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411B1 - 도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도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411B1
KR101901411B1 KR1020160180300A KR20160180300A KR101901411B1 KR 101901411 B1 KR101901411 B1 KR 101901411B1 KR 1020160180300 A KR1020160180300 A KR 1020160180300A KR 20160180300 A KR20160180300 A KR 20160180300A KR 101901411 B1 KR101901411 B1 KR 101901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leaning
housing
cleaning memb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6151A (ko
Inventor
신덕호
이준석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80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411B1/ko
Publication of KR20180076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01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00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08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using translating operative members
    • B08B1/12
    • B08B1/30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는 출입구가 구비된 도어 프레임;
상기 도어 프레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출입구에 승객 또는 물체가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부; 및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어셈블리{Door Assembly}
본 발명은 도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의 승강장(platform)에 설치되는 스크린 도어(Platform Screen Door, PSD)는 승강장 연단에 설치되는 고정벽에 자동문을 설치하여 승강장과 선로부를 차단함으로써 승객의 안전과 승강장의 환경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시설이다.
이러한 스크린 도어의 개폐 동작을 살펴보면, 전동차가 정위치에 정차하면, 자동열차 운전장치(Automatic Train Operation Device, ATO)의 차상제어 수단과 지상 제어수단간에 정위치 정차 신호를 교환한 후에 스크린 도어의 주제어반에 정위치 정차 신호를 전달한다.
그러면, 전동차 및 스크린 도어의 개별 조작반에 출입문 및 스크린 도어의 개방명령이 전송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스크린 도어의 주제어반에서 전동차의 출입문 및 스크린 도어 폐쇄 명령을 전송하여 전동차의 출입문 및 스크린 도어가 닫히게 된다.
이때, 승객 또는 기타 물체가 스크린 도어 사이에 끼이는 경우 안전사고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스크린 도어에는 도어 사이에 승객 또는 물체가 있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센서는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를 포함하는 적외선 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는 스크린 도어의 출입문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발광센서에서 전송한 광신호가 수광센서에 전달되는지 여부를 판단해 출입문에 승객 또는 물체가 배치되어있는지를 판단한다.
다만, 이와 같이 스크린 도어의 안전 장치로서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적외선 센서에 이물질이 묻으면 센서 감도가 저하되어 오작동을 유발할 우려가 있었으며, 이러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일일이 수작업으로 적외선 센서를 세척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적외선 센서를 세척할 수 있은 기술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센서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는 출입구가 구비된 도어 프레임;
상기 도어 프레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출입구에 승객 또는 물체가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부; 및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에서 상기 센서부는, 발광센서 또는 수광센서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상기 도어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출입구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에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하우징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세척하는 세척부재 및 상기 세척부재가 상기 도어와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부재와 상기 도어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에서 상기 세척부재에는 상기 하우징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구성하는 세척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상기 세척부재 이동 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세척하는 세척용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에서 상기 세척용품은 세척 솔 또는 세척 직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에서 상기 세척부재에는 무게추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에는 상기 와이어의 배치경로를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르레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에서 상기 발광센서 또는 상기 수광센서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세척부재의 두께는 복수 개의 상기 발광센서 또는 상기 수광센서의 간격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에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출입구를 개방하는 경우 하강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는 경우 상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는 도어와 연동하여 이동하는 세척부를 구비함으로써 센서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개략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분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에서 도어가 출입구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에서 도어가 출입구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의 개략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개략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A부분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1)는, 도어 프레임(100), 도어(200), 센서부(300) 및 세척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00)은 도어 어셈블리(1)의 골격을 구성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구(110)는 승객이 출입할 수 있는 통로로서, 도어(200)에 의해 수시로 개방 및 폐쇄를 반복하는 주 출입구(111) 및 비상 상황이나 응급 상황 발생 시 개방 및 폐쇄되는 비상 출입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00)의 일측에는 구동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500)는 도어(2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어(200)와 연결되어 도어(200)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도어(200)는 도어 프레임(1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출입구(110)를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platform)에 열차 등이 진입하여 정차된 경우, 구동부(500)는 도어(20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출입구(110)를 개방할 수 있으며, 승객의 탑승이 완료되면 다시 도어(20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출입구(110)를 폐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부(500)는 필요 시에만 출입구(110)를 개방시켜 승객이 선로에 낙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어 프레임(100)에는 출입구(110)에 승객 또는 물체가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300)는 출입구(110)에 승객 또는 물체가 배치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정보를 구동부(500)에 전달할 수 있다. 구동부(500)는 센서부(300)에서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승객 또는 물체가 출입구(110)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도어(200)를 정지시켜, 승객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센서부(300)는 적외선 센서 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300)는 발광센서(301) 또는 수광센서(302)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된 하우징(310), 상기 하우징(310)을 도어 프레임(100)에 고정시키는 브라켓(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300)는 도어 프레임(100)의 출입구(110)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일측에 배치된 센서부(300)에 발광센서(301)가 구비된 경우 타측에 배치되는 센서부(300)에는 수광센서(302)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300)가 구동되는 원리를 간략히 설명하면, 도어 프레임(100)의 일측에 배치된 센서부(300)의 발광센서(301)는 도어 프레임(100)의 타측을 향해 광신호를 발송하며, 도어 프레임(100)의 타측에 배치된 센서부(300)의 수광센서(302)는 발광센서(301)에서 발송된 광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센서(301)에 발송된 광신호를 수광센서(302)에서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센서부(300)는 출입구(110)에 승객 또는 물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러한 정보를 구동부(500)에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발광센서(301) 또는 수광센서(302)는 하우징(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높이의 승객 또는 물체의 존재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세척부(400)는 상기 센서부(300)를 세척하기 위해 구비되는 부재로서, 도어(200)에 연결되어 도어(200) 이동하는 경우 센서부(300)를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세척부(400)는 예를 들어, 센서부(300)의 하우징(3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하우징(310)의 외주면을 세척하는 세척부재(410) 및 세척부재(410)가 도어(200)와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세척부재(410)와 도어(200)를 연결하는 와이어(42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부재(410)에는 하우징(310)이 관통하는 관통홀(4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관통홀(411)은 하우징(31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411)을 구성하는 세척부재(410)의 내주면에는 하우징(310)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세척부재(410) 이동 시 하우징(310)의 외주면을 세척하는 세척용품(412)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척용품(412)은 세척 솔 또는 세척 직물(fabric)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하우징(310)의 외주면 세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세척용품(412)은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세척부재(410)의 두께(D)는 복수 개의 발광센서(301) 또는 수광센서(302)의 사이 간격(L)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면, 세척부재(410)는 도어(200)와 연동하여 하우징(310)의 외주면 상에서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써 하우징(310)의 외주면을 세척한다. 이때, 세척부재(410)에 의해 발광센서(301)에서 전송된 광신호가 차단되어 수광센서(302)에 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센서부(300)는 세척부재(410)에 의해 출입구(110)가 비어있음에도 승객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해, 잘못된 정보를 구동부(500)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300)의 설정을 적어도 두 개의 광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출입구(110)에 승객 또는 물체가 배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설정을 하고, 세척부재(410)의 두께(D)를 발광센서(301) 또는 수광센서(302) 사이 간격(L)보다 작게 설정함으로써, 센서부(300)의 오판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진 않지만 세척부재(410)에는 무게추가 구비될 수 있다. 무게추는 세척용품(412)과 하우징(310)의 마찰에 의해 세척부재(410)가 하강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무게추의 무게는 세척부재(410)의 이동성을 고려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와이어(420)는 세척부재(410)와 도어(200)를 연결시키는 부재로서, 금속 강선 등의 메탈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 프레임(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도르레(1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르레(120)는 와이어(420)의 배치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와이어(420)에 의해 세척부재(410)와 도어(200)를 연결시킴으로써 도어(200)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세척부재(410)는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a 및 도 5b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1)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에서 도어가 출입구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에서 도어가 출입구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이다.
도어(200)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출입구(110)를 개방하는 경우(도 5a 참조), 세척부재(410)는 센서부(300)의 하우징(310) 외주면을 따라 하강하여 하우징(3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도어(200)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출입구(110)를 폐쇄하는 경우, 세척부재(410)는 와이어(420)에 의해 상승된다. 이와 같이 도어(200)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출입구(110)를 개폐함에 따라 세척부재(410)는 센서부(300)의 하우징(310)을 따라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게 되며, 세척부재(410)에 구비되는 세척용품(412)에 의해 하우징(310)의 외주면은 세척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200)의 이동방향에 따른 세척부재(410)의 이동구성은 도어(200)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세척부재(410)을 이동시키는 구성에 해당하는 한 다양하게 변경가능함을 밝혀둔다. 예를 들어, 도어(200)와 세척부재(410)를 연결하는 와이어(412)의 배치구성을 변경함에 따라 출입구(110)가 폐쇄되는 경우 세척부재(410)가 하강하고, 출입구(110)가 개방되는 경우 세척부재(410)가 상승하도록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도어 어셈블리 100: 도어 프레임
110: 출입구 120: 도르레
200: 도어 300: 센서부
310: 하우징 320: 브라켓
400: 세척부 410: 세척부재
420: 와이어 500: 구동부

Claims (9)

  1. 출입구가 구비된 도어 프레임;
    상기 도어 프레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출입구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출입구에 승객 또는 물체가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부; 및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발광센서 또는 수광센서가 구비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상기 도어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하우징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세척하는 세척부재; 및
    상기 세척부재가 상기 도어와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부재와 상기 도어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도어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재에는 상기 하우징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구성하는 세척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상기 세척부재 이동 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세척하는 세척용품이 구비되는 도어 어셈블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용품은 세척 솔 또는 세척 직물로 구비되는 도어 어셈블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재에는 무게추가 구비되는 도어 어셈블리.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에는 상기 와이어의 배치경로를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르레가 구비되는 도어 어셈블리.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센서 또는 상기 수광센서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세척부재의 두께는 복수 개의 상기 발광센서 또는 상기 수광센서의 간격보다 작게 구비되는 도어 어셈블리.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출입구를 개방하는 경우 하강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는 경우 상승하는 도어 어셈블리.
KR1020160180300A 2016-12-27 2016-12-27 도어 어셈블리 KR101901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300A KR101901411B1 (ko) 2016-12-27 2016-12-27 도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300A KR101901411B1 (ko) 2016-12-27 2016-12-27 도어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151A KR20180076151A (ko) 2018-07-05
KR101901411B1 true KR101901411B1 (ko) 2018-09-28

Family

ID=62920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300A KR101901411B1 (ko) 2016-12-27 2016-12-27 도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4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9526A1 (ja) 2021-05-25 2022-12-01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半導体パッケージおよび電子機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72552A (ja) * 2012-12-04 2016-09-29 ザ コリア トランスポート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プラットフォームスクリーンドアの開閉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72552A (ja) * 2012-12-04 2016-09-29 ザ コリア トランスポート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プラットフォームスクリーンドアの開閉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151A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7426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8833524B2 (en) Monitoring device for safeguarding a driven element
JP5208853B2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及び安全制御方法
JP2009051615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70069212A (ko) 객실의 비접촉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 장치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
JP2008169009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1217326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JP5297895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JP2015037988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WO2007066375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KR20100010939U (ko)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 장치
KR101901411B1 (ko) 도어 어셈블리
CN101018732B (zh) 安全装置
JP5474067B2 (ja) スライド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
JP6525428B2 (ja) ホームドア装置
JP5932580B2 (ja) 出入り口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JP2006199389A (ja) 輸送機用扉装置
CN103287955B (zh) 电梯出入口的安全装置
JP5577636B2 (ja) 出入口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2010023951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JP7321073B2 (ja) ホームドア装置
KR200355804Y1 (ko) 열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180135932A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JP2016160076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015218052A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