연결 부재 (28) 의 상기 제 1 ∼ 제 3 링크 (42, 43, 41) 가 연결된 일단부를 상기 연결 부재 (28) 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 (28) 의 자세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21) 와 상기 연결 부재 (28) 사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 (42, 43) 의 회전 중심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연결 부재 (28) 의 자세를 조절하는 케이싱측 조절 기구 (B2, 23a) 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장착체 (30) 가, 상기 문 (3) 에 장착되는 기부 (31) 와, 이 기부 (31) 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 (42, 43) 의 선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부 (32) 를 갖고, 상기 기부 (31) 와 상기 지지부 (32) 사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 (42, 43) 의 회전 중심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지지부 (32) 의 자세를 조절하는 문측 조절 기구 (32b, 33)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측 조절 기구 (B2, 23a) 가, 상기 연결 부재 (28) 의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 (42, 43) 가 연결된 일단부를 상기 연결 부재 (28) 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 (28) 의 자세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착체 (30) 가 상기 제 1 장착체 (20) 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평행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 2 장착체 (30) 가 상기 일방향으로 추가로 평행 이동하도록, 상기 제 1 링크 (42) 를 일방향으로 회전 탄성 지지하는 회전 탄성 지지 수단 (70) 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탄성 지지 수단 (70) 이, 일단부가 상기 제 2 장착체 (30) 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 1 링크 (42) 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제 1 링크 (42) 에 변위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 (71) 과, 상기 제 2 장착체 (30) 에 형성된 캠부 (32d) 와, 상기 아암 (71) 에 상기 캠부 (32d) 에 접근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가동 부재 (73) 와, 이 가동 부재 (73) 를 상기 캠부 (32d) 에 가압 접촉시키는 탄성 지지 부재 (75) 를 구비하고, 서로 부딪치는 상기 가동 부재 (73) 및 상기 캠부 (32d) 에 의해, 상기 탄성 지지 부재 (75) 의 탄성 지지력이 상기 제 1 링크 (42) 를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탄성 지지력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12. 개구부 (2b) 를 갖는 케이싱 (2) 과, 이 케이싱 (2) 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문 (3) 과, 이 문 (3) 을 상기 케이싱 (2) 에 그 개구부 (2b) 를 닫은 폐위치와 상기 개구부 (2b) 를 연 개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장치 (10) 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 장치 (10) 가, 상기 케이싱 (2) 의 내면에 장착된 제 1 장착체 (20), 상기 문 (3) 의 배면 (3a) 에 장착된 제 2 장착체 (30), 그리고 각각의 기단부가 상기 제 1 장착체 (20) 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각각의 선단부가 상기 제 2 장착체 (30) 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 1 및 제 2 링크 (42, 43) 를 갖는 수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착체 (20), 상기 제 2 장착체 (30), 상기 제 1 링크 (42) 및 상기 제 2 링크 (43) 에 의해 평행 링크 기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착체 (20) 가, 상기 케이싱 (2) 의 내면에 장착된 기재 (21) 와, 이 기재 (21) 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연결 부재 (28) 를 갖고, 상기 연결 부재 (28) 에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 (42, 43) 의 기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연결 부재 (28), 상기 제 2 장착체 (30), 상기 제 1 링크 (42) 및 상기 제 2 링크 (43) 에 의해 평행 링크 기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 (28), 상기 제 2 장착체 (30) 및 상기 제 1 링크 (42) 또는 상기 제 2 링크 (43) 와 평행 링크 기구를 구성하는 제 3 링크 (41) 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3 링크 (41) 의 기단부의 상기 연결 부재 (28) 에 대한 회전 중심이,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 (42, 43) 의 상기 연결 부재 (28) 에 대한 회전 중심과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 제 3 링크 (42, 43, 41) 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연결 부재 (28) 의 세 개의 부분 중 하나, 또는 두 개, 또는 세 개가 상기 케이싱 (2) 의 개구부 (2b) 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문 (3) 의 배면 (3a) 에는, 상기 문 (3) 이 폐위치 및 그 근방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연결 부재 (28) 의 상기 개구부 (2b) 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하나, 또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부분 중 적어도 하나가 들어가는 오목부 (3b)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링크 (42, 43, 41) 가 각각의 각 중간부에 있어서 굴곡되어 있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링크 (42, 43, 41) 의 각 굴곡부가 각각의 기단부의 회전 중심과 선단부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서로 동일측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 (28) 가, 상기 제 1 ∼ 제 3 링크 (42, 43, 41) 의 기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판부 (28a) 를 갖고, 상기 제 1 ∼ 제 3 링크 (42, 43, 41) 중 2 개의 링크 (42, 43) 가 상기 장착판부 (28a) 의 일방측에 배치되고, 다른 1 개의 링크 (41) 가 상기 장착판부 (28a) 의 타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2 개의 링크 (42, 43) 중 일방의 링크 (42) 가 상기 장착판부 (28a) 에 접촉하여 배치되고, 타방의 링크 (43) 가, 상기 일방의 링크 (42) 와 간섭하는 일이 없도록, 상기 일방의 링크 (42) 의 두께와 동등 이상의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 (44) 를 개재하여 상기 장착판부 (28a) 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18.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21) 와 상기 연결 부재 (28) 사이에는, 상기 제 1 ∼ 제 3 링크 (42, 43, 41) 의 회전 중심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연결 부재 (28) 의 자세를 조절하는 케이싱측 조절 기구 (B2, 23a) 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장착체 (30) 가, 상기 문 (3) 에 장착되는 기부 (31) 와, 이 기부 (31) 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 제 3 링크 (42, 43, 41) 의 각 선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부 (32) 를 갖고, 상기 기부 (31) 와 상기 지지부 (32) 사이에는, 상기 제 1 ∼ 제 3 링크 (42, 43, 41) 의 회전 중심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지지부 (32) 의 자세를 조절하는 문측 조절 기구 (32b, 33)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측 조절 기구 (B2, 23a) 가, 상기 연결 부재 (28) 의 상기 제 1 ∼ 제 3 링크 (42, 43, 41) 가 연결된 일단부를 상기 연결 부재 (28) 타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 (28) 의 자세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21) 와 상기 연결 부재 (28) 사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 (42, 43) 의 회전 중심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연결 부재 (28) 의 자세를 조절하는 케이싱측 조절 기구 (B2, 23a) 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장착체 (30) 가, 상기 문 (3) 에 장착되는 기부 (31) 와, 이 기부 (31) 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 (42, 43) 의 선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부 (31) 를 갖고, 상기 기부 (32) 와 상기 지지부 (32) 사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 (42, 43) 의 회전 중심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지지부 (32) 의 자세를 조절하는 문측 조절 기구 (32b, 33)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측 조절 기구 (B2, 23a) 가, 상기 연결 부재 (28) 의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 (42, 43) 가 연결된 일단부를 상기 연결 부재 (28) 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 (28) 의 자세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22. 제 1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착체 (30) 가 상기 제 1 장착체 (20) 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평행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 2 장착체 (30) 가 상기 일방향으로 추가로 평행 이동하도록, 상기 제 1 링크 (42) 를 일방향으로 회전 탄성 지지하는 회전 탄성 지지 수단 (70) 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탄성 지지 수단 (70) 이, 일단부가 상기 제 2 연결체 (30) 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 1 링크 (42) 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제 1 링크 (42) 에 변위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 (71) 과, 상기 제 2 회전체 (30) 에 형성된 캠부 (32d) 와, 상기 아암 (71) 에 상기 캠부 (32d) 에 접근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가동 부재 (73) 와, 이 가동 부재 (73) 를 상기 캠부 (32d) 에 가압 접촉시키는 탄성 지지 부재 (75) 를 구비하고, 서로 부딪치는 상기 가동 부재 (73) 및 상기 캠부 (32d) 에 의해, 상기 탄성 지지 부재 (75) 의 탄성 지지력이 상기 제 1 링크 (42) 를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탄성 지지력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24. 평탄한 제 1 장착면 (21a) 을 갖는 제 1 장착체 (20) 와, 이 제 1 장착체 (20) 에 각 기단부가 제 1 회전축 (51) 및 이 제 1 회전축 (51) 과 평행한 제 2 회전축 (52) 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및 제 2 링크 (41, 42) 와, 평탄한 제 2 장착면 (31a) 을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 (41, 42) 의 각 선단부가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축 (51, 52) 과 평행한 제 3 및 제 4 회전축 (61, 62) 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1 장착체 (20) 에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 (41, 42) 를 개재하여 폐위치와 개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장착체 (30) 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장착체 (30) 가 상기 폐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제 1 장착면 (21a) 과 상기 제 2 장착면 (31a) 이 이루는 각도가 직각이 됨과 함께, 상기 제 1 ∼ 제 4 회전축 (51, 52, 61, 62) 이 상기 제 1 장착면 (21a) 에 관하여 상기 제 2 장착면 (31a) 과 동일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 3 및 제 4 회전축 (61, 62) 이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축 (51, 52) 보다 상기 제 1 장착면 (21a) 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착체 (20) 가 상기 폐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제 1 장착면 (21a) 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상기 제 2 장착면 (31a) 에 관하여 일방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축 (51, 52) 의 적어도 일방이, 상기 제 2 장착면 (31a) 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장착면 (21a) 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25. 평탄한 제 1 장착면 (21a) 을 갖는 제 1 장착체 (20) 와, 이 제 1 장착체 (20) 에 각 기단부가 제 1 회전축 (51) 및 이 제 1 회전축 (51) 과 평행한 제 2 회전축 (52) 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및 제 2 링크 (41, 42) 와, 평탄한 제 2 장착면 (31a) 을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 (41, 42) 의 각 선단부가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축 (51, 52) 과 평행한 제 3 및 제 4 회전축 (61, 62) 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1 장착체 (20) 에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 (41, 42) 를 개재하여 폐위치와 개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장착체 (30) 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장착체 (30) 가 상기 폐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제 1 장착면 (21a) 과 상기 제 2 장착면 (31a) 이 이루는 각도가 직각이 됨과 함께, 상기 제 1 ∼ 제 4 회전축 (51, 52, 61, 62) 이 상기 제 1 장착면 (21a) 에 관하여 상기 제 2 장착면 (31a) 과 동일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 3 및 제 4 회전축 (61, 62) 이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축 (51, 52) 보다 상기 제 1 장착면 (21a) 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착체 (20) 가 상기 폐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제 1 회전축 (51) 및 상기 제 2 회전축 (52) 중 일방 (51) 이 상기 제 2 장착면 (31a) 에 관하여 일방측에 위치하고, 타방 (52) 이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회전축 (51) 및 상기 제 2 회전축 (52) 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착체 (20), 상기 제 1 링크 (41), 상기 제 2 링크 (42) 및 상기 제 2 장착체 (30) 에 의해 평행 링크 기구가 구성되고, 상기 제 1 회전축 (51) 과 상기 제 3 회전축 (61) 사이의 축간 거리 및 상기 제 2 회전축 (52) 과 상기 제 4 회전축 (62) 사이의 축간 거리가, 상기 제 1 회전축 (51) 과 상기 제 2 회전축 (52) 사이의 축간 거리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27. 일단부 외면 (2a) 에 개구부 (2b) 가 형성된 케이싱 (2) 과, 이 케이싱 (2) 에 힌지 장치 (10 ; 10A ; 10B ; 10C ; 10D) 를 개재하여 폐위치와 개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문 (3) 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 장치 (10 ; 10A ; 10B ; 10C ; 10D) 가, 상기 케이싱 (2) 의 내면 중 일측부 내면 (2d) 의 상기 일단부 외면 (2a) 근방에 장착된 제 1 장착체 (20), 이 제 1 장착체 (20) 에 각 기단부가 제 1 회전축 (51) 및 이 제 1 회전축 (51) 과 평행한 제 2 회전축 (52) 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및 제 2 링크 (41, 42), 및 상기 문 (3) 의 배면 (3a) 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 (41, 42) 의 각 선단부에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축 (51, 52) 과 평행한 제 3 및 제 4 회전축 (61, 62) 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문 (3) 을 상기 케이싱 (2) 에 상기 폐위치와 상기 개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2 장착체 (30) 를 갖고, 상기 문 (3) 이 상기 폐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제 2 장착체 (30) 가 상기 제 1 장착체 (20) 가 장착된 상기 일측부 내면 (2d) 으로부터 타측부를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착체 (20) 보다 타측부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수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축 (51, 52) 의 적어도 일방 (51) 이, 상기 케이싱 (2) 의 내면 (2d) 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축 (51, 52) 의 적어도 일방 (51) 이, 상기 케이싱 (2) 의 상기 개구부 (2b) 가 형성된 상기 일단부 외면 (2a) 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문 (3) 이 상기 폐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문 (3) 의 배면 (3a) 이 상기 케이싱 (2) 의 상기 개구부 (2b) 가 형성된 상기 일단부 외면 (2a) 에 부딪쳐 있고, 상기 문 (3) 의 배면 (3a) 에는, 상기 문 (3) 이 폐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제 1 회전축 (51) 을 출몰 가능하게 수용하는 오목부 (3b)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30. 제 27 항 또는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축 (51, 52) 의 적어도 일방 (51) 이, 상기 케이싱 (2) 의 상기 제 1 장착체 (20) 가 장착된 상기 일측부 내면 (2d) 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축 (51, 52) 의 적어도 일방이, 상기 케이싱 (2) 의 상기 제 1 장착체 (20) 가 장착된 상기 일측부 내면 (2d) 에 인접하는 외면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2b) 가 형성된 상기 케이싱 (2) 의 상기 일측부 외면 (2a) 과 상기 케이싱 (2) 의 상기 제 1 장착체 (20) 가 장착된 상기 일측부 내면 (2d) 의 교차부에 절결부 (2e) 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축 (51, 52) 의 적어도 일방 (51) 이 상기 절결부 (2e)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33. 제 27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착체 (20), 상기 제 1 링크 (41), 상기 제 2 링크 (42) 및 상기 제 2 장착체 (30) 에 의해 평행 링크 기구가 구성되고, 상기 제 1 회전축 (51) 과 상기 제 3 회전축 (61) 사이의 축간 거리 및 상기 제 2 회전축 (52) 과 상기 제 4 회전축 (62) 사이의 축간 거리가, 상기 제 1 회전축 (51) 과 상기 제 2 회전축 (52) 사이의 축간 거리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KR1020117003388A 2008-08-12 2009-08-10 힌지 장치 및 수용 장치 KR101275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07747 2008-08-12
JP2008207747A JP4906809B2 (ja) 2008-08-12 2008-08-12 スライドヒンジ及び収容装置
JP2009067763A JP4906880B2 (ja) 2009-03-19 2009-03-19 ヒンジ装置及び収容装置
JPJP-P-2009-067763 2009-03-19
PCT/JP2009/003839 WO2010018683A1 (ja) 2008-08-12 2009-08-10 ヒンジ装置及び収容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665A KR20110043665A (ko) 2011-04-27
KR101275477B1 true KR101275477B1 (ko) 2013-06-17

Family

ID=41668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3388A KR101275477B1 (ko) 2008-08-12 2009-08-10 힌지 장치 및 수용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904600B2 (ko)
EP (1) EP2325425B1 (ko)
KR (1) KR101275477B1 (ko)
CN (2) CN103334661B (ko)
CA (1) CA2740564C (ko)
RU (1) RU2471951C2 (ko)
TW (2) TWI551767B (ko)
WO (1) WO20100186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110297A1 (it) * 2011-02-28 2012-08-29 Salice Arturo Spa Sistema di sollevamento per ante di un mobile oscillanti attorno ad un asse orizzontale
JP5415490B2 (ja) * 2011-07-29 2014-02-12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支持部材付き扉開閉装置及び扉開閉装置用の支持部材
JP5415491B2 (ja) * 2011-07-29 2014-02-12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扉開閉装置ユニット及び扉開閉装置ユニットの取付け方法
JP2015086638A (ja) * 2013-11-01 2015-05-07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US9217269B2 (en) * 2014-05-02 2015-12-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inge assembly
AT516783B1 (de) 2015-02-13 2017-05-15 Blum Gmbh Julius Stützvorrichtung für eine Möbelklappe
CN105588398A (zh) * 2015-12-29 2016-05-18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冰箱门体的铰链组件及冰箱
CN110612377B (zh) * 2017-05-24 2021-01-15 世嘉智尼工业株式会社 门用装置
EP3460154A1 (de) * 2017-09-26 2019-03-27 FLAP Competence Center kft Halteelement für einen deckel oder eine klappe eines möbels
IT201800004535A1 (it) * 2018-04-16 2019-10-16 Ante incernierate per armadi, cabine armadio e mobili in genere con dispositivi di smorzamento e richiamo magnetici
US10876341B2 (en) * 2018-07-24 2020-12-2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Door drive system
EP3872287A4 (en) * 2018-10-23 2022-08-03 Sugatsune Kogyo Co., Ltd. DOOR OPENING/CLOSING DEVICE AND HINGE
FR3097194B1 (fr) * 2019-06-15 2024-01-19 Latecoere Porte d’aéronef avec charnières de bras de support ajustables
CN111364868A (zh) * 2020-03-10 2020-07-03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自动开关门装置
FR3119158A1 (fr) * 2021-01-28 2022-07-29 Latecoere Porte d’aéronef équipée d’un système de réglage en position et procédé d’installation d’une telle porte.
IT202100021140A1 (it) * 2021-08-04 2023-02-04 De Molli Giancarlo Ind S P A Cinematismo a doppio quadrilatero articolato per porte, ante e similari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339A (ko) * 2002-11-06 2004-05-12 오일레스 에코 가부시키가이샤 블라인드 장치용 슬랫지지부재, 그 슬랫지지부재를 구비한슬랫지지기구 및 그 슬랫지지기구를 구비한 블라인드 장치
KR20080111969A (ko) * 2007-06-20 2008-12-24 이상용 회전 각도 제한 기능을 갖는 경첩
KR20090031116A (ko) * 2007-09-21 2009-03-25 (주)삼우교역 도어힌지
KR20100051538A (ko) * 2008-11-07 2010-05-17 박정원 다용도 창호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09485A1 (de) * 1971-03-01 1972-09-07 Zeiser, Manfred P., Dr., 7141 Schwieberdingen Scharnier zum Anlenken einer Schranktür
DE2617071C2 (de) * 1976-04-17 1984-04-05 Karl Lautenschläger KG, Möbelbeschlagfabrik, 6107 Reinheim Möbelscharnier
DE3630094A1 (de) * 1986-09-04 1988-03-17 Standard Elektrik Lorenz Ag Scharnier fuer selbstkassierergehaeuse
JPH027185U (ko) * 1988-06-29 1990-01-17
DE3914100C2 (de) * 1989-04-28 1998-07-30 Lautenschlaeger Mepla Werke Kreuzgelenkscharnier mit Schließmechanismus
IT217648Z2 (it) * 1989-07-28 1992-01-07 T G N Spa Cerniera per mobili. con basi non incassate
US5458412A (en) * 1992-10-31 1995-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a refrigerator
JP3054097B2 (ja) 1997-02-25 2000-06-19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
JP2001115727A (ja) * 1999-10-15 2001-04-24 Ota Seisakusho:Kk 扉の開閉装置
DE20115250U1 (de) * 2001-07-06 2002-11-14 Lautenschlaeger Mepla Werke Dämpfungsvorrichtung
DE10211294B4 (de) * 2002-03-14 2013-10-17 Grass Gmbh Möbelbeschlag mit Brems-und Dämpfungsvorrichtung
DE20207036U1 (de) * 2002-05-03 2003-09-18 Lautenschlaeger Mepla Werke Kreuzgelenkscharnier
JP3853721B2 (ja) 2002-10-01 2006-12-06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機器用ケース
JP3773113B2 (ja) * 2003-01-27 2006-05-10 株式会社ダイドー 収納庫扉開閉構造
JP2005240465A (ja) * 2004-02-27 2005-09-08 Arai Tekko:Kk 扉体開閉装置
CN2697250Y (zh) * 2004-03-19 2005-05-04 刘江波 滑撑机构和采用该滑撑机构的电动门窗
CN2720047Y (zh) * 2004-08-10 2005-08-24 陈庆元 一种平开铰链
AT502944A1 (de) * 2005-03-21 2007-06-15 Blum Gmbh Julius Möbel mit einem möbelkorpus und wenigstens einer hochbewegbaren klappe
CN2916076Y (zh) * 2006-05-31 2007-06-27 三一重机有限公司 驾驶室车门的活动装饰板装置
DE102006059247A1 (de) * 2006-12-15 2008-06-19 Liberty Hardware Mfg. Corp. Möbelscharnier mit einer Dämpfungsvorrichtung
DE202007004621U1 (de) * 2007-03-29 2008-08-07 Hettich-Oni Gmbh & Co. Kg Mehrgelenkscharni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339A (ko) * 2002-11-06 2004-05-12 오일레스 에코 가부시키가이샤 블라인드 장치용 슬랫지지부재, 그 슬랫지지부재를 구비한슬랫지지기구 및 그 슬랫지지기구를 구비한 블라인드 장치
KR20080111969A (ko) * 2007-06-20 2008-12-24 이상용 회전 각도 제한 기능을 갖는 경첩
KR20090031116A (ko) * 2007-09-21 2009-03-25 (주)삼우교역 도어힌지
KR20100051538A (ko) * 2008-11-07 2010-05-17 박정원 다용도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25425A4 (en) 2016-06-15
TWI551767B (zh) 2016-10-01
KR20110043665A (ko) 2011-04-27
RU2011108452A (ru) 2012-09-20
CA2740564A1 (en) 2010-02-18
TW201510338A (zh) 2015-03-16
CN102112693B (zh) 2013-11-06
RU2471951C2 (ru) 2013-01-10
CN103334661B (zh) 2014-11-19
CN103334661A (zh) 2013-10-02
US20110204072A1 (en) 2011-08-25
CA2740564C (en) 2014-03-11
US8904600B2 (en) 2014-12-09
TWI477688B (zh) 2015-03-21
WO2010018683A1 (ja) 2010-02-18
CN102112693A (zh) 2011-06-29
EP2325425A1 (en) 2011-05-25
EP2325425B1 (en) 2019-02-27
TW201013032A (en) 201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477B1 (ko) 힌지 장치 및 수용 장치
JP5150208B2 (ja) 扉開閉装置
JP4768048B2 (ja) ヒンジ装置及びヒンジ装置用取付部材
JP4440930B2 (ja) 扉開閉装置
WO2014050749A1 (ja) 扉開閉装置
JP4723013B2 (ja) 位置調節機能付きカップ埋め込み式ヒンジ装置
JP2008008015A (ja) 隠し蝶番
US20190203509A1 (en) Lock device
JP5204733B2 (ja) ダンパ付きヒンジ装置
EP2853667B1 (en) Hinge device
JP2006336194A (ja) ヒンジ装置
WO2010095184A1 (ja) ヒンジ装置及び扉開閉装置
WO2016116965A1 (ja) ヒンジ構造
JP4906809B2 (ja) スライドヒンジ及び収容装置
JP4825236B2 (ja) ダンパ付きスライドヒンジ
KR102501553B1 (ko)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US20110205692A1 (en) Hinge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O2013183555A1 (ja) ヒンジ装置
JP5291810B2 (ja) スライドヒンジ及び収容装置
JP5291809B2 (ja) スライドヒンジ及び収容装置
JP2010209638A (ja) ヒンジ装置
JP4906880B2 (ja) ヒンジ装置及び収容装置
JP4198651B2 (ja) キャッチ機構付きヒンジ
JP4825231B2 (ja) ダンパ用当接部材、ダンパ装置及びダンパ付きスライドヒ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