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0339A - 블라인드 장치용 슬랫지지부재, 그 슬랫지지부재를 구비한슬랫지지기구 및 그 슬랫지지기구를 구비한 블라인드 장치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장치용 슬랫지지부재, 그 슬랫지지부재를 구비한슬랫지지기구 및 그 슬랫지지기구를 구비한 블라인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0339A
KR20040040339A KR1020030067473A KR20030067473A KR20040040339A KR 20040040339 A KR20040040339 A KR 20040040339A KR 1020030067473 A KR1020030067473 A KR 1020030067473A KR 20030067473 A KR20030067473 A KR 20030067473A KR 20040040339 A KR20040040339 A KR 20040040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t
shaft
belt
slat suppor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1419B1 (ko
Inventor
오이시마모루
마츠모토고지
Original Assignee
오일레스 에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일레스 에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일레스 에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0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4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15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closing elements
    • E06B9/0638Slats 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4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 E06B9/067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stored in a stacked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Blind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링크기구(4, 5)와 슬랫(9) 사이에 개재되어 슬랫(9)을 링크기구(4, 5)에 지지시키기 위한 슬랫지지부재(8)는, 지지체(22)와, 지지체(22)에 결합 수단(40)을 통해 결합되는 지지체(42)를 구비하고 있으며, 지지체(22)는 축부재(23, 26)의 축부(47)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공(30)을 가진 아암부(31)와, 안내 슬릿(16)을 통해 배치되어 있는 축부(36)와, 결합부(60)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결합돌출부(37)를 구비하고 있으며, 지지체(42)는 축부재(23, 26)의 타단부의 축부(47)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공(34)을 일단부 및 타단부 각각에 가진 아암부(35)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블라인드 장치용 슬랫지지부재, 그 슬랫지지부재를 구비한 슬랫지지기구 및 그 슬랫지지기구를 구비한 블라인드 장치{Slat supporting member for blind apparatus, slat supporting mechanism having the slat supporting members, and blind apparatus having the slat supporting mechanisms}
본 발명은, 건물의 창 등의 개구부에 배치되어, 해당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먼저 일본 특개평 8-32644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블라인드 장치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블라인드 장치는, 한 쌍의 링크기구와, 일단부가 한쪽 링크기구에, 타단부가 다른쪽 링크기구에 각각 연결되어 이루어진 복수의 슬랫지지기구와, 이 슬랫지지기구의 각각에 지지된 슬랫과, 슬랫을 상승·하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이 승강기구에 의한 슬랫의 상승·하강에서 한 쌍의 링크기구에 상대적인 위치 변화를 일으켜 슬랫을 경사 이동시키는 틸트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슬랫지지기구는 대략 중앙부에서 슬랫의 단부를 지지하는 아암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공보에 기재된 블라인드 장치의 슬랫지지부재에서는, 링크부재가 연결되는 축부재가 외팔보 지지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의 슬랫을 지지하는 경우에는 슬랫의 무게로 인해 축부재에 휨이 발생하여, 축부재에서 링크부재의 원활한 회동이 저해되고 링크부재의 부드러운 접철 및 접철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 상기 공보에 기재된 블라인드 장치에서는, 링크 구조 각각이 판형의 강성 링크부재 각각을 축을 통해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링크기구의 조립에 상당한 시간을 요구하며, 또한 링크부재의 중량에 의해 슬랫의 상승·하강에 큰 힘을 필요로 하게 된다.
그래서 강성의 링크부재를 대신하여 가요성이 있는 폴리에스텔 등의 합성수지제 실의 직물 또는 편물의 벨트형 동체 또는 합성수지제 부직포의 벨트형 동체를 이용하여 링크기구를 구성하려는 경우에, 이러한 벨트형 동체에 슬랫을 지지하기 위한 슬랫지지부재도 그에 적합한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축부재를 양쪽 지지할 수 있어서 축부재의 휨을 방지할 수 있는 데다가, 축부재의 원활한 회전을 보증할 수 있고, 게다가 강성의 링크부재를 대신하는 가요성 벨트형 동체로 슬랫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슬랫지지부재, 이러한 슬랫지지부재를 구비함과 동시에 단시간에 조립할 수 있고, 또 경량화가 가능하여 슬랫을 들어올리고 내리는 데에 그다지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아 슬랫의 상승·하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슬랫지지기구 및 이 슬랫지지기구를 구비한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일부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일부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세로프레임을 포함한 도 3에 도시한 Ⅳ-Ⅳ선 단면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세로프레임을 포함한 도 3에 도시한 Ⅴ-Ⅴ선 단면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세로프레임을 포함한 도 3에 도시한 Ⅵ-Ⅵ선 단면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전달수단의 평면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일부 분해 사시설명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슬랫지지부재의 사시설명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링크기구의 설명도로서, 도 10a는그 정면설명도, 도 10b는 그 측면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예의 일부 사시도이다.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연결된 복수의 축부재를 가진 한쌍의 링크기구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단부에 결합부를 가진 복수의 슬랫 각각의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슬랫을 한쌍의 링크기구에 지지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제1형태의 블라인드 장치용 슬랫지지부재는, 제1지지체와, 이 제1지지체에 결합되는 제2지지체를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서 제1지지체는 링크기구의 축부재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공을 일단부 및 타단부 각각에 가지는 제1아암부와, 이 제1아암부의 한쪽 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축부와, 이 축부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슬랫의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결합돌출부를 가지고 있으며, 제2지지체는 링크기구의 축부재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공을 일단부 및 타단부 각각에 가지는 제2아암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지지체와 제2지지체는 그들 제1 및 제2아암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대응하는 축공끼리 동축이 되도록 결합수단을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제1형태의 슬랫지지부재에 따르면, 링크기구의 축부재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공을 제1아암부가 그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가지고, 링크부재의 축부재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공을 제2아암부가 그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가지며, 게다가 제1 및 제2아암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대응하는 축공끼리 동축이 되도록 제1 및 제2아암부가 결합수단을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링크기구의 축부재를 양단지지보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게다가 축부재의 원활한 회동을 보증할 수 있는 결과, 강성의 링크부재를 대신하여 가요성벨트형 동체를 이용하더라도 벨트형 동체를 용이하게 늘렸다 구부렸다 할 수 있어서 슬랫의 상승·하강을 원활하게 수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슬랫을 적절히 지지할 수 있다.
결합수단은, 본 발명의 제2형태의 슬랫지지부재와 같이 제1아암부의 한쪽 면에 대향하는 다른쪽 면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결합용 개구를 가진 통부와, 제2아암부의 한쪽 면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결합용 개구에서 통부에 결합되는 결합돌출부를 가지고 있더라도, 본 발명의 제3형태의 슬랫지지부재와 같이 제2아암부의 한쪽 면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결합용 개구를 가진 통부와, 제1아암부의 한쪽 면에 대향하는 다른쪽 면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결합용 개구에서 통부에 결합되는 결합돌출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제2 또는 제3형태의 슬랫지지부재에서, 결합돌출부가 본 발명의 제4형태의 슬랫지지부재와 같이 통부 내에 삽입되는 돌출부 본체와, 이 돌출부 본체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결합용 개구에서 통부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후크부를 가지고 있으며, 이 후크부의 결합용 개구에서 통부로의 결합은 돌출부 본체의 탄성적 휨을 이용한 스냅피트식으로 수행되도록 되어 있으면 결합수단을 통한 제1지지체와 제2지지체의 상호 결합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어 단시간에 조립할 수 있다.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5형태의 슬랫지지부재와 같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일체 성형품으로서, 이러한 일체 성형품은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형태의 슬랫지지구조는, 상기 중 어느 한 형태의 슬랫지지부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연결된 복수의 축부재를 각각 가진 한쌍의 링크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한쌍의 링크기구 각각은 가요성 벨트형 동체를 구비하고 있고, 각 링크기구의 복수의 축부재는 일정 간격을 두고 벨트형 동체로 고착됨과 동시에 벨트형 동체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형태의 슬랫지지기구는, 축을 통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한쌍의 강성의 링크부재열 대신 가요성의 벨트형 동체와 이 벨트형 동체가 고착됨과 동시에, 각 아암부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축부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단시간에 조립할 수 있으며, 또 경량화할 수 있어 슬랫을 들어올리고 내리는 데에 그다지 큰 힘이 필요하지 않아 슬랫의 상승·하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2형태의 슬랫지지기구와 같이 각 벨트형 동체는 축부재를 관통함과 동시에 하나로 연결된 벨트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각 축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3형태의 슬랫지지기구와 같이 원주부와, 이 원주부의 각 단면에 배치된 축부를 구비한 합성수지제의 일체 성형물로 이루어지며, 축부에서 각 아암부에 대응하는 축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며 벨트형 동체는 원주부에 일체로 고착됨과 동시에 해당 원주부를 관통하고 있다.
각 축부재가 제3형태의 슬랫지지기구와 같이 합성수지제의 일체 성형물로 이루어진 경우, 각 축부재의 벨트형 동체로의 고착은 축부재의 일체 성형용 한쌍의 프레임 간에 벨트형 동체를 삽입하고, 이 벨트형 동체를 삽입한 상태의 한쌍의 프레임 내에 축부재의 형성재료를 흘려넣어 각 축부재의 일체 성형과 동시에 수행하면 된다.
제3형태의 슬랫지지기구에서의 각 축부재는, 본 발명의 제4형태의 슬랫지지기구와 같이 원주부의 축심에 관해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한쌍의 사각돌 돌출부를 더 구비한 합성수지제의 일체 성형물로 이루어져 있어도 무방하며, 이 경우 벨트형 동체는 원주부 및 한쌍의 사각돌 돌출부에 일체로 고착됨과 동시에 해당 원주부 및 한쌍의 사각돌 돌출부를 관통하면 된다.
한쌍의 사각돌 돌출부를 구비한 축부재의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축부재의 일체 성형용 한쌍의 프레임 간에 벨트형 동체를 삽입하고, 이 벨트형 동체를 삽입한 상태의 한쌍의 프레임 내에 축부재의 형성 재료를 흘려넣어 각 축부재의 일체 성형과 동시에 각 축부재의 벨트형 동체로의 고착을 수행하면 된다.
각 벨트형 동체는, 상기 대신에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축부재 내에서 끝나는 복수의 벨트형 조각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또 각 벨트형 동체는 강인하고 가용성이 있으면 되고, 그다지 신축성이 없어도 무방하나, 오히려 신축성이 없는 편이 바람직하다. 탄성에 대해서도 다소의 탄성이 있으면 되는데, 오히려 탄성이 없는 편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5형태의 슬랫지지기구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제 실의 직물 또는 편물의 벨트 또는 합성수지제 부직포의 벨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각 벨트형 동체는, 상기 대신에 피혁 등의 평평한 벨트로 이루어져도 좋고, 합성수지제 실로는 폴리에스테르제 실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폴리에스테르제 실을 평평하게 짠 폭 6㎜ 내지 12㎜, 두께 0.4㎜ 내지 0.7㎜, 보다 구체적으로는 폭 7㎜, 두께 0.6㎜의 가요성을 가진 벨트형 동체를 더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형태의 블라인드 장치는, 상기 중 어느 한 슬랫지지기구와 이 슬랫지지기구에 지지된 슬랫과, 슬랫지지기구를 통해 슬랫을 상승·하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이 승강기구에 의한 슬랫의 상승·하강에서 제1 및 제2링크기구에 상대적인 위치 변화를 일으켜 슬랫을 경사 이동시키는 틸트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각 슬랫은, 바람직한 예로는 본 발명의 제2형태의 블라인드 장치와 같이 슬랫 본체와, 이 슬랫 본체의 한쪽 면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결합부는 결합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중공 형태이면 된다.
승강기구는, 본 발명의 제3형태의 블라인드 장치와 같이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있으며,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를 들어올려 슬랫을 상승시키도록 되어 있어도 좋고, 이를 대신하여 최하위의 슬랫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있으며 최하위의 슬랫지지부재를 들어 올려 슬랫을 상승시키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 및 그 실시형태를, 도면에 도시한 바람직한 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10a 및 도 10b에서, 본 예의 블라인드 장치(1)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2, 3)과, 링크기구(4)와, 링크기구(4)에 나란히 배치된 링크기구(5)와, 일단부(6)가 링크기구(4)에, 타단부(7)가 링크기구(5)에 각각 연결되어 이루어진 복수의 슬랫지지부재(8)와, 각각의 슬랫지지부재(8)에 지지됨과 동시에 세로프레임(2, 3) 간의 개구부(P)에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슬랫(9)과, 슬랫(9)을상승·하강시키는 승강기구(10)와, 승강기구(10)에 의한 슬랫(9)의 상승·하강에서 링크기구(4, 5)에 상대적인 상하 방향의 위치 변화를 발생시켜 각 슬랫(9)을 경사 이동시키는 틸트기구 (11)와, 최하위의 슬랫(9)의 상승을 금지하는 금지수단(12)과, 한쌍의 세로프레임 (2, 3)의 상부 사이에 배치된 위 커버 프레임(13)과, 한쌍의 세로프레임(2, 3)의 하부 사이에 배치된 바닥 프레임(14a)을 구비하고 있다.
세로프레임(2, 3)은 서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 세로프레임 (2)에 대해 설명하면, 세로프레임(2)은 중공의 세로프레임 본체(14)와, 세로프레임 본체(14)의 내면에 결합된 안내통로 형성부재(15)를 구비하고 있으며 세로프레임 본체(14)는 상하 방향으로 늘어난 안내 슬릿(16)을 구비하고 있으며 안내통로 형성부재(15)는 한쌍의 안내통로(17) 및 한가닥의 안내통로(18) 및 한가닥의 안내통로 (19)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돌출부(20)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세로프레임(2, 3)에는 링크기구(4, 5) 그리고 틸트기구(11)가 수용되어 있으며, 세로프레임(3) 측의 링크기구(4, 5) 그리고 틸트기구(11)는 세로프레임(2) 측의 링크기구(4, 5) 그리고 틸트기구(11)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 주로 세로프레임(2) 측의 링크기구(4, 5) 그리고 틸트기구(11)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링크기구(4)는, 하나로 연결되는 가요성의 벨트형 동체(21)와, 벨트형 동체(21)에 고착됨과 동시에 각 슬랫지지부재(8)의 일단부(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축부재(23)를 구비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링크기구(4)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연결된 복수의 축부재(23)를 구비하고 있으며 링크기구(4)의 복수의 축부재(23)는 벨트형 동체(21)에 고착됨과 동시에 벨트형 동체(21)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링크기구(5)도, 링크기구(4)와 마찬가지로 벨트형 동체(21)와 동일하게 하나로 연결되는 가요성 벨트형 동체(25)와, 벨트형 동체(25)에 고착됨과 동시에 각 슬랫지지부재(8)의 타단부(7)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축부재(23)와 동일한 복수의 축부재(26)를 구비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링크기구(5)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연결된 복수의 축부재(26)를 구비하고 있으며, 링크기구(5)의 복수의 축부재(26)는 벨트형 동체(25)에 고착됨과 동시에 벨트형 동체(25)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벨트형 동체(21)는, 각 슬랫지지부재(8)의 단부(6)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축부재(23)를 특히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함과 동시에 각 관통부위에서 축부재(23)에 고착되어 있으며, 최상위 및 최하위의 슬랫지지부재(8)의 단부(6)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축부재(23)를 상단부(28) 및 하단부(29)에서 관통한 벨트형 동체(21)는, 해당 상단부(28) 및 하단부(29)에서 축부재(23)에 고착되어 끝난다.
벨트형 동체(21)와 마찬가지로 벨트형 동체(25)는, 각 슬랫지지부재(8)의 단부(7)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축부재(26)를 관통함과 동시에 각 관통부위에서 각 축부재(26)에 고착되어 있으며, 최상위 및 최하위의 슬랫지지부재(8)의 단부(7)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축부재(26)를 상단부(32) 및 하단부(33)에서 관통한 벨트형 동체(26)는 해당 상단부(32) 및 하단부(33)에서 축부재(26)에 고착되어 끝난다.
각각의 벨트형 동체(21, 25)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제 실의 직물 또는 편물의 벨트 또는 합성수지제 부직포의 평평한 벨트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고, 기타 강인한 가요성 벨트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각각의 축부재(23, 26)는, 특히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부(46)와, 원주부(46) 양단면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축부(47)와, 원주부(46)의 축심에 관해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원주부(46)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사각돌 돌출부(115, 116)를 구비한 합성수지제의 일체 성형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벨트형 동체(21, 25)는 원주부(46) 및 한쌍의 사각돌 돌출부(115, 116)에 일체로 고착됨과 동시에 해당 원주부(46) 및 한쌍의 사각돌 돌출부(115, 116)를 관통하고 있다. 각각의 벨트형 동체(21, 25)의 원주부(46) 및 한쌍의 사각돌 돌출부(115, 116) 각각의 고착은, 각 축부재(23, 26)를 일체 성형할 때 수행해도 좋다.
한쌍의 링크기구(4, 5)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슬랫(9) 각 단부(39, 49) 사이에 개재되어 각 슬랫(9)을 한쌍의 링크기구(4, 5)에 지지시키기 위한 각 슬랫지지부재(8)는, 지지체(22)와, 지지체(22)에 삽입수단(40)을 통해 결합되는 지지체(42)를 구비하고 있으며, 지지체(22)는 링크기구(4, 5)의 축부재(23, 26)의 일단부의 축부(47)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공, 본 예에서는 관통공(30)을 일단부 및 타단부(슬랫지지부재(8)의 한쪽 또는 다른쪽 단부(6, 7)이기도 하다) 각각에 구비한 아암부(31)와, 아암부(31)의 한쪽 면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안내 슬릿(16)을 통해 세로프레임(2)의 안팎에 배치되어 있는 축부(36)와, 축부(36)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슬랫(9)의 결합부(60)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결합돌출부(37)를 구비하고 있으며, 지지체(42)는 링크기구(4, 5)의 축부재(23, 26)의 타단부의 축부(47)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공, 본 예에서는 관통공(34)을 일단부 및 타단부(슬랫지지부재(8)의 한쪽 및 다른쪽 단부(6, 7)이기도 하다) 각각에 구비한 아암부(35)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축부재(23, 26)는, 아암부(31)와 아암부(35) 사이에 삽입되어 배치된 원주부(46)의 양단면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축부(47)에서 아암부(31, 35)에 대응하는 관통공(30, 34)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아암부(31, 35)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대응하는 관통공(30, 34) 끼리 동축이 되도록 지지체(22)와 지지체(42)를 서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 결합 수단(40)은, 축부(36)가 일체로 형성된 아암부(31)의 한쪽 면에 대향하는 다른쪽 면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한쌍의 결합용 개구(41)를 구비한 중공의 사각형의 통부(43)와, 아암부(35)의 한쪽 면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결합용 개구(41)에서 통부(43)에 결합되는 한쌍의 결합돌출부(44)를 구비하고 있다.
각 결합돌출부(44)는, 아암부(35)의 한쪽 면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통부(43) 내에 삽입되는 돌출부 본체(45)와, 돌출부 본체(45)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결합용 개구(41)에서 통부(43)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후크부(48)를 구비하고 있으며, 후크부(48)의 결합용 개구(41)에서 통부(43)로의 결합은, 돌출부 본체(45)의 탄성적 휨을 이용한 스냅피트식으로 수행되도록 되어 있다.
지지체(22)는, 통부(43)를 포함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일체 성형품으로서,지지체(42)도 한쌍의 결합돌출부(44)를 포함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일체 성형품이다.
복수의 슬랫지지부재(8)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연결된 복수의 축부재 (23, 26)를 각각 구비한 한쌍의 링크기구(4, 5)를 구비한 슬랫지지기구(50)에 단부(39, 49) 각각으로 지지된 각 슬랫(9)은 판형이고 만곡된 슬랫 본체(51)와, 슬랫 본체(51)의 한쪽 면에서 단부(39)로부터 단부(49)까지 연장하여 슬랫 본체(51)의 한쪽 면에 일체로 형성된 사각형 결합부(60)를 구비하고 있으며, 결합부(60)는 결합돌출부(37)를 삽입할 수 있도록 중공 형태로 되어 있다. 각 슬랫(9)은, 그 양단부(39, 49)에서 세로프레임(2) 측 및 세로프레임(3) 측의 슬랫지지기구(50)에 의해 개구부(P)에서 서로 평행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결합부(60)는, 슬랫 본체(51)의 한쪽 면에서 단부(39)로부터 단부(49)까지 연장하여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적어도 단부(39, 49)에서 슬랫 본체(51)의 한쪽 면에 설치하면 된다.
슬랫지지기구(50)를 통해 슬랫(9)을 상승·하강시키는 승강기구(10)는, 세로프레임(2, 3)에 배치된 가요성 주행체로서의 체인(52)과, 자유단으로 되어 있는 일단부(53)를 가진 체인(52)의 타단부(54)를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에 연결하는 연결기구(55)와, 체인(52)을 A 및 B방향으로 주행시키는 주행장치(56)와, 체인(52)의 A 및 B방향의 주행에서 체인(52)에 휨을 저지하는 저지기구(57)를 구비하고 있다.
체인(52), 연결기구(55) 및 저지기구(57) 각각은 세로프레임(2) 측 및 세로프레임(3) 측에서 서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 세로프레임(2) 측에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체인(52)은 구부러지지 않도록 안내통로(17)에 배치되어 있으며, A 및 B방향의 주행이 안내통로(17)에 의해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연결기구(55)는,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의 축부(36)와 동심으로 배치된 핀 부재(61)를 통해 아암부(3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판(62)과, 연결판(62)에 한쌍의 핀 부재(63)를 통해 고착되어 있는 슬라이더(64)를 구비하고 있으며, 슬라이더(64)는 슬라이더 본체(65)와, 한쌍의 핀 부재(63) 각각을 통해 슬라이더 본체(6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한쪽 안내통로(17)와 안내통로(18) 사이에 삽입된 다른 안내통로(17)에 상하 운동 가능하게 배치된 한쌍의 롤러(66, 한쪽만 도시)를 구비하고 있으며 슬라이더 본체(65)에 체인(52)의 타단부(54)가 핀 부재(67)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주행장치(56)는, 체인(52)에 대한 주행력을 수동 조작으로 발생시키는 무단(無端)의 구슬체인(71)과, 구슬체인(71)으로부터의 주행력을 체인(52)에 전달하는 전달수단(72)을 구비하고 있다.
전달수단(72)은, 구슬체인(71)이 감김과 동시에 회전축(73)에 고착된 풀리(74)와, 회전축(73)에 고착된 톱니바퀴(75)와, 톱니바퀴(75)에 맞물림과 동시에 회전축(76)에 고착된 톱니바퀴(77)와, 회전축(76)에 고착된 톱니바퀴(78)와, 톱니바퀴(78)에 맞물림과 동시에 회전축(79)에 고착된 톱니바퀴(80)와, 톱니바퀴(80)에 맞물림과 동시에 회전축(81)에 고착된 톱니바퀴(82)와, 회전축(81)의 일단부 (83)에 고착됨과 동시에 체인(52)이 감겨 있는 스프로킷 휠(84)과, 회전축(81)의회전에 대해 일정한 제동을 가하는 제동기구(85)를 구비하고 있다.
풀리에 감긴 구슬체인(71)은, 블라인드 장치(1)가 설치되는 건물의 창 등의 개구부에서 실내쪽(88)에 사람 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늘어뜨려져 있다.
회전축(73, 76, 79, 81)은, 브라켓(9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브라켓(91)은 세로프레임(2)의 세로프레임 본체(14)의 상부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톱니바퀴(75, 77, 78, 80, 82)는, 풀리(74)의 회전을 감속하여 회전축(81)에 전달하는 감속 톱니바퀴 기구를 구성하고 있으며, 일단부(83)에 세로프레임 본체(14) 내에 배치된 스프로킷 휠(84)이 고착되어 있는 회전축(81)은 위 커버 프레임(13) 내를 통해 세로프레임(3)의 세로프레임 본체 내까지 뻗어 있고, 스프로킷 휠(84)과 동일한 스프로킷 휠이 회전축(81)의 세로프레임(3) 측의 타단부에도 고착되어 있으며, 회전축(81)의 타단부 측의 스프로킷 휠에는 세로프레임(2) 내에 배치된 체인(52)과 동일하게 하여 세로프레임(3) 내에 배치된 체인이 감겨 있다.
제동기구(85)는, 브라켓(91)에 고착된 하우징(92) 내에 배치된 환형의 제동판(93)과, 회전축(81)에 고착된 환형의 제동받침판(94)과, 하우징(92) 및 제동판 (93) 사이에 배치됨과 동시에 제동판(93)을 제동받침판(94)에 탄성적으로 압압시켜 마찰 접촉시키는 코일스프링(95)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동판(93)과 제동받침판(94)의 마찰 접촉으로 구슬체인(71)을 수동으로 주행하는 풀리(74)의 회전으로는 회전축(81)의 회전을 허용하고, 구슬체인(71)을 수동으로 주생시키지 않을 때 슬랫(9) 등의 자중에 의한 체인(52) 및 스프로킷 휠(84)을 통한 회전축(81)의 회전을 금지하도록 되어 있다.
저지기구(57)는, 스프로킷 휠(84)의 외주 주변에 배치됨과 동시에 장착판 (96)을 통해 세로프레임 본체(14)의 상부 내면에 고착된 체인가이드(86, 87)를 구비하고 있으며 체인가이드(86, 87)는 스프로킷 휠(84) 주변에서의 체인(52)의 휨을 저지하여 체인(52)의 스프로킷 휠(84)로의 맞물림을 보증하도록 되어 있다.
승강기구(10)에서, 구슬체인(71)을 수동으로 일방향 주행하는 풀리(74)의 회전으로 톱니바퀴(75, 77, 78, 80, 82)를 통해 스프로킷 휠(84)이 회전되어, 예컨대 체인(52)이 A방향으로 주행되면, 단부(54)의 상승과 동시에 안내통로(17)에 의해 안내되어 연결기구(55)가 상승하고, 연결기구(55)의 상승으로 핀 부재(61)를 통해 연결기구(5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부(35)를 가진 최상위 슬랫지지부재(8)도 상승하며, 최상위 슬랫지지부재(8)의 상승으로 한쌍의 링크기구(4, 5)를 통해 최상위 슬랫지지부재(8)에 연결된 하위 슬랫지지부재(8)도 최상위 슬랫지지부재(8)의 바로 아래 슬랫지지부재(8)에서 차례대로 상승한 결과, 각 슬랫지지부재(8)에 지지된 슬랫(9)도 차례로 상승함으로써 최상위 슬랫지지부재(8)에 연결된 승강기구 (10)는 최상위 슬랫지지부재(8)를 들어올려 슬랫(9)을 차례로 상승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승강기구(10)에서, 구슬체인(71)을 수동으로 타방향 주행시키는 풀리(74)의 회전으로 톱니바퀴(75, 77, 78, 80, 82)를 통해 스프로킷 휠(84)이 회전되어, 체인(52)이 B방향으로 주행되면, 단부(54)의 하강과 동시에 안내통로(17)에 의해 안내되어 연결기구(55)가 하강하고, 연결기구(55)의 하강으로 핀 부재(61)를 통해 연결기구(5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부(35)를 가진 최상위 슬랫지지부재(8)도 하강하며, 최상위 슬랫지지부재(8)의 하강으로 한쌍의 링크기구(4, 5)를 통해 최상위 슬랫지지부재(8)에 연결된 하위 슬랫지지부재(8)도 최하위 슬랫지지부재(8)에서 차례로 하강한 결과, 각 슬랫지지부재(8)에 지지된 슬랫(9)도 차례로 하강함으로써 최상위 슬랫지지부재(8)에 연결된 승강기구(10)는 최상위 슬랫지지부재(8)를 낮추어 슬랫(9)을 차례로 하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회전축(73)은 톱니바퀴(75, 77, 78, 80, 82)로 이루어진 감속 기구를 통해 회전축(81)에 연결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풀리(74)의 회전을 간접적으로 회전축(81)에 전달하는 대신에 회전축(81)에 풀리(74)를 고착하여 풀리(74)의 회전을 회전축(81)에 직접 전달해도 좋고, 또 구슬체인(71) 대신 또는 구슬체인 (71)과 함께 전동모터를 이용해도 좋은데, 이 경우에는 전동모터의 출력 회전축을 회전축(73)에 연결하거나 또는 전동모터의 출력 회전축을 회전축(81)으로서 이용해도 좋은데,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속도 제어 가능한 전동모터를 이용해도 좋다.
틸트기구(11)는,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의 아암부(35)에서 결합돌출부 (44)가 형성된 한쪽 면에 대향하는 다른쪽 면에 일체로 형성된 원주형 돌기(101)와, 안내통로 형성부재(15)에 장착됨과 동시에 안내통로(19)에 연통되는 안내오목부(102)를 가진 캠부재(103)를 구비하고 있다.
틸트기구(11)는, 체인(52)의 A방향 주행에 의한 최상위 슬랫지지부재(8)의 상승에서, 돌기(101)를 캠부재(103)에 접촉시켜 돌기(101)를 안내통로(19)에서 안내오목부(102)로 안내하여 돌기(101)가 형성된 아암부(35)를 가진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에 축부(36)를 중심으로 한 R1 방향의 회동을 발생시키고, 이로써 링크기구(4)의 벨트형 동체(21)에 대해 링크기구(5)의 벨트형 동체(25)를 들어 올려 상승시킴으로써,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에 이어지는 하위의 슬랫지지부재(8)에도 링크기구(4, 5)를 통해 동일한 R1 방향의 회동을 발생시킨다. 그리하여, 모든 슬랫 (9)을 동일하게 R1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한편, 체인(52)의 B방향의 주행에 의한 최상위 슬랫지지부재(8)의 하강에서, 돌기(101)를 안내오목부(102)에서 안내통로(19)로 안내하여 최상위 슬랫지지부재(8)에 축부(36)를 중심으로 한 R2 방향의 회동을 발생시키고, 이로써 링크기구(5)의 벨트형 동체(25)에 대해 링크기구(4)의 벨트형 동체(21)를 들어올려 상승시킴으로써 모든 슬랫(9)을 동일하게 R2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금지 수단(12)은, 안내통로 형성부재(15)의 하부에 배치된 연결판(121)과, 일단부(122)에서 연결판(121)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부(123)에서 안내통로 형성부재(15)의 하단에 고착된 코일 스프링(124)과, 연결판(121)에 축부재(125)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한쪽 안내통로(17)와 안내통로(18) 사이에 삽입된 다른 안내통로(17)에 배치된 롤러(126)와, 연결판(121)에 축부재(127, 128)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안내통로(18)에 배치된 한쌍의 롤러(129)(한개만 도시)를 구비하고 있으며, 한쌍의 롤러(129)에 의해 요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연결판(121)은 최하위의 슬랫지지부재(8)의 축부(36)와 동심에 배치된 축부재(미도시)를 통해 최하위의 슬랫지지부재(8)의 아암부(35)에 R1 및 R2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금지수단(12)은, 최하위의 슬랫지지부재(8)의 상승에 의한 연결판(121)의 안내통로(17, 18)에 따른 상승에서, 연결판(121)을 코일 스프링(124)의 탄성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인장하고, 이로써 최하위의 슬랫지지부재(8)를 일정 이상 들어올리는 것을 탄성적으로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개구부(P)의 완전 폐쇄 상태(도 13에 도시한 상태)에서, 최하위의 슬랫(9)과 바닥프레임(14a) 사이에 발생하는 틈을 폐쇄하기 위해 바닥프레임(14a)에 폐쇄판 (141)을 설치해도 좋다.
이상의 블라인드 장치(1)는, 개구부(P)의 개방 상태에서는 돌기(101)는 안내통로(19)에 배치되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형 동체(21, 25)는 구부러져 있으며, 각각의 슬랫(9)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서로 밀접하게 겹쳐져(묶여) 있다. 구슬체인(71)을 수동으로 일방향 주행시켜 체인(52)을 A방향으로 주행하여 개구부(P)를 폐쇄할 때는 우선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가 상승하기 시작하고,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의 상승으로 링크기구(4, 5)의 벨트형 동체(21, 25)가 팽팽하게 늘어남으로써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에 이은 슬랫지지부재(8)가 상승하기 시작하고, 이하 동일하게 하여 차례로 후속의 슬랫지지부재(8)가 상승하고 이와 함께 슬랫(9)도 차례로 상승하여 돌기(101)가 안내통로(19)에 안내되어 상승할 때에는 슬랫(9)이 거의 수평 방향의 경사 이동 상태로 유지되는 결과,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P)는 슬랫(9)으로 발 형태로 폐쇄된다.
체인(52)이 A방향으로 주행되어, 개구부(P)의 완전 폐쇄 직전 위치에서 벨트형 동체(21, 25)가 완전히 늘어나는 반면, 벨트형 동체(21, 25)를 통해 최하위 슬랫지지부재(8)가 코일 스프링(124)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약간 상승하고, 돌기(101)가 안내오목부(102)에 임하여 캠부재(103)에 접촉되면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가 R1 방향으로 회동하기 시작하여 벨트형 동체(25)의 상단부(32)가 벨트형 동체(21)의 상단부(28)에 대해 더 들어올려진다. 이에 따라, 최상위의 슬랫(9)이 R1 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의 회동이 벨트형 동체(21) 및 벨트형 동체(25)를 통해 하위 슬랫지지부재(8)에 전달되어 모든 슬랫지지부재(8) 및 슬랫(9)이,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수직 방향의 경사 이동 상태로 유지된 결과, 슬랫(9)에 의해 개구부(P)는 전부 폐쇄된다.
개구부(P)의 개방에서는, 구슬체인(71)이 수동으로 상기와 반대로 주행되며, 이로써 돌기(101)가 안내오목부(102)에서 안내통로(19)로 안내되고,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의 하강과 동시에 벨트형 동체(21, 25)는 아래쪽에서부터 차례로 구부러진다.
링크기구(4, 5)와 슬랫지지부재(8)를 구비한 슬랫지지기구(50)를 구비하고 있는 이상의 블라인드 장치(1)에서는, 축을 통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쌍의 강성 링크부재열 대신에 가요성의 벨트형 동체(21, 25)와, 벨트형 동체(21, 25)가 고착됨과 동시에 슬랫지지부재(8)의 단부(6, 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축부재(23, 26)을 구비하여 링크기구(4, 5)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링크기구(4, 5)를 단시간에 조립할 수 있으며, 또 링크기구(4, 5)를 경량화 할 수 있어, 슬랫(9)을 들어올렸다 내렸다 하는 데에 그다지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슬랫(9)의 상승·하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 슬랫지지부재(8)에 따르면, 링크기구(4, 5)의 축부재(23, 26)의 일단부의축부(47)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공(30)을 아암부(31)가 그 일단부 및 타단부에 구비하며, 링크기구(4, 5)의 축부재(23, 26)의 타단부의 축부(47)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공(34)을 아암부(35)가 그 일단부 및 타단부에 구비한다. 더욱이 아암부(31, 35)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대응하는 관통공(30, 34)끼리 동축이 되도록 아암부(31, 35)가 결합 수단(40)을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링크기구(4, 5)의 축부재(23, 26)을 양단지지보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더욱이 축부재(23, 26)의 원활한 회동을 보증할 수 있는 결과, 강성의 링크부재를 대신하여 가요성의 벨트형 동체(21, 25)를 이용하더라도 벨트형 동체(21, 25)를 용이하게 늘려 구부릴 수 있어 슬랫(9)의 상승·하강을 원활하게 수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슬랫(9)을 적절히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단부(53, 54)를 구비한 유단의 체인(52) 대신 무단의 체인이어도 좋고, 이 경우에는 스프로킷 휠(84)에 더해 다른 스프로킷 휠을 배치하여 양 스프로킷 휠 사이에 무단 체인을 놓아도 좋은데, 이러한 무단 체인을 이용하면 저지기구(57)를 생략할 수 있다. 추가로 체인(52) 대신에 타이밍 벨트여도 상관 없으며 타이밍 벨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스프로킷 휠(84) 대신에 톱니가 부착된 풀리를 이용하면 된다.
또 상기에서는, 아암부(31)의 다른쪽 면에 결합용 개구(41)를 가진 중공의 사각형 통부(43)를 일체로 형성하고 아암부(35)의 한쪽 면에 결합돌출부(44)를 일체로 형성하여 결합 수단(40)을 구성했는데, 이 대신에 아암부(35)의 한쪽 면에 결합용 개구(41)를 구비한 중공의 사각형 통부(43)를 일체로 형성하고 아암부(31)의다른쪽 면에 결합용 개구(41)에서 통부(43)에 결합되는 결합돌출부(44)를 일체로 형성하여 결합 수단(40)을 구성해도 좋다.
또 상기에서는, 한쌍의 결합용 개구(41) 각각에서 통부(43)에 결합되는 한쌍의 결합돌출부(44)로 결합 수단(40)을 구성했는데, 이 대신에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부(35)의 한쪽 면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한개의 결합용 개구(151)에서 통부(43)에 결합되는 한개의 결합돌출부(152)와, 결합돌기(152)를 끼워 배치됨과 동시에 통부(43)에 삽입되는 한쌍의 삽입 돌출부(153)를 구비하여 결합 수단(40)을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결합돌출부(152)는, 통부(43) 내에 삽입되는 돌출부 본체(155)와, 돌출부 본체(155)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결합용 개구(151)에서 통부(43)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후크부(156)를 구비하고 있으며, 후크부(156)의 결합용 개구(151)에서의 통부(43)로의 결합은, 돌출부 본체(155)의 탄성적 휨을 이용한 스냅 피트식으로 수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승강기구(10)를 최하위의 슬랫지지부재(8)에 연결하여 최하위의 슬랫지지부재(8)를 들어올려 슬랫(9)을 상승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축부재를 양단지지보로 할 수 있어 축부재의 휨을 방지할 수 있는 데다가 축부재의 원활한 회전을 보증할 수 있고, 또한 강성의 링크부재를 대신하는 가요성의 벨트형 동체로 슬랫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슬랫지지부재, 이러한 슬랫지지부재를 구비함과 동시에 단시간에 조립할 수 있으며, 경량화할 수 있어 슬랫을 들어올렸다 내렸다 하는 데에 그다지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아 슬랫의 상승·하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슬랫지지기구 및 이 슬랫지지기구를 구비한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연결된 복수의 축부재를 가진 한쌍의 링크기구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단부에 결합부를 가진 복수의 슬랫 각각의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슬랫을 한쌍의 링크기구에 지지시키기 위한 블라인드 장치용 슬랫지지부재로서,
    제1지지체와, 상기 제1지지체에 결합되는 제2지지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지지체는, 링크기구의 축부재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공을 일단부 및 타단부 각각에 가지는 제1아암부와, 이 제1아암부의 한쪽 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축부와, 이 축부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슬랫의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결합돌출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지지체는, 링크기구의 축부재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공을 일단부 및 타단부 각각에 가지는 제2아암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지지체와 제2지지체는, 상기 제1 및 제2아암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대응하는 축공끼리 동축이 되도록 결합수단을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블라인드 장치용 슬랫지지부재.
  2. 제1항에서,
    결합수단은, 제1아암부의 한쪽 면에 대향하는 다른쪽 면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결합용 개구를 가진 통부와, 제2아암부의 한쪽 면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결합용 개구에서 통부에 결합되는 결합돌출부를 가지고 있는 블라인드 장치용 슬랫지지부재.
  3. 제1항에서,
    상기 결합수단은, 제2아암부의 한쪽 면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결합용 개구를 가진 통부와, 제1아암부의 한쪽 면에 대향하는 다른쪽 면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결합용 개구에서 통부에 결합되는 결합돌출부를 가지고 있는 블라인드 장치용 슬랫지지부재.
  4. 제2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결합돌출부는, 통부 내에 삽입되는 돌출부 본체와, 이 돌출부 본체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결합용 개구에서 통부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후크부를 가지고 있으며, 이 후크부의 결합용 개구에서 통부로의 결합은 돌출부 본체의 탄성적 휨을 이용한 스냅피트식으로 수행되도록 되어 있는 블라인드 장치용 슬랫지지부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 각각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일체 성형품인 블라인드 장치용 슬랫지지부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블라인드 장치용 슬랫지지부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연결된 복수의 축부재를 각각 가진 한쌍의 링크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한쌍의 링크기구 각각은 가요성 벨트형 동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링크기구의 복수의 축부재는 일정 간격을 두고 벨트형 동체에 고착됨과 동시에 벨트형 동체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슬랫지지기구.
  7. 제6항에서,
    상기 각 벨트형 동체는 축부재를 관통함과 동시에 하나로 연결된 벨트형 부재로 이루어진 슬랫지지기구.
  8. 제6항 또는 제7항에서,
    상기 각 축부재는, 원주부와, 이 원주부의 각 단면에 배치된 축부를 구비한 합성수지제의 일체 성형물로 이루어지며, 축부에서 각 아암부에 대응하는 축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며, 벨트형 동체는 원주부에 일체로 고착됨과 동시에 해당 원주부를 관통하는 슬랫 지지기구.
  9. 제8항에서,
    상기 각 축부재는, 원주부의 축심에 관해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한쌍의 사각형 돌출부를 더 구비한 합성수지제의 일체 성형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벨트형 동체는 원주부 및 한쌍의 사각형 돌출부에 일체로 고착됨과 동시에 해당 원주부 및한쌍의 사각형 돌출부를 관통하는 슬랫지지기구.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각 벨트형 동체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제 실의 직물 또는 편물의 벨트 또는 합성수지제 부직포의 벨트로 이루어진 슬랫지지기구.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슬랫지지기구와, 이 슬랫지지기구에 지지된 슬랫과, 슬랫지지기구를 통해 슬랫을 상승·하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이 승강기구에 의한 슬랫의 상승·하강에서 제1 및 제2링크기구에 상대적인 위치 변화를 일으켜 슬랫을 경사 이동시키는 틸트기구를 구비하는 블라인드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각 슬랫은 슬랫 본체와, 상기 슬랫 본체의 한쪽 면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결합부는 결합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중공 형태로 되어 있는 블라인드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서,
    상기 승강기구는,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있으며,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를 들어올려 슬랫을 상승시키도록 되어 있는 블라인드 장치.
KR1020030067473A 2002-11-06 2003-09-29 블라인드 장치용 슬랫지지부재, 그 슬랫지지부재를 구비한슬랫지지기구 및 그 슬랫지지기구를 구비한 블라인드 장치 KR101051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22690A JP3951891B2 (ja) 2002-11-06 2002-11-06 ブラインド装置用のスラット支持部材、そのスラット支持部材を具備したスラット支持機構及びそのスラット支持機構を具備したブラインド装置
JPJP-P-2002-00322690 2002-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339A true KR20040040339A (ko) 2004-05-12
KR101051419B1 KR101051419B1 (ko) 2011-07-22

Family

ID=32105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473A KR101051419B1 (ko) 2002-11-06 2003-09-29 블라인드 장치용 슬랫지지부재, 그 슬랫지지부재를 구비한슬랫지지기구 및 그 슬랫지지기구를 구비한 블라인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418306B1 (ko)
JP (1) JP3951891B2 (ko)
KR (1) KR101051419B1 (ko)
CN (1) CN100507199C (ko)
DE (1) DE60328858D1 (ko)
TW (1) TWI32632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477B1 (ko) * 2008-08-12 2013-06-17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힌지 장치 및 수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01345B1 (en) * 2004-08-27 2015-07-01 Oiles Eco Corporation Blind device
JP4604670B2 (ja) * 2004-11-15 2011-01-05 オイレスEco株式会社 ブラインド装置
JP4543891B2 (ja) * 2004-11-15 2010-09-15 オイレスEco株式会社 ブラインド装置
JP4797162B2 (ja) * 2005-08-16 2011-10-19 国立大学法人 鹿児島大学 日射遮蔽物
JP5514648B2 (ja) * 2010-06-28 2014-06-04 オイレスEco株式会社 窓開閉装置
JP6056216B2 (ja) * 2012-06-28 2017-01-11 オイレスEco株式会社 ブラインド装置
JP5953983B2 (ja) 2012-06-28 2016-07-20 オイレスEco株式会社 ブラインド装置
TWI611093B (zh) * 2013-08-19 2018-01-11 清展科技股份有限公司 簾幕裝置之鍊條結構
KR101660804B1 (ko) 2014-08-13 2016-10-14 주식회사 나보텍 식물 섬유를 이용한 블라인드 슬랫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블라인드 슬랫
KR20160027759A (ko) 2014-09-02 2016-03-10 주식회사 나보텍 블라인드 슬랫 및 그 제작방법
SI3237714T1 (sl) * 2014-12-23 2024-02-29 Lupak Metal S.R.L. Naprava za senčnik in način sestavljanja letve senčnika
ITUA20163836A1 (it) * 2016-05-26 2017-11-26 Antonio Romano "tapparella impacchettabile ombreggiante"
FR3058445B1 (fr) * 2016-11-10 2020-07-17 Flexoma Dispositif de manœuvre d'un systeme d'occultation d'une baie et installation d'occultation mettant en œuvre un tel dispositif
KR20170032256A (ko) 2017-03-10 2017-03-22 주식회사 나보텍 블라인드 슬랫 및 그 제작방법
IT201800009369A1 (it) * 2018-10-11 2020-04-11 Pellini Spa Vetrocamera perfezionata
IT202000031055A1 (it) * 2020-12-16 2022-06-16 Mergerb S R L Meccanismo di movimentazione e di orientamento di tende frangisole a doghe
IT202100031991A1 (it) 2021-12-21 2023-06-21 Mergerb S R L Tenda a lamel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91709A (en) * 1943-08-27 1945-12-25 Kasan Louis Venetian blind
AT239509B (de) * 1961-03-24 1965-04-12 Andreas Kruell Verbindung von Tragbändern mit den Lamellen einer Jalousie
DE2725601A1 (de) * 1977-06-07 1978-12-21 Hunter Douglas Ind Bv Lamellenjalousie
EP0179968B1 (de) * 1984-10-30 1989-01-11 Planya AG Rafflamellenstore
CH668617A5 (de) * 1985-12-10 1989-01-13 Baumann Rolladen Lamellenstore.
JP3430739B2 (ja) 1995-03-28 2003-07-28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ブラインド装置
JP3276590B2 (ja) 1997-08-05 2002-04-22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ヘッドボックス昇降型ブラインド
JP3829446B2 (ja) 1997-11-26 2006-10-04 オイレスEco株式会社 ブラインド装置
CA2224834C (en) * 1997-12-15 2003-04-01 Vinylbilt Shutters Systems Inc. Louver control in a movable louver assembly
EP1243744A1 (de) * 2001-03-19 2002-09-25 Dieter Niemann Jalousie mit Laufrichtung von unten nach oben
JP4815683B2 (ja) * 2001-03-19 2011-11-16 オイレスEco株式会社 ブラインド装置と窓枠との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477B1 (ko) * 2008-08-12 2013-06-17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힌지 장치 및 수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00964A (zh) 2004-06-02
EP1418306A2 (en) 2004-05-12
JP3951891B2 (ja) 2007-08-01
TWI326325B (en) 2010-06-21
KR101051419B1 (ko) 2011-07-22
DE60328858D1 (de) 2009-10-01
EP1418306B1 (en) 2009-08-19
EP1418306A3 (en) 2004-12-29
TW200408759A (en) 2004-06-01
CN100507199C (zh) 2009-07-01
JP2004156289A (ja) 2004-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419B1 (ko) 블라인드 장치용 슬랫지지부재, 그 슬랫지지부재를 구비한슬랫지지기구 및 그 슬랫지지기구를 구비한 블라인드 장치
KR101031638B1 (ko) 블라인드 장치
EP0362923B1 (en) Electromotively driven sunblind
CN112437826B (zh) 遮蔽装置
CA3031262A1 (en) Chain for a screen device
KR101035865B1 (ko) 블라인드 장치
JP4612463B2 (ja) 昇降コード選択型ローマンシェード
JP4432176B2 (ja) ブラインド装置
EP1672164B1 (en) Chain stopper
JP4085858B2 (ja) 遮蔽装置
JP4066819B2 (ja) ブラインド装置及びその取付機構
JP3829685B2 (ja) ブラインド装置
JPH0194187A (ja) 鎧戸式棒体シャッター
JP4543727B2 (ja) 開口開閉装置
KR200349164Y1 (ko) 버티컬 블라인드
JPH08216891A (ja) 走行輪の方向制御手段をそなえた走行装置
JPS6339354Y2 (ko)
JP4140145B2 (ja) シートの開閉駆動装置
JP4258070B2 (ja) ブラインド装置
JP2020026693A (ja) 遮蔽装置
JP2007044403A (ja) 昇降コード選択型ローマンシェ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