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800B1 - 평판표시장치와 그 화질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평판표시장치와 그 화질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800B1
KR101243800B1 KR1020060059330A KR20060059330A KR101243800B1 KR 101243800 B1 KR101243800 B1 KR 101243800B1 KR 1020060059330 A KR1020060059330 A KR 1020060059330A KR 20060059330 A KR20060059330 A KR 20060059330A KR 101243800 B1 KR101243800 B1 KR 101243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pensation
boundary
compensation data
panel de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9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1168A (ko
Inventor
황종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9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800B1/ko
Priority to US11/819,751 priority patent/US7889188B2/en
Priority to CN2007101260167A priority patent/CN101097674B/zh
Priority to JP2007172972A priority patent/JP5361150B2/ja
Publication of KR20080001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using tables for spatial correction of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8Fault-tolerant or redundant circuits, or circuits in which repair of defects is prepa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4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dithering
    • G09G3/2051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dithering with use of a spatial dither pattern
    • G09G3/2055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dithering with use of a spatial dither pattern the pattern being varied in ti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결함 위치에서 픽셀들에 전기적인 보상을 실시하여 상기 패널결함을 완벽하게 보상할 수 있도록 한 평판표시장치와 그 화질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는 비결함영역과 패널결함영역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픽셀들이 상호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링크픽셀을 가지는 표시패널; 상기 패널결함영역에서 기수 라인들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1 보상데이터, 상기 패널결함영역에서 우수 라인들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2 보상데이터, 상기 패널결함영역과 상기 비결함영역 간 경계와 그 경계 주변을 포함한 일정 영역에서 상기 기수 라인들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3 보상데이터, 상기 경계를 포함한 일정 영역에서 상기 우수 라인들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4 보상데이터, 및 상기 링크픽셀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5 보상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상기 보상데이터들로 상기 패널결함영역, 상기 경계를 포함한 일정 영역 및 상기 링크픽셀에 표시될 데이터를 조절하는 보상부; 및 상기 보상부에 의해 조절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평판표시장치와 그 화질제어 방법{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Picture Quality thereof}
도 1 내지 도 5는 표시패널의 패널결함영역을 나타내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암점화된 불량픽셀의 계조별 인지 정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감마특성 곡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표시패널의 패널결함영역과 비결함영역의 경계부에서 나타나는 휘도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페어 공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a 내지 도 14c는 리페어 공정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 내지 19e는 본 발명에 따른 보상값 결정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 내지 도 26d는 프레임 레이트 컨트롤과 디더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8는 도 27에 도시된 보상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 내지 도 36은 도 28에 도시된 보상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불량픽셀 11 : 정상픽셀
12 : 전도성 링크패턴 13 : 링크픽셀
14 : 링크되지 않은 정상픽셀
23A, 43A, 63A, 83A : 불량픽셀의 픽셀전극
23B, 43B, 63B, 83B : 불량픽셀과 이웃하는 정상픽셀의 픽셀전극
24, 44, 64 : 링크패턴 25, 45, 65, 85 : 유리기판
26, 46, 66, 86 : 게이트 절연막 27, 47, 67, 87 : 보호막
91 : 게이트라인에서 게이트금속이 제거된 C자형 개구패턴
92 : 게이트라인 내에 패터닝된 네크부
93 : 게이트라인 내에 패터닝된 헤드부
101 : 데이터 구동회로 102 : 게이트 구동회로
103 : 액정표시패널 104 : 타이밍 컨트롤러
105 : 보상회로 106 : 데이터라인
108 : 게이트라인 110 : 구동부
121 : 보상부
122, 122R, 122G, 122B, 122Y : 메모리
123 : 레지스터 124 : 인터페이스 회로
141, 161, 181, 201, 281 : 위치 판단부
142R, 142G, 142B, 162R, 162G, 162B, 182R, 182G, 182B, 202, 282R, 282G, 282B : 계조 판단부
143R, 143G, 143B, 163R, 163G, 163B, 183R, 183G, 183B, 203, 283R, 283G, 283B : 어드레스 생성부
145R, 145G, 145B : FRC 제어부 151, 191, 251: 프레임 수 감지부
153, 173, 193 : 보상값 판정부
154, 174, 194, 205, 285R, 285G, 285B : 연산기
165R, 165G, 165B : 디더링 제어부 185R, 185G, 185B: FRC/디더링 제어부
172, 192 : 픽셀 위치 감지부 206 : RGB to YUV 변환기
207 : YUV to RGB 변환기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패널결함을 리페어 공정으로 보상함과 아울러 그 패널결함영역에 표시될 데이터들을 보상회로의 보상값으로 최적화하 도록 한 평판표시장치와 그 화질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d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표시장치들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및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 있다.
이와 같은 평판표시장치들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패널을 구비하며, 이러한 표시패널에는 테스트 과정에서 화질 결함이 발견되고 있다.
표시패널의 테스트 과정에서 나타나는 화질 결함은 공정 상에서의 불량으로 인하여 표시패널에서 패널결함이 존재하는데에 주로 원인이 있다. 패널결함은 중첩 노광공정에서의 노광량 편차, 노광장치의 렌즈 수차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러한 공정 편차에 의해 초래되는 패널결함은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점, 선, 띠, 원, 다각형 등과 같은 정형적인 형상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부정형적인 형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패널결함을 치유하기 위하여, 박막형성, 패터닝 공정 등을 포함한 리페어 공정 등이 실시되고 있으나 그 리페어 공정에 의해 재생되는 패널결함이 제한되고 패널결함이 심한 경우에 폐기처분되고 있다. 또한, 리페어 공정을 실시하더라도 패널결함이 존재하였던 영역에서는 휘도나 색도가 비결함영역과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패널결함 중에서 점 형태로 나타나는 픽셀 결함에 대한 리페어 공정은 주로 그 불량픽셀을 암점화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암점화 방법은 도 6a에서와 같이 블랙 계조에서 거의 인지되지 않지만, 도 6b 및 6c와 같이 중간 계조 및 화이트 계조의 표시화면에서 어두운 점으로 확연히 인지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패널결함을 치유하기 위한 리페어 공정만으로는 패널결함으로 인한 화질 저하를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발명으로써, 패널결함을 리페어 공정으로 보상함과 아울러 그 패널결함영역에 표시될 데이터들을 보상회로의 보상값으로 최적화하도록 한 평판표시장치와 그 화질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는 비결함영역과 패널결함영역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픽셀들이 상호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링크픽셀을 가지는 표시패널; 상기 패널결함영역에서 기수 라인들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1 보상데이터, 상기 패널결함영역에서 우수 라인들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2 보상데이터, 상기 패널결함영역과 상기 비결함영역 간 경계와 그 경계 주변을 포함한 일정 영역에서 상기 기수 라인들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3 보상데이터, 상기 경계를 포함한 일정 영역에서 상기 우수 라인들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4 보상데이터, 및 상기 링크픽셀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5 보상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상기 보상데이터들로 상기 패널결함영역, 상기 경계를 포함한 일정 영역 및 상기 링크픽셀에 표시될 데이터를 조절하는 보상부; 및 상기 보상부에 의해 조절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보상데이터와 상기 제2 보상데이터는 서로 다르거나 동일한 보상값으로 결정된다.
상기 제3 보상데이터는 상기 기수 라인들에 배치된 픽셀들에서 이웃한 픽셀들 간에 서로 다른 보상값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4 보상데이터는 상기 우수 라인들에 배치된 픽셀들에서 이웃한 픽셀들 간에 서로 다른 보상값으로 결정되며, 상기 제3 및 제4 보상데이터는 상기 기수 및 우수 라인들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웃한 픽셀들 간에 서로 다르게 결정된다.
상기 경계는 상기 패널결함영역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제1 경계와 상기 패널결함영역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제2 경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3 및 제4 보상데이터는 상기 경계를 따라 배치된 픽셀들을 포함하여 최대, 상기 제1 경계와 상기 제2 경계 사이의 거리의 1/2 거리 내에 배치된 픽셀들에 대해 적용된다.
상기 제3 및 제4 보상데이터는,
상기 경계를 포함한 경계부 영역의 휘도를 조정하는 보상값으로 결정된다.
상기 제3 및 제4 보상데이터는 상기 경계를 포함한 경계부 영역에서 상기 패 널결함영역의 휘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비결함영역의 휘도를 증가시키는 보상값으로 결정된다.
상기 제3 및 제4 보상데이터는 상기 경계를 포함한 경계부 영역에서 상기 패널결함영역의 휘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비결함영역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보상값으로 결정된다.
상기 제3 및 제4 보상데이터의 보상값은 상기 경계에서 멀어질수록 작아진다.
상기 제1 내지 제5 보상데이터의 보상값들은 상기 패널결함영역, 상기 경계를 포함한 경계부 영역 및 상기 링크픽셀이 중첩되는 위치에서 합산된다.
상기 제3 및 제4 보상데이터의 보상값은 상기 패널결함영역과 상기 경계를 포함한 경계부 영역이 중첩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보상데이터의 보상값보다 작다.
상기 패널결함영역, 상기 경계를 포함한 경계부 영역 및 상기 링크픽셀이 중첩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보상데이터의 보상값은 상기 제5 보상데이터의 보상값보다 작다.
상기 제1 및 제2 보상데이터는 상기 패널결함영역의 위치와 상기 패널결함영역에 표시될 데이터의 계조값에 따라 다르다.
상기 제3 및 제4 보상데이터는 상기 경계를 포함한 경계부 영역 내의 픽셀위치와 상기 경계부 영역에 표시될 데이터의 계조값에 따라 다르다.
상기 제5 보상데이터는 상기 링크픽셀의 위치와 상기 링크픽셀에 표시될 데 이터의 계조에 따라 다르다.
상기 링크픽셀은 불량픽셀 및 상기 불량픽셀과 전기적으로 링크된 정상픽셀을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는 EEPROM과 EDID ROM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한다.
상기 보상부는 상기 패널결함영역, 상기 경계를 포함한 경계부 영역 및 상기 링크픽셀에 공급될 데이터를 상기 보상데이터들로 증감시킨다.
상기 보상부는 상기 패널결함영역, 상기 경계를 포함한 경계부 영역 및 상기 링크픽셀에 공급될 m(m은 양의 정수) 비트의 적색 데이터, m 비트의 청색 데이터 및 m 비트의 청색 데이터에서 n 비트(n은 m보다 큰 정수)의 휘도 정보 및 색차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n 비트의 휘도 정보를 상기 보상데이터들로 증감시켜 변조된 n 비트의 휘도정보를 발생하고, 상기 변조된 n 비트의 휘도 정보와 미변조된 상기 색차 정보를 이용하여 m 비트의 변조된 적색 데이터, m 비트의 변조된 청색 데이터 및 m 비트의 변조된 청색 데이터를 발생한다.
상기 보상부는 상기 보상데이터들을 프레임 기간 단위로 분산시키고, 상기 패널결함영역, 상기 경계를 포함한 일정영역 및 상기 링크픽셀에 공급될 데이터를 상기 분산된 보상데이터들로 증감시킨다.
상기 보상부는 상기 보상데이터들을 디더패턴 내의 픽셀들로 분산시키고, 상기 패널결함영역, 상기 경계를 포함한 일정영역 및 상기 링크픽셀에 공급될 데이터를 상기 분산된 보상데이터들 증감시킨다.
상기 보상부는 상기 보상데이터들을 디더패턴 내의 픽셀들로 분산시킴과 아 울러 상기 디더패턴들을 다수의 프레임 기간으로 분산시키고, 상기 패널결함영역, 상기 경계를 포함한 경계부 영역 및 상기 링크픽셀에 공급될 데이터를 상기 보상데이터들로 증감시킨다.
상기 디더패턴들의 보상치는 서로 다르고; 상기 다수의 디더패턴들 각각은 보상치가 동일하고 보상 픽셀의 위치가 서로 다른 다수의 서브 디더패턴들을 포함한다.
상기 보상치를 'I'라 하고 상기 서브 디더패턴의 개수를 'J'라 할 때, 상기 보상치가 I인 상기 디더패턴은 상기 보상치가 I 이고 상기 보상 픽셀의 위치가 서로 다른 J개의 서브 디더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J 개의 프레임 각각에서 서브 디더패턴들의 배치가 다르다.
상기 디더패턴의 서브 디더패턴들의 배치는 J+1 개의 프레임 기간 단위로 동일하게 된다.
상기 디더패턴 각각은 8(픽셀)×32(픽셀) 이상의 크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화질제어 방법은 표시패널의 검사공정 및 리페어 공정을 통해 상기 표시패널의 패널결함영역에서 기수 라인들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1 보상데이터, 상기 패널결함영역에서 우수 라인들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2 보상데이터,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패널결함영역과 비결함영역 간 경계와 그 경계 주변을 포함한 일정 영역에서 상기 기수 라인들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3 보상데이터, 상기 경계를 포함한 일정 영역에서 상기 우수 라인들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4 보상데이터, 및 상기 표시 패널에서 이웃하는 픽셀들이 상호 링크된 링크픽셀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5 보상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보상데이터들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보상데이터들로 상기 패널결함영역, 상기 경계를 포함한 일정 영역 및 상기 링크픽셀에 표시될 데이터를 조절하는 보상단계; 및 상기 보상단계에 의해 조절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 및 특징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여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7a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평판표시장치 중 액정표시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액정표시패널의 상부기판(컬러필터 기판) 및 하부기판(TFT-어레이 기판)을 각각 제작한다(S1). S1 단계는 기판 세정 공정, 기판 패터닝 공정, 배향막형성/러빙 공정 등을 포함한다. 기판 세정 공정에서는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의 표면상 이물질을 세정액으로 제거한다. 상부기판의 패터닝 공정에서는 칼라필터, 공통전극, 블랙 매트릭스 등을 형성한다. 하부기판의 패터닝 공정에서는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 등의 신호배선을 형성하고,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의 교차부에 TFT를 형성 하며,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의 교차로 마련되는 픽셀영역에 픽셀전극을 형성한다. 한편, 하부기판의 패터닝 공정에서는 후술될 리페어 공정에서 이용되는 더미패턴 또는 게이트라인에서 게이트금속이 제거된 개구패턴의 형성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표시패널의 하부기판에 각 계조의 테스트 데이터를 인가하여 테스트 화상을 표시하고, 그 화상에 대하여 전기/자기적인 검사를 통해 패널결함을 검사한다(S2).
S2 단계의 검사 결과 패널결함이 검출되면(S3), 본 발명은 패널결함영역의 위치를 지시하는 위치정보를 검사용 컴퓨터에 저장하고 패널결함을 보상하기 위한 데이터 보정을 실시한다(S4).
S4 단계는 도 7b와 같이 s21 내지 s24 단계를 포함한다. S4 단계의 데이터 보정 단계에서, 본 발명은 도 7b와 같이 휘도나 색도가 비결함영역과 다르게 나타나는 패널결함영역의 휘도 또는 색도를 보정하기 위한 제1 및 제2 보상데이터를 결정한다(S21). 여기서, 제1 보상데이터는 패널결함영역에서 기수 라인들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데이터이고, 제2 보상데이터는 패널결함영역에서 우수 라인들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이러한 제1 및 제2 보상데이터는 패널결함영역의 위치에 따라 비결함영역과의 휘도차 또는 색차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각 위치별로 최적화되어야 하며, 또한 감마특성을 고려하여 각 계조별로 최적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보상값은 R, G, B 픽셀 각각에서 각 계조별로 다르게 결정되거나 도 8과 같이 다수의 계조들을 포함하는 계조 구간(A, B, C, D)별로 다르 게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보상값은 제1 패널결함영역에서 '+1', 제2 패널결함영역에서 '-1' 등으로 패널결함영역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최적화되고 또한, 도 8과 같이 '저계조구간 A'에서 '0', '저계조구간 B'에서 '0', '고계조구간 C'에서 '1', '고 계조구간 D'에서 '1' 등으로 계조 구간별로 최적화된다. 또한, 보상값은 패널결함영역과 비결함영역 사이의 경계부에 휘도가 미세하게 변화되기 때문에 상기 경계부에 표시될 데이터에 대하여 미세 조정이 가능하여야 한다. 따라서, 보상값은 동일픽셀에서도 계조별로 다르게 될 수 있고 또한, 동일한 계조의 데이터라도 그에 대응하는 픽셀의 위치가 달라지면 그 값이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상값은 휘도 보정시에 R, G, B 데이터 각각에 동일한 값으로 결정되고, 색차 보정시에 R, G, B 데이터 각각에 다르게 결정된다. 예컨대, 특정 위치의 패널결함영역에서 적색이 비결함영역보다 더 두드러지게 보이면 그 패널결함영역에 대응하는 R 보상값은 G, B 보상값에 비하여 더 작게 된다.
평판표시장치의 구동회로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계조 값으로 데이터의 휘도차를 표시패널에 표현하게 된다. 계조 값의 보정을 통해 표시패널에서 표현 가능한 최소 휘도차를 'ΔL'이라고 가정하면, ΔL은 평판표시장치가 가지는 구동회로의 데이터 처리용량 또는 다양한 화상처리기법에 의해 평판표시장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6 비트의 데이터 처리용량의 구동회로를 가지는 평판표시장치의 ΔL에 비하여 8 비트의 데이터 처리용량의 구동회로를 가지는 평판표시장치의 ΔL이 더 작으며, 동일한 비트의 데이터 처리용량의 평판표시장치들 간에도 화상처리기법 적용 여부에 따라 ΔL이 달라질 수 있다.
동일계조의 데이터에서 패널결함영역과 비결함영역 사이에 휘도차가 나타날 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결정되는 보상값으로 데이터 값을 조정함으로써 패널결함영역의 휘도를 ΔL을 간격으로 조정하여 비결함영역의 휘도에 접근시킨다.
상기 데이터 보정에 의해서도 패널결함영역과 비결함영역 사이의 휘도차가 ΔL 미만으로 남을 수 있다.
도 9a와 같이 패널결함영역과 비결함영역 사이의 휘도차가 'd' 라고 가정한다. 또한, d=3ΔL+Δ1이며, Δ1<ΔL이라고 가정한다. 이러한 휘도차에서, 데이터에 보상값 '3'을 가산하여 도 9b와 같이 패널결함영역의 휘도를 3ΔL 만큼 증가시켜 비결함영역의 휘도에 근접시킬 수 있다. 그러나 패널결함영역의 휘도는 비결함영역의 휘도에 비하여 Δ1만큼 미세하게 낮게 남아 있다.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데이터에 보상값 '4'을 가산하면, 도 9c의 현상과 반대로 도 9c와 같이 패널결함영역의 휘도가 비결함영역의 휘도에 비하여 Δ2만큼 미세하게 높게 된다. 여기서, Δ2<ΔL이고, Δ1+Δ2=ΔL이다.
이렇게 데이터 변조를 통해서도 남아 있는 미세한 휘도 편차는 패널결함영역과 비결함영역 사이의 경계선과 그 경계선 주변의 일정 영역을 포함한 경계부에서 선 또는 블럭 형태로 보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s21 단계에서 결정된 제1 및 제2 보상데이터를 이용하여 테스트 데이터를 변조하고, 그 변조된 테스트 데이터를 하부기판에 인가하여 전기/자기적인 검사를 통해 경계부의 노이즈 를 검사한다. 다시 말하여, 패널결함영역에 표시될 테스트 데이터를 제1 및 제2 보상데이터를 이용하여 변조함으로써 패널결함영역의 휘도 또는 색도를 보정하고, 휘도 또는 색도가 보정된 패널결함영역과 비결함영역 사이의 경계부에 대하여 경계부 노이즈 검사를 실시한다(s22).
s22 단계에서 경계부 노이즈가 발견되면(s23), 노이즈로 보이는 경계부에 대한 위치정보를 검사용 컴퓨터에 저장하고, 경계부 노이즈를 보상하기 위한 제3 및 제4 보상데이터를 결정한다(s24). 여기서, 제3 보상데이터는 경계부에서 기수 라인들에 공급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데이터이고, 제4 보상데이터는 경계부에서 우수 라인들에 공급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이러한 제3 및 제4 보상데이터도 제1 및 제2 보상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위치별, 계조별로 최적화되어야 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도 7a의 결함검사공정(S3)에서 발견된 불량픽셀에 대한 리페어 공정을 s21 단계 전에, 또는 s21 단계와 동시에 하거나 S24 단계 후에 실시한다. 픽셀결함에 대한 리페어 공정에서 본 발명은 도 10과 같이 불량픽셀(10)과 정상픽셀(11)을 전도성 링크패턴(1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링크픽셀(13)을 형성한다.(s31)
리페어 공정(s31)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불량픽셀(10)을 그와 이웃하며 동일한 색을 나타내는 정상픽셀(11)과 전기적으로 쇼트 또는 링크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 리페어 공정(s31)은 불량픽셀(10)의 픽셀전극에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경로를 차단하는 공정 및 정상픽셀(11)과 불량픽셀(10)을 전도성 링크패 턴(12)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쇼트 또는 링크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불량픽셀(10)과 정상픽셀(11)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링크픽셀(13)에서 링크된 불량픽셀(10)은 링크된 정상픽셀(11)의 데이터전압을 동시에 충전한다. 그런데 링크픽셀(13)은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TFT)를 통해 두 개의 픽셀(10, 11)에 포함된 픽셀전극들에 전하가 공급되므로 링크되지 않은 정상픽셀(14)에 비하여 충전특성이 달라지게된다. 예컨대, 링크픽셀(13)과 링크되지 않은 정상픽셀(14)에 동일한 데이터전압이 공급된다고 할 때, 링크픽셀(13)은 두 개의 픽셀(10, 11)에 전하가 분산되므로 링크되지 않은 정상픽셀(14)에 비하여 전하 충전량이 작아지게 된다. 그 결과, 링크되지 않은 정상픽셀(14)과 링크픽셀(13)에 동일한 데이터전압이 공급될 때 링크픽셀(13)은 데이터전압이 작을수록 투과율 또는 휘도가 높아지는 노말리 화이트 모드(Normally White Mode)에서 링크되지 않은 정상픽셀(14)에 비하여 더 밝게 보이게 되는 반면, 데이터전압이 클수록 투과율 또는 휘도가 높아지는 노말리 블랙 모드(Normally Black Mode)에서 링크되지 않은 정상픽셀(14)에 비하여 더 어둡게 보이게 된다. 일반적으로, 액정셀의 픽셀전극과 공통전극이 액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두 개의 기판상에 분리형성되어 픽셀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종전계가 인가되는 트위스티드 네마틱 모드(Twisted Nematic Mode : 이하 "TN 모드"라 함)의 액정표시장치는 노말리 화이트 모드로 구동되는 반면, 액정셀의 픽셀전극과 공통전극이 동일 기판상에 형성되어 픽셀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횡전계가 인가되는 인플레인 스위칭 모드(In-Plane Switching Mode : 이하, "IPS 모드"라 함)의 액정표시장치는 노말리 블랙 모드로 구동된다.
리페어 공정(s31)에 이어서, 본 발명은 링크픽셀(13)의 위치와 충전특성을 검사용 컴퓨터에 저장하고, 링크픽셀(13)의 충전특성을 보상하기 위한 제5 보상데이터를 산정한다.(s32) 링크픽셀(13)의 충전특성은 링크픽셀(13)의 위치에 따라 링크되지 않은 정상픽셀(14)과의 휘도차 또는 색차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제5 보상데이터는 제1 내지 제4 보상데이터들과 마찬가지로 위치별, 계조별로 최적화되어야 한다.
이하, 도 11a 내지 도 1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페어 공정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TN 모드의 액정표시장치의 리페어 공정을 나타낸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페어 공정은 W-CVD(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을 이용하여 링크패턴(24)을 서로 이웃하는 불량픽셀(10)의 픽셀전극(23A)과 정상픽셀(11)의 픽셀전극(23B) 상에 직접 형성한다.
하부기판(25) 상에는 게이트라인(21)과 데이터라인(22)이 교차되고 그 교차부에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된다. 박막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전극은 게이트라인(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스전극은 데이터라인(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전극은 콘택홀을 통해 픽셀전극(23A, 23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게이트라인(21), 박막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전극 등을 포함한 게이트 금 속패턴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네오듐(AlNd) 등의 게이트 금속 증착공정, 포토리쏘그래피 공정 및 식각 공정을 통해 하부기판(45) 상에 형성된다.
데이터라인(22), 박막트랜지스터(TFT)의 소스 및 드레인 전극 등을 포함한 소스/드레인 금속패턴은 크롬(Cr), 몰리브덴(Mo), 티타늄(Ti) 등의 소스/드레인 금속 증착공정, 포토리쏘그래피 공정 및 식각 공정을 통해 게이트 절연막(26) 상에 형성된다.
게이트 금속패턴과 소스/드레인 금속패턴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게이트 절연막(26)은 질화실리콘(SiNx) 또는 산화실리콘(SiOx) 등의 무기 절연막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TFT), 게이트라인(21), 데이터라인(22)을 덮는 보호막(Passivation Film)은 무기 절연막 또는 유기 절연막으로 형성된다.
픽셀전극들(23A, 23B)은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틴 옥사이드(Tin Oxide, TO),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 또는 인듐 틴 징크 옥사이드(Indium Tin Zinc Oxide, ITZO) 등의 투명도전성금속을 증착하는 공정, 포토리쏘그래피 공정, 및 식각 공정을 통해 보호막(27) 상에 형성된다. 이 픽셀전극들(23A, 23B)에는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턴-온되는 스캔기간 동안 박막트랜지스터(TFT)를 통해 데이터라인(22)으로부터 데이터전압이 공급된다.
리페어 공정은 기판합착/액정주입 공정 전의 하부기판에 대하여 실시한다. 이 리페어 공정은 먼저, 불량픽셀(10)의 픽셀전극(23A)과 데이터라인(22) 사이의 전류패스를 차단시키기 위하여 박막트랜지스터(TFT)의 소스전극과 데이터라인(22) 사이 또는, 박막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전극과 픽셀전극(23A) 사이의 전류패스를 레이저 커팅 공정으로 단선(Open)시킨다. 이어서, 리페어 공정은 W-CVD 공정을 이용하여 링크패턴(24)을 불량픽셀(10)의 픽셀전극(23A)과 그와 이웃하는 동일 색의 정상픽셀(11)의 픽셀전극(23B), 그리고 그 픽셀전극들(23A, 23B) 사이의 보호막(27) 상에 텅스텐(W)을 직접 증착시킨다. 한편, 단선 공정과 W-CVD 공정의 순서는 바뀌어도 관계없다.
W-CVD 공정은 도 11c와 같이 W(CO)6 분위기 하에서 픽셀전극(23A, 23B)들 중 어느 하나의 픽셀전극 상에 레이저광을 집광시키고 그 집광된 레이저광을 다른 픽셀전극 쪽으로 이동 또는 스캐닝하게 된다. 그러면 레이저광에 반응하여 W(CO)6 에서 텅스텐(W)이 분리되고 그 텅스텐(W)이 레이저광의 스캔방향을 따라 일측 픽셀전극(23A), 보호막(27), 타측 픽셀전극(23B)으로 이동하면서 픽셀전극들(23A, 23B)과 그 사이의 보호막(27) 상에 증착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TN 모드의 액정표시장치의 리페어 공정을 나타낸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하부기판(45)은 보호막(47)을 사이에 두고 불량픽셀(10)의 픽셀전극(43A) 및 그와 이웃하는 정상픽셀(11)의 픽셀전극(43B)과 중첩되는 전도성의 더미패턴(44)을 구비한다.
하부기판(45)상에는 게이트라인(41)과 데이터라인(42)이 교차되고 그 교차부에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된다. 박막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전극은 게이트라인(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스전극은 데이터라인(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전극은 콘택홀을 통해 픽셀전극(43A, 43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게이트라인(41), 박막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전극 등을 포함한 게이트 금속패턴은 게이트 금속 증착공정, 포토리쏘그래피 공정 및 식각 공정을 통해 하부기판(45)상에 형성된다.
게이트라인(41)은 더미패턴(44)과 중첩되지 않도록 더미패턴(44)과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고 더미패턴(44)을 둘러 싸는 형태의 오목 패턴(48)을 포함한다.
데이터라인(42), 박막트랜지스터(TFT)의 소스 및 드레인 전극, 더미패턴(44) 등을 포함한 소스/드레인 금속패턴은 소스/드레인 금속 증착공정, 포토리쏘그래피 공정 및 식각 공정을 통해 게이트 절연막(46)상에 형성된다.
더미패턴(44)은 리페어 공정 전에 게이트라인(41), 데이터라인(42) 및 픽셀전극들(43A, 43B)과 접속되지 않은 고립 패턴(Island pattern)으로 형성된다. 이 더미패턴(44)의 양단은 수직으로 이웃하는 픽셀전극들(43A, 43B)과 중첩되어 레이저 용접 공정에서 픽셀전극들(43A, 43B)와 접속된다.
게이트 절연막(46)은 게이트 금속패턴과 소스/드레인 금속패턴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보호막(47)은 소스/드레인 금속패턴과 픽셀전극들(43A, 43B)을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픽셀전극들(43A, 43B)은 투명도전성금속을 증착하는 공정, 포토리쏘그래피 공정, 및 식각 공정을 통해 보호막(47) 상에 형성된다. 픽셀전극(43A, 43B)은 상단의 일측에서 신장된 신장부(49)를 포함한다. 이 신장부(49)에 의해 픽셀전극 들(43A, 43B)은 더미패턴(44)의 일단과 충분히 중첩된다. 이 픽셀전극들(43A, 43B)에는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턴-온되는 스캔기간 동안 박막트랜지스터(TFT)를 통해 데이터라인(42)으로부터 데이터전압이 공급된다.
리페어 공정은 기판합착/액정주입 공정 전의 하부기판 또는 기판합착/액정주입 공정 후의 패널에 대하여 실시한다. 이 리페어 공정은 먼저, 불량픽셀(10)의 픽셀전극(43A)과 데이터라인(42) 사이의 전류패스를 차단시키기 위하여 박막트랜지스터(TFT)의 소스전극과 데이터라인(42) 사이 또는, 박막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전극과 픽셀전극(43A) 사이의 전류패스를 레이저 커팅 공정으로 단선시킨다. 이어서, 리페어 공정은 레이저 용접 공정을 이용하여 도 8과 같이 더미패턴(44)의 양단에서 이웃하는 픽셀전극들(43A, 43B)에 레이저를 조사한다. 그러면, 레이저광에 의해 픽셀전극들(43A, 43B) 및 보호막(47)이 녹게 되고, 그 결과, 픽셀전극들(43A, 43B)이 더미패턴(44)과 접속된다. 한편, 단선 공정과 레이저 용접 공정의 순서는 바뀌어도 관계없다. 도 12c는 레이저 용접 공정 전, 보호막(47)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된 픽셀전극들(43A, 43B)과 더미패턴(44)을 보여 준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IPS 모드의 액정표시장치의 리페어 공정을 나타낸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페어 공정은 W-CVD 공정을 이용하여 링크패턴(64)을 이웃하는 불량픽셀(10)의 픽셀전극(63A)과 정상픽셀(11)의 픽셀전극(63B) 상에 직접 형성한다.
하부기판(65) 상에는 게이트라인(61)과 데이터라인(62)이 교차되고 그 교차 부에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된다. 박막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전극은 게이트라인(6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스전극은 데이터라인(6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전극은 콘택홀을 통해 픽셀전극(63A, 63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게이트라인(61), 박막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전극, 공통전극(68) 등을 포함한 게이트 금속패턴은 게이트 금속 증착공정, 포토리쏘그래피 공정 및 식각 공정을 통해 하부기판(65) 상에 형성된다. 공통전극(68)은 모든 액정셀들에 연결되어 액정셀들에 공통전압(Vcom)을 인가한다. 이 공통전극(68)에 인가되는 공통전압(Vcom)과 픽셀전극(63A, 63B)에 인가되는 데이터전압에 의해 액정셀들에는 횡전계가 인가된다.
데이터라인(62), 박막트랜지스터(TFT)의 소스 및 드레인 전극 등을 포함한 소스/드레인 금속패턴은 소스/드레인 금속 증착공정, 포토리쏘그래피 공정 및 식각 공정을 통해 게이트 절연막(66) 상에 형성된다.
픽셀전극들(63A, 63B)은 투명도전성금속을 증착하는 공정, 포토리쏘그래피 공정, 및 식각 공정을 통해 보호막(67) 상에 형성된다. 이 픽셀전극들(63A, 63B)에는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턴-온되는 스캔기간 동안 박막트랜지스터(TFT)를 통해 데이터라인(62)으로부터 데이터전압이 공급된다.
리페어 공정은 기판합착/액정주입 공정 전의 하부기판에 대하여 실시한다. 이 리페어 공정은 먼저, 불량픽셀(10)의 픽셀전극(63A)과 데이터라인(62) 사이의 전류패스를 차단시키기 위하여 박막트랜지스터(TFT)의 소스전극과 데이터라인(62) 사이 또는, 박막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전극과 픽셀전극(63A) 사이의 전류패스를 레이저 커팅 공정으로 단선(Open)시킨다. 이어서, 리페어 공정은 W-CVD 공정을 이용하여 링크패턴(64)을 불량픽셀(10)의 픽셀전극(63A)과 그와 이웃하는 동일 색의 정상픽셀(11)의 픽셀전극(63B) 그리고 그 픽셀전극들(63A, 63B) 사이의 보호막(67) 상에 텅스텐(W)을 직접 증착시킨다. 한편, 단선 공정과 W-CVD 공정의 순서는 바뀌어도 관계없다.
도 14a 내지 14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IPS 모드의 액정표시장치의 리페어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a 내지 14c에 있어서, 데이터라인 등의 데이터 금속패턴, 박막트랜지스터, 픽셀전극과 함께 액정셀들에 횡전계를 인가하기 위한 공통전극 등은 생략된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게이트라인(81)은 네크부(92), 네크부(92)에 연결되고 면적이 확대된 헤드부(93), 네크부(92) 및 헤드부(93)의 주변에서 'C'자 형으로 제거된 개구패턴(91)을 포함한다.
게이트라인(81), 도시하지 않은 TFT의 게이트전극, 공통전극 등을 포함한 게이트 금속패턴은 게이트 금속 증착공정, 포토리쏘그래피 공정 및 식각 공정을 통해 하부기판(85) 상에 형성된다.
픽셀전극들(83A, 83B)은 투명도전성금속을 증착하는 공정, 포토리쏘그래피 공정, 및 식각 공정을 통해 보호막(87)상에 형성된다.
게이트라인(81)에 있어서, 네크부(92)는 리페어 공정에서 레이저 커팅 공정에 의해 단선(open)된다. 헤드부(93)의 일측단은 게이트 절연막(86) 및 보호막(87) 을 사이에 두고 불량픽셀(10)의 픽셀전극(83A)과 중첩되고, 헤드부(93)의 타측단은 게이트 절연막(86) 및 보호막(87)을 사이에 두고 불량픽셀(10)과 이웃하는 정상픽셀(11)의 픽셀전극(83B)과 중첩된다.
리페어 공정은 기판합착/액정주입 공정 전의 하부기판 또는 기판합착/액정주입 공정 후의 패널에 대하여 실시한다. 이 리페어 공정은 먼저, 불량픽셀의 픽셀전극(83A)과 데이터라인 사이의 전류패스를 차단시키기 위하여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전극과 데이터라인 사이 또는,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전극과 픽셀전극(83A) 사이의 전류패스를 레이저 커팅 공정으로 단선시키고, 게이트라인(81)의 네크부(92)를 단선시킨다. 이어서, 리페어 공정은 레이저 용접 공정을 이용하여 도 14b와 같이 헤드부(93)의 양단에서 이웃하는 픽셀전극들(83A, 83B)에 레이저를 조사한다. 그러면, 레이저광에 의해 픽셀전극들(83A, 83B), 보호막(87), 게이트 절연막(86)이 녹게 되고 그 결과, 헤드부(93)는 독립패턴으로 되어 게이트라인(81)과 분리되고 픽셀전극들(83A, 83B)이 헤드부(93)에 접속된다. 한편, 단선 공정과 레이저 용접 공정의 순서는 바뀌어도 관계없다. 도 14c는 레이저 용접 공정 전, 보호막(87) 및 게이트 절연막(86)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된 픽셀전극들(83A, 83B)과 헤드부(93)를 보여 준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리페어 공정은 게이트라인(81)의 패터닝 공정에서 네크부(93)를 미리 제거하여 도 12a의 더미패턴(44)과 같은 독립 패턴으로 형성하여, 리페어 공정에서 네크부(93)의 커팅 공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2a의 더미패턴(44)이나 도 14a의 헤드부(93), 네크부(92) 및 개구 패턴(91)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한 픽셀 당 1 개씩 형성할 수도 있으나 링크 픽셀들의 전기적 접촉 특성 즉, 접촉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한 픽셀 당 복수 개씩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S3 또는 S4 단계에 이어서 본 발명은 상/하부기판을 실재(Sealant)나 프릿글라스(Frit glass)로 합착한다(S5). S5 단계는 배향막형성/러빙 공정과 기판합착/액정주입 공정을 포함한다. 배향막형성/러빙 공정에서는 표시패널의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각각에 배향막을 도포하고 그 배향막을 러빙포 등으로 러빙한다. 기판합착/액정주입 공정에서는 실재를 이용하여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을 합착하고 액정주입구를 통하여 액정과 스페이서를 주입한 다음, 그 액정주입구를 봉지한다.
이어서, 본 발명은 기판합착/액정주입 공정 후의 표시패널에 각 계조의 테스트 데이터를 인가하여 테스트 화상을 표시하고, 그 화상에 대하여 전기/자기적인 검사 및/또는 육안 검사를 통해 패널결함을 검사한다(S6). 여기서, 육안 검사는 카메라 등과 같은 광학장비를 이용한 검사를 포함한다.
S6 단계에서 패널결함이 검출되면(S7), 본 발명은 패널결함영역의 위치정보를 검사용 컴퓨터에 저장하고 패널결함을 보상하기 위한 보정을 실시한다(S8). S8 단계는 상술한 리페어 공정의 실시예들 중 W-CVD 공정을 제외하고 상술한 S4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S7 또는 S8 단계에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기판합착/액정주입 공정 후의 표시패널에 구동회로를 실장하고, 구동회로가 실장된 표시패널 및 백 라이트 등을 케이스에 탑재하여 표시패널의 모듈 조립 공정을 실시한다(S9). 구동회로의 실장 공정에서는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 및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회로 등의 집적회로가 실장된 테이프 케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 이하 "TCP"라 한다)의 출력단을 기판상의 패드부에 접속시키고, 테이프 케리어 패키지의 입력단을 타이밍 컨트롤러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 이하 "PCB"라 한다)과 접속시킨다. PCB 상에는 보상데이터들이 저장될 메모리와, 이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시패널에 공급될 데이터를 변조하고 이 변조된 데이터를 구동회로에 공급하는 보상회로가 실장된다. 메모리는 데이터의 갱신 및 소거가 가능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한편, 보상회로는 타이밍 컨트롤러와 원-칩(One-Chip)화 하여 타이밍 컨트롤러에 내장하는 것이 가능하며, 드라이브 집적회로들은 테이프 케리어 패키지를 이용한 테이프 오토메이티드 본딩(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이외에 칩 온 글라스(Chip On Glass ; COG) 방식 등으로 기판 상에 직접 실장될 수도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표시패널에 각 계조의 테스트 데이터를 인가하여 테스트 화상을 표시하고, 그 화상에 대하여 전기/자기적인 검사 및/또는 육안 검사를 통해 패널결함을 검사한다(S10). 여기서, 육안 검사는 카메라 등과 같은 광학장비를 이용한 검사를 포함한다.
S10 단계에서 패널결함이 검출되면(S11), 본 발명은 패널결함영역의 위치정보를 검사용 컴퓨터에 저장하고 패널결함을 보상하기 위한 보정을 실시한다(S12). S12 단계는 상술한 리페어 공정의 실시예들 중 W-CVD 공정을 제외하고 상술한 S4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검사 및 보정 단계를 통해 결정된 패널결함의 위치데이터들 및 보상데이터들을 EEPROM에 저장한다(S13). 검사용 컴퓨터는 ROM 기록기를 이용하여 위치데이터들 및 보상데이터들을 EEPROM에 공급한다. ROM 기록기는 유저 커넥터(user connector)를 통해 EEPROM에 위치데이터들 및 보상데이터들을 전송할 수 있다. 유저 커넥터를 통해서 보상데이터들이 직렬로 전송되고 또한, 유저 커넥터를 통해서 직렬 클럭(Serial Clock)과 전원, 접지전원 등이 EEPROM에 전송된다.
한편, 패널결함영역에서의 데이터 변조를 위하여 위치데이터들 및 보상데이터들이 저장되는 메모리로는 EEPROM 대신 EDID ROM(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ROM)이 사용될 수 있다. EDID ROM에는 판매자/생산자 식별정보(ID) 및 기본 표시소자의 변수 및 특성 등과 같은 모니터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며, 모니터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공간과는 별도의 저장공간에 위치데이터들 및 보상데이터들이 저장된다. EEPROM 대신에 EDID ROM에 보상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에 ROM 기록기는 DDC(Data Display Channel)을 통해 보상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EDID ROM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EEPROM과 유저 커넥터가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추가 개발비가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위치데이터들 및 보상데이터들이 저장되는 메모리는 EEPROM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EEPROM과 유저 커넥터는 EDID ROM과 DDC로 대신될 수 있다. 위치 데이터들 및 보상데이터들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로는 EEPROM과 EDID ROM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갱신 및 소거가 가능한 다른 종류의 비휘발성 메모리의 사용도 가능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EEPROM에 저장된 제1 내지 제5 보상데이터를 이용하여 테스트 데이터를 변조하고, 그 변조된 테스트 데이터를 표시패널에 인가하여 전기/자기적인 검사 및/또는 육안 검사를 통해 패널결함을 검사한다(S14). 여기서, 육안 검사는 카메라 등과 같은 광학장비를 이용한 검사를 포함한다.
S14 단계에서의 검사 결과, 양품 기준 허용치를 초과하는 패널결함이 발견되면(S15[예]), 이에 대한 보정을 실시한다(S16). 이 S16 단계의 보정 대상은 상기 검사 단계에서 미발견된 패널결함과, 상기 보정 단계에서 산정된 보상값의 비최적화로 인해 치유되지 않은 패널결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보상데이터들이 최적화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를 재산정하여 EEPROM에 저장된 보상데이터들을 갱신하고, 불량픽셀이 새로이 검출된 경우에는 이에 대한 리페어 공정을 실시하여 링크픽셀을 형성하고, 이에 대한 보상데이터를 산정하여 EEPROM에 저장한다. 이때, 리페어 공정에서 W-CVD 공정은 제외한다.
한편, 액정표시장치는 백 라이트로부터의 광이 액정표시패널의 입사면 전체에 대하여 고르게 입사되지 않음으로써 표시화면상에 휘선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백 라이트에 의한 휘선의 경우에도 상술한 패널결함들과 마찬가지로 S16 단계에서 보상데이터의 조정을 통해 해결될 수 있다.
S14 단계의 검사 결과, 화질 결함이 발견되지 않으면(S15), 즉 화질 결함 정도가 양품 허용 기준치 이하로 발견되면, 그 액정표시장치는 양품으로 판정되어 출하된다(S17).
상술한 검사 단계들 및 보정 단계들은 제조공정의 단순화 등 합리적인 공정과정을 위하여 그 과정의 간소화, 또는 일부 공정의 생략이 가능하다.
이하, 도 15 내지 도 19e를 참조하여 상기 보상데이터들의 결정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상데이터 결정 방법은 패널결함영역과 비결함영역이 A(A는 양의 정수)×ΔL과 (A+1)×ΔL 사이의 휘도차(d)를 보일 때, 패널결함영역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는 제1 및 제2 보상데이터를 ±A×ΔL의 보상값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제3 보상데이터는 경계부에서 0으로 결정되며, 제4 보상데이터는 패널결함영역에서 경계선에 인접한 픽셀 및 이 픽셀을 포함하는 우수 라인에 위치한 픽셀들에 대하여 격셀(every other pixel)마다 ±k(k는 A 이하의 양의 정수)×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된다. 이 제4 보상데이터는 패널결함영역에서 최소한 경계에 인접한 1 픽셀에 대하여 결정되며, 최대한 경계선으로부터패널결함영역의 끝단의 1/2 거리만큼 떨어진 픽셀들에 대하여 상기 보상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는 휘도 증가, '-'는 휘도 감소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15과 같이 패널결함영역의 휘도가 비결함영역에 비해 'd' 만큼 낮으며 'd'는 3ΔL과 4ΔL 사이라고 가정할 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상데이터 결정 방법은 아래와 같이 진행된다.
도 16a를 참조하면, 제1 보상데이터(311a)는 패널결함영역에서 +3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되고, 제3 보상데이터(312a)는 패널결함영역 및 비결함영역에서 0의 보상값으로 결정된다. 패널결함영역과 경계부의 기수 라인에 대한 보상데이터의 보상값은 제1 보상데이터(311a)와 제3 보상데이터(312a)의 합(313a)으로 결정된다.
도 16b를 참조하면, 제2 보상데이터(311b)는 패널결함영역에서 제1 보상데이터와 마찬가지로 +3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된다. 제4 보상데이터(312b)는 비결함영역에서 0의 보상값으로 결정되며, 패널결함영역에서 경계선에 인접한 픽셀들에 대하여 +k×ΔL, 예를 들어 +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된다. 이러한 제4 보상데이터(312b)는 패널결함영역에서 경계선에 인접한 픽셀들을 포함하여 최대 경계선으로부터 패널결함영역의 끝단의 1/2 거리만큼 떨어진 픽셀까지 격셀 단위로 결정될 수 있다. 패널결함영역과 경계부 우수 라인에 대한 보상데이터의 보상값은 제2 보상데이터(311b)와 제4 보상데이터(312b)의 합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결정된 제1 내지 제4 보상데이터들로 패널결함영역과 경계부에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변조할 때 패널결함영역과 경계부의 휘도 보상 결과는 도 16c와 같다. 패널결함영역과 비결함영역에서 이웃한 기수 라인과 우수 라인에서 측정된 휘도가 300a 및 300b와 같을 때, 도 16a와 같은 방법으로 결정된 기수 라인의 보상데이터(313a)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에 더하여 기수 라인의 휘도를 314a와 같이 보상한다. 그리고 도 16b와 같은 방법으로 결정된 우수 라인의 보상데이터(313b)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에 더하여 우수 라인의 휘도를 314b와 같이 보상한다. 따라서, 이웃한 두 라인의 평균휘도는 315와 같다.
도 16d 내지 도 16f는 패널결함영역과 경계부에 배치된 픽셀들의 각 위치에 대응하여 보상데이터를 대응시키는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다.
도 16d 이하의 도면들에서 나열된 사각형으로 구분된 공간은 표시패널 상의 픽셀들을 의미하며 그 안에 기재된 'A', '+' 및 'ΔL'은 기 정의된 바와 같다.
도 16d를 참조하면, 제1 보상데이터(311a)는 패널결함영역에서 '+A×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된다. 여기서, 패널결함영역과 비결함영역의 휘도차가 도 15와 같을 경우 A는 3이다. 그리고, 제3 보상데이터(312a)는 패널비결함영역과 경계부에서 '0'의 보상값으로 결정된다. 313a는 제1 보상데이터(311a)와 제3 보상데이터(312a)의 합으로써 패널결함영역과 경계부의 기수 라인에 대한 보상데이터의 최종 보상값이다.
도 16e를 참조하면, 제2 보상데이터(311b)는 제1 보상데이터(311a)와 같이 패널결함영역에서 '+A×ΔL'로 결정된다. 제4 보상데이터(312b)는 비결함영역에서 '0'으로 결정되고 경계선과 인접한 픽셀 즉, 경계부 픽셀들에 대하여 '+ΔL'로 결정된다. 313b는 제2 보상데이터(311b)와 제4 보상데이터(312b)의 합으로써 패널결함영역과 경계부의 우수 라인에 대한 보상데이터의 최종 보상값이다.
패널결함영역과 경계부에서 결정된 기수 및 우수 라인들의 최종 보상값(313a, 313b)를 보상데이터들에 적용하고 그 보상데이터들을 각 픽셀들에 맵핑한 결과는 도 16f와 같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상데이터 결정 방법은 표시패널에서 실제로 측정된 패널결함영역과 비결함영역이 A×ΔL과 (A+1)×ΔL 사이의 휘도차(d)를 보 일 때, 패널결함영역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는 제1 및 제2 보상데이터를 ±A×ΔL의 보상값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경계부의 기수 라인 데이터에 적용될 제3 보상데이터는 경계선 근방의 패널결함영역의 일부 픽셀과 비결함영역 근방의 일부 픽셀을 포함하고 격셀마다 ±k×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된다. 경계부의 우수 라인 데이터에 적용될 제4 보상데이터는 경계선 근방의 패널결함영역의 일부 픽셀과 비결함영역 근방의 일부 픽셀을 포함하고 격셀마다 ±k×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된다. 제3 및 제4 보상데이터는 기수 라인에서 ±k×ΔL로 보상되는 픽셀들과, 그와 이웃한 우수 라인에서 ±k×ΔL로 보상되는 픽셀들이 어긋나도록 배치된다. 즉, 제3 및 제4 보상데이터는 픽셀들에 맵핑될 때 체크무늬 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제3 및 제4 보상데이터는 최소 패널결함영역과 비결함영역의 경계선에 인접한 1 픽셀에 적용되며, 최대 상기 경계선으로부터 패널결함영역의 끝단의 1/2 거리만큼 떨어진 픽셀들까지 적용된다.
예를 들어, 도 15와 같이 패널결함영역의 휘도가 비결함영역의 휘도에 비해 d 만큼 낮으며, d 는 3ΔL과 4ΔL 사이일 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상데이터 결정 방법은 아래와 같다.
도 17a를 참조하면, 제1 보상데이터(321a)는 패널결함영역에서 +3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되고, 제3 보상데이터(322a)는 패널결함영역과 비결함영역의 경계선에 인접한 비결함영역의 픽셀과, 그 픽셀과 경계선을 사이에 두고 격셀 간격으로 이격된 패널결함영역의 픽셀에 대하여 +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된다. 제3 보상데이터(322a)는 상기 경계선과 상기 패널결함영역 끝단까지의 1/2 거리만큼 떨어진 픽 셀까지 격셀마다 적용될 수 있다. 패널결함영역과 경계부의 기수 라인에 대한 보상데이터의 보상값은 제1 보상데이터(321a)와 제3 보상데이터(322a)의 합(323a)으로 결정된다.
도 17b를 참조하면, 제2 보상데이터(321b)는 패널결함영역에서 +3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되고, 제4 보상데이터(322b)는 패널결함영역과 비결함영역의 경계선에 인접한 패널결함영역의 픽셀과, 그 픽셀과 경계선을 사이에 두고 격셀 간격으로 이격된 비결함영역의 픽셀에 대하여 +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된다. 제4 보상데이터(322b)는 상기 경계선과 상기 패널결함영역 끝단 까지의 1/2 거리만큼 떨어진 픽셀까지 격셀마다 적용될 수 있다. 패널결함영역과 경계부의 우수 라인에 대한 보상데이터의 보상값은 제2 보상데이터(321b)와 제4 보상데이터(322b)의 합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결정된 제1 내지 제4 보상데이터들로 패널결함영역과 경계부에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변조할 때 패널결함영역과 경계부의 휘도 보상 결과는 도 17c와 같다. 패널결함영역과 비결함영역에서 이웃한 기수 라인과 우수 라인에서 측정된 휘도가 300a 및 300b와 같을 때, 도 17a와 같은 방법으로 결정된 기수 라인의 보상데이터(323a)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에 더하여 기수 라인의 휘도를 324a와 같이 보상한다. 그리고 도 17b와 같은 방법으로 결정된 우수 라인의 보상데이터(323b)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에 더하여 우수 라인의 휘도를 324b와 같이 보상한다. 따라서, 이웃한 두 라인의 평균휘도는 325와 같다.
도 17d 내지 도 17f는 패널결함영역 및 그 경계부에 배치된 픽셀들의 각 위 치에 대응하여 보상데이터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다.
도 17d를 참조하면, 제1 보상데이터(321a)는 패널결함영역에서 '+A×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된다. 패널결함영역과 비결함영역의 휘도차가 도 15와 같을 때,A는 3이다. 제3 보상데이터(322a)는 비결함영역에서 경계선에 인접한 픽셀 및 이 픽셀과 경계를 사이에 두고 격셀 간격에 위치한 픽셀에 대하여 '+ΔL'로 결정된다. 323a는 제1 보상데이터(321a)와 제3 보상데이터(322a)의 합으로 산출되는 패널결함영역 및 비결함영역의 기수 라인에 대한 보상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7e를 참조하면, 제2 보상데이터(321b)는 제1 보상데이터(321a)와 같이 비결함영역에서 '0'의 보상값으로 결정되며, 패널결함영역에서 '+A×ΔL'로 결정된다. 그리고, 제4 보상데이터(322b)는 패널결함영역에서 경계에 인접한 픽셀 및 이 픽셀과 경계를 사이에 두고 격셀 간격에 위치한 픽셀에 대하여 '+ΔL'로 결정된다. 323b는 제2 보상데이터(321b)와 제4 보상데이터(322b)의 합으로 산출되는 패널결함영역 및 비결함영역의 기수 라인에 대한 보상데이터를 나타낸다.
결함영역 및 비결함영역의 기수 및 우수 라인들에 323a 및 323b와 같은 보상데이터들이 적용되는 결과는 17f에서 보는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상데이터 결정 방법은 패널결함영역과 비결함영역이 A×ΔL과 (A+1)×ΔL 사이의 휘도차(d)를 보일 때, 제1 보상데이터는 패널결함영역에서 +A×ΔL의 보상값으로 결정하고, 제2 보상데이터는 패널결함영역에서 +(A+1)×ΔL의 보상값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제3 보상데이터는 패널결함영역에서 경계에 인접한 픽셀에 대하여 -k×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되고 이 픽셀로부터 격 셀간격으로 멀어지는 픽셀마다 ΔL씩 증가되는 보상값으로 결정되며, 비결함영역에서는 패널결함영역의 경계에 인접한 픽셀과 경계를 사이에 두고 격셀간격에 위치한 픽셀에 대하여 +k×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되고 이 픽셀로부터 격셀간격으로 멀어지는 픽셀마다 ΔL씩 감소되는 보상값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제4 보상데이터는 비결함영역에서는 경계에 인접한 픽셀에 대하여 +k×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되고 이 픽셀로부터 격셀간격으로 멀어지는 픽셀마다 ΔL씩 감소되는 보상값으로 결정되며, 패널결함영역에서는 비결함영역의 경계에 인접한 픽셀과 경계를 사이에 두고 격셀간격에 위치한 픽셀에 대하여 -k×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되고 이 픽셀로부터 격셀간격으로 멀어지는 픽셀마다 ΔL씩 증가되는 보상값으로 결정된다. 이때, 제3 및 제4 보상데이터는 패널결함영역 및 비결함영역에서 최소한 경계에 인접한 1 픽셀에 대하여, 최대한 경계로부터패널결함영역의 양끝간 거리의 절반 거리만큼 떨어진 픽셀까지에 대하여 상기 보상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k는 ½A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제3 및 제4 보상데이터는 위와 반대로 패널결함영역에서 +k×ΔL로부터 감소되며, 비결함영역에서 -k×ΔL로부터 증가되는 보상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패널결함영역의 휘도가 비결함영역의 휘도에 비해 d 만큼 떨어지며 d 는 3ΔL과 4ΔL 사이의 값을 가질 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상데이터 결정 방법은 아래과 같다.
도 18a를 참조하면, 제1 보상데이터(331a)는 패널결함영역에서 +3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제3 보상데이터(332a)는 패널결함영역에서는 경계에 인접한 픽셀에 대하여 -2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되고 이 픽셀로부터 격셀간격으로 멀 어지는 픽셀마다 ΔL씩 증가되는 보상값으로 결정되며, 비결함영역에서는 패널결함영역의 경계에 인접한 픽셀과 경계를 사이에 두고 격셀간격에 위치한 픽셀에 대하여 +2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되고 이 픽셀로부터 격셀간격으로 멀어지는 픽셀마다 ΔL씩 감소되는 보상값으로 결정된다. 제3 보상데이터(332a)는 상기 픽셀들을 포함하여 최대한 경계로부터패널결함영역의 양끝간 거리의 절반 거리만큼 떨어진 픽셀까지 격셀마다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보상데이터(331a)와 제3 보상데이터(332a)의 보상위치가 중첩됨으로써 제1 보상데이터(331a)와 제3 보상데이터(332a)의 합으로 산출되는 패널결함영역 및 비결함영역의 기수 라인에 대한 보상데이터는 333a와 같다.
도 18b를 참조하면, 제2 보상데이터(331b)는 제1 보상데이터(331a)와 달리패널결함영역에서 +4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제4 보상데이터(332b)는 비결함영역에서는 경계에 인접한 픽셀에 대하여 +2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되고 이 픽셀로부터 격셀간격으로 멀어지는 픽셀마다 ΔL씩 감소되는 보상값으로 결정되며, 패널결함영역에서는 비결함영역의 경계에 인접한 픽셀과 경계를 사이에 두고 격셀간격에 위치한 픽셀에 대하여 -2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되고 이 픽셀로부터 격셀간격으로 멀어지는 픽셀마다 ΔL씩 증가되는 보상값으로 결정된다. 제4 보상데이터(332b)는 상기 픽셀들을 포함하여 최대한 경계로부터 패널결함영역의 양끝간 거리의 절반 거리만큼 떨어진 픽셀까지 격셀마다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보상데이터(331b)와 제4 보상데이터(332b)의 보상위치가 중첩됨으로써 제2 보상데이터(331b)와 제4 보상데이터(332b)의 합으로 산출되는 패널결함영역 및 비결함영역 의 우수 라인에 대한 보상데이터는 233b와 같다.
이와 같이 결정된 제1 내지 제4 보상데이터들로 예측 가능한 패널결함영역 및 경계부의 휘도 보상 결과는 도 18c에서 보는 바와 같다. 즉, 패널결함영역 및 비결함영역에서 이웃한 기수 라인과 우수 라인의 휘도가 200a 및 200b와 같을 때, 333a와 같이 산출되는 보상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수 라인의 휘도를 234a와 같이 보상하고, 233b와 같이 산출되는 보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우수 라인의 휘도를 234b와 같이 보상하면, 그 결과로 나타나는 이웃한 두 라인의 평균휘도는 235와 같다.
도 18d 내지 도 18f는 패널결함영역 및 그 경계부에 배치된 픽셀들의 각 위치에 대응하여 보상데이터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다.
도 18d를 참조하면, 제1 보상데이터(331a)는 패널결함영역에서 '+A×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된다. 여기서 패널결함영역과 비결함영역의 휘도차가 도 8에서와 같을 경우 A는 3과 같은 값을 가진다. 그리고, 제3 보상데이터(331a)는 패널결함영역에서는 경계에 인접한 픽셀에 대하여 -½A×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되고 이 픽셀로부터 격셀간격으로 멀어지는 픽셀마다 ΔL씩 증가되는 보상값으로 결정되며, 비결함영역에서는 위패널결함영역의 경계에 인접한 픽셀과 경계를 사이에 두고 격셀간격에 위치한 픽셀에 대하여 +½A×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되고 이 픽셀로부터 격셀간격으로 멀어지는 픽셀마다 ΔL씩 감소되는 보상값으로 결정된다. 이러한 제3 보상데이터(332a)는 상기 픽셀들을 포함하여 최대한 경계로부터 패널결함영역의 양끝간 거리의 절반 거리만큼 떨어진 픽셀까지 격셀마다 결정될 수 있다. 333a는 제1 보상데이터(331a)와 제3 보상데이터(332a)의 합으로 산출되는 패널결함영역 및 비 결함영역의 기수 라인에 대한 보상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8e를 참조하면, 제2 보상데이터(331b)는 제1 보상데이터(331a)와 달리 패널결함영역에서 '+(A+1)×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제4 보상데이터는 비결함영역에서는 경계에 인접한 픽셀에 대하여 +½A×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되고 이 픽셀로부터 격셀간격으로 멀어지는 픽셀마다 ΔL씩 감소되는 보상값으로 결정되며, 패널결함영역에서는 위 비결함영역의 경계에 인접한 픽셀과 경계를 사이에 두고 격셀간격에 위치한 픽셀에 대하여 -½A×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되고 이 픽셀로부터 격셀간격으로 멀어지는 픽셀마다 ΔL씩 증가되는 보상값으로 결정된다. 제4 보상데이터(332b)는 상기 픽셀들을 포함하여 최대한 경계로부터 패널결함영역의 양끝간 거리의 절반 거리만큼 떨어진 픽셀까지 격셀마다 결정될 수 있다. 333a는 제2 보상데이터(331b)와 제4 보상데이터(332b)의 합으로 산출되는 패널결함영역 및 비결함영역의 기수 라인에 대한 보상데이터를 나타낸다.
결함영역 및 비결함영역의 기수 및 우수 라인들에 333a 및 233b와 같은 보상데이터들이 적용되는 결과는 18f에서 보는 바와 같다.
도 19a 내지 도 19e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상데이터 결정 방법에 대하여 임의의 수치를 적용한 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19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결함영역의 휘도가 120일 때 패널결함영역의 휘도가 116.5를 나타낸다고 하면, 다시 말해 패널결함영역과 비결함영역의 휘도차(d)가 3.5이며 ΔL은 1의 값을 가진다고 가정하면, 제1 보상데이터(331a)는 도 19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결함영역에서 '0'의 보상값으로 결정되 며, 패널결함영역에서 '+3'의 보상값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제3 보상데이터(332a)는 패널결함영역에서는 경계에 인접한 픽셀에 대하여 -2의 보상값으로 결정되고 이 픽셀로부터 격셀간격으로 멀어지는 픽셀마다 1씩 증가되는 보상값으로 결정되며, 비결함영역에서는 패널결함영역의 경계에 인접한 픽셀과 경계를 사이에 두고 격셀간격에 위치한 픽셀에 대하여 +2의 보상값으로 결정되고 이 픽셀로부터 격셀간격으로 멀어지는 픽셀마다 1씩 감소되는 보상값으로 결정된다. 333a는 제1 보상데이터(331a)와 제3 보상데이터(332a)의 합으로 산출되는 패널결함영역 및 비결함영역의 기수 라인에 대한 보상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9c를 참조하면, 제2 보상데이터(331b)는 제1 보상데이터(331a)와 같이 비결함영역에서 '0'의 보상값으로 결정되며, 패널결함영역에서 '+4'로 결정된다. 그리고, 제4 보상데이터는 비결함영역에서는 경계에 인접한 픽셀에 대하여 +2×ΔL의 보상값으로 결정되고 이 픽셀로부터 격셀간격으로 멀어지는 픽셀마다 1씩 감소되는 보상값으로 결정되며, 패널결함영역에서는 비결함영역의 경계에 인접한 픽셀과 경계를 사이에 두고 격셀간격에 위치한 픽셀에 대하여 -2의 보상값으로 결정되고 이 픽셀로부터 격셀간격으로 멀어지는 픽셀마다 1씩 증가되는 보상값으로 결정된다. 이러한 제4 보상데이터(332b)는 상기 픽셀들을 포함하여 최대한 경계로부터패널결함영역의 양끝간 거리의 절반 거리만큼 떨어진 픽셀까지 격셀마다 결정될 수 있다. 233b는 제2 보상데이터(331b)와 제4 보상데이터(332b)의 합으로 산출되는 패널결함영역 및 비결함영역의 우수 라인에 대한 보상데이터를 나타낸다.
결함영역 및 비결함영역의 기수 및 우수 라인들에 333a 및 233b와 같은 보상 데이터들이 적용된 결과는 도 18d와 같으며, 이와 같이 결정된 제1 내지 제4 보상데이터들로 예측 가능한 패널결함영역 및 경계부의 휘도 보상 결과는 도 19e와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상데이터 결정 방법은 링크픽셀에 대한 제5 보상데이터를 ±k×ΔL의 보상값으로 결정한다. 링크픽셀의 위치와 상술한 패널결함영역 또는 경계부의 위치가 중첩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제1 보상데이터와 제3 보상데이터, 또는 제2 보상데이터와 제4 보상데이터에서의 경우와 같이 다른 보상데이터들과 중첩위치에 대하여 합산되어 메모리에 저장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단계를 순차적으로 모두 거쳐 보상데이터들을 산출해내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제조공정의 단순화 등 합리적인 공정과정을 위하여 실제의 양산과정에서는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결함 및 경계부 노이즈의 다양한 패턴들에 대하여 대응할 다수의 정형화된 보상데이터들의 패턴을 데이터베이스화시킴으로써 간단한 검사공정 후 결함와 경계 영역의 휘도차 유형에 대응하는 최적의 보상데이터 패턴들을 정형화된 패턴들 중에서 선택하여 한 번에 최적 보상데이터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질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질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산출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보상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패널결함영역, 경계부 및 링크픽셀에 표시될 데이터를 조절하는 보상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상단계는, 패널결함영역, 경계부 및 링크픽 셀에 공급될 데이터를 보상데이터로 증감시킨다. 예를 들어, 패널결함영역, 경계부 및 링크픽셀에 대하여 위치별, 계조별 충전특성 보상데이터가 아래의 표 1에서와 같이 결정된 경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상단계는, '위치 1'에 공급될 데이터가 '계조구간 1'에 해당하는 '01000000(64)'이면 '01000000(64)'에 '00000100(4)'를 가산하여 '위치 1'에 공급될 데이터를 '01000100(68)'으로 변조하고, '위치 2'에 공급될 데이터가 '계조구간 3'에 해당하는 '10000000(128)'이면 '10000000(128)'에 '00000110(6)'를 가산하여 '위치 2'에 공급될 데이터를 '10000110(134)'으로 변조한다.
구 분 계조 영역 위치 1 위치 2
계조구간 1 00000000(0) ∼ 00110010(50) 00000100(4) 00000010(2)
계조구간 2 00110011(51) ∼ 01110000(112) 00000110(6) 00000100(4)
계조구간 3 01110001(113) ∼ 10111110(192) 00001000(8) 00000110(6)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상단계는, 패널결함영역, 경계부 및 링크픽셀에 표시될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정보를 포함하는 m/m/m 비트의 R/G/B 데이터를 휘도(Y) 및 색상(U/V) 정보를 포함하는 n/n/n(n은 m보다 큰 정수) 비트의 Y/U/V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n/n/n 비트의 Y/U/V 데이터 중패널결함영역 및 경계부에 표시될 Y 데이터를 보상데이터로 증감하여 변조하고, 이를 다시 적색(R), 녹색(G), 청색(B)의 정보를 포함하는 m/m/m 비트의 R/G/B 데이터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8/8/8 비트의 R/G/B 데이터를 비트 수가 확장된 10/10/10 비트의 Y/U/V 데이터로 변환하고, Y/U/V 데이터로 변환시 Y 데이터의 확장된 비트에 보상데이터를 가산 또는 감산한 후, Y 데이터가 증감된 10/10/10 비트의 Y/U/V 데이터를 8/8/8비트의 R/G/B 데이터로 다시 변환한다.
예를 들어, 패널결함영역, 경계부 및 링크픽셀에 대하여 위치별, 계조별 보상데이터가 아래의 표 2와 같이 결정된 경우, '위치 1'에 공급될 8/8/8 비트의 R/G/B 데이터를 10/10/10 비트의 Y/U/V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Y 데이터의 상위 8 비트가 '계조구간 2'에 해당하는 '01000000(64)'이면, 이 Y 데이터의 하위 2 비트에 '10(2)'을 가산하여 Y 데이터를 변조하고, 이 변조된 Y 데이터를 포함하는 Y/U/V 데이터를 다시 8/8/8 비트의 R/G/B 데이터로 변환함으로써 데이터를 변조한다. 그리고, '위치 4'에 공급될 8/8/8 비트의 R/G/B 데이터를 10/10/10 비트의 Y/U/V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Y 데이터의 상위 8 비트가 '계조구간 3'에 해당하는 '10000000(128)'이면, 이 Y 데이터의 하위 2 비트에 '11(3)'을 가산하여 Y 데이터를 변조하고, 이 변조된 Y 데이터를 포함하는 Y/U/V 데이터를 다시 8/8/8 비트의 R/G/B 데이터로 변환함으로써 데이터를 변조한다. 한편, R/G/B 데이터와 Y/U/V 데이터 간 변환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될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화질제어 방법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구 분 계조 영역 위치 1 위치 2 위치 3 위치 4
계조구간 1 00000000(0) ∼ 00110010(50) 01(1) 00(0) 01(1) 01(1)
계조구간 2 00110011(51) ∼ 01110000(112) 10(2) 00(0) 01(1) 10(2)
계조구간 3 01110001(113) ∼ 10111110(190) 11(3) 01(1) 10(2) 11(3)
계조구간 4 10111111(191) ∼ 11111010(250) 00(0) 01(1) 10(2) 11(3)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상단계는, 사람의 눈이 색상차보다는 휘도차에 민감한 점에 착안하여 패널결함영역, 경계부 및 링크픽셀에 표시될 RGB 비디오 데이터를 휘도 성분과 색상 성분으로 변환하고, 이 중 휘도 정보를 포함하는 Y 데이터의 비트 수를 확장하여 패널결함영역, 경계부 및 링크픽셀의 휘도를 조절함으로써, 휘도의 미세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상단계는, 보상데이터를 프레임 레이트 컨트롤(Frame Rate Control : FRC) 방법을 이용하여 다수의 프레임에 분산시키고, 패널결함영역, 경계부 및 링크픽셀에 공급될 비디오 데이터를 다수의 프레임에 분산된 보상데이터로 증감시킨다. 여기서, 프레임 레이트 컨트롤은 시감의 적분효과를 이용한 영상 제어 방법으로써, 다른 색상 또는 계조를 나타내는 픽셀들의 시간적 배열로써 그 사이의 색상 또는 계조를 표현하는 영상을 만들어 내는 화질제어 방법을 말하며, 픽셀들의 시간적 배열은 프레임 기간(Frame period)을 단위로 한다. 프레임 기간이란 필드 기간(Field Period)이라고도 하며, 한 화면의 모든 픽셀들에 데이터가 인가되는 한 화면의 표시기간을 말하며, 이 프레임 기간은 NTSC 방식의 경우 1/60 초이고 PAL 방식의 경우 1/50 초로 표준화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상단계는, 보상데이터를 디더링(Dithering) 방법을 이용하여 이웃하는 다수의 픽셀들에 분산시키고, 패널결함영역, 경계부 및 링크픽셀에 공급될 데이터를 다수의 픽셀들에 분산된 보상데이터로 증감시킨다. 여기서, 디더링은 시감의 적분효과를 이용한 영상 제어 방법으로써, 다른 색상 또는 계조를 나타내는 픽셀들의 공간적 배열로써 그 사이의 색상 또는 계조를 표현하는 영상을 만들어 내는 화질제어 방법을 말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보상단계는, 보상데이터를 프레임 레이트 컨트롤 방법을 이용하여 다수의 프레임에 분산시킴과 아울러 디더링 방법을 이용하여 이웃하는 다수의 픽셀들에 보상값을 분산시키고, 패널결함영역, 경계부 및 링크픽셀에 공급될 데이터를 다수의 프레임 및 픽셀들에 분산된 보상데이터로 증감시킨다.
프레임 레이트 컨트롤과 디더링 방법에 대하여 도 20 내지 2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0 계조와 1 계조만이 표시 가능한 픽셀들로 구성되는 화면에서 1/4계조, 1/2계조, 3/4계조 등과 같은 중간 계조를 표현하려는 경우, 프레임 레이트 컨트롤 방법에서는 도 20의 (a)와 같이 4 프레임을 프레임 그룹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4 개의 프레임 기간 중 1 개의 프레임 기간 동안 어느 한 픽셀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에 '1'을 가산하면 관찰자는 그 픽셀에서 디지털 데이터의 계조+1/4계조를 느끼게 된다. 도 20의 (b)와 같이 4 개의 프레임 기간 중 2 개의 프레임 기간 동안 어느 한 픽셀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들에 '1'을 가산하면, 관찰자는 그 픽셀에서 디지털 데이터의 계조+1/2계조를 느끼게 된다. 도 20의 (c)와 같이 4 개의 프레임 기간 중에 3 개의 프레임 기간 동안 어느 한 픽셀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들에 '1'을 가산하면, 관찰자는 그 픽셀에서 디지털 데이터의 계조+3/4계조를 느끼게 된다.
디더링 방법에서는 도 21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2×2 픽셀구조, 즉 4 개의 픽셀을 한 픽셀그룹으로 한 디더패턴(Pw)에서 4 개의 픽셀들 중에 1 개의 픽셀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에 '1'을 가산하면 이 디더패턴(Pw)에서 관찰자는 디지털 데이터의 계조+1/4계조를 느끼게 된다. 도 21의 (b)와 같이 디더패턴(Pw)에서 4 개의 픽셀들 중에 2 개의 픽셀들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들에 '1'을 가산하면 이 디더패턴(Pw)에서 관찰자는 디지털 데이터의 계조+1/2계조를 느끼게 된다. 도 21의 (c)와 같이 디더패턴(Pw)에서 4 개의 픽셀들 중에 3 개의 픽셀들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들에 '1'을 가산하면 이 디더패턴(Pw)에서 관찰자는 디지털 데이터의 계조+3/4계조를 느끼게 된다.
이러한 프레임 레이트 컨트롤 방법과 디더링 방법을 함께 이용하는 방법으로써, 도 22는 2×2 픽셀구조를 한 픽셀그룹으로 한 디더패턴과, 이 디더패턴에 대하여 4 프레임 기간을 단위로 하여 프레임 레이트 컨트롤을 동시에 적용하여 중간 계조를 표현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2×2 디더패턴 및 4 개의 프레임 기간을 단위로 한 프레임 레이트 컨트롤을 실시하면, 도 22의 (a)와 같이 4 개의 프레임 기간 동안 2×2 디더패턴이 표현하는 계조는 1/4 계조이므로 4 개의 프레임 기간 동안 관찰자는 2×2 디더패턴에서 1/4 계조를 느끼게 된다. 도 22의 (b)와 같이 4 개의 프레임 기간 동안 2×2 디더패턴이 표현하는 계조는 1/2 계조이므로 4 개의 프레임 기간 동안 관찰자는 2×2 디더패턴에서 1/2 계조를 느끼게 된다. 도 22의 (c)와 같이 4 개의 프레임 기간 동안 2×2 디더패턴이 표현하는 계조는 3/4 계조이므로 4 개의 프레임 기간 동안 관찰자는 2×2 디더패턴에서 3/4 계조를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 레이트 컨트롤과 디더링을 함께 적용하는 화질제어 방법은 프레임 레이트 컨트롤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플리커(Flicker)와 디더링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해상도 저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프레임 레이트 컨트롤에 있어서의 프레임 그룹을 형성하는 프레임 수나 디더링에 있어서의 디더패턴의 크기 및 디더패턴 내의 보상픽셀 위치와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조정될 수 있다. 그 예로써 도 23은 8(픽셀)×8(픽셀) 크기의 디더패턴을 8 프레임을 단위로 하여 프레임 레이트 컨트롤 방법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패널결함영역, 경계부 및 링크픽셀에 대하여 위치별, 계조별 보상데이터가 아래의 표 3에서와 같이 결정된 경우, '위치 1'에 공급될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가 '계조구간 2'에 해당하는 '01000000(64)'이면 '011(3)'의 보상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20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은 패턴으로 프레임 레이트 컨트롤 및 디더링을 실시함으로써 '위치 1'에 공급될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변조하고, '위치 4'에 공급될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가 '계조구간 3'에 해당하는'10000000(128)'이면 '110(6)'의 보상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23의 (g)에서 보는 바와 같은 패턴으로 프레임 레이트 컨트롤 및 디더링을 실시함으로써 '위치 4'에 공급될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변조한다.
구 분 계조 영역 위치 1 위치 2 위치 3 위치 4
계조구간 1 00000000(0) ∼ 00110010(50) 010(2) 011(3) 010(2) 100(4)
계조구간 2 00110011(51) ∼ 01110000(112) 011(3) 100(4) 010(2) 101(5)
계조구간 3 01110001(113) ∼ 10111110(190) 100(4) 101(5) 011(3) 110(6)
계조구간 4 10111111(191) ∼ 11111010(250) 101(5) 110(6) 011(3) 111(7)
도 24a 내지 도 26d는 디더패턴을 이용한 프레임 컨트롤 레이트 방법의 다른 예들을 나타낸다.
도 24a 내지 도 24c는 8(픽셀)×32(픽셀)의 디더패턴을 이용하여 보상치 1/8, 2/8, 3/8, 4/8, 5/8, 6/8, 7/8, 1을 입력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에 가감하는 프레임 레이트 컨트롤 방법을 나타낸다. 각 디더패턴들에서 적색은 '1'이 가산 또는 감산되는 픽셀들이며, 회색은 '0'이 가산 또는 감산되는 픽셀들이다. 각각의 디더패턴 크기 8×32 는 많은 실험을 통해 동일 패턴들이 반복되더라도 관찰자가 반복주기를 거의 인식하지 못하고 서로 다른 보상치를 표현하는 디더패턴들 사이에 경계가 보이지 않도록 결정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각의 보상치를 표현하는 디더패턴들의 크기를 8×32 보다 큰 크기의 디더패턴 예컨대, 16×32, 24×32, 32×32, 16×40, 16×44 크기의 디더패턴을 적용할 수 있다.
각각의 디더패턴들 내에는 자신의 보상치와 동일하고 서로 보상치가 가감되는 픽셀들의 위치가 다르게 결정된 4 개의 서브 디더패턴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보상치 1/8의 디더패턴은 도 25a와 같은 보상치 1/8의 제1 서브 디더패턴, 도 25b와 같은 보상치 1/8의 제2 서브 디더패턴, 도 25c와 같은 보상치 1/8의 제3 서브 디더패턴, 및 도 25d와 같은 보상치 1/8의 제4 서브 디더패턴들을 포함한다.
x를 좌에서 우로 순번이 1씩 증가하는 횡방향이라 하고, y를 위에서 아래로 순번이 1씩 증가하는 종방향이라 하고 보상치가 적용되는 픽셀을 'P[x,y]'로 가정할 때, 제1 서브 디더패턴에서 보상치 '1'이 가산 또는 감산되는 픽셀들은 도 25a와 같이 P[1,1], P[1,5], P[2,2], P[2,6], P[5,3], P[5,7], P[6,4], P[6,8]이다. 제2 서브 디더패턴에서 보상치 '1'이 가산 또는 감산되는 픽셀들은 도 25b와 같이 P[3,3], P[3,7], P[4,4], P[4,8], P[7,1], P[7,5], P[8,2], P[8,6]이고, 제3 서브 디더패턴에서 보상치 '1'이 가산 또는 감산되는 픽셀들은 도 25c와 같이 P[1,3], P[1,7], P[2,4], P[2,8], P[5,1], P[5,5], P[6,2], P[6,6]이다. 그리고 제4 서브 디더패턴에서 보상치 '1'이 가산 또는 감산되는 픽셀들은 도 25d와 같이 P[3,1], P[3,5], P[4,2], P[4,6], P[7,3], P[7,7], P[8,4], P[8,8]이다.
이러한 보상치 1/8의 디더패턴은 제1 프레임 기간에서 위에서 아래로 제1 서브 디더패턴, 제2 서브 디더패턴, 제3 서브 디더패턴 및 제4 서브 디더패턴이 배치되고, 상하/좌우에서 보상치가 가감되는 픽셀들의 패턴이 동일하게 반복되지 않도록 각 서브 디더패턴들에서 보상치가 가감되는 픽셀들의 위치가 좌우 또는 상하로 쉬프트된다. 이러한 서브 디더패턴들의 배치는 도 25a와 같이 각 프레임 기간마다 다르게 된다. 즉, 제2 프레임 기간에서 보상치 1/8의 디더패턴은 위에서 아래로 제2 서브 디더패턴, 제3 서브 디더패턴, 제4 서브 디더패턴 및 제1 서브 디더패턴이 배치되고, 각 서브 디더패턴들에서 보상치가 가감되는 픽셀들의 위치가 좌우 또는 상하로 쉬프트된다. 제3 프레임 기간에서 보상치 1/8의 디더패턴은 위에서 아래로 제3 서브 디더패턴, 제4 서브 디더패턴, 제1 서브 디더패턴 및 제2 서브 디더패턴이 배치되고, 각 서브 디더패턴들에서 보상치가 가감되는 픽셀들의 위치가 좌우 또는 상하로 쉬프트된다. 그리고 제4 프레임 기간에서 보상치 1/8의 디더패턴은 위에서 아래로 제4 서브 디더패턴, 제1 서브 디더패턴, 제2 서브 디더패턴 및 제3 서브 디더패턴이 배치되고, 각 서브 디더패턴들에서 보상치가 가감되는 픽셀들의 위치가 좌우 또는 상하로 쉬프트된다. 제5 내지 제6 프레임 기간 동안 보상치 1/8의 디더패턴은 제1 내지 제4 프레임 기간을 반복한다.
보상치 1/8의 디더패턴과 마찬가지로, 도 5a 내지 도 5c와 같이 2/8 디더패턴, 3/8 디더패턴, 4/8 디더패턴, 5/8 디더패턴, 6/8 디더패턴, 및 7/8 디더패턴은 보상치를 'I'라 하고 'J'를 서브 디더패턴의 개수라 할 때, 보상치가 I이고 그 보상치가 가감되는 픽셀들의 패턴이 서로 다른 J 개의 서브 디더패턴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디더패턴들은 J 개의 프레임 각각에서 서브 디더패턴들의 배치가 다르며 J+1 개의 프레임 기간 주기로 동일한 보상치의 디더패턴들이 나타난다.
도 26a 내지 도 26d의 디더패턴들은 도 5a 내지 도 5c와 마찬가지 조건에서 설계된 디더패턴들의 다른 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상단계의 제3 내지 제5 실시예는 표시장치의 데이터 처리용량에 따라 표시장치의 화면이 표현할 수 있는 색상 또는 계조를 더욱 세분화하여 표현할 수 있는 프레임 레이트 컨트롤 및/또는 디더링과 같은 화질제어 방법을 통해 패널결함영역 및 경계부의 휘도를 보상함으로써 자연스럽고 고급스러운 화질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도 27과 같이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변조하여 액정표시패널(103)을 구동하는 구동부(110)에 공급하는 보상회로(105)를 구비한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데이터라인(106)들과 게이트라인(108)들이 교차하고 그 교차부에 액정셀(Clc)을 구동하기 위한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된 표시패널(103)과, 표시패널(103)의 패널결함 위치에 공급될 입력데이터(Ri, Bi, Gi)를 변조하여 보정된 데이터(Rc/Gc/Bc)를 발생하는 보상회로(105)와, 데이터라인(106)들에 보정된 데이터(Rc/Gc/Bc)를 공급하는데이터 구동회로(101)와, 게이트라인(108)들에 스캔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회로(102)와, 구동회로들(101, 102)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104)를 구비한다.
표시패널(103)은 두 장의 기판(TFT 기판, 컬러필터 기판)의 사이에 액정분자들이 주입된다. TFT 기판상에 형성된 데이터라인(106)들과 게이트라인(108)들은 상호 직교한다. 데이터라인(106)들과 게이트라인(108)들의 교차부에 형성된 TFT는 게이트라인(108)으로부터의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라인(106)을 경유하여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을 액정셀(Clc)의 픽셀전극에 공급한다. 칼라필터 기판 상에는 도시하지 않은 블랙매트릭스, 컬러필터 및 공통전극이 형성된다. 한편, 컬러필터 기판 상에 형성되는 공통전극은 전계 인가 방식에 따라 TFT 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TFT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에는 서로 수직의 편광축을 가지는 편광판이 각각 부착된다.
보상회로(105)는 시스템 인터페이스(System Interface)로부터 입력데이터(Ri/Gi/Bi)를 공급받아 패널결함 위치, 즉패널결함영역, 경계부 및 링크픽셀에 공급될 입력데이터(Ri/Gi/Bi)를 변조하여 보정된 데이터(Rc/Gc/Bc)를 발생한다. 보상회로(105)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타이밍 컨트롤러(104)는 보상회로(105)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보정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c/Gc/Bc)를 도트 클럭(DCLK)에 맞추어 데이터 구동회로(101)에 공급함과 아울러 수직/수평 동기신호(Vsync, 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및 도트 클럭(DCLK)을 이용하여 게이트 구동회로(102)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GDC), 데이터 구동회로(101)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DDC)를 발생한다.
데이터 구동회로(101)는 타이밍 컨트롤러(104)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공급되는 보정된 데이터(Rc/Gc/Bc)를 아날로그 감마보상전압(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라인들(106)에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회로(102)는 데이터전압이 공급될 수평라인을 선택하는 스캔신호를 게이트라인들(108)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데이터라인들(106)로부터의 데이터전압은 스캔신호에 동기하여 1 수평라인의 액정셀들(Clc)에 공급된다.
이하, 도 28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보상회로(105)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상회로(105)는 표시패널(103)상의 패널결함영역, 경계부 및 링크픽셀의 위치데이터(PD)와 보상데이터(CD)가 저장되는 EEPROM(122)과, EEPROM(122)에 저장된 위치데이터(PD)와 보상데이터(CD)를 이용하여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입력데이터(Ri/Gi/Bi)를 변조하여 보정된 데이터(Rc/Gc/Bc)를 발생하는 보상부(121)와, 보상회로(105)와 외부 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124)와, 인터페이스 회로(124)를 경유하여 EEPROM(122)에 저장될 데이터가 임시 저장되는 레지스터(123)를 구비한다.
EEPROM(122)에는 액정표시패널(103) 상의 패널결함영역, 경계부 및 링크픽셀의 위치를 각각 지시하는 위치데이터(PD) 및 패널결함영역, 경계부 및 링크픽셀 각각에 대한 보상데이터(CD)가 저장된다. 보상데이터(CD)는 상술한 제1 내지 제5 보상데이터를 포함한다. EEPROM(122)은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위치데이터(PD) 및 보상데이터(CD)의 갱신이 가능하다.
인터페이스 회로(124)는 보상회로(105)와 외부 시스템 간의 통신을 위한 구성으로써 이 인터페이스 회로(124)는 I2C 등의 통신 표준 프로토콜 규격에 맞춰 설계된다. 외부 시스템에서는 이 인터페이스 회로(124)를 통해 EEPROM(122)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이거나 수정할 수 있다. 즉, EEPROM(122)에 저장된 위치데이터(PD)들 및 보상데이터(CD)들은 공정상 변화, 적용 모델간 차이 등과 같은 이유에 의해 갱신이 요구되며, 사용자는 갱신하고자 하는 위치데이터(UPD) 및 보상데이터(UCD)를 외부 시스템에서 공급하여 EEPROM(122)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다.
레지스터(123)에는 EEPROM(122)에 저장된 위치데이터(PD) 및 보상데이터(CD)를 갱신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 회로(124)를 통해 전송되는 갱신하고자 하는 위치데이터(UPD) 및 보상데이터(UCD)가 임시 저장된다.
보상부(121)는 EEPROM(122)에 저장된 위치데이터(PD) 및 보상데이터(CD)를 이용하여 패널결함영역, 경계부 및 링크픽셀에 공급될 입력데이터(Ri, Gi, Bi)를 조절하여 보정된 데이터(Rc, Gc, Bc)를 발생한다.
도 29 내지 도 36은 보상부(121)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2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상부(121)는 위치 판단부(281), 계조 판단부(282R, 282G, 282B), 어드레스 생성부(283R, 283G, 283B) 및 연산기(285R, 285G, 285B)를 구비한다. 한편, 도 29 및 그 이하의 도면에서 R, G, B는 적(R), 녹(G), 청(B) 별 구성을 의미한다.
위치 판단부(281)는 수직/수평 동기신호(Vsync, 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및 도트 클럭(DCLK)을 이용하여 입력데이터(Ri, Gi, Bi)의 액정표시패널(103)상 표시 위치를 판단한다.
계조 판단부(282R, 282G, 282B)는 입력데이터(Ri, Gi, Bi)의 계조 또는 입력데이터(Ri, Gi, Bi)의 계조가 포함되는 계조 구간을 분석한다.
어드레스 생성부(283R, 283G, 283B)는 EEPROM(122R, 122G, 122B)에 저장된 위치데이터와 위치 판단부(281) 및 계조 판단부(282R, 282G, 282B)로부터 공급되는 입력데이터(Ri, Gi, Bi)의 표시 위치 및 계조 정보를 이용하여 EEPROM(122R, 122G, 122B)으로부터 보상데이터(CDR, CDG, CDB)를 읽어내기 위한 리드 어드레스(Read Address)를 생성하고, 이 리드 어드레스를 EEPROM(122R, 122G, 122B)에 공급한다. 리드 어드레스에 따라 EEPROM(122R, 122G, 122B)으로부터 출력되는 보상데이터(CDR, CDG, CDB)는 연산기(285R, 285G, 285B)에 공급된다.
연산기(285R, 285G, 285B)는 입력데이터(Ri, Gi, Bi)를 보상데이터(CDR, CDG, CDB)로 증감하여 보정된 데이터(Rc, Gc, Bc)를 발생한다. 한편, 연산기(285R, 285G, 285B)는 가산기, 감산기 이외에도 입력데이터(Ri, Gi, Bi)에 보상데이터(CDR, CDG, CDB)를 승산하거나 제산하는 승산기 또는 제산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상부(121)는 RGB to YUV 변환기(206), 위치 판단부(201), 계조 판단부(202), 어드레스 생성부(203), 연산기(205) 및 YUV to RGB 변환기(207)를 구비한다. 이러한 보상부(121)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정보를 포함하는 m/m/m 비트의 R/G/B 입력데이터(Ri, Gi, Bi)를 휘도(Y) 및 색상(U, V) 정보를 포함하는 n/n/n(n은 m보다 큰 정수) 비트의 Y/U/V 데이터(Yi, Ui, Vi)로 변환하고, n 비트의 Y 데이터(Yi)를 EEPROM(122Y)에 저장된 제1 보상데이터(CDY)로 증감하여 보정된 Y 데이터(Yc)를 발생하고, 보정된 Y 데이터(Yc) 및 미보정된 U/V 데이터(Ui, Vi)를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정보를 포함하는 m/m/m 비트의 보정된 데이터(Rc, Gc, Bc)로 변환한다.
RGB to YUV 변환기(206)는 m/m/m 비트의 R/G/B 데이터를 가지는 입력데이터(Ri/Gi/Bi)를 변수로 하는 아래의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을 이용하여 n/n/n 비트의 휘도정보(Yi)와 색상정보(Ui/Vi)를 산출한다.
Yi = 0.299Ri + 0.587Gi + 0.114Bi
Ui = -0.147Ri - 0.289Gi + 0.436Bi = 0.492(Bi - Y)
Vi = 0.615Ri - 0.515Gi - 0.100Bi = 0.877(Ri - Y)
위치 판단부(201)는 수직/수평 동기신호(Vsync, 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및 도트 클럭(DCLK)을 이용하여 입력데이터(Ri/Gi/Bi)의 표시 위치를 판단한다.
계조 판단부(202)는 RGB to YUV 변환기(206)로부터의 휘도정보(Yi)를 기반으로 입력데이터(Ri/Gi/Bi)의 계조를 분석한다.
어드레스 생성부(203)는 EEPROM(122Y)에 저장된 패널결함영역의 위치데이터와 위치 판단부(201) 및 계조 판단부(202)로 부터 공급되는 입력데이터(Ri/Gi/Bi) 의 표시 위치 및 계조 정보를 이용하여 EEPROM(122Y)으로부터 제1 보상데이터(CDY)를 읽어내기 위한 리드 어드레스(Read Address)를 생성하고, 이 리드 어드레스를 EEPROM(122Y)에 공급한다. 리드 어드레스에 따라 EEPROM(122Y)으로부터 출력되는 보상데이터(CDY)는 연산기(205)에 공급된다.
연산기(205)는 RGB to YUV 변환기(206)로부터의 n 비트 휘도 정보(Yi)에 EEPROM(122Y)으로부터의 보상데이터(CDY)를 가산 또는 감산하여 패널결함영역에 표시될 입력데이터(Ri, Gi, Bi)의 휘도를 변조한다. 여기서, 연산기(205)는 가산기, 감산기 이외에도 n 비트 휘도 정보(Yi)에 보상데이터를 승산하거나 제산하는 승산기 또는 제산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YUV to RGB 변환기(207)는 연산기(205)에 의해 변조된 휘도정보(Yc)와 RGB to YUV 변환기(206)로부터의 색차정보(Ui, Vi)를 변수로 하는 아래의 수학식 4 내지 수학식 6을 이용하여 m/m/m 비트의 보정된 데이터(Rc, Gc, Bc)를 산출한다.
Rm = Yc + 1.140Vi
Gm = Yc - 0.395Ui - 0.581Vi
Bm = Yc + 2.032Ui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상부는 비트수가 확장되어 더 세분화된 계조정보를 포함하는 n 비트의 휘도정보(Yi)를 보상데이터로 증감함으 로써 입력데이터(Ri, Gi, Bi)의 패널결함영역, 경계부 및 픽크픽셀에 표시될 휘도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상부(121)는 위치 판단부(141), 계조 판단부(142R, 142G, 142B), 어드레스 생성부(143R, 143G, 143B) 및 FRC 제어부(145R, 145G, 145B)를 구비한다. 이러한 보상부(121)는 EEPROM(122R, 122G, 122B)에 저장된 보상데이터(CDR, CDG, CDB)를 이용하여 패널결함영역, 경계부 및 링크픽셀에 공급될 입력데이터(Ri, Gi, Bi)를 프레임 레이트 컨트롤 방법으로 변조한다.
위치 판단부(141)는 수직/수평 동기신호(Vsync, 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및 도트 클럭(DCLK)을 이용하여 입력데이터(Ri/Gi/Bi)의 액정표시패널(103)상 표시 위치를 판단하고, 입력데이터(Ri/Gi/Bi)의 표시 위치에 대한 정보를 EEPROM(122R, 122G, 122B)에 공급한다.
계조 판단부(142R, 142G, 142B)는 입력데이터(Ri/Gi/Bi)의 계조 또는 입력데이터(Ri/Gi/Bi)의 계조가 포함되는 계조구간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EEPROM(122R, 122G, 122B)에 공급한다.
어드레스 생성부(143R, 143G, 143B)는 EEPROM(122R, 122G, 122B)에 저장된 패널결함영역의 위치데이터, 위치 판단부(141)의 위치 판단결과 및 계조 판단부(142R, 142G, 142B)의 계조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EEPROM(122R, 122G, 122B)으로부터 보상데이터(CDR, CDG, CDB)를 읽어내기 위한 리드 어드레스(Read Address)를 생성하고, 이 리드 어드레스를 EEPROM(122R, 122G, 122B)에 공급한다. 리드 어드레 스에 따라 EEPROM(122R, 122G, 122B)으로부터 출력되는 보상데이터(CDR, CDG, CDB)는 FRC 제어부(145R, 145G, 145B)에 공급된다.
FRC 제어부(145R, 145G, 145B)는 EEPROM(122R, 122G, 122B)으로부터의 보상데이터(CDR, CDG, CDB)를 다수의 프레임에 분산시키고, 분산된 보상데이터(CDR, CDG, CDB)로 패널결함영역에 표시될 입력데이터(Ri/Gi/Bi)를 증감한다. 이 FRC 제어부(145R, 145G, 145B)는 적색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한 제1 FRC 제어부(145R), 녹색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한 제2 FRC 제어부(145G), 및 청색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한 제3 FRC 제어부(145B)를 포함한다.
도 32를 참조하면, 제1 FRC 제어부(145R)는 보상값 판정부(153), 프레임 수 감지부(151) 및 연산기(154)를 구비한다.
보상값 판정부(153)는 R 보상값을 판정하고 그 보상값을 프레임 수에 따라 나누어진 값으로 FRC 데이터(FD)를 발생한다. 이 보상값 판정부(153)는 R 보상데이터(CDR)에 따라 FRC 데이터(FD)가 자동 출력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예컨대, 보상값 판정부(153)에는 2진 데이터로 표현되는 R 보상데이터(CDR)가 '00'이면 0 계조, '01'이면 1/4 계조, '10'이면 1/2 계조, '11'이면 3/4 계조에 대한 보상값으로 인식하도록 미리 프로그래밍되어 있고, 도 20에서와 같이 FRC 제어를 위한 단위프레임을 4 프레임으로 하는 경우, 보상값 판정부(153)는 '01'의 R 보상데이터(CDR)가 공급되면 도 20의 (a)에서와 같이 제1 내지 제4 프레임 중 어느 한 프레임에 1 계조가 가산되도록 가산될 한 프레임에 '1'의 FRC 데이터(FD)를 발생하고, 나머지 3 프레임에 '0'의 FRC 데이터(FD)를 발생한다. 이때, 보상값 판정부(153)에는 R 보상 데이터(CDR)가 분산될 프레임을 각각 다르게 지정하는 다수의 FRC 패턴들이 결정될 수 있다.
프레임 수 감지부(151)는 수직/수평 동기신호(Vsync,Hsync), 도트클럭(DCLK)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프레임 수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수 감지부(151)는 수직 동기신호(Vsync)를 카운팅하여 프레임 수를 감지할 수 있다.
연산기(154)는 패널결함영역에 공급될 R 입력데이터(Ri)를 FRC 데이터(FD)로 증감하여 보정된 R 데이터(Rc)를 발생한다.
한편, 제1 FRC 제어부(145R)에는 보정될 R 입력데이터(Ri)와 R 보상데이터(CDR)가 각각 다른 데이터 전송 회선을 경유하여 공급되거나, 보정될 R 입력데이터(Ri)와 R 보상데이터(CDR)가 병합되어 동일 회선으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될 R 입력데이터(Ri)가 8 비트인 '01000000'이고 R 보상데이터(CDR)가 3 비트인 '011'인 경우, '01000000'과 '011'이 각각 다른 데이터 전송 회선을 경유하여 제1 FRC 제어부(145R)에 공급되거나, '01000000011'의 11 비트 데이터로 병합되어 제1 FRC 제어부(145R)에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정될 R 입력데이터(Ri)와 R 보상데이터(CDR)가 11 비트 데이터로 병합되어 제1 FRC 제어부(145R)에 공급되는 경우 제1 FRC 제어부(145R)는 11 비트 데이터 중 상위 8 비트를 보정될 R 입력데이터(Ri)로 인식하고, 하위 3 비트를 R 보상데이터(CDR)로 인식하여 FRC 제어를 실시한다. 한편, 위에서 '01000000'과 '011'이 병합된 '01000000011'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 예로써, '01000000'의 최하위 비트에 더미(dummy) 비트 '000'을 추 가하여 '01000000000'로 변환하고, 여기에 '011'을 가산하여 '01000000011'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이 있다.
제2 및 제3 FRC 제어부(145G, 145B)는 제1 FRC 제어부(145R)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회로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제2 및 제3 FRC 제어부(145G, 145B)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상부(121)는 R, G, B 데이터가 각각 8 비트이고 프레임 레이트 컨트롤을 위한 단위프레임을 4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보상값을 시간적으로 분산시키는 것으로 가정할 때, 패널결함영역에 표시될 데이터를 R, G, B 각각에 대하여 1021 계조로 세분화된 보상값으로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상부(121)는 위치 판단부(161), 계조 판단부(162R, 162G, 162B), 어드레스 생성부(163R, 163G, 163B) 및 디더링 제어부(165R, 165G, 165B)를 구비한다. 이러한 보상부(121)는 EEPROM(122R, 122G, 122B)에 저장된 보상데이터(CDR, CDG, CDB)를 이용하여 패널결함영역에 공급될 입력데이터(Ri, Gi, Bi)를 디더링 방법으로 변조한다.
위치 판단부(161)는 수직/수평 동기신호(Vsync, 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및 도트 클럭(DCLK)을 이용하여 입력데이터(Ri/Gi/Bi)의 액정표시패널(103)상 표시 위치를 판단한다.
계조 판단부(162R, 162G, 162B)는 입력데이터(Ri/Gi/Bi)의 계조 또는 입력데이터(Ri/Gi/Bi)의 계조가 포함되는 계조구간을 분석한다.
어드레스 생성부(163R, 163G, 163B)는 EEPROM(122R, 122G, 122B)에 저장된패널결함영역의 위치데이터와 위치 판단부(161) 및 계조 판단부(162R, 162G, 162B)로 부터 공급되는 입력데이터(Ri/Gi/Bi)의 표시 위치 및 계조 정보를 이용하여 EEPROM(122R, 122G, 122B)으로부터 보상데이터(CDR, CDG, CDB)를 읽어내기 위한 리드 어드레스(Read Address)를 생성하고, 이 리드 어드레스를 EEPROM(122R, 122G, 122B)에 공급한다. 리드 어드레스에 따라 EEPROM(122R, 122G, 122B)으로부터 출력되는 보상데이터(CDR, CDG, CDB)는 디더링 제어부(165R, 165G, 165B)에 공급된다.
디더링 제어부(165R, 165G, 165B)는 EEPROM(122R, 122G, 122B)으로부터의 보상데이터(CDR, CDG, CDB)를 다수의 픽셀을 포함한 단위윈도우 내의 각 픽셀들에 분산시키고, 분산된 보상데이터(CDR, CDG, CDB)로 패널결함영역에 표시될 입력데이터(Ri/Gi/Bi)를 증감한다. 이 디더링 제어부(165R, 165G, 165B)는 적색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한 제1 디더링 제어부(165R), 녹색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한 제2 디더링 제어부(165G), 및 청색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한 제3 디더링 제어부(165B)를 포함한다.
도 34을 참조하면, 제1 디더링 제어부(165R)는 보상값 판정부(173), 픽셀 위치 감지부(172) 및 연산기(174)를 구비한다.
보상값 판정부(173)는 R 보상값을 판정하고 그 보상값을 단위윈도우 내에 포함된 픽셀들에 분산될 값으로 디더링 데이터(DD)를 발생한다. 이 보상값 판정부(173)는 R 보상데이터(CDR)에 따라 디더링 데이터(DD)가 자동 출력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예컨대, 보상값 판정부(173)에는 2진 데이터로 표현되는 R 보상데이 터(CDR)가 '00'이면 0 계조, '01'이면 1/4 계조, '10'이면 1/2 계조, '11'이면 3/4 계조에 대한 보상값으로 인식하도록 미리 프로그래밍되어 있고, 도 21에서와 같이 4 픽셀을 포함한 단위윈도우에 대하여 디더링을 실시하는 경우, 보상값 판정부(173)는 '01'의 R 보상데이터(CDR)가 공급되면 도 21의 (a)에서와 같이 단위윈도우 내의 한 픽셀 위치에서 '1'을 디더링 데이터(DD)로 발생하는 반면, 나머지 3 픽셀 위치들에서 '0'을 디더링 데이터(DD)로 발생한다. 이때, 보상값 판정부(173)에는 단위윈도우 내에서 R 보상데이터(CDR)가 분산될 픽셀 위치를 각각 다르게 지정하는 다수의 디더패턴들이 결정될 수 있다.
픽셀 위치 감지부(172)는 수직/수평 동기신호(Vsync,Hsync), 도트클럭(DCLK)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픽셀 위치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픽셀 위치 감지부(172)는 수평 동기신호(Hsync)와 도트클럭(DCLK)을 카운팅하여 픽셀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연산기(174)는 입력데이터(Ri/Gi/Bi)를 디더링 데이터(DD)로 증감하여 제1 보정된 R 데이터(Rc)를 발생한다.
한편, 제1 디더링 제어부(165R)에는 보정될 R 입력데이터(Ri)와 R 보상데이터(CDR)가 각각 다른 데이터 전송 회선을 경유하여 공급되거나, 보정될 R 입력데이터(Ri)와 R 보상데이터(CDR)가 병합되어 동일 회선으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될 R 입력데이터(Ri)가 8 비트인 '01000000'이고 R 보상데이터(CDR)가 3 비트인 '011'인 경우, '01000000'과 '011'이 각각 다른 데이터 전송 회선을 경유하여 제1 디더링 제어부(165R)에 공급되거나, '01000000011'의 11 비트 데이터로 병 합되어 제1 디더링 제어부(165R)에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정될 R 입력데이터(Ri)와 R 보상데이터(CDR)가 11 비트 데이터로 병합되어 제1 디더링 제어부(165R)에 공급되는 경우 제1 디더링 제어부(165R)는 11 비트 데이터 중 상위 8 비트를 보정될 R 입력데이터(Ri)로 인식하고, 하위 3 비트를 R 보상데이터(CDR)로 인식하여 디더링 제어를 실시한다. 한편, 위에서 '01000000'과 '011'이 병합된 '01000000011'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 예로써, '01000000'의 최하위 비트에 더미(dummy) 비트 '000'을 추가하여 '01000000000'로 변환하고, 여기에 '011'을 가산하여 '01000000011'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이 있다.
제2 및 제3 디더링 제어부(165G, 165B)는 제1 디더링 제어부(165R)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회로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제2 및 제3 디더링 제어부(165G, 165B)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상부(121)는 R, G, B 데이터가 각각 8 비트이고 디더링을 위한 단위윈도우를 4 픽셀로 구성하여 보상값을 공간적으로 분산시키는 것으로 가정할 때, 패널결함영역에 표시될 데이터를 R, G, B 각각에 대하여 1021 계조로 세분화된 보상값으로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보상부(121)는 위치 판단부(181), 계조 판단부(182R, 182G, 182B), 어드레스 생성부(183R, 183G, 183B), 및 FRC/디더링 제어부(185R, 185G, 185B)를 구비한다. 이러한 보상부(121)는 EEPROM(122R, 122G, 122B)에 저장된 보상데이터(CDR, CDG, CDB)를 이용하여 패널결함영역에 공급될 입력데이터(Ri, Gi, Bi)를 프레임 레이트 컨트롤 및 디더링 방법 으로 변조한다.
위치 판단부(181)는 수직/수평 동기신호(Vsync, 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및 도트 클럭(DCLK)을 이용하여 입력데이터(Ri/Gi/Bi)의 액정표시패널(103)상 표시 위치를 판단한다.
계조 판단부(182R, 182G, 182B)는 입력데이터(Ri/Gi/Bi)의 계조 또는 입력데이터(Ri/Gi/Bi)의 계조가 포함되는 계조 구간을 분석한다.
어드레스 생성부(183R, 183G, 183B)는 EEPROM(122R, 122G, 122B)에 저장된 패널결함영역의 위치데이터와 위치 판단부(181) 및 계조 판단부(182R, 182G, 182B)로 부터 공급되는 입력데이터(Ri/Gi/Bi)의 표시 위치 및 계조 정보를 이용하여 EEPROM(122R, 122G, 122B)으로부터 보상데이터(CDR, CDG, CDB)를 읽어내기 위한 리드 어드레스(Read Address)를 생성하고, 이 리드 어드레스를 EEPROM(122R, 122G, 122B)에 공급한다. 리드 어드레스에 따라 EEPROM(122R, 122G, 122B)으로부터 출력되는 보상데이터(CDR, CDG, CDB)는 FRC/디더링 제어부(185R, 185G, 185B)에 공급된다.
FRC/디더링 제어부(185R, 185G, 185B)는 EEPROM(122R, 122G, 122B)으로부터의 보상데이터(CDR, CDG, CDB)를 도 23 내지 도 26의 디더패턴들을 이용하여 디더패턴들 내의 픽셀들에 분산시킴과 아울러 다수의 프레임 기간들로 분산시키고, 분산된 보상데이터(CDR, CDG, CDB)로 패널결함영역에 표시될 입력데이터(Ri/Gi/Bi)를 증감한다. 이 FRC/디더링 제어부(185R, 185G, 185B)는 적색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한 제1 FRC/디더링 제어부(185R), 녹색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한 제2 FRC/디더링 제 어부(185G), 및 청색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한 제3 FRC/디더링 제어부(185B)를 포함한다.
도 36을 참조하면, 제1 FRC/디더링 제어부(185R)는 보상값 판정부(193), 프레임 수 감지부(191), 픽셀 위치 감지부(192) 및 연산기(194)를 구비한다.
보상값 판정부(193)는 R 보상값을 판정하고 그 보상값을 단위윈도우 내에 포함된 픽셀들과 다수의 프레임 기간 동안 분산될 값으로 FRC/디더링 데이터(FDD)를 발생한다. 이 보상값 판정부(193)는 R 보상데이터(CDR)에 따라 FRC/디더링 데이터(FDD)가 자동 출력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예컨대, 보상값 판정부(193)에는 2진 데이터로 표현되는 R 보상데이터(CDR)가 '00'이면 0 계조, '01'이면 1/4 계조, '10'이면 1/2 계조, '11'이면 3/4 계조에 대한 보상값으로 인식하도록 미리 프로그래밍되어 있고, 도 17에서와 같이 4 프레임을 포함한 단위프레임을 프레임 레이트 컨트롤 단위로 하고, 4 픽셀을 포함한 단위윈도우를 디더링 단위로 하는 프레임 레이트 컨트롤 및 디더링을 실시하는 경우, '01'의 R 보상데이터(CDR)가 공급되면 도 17의 (a)에서와 같이 4 프레임 기간 동안 단위윈도우 내에서 1 개의 픽셀 위치에 '1'을 FRC/디더링 데이터(FDD)로 발생하고 나머지 3 개의 픽셀 위치에 '0'을 FRC/디더링 데이터(FDD)으로 발생하되, '1'이 발생되는 픽셀의 위치를 매 프레임마다 변경시킨다. 이때, 보상값 판정부(193)에는 R 보상데이터(CDR)가 분산될 프레임을 각각 다르게 지정하는 다수의 FRC 패턴 및 단위윈도우 내에서 R 보상데이터(CDR)가 분산될 픽셀 위치를 각각 다르게 지정하는 다수의 디더패턴들이 결정될 수 있다.
프레임 수 감지부(191)는 수직/수평 동기신호(Vsync,Hsync), 도트클럭(DCLK)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프레임 수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수 감지부(191)는 수직 동기신호(Vsync)를 카운팅하여 프레임 수를 감지할 수 있다.
픽셀 위치 감지부(192)는 수직/수평 동기신호(Vsync,Hsync), 도트클럭(DCLK)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픽셀 위치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픽셀 위치 감지부(192)는 수평 동기신호(Hsync)와 도트클럭(DCLK)을 카운팅하여 픽셀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연산기(194)는 R 입력데이터(Ri)를 FRC/디더링 데이터(FDD)로 증감하여 보정된 R 데이터(Rc)를 발생한다.
한편, 제1 FRC/디더링 제어부(185R)에는 보정될 R 입력데이터(Ri)와 R 보상데이터(CDR)가 각각 다른 데이터 전송 회선을 경유하여 공급되거나, 보정될 R 입력데이터(Ri)와 R 보상데이터(CDR)가 병합되어 동일 회선으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될 R 입력데이터(Ri)가 8 비트인 '01000000'이고 R 보상데이터(CDR)가 3 비트인 '011'인 경우, '01000000'과 '011'이 각각 다른 데이터 전송 회선을 경유하여 FRC/디더링 제어부(185)에 공급되거나, '01000000011'의 11 비트 데이터로 병합되어 FRC/디더링 제어부(185)에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정될 R 입력데이터(Ri)와 R 보상데이터(CDR)가 11 비트 데이터로 병합되어 FRC/디더링 제어부(185)에 공급되는 경우 FRC/디더링 제어부(185)는 11 비트 데이터 중 상위 8 비트를 보정될 R 입력데이터(Ri)로 인식하고, 하위 3 비트를 R 보상데이터(CDR)로 인식하여 FRC 및 디더링 제어를 실시한다. 한편, 위에서 '01000000'과 '011'이 병합된 '01000000011'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 예로써, '01000000'의 최하위 비트에 더미(dummy) 비트 '000'을 추가하여 '01000000000'로 변환하고, 여기에 '011'을 가산하여 '01000000011'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이 있다.
제2 및 제3 FRC/디더링 제어부(185G, 185B)는 제1 FRC/디더링 제어부(185R)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회로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제2 및 제3 FRC/디더링 제어부(185G, 185B)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보상부(121)는 R, G, B 데이터가 각각 8 비트이고 4 프레임을 프레임 레이트 컨트롤의 단위프레임으로 하고 디더링을 위한 단위윈도우를 4 픽셀로 구성하여 보상값을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분산시키는 것으로 가정할 때, 패널결함영역에 표시될 데이터를 R, G, B 각각에 대하여 플리커와 해상도 저하가 거의 없이 1021 계조로 세분화된 보상값으로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보상부(121)를 통해 보정된 데이터(Rc, Gc, Bc)는 타이밍 컨트롤러(104) 및 데이터 구동회로(101)를 경유하여 액정표시패널(103)에 공급되어 화질이 보정된 화상을 표시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와 그 화질제어 방법은 액정표시장치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액티브 매트릭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같은 다른 평판표시장치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와 그 화질제어 방법은 표시패널상의 패널결함영역에 대한 전기적인 보상과 함께 패널결함영역과 비결함영역의 경계부에 대해서도 전기적인 보상을 실시함으로써 자연스러운 화질 보상이 가능하며, 또한 불량픽셀을 정상픽셀과 링크시키는 리페어 공정으로 형성된 링크픽셀에 대하여 전기적인 보상을 실시함으로써 불량픽셀의 인지 정도를 확연히 낮출 수 있어 패널결함을 완벽하게 보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50)

  1. 비결함영역과 패널결함영역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불량 픽셀과 정상 픽셀이 상호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링크픽셀을 가지는 표시패널;
    상기 패널결함영역에서 기수 라인들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1 보상데이터, 상기 패널결함영역에서 우수 라인들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2 보상데이터, 상기 패널결함영역과 상기 비결함영역 사이의 경계부에 포함된 기수 라인들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3 보상데이터, 상기 경계부의 우수 라인들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4 보상데이터, 및 상기 링크픽셀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5 보상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상기 보상데이터들로 상기 패널결함영역, 상기 경계를 포함한 일정 영역 및 상기 링크픽셀에 표시될 데이터를 조절하는 보상부; 및
    상기 보상부에 의해 조절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상데이터와 상기 제2 보상데이터는 서로 다르거나 동일한 보상값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3 보상데이터는 이웃한 픽셀들 간에 서로 다른 보상값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4 보상데이터는 이웃한 픽셀들 간에 서로 다른 보상값으로 결정되며, 상기 제3 및 제4 보상데이터는 상기 기수 및 우수 라인들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웃한 픽셀들 간에 서로 다르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는 상기 패널결함영역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제1 경계와 상기 패널결함영역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제2 경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보상데이터는 상기 경계를 따라 배치된 픽셀들을 포함하여 상기 제1 경계로부터 상기 제2 경계까지의 1/2 거리 내에 배치된 픽셀들에 대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보상데이터는
    상기 경계부에 포함된 상기 패널결함영역의 가장자리 휘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경계부에 포함된 상기 비결함영역의 가장자리 휘도를 증가시키는 보상값으로 결정되거나,
    상기 경계부에 포함된 상기 패널결함영역의 가장자리 휘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경계부에 포함된 상기 비결함영역의 가장자리 휘도를 감소시키는 보상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7. 삭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보상데이터의 보상값은 상기 경계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보상데이터의 보상값들은 상기 패널결함영역, 상기 경계부 및 상기 링크픽셀이 중첩되는 위치에서 합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보상데이터의 보상값은 상기 패널결함영역과 상기 경계부가 중첩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보상데이터의 보상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결함영역, 상기 경계부 및 상기 링크픽셀이 중첩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보상데이터의 보상값은 상기 제5 보상데이터의 보상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2 보상데이터는 상기 패널결함영역의 위치와 상기 패널결함영역에 표시될 데이터의 계조값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고,
    상기 제3 및 제4 보상데이터는 상기 경계부 내의 픽셀위치와 상기 경계부 영역에 표시될 데이터의 계조값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고,
    상기 제5 보상데이터는 상기 링크픽셀의 위치와 상기 링크픽셀에 표시될 데이터의 계조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패널결함영역, 상기 경계부 및 상기 링크픽셀에 표시될 적색 데이터, 녹색 데이터 및 청색 데이터에서 휘도 정보 및 색차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휘도 정보를 상기 보상데이터들로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킴으로써 변조된 휘도 정보를 발생하고,
    상기 변조된 휘도 정보와 미변조된 상기 색차 정보를 이용하여 변조된 적색 데이터, 변조된 녹색 데이터 및 변조된 청색 데이터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19. 삭제
  20. 삭제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보상데이터들을 다수의 프레임 기간으로 분산시키거나, 상기 보상데이터들을 디더패턴 내의 픽셀들로 분산시키거나, 상기 보상데이터들을 상기 디더패턴 내의 픽셀들로 분산시킴과 아울러 상기 다수의 프레임 기간으로 분산시키고,
    상기 패널결함영역, 상기 경계를 포함한 경계부 영역 및 상기 링크픽셀에 공급될 데이터를 상기 분산된 보상데이터들로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더패턴들의 보상치는 서로 다르고;
    상기 디더패턴들 각각은, 상기 보상치는 동일하면서, 상기 보상데이터가 분산되는 다수의 프레임에서 프레임마다 보상 픽셀의 위치가 서로 다른 다수의 서브 디더패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23. 삭제
  24. 삭제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더패턴 각각은 8(픽셀)×32(픽셀)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26. 표시패널의 검사공정 및 리페어 공정을 통해 상기 표시패널의 패널결함영역에서 기수 라인들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1 보상데이터, 상기 패널결함영역에서 우수 라인들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2 보상데이터,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패널결함영역과 비결함영역 사이의 경계부에 포함된 기수 라인들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3 보상데이터, 상기 경계부에 포함된 우수 라인들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4 보상데이터, 및 상기 표시패널에서 이웃하는 불량 픽셀과 정상 픽셀이 상호 링크된 링크픽셀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5 보상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보상데이터들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보상데이터들로 상기 패널결함영역, 상기 경계를 포함한 일정 영역 및 상기 링크픽셀에 표시될 데이터를 조절하는 보상단계; 및
    상기 보상단계에 의해 조절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화질제어 방법.
  27. 삭제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상데이터와 상기 제2 보상데이터는 서로 다르거나 동일한 보상값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3 보상데이터는 상기 기수 라인들에서 이웃한 픽셀들 간에 서로 다른 보상값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4 보상데이터는 상기 우수 라인들에서 이웃한 픽셀들 간에 서로 다른 보상값으로 결정되며, 상기 제3 및 제4 보상데이터는 상기 기수 및 우수 라인들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웃한 픽셀들 간에 서로 다르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화질제어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는 상기 패널결함영역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제1 경계와 상기 패널결함영역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제2 경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보상데이터는 상기 제1 및 제2 경계와, 상기 제1 경계로부터 상기 제2 경계 사이의 1/2 거리 내에 배치된 픽셀들에 대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화질제어 방법.
  30. 삭제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보상데이터는
    상기 경계부에 포함된 상기 패널결함영역의 가장자리 휘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경계부에 포함된 상기 비결함영역의 가장자리 휘도를 증가시키는 보상값으로 결정되거나,
    상기 경계부에 포함된 상기 패널결함영역의 가장자리 휘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경계부에 포함된 상기 비결함영역의 가장자리 휘도를 감소시키는 보상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화질제어 방법.
  32. 삭제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보상데이터는 상기 경계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보상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화질제어 방법.
  34.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보상데이터는 상기 패널결함영역, 상기 경계부 및 상기 링크픽셀이 중첩되는 위치에서 서로 합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화질제어 방법.
  35.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보상데이터는 상기 패널결함영역과 상기 경계부가 중첩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보상데이터보다 휘도 보상 정도가 작은 보상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화질제어 방법.
  36.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결함영역, 상기 경계부 및 상기 링크픽셀이 중첩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보상데이터는 상기 제5 보상데이터보다 휘도 보상 정도가 작은 보상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화질제어 방법.
  3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상데이터는 상기 패널결함영역의 표시위치와 상기 패널결함영역에 표시될 데이터의 계조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고,
    상기 제3 및 제4 보상데이터는 상기 경계부의 표시위치와 상기 경계부에 표시될 데이터의 계조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고,
    상기 제5 보상데이터는 상기 링크픽셀의 위치와 상기 링크픽셀에 표시될 데이터의 계조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화질제어 방법.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단계는,
    상기 패널결함영역, 상기 경계부 및 상기 링크픽셀에 표시될 적색 데이터, 녹색 데이터 및 청색 데이터에서 휘도 정보 및 색차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휘도 정보를 상기 보상데이터들로 조절하여 조절된 휘도정보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절된 휘도 정보와 미조절된 상기 색차 정보를 이용하여 조절된 적색 데이터, 조절된 녹색 데이터 및 조절된 청색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화질제어 방법.
  44. 삭제
  45. 삭제
  46.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단계는,
    상기 보상데이터들을 다수의 프레임 기간으로 분산시키거나, 상기 보상데이터들을 디더패턴 내의 픽셀로 분산시키거나, 상기 보상데이터들을 상기 디더패턴 내의 픽셀들로 분산시킴과 아울러 상기 다수의 프레임 기간으로 분산시키고,
    상기 패널결함영역, 상기 경계부 및 상기 링크픽셀에 공급될 데이터를 상기 분산된 보상데이터들로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화질제어 방법.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디더패턴들의 보상치는 서로 다르고;
    상기 디더패턴들 각각은, 상기 보상치는 동일하면서, 상기 보상데이터가 분산되는 다수의 프레임에서 프레임마다 보상 픽셀의 위치가 서로 다른 다수의 서브 디더패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화질제어 방법.
  48. 삭제
  49. 삭제
  50.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디더패턴 각각은 8(픽셀)×32(픽셀)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화질제어 방법.
KR1020060059330A 2006-06-29 2006-06-29 평판표시장치와 그 화질제어 방법 KR101243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330A KR101243800B1 (ko) 2006-06-29 2006-06-29 평판표시장치와 그 화질제어 방법
US11/819,751 US7889188B2 (en) 2006-06-29 2007-06-28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picture quality thereof
CN2007101260167A CN101097674B (zh) 2006-06-29 2007-06-29 平板显示器以及控制其图像质量的方法
JP2007172972A JP5361150B2 (ja) 2006-06-29 2007-06-29 平板表示装置とその画質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330A KR101243800B1 (ko) 2006-06-29 2006-06-29 평판표시장치와 그 화질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168A KR20080001168A (ko) 2008-01-03
KR101243800B1 true KR101243800B1 (ko) 2013-03-18

Family

ID=39011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9330A KR101243800B1 (ko) 2006-06-29 2006-06-29 평판표시장치와 그 화질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89188B2 (ko)
JP (1) JP5361150B2 (ko)
KR (1) KR101243800B1 (ko)
CN (1) CN1010976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327B1 (ko) * 2006-06-29 2012-09-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와 그 화질제어 방법
KR101329074B1 (ko) * 2006-06-29 2013-1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의 화질제어 장치 및 방법
US8189017B2 (en) * 2007-03-29 2012-05-29 Lg Display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icture quality of flat panel display
US8610705B2 (en) * 2007-11-12 2013-12-17 Lg Display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385476B1 (ko) * 2008-08-26 2014-04-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결함을 보상하기 위한 영상 표시 장치
JP5557178B2 (ja) * 2008-11-21 2014-07-23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輝点抑制方法
JP5384184B2 (ja) 2009-04-23 2014-01-08 グローバル・オーエルイーディー・テクノロジー・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表示装置
KR101291799B1 (ko) * 2009-05-29 2013-07-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JP2012185149A (ja) * 2011-02-17 2012-09-27 Ricoh Co Ltd 欠陥検査装置及び欠陥検査処理方法
US20140176626A1 (en) * 2011-08-31 2014-06-26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nd drive method for same
US8958049B2 (en) * 2012-07-10 2015-02-17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repair method thereof
KR102051633B1 (ko) * 2013-05-27 2019-1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소,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123979B1 (ko) * 2013-12-09 2020-06-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리페어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
US9230316B2 (en) * 2013-12-31 2016-01-05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efect inspection device for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148487B1 (ko) * 2014-05-08 2020-08-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리페어 방법
US9672768B2 (en) * 2014-06-24 2017-06-06 Xi'an Novastar Tech Co., Ltd. Luminance-chrominance calibration production line of LED display module
KR102313063B1 (ko) * 2014-07-29 2021-10-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192477B2 (en) * 2015-01-08 2019-01-29 Lighthouse Technologies Limited Pixel combination of full color LED and white LED for use in LED video displays and signages
CN106129202B (zh) * 2015-10-04 2018-06-12 美科米尚技术有限公司 发光二极管与其制作方法
CN105244004B (zh) * 2015-11-23 2018-05-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控制板及具有该控制板的液晶显示器
JP2017129781A (ja) * 2016-01-21 2017-07-27 株式会社メガチップス 色むら補正装置及び色むら補正方法
CN106328095B (zh) * 2016-08-31 2018-10-09 南京巨鲨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灰阶扩展自适应增强方法
KR20180058266A (ko) * 2016-11-23 2018-06-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휘도 보상 방법
CN107515481B (zh) * 2017-08-29 2020-09-11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的检测方法和装置
US10950679B1 (en) * 2017-09-07 2021-03-16 Apple Inc. Display having vertically driven gate and data paths
CN107610143B (zh) 2017-09-29 2020-05-19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系统及显示装置
CN107644410B (zh) * 2017-09-29 2020-05-19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系统及显示装置
CN107564446A (zh) * 2017-09-30 2018-01-09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面板点灯机、面板点灯测试系统及测试方法
KR102441479B1 (ko) * 2017-12-27 2022-09-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N108460346B (zh) * 2018-02-09 2020-06-19 厦门美图移动科技有限公司 指纹识别方法及装置
CN114495796A (zh) * 2022-02-23 2022-05-13 成都中电熊猫显示科技有限公司 亮度不均补偿方法及其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2805A (ja) 1997-06-25 1999-03-16 Victor Co Of Japan Ltd 表示用マトリクス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表示用マトリクス 回路
JP2001305586A (ja) 2000-02-15 2001-10-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その画素修正方法及びその駆動方法
US20050219390A1 (en) 2004-03-30 2005-10-06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a defective pixel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6924A (ja) * 2001-08-29 2003-03-05 Seiko Epson Corp 液晶パネルの欠点を目立たなくする画像処理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4198875A (ja) * 2002-12-20 2004-07-15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
JP2004279482A (ja) * 2003-03-12 2004-10-07 Sharp Corp 表示装置
JP2005348176A (ja) * 2004-06-03 2005-1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処理装置
JP4549762B2 (ja) * 2004-07-13 2010-09-2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
US20060092329A1 (en) * 2004-10-29 2006-05-0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rrection apparatus thereof
US7292024B2 (en) * 2005-04-28 2007-11-06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Defect mitigation in display panels
KR101137856B1 (ko) * 2005-10-25 2012-04-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및 그 화질제어방법
JP4754939B2 (ja) * 2005-11-01 2011-08-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KR101182307B1 (ko) * 2005-12-07 2012-09-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와 그 화질 제어장치 및 화질 제어방법
KR101127829B1 (ko) * 2005-12-07 2012-03-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제조장치, 화질 제어장치 및화질 제어방법
KR100769194B1 (ko) * 2006-02-06 2007-10-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화질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769193B1 (ko) * 2006-02-06 2007-10-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와 그 화질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147083B1 (ko) * 2006-03-29 2012-05-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질제어 방법
KR101182327B1 (ko) * 2006-06-29 2012-09-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와 그 화질제어 방법
KR101255311B1 (ko) * 2006-06-29 2013-04-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와 그 화질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2805A (ja) 1997-06-25 1999-03-16 Victor Co Of Japan Ltd 表示用マトリクス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表示用マトリクス 回路
JP2001305586A (ja) 2000-02-15 2001-10-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その画素修正方法及びその駆動方法
US20050219390A1 (en) 2004-03-30 2005-10-06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a defective pix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61150B2 (ja) 2013-12-04
US7889188B2 (en) 2011-02-15
CN101097674B (zh) 2010-10-27
US20080036797A1 (en) 2008-02-14
KR20080001168A (ko) 2008-01-03
CN101097674A (zh) 2008-01-02
JP2008009438A (ja) 200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800B1 (ko) 평판표시장치와 그 화질제어 방법
KR101255311B1 (ko) 평판표시장치와 그 화질제어 방법
KR101182327B1 (ko) 평판표시장치와 그 화질제어 방법
KR101147083B1 (ko) 화질제어 방법
KR100769194B1 (ko) 평판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화질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769193B1 (ko) 평판표시장치와 그 화질제어 방법 및 장치
JP5100042B2 (ja) 平板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製造装置、画質制御方法及び画質制御装置
KR101201314B1 (ko) 평판표시장치의 제조방법 및 장치
JP4668854B2 (ja) 平板表示装置、その製造方法、その製造装置、その画質制御方法及びその画質制御装置
RU2565480C2 (ru) Дисплей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тображения
KR20080101262A (ko)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와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 및 그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