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969B1 -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969B1
KR101244969B1 KR1020117008848A KR20117008848A KR101244969B1 KR 101244969 B1 KR101244969 B1 KR 101244969B1 KR 1020117008848 A KR1020117008848 A KR 1020117008848A KR 20117008848 A KR20117008848 A KR 20117008848A KR 101244969 B1 KR101244969 B1 KR 101244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ar
door
foreign matter
light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8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6943A (ko
Inventor
히로시 가시와꾸라
게이시로 히로하따
다꾸야 후지이
Original Assignee
후지텍크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텍크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텍크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76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6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los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는 승강구를 가로지르는 광 빔을 출사하는 투광 수단,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을 검지하는 수광 수단,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에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하는 이물질 검지 수단 및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어 수단은, 양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키고, 양 카 도어의 폐쇄 동작의 개시 시점에서 혹은 양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개시시킨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ELEVATOR SAFETY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 빔을 사용하여 승강구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검지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개 등의 애완동물을 끈에 연결하여 탑승 카를 탈 때, 애완동물이 승강장 플로어에 남은 채 사람이 탑승 카에 올라타면, 탑승 카의 내부와 승강장 플로어에 걸쳐서 끈이 연결된 상태에서, 카 도어와 승강장 도어가 폐쇄되어, 탑승 카가 상승 혹은 하강하게 된다. 이 결과, 애완동물에 연결되어 있는 끈에 의해 사람의 손이 강하게 끌어 당겨져, 경우에 따라서는 손목 등에 큰 상처를 입을 우려가 있다.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에는 그 폐쇄 방향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카 도어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세이프티 슈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어, 카 도어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세이프티 슈 프레임이 사람이나 이물질과 충돌하여, 상기 세이프티 슈 프레임에 힘이 작용하면, 카 도어 및 승강장 도어를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탑승 카의 승강구를 가로지르는 광 빔을 생성하여, 상기 광 빔을 사람이나 이물질이 차단하면, 카 도어 및 승강장 도어를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광 빔을 사용한 이물질 검지 방식으로서, 다양한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및 2 참조).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소61-203680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4-358685호 공보
광 빔을 사용하여 이물질을 검지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투광기로서 레이저가 채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레이저 광은 위험도에 따라서 클래스 분리가 행해지고 있어, 비교적 안전한 클래스에 속하는 레이저 광이라도, 사람이 들여다 본 경우에는 눈에 장해를 받을 우려가 있다. 또한, 들여다 본 것에 의해 장해를 받고 있지 않은지 불안해지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레이저 광 등의 광 빔을 사용하여 이물질을 검지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하는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제1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는 서로 접근하거나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승강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카 도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이며, 승강구를 가로지르는 광 빔을 출사하는 투광 수단과,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을 검지하는 수광 수단과,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에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하는 이물질 검지 수단과, 양 카 도어의 개폐 동작 및 상기 투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수단은, 양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키고, 양 카 도어의 폐쇄 동작의 개시 시점에서 혹은 양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개시시킨다.
상기 본 발명에 관한 제1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양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는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정지되어,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한 이물질 검지 동작은 행해지지 않는다.
양 카 도어의 폐쇄 동작의 개시 시점 혹은 양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개시되어,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한 이물질 검지 동작이 개시된다. 탑승 카의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물질 검지 동작이 개시된 후 양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상태로 될 때까지,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은 수광 수단으로 입사한다. 따라서,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지 않아 이물질 검지 신호는 생성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물질 검지 동작이 개시된 후 양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상태로 될 때까지의 과정에서,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이 상기 이물질에 의해 차단되므로,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고, 그 결과,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상기 본 발명에 관한 제1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양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는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상태에서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양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되는 통상 개방 동작 중에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양 카 도어의 통상 개방 동작 중에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양 카 도어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에 양 카 도어를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시키고, 양 카 도어의 반전 개방 동작 중에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킨다.
상기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는,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양 카 도어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고, 그 결과, 양 카 도어가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하게 되는 것이지만, 이때,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정지된다. 이에 의해, 양 카 도어의 반전 개방 동작 중에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양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사람이 승강구에 머리나 어깨를 넣어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들여다 보려고 한 경우에는,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사람의 머리나 어깨가 이물질로서 검지되고, 그 결과, 양 카 도어가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하는 동시에,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정지되게 된다. 따라서, 양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들여다볼 수 없어, 양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있어서도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2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는, 서로 접근하거나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승강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카 도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이며, 승강구를 가로지르는 광 빔을 출사하는 투광 수단과,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을 검지하는 수광 수단과,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에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하는 이물질 검지 수단과, 양 카 도어가 소정의 폐쇄 위치까지 폐쇄된 것을 검지하는 폐쇄 위치 검지 수단과, 양 카 도어의 개폐 동작 및 상기 투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수단은 양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와 양 카 도어의 폐쇄 동작이 개시된 후 상기 폐쇄 위치 검지 수단에 의해 양 카 도어가 상기 소정의 폐쇄 위치까지 폐쇄된 것이 검지될 때까지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폐쇄 위치 검지 수단에 의해 양 카 도어가 상기 소정의 폐쇄 위치까지 폐쇄된 것이 검지되었을 때에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개시시킨다.
상기 본 발명에 관한 제2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양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와, 양 카 도어의 폐쇄 동작이 개시된 후 양 카 도어의 폐쇄 위치가 소정의 폐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정지되고,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한 이물질 검지 동작은 행해지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폐쇄 위치는 양 카 도어의 서로 접촉해야 할 폐쇄 방향 단부면 사이의 폭이 사람의 머리나 어깨가 들어가지 않는 폭으로 되는 위치로 설정된다.
양 카 도어의 폐쇄 위치가 상기 소정의 폐쇄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개시되고,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한 이물질 검지 동작이 개시된다. 탑승 카의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물질 검지 동작이 개시된 후 양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상태로 될 때까지,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은 수광 수단으로 입사한다. 따라서,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지 않아 이물질 검지 신호는 생성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물질 검지 동작이 개시된 후 양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상태로 될 때까지의 과정에서,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이 상기 이물질에 의해 차단되므로,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고, 그 결과,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상기 본 발명에 관한 제2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양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는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상태에서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양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는 양 카 도어가 상기 소정의 폐쇄 위치까지 폐쇄된 시점에서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개시되므로, 출사 동작이 개시된 후에 사람이 승강구에 머리나 어깨를 넣어 광 빔을 들여다 보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해, 양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있어서도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양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되는 통상 개방 동작 중에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양 카 도어의 통상 개방 동작 중에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양 카 도어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에 양 카 도어를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시키고, 양 카 도어의 반전 개방 동작 중에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킨다.
상기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는,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양 카 도어가 소정의 폐쇄 위치로부터 폐쇄되는 과정에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고, 그 결과, 양 카 도어가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하게 되는 것이지만, 이때,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정지된다. 이에 의해, 양 카 도어의 반전 개방 동작 중에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3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는 서로 접근하거나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승강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카 도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이며, 승강구를 가로지르는 광 빔을 출사하는 투광 수단과,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을 검지하는 수광 수단과,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에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하는 이물질 검지 수단과, 양 카 도어의 개폐 동작 및 상기 투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수단은 양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실행시키고, 상기 상태에서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에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킨다.
상기 본 발명에 관한 제3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양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실행되고,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한 이물질 검지 동작이 실행된다. 탑승 카의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은 수광 수단으로 입사한다. 따라서,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지 않아 이물질 검지 신호는 생성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이 상기 이물질에 의해 차단되므로,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고, 그 결과,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관한 제3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양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정지되므로, 양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사람이 승강구에 머리나 어깨를 넣어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들여다 보려고 한 경우, 사람의 머리나 어깨가 이물질로서 검지되고, 그 결과,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정지되게 된다. 따라서, 양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들여다볼 수는 없어, 양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양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 양 카 도어를 완전 개방 상태로 유지해야 할 시간을 연장한다. 이에 의해, 양 카 도어의 폐쇄 동작이 개시되기 직전에 사람이 승강구에 머리나 어깨를 넣어 광 빔을 들여다 보려고 한 경우에, 카 도어가 사람의 머리나 어깨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양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킨 후, 양 카 도어를 완전 개방 상태로 유지해야 할 시간이 만료된 시점에서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개시시키고,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에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양 카 도어를 완전 개방 상태로 유지해야 할 시간을 연장하는 한편,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을 때에는 양 카 도어의 폐쇄 동작을 개시한다.
상기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는, 양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기 때문에, 혹은 사람이 광 빔의 들여다 보기 동작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어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정지된 경우, 그 후, 양 카 도어를 완전 개방 상태로 유지해야 할 시간이 만료된 시점에서,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개시된다. 여기서, 다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에는, 승강구에 이물질이 잔존하고 있거나, 혹은 사람이 광 빔의 들여다 보기 동작을 계속하고 있는 것이라고 추정되므로,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다시 정지되는 동시에, 양 카 도어가 완전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대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을 때에는,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계속된 채 양 카 도어의 폐쇄 동작이 개시된다.
더욱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양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되는 통상 개방 동작 중에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양 카 도어의 통상 개방 동작 중에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양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실행시키고, 양 카 도어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에 양 카 도어를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시키고, 양 카 도어의 반전 개방 동작 중에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킨다.
상기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는, 탑승 카의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양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상태로 될 때까지,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은 수광 수단으로 입사한다. 따라서,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지 않아 이물질 검지 신호는 생성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양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상태로 될 때까지의 과정에서,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이 상기 이물질에 의해 차단되므로,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고, 그 결과,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상기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는,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양 카 도어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고, 그 결과, 양 카 도어가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하게 되는 것이지만, 이때,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정지된다. 이에 의해, 양 카 도어의 반전 개방 동작 중에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양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사람이 승강구에 머리나 어깨를 넣어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들여다 보려고 한 경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사람의 머리나 어깨가 이물질로서 검지되고, 그 결과, 양 카 도어가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하는 동시에,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정지되게 된다. 따라서, 양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들여다 볼 수는 없어, 양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관한 제1 내지 제3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한 이물질 검지 신호의 생성의 유무에 상관없이 강제적으로 양 카 도어를 폐쇄하는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을 실행하는 강제 도어 폐쇄 수단과,
상기 강제 도어 폐쇄 수단에 의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 전에, 혹은 상기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 중에, 상기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을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체적 형태에 따르면,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완료 시에 승객이 카 도어에 끼인다고 하는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또한,
상기 강제 도어 폐쇄 수단에 의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완료 후에 탑승 카의 주행을 개시시키는 탑승 카 제어 수단과,
상기 강제 도어 폐쇄 수단에 의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 중에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 경우에, 상기 탑승 카 제어 수단에 의해 탑승 카의 주행이 개시되기 전에 탑승 카의 주행 개시를 통지하는 제2 통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체적 형태에 따르면, 사람이 장난으로, 혹은 고의로 이물질(예를 들어, 끈 형상의 이물질)을 탑승 카와 승강장 플로어에 걸치고 있는 경우에,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완료 후에 상기 이물질이 카 도어 및 승강장 도어에 끼인 상태에서 탑승 카의 주행이 개시된다고 하는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4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는 도어 스톱 프레임에 대해 접근하거나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승강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1개의 카 도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이며, 승강구를 가로지르는 광 빔을 출사하는 투광 수단과,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을 검지하는 수광 수단과,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에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하는 이물질 검지 수단과, 상기 카 도어의 개폐 동작 및 상기 투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는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카 도어의 폐쇄 동작의 개시 시점에서 혹은 상기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개시시킨다.
상기 본 발명에 관한 제4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는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정지되고,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한 이물질 검지 동작은 행해지지 않는다.
카 도어의 폐쇄 동작의 개시 시점 혹은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개시되어,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한 이물질 검지 동작이 개시된다. 탑승 카의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물질 검지 동작이 개시된 후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상태로 될 때까지,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은 수광 수단으로 입사한다. 따라서,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지 않아 이물질 검지 신호는 생성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물질 검지 동작이 개시된 후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상태로 될 때까지의 과정에서,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이 상기 이물질에 의해 차단되므로,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고, 그 결과,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상기 본 발명에 관한 제4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는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상태에서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되는 통상 개방 동작 중에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카 도어의 통상 개방 동작 중에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 도어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에 상기 카 도어를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시키고, 상기 카 도어의 반전 개방 동작 중에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킨다.
상기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는,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카 도어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고, 그 결과, 카 도어가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하게 되는 것이지만, 이때,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정지된다. 이에 의해, 카 도어의 반전 개방 동작 중에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사람이 승강구에 머리나 어깨를 넣어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들여다 보려고 한 경우에는,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사람의 머리나 어깨가 이물질로서 검지되고, 그 결과, 카 도어가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하는 동시에,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정지되게 된다. 따라서,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들여다볼 수는 없어,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5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는 도어 스톱 프레임에 대해 접근하거나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승강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1개의 카 도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이며, 승강구를 가로지르는 광 빔을 출사하는 투광 수단과,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을 검지하는 수광 수단과,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에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하는 이물질 검지 수단과, 상기 카 도어가 소정의 폐쇄 위치까지 폐쇄된 것을 검지하는 폐쇄 위치 검지 수단과, 상기 카 도어의 개폐 동작 및 상기 투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와 상기 카 도어의 폐쇄 동작이 개시된 후 상기 폐쇄 위치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카 도어가 상기 소정의 폐쇄 위치까지 폐쇄된 것이 검지될 때까지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폐쇄 위치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카 도어가 상기 소정의 폐쇄 위치까지 폐쇄된 것이 검지되었을 때에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개시시킨다.
상기 본 발명에 관한 제5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와, 카 도어의 폐쇄 동작이 개시된 후 카 도어의 폐쇄 위치가 소정의 폐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정지되고,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한 이물질 검지 동작은 행해지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폐쇄 위치는 카 도어의 폐쇄 방향 단부면과 도어 스톱 프레임 사이의 폭이 사람의 머리나 어깨가 들어가지 않는 폭으로 되는 위치로 설정된다.
카 도어의 폐쇄 위치가 상기 소정의 폐쇄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개시되고,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한 이물질 검지 동작이 개시된다. 탑승 카의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물질 검지 동작이 개시된 후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상태로 될 때까지,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은 수광 수단으로 입사한다. 따라서,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지 않아 이물질 검지 신호는 생성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물질 검지 동작이 개시된 후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상태로 될 때까지의 과정에서,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이 상기 이물질에 의해 차단되므로,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고, 그 결과,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상기 본 발명에 관한 제5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는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상태에서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는 카 도어가 상기 소정의 폐쇄 위치까지 폐쇄된 시점에서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개시되므로, 출사 동작이 개시된 후에 사람이 승강구에 머리나 어깨를 넣어 광 빔을 들여다 보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해,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되는 통상 개방 동작 중에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카 도어의 통상 개방 동작 중에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 도어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에 상기 카 도어를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시키고, 상기 카 도어의 반전 개방 동작 중에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킨다.
상기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는,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카 도어가 소정의 폐쇄 위치로부터 폐쇄되는 과정에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고, 그 결과, 카 도어가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하게 되는 것이지만, 이때,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정지된다. 이에 의해, 카 도어의 반전 개방 동작 중에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6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는 도어 스톱 프레임에 대해 접근하거나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승강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1개의 카 도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이며, 승강구를 가로지르는 광 빔을 출사하는 투광 수단과,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을 검지하는 수광 수단과,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에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하는 이물질 검지 수단과, 상기 카 도어의 개폐 동작 및 상기 투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실행시키고, 상기 상태에서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에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킨다.
상기 본 발명에 관한 제6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실행되고,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한 이물질 검지 동작이 실행된다. 탑승 카의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은 수광 수단으로 입사한다. 따라서,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지 않아 이물질 검지 신호는 생성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이 상기 이물질에 의해 차단되므로,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고, 그 결과,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관한 제6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정지되므로,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사람이 승강구에 머리나 어깨를 넣어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들여다 보려고 한 경우, 사람의 머리나 어깨가 이물질로서 검지되고, 그 결과,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정지되게 된다. 따라서,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들여다볼 수는 없어,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 상기 카 도어를 완전 개방 상태로 유지하는 시간을 연장한다. 이에 의해, 카 도어의 폐쇄 동작이 개시되기 직전에 사람이 승강구에 머리나 어깨를 넣어 광 빔을 들여다 보려고 한 경우에, 카 도어가 사람의 머리나 어깨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킨 후, 상기 카 도어를 완전 개방 상태로 유지해야 할 시간이 만료된 시점에서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개시시키고,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에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카 도어를 완전 개방 상태로 유지해야 할 시간을 연장하는 한편,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카 도어의 폐쇄 동작을 개시한다.
상기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는,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므로, 혹은 사람이 광 빔의 들여다 보기 동작을 행하고 있으므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어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정지된 경우, 그 후, 카 도어를 완전 개방 상태로 유지해야 할 시간이 만료된 시점에서,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개시된다. 여기서, 다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에는, 승강구에 이물질이 잔존하고 있거나, 혹은 사람이 광 빔의 들여다 보기 동작을 계속하고 있는 것이라고 추정되므로,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다시 정지되는 동시에, 카 도어가 완전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대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을 때에는,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계속된 채 카 도어의 폐쇄 동작이 개시된다.
더욱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되는 통상 개방 동작 중에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카 도어의 통상 개방 동작 중에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실행시키고, 상기 카 도어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에 상기 카 도어를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시키고, 상기 카 도어의 반전 개방 동작 중에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킨다.
상기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는, 탑승 카의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상태로 될 때까지,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은 수광 수단으로 입사한다. 따라서,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지 않아 이물질 검지 신호는 생성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상태로 될 때까지의 과정에서,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이 상기 이물질에 의해 차단되므로,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고, 그 결과,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상기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는,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카 도어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고, 그 결과, 카 도어가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하게 되는 것이지만, 이때,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정지된다. 이에 의해, 카 도어의 반전 개방 동작 중에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사람이 승강구에 머리나 어깨를 넣어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들여다 보려고 한 경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사람의 머리나 어깨가 이물질로서 검지되고, 그 결과, 카 도어가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하는 동시에, 투광 수단에 의한 출사 동작이 정지되게 된다. 따라서,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들여다볼 수는 없어,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관한 제4 내지 제6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의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한 이물질 검지 신호의 생성의 유무에 상관없이 강제적으로 상기 카 도어를 폐쇄하는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을 실행하는 강제 도어 폐쇄 수단과,
상기 강제 도어 폐쇄 수단에 의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 전에, 혹은 상기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 중에, 상기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을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체적 형태에 따르면,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완료 시에 승객이 카 도어에 끼인다고 하는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또한,
상기 강제 도어 폐쇄 수단에 의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완료 후에 탑승 카의 주행을 개시시키는 탑승 카 제어 수단과,
상기 강제 도어 폐쇄 수단에 의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 중에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 경우에, 상기 탑승 카 제어 수단에 의해 탑승 카의 주행이 개시되기 전에 탑승 카의 주행 개시를 통지하는 제2 통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체적 형태에 따르면, 사람이 장난으로 혹은 고의로 이물질(예를 들어, 끈 형상의 이물질)을 탑승 카와 승강장 플로어에 걸치고 있는 경우에,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완료 후에 상기 이물질이 카 도어 및 승강장 도어에 끼인 상태에서 탑승 카의 주행이 개시된다고 하는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1 내지 제6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따르면,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양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양 카 도어의 완전 폐쇄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투광/수광 유닛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제1 반사 부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제2 반사 부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청소 기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제1 반사 부재와 청소 기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오버 트래블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광 빔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10은 오버 트래블이 없는 경우에 있어서의 광 빔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11은 끈 검지 동작예의 전반을 도시하는 일련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끈 검지 동작예의 후반을 도시하는 일련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끈 검지 동작예의 전반을 도시하는 일련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끈 검지 동작예의 후반을 도시하는 일련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끈 검지 동작예의 전반을 도시하는 일련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끈 검지 동작예의 후반을 도시하는 일련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제1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실행되는 제어 수속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분도이다.
도 20은 제2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실행되는 제어 수속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분도이다.
도 22는 제3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실행되는 제어 수속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제1 분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제2 분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다른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다른 엘리베이터의 양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다른 엘리베이터의 양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다른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다른 엘리베이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다른 엘리베이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본 실시예의 엘리베이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 카의 승강구를 개폐하는 좌우 한 쌍의 카 도어(2)(3)를 구비한 센터 오픈 타입의 엘리베이터이며, 승강구 상방의 프레임(102)에 레일(1)이 고정되어, 양 카 도어(2)(3)는 각각 행거(21)(31)에 의해 레일(1)에 현수되는 동시에, 도어 하단부에 돌출 설치된 가이드 슈(22)(32)가 문지방(8)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수평 방향의 왕복 이동이 안내되고 있다.
또한, 프레임(102) 상에는 양 카 도어(2)(3)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100)이 설치되어 있다.
좌측의 카 도어(2)에는, 도 1과 같이 우측의 카 도어(3)와 접촉해야 할 폐쇄 방향 단부면(2a)으로부터 우측의 카 도어(3)측으로 소정 거리(예를 들어, 12㎜)만큼 이격된 연직선 상의 상단부 위치에, 연직 하방을 향해 투광/수광 유닛(4)이 배치되는 한편, 상기 연직선 상의 하단부 위치에는 연직 상방을 향해 제1 반사 부재(5)가 배치되어 있다.
투광/수광 유닛(4)은 레이저 광의 빔(이하, 광 빔이라고 함)(B)을 출사해야 할 투광기와 입사해 오는 광 빔(B)을 검지해야 할 수광기를 일체로 구비한 것이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 도어(2)의 폐쇄 방향 단부면(2a)에 고정된 스테이(4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투광/수광 유닛(4)의 광 빔 출사 동작은 상기 제어 유닛(100)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또한, 투광/수광 유닛(4)의 투광기로서는, 예를 들어 적색 반도체 레이저를 채용하고, 이에 의해 직경 1 내지 2㎜의 스폿을 형성한다. 투광/수광 유닛(4)의 수광기는 입사광 빔에 의한 수광량이 소정의 임계치를 상회하고 있을 때에는, 이물질 검지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에 대해, 입사광 빔에 의한 수광량이 소정의 임계치를 하회하고 있을 때에는, 이물질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제1 반사 부재(5)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의 카 도어(2)의 하단부면에 돌출 설치된 L자 형상의 아암 부재(51)의 수평 아암부에 설치되어 있고, 광 빔(B)을 연직 상방으로 반사하는 반사면을 갖고 있다. 상기 아암 부재(51)는 카 도어(2)의 가이드 슈가 끼워지는 문지방(8)의 홈(81)의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또한, 아암 부재(51)는 도 8에 도시하는 스테이(52)를 통해 좌측의 카 도어(2)에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스테이(52)는 카 도어(2)에 대해 도어 개폐 방향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아암 부재(51)는 스테이(52)에 대해 도어 개폐 방향과는 직교하는 전후 방향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우측의 카 도어(3)의 상단부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카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투광/수광 유닛을 수용해야 할 수용 공간(3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30)의 저부에는 연직 상방을 향해 제2 반사 부재(6)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반사 부재(6)는 우측의 카 도어(3)의 폐쇄 방향 단부면(3a)과 동일한 위치로부터 수용 공간(30)의 안측으로 연장되는 소정 길이(예를 들어, 8㎜)의 반사면을 갖고, 수용 공간(30)에 침입한 투광/수광 유닛으로부터의 광 빔을 연직 상방으로 반사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의 카 도어(3)의 하단부에는 상기 카 도어(3)의 폐쇄 방향 단부면(3a)과 문지방(8)의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메우는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9)가 하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9)의 하단부는 문지방(8)의 홈(81)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또한, 우측의 카 도어(3)의 하단부에는,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9)의 후방 위치에, 도 7과 같이 설치 금속 부재(72)가 고정되고, 상기 설치 금속 부재(72)에 의해 브러시로 이루어지는 청소 기구(7)가 하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도 2와 같이 양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위치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청소 기구(7)가, 좌측의 카 도어(2)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반사 부재(5)의 표면을 청소한다(도 8 참조). 이에 의해, 제1 반사 부재(5)의 표면은 항상 양호한 반사면으로 유지된다.
또한, 투광/수광 유닛(4)이 연직 하방을 향하고, 제1 반사 부재(5) 및 제2 반사 부재(6)가 연직 상방을 향하고 있는 설치 상태는 투광/수광 유닛(4)의 구성(발광기 및 수광기의 배치 등)이나 카 도어의 설치 자세의 편차 등에 따라서, 연직선에 대해 약간의 경사를 갖는 설치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 9는 탑승 카의 승강구를 형성하는 출입구 기둥(20)의 단부면을 기준으로 하는 카 도어(2)의 완전 개방 위치에 있어서의 폐쇄 방향 단부면의 후퇴 거리, 즉 오버 트래블(T)이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광 빔(B)의 배치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9의 (a)에 도시하는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대기 중에서는 광 빔(B)이 승강구의 폭의 외측에 위치하고, 도 9의 (b)에 도시하는 도어 폐쇄 중에서는 카 도어(2)의 단부 테두리와 세이프티 슈 프레임(27)의 단부를 연결한 선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광 빔(B)을 배치한다.
또한, 도 10은 오버 트래블이 없는 경우에 있어서의 광 빔(B)의 배치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10의 (a)에 도시하는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대기 중에서는 카 도어(2)의 단부 테두리와 세이프티 슈 프레임(27)의 단부를 연결한 선의 외측에 위치하고,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도어 폐쇄 중에서는 카 도어(2)의 단부 테두리와 세이프티 슈 프레임(27)의 단부를 연결한 선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광 빔(B)을 배치한다.
본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양 카 도어(2)(3)의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대기 중과 양 카 도어(2)(3)의 완전 폐쇄 위치로부터의 통상 도어 개방 동작 중에는,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이 정지되어 이물질 검지 동작은 행해지지 않고, 양 카 도어(2)(3)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도어 폐쇄 동작이 개시되는 시점에서,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이 개시되고 이물질 검지 동작이 개시된다.
양 카 도어(2)(3)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B)은 그 진로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한, 제1 반사 부재(5)로 입사하여 반사되고, 반사광 빔(B)은 투광/수광 유닛(4)으로 복귀되게 된다.
그 후, 양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은 우측의 카 도어(3)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 공간(30)에 침입하고, 이에 의해,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B)은 제2 반사 부재(6)로 입사하여 반사되고, 반사광 빔(B)은 투광/수광 유닛(4)으로 복귀되게 된다.
즉, 양 카 도어(2)(3)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B)은 그 진로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한, 제1 반사 부재(5) 또는 제2 반사 부재(6)에 의해 반사되어, 투광/수광 유닛(4)으로 복귀되게 된다.
투광/수광 유닛(4)은, 광 빔이 검지되어 있을 때에는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어 유닛(100)은 양 카 도어(2)(3)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는 한, 양 카 도어(2)(3)의 폐쇄 동작을 계속한다.
이에 대해, 투광/수광 유닛(4)은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 유닛(100)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어 유닛(100)은 양 카 도어(2)(3)를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시키는 동시에, 투광/수광 유닛(4)에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정지시킨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양 카 도어(2)(3)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되는 과정에서 세이프티 슈 프레임이 사람이나 이물질과 충돌하여, 상기 세이프티 슈 프레임에 힘이 작용했을 때에, 제어 유닛(100)은 양 카 도어(2)(3)를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시키는 동시에, 투광/수광 유닛(4)에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정지시킨다.
도 11 및 도 12는 탑승 카의 승강구의 중앙부를 통과하여 탑승 카의 내부와 승강장 플로어 사이에 끈(S)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양 카 도어(2)(3)가 폐쇄될 때의 일련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의 (a)(b)(c)와 같이 양 카 도어(2)(3)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어 가는 과정에서, 광 빔(B)은 서서히 끈(S)에 접근하고, 또한 도 12의 (a)(b)(c)와 같이 양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광 빔(B)은 끈(S)을 가로지르게 된다. 이때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므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도 13 및 도 14는 좌측의 카 도어(2)에 세이프티 슈 프레임(27)이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좌측의 카 도어(2)와 세이프티 슈 프레임(27)에 접촉하여 탑승 카의 내부와 승강장 플로어 사이에 끈(S)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양 카 도어(2)(3)가 폐쇄될 때의 일련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의 (a)(b)(c)와 같이 양 카 도어(2)(3)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어 가는 과정에서, 처음에는 끈(S)이 광 빔(B)과 좌측의 카 도어(2) 사이에 위치하고 있지만, 도어 폐쇄 동작의 진행에 수반하여 끈(S)은 광 빔(B)과 교차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그 후, 도 14의 (a)(b)(c)와 같이 양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광 빔(B)은 끈(S)의 외측으로 이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광 빔(B)이 끈(S)을 가로지를 때,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므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도 15 및 도 16은 양 카 도어(2)(3)에 각각 세이프티 슈 프레임(27)(37)이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좌측의 카 도어(2)와 세이프티 슈 프레임(27)에 접촉하여 탑승 카의 내부와 승강장 플로어 사이에 끈(S)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양 카 도어(2)(3)가 폐쇄될 때의 일련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의 (a)(b)(c)와 같이 양 카 도어(2)(3)가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직전 상태까지 폐쇄되어 가는 과정에서, 처음에는 끈(S)이 광 빔(B)과 좌측의 카 도어(2) 사이에 위치하고 있지만, 도어 폐쇄 동작의 진행에 수반하여 끈(S)은 광 빔(B)과 교차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그 후, 도 16의 (a)(b)(c)와 같이 양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직전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까지 폐쇄되는 과정에서, 광 빔(B)은 끈(S)의 외측으로 이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광 빔(B)이 끈(S)을 가로지를 때,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므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다.
도 17은 본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어 제어 장치(300)로부터 도어 구동용 모터(301)로 도어 구동 신호가 공급되고, 이에 의해, 양 카 도어(2)(3)가 개폐된다. 도어 구동용 모터(301)에는 로터리 인코더(302)가 설치되어 있고, 로터리 인코더(302)로부터 얻어지는 인코더 펄스 신호가 도어 제어 장치(300)에 공급된다. 도어 제어 장치(300)에서는 인코더 펄스 신호에 기초하여 양 카 도어(2)(3)의 위치가 인식되어, 도어 위치 신호가 상기 제어 유닛(100)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에는 양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로 되었을 때에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하는 도어 폐쇄 종단부 위치 검출 장치(CTL이라고 칭해지는 경우도 있음)(101)가 장비되어 있어, 도어 폐쇄 종단부 위치 검출 장치(101)로부터 얻어지는 온/오프 신호가 도어 제어 장치(300)를 통해 상기 제어 유닛(100)에 공급된다. 제어 유닛(100)으로부터 도어 제어 장치(300)에는 도어 개폐 지령이 공급되고, 이에 의해 도어 제어 장치(300)가 제어되고 있다.
상기 투광/수광 유닛(4)에는 레이저 구동 회로(400)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레이저 구동 회로(400)는 상기 제어 유닛(100)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유닛(100)으로부터 레이저 구동 회로(400)로는 레이저 투광 온 지령 및 레이저 투광 오프 지령이 공급되고, 레이저 구동 회로(400)는 레이저 투광 온 지령을 받아 투광/수광 유닛(4)에 대해 레이저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한편, 레이저 투광 오프 지령을 받아 투광/수광 유닛(4)에 대한 레이저 구동 신호의 공급을 정지한다. 투광/수광 유닛(4)은 레이저 구동 회로(400)로부터 레이저 구동 신호의 공급을 받아 광 빔의 출사 동작을 행하고, 레이저 구동 신호의 공급이 정지되었을 때에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정지한다.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얻어지는 이물질 검지 신호는 레이저 구동 회로(400)를 통해 상기 제어 유닛(100)에 공급된다.
도 18 및 도 19는 상기 제어 유닛(100)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수속을 나타내고 있고, 우선 도 18의 스텝 S1에서는 도어 개방 완료(완전 개방 상태)로 대기하는 동시에,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정지한다. 다음에, 스텝 S2에서는 도어 개방 시간이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1로 복귀되고, 도어 개방 완료로 대기하는 동시에 광 빔의 출사 정지 상태를 계속한다.
도어 개방 시간이 만료되어 스텝 S2에서 예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3으로 이행하여, 이물질의 검지에 의해 반전 도어 개방을 소정 횟수(N) 이상 반복한 경우, 또는 도어 개방 대기 시간이 소정 시간(T)에 도달한 경우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3에서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4로 이행하여, 통상의 속도(고속)로 도어 폐쇄 동작을 실행하는 동시에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실행한 후, 스텝 S5에서 이물질이 검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 혹은 세이프티 슈 프레임에 어떤 힘이 작용했을 때에는, 탑승 카의 승강구에 승강 중인 사람이나 이물질이 존재하거나, 혹은 사람이 광 빔의 들여다 보기 동작을 행하고 있는 것이라고 추정되므로, 스텝 S6으로 이행하여, 반전 도어 개방을 실행하는 동시에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정지한 후, 스텝 S1로 복귀되어, 도어 개방 완료로 대기하는 동시에 광 빔의 출사 정지 상태를 계속한다.
한편, 스텝 S5에서 이물질이 검지되지 않았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7로 이행하여, 도어 폐쇄 종단부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온/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 폐쇄 동작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4로 복귀되어, 통상의 속도에 의한 도어 폐쇄 동작을 계속하는 동시에 광 빔의 출사 동작을 계속한다. 그 후, 도어 폐쇄 동작이 완료되어 스텝 S7에서 예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8에서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정지하여, 일련의 수속을 종료한다.
사람이 장난으로 혹은 고의로 어떤 이물질을 승강구에 두고 있는 경우나 투광/수광 유닛에 항상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하는 온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등에는, 상기 스텝 S3에서 예라고 판단되어 도 19의 스텝 S9로 이행하여, 탑승 카 내의 음성 안내 시스템이나, 탑승 카 내 또는 승강장의 표시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어 폐쇄 동작을 개시하는 취지의 통지를 행하는 동시에 카 도어로부터 떨어지도록 경고를 행한다. 다음에 스텝 S10에서는, 투광/수광 유닛에 의해 이물질이 검지되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강제적으로 저속으로 카 도어를 폐쇄하는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을 버저 등의 울림을 실행시키면서 행하는 동시에,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개시한다. 또한, 이 강제 도어 폐쇄 동작 중에는, 투광/수광 유닛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 경우라도 반전 도어 개방은 실행되지 않고, 투광/수광 유닛에 의해 이물질이 검지되는 것에 의한 반전 도어 개방은 무효로 된다. 한편, 세이프티 슈 프레임에 의해 이물질이 검지된 경우에는, 반전 도어 개방이 실행된다.
그 후, 스텝 S11에서는 강제 도어 폐쇄 동작 중에 투광/수광 유닛에 의해 이물질이 검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을 때에는, 스텝 S12로 이행하여, 도어 폐쇄 종단부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온/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13에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을 계속한 후, 스텝 S11로 복귀된다. 그 후,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이 완료되어 스텝 S12에서 예라고 판단되었을 때에, 스텝 S20으로 이행하여, 반전 도어 개방의 횟수를 클리어하는 동시에 통상의 제어 동작을 재개한다. 이에 의해, 탑승 카는 주행을 개시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마지막으로, 도 18의 스텝 S8로 이행하여,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정지하여, 상기 일련의 수속을 종료한다.
한편, 강제 도어 폐쇄 동작 중에 투광/수광 유닛에 의해 이물질이 검지되어 도 19의 스텝 S11에서 예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14로 이행하여, 도어 폐쇄 종단부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온/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15에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을 계속한 후, 스텝 S14로 복귀된다. 그 후,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이 완료되어 스텝 S14에서 예라고 판단되었을 때에, 스텝 S16으로 이행하여, 탑승 카 내의 음성 안내 시스템이나, 탑승 카 내 또는 승강장의 표시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여, 탑승 카의 주행이 개시되는 것을 통지하는 동시에, 그 동안은 탑승 카의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음성에 의한 통지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텝 S9에서 통지 및 경고를 행하였을 때의 음성보다도 음량을 크게 해도 좋다. 계속해서 스텝 S17에서는, 탑승 카 내의 도어 개방 버튼, 혹은 탑승 카의 정지층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장 호출 버튼이 눌렸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18로 이행하여, 탑승 카의 주행 개시의 통지가 종료된 후 소정 시간, 예를 들어 2초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아니오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17로 복귀되어, 도어 개방 버튼 혹은 승강장 호출 버튼이 눌렸는지 여부의 판단을 반복한다.
탑승 카의 주행 개시의 통지가 종료된 후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에 도어 개방 버튼 혹은 승강장 호출 버튼이 눌린 경우에는, 스텝 S19에서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정지하는 동시에, 도어 개방 동작을 실행한다. 이에 의해, 강제 도어 폐쇄 동작 시에 양 카 도어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그 후, 도 18의 스텝 S1로 복귀되어, 도어 개방 완료로 대기한다.
이에 대해, 탑승 카의 주행 개시의 통지가 종료된 후, 도어 개방 버튼 혹은 승강장 호출 버튼이 눌리지 않고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도 19의 스텝 S20에서 반전 도어 개방의 횟수를 클리어하는 동시에 통상의 제어 동작을 재개한다. 이에 의해, 탑승 카는 주행을 개시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마지막으로, 도 18의 스텝 S8로 이행하여,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정지하여, 상기 일련의 수속을 종료한다.
상기 수속에 따르면,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대기 중은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의 광 빔의 출사가 정지되고, 도어 폐쇄 동작의 개시 시점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의 광 빔의 출사가 개시된다.
그 후, 도어 폐쇄 동작 중에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 혹은 세이프티 슈 프레임에 어떤 힘이 작용했을 때에, 반전 도어 개방이 실행되는 동시에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의 광 빔의 출사가 정지된다. 이에 대해, 이물질이 검지되는 일없이 도어 폐쇄 동작이 완료된 경우에는, 그 완료 시점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의 광 빔의 출사가 정지된다.
그리고, 이물질의 검지에 의해 반전 도어 개방이 소정 횟수(N) 이상 반복되었을 때, 혹은 도어 개방 대기 시간이 소정 시간(T)에 도달했을 때에는,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이 개시되는 취지가 통지된 후에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이 개시된다. 또한, 이 강제 도어 폐쇄 동작 중에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해 이물질이 검지되었을 때에는,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완료 후에 탑승 카의 주행이 개시되는 취지가 통지되고, 그 후, 탑승 카의 주행이 개시된다.
본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도어 개방 대기 중과 통상 도어 개방 동작 중에는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의 광 빔의 출사가 정지되므로, 도어 개방 대기 중 및 통상 도어 개방 동작 중에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 폐쇄 동작 중에 이물질이 검지되었을 때, 반전 도어 개방 동작이 실행되게 되는 것이지만, 이때,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의 광 빔의 출사가 정지된다. 이에 의해, 반전 도어 개방 동작 중에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 폐쇄 동작 중에 사람이 승강구에 머리나 어깨를 넣어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들여다 보려고 한 경우에는,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해 사람의 머리나 어깨가 이물질로서 검지되고, 그 결과, 반전 도어 개방 동작이 실행되는 동시에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의 광 빔의 출사가 정지되게 된다. 만일,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해 사람의 머리나 어깨가 이물질로서 검지되지 않았던 경우라도, 사람의 머리나 어깨가 세이프티 슈 프레임에 충돌하고, 그 결과, 반전 도어 개방 동작이 실행되는 동시에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의 광 빔의 출사가 정지되게 된다. 따라서, 도어 폐쇄 동작 중에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들여다볼 수는 없어, 도어 폐쇄 동작 중에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이 개시되기 전에는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이 개시되는 취지가 통지되므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완료 시에 승객이 카 도어 및 승강장 도어에 끼인다고 하는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이 개시되는 취지가 통지되었음에도, 강제 도어 폐쇄 동작 중에 여전히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해 이물질이 검지된 경우에는,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완료 후, 탑승 카의 주행이 개시되기 전에 그 취지가 통지되므로, 사람이 장난으로 혹은 고의로, 예를 들어 끈 형상의 이물질을 탑승 카와 승강장 플로어에 걸치고 있는 경우에,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완료 후에 상기 이물질이 카 도어 및 승강장 도어에 끼인 상태에서 탑승 카의 주행이 개시된다고 하는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의 엘리베이터는 도어 폐쇄 동작의 개시 시점에서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이 개시되는 것인 것에 비해, 본 실시예의 엘리베이터는 도어 폐쇄 동작의 개시 후, 양 카 도어(2)(3)가 소정의 폐쇄 위치까지 폐쇄되었을 때에 상기 출사 동작이 개시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전체 구성 및 전기적 구성은 제어 유닛을 제외하고, 제1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 및 도 21은 본 실시예의 제어 유닛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수속을 나타내고 있고, 우선 도 20 스텝 S21에서는, 도어 개방 완료(완전 개방 상태)로 대기하는 동시에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정지한다. 다음에 스텝 S22에서는 도어 개방 시간이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21로 복귀되어, 도어 개방 완료로 대기하는 동시에 광 빔의 출사 정지 상태를 계속한다.
도어 개방 시간이 만료되어 스텝 S22에서 예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23으로 이행하여, 이물질의 검지에 의해 반전 도어 개방을 소정 횟수(N) 이상 반복한 경우, 또는 도어 개방 대기 시간이 소정 시간(T)에 도달한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23에서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24로 이행하여, 통상의 속도(고속)로 도어 폐쇄 동작을 실행하는 동시에 광 빔의 출사 정지 상태를 계속하고, 스텝 S25에서는 이물질이 검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세이프티 슈 프레임에 어떤 힘이 작용했을 때에는, 탑승 카의 승강구에 승강 중인 사람이나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이라고 추정되므로, 스텝 S26으로 이행하여, 반전 도어 개방을 실행하는 동시에 광 빔의 출사 정지 상태를 계속하고, 스텝 S21로 복귀되어, 도어 개방 완료로 대기하는 동시에 광 빔의 출사 정지 상태를 계속한다.
한편, 스텝 S25에서 이물질이 검지되지 않았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27로 이행하여, 도어 제어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도어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양 카 도어가 소정의 폐쇄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24로 복귀되어, 통상의 속도에 의한 도어 폐쇄 동작을 계속하는 동시에 광 빔의 출사 정지 상태를 계속한다. 상기 소정의 폐쇄 위치는 양 카 도어의 서로 접촉해야 할 폐쇄 방향 단부면 사이의 폭이 사람의 머리나 어깨가 들어가지 않는 폭, 예를 들어 70㎜로 되는 위치로 설정된다.
그 후, 양 카 도어가 상기 소정의 폐쇄 위치에 도달하여 스텝 S27에서 예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28로 이행하여, 통상의 속도에 의한 도어 폐쇄 동작을 계속하는 동시에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실행한 후, 스텝 S29에서 이물질이 검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 혹은 세이프티 슈 프레임에 어떤 힘이 작용했을 때에는, 탑승 카의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이라고 추정되므로, 스텝 S26으로 이행하여, 반전 도어 개방을 실행하는 동시에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정지한 후, 스텝 S21로 복귀되어, 도어 개방 완료로 대기하는 동시에 광 빔의 출사 정지 상태를 계속한다.
한편, 스텝 S29에서 이물질이 검지되지 않았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30으로 이행하여, 도어 폐쇄 종단부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온/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 폐쇄 동작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28로 복귀되어, 통상의 속도에 의한 도어 폐쇄 동작을 계속하는 동시에 광 빔의 출사 동작을 계속한다. 그 후, 도어 폐쇄 동작이 완료되어 스텝 S30에서 예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31에서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정지하여, 일련의 수속을 종료한다.
사람이 장난으로 혹은 고의로 어떤 이물질을 승강구에 두고 있는 경우나 투광/수광 유닛에 항상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하는 온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등에는, 상기 스텝 S23에서 예라고 판단되어 도 21의 스텝 S32로 이행하여, 탑승 카 내의 음성 안내 시스템이나, 탑승 카 내 또는 승강장의 표시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어 폐쇄 동작을 개시하는 취지의 통지를 행하는 동시에 카 도어로부터 떨어지도록 경고를 행한다. 다음에 스텝 S33에서는, 투광/수광 유닛에 의해 이물질이 검지되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강제적으로 저속으로 카 도어를 폐쇄하는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을 버저 등의 울림을 실행시키면서 행한다. 또한, 이 강제 도어 폐쇄 동작 중에는, 투광/수광 유닛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 경우라도 반전 도어 개방은 실행되지 않고, 투광/수광 유닛에 의해 이물질이 검지되는 것에 의한 반전 도어 개방은 무효로 된다. 한편, 세이프티 슈 프레임에 의해 이물질이 검지된 경우에는, 반전 도어 개방이 실행된다.
계속해서 스텝 S34에서는, 도어 제어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도어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양 카 도어가 상기 소정의 폐쇄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33으로 복귀되어,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을 계속한다.
그 후, 양 카 도어가 상기 소정의 폐쇄 위치에 도달하여 스텝 S34에서 예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35로 이행하여,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개시한 후, 스텝 S36에서 강제 도어 폐쇄 동작 중에 투광/수광 유닛에 의해 이물질이 검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을 때에는, 스텝 S37로 이행하여, 도어 폐쇄 종단부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온/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38에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을 계속한 후, 스텝 S36으로 복귀된다. 그 후,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이 완료되어 스텝 S37에서 예라고 판단되었을 때에, 스텝 S45로 이행하여, 반전 도어 개방의 횟수를 클리어하는 동시에 통상의 제어 동작을 재개한다. 이에 의해, 탑승 카는 주행을 개시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마지막으로, 도 20의 스텝 S31로 이행하여,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정지하여, 상기 일련의 수속을 종료한다.
한편, 강제 도어 폐쇄 동작 중에 투광/수광 유닛에 의해 이물질이 검지되어 도 21의 스텝 S36에서 예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39로 이행하여, 도어 폐쇄 종단부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온/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40에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을 계속한 후, 스텝 S39로 복귀된다. 그 후,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이 완료되어 스텝 S39에서 예라고 판단되었을 때에, 스텝 S41로 이행하여, 탑승 카 내의 음성 안내 시스템이나, 탑승 카 내 또는 승강장의 표시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여, 탑승 카의 주행이 개시되는 것을 통지하는 동시에, 그 동안은 탑승 카의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음성에 의한 통지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텝 S32에서 통지 및 경고를 행하였을 때의 음성보다도 음량을 크게 해도 좋다. 계속해서 스텝 S42에서는, 탑승 카 내의 도어 개방 버튼, 혹은 탑승 카의 정지층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장 호출 버튼이 눌렸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43으로 이행하여, 탑승 카의 주행 개시의 통지가 종료된 후 소정 시간, 예를 들어 2초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아니오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42로 복귀되어, 도어 개방 버튼 혹은 승강장 호출 버튼이 눌렸는지 여부의 판단을 반복한다.
탑승 카의 주행 개시의 통지가 종료된 후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에 도어 개방 버튼 혹은 승강장 호출 버튼이 눌린 경우에는, 스텝 S44에서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정지하는 동시에, 도어 개방 동작을 실행한다. 이에 의해, 강제 도어 폐쇄 동작 시에 양 카 도어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그 후, 도 20의 스텝 S31로 복귀되어, 도어 개방 완료로 대기한다.
이에 대해, 탑승 카의 주행 개시의 통지가 종료된 후, 도어 개방 버튼 혹은 승강장 호출 버튼이 눌리지 않고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도 21의 스텝 S45에서, 반전 도어 개방의 횟수를 클리어하는 동시에 통상의 제어 동작을 재개한다. 이에 의해, 탑승 카는 주행을 개시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마지막으로, 도 20의 스텝 S31로 이행하여,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정지하여, 상기 일련의 수속을 종료한다.
상기 수속에 따르면,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대기 중과, 도어 폐쇄 동작이 개시된 후 양 카 도어(2)(3)가 소정의 폐쇄 위치까지 폐쇄될 때까지는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의 광 빔의 출사가 정지되어, 양 카 도어(2)(3)가 소정의 폐쇄 위치까지 폐쇄된 시점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의 광 빔의 출사가 개시된다.
또한, 양 카 도어(2)(3)가 상기 소정의 폐쇄 위치까지 폐쇄될 때까지는, 세이프티 슈 프레임에 어떤 힘이 작용했을 때에, 광 빔의 출사 정지 상태를 유지하여 반전 도어 개방이 실행된다. 양 카 도어(2)(3)가 상기 소정의 폐쇄 위치까지 폐쇄된 후에는,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 혹은 세이프티 슈 프레임에 어떤 힘이 작용했을 때에, 반전 도어 개방이 실행되는 동시에,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의 광 빔의 출사가 정지된다. 이에 대해, 이물질이 검지되지 않고 도어 폐쇄 동작이 완료된 경우에는, 그 완료 시점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의 광 빔의 출사가 정지된다.
또한, 이물질의 검지에 의해 반전 도어 개방이 소정 횟수(N) 이상 반복되었을 때, 혹은 도어 개방 대기 시간이 소정 시간(T)에 도달했을 때에는,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이 개시되는 취지가 통지된 후에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이 개시된다. 또한, 이 강제 도어 폐쇄 동작 중에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해 이물질이 검지되었을 때에는,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완료 후에 탑승 카의 주행이 개시되는 취지가 통지되고, 그 후, 탑승 카의 주행이 개시된다.
본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도어 개방 대기 중과 통상 도어 개방 동작 중에는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의 광 빔의 출사가 정지되므로, 도어 개방 대기 중 및 통상 도어 개방 동작 중에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 폐쇄 동작 중 및 강제 도어 폐쇄 동작 중에는 양 카 도어(2)(3)가 상기 소정의 폐쇄 위치까지 폐쇄되었을 때에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이 개시되므로, 광 빔의 출사 동작이 개시된 후에 사람이 승강구에 머리나 어깨를 넣어 광 빔을 들여다 보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해, 도어 폐쇄 동작 중에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 폐쇄 동작 중에 이물질이 검지되었을 때, 반전 도어 개방 동작이 실행되게 되는 것이지만, 이때,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의 광 빔의 출사가 정지되므로, 반전 도어 개방 동작 중에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이 개시되기 전에는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이 개시되는 취지가 통지되므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완료 시에 승객이 카 도어 및 승강장 도어에 끼인다고 하는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이 개시되는 취지가 통지되었음에도, 강제 도어 폐쇄 동작 중에 여전히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해 이물질이 검지된 경우에는,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완료 후, 탑승 카의 주행이 개시되기 전에 그 취지가 통지되므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완료 후에 끈 형상의 이물질이 카 도어 및 승강장 도어에 끼인 상태에서 탑승 카의 주행이 개시된다고 하는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본 실시예의 엘리베이터는 도어 폐쇄 동작 중뿐만 아니라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대기 중에 있어서도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이물질의 검지를 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의 전체 구성 및 전기적 구성은 제어 유닛을 제외하고, 제1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 내지 도 24는 본 실시예의 제어 유닛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수속을 나타내고 있고, 우선 도 22의 스텝 S51에서는 이물질의 검지에 의해 반전 도어 개방을 소정 횟수(N) 이상 반복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52로 이행하여, 도어 개방 완료(완전 개방 상태)로 대기하는 동시에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실행한 후, 스텝 S53에서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이물질의 검지를 행한다.
스텝 S53에서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54로 이행하여, 도어 개방 시간이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예인 경우에는, 스텝 S55에서 도어 개방 대기 시간이 소정 시간(T)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56으로 이행하여, 통상의 속도(고속)로 도어 폐쇄 동작을 실행하는 동시에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실행한 후, 스텝 S57에서 이물질이 검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 혹은 세이프티 슈 프레임에 어떤 힘이 작용했을 때에는, 탑승 카의 승강구에 승강 중인 사람이나 이물질이 존재하거나, 혹은 사람이 광 빔의 들여다 보기 동작을 행하고 있는 것이라고 추정되므로, 스텝 S58로 이행하여, 반전 도어 개방을 실행하는 동시에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정지한 후, 스텝 S51로 복귀되어, 이물질의 검지에 의해 반전 도어 개방을 소정 횟수(N) 이상 반복하였는지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한편, 스텝 S57에서 이물질이 검지되지 않았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59로 이행하여, 도어 폐쇄 종단부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온/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 폐쇄 동작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56으로 복귀되어, 통상의 속도에 의한 도어 폐쇄 동작을 계속하는 동시에 광 빔의 출사 동작을 계속한다. 그 후, 도어 폐쇄 동작이 완료되어 스텝 S59에서 예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60에서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정지하여, 일련의 수속을 종료한다.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대기 중에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스텝 S53에서 예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탑승 카의 승강구에 이물질이 존재하거나, 혹은 사람이 광 빔의 들여다 보기 동작을 행하고 있는 것이라고 추정되므로, 도 23의 스텝 S62로 이행하여, 도어 개방 시간을 몇 초간 연장하는 동시에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정지한 후, 스텝 S63에서 도어 개방 시간이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63에서 동일한 판단을 반복한다. 그 후, 도어 개방 시간이 만료되어 스텝 S63에서 예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64로 이행하여, 도어 개방 대기 시간이 소정 시간(T)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65로 이행하여,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실행한 후, 스텝 S66에서 투광/수광 유닛에 의해 이물질이 검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에는, 탑승 카의 승강구에 이물질이 잔존하고 있거나, 혹은 사람이 광 빔의 들여다 보기 동작을 계속하고 있는 것이라고 추정되므로, 스텝 S62로 복귀되어, 도어 개방 시간을 연장하는 동시에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정지하는 한편, 스텝 S66에서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도 22의 스텝 S56으로 이행하여, 통상의 속도(고속)로 도어 폐쇄 동작을 실행하는 동시에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계속한다.
한편, 도어 개방 대기 시간이 소정 시간(T)에 도달하여 도 23의 스텝 S64에서 예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도 24의 스텝 S67로 이행한다.
이물질 검지에 의한 반전 도어 개방이 상기 소정 횟수(N) 이상 반복되어 도 22의 상기 스텝 S51에서 예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도 23의 스텝 S61로 이행하여, 도어 개방 시간이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인 경우에는 스텝 S61에서 동일한 판단을 반복한다. 그 후, 도어 개방 시간이 만료되어 스텝 S61에서 예라고 판단되었을 때에, 도 24의 스텝 S67로 이행한다. 또한, 도어 개방 대기 시간이 소정 시간(T)에 도달하여 도 22의 상기 스텝 S55에서 예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도, 도 24의 스텝 S67로 이행한다.
스텝 S67에서는 탑승 카 내의 음성 안내 시스템이나, 탑승 카 내 또는 승강장의 표시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어 폐쇄 동작을 개시하는 취지의 통지를 행하는 동시에 카 도어로부터 떨어지도록 경고를 행한다. 다음에, 스텝 S68에서는 투광/수광 유닛에 의해 이물질이 검지되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강제적으로 저속으로 카 도어를 폐쇄하는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을 버저 등의 울림을 실행시키면서 행하는 동시에,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개시한다. 또한, 이 강제 도어 폐쇄 동작 중에는 투광/수광 유닛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 경우라도 반전 도어 개방은 실행되지 않아, 투광/수광 유닛에 의해 이물질이 검지되는 것에 의한 반전 도어 개방은 무효로 된다. 한편, 세이프티 슈 프레임에 의해 이물질이 검지된 경우에는 반전 도어 개방이 실행된다.
그 후, 스텝 S69에서는 강제 도어 폐쇄 동작 중에 투광/수광 유닛에 의해 이물질이 검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을 때에는 스텝 S70으로 이행하여, 도어 폐쇄 종단부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온/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71에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을 계속한 후, 스텝 S69로 복귀된다. 그 후,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이 완료되어 스텝 S70에서 예라고 판단되었을 때에, 스텝 S78로 이행하여, 반전 도어 개방의 횟수를 클리어하는 동시에 통상의 제어 동작을 재개한다. 이에 의해, 탑승 카는 주행을 개시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마지막으로, 도 22의 스텝 S60으로 이행하여,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정지하여, 상기 일련의 수속을 종료한다.
한편, 강제 도어 폐쇄 동작 중에 투광/수광 유닛에 의해 이물질이 검지되어 도 24의 스텝 S69에서 예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72로 이행하여, 도어 폐쇄 종단부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온/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 S73에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을 계속한 후, 스텝 S72로 복귀된다. 그 후,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이 완료되어 스텝 S72에서 예라고 판단되었을 때에, 스텝 S74로 이행하여, 탑승 카 내의 음성 안내 시스템이나, 탑승 카 내 또는 승강장의 표시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여, 탑승 카의 주행이 개시되는 것을 통지하는 동시에, 그 동안은 탑승 카의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음성에 의한 통지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텝 S67에서 통지 및 경고를 행하였을 때의 음성보다도 음량을 크게 해도 좋다. 계속해서 스텝 S75에서는 탑승 카 내의 도어 개방 버튼, 혹은 탑승 카의 정지층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장 호출 버튼이 눌렸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76으로 이행하여, 탑승 카의 주행 개시의 통지가 종료된 후 소정 시간, 예를 들어 2초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아니오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75로 복귀되어, 도어 개방 버튼 혹은 승강장 호출 버튼이 눌렸는지 여부의 판단을 반복한다.
탑승 카의 주행 개시의 통지가 종료된 후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에 도어 개방 버튼 혹은 승강장 호출 버튼이 눌린 경우에는 스텝 S77에서,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정지하는 동시에, 도어 개방 동작을 실행한다. 이에 의해, 강제 도어 폐쇄 동작 시에 양 카 도어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그 후, 도 22의 스텝 S51로 복귀된다.
이에 대해, 탑승 카의 주행 개시의 통지가 종료된 후, 도어 개방 버튼 혹은 승강장 호출 버튼이 눌리지 않고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도 24의 스텝 S78에서, 반전 도어 개방의 횟수를 클리어하는 동시에 통상의 제어 동작을 재개한다. 이에 의해, 탑승 카는 주행을 개시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마지막으로, 도 22의 스텝 S60으로 이행하여, 투광/수광 유닛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정지하여, 상기 일련의 수속을 종료한다.
상기 수속에 따르면,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대기 중에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이 실행되어,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대기 중에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에, 도어 개방 시간이 몇 초간 연장되는 동시에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의 광 빔의 출사가 정지된다. 그 후, 연장된 도어 개방 시간이 만료된 시점에서,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이 재개되어 이물질 검지 동작이 재개되고, 그 시점에서 다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에는, 승강구에 이물질이 잔존하고 있거나, 혹은 사람이 광 빔의 들여다 보기 동작을 계속하고 있는 것이라고 추정되므로, 다시 도어 개방 시간이 몇 초간 연장되는 동시에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의 광 빔의 출사가 정지된다. 이에 대해, 이물질 검지 동작이 재개된 시점에서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았을 때에는, 도어 폐쇄 동작이 개시되는 동시에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이 계속된다.
또한, 도어 폐쇄 동작 중에 있어서도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이 실행되어, 도어 폐쇄 동작 중에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 혹은 세이프티 슈 프레임에 어떤 힘이 작용했을 때에, 반전 도어 개방이 실행되는 동시에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의 광 빔의 출사가 정지된다. 이에 대해, 이물질이 검지되지 않고 도어 폐쇄 동작이 완료된 경우에는, 그 완료 시점에서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의 광 빔의 출사가 정지된다.
또한, 이물질의 검지에 의해 반전 도어 개방이 소정 횟수(N) 이상 반복되었을 때, 혹은 도어 개방 대기 시간이 소정 시간(T)에 도달했을 때에는,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이 개시되는 취지가 통지된 후에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이 개시된다. 또한, 이 강제 도어 폐쇄 동작 중에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해 이물질이 검지되었을 때에는,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완료 후에 탑승 카의 주행이 개시되는 취지가 통지되고, 그 후, 탑승 카의 주행이 개시된다.
본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도어 개방 대기 중에 이물질이 검지되었을 때에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의 광 빔의 출사가 정지되므로, 도어 개방 대기 중에 사람이 승강구에 머리나 어깨를 넣어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들여다 보려고 한 경우에는, 사람의 머리나 어깨가 이물질로서 검지되고, 그 결과,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광 빔의 출사가 정지되게 된다. 따라서, 도어 개방 대기 중에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들여다볼 수는 없어, 도어 개방 대기 중에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이 검지되었을 때에 도어 개방 시간이 연장되므로, 도어 폐쇄 동작이 개시되기 직전에 사람이 승강구에 머리나 어깨를 넣어 광 빔을 들여다 보려고 한 경우에, 양 카 도어(2)(3)가 사람의 머리나 어깨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 폐쇄 동작 중에 이물질이 검지되었을 때에 반전 도어 개방 동작이 실행되는 것이지만, 이때,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의 광 빔의 출사가 정지된다. 이에 의해, 반전 도어 개방 동작 중에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어 폐쇄 동작 중에 사람이 승강구에 머리나 어깨를 넣어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빔을 들여다 보려고 한 경우에는, 반전 도어 개방 동작이 실행되는 동시에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의 광 빔의 출사가 정지되게 되므로, 도어 폐쇄 동작 중에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상 도어 개방 동작 중에는 투광/수광 유닛(4)으로부터의 광 빔의 출사가 정지되므로, 통상 도어 개방 동작 중에 광 빔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이 개시되기 전에는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이 개시되는 취지가 통지되므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완료 시에 승객이 카 도어 및 승강장 도어에 끼인다고 하는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이 개시되는 취지가 통지되었음에도, 강제 도어 폐쇄 동작 중에 여전히 투광/수광 유닛(4)에 의해 이물질이 검지된 경우에는,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완료 후, 탑승 카의 주행이 개시되기 전에 그 취지가 통지되므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완료 후에 끈 형상의 이물질이 카 도어 및 승강장 도어에 끼인 상태에서 탑승 카의 주행이 개시된다고 하는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부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센터 오픈 타입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실시하고 있지만,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스톱 프레임(12)에 대해 접근하거나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승강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1개의 카 도어(23)를 구비한 사이드 오픈 타입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종류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카 도어(23)에는 도어 스톱 프레임(12)과 접촉해야 할 폐쇄 방향 단부면(23a)으로부터 도어 스톱 프레임(12)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를 상하로 연장하는 직선 상의 상단부 위치에, 하방을 향해 투광/수광 유닛(4)이 배치되는 한편, 상기 직선 상의 하단부 위치에, 상방을 향해 제1 반사 부재(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구의 상방에 배치된 프레임(80) 및 승강구의 하방에 배치된 문지방(8)에 각각 투광/수광 유닛(4) 및 반사 부재(5)가 배치된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에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종류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에서 서로 접촉하는 접촉 위치를 상하로 연장하는 직선 상의 위치에 있어서, 프레임(80)에는 하방을 향해 투광/수광 유닛(4)이 배치되는 한편, 문지방(8)에는 상방을 향해 반사 부재(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구의 상방에 배치된 프레임(80)에 투광/수광 유닛(4)이 배치되고, 한 쌍의 카 도어(2)(3) 중, 한쪽의 카 도어(3)에 반사 부재(5)가 배치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종류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80)에는 한 쌍의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에서 서로 접촉하는 접촉 위치를 상하로 연장하는 직선 상의 위치에 하방을 향해 투광/수광 유닛(4)이 배치되고, 한쪽의 카 도어(3)에는 다른 쪽의 카 도어(2)와 접촉해야 할 폐쇄 방향 단부면(3a)의 하단부 위치에 상방에 향해 반사 부재(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스톱 프레임(84)에 투광/수광 유닛(4) 및 반사 부재(61)가 배치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종류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스톱 프레임(84)에는 카 도어(23)가 접촉해야 할 단부면(84a)으로부터 카 도어(23)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를 상하로 연장하는 직선 상의 상단부 위치에 하방을 향해 투광/수광 유닛(4)이 배치되는 한편, 상기 직선 상의 하단부 위치에 상방을 향해 반사 부재(6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카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에서 접촉하는 접촉 위치(R1)(도 29 참조)를 상하로 연장하는 직선 상의 상단부 위치에 투광/수광 유닛(4)을 배치하고, 상기 직선 상의 하방 위치에 반사 부재(61)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종류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는, 도 29 및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 도어(23)가 접촉해야 할 도어 스톱 프레임(84) 단부면(84a)과, 도어 스톱 프레임(84)과 접촉하거나 도어(23)의 폐쇄 방향 단부면(23a)에, 상기 직선을 따라서 연장되는 한 쌍의 오목부(84b)(23b) 또는 한 쌍의 절결부(84c)(23c)가 형성되어 있고, 인가 도어(23)가 완전 폐쇄 상태일 때에 광 빔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115)가 상기 한 쌍의 오목부(84b)(23b) 또는 상기 한 쌍의 절결부(84c)(23c)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승강구를 연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광 빔을 사용하여 이물질의 검지를 행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실시하고 있지만,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광 빔을 사용하여 이물질의 검지를 행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투광/수광 유닛(4)과 함께, 승강구의 전체 영역 혹은 대략 전체 영역을 가로지르는 다수개의 광 빔을 출사하여, 그들 광 빔의 일부라도 차단되었을 때에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하는 다광축 센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제어 수속을 채용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도어 폐쇄 동작의 개시 직후에 사람이 광 빔을 들여다 보려고 한 경우, 승강구에 머리나 어깨를 넣은 순간에 머리나 어깨가 이물질로서 검지되어 광 빔의 출사가 정지되게 되므로, 도어 폐쇄 동작 중에 있어서의 광 빔의 들여다 보기가 확실히 방지되게 된다. 또한,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하는 제어 수속을 채용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도어 개방 대기 중 및 도어 폐쇄 동작 중에 있어서의 광 빔의 들여다 보기가 확실히 방지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승강구의 상방에 투광기가 배치되고, 하방에 수광기가 배치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와 같이, 투광기로부터 출사된 광 빔이 그 진로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한 직접적으로 수광기에 입사하게 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레일
2 : 카 도어
2a : 폐쇄 방향 단부면
3 : 카 도어
3a : 폐쇄 방향 단부면
30 : 수용 공간
4 : 투광/수광 유닛
5 : 제1 반사 부재
6 : 제2 반사 부재
7 : 청소 기구
8 : 문지방
9 : 이물질 침입 방지 부재
100 : 제어 유닛
B : 광 빔
S : 끈

Claims (22)

  1. 서로 접근하거나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승강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카 도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 승강구를 가로지르는 광 빔을 출사하는 투광 수단과,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을 검지하는 수광 수단과,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에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하는 이물질 검지 수단과, 양 카 도어의 개폐 동작 및 상기 투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양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키고, 양 카 도어의 폐쇄 동작의 개시 시점에서 혹은 양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2. 서로 접근하거나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승강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카 도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 승강구를 가로지르는 광 빔을 출사하는 투광 수단과,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을 검지하는 수광 수단과,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에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하는 이물질 검지 수단과, 양 카 도어가 소정의 폐쇄 위치까지 폐쇄된 것을 검지하는 폐쇄 위치 검지 수단과, 양 카 도어의 개폐 동작 및 상기 투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양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와 양 카 도어의 폐쇄 동작이 개시된 후 상기 폐쇄 위치 검지 수단에 의해 양 카 도어가 상기 소정의 폐쇄 위치까지 폐쇄된 것이 검지될 때까지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폐쇄 위치 검지 수단에 의해 양 카 도어가 상기 소정의 폐쇄 위치까지 폐쇄된 것이 검지되었을 때에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양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되는 통상 개방 동작 중에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양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에 양 카 도어를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시키고, 양 카 도어의 반전 개방 동작 중에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5. 서로 접근하거나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승강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카 도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 승강구를 가로지르는 광 빔을 출사하는 투광 수단과,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을 검지하는 수광 수단과,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에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하는 이물질 검지 수단과, 양 카 도어의 개폐 동작 및 상기 투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양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실행시키고, 상기 상태에서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에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양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 양 카 도어를 완전 개방 상태로 유지해야 할 시간을 연장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양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킨 후, 양 카 도어를 완전 개방 상태로 유지해야 할 시간이 만료된 시점에서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개시시키고,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에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양 카 도어를 완전 개방 상태로 유지해야 할 시간을 연장하는 한편,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을 때에는 양 카 도어의 폐쇄 동작을 개시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양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되는 통상 개방 동작 중에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양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실행시키고, 양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에 양 카 도어를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시키고, 양 카 도어의 반전 개방 동작 중에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10. 제1항, 제2항,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한 이물질 검지 신호의 생성의 유무에 상관없이 강제적으로 양 카 도어를 폐쇄하는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을 실행하는 강제 도어 폐쇄 수단과,
    상기 강제 도어 폐쇄 수단에 의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 전에, 혹은 상기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 중에, 상기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을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또한,
    상기 강제 도어 폐쇄 수단에 의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완료 후에 탑승 카의 주행을 개시시키는 탑승 카 제어 수단과,
    상기 강제 도어 폐쇄 수단에 의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 중에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 경우에, 상기 탑승 카 제어 수단에 의해 탑승 카의 주행이 개시되기 전에 탑승 카의 주행 개시를 통지하는 제2 통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12. 도어 스톱 프레임에 대해 접근하거나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승강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1개의 카 도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 승강구를 가로지르는 광 빔을 출사하는 투광 수단과,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을 검지하는 수광 수단과,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에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하는 이물질 검지 수단과, 상기 카 도어의 개폐 동작 및 상기 투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카 도어의 폐쇄 동작의 개시 시점에서 혹은 상기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13. 도어 스톱 프레임에 대해 접근하거나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승강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1개의 카 도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 승강구를 가로지르는 광 빔을 출사하는 투광 수단과,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을 검지하는 수광 수단과,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에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하는 이물질 검지 수단과, 상기 카 도어가 소정의 폐쇄 위치까지 폐쇄된 것을 검지하는 폐쇄 위치 검지 수단과, 상기 카 도어의 개폐 동작 및 상기 투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와 상기 카 도어의 폐쇄 동작이 개시된 후 상기 폐쇄 위치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카 도어가 상기 소정의 폐쇄 위치까지 폐쇄된 것이 검지될 때까지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폐쇄 위치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카 도어가 상기 소정의 폐쇄 위치까지 폐쇄된 것이 검지되었을 때에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되는 통상 개방 동작 중에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에 상기 카 도어를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시키고, 상기 카 도어의 반전 개방 동작 중에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16. 도어 스톱 프레임에 대해 접근하거나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승강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1개의 카 도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 승강구를 가로지르는 광 빔을 출사하는 투광 수단과, 투광 수단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을 검지하는 수광 수단과, 수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검지가 중단되었을 때에 이물질 검지 신호를 생성하는 이물질 검지 수단과, 상기 카 도어의 개폐 동작 및 상기 투광 수단에 의한 광 빔의 출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실행시키고, 상기 상태에서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에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 상기 카 도어를 완전 개방 상태로 유지해야 할 시간을 연장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킨 후, 상기 카 도어를 완전 개방 상태로 유지해야 할 시간이 만료된 시점에서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개시시키고,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에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카 도어를 완전 개방 상태로 유지해야 할 시간을 연장하는 한편,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카 도어의 폐쇄 동작을 개시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19.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되는 통상 개방 동작 중에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20.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실행시키고, 상기 카 도어의 폐쇄 동작 중에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되었을 때에 상기 카 도어를 폐쇄 동작으로부터 개방 동작으로 반전시키고, 상기 카 도어의 반전 개방 동작 중에는 상기 투광 수단에 출사 동작을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21. 제12항, 제13항, 제16항 또는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한 이물질 검지 신호의 생성의 유무에 상관없이 강제적으로 상기 카 도어를 폐쇄하는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을 실행하는 강제 도어 폐쇄 수단과,
    상기 강제 도어 폐쇄 수단에 의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 전에, 혹은 상기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 중에, 상기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을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또한,
    상기 강제 도어 폐쇄 수단에 의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완료 후에 탑승 카의 주행을 개시시키는 탑승 카 제어 수단과,
    상기 강제 도어 폐쇄 수단에 의한 강제 도어 폐쇄 동작의 실행 중에 상기 이물질 검지 수단에 의해 이물질 검지 신호가 생성된 경우에, 상기 탑승 카 제어 수단에 의해 탑승 카의 주행이 개시되기 전에 탑승 카의 주행 개시를 통지하는 제2 통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KR1020117008848A 2008-10-20 2009-09-18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KR101244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70201 2008-10-20
JPJP-P-2008-270201 2008-10-20
PCT/JP2009/066403 WO2010047202A1 (ja) 2008-10-20 2009-09-18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943A KR20110076943A (ko) 2011-07-06
KR101244969B1 true KR101244969B1 (ko) 2013-03-18

Family

ID=42119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8848A KR101244969B1 (ko) 2008-10-20 2009-09-18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672098B2 (ko)
EP (1) EP2347987B1 (ko)
JP (1) JP5321597B2 (ko)
KR (1) KR101244969B1 (ko)
CN (1) CN102186758B (ko)
CA (1) CA2741033C (ko)
HK (1) HK1157720A1 (ko)
TW (1) TWI372720B (ko)
WO (1) WO20100472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02207B (zh) * 2008-09-01 2013-07-21 Fujitec Kk 電梯的安全裝置
MX2011011288A (es) * 2009-04-29 2012-01-25 Inventio Ag Dispositivo de marcado en sistema elevador.
US20140147726A1 (en) * 2011-07-06 2014-05-29 Zeon Corporation Porous membrane for secondary battery, separator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JP2014094803A (ja) * 2012-11-09 2014-05-22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JP6305206B2 (ja) * 2013-07-08 2018-04-04 三菱電機株式会社 紐状物体検知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TW201507965A (zh) * 2013-08-27 2015-03-01 Li Fa Technology Co Ltd 電梯自救控制系統
WO2015139747A1 (en) * 2014-03-19 2015-09-24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the movement of at least one door, in particular an elevator door
KR101780732B1 (ko) 2015-09-09 2017-09-22 주식회사 오디텍 엘리베이터 멀티빔센서를 이용한 모니터링방법
KR102047506B1 (ko) * 2016-05-20 2019-11-2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JP6585003B2 (ja) * 2016-05-30 2019-10-02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ドア用敷居溝異物診断装置
CN106586790A (zh) * 2016-12-15 2017-04-26 广州日滨科技发展有限公司 电梯光幕充电控制方法、系统及装置
CN108217401A (zh) * 2016-12-15 2018-06-29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控制系统
CN107643549B (zh) * 2017-10-13 2024-03-01 国能大渡河流域水电开发有限公司龚嘴水力发电总厂 非接触式发电机组气隙异物在线检测报警结构及报警方法
CN110526058B (zh) 2018-05-23 2022-06-03 奥的斯电梯公司 电梯门监控系统、电梯系统和电梯门监控方法
JP6799802B1 (ja) * 2020-04-20 2020-12-16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7010416B1 (ja) * 2020-05-25 2022-01-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ドアの安全装置
CN113120733A (zh) * 2021-05-17 2021-07-16 南通中力科技有限公司 一种高可靠性电梯矢量伺服门机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8685A (ja) * 1991-06-05 1992-12-1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扉の安全装置
JP2000095464A (ja) 1998-09-22 2000-04-04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の取付方法及び取付装置
JP2005008300A (ja) 2003-06-17 2005-01-13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出入口の安全装置
WO2007039929A1 (ja) 2005-10-03 2007-04-1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99143B (de) 1956-03-27 1961-02-09 Giulio Dickmann Vorrichtung zum selbsttaetigen OEffnen und Schliessen von Schachtfluegeltueren und Kabinentueren von Aufzuegen
US4029176A (en) * 1975-10-06 1977-06-14 Mills Gerald W Doorway safety device
JPS61203680A (ja) 1985-03-06 1986-09-09 Nec Corp Mis型半導体装置
US5149921A (en) * 1991-07-10 1992-09-22 Innovation Industries, Inc. Self correcting infrared intrusion detection system
US5410149A (en) * 1993-07-14 1995-04-25 Otis Elevator Company Optical obstruction detector with light barriers having planes of light for controlling automatic doors
US5493812A (en) * 1993-09-15 1996-02-27 Rmt Associates ge door opener with remote safety sensors
US5587566A (en) * 1994-04-29 1996-12-24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for adjusting an elevator door
GB9415772D0 (en) * 1994-08-04 1994-09-28 Memco Ltd Lift installation
US5821478A (en) * 1996-11-25 1998-10-13 Otis Elevator Company Generation of an elevator door close warning
US5925858A (en) * 1997-06-23 1999-07-20 Otis Elevator Company Safety system for detecting small objects approaching closing doors
JPH1129284A (ja) * 1997-07-09 1999-02-02 Hitachi Ltd エレベータ制御装置
GB2342714B (en) * 1998-10-13 2003-04-16 Memco Lt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lift door protection system
US6167991B1 (en) * 2000-02-28 2001-01-02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position of an elevator door
JP4771245B2 (ja) * 2001-04-27 2011-09-14 オプテックス株式会社 自動ドアセンサ
JP4527362B2 (ja) * 2002-05-03 2010-08-18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エレベータ装置のシャフトドア監視方法
US7755223B2 (en) * 2002-08-23 2010-07-13 The Chamberlain Group, Inc. Movable barrier operator with energy management control and corresponding method
JP5016815B2 (ja) * 2005-12-21 2012-09-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EP2011759A1 (de) * 2007-07-03 2009-01-07 Inventio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Aufzugs
TWI402207B (zh) * 2008-09-01 2013-07-21 Fujitec Kk 電梯的安全裝置
EP2736829B1 (de) * 2011-07-28 2015-03-18 Inventio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ausrichten von schachttüren eines aufzug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8685A (ja) * 1991-06-05 1992-12-1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扉の安全装置
JP2000095464A (ja) 1998-09-22 2000-04-04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の取付方法及び取付装置
JP2005008300A (ja) 2003-06-17 2005-01-13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出入口の安全装置
WO2007039929A1 (ja) 2005-10-03 2007-04-1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41033A1 (en) 2010-04-29
EP2347987B1 (en) 2013-11-13
HK1157720A1 (en) 2012-07-06
US20110192684A1 (en) 2011-08-11
EP2347987A1 (en) 2011-07-27
CN102186758A (zh) 2011-09-14
CN102186758B (zh) 2015-07-29
EP2347987A4 (en) 2013-04-10
WO2010047202A1 (ja) 2010-04-29
JPWO2010047202A1 (ja) 2012-03-22
CA2741033C (en) 2014-01-14
TW201024200A (en) 2010-07-01
JP5321597B2 (ja) 2013-10-23
KR20110076943A (ko) 2011-07-06
US8672098B2 (en) 2014-03-18
TWI372720B (en) 201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4969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JP5293741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3995522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449794B1 (ko) 슬라이드 도어 장치
KR100567366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제어장치
EP2266911B1 (en) Slide door device and elevator
JP2011032761A (ja) 自動ドア装置
JP2014094803A (ja) エレベータ装置
JP5034555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5027895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JP2012153450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4481091B2 (ja) スライドドア装置
KR101901411B1 (ko) 도어 어셈블리
JP5577636B2 (ja) 出入口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2012091903A (ja) エレベータ装置
JP4980017B2 (ja) エレベータドア引き込まれ警報装置
JP2002020065A (ja) エレベーター引き戸装置
JP2010001116A (ja) エレベータの異物検出装置
JPH08259155A (ja) エレベータ出入口の安全装置
JPH06278977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