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385B1 -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쌀당화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진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 - Google Patents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쌀당화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진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385B1
KR101241385B1 KR1020110044557A KR20110044557A KR101241385B1 KR 101241385 B1 KR101241385 B1 KR 101241385B1 KR 1020110044557 A KR1020110044557 A KR 1020110044557A KR 20110044557 A KR20110044557 A KR 20110044557A KR 101241385 B1 KR101241385 B1 KR 101241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lactobacillus
hours
lactic acid
prob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6619A (ko
Inventor
박용하
임정희
서병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Priority to PCT/KR2011/00352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153885A1/ko
Priority to KR1020110044557A priority patent/KR101241385B1/ko
Priority to US14/115,458 priority patent/US20140356338A1/en
Priority to JP2014510227A priority patent/JP2014516524A/ja
Priority to CN201180070795.8A priority patent/CN103596579A/zh
Publication of KR20120126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79Sake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2035/11Medicinal preparations comprising living procariotic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Vi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lmon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쌀당화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진 쌀발효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쌀당화액을 주재로 하고 여기에 김치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켜 제조한 것으로서 아토피 피부염 및 조류독감바이러스 등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는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쌀당화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진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omitted}
본 발명은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쌀당화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진 쌀발효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쌀당화액을 주재로 하고 여기에 김치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켜 제조한 것으로서 아토피 피부염 및 조류독감바이러스 등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는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우리 민족이 유산균을 식품에 이용한 것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식품으로 김치를 들 수 있다. 한국의 전통 복합발효식품인 김치의 우수성이 세계적으로 알려지면서, 2001년 7월 5일 제 24차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총회에서 우리나라 식품으로는 최초로 김치의 국제규격(Codex standard)이 채택되었다.
김치를 구성하는 유산균은 락토바실루스(Lactobacillus), 류코노스톡( Leuconostoc), 바이쎌라(Weissella) 3속이며, 대표적인 유산균 종류로는 락토바실루스 사케이 아종(Lactobacillus sakei subsp. sakei), 류코노스톡 시트륨(Leuconostoc citreum), 바이쎌라 코리엔시스(Weissella koreensis)로 밝혀졌다.
이들 종의 구성은 김치의 내외적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김치마다 다른 종류의 유산균이 출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김치 맛도 김치 유산균의 물질대사에 의한 발효 부산물에 의하여 크게 좌우될 수 있다. 발효 과정을 거치면서 김치 내 호기성 유해균들은 사멸하고 혐기성 유익균들이 번식을 하며 젖산의 생성이 증가하고 산도가 낮아지면서 점차 더 많은 유산균들이 증식하게 된다. 이러한 김치 유산균들은 생체 내의 면역기능을 강화함은 물론, 박테리오신과 유기산 등을 생산하여 유해균을 억제하는 항균활성을 보유하고 있어 정상적인 장내균총(intestinal microflora)의 형성 및 유지에 기여한다. 이 외에도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와 항암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중 Lactobacillus sakei는 유기산을 생성하는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 LAB) 그룹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고기류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식물 발효산물과 발효된 어류에서도 발견된다. 이 균은 상업적으로 중요한 균 중 하나로, 발효시킨 소시지 상품을 만들기 위한 starter로 사용되거나 또는 고기류와 어류 상품의 biopreservative culture로 사용되고 있다. Lactobacillus sakei는 일차 대사 산물로 유기산을 생산하는데 이것이 starter와 preservative culture로서 중요한 작용을 하여, 유기산에 의한 산성화로 음식물을 보존하고 상품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 또한, 박테리오신 생성에 의한 항균 활성이 있는데 이것은 어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으로 어류의 세균성 질병 예방에 도움이 되고 육류 발효 시에 리스테리아 균을 억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김치에 다량 분포하고 있으며 소시지 발효나 고기류의 발효에 많이 사용되는 유산균인 락토바실루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중 알레르기 예방 효능이 뛰어난 균주를 찾아내는데 성공하였는데, Lactobacillus sakei의 한 아종으로서 내산성, 내답즙성, 항균성, 그리고 항생제 내성을 가진 Lactobacillus sakei ProBio-65를 김치로부터 분리하는데 성공하였다.
즉, 개발된 균주는 김치 즙을 단계적으로 희석한 다음 유산균 선별 배지에서 배양하여 유산균만을 단리하고, 단리된 균주들을 선별하여 MRS 배지에 배양한 후, 아토피 피부염의 악화 인자인 Staphylococcus aureus의 증식을 탁월하게 억제하는 미생물을 최종적으로 선별한 것으로 Lactobacillus sakei ProBio-65(수탁번호 : KCTC 10755BP)로 명명하고, 한국특허등록 제10-0479719호로 특허받은 바 있다.
상기의 김치유래 유산균인 Lactobacillus sakei ProBio-65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질병악화인자로 알려진 Staphylococcus aureus 의 생육억제 기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IgE 생성억제 및 면역체계 활성능력이 뛰어나다. 또한, 내산성 및 내담즙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장에 도달하여 항균물질 분비에 의한 유해세균의 생육억제 및 장내 균총의 정상화에 기여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아토피 피부염은 심한 소양감과 특징적인 습진성 피부 병변을 나타내는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주로 유소아기에 발병하며, 만성적으로 특히, 겨울철에 자주 재발하는 아토피 질환 중의 하나이다. 이렇게 한 번 발병된 아토피 피부염은 후에 기관지 천식이나 알레르기성 비염 등으로 발전되는 경우가 많으며, 성인이 되어서도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게 나타나는 심한 소양감은 환경적응 능력, 활동력 및 작업 능률의 감소, 불면증 및 정서장애 등을 초래할 수 있고, 색소 침착이 동반된 습진성 피부 병변은 피부 추형을 유발하여 정상적인 대인관계나 사회활동에 지장을 줄 수 있으며, 또한, 건조하고 자극에 민감한 피부는 흔히 자극성 접촉 피부염을 일으켜 직업 선택에 제한 요인이 될 수도 있다.
최근 들어 아토피 피부염은 전 세계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알레르기질환의 급증과 함께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에서 전국 초등학생과 중학생 43,04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00년도의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초등학생의 24.9%, 중학생의 12.8%가 아토피 피부염을 진단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10년간 우리나라의 아토피 피부염의 증가는 50%이며, 그 증가추세는 나이가 많아질수록 높은 수치를 나타낸다. 즉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율은 성인에서까지 17% 정도의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하는 원인은 유전적인 요인, 면역학적 요인 및 환경적인 요인이 관여한다고 한다. 유전적인 요인으로는 아토피와 관련된 유전자들이 존재하며, 이들 대부분은 면역학적인 유전자가 차지하고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아토피와 관련된 유전자는 인체 백혈구 항원계(HLA)와 염색체 6p, T세포 수용체(TCR)와 염색체7p, IgE 고친하성 수용체(FcεRI-β)와 염색체 11q, 그리고 IL-4와 염색체 5q등이 있다. 환경적인 요인으로서는 집안의 진드기, 집 먼지, 진균, 집을 지을 때 사용한 재료나 페인트로부터 유출되어 공기중에 노출되는 포르말린, 메칠벤젠 등의 유해 물질, 또는 식품에 첨가된 화학물질이나 식품 그 자체일 수 있다.
또한, 아토피 피부염 악화요인으로서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가 있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들의 습진성 병변의 80-100% 에서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의 집락이 발견된다. 이는 건강한 피부에서 5-30% 정도가 발견되는 것에 비해 훨씬 높게 나타나는 수치이다.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는 농가진을 증가시키는 등으로 피부염 부위를 악화시키며, 다른 사람들에게 전파되어 아토피 피부염에 감염되기 쉽게 만들기도 한다. 아토피 피부염의 악화에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가 생산하는 외독소의 초항원적 역할에 대한 증거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외독소의 종류로는 SEA-D(staphylococcal enterotoxins A-D)와 TSST-1(toxic shock syndrome toxin-1)가 있으며, 이들은 IgE의 생성량을 8배 이상 증가시킨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들에게 많이 사용되는 치료 요법으로서는 항생제 요법, 항히스타민제 요법, 스테로이드제 요법 및 면역요법 등이 있다. 항생제 요법은 위에서 말한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와 같은 2차적 미생물에 의한 감염을 차단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지만, 항생제를 부적절하게 투여하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최근 항생제 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문제점이 많다. 전 세계적으로 주요한 항생제 내성균주로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구상 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메티실린 내성 응고효소 음성 포도구상 구균(methicillin-resistant-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 aureus, MRCNS)등이 있다.
따라서, 항생제의 오남용, 부작용, 내성균의 발생을 방지하고, 아토피 피부염의 근본적인 원인방지 또는 치료를 위한 대체물질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 다른 측면으로, 1983년 벨기에, 프랑스 등 유럽에서 발생하기 시작한 이래 현재까지 세계 각국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조류독감은 조류에 감염되는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으로 주로 닭, 칠면조 등의 가금류에 많은 해를 입히는데, 조류독감이 발생하면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전량 도살 처분하고, 발생국가에서는 양계산물을 수출할 수 없게 된다.
감염은 조류의 분비물을 직접 접촉할 때 주로 일어나며, 비말(飛沫), 물, 사람의 발, 사료운반차량, 기구, 장비, 알껍질에 묻은 분변 등에 의해서도 전파된다. 증상은 감염된 바이러스의 병원성에 따라 다양하지만 대체로 호흡기 증상과 설사, 급격한 산란율의 감소가 나타난다. 경우에 따라 볏 등 머리 부위에 청색증이 나타나고, 안면부종이 생기거나 깃털이 한 곳으로 모이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며, 폐사율도 병원성에 따라 0~100%로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조류독감 바이러스는 사람에게 직접적으로 전염되지 못하며 돼지를 중간숙주로 거쳐 사람에 전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병원성(病原性)에 따라 고(高)병원성, 약(弱)병원성 및 비(非)병원성 3종류로 구분되며, 이 가운데 고병원성은 인간에게도 감염된다.
최근 문제시되고 있는 H5N1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 바이러스의 인체 감염 사례에서 제시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체 감염의 병리기전은 HAPI 바이러스 감염시 T 세포의 현저한 감소와 인터페론 감마의 감소로 인하여 바이러스의 체내 증식이 조기에 억제되지 못하여 바이러스 감염이 전신으로 이어지고 그 결과 기관, 폐 등 호흡기 장기 이외의 혈액과 직장에서 바이러스가 증식됨이 확인되었으며, 이들 바이러스 증식부위에서 세포자살(apoptosis)로 인한 세포의 사멸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대량 방출로 인한 비화농성 페렴과 다발성장기 기능부전(multi-organ dysfunction) 유발로 인하여 사망에 이르게 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이, 베트남, 태국 등 동남아지역에서 조류독감에 의한 사망자가 발생하는 등 조류독감에 대한 인체감염의 피해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으나,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조류독감백신과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완벽한 예방과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일부 개발결과가 보고되고 있는데, 대한민국 공개특허10-2007-0035203에서는 어성초 추출물을 이용한 한약재 조성물을 항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제로서 제안하였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85056에서는 효모의 수용성 글루칸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세포내의 NO와 TNF-α의 생성을 증가시킴으로서 간접적으로 조류독감에 대한 예방 및 치료제로서 제안하고 있다.
한편, 쌀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주식으로 하고 있는 곡식이다. 우리나라의 쌀 생산은 품종개량과 영농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급격히 늘어났으나, 서구식 식문화의 영향으로 매년 급속히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쌀소비의 감소는 식품 소비패턴의 다양화, 웰빙문화의 확산, 식습관의 변화 등에 기인하지만 아직 쌀을 이용한 다양한 제품개발의 미진함에도 큰 원인이 있다. 즉, 쌀은 대부분 1차 가공하여 섭취하거나 제과, 제빵 등에 소량 사용하는 실정으로 국민소득 향상에 따른 식습관의 변천과 가공식품의 부족으로 인하여 소비가 감소하고 재고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쌀은 시력을 좋게 하는 카로틴, 뼈를 튼튼하게 하는 칼슘 및 철분, 콜레스테롤 생합성을 저해하는 모나스커스 성분을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인의 체질에 잘 맞고, 특히 이를 우유와 혼합할 경우는 쌀에서 부족한 아미노산인 라이신(lysine)을 보충하여 줌으로써 발효유의 식품 및 영양학적 가치를 크게 높일 수 있으며, 현재 감소되고 있는 쌀의 소비를 촉진시키는데도 일조를 할 수 있는 측면도 있다.
현재까지 쌀을 주재로 하는 식품으로는 국내특허공개공보 제2002-0016109에 "백미 및 현미를 별도로 가공하는 공정을 채택하여, 백미 가공시 볶음공정을 생략하고 엿류 제조공정의 온도, 시간 및 효소함량을 조절하여 열 안정성을 강화시키고, 현미 가공시 볶음공정은 실시하되 분쇄 및 엿류 제조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충분한 미생물 살균을 위해 레토르트 살균을 하면서도 열에 의한 갈변을 방지하여 백미 고유의 흰 빛깔을 유지하고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풍미가 우수한 쌀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 바 있고, 또한 국내특허공개공보 제2000-0006601에 "볶은 현미와 백미를 효소분해 시킨 후 맑은 액을 얻어 쌀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현미와 백미의 영양성분을 최대한 살려 맛이 잘 조화되고, 미산성음료이면서도 저온살균과 PET용기에 충전이 가능한 쌀음료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쌀을 소재로 하는 식품은 주로 쌀 당화액을 얻어 여기에 보조 첨가물 등을 단순 혼합하여 제조하는 방법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 인체에 각종 이로운 성분을 제공하는 유산균에 의한 발효식품은 보고된 바 없었으므로 쌀을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발효식품이 개발되었다
상기한 쌀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식품은 비만 및 성인병 예방효과와 난소화성 탄수화물을 영양원으로 하는 장내미생물의 증식을 촉진하고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기능이 있어 성인병 예방에 기여하는 인자로 작용하고, 또한, 쌀에는 지구력 증진제인 옥타코사놀(octacosanol)과 아토피 개선에 도움이 되는 세라마이드(ceramide) 등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그 가공식품의 개발이 활발하다.
국내특허공개공보 특1998-075079에는 물 68-76중량부에 알파미분 5-18중량부, 탈지분유 10-15중량부, 포도당 2중량부, 자당 2중량부를 혼합, 균질화하고 열처리후 냉각한 시료에 혼합유산균 종균을 접종하여 정치배양한 발효원액에 안정당액을 혼합하여 균질화한 액상의 쌀요구르트의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10-0527419호에는 쌀당화액을 주재로 하고 여기에 비피더스균, 유산균을 각각 첨가하여 발효시키거나 또는 비피더스균과 유산균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발효시켜 제조되는 쌀발효액을 포함하는 쌀발효 식품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국내특허공개공보 제10-2010-0074389에는 (1) 쌀 성분의 함량을 증대시키고 기호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쌀에 1차 효소처리를 하여 액화시키고 2차 효소처리를 하여 당화시킨 후 쌀 농축액의 당도가 50 내지 75 ˚Brix되도록 농축하여 쌀 농축액을 제조하는 제1공정; (2) 쌀 냄새를 마스킹하고 기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쌀 농축액에 당류, 식이섬유 및 첨가물을 혼합하여 쌀 시럽을 제조하는 제2공정; (3) 원유 또는 환원유에 탈지분유를 용해하고 동결건조 혼합분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후 적정산도가 0.75%에 도달하면 냉각시켜 유산균 발효가 완료된 유산균 발효액을 제조하는 제3공정; (4) 상기 제2공정의 쌀 시럽과 제3공정의 유산균 발효액을 혼합하고 균질화하여 단맛과 신맛이 조화되도록 혼합하는 제4공정; 및 (5) 자동충전포장기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병에 상기 혼합액을 충전 및 포장하는 제5공정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쌀 요구르트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유산균이 면역기능 강화, 유해균 억제, 장내균 형성 및 유지,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및 항암효과 등 일반적인 효과 외에 김치유산균 발효에 의한 쌀발효식품조성물이 아토피 피부염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억제, 특히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증식 억제에 관한 효능 검증에 대한 시험 결과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에서, 이에 본 발명자들은 우리 국민의 주식인 쌀에 본 발명자들이 개발한 김치에서 추출한 유산균인 Lactobacillus sakei ProBio-65(KCTC 10755BP)를 접종, 발효하여 제조한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이 아토피 피부염 및 조류독감바이러스 등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쌀당화액을 주재로 하고 여기에 김치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켜 제조한 것으로서 아토피 피부염 및 조류독감바이러스 등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고, 안전성에 문제가 없으며 일상적으로 섭취가 가능할 수 있는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김치에서 추출한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Lactobacillus sakei ProBio-65)(수탁번호 : KCTC 10755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Avian Influenza Virus)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쌀당화액에 김치에서 추출한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Lactobacillus sakei ProBio-65)(수탁번호 : KCTC 10755BP)를 첨가하여 발효시켜 제조되는 쌀유산균발효액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항균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쌀당화액에 김치에서 추출한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Lactobacillus sakei ProBio-65)(수탁번호 : KCTC 10755BP)를 첨가하여 발효시켜 제조되는 쌀유산균발효액을 포함하는,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Avian Influenza Virus)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은 우리 국민의 주식인 쌀에 Lactobacillus sakei proBio-65(KCTC 10755BP)를 접종, 발효시켜 제조된 것으로서, 면역기능이 강화된 고부가가치의 쌀발효 식품을 제조할 수 있고, 과잉생산되고 있는 쌀의 이용도를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쌀발효식품조성물을 일상적으로 섭취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 및 조류독감바이러스 등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는 획기적인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실험 항바이러스 활성 확인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란 배양 및 항바이러스 활성 확인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활성 확인 사진
본 발명은 김치에서 추출한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Lactobacillus sakei ProBio-65)(수탁번호 : KCTC 10755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Avian Influenza Virus)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쌀당화액에 김치에서 추출한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Lactobacillus sakei ProBio-65)(수탁번호 : KCTC 10755BP)를 첨가하여 발효시켜 제조되는 쌀유산균발효액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항균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쌀당화액에 김치에서 추출한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Lactobacillus sakei ProBio-65)(수탁번호 : KCTC 10755BP)를 첨가하여 발효시켜 제조되는 쌀유산균발효액을 포함하는,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Avian Influenza Virus)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쌀당화액의 제조는 쌀을 계량하여 정제수에 침지하고, 블렌딩한 후 호화시키는데, 호화과정은 100℃정도로 약 20∼40분간 단번에 수행될 수도 있고, 또는 60℃정도에서 약 20∼40분간 예비 호화한 다음, 다시 100℃정도에서 약 20∼40분간 호화하는 2단계 과정을 거쳐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호화과정을 거친 호화액에 α-아밀라아제를 첨가하여 약 80∼100℃정도에서 약 40분∼2시간 동안 1차 당화하고, 1차 당화가 완료된 후 글루코아밀라아제를 첨가하여 60∼75℃정도에서 약 40분∼2시간 동안 2차 당화과정을 수행하고 여과하여 쌀당화액을 제조한다.
한편, 가정에서 제조한 김치의 국물을 희석하여 BCP 고체배지에 도말하고, 37℃에서 48시간 배양하고, 일정시간이 지난 후 나타나는 콜로니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후 구균과 간균 480개를 선발하여 MRS배지에 옮겨 배양한 뒤, 영하 80℃에 보존한 후, 아토피 질환의 악화인자인 Staphylococcus aureus KCTC1621의 증식을 억제하는 미생물을 확인하여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Lactobacillus sakei ProBio-65 ; KCTC 10755BP) 균주를 분리한 다음, 상기 분리된 ProBio65 균주를 MRS 배지에서 37℃ 조건으로 배양하여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Lactobacillus sakei ProBio-65 ; KCTC 10755BP)를 제조한다.
즉, 상기 ProBio-65 균주의 배양은 MRS 배양배지(Glucose 2%, Peptone 2%, Yeast extract 0.5%, Sodium Acetate 0.5%, Potassium Phosphate dibasic 0.2%, Ammonium Sulfate 0.2%, Magnesium Sulfate 0.1%, Manganese Sulfate 0.005%, Tween80 0.1%)에서 37℃에서 12시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13,000 rpm에서 3시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기 원심 분리하여 얻은 균체와 동량의 가수분해 탈지분유를 혼합하여 균질화한 다음, -40℃에서 예비동결 수행한 후, -40℃에서 -20℃까지 7시간, -20℃에서 5시간을 유지하고, -20℃에서 -5℃까지 9시간, -5℃에서 10시간을 유지하고, -5℃에서 10℃까지 10시간, 10℃에서 10시간을 유지하고, 10℃에서 8시간에 걸쳐 20℃까지 온도를 올리고, 최종 20℃에서 동결건조를 완료하고, 동결건조된 균체를 분쇄하여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Lactobacillus sakei ProBio-65; KCTC 10755BP)를 제조한다.
다음으로, 상기 여과된 쌀당화액을 100℃에서 20분간 살균한 다음, 상기 준비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Lactobacillus sakei ProBio-65 ; KCTC 10755BP) 1.5중량%를 첨가하여 37℃에서 최종 pH가 4.1정도가 되도록 12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물엿을 5중량% 첨가하여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 제조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 유산균을 상기 제조된 쌀당화액에 발효스타터로서 첨가하는데 있어서 그 첨가량은 쌀당화액 중량대비 0.1∼5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쌀당화액에는 전지분유, 우유, 탈지대두단백질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각종 올리고당, pH 조절제 내지 완충제, 각종 당질, 감미료, 및 기타 첨가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적합한 올리고당의 예로는, 이소말토올리고당류, 갈락토올리고당류, 말토올리고당류, 시클로덱스트린류, 올리고프락토스류, 락토슈크로스, 글리코실슈크로스, 젠티오올리고당류, 팔라티노스올리고당류, 콩올리고당류와 크실로올리고당류 등이 있다.
pH 조절제 내지 완충제는 통상적으로 액상제품에 요구되며, pH 4.0∼6.5정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 내지 완충제의 예로는 구연산, 주석산, 사과산, 젖산, 탄산 등의 약산 및 그들의 염류, 예를 들면 구연산 나트륨, 구연산 암모늄, 주석산 나트륨, 사과산 나트륨, 젖산 나트륨, 젖산 칼슘, 탄산 나트륨, 탄산수소 나트륨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인산수소 나트륨도 상기 pH 조절제 내지 완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산 및 그 염류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좋고, 2종 이상 병용되어도 좋다. 이들의 배합 비율은, 수득하는 음료가 상기 적당한 pH 범위를 유지하는 범위에서 적절히 결정된다. 통상 조성물 중량의 약 2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0.05∼0.3중량%이다.
또한, 상기 음료 등의 식품 형태의 본 발명 조성물 중에는, 일반적인 음료 등과 마찬가지로, 각종의 당질 내지 감미료 등을 첨가 배합할 수 있다. 당질로서는, 글루코오즈, 프럭토오즈 등의 단당류; 말토오즈, 수크로오즈 등의 2당류;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 자일리톨, 에리트리톨, 솔비톨 등의 당알코올류; 슈가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감미료로서는, 천연감미료(레바우디오사이드A ; Rebaudioside A) 등의 스테비어 추출물, 소르마틴(sormatin), 글리시리친(glycyrrhizin) 등), 합성 감미료(사카린, 아스파탐 등)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당질 내지 감미료의 배합 비율은, 통상 수득하는 음료의 약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3중량% 이하이다.
또한, 식품 형태의 본 발명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면 하기의 첨가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첨가 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첨가제에는, 예를 들면 그레이프프루트, 사과, 오렌지, 레몬, 파인애플, 바나나, 배 등의 각종 과즙(농축 과즙, 분말 과즙 등이어도 좋다); 비타민류 및 프로비타민류(팔미트산 레티놀, 비스벤티아민(bisbentiamine), 리보플라빈, 염산피리독신, 시아노코발아민(cyanocobalamine), 아스코르빈산 나트륨, 니코틴산 아미드, 판토텐산 칼슘, 엽산, 비오틴, 콜레칼시페롤(cholecalciferol), 중주석산 콜린, 토코페롤, β-카로틴 등의 수용성 및 지용성 비타민류); 향미료(레몬플레이버, 오렌지플레이버, 그레이프프루트플레이버, 바닐라 에센스 등); 아미노산, 핵산 및 그들의 염류(글루탐산, 글루탐산나트륨, 글리신, 알라닌, 아스파라긴산, 아스파라긴산 나트륨, 이노신산 등); 식물 섬유(폴리덱스트로오즈, 펙틴, 크산탄 고무, 아라비아 고무검, 알긴산 등); 미네랄 내지 미량 원소(염화 나트륨, 초산 나트륨, 황산 마그네슘, 염화 칼륨, 염화 마그네슘, 탄산 마그네슘, 염화 칼슘, 인산 2칼륨, 인산 1나트륨, 글리세로인산 칼슘, 구연산제1철 나트륨, 구연산철 암모늄, 구연산철, 황산망간, 황산구리, 요오드화나트륨, 솔빈산칼륨, 아연, 망간, 구리, 요오드, 코발트 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외에도 곡류 (현미, 흑미, 찹쌀, 차조, 수수, 보리, 녹두, 기장, 율무, 알파콘, 옥수수, 밀, 팥, 깨 등), 콩류 (검정콩, 땅콩, 노란콩, 완두콩, 강낭콩 등), 견과류 (잣, 호두, 피스타치오, 아몬드, 해바라기씨, 피칸, 밤, 포도 등), 과일류(사과, 유자, 모과, 감, 복숭아, 바나나, 딸기, 레몬, 유자, 모과 등), 야채류(호박, 무, 무청, 양배추, 당근, 우엉, 연근, 신선초, 솔잎, 파셀리, 명일엽, 돌미나리, 시금치 등), 구근류 (감자, 야콘, 당근, 더덕, 우엉, 무, 연근, 마, 케일, 도라지 등), 엽채류 (케일, 신선초, 브로컬리 등), 버섯류 (차가버섯, 영지버섯, 상황버섯, 노루궁뎅이버섯, 아가리쿠스, 표고버섯, 운지버섯, 양송이버섯, 느타리버섯, 석이버섯, 팽이버섯, 동충하초 등), 미생물류 (효모, 유산균, 바실러스균, 홍국 등), 미세조류 (클로렐라, 스피루리나 등), 해조류 (미역, 다시마, 김, 파래, 톳 등), 식물성 약재류 (녹차, 허브, 감초, 황칠, 오가피, 인삼, 홍삼, 구기자, 알로에 등), 동물성 약재류 (녹용, 누에 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 실시예 1>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 제조
쌀을 계량하여 정제수에 침지하고, 블렌딩한 후, 60℃에서 40분간 예비 호화한 다음, 100℃에서 40분간 호화하여 호화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호화액에 α-아밀라아제를 첨가하여 100℃에서 40분 동안 1차 당화하고, 1차 당화가 완료된 후 글루코아밀라아제를 첨가하여 75℃에서 40분 동안 2차 당화과정을 수행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여과하여 쌀당화액을 제조하였다.
쌀당화액과 별도로, 숙성된 김치의 국물을 희석하여 BCP 고체배지(일본 영연화학사 제품)에 도말하고, 37℃에서 48시간 배양하고, 일정시간이 지난 후 나타나는 콜로니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후, 구균과 간균 480개를 선발하여 MRS배지(Difco사 제품)에 옮겨 배양한 뒤, 영하 80℃에 보존한 후, 아토피 질환의 악화인자인 Staphylococcus aureus KCTC1621의 증식을 억제하는 미생물을 확인하여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Lactobacillus sakei ProBio-65 ; KCTC 10755BP) 균주를 분리한 다음, 상기 분리된 ProBio-65 균주를 MRS 배양배지에서 37℃에서 12시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13,000 rpm에서 3시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기 원심 분리하여 얻은 균체와 동량의 가수분해 탈지분유를 혼합하여 균질화한 다음, -40℃에서 예비동결 수행한 후, -40℃에서 -20℃까지 7시간, -20℃에서 5시간을 유지하고, -20℃에서 -5℃까지 9시간, -5℃에서 10시간을 유지하고, -5℃에서 10℃까지 10시간, 10℃에서 10시간을 유지하고, 10℃에서 8시간에 걸쳐 20℃까지 온도를 올리고, 최종 20℃에서 동결건조를 완료하고, 동결건조된 균체를 분쇄하여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균을 제조하였다.
상기 쌀당화액에 전지분유를 쌀당화액에 대하여 6중량% 첨가하고, 온도를 100℃로 높여 20분간 살균하였다. 여기에 상기 제조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Lactobacillus sakei ProBio-65 ; KCTC 10755BP) 1.5중량%를 첨가하여 37℃에서 최종 pH가 4.1정도가 되도록 12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물엿을 5중량% 첨가하여 최종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의 아토피 피부염 SCORAD 측정실험
경증 알레르기 및 아토피 환자 54명을 대상으로 인체시험을 통하여 본 발명의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과 대조식품을 12주간 투여한 결과 아토피 피부염의 중증도(SCORAD) 지표를 분석하여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SCORAD 값의 변화(평균±표준오차)>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투여군(27명) 대조식품군 (27명)
SCORAD 0주 39.2±15.4 38.0±17.0
SCORAD 6주 33.1±17.1 32.5±16.0
SCORAD 12주 29.6±17.5 27.0±16.8
SCORAD 변화량 9.6±16.7 11.0±15.1
Improvement SCORAD≥20% 8(29.6%) 17(70%)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투여군과 대조식품군 모두 아토피성 피부염의 임상지표인 SCORAD(SCORing of Atopic Dermatitis)가 감소하였지만,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투여군의 SCORAD 변화량이 대조식품군 보다 더 큰 것을 알 수 있고, 특히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투여군은 SCORAD의 수치가 20%이상 감소하여 증상이 호전된 피험자의 수가 대조식품군 29.6%에 비해 70%로 두 배 이상 높았다
< 실시예 3>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의 CCL17 , CCL27 , CCL18 변화실험
실시예 2와 아울러, CCL17(chemokine (c-c motif) ligand 17), CCL27(chemokine (c-c motif) ligand 27), CCL18(chemokine (c-c motif) ligand 18)은 아토피피부염에서 T 림프구를 염증 부위로 동원하는 기전에 관여하는 것이므로 아토피성 피부염의 면역학적이고 객관적인 지표(바이오마커)로서 CCL17, CCL27, CCL18의 농도를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Chemokines과 Cytokines의 변화>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투여군 대조식품군
0주 12주 P value 0주 12주 P value
CCL17
(pg/mL)
398±394 261±225 0.125 406±386 200±162 0.003
CCL27
(pg/mL)
5374±3289 4484±2993 0.204 5656±2538 3837±2325 0.003
CCL18
(ng/mL)
53.3±15.6 50.8±13.7 0.310 57.4±21.3 49.9±16.4 0.022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투여군에서 CCL17, CCL27, CCL18의 혈중농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됨을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이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상 개선에 유효함을 임상적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 실시예 4>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 -65( KCTC 10755 BP ) 항 바이러스 활성 실험
[세포주 배양]
MDCK (Madin-Darby canine kidney (MDCK) cell line; 한국세포주은행, KCLB No. 10034) 세포를 소혈청(fetal bovine serum)과 항생제(100U/ml penicillin and 100ug/ml streptomycin)가 포함된 Eagle’s minimal essential medium(MEM)에서 48시간~72시간, 35℃에서 배양하였다.
[바이러스 배양]
H9N2 virus (Avian influenza H9N2 virus; 국립수의과학검역원)는 MDCK 세포주에서 48-72시간, 35℃에서 배양하였다. MDCK 단층 세포를 인산완충용액으로 2회 세척한 다음 바이러스를 접종하고 약 30분간 바이러스를 세포에 흡착시킨 후 소혈청(bovine serum)을 포함하지 않은 최소배지(Eagle's minimum essential medium)를 첨가하고 37℃ 배양기에서 배양하면서 세포변성효과(cytopathic effects, CPE)를 관찰하였다. 단층세포에 세포변성효과가 약 70% 정도 관찰될 때 MEM 배지를 포함한 감염세포를 -70℃에서 3차례 냉동 및 해동을 반복한 후 원심분리하여 세포성분을 제거한 상층액을 -70℃에 보관하면서 바이러스를 확보하였다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KCTC 10755BP) 배양]
상기 실시예 1의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Lactobacillus sakei ProBio-65 ; KCTC 10755BP) 제조과정중 탈지분유를 혼합하여 동결건조하기 전 단계에서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확보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항바이러스 활성 확인]
96공(96-well) 세포배양 플레이트에 MDCK 단층세포를 준비하고 이를 인산완충용액으로 2회 세척한 다음 -70℃에 보관중인 바이러스를 10배 계단 희석법으로 희석하였고 각 희석 단계 별로 10개의 공(well)에 접종하고 72시간 동안 5% CO2 를 포함하는 37℃ 세포배양기 내에서 배양하면서 세포변성효과를 관찰하였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배양액 내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의 함량을 정량하였다.
항바이러스활성 시험은 바이러스 배양액에 소혈청이 첨가되지 않은 최소배지를 배양액으로 희석하여 바이러스 역가가 1.0 TCID 50 /0.1 ㎖, 10.0 TCID 50 /0.1 ㎖, 100 TCID 50 /0.1 ㎖ 및 1000 TCID 50 /0.1 ㎖이 되도록 하였다. 96공 세포배양 플레이트에 MDCK단층세포를 준비하고 이를 인산완충용액으로 2회 세척한 다음 Lactobacillus sakei ProBio-65 배양액 한 샘플 당 4 개의 공(well)을 사용하여 첫째, 둘째, 셋째 및 넷째 공에 각각 90 ㎕의 1.0 TCID 50 /0.1 ㎖, 10.0 TCID 50 /0.1 ㎖, 100 TCID 50 /0.1 ㎖ 및 1000 TCID 50 /0.1 ㎖를 첨가하고 즉시 10 ㎕(10%)의 Lactobacillus sakei ProBio-65 배양액을 각 공에 첨가 한 후 5% CO2 가 포함된 37℃ 세포배양기 내에서 배양하면서 시험 후 24시간, 48시간 및 72시간에서 세포변성효과를 관찰하였으며, 세포변성효과가 관찰될 경우 배양액이 항바이러스 활성이 없는 것으로 판정하였는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Lactobacillus sakei ProBio-65 배양액 처리군에서는 세포변성효과가 관찰되지 않아 항바이러스 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란 배양 및 항바이러스 활성 확인]
종란을 9~11일정도 37℃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달걀 껍질에 접종부위를 확인하였으며, 혈관이 없는 부위로 바이러스와 Lactobacillus sakei ProBio-65를 혼합하여 0.2ml 접종하였다. 바이러스와 유산균 접종 후 4~5일 간 배양하며 혈관유무, 종란 패사 등을 관찰하였다. 종란에서 요막강액(allantonic fluid)을 회수하여 혈구응집반응을 실시하여 바이러스의 증식 유무를 확인하였다. 혈구응집반응은 96공 세포배양 플레이트에 요막강액과 인산완충용액을 25㎕ 씩 분주하여 2배 계단 희석법으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96공 세포배양 플레이트에 닭에서 채취한 적혈구 (1% Red Blood Cell)를 각각 25㎕씩 분주하여 실온에서 40분간 반응을 시켜 혈구응집을 관찰하였다. 종란 실험에서 혈구응집이 나타나 공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 가라앉을 경우 배양액이 항바이러스 활성이 없는 것으로 판정하였는데,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Lactobacillus sakei ProBio-65 배양액 처리군에서는 혈구응집이 공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 가라앉지 않으므로 항바이러스 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시예 5>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의 항 바이러스 활성 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을 실시예 4의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Lactobacillus sakei ProBio-65)(수탁번호 : KCTC 10755BP) 항 바이러스 활성 실험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실시예 4와 같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 실시예 6>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의 항균 활성 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을 실시예 3의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Lactobacillus sakei ProBio-65)(수탁번호 : KCTC 10755BP) 항균 활성 실험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를 측정하여 표 2와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다음 표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균 활성이 확인되었다.
No. Strain Staphylococcus aureus HSAc
Paper disc(8mm diameter)
1 Lactobacillus ruteri , isolate 11
2 Lactobacillus plantarum, isolate 14
3 Lactobacillus acidophilus , isolate 13
4 Lactobacillus bunchneri , isolate 15
5 Lactobacillus sakei , isolate 17
6 Lactobacillus rhamnosus KCTC 5033* 15
7 Lactobacillus sakei subsp . sakei KCTC 3603T 14
8 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 paracasei KCTC 3510T 15
9 Lactobacillus brevis KCTC 3102 12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쌀을 계량하여 정제수에 침지하고, 블렌딩한 후, 100℃에서 20∼40분간 호화하거나, 또는 60℃에서 20∼40분간 예비 호화한 다음, 다시 100℃에서 20∼40분간 본호화하여 호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한 호화액에 α-아밀라아제를 첨가하여 80∼100℃에서 40분∼2시간 동안 1차 당화한 후, 글루코아밀라아제를 첨가하여 60∼75℃에서 40분∼2시간 동안 2차 당화하고 여과하여 제조한 쌀당화액에, 김치에서 추출한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Lactobacillus sakei ProBio-65)(수탁번호 : KCTC 10755BP)를 첨가하여 발효시켜 제조되는 쌀유산균발효액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항균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
  3. 쌀을 계량하여 정제수에 침지하고, 블렌딩한 후, 100℃에서 20∼40분간 호화하거나, 또는 60℃에서 20∼40분간 예비 호화한 다음, 다시 100℃에서 20∼40분간 본호화하여 호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한 호화액에 α-아밀라아제를 첨가하여 80∼100℃에서 40분∼2시간 동안 1차 당화한 후, 글루코아밀라아제를 첨가하여 60∼75℃에서 40분∼2시간 동안 2차 당화하고 여과하여 제조한 쌀당화액에, 김치에서 추출한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Lactobacillus sakei ProBio-65)(수탁번호 : KCTC 10755BP)를 첨가하여 발효시켜 제조되는 쌀유산균발효액을 포함하는,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Avian Influenza Virus)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
  4. 삭제
  5. 쌀을 계량하여 정제수에 침지하고, 블렌딩한 후, 100℃에서 20∼40분간 호화하거나, 또는 60℃에서 20∼40분간 예비 호화한 다음, 다시 100℃에서 20∼40분간 본호화하여 호화액을 제조하는 호화단계와;
    상기 호화단계에서 제조한 호화액에 α-아밀라아제를 첨가하여 80∼100℃에서 40분∼2시간 동안 1차 당화한 후, 글루코아밀라아제를 첨가하여 60∼75℃에서 40분∼2시간 동안 2차 당화하고 여과하여 쌀당화액을 제조하는 쌀당화단계와;
    상기 여과된 쌀당화액에 전지분유, 우유, 탈지대두단백질, 올리고당, pH 조절제, 완충제, 당질, 감미료, 각종 과즙, 각종 비타민류, 향미료, 아미노산, 핵산 및 그들의 염류, 식물 섬유, 각종 미네랄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첨가한 후, 100℃에서 20분간 살균하는 혼합살균단계와;
    숙성된 김치의 국물을 희석하여 BCP 고체배지에 도말하고, 37℃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구균과 간균을 선발하여 MRS배지에 옮겨 배양한 뒤, 영하 80℃에 보존한 다음,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Lactobacillus sakei ProBio-65)(수탁번호 : KCTC 10755BP) 균주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Lactobacillus sakei ProBio-65)(수탁번호 : KCTC 10755BP) 균주를 MRS 배지에서 37℃ 조건으로 배양하여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Lactobacillus sakei ProBio-65)(수탁번호 : KCTC 10755BP)를 제조하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Lactobacillus sakei ProBio-65)(수탁번호 : KCTC 10755BP) 유산균 제조단계와;
    상기 혼합살균단계에서 제조한 혼합살균 쌀당화액에 상기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Lactobacillus sakei ProBio-65)(수탁번호 : KCTC 10755BP) 유산균을 쌀당화액 중량대비 0.1∼5중량%를 첨가하여 37℃에서 최종 pH가 4.1정도가 되도록 12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유산균발효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Lactobacillus sakei ProBio-65)(수탁번호 : KCTC 10755BP) 유산균 제조단계에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Lactobacillus sakei ProBio-65)(수탁번호 : KCTC 10755BP) 균주의 배양 및 유산균제조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Lactobacillus sakei ProBio-65)(수탁번호 : KCTC 10755BP) 균주를 MRS 배양배지(Glucose 2%, Peptone 2%, Yeast extract 0.5%, Sodium Acetate 0.5%, Potassium Phosphate dibasic 0.2%, Ammonium Sulfate 0.2%, Magnesium Sulfate 0.1%, Manganese Sulfate 0.005%, Tween80 0.1%)에서 37℃에서 12시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13,000 rpm에서 3시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기 원심분리하여 얻은 균체와 동량의 가수분해 탈지분유를 혼합하여 균질화한 다음, -40℃에서 예비동결 수행한 후, -40℃에서 -20℃까지 7시간, -20℃에서 5시간을 유지하고, -20℃에서 -5℃까지 9시간, -5℃에서 10시간을 유지하며, -5℃에서 10℃까지 10시간, 10℃에서 10시간을 유지하고, 10℃에서 8시간에 걸쳐 20℃까지 온도를 올려 최종 20℃에서 동결건조를 완료하고, 동결건조된 균체를 분쇄하여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Lactobacillus sakei ProBio-65)(수탁번호 : KCTC 10755BP)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10044557A 2011-05-12 2011-05-12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쌀당화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진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 KR101241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3522 WO2012153885A1 (ko) 2011-05-12 2011-05-12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쌀당화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진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
KR1020110044557A KR101241385B1 (ko) 2011-05-12 2011-05-12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쌀당화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진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
US14/115,458 US20140356338A1 (en) 2011-05-12 2011-05-12 Rice-fermented food composition containing rice saccharified liquid fermented with kimchi lactic acid bacteria as active ingredient and having antibacterial and antiviral effects
JP2014510227A JP2014516524A (ja) 2011-05-12 2011-05-12 キムチ乳酸菌発酵した米糖化液の有効成分を含有する抗菌抗ウイルス米乳酸菌発酵食品組成物
CN201180070795.8A CN103596579A (zh) 2011-05-12 2011-05-12 含有利用泡菜乳酸菌发酵的稻米糖化液作为活性成分并具有抗菌和抗病毒效果的稻米发酵食品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557A KR101241385B1 (ko) 2011-05-12 2011-05-12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쌀당화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진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619A KR20120126619A (ko) 2012-11-21
KR101241385B1 true KR101241385B1 (ko) 2013-03-11

Family

ID=47139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557A KR101241385B1 (ko) 2011-05-12 2011-05-12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쌀당화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진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356338A1 (ko)
JP (1) JP2014516524A (ko)
KR (1) KR101241385B1 (ko)
CN (1) CN103596579A (ko)
WO (1) WO201215388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484A (ko) 2018-12-10 2019-04-24 류형준 바이러스 질환 개선을 위한 식품조성물
KR102169878B1 (ko) * 2019-09-10 2020-10-26 (주) 노바렉스 찹쌀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또는 식품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547B1 (ko) * 2012-12-05 2014-11-26 한국식품연구원 피타아제를 대량 생산하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Wikim001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발효현미 제조방법
KR101468698B1 (ko) * 2013-04-01 2014-12-05 주식회사 글루칸 3단 발효 공법을 통한 장내균총 개선 소재의 개발
CN104351698B (zh) * 2014-10-17 2020-01-17 北华大学 一种天女木兰香型党参泡菜及其制作方法
KR101666564B1 (ko) * 2014-10-22 2016-10-17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항바이러스 및 항병원성세균 활성을 가진 락토바실러스 프란타륨 Probio 090 및 이의 생산물
US20160304924A1 (en) * 2015-04-15 2016-10-20 Kevin Henry Fortin Synergistic food fermentation utilizing fungal mycelium and bacilli
KR101865838B1 (ko) * 2016-02-18 2018-07-13 샘표식품 주식회사 고추유산균발효물 및 콩발효물을 함유하는 김치소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65842B1 (ko) * 2016-05-16 2018-06-11 샘표식품 주식회사 천일염 함유 쌀유산균발효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김치소스 조성물
JPWO2017217350A1 (ja) * 2016-06-13 2019-02-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抗菌抗ウイルス薬、抗菌抗ウイルス部材、及び抗菌抗ウイルス薬の製造方法
KR101802447B1 (ko) * 2016-06-21 2017-11-30 주식회사 카브 김치 및 된장 유래 젖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43608B1 (ko) * 2016-10-14 2020-08-11 한국식품연구원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7969661B (zh) * 2017-11-28 2021-03-05 海南鸿大海实业有限公司 一种酸芥菜食品及其制备方法
KR102025115B1 (ko) * 2017-12-01 2019-09-25 노한승 면역력 개선 및 바이러스 질환 예방 효과를 지닌 유산균 발효액
CN108324586A (zh) * 2018-04-08 2018-07-27 北京皓尔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抗菌消炎组合物及其应用
KR101930342B1 (ko) 2018-09-21 2018-12-19 주식회사 제이투케이바이오 피부 탄력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58849A (ko) *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면역활성이 높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 사균 또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 저감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07995B1 (ko) * 2020-05-15 2021-01-27 주식회사 피에프네이처 여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항염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CN112858364B (zh) * 2020-07-27 2023-07-21 苏州泰纽测试服务有限公司 一种利用核磁共振测量岩心物性的方法
CN113750000A (zh) * 2020-12-12 2021-12-07 广州元基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封层修护护肤品配方及其制备方法
CN113170872A (zh) * 2021-05-20 2021-07-27 四川工商职业技术学院 一种复合型泡菜风味激发料的制作方法
KR102337125B1 (ko) * 2021-07-12 2021-12-07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srcm209238 균주를 이용한 생리활성이 증진된 쌀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쌀 요거트
KR102509499B1 (ko) * 2022-02-07 2023-03-16 (주) 아머드프레시 식물성 유산균 발효 아몬드 밀크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719B1 (ko) * 2005-01-29 2005-03-31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유해 병원성 미생물 생육 억제능 및 항알레르기성을 갖는 신규 내산성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
KR100872910B1 (ko) * 2007-10-25 2008-12-10 두두원발효(주)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요구르트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조류독감, 독감 및 사스의 호흡기성 급성전염질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8237A (en) * 1980-04-15 1981-11-17 Yoshihide Hagiwara Food or beverage made of lactic fermentation product from unpolished rice
KR100527419B1 (ko) * 2003-04-17 2005-11-09 한국식품연구원 쌀당화액을 주재로 하는 발효식품조성물
KR20070051587A (ko) * 2005-11-15 2007-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 유산균 발효물 캡슐을 함유하는 항균성 물품 및 그제조방법
EP1959740A2 (en) * 2005-11-15 2008-08-27 LG Electronics Inc. Antimicrobial coating based on kimchi lactic acid bacteria
KR101123043B1 (ko) * 2008-12-22 2012-04-13 서해영농조합법인 쌀 요구르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719B1 (ko) * 2005-01-29 2005-03-31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유해 병원성 미생물 생육 억제능 및 항알레르기성을 갖는 신규 내산성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
KR100872910B1 (ko) * 2007-10-25 2008-12-10 두두원발효(주)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요구르트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조류독감, 독감 및 사스의 호흡기성 급성전염질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484A (ko) 2018-12-10 2019-04-24 류형준 바이러스 질환 개선을 위한 식품조성물
KR102169878B1 (ko) * 2019-09-10 2020-10-26 (주) 노바렉스 찹쌀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또는 식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619A (ko) 2012-11-21
JP2014516524A (ja) 2014-07-17
WO2012153885A9 (ko) 2013-03-21
US20140356338A1 (en) 2014-12-04
WO2012153885A1 (ko) 2012-11-15
CN103596579A (zh)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385B1 (ko)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쌀당화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진 쌀유산균발효식품조성물
KR101099924B1 (ko) 신규한 류코노스톡 시트리움 및 이를 스타터로 사용한 발효식품 및 조성물
KR101859992B1 (ko) 곡물 유산균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9065B1 (ko) 상온 발효가 가능한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 mss2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070676A (ko)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55849B1 (ko)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과 유산 생성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rcm102369 균주 및 이의 용도
TW201815289A (zh) 含神秘果與益生菌的共生質、其錠劑及其製備方法
KR20190070673A (ko)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05316B1 (ko)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으로 발효된 차가버섯, 상황버섯 및 영지 버섯 혼합발효추출액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기능성 음료
KR101836365B1 (ko)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32를 첨가한 김치 양념소 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20200145127A (ko) 보리를 포함하는 gaba 함유량이 높은 요구르트 제조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요구르트
KR101909927B1 (ko) 케피어 유래 효모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KR101841909B1 (ko) 누룩과 혼합곡물을 이용한 유산균의 배양방법
KR20100076540A (ko) 식물성 배지, 식물성 부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성유산균 발효 분말의 제조방법
KR101582728B1 (ko) Gaba 생산 젖산균 및 젖산발효 사과박을 이용한 산수유 잼 제조방법
CN113980870A (zh) 一株冻盐晶嗜冷杆菌及其在蔬菜冷藏保鲜中的应用
Savadogo The role of fermentation in the elimination of harmful components present in food raw materials
KR101924392B1 (ko) 요구르트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얻어진 요구르트
KR102030902B1 (ko) 벚나무속 식물의 열매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488052B1 (ko)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 및 이를 이용한 김치제조
KR102217834B1 (ko) 케피어 유래 유산균의 사균체 및 포도씨 분말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27830B1 (ko)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을 활용한 발효유 제조방법
KR102366898B1 (ko) 천연 추출물과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여 위와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
KR102224926B1 (ko)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ny518 균주, 이의 배양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76514B1 (ko) 유산균을 이용한 기능성 발효 고추 엑기스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7